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강명숙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empathic ability o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tudents. In its initial stage of this study, questionnair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of 670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Kyung-gi Province, Dae-gu city, and Jeju city. Among the collected 650 copies of questionnaire, the relevant 628 copi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excluding the 22 copies assumed to be irrelevant due to non or insincere response. In order to measure the scale of parental attitude, the revised version of questionnaire by Lim, Sun-Hwa(1987) and Kim, Choong-Hyun(2011), of which original version was developed by Oh, Sung-Sim and Lee, Jong-Seung(1982). In terms of measuring the scale of empathic ability, two indexes were employed: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originally developed by Davis(1980) and later translated and revised by Park, Seung-Hee(1997) and the Index of Empathy, origianally proposed by Bryant(1982) and later translated and revised by Park, Seung-Hee(1997). For the purpose of scaling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standardized testing tool of emotional intelligence for high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hich was developed by Moon, Yong-Rin(1997), was applie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processed and analyzed through SPSS 23.0. The analysis of frequency was conducted to check out the overal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materials with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dditionally, in order to identify mediation effect of empathic ability o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tudents,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was processed. The Sobel test was also employed for testing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The summariz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parental attitude,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ic ability. Parental attitude affected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an significant and positive manner. Empathic ability affected emotional intelligence in an significant and positive manner. Namely, as the parental attitude of parents becomes affectionate, liberal, reasonal and based on accomplishments, th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tudents recorded higher marks. Higher empathic ability led to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the empathic ability o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tudents was verified as complete mediation. In other words, the direct route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prove significant, while the indirect route through child’s empathic ability was identified as significant. Third, the parental attitude on the part of father and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route between those two variables. However, verified was the existence of the indirect route wher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 was affected through empathic ability. Fourth, the parental attitude on the part of mother and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route between those two variables. However, verified was the existence of the indirect route wher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 was affected through empathic ability. These research results lead to following conclusion. First, in case that parental attitude is affectionate, liberal, reasonable and based on accomplishments, th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 recorded higher level thereof. Second, as the level of empathic ability of a child is higher, it also shows high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is more responsive toward principal fosters including parents. Third, it is verified that parental attitude affects emotional intelligence in an indirect way such as through empathic ability, rather than affects it directly. It’s also identified that empathic ability has direct influence on emotional intellig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tilized as integrated and basic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because this study considers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n emotional intelligence. The importance and need of empathic ability o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itud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hould be highly recognized. Under the environment tha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counselling programs designed to aiding the growth of child’s empathic ability is emphasized at school and home in order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material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대구, 