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 연구

        양혜진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1903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는 4개의 서로 다른 음악적 형식과 악기 편성으로 이루어진 음악으로서,이는 피터 쉐퍼(Peter Shaffer)의 희곡 Equus를 재료로 하여 극에서 가져온 인물과 주제의 상징과 그에 대한 특징 등을 다양한 음악 어법과 형식을 통해 형상화한 작품이다.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의 네 악곡 즉, “알런과 다이사트”, “알런의 독백”, “알런과 질”, 마지막으로 “Equus !”는 희곡 Equus의 극적 구조와 주제의식 , 인물의 성격 등을 작곡자의 입장에서 다시 구성하여 다루고자 하는 메시지를 네 개의 타이틀로 만든 것이다. 또 음악적인 면에 있어서 이러한 문학적 재료와 이미지는 그 표현의 소재가 되었다. 따라서 논자는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와 피터 쉐퍼의 희곡 Equus의 극적구성과 음악적 구성의 상호 관련성을 다루고, 희곡의 문학적 상징이 The Music for Equus에서 어떻게 음악적으로 표현되고 있는지를 논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점을 토대로 하여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를 분석하였다. 본고의 서론에서는 앞서 언급한 연구 목적과 그 방법론이 제시되었고, 본론에서는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와 피터 쉐퍼의 희곡 Equus의 상호 관련성과 음악적 상징을 논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의 네 악곡에 대한 분석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논자는 무엇보다도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가 단순히 희곡의 분위기나 인물의 특징을 묘사하기 위한 음악이 아니라 작곡자 나름의 구성을 통해 창작된 음악이라는 것을 중요하게 다루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고는 음악이 문학적 재료를 ‘얼마나’ 충실히 묘사하는가 보다는 음악 그 자체로서 어떻게 구성되고 짜여져 있는 지에 초점을 두어 양혜진의 The Music for Equus가 갖는 독립된 음악으로서의 의미를 밝히는데 그 비중을 두고 있음을 언급해둔다. Yang, Hye-jin’s The Music for Equus is composed of four pieces. Each piece has a unique instrumentaion, its musical language, characteristics, techniques, the structure and etc. The Music for Equus is based on Peter Shaffer’s drama, Equus. The composer as well as the writer of this paper wrote her music employing the materials of the symbols and the characters of this drama. The characters, the plot, conflicts, and themes of this drama were analyzed and redefined through four pieces of music: Alan and Dysart, Alan’s monologue, Alan and Jill and Equus !. The title of each music refers to themes of the composition. In this composition, the symbols from the literary work are presented as subjective material of musical expression.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ama and the musical composition, the way literary symbols of the drama were interpreted into musical structure. It is clear that The Music for Equus is not just background music but a musical composition based on the writer’s own analysis and definition on the drama. This dissertation aims to clarify ‘how’ the composer redefined the drama and interpreted literary symbols into music. The purpose and focus of this dissertation were stated in the introduction. The main body consists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rama Equus and musical composition, The Music for Equus, literary symbols of The Music for Equus in the musical composition and analysis of each chapter. The Music for Equus is not just a musical version of the drama but rather a unique creation, based on the composer’s own definition of the drama.

      •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연구

        양혜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 운영과정에 대해 탐색하였다.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에서 보육과정을 구성하여 실천하고 있는 원장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을 운영하면서 겪게 되는 경험과 고민들을 살펴봄으로써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의 운영의 실제를 풍부하게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는 원장 8명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16일부터 2017년 5월 30일까지 개인 2회 이상의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에 입문하게 된 원장들은 부족한 준비기간 속 개원, 설립 목적을 달리하는 주체자에 대한 이해, 사전 수요조사와 맞지 않는 실수요 해결 등의 혼란 속에서 운영을 시작하게 되었다. 또한 그러한 상황 속에서 원장들은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만이 갖는 낯선 운영체계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겪었다. 뿐만 아니라 이질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산업단지는 어린이집 운영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의 운영은 시작단계에서부터 운영의 차이가 생겨나게 되었다. 둘째,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의 운영은 입문기를 거쳐 성장기로 향하고 있었다.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 운영을 통해 중소기업 근로자들이 직장보육에 쉽게 접근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일에 대한 자긍심은 물론 자녀양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었다. 또한 사업주의 지지, 위탁체의 지원, 부모의 협조는 어린이집 운영 향상에 기여하고 있었다. 이에 원장들은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 운영에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고, 앞으로의 발전을 기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위와 같은 운영과정에서 원장들이 느끼는 운영의 어려움은 운영의 책임을 회피하는 중소기업 사업주들의 태도, 비현실적인 행정절차와 법규에 따른 과다업무와 운영비에 대한 부담, 공동운영을 이해하지 못한 부모의 요구였다. 원장으로서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해결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의 특성 상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이 있음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로써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 운영은 기존 설립 목표에 다다르지 못한 성장기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운영과정에서 원장들이 느끼는 어려움이 드러나게 되었다. 그러므로 지속 운영 가능한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이 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논의와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 다문화 음악교육을 적용한 교수-학습방안 연구 : 중학교 아시아 민요 중심으로

