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ovably secure and scalable password-authenticated key exchange

        권정옥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1839

        A fundamental problem in cryptography is how to communicate securely over an insecure channel which might be controlled by an adversary. One way of addressing this problem is to use a key exchange protocol to make a session key with which the communicating parties establish a secure channel between them. A password-authenticated key exchange (PAKE) protocol allows two or multiple parties to share a session key using a human-memorable password only. In practice, PAKE is widely used in the client-server applications. There are a number of PAKE protocols, and there exist several ways of classifying PAKE protocols: The PAKE protocols can be classified by the number of the communicating parties. In a two-party PAKE protocol, only two communicating parties can establish a session key. In a multi-party PAKE protocol, more than two communicating parties can establish a session key. The PAKE protocols can be classified depending on whether the communicating parties have same passwords or different passwords. The PAKE protocols can be classified depending on whether the communicating parties have the same knowledge or different knowledge of a password. In a symmetric protocol, the communicating parties have the same knowledge. In an asymmetric (or verifier-based) protocol, the communicating parties have the different knowledge of a password. In the thesis, we study the security models for various classes of PAKE such as two-party PAKE with same passwords, two-party PAKE with different passwords, multi-party PAKE with same passwords, multi-party PAKE with different passwords, and symmetric PAKE and verifer-based PAKE for each classification (except the case of multi-party PAKE with same passwords). We also suggest some PAKE protocols for each classification. Our suggested PAKE protocols are provably secure as well as efficient under the weaker assumptions than the previous protocols. Two-Party PAKE with Same Passwords. We first show that some of the widely-used techniques to design symmetric protocols are vulnerable to off-line dictionary attacks. We then suggest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attacks. In a duplex channel, the communicating parties can send their messages each other at the same time. Assuming the duplex channel, we present a one-round verifier-based protocol proven secure in the ideal hash model by employing the functionality of the simultaneous message transmission. Two-Party PAKE with Different Passwords. Abdalla et al. suggested a generic two-party PAKE protocol with different passwords, GPAKE, which uses any secure two-party PAKE protocol with same passwords in the standard model. We suggest a two-party PAKE protocol with different passwords which is more efficient than GPAKE from the viewpoint of the round-/computation-/communication-complexities. The suggested symmetric protocol is also extended to verifier-based model without sacrificing efficiency and security. Multi-Party PAKE with Same Passwords. The security of a PAKE protocol might be easily proved, if we assume that the functions (like hash or encryption functions) are ideal functions. But the secure protocol in the ideal function model may not be secure in the real world. So it is important to reduce or remove the use of the ideal functions in the proof of security. We suggest a two-round protocol in the ideal cipher model and a two-round protocol in the standard model whose security is proved without assuming ideal functions. Multi-Party PAKE with Different Passwords. In the PAKE protocols with different passwords, a server usually helps to establish a session key between the parties. We suggest symmetric and verifier-based protocols having a constant number of rounds, which provide key secrecy with respect to the curious-but-honest server. That is, in our protocols even the curious-but-honest server cannot know the session key established between the parties. To make a symmetric multi-party PAKE protocol with different passwords, we use our two-round multi-party PAKE protocol with same passwords. To make a verifier-based multi-party PAKE protocol with different passwords, we use our one-round veri¯er-based two-party PAKE protocol.

