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건강을 위한 약선요리의 메뉴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강명숙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식생활에서 소외 받고 있는 계층인 노인의 질병예방 및 직·간접적인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약선요리 메뉴의 개발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첫째, 약선에 관한 문헌은 거의 없는 상황에서 기존에 연구되어진 문헌적 고찰을 통한 약선요리의 기초이론을 체계화 하고자 한다. 둘째, 노인의 식생활 패턴을 조사하여 노인의 건강식으로서의 약선메뉴의 개발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노인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하여 노인을 위한 건강식인 약선메뉴개발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2년 3월부터 10월까지이며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내 거주 노인으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전체를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서울시내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노인의 식생활 패턴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약선에 관한 인지정도를 파악하여 향후 약선메뉴개발을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근거로 삼았다. 약선요리란 음식으로 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며 요리자체로도 훌륭한 미각을 느낄 수 있는 건강요리를 말하는데, 한방요리라고도 한다. 약선메뉴개발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실실하였는데, 본 조사는 한식조리전문가 집단에서도 한방요리의 메뉴개발의 유경험자를 중심으로 설문의 기초초안을 작성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서는 참여자가 여성의 비율이 약간 높았으며, 연령으로는 50-55세의 노인들이 가장 많았다. 이들 대부분은 결혼을 하였으며, 이들의 교육수준은 고졸이상이 대부분이었다. 직업 또한 전문직과 공무원이 중심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사대상자는 서울시내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긴 하였지만, 대기업의 실버타운에서 거주하고 있거나, 노인대학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한 결과로 약간의 고학력과 전문직 종사자가 많았다. 이들 노인들은 식생활 패턴은 건강상태가 대부분 보통이상으로 건강한 상태로 나타났고, 하루에 3식을 기본으로 하는 노인들이 대부분이었다. 3식 중 저녁의 식사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었으며, 식사의 형태는 일반적인 한식과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식사를 통한 노인들의 영양섭취는 보통의 수준이라고 하였고, 현재 식생활의 만족수준 또한 보통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 교육수준에 따른 약선요리의 지각속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약선요리의 지각속성은 여성보다 남성이 약선요리의 경험의 횟수라든가 구매의사, 활용도 등 약선요리에 관한 인지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50-55세의 노인이 약선요리의 지각속성 전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고졸이상의 학력과, 직업은 전문직이나 기타직(기타직은 부동산 관련자로 나타났다.)의 약선요리에 관한 인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들의 건강상태가 보통인 노인의 경우가 약선요리의 지각속성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나, 건강에 관심이 많아 약선요리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은 층이라고 할 수 있겠다. 식사의 형태가 일반 한식의 경우가 약선요리의 지각속성 전체가 높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인 한식을 중심으로 하는 식생활에 약선요리 메뉴에 관한 관심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약선요리의 메뉴개발이 더욱 다양화된다면 적극적인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층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이들은 구매의사와 활용도에서도 높은 값을 나타냈었다. 약재에 관한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황기, 구기자, 치자, 감초, 부자, 하수오라는 약재가 남녀가 지각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황기, 구기자, 치자는 남성의 지각이 높았고, 감초와 부자, 하수오는 여성의 지각이 더 높았다. 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약재의 지각은 노인의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에 지각하는 정도가높은 것으로 나타나, 건강상태가 나쁜 노인의 식생활은 일반적 한식보다는 약재를 활용한 메뉴가 더욱 선호가 있을 것이라고 간주 할 수 있다. 약선메뉴의 개발 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교차분석의 결과 성별에서 남녀 전체가 약선메뉴의 개발에 대해서 긍정적,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이는 일반한식의 식생활에서 약선요리의 활용정도가 남녀의 구분없이 포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체계적인 약선메뉴개발의 방안이 이루어진다면, 노인을 위한 규칙적인고 질높은 식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러한 약선요리의 메뉴개발을 노인의 건강식으로 접목시키는데 있어, 제 2 장에서 살펴보았던 이론적 고찰과 실증분석의 결과를 중심으로 약선메뉴개발을 위한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보완 및 유지를 위한 약선메뉴개발이다. 둘째, 값싸고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약재의 활용을 통한 약선메뉴개발이다. 셋째, 노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퇴화를 고려한 조리법의 약선메뉴개발이다. 넷째, 가족이 함께 먹을 수 있는 다양한 약선메뉴개발로 약선메뉴의 대중화이다. 본 연구는 연구를 시작하면서 선행연구의 부재와 이론적 고찰의 어려움으로 약선요리의 이론적 고찰을 정립하고자 하고, 이를 토대로 약재에 대한 기본적인 거부감이 없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약선메뉴개발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현재의 식생활에서 약선메뉴개발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약선메뉴개발의 가능성과 대중화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은 약선메뉴개발의 적용대상을 노인으로 한정시킨 것과 기존의 마련되어 있는 약선메뉴에 대하여 모두 반영하지 못한 부분이다. 앞으로의 후속연구는 이러한 미비한 점을 보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ttempted to develop a Yaksunyori menu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diseases that restrict senior citizens in terms of food selection, and maintaining and improving health directly or indirectly in an aging society.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is an attempt: first, to elaborate a principal theory of Yaksunyori, looking only at literature from previous studies, in view of lack of literature on Yaksun; second, to look at the potential of Yaksun as a diet menu for the elderly through surveying dietary patterns of the elderly; third, to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Yaksun menu, a healthy diet for the elderly, by carrying out an empirical survey.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rch to October 2002, and participants were limited to senior citizens in Seoul.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five chapters. As methodology, both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implemented. For the empirical study, a survey on dietary patterns of the elderly in Seoul and the acknowledgment of Yaksun was carried out, so that the data could be used for future reference in developing a Yaksun menu. Yaksunyori means a healthy dish, in which food enables the curing of diseases and enhancement of health, as well as producing a taste. It is also called an oriental medicine dish. Empirical analysis is based on the survey questionnaire that was written by persons experienced in the development of the Hanbangyori menu in the Korean Food Cooking Specialists' Association, used for the elderly. As for demographic aspects, female participants slightly exceeded male, and people aged between 50 and 55 were the majority. In most cases, they were married, and their educational level was above high school graduate. Their occupations were mainly professionals and civil service. These aspects -highly educated and professional- are connected with the location of the survey; although the survey was carried out in Seoul, it was, however, focused mainly on the elderly from in large-company silver towns or from senior universities. The dietary patterns of the elderly were quite healthy, and mostly they had three meals a day. Of the three meals, dinner was most substantial; and they usually had Korean food without any restriction as to the type of dish. Intake of nutrients through meals was average, and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diet showed as average too. There was a difference of viewpoint on Yaksunyori dependent on gender, age and educational level: in terms of perception of Yaksunyori, men showed greater awareness of the subject than women, such as number of experiences in Yaksunyori, desire to purchase, and ability to use; in terms of age, the elderly between 50 and 55 showed high scores in the whole perspective of Yaksunyori; in terms of educational level and profession, the elderly with above high school education and professionals or other (real- estate-related