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성 증진을 위한 도심 내 구릉지 복합주거문화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강경덕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need of complex residential and cultural facilities in which residence and culture coexis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ill area residence and community spaces. 70% of the country is surrounded by mountainous districts but most of them were not developed in making use of features of the slope using the developing method of flat lands. Among redevelopment projects that are being currently planned, 66.5% of the whole percentage are development of hill area, which means that redevelopment of hill area accounts for significant parts. These days the parts considering nature are increased so that terrace house are being built as a solution to a housing complex on hill area but narrow space for community doesn't make use of features of hill areas but focuses on only views, even which doesn't play its own role since those were blocked by the front houses. The house is for us to take a rest comfortably and a space for a pleasant and happy life constituting community prior to a fortune or a product. That is, since it is the space for raising the life value and communication with neighborhoods beyond one-dimensional functions, when focused on the issue that can establish diverse community space which is another advantage of hill area, the solution to an issue of communication and to raise publicity is intended to consider by suggesting complex cultural facility in which local residents can easily visit and use communicating space as local cultural facility when planning residence on hill area, not simply residents of the housing complex.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after residence of hill area and features and necessity of complex cultural facility were mentioned, on the basis of that, complex residential space on hill area that will be built around 23, the number of house, Hong Eun Dong was planned.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First, as a method of layout for revitalization of streets, cultural facilities were planned along the road with the width of 15m and an underground connecting passage was made for an population who flowed in due to the Hong Je stream to naturally use those cultural facilities. Besides, it made it possible that people could easily visit and enjoy them without any purpose by that connecting passage. The space is intended to suggest for communication and interchange between inhabitants and local residents by extending it into public spaces within the region with a plan of complex cultural facility that both inhabitants and local residents can use. Second, small square in the center of residential space for a casual meeting and a mutual chemistry was planned for revitalization of community within residence so that people can access to residential area through this square. Since people are supposed to go through the square to access the residential area, communication among residents within residential area can occur and the function of the square could be revitalized by many kinds of events. Third, for revitalization of streets in residential area, the street space should not be intended to be meaningless by using alpha room that is for interest. The community mainly occurs on the streets pedestrians mainly go to and from or around the streets. Thus, it provides something to see for community around the street to be revitalized. Fourth, to make use of nature of the existing place, the element of fence and wall were used in design aspect. A place can b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physical substance distributed in a space and emotional feeling of human towards it and the nature of a place is the whole feature that makes a space into a place and distinguish specific place from other places. Therefore, the nature of a place becomes to arouse affection and the desire of a visit in local residents and inhabitants. This plan reflected the elements of the existing fence and wall in design of layout of houses and the shape of their roofs. Thus it was planned to give a visual fun when people climb the slope resulting from hill side or use the roof garden. Since a house raises the value of life beyond one-dimensional function and is a space for communication with surroundings, when planned residential areas, the housing complex with harmonic residence