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풍자로 희화화된 현대인 표현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강미혜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Uniform game」展 (2011年 11月)에 전시되었던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내용과 형식적 전개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예술가에 의해 만들어진 예술작품은 온전히 그들만의 것이 아니라 시대가 만들어낸 사회, 문화적 배경의 모든 요소들이 혼재되어 있는 총체물이다. 왜냐하면 예술가는 자신이 속한 시대적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이렇게 탄생된 작품은 예술가가 처한 현실을 여지없이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술작품은 역사를 증언하는 산증인으로서, 이것은 곧 예술이 가진 힘이자 사회에서 예술가의 역할과 책임으로 그 의미가 확장 될 수 있다. 본인의 작품은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 몸소 느꼈던 불안, 우울, 소외 등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경험했을 법한 일상의 일들이 계기가 되어 그것을 극복하려는 탈출구로써 본인을 희화화하기 시작하였다. 스스로를 희화화하며 시작된 풍자가 이제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발전하는 현대 물질문명 속 현대인을 상징하고 있다. 그래서 자신도 모르게 병들어가는 현대인들에게 거울을 비춤으로써 그 속에 감춰진 인간의 본질을 보여주고, 인간이란 무엇인가? 라는 의문을 던지며 궁극적으로는 인간에 대한 연민과 사랑으로 향하고 있다. 과거로부터 수많은 예술가들은 비판적 태도를 일관하며 현실을 풍자하고 자신이 몸담고 있는 현실에 대한 사회적 입장을 적극적으로 표명해왔다. 그래서 풍자는 어둡고 암울한 현실 속에서 사회와 소통하는 유일한 연결 고리이자 이러한 현실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일종의 탈출구로써 그 역할을 하였다. 본인에게도 물론 풍자는 심리적 위안을 가져다주고 사회와 소통하는 등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때론 이러한 것들이 단순히 본인에게 익숙해진 또 하나의 표현상의 법인지 헷갈릴 때가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을 통하여 본인이 풍자라는 표현방식을 취하게 된 근원을 작품의 내용과 형식의 전개 과정에 따라 찾아가서 이를 통하여 풍자표현의 당위성을 스스로에게 정립할 기회를 가지고, 또한 앞으로 작업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기 위해 본 논문 제 1장에서는 본인이 사회의 관찰자로서 현대사회의 불안과 위기를 언급하며 피터브뢰겔과 오노레 도미에가 처했던 각 시대적 배경과 그들이 통렬히 비난했던 풍자의 대상, 목적, 그리고 표현 기법 등을 작품을 통해 비교 분석하고, 풍자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현실을 반영하고 또한 변모하여 왔는지를 알아보고 있다. 또 제 2장에서는 본인의 일상에서 시작된 작품의 소재가 사회로 확장하게 된 과정을 초기 작업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풍자표현의 궁극적인 의도와 목적을 살펴보고 있으며, 제 3장에서는 신문의 이미지를 차용함으로써 재구성하는 작품의 조형적 전개과정과 이미지의 왜곡, 변형을 통하여 풍자를 극대화 시키는 형식적 요소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은 모순과 병폐가 만연하는 현대사회 속 그 안에 내재된 현대인들의 욕망을 희화화 하고 있으며, 이러한 풍자가 단순히 시대를 반영하는 의미를 넘어서 인간 본질을 향한 끊임없는 물음을 던지고 나약한 인간에 대한 사랑, 결국 휴머니즘의 세계로 향하고 있는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 중학교 교과서와 중학생들의 반힐레 기하수준에 관한 연구

        강미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하는 고대에서 지금까지 서양에서 중요한 교과목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 후 19세기말 고전적 교양교육과 생활준비로의 교육이 대립되면서 수학교육 근대화 운동이 시작되었으며, 현재의 중학교 기하 교육 또한 학생들의 수준에 비해 지나치게 엄밀한 기하를 가르침에 따라 학생들이 기하를 공부할 때 곤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효과적인 기하 교수학습 개발을 위해서는 현재 학교수학과 학생들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이때 분석에 기준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기하학습을 어려워하는 학생을 연구하였고, 서로 다른 수준에 있는 사람끼리는 의사소통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고 주장하였으며 기하교수에서의 주된 문제는 교사가 학생에게 기대하는 수준과 학생들의 수준의 차이로부터 발생한다고 밝힌 바 있는 Van Hiele의 수준이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과정의 변함에 따라 중학교 수학교과서 기하영역의 van Hiele 수준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가? 둘째, 중학교 교과서의 van Hiele수준과 중학생들의 van Hiele수준은 일치 하는 가? 연구결과 2007개정교육과정에서 2015개정교육과정이 변화함에 따라 적용되는 교과서 내용이나 문제의 유형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내용접근 방법을 수준을 낮추어 제시하려고 하였으나 그조차 소수에 불과하여 수준 자체를 낮췄다고는 볼 수 없었다. 또한, 학생의 van Hiele수준을 조사한 결과 1학년의 경우 1수준에 도달한 학생은 44.3%, 2수준은 6,4% 3수준은 2,2% 4수준은 1,4%로 나타났으며 2학년의 경우 1수준에 도달한 학생은 18.3% 2수준은 26%, 3수준은 9.3%, 4수준은 2.1%로 나타났다. 3학년의 경우 1수준은 17.6%, 2수준은 7%, 3수준은 28.5%, 4수준은 9%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수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전히 학생과 교과서의 수준은 차이가 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2007개정교육과정부터 2015개정교육과정까지 교육과정이 변함에 따라 이를 적용하는 교과서의 van Hiele수준은 내용요소의 감축으로 인한 변화를 제외하고는 수준의 변화가 있다고 볼 수 없다. 또 1, 2, 3학년 학생의 van Hiele수준과 교과서의 van Hiele 수준 모두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안동생강의 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개발