profession) showed a high degree of awareness of Yaksunyori. The elderly with good health showed high Yaksunyori perception on the whole, which was interpreted to the effect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good health and thus showed a great concern for Yaksunyori. The elderly whose dietary pattern focused on Korean food showed greatest interest in the Yaksunyori menu, which would be more promising when the menu varied. Moreover, the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desire to buy and use. In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medicinal materials according to gender, medicinal materials such as Hwanggi, Gugija, Chija, Gamcho, Buja, and Hasuo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t perception between men and women: men had greater awareness of Hwanggi, Gugija, and Chija, but women of Gamcho, Buja, and Hasuo. The elderly with bad health showed greater awareness of the subject, which may suggest that these people need a menu with the use of medicinal materials, rather than just Korean food. Through cross analysis of responses on Yaksunyori development, both men and women showed very positive responses on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The results suggest that use of Yaksunyori in normal Korean dietary life should be applied to everybody, regardless of gender. Thus, if a systematic development plan is initiated, regular, good-quality diet for the elderly will be assured. In light of the association of Yaksunyori with a healthy diet for the elderly, focusing 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nd theoretical study dealt with in Chapter 2, suggestions on plans and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a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is intended to supplement and maintai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of the elderly. Second,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is carried out through the use of medicinal materials, which can be obtained easily and inexpensively. Third,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is tied to cooking methods, which show concern for the deterioration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of the elderly. Fourth,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is spread through with its popularization through various family menus.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oretical ground by overcoming the deficiencies of previous studies, which lead to difficulties in theoretical examination, and, on this basis, empirical analysis was implemented in order to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Yaksun menu, incorporating a surveying of the elderly who are normally tolerant toward medicinal materials. Most elderly people showed positive responses on the potential and popularization of the Yaksun menu. Notwithstanding the above,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only elderly people were included in the participants, and some existing Yaksun menus were not discussed. A future study should be directed to these points.

      •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중심으로

        강명숙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Y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 중에서 사춘기를 앞두고 있는 아동으로 센터에서 의뢰한 5명과 동질 집단 5명을 선정하여 사전 검사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5명씩 배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2년 2월 10일부터 2012년 8월 1일까지였으며 매주 1회씩 약 60여분 동안 사전·사후 단계를 제외한 총 20회기를 지역아동센터의 집단미술치료실에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양적 변화의 검사 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검사, 사회성 기술평정 척도검사와 질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KSD)학교생활화를 사용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비모수 검증인 윌콕슨 부모-순위검증 (Wilcoxon's signed-ranks test)을 활용하여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는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검사 (SAE : Self-Esteem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사회성 검사로는 Gresham과 Elliott(1990)가 개발한 사회성기술평정 척도검사(SSRS : Social Skills Rating System)를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김향지(1996)가 재구성한 교사-학생관계, 학업수행능력, 또래 수용에 대한 학생의 사회적 행동을 사정하기 위해 고안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척도검사에 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를 분석한 결과, 사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 실험집단은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인 총체적 자아, 사회적 자아, 가정적 자아, 학교 자아 등에서 모두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성기술평정 척도검사에 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를 분석한 결과, 사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 실험집단은 사회성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사회성의 하위 영역인 자기주장, 협력, 자아통제 모두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정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집단미술치료는 다양한 미술매체를 통한 경험에 개방적이고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과 수용으로 가치의 조건화를 발달시키며, 정확한 공감적 이해로 내적 창조의 틀을 이룸과 동시에 내담자와의 진솔함의 일치성에서 긍정적 관심을 경험함으로 성취감과 만족감을 갖게 한다. 또한 자신을 신뢰할 뿐만 아니라 집단원간의 지지와 격려,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이해, 수용 등을 통하여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므로 지역아동센터 저소득층 아동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발달시키기 위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 웹 정보원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강명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웹정보원의 평가에 관한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해 수집된 평가기준에 따라 웹정보원을 평가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웹정보원의 선정에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웹정보원의 평가에 관련된 문헌을 조사하여 평가기준을 수집한 후, 범위적, 내용적, 형태 및 기능적 측면에 대한 평가요소와 평가내용을 작성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문헌조사에 의한 평가기준을 보완하기 위하여 주제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서지데이터베이스, 학술잡지, 용어사전, 회의자료에 관련된 24개의 웹정보원을 평가 및 분석하였다. 작성된 평가기준에 따라 범위적, 내용적, 형태 및 기능적 측면에 대해 24개의 웹정보원을 평가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위적 측면에서 목적, 이용자 대상, 주제분야, 시간적 범위, 비용 및 저작권은 지리적 범위, 언어적 범위에 비하여 많은 웹정보원이 제시하였으나, 각 요소별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정보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적 측면에서 권위성 및 신뢰성 평가결과 성명, 소속, 연락정보는 대부분 제시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약력과 지위는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정확성의 평가결과 통계 자료의 제시율이 낮았고, 최신성의 평가결과 작성일자, 갱신주기에 관한 안내정보, 갱신 되었음을 알리는 안내정보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형태 및 기능적 측면에서 네비게이션의 용이성 평가결과 네비게이션 바와 사이트 맵을 제공하는 웹정보원은 많지 않았다. 접근성 및 유용성의 평가결과 소프트웨어의 버전, 컴퓨터 환경조건, 공인언어 및 기술사용에 대한 정보의 제시율이 낮았다. 디자인과 레이아웃의 평가결과 모든 웹정보원이 플래쉬와 애니메이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이상의 평가 및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범위적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평가기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웹정보원이 어떠한 내용을 포함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관별 정보제공의 목적에 따른 웹정보원의 종류를 평가하도록 한다. 둘째, 자원과 서비스의 전체적인 수준 및 범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1차적인 서비스의 대상과 장래 유관기관 및 이용자를 고려하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셋째, 기관이 어떠한 주제를 중점적으로 수집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핵심주제와 비핵심주제에 대한 구분이 명확한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그리고 관련된 주제분야에 대한 외부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주제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넷째, 웹정보원이 어떠한 자원을 제공하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자원의 유형을 평가하도록 한다. 