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국어』시 단원을 위한 효과적인 수행평가 방안 연구

        강민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학생들이 시 단원을 자발적으로, 적극적으로 감상하며 향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과정 중심의 효과적인 수행평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 단원에 대한 효과적인 수행평가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먼저 이 연구는 평가에 관련된 이론들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참고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토대로 수행평가 실제에 활용 가능한 수행평가 방안을 제시, 적용하였다. Ⅱ장에서는 첫 번째로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에서 추구하는 문학 영역의 평가 항목이 무엇인지 정리하였다. 두 번째로는 수행평가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수행평가의 필요성과 그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세 번째로는 문학 영역에서와 시 학습에 있어서의 평가가 어떤 방향으로 실천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재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시 단원에 대한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인식을 알아보았고 설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행평가를 실천하기에 적합한 기준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기준안을 토대로 수행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시 단원에 대한 수행평가 경험을 전제로 학생들이 경험한 수행평가의 방식은 어떤 것이었는지, 수행평가로 인한 어려움은 어떠한 것들이 있었는지, 수행평가의 개선점은 무엇인지를 물었다. 그리고 설문 분석을 토대로 수행평가에 대한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수-학습과 같이 수행평가를 계획하고 학생들에게 사전 공지. 둘째, 과정 중심의 평가임을 상기하며 다양한 방식의 수행평가를 실시하기. 셋째, 공정하고 타당한 평가 기준(채점 기준, 예시 답안 등)을 제시하여 신 뢰가 높은 평가가 되도록 하기. 넷째, 학생들의 능력에 맞는 수행 과제를 제시하기. 다섯째, 학생들로 하여금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과제 부과하기. 이와 같은 기준안을 가지고 중학교 『국어 3-1』1단원 ‘시의 표현’에 적용하여 활용하였다. 이 단원은 시에 쓰인 여러 가지 표현 방법을 이해하는 것과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며 시를 감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행평가의 목표 또한 ‘시에 표현된 작가의 의도 파악하기, 감상한 시를 다른 양식으로 표현하기, 시 창작하기’에 초점을 맞춰 계획하였다. 시 단원에 대한 수행평가의 최종 목표는 학생들이 시를 실제로 창작해 보는 것이다. 좀 더 쉽게 창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행평가는 모두 3단계로 계획하였다. 1, 2단계는 서술형 검사법을 3단계는 창작형 검사법을 활용하였다. 모든 단계는 채점 기준과 채점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예시 답안 역시 상, 중, 하로 제시하였다. 매 단계에 대한 결과를 학생들에게 통보하여 교수-학습과 호응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수행평가는 어떻게 학습하였는지를 가늠케 하는 질적 평가이다. 학습자가 어떠한 사고의 과정을 거쳤는지 알 수 있는 평가이다. 이러한 수행평가를 시 단원에 적용하여 올바르게 활용한다면 학생들은 제대로 시 감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1회성 향공 운동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민영 삼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공 수련이 인지적인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는 이완 효과를 나타내어, 수련생들의 정신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이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지만, 이러한 기공의 정신건강 개선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는 매우 희소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놔파분석 방법(electroencephalography, EEG)을 사용하여, 기공 수련의 정신건강 개선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총 12명의 건강상태가 양호한 남자 대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약 15 분 동안 기공 수련을 시행하였다. 뇌파 분석은 기공 수련 전·후에 눈을 뜨거나 감은 상태에서 모두 측정하였고, 뇌파 분석에 사용한 뇌의 영역은 좌·우측 전전두엽(Fp1, Fp2), 좌·우측 전두엽(F3, F4), 좌·우측 측두엽(T3, T4) 및 좌·우측 두정엽(P3, P4) 이었으며, 상대적인 θ-wave, α-wave, β-wave 및 γ-wave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상대적인 연구 결과, θ-wave의 경우에는 눈을 뜨거나 감은 상태 모두에서, 기공 수련에 의해서 측정한 모든 뇌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 양상이 관측되지 않았다. 하지만, 상대적인 α-wave의 경우에는,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 하였지만, 기공 수련이 F3 영역(t = -2.028, p = .067) 및 T4 영역(t = -2.086, p = .061)의 경우에, 눈을 감은 상태에서 측정한 상대적인 α-wave가 거의 유의미한 차이에 근접할 만큼 상승하는 소견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대적인 β-wave와 γ-wave의 경우에는, 각각, 눈을 감은 상태에서 EEG 분석을 수행했을 때, 각각 P4 영역(t = 2.216, p = .049)과 T4 영역(t = 2.510, p = .029)에서 유의미한 감소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결국, 본 연구에서 수행했던 기공 수련이 일부 뇌 영역에서 상대적인 α-wave의 상승과 상대적인 β-wave의 감소에 의해서 확인된 바와 같이, 남자 대학생들의 정신 건강을 개선시키는 유용한 수단 중 하나임을 시사하는 소견을 나타내었다. 