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紫霞 申緯의 藝術世界

        강미자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紫霞 申緯(1769-1847)는 朝鮮 後期에 활동한 詩書畵 三絶의 예술가로 『警修堂全藁』를 남긴 詩人이면서 畵家이기도 하였고, 傳統의 書法을 계승한 書藝家이기도 하였다 . 그는 시에 뛰어 났으며, 그림에서는 특히 墨竹을 잘 그렸고, 書는 미불과 董其昌을 힘써 배운 후 나름대로 一家를 이루어 실로 조선이 낳은 위대한 예술가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아직 그의 詩書畵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가 진척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신위의 예술 세계를 詩書畵 一致라는 관점에서 분석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그 문제의 고찰을 『警修堂全藁』 에 수록된 시를 통해서 그의 서화사상과 文人書論을 추출해 내어 그의 書畵作品에 어떻게 표현되었나를 밝혀내고, 이러한 藝術觀이 어떻게 詩書畵 一致라는 모습으로 그의 예술세계가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았다. 신위는 名門世家로 이름난 平山 申氏 家門에서 태어나 높은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국내적으로는 朋黨을 초월하고 국외적으로는 국경을 초월한 交遊를 하였는데, 국내의 人士로는 書畵에 영향을 미친 스승 姜世晃, 그리고 신위 보다 연하지만 朝鮮末期의 藝壇을 이끌고 간 金正喜와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었고, 국외 人士로는 翁方綱 父子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1812년 그가 書狀官의 자격으로 중국을 다녀온 사실은 그의 생애 중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생각된다. 그가 燕行하여 당시 대학자 翁方綱과 師弟관계를 맺게 된 것은 신위의 생애에 있어서 가장 기록될 만한 일로 보아지며, 翁方綱을 비롯 翁樹昆, 吳嵩梁, 汪汝澣등과 같은 당시 중국 예술계의 거두들과 지적인 交遊관계를 맺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신위의 회화 예술세계에 관하여서는, 회화 형성과정, 회화사상, 그리고 墨竹書와 山水畵에 대한 고찰 등 회화 전반에 걸친 문제 분석이 시도되었다. 그는 畵譜와 중국의 여러 회화 작품을 臨摹하면서 자신의 화풍을 이루어 나갔으며 특히 강세황의 회화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신위의 전형적인 墨竹畵風의 특징은 묵의 농담의 변화, 여유로운 필치, 그리고 다양한 구도의 시도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고고하면서도 우아한 느낌을 준다. 한편 이 시기의 산수화는 이전의 여러 倣作의 과정을 지나서 간일하고 禪적인 경지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신위의 화풍은 이후 그의 아들들(申命準, 申命衍, 申明), 그리고 許鍊, 趙熙龍, 田琦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신위의 書 예술세계에 관하여서는, 書風의 形成過程과 諸書藝家들의 영향, 서예사상과 작품을 살펴보았다. 신위는 王義之體를 이상으로 여기며 『淳化閣帖』 『蘭亭帖』 등의 서첩을 臨書하면서 그의 書風을 형성하였다. 그는 왕희지 외에도 미불, 董其昌, 翁方綱의 서예의 영향을 받았다. 고리고 外形的인 美보다 人品과 內在美를 중시하였다. 申緯의 전형적인 書風은 行書에서 잘 나타나고 있으며, 획은 모두 回鋒을 취하였고 하나의 字體안에서도 획의 肥瘦의 차이가 있으며, 파임은 부드러워서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文氣가 있다. 이러한 그의 서풍은 당시 문인들 사이에서 유행하였다. 그의 서예사상의 요점은 文字香과 문인정신에 바탕을 둔 脫俗美의 重視觀, 법에 구속되지 아니하는 본심의 書法觀, 內在美의 추구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繪畵思想은 詩畵一律思想, 不求形似觀, 文氣重視觀을 말할 수 있으며, 신위의 題畵詩를 통하여 蘇戟의 畵論을 이용하여 나타낸 文人畵論을 살펴보면, 詩書書 一致思想과 不求形似의 繪畵觀과 정신세계를 중시하는 神似의 繪畵觀을 말할 수 있다. 신위는 실로 詩書畵에 능한 조선의 文人書家였으며 일관된 詩書畵觀을 실제의 書畵작품에 잘 투영시켰고 회화와 서예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하여 깊이 숙고한 예술가였다. 결국 신위의 詩書畵 예술세계는 一致 一貫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조선 후기 詩書畵 三絶로 한 시대를 풍미하였던 신위의 예술세계를 재조명함으로서 후인의 귀감으로 삼고자 하였다. Ja Ha Shin Wi(1769-1847)was a poet left <Kyung Soo Dang Jun KO>, who had led a life as a painter and calligrapher succeeding to the traditional calligraphy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n the later period, Jin Kyung landscape painting, a genre picture and a unique style of calligraphy appeared and in the last period, the effect of Chu Sa Kim Jung Hee prevailed. Though Shin Wi had lived through both the ages and he has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the synthetic