다섯째, 동일한 정보에 대해 자관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원과 무료 웹정보원을 비교했을 때 비용 대 효과를 평가하도록 한다. 저작권과 관련하여 저작권 소유기관 및 소유자, 복사 및 인용의 허용범위를 평가하도록 한다. 여섯째, 웹정보원을 선정하기 위하여 특정 이용자, 주제, 시간, 지역과 같이 기관의 정책에 따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소가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평가기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저자는 저작자 외에 편집자와 웹마스터의 역할도 중요하므로 평가에 반영하도록 한다. 저작자의 약력과 지위가 제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 직업적, 교육적 배경을 평가하도록 한다. 발행 및 제작기관은 기관 소개를 위한 안내정보와 함께 지원 및 협력기관 정보를 평가하며, 수상 및 추천, 방문자 수 및 히트 수를 파악하여 권위를 평가하도록 한다. 둘째, 참고문헌과 통계자료는 서지데이터베이스와 용어사전의 제작 시 인용된 참고자료와 자원의 수록 범위를 파악할 수 있는 통계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평가하도록 한다. 셋째, 유관기관이 광고를 의뢰하는 경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광고에 관련된 안내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넷째, 다음 갱신일자의 안내정보를 통해 정기적으로 갱신되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다섯째, 해당 웹정보원이 유일한 것인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사이트의 링크가 내부와 외부에 적절히 초점을 맞추었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형태 및 기능적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평가기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원하는 페이지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용자에게 현재 위치와 함께 현재 페이지까지 거쳐온 이동경로를 보여주고 하이퍼텍스트 기능을 제공하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또한 결과물을 원하는 형식으로 제어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정렬기능을 제공하는지,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얻었을 때 결과 내에서 새로운 검색을 할 수 있도록 재검색 기능을 제공하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둘째, 용량이 큰 이미지나 텍스트 문서인 경우 파일의 종류와 크기에 따른 다운로드 소요시간을 제공하는지,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미러 사이트를 제공하는지, 이용자 개인정보의 보안에 관한 안내정보를 제공하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셋째, 각 업무별 담당자 명, 전자우편 주소, 전화 및 팩스번호를 제공하여 실제 업무담당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하며, 이용자와 관리자간의 원활한 피드백을 위한 도움요청 양식, 다양한 국가의 이용자들을 위한 외국어버전, 의견 및 정보교환을 위한 메일링리스트, 토론그룹과 같은 도구를 제공하는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넷째, 메인 화면의 색상과 구성이 일관성이 있는지, 메인 화면에 지나친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았는지, 메뉴 바의 위치와 웹페이지의 길이가 적절한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다섯째, 서지데이터베이스와 용어사전이 실행파일로 제공되어 버전이 업그레이드 된 경우도 소프트웨어의 버전에서 평가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기준 개선 방안은 다양한 유형의 웹정보원을 선정하는 데 유용한 평가도구가 될 수 있으며, 주제게이트웨이와 같은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웹정보원의 품질평가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uggestion the evaluation criteria in selecting qualified web-resources. For this purpose, a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were performed.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evaluation criteria to select web-resources consist of scope, contents, form and functional criteria. Evaluation item were made in detail in each criteria. In the case study, 24 web-resources provided by 6 Subject-Gateway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made by in the literature review. Resource type of web-resources were bibliography database, journal, dictionary, and conference materials. The evalu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environment US Web-browser Internet Explorer 6.0 Pentium Celelon lGH, for April 22nd, 2002 to May 5th 2002. Based on this evaluation and analysis,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the selection of qualified and various web-resources. In the scope criteria,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selecting of qualified web-resources. First, purpose will be evaluated kind of web-resource according to purpose of information service. second, Intended audience "will be evaluated the core audience for information service. Next considered the agencies concerned and audience for the distant future. Third, area of subject will be evaluated the core subject and exclude subject. And whether or not other external links are offered in order to extend of subject coverage. Fourth, resources' type will be evaluated detail type of web-resources. Fifth, cost will be evaluated efficiency of cost compared with alternative resources, and whether or not a copyright, a copyright institute, a copyright holder, limits of copy and citation. sixth, priority will be evaluated whether or not precedence item over all other things in selecting of web-resources. In the contents criteria,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selecting of qualified web-resources. First, individual author will be evaluated about professional, educational background divide into author, editor, web-master. Also, will be evaluated about publishing and producing, supporting institution's information. Other evaluate issues we sundry award, recommendation, the number of visitor and hit. Second, accuracy of contents will be evaluated bibliography data, statistical data cited on bibliography database, dictionary's production. Third, advertisement will be evaluated the information related with advertisement. Fourth, the currency will be evaluated the infomation of the next updating date. Fifth, site's link will be evaluated whether or not inward or outward in it's own site. In the form and functional criteria,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selecting of qualified web-resources. First, the ease of navigation will 'be evaluated user's present location in moving process. And it will be evaluated a print control function that is result from searching, sorting, and reset searching. Second, the access and usability will be evaluated the information about downloads' time according to files' type arid size. Also, mirror-sites, individual information's security. Third, user support will be evaluated whether or not practical help according to name, E-mail address, phone number, fax number of the person in charge, request form, other foreign languages' version, mailinglist, discussion group. Fourth, design and layout will be evaluated main pages' color and layout's consistency. Next, easy to know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icons, location of manu bar, if main pages used too many images. Fifth, if bibliography database and dictionary are offered executive file, then it will be evaluated version of the software.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관련 일반유치원 교사의 이해도 및 만족도 조사 연구

        강명숙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2년부터 모든 장애유아에 대한 의무교육이 실시됨에 따라 장애유아의 통합학급에 대한 입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일반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법에 대한 이해는 통합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일반유치원 교사의 요인별 특성(설립유형, 경력, 지도경험, 연수경험)에 따른 특수교육법에 대한 이해도와 이행 만족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지는 관련 전문가와 문헌을 참고하여 특수교육법과 시행령 및 시행 규칙을 중심으로 하여 유치원 관련 조항을 추출하였고, 분석 결과는 요인별 수준 및 목적에 따라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법 이해도에 있어 설립형태 및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는 반면, 특수교육 연수 경험 및 장애유아 지도경험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다. 즉, 특수교육에 대한 연수경험과 장애유아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연수미경험 및 장애유아 지도 미경험 집단보다 특수교육법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둘째, 일반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법 이행 만족도에 있어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반면, 학교 설립형태나 특수교육 연수 경험 및 장애유아 지도경험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다. 즉, 사립보다는 공립기관에 재직중인 교사들의 경우 특수교육법 이행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수교육 연수경험과 장애유아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연수미경험 및 장애유아 지도 미경험 집단보다 특수교육법 이행 만족도가 높다. 셋째, 일반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법 이해도 및 이행 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다. 즉, 특수교육법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이행 만족도 또한 높다.

