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찌 패션에 나타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연구

        왕연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Born in Florence, Italy in 1921, Gucci celebrates its 100th anniversary in 2021. Since Alessandro Michele became creative director of Gucci, he has used his unique aesthetic system to collaborate with fashion illustrators full of creative ideas to add new design styles and elements to Gucci. The combination with Gucci Fashion Illustration was an important strategy for product development, adding new elements to the product while increasing the value of the product, and playing a major role in differentiation and brand image formation from other brands. This paper organizes the concepts, features, and basic information of the Gucci brand of fashion illustration, focusing on literature research, and establishes analysis criteria for Gucci fashion illustration through prior research. Between 2017 and 2020, 110 works released by Gucci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expression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each fashion illustrator who collaborated with various expressions of Gucci's fashion illustration in terms of fashion illustration, expression elements, expression images, and expression media. Collaborative fashion illustrators include Unskilled Worker, Phannapast, Jayde Fish, Angelicanhicks, Lgnasi Moneral, Alex Merry, Higuchi Yuko, Emma Allegretti, Angela Dean and others. First, the different inclusiveness of the expression. Gucci Fashion Illustration has a variety of expressions to suit the trend. Gucci's fashion illustration works express changes in the screen through computer painting, hand painting, or a combination of both, while also presenting a kind of visual shock to viewers in various styles, including minimalism, surrealism, classicalism, animation, pop art, and symbolic postmodernism. Surrealism appears the most among them. When it comes to screen expression, it emphasizes the atmosphere by combining contour drawing and light and dark drawing. In terms of human deformation, different perspectives, interpretations, and expression images of each illustrator on Gucci culture are well displayed in a mixture of animalization or animal print, personification, mechanization, simplification, deformation, and no-body. We demonstrate the diverse inclusiveness of Gucci fashion illustration's expression style, which is not biased. Second, the transcendent constructivity of expressions. Gucci Fashion Illustration's representation image broke its own objective real world and attempted to fuse East and West elements. In addition to surreal and realistic images across the past and the future, it also expresses different beauty beyond time and space through various image implementation, including fantasy, classical, cartoon, mythological and fairy tale images. Thirdly, the allocation of expressive media. Unlike other brands, Gucci dramatically reveals the splendor and visual effects of fashion illustrations by placing them boldly on clothes items such as skirts, jumpers and shirts and bags rather than partially using them for fashion items. This method helped create Gucci's unique fashion world. Fourth, the full breadth of the expression medium. Gucci Fashion Illustration is much more abundant in expression media than other brands. Through a wide range of media such as men's clothing, women's clothing, bags, perfumes, jewelry, interior design, and watches, synergy between products and fashion illustrations was sought. This work seeks to prese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rough Gucci fashion illustration analysis. First, distinctive brand images can be formed through differentiated representation modalities and implementation methods of fashion illustrations. Second, fashion illustration creation can successfully meet market demand when implemented by combining fashion illustrations and products in addition to the various expressions of fashion illustrations themselves. 1921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탄생한 구찌는 2021년 100주년을 맞는다. 알렉산드로 미켈레(Alessandro Michele)가 구찌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맡은 이후로, 그는 자신만의 독특한 미학 체계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아 이디어가 넘치는 패션 일러스트레이터들과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구찌에 새로운 디자인 스타일과 요소를 가미했다. 구찌 패션 일러스트레이션과 의 결합을 제품 개발의 중요한 전략으로 삼았으며, 제품에 새로운 요소 를 더해 줌과 동시에 제품의 가치를 높여 주었으며 다른 브랜드와의 차 별성과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큰 역할을 했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중심으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과 특징, 구 찌 브랜드의 기본정보를 정리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구찌 패션 일러 스트레이션에 대한 분석을 설정하였다. 