study in hi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has not showed progress yet. This essay has been aimed to examine the Shin Wi's life of art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fication of hi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nvestigating this issue, I have looked into the whole situation of the world of art as well as his life of art including his artistic thought, his works and many artistic figures based on <Kyung So0 Dang Jun KO>. The 2nd chapter has looked into his life, studied background of his times and looked into the whole his family and government office life at the same time. This was indispensable because it was the basic work to know the background how his artistic thought had been formed. I have studied the formation of his artistic thought in reaction with many artistic figures at home and abroad who had affected his thought and life. In 1812,his trip to China(Yun) as a chief clerk is thought as the most important event of his life. I think his formation of teacher and disciple relation with the great scholar of Ong Bang Kang during his visit shall be most remarkable event of his life. So, after his visit to Yun , his general artistic thought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had been changed much. In this chaper, I studied the artistic contact with Kang Se Hwang, Kim Jung Hee and their effect as well. In the 3rd chapter, first, I tried out the general analysis of his painting the progress of the formation of Shin Wi's painting, the thought of painting, a Chinese-ink painting that depicts bamboo and a landscape painting. He established his own style of painting through some pictorial magazines and Chinese painting works. Especially, he was affected by Kang Se Hwang's pictures. Shin Wi's traditional style of the Chinese-ink painting that depicts bamboo has some distinctive features, the is the change of the shading of Chinese ink, the latitude of the style of brushmanship and the attempt of diverse composition in painting. Also, this gives an impression of proud loneliness and elegance. In this chapter, second, I have arranged about Shin Wi's calligraphic thought and his works. The Art of Shin Wi was mainly based by the traditional scrapbook of writings and pictures of Wang Hee Ji in which he had pursed the beauty of spiritual world more than the external beauty. His main point of writing thought is excluding fast writing when we wrote letters, puting importance to high quality personality of the writer. and the writing of the real intention corresponds to the nature and pursues the inside beauty. And his main pictorial thought(painting thought) is the uniformed thought of poetry and painting and bamboo image deep in the heart preceding the act of painting. Also, it is the view of the thought of longing for the internal image not the external one which expresses internal world of spirit of the picture and the view of putting importance to the writing soul. Thus, I concluded the study of the world of the Art of Shin Wi who had ruled a certain age of the past with the three absolute greatness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later days of Cho Sun Dynasty.