그렇지만, 본 연구는 피험자의 수효가 많지 않았을 뿐 아니라, 단지 20대의 남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더 많은 피험자들을 모집하고, 추가적으로 여성 피험자를 포함하는 좀 더 대규모적인 연구를 통해서, 본 기공 수련에서 나타났던 유익한 정신건강 증진 효과를 재현하기 위한 추가 연구를 수행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주요어: 뇌파 분석, 남성, 기공. For a long time, it has been known that Qigong training is an useful way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through the reduction of cognitive stress and relaxation, but the scientific studies to clarify the mental effect of this training is yet scanty. To attain this purpose, I tried to analyze the mental effect of Qigong training by using electroencephalography(EEG) study. A total of 12 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in all good health. Also, They performed a single bout of Qigong training and measured the EEG aspects in the both eyes-opened and eyes-closed conditions, twice before and after this training, respectively. EEG data were also obtained from left prefrontal region(Fp1), right prefrontal region(Fp2), left frontal region(F3), right frontal region(F4), left temporal region(T3), right temporal region(T4), left parietal region(P3) and right parietal region(P4), and analyzed about relative θ-wave, α-wave, β-wave and γ-wav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relative θ-wave, th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any brain regions measured in the both eyes-opend and eyes-closed conditions,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relative α-wave, there were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any brain regions measured in the both eyes-opend and eyes-closed conditions, respectively, but marginal elevation of relative α-wave after Qigong training in F3(t = -2.028, p = .067) and T4(t = -2.086, p = .061) regions in the case of only eyes-closed conditi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relative β-wav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relative this-wave after Qigong training in P4 region(t = 2.216, p = .049) of eye-closed condition. With respect to γ-wav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relative this-wave after Qigong training in T4 region(t = 2.510, p = .029) of eye-closed condi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Qigong training may be an useful way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male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e mental relaxation effect confirmed by the elevation of relative α-wave and the reduction of relative β-wave, respectively. Further studies by using large sample size and female participants will be required to replicate this mental health effect. Key words: EEG, Male and Qigong.

      • Poincare' 상반 평면의 측지선에 대하여

        강민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M이 리만 metric < , > 과 리만 connection ▽을 갖는 리만 다양체라 하자. M위의 곡선 α의 가속도가 0, 즉 ▽,_(α^('))α^(')=0 일 때, α를 측지선이라 한다. 또한 poincare' qksvudaus P는 모든 접벡터 u,w 에 대하여 <u,w>=u·w/υ²를 거리로 갖는 υ>0인 좌표 평면의 상반 평면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정리 3.1의 증명과 정리 3.4에서 Poincare' 상반 평면의 측지선을 찾는것이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3장에서 이용되는 리만 connection ▽의 성질과 측지선, 또 측지 곡률과 clairaut 좌표 사상을 각각 정의하고 그 성질들을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x를 곡면 M의 직교 좌표 사상이라 할 때, 곡면 M상의 곡선이 측지선이 될 하나의 필요충분조건을 찾았다(Theorem 3.1). 또한, 위 정리 3.1을 이용하여 poincare' 상반 평면 P에서, 측지선은 모든 수직선이거나 u축 위에 중심을 갖는 모든 반원임을 증명하였다(Theorem 3.2).