        양혜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Multi-cultural education is indispensable in Korean society where the nation consists of multi-races and multi-cultures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era of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Our society has insisted on being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However, many problems have surfaced in terms of educational, social, and political problems due to quickly increasing international marriages and migrant laborers. Because of this situation,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problem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o propose appropriat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midst this growing trend, in order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accept their cultures. The details of this study comprise a review of the concept and purpose of multiculturalism and the need for and concept of music for multiculturalism as well as research into a teaching-learning plan for Asian folksong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oblems and current statu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eanwhile, the study analyzed Asian folksongs focusing on music textbooks for middle school in the 7th curriculum, and Chinese, Vietnamese, and Japanese folksongs were selected given the ratio of the nationalities of immigrated women in a marriage. In order to research into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ism, the study chose 100 middle school students as its subject and identified their level of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Then, the study developed a 4 time class model, which attempts to help students learn and experience other cultures and learn the songs of each culture. In order to promot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chool culture where students respect other cultures and understand the value of those cultures by learning and experiencing diverse cultures. For this, first and foremost, in-depth educational policie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must be prepared, and highly efficient teaching methods and program studies should be introduced while including music and songs from many countries in the class. 다문화주의 교육은 21세기 정보화 세계화 시대에 들어와 다인종 · 다문화를 이뤄가고 있는 우리 한국사회에 꼭 필요한 교육이다. 단일민족국가를 주창하던 우리사회가 국제결혼과 이주노동자의 급증으로 인하여 교육, 사회, 정책 등의 많은 문제들이 대두 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교육현장에서 겪는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 할 수 있는 적절한 다문화 음악교육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문화주의개념과 목적, 다문화주의 음악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고찰과 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자녀가 겪고 있는 문제점과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아시아민요 교수-학습지도안 연구로 구성되었다. 아시아 민요는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제시된 나라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출신국 비율을 고려하여 중국, 베트남, 일본의 민요로 선정하였다. 다문화주의 실태조사를 위해 중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다문화주의 인식도를 파악하여 타문화를 먼저 배우고 느낀 후 제재곡을 학습하는 4차시 수업모형을 제시 하였다. 다문화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를 배우고 느낌으로써 다른 문화에 대한 존중과 가치를 이해하는 학교풍토가 자리 잡아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을 위한 교육정책이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수업에 다양한 나라의 악곡을 수록하고 효율성 높은 교수방법과 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 심리극이 자기표현과 상담효과에 미치는 영향

        양혜진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d how psychodrama could positive impact self-assertiveness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at it is the list of counseling effect and what it counseling effect through the list of counseling eff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total 145(male 78, female 67) who are all 6th elementary students of B elementary school. The experiment group for this study was 32(male 15, female 17) elementar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5th sessions of Psychodrama during the 5 weeks,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d any treatment. For experiment group, psychodrama session constituted a structured warm-up, followed by spontaneous activities by use of role play, role reversal, empty chair, emotional expression, imaginary work, and future projection. Measures were Assertiveness Scale(Byun Chang Jin & Kim Sung Hee, 1980) for self evaluation, The list of Counseling effect and The effect list scale on the experience(Yoon Sung Chul, 1997). The quantitative data was administered to all subjects as a pre-test and post-test. The qualitative data was administered to impressions that was written each session. The data analysis were done t-test by SAS. Followings are results from the study: 1) The psychodrama in self evaluation level was positive impact self-assertivenes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The counseling effect li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3) In the effect list of the sex,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difference, but the control group was appeared that female was more sensitive than male on the effect list in the daily experience. In conclusion, the psychodrama have positive impact on elementary students, because it approach them on nonverbal communications. If we made the most of the counseling effect list, we would be expected to prevent children from being a juvenile delinquent.