      • 고등학교 물리Ⅰ과목에 대한 계열별 동기유발 자료유형 분석

        강미자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사회의 과학적 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일반계 고등학교의 인문계 학생과 전 문계 고등학생을 위한 물리교육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열에 따른 동기유발 자료유형의 선호도와 계열에 따른 동기유발 자료유형 선택 원인을 분석하고, 계열에 따른 성적과 동기유발 자료유형의 선호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계열에 따른 물리Ⅰ과목에 대한 선호도와 학생이 느끼는 물리Ⅰ과목의 난이도, 물리Ⅰ과목 성적에 대한 자신감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강원도에 있으며 물리Ⅰ과목을 선택하고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자연계열 30명, 인문계열 53명)과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 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PASW Statistics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계열에 따라 선호하는 동기유발 자료유형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전문계와 인문계의 학생은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사건, 사고 관련 주제’, ‘일상생활 관련 주제’를 많이 선택하였으나, 자연계 학생은 ‘일상생활 관련 주제’, ‘개념을 설명하기 쉬운 주제’를 많이 선택하였다. 물리Ⅰ과목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자연계 학생들에게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높게 나왔으나, 비자연계 학생들에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높게 나왔다. 학생이 느끼는 물리Ⅰ과목의 난이도는 계열 구분 없이 많은 학생이 어렵다고 답하였다. 또한, 물리Ⅰ과목 성적에 대한 자신감에 많은 학생들이 물리Ⅰ과목 성적에 자신감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이 느끼는 물리Ⅰ과목의 난이도와 물리Ⅰ과목 성적에 대한 자신감의 질문에서 인문계 학생에 비해 전문계 학생이 훨씬 긍정적인 응답을 많이 하였다. 이번 연구로 자연계와 비자연계(전문계, 인문계열)학생들의 성향에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계열에 따라 선호하는 동기유발 자료유형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Physic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umanities and vacational specialization in general high schools is crucial in promotion of scientific field in society. This research analyzes the preferences and selection criteria of motivation material types by high school specialization, and furth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and preference levels by high school specialization. Furthermore,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students' preference, perceived difficulty and achievement confidence of Physics I subject. Students from general schools in Kangwon province, who selected Physics I subject (30 specializing in science; 53 specializing in humanities), as well as 41 students from vocational schools, were surveyed and evaluated with a statistical program package, PASW Statistics 18.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preference patterns of motivation material types by students' high school specializations. Vocational and humanities students mostly selected "Subjects related to events/accidents in daily life" or "Subjects related to daily activities", whereas students specializing in science mostly chose "Subjects with easily comprehensible concepts" as well as "Subjects related to daily activities". Preferences of Physics I subject were mostly positive among science students, but negative among other students. Majority of students perceived Physics I subject to be difficult, irregardless of their specialization, and most students showed little confidence in their achievement at Physics I subject. Overall, vocational students gave much more positive answers on questions regarding the difficulties and achievement confidence of Physics I.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erence of academic propensity between students with science and other (vocational and humanities) specializations, and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motivation material types by high school specialization.

      • 장애유아의 평생계획에 대한 연구

        강미자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urveyed that how the parents establish the permanency planning related to education, vocation, accommodation and finance, leisure life for thei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 parents and guardians who their children enrolled in day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r inclusive day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without disabilities in Ansan City and Yongin City. Their average CA was 5.18 years old. 60% of parents young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swered they don’t have any permanency planning for their children while 30% of them replied to have. They took permanency planning in order of education(44.4%), finance(18.5%), accommodation and vocation(each 14.8%), guardian and marriage(3.7%). In this question 'when is an appropriate time to establish permanency planning?', 40% of them answered 'before sending to school'. But, more than 60% of them answered there is no plan for permanency planning. In this question ‘which their children’s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is possible?‘, 35.6% of them answered the graduation from the 12th grade, 20% of them answered the graduation from university, 11.1% of them answered the graduation from junior college. The thought of their children’s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not different from them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this question ‘Do you have some desiring job for your children?