제주지역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6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 된 650부 중 무응답 또는 불성실하게 응답한 22부를 제외한 62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부모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오성심과 이종승(1982)이 제작한 척도를 임선화(1987)와 김충현(2011)이 재편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avis(1980)의 대인관계 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척도와 Bryant(1982)의 정서 공감 척도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공감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문용린(1997)이 표준화한 초등학교 고학년 정서지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정서지능, 공감능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는 공감능력 및 정서지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공감능력은 정서지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이고,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일수록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의 수준이 높으며,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정서지능이 높아졌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간의 직접적인 경로는 유의하지 않으나 아동의 공감능력을 통한 간접경로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의 애정-적대, 성취-비성취, 합리-비합리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간의 직접적인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공감능력을 통해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모의 애정-적대, 자율-통제, 합리-비합리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간의 직접적인 경로는 유의하지 않으나, 아동의 공감능력을 통한 간접경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일 경우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공감능력이 높은 아동일수록 정서지능이 높았으며 부모를 포함한 주 양육자에게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부모양육태도가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공감능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며 공감능력이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과 개인 내적 요인을 동시에 살펴 정서지능 향상에 통합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부모양육태도와 정서지능 사이에서 공감능력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아동의 정서지능 증진을 위해 가정과 학교장면에서 아동의 공감능력 발달을 돕는 교육, 상담전략수립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ady-to-eat products are food products that are not further treated before consumption in such a way that may significantly reduce the microbial load. In recent years, the consumption of this type of food has increased markedly in Korea, becoming an important vehicle of foodborne diseas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torage time and storage temperature on pork hock and duck meat using pathogenic strains. Ready-to-eat meats were inoculated with S. enteritidis ATCC 13076, S. aureus ATCC 25923 and E. coli ATCC 9873 strains. The target inoculation level was 2 to 3 log cfu/g. Inoculated and control samples were stored at temperature 5 ℃, 10 ℃, 15 ℃ and 20 ℃ for 9 days, and examined for presence and numbers of pathogens. The results obtained follows; 1. Chemical component The results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pork hock and duck meat; the respective moisture contents were 54.25% and 57.51%; the protein levels, 23.23% and 16.87%; the fat content and ash content, 20.86% and 23.52% and 0.79% and 1.23%. 2. Aerobic colony counts and coliforms The results revealed a mean log count for of 1.82 and 1.89 log cfu/g for aerobic colony counts and a mean coliforms of 1.30 and 1.03 log cfu/g for both pork hock and duck meat, respectively. 3. Time-temperature simulation 1) The variation of aerobic colony counts for control samples according to the storage temperature showed gradually increase 2, 4, 5, and 6 log cfu/g at 5 ℃, 10 ℃, 15 ℃ and 20 ℃, respectively. 2) The variation of S. enteritidis, S. aureus, E. coli counts for standard strain S. enteritidis ATCC 13076, S. aureus ATCC 25923, E. coli ATCC 9873 which was artificially put into pork hock and duck meat showed gradually increase at 10 ℃, 15 ℃ and 20 ℃. At the lowest temperature tested(5 ℃), bacterial growth was stagnant. Considering the results of our experiment, it seemed that the final microbial count was high at the assessed temperature during the storage period due to the high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prior to the experiment. And overall results showed that held at 5 ℃, there was no apparent growth of S. enteritidis, S. aureus, or E. coli in any of the ready-to-eat meats. The most easily controlled factor is the storage temperature at retail stor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5 ℃ is critical control point for ready-to-eat meats retail establishments to prevent the growth of S. enteritidis, S. aureus and E. coli. 본 연구에서는 시중 유통되고 있는 즉석조리식품 고기류를 대상으로 2008년 1월부터 5월까지 용인지역의 대형할인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족발과 오리고기를 중심으로 제품의 Salmonella enteritid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균주를 이용하여 보관온도와 시간에 따른 균수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일반성분분석 족발과 오리고기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함량은 54.25%, 57.51%; 조단백질은 23.23%와 16.87%; 조지방은 20.86%와 23.52%로 나타났으며 조회분은 0.79%와 1.23%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2.