      • 유년기 전쟁 체험 세대의 성장소설 연구 : 김원일「어둠의 혼」, 윤흥길의「장마」를 중심으로

        강민영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growth novels written by a childhood war-experienced generation - Focusing on Kim Won-il’s「Eodumui hon」& Yun Heung-gil's「Jangma」- This study examined is about two works written by a generation selected for the immature narrator in the growth process of the childhood experience of war generation of growth novel who had undergone a war in their childhood. It considers the growing process of immature narrators. In Chapter 2, discuss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growth novel. Growth-novels are referred to Bildungsroman, Preservation novel, Entwicklungsroman, Initiation novel. Growth as well as the name of the novel differs in content and format. Growth novels is a concept that reflects cultural and aesthetic traditions of a country. As a result, the growth of the novel genre distinction is not clear characteristics. It is not crystal-clear to differentiate growth novel from other genres. We've examined the war experiences as motivation of growth. Ordinary people hardly experience the wars. Therefore wars make human beings grow up by a powerful influence to them. In Chapter 3, we've seen the growing process of immature narrators in the novel, 「Eodumui hon」and 「Jangma」. Human beings meet the world through our senses. Hence, narrators started from restoring war experience in a sensate fashion. Kim Won-il recalls painful memories of his childhood by hunger. Whereas Yun Heung-gil vividly work the wetness coming from desperate rainy season. In restore the memories of the young narrator, he experienced death and newly recognized life. The young narrators got through growing pains through the death of his father in 「Eodumui hon」and the death of his family in 「Jangma」. It can be said that 'Death' act as a motif of awakening. The narrators got mature after realizing the true meaning of life and death by understanding the absence of a father and maternal instinct based on shamanistic beliefs. In other words, they entered the new world successfully via understanding and reconciliation. The newly arise childhood war-experienced generation narrators in 1970's opened new era of growth novel. Kim Won-il and Yun Heung-gil also started their witting life from the center of such changes. And until now they have been using the theme of the wounds caused by war and overcoming process. I hope these research on the basic of the results help widen. The value of growth novel which only exists in korea societ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Conferred in February 2013.

      • 피부 상태에 따른 화장품 및 피부 관리 추천 서비스에 대한 선호 유형 연구 : 모바일 앱 서비스를 중심으로

        강민영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비자의 화장품 사용, 피부 관리, 앱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피부 상태별 맞춤 화장품 및 피부 관리 가이드 추천 서비스에 대한 선호 유형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피부 상태에 따라 피부 고민, 화장품 사용 실태, 피부 관리 실태, 모바일 뷰티 앱 사용 실태, 화장품 추천 선호 유형, 피부 관리 가이드 추천 선호 유형, 모바일 앱 서비스 선호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피부 상태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제품군인 ’스킨케어‘에 대하여 ’피부 상태에 가장 적합한 제품을 추천‘ 받기를 원함을 알 수 있었다. 피부 관리 여부는 유분과다건성과 복합성은 매우 많았으나, 건성, 지성, 중성은 피부 관리를 하지 않는 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피부 상태에 따른 피부 관리 가이드 추천 선호 유형에서 건성은 ‘보습 관리’가 많았고, 지성과 중성, 유분과다건성, 복합성은 모두 ‘피부고민(여드름, 아토피)’가 많았다. 피부 상태별 화장품 및 피부 관리 가이드 추천 서비스 경험은 ‘없다’가 89.1%가 많았으나.