        강미혜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북 안동은 전국 최대의 생강 주산지이다. 기후와 토양이 생강 재배에 적합하여 품질 좋은 생강이 생산된다. 그러나 안동생강과 그 공동 브랜드인 ‘그대생강’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따라서 생강의 건강 효용성, 생강 재배 환경의 우위, 차별화된 고품질 특산품으로서 안동생강을 부각시키기 위한 홍보마케팅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안동생강의 공동 브랜드 ‘그대생강’의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개발해 지역 특산물로서 이미지를 구축하고 안동생강 산업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역 특산물 브랜드와 이와 연관된 스토리텔링에 대해 알아보고, 안동생강의 특징과 브랜드화 현황에 대해 검토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지역 특산물 브랜드 스토리텔링 개발 방안을 정립했다. ‘그대생강’ 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계는 자료 조사를 통해 스토리텔링 소재를 수집하였다. 생강, 특히 안동생강과 관련된 기초 조사, 자원 핵심 조사, 전승 가치 및 활용 가치를 조사하였다. 인류에게 오래 동안 약으로 사용되어온 생강은 무엇보다 역사 문화적 이야기 소재가 많다. 2단계는 자료 조사를 토대로 스토리 자원을 추출하였다. 우선 안동생강의 스토리 속성을 분석하여 목록을 작성했다. 그 결과 두루 이롭게 쓰이면서도 본연의 색과 향기를 잃지 않는 생강의 고귀함, 강직함, 정결의 이미지를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의 이미지와 결부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연결은 생강의 매력성과 안동의 지역성을 동시에 부각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3단계로 스토리텔링을 개발하였다. 핵심 테마를 ‘격(格)이 다른 안동생강’으로 설정하였고, 핵심 스토리로 《안동 생강선생 이야기》 시리즈를 기획했다. 개발한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1편 〈안동 생강선생을 소개 하오〉, 2편 〈도산십삼차(陶山十三茶)의 탄생〉, 3편 〈사랑을 이어주는 그대생강〉이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스토리텔링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스토리텔링 확장을 위한 지역 연계 사업화 프로그램으로 ‘그대’생강의 이미지를 활용한 소비자 참여형 스토리텔링의 확산방법 및 생강‘선생’의 이미지를 부각한 선생님과 함께 하는 뉴트로 생강 축제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격이 다른 안동생강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일조함으로써 그대생강 브랜드 활성화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안동생강의 효능과 정보, 역사적 사실 등이 널리 알려지고, 생강이 양념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유용하고 매력적인 지역 특산물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나아가 안동생강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문화관광 사업에 활용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편의점 POS(Point of Sale) 시스템의 품질요인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미혜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ortance of POS system is increasing as the importance of POS system becomes larger for distribution organizations, minimizes loss of sales by expanding the area of the store and producing a variety of small volumes, reduces customer wait time, and the need for efficient product planning through analysis of sales information has emerged. In particular, retail Point of Sale in the case of utilization of the information can be more efficient business management, and result in price and range of products also can provide more convenience to consumers. In other words, the POS system is a highly useful information system for retailers whose primary strategy is to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consumers' needs, and to focus on the progress of well-selling products, and it plays a major role in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distribution sector, including the optimization of inventory management, rapid delivery of orders, efficient shipment and delivery of information from the consumption stage to the production stage. Accordingly, all sales related to reliable, efficient management information to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stores by introducing a POS system. In terms of companies supporting IT services in stores, it is meaningful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and value or to study the quality of POS systems. Thus, this study conducts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ous use intent of the POS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wanted to analyze the impact of POS system quality factors on intention to continuous use by classifying POS system quality factors as service quality and system quality, the impact of each quality factor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valu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value. This study collected 256 parts after distributing questionnaires for about 1 month from August 28 to September 26, 2019 and analyzed 250 parts using PLS-SEM analysis, excluding 6 parts with poor answers, including non-response. Studies show quality of service of responsiveness and compassion of empathy i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but are not as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system quality factors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but flexibil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ird, customer value positively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ous use, but customer satisfaction does not affect intention to continuous use. These results suggested how POS quality factors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value, and how convenience store owners determine the intention to continuous use of the POS system. It also implicated that it can induce continuous use by suggesting appropriate countermeasures and differentiations. 