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30년대 여성작가의 여성의식 연구 : 박화성, 강경애, 최정희 소설을 중심으로

        정수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92

        930년대 여성작가의 여성의식 연구 - 박화성, 강경애, 최정희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정 수 희 본 연구의 목적은 1930년대 여성작가의 소설 속 여성인물의 양상을 살피고, 그를 통해 여성작가의 여성의식을 살피는 것에 있다. 30년대 여성작가 가운데 박화성, 강경애, 최정희를 선정하여 그들의 소설 속 여성인물이 처한 현실과 그에 따른 행동양식을 살펴보았다. 여성인물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작가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을 연관 지어 살펴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해낸 소설 속 여성인물의 모습을 통해 세 여성작가의 여성의식을 고찰하였다. 소설 속 여성인물은 크게 지식인 여성과 하층민 여성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각 그들이 처한 현실과 그에 대한 대응양상을 살펴 다시 몇 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였다. 우선 작가 자신들의 모습과 닮아있는 소설 속 지식인 여성은 ‘관찰자로서의 현실인식과 고발’, ‘지식인 여성의 이중성과 자아성찰’, ‘여성문제의 인식과 모성회귀’ 세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세 여성작가는 소설 속 여성인물을 통해 당시 지식인 여성이 처한 문제와 그 대안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지식인 여성의 역할과 시대적 여성상을 제시하려 노력하였다. 이들은 식민지하 조선 여성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하층민 여성들의 삶도 놓치지 않고 소설 속에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내고 있다. 중첩의 고통을 당하는 하층민 여성의 비참한 삶을 형상화함으로써 당시 사회의 모순을 고발하고 있다. 소설 속 하층민 여성은 억압적 현실에 체념하고 순응해 살아가는 인물과 소극적이나마 현실에 저항하는 인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여성인물들을 통해 세 여성작가의 여성의식을 고찰하였다. 작가들 간에 차이점과 공통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우선 여성문제에 대한 시각에서 차이점이 발견된다. 박화성과 강경애는 여성문제를 독립적으로 다루지 않고 식민지하의 시대적 현실문제의 일환으로 다루고 있고, 최정희는 모성의 문제와 같은 여성문제를 작품의 주요 소재로 삼아 여성세계에 천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박화성, 강경애보다 최정희의 여성의식이 심화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 다른 차이점은 강경애의 지식인 여성에 대한 의식에서 발견된다. 지식인 여성의 의식과 행동이 분열된 이중적 면모를 소설에 비판적으로 그려내고 있으며, 이에 그치지 않고 지식인인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자아성찰의 계기로 삼고 있어 지식인 여성에 대한 남다른 의식을 보인다. 이처럼 각자 개성을 갖고 작품 활동을 한 세 여성작가를 1930년대 여성작가로서 묶이게 하는 특징도 발견되고 있다. 세 여성작가는 모두 식민지 현실을 인식하여 작품 속에 반영하는데 진지하고 적극적이었다는 것이다. 특히 하층민 여성의 비참한 삶은 세 여성작가의 작품에서 모두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여성문제에 관심을 갖고 여성의 억압된 현실을 많은 작품에 형상화하여 고발하는 모습에서 세 여성작가의 여성의식의 자각을 엿볼 수 있었다. 그러나 전통적 여성상으로 회귀하는 모습이 부분적으로 나타나면서 여성의식의 한계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는 세 여성작가의 개인적 한계라기보다는 당시 변화하고 있는 사회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며, 전대 여성 작가들에 비해 진보된 여성의식을 보이면서 긍정적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당시 남성 작가들의 계급과 민족의 문제에 제한된 시선에 여성의 문제를 더함으로써 여성 해방의 시각을 확보하였고, 따라서 한국문학사의 심화와 확대에 기여하였다고 평가하였다.