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수 일반세균은 족발에서 평균 1.82 log cfu/g, 오리고기에서는 1.89 log cfu/g으로 나타났으며, 대장균군은 족발에서 1.30 log cfu/g, 오리고기에서 1.03 log cfu/g으로 나타났다. 3. 시간-온도 시뮬레이션 1) 유통중인 족발과 오리고기의 보관온도에 따른 일반세균수의 변화는 5 ℃, 10 ℃, 15 ℃와 20 ℃에서 각각 2, 4, 5, 그리고 6 log cfu/g의 성장을 나타냈다. 2) 표준균주 S. enteritidis ATCC 13076, S. aureus ATCC 25923, E. coli ATCC 9873을 인위적으로 넣어 만든 족발과 오리고기의 보관온도별 균수 변화는 20 ℃, 15 ℃, 10 ℃ 순으로 균의 성장을 나타내었고, 5 ℃에서는 균의 성장이 일어나지 않고 생존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할 때, 보관온도 및 보관기간에 따른 최종 미생물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 ℃에서는 균의 성장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즉석조리식품 고기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5 ℃ 이하의 온도관리가 요구된다.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중재가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의 초기 문해력과 주의집중 지속시간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중재를 통해 중도․중복장애학생이 초기 문해력(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 대응)과 주의집중 지속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참여 학생은 구어나 문어를 통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고 AAC체계를 필요로 하는 중도‧중복장애 중학생 3명이다. 연구 참여 학생의 인지능력과 운동능력을 고려하여 그림책 9권을 선정하여 AAC상징과 그림을 삽입하여 의사소통판과 인쇄물 개념을 위한 수정된 그림책 3권, 음소인식을 위한 수정된 그림책 3권, 글자-소리 대응을 위한 수정된 그림책 3권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중재가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의 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 대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행동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통해 연구 참여 학생들의 초기 문해력의 변화와 주의집중 지속시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4개월 동안 총 38~48회기의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중재는 1회기 40분간 매주 5회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중재는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의 초기 문해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연구 참여 학생은 수정된 그림책 읽기와 AAC중재 후 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대응의 중재 및 일반화, 유지 검사에서 모두 높은 향상을 나타내었다. 기초선에서는 연구 참여 학생 모두 수정된 그림책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AAC 도구의 사용 방법을 터득하지 못하여 학습 내용과는 관계없는 반응이 나타났으나 중재단계에서는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적용한 AAC 중재 프로그램 절차에 따라 중재를 실시한 결과 수업 매체에 흥미로워하는 반응이 나타났으며 AAC 의사소통판의 그림과 상징을 이용하여 점차 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 대응에 높은 정반응률이 나타났다. 둘째,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 중재를 통해 실시한 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 대응 중재 프로그램은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의 주의집중 지속 시간의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연구 참여 학생의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중재를 실시하여 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 대응 중재의 영상을 관찰 분석한 결과에서 중재 및 일반화, 유지 검사 모두에서 높은 향상을 나타내었다. 초기 문해력의 기초선 단계보다 중재, 일반화, 유지 기간의 단계에서 연구 참여 학생의 주의집중 지속시간이 더 높게 나타났다. 중도‧중복장애학생들에게 수정된 그림책과 AAC 상징 및 그림을 활용하여 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 대응 활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학습에 대한 주의집중 지속시간 향상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을 종합해 볼 때,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중재 프로그램은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의 초기 문해력 및 주의집중 지속시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강명숙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본 연구는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식생활에서 소외 받고 있는 계층인 노인의 질병예방 및 직·간접적인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약선요리 메뉴의 개발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첫째, 약선에 관한 문헌은 거의 없는 상황에서 기존에 연구되어진 문헌적 고찰을 통한 약선요리의 기초이론을 체계화 하고자 한다. 둘째, 노인의 식생활 패턴을 조사하여 노인의 건강식으로서의 약선메뉴의 개발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노인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하여 노인을 위한 건강식인 약선메뉴개발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2년 3월부터 10월까지이며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내 거주 노인으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전체를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서울시내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노인의 식생활 패턴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약선에 관한 인지정도를 파악하여 향후 약선메뉴개발을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근거로 삼았다. 약선요리란 음식으로 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며 요리자체로도 훌륭한 미각을 느낄 수 있는 건강요리를 말하는데, 한방요리라고도 한다. 약선메뉴개발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실실하였는데, 본 조사는 한식조리전문가 집단에서도 한방요리의 메뉴개발의 유경험자를 중심으로 설문의 기초초안을 작성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서는 참여자가 여성의 비율이 약간 높았으며, 연령으로는 50-55세의 노인들이 가장 많았다. 이들 대부분은 결혼을 하였으며, 이들의 교육수준은 고졸이상이 대부분이었다. 직업 또한 전문직과 공무원이 중심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사대상자는 서울시내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긴 하였지만, 대기업의 실버타운에서 거주하고 있거나, 노인대학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한 결과로 약간의 고학력과 전문직 종사자가 많았다. 이들 노인들은 식생활 패턴은 건강상태가 대부분 보통이상으로 건강한 상태로 나타났고, 하루에 3식을 기본으로 하는 노인들이 대부분이었다. 