2017-2020년 사이 구찌가 발표한 작품 110점을 선정하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양식, 표현요소, 표 현이미지, 표현매체 측면에 대한 분석과 구찌와 콜라버레이션을 진행했 던 각 패션 일러스트레이터의 표현양식 및 표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구찌 협업한 패션 일러스트레이터는 언스킬드 워커(Unskiled Worker), 판 나 파스트(Phannapast), 제이드피시(JaydeFish), 안젤리카힉스(Angelicanhicks), 이그나시 몬레알(Lgnasi Moneral), 알렉스 메리(Alex Merry), 히구치 유코 (Higuchi Yuko), 엠마 알레그레 티(Emma Allegretti), 안젤라 딘(Angela Deane)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구찌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작품 특성을 다음 과 같이 유추하였다. 첫째, 표현양식의 다양한 포용성 구찌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트렌드에 맞게 그 표현양식이 다양한 모 습을 보인다. 구찌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은 컴퓨터 디지털, 핸드페 인팅 또는 양자를 결합한 기법을 통해 화면의 변화를 표현함과 동시에 미니멀리즘, 포스트모더니즘, 초현실주의, 상징주의, 고전주의, 애니메이 션, 팝아트, 민속화 등 다양한 양식을 아우르며 보는 이에게 일종의 시 각적 충격을 준다. 그중에 초현실주의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 화면표현 에 있어서는 윤곽드로잉과 명암드로잉을 결합한 방식을 통해 분위기를 부각시킨다. 인체변형에 있어서는 동물화, 의인화, 기계화, 단순화, 기형 화, 무(無)인체 등을 혼합한 방식으로 구찌 문화에 대한 각 일러스트레이 터의 서로 다른 관점과 해석, 표현이미지가 잘 드러나 있다. 편향적 양 식에 치우치지 않는 구찌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양식의 다양한 포 용성을 잘 보여준다. 둘째, 표현양식의 초월적 시공성 구찌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이미지는 고유의 객관적 현실 세계 를 깨뜨리고 동서양 요소의 융합을 시도하였다. 또한 과거와 미래를 넘 나들며 초현실 및 현실적 이미지 외에도 환상이미지, 클래식이미지, 카 툰이미지, 신화이미지, 동화이미지 등 다양한 이미지 구현을 통해 시공 간을 뛰어넘는 각기 다른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셋째, 표현매체의 배분적(配分的) 대담성 타브랜드와 달리, 구찌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패션 아이템에 부분 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스커트, 점퍼, 셔츠 등 의상 아이템과 가방 등에 대담한 전면 배치 방식으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화려함과 시각적 효 과를 극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같은 방식은 구찌만의 독특한 패션 세 계를 창출하는데 기여하였다. 넷째, 표현매체의 전면적(全面的) 광범위성 구찌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표현매체에서도 타브랜드에 비해 훨씬 더 풍부하다. 여성복, 남성복, 아동복, 가방, 시계, 주얼리, 향수, 실내장식 등 광범위한 매체를 통해 제품과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간 시너지 효과를 추구하였다. 본 연구는 구찌 패션일러스트레이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 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차별화된 표현양식과 구현 방법을 통해 독특한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둘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창작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자체의 다양 한 표현방식 외에도 패션 일러스트레이션과 제품이 결합되어 구현될 때 성공적으로 시장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

      • 중국 성인의 사회적지지, 평생교육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왕연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Social support,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of the Adult in Chin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7 Adult in Hebei Province, China, who were questionnaire surveyed on their Social support,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their self-efficacy and their quality of life. SPSS 25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Adult by t-test, F-test and back testing.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ories, the paper deduces structural model, uses AMOS25 software to study the structure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between variables through validation factor analysis, fitting test and bootstrap validity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First, In terms of the Social suppor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onthly incomeof the elderlyin terms of the variables of Social support, In terms of the variables of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level, monthly income of the elderly. In terms of self-efficacy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onthly income, and in terms of quality of lif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monthly income, place of residence. Second,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of the adult in China. The social support,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Third, there are 3 media effects betwe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namely, the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chain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erefore,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f the adult and the cultivation of self-efficacy.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reflected in China decision on a lifelong education policy and a lifelong learning plan for adults. 本研究阐明社会支持, 终身学习参与动机, 自我效能感以及生活质量的结构关系, 将为中国成人生活质量的提高做出有益的贡献. 以河北省507名20岁以上成人为研究对象,采用调查问卷的方法,收集基础数据. 使用SPSS25软件通过t检验, F检验及事后检验的方法对成人的背景特性进行差异分析. 以先行研究为理论基础构建结构模型, 使用AMOS25软件通过验证性因子分析, 结构模型分析及bootstrapping显著性检验等方法,对变量间结构关系及中介效应进行了研究. 主要研究结果归纳如下: 1. 人口背景特性的变量差异. 中国成人学习者的社会支持在年龄和月收入上存在显着差异. 终身学习参与动机在教育水平和月收入上存在显着差异. 自我效能感在年龄和月收入上存在显著差异. 生活质量变量在教育水平, 月收入和居住地上存在显著差异. 2. 变量之间的结构关系. 社会支持对终身学习参与动机,自我效能感和生活质量有正向影响. 终身学习参与动机对自我效能感和生活质量有正向影响, 自我效能感对生活质量有正向影响. 3. 中介效应. 中国成人的社会支持与生活质量之间存在三个中介效应, 分别是终身学习参与动机的单独中介效应, 自我效能感的单独中介效应, 终身学习参与动机和自我效能感的链式中介效应.