      • 현대일본어의 가능표현에 관한 고찰

        권정옥 울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日本語抄錄〉 本稿では、日本語教師と学習者が現代日本語の可能表現を活用する上で、その用法を明確にし、理解を助けようとするのが目的である。 従って、現代日本語の可能表現を(可能動詞)、(れる․られる)、(できる)、(得る)などに分けて形式․用法と意味的分類と可能表現の特徴の順に概観し、日本のTVで放送したドラマ(のだめカンタービレ)(2006)․(ホタルノヒカリ)(2007)と、朝日新闻のカルロム(天声人语)(2005)の用例の現状を分析し、現代日本語の変化像を考察してみた。調べた結果は以下のとおりです。 まず、(可能動詞)は、5段動詞未然形+(れる)の延長線上にある形で5段活用動詞で(a-r)を脱落させると、(可能動詞)となる。現代日本語の可能表現で、5段動詞の可能表現は、ほぼ可能同化して使用する。この形の推論現象で、(ら抜き言葉)を挙げることができる。 (れる․られる)は、形の根源的同一性に可能と自發の境界が不明て自発表現と可能表現の判定方法を提案する。韓国語で(自然に自然に〜する)という意味が表示されたら、自発的に考慮され、(〜をす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意味であるときは、可能な表現と判断する。また、可能な表現は、状態性を示し、自発表現は、動作状況を示し自発表現にのみ、述部に(〜ている)を付けることができる。 (できる)は(名詞+ができ)と(名詞+ができる)の二つ形で可能形動態化することができるが、意味的に違いはない。また、(できる)は(する)の可能形で、形態的対応のルールでは例外な形である。 (〜ことができる)は、動詞の基本形に変更なしで貼り付けに使用できる可能表現で、最も便利な表現だ。語感が少し強調された感じを与える。 (得る)は、動詞の連用形に付いて、それ自体にも可能の意を示し、否定の形では(え)+(ない)を書く。一般的に文語体で書き、やや硬めの語感を与える。 第二に、(可能表現)の比較では、2つの見方がある。(可能動詞)は可能の真偽や困難な気持ちをつれて、(れる‧られる)は可能․不可能の难易の表現に近いものだと(れる․られる)は主語の内的な能力を示し、(〜ことができる)は、外的条件による能力を示すということだ。しかし、現代になって表現形が(ことばのゆれ)につながり、意味上の区別が不明になっている。 第三に、(可能表現)の意味分類では、技術的可能、本能的可能、習慣的可能、状況可能、状態可能、許可․禁止の可能に分けた。これらの意味分類は、便宜的な分類だったが、大体の傾向にあって可能の根拠は、對象とその周囲の状況に属しているか、その像があることを見て分類することができる。 第四に、(可能表現)の特徴では、格変化は、一般的な可能文が(が)格を伴う。他動詞可能文における格変化が伴って動作の主体が(が)や(に)格がされるか、または対象格が(を)格(が)格でされている。また、二重主格文の場合は動作主が(が)格をまず取ってから、動作対象は(を)格をとるとされる。 意志性動詞では、可能文は、行為が強調に成立する条件として、主体の意志性が前提と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つまり、意志性動詞は通常意志的の選択に応じてその行為を行うことができる動詞である。そのため、無意志動詞は使用できない。 第五に、日本のTVドラマ(ホタル)(のだめ)、そして朝日新闻コラムの(天声人语)を通って用例別現状の分析により、可能表現の使用頻度を調査した。 用例で現れた現象は(可能動詞)が最も多くの頻度を示した。これは、5段動詞の(れる)形の減少に伴い、(可能動詞)が頻出しているものとみられる。(ら抜き言葉)の増加現象も(可能動詞)形をしており、今後の表現の中で(可能動詞)の使用がますます激しくなると予想される。そして、新聞のコラムの(天声人语)で(〜ことができる)が多用されており、ジャンルの特性上、自分の主張が反映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ので、強調された語感の表現が増加したものと思われる。 以上の可能表現は韓国語で(〜す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用語で、(可能動詞)、(れる․られる)、(できる)、(得る)など、複数の用語を持って対応されるため、韓国人の学習者にはややこしい表現であるかもしれない。しかし、動詞の活用の群を確認する反復学習と用例を使用して文を身につけることが良いと思う。可能文は、通常の能力可能と状況可能に分けるのに丁寧に練習することが必要だと考えている。

      • 폴리에틸렌옥사이드/실리카 하이브리드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N-치환 우레탄)의 합성 및 리튬 고분자 전해질의 특성 연구