3식 중 저녁의 식사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었으며, 식사의 형태는 일반적인 한식과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식사를 통한 노인들의 영양섭취는 보통의 수준이라고 하였고, 현재 식생활의 만족수준 또한 보통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 교육수준에 따른 약선요리의 지각속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약선요리의 지각속성은 여성보다 남성이 약선요리의 경험의 횟수라든가 구매의사, 활용도 등 약선요리에 관한 인지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50-55세의 노인이 약선요리의 지각속성 전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고졸이상의 학력과, 직업은 전문직이나 기타직(기타직은 부동산 관련자로 나타났다.)의 약선요리에 관한 인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들의 건강상태가 보통인 노인의 경우가 약선요리의 지각속성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나, 건강에 관심이 많아 약선요리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은 층이라고 할 수 있겠다. 식사의 형태가 일반 한식의 경우가 약선요리의 지각속성 전체가 높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인 한식을 중심으로 하는 식생활에 약선요리 메뉴에 관한 관심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약선요리의 메뉴개발이 더욱 다양화된다면 적극적인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층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이들은 구매의사와 활용도에서도 높은 값을 나타냈었다. 약재에 관한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황기, 구기자, 치자, 감초, 부자, 하수오라는 약재가 남녀가 지각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황기, 구기자, 치자는 남성의 지각이 높았고, 감초와 부자, 하수오는 여성의 지각이 더 높았다. 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약재의 지각은 노인의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에 지각하는 정도가높은 것으로 나타나, 건강상태가 나쁜 노인의 식생활은 일반적 한식보다는 약재를 활용한 메뉴가 더욱 선호가 있을 것이라고 간주 할 수 있다. 약선메뉴의 개발 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교차분석의 결과 성별에서 남녀 전체가 약선메뉴의 개발에 대해서 긍정적,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이는 일반한식의 식생활에서 약선요리의 활용정도가 남녀의 구분없이 포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체계적인 약선메뉴개발의 방안이 이루어진다면, 노인을 위한 규칙적인고 질높은 식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러한 약선요리의 메뉴개발을 노인의 건강식으로 접목시키는데 있어, 제 2 장에서 살펴보았던 이론적 고찰과 실증분석의 결과를 중심으로 약선메뉴개발을 위한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보완 및 유지를 위한 약선메뉴개발이다. 둘째, 값싸고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약재의 활용을 통한 약선메뉴개발이다. 셋째, 노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퇴화를 고려한 조리법의 약선메뉴개발이다. 넷째, 가족이 함께 먹을 수 있는 다양한 약선메뉴개발로 약선메뉴의 대중화이다. 본 연구는 연구를 시작하면서 선행연구의 부재와 이론적 고찰의 어려움으로 약선요리의 이론적 고찰을 정립하고자 하고, 이를 토대로 약재에 대한 기본적인 거부감이 없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약선메뉴개발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현재의 식생활에서 약선메뉴개발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약선메뉴개발의 가능성과 대중화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은 약선메뉴개발의 적용대상을 노인으로 한정시킨 것과 기존의 마련되어 있는 약선메뉴에 대하여 모두 반영하지 못한 부분이다. 앞으로의 후속연구는 이러한 미비한 점을 보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ttempted to develop a Yaksunyori menu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diseases that restrict senior citizens in terms of food selection, and maintaining and improving health directly or indirectly in an aging society.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is an attempt: first, to elaborate a principal theory of Yaksunyori, looking only at literature from previous studies, in view of lack of literature on Yaksun; second, to look at the potential of Yaksun as a diet menu for the elderly through surveying dietary patterns of the elderly; third, to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Yaksun menu, a healthy diet for the elderly, by carrying out an empirical survey.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rch to October 2002, and participants were limited to senior citizens in Seoul.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five chapters. As methodology, both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implemented. For the empirical study, a survey on dietary patterns of the elderly in Seoul and the acknowledgment of Yaksun was carried out, so that the data could be used for future reference in developing a Yaksun menu. Yaksunyori means a healthy dish, in which food enables the curing of diseases and enhancement of health, as well as producing a taste. It is also called an oriental medicine dish. Empirical analysis is based on the survey questionnaire that was written by persons experienced in the development of the Hanbangyori menu in the Korean Food Cooking Specialists' Association, used for the elderly. As for demographic aspects, female participants slightly exceeded male, and people aged between 50 and 55 were the majority. In most cases, they were married, and their educational level was above high school graduate. Their occupations were mainly professionals and civil service. These aspects -highly educated and professional- are connected with the location of the survey; although the survey was carried out in Seoul, it was, however, focused mainly on the elderly from in large-company silver towns or from senior universities. The dietary patterns of the elderly were quite healthy, and mostly they had three meals a day. Of the three meals, dinner was most substantial; and they