      •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중재가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의 초기 문해력과 주의집중 지속시간에 미치는 효과

        강명숙 창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중재를 통해 중도․중복장애학생이 초기 문해력(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 대응)과 주의집중 지속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참여 학생은 구어나 문어를 통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고 AAC체계를 필요로 하는 중도‧중복장애 중학생 3명이다. 연구 참여 학생의 인지능력과 운동능력을 고려하여 그림책 9권을 선정하여 AAC상징과 그림을 삽입하여 의사소통판과 인쇄물 개념을 위한 수정된 그림책 3권, 음소인식을 위한 수정된 그림책 3권, 글자-소리 대응을 위한 수정된 그림책 3권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중재가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의 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 대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행동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통해 연구 참여 학생들의 초기 문해력의 변화와 주의집중 지속시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4개월 동안 총 38~48회기의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중재는 1회기 40분간 매주 5회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중재는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의 초기 문해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연구 참여 학생은 수정된 그림책 읽기와 AAC중재 후 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대응의 중재 및 일반화, 유지 검사에서 모두 높은 향상을 나타내었다. 기초선에서는 연구 참여 학생 모두 수정된 그림책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AAC 도구의 사용 방법을 터득하지 못하여 학습 내용과는 관계없는 반응이 나타났으나 중재단계에서는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적용한 AAC 중재 프로그램 절차에 따라 중재를 실시한 결과 수업 매체에 흥미로워하는 반응이 나타났으며 AAC 의사소통판의 그림과 상징을 이용하여 점차 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 대응에 높은 정반응률이 나타났다. 둘째,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 중재를 통해 실시한 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 대응 중재 프로그램은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의 주의집중 지속 시간의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연구 참여 학생의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중재를 실시하여 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 대응 중재의 영상을 관찰 분석한 결과에서 중재 및 일반화, 유지 검사 모두에서 높은 향상을 나타내었다. 초기 문해력의 기초선 단계보다 중재, 일반화, 유지 기간의 단계에서 연구 참여 학생의 주의집중 지속시간이 더 높게 나타났다. 중도‧중복장애학생들에게 수정된 그림책과 AAC 상징 및 그림을 활용하여 인쇄물 개념, 음소인식, 글자-소리 대응 활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학습에 대한 주의집중 지속시간 향상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을 종합해 볼 때, 수정된 그림책과 명시적 교수법을 활용한 AAC중재 프로그램은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의 초기 문해력 및 주의집중 지속시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 군 병원 간호사의 신종호흡기감염병 감염관리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강명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Background Emerging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ERID) have a high risk of transmission compared to other infectious diseas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uper-transmission, which is a major cause of infectious disease disasters (Jeon, 2015; Koh et al., 2012, WHO, 2019). The military requires rigorous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IPC) for ERID disasters, having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closeness, concentration, and containment. Military hospitals have a responsibility to play the role of public health providers in medical safety (Lim, 2017). Military hospital nurses perform IPC activities at the forefront of caring for patients with ERID to overcome national crises and prevent the spread of ERID within the military during ERID disasters (King & Talbot, 2021). According to the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y presented by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military nurses should hav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t the level of a manager as well as a clinical nurse (ICN, 2019). Therefore, nurses in military hospitals should have the optimal IPC performance capability for medical response in infectious disease disasters. However, it was reported that nurses in military hospitals faced many difficulties in the initial medical response to ERID. The military has raised the need for re-education to maintain IPC compliance of nurses in military hospitals, but it has not established an effective education system as yet.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train nurses to respond quickly, and there is a shortage of professional training personn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PC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for nurses in military hospitals. Online edu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alternative to ensure continuity of learning in the context of ERID disasters. The advantage of online learning is its flexibility, easy accessibility, and individual performance capability. It was also reported that online education is useful even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a shortage of professional education personnel (Hung et al., 2015). Therefor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ursing practice in military hospitals, online education could be a very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positive attitudes toward ERID and self-efficacy toward IPC as well as knowledge about ERID in order to promote compliance toward ERID (Alsahafi et al., 2016; Bashirian et al., 2020; Nour et al., 2015). This is similar to the context of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IMB model), which explains that information, motivation, and behavioral skills are major predictors of specific behavioral performances. Therefore, the IMB model will be able to guide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o enhance IPC compliance against ERID for nurses in military hospitals. Purpose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n IPC online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for nurses in military hospitals based on the IMB model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Conceptual Framework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tudy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ory derivation from the IMB Model developed by Fisher et al. (1992).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constructs of IMB and health behavior were conceptualized as knowledge about ERID, attitudes toward ERID, self-efficacy toward IPC against ERID, and compliance toward IPC against ERID. This could improve their knowledge level by providing individual lectures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ERID required for nurses in military hospitals. In addition, attitudes toward ERID could be positively changed by facilitating group discussion, question-and-answer (Q&A), and learning reflection related to IPC. Practicing IPC skills, feedback, and sharing IPC strategies through mentoring can improve self-efficacy toward IPC. Compliance toward IPC against ERID can be more effectively strengthened through the multi-faceted intervention that can increase knowledge about ERID, attitudes toward ERID, and self-efficacy toward IPC against ERID. This established conceptual framework guided the development of the IPC online educational program against the ERID for nurses in military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consisted of two phases. In the first phase, an IPC online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for nurses in military hospitals was developed. In the second ph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tested using experimental study.