        권정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1839

        두 종류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가교체 (NPEO) 의 열 및 열기계적 특성이 LiClO4의 농도 (CL) 및 가교간 분자량 (Mc)의 함수로 연구되었다. 두 종류의 가교체의 가교점은 우레탄기로 PEO 상에 공유결합 되어 있으며, 각각 실리카 가교체와 유기상 극성기로 구성되어 있다. 시차주사열량분석기 (DSC)로 부터 얻어진 NPEO 내에서의 PEO 상의 유리전이온도 (Tg)는 Mc의 감소와 함께 증가했으며, organic-NPEOs에서 보다 silica-NPEOs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같은 Mc를 갖는 가교체 사이의 Tg의 차이는 Mc의 감소와 함께 증가했다. 이들 결과로부터 PEO 상과 가교점의 상호작용이 organic-NPEO에서 보다 silica-NPEO에서 더 강하다고 제안할 수 있다. NPEO에 LiClO4의 첨가의 결과로 가교체내에서의 PEO 상의 Tg가 증가했으며, 이것은 CL의 증가와 함께 증가했다. NPEO에서 CL의 증가에 따른 PEO상의 Tg의 증가는 높은 CL에서 둔화 또는 포화되었으며, 이것은 폴리머에서 염의 용해도의 한계에 도달했음을 나타낸다. Tg 증가의 둔화 또는 포화현상은 DMA분석에서도 역시 관찰되었다. 높은 CL 을 갖는 NPEO의 DMA 분석으로부터 얻어진 loss factor tan 와 온도 곡선은 턱 또는 이중 피크를 보였으며, 이것은 폴리머 가교체에 또 다른 상의 존재를 의미한다. Silica-NPEO는 organic-NPEO보다 강도가 더 낮은 이차상의 tan  peak를 갖으며, Tg 와 CL 곡선에서 포화에 상응하는 염농도의 더 높은 개시치를 갖았다. Tg 거동과 tan  곡선의 결과로부터 organic-NPEO보다 silica-NPEO가 더 높은 염용해도를 갖는다고 제안할 수 있다. 실리카의 함량이 PEO 와 실리카계 salt-free 와 salt-added hybrids 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PEO/silica 와 PEO/silica/LiClO4 [O: Li (9:1)] 인 두 종류의 hybrids가 전구체인 triethoxysilane기능기를 갖는 PEO와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dml 산촉매 졸겔반응으로부터 합성되었다. 파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이들의 모폴로지를 분석하였으며, 두 종의 하이브리드에서 실리카의 wt.-% 가 증가함에 따라 불연속성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DSC 분석은 실리카의 함량의 PEO상의 Tg 에의 영향이 salt-free 와 salt-added 하이브리드에서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PEO상의 Tg 는 salt-free하이브리드에서는 실리카의 wt.-% 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으며, salt-added 하이브리드에서는 실리카 함량 35 wt.-% 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salt-free 와 salt-added 하이브리드 모두에서, DMA로부터 얻어진 loss tangent의 피크는 실리카의 wt.-%의 증가와 함께 점차 넓어지고, 낮아졌다. 그리고 Tg 이상의 영역에서 storage modulus, E, 은 실리카의 함량 증가와 함께 증가했다. PEO/silica/LiClO4 하이브리드는 실리카의 함량이 35 wt.-%에서 최대 이온전도도인 3.710-6 S/cm를 나타냈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N-치환 우레탄)이 첫번째로, 알칼리 금속을 이용한 폴리머의 금속화로 얻어진 우레탄 폴리음이온을 다음 단계로 알킬 토실레이트와 반응시키는 우레탄의 알칼리 촉매 두 단계 N-치환반응을 이용하여 합성되었다: 촉매, 용매, 반응 온도 및 치환체의 길이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N-알킬화의 전환속도 및 생성된 폴리머의 분해의 관점에서 연구되었으며, FT-IR과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였다. Lithium hydride (LiH), sodium hydride (NaH), and potassium tert-butoxide (t-BuOK) 가 촉매로 이용되었으며, dimethyl sulfur oxide (DMSO) 와 tetrahydrofuran (THF)의 혼합물이 용매로 이용되었으며, methyl tosylate 와 butyl tosylate (BuOTs) 가 치환체로 이용되었으며,–5 ~ 20 oC의 온도범위가 연구되었다. LiH 촉매를 사용한 반응은 N-메틸화 및 N-부틸화 모두 연구된 반응온도와 용매 범위내에서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오히려 반응시간의 증가와 함께 점차 분해가 진행됨이 발견되었다. NaH 및 t-BuOK를 이용한 N-메틸화는 THF단독 및 THF와 DMSO 혼합 용매와 –5 ~ 20 oC 온도범위 내에서 1시간 이내에 완료되었다. 폴리우레탄의 N-알킬화에 대한 전환속도는 온도와 용매 혼합물내에서 DMSO의 증가와 함께 증가했다. NaH를 사용한 폴리우레탄의 N-메틸화의 전환 속도는 t-BuOK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폴리우레탄의 N-부틸화에서, 전환속도는 N-메틸화에 비교하여 크게 감소하였으며, NaH 와 t-BuOK를 사용한 경우가 다르게 나타났다. 분해는 폴리우레탄의 N-치환반응에서 NaH를 사용한 경우가 t-BuOK의 경우보다 더 쉽게 발생함이 관찰되었다. 또한, 반응온도의 증가 및 용매내의 DMSO함량의 증가와 함께 분해도 증가했다. 알킬 및 올리고에틸렌 옥사이드 모노메틸에테르 곁사슬을 갖는 폴리(N-치환 우레탄)이 DMSO 용매하의 t-BuOK 와 토실레이트를 이용한 2단계반응을 이용하여 합성되었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N-치환 우레탄) (N-sub PEOPU)의 열적특성이 N-치환 전도 및 치환체의 특성의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FT-IR, 1H-NMR 및 13C-NMR이 합성된 고분자의 화학적 구조 분석에 이용되었다. DSC와 열중량분석계 (TGA) 가 N-sub PEOPUs의 열특성 분석에 이용되었다. N-메틸화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N-sub PEOPUs 의 Tg 가 6에서 –29 oC 로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TGA로부터 공기분위기에서 얻어진 5% 중량손실온도( )는 278에서 360oC로 증가하였다. 완전 치환된 PEOPU에서, 2단계로 진행되었던 PEOPU의 열분해거동이 360 ~ 440 oC온도 범위의 1단계 분해로 변화되었다. Tg 는 N-sub PEOPU의 치환체의 길이 증가와 함께 더 낮은 온도로 이동하였다. N-치환에 의한 열안정성의 증가는 N-에톡시화 PEOPU에서 보다 N-알킬화 PEOPU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Thermal and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two series of networks of poly(ethylene oxide) (NPEO)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he chain length between cross-link sites (Mc) and of concentration of LiClO4 (CL). Cross-link sites of the two types of networks are composed of silicate network (silica-NPEO) and organic polar group (organic-NPEO) respectively and they are covalently bonded to PEO phase through urethane group.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PEO phases in NPEO from DSC increased with the decrease of Mc and was higher in silica-NPEOs than in organic-NPEOs. The difference of Tg between two types of networks with the same Mc increased with decreasing Mc.