usually had Korean food without any restriction as to the type of dish. Intake of nutrients through meals was average, and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diet showed as average too. There was a difference of viewpoint on Yaksunyori dependent on gender, age and educational level: in terms of perception of Yaksunyori, men showed greater awareness of the subject than women, such as number of experiences in Yaksunyori, desire to purchase, and ability to use; in terms of age, the elderly between 50 and 55 showed high scores in the whole perspective of Yaksunyori; in terms of educational level and profession, the elderly with above high school education and professionals or other (real- estate-related profession) showed a high degree of awareness of Yaksunyori. The elderly with good health showed high Yaksunyori perception on the whole, which was interpreted to the effect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good health and thus showed a great concern for Yaksunyori. The elderly whose dietary pattern focused on Korean food showed greatest interest in the Yaksunyori menu, which would be more promising when the menu varied. Moreover, the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desire to buy and use. In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medicinal materials according to gender, medicinal materials such as Hwanggi, Gugija, Chija, Gamcho, Buja, and Hasuo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t perception between men and women: men had greater awareness of Hwanggi, Gugija, and Chija, but women of Gamcho, Buja, and Hasuo. The elderly with bad health showed greater awareness of the subject, which may suggest that these people need a menu with the use of medicinal materials, rather than just Korean food. Through cross analysis of responses on Yaksunyori development, both men and women showed very positive responses on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The results suggest that use of Yaksunyori in normal Korean dietary life should be applied to everybody, regardless of gender. Thus, if a systematic development plan is initiated, regular, good-quality diet for the elderly will be assured. In light of the association of Yaksunyori with a healthy diet for the elderly, focusing 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nd theoretical study dealt with in Chapter 2, suggestions on plans and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a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is intended to supplement and maintai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of the elderly. Second,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is carried out through the use of medicinal materials, which can be obtained easily and inexpensively. Third,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is tied to cooking methods, which show concern for the deterioration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of the elderly. Fourth,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is spread through with its popularization through various family menus.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oretical ground by overcoming the deficiencies of previous studies, which lead to difficulties in theoretical examination, and, on this basis, empirical analysis was implemented in order to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incorporating a surveying of the elderly who are normally tolerant toward medicinal materials. Most elderly people showed positive responses on the potential and popularization of the Yaksun menu. Notwithstanding the above,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only elderly people were included in the participants, and some existing Yaksun menus were not discussed. A future study should be directed to these points.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중심으로
강명숙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Y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 중에서 사춘기를 앞두고 있는 아동으로 센터에서 의뢰한 5명과 동질 집단 5명을 선정하여 사전 검사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5명씩 배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2년 2월 10일부터 2012년 8월 1일까지였으며 매주 1회씩 약 60여분 동안 사전·사후 단계를 제외한 총 20회기를 지역아동센터의 집단미술치료실에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양적 변화의 검사 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검사, 사회성 기술평정 척도검사와 질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KSD)학교생활화를 사용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비모수 검증인 윌콕슨 부모-순위검증 (Wilcoxon's signed-ranks test)을 활용하여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는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검사 (SAE : Self-Esteem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사회성 검사로는 Gresham과 Elliott(1990)가 개발한 사회성기술평정 척도검사(SSRS : Social Skills Rating System)를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김향지(1996)가 재구성한 교사-학생관계, 학업수행능력, 또래 수용에 대한 학생의 사회적 행동을 사정하기 위해 고안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척도검사에 