      • 유방 마사지가 가임기 여성의 월경 전 주기적 유방통 완화에 미치는 효과

        강경애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주기적 유방동통을 가진 가임기 여성에게 유방 마사지가 유방동통, 유방 경도, 유두/유륜 신전성, 유방 크기, 유방 혈액순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동등성 전 후 실험 설계의 실험연구이다. 2016년 7월~9월까지 C시 소재 C의료원과 M여성병원, D시 소재 백화점 및 인터넷 카페를 통해 모집 공고한 연구대상자를 난소 생성 (Random number generation)방법으로 무작위 할당하였으며 대조군은 27명, 실험군은 27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처치는 좌/우 유방 각각 15분씩 총 30분간 유방 마사지를 제공하였고 실험 처치 전후로 설문지와 유방동통, 유방경도, 유두/유륜 신전성, 유방크기, 유방 혈액순환을 측정하였다. 실험 처치 1일째, 2일째, 3일째 유방동통 정도는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유방동통의 각 문항은 숫자 통증 척도(numeric rating scale)로 구성된 유방동통 척도(cycle mastalgia scale; CMS)로 조사하였고 유방 경도는 유방압 측정 경도계(고무경도계, SHORE C-type, HANDPI, Zhejiang, China)로 측정하였고 유두/유륜 신전성은 10 cm자를 이용하여 유경에서 유두 끝까지 늘어나는 길이를 측정하였다. 유방 크기는 줄자를 사용하여 유경에서 유방의 12시, 6시, 3시, 9시 방향을 측정하였고 유방 혈액순환은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FLIR C2 Camera, 125 × 80 × 24 mm, FLIR, USA)로 유방체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두 집단 간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사전 동질성 검정은 카이 제곱 검정(chi-square test) 및 t-test로 분석하였고, 두 집단 간 실험 전후 차이는 t-test와 시점에 따른 변화는 Repeated measures of ANOVA로 분석하였다. 각 집단 간 일반적 특성과 월경, 생리에 관련된 특성, 유방 통증 관련 특성에 대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실험 처치 전 유방 통증, 유방 경도, 유두/유륜 신전성, 유방 혈액순환에 대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유방 크기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 군간 독립변수의 기초자료 모두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방 통증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t=-7.611, p<.001). 반복 측정 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시점과 집단 간의 교호 작용이 유의하였으며(F=49.159, p<.001), 시점 간의 차이도 유의하였고(F=50.858, p<.001), 집단 간의 차이도 유의하였다 (F=55.783, p<.001). 따라서 제 1 가설은 지지되었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방 경도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우측 t=-8.926, p<.001; 좌측 t=-10.335 p<.001). 반복 측정 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시점과 집단 간의 교호 작용이 유의하였으며(우측 F=39.925, p<.001; 좌측 F=49.156, p<.001), 시점 간의 차이도 유의하였고(우측 F=61.609, p<.001; 좌측 F=66.163, p<.001), 집단 간의 차이도 유의하였다(우측 F=33.301, p<.001; 좌측 F=24.868, p<.001). 따라서 제 2 가설은 지지되었다.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두/유륜 신전성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우측 t=3.581, p=.001; 좌측 t=4.658, p<.001). 반복 측정 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시점과 집단 간의 교호 작용이 유의하였으며(우측 F=110.987, p<.001; 좌측 F=98.474, p<.001), 시점 간의 차이도 유의하였고(우측 F=120.137, p<.001; 좌측 F=122.792, p<.001), 집단 간의 차이도 유의하였다(우측 F=4.851, p=.032; 좌측 F=9.395, p=.003). 따라서 제 3 가설은 지지되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방 크기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우측 t=4.405, p<.001; 좌측 t=4.767, p<.001). 사전 유방 크기 차이로 실험 처치 전, 후의 유방 크기 평균의 차이 값은 우측 유방의 실험군 0.42 cm, 대조군 0.04 cm 좌측 유방은 실험군 0.48 cm, 대조군 0.05 cm로 유방 크기 변화는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우측 t=7.575 p<.001; 좌측 t=7.881 p<.001). 반복 측정 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시점과 집단 간의 교호 작용이 유의하였으며(우측 F=57.387, p<.001; 좌측 F=62.108, p<.001), 시점 간의 차이도 유의하였고(우측 F=87.117, p<.001; 좌측 F=93.144, p<.001), 집단 간의 차이도 유의하였다(우측 F=14.999, p<.001; 좌측 F=17.489, p<.001). 따라서 제 4가설은 지지되었다.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방혈액순환은 실험군의 좌측 유방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좌측 t=-2.817, p=.007). 시간 경과에 따라 대조군은 우측 0.074℃가 상승하였으나 좌측 0.041℃ 로 유방체 표면온도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실험군은 우측 0.315℃, 좌측 0.52℃로 모두 실험처치 후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측 t=-3.084 p=.003; 좌측 t=-4.059 p<.001). 반복 측정 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유방혈액순환은 시점과 집단 간의 교호 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우측 F=9.508, p=0.003; 좌측 F=16.476, p<0.001). 따라서 제 5 가설은 지지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유방 마사지가 주기적 유방동통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유방경도가 감소하고, 유두/유륜 신전성과 유방크기는 증가하였으며, 유방혈액순환을 도모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그러므로 가임기 여성의 주기적 유방동통에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인 유방마사지를 적극적으로 임상에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경애 총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s of Mothers’ Self-Esteem, Family Strengths, and Parenting Stress on Their Parenting Efficacy Kang, Kyung-A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self-esteem, family strengths, and parenting stress on their parenting efficacy.