      • 한·중 인물지칭 신어의 비교 연구 : -2016~2019년 신어를 중심으로-

        왕연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39

        언어는 인간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회 현상과 변화를 반영하는 거울이다. 언어의 구성요소인 음성, 문법, 어휘 등에서 어휘는 사회의 변화를 더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변화 속도가 훨씬 빠르다. 이 중 신어는 그 무엇보다도 사회·현상과 변화를 잘 반영한다. 특히 인물지칭 신어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인간의 삶에 가장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 인물지칭 신어에 관한 한·중 비교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고 최신 연구가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인물지칭 신어를 연구하고자 한다. Ⅰ장은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한 다음에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은 신어의 개념과 범주를 규명하였고 신어의 특징과 생성 동인을 살펴보았다. Ⅲ장은 순수언어학 관점에서 한·중 인물지칭 신어의 형성 방식을 살펴보았다. 국립국어원에서 신어를 분류한 기준에 따라 한·중 인물지칭 신어를 단일어, 파생어, 합성어로 분류하고 비교·분석하였다. Ⅳ장은 사회언어학 관점에서 한·중 인물지칭 신어의 사회·문화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일상생활에 중점을 두고 한·중 인물지칭 신어를 개인생활 분야, 가정생활 분야, 직장생활 분야로 분류해서 한·중 인물지칭 신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Ⅴ장은 논문 전체 내용을 요약하고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아쉬운 부분을 밝히고 향후의 전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중 인물지칭 신어 형성 방식의 비교를 통해 한국어 어휘 학습에 능력을 높이고 양국 간의 사회와 문화 이해력을 높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is a mirror that reflects social phenomena and changes as a means of human communication. In speech, grammar, and vocabulary, which are components of language, vocabulary more directly reflects changes in society and changes much faster. In particular, the neologism for people appear prominently in our daily lives and have the most influence on human lif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on the neologism for people are still insufficient.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neologism for people in both Korean and Chinese. Chapter Ⅰ reveal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reviews previous studies, and presents the research method. Chapter Ⅱ identifies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neologism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generation drivers of neologism. Chapter Ⅲ examines the formation of neologism, which are designated as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from the perspective of pure linguistics.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new words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e neologism for People in Korean and Chinese were classified into single words, derivatives, composite words, and compared and analyzed. Chapter Ⅳ examines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neologism for People in Korean and Chines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linguistics. Focusing on daily life, the neologism for People in Korean and Chinese were classified into personal life, family life, and work lif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neologism for People in Korean and Chinese were also analyzed. Chapter Ⅴ summarizes the entire contents of the paper, clarifying the disappointing parts that could not be covered in this study, and presents future prospects. This study can help improve the ability to learn Korean vocabulary and improve the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neologism formation methods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 뷰티기업 소셜미디어 마케팅 메시지 전략과 정보원 전략의 효과 연구 : 중국 소비자의 한류 관여도, 자민족중심주의와 적대감을 중심으로

        왕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39

        최근 몇 년간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많은 한국 브랜드들이 중국 내의 브랜드숍에서는 문을 닫았다는 소식이 잇달아 전해졌다. 600개의 오프라인 매장을 보유한 이니스프리는 현재 중국 내 매장의 80%를 철수했고, '별에서 온 그대'의 인기에 힘입어 중국에서 한참 화제를 모았던 헤라는 오프라인 매장은 물론 중국에서 가장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메신저 위쳇에서까지 판매를 중단하였다. 반면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중국 로컬 뷰티기업들은 현재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이 부진한 이유에 대해서는 한•중 간 정치적 외교적 갈등 때문이라는 분석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2021년 이후 '한한령'이 점차 완화되는 분위기에서도 국내 뷰티 기업들은 여전히 쇠퇴해지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언론 보도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중국에서 적절한 SNS 마케팅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중국 뷰티 기업들이 이렇게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이유에 대한 중국 학계의 주류 관점은 SNS 마케팅 전략 때문이라고 한다. 이에 효과적인 SNS 마케팅 전략의 실행 여부는 한중 뷰티 기업 실패와 성공의 결정 여부가 되었으나 성공한 뷰티기업의 SNS 마케팅 전략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 뷰티 기업이 가지고 있는 차이를 살펴보고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대해 이러한 전략적 차이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본 연구는 디지털 마케팅 시대에서 한중 뷰티 기업이 중국 시장 내 어떠한 SNS 마케팅 전략을 사용하였는지에 분석하고 보다 더 효과적인 SNS 마케팅 전략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기업의 SNS 마케팅 전략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메시지 전략과 정보원 전략 측면에서 설명해 왔었다. 먼저 선행조사에서는 파이썬을 통해 수집된 지난 1년간 중국 SNS에서 대표적인 한, 중 뷰티 기업에 관한 데이터를 통해 해당 기업이 활용한 메시지 주제와 유형, 정보원 유형, 또한 각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을 살펴보았다. 실험조사에서는 마케팅 전략에 초점을 맞춰 추출된 SNS 메시지 유형과 정보원 유형이 브랜드 태도, 구전의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와 동시에 한류 관여도,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과 적대감 등 외부적인 요인이 마케팅 전략과 커뮤니케이션 효과 가운데 어떠한 조절 역할을 하고 있는지도 함께 검증하였다. 