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있을 경우, 사용 의사는 ‘있다’ 87.1%로 대부분이 사용 의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에 대한 이해와 관련 서비스의 개발을 위해, 향후 보다 심층적이고 견고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피부 상태별 사용자의 특성과 선호유형을 파악 및 분석하여 관련 서비스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이러한 서비스의 개발로 소비자들의 지식수준이 높아지고 나아가 한국 화장품 시장이 소비자 중심의 시장으로 발전하게 되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figure out what cosmetics people use, how to take care of skin, app they use, and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types of recommendation services for cosmetics and skin care guide for different skin conditions. In this study, we analyzed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preference types of mobile app/recommendation from skin care guide/recommendation for cosmetics and in using beauty app/taking skin care/ cosmetics/concerns depending on the skin conditions. As a result, this study has found that people want to get ‘the recommendation of the most appropriate product for their skin conditions’ for ‘the daily skin care products', which ‘people use every day’. According to this study, many people with dry/oily skin or combination skin answered that they take care of their skin. But most of people who have only dry, oily or normal skin answered that they do not take care of skin. The research for preference types of recommendation for skin care guide showed that people with dry skin have interests in 'moisturizing' and people with oily, normal, dry/oily or combination skin have interests in solving skin problems (such as acne, atopic dermatitis)'. 89.1% of people said they have “no” experience to get the recommendation for cosmetics and skin care guide for the skin condition, but 87.1% of them said they are willing to use if there is any app for those services. Therefore, the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to understand consumers and develop related services. We aimed to identify and analyz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types of people depending on a skin condition in order to be helpful for development of related services. We hope that the development of these services will increase the level of knowledge of people and Korean cosmetics market will be consumer centered market.

      • 奉壽堂 進饌과 洛南軒 養老宴의 音樂的 考察 : 園幸乙卯整理儀軌를 중심으로

        강민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1795년(정조 19) 8일간의 화성(華城) 행차에서 행해진 봉수당(奉壽堂) 진찬(進饌)과 낙남헌(洛南軒) 양로연(養老宴)의 음악적 형태를 고찰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의 기록과 능행도(陵行圖) 병풍에 그려진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와 낙남헌양로연도(洛南軒養老宴圖)를 바탕으로, 진찬(進饌)과 양로연(養老宴)의 절차와 음악을 살펴보았고, 『춘관통고(春官通考)』등을 참고하여 다른 연향과의 차이점을 고찰해 보았다. 봉수당 진찬의 특징들을 정리해보면, 첫째, 봉수당에서 행한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인 진찬(進饌)은 7작의 작헌례(酌獻禮)를 행하고, 진찬·진화(進華)등의 절차와 함께 정재가 상연되었다. 둘째, 봉수당 진찬의 작헌례를 행할 때 사용된 음악 중에는 여민락(與民樂) 환환곡(桓桓曲), 여민락 청평악(淸平樂) 등 두 개의 곡명이 함께 쓰여진 악곡들이 보인다. 이 악곡에 쓰인 여민락은 고유명사로서의 '여민락'(실제 연주되는 악곡)이 아닌 여민락에 담긴 의미 '백성과 함께 더불어 즐기는 음악'으로,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백성과 함께 축하하기 위해 붙여진 수식어로 해석된다. 셋째, 봉수당 진찬에서 정재를 담당하는 여령 중에는 의녀(醫女)와 침선비(針線婢)가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의녀와 침선비가 공식적인 연향에서 정재를 공연했음을 보여주는 의궤로는 『원행을묘정리의궤』가 처음이다. 넷째, 봉수당 진찬도는 정조가 1795년(정조 19) 화성 행궁의 본당(本堂)인 봉수당에서 벌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 잔치를 그려놓은 그림이다. 그림 가운데에는 여령들이 무고와 선유락을 추고 있는 것이 함께 그려져 있다. 다섯째, 봉수당 진찬은 내연(內宴)과 외연(外宴)의 구별 없이 한 차례 행해졌다. 여관(女官)·여집사(女執事)·여령(女伶) 등에 의하여 의식이 진행되고 여기가 정재를 담당함으로써 내연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내외명부(內外命婦)와 의빈척신(議賓戚臣) 등 내외빈이 함께 참례하여 외연의 형식도 아울러 취하고 있다. 