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of cross-link point with PEO phase is stronger in silica-NPEO than in organic-NPEO. Addition of LiClO4 to NPEO resulted in the elevation of Tg of PEO phase in the network that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L. The increase of Tg of PEO phas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L in NPEO was retarded or saturated at high-level CL indicating that the limit of “solubility” of the salt in the polymer has been attained. Retardation or saturation of increase of the Tg was also observed in DMA analyses. The curves of loss factor tan  versus temperature from DMA of the NPEO with high-level CL showed shoulder or double peaks that indicate the existence of the second phase in the polymer networks. Silica-NPEO had the lower intensity of the tan  peak of the second phase and had the higher onset value of salt content for the saturation in the Tg versus CL curves than organic-NPEO. The results from the Tg behavior and the tan  curves suggest the higher salt-solubility of silica-NPEO than that of organic-NPEO. To study the effect of the silica content on the properties of the salt-free and salt-added hybrids based on PEO and silica, two series of hybrids, PEO/silica and PEO/silica/LiClO4 [O: Li (9:1)] hybrids were prepared via the in situ acid catalyzed sol-gel reactions of the precursors; PEO functionalized with triethoxysilane and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Their morphology were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of the fracture surfaces of hybrid revealing that the discontinuity develops with increasing the wt.-% of silica in both hybrids.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ic (DSC) analysis indicated that effects of silica content 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Tg) of PEO phase were different in salt-free and salt-added hybrids. The Tg of PEO phase increased with increasing wt.-% of silica in salt-free hybrids while the curve of Tg of PEO phase and silica content had maximum at 35wt.-% of silica content in salt-added hybrids. For both salt-free and salt-added hybrids, peaks of the loss tangent from DMA were gradually broadened and lowered with increasing wt.-% of silica. The storage modulus, E, in the region above Tg increased with increasing silica content for both PEO/silica and PEO/silica/LiClO4 hybrids. In the conductivity and composition curves for PEO/silica/LiClO4 hybrids, the conductivity showed a maximum value of 3.710-6 S/cm, corresponding to the sample with a 35 wt.-% of silica. Polyether Poly(N-alkyl urethane)s were synthesized through an alkali-catalyzed N-substitution reaction of urethane in a two-step process: first, metalation of the starting polymer with an alkali metal, then treatment of the obtained urethane polyanion with alkyl tosylate. The influences of the catalyst, solvent, reaction temperature, and length of the substituent on the reaction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conversion rate of the N-alkylation and the degradation of the polymer products using FT-IR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respectively. Lithium hydride (LiH), sodium hydride (NaH), and potassium tert-butoxide (t-BuOK) were used as the catalysts, a mixture of dimethyl sulfur oxide (DMSO) and tetrahydrofuran (THF) as the solvent, and methyl tosylate and butyl tosylate (BuOTs) as the substituents within a temperature range of –5 ~ 20 oC. When using LiH as the catalyst, both the N-methylation and the N-butylation of polyurethane rarely occurr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temperature and the solvent used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Degradation was also found to progress gradually with an increase in the reaction time. With NaH or t-BuOK, the N-methylations were completed within an hour within a temperature range of–5 ~ 20 oC in THF and in mixtures of DMSO and THF. The conversion rates for the N-alkylation of polyurethane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and DMSO content in the solvent mixture. The conversion rates for the N-methylation of polyurethane using NaH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when using t-BuOK. In the N-butylation of polyurethane, the conversion rates significantly decreased relative to the N-methylation and were different in the case of using NaH and t-BuOK. Degradation was found to occur more easily in the reaction of the N-substitution of polyurethane when using NaH than in that using t-BuOK. Furthermore degradation also occurred more easily as the temperature and DMSO content in the solvent mixture increased. Poly(N-substituted urethane)s with alkyl or oligo(ethylene oxide) monomethyl ether side chain were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perating in a two-step process: firstly metalation of the starting polymer with t-BuOK and then treatment of the obtained urethane polyanion with tosylate in DMSO. The thermal properties of poly(ethylene oxide) poly(N-substituted urethane) (N-sub PEOPU) were investigated in view of the N-substitution degree and the properties of the substituent. The chemical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by the FT-IR, 1H-NMR and 13C-NMR.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and 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thermal properties of N-sub PEOPUs. As the degree of N-methylation increase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N-sub PEOPUs linearly decreased from 6 to –29 oC and the weight loss temperature of 5% ( ) from TGA in air increased from 278 to 360 oC. In the fully N-substituted PEOPUs, the behavior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PEOPU which was processed in two stages was changed to one step decomposition in the temperature range of 360 ~ 440 oC. The Tg was shifted to lower temperature with the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substituent in N-sub PEOPU in the present study. Improvement of the thermal stability by N-substitution was more significant in N-alkyl PEOPU than in N-ethoxylate PEOPU.