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do mothers’ and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affect mothers’ self-esteem, family strength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Second, how do mothers’ self-esteem, family strengths, and parenting stress correlate with their parenting efficacy? Third, what are the effects of mothers’ self-esteem, family strengths, and parenting stress on their parenting efficacy? The subjects were 232 mothers who had infants between the ages of 0 and 5 and attending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November 20 and December 20, 2017, and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The following research tools were used in the study. The Self-Esteem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Rosenberg (1965) and translated by Jeon Byeong-Jae (1974), was used to examine mothers’ self-esteem. The Development of Korea Family Strengths Scale (KFSS-Ⅱ), which Yoo Yeong-Ju et al. (2013) suggested by modifying, improving, and validating the KFSS developed by Yoo Yeong-Ju (2004), was used to measure family strengths. A modified version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PSI/SF), which Kim Hyeon-Mi (2004) employed by translating and improving the original PSI/SF developed by Abidin (1990), was used to measure parenting stress. In addition, a scale that Yeon Hye-Min (2015) suggested by modifying and improving the Korean version of 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s (K-EGSCP), which Seong Ji-Hyeon and Baek Jin-Hee (2011) produced by validating the original EGSCP developed by Meunier and Roskam (2009), was used to measure mothers’ parenting efficacy.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mothers’ self-esteem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resulted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In terms of family strengths according to mothers’ background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time for parental involvement. In term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time for parental involvement, whereas the birth order of mothers’ children affected their parenting stress levels, with the result that mothers with a first child showed corresponding high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In term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ir monthly income and children’ birth order. Second, in the correlations of mothers’ self-esteem, family strengths, and parenting stress with their parenting efficacy, mothers’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parenting efficacy, whereas mothers’ parenting stress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parenting efficacy. Third, as variables that influenced mothers’ parenting efficacy, mothers’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had positive effect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parenting efficacy.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finds a significance in terms of identifying that mothers’ self-esteem, family strengths, and parenting stress have close correlations, and notably, mothers’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ar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ir parenting efficacy.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자녀 배경 변인에 따른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은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0세-만 5세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232명이며, 2017년 11월 20일부터 12월 20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알아보기 위해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전병제(197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척도’를 사용하였고, 가족건강성을 측정하기 위해 유영주(2004)가 개발한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를 유영주 외(2013)을 수정․보완하고 타당화한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Ⅱ(Development of Korea Family Strenghs Scale: KFSS-Ⅱ)를 사용하였고,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0)이 개발한 Parenting Stree Index Short Form(PSI/SF)를 김현미(2004)가 번안․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Meunier와 Roskam(2009)의 ‘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s(EGSCP)’를 성지현과 백지희(2011)가 타당화한 한국판 양육효능감 척도(K-EGSCP)를 연혜민(2015)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은 학력, 월소득, 하루평균 양육참여 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수준은 학력, 월소득, 하루평균 양육참여 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의 배경 변인에 따른 양육효능감은 월소득,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양육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변인은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양육스트레스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특히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건강성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비교감상법을 통한 전통미술 감상