유통구조의 규모가 커지고 매장 확대 규모의 확대 및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인한 판매 손실을 감소시키고, 고객이 계산대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판매와 관련된 정보의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상품기획 및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POS시스템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 되고 있다. 특히 소매점의 경우 판매 시점 및 고객의 자사 제품 구입의 정보를 적절하게 이용함으로써 보다 손쉽게 점포경영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상품의 가격측면 또는 진열대 갖춤, 서비스 제공을 함에 있어 소비자에게 보다 많은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POS시스템은 다양화되고 있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파악과 구매율이 높은 상품을 중심으로 한 진열을 기본전략으로 취하는 소매업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시스템이며, 출하·배송의 효율화, 재고관리의 정상화, 수·발주의 신속화, 소비단계에서 생산단계로의 정보 피드백(feedback)의 효율화 등은 유통분야 전체의 효율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판매관련 정보를 안정적, 효율적으로 관리해줄 POS시스템을 도입하여 정보시스템을 관리해주는 점포IT관리 서비스를 대다수의 소매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다. 점포의 IT서비스 지원을 하고 있는 기업사 측면에서는 본 서비스의 지속사용을 위하여 고객의 만족 및 가치를 높이거나 POS시스템의 품질에 관한 연구가 의미있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을 통해 편의점에서 POS의 품질요인이 지속사용의도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대한 요인이 고객가치와 고객만족임을 확인하였고, POS시스템 품질요인을 서비스품질과 시스템품질로 분류 하여 각 품질요인이 고객만족과 고객가치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과 고객가치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POS시스템 품질요인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POS 시스템을 사용 서울/경기지역의 편의점 점주들을 대상으로 하여 2019년 8월 28일부터 9월 26일까지 약 1달간 설문지를 배포한 후 256부를 회수하여 미응답 등 답변이 부실한 6부를 제외한 250부를 PLS-SEM 분석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서비스품질요인의 공감성과 대응성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공감성은 고객만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스템품질요인의 신뢰성과 안정성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지만 유연성은 고객만족에 주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가치는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고객만족은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OS품질요인이 고객만족과 고객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편의점 점주들이 POS시스템 지속사용의도를 결정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으며 이에 대한 대응방안 및 차별화 방안을 제시하여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는 점주들에게 지속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유아 국악교육 지도법 연구 : 민요를 중심으로

        강미혜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 교육과정에서 우리의 민요와 전래동요뿐만 아니라 창작 국악동요를 불러보고 여러 장르의 국악음악을 감상하여 우리 고유의 장단과 가락을 몸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경험은 참으로 중요하다. 하지만 대다수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국악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재정상의 문제나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국악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국악교육은 장단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고 전래동요와 전래놀이 등으로 크게 세 가지로 교육되고 있다. 이렇듯 장단 즉 리듬교육과 노래, 율동 등의 교육을 종합적으로 지도 할 수 있는 국악장르를 민요로 꼽았는데 유아 국악교육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민요를 중심으로 한 교수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그래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재미있는 민요수업이 되기 위해 민요 수업 지도법 모형을 개발하여 효과적으로 수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였다. 민요 선호도 조사에서 좋아하는 곡을 근거로 선정한 민요 여섯 곡을 도입, 전개, 정리의 내용으로 나누어 수업(지도)단계는 노래, 신체리듬, 신체표현(동작) 그리고 놀이의 단계별로 구성하였다. 서양음악교육 이론의 오르프 음악교육방법과 현장교육에 의거하여 교수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노래 부르기에 큰 비중을 두었으며 노래를 이용해 동작표현을 하였다. 그래서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민요의 수업 지도법 모형을 토대로 효과적으로 수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요를 가지고 수업을 할 때 6세, 7세 유아들에 비해 5세 유아들은 느린 장단인 중모리 장단이나 굿거리장단의 민요 보다는 이보다 빠른 세마치장단이나 자진모리장단의 민요수업을 진행 했을 때가 유아들이 더 재미있어 했고 가르치기가 더 용이했다. 둘째, 7세 유아들은 장구보다는 음률이 들어가는 가야금으로 반주했을 때 수업에 흥미 있어 하고 좋아했다. 셋째, 오르프 음악교육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율동은 어린이들이 자신의 표현 욕구를 실현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고 보았는데 한삼이나 다른 소품을 이용하여 가사에 적합한 몸동작을 하거나 민요의 분위기에 맞추어 신체를 표현할 수 있는 활동을 전개해줌으로써 표현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도입(설명), 전개(노래, 신체표현), 정리(율동) 의 수업단계를 토대로 체계적인 수업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5세 유아는 집중 가능시간이 20분의 수업시간이 적당했는데 6세,7세의 유아들에게는 20분의 수업시간이 부족했다. 