선행조사에서는 한중 뷰티 기업의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SNS 메시지 전략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한국 뷰티 기업 에뛰드 하우스는 주로 판매지향형 메시지 전략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제품 정보, 상업적인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 주제를 가장 많이 다룬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중국 뷰티 기업 퍼펙트 다이어리는 오락정보형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동시에 관계배양전략과 판매지향전략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공식계정에 포스팅한 메시지가 상당히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또한 한국 기업과 중국 소비자에 대한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은 매우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기업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되는 사회봉사 활동이나 최근 몇 년간 중국 소비자에게 인기가 많은 브랜드 간의 콜라보레이션도 찾기 어려웠다. 선행조사에서 또한 해당 포스팅에 대한 '좋아요 수', '저장 수'와 '댓글 수' 등 소비자 즉각적인 반응 지표로 메시지 전략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확인 결과, 오락정보형 전략은 더 좋은 소비자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관계배양형 전략은 그 뒤를 이었고 판매지향형의 소비자 반응은 좋지 않았다. 정보원 전략에 있어 양국 기업이 매크로 인플루언서와 마이크로 인플루언서를 공통적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지만 한국 기업이 나노 인플루언서와 일반인 정보원을 많이 사용하는 반면에 중국 기업은 유명인과 메카 인플루언서 정보원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인을 정보원으로 포스팅에 노출할 때 훨씬 더 많은 '좋아요', '저장'과 '댓글'의 수를 이끌어낸 것을 확인하였는데 에뛰드 하우스가 사용한 정보원 유형 중 유명인 정보원은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에뛰드 하우스 같은 한국 기업들이 연예인과 유명 인플루언서를 통한 마케팅 전략은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조사에서는 선행조사를 통해 추출된 메시지 전략과 정보원 전략이 브랜드 태도, 구전의도,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락정보형 메시지와 유명인 정보원에 따른 브랜드 대도, 구전의도와 구매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관계배양형 메시지를 접한 후 해당 브랜드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 형성에 도움이 되지만 소비자의 구전의도와 구매의도는 판매지향형 메시지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류 관여도가 높은 사람과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이 낮은 사람에게 오락정보형 메시지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하였다. 반면 한류 관여도가 낮은 사람과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이 오히려 관계배양형 메시지를 가장 잘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에 대한 높은 적대감을 가진 사람들의 전반적인 한국 브랜드 태도, 구전의도와 구매의도가 다른 소비자보다 낮으며 메시지 유형 및 정보원 유형에 따른 효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브랜드 태도, 구전의도, 구매의도에서는 유명인 정보원의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매크로 인플루언서와 나노 인플루언서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도 확인하였으나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와 한국에 대한 적대감이 강한 사람에게 유명인을 정보원으로 노출해도 큰 반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때 매크로와 나노 인플루언서의 효과는 오히려 더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SNS인 샤오홍슈의 데이터를 통해 한중 뷰티 기업이 실제 활용하고 있는 SNS 메시지 주제와 유형 그리고 정보원 유형을 처음으로 산출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또한 '좋아요 수', '저장 수', '댓글 수' 등 소비자 즉각적인 반응 지표 및 브랜드 태도, 구전의도와 구매의도 등 소비자 장기적인 반응 지표로 보다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정보원 전략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관련 실무자들에게 효과적인 SNS 마케팅 실행의 전략적 방향성과 구체적인 구성 방법에 대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news has spread that many Korean brands that have been very popular in China have closed their stores in China. Innisfree, which has 600 offline stores, has now withdrawn 80% of its stores in China. Hera, which has been a hot topic in China thanks to the popularity of 'My Love from the Star', has stopped sales in both offline stores and in WeChat, which secured the most users in China. On the other hand, Chinese local beauty companies that have not been noticed for a long time are currently growing rapidly. Most analysts attribute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s the reason for the poor performance of Korean companies. However, after 2021, even in an atmosphere where the 'government ban on Korean Wave' is gradually easing, domestic beauty companies are still maintaining a declining trend, and according to recent media reports and reports, it is pointed out that they are not doing proper social media marketing in China. The mainstream view of Chinese academics on why Chinese beauty companies are growing rapidly is because of social media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ly, the execution of an effective SNS marketing strategy has become a determining factor in the failure and success of beauty companies in Korea and China.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that analyzes what kind of effects are caused by the strategic differences regarding th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which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SNS marketing strategies of successful beauty companies with the strategies of Korean beauty compan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ich SNS marketing strategies Korean and Chinese beauty companies have used in the Chinese market in the digital marketing era. This study also aims to identify more effective SNS marketing strategies. Many studies on corporate SNS marketing strategies have been explained in terms of message and information source strategies. First, the topic and type of message used by the company, the type of information source, and consumer responses according to each type were examined in the preceding survey. This data was gathered from the data collected from representative Korean and Chinese beauty companies in Chinese SNS for the past year through Python. In the experimental study, the extracted SNS message type and information source type which focused on the marketing strategy verified the effect on brand attitude and word-of-mouth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At the same time, how external factors such as Korean Wave involvement, consumer ethnocentrism, and hostility played a moderating role in marketing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effects