        강경애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진주가 낳은 세계적인 화가 박생광씨는 “역사를 떠난 민족은 없다. 전통을 떠난 민족 예술은 없다. 모든 민족 예술은 그 민족 전통 위에 있다.” 라고 했다. 세계의 문화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이 때 민족 고유의 주체성을 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발휘하여 새로운 문화 창조로 경쟁력을 키워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미술과 교육은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미적 감수성을 길러주며, 상상력과 창의력을 계발하고 비판적인 사고 능력과 미술 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미술 감상의 목적은 작품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얼마나 이해를 하는 가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미술작품의 가치를 민감하게 느끼는 일이 중요하다. 물론 아는 만큼 느낀다는 말이 있듯이 기본적인 지식과 감상태도를 기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초등학교에서부터 전통미술에 대한 감상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때 전통미술은 세계 속에서 그 빛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그리고 그러한 감상교육을 받은 어린이는 미술문화를 통해서 과거와 현재를 이해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문화의 창조와 발전에 공헌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지각활동과 언어표현 활동을 이용한 작품 비교감상으로 전통미술 감상을 통해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게 하고 우리 것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지게 하여 전통을 재창조하는 바람직한 미술문화에 참여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올바른 감상지도를 위해 여러 문헌을 통한 초등미술 감상교육의 개념을 알아보았다. 둘째, 전통미술의 기초적 이해를 위해 전통미술의 의미와 특징을 알아보고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전통미술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미술감상의 여러 가지 방법을 조사하여 분류하고 비교감상을 하기 위한 작품을 찾아 제시기준을 정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여러 가지 문헌을 통한 이론적인 조사 후 초등학교 5학년 40명의 아동으로 수업에 적용하였다. 감상영역은 서로의 작품 감상과 미술품 감상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여기서는 전통 미술 감상으로 한정하였다. 비교감상법을 통한 전통미술 감상 지도의 실제에서는 첫째, 작품의 제시기준을 동일소재, 우리나라와 외국, 다른 시대, 다른 기법 의 작품으로 정하였다. 둘째, 학습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체학습에 의한 감상지도를 실시하여 비교감상의 방법을 익히고 흥미를 가지게 하였다. 셋째, 개별학습에 의한 감상지도에서 (1)단계에서는 비교감상의 항목을 제시해 주었고 (2)단계에서는 감상항목을 어린이 자신이 정해 감상하도록 하였다. 폭넓은 이해를 위해 사전에 과제를 제시하여 기초 조사를 하게 하는 방법을 취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연구한 결과 첫째, 교사의 설명과 학습의 방법을 익히면서 학생 자신의 생각을 마음껏 표현하고 칭찬이 오가는 과정에서 어느 교과보다 재미있다고 하였다. 둘째, 자칫 소홀해지기 쉬운 감상 영역에서 교사나 학생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셋째, 우리의 전통미술을 흔하고 가볍게 여기던 생각에서 우리의 것은 재미있고 깊은 뜻이 숨어있으며 조상들의 혼이 들어있는 작품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넷째, 비교감상학습에서 얻어진 전통미술에 대한 이해로 우리의 것을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가 길러졌다. 토의하는 과정에서 자신감과 발표능력이 길러짐과 동시에 학생과 교사간에 더 친근함이 배일 수 있었다. 개별학습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사고력과 문장력이 길러졌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세를 가지게 되었다. 본 비교감상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의 타교과 학습시 토의와 토론 학습에 좋은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의 길에서 미술관련 직업을 모색하는 학생도 있었다. Saeng Gwang Park, the world-famous painter of Chinju, said: "There is no people without history. There is no national art without tradition. All national arts stand on the tradition of the people."In this times of active exchanges of cultures around the world,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fully establish the unique subjectivity of Korean people and exercise creative and unique ideas based upon the established subjectivity so as to increase competitiveness in creating new cultures. The purpose of art and education is nurture students to become fully competent persons who are equipped with abilities to feel the beauty of the world around them through their aesthetic sensibility, imaginativeness and creativity, critic thinking, and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new art cultures, that they have to develop and cultivate. The purpose of art appreciation is not to analyze art works or teach students how to understand art, but help them to sensitively feel the values of art works. Of course, it is the most important to acquire the basic knowledge of art works and to cultivate right appreciating attitudes them as an old proverb says: "You feel as much as you know." In order for traditional art to shine brightly in the world, the appreciation education of traditional art should be given fully in the right way from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receive such an appreciation education can understand the present and the past through art culture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es. This study put its objective in getting students to have the right view of values by appreciating traditional art through comparative appreciation by means of perceptive and language expression activities and to participate in desirable art culture which recreates tradition with concern and interest in ou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it looked into the concept of the elementary school art appreciation education by referring to various related publications to provide right appreciation method; second, to provide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art, investigate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t and the necessity to teach traditional art so a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traditional art; third, studied on various methods for art appreciation and classified them, and found works helpful for comparative appreciation, set standards for presentation and applied them in the class. The theoretical studies were conducted by means of various publications and the results were applied to the class of 40 students in their 5th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range of appreciation consists of the appreciation of their works and other art works, but herein limited to the appreciation of the traditional art. Teaching how to appreciate traditional art through comparative appreciation method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 standard for the presentation of works was set to works of the same materials, Korean and foreign works, works ofdifferent ages and works in different techniques; second, to reduce the burden of learning on students, helped the students to be familiar with, and interested in, the comparative appreciation method by teaching how to appreciate works through the general learning; third, at the appreciation teaching in individual learning, (1) the items of comparative appreciation were presented in the first stage and (2) the students were let to choose themselves from the items to appreciate the works in the second stage. To help the students have a broader understanding of works, assignments were given to the students in advance to preview. This study came up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tudents said the class was more interesting than any other because they could express their thoughts freely and become familiar with the learning method and because of the commendations given in the class; second, both the teacher and students came to have much more interest in the field of appreciation which can be easily neglected; third, the students came to think that their traditional art,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be commonplace and has been treated lightly, not only is interesting and has deep meaning but also contains the spirit of their ancestors; fourth, the students came to have the attitude to succeed to and develop their traditional art due to their understanding of it acquired through the comparative appreciation learning. Furthermore, the students became intimate to the teacher and at the same time their confidence and expressing ability improved in the course of discussion. Their thinking ability and writing ability got better in the course of preparing individual learning materials, and they become receptive to others' opinions. This comparative appreciation learning method had positive effect on students' learning through discussion and debate in their classes of other subjects, too. Some of the students wanted to find art-related jobs in the future.