‘, 46.7% of them answered ’Yes’, 51.1% answered ‘No’, 2.2% did not answer. In this question ‘How does your children spend a leisure life?, they answered in ’to spend with parents or family at home’(44.2%), them go to a day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15.6%), ‘let them go to a general daycare center’(6.7%). The prefer residential environm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were appeared ‘group home(community life)’(26.7%), general home(independent life)’(51.1%), ‘convalescent hospital’(13.3%), but they almost did not favor living institution. The researcher is making few suggestions on permanency planning for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ermanency planning is needed for the parent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who has high interest on their children. Second, Daycare center with/without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eds to inform the parents the importance of permanency planning and make parents association or parent meetings to exchange resources and information. Third, governmental support on permanency plann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desperately required, and institutional strategy is needed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welfare inform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부모들이 그들의 장애유아 자녀들을 위해 교육, 직업, 주거 및 재정, 여가생활에 대한 평생계획을 어떻게 수립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안산시와 용인시에 위치한 장애전담어린이집과 장애통합어린이집에 입소해 있는 만2세부터 만 5세아 장애아동의 부모 및 양육자 45명이었으며, 설문 대상 장애아동의 평균연령은 5.18세 이었다. 장애유아의 부모들 중 35.6%가 미래계획이 있다고 대답한 반면 60.0%는 없다고 대답하였다. 세우고 있는 미래계획 대책 중 교육(44.4%), 재정(18.5%), 주거와 직업(각 14.8%), 후견인과 결혼(3.7%) 순으로 나타났다. ‘평생계획을 세우는 적당한 시기는 언제인가?’라는 질문에는 취학 전이 40%라 응답하였는데, 60%의 부모가 평생계획을 계획을 세우지 않고 있었다. 장애유아의 부모들은 장애자녀의 가능한 최종학력에 대한 질문에 35.6%가 고졸/전공과, 20%가 대학졸업이, 11.1%가 전문대 졸업이라고 응답하였다. 장애아부모들이 장애자녀들의 교육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일반자녀를 둔 부모와 크게 다를 바가 없음을 보여 주었다. 장애자녀의 희망하는 직업이 있느냐의 설문에 46.7%가 있다, 51.1%가 없는 것으로 대답하였다. 무응답도 2.2%였다. 장애자녀가 여가생활을 어떻게 하느냐의 설문에 ‘가정에서 부모나 가족과 보낸다.’가 44.2%, ‘장애아 전담보육시설에 보낸다.’가 15.6%, ‘일반보육시설에 보낸다.’가 6.7%로 나타나 장애아동의 여가생활은 가족이나 보육시설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선호하는 장애자녀의 향후 주거 환경으로는 그룹홈(공동체생활)이26.7%, 일반가정(독립생활)이 51.1%로 이 두 가지 형태가 76.9%를 차지하였고, 나머지 요양병원13.3%로 나타나 있지만 생활시설은 거의 선호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해석을 근거로 연구자는 장애유아자녀를 위한 부모의 평생계획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자녀에게 관심이 높은 유아기의 부모들에게 평생계획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전담보육시설이나, 통합어린이집에서 부모교육을 통해 평생계획의 중요성을 알려 주고,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서로 교환 할 수 있도록 자모회나 부모 모임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유아의 평생계획을 위하여 국가에 제도적 지원방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며, 장애인복지지원정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 하다.

      • 보육교직원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 연구 : G시의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강미자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으로 직무전반, 보육교직원 급여체제, 근무환경, 사회적 지지, 보육 전문성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 보육교직원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직무만족의 영향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직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이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354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직원은 직무만족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에 나타내는 직무전반, 보육교직원 급여체제, 근무환경, 사회적 지지, 보육 전문성 요인 중 보육 전문성이 가장 높은 직무만족을 보였다. 이에 보육교직원의 직무전반에 대한 직무만족은 대체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분석되고, 보육교직원 급여체제에 대한 직무만족은 근무환경의 전체 평균보다는 높은 직무만족에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근무환경에 대한 직무만족은 교육활동 이외의 업무로 전문 인력이 고용과 개인생활에 충분한 시간이 제공되고 있지 못하여 근무환경에 만족을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직원의 직무만족 요인 중 사회적 지지에 대한 만족은 가장 불만족하고 있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에 비해 보육교직원이 사회적으로 지위가 낮게 인식하여 불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육교직원의 직무만족 요인 중 보육 전문성에 대한 직무만족에 결과는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보육교직원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는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적지지, 보육 전문성의 만족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직무전반과 보육교직원 급여체제, 근무환경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격증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 결과는 직무전반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보육교직원 급여체제, 근무환경, 사회적 지지, 보육 전문성에서 보육교사보다 원장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육교직원의 근무경력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는 직무전반, 근무환경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육교직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육교직원 급여체제, 사회적 지지, 보육 전문성으로 분석되었다. 즉, 보육교직원 급여체제와 사회적 지지, 보육 전문성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사회적지지 요인이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보육교직원은 사회적 변화에 따라 보육기능에 관련된 전문지식을 갖추고, 교육을 통해 교사로서의 자질과 보육역할을 수행함이 중요하다. 앞으로 4차 산업시대에 맞는 보육역할과 역량이 요구됨으로 보육교직원의 보육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보수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속관리 되어야 한다.