      • 유기금속화합물을 이용한 고온초전도체 YBa ₂Cu₃O 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권정옥 江原大學校 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1839

        2-Ethylhexanoate compounds which contained Y, Er, Yb, Ba, and Cu were prepared separately. These metallo-organic compounds were dissolvtd together in the common solvent and the solution was homogeneous. From these solution, high T_(c) superconductors YBa_(2)Cu_(3)O_(7-δ)( Y123 ), ErBa_(2)Cu_(3)O_(7-δ)(Er123), and YbBa_(2)Cu_(3)O_(7-δ)(Yb123)were prepared. XRD analysis showed that these superconductors were not single phase and contained some impurity Phases including YBa_(2)Cu_(4)O_(8)(Y124). This was also confirmed from the 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ment. Generally, critical temperature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superconductors prepared by ceramic method. Volume diamagnetic susceptibility showed little cariation compared to the specimen mada by ceramic method.

      • 노래 부르기가 인공 와우 이식아동의 운율 개선에 미치는 영향

        권정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전래동요 노래 부르기 활동이 인공와우 이식아동 운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활동 기간은 2014년 9월 4일부터 2014년 11월 27일까지 10주간에 걸쳐 18회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총 15명의 인공와우 아동들로부터 전래동요 노래 부르기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두 그릅으로 나눈 뒤, 실험 집단 8명에게는 전래동요 노래 부르기 활동을 10주간 주 2일 30분씩 수업하였고, 통제집단 7명에게는 돌봄 교사 지도하에 학습지풀기 및 독서 활동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실시하기 직전(사전)과 실험 종료 후 (사후), 대화체로 이루어진 문장을 4 가지 문형에 따라 감탄문, 명령문, 의문문, 평서문 한 문장씩 읽게 하여 녹음하여 음성을 수집하였고, 수집한 음성자료는 Pratt version 5.2.19 에서 분석하여, 발화속도와 문장전체 억양기울기, 문미 억양기울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SPSS for window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전래동요 노래 부르기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발화속도의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간의 차이에 있어 4가지 문형 중 의문문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Z= -3.009, p<.05). 실험 집단 내 발화속도 차이에 있어 명령문(Z= -2.100, p< .05)과 의문문(Z= -2.521, p< .05)이 통계적으로 사전보다 사후에 상승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4가지 문형 모두에서 발화속도가 사전보다 사후에 발화속도가 더 빨라진 모습을 보여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문형 간 발화속도 차이에 있어 의문문이 평서문보다 통계적으로 더 속도가 빨랐다. 문장 전체 억양기울기 사전과 사후의 차이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문미 억양기울기 사전과 사후의 차이에 있어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4가지 문형 중 명령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Z= -2.893, p< .05). 실험 집단 내 문미 F0 사전과 사후의 차이에 있어서 4가지 문형 중 감탄문(Z= -2.240, p< .05)과 명령문(Z= -2.240, p<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한 모습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실험집단의 문미 억양기울기는 4문형 모두 기울기가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전래동요 노래 부르기가 인공와우 아동의 운율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적인 음악 중재임이 확인 되었고, 전래동요 노래 부르기를 통해 발화속도와 억양기울기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중소병원 간호단위의 간호근무환경에 따른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권정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중소병원 간호단위의 간호근무환경에 따른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Nurse's practice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medium sized hospital nursing units 간 호 학 과 권 정 옥 지 도 교 수 김 은 영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단위의 간호사 확보수준과 간호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를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중소병원의 간호근무환경을 향상 및 개선하고 간호 인력관리 방안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 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200병상이상 300병상 미만의 6개의 중소병원, 38개 간호단위의 32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308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7월 20일부터 8월 10일까지이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9.0/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호단위의 간호사 확보수준은 간호사 1인이 담당하는 환자수가 평균 13.99±8.62명이었고 간호인력 1인이 담당하는 환자수는 평균 10.76±6.30명이었고 간호사중 학사이상 소지자 비율은 30%이상이 6.5%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은 4점 척도에 평균평점 2.39±.31점으로 나타났다. 간호단위의 간호근무환경을 구분한 결과 ‘좋은’에 해당하는 병동은 8개로 21.8%였고, ‘열악한’에 해당하는 병동은 19개로 45.5%로 나타나 중소병원간호사들의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은 낮은 수준이었다. 3.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4점 척도에 평균평점 2.57±.60점이었다. 하부영역별로 ‘상호작용’이 2.77±.7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수’가 1.96±.6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이직의도는 5점 척도에 평균평점 3.52±.53점으로 나타나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간호단위의 간호인력 확보수준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간호단위의 간호인력 확보수준에 따른 이직의도는 간호사 1인당 환자수(F=7.96, p<.001)와 간호인력 1인당 환자수(F=13.40, p<.001)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5. 간호단위의 간호근무환경에 따른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좋은’에 해당하는 병동(3.00±.50점)이 ‘보통’(2.53±.55점)과 ‘열악한’(2.43±.62점)병동 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간호단위의 간호근무환경에 따른 간호사의 이직의도는 ‘좋은’에 해당하는 병동(3.09±.39점)이 ‘보통’(3.59±.53점)과 ‘열악한’(3.68±.48점)병동 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간호단위의 간호인력 확보수준과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중소병원 간호단위에서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적정수준의 간호인력 확보와 간호근무환경의개선이 필요하다. 주요어 : 직무만족, 이직의도, 간호근무환경, 간호인력 확보수준