여섯째, 봉수당 진찬에 사용된 악기 편성은『춘관통고(春官通考)』의 악기 편성과 비교해 볼 때, 전정고취(殿庭鼓吹)의 형태의 악기 편성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즉, 편종, 편경, 건고, 삭고 등의 아악기가 사용되지 않은 점에서 전정헌가(殿庭軒架)라 보기 어렵고, 거문고 · 가야금 등의 현악기가 없는 점에서 등가(登歌)와는 차이가 있다. 조선조 궁정에는 전정헌가(殿庭軒架)·등가(登歌)·전정고취(殿庭鼓吹) 등의 여러 악대를 설치해, 의례나 연향의 성격 또는 격에 맞게 구별하여 사용하였다. 조참(朝參)이나 문과전시(文科殿試)·생진방방(生進放榜) 등의 의례에만 쓰였던 전정고취가 연향인 봉수당 진찬에 사용된 것은 예외적인 경우라 하겠다. 일곱 번째, 봉수당 진찬에서의 전정고취 편성은 『춘관통고』에 전하는 전정고취에 비해 그 규모가 크다. 봉수당 진찬에서는 피리·대금·해금·장고 등의 악기가 특별히 많이 편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낙남헌 양로연의 특징들을 정리해보면, 첫 번째, 낙남헌(洛南軒)에서 행한 양로연(養老宴)은 3작의 작헌례(酌獻禮)를 행하고, 진찬(進饌)·진화(進華) 등의 절차가 행해졌으나 궁중 연향에서 의례적으로 상연되는 정재가 행해지지 않았다. 이는 궁정에서 행할 때보다 간략하게 치러졌기 때문이다. 두 번째, 낙남헌 양로연의 작헌례를 행할 때 사용된 음악 중에는 낙빈악(樂賓樂) 녹명(鹿鳴) 천보(天保), 낙빈악 관저(關雎) 작소(鵲巢) 등 두 가지 이상의 음악이 함께 쓰인 악곡들이 보인다. 이 악곡에 쓰인 낙빈악은 고유명사로서의 '낙빈악'(실제 연주된 악곡)이 아닌 낙빈악에 담긴 '손님(양로연 참석자)과 함께 즐긴다'는 뜻의 수식어로 해석된다. 세 번째, 낙남헌 양로연도는 정조가 1795년 낙남헌에서 영의정 홍낙성을 비롯한 노인관료 및 화성 현지의 노인들에게 베푼 양로연 잔치를 그려놓은 그림이다. 어좌 앞 마루에는 융복차림의 노대신과 관원들이 앉아 있고, 담장 사이에는 무동과 악사들이 늘어서 있다. 네 번째, 낙남헌 양로연의 악기의 편성 역시 봉수당 진찬과 동일한 전정고취 형태이다. 화성에서 행한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 두 연향 모두 궐내에서 행한 다른 연향과 여러 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진찬과 양로연은 외연과 내연 구별 없이 한차례 행해졌음을 알 수 있고, 양로연에서는 정재가 생략되었다. 또 두 연회 모두 주악을 담당한 악대의 편성이 전례와 달리 전정고취라는 독특한 편성을 하고 있다. 이는 궐 밖의 행사라는 특수성과 왕비의 신분이 아니었던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에 차등을 두었던 조치로 해석된다. 그러나 전체적인 연회 절차는 궐내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musical form of two court banquets, called <BongSuDang JinChan> and <NakNamHun YangLoYeon>, conducted for 8 days of Hwasung parade in 1795(19th year of King Jeongjo). This study carries out the study using the drawing of <BongSuDang JinChan> and <NakNamHun YangLoYeon> on NeungHangdo folding screen and the records of <Religious Chest of Won Hang Eul Myo Jung Lee>. I examine the procedure and the music used in two court banquets, called JinChan and YangLoYeon, and explore the difference with other festivals referring to <Chun Gwan Tong Go> and others. Arr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BongSuDang JinChan>: First of all, 7 works of <JagHunLye> were carried out in the JinChan of 61st birthday of Queen HyeGyungGung Lady Hong in BongSuDang, and the offertory was performed in procedures of <JinChan/JinHwa>. Secondly, there are two musical pieces that have the names of two songs written together that are played in <JagHunLye> of <BongSuDang JinChan>, YeoMinLack HwanHwanGok and YeoMiinLack ChungPyungAk. YeoMinLack that used these musical pieces is not a proper noun that stands for YeoMinLack actually played music, but as YeoMinLack that is interpreted as 'music that is enjoyed with the people', and is used as modifier to celebrate the 61st birthday of Queen HyeGyungGung Lady Hong. Thirdly, medical female doctors and female acupuncturists take more than half of the official dancing girls who undertake offertory in <BongSuDang JinChan>. The <Religious Chest of Won Hang Eul Myo Jung Lee> is the first religious chest that medical female doctors and female acupuncturists performed the offertory in official festivals. Fourthly, <BongSuDang JinChan> is a drawing of Queen HyeGyungGung Lady Hong's 61st birthday festival in the main palace of Hwasung Hangung, <BongSuDang> drawn by King JeongJo in his 19th year, 1795. There is the drawing in which official dancing girls dance Sunyurak with Mugo. Fifthly, <BongSuDang JinChan> was carried out with any classification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festivals. The ritual was carried out by female maid, female manager, official dancing girl, and as female entertainer undertook