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를 분석한 결과, 사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 실험집단은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인 총체적 자아, 사회적 자아, 가정적 자아, 학교 자아 등에서 모두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성기술평정 척도검사에 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를 분석한 결과, 사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 실험집단은 사회성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사회성의 하위 영역인 자기주장, 협력, 자아통제 모두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정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집단미술치료는 다양한 미술매체를 통한 경험에 개방적이고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과 수용으로 가치의 조건화를 발달시키며, 정확한 공감적 이해로 내적 창조의 틀을 이룸과 동시에 내담자와의 진솔함의 일치성에서 긍정적 관심을 경험함으로 성취감과 만족감을 갖게 한다. 또한 자신을 신뢰할 뿐만 아니라 집단원간의 지지와 격려,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이해, 수용 등을 통하여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므로 지역아동센터 저소득층 아동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발달시키기 위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강명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본 연구는 웹정보원의 평가에 관한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해 수집된 평가기준에 따라 웹정보원을 평가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웹정보원의 선정에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웹정보원의 평가에 관련된 문헌을 조사하여 평가기준을 수집한 후, 범위적, 내용적, 형태 및 기능적 측면에 대한 평가요소와 평가내용을 작성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문헌조사에 의한 평가기준을 보완하기 위하여 주제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서지데이터베이스, 학술잡지, 용어사전, 회의자료에 관련된 24개의 웹정보원을 평가 및 분석하였다. 작성된 평가기준에 따라 범위적, 내용적, 형태 및 기능적 측면에 대해 24개의 웹정보원을 평가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위적 측면에서 목적, 이용자 대상, 주제분야, 시간적 범위, 비용 및 저작권은 지리적 범위, 언어적 범위에 비하여 많은 웹정보원이 제시하였으나, 각 요소별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정보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적 측면에서 권위성 및 신뢰성 평가결과 성명, 소속, 연락정보는 대부분 제시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약력과 지위는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정확성의 평가결과 통계 자료의 제시율이 낮았고, 최신성의 평가결과 작성일자, 갱신주기에 관한 안내정보, 갱신 되었음을 알리는 안내정보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형태 및 기능적 측면에서 네비게이션의 용이성 평가결과 네비게이션 바와 사이트 맵을 제공하는 웹정보원은 많지 않았다. 접근성 및 유용성의 평가결과 소프트웨어의 버전, 컴퓨터 환경조건, 공인언어 및 기술사용에 대한 정보의 제시율이 낮았다. 디자인과 레이아웃의 평가결과 모든 웹정보원이 플래쉬와 애니메이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이상의 평가 및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범위적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평가기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웹정보원이 어떠한 내용을 포함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관별 정보제공의 목적에 따른 웹정보원의 종류를 평가하도록 한다. 둘째, 자원과 서비스의 전체적인 수준 및 범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1차적인 서비스의 대상과 장래 유관기관 및 이용자를 고려하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셋째, 기관이 어떠한 주제를 중점적으로 수집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핵심주제와 비핵심주제에 대한 구분이 명확한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그리고 관련된 주제분야에 대한 외부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주제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넷째, 웹정보원이 어떠한 자원을 제공하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자원의 유형을 평가하도록 한다. 다섯째, 동일한 정보에 대해 자관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원과 무료 웹정보원을 비교했을 때 비용 대 효과를 평가하도록 한다. 저작권과 관련하여 저작권 소유기관 및 소유자, 복사 및 인용의 허용범위를 평가하도록 한다. 여섯째, 웹정보원을 선정하기 위하여 특정 이용자, 주제, 시간, 지역과 같이 기관의 정책에 따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소가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평가기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저자는 저작자 외에 편집자와 웹마스터의 역할도 중요하므로 평가에 반영하도록 한다. 저작자의 약력과 지위가 제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 직업적, 교육적 배경을 평가하도록 한다. 발행 및 제작기관은 기관 소개를 위한 안내정보와 함께 지원 및 협력기관 정보를 평가하며, 수상 및 추천, 방문자 수 및 히트 수를 파악하여 권위를 평가하도록 한다. 둘째, 참고문헌과 통계자료는 서지데이터베이스와 용어사전의 제작 시 인용된 참고자료와 자원의 수록 범위를 파악할 수 있는 통계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평가하도록 한다. 셋째, 유관기관이 광고를 의뢰하는 경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광고에 관련된 안내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넷째, 다음 갱신일자의 안내정보를 통해 정기적으로 갱신되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다섯째, 해당 웹정보원이 유일한 것인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사이트의 링크가 내부와 외부에 적절히 초점을 맞추었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형태 및 기능적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평가기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원하는 페이지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용자에게 현재 위치와 함께 현재 페이지까지 거쳐온 이동경로를 보여주고 하이퍼텍스트 기능을 제공하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또한 결과물을 원하는 형식으로 제어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정렬기능을 제공하는지,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얻었을 때 결과 내에서 새로운 검색을 할 수 있도록 재검색 기능을 제공하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둘째, 용량이 큰 이미지나 텍스트 문서인 경우 파일의 종류와 크기에 따른 다운로드 소요시간을 제공하는지,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미러 사이트를 제공하는지, 이용자 개인정보의 보안에 관한 안내정보를 제공하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셋째, 