      • 대전 줄풍류의 전승과 음악적 특징 : 매사(梅史) 이경호 선생 악보를 중심으로

        權貞玉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In this study, we decoded the『Daejeon Joolpoongryu Hanja (Chinese character) Kooeumbo』which was arranged by Lee Kyung Ho in 1935 and studied about Daejeon Poongryu's transmission style to know about the transmission of Daejeon Poongryu. And to find the Daejeon Joolpoongryu's musical feature focused on the Daejeon, Eeli and the Kookakwon's (Classical Music Institute) Kayaguem melody based on the Lee Kyung Ho's 『Daejeon Joolpoongryu Hanja (Chinese character) Kooeumbo』, Kang Nak Seung's『Hyangje Joolpoongryu Kayageum Jeungbo』and a coauthor Kim Ki Soo and Choi Choong Oong's 『Kayaguem Jeongakbo』by comparing law of tuning, law of oral sound, division of scene, number of rhythm beat, way of rhythm beat, organization tune and melody,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Daejeon Poongryu has been a Youlhoe from the era of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fter liberation, YoulKaek (member of Youlhoe) had a Youlhoe in YoulKaek's home without name of Youlhoe until the early on 1960's. Daejeon Jeongakwon which was set up in 1965 was flourishing until in the late 1970's. It made a Choongnam university's Kookak meeting in 1976, taught Daejeon Poongryu and performed local Kookak related events. However, due to the foundation of Daejeon City Kookakwon early on 1980's, it had a off season. And then, a meeting of Hanbat Jeongak was established in 1991 to transmit the Poongryu culture tradition and to cultivate individual's gift. It has been flourished up to now. A music score of the Daejeon Poongryu handed down both Kwanak score which is used in the 1960's and Hyunak score - Daejeon Poongryu Hanja (Chinese character) Kooeumbo and Daejeon Poongryu Hanguel (Korean character) Kooeumbo - which was arranged by Lee Kyung Ho in 1935. Second, Daejeon Joolpoongryu's law of Johyun and law of oral sound are same as those of Eeli's because Daejeon and Eeli utilize Sanjo Kayaguem. In case of Kookakwon, it has Jeongak’s law of Johyun and law of oral sound since it utilizes Jeongak Kayaguem. Therefore in the case of law of Johyun and law of oral sound, Daejeon and Eeli are the same but different to Kookakwon. Third, Daejeon and Eeli is same but different to Kookakwon in Seryungsan · Karakjeji · Sanghyundodri's division of scene. Hahyundodri · Yeombooldodri · Taryung · Koonak's division of scene is all different but the total number of rhythm beat is all the same. Forth, a rhythm of Daejeon Joolpoongryu's Taryung · Koonak was written by hand in score as 8 beat but 12 beat in both Eeli's and Kookakwon's. Actually written by hand in score as 8 beat but due to the ornament, real performance was considered as a 12 beat. The reason can be drawn owing to the different publishing year. Fifth, Daejeon Joolpoongryu's appeared sound from Seryungsan to Taryung is Hwang, Tae, Choong, Im, Moo, Koonak is Hwang, Tae, Ko, Choong, Im, Nam. Tae and Moo are frequently used in Daejeon Poongryu. The reason of Tae's frequent appearance is due to the differences of law of Johyun and passing