was also verified. In the preceding survey,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NS message strategy of Korean and Chinese beauty companies targeting Chinese consumers. Etude House, a Korean beauty company, mainly uses a sales-oriented message strategy, and it was confirmed that message topics related to product information and commercial event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On the other hand, Perfect Diary, a Chinese beauty company, used entertainment information-type strategies the most, while also actively utilizing relationship cultivation strategies and sales-oriented strategies, and messages posted on its official account cover a wide variety of topics. In additio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companies and Chinese consumers was confirmed to be at a very insufficient level, and it was difficult to find social service activities that help improve corporate image or collaboration between brands popular with Chinese consumers in recent years. In the preceding survey, the effect of the message strategy was also verified with indicators of immediate consumer response, such as 'number of likes', 'number of saves', and 'number of comments' on the posting. As a result of confirmation, the entertainment information strategy elicited a better consumer response, followed by the relationship cultivation strategy. On the contrary, the sales-oriented strategy did not have a good consumer response. In terms of information source strategies, both countries used macro-influencers and micro-influencers in common, but Korean companies used nano-influencers and general information sources a lot while Chinese companies preferred celebrities and mega-influencers as information sources. It was confirmed that exposure of a celebrity to a posting as an information source led to a much higher number of 'Likes', 'Saves', and 'Com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Korean companies such as Etude House should revise their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celebrities and famous influencers. In the experimental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message strategy and information source strategy extracted through the precedent survey influenced brand attitude, word-of-mouth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entertainment information type messages and brand attitude, word of mouth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were the highest according to celebrity information sourc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ntion compared to sales-oriented messag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entertainment information type message appeared significantly for those with high involvement in the Korean Wave and those with low ethnocentrism.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low involvement in the Korean Wave and people with strong ethnocentrism tended to accept relationship-cultivating messages the best. In addition, the overall Korean brand attitude, word-of-mouth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people with high hostility towards Korea were lower than other consume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according to message type and information source type.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brand attitude, word-of-mouth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celebrity information sources showed the best effec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cro and nano-influencers. Even if a celebrity is exposed as an information source to a person who has strong hostility to it, it appear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sponse, and at this time, the effect of macro and nano-influencers has been confirmed to be rather bett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alculating for the first time the topics and types of SNS messages used by Korean and Chinese beauty companies and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through the data of Xiaohongshu, a Chinese SN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a more effective message strategy and information source strategy were confirmed with consumer immediate response indicators such as 'Likes', 'Saves', and 'comments' and consumer long-term response indicators such as brand attitude, word of mouth,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is, it will be able to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strategic direction and specific composition method of effective SNS marketing execution for related practitioners.

      • 상하이 조계문화와 쉬쉬(徐우)의 소설

        王娟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은 쉬쉬의 1930~40년대 소설 창작을 단지 작품의 텍스트 분석과 비평에 그치지 않고, 상하이 조계문화의 담론 속에 위치시켜 고찰하였다. 쉬쉬 소설 창작의 발전과정과 쉬쉬 텍스트의 언어, 조계 담론 안에서의 텍스트의 특징 및 소설의 서사기법적 특징이 상하이 조계 생활에 형성한 의미를 정리하고 이 네 가지가 절중되는 부분을 결합하였다. 이 속에서 쉬쉬가 상하이 조계문화의 담론 하에서 소설을 창작한 맥락과 그 문학사적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쉬쉬 소설의 내적 특징을 연구함에 있어, 쉬쉬 소설 창작의 시대성과 역사성을 더욱 잘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 조계문화의 각도에서 연구를 진행한 본 논문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쉬쉬의 소설 창작과 상하이 조계의 내재적 관계를 통하여, 작품에 보이는 조계문화의 심리 및 조계문화의 가치성향을 논증하고, 현대 중국의 도시문학에 시사점을 주며 참고가 되게 한 것도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조계문화에 젖어있던 쉬쉬의 작품 안에서 조계문화의 요소는 쉽게 발견된다. 본 논문은 조계문화라는 각도에서 쉬쉬의 1930~40년대 소설 속에 두드러지는 조계 문화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즉 퇴폐적인 서사와 텍스트 속에 보이는 중국과 서구의 혼합, 신앙의 유리됨 등이 그것이다. 또한 쉬쉬 텍스트의 조계문화의 심리상태를 보여주고자 하였고 조계문화가 만들어낸 성찰적 사고를 밝히고자 하였다.