the offertory. It seems like the ritual is an interior festival form, but also seems like an exterior festival form as inside and outside guests from Inside and Outside List of People and UiBinCheokSin are participating. Sixthly, by comparing the instrumental organization in <BongSuDang JinChan> from that of <ChunGwanTongGo>, it is very similar to the instrumental organization in <JeonJeoungGoChi>. In other words, it is hard to see that <BongSuDang JinChan> is a JeounJeoungHeonGa from the view that it does not use court musical instruments such as PyunJong(bell chime), PyunGyung(stone chime), GeonGo(large drum), and SakGo(large drum). It also cannot be seen as DeungGa from the view that it does not include string instruments such as Keomungo(6-stringed zither) and Kayakum (12-stringed zither). In the palace of Chosun era, many musical bands such as JeonJeoungHeonGa, DeungGa, and JeonJeoungGoChi were established, and were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or status of the ceremony or festival. It is very exceptional that JeonJeoungGoChi, which has been used only in ceremonies such as Jocham, MunGwaJunSi, and SangJinBangBang was used in a festival, BongSuDang JinChan. Seventhly, JeonJeoungGoChi musical arrangement in BongSuDang JinChan is larger in size compared to the JeonJeoungGoChi imparted from ChunGwanTongGo. BongSuDang JinChan especially has more arrangements of musical instruments such as Piri(cylindrical oboe), Daegeum(transverse flute), Haegeum(2-stringed fiddle), and JangGo(hourglass drum). Taking together the characteristics of <NakNamHun YangLoYeon>, First, YangLoYeon in NakNamHun executed 3 parts of JakHunLye, and then carried out JinChan and JinHaw procedures, but did not carry out offertory that was originally performed in palace festivals. This is because it was performed in a more simple form compared to that in the palace. Secondly, there are two musical pieces that have the names of two songs written together that are played in <JagHunLye> of <NakNamHun YangLoYeon>, NakBinAk NokMyung CheonBo and NakBinAk GwanJeo Jakso. NakBinAk that used these musical pieces is not a proper noun that stands for NakBinAk actually played music, but as NakBinAk interpreted as 'music that is enjoyed with the people(who participate in YanLoYeon)'. Thirdly, <NakNamHun YangLoYeon> drawing is a drawing that portrays the YangLoYeon festival given for the elders in HwaSung and HongNakSung, YeongUiJeong, and all other old officials in NakNamHun in 1795 by King JeongJo. There are old ministers and officials in YungBok on a floor in front of the king's seat, and there are dancing boys and musicians in between the walls. Fourthly, the organization of music in <NakNamHun YangLoYeon> is a form of JeonJeoungGoChi just like <BongSuDang JinChan>. There are many differences compared to other festivals carried out in the palace with <BongSuDang JinChan> and <NakNamHun YangLoYeon> in Hwasung. JinChan and YangLoYeon were carried out in one turn without classifica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festivals, and offertory was excluded in YangLoYeon. Also, the musical organization that undertook all main music takes a specific arrangement called JeonJeoungGoChi unlike the two preceding festivals. This can be seen as a management to give discrimination in the 61st birthday anniversary of Queen HyeGyungGung lady Hong, who was the King's step mother, and due to the character that these festivals were performed outside the palace. However, there is no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festival in and outside the palace in general.