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no: AFMC-202111-HR-084–02) First Phase: Development of the IPC online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involved five step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DDIE model (Seels & Richey, 2012). Analysis. The analysis phase was the foundation for all the other phases. It included a systematic review based on the PRISMA guidelines to identify intervention components of IMB, analysis of guidelines on IPC against ERID, and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among military nurses. Design. The design phase include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The learning topics and goals, the program outline, and the intervention components based on IMB model for operation were confirmed in the phase. Development. The development phase was built based on the design phase. The online learning material package was developed, and a platform for online learning was established using Google classroom. The developed materials were modified by an expert validity test. Implementation. The implementation phase was included in a pilot study and research assistants’ training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intervention. A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two nurses in a military hospital from March 14 to March 24, 2022. Participants evaluated clinical feasibility and usefulness of the program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Evaluation. The program was finally revised through the pilot test, and the IPC online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for nurses in military hospitals was finally derived for evaluating. Second Phase: Evaluation of IPC online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Study design.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a non-synchronized pre-post desig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Hypotheses. In the experimental study, an IPC online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was evaluated by testing the following hypotheses: 1)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score in knowledge about ERID over time than the control group. 2)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score in attitudes toward ERID over time than the control group. 3)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score in self-efficacy toward IPC against ERID over time than the control group. 4)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score in compliance toward IPC against ERID over time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recruited through a convenience sampling among nurses working at a military hospital in A-do province, South Korea. The inclusion criteria for participants were: 1) nurses currently working at a military hospital (nursing officers and civilian nurses), 2) nurses who understood the study purpose and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as well as signed the informed consent form, and 3) nurses who were able to take part in online education using a computer or smartphone. The exclusion criterion was nurses who had planned to move out or dispatch from the hospital. The statistically-required sample siz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Diggle’s formula (Diggle et al., 1994). The minimum participants in each group were 21, calculating by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with three-times repeated measurements gives a power level (1-β) of .80, a significance level (α) of .05, and effect size .50 for two groups (Park, 2018). The sample size was 27 in each group, considering the attrition rate of 20. A total of 5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24 in the control group and 26 in the experimental), and no one dropped out. Variables. The variables were composed of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knowledge about ERID, attitudes toward ERID, self-efficacy toward IPC against ERID, and compliance toward IPC against ERID,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1) The variables for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rank, level of education, and clinical experience) and IPC characteristics (nursing experience of COVID-19, nursing experience of previous ERID, experience of being infected with ERID, experience of education of IPC against ERID, attendance levels at IPC education, and total hours of IPC education). 2) Knowledge about ERID was evaluated by the knowledge tool about ERID for military nurses constructed by the researcher, with a true-false scale and 29 items. 3) Attitudes toward ERID were measured by the attitudes tool developed by Choi et al. (2019), a five-point Likert scale and 12 items. 4) Self-efficacy toward IPC against ERID was measured by the self-efficacy tool developed by Kim (2019), a five-point Likert scale and 12 items. 5) Compliance toward IPC against ERID was assessed by the PPE donning and doffing checklist for observation constructed by Lee (2021), a dichotomous scale with 23 items.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are as follows; 1) The control group was guided to self-study with a book provided by the researcher for two weeks (10 sessions, 14 hours) from March 7 to March 18, 2022. 2)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IPC online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for two weeks (10 sessions, 14 hours) from April 4 to April 15, 2022. A Google classroom code number was sent to the participants’ SNS one day before the intervention so that they could register on the online platform. The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in total, six sessions of watching individual lectures with PPT video files (9 videos), two sessions of discussion, one session of practice and feedback, and one session of mentoring. ndividual lectures for each session were uploaded to Google Classroom so that the participants could learn individually by repeating the lectures at any time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Discussion was conducted as real-time group education using the Webex video platform to promote interactive learning. It was conducted in a video conference room of 4-5 people per group using Webex, so that small group discussions could take place. The learning topics of the session were “Operation of a military hospital dedicated to infectious disease (MHDID)” and “Risk communication in a disaster.” Q&A was conducted using “Comments” function on Google Classroom, and “Chat” function on Webex. A learning reflection journal was instructed to be filled out after each session. Practice and feedback were also interactive, consisting of learning and real-time group education using Webex. The learning topic for practice was the level D PPE donning and doffing. The