각 업무별 담당자 명, 전자우편 주소, 전화 및 팩스번호를 제공하여 실제 업무담당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하며, 이용자와 관리자간의 원활한 피드백을 위한 도움요청 양식, 다양한 국가의 이용자들을 위한 외국어버전, 의견 및 정보교환을 위한 메일링리스트, 토론그룹과 같은 도구를 제공하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넷째, 메인 화면의 색상과 구성이 일관성이 있는지, 메인 화면에 지나친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았는지, 메뉴 바의 위치와 웹페이지의 길이가 적절한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다섯째, 서지데이터베이스와 용어사전이 실행파일로 제공되어 버전이 업그레이드 된 경우도 소프트웨어의 버전에서 평가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기준 개선 방안은 다양한 유형의 웹정보원을 선정하는 데 유용한 평가도구가 될 수 있으며, 주제게이트웨이와 같은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웹정보원의 품질평가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uggestion the evaluation criteria in selecting qualified web-resources. For this purpose, a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were performed.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evaluation criteria to select web-resources consist of scope, contents, form and functional criteria. Evaluation item were made in detail in each criteria. In the case study, 24 web-resources provided by 6 Subject-Gateway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made by in the literature review. Resource type of web-resources were bibliography database, journal, dictionary, and conference materials. The evalu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environment US Web-browser Internet Explorer 6.0 Pentium Celelon lGH, for April 22nd, 2002 to May 5th 2002. Based on this evaluation and analysis,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the selection of qualified and various web-resources. In the scope criteria,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selecting of qualified web-resources. First, purpose will be evaluated kind of web-resource according to purpose of information service. second, Intended audience "will be evaluated the core audience for information service. Next considered the agencies concerned and audience for the distant future. Third, area of subject will be evaluated the core subject and exclude subject. And whether or not other external links are offered in order to extend of subject coverage. Fourth, resources' type will be evaluated detail type of web-resources. Fifth, cost will be evaluated efficiency of cost compared with alternative resources, and whether or not a copyright, a copyright institute, a copyright holder, limits of copy and citation. sixth, priority will be evaluated whether or not precedence item over all other things in selecting of web-resources. In the contents criteria,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selecting of qualified web-resources. First, individual author will be evaluated about professional, educational background divide into author, editor, web-master. Also, will be evaluated about publishing and producing, supporting institution's information. Other evaluate issues we sundry award, recommendation, the number of visitor and hit. Second, accuracy of contents will be evaluated bibliography data, statistical data cited on bibliography database, dictionary's production. Third, advertisement will be evaluated the information related with advertisement. Fourth, the currency will be evaluated the infomation of the next updating date. Fifth, site's link will be evaluated whether or not inward or outward in it's own site. In the form and functional criteria,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selecting of qualified web-resources. First, the ease of navigation will 'be evaluated user's present location in moving process. And it will be evaluated a print control function that is result from searching, sorting, and reset searching. Second, the access and usability will be evaluated the information about downloads' time according to files' type arid size. Also, mirror-sites, individual information's security. Third, user support will be evaluated whether or not practical help according to name, E-mail address, phone number, fax number of the person in charge, request form, other foreign languages' version, mailinglist, discussion group. Fourth, design and layout will be evaluated main pages' color and layout's consistency. Next, easy to know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icons, location of manu bar, if main pages used too many images. Fifth, if bibliography database and dictionary are offered executive file, then it will be evaluated version of the software.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관련 일반유치원 교사의 이해도 및 만족도 조사 연구