      • 보육교사의 역할스트레스가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

        강미자 호남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Generally speaking, burnout is a work-related syndrome that most often occurs in the helping professionals working face to face with service recipients in need of assistance, and is typically marked by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a sense of reduced accomplishments. There is a need to approach emotional exhaustion from the standpoint of stress. Some general stress theories exist, which can help in interpreting empirical findings related to the causes of emotional exhaustion in both the general population and child care setting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influencing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ontent and level of variables affecting childcare teachers' role stresses(role ambiguity, role conflict, role overload), job satisfacti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emotional exhaustion. Second, the present study also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mentioned above. Finally,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make discussions and draws out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reducing the level of emotional exhaustion among childcare teachers. Eight hypotheses were proposed to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garding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A proposed structural model regarding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and other variables has also been identified. A random sampling was taken of childcare teachers in G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68 were returned. Finally, 328 usable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ive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a number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role stresses(role ambiguity, role conflict, role overload), job satisfacti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emotional exhaustion. More specifically, role ambigu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role overloa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role ambigu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role overloa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However, role conflic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six significant paths: ① role ambiguity → personal teaching efficacy → emotional exhaustion, ② role ambiguity → job satisfaction → personal teaching efficacy → emotional exhaustion, ③ role ambiguity → job satisfaction → emotional exhaustion, ④ role overload →job satisfaction → personal teaching efficacy → emotional exhaustion, ⑤ role overload → job satisfaction → emotional exhaustion, and ⑥ role overload → emotional exhaustion. Finally,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which identifi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m. 본 연구는 스트레스-스트레인-결과 모형(SSO model)의 관점에서 보육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역할 모호, 역할 갈등, 역할 과다), 직무만족, 개인적 교수 효능감, 정서적 고갈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 변수들 간의 연쇄적 인과관계를 탐구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 연구방법, 주요 분석결과,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주요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이해함으로써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의 정서적 고갈을 예방하고 보육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생산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의 검토를 거쳐 연구 변수의 선정, 연구 가설의 도출, 연구 모형의 구축 등의 과정을 거쳤으며, 이어서 각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변수를 조작적으로 정의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또한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재구성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3월부터 2개월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설문지는 총 40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가운데 368부가 회수되었다. 이어서 불성실 응답과 이상치가 있는 설문지를 선별하는 자료 점검을 통해 40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328부를 대상으로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ANOVA,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가설 H-1(역할 모호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역할 모호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연구가설 H-1이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해 지지되었다. 둘째, 연구가설 H-2(역할 갈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역할 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가설 H-2는 기각되었다. 셋째, 연구가설 H-3(역할 과다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보육교사의 역할 과다와 직무만족 사이에 부정적인 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연구가설 H-3은 지지되었다. 넷째, 연구가설 H-4(역할 모호는 개인적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역할 모호의 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에 따라 연구가설 H-4는 지지되었다. 다섯째, 연구가설 H-5(역할 과다는 정서적 고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역할 과다의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의 정도가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라 연구가설 H-5가 지지되었다. 여섯째, 연구가설 H-6(직무만족은 개인적 교수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가설 H-6은 분석 결과에 의해 지지되었다. 다만, 이 가설 검증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상반되는 것인데, 아마도 열악한 근무환경과 낮은 복리후생 수준에도 불구하고 직무만족의 정도가 높은 보육교사들은 현실에 안주하는 성향이 강한 교사들이며 따라서 이들은 아동의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가설 검증 결과가 나온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아울러 제3의 변수가 직무만족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분석결과가 나타났을 개연성도 있다. 일곱째, 연구가설 H-7(직무만족은 정서적 고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따라서 연구가설 H-7은 분석결과에 의해 지지되었다. 끝으로, 연구가설 H-8(개인적 교수 효능감은 정서적 고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연구가설 H-8은 분석 결과에 의해 지지되었다. 이 가설 검증 결과도 선행연구의 연구 결과와 다른 것이며, 이러한 분석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아마도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높은 보육교사일수록 열악한 처우나 낮은 후생복리 수준에 관한 현실을 인정하거나 수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정서적 고갈을 보이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는 제3의 변수가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 정서적 고갈 사이에서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설 검증 결과가 나왔을 개연성도 있다. 요컨대,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역할 모호, 역할 갈등, 역할 과다), 직무만족, 개인적 교수 효능감, 정서적 고갈 사이의 연쇄적 인과관계를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적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론을 도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