      • 萬海 韓龍雲의 漢詩 硏究

        강경애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 Hae is called as a revolutionist, a Zen master, and a poet. Man Hae's wholeness is found out through these three features. Chinese poetry which is written until the 60Th anniversary of his birth means that the origin of his literature behavior and the companion for his life. It is still essential for to know Man Hae's living and personality. Now 176 Chinese poetry passes down, and this study has proposed 3 parts according to the contents as followings: (1) Interaction poetry (2) Zen-poetry (3) Prison life-poetry Firstly, Interaction poetry is kind of friendship poems. He is encouraged and feel freedom by interacting with others. Through these actions, he can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to learn and produce effective ways of feeling. He was a man who was warm-hearted and fond of drinking, but a sincere person. His consciousness moved from individual area to great social sphere. Secondly, Zen-poetry expresses the enlightenment impressions of the moment of recognition. Odo-poem is the one that connotes higher symbol and sensible touch that the poet overcoming his intuition. The goal of a bonze is spiritually awakened and his Zen-poems show the world of "Every mind is truth" And last, This study focuses on the prison life-poetry. Since he was a leader revolutionist involved Korea Independence Movement, got arrested for three years. The poem during that period, he reveals his strong will and the firm patriotism with which he resisted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a real character as a Zen master, and a sensible touch as a poet. Therefore, Freedom is the main source of Interaction-poetry, Zen-poetry, and a Prison life-poetry. Man Hae's long meditation, ascetic practices, and the enlightenment are the background of Zen-theory. In these facts, we may realize that the freedom in the world can enlarge the liberty. I can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Zen-poetry and freedom in this study.

      • 웹 기반 원격교육 시스템의 비교 분석

        강경애 동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웹 기반 원격교육 시스템의 비교 분석으로 원격교육과 원격교육 시스템의 개념 및 활용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원격교육 시스템의 현황과 기능을 분류하고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국내 원격교육 시스템은 비동기 공유 기능은 대부분 제공되고 있으나 동기 공유 기능의 제공이 대체적으로 미비하다. 이는 현재 인터넷의 대역폭과 멀티미디어 처리기능의 제약에 기인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둘째, 대부분의 원격교육 시스템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각 기능의 성능을 평가하여 볼 때 보완 및 개선의 여지가 있다. 끝으로, 대부분의 원격교육 시스템은 교육 컨텐츠 교환의 표준으로 부상되고 있는 IMS 표준을 따르고 있지 않다. 이는 차후 교육 컨텐츠의 공유와 상호 교류에 많은 제약이 있으므로 국제 표준에 따르는 원격교육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Web-based distance education systems. In order to do this, we classified the functions of distance education system and examined the typical education systems in use today. By careful examinations of distance education systems, w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domestic distance education systems support most asynchronous sharing functions, but they are not sufficient to offer synchronous sharing functions. This may result from the limitations of bandwidth and multimedia processing capabilities of Internet. Secondly, while most of the distance education systems may support various functions, there are some insufficiency of these functions. And finally, most distance education systems don't conform to IMS standard, which will be the future standard for the exchange of educational contents. Thus we hope that future distance education systems will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IMS contents architure model.