      • 시벅턴(sea buckthorn) 섭취가 유·무산소성 운동능력과 최대운동 후 피로회복, 혈중 mineral 농도 및 황산화에 미치는 영향

        강민영 용인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수선수들의 피로회복능력 향상을 통한 경기력 극대화를 위해 하계 훈련기간 동안 시벅턴을 섭취시켜 선수들의 혈중 미네랄 균형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변화를 관찰하여 시벅턴의 운동보조물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으로 복싱선수(15명), 씨름선수(16명) 총 31명을 대상으로 이중맹검법을 이용하여 시벅턴을 일일 300ml 투약하게 하였으며, 신체구성 측정과 무산소성 운동능력, 최대산소섭취량, 혈액 채혈을 통하여 혈중 젖산농도 측정, 혈중 미네랄 측정과 과산화지질, 항산화 효소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시벅턴 섭취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변화에서는 wingate 1차 검사결과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으나, wingate 2차 검사에서 절대 값 평균파워에서 시벅턴 섭취집단은 시벅턴 섭취 전에 비해 평균적으로 증가하였고 비교집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상대 값 평균파워 변화에서는 시벅턴 섭취집단은 평균차이가 없었으나 비교집단이 평균적으로 감소하였고 상대 값 최대파워 변화에서는 시벅턴 섭취집단은 시벅턴 섭취 전에 비해 평균적으로 증가하였고 비교집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무산소성 총 일량의 변화에서는 시벅턴 섭취집단은 평균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비교집단은 감소하였고 무산소성 최대 파워 도달시간 변화 검사에서는 비교집단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피로지수 변화에서는 시벅턴 섭취집단이 섭취 전에 비해 평균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비교집단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무산소성 최대 운동 후 혈중 젖산 농도의 변화에서는 안정 시에 비해 시벅턴 섭취집단이 평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회복 5분 감소 비율 변화에서 두 집단 모두 4주 후에는 평균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검사에서는 시벅턴 실험집단이 섭취 4주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비교집단은 평균적으로 증가하였다. 회복 10분 감소 비율 변화에서는 시벅턴 실험집단이 4주후 감소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비교집단은 평균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3. 시벅턴 섭취에 따른 최대산소섭취량의 변화에서는 섭취집단과 비교 집단간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시벅턴 섭취에 따른 혈중 미네랄 수준 변화에서는 시벅턴 섭취집단의 농도는 증가하였으나, 비교집단은 평균적인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시벅턴 섭취에 따른 혈중 활성산소(MDA)변화에서는 시벅턴 섭취집단이 감소하였고 항산화효소(SOD)변화의 차이에서는 시벅턴 섭취집단이 평균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교집단은 평균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exercise aid effects of Sea Buckthorn by observing the changes in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and blood mineral balance of players who intake Sea Buckthorn for the summer training period for maximization of athletic performance through improvement of fatigue recovery ability of excellent players. A total of 31 players including boxers(15 persons), wrestling players(16 persons) took up to 300ml of Sea Buckthorn per day using double blind test, and measured physical constitution, anaerobic exercise ability, maximum oxygen intake and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through blood gathering, blood mineral, and analyzed lipoperoxide (MDA) and antioxidant enzyme (SOD) and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n terms of change in anaerobic power according to Sea Buckthorn intake,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as a result of wingate 1st test, but Sea Buckthorn intake group showed average increase in absolute value average power after Sea Buckthorn intake as a result of wingate 2nd test, and comparative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p<0.05). In terms of changes in relative value average power, Sea Buckthorn intake group showed no average difference, but comparative group showed decrease on average. In terms of changes in changes in relative value maximum power, Sea Buckthorn intake group showed average increase after Sea Buckthorn intake while comparative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p<0.05). In terms of changes in total anaerobic work done, Sea Buckthorn intake group showed average increase, while comparative group showed decrease. At the anaerobic maximum power arrival time change test, comparative group showed increase tendency. In terms of changes in fatigue index, Sea Buckthorn intake group showed average increase after intake, while comparative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p<0.05). 