sound. Different states account for law of Johyun is when the process is going from the Daehwang to Hwang in Kookakwon. Also passing sound is appeared when Hwang is going up to the Choong and Choong is going down to the Hwang. The reason of Moo is the difference method of performance. In the case of using Im 'Dduldong' in Kookakwon, Moo-Im sound is performed as same portion not used 'Dduldong' method. So that sounds are remarkably appeared. Sixth, the melody of Daejeon, Eeli and Kookakwon Joolpoongryu is almost similar but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due to the differences such as tune method, techniques, melody, rhythm beat, and passing sound etc. In the case of Daejeon two minute rhythm and passing sound are frequently appeared. It is considered as a long rhythm which is appeared in Kookakwon is segmented in Daejeon. 'Sllkidoong', 'Ssaraeng', 'Dduldong', 'Ddul', 'Jeonsung and 'Yuntwingkim' techniques which are observed in Kookakwon are appeared in Daejeon with short rhythm and different sound. 본 연구에서는 대전 풍류의 전승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대전 풍류의 전승 양상과 1935년 이경호가 정리한『 대전 줄풍류 한자 구음보』를 해제 하였다. 그리고 대전과 이리, 국악원의 가야금 선율을 중심으로 대전 줄풍류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이경호의『대전 줄풍류 한자 구음보』, 강낙승의『 향제 줄풍류 가야금 증보』, 김기수ㆍ최충웅 공저의『 가야금 정악보 』를 참고하여 조현법과 구음법, 장 구분, 장단 수, 장단, 출현음, 선율을 서로 비교 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전풍류는 일제 강점기부터 율회가 있었고 해방이후, 1960년대 초까지는 율회의 명칭 없이 율객들의 집에서 율회를 가졌다고 한다. 1965년에 창립한 대전정악원은 1970년대 후반까지 많은 율객들로 흥성하여 1976년 충남대학교 국악연구회를 만들어 대전풍류를 지도하고 지역의 국악 관련 행사를 수행토록 하였다. 1980년대 초 대전시립연정국악원이 생겨 침체기를 맞기도 하였으나 1991년 연로한 대전풍류 율객들과 그들에게 지도를 받은 젊은 풍류인들이 이 지역의 풍류문화 전통을 계승하고 개인품성 함양을 목적으로 한밭정악회를 창립하여 현재까지 대전풍류 전승을 위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대전풍류의 악보는 1960년대에 사용했던 것으로 관악악보와 1935년 이경호가 정리한 현악악보인 대전 줄풍류 한자 구음보와 한글 구음보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둘째, 대전 줄풍류의 조현법과 구음법은 이리 줄풍류와 같다. 대전과 이리는 산조 가야금을 사용하기 때문에 산조 조현법ㆍ구음법과 같고, 국악원은 정악 가야금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악 조현법ㆍ구음법과 같다. 그러므로 조현법과구음법에서는 대전과 이리는 같고 국악원과는 다르다. 셋째, 장 구분을 분석한 결과 세령산ㆍ가락제지ㆍ상현도드리에서 대전과 이리는 같게 나타나고, 하현도드리ㆍ염불도드리ㆍ타령ㆍ군악은 대전과 이리, 국악원 모두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세령산~군악까지의 총 장단수는 같다. 넷째, 대전 줄풍류의 타령ㆍ군악 장단은 한 장단이 8박으로 기보되어 있고 이리와 국악원은 12박으로 기보되어 있다. 기보는 8박이지만 꾸밈음의 미묘한 차이로 인하여 실제 연주는 12박으로 느껴진다. 이러한 이유는 악보의 출판년도가 다르기 때문에 시대적인 차이와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섯째, 대전 줄풍류 출현음은 세령산부터 타령까지는 黃, 太, 仲, 林, 無 군악에서는 黃, 太, 故, 仲, 林, 南이 옥타브로 출현한다. 대전 줄풍류에서는 특히 太와 無가 많이 출현한다. 太가 출현하는 이유는 조현법의 차이와 경과음의 출현으로 분석된다. 조현법의 차이로 나타나는 현상은 국악원의 대광에서 광으로 진행할 때이고, 경과음의 출현은 광에서 중으로 상행할 때와 중에서 광으로 하행할 때이다. 무의 경우는 연주 수법의 차이로 나타난다. 국악원 람 ‘뜰똥’ 수법을 사용할 때 ‘뜰똥’ 수법을 사용하지 않고 무-람 음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연주하는 과정에서 악상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여섯째, 대전과 이리, 국악원 줄풍류의 선율은 거의 유사하나 조현법에 의한 선율의 차이, 분박의 차이, 경과음의 차이, 수법의 차이, 선율형의 차이 등으로 다르게 나타난다. 대전에서는 2분박과 경과음이 많이 나타나며 국악원의 긴박의 음을 대전에서는 음을 분화시켜 리듬이 세분화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악원에서 나타나는 ‘슬기둥’, ‘싸랭’, ‘뜰똥’, ‘뜰’, ‘전성’, ‘연튕김’ 수법이 대전에서는 단(單)음과 다른 음으로 나타난다.