and culture will be created along with space considering community that would be main part of it. Even now as a means of spending free time resulting from 5-day a week basis, various community facilities are being planned within the housing complex but there is a risk and they could be easily neglected by people since they are located only in the outskirts or use a remnant unusable land. To solve this, lots of population are needed and not a space obligatory made, but it should be planned by using well streets for people to go and from in daily life and space in front of residence. Besides, if there is a part lacking cultural facilities within the region, it should stand as a space to meet the desire towards culture of citizens as well as inhabitants through complex cultural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planning the housing complex on hill area and various studies on the nature of a place and Korean thing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구릉지주거와 커뮤니티 공간과의 관계를 통해 주거와 문화가 공존하는 복합주거문화공간의 필요성을 연구함에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는 70%가 산지로 둘러싸여 있으나 평지개발방식을 사용하여 경사지의 특징을 살리지 못한 개발이 대부분이다. 현재 계획되고 있는 재개발사업 중 전체비율의 66.5%가 구릉지개발일 정도로 구릉지 재개발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요즘에는 자연을 고려하는 부분이 많이 늘어 구릉지에 세우는 주거단지의 대책으로 테라스 하우스가 들어서고 있지만 협소한 커뮤니티 공간은 구릉지의 특성을 잘 살리지 못하고 단지 경관만을 중시하고 있으며 이마저도 앞의 건물에 막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집은 재산이나 상품이기 이전에 우리가 편히 쉴 수 있으며 공동체를 구성하며 즐겁고 행복한 삶을 위한 공간이다. 즉, 1차원적인 기능을 넘어 삶의 가치를 높이고 주변과 소통하기 위한 공간이기 때문에 구릉지의 또 다른 장점인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을 때 구릉지 주거 계획 시 커뮤니티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단순히 단지의 주민이 아닌 지역문화시설로서 지역 주민들이 쉽게 방문하고 이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시설을 제안하여 소통의 문제와 공공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우선 구릉지 주거와 복합문화시설의 특성과 필요성에 대해 언급한 후 이를 바탕으로 홍은동 23번지 일대에 세워질 구릉지 복합주거문화공간을 계획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할 수 있다. 첫째, 가로활성화를 위한 배치의 방법으로 15m도로에 문화시설을 설치하였으며 홍제천으로 인해 유입되는 인구가 자연스럽게 문화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하연결통로를 만들었다. 또한 연결통로로 인해 목적성을 가지지 않아도 쉽게 방문하여 즐길 수 있게 하였다. 거주자와 지역주민 모두가 이용 할 수 있는 복합문화시설의 계획으로 지역 내 공공의 공간으로 확장되어 거주민과 지역사회 주민들간에 소통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둘째, 주거지내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하여 주거공간 중심에 우연적 만남과 상호교감 할 수 있는 소 광장을 계획 하였으며 이 광장을 통하여 주거지내로 진입하도록 계획하였다. 주거지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성 광장을 거쳐야 하므로 주거지 내의 주거민들과의 소통이 발생 할 수 있으며 각종 이벤트의 발생으로 광장의 기능이 더욱더 활성화 될 수 있다. 셋째, 주거지의 가로공간 활성화를 위해 커뮤니티 공간, 취미공간인 알파룸을 사용하여 의미 없는 가로공간이 되지 않도록 한다. 주로 커뮤니티는 보행자가 주로 다니는 길 또는 그 길 주위에서 발생한다. 이에 가로를 중심으로 커뮤니티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볼거리를 제공하여 준다. 넷째, 기존의 장소성을 살리기 위해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담과 벽의 요소를 이용하였다. 장소는 공간상에 분포하는 물리적 실체와 그에 대한 인간의 정서적 느낌의 결합이라고 정의 할 수 있으며, 장소성은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 특정장소를 다른 장소와 구별되게끔 하는 총체적 특성이다. 따라서 장소성은 지역주민과 거주민에게 애착과 방문 욕구를 불러일으키게 된다. 이번 계획에서는 건물의 배치와 지붕의 형태에 기존의 벽과 담의 요소를 이용하여 디자인에 반영하였다. 이에 구릉지로 인하여 경사지를 오르거나 옥상정원을 이용할 때 시각적인 재미를 줄 수 있게 계획하였다. 집은 1차원적인 기능을 넘어 삶의 가치를 높이고 주변과 소통하기 위한 공간이기 때문에 주거를 계획할 때는 커뮤니티를 고려한 공간이 주를 이루게 되며 주거와 문화가 어우러지는 주거단지가 생겨날 것이다. 현재에도 5일제 근무로 인해 남는 여가시간을 보내기 위한 방편으로 주거 단지 내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을 계획하고 있지만 단지 외곽에 위치하거나 못 쓰는 자투리 땅을 이용하여 사람들에게 소외받기 쉽고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사람들이 주로 소통, 교감하는 공간은 의무적으로 만들어 놓은 공간이 아닌 사람들이 주로 다니는 생활가로와 주거 앞 공간 등을 잘 이용하여 계획을 해야한다. 또한 지역 내 문화시설이 부족한부분이 있다면 복합문화시설을 통해 거주민 뿐만 아니라 시민들에게 문화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 잡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앞으로의 구릉지 주거단지 계획시 도움이 되길 바라며 장소성, 한국적인 부분 등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경찰공무원 대상 심폐소생술 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강경덕 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인구의 고령화, 서구화된 식생활과 각종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심장 질환과 뇌혈관 질환의 증가로 인하여 심정지 환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심정지 환자는 4분이라는 골든타임에 심폐소생술의 응급처치를 받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하거나 뇌손상 등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종 사건·사고 현장에서 심정지 환자를 상대로 신속하고 적절한 심폐소생술 시행하기 위해서는 일차반응자인 경찰공무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응급상황의 경우에, 현장에 출동한 일차반응자인 경찰공무원이 각종 사건·사고 현장에서 심정지 환자를 상대로 심폐소생술을 정확히 시행하지 못하고 당황하거나 주저하여 시민들로부터 비난을 받거나, 심폐소생술을 응급처치 매뉴얼대로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사망했다는 이유만으로 그 환자 유족들로부터 민사소송 및 형사고소를 당하고 있는 실정으로 경찰공무원의 심폐소생술 교육 활성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현재 경찰공무원의 심폐소생술 교육 실태 및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심폐소생술 교육의 부족과 면책제도가 미비하다. 