2. With regard to change in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after anaerobic maximum exercise, Sea Buckthorn intake group showed average decrease compared to stabilization time. In terms of change in recovery 5 minute decrease ratio, both groups showed average increase in 4 weeks. At the 2nd test, Sea Buckthorn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4 weeks after intake, while comparison group showed average increase. In terms of change in recovery 10 minute decrease ratio, Sea Buckthorn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decrease ratio 4 weeks after that (p<0.05), while comparative group showed average increase. 3. In terms of change in maximum oxygen intake according to Sea Buckthorn intake,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ntake group and comparative effects. 4. In terms of changes in blood mineral level according to Sea Buckthorn intake, concentration of Sea Buckthorn intake group increased while that of comparative group showed no average change. 5. In terms of changes in blood active oxygen according to Sea Buckthorn intake, Sea Buckthorn intake group showed decrease. With regard to difference in antioxidant enzyme (SOD) change, Sea Buckthorn intake group showed average increase, while comparative group showed no average change.

      • 태권도장의 관계마케팅 요인이 관계의 질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민영 전주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 of Relationship Marketing Implement factor on The Quality and Outcome in Taekwondo Gymnasium Kang, min young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Education Jeonju University This research set a model of re-register intention, mouth to mouth intention, trust, Teakwondo gym's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theories which are related to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trust, mouth to mouth intention, and re-register intention; Swain, Trawick and Silva(1985), Evan(1990), Crosby, Evans and Cowles(1990), Kim(2001), Song(1994), Ganesan(1994), Morgan and Hunt(1994), Wilson(1995), Anderson, Fornell and Lehmann(1994), Bitner(1990), Gu(1995), Go and Lee(2007), Hwang and Kim(2002), Shemwell(1995), Garvarino, Johnson(1999), Chaudh uri and Holbrook(2001), Yoon(2000), Choi(2002), Jung and Yang(2001). The target of the research is the parents of Taekwondo gyms which are registered in Korea Taekwondo Association in Seoul, Daejoen. Also, the research did sampling two hundreds eighty ones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n actually used two hundreds sixty three ones except seventeen ones which are inappropriate. Then, the research tested each assumption after making sure the test of suitability on the models by using SPSSWIN Ver 17.0 and AMOS 17.0 for the purpose of dealing the data. Accordingly, the research got the following result after analyzing th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procedure and method. First, the result has shown that factor of social bond, of relation recovery, and of structure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factor of cost showed that doesn't have any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ly, the result has shown that factor of social bond, of relation recovery, and of cost have an effect on trust. However, the factor of structure showed that have little effect on the trust. Thirdly, the result has shown that satisfaction has an effect on trust. Fourthly, the result has shown that satisfaction has an effect on mouth to mouth intention. Fifthly, the result has shown that satisfaction doesn't have an effect on the re-register intention. Sixthly, the result has shown that trust has an effect on mouth to mouth intention. Finally, the result has shown that trust has an effect on the re-register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