      • 새마을운동과 1970년대 한국 농촌사회의 변화 연구

        왕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1839

        In the 1970s, the Saemaul Movement in Korea achieved great success in reducing poverty and improving living conditions in rural areas and it has been accepted as one of the efficient rural development models in the world by the international society. Research on the Saemaul Movement is beneficial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ural construction lead by the government and it is also significant to the research area of Park Chung-hee government time.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Saemaeul Movement and its change to the daily life of farmer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m in different villages, based on their notes and diaries. Chapter 2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Saemaeul Movement and the political intent of government. In the late 1960s, the popularity of Democratic Republican Party in rural area decreased since the social economy conditions deteriorated increasingly.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launched the Saemaul Movement program under this background. The government provided fund and raw materials to the participated villages free of charge, and also provided administrative backstopping. Nevertheless, some compulsory mobilization and bureaucratism problems appeared during the constriction process due to strong support and intervention by the government. Then the government developed some farmers as leaders and encourage them to serve as role models. These new leaders showed strongly self-sacrifice spirit and becam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ower of the Saemaul Movement. Chapter 3 investigated the villages which were rewarded by the government and analysed the main organisers and participators in rural area, to find out if the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were mainly affected by the government. The villagers were working hard in construction work by themselves before the movement started. The success of the movement is not only because of the strongly support by the government and also due to the voluntary efforts by the farmers who grew up within the rural area after liberation. Chapter 4 studied the organisers and participators of the Saemaul Movement within rural area how to change environment and improve their living condition. During the movement, the village cadres actively sought out support of fund and raw materials from government and mobilized villager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village cadres and women who had great interest in new production technology and culture accelerated the speed the rural environment improvement. From the movement, the living condition in rural area became more convenience, nevertheless capitalistic consumption culture spread since rural area was also brought in capital market. Chapter 5 analysed the improvement of production technology, culture and sprite revolution and their influence to farmers living condition. The popularizing rate of mass media such as news, magazines and radio increased during the movement. The farmers learned new agricultural skills and collected information about village and agriculture. Moreover, they active involved in agricultural educ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and played a key role in the technology extension process. The level of technology and education of farmers improv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residents decreased. Along with the enhancement of the consciousness of market economic, farmers started to reduce drinking and gambling activates and simplified the traditional sacrifice and wedding ceremony, answering the requirement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the traditional folk activities reduced but the tourist activities organised by village cadres increased. Chapter 6 studied the agricultural management and financial balance situation of farmers in the Saemaul Movement. For increasing the income of the farmers, the government implemented the “high rice price policy” and popularized high-yield variety - “Reunification Rice”. The income of farmers increased was mainly because of the high purchasing price by the government rather than the high yield of “Reunification Rice”. From the mid of 1970s, the government started to support forestry and animal husbandry and the farmers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could get priority of preferential policy. Farmers started to adjust their agricultural manag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olicy by the government. In conclusion, the achievement of the Saemaul Movement in 1970s can be concluded as a combination of the rural modernization policy by the government and the positive efforts on rural construction by the farmers. 본 연구에서는 새마을운동의 전개 배경과 내용을 비롯하여, 이를 계기로 한 농촌사회의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를 통틀어 대대적으로 전개되었고, 지금까지도 국민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다. 