      • 미술 비평을 활용한 대화 중심 미술 감상 수업 연구

        권정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다양한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4차 산업혁명은 이미 우리 생활 속에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세상은 빠르게 변화하고 복잡해지며 예측 불가능한 변화와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기 위해 미술은 과거의 전통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증가하는 시각문화의 비판적인 수용과 개인적 표현의 가치를 넘어서 그 개인이 살고 있는 시대와 삶을 통해 미적 안목을 길러야 한다는 필연성에 직면해있다. 그러나 최근까지의 미술교육은 표현력, 조형력 함양 등의 창작활동에 편중되어 있었고 이에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핵심 역량을 기르기 위한 전인 교육으로서 미술과 교육의 감상 및 비평 활동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감상교육은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미적 안목과 정서를 길러 삶 속에서 미술을 향유할 수 있는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다양한 미술 작품을 감상하면서 개인의 자유로운 생각이나 판단을 통해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기르게 되고 서로의 생각을 소통하고 공감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미술을 이해하고 향유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감상교육은 여러 측면에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수업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교사의 감상교육에 대한 인식 재고와 그에 따른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하나의 해결책으로 감동과 이해의 통합 속에서 미술 작품에 대한 서로의 생각을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는 감상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필요성이다. 이 연구는 다양한 감상 수업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작품과 학생,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대화 중심 소통을 통해 초등학생의 주체적인 미술 감상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미술 비평 교육의 이론을 확립시킨 펠드먼(Feldman)의 미술 감상・비평 모형과 게히건(Geahigan)의 비평적 탐구 방법, 시각적 사고 전략(VTS)과 아레나스(Arenas)의 대화 중심 미술 감상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그리고 창의적인 사고능력 향상과 다양한 시각문화를 비판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기 위한 미술 감상 수업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교 미술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미술 감상과 비평지도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화 중심 미술 감상 수업을 위한 이론적 고찰과 미술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반응 중심 미술 감상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한다. 또한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와 대화 중심 감상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 수업 적용 사례를 분석한다. 위와 같은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연구자의 초등학교 4학년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술 감상에 대한 인식 및 인지능력과 태도 변화 추이를 알아본다. 1년간의 양적 연구 자료로 사전・사후 설문지는 척도분석 방법으로, 질적 연구 자료로는 면담, 관찰, 수행보고서, 산출물 등을 직접 해석 방법으로 분석한다. 연구 결과 학교 미술교육에서 미술 전문가 양성이 아닌 미적 안목을 지닌 미술 소비자를 육성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이에 감상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수용적인 분위기 속에서 감상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 의욕이 높아지고 학습동기가 자연스럽게 고취되었다. 자신의 경험이나 지식에 비추어 작품을 해석하고 감상하며, 질문과 대화를 통해 스스로 궁금한 점을 찾고 상호 교류하면서 미술 작품을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미술 감상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토대가 마련되었으며, 작품에 대한 시각적 경험을 말하고 쓰는 언어화 과정을 통해 언어 표현능력이 향상되었다. 다른 학생의 의견을 수용하고 그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비평 능력이 신장되었으며 표현력 신장에도 기여하였다. 더 나아가 서로의 생각을 소통하고 공감하는 미술 감상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미술과 자신 그리고 삶과의 관련성을 높여 삶 속에서 미술을 향유할 수 있는 전인적 인간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Effects of Amino Acid substitutions at Positions 24 and/or 101 on Folding Property of Tryptophan synthase α-Subunit : 트립토판 합성효소 α 단량체의 접힘에서의 101번과 24번 잔기의 치환 효과

        권정옥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1839

        단백질의 접힘(folding)현상에서는 일반적으로 아미노산의 서열 자체가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런 접힘기작이 구체적으로 밝혀진 단백질은 아직 없다. 대장균의 트립토판 합성효소 α 단량체는 접힘현상 연구에 좋은 재료이고, 이것의 접힘현상과 그때의 중간체구조에 대한 몇가지 모델들이 제시되어 본 연구에서는 대장균의 트립토판 합성효소 α 단량체 단백질 접힘기작에 대한 101번 잔기와 24번 잔기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101번 잔기의 메티오닌을 발린(Val), 이소류신(Ile) 또는 메티오닌(Met)으로, 24번 잔기의 트레오닌(Thr)을 메티오니(Met)으로 치환시킨 단일잔기치환 단백질과 두자리 잔기를 모두 치환시킨 3가지 이중잔기치환 단백질(Met101→thr및thr24→Met, Met101→Ile및Thr24→Met, Met101→Val및Thr24→Met)를 사용하였다. 정제된 단백질에 요소(변성제)를 첨가하여 평형상태(equilibruim study)와 비평형상태에서 나타나는 단백질의 3차원 구조변화를 자외선의 흡광도 변화로 조사하였다. 이 결과 4가지 잔기치환 단백질의 Native form(N)과 접힘과정 중간 구조체(Ⅰ), Ⅰ와 Unfolded form(U)간의 자유에너지 차이는 wild-type 단백질의 해당 자유에너지 차이에 비해 증가하였다. 그리고, 3개의 이중잔기치환 단백질들은 각각의 단일잔기치환 단백질의 합보다 I↔U 변화에 있어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를 보였다. 이 결과는 두 잔기가 접힘과정에서 서로 상호작용을 하고 이런 상호작용은 Native form 구조보다 중간체구조에서 더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Native form에서 잔기의 상호작용하는 힘은 중간체에서 잔기의 상호작용의 힘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4번 잔기와 101번 잔기는 단백질 구조 형성중 중간체구조 형성에 크게 관여한다고 생각되어진다. 이때의 중간체는 완전히 변성되어 있는 카르복실 도메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각 잔기의 접힘에 대한 영향은 24번 잔기인 경우에는 소수성증가에 의해, 101번의 경우는 주변잔기와의 밀착된 구조에 의한 비공유결합의 증가에 기인한다고 사료된다. 각 잔기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 자세한 중간체 구조, 그리고 더욱더 자세한 접힘기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도메인의 잔기를 트립토판으로 치환하여 접힘기작을 연구하는 등 보다 직접적인 구조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 쓰인 치환 단백질들은 이러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