practice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demonstration, small group practice, and debriefing. Mentoring was performed by nurses who had experience caring for patients with ERID, and they shared IPC strategies. Results Development of the IPC online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Analysis. Intervention components of the IMB model were identified from the six studies selected for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e information components were providing articles, online lectures using videos or PPTs, and virtual simulation for individual learning. The motivation components were group discussion, discussion using clinical cases, reflection, and facilitation Q&A. Behavioral skill components included practice of IPC skills, expert feedback, and the acquisition of IPC strategies through experience sharing. A draft of the learning topic was constructed through analysis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and educational needs on IPC against ERI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uidelines and education needs, 21 and 32 learning contents were identified, respectively. Design. The learning content derived from the analysis stage was categorized, and its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six experts. Learning topics (10 items) and learning goals (34 items) were derived. The researcher organized intervention components suitable for learning topics for each session.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goal, lectures were assigned one hour per session, and discussion, practice, and mentoring were assigned two hours per session. A draft of the 10th session program outline was designed with a total of 14hours. Development. A total of 13 online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outline (program introduction PPT video file, nine individual lectures with PPT video files, two discussion modules, and one practice module). The developed program was supplemented by receiving content validity from four experts. An online learning platform was established using Google Classroom. Implementation. From March 14 to March 24, 2022, the researcher conducted a pilot study with two nurses in the military hospital and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Evaluation The program was revised after the pilot study. Finally, an IPC online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for nurses in military hospitals was developed to evaluate effectiveness. Two learning textbooks for instructors and participants were also produced to operate the program. Evaluation of IPC online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Homogeneity test. Homogeneity tests of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general and IPC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conduc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between the groups. Hypothesis Test. Hypotheses tests of the knowledge about ERID, the attitudes toward ERID, self-efficacy toward IPC, and compliance toward IPC against ERID were done. All hypotheses were supported as follows: 1) Regarding the knowledge change over tim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oth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B=4.244, p<.001) and two weeks after (B=2.926, p=.014). The effect size for the change in knowledge was high, at 1.07,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which decreased to medium, 0.69, after two weeks. 2) Regarding the attitudes chang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oth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B=3.558, p=<.001) and after two weeks (B=3.647, p=<.001). The effect size for the change in attitudes was 1.10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1.03 after two weeks, maintaining a high effect size. 3) Regarding the self-efficacy chang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oth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B=6.160, p=.002) and after two weeks (B=9.673, p=<.001). The effect size for the change in self-efficacy was 0.83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with a higher effect size of 1.12 after two weeks. 4) Regarding complia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both time points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B=12.196, p=<.001) and two weeks after (B=12.968, p=<.001). The effect size for the compliance was 1.99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1.85 after two weeks, which was calculated to maintain a very high effect size. Discussion Development of the IPC online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The developed program was designed with the intervention components of the IMB model as an educational strategy, and 10 learning topics specialized for military hospital nurses were included as educational content. The core components of the program were individual lectures (PPT video files) to improve the knowledge of ERID, discussion, learning reflection journal writing, and Q&A promotion to enhance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ERID as well as practice, feedback, and mentoring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toward IPC. All intervention elements were developed to be provided online. The key features of the program. There are three features of the program: 1) It includes specialized educational content that considers the role of military hospital nurses, so it can be used in practice in a timely manner as an educational program for military hospital nurses. 2)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s, this program is designed as an educational strategy based on the IMB model with multi-faceted intervention components, so the effectiveness of previously developed programs can further be strengthened. 3) This program has strength as an online program that promotes interactive learning and learning motivation for a positive learning effect. Supplement for practical appli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ollowing: 1) For the stable spread of the program,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which is an essential environmental element for online education (Iulianai, 2015). 2) In order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dditional learning topics on “stress management in ERID disaster” and “IPC for the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elderly, infants, and pregnant women” (Thatrimontrichai et al., 2021). Evaluation of IPC online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Effect on Knowledge about ERID The change in knowled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right after and two weeks after interv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online individual lectures are effective in enhancing knowledge about ERID. It is consistent with studies in which health care personnels’ knowledge is enhanced after providing information on ERID online (Katzman et al., 2021; Lingum et al., 2020; Sharma et al., 2021).