한국현대사에 대한 재검토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접근과 해석이 전개되고 있으며, 국제사회는 새마을운동의 추진력과 성과를 높이 평가하여 성공적인 농촌개발 모델로서 주목하고 있다. 새마을운동에 대한 연구는 정부 주도의 농촌개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박정희 시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농민들의 생활문화와 의식을 유추해 낼 자료로 수기와 일기 자료를 주목하고, 각 마을에서 새마을사업의 전개와 농민생활의 변화를 농민의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본고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2장에서는 새마을운동의 배경과 정부의 정치적 의도, 정책적 방향을 고찰하였다. 1960년대에는 농업부문에 대한 정부의 투자가 부족해서 농업의 성장이 부진하였다. 1960년대 말기 농촌의 사회경제적 상황과 농촌에서의 지지기반 약화라는 현실은 박정희 정부가 새마을운동으로 농촌의 황폐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주요 배경이 되었다. 한편, 국민경제의 성장과 공업의 발전, 농촌 내부에서 소득증대에 성공하는 독농가의 존재로 정부는 농촌개발 사업을 뒷받침할 사회경제적 여건이 형성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새마을운동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정부는 ‘우수마을 우선지원 원칙’에 따라 마을 단위로 자금과 자재를 지원해주고, 행정력을 최대한 동원하여 다양한 사업을 각 부처 간의 협조체제 아래 동시에 진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로부터의 추진방식은 강제성·획일성·권위주의 등으로 인한 부작용이 적지 않았다. 농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정부는 새마을지도자를 비롯한 농촌지도자를 양성하여, 이들의 지도와 선도적 역할을 통해 새마을운동 촉진의 동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조치로 새마을지도자들의 헌신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새마을운동의 추진주체와 조직에 대해 분석하였다. 해방 이후 농촌발전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진 청·소년들은 청년회·소년단을 조직하였고, 일련의 마을개발 활동을 통해 주민들에게 인정을 받았다. 1950·60년대 마을 지도자로 성장한 청년들은 마을발전과 주민 생활수준의 향상을 적극적으로 추구하였다. 새마을운동이 시작되자 정부는 이 마을들의 발전가능성을 인정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해방 이후부터 마을개발 사업을 주도한 핵심인물들은 새마을운동에서도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고 정부표창을 받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새마을운동이 시작되기 전부터 마을개발을 위한 자발적인 노력이 존재하고 있었다. 마을단위로 성장해온 지도력을 갖춘 인물들을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자체의 발전역량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도와 지원이 추진동력으로 융합됨으로써 새마을운동의 성공적인 전개를 가능케 하였다고 하겠다. 제4장에서는 마을환경의 개선과 생활시설의 개량에 초점을 맞추고, 정부의 환경개선 시책이 마을에서 어떻게 수행되는지, 농촌에서 성장하는 농촌개발의 주체들이 어떻게 대응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환경개선의 필요성을 느낀 농민들에게는 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매력적이었다. 마을 지도자들은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고 출역을 동원하였으며, 마을 주민들은 상당한 시간과 노동력을 투입하였다. 농촌 부녀자와 마을 지도자들은 근대화의 혜택을 향유하는 의욕이 강하였으며, 새로운 생산기술과 문화를 전파하는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이들의 참여는 농촌 환경 개선의 속도를 더 빠르게 하였다. 새마을운동을 거쳐 농촌생활은 편리해졌으나, 농촌은 자본주의 시장에 편입되었고 소비문화는 농촌에 확산되었다. 제5장에서는 농민 기술·문화 수준의 향상과 의식개혁, 그리고 이에 따른 생활과 경제활동의 변화 영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새마을운동 시기에 농민들은 매스컴 매개체를 통해 새로운 농업기술을 배우고 농사 관련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 정부 주도의 농업기술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새로운 농업기술을 마을 주민들에게 보급시키는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문화적 혜택의 확산으로 농민의 기술·문화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도시와 농촌 간의 문화격차가 완화되었다. ‘근면·자조’라는 구호 아래 농촌의 유휴노동력조차 생산에 동원되어서 농민은 생산화되었다. 이윤추구에 대한 의식이 강해짐에 따라 음주와 도박 활동은 줄어들었고, 의례간소화운동은 농민들의 호응을 받았다. 또, 이들은 마을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민속활동 대신에 군·면 단위로 개최되는 체육대회나 마을 단체 야유회·관광·여행에 참여하였다. 전통적인 농촌문화가 사라짐에 따라 마을공동체 구성원 간의 정서적·문화적 유대가 약화되었다. 여기에 정부의 차등지원 정책은 마을과 마을 간에 과열경쟁과 갈등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제6장에서는 농가 소득증대를 위한 새마을사업들이 어떻게 수행되었고, 농가경제가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를 고찰하였다. 농가 소득증대를 위해 정부는 고미가정책을 비롯한 가격지지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다수확품종인 통일벼를 보급하였다. 마을 지도자들은 통일벼 보급의 중요한 대상이 되었고, 국가 시책에 호응하여 거의 매년 통일벼를 재배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말 통일벼는 심각한 병충해를 입어 전국적으로 대실패하였다. 중농이상층은 정부정책의 혜택을 일반주민보다 우선적으로 받을 수 있어서, 소득을 올리기 위해 이들은 국가의 농업·농촌 시책에 따라 자신의 생업을 조정하였다. 소·빈농들은 정부 정책의 혜택보다는 상업 작물 재배와 임금노동을 통해 처한 어려움을 적극적으로 개척해났다. 결론적으로 새마을운동은 1960년대 ‘경제개발’을 기치로 내걸고 농촌의 근대화를 시도하였던 박정희 정부의 강력한 리더십과 자조를 통해 삶의 질 상승을 시도하였던 농민들의 욕구와 희망의 결합 하에 농촌사회의 근대적 발전이라는 가시적 성과를 도출한 민·관 합작의 결실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중국 특급호텔에서의 체험이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베이징지역중심으로

        왕연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호텔산업의 품질과 서비스경쟁은 브랜드전쟁이라고 말할 정도로 오늘날 전 세계의 많은 기업들은 브랜드를 귀중한 자산으로 여기고 저마다 강력한 브랜드파워를 구축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 특급호텔산업도 치열한 브랜드경쟁 환경에 빠져있다. 본 연구는 체험마케팅의 전략적 체험(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 브랜드 태도, 브랜드 애착, 브랜드 충성도에 얼마나 그리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고객들이 제품의 품질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요즘 고객에게 제공하는 남다른 ‘체험’만이 구매결정의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체험마케팅의 모듈을 바탕으로 특히, 호텔산업에서 고품질화 된 서비스 이외에 체험이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증명하고자 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설문 문항을 측정변수로 설정하여 중국에 특급호텔을 한번이라도 이용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1월~3월 사이일 간에 걸쳐 중국에 베이징지역에 특급호텔 방문 체험이 있는 일반인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배부한 설문지는 총 300부이고 회수된 설문지는 280부이며 그 중에 유효하지 않은 설문지 18부를 제외시켰다. 