강명숙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2012년부터 모든 장애유아에 대한 의무교육이 실시됨에 따라 장애유아의 통합학급에 대한 입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일반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법에 대한 이해는 통합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일반유치원 교사의 요인별 특성(설립유형, 경력, 지도경험, 연수경험)에 따른 특수교육법에 대한 이해도와 이행 만족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지는 관련 전문가와 문헌을 참고하여 특수교육법과 시행령 및 시행 규칙을 중심으로 하여 유치원 관련 조항을 추출하였고, 분석 결과는 요인별 수준 및 목적에 따라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법 이해도에 있어 설립형태 및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는 반면, 특수교육 연수 경험 및 장애유아 지도경험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다. 즉, 특수교육에 대한 연수경험과 장애유아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연수미경험 및 장애유아 지도 미경험 집단보다 특수교육법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둘째, 일반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법 이행 만족도에 있어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반면, 학교 설립형태나 특수교육 연수 경험 및 장애유아 지도경험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다. 즉, 사립보다는 공립기관에 재직중인 교사들의 경우 특수교육법 이행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수교육 연수경험과 장애유아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연수미경험 및 장애유아 지도 미경험 집단보다 특수교육법 이행 만족도가 높다. 셋째, 일반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법 이해도 및 이행 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다. 즉, 특수교육법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이행 만족도 또한 높다.
외식고객의 관계효익이 만족과 거래성향에 따라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오늘날 기업들은 최대의 경영목표로서 고객만족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고객만족을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며, 고객만족이 실제 고객과의 관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 또한 환대산업 기업들이 과거처럼 핵심 서비스품질만을 중요시 하여서는 고객과의 관계만족 및 관계유지 그리고 경쟁업체와의 차별화를 이룰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외식기업으로 하여금 기존의 제품 및 서비스 중심의 사고에서 고객중심의 사고로 전화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최근 많은 외식기업들 사이에서는 기업의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한 주요 수단의 하나로 강력한 고객관계구축을 중요시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략적인 소비자세분화를 하여 목표소비자를 설정하고, 그에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여 기존 소비자와의 관계를 더 강화하는 관계마케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기업에 대한 고객의 고객효익, 고객만족 및 고객신뢰 그리고 관계지향성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외식기업들이 고객들의 장기적 관계 지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그들의 제한된 자원을 어떻게 할당할 것인가를 알려주기 위한 전략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자 서울지역에 위치한 패밀리레스토랑 중 2009년 외식년감의 통계자료에서 상위 7위권 내의 패밀리레스토랑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1일부터 3월 20일 까지 20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580부를 배포하여 총 519부를 유효자료로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프로그램과 AMOS 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효익과 사회적 효익, 심리적 효익, 그리고 특별대우 효익이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고객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많은 배려를 해 주어야 하며, 고객들에게 남들과 다른 우대와 특별함을 줄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고, 할인이나 마일리지 적립과 같은 마케팅으로 경제적 효익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고객들은 레스토랑으로부터 사회적 효익과 특별대우 효익을 받음으로서 레스토랑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종업원들은 고객관리 측면에서 고객을 남이 아닌 가족 같은 분위기로 친밀함을 유지하며, 고객들의 행동이나 취향을 기억해 두었다가 재방문 하였을 때 고객들이 요구하기 전에 서비스함으로서 특별한 서비스 또는 남과 다른 우대를 받는 다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고객만족과 고객신뢰가 높을수록 고객의 외식기업에 대한 장기적인 관계형성 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의 만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레스토랑에서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여러 가지 관계효익들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고객의 관계효익 지각 즉, 장기적인 관계지향성은 레스토랑에 대한 심리적 효익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경제적 효익, 특별대우 효익, 사회적 효익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레스토랑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들은 레스토랑과 종업원에 대한 신뢰와 편안함 및 안정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레스토랑에서는 고객의 욕구와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고객 지향적 관계효익 요인들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의사결정의 효율성, 점포 내 정보수집, 지각된 위험은 고객만족과 관계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의사결정의 효율성과 점포 내 정보수집은 고객신뢰와 관계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표본의 크기(sample size)에서 야기되는 연구결과의 일반화 문제이다. 본 연구는 패밀리레스토랑 중 상위 7개 레스토랑의 고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연구의 일반화의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향후 연구에서는 패밀리레스토랑 이외의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ㆍ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자료수집방법으로 자기기입법을 사용하였다. 이 변수는 동일방법변량으로 분수들 간의 관계가 왜곡되어 나타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자기기입법과 면접법 및 사례분석 등을 병행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수집일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외식기업과 고객과의 관계지향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다양한 영향변수들을 포함시키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즉, 사회적 영향집단으로서 가족(family), 준거집단(reference group) 및 의견선도자그룹(opinion leader group) 등이 있고, 거시적 환경요소로서 법률적, 문화적 및 경제적 환경요소들이 있을 수 있는데 이 점을 포함시키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고객만족과 신뢰와 같은 요인들이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명백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영향집단과 거시적 환경요소 등 더 많은 영향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