경찰 교육기관 및 직장교육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이론 중심의 형식적인 교육으로 실습 위주의 교육이 부족하고, 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제도가 미비하다. 둘째, 심폐소생술 교육의 전문인력이 부족하다. 각 지방경찰청 및 경찰서에서 실시하는 직장교육‘응급처치 요령 등 인명구조 교육’시간에 대한적십자사 응급처치 전문 외래강사 1명이 약 100여명의 경찰공무원을 상대로 소집교육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심폐소생술 교육의 장소와 장비가 부족하다. 심폐소생술 교육은 대부분 실습 위주로 교육하기 때문에 교육 장소와 장비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각 지방경찰청 및 경찰서에는 매트가 깔려있는 체육시설 등 교육장소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심폐소생술 실습용 마네킹과 교육용 자동심장충격기 등 교육장비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경찰공무원의 심폐소생술 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첫째, 교육과정별 심폐소생술 교육을 의무화해야 한다. 경찰인재개발원에서는‘응급처치 일반과정’1주 교육과정을 신설하여 매년 주기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중앙경찰학교는 신임과정‘응급처치 교육’을 3시간에서 6시간으로 늘려 집중교육하고, 경찰대학교 신임교육과정인 경찰대학생 학사학위과정도 중앙경찰학교 신임과정과 같은‘응급처치 교육’을 신설하고 6시간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경찰 직장교육도 1년에 1회 2시간에서 1년에 분기별 2시간으로 늘려 일상적으로 교육으로 변경해야 하고, 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제도의 개선도 필요하다. 둘째, 활용가능한 교육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각 지방경찰청별 현장강사와 각 경찰서별 무도사범 등을 활용하여 응급처치 자격증을 취득하게 하거나 경찰인재개발원에서 심폐소생술의 응급처치 교육을 이수시켜 전문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신임경찰관 채용시 응급처치 자격증도 가산점 2점을 부여해야 한다. 셋째, 교육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각 지방경찰청 및 경찰서에서 실시하는 직장교육‘응급처치 요령 등 인명구조교육’을 할 수 있도록 매트가 깔려있는 체육시설을 확보하거나, 이동식 매트를 구입하여 강당에서도 실습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최소한 심폐소생술 실습용 마네킹 30개, 교육용 심장충격기 4대 등 교육장비를 확보하여 실습 위주의 교육을 해야 한다. 이번 연구는 일차반응자인 경찰공무원이 각종 사건·사고 현장에서 심정지 환자 등 응급상황에서 당황하거나 주저하지 않고 신속하고 적절한 심폐소생술의 응급처치를 시행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나아가 국민들로부터 신뢰와 존경을 받는 경찰공무원이 되기를 바란다.

      • 건축물의 시각화를 위한 디지털 라이트 설정에 관한 연구 :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강경덕 한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조달청 기준으로 2008년 6,862개 2009년 7,640개 2010년 8,325개 2011년 9,776개 2012년 10,492개 매년 현상설계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중 교육시설 현상설계는 2008년 13개 2009년 10개 2010년 30개 2011년26개 2012년 13개로 집계되었으며 이중에서도 초, 중, 고등학교 현상설계는 2008년 1개 2009년 6개 2010년 10개 2011년 5개 2012년 5개로 집계되었다. 현상설계에서 건축물의 시각화는 디자이너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런 시각화 작업은 1990대 개인PC 보급과 함께 건축에서도 많은 부분의 수(手)작업이 컴퓨터를 활용한 작업(CAD)으로 대체되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건축의 시각화에도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건축투시도도 수(手)작업에서 컴퓨터그래픽을(C. G) 이용하기 시작하였으며 개인PC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건축그래픽(C. G)의 발전이 급속한 성장세를 이루었다. 2000년대 들어와 설계사무실과 많은 건축가들은 건축그래픽(C. G)의 성과물이 필수적인 사항이 되었다. 현상설계, 심의, 각종 계획안 및 Presentation 등에서 건축그래픽의 역할도 중요하게 되었다. 2010년대에는 창의적이고 극사실적인(hyper reality) 건축의 시각화를 만들어 내고자 많은 분야에서 노력을 기했고 무단한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극사실적인(hyper reality), 건축의 시각화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발전을 통해 자연광과 같은 디지털 라이트의 생성 및 설정. 자연광과 같은 환경 값을 통하여 실제로 자연광과 같은 효과를 내기에 이르렀다. 소프트웨어에서 만들어지는 자연광과 같은 효과를 실제로 적용하여 실사와도 같은 극사실적인 효과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빛의 성질을 이해하고, 조명의 성질과 설정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조명의 성질과 설정이 건축물의 시각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는 것에 본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번연구에서 교육시설 중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했으며 배치 형태의 따라서 크게 5가지로 분류를 하였다. 배치형태에 따라 디지털 라이트 설정이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어떤 설정을 사용하였는지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여 본다. 단 카메라 앵글은 학교 운동장 쪽에서 보는 앵글로 고정 하였으며 이와 같은 기준으로 디지털 라이트 설정을 하였으며 정북방향은 무시하고 효과적인 시각화만을 위해 설정하는 분석의 범위를 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 번째 여러 가지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과연 효과적인 라이트 방향이 존재하는지를 이론적 배경에서 알아보고. 그 방법을 찾아 디지털 라이트에 적용된 사례가 있는지 파악해 본다. 두 번째 파악된 사례를 바탕으로 디지털 라이트 설정에 대해 알아본다. 각각의 사례들을 분류하여 장단점을 분석하여 본다. 분석된 사례들을 가지고 서로의 반대되는 사례에 적용하여 장점이 장점으로 표현되는지 단점이 단점으로 표현되는지 설정하여 분석한다. 세 번째 위 사례들은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 大豆幼植物에 있어서 胚軸의 生長과 維管束分化