      • 어린이 박물관의 미디어 활용을 통한 공감각 체험 및 전시 선호 분석을 통한 전시 동선 연구

        양혜진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 박물관의 아날로그·디지털 미디어 전시표현의 현황을 알아 표현기법이 어린이로 하여금 공감각적 체험을 유도하는 과정을 고찰하고, 어린이의 체험전시 선호를 통해 전시 공간 동선을 파악 및 분석함으로써 어린이 박물관에 있어서 효과적 관람 결과를 나을 수 있는 관람 동선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2단계로 진행되었는데 1단계는 공감각적 체험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 6개의 대표적 어린이 박물관을 선정하여 현장방문조사를 통해 어린이 박물관의 미디어 활용 현황을 조사하고, 루돌프 슈타이너의 이론을 바탕으로 공감각적 체험 효과를 분석하였다. 2단계는 방문 조사한 어린이 박물관 중 3개소를 선정하여 관람객 추적조사를 통해 어린이의 전시 선호를 파악하고, 동선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어린이는 총 338명이었으며, 조사 자료는 MS office Excel 2003과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박물관의 체험전시물은 감각의 공감각적 전이로 인해 1차 감각이 자극되면 2차로 다른 감각이 유도되는데 이 과정을 슈타이너의 12감각론으로 미디어 활용에 따른 감각적 유도로써 해석해 볼 때, 아날로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은 어린이의 의지적이며 지각적 활동을 유도하고,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은 어린이의 인지적이며, 기억적·사고적 활동을 유도하게 된다. 향후 어린이를 위한 효과적인 전시 계획을 구성할 때, 아날로그 미디어와 디지털 미디어를 적절히 활용하여 교육의 목적에 따라 활용하되 현재 어린이 박물관의 미흡한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을 보완하여 전시 효과를 높이는 계획이 필요하다. 둘째, 관람객 추적조사를 통해 어린이의 체험전시물 선호도를 분석해본 결과, 구역(zone)에 따라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전시물이 적어도 한 개 이상은 존재하였고, 존재하지 않는 구역은 전체적인 관람률이 낮게 측정되었다.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전시물은 주목성이 좋아서 각 구역의 대표적인 전시물이었으며, 각 구역의 중앙에 위치하거나, 구역과 구역을 연결하는 위치에 있어서 관람률과 관람빈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심층 조사한 3개 어린이 박물관의 특성과 선행 연구된 박물관 전시 동선 유형을 바탕으로 어린이 박물관의 3가지 유형을 나타내었다. 첫 번째 유형은 'Smart Road Play' 타입으로 규모는 약 1,000㎡이고, 1시간 30분 동안 40여개의 전시물을 200여명이 체험 가능한 어린이 박물관의 형태이며, 아날로그 미디어를 대체적으로 활용한다. 관람은 구역(zone)별 순차적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동선의 중복이 가능하다. 대표적 전시물이 구역의 연계부분에 위치되어 자연스러운 동선 유도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두 번째 유형은 'Go Around Play' 타입으로 규모는 약 600㎡에 1시간 동안 50∼100명의 어린이가 약 20개의 전시물을 체험할 수 있다. 아날로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이 많고, 관람시 출입구가 동일하여 방향의 혼란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지만, 기호에 따른 재관람이 용이하다. 이 유형 역시 대표적 전시물이 거의 모든 구역마다 전시되어 동선 유도에 효과적이나 대표적 전시물이 위치하지 않은 구역의 관람률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세 번째 유형은 'Walk About Play' 타입으로 규모는 300㎡로 3개 어린이 박물관 중 가장 작으며 1시간 이내의 시간 동안 약 40명의 어린이가 20여개의 전시물을 체험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를 대부분 활용하여 게임을 통한 체험 형태가 주를 이룬다. 관람 동선은 제안되어 있지 않아 자유로운 관람 형태를 보이지만 혼잡한 형태로 관람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3가지 타입의 어린이 박물관이 모든 유형을 대표하는 것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하지만 다양한 조건의 어린이 박물관을 계획할 경우,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 국내를 포함해 어린이 박물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된 해외의 사례들을 통하여 어린이 박물관 유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창의성의 문제는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도 창의적인 인재양성의 문제가 제기되는 추세에 비추어 본다면 창의적인 교육환경, 창의성을 계발시키기 위한 공간구성 그리고 어린이들의 동기를 유발시키고 자기주도적인 학습과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전시 공간을 연구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한 이슈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계기로 하여 어린이가 스스로 원하며, 교육적 효과 또한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어린이 박물관과 시설 구성에 관해 다양한 접근과 영역에서의 심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We investigate how analog/digital representational techniques have different influence on children's experience of synesthesia, particularly when the techniques are applied to children's museums. Moreover, we analyze children's preferred route of movement in the museums to find out effective layout of the museums that makes children more interested. The research has been accomplished in two steps. In the first stage,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media utilization in children's museums and analyzed children's experience of synesthesia based on Rudolf Steiner's 'twelve-senses' theory. The data needed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through on-the-spot investigation and survey in six representative children's museums. In the second stage, we selected three out of six museums and analyzed children's preferred route of movement in the museums by tracking 338 individual children who visited one of the three museums.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Microsoft Excel 2003 and SPSS Win. 12.0 tool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one sense was stimulated and another sense was led by synesthetic spread at the experiencing display in children's museum. This process can be explained with Steiner's twelve-sense theory as sensuous induction in media utilization. Experience through analog media induces children's and volitional and perceptual activities, whereas experience through digital media induces children's cognitive, recognizable activities. Second, children's experiencing display preference through itinerary tracking was analyzed. There was at least one and more children preferred display at the every space zone, otherwise, the probability of watching the zone was low in general. Children preferred displays representative the most important display at the space zone, which is worthy of notice. Also i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space or connection space of zone to zone that calculated high probability and frequency of watching. Third, this research indicated new characters of 3 children's museum types with features of 3 children's museums that researched on this study and priority study of display circulation types. The first type is 'Smart Road Play', which covers an area of approximately 1,000 square meters. About 200 children can play about 40 mostly analog media based experiencing displays for a hour and half. In regular sequence circulation by zone is good, duplicated watching is also possible. The representative displays are located connection space of zone to zone which can lead natural movement. The second type is 'Go Around Play', which covers an area of approximately 600 square meters. About 50 to 100 children can play about 20 mostly analog media based experiencing displays for a hour. There is a possibility of disorder way-finding because of the entrance and exit of museum is same, but it is easy to re-enter when the watching is done because of it. The representative displays are located at almost of every zone that is effective lead children's movement, but it is possible to pass the zone if the representative display is not located in certain zone. The third type is 'Walk About Play', which covers an area of approximately 300 square meters. About 40 children can play about 20 mostly digital media based experiencing displays in a hour. The watching circulation does not suggested in this museum type that indicates freestyle movement but movement can be in confusion shape. This 3 types of children's museum can not be represent through the all children's museum, but on the plan of conditions of children's museum, the result of research can give merits and demerits. Advanced researches of children's museum should be progressed through foreign countries children's museum type including internal children's museum type hereafter.