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between previous studies and this study were that they used a user-friendly platform, provided less than one hour of training per session, were useful in practice, and used just-in-time education programs in ERID disasters (Evans et al., 2017; Mishra et al., 2020). The characteristics of “user-friendliness of online platform,” “appropriateness of training time,” “useful application of practice,” and “sufficiency for timely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providing individual online lectures to promote knowledge. The effect size of this study was the same as the effect size of 1.07 of the IPC program meta-analysis study (Park, 2018). However, it was smaller than the effect size of 1.46 of the nursing education meta-analysis study through e-learning and 1.74 of the nurse education program meta-analysis study (Park et al., 2021). This program seems to have improved knowledge as much as the offline infection control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studies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of Park (2018) were offline-based intervention studies. The reason why the effect size of this study was smaller than that of previous studies can be inferred as follows: it is likely that the subjects did not have enough time for review because this program was conducted as a two-week intensive course. Repetitive learning makes the forgetting curve smooth (Lee and Lim, 2020). Therefore, iterative learning is necessary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 size of knowledge.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factors that promote repetitive learning in online individual lectures. The effect size of knowledge will be higher if the program is supplemented based on these factors. Effect on Attitudes toward ERID The change in attitud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oth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hrough this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online discussion, reflection on learning, and facilitation of Q&A could be effective strategies for form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ERID among military hospital nurses.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the study that suggested that online case-based or interactive discussion, reflection, and Q&A interventions were useful in forming a positive attitudes toward ERID among health care workers and enhancing the intention to perform infection control (Katzman et al., 2021; Lingum et al., 2020). Zinatsa et al. (2018) suggested two methods for enhancing the motivation toward IPC among health care workers. It emphasized that they can play an active role in performing IPC and improve social support (Zinatsa et al., 2018). In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the change in attitudes of the participants was positively enhanced by experiencing an active role in solving the problems they faced through discussion, Q&A, learning reflection. The effect size of attitudes shown in this study was larger than the effect size of 0.53 in the meta-analysis study on IPC (Park, 2018) and 0.56 in the meta-analysis study on the nurse education program (Park et al., 2021). The reason why the effect size was larger than that of previous studies can be inferred as follows: First, it is considered that the intensity of the intervention components for attitudes change was relatively large. Second, it is considered as the IMB model factor that information factors can affect motivation. Third, according to the prediction, it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level of social motivation can be increased through peers, which can promote behavioral performances (Fisher et al., 2003). It is predicted that military hospital nurses will have a greater influence on each other than civilian nurses since the military is a group with high organizational cohesion.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n the effects or principles of interventions on attitudes change, although attitudes is an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in the compliance of IPCl against ERID (Nour et al., 2015; Tamang et al., 2020; Yap et al., 2010).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a qualitative study that can explore the process of attitudes change due to intervention more deeply is needed. Effect on Self efficacy toward IPC against ERID The change in self-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oth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It shows that online practice, feedback, and mentoring can be effective strategies for enhancing self-efficacy in infection control among military hospital nurses.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f studies that reported that real-time tele-mentoring, virtual simulation, and skill training improved self-confidence as well as perceived disaster preparedness and nursing skills (Katzman et al., 2021; Zang et al., 2021; Zinatsa et al., 2018). The effect size for IPC self-efficacy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was 0.83, and the effect size increased to 1.12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ffect size in this study was similar to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f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program for the elderly developed based on the IMB model (Lee & Park, 2021). On the other hand, the self-efficacy effect size of this study was smaller than the effect size of interventions using three resources of self-efficacy (Cha et al., 2004) and the effect size of the meta-analysis of the nurse education program (Park et al., 2021). The reason that the effect size on self-efficacy was smaller than that of previous studie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small intervention intensit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frequency and time of practice in order to secure stability in the accuracy of donning and doff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this study, the self-efficacy of infection control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over time. Therefore, a long-term follow-up study is proposed to confirm the pattern of the effect size of self-efficacy toward IPC. Effect on Compliance toward IPC against ERID n this study, the accuracy of PPE donning and doffing was selected as a measurement indicator of IPC compliance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Brown et al., 2019; Christensen et al., 2020; Hung et al., 2015). Before the intervention, the accuracy in PPE donning and doffing was below average, and it was lower than that of health care workers in previous studies (Hung et al., 2015). The results reflect the need for education to improve IPC compliance for military hospital nurses who should respond in a timely manner in the event of an ERID outbreak. The effect size on IPC compliance showed high levels being 1.99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1.85 after two weeks. This was larger than the effect size of the meta-analysis study of nursing education through e-learning (Lahti et al., 2014), the effect size of the infection control program meta-analysis (Park, 2018), and the effect size of the meta-analysis of the nurse education program (Park et al., 2021). These results suggest that online intervention based on the IMB model can be a very effective strategy for improving compliance toward IPC against ERID among military hospital nurses.