곡의 난이도를 고려해서 시간배정을 보완해야 될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국악 수업에 대한 유아들의 관심도와 성취도는 어린이들의 반응이 때때로 재미있어 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로 보아 고정관념적인 어렵고, 재미없는 음악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학부모님들 관심도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모든 유아들이 재미있어하고 흥미 있어 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유아들의 자발적 참여도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장기간 연구로 국악 활동에 있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보는 실행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를 통해 유아국악 교육현장에서 우리 음악을 좀 더 쉽고 활발하게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It is very important for children to have a experience which realize and feel the traditional korean rhythm and emotion by singing or listening our korean folk song, transmitted children song by oneself. so mos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already knows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it. but until recent, they have not succeed to give children such a chance because of their financial problem or missing any supporting system for it. in the field of children education, teaching a rhythm is major element and there are two additional elements for teaching for example, transmitted children nursery and the traditional korean play for children. so I select korean folk song for teaching children because as teaching the korean folk song, we can teach traditional korean rhythm, song and rhythmic movement totally until now, there is no solution how to teach children the korean folk song. so in this paper, I propose and explain how to teach children the korean folk song efficiently and with having a fun . I first divided the six song which were selected from the research about which is the most favorite korean folk song into introduction part, development part and arrangement part. the lesson were made of singing the songs, body rhythm, body action or dancing and last playing. to apply the theory of western musical education, especially "orff" education methodology, and the experience of author's, I tried to teach singing a song as a important point and then made children dance with singing the songs. as the lesson continue, I found my methodology could be useful in the field of children education. the result of my lesson is summarized like below. first, when teaching the korean folk song to the children, five year old children relatively comparing to six or seven year old children liked better fast "saemachi" beat contained korean folk song than that of slow "chunmori"

      •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이 중학교 정의적 영역과 듣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미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method would be efficient for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in listening ability and the affective domain of interest, confidence, motivation and anxiety. For this purpose, two classes of second graders which were proven to be same by a pre-test, were chos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in mostly using English at the class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taught in mostly using Korean. The treatment of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two months. The post-test measured the changes of students' listening abilities and affective areas. The group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on their scores in listening test, and in questionnaires with the t-test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ffective area except confidence area. The experimental group had slightly higher score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fiden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t-test. Second, the experimental class showed more improvement in listening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pre-listening te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ut in the post-listening test, these two groups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hen teacher uses English in class, the students' listening levels were improved. Given the above,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First, English teachers should try to improve their English ability(listening and speaking). Second, English teachers need to consider affective situation of their students and to develop teaching skill. Third, Korean needs to be appropriately used in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 초등학교 집단상담의 상담성과 요인 분석