      • 중,장년 여성의 여가 스포츠 활동에 따른 운동 정서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양혜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초록 중,장년 여성의 여가 스포츠 활동에 따른 운동 정서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스포츠태권도전공 양혜진 본 연구는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장년 여성의 운동정서를 분석하고, 운동정서와 심리적 행복감, 그리고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소재에 여가스포츠 활동을 하는 중장년 여성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선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결과 운동정서 신뢰도는 .812∼.948로, 심리적 행복감은 .908∼.943, 생활만족도는 .859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연령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45세 이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전문학사이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기타직업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참여일수에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주 5일 이상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활동기간에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5년 이상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시작하게 된 계기에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기타항목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종목에 따른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줄넘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운동정서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재미, 활력, 정화, 성취가 쾌락적즐거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 정화, 성취가 자아실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 성취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재미, 긍지, 정화, 성취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정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재미, 성취가 생활만족도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정년 여성의 여가스포츠 활동에 따른 운동정서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제공하여 선택의 폭을 넓혀 보다 많은 중장년 여성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할 방안이 필요 할 것이며, 이를 통해 만족스런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pursues to analyze the exercise emotion of middle-aged women with leisure sports activities, and identify how exercise emotion can affect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satisfaction. This research selected its subjects from middle-aged women doing leisure sports activities in Seoul and Kyunggi areas and us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e used SPSS WIN ver18.0 statistical program for our collected data,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hows exercise emotion reliability is .812~.948, psychological happiness is .908~ .943, and satisfaction in life is .859. Through these methods and processes, The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erms of demographic features,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ubject groups who are 45 years old or younger.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ubject groups who have bachelor’s or more advanced degrees. In terms of career,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ubject groups who have miscellaneous job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ir participation,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ubject groups who participate 5 days a week or more often. In terms of how long they were engaged in those activities,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ubject groups who have continued their activities for 5 years or more. In terms of their reason why they started,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subject groups who have miscellaneous causes. In terms of the types of their activities,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tatistically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subject groups who did jump lope. Second, studying how exercise emotion affects psychological happiness shows interest, vitality, catharsis, and achievement seem to affect pleasant delight significantly. Interest, catharsis, and achievement seem to affect self-realization significantly. Interest and achievement seem to affect immersion significantly. Interest, pride, catharsis, and achievement seem to affect confidence significantly. Third, studying how exercise emotion affects satisfaction in life shows Interest and achievement seems to affect significantly satisfaction in life. When we put together all these results, we can recognize that exercise emotion of middle-aged women with sports activities affects positively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So, we need to provide them with various sports activities in order that they can make their choices of activities more diversely. We need to find the way we can help them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and lead a more satisfying life.