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previous study that suggested that five complex interventions based on the IMB model could further enhance the elderly’s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Lee & Park, 2021). The IMB model was us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preventive behavior interventions in HIV-infected patients, chronically ill patients, and the elderly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tuberculosis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Chang et al., 2014; Lee & Park, 2021; Kanjee et al., 2012; Zinatsa et al., 2018).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pplied the IMB model to an intervention study to improve the IPC of ERID of military hospital nurses and suggested that the effect is large. Conclusion This study developed and evaluated an IPC online education program against ERID for nurses in military hospital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gram could enhance the knowledge about ERID, attitudes toward ERID, and the self-efficacy toward IPC among military hospital nurses, ultimately, effectively improve IPC compliance against ERID. Therefore, follow-up research and supplementation are required for stable program spread to military hospitals. 본 연구는 군 병원 간호사의 신종호흡기감염병 지식, 태도, 감염관리 자기효능감을 높여 감염관리수행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군 병원 간호사의 신종호흡기감염병 감염관리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은 Seels & Richey (2012)의 ADDIE 모형 5단계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 감염관리 지침 분석, 실무요구도 분석, 예비연구,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탕도 검증을 통해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군 병원 간호사에게 특화된 10개의 학습주제를 교육내용으로, IMB 모델의 중재요소를 교육전략으로 설계되었다. 프로그램의 중재요소는 지식 증진을 위한 학습동영상, 긍정적 태도 증진을 위한 그룹토론, 학습성찰일지 작성, 질의응답, 감염관리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실습과 피드백, 멘토링이며, 모든 중재요소는 온라인으로 제공되도록 개발되었다. 프로그램 효과 평가를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효과 평가를 위한 연구대상자는 군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였으며, 자료수집은 2022년 3월 2일부터 5월 3일까지였다. 실험중재의 확산 방지를 위해 대조군 자료수집 후에 실험군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사전조사, 2주간의 중재적용, 2회의 사후조사(중재직후, 중재 2주 후) 순으로 진행하였다. 대조군 24명에게는 학습교재를 제공하여 2주간 대상자 스스로 학습을 하도록 하였고, 실험군 26명에게는 2주간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χ2-test, independent t-test,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지식 변화량은 중재 직후(B=4.244, p<.001)와 중재 2주 후(B=2.926, p=.014)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지식에 대한 효과크기는 중재 직후 1.07의 높은 효과, 중재 2주 후는 0.69로 중간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태도 변화량은 중재 직후(B=3.558, p=<.001)와 중재 2주 후(B=3.647, p=<.001)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태도에 대한 효과크기는 중재 직후 1.10, 중재 2주 후에도 1.03으로 높은 효과크기가 유지되었다. 감염관리 자기효능감 변화량은 중재 직후(B=6.160, p=.002)와 중재 2주 후(B=9.673, p=<.001)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재 직후 효과크기는 0.83의 높은 효과, 중재 2주 후에는 1.12로 더욱 증가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감염관리수행도 변화량은 중재 직후(B=12.196, p=<.001), 중재 2주 후(B=12.968, p=<.001)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감염관리수행도에 대한 효과크기는 중재 직후 1.99, 중재 2주 후 1.85로 매우 높은 효과크기가 유지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중재로 인한 신종호흡기감염병 지식, 태도, 감염관리 자기효능감, 감염관리수행도 변화량에 대한 가설검정은 모두 지지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이 군 병원 간호사의 신종호흡기감염병 지식, 태도, 감염관리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감염관리수행도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안정적 확산과 유용성 확보를 위한 전략을 보완하여 이를 군 병원 간호사에게 확산한다면 신종호흡기감염병 유행 시 군 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수행 역량을 강화하고, 이들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외식고객의 관계효익이 만족과 거래성향에 따라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명숙 경기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기업들은 최대의 경영목표로서 고객만족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고객만족을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며, 고객만족이 실제 고객과의 관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 또한 환대산업 기업들이 과거처럼 핵심 서비스품질만을 중요시 하여서는 고객과의 관계만족 및 관계유지 그리고 경쟁업체와의 차별화를 이룰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외식기업으로 하여금 기존의 제품 및 서비스 중심의 사고에서 고객중심의 사고로 전화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최근 많은 외식기업들 사이에서는 기업의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한 주요 수단의 하나로 강력한 고객관계구축을 중요시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략적인 소비자세분화를 하여 목표소비자를 설정하고, 그에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여 기존 소비자와의 관계를 더 강화하는 관계마케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기업에 대한 고객의 고객효익, 고객만족 및 고객신뢰 그리고 관계지향성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외식기업들이 고객들의 장기적 관계 지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그들의 제한된 자원을 어떻게 할당할 것인가를 알려주기 위한 전략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자 서울지역에 위치한 패밀리레스토랑 중 2009년 외식년감의 통계자료에서 상위 7위권 내의 패밀리레스토랑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1일부터 3월 20일 까지 20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580부를 배포하여 총 519부를 유효자료로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프로그램과 AMOS 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효익과 사회적 효익, 심리적 효익, 그리고 특별대우 효익이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고객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많은 배려를 해 주어야 하며, 고객들에게 남들과 다른 우대와 특별함을 줄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고, 할인이나 마일리지 적립과 같은 마케팅으로 경제적 효익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고객들은 레스토랑으로부터 사회적 효익과 특별대우 효익을 받음으로서 레스토랑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종업원들은 고객관리 측면에서 고객을 남이 아닌 가족 같은 분위기로 친밀함을 유지하며, 고객들의 행동이나 취향을 기억해 두었다가 재방문 하였을 때 고객들이 요구하기 전에 서비스함으로서 특별한 서비스 또는 남과 다른 우대를 받는 다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고객만족과 고객신뢰가 높을수록 고객의 외식기업에 대한 장기적인 관계형성 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의 만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레스토랑에서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여러 가지 관계효익들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고객의 관계효익 지각 즉, 장기적인 관계지향성은 레스토랑에 대한 심리적 효익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경제적 효익, 특별대우 효익, 사회적 효익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레스토랑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들은 레스토랑과 종업원에 대한 신뢰와 편안함 및 안정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레스토랑에서는 고객의 욕구와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고객 지향적 관계효익 요인들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의사결정의 효율성, 점포 내 정보수집, 지각된 위험은 고객만족과 관계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의사결정의 효율성과 점포 내 정보수집은 고객신뢰와 관계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표본의 크기(sample size)에서 야기되는 연구결과의 일반화 문제이다. 본 연구는 패밀리레스토랑 중 상위 7개 레스토랑의 고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연구의 일반화의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향후 연구에서는 패밀리레스토랑 이외의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ㆍ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자료수집방법으로 자기기입법을 사용하였다. 이 변수는 동일방법변량으로 분수들 간의 관계가 왜곡되어 나타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자기기입법과 면접법 및 사례분석 등을 병행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수집일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외식기업과 고객과의 관계지향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다양한 영향변수들을 포함시키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즉, 사회적 영향집단으로서 가족(family), 준거집단(reference group) 및 의견선도자그룹(opinion leader group) 등이 있고, 거시적 환경요소로서 법률적, 문화적 및 경제적 환경요소들이 있을 수 있는데 이 점을 포함시키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고객만족과 신뢰와 같은 요인들이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명백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영향집단과 거시적 환경요소 등 더 많은 영향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