        강미혜 부산교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집단상담의 상담성과 요인(therapeutic factors)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아동의 성별에 따라 상담성과 요인의 3가지(인지, 행동, 정서) 영역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아동의 집단유형(상담집단, 지도집단)에 따라 상담성과 요인의 3가지 영역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아동의 구성유형(A, B)에 따라 상담성과 요인의 3가지 영역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아동의 성별, 집단유형, 아동의 구성유형에 따라 상담성과 요인의 3가지 영역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2006)가 제시한 상담성과 요인 9개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5점 척도의 상담성과 요인 질문지를 구성하였으며, 9개 요인은 최종적으로 인지, 행동, 정서영역으로 구분되어 총 40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질문지 구성에 따른 전체 문항의 신뢰도(Cronbach‘s α)는 .941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3, 4, 5, 6학년 총 157명(남 83, 여74)이었다. 전체 대상아동을 집단구성 유형에 따라 상담집단과 지도집단으로 구분하였고, 대상아동의 특성에 따라서는 아동유형의 2가지(A, B유형) 형태로 나누었다. 측정도구는 본 연구자에 의한 상담성과 요인 질문지였으며 질적 분석으로 아동에 대한 소감문 분석을 첨가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과 유형에 따라 상담성과 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집단의 구성 유형에 따라 상담성과 요인의 3가지 영역은 구분되지 않았다. 셋째, 성별과 집단유형 및 아동유형에 따른 상담성과 요인의 인지, 행동, 정서 영역별 분석에서 인지영역에서만 성별과 집단유형 및 아동유형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초등학교 집단상담의 성별 변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프로그램의 처치효과에 대한 긍정적 지지, 그리고 인지, 행동, 정서영역의 차이에 따른 프로그램의 운영의 고려사항들이 논의되었으며, 무엇보다 초등학교 집단상담의 특수성에 따른 상담성과 요인 연구의 중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erapeutic factors of group counseling conducted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at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Hypothesis 1. According to difference of gender of child, there are different results in 3 categories(cognition, behavior, emotion) of therapeutic factors. Hypothesis 2. According to difference of group type(counseling group, guidance group), there are different results in 3 categories of therapeutic factors. Hypothesis 3. According to difference of characteristic of child(A, B type), there are different results in 3 categories of therapeutic factors. Hypothesis 4. According to difference of genders, group-type and characteristic, there are different results in 3 categories of therapeutic factors. In an attempt to test those hypothesi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mposed questionnaire of therapeutic factors with 5 point scales ,consisted of 40 questions, based on the 9 therapeutic factors proposed by the Korean Elementary Counseling Education Society(2006) which are classified into categories of cognition, behavior, and emotion.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whole questions were .941 and the participants were 157 elementary students (83 males, 74 females) that are in 3rd, 4th, 5th, or 6th grade. The whol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counseling group and guidance group, and they were also classified into 2 types (A, B type) by their characteristics. The questionnaires of therapeutic factors made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were measured and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essays(reports) were added for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therapeutic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gender and type of the students. Second, the therapeutic factors didn't show differences by the group type. Third, the therapeutic factors showed differences in only cognition category among the analysis of cognition, behavior, and emotion according to the gender, group-type and student-type of the students. The differences mentioned above proposed the necessity for the research of gender variables and positively supported effects of the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lso recommendations about conduct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in cognition, behavior and emotion are suggested. Most of all,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rapeutic factors of elementary group counseling were revealed and the importance of the research regarding the therapeutic factors had come to the fro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