        강경덕 全北大學校 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vascular transition in the hypocotyl of the seedlings has been already known in a greater number of plant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scular transition and the hypocotyl elongation was not known. The transition from procambium to cambium occurs some before or some after internodal elongation has ceased. So the present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vascular transition in relation to the hypocotyl elongation and of the structural changes during the cambial differentiation in Glycine max seedlings. The materials were fixed in FAA, embedded and sectioned transversely and tangentially. The results are as follows;1) In the pattern of elongation of hypocotyl segments that were observed during a 20-day period, elongation of the hypocotyl takes place scarcely in the basal segments, but mainly in the upper segments below the cotyledon. 2) Vascular transition takes place from the basal to the middle segments in which hypocotyl elongation has scarcely occurred. Thus, the upper segments show collateral bundles distinctly. 3) In the upper segment in which hypocotyl elongation take place actively, cambial differentiation is completed after hypocotyl elongation has ceased completely.

      • 집단상담이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강경덕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평교사들을 대상으로 집단상담을 실시하여 집단상담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 연구함으로써 교사들의 사기와 업무 효율을 증진시키고 학교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성공적인 교육 개혁의 단초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사들의 대인관계 능력, 자존감, 교사로서의 자긍심, 행복감등을 높이기 위한 ‘학교, 내가 가꾸는 신뢰와 사랑의 숲’이란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였고,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직무만족도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집단상담이 실제로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 외의 이론과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경기도 고양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인 J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 중 30명의 평교사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사전 ·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 사후의 직무만족도를 살펴보고자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 설문에 참여한 30명의 교사들 중 ‘학교, 내가 가꾸는 신뢰와 사랑의 숲’이란 집단상담에 자발적으로 참여를 신청한 8명의 교사를 실험집단으로 하였으며, 나머지 22명의 교사를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두 집단 간 크기는 차이를 보이나 집단 간 동질성은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에 행해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교사가 행복해야 교실이 행복해지고 학교가 행복해진다는 생각으로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내용으로 총 6회기로 구성하였다. 집단상담 실시 후 학교행정, 대인관계, 보상체계, 근무환경으로 이루어진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이 각각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집단상담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상담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이 참가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피험자들보다 전체적인 직무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둘째, 집단상담에 참가한 실험집단은 직무만족도의 각 하위 요인 또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셋째, 직무만족도의 각 하위 요인에 있어서는 대인관계, 학교행정, 보상체계, 근무환경의 순으로 만족도가 향상되었으며, 근무환경 요인의 경우는 그 변화의 폭이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학교, 내가 가꾸는 신뢰와 사랑의 숲’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일반계 고등학교 평교사들의 직무만족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수정 · 보완과 함께 학교 현장에서 지속적이고 광범위하게 집단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면, 교사들의 업무 효율 증대와 함께 학생과 교사 모두가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group counselling' could make a desirabl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their workplace.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basic understanding which might be used to raise the morale of teachers and help accomplish the ultimate objective of education in school. My research question is "How does group counselling affect the feeling of job satisfaction for teachers?" For this research, a group counselling program named "School; My forest full of trust and love" was developed and used for the purpose of boosting the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self-confidence, a feeling of happiness, and self-respect as a teacher. This program was applied to 30 teachers working at "J" public highschool in Goyang, Gyonggi with pre and post test carried out for the teachers who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Meanwhile,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satisfaction level of experimental vs control