      • 부모교육 참여가 자녀양육태도 및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강경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교육 참여가 자녀양육태도 및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의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교육 참여가 부모의 자녀양육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이며, 둘째, 부모 교육 참여가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가족유형, 부모의 직업유형, 부모의 학력, 부모의 소득 수준에 따른 변화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강원도 6개시·군(춘천, 홍천, 화천, 철원, 양구, 인제)에서 실시한 좋은 학부모교실에 참여한 부모 141명이다. 부모 양육태도는 4개 하위영역(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과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는 하위영역(심리적 만족도, 생활문화 만족도, 의사소통 만족도) 척도를 가지고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설문지의 각 문항을 점수화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통계프로그램 12.0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α를 사용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해 빈도, 백분율과 같은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사후와 사전의 양육태도,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 참여가 양육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유형, 부모의 직업유형에 따른 양육태도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부모의 학력, 소득수준에 따른 양육태도에 있어 점수 변화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부모교육 참여가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족유형, 부모의 직업유형, 부모의 학력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있어 점수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부모교육 참여가 자녀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법을 적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n parents education on parental attitudes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These objectives are set by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child-rearing attitudes of parents to influence and, second,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the parent - child relationship is the impact on satisfaction. Family type, parents' occupation type, parental education, parental income level, differences were due to the change. 6 This study initiation, the province's (Chuncheon, Hongcheon, Hwacheon, Cheorwon, Yanggu, Inje) conducted in 141 parents participated in a parent class people. Parenting the four sub-regions (affectionate attitude, rejective attitude, self-attitude, controlling attitude) and the parent -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sub-areas (psychologic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culture,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the pre-test and measure Each post-test was conducted. The data for each item of the questionnaire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analysis SPSS / WIN 12.0 program for statistical and analytical methods used are as follows. First, the scale used in this study to test the reliability of Cronbach's α was used. Second, the study subjects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percentage,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Thir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ccording to the rearing of post-and pre-parent - child relationship to determin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test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 involvement in education in a nurturing attitude change was a positive influence. Family type, parents 'occup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hange in parenting attitud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parents'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ccording to the points raised in the attitude chang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parent involvement in education, the parent -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According to income level, parent -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type, parents' occupation type, education of parents parent -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the difference in scores,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n parents education on parental attitudes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impact was shown. Applying conversation Rearing Parent Education Program of the parent and the parent - child relationships and positive difference in satisfaction can be a useful program to improve.

      • 헤어스타일에 따른 직업별 선호도 조사 연구

        강경애 한남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discover whether hairstyle is relevant to occupation and how hairstyle vary in different fields of work by analyzing hairstyle preferences in terms of both gender and occupation. The ingredient data for the research was collected by referring to precedented records, papers, surveys and studies. Primarily based on related references, this study scrutinizes the general concept peculiarities of hairstyle, and the transition of hairstyle from the Liberation to 2005 in Korea. In the survey conducted, total 186 men and 223 and women are treated in various fields of work, the age range is from 19 to 58. The questionnaires are made of 21 items. The survey questionnaires include questions on respondents’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age, and occupation, current hairstyle, satisfaction level at the current hairstyle, hairstyle preference, and ideal hairstyle for the counter gender. Referring to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 provided by Korean Statistical Office, all occupations are classified into 5 different categories: service sector, professional work sector, clerks sector, seller sector, and technical service sector. The methodology utilized to collect and analyze data is presented in the 2nd chapter of this study. The chapter 3 displays all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interpretations of them are explained in the chapter 4.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valid data are as followings. First, regarding the current hairstyle and satisfaction with it, 43.3% of all respondents of all gender, age, and occupation groups has medium-length hairstyle. This shows that the medium-length hairstyle is perceived as either safe or trendy. 65.4% is not gratified with the current hairstyle. This infers that a sizeable number of respondents has a desire to give a change to the current hairstyle. Secondly, respondents were requested to express their hairstyle preferences. 29.1% of the total male respondents favors medium-length curled with so-called volume perm hairstyle. Among all the female respondents, 29.8% is inclined to the volume-permed below shoulder-length hairstyle. Even though the preferred hair-length differs, both man and woman respondents, regardless of their age, choose the volume-permed over straight hair. Notably, 38.9% of all the respondents working in the service sector also picked volume-permed hairstyle. On the other hand, 25.0% of all the respondents in the professional work sector opts for straight hair. Finally, a question about the ideal hairstyle of the opposite gender is asked to the respondents. 61% of the male respondents answer that they are more inclined toward a women with long straight hair. Then again, 67% of female respondents wish that the ideal hairstyle for a man is medium-length volume-permed hairstyle. The conspicuous finding is the contrasting result of hairstyle preferences revealed in the service and professional work sectors. The fact that particularly preferred hairstyle varies in certain fields of work implies there is a reasonable relevance between occupation and hair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