      •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G. L. Palestrina의 미사곡 연구 : Pope Marcellus Mass를 중심으로

        양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팔레스트리나(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1525~1594)는 16세기 로마 가톨릭 교회음악의 양식을 완성한 작곡가로, 프랑코 - 플레미쉬 악파의 전통을 계승하여 엄격한 대위 양식으로 많은 종교 음악을 작곡하였으며 그 중 미사곡은 팔레스트리나의 핵심 장르로서 당대 알려진 모든 미사곡의 양식이 드러난다. 현행 8종의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는 르네상스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로서 팔레스트리나가 소개되었으며, 그의 미사곡 Pope Marcellus Mass는 감상활동의 제재곡으로 대부분의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그러나 Pope Marcellus Mass를 제재곡으로 한 감상활동은 악곡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기보다는 대부분 단편적이고, 일반적인 개념의 나열과 음악사적 내용을 첨부할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악곡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와 같은 교과 내용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Pope Marcellus Mass를 교과서에 수록된 키리에, 글로리아, 아뉴스데이 I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Pope Marcellus Mass의 여러 음악 요소는 미사 통상문의 가사와의 긴밀한 연관성을 맺고 있다. 가사의 길이에 따라 성부 간 모방대위 혹은 호모포니 구조로 표현되고 선율은 음표와 단음절 혹은 다음절적 관계로 구성되고 가사의 자연스러운 표현 및 강조를 위해 긴 음가에 의한 리듬, 다음절적 선율, 음높이, 성부구성, 성부 수 등이 선택된다. 교회선법에 기초한 순차적인 선율 구조와 비화성음이 철저히 제한된 협화적 삼화음에 의한 음조직이 나타나며 성부 간 모방대위 안에서도 악곡의 각 부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성부조직이 제시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Pope Marcellus Mass를 제재곡으로 한 고등학교 음악 수업의 감상학습 자료를 제안하였다. 감상학습 자료는 제재곡에 나타난 여러 음악적 요소를 고루 이해하고 경험하기 위한 다양한 학습 활동 및 악보, 도표, 그림 자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근의 어려움으로 음악수업에서 간과되기 쉬운 르네상스 음악을 교사가 보다 흥미있고 효과적인 수업으로 계획하는데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습 자료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1525-1594) was a composer who perfected a mode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music of the 16th century. Upholding the tradition of Franco-Flemish School, he composed lots of church music using strict counterpoint. As the kernel of Palestrina's music, his Mass showed all modes of Mass which were known in those days. Palestrina is introduc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Renaissance music in 8 kinds of music textbooks in high school which are used currently, and his Pope Marcellus Mass is recorded as a material for appreciation activity on most of the textbooks. However, appreciation activity using Pope Marcellus Mass as a material consists of lists of fragmentary and general concepts and an appendix of musical history, rather than it is organized in a way that enables students to have concrete experiences on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 Based on a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pie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Pope Marcellus Mass focusing on Kyrie, Gloria, and Agnus Dei I to supplement the limitation in the textbook contents. Many musical elements of Pope Marcellus Mass were composed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words of the ordinary of the mass. Accordingly, they were expressed by imitation between voices or homophony structure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words, and melodies were expressed with notes and monosyllabic or polysyllabic relationships. For natural expression or emphasis of the words, rhythm based on long note values, polysyllabic melodies, pitch, voice texture, the number of voic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church mode, in addition, the music showed sequential melody structure, tonal system by harmonious triads, and a thorough limitation in nonharmonic notes. The music was made up of imitation between voices, but various types of voices were sometimes presented depending on each part of the musical piec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learning materials for appreciation of Pope Marcellus Mass in high school music lessons. The materials consist of various learning activities, musical notes, diagrams, pictures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and experience various musical elements expressed in the musical piece. It is hoped that the materials can help teachers plan interesting and effective music lessons about Renaissance music, which is likely to be overlooked because of its low acces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