따라서 실제 유효한 설문지는 262부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증조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에 특급호텔에서의 체험 요인 중 감성이 브랜드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인지와 감각이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에 특급호텔에서의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에 특급호텔에서의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에 특급호텔에서의 브랜드 애착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effect of experience on brand attitude,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on deluxe hotels in China, with a view to propose an efficient management strategy for deluxe hotels in a big city such as Beijing. Therefore, how experiential marketing influences brand attitude,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have become very important. In order to mee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a reach model and related hypothesis were set up from an extensiv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on the effect of experience on brand attitude,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on deluxe hotels in Chin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established through advanced research and empirical study are use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mentioned above. Survey for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target customers who had visited deluxe hotel in Beijing. Total of 2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Jan.6st to Mar.5st, 2013, and 262 were used in sample analysis after excluding 12 which were not suitable for model analysis by SPSS18.0 program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experiential marketing, sense marketing, feel marketing and think marketing have significant impact on brand attitude. Secondly, brand attitude have an impact on brand attachment. Thirdly, brand attitude have an impact on brand loyalty. Fourthly, brand attachment have an impact on brand loyalty. In conclusion, it was the aim of this study to find the future development for Chinese deluxe hotel industry through the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among hotel experience, brand attitude,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 재한중국동포에 대한 인식 및 정책의 변화 연구

        왕연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1992, Chinese ethnic Koreans began to enter South Korean society on a large scale. In Korea, ethnic Koreans are overseas Chinese holding People's Republic of China passports. However, they are of the same descent as Koreans, so they are subject to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of overseas Koreans. This is a clear difference in status from the old Chinese who were formed in Korean society. The Korean ethnic groups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history of overseas Chinese in China, which deserves academic attention. The Korean-Korean society was developed under the background of the Korean government's continuous improvement of immigration polic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China's overall national streng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oward ethnic Koreans in China fluctuates between exclusion and inclusion because of different national interests at different times. The study found that China's national strength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oward ethnic Korean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d previously argued that inclusion of ethnic Koreans in China would disrupt the domestic labor market and undermin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But a recent change in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oward ethnic Koreans shows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believes that the influx of ethnic Koreans from China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ino-Korean relations. Unlik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Korean society is becoming more and more different from Chinese. The more developed Korea is, the stronger the sense of superiority of Koreans, which manifests itself in the formation of hierarchical order within the Korean nation. In recent years, anti-Chinese sentiment in South Korea caused by Sino-US competition has raised awareness and rejection of ethnic Koreans in South Korea. Currently, ethnic Koreans in Korea and China are the most affected by political and diplomatic issues between the two countries. Given the heterogeneity of ethnic Koreans and Korean society and the sensitivity of China-South Korea relations, proper handling of ethnic Koreans in Korea is crucial to bilateral relations. The ethnic Koreans in Korea, who know China best, should be a catalyst for win-win relations, not a spark for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should create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na-ROK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