group. The analysis of the result was verified with a level of significance set at p<.05, p<.01, p<.001, and program SPSSWIN 12.0 was utilized to secure sufficient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30 teachers, 8 teacher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ling were put in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of 22 into control group. Even though there exist numerical difference in the size between two groups, it can be said that in-group similarity was sufficiently secured. Group counselling targeting the improvement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level was planned and implemented for th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six times in total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uccess of school education could not be guaranteed without satisfaction of teachers. In order to estimate how group counselling could affect the subjects' job satisfaction level, I also made an investigation into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subjects' view of sub-factors for job satisfaction such as school administration, personal relationship, reward system, and working environment after group counselling.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group counselling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of other subjects. Second, the people in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an increase in satisfaction level on each sub-factors for job satisfactions. Third, in terms of the sub-factors for job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level for each factors was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personal relationship, school administration, reward system, and working environment. Especially for working environment factor, it showed that the improvement was not significant but still increased. In conclusion, it can be argued that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named "School; My forest full of trust and love" ca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job satisfactions level for the teachers working in academic high schools in Korea.

      • 국가별 법원(法源)의 경제성장, 무역, 국가청렴도에 대한 영향 실증분석

        강경덕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LLSV(La Porta et a)는 하버드 대의 Rafael La Porta, Florencio Lopez-de Silanes, Addrei Shlfier와 시카고대 Robert Vishny의 공동연구이다. 전 세계 소유지배구조에 대해 실증적으로 연구한 결과 회사법이 소유분산 여부, 지배구조 형성 등에 중요한 결정요인이 있다고 강조하면서, 기업지배구조에 있어서 법원(法源 : legal origin)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LLSV에서 확장된 연구로써 기업의 지배구조를 넘어 법원(法源)에 따른 경제, 무역, 사회학적 관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법원의 분류를 레비 율만(Levy Ullemann)이 주장하는 법의 본질과 법원에 착안하여 세속적, 가변적인 법원으로서 대륙법원과 영미법원, 이슬람법원으로 분류하였다. 대륙법(Civil Law)계, 영미법(Common Law)계, 샤리아법(Shari law)계 3개로 분류하였고, 각각이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종속변수로써 경제, 무역 그리고 사회지표로는 각각 최근 4년간의 평균 경제성장률(GDP Growth Rate), 최근 4년간의 평균 서비스 무역(Trade in service), 최근 4년간의 평균 국가별 청렴도 지수(Corruption Perceptions Index)를 가지고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론은 SPSS를 이용하여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각 법원을 1,2,3(대륙법 1, 영미법 2, 샤리아 법3)으로 분류하여 각각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제성장률과 국가별 청렴도 지수에 있어서 연구가설이 성립하는 것으로 결론이 나왔다. 즉, 경제성장률과 국가 청렴도 지수 각각의 유의확률이 0.049, 0.042로 나와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따라서 국가별 법원에 따른 최근 4년간의 평균 경제성장률, 최근 4년간의 평균 국가청렴도 지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가별 법원에 따른 최근 4년간의 평균 서비스무역 비율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LLSV에서는 법원이 회사법의 소유분산 여부, 지배구조 형성 등에 중요한 결정요인이 있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종교에 따른 차이가 무역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종교의 다양성, 종교의 유사성 정도, 종교의 제도적 효과, 종교의 네트워크 효과 모두 상품교역에 상당히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역시 법원에 따른 국가별 분류가 경제성장률과 국가청렴도 지수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하지만 단기적인 관점에서 법원 따른 분류가 경제성장률이나, 국가 청렴도 지수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할 것 이다. 이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째, 종속변수인 경제성장률과 국가 청렴도 지수에 미치는 독립 변수들이 법원 이외에도 다른 변수들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둘째, 한 국가의 경제성장률과 국가 청렴도 지수를 측정함에 있어서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 봤을 때의 법원에 따른 분류는 경제성장률과 국가 청렴도 지수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제성장률과 국가 청렴도 지수에 효과를 보려면 국가가 법원을 채택함에 있어서 대륙법 혹은 샤리아법이 지향하는 방향으로 법률체계를 개정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