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정희 시 연구 : 상상력과 언술방식을 중심으로

        박현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고정희 시를 문제의식과 지향성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상상력과 언술방식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그동안 미흡했던 텍스트 자체에 대한 분석에 주력하여 주제적인 면이 작품 내적인 면과 어떻게 유기적으로 관계 맺고 있는가를 고정희 시 세계의 흐름 속에서 밝혀보았다. 고정희 전기시에서는 기독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원죄의식을 통해서 지금 이곳을 실낙원으로 인식하는 모습을 보인다. 실낙원적 현실 인식의 모습은 종교적, 실존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정치 상황에 따른 인식도 포함하고 있는데 이 경우엔 주로 언어에 대한 불신과 연결되면서 모든 것을 믿지 못하는 당대의 상황을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시적 자아는 낙원을 벗어난 인간으로서의 실존적 고독을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내적 고립은 궁극적으로 종교적 절대자의 구원을 희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를 실낙원적 밤으로 인식하는 시인에게 있어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감추어진 진실을 전달하는 감각으로 청각이 유효하게 사용되고 있다. 은폐되어 눈에 보이지 않는 부정과 절망의 현장들이 두 귀를 통해 감지됨으로써 청각은 진실과 통하는 감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신에 의한 구원을 바라는 자아는 상승지향적 면모를 드러내는데 특히 실체적인 높이를 지닌 산은 절대자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통과제의적 의미를 지니는 산으로의 상승은 그 높이를 따라 영혼의 고양을 기대하는 의지를 동반하게 되고 새로운 존재로 재탄생 되는 모습을 보인다. 상향성의 열망은 불의 상상력을 통해서 더욱 능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존재를 상승하게 하는 불꽃의 수직성과 정화작용은 존재론적 구원의 한 방법으로 나타나며 스스로를 태워서라도 어두운 시대에 불을 밝히고자 하는 시인의 의지가 담겨 있는 것이다. 또한 시인은 실존적 고독을 경험하는 존재를 순례자로 표상화하여 공간적 이동을 통하여 존재에 대한 새로운 성찰과 각성의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구원의 절대적 믿음을 갖고 본질적 실재와 구원의 길을 찾아가는 모습은 부조리한 사회 현실에 대항하면서 방황하던 고정희 자의식의 모습과 많이 닮아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절대자에게 구원을 희구하는 자아의 목소리는 화자지향적인 언술방식으로 나타나는데 절대자는 외부의 타자라기보다는 자기 내부에서 자신을 지탱해 주는 '내부의 타자'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주로 수사적 의문문을 통한 호소 형식을 취함으로써 시인의 강렬한 종교적 시대적 인식을 미처 걸러질 틈도 없이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또한 더 이상 언어가 순수하고 명료하지 않다는 언어의 불신의 시대에서 풍자와 아이러니의 기법을 통해서 왜곡된 시대를 비틀린 언어로 담아내어 그 비판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전기의 작품 활동 안에서 내면에서 외면으로 변화를 보이기 시작한 고정희의 시 세계는 후기 시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타인과 우리, 사회, 인류의 문제로 확대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그동안의 고립과 고독의 상태에서 벗어나 열린 자아의 모습을 드러내는 데 있어서 겨울의 아픔과 고통을 이겨내고 존재의 전환을 이루는 개화의 이미지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존재의 열림을 지향하며 대상과 좀더 가까워지길 바라는 시인의 의식은 후각을 통해서 구체화되고 있다. 후각은 외면만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대상의 본질, 진실과 연결되면서, 자연스럽게 이같은 진실 앞에서 마음이 열리는 체험이 동반되고 있다. 능동적으로 타인과 화합하려는 의지는 하강의 운동성을 통해 더욱 다양하게 드러나고 있는데 그중, 우주의 하강은 그대와 나와 우주가 서로 교통하는 원융(圓融)한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화합은 원의 모양으로 나타나면서 모든 대립을 하나로 끌어안는 이미지와 연결되고 있다. 융화작용은 물의 상상력을 통해서 더욱 강조되고 있는데 이때의 물은 운동성을 지닌 '움직이는 물'이다. 유동성과 포용성을 내포하는 물의 상상력을 통해 대상의 모습을 그대로 인정하고 포용하고자 하는 시인 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어머니'를 통해 그동안 행해진 이념의 갈등과 우열의 구분 등을 원형적인 모성의 포용 이미지로 극복하고 있다. 동시에 고정희는 어머니의 수난사를 세세히 보여줌으로써 어머니를 잘못된 역사의 고발자요, 치유와 화해의 미래로 인식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공동체적 소통의 의지는 청자지향적 언술방식으로 나타나는데 여성해방 시의 경우, 서간체를 통해서 구호성 시와는 달리 독자에게 공감적으로 다가가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리고 씻김굿 형식을 차용(借用)하여 억울한 시대적 희생자들을 위로할 뿐만 아니라 굿의 대동성(大同性)을 이용해 큰 화합을 도모하고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본론의 내용을 통해서 전기에서 후기에 이르는 고정희의 지향성이 내면에서 외면으로, 고독에서 소통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제의 해결 방법은 신적인 차원에서 인간적 차원으로, 운동성은 상향성에서 하강성으로, 이미지는 불에서 물로, 감각은 청각에서 후각으로, 언술방식은 화자지향적 언술에서 청자지향적 언술로 변화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시세계의 조망은 그동안 공시적으로 연구되어 왔던 고정희의 페미니즘 시나 민중시 같은 대립 구도의 시들도 궁극적으로는 조화화 화합, 소통을 지향해 가는 지향성 속에서 통시적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 안에는 나에서 시작하여 우리로, 민중, 민족에서 제 3세계로, 다시 우주로 그 상상력의 폭을 확장해 간 시인의 지향성이 지속적이고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This is an analysis of Goh Jung Hee's poems that are divided with the early ones and the latter ones on the basis of theme and intention. The analysis is focused on the imagination and the manner of narrative. It shows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mes and the other elements of the poems by concentrating on the texts themselves that have not aroused sufficient interest. In Goh's early poems, here and now is considered as the lost paradise, which is based on the Christian point of view. It is religious and existential and also includes the political situations that are criticized for being untrustworthy, connected with mistrust in languages. Through this perception, the poetic self experiences the existential loneliness as a human being who is discarded from the paradise, and the loneliness is presented as craving for the salvation from the religious absolute, the God. The poet who conceives the present world as a night in the lost paradise uses effectually the acoustic images to present the truth that is hidden in the desperate situation. Being hidden and invisible, unfair and desperate hidden scenes are perceived by ear. Therefore, the sense of hearing is connected with the truth. The self who longs for the salvation from God shows the tendency toward ascent. Especially mountains that have real height are presented as the space where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God. Rising to a mountain that is considered as the ritual accompanies stronger will of the self, expecting the elevation of the soul as the self goes higher. That is, the self's will toward elevation of the soul enlarges as it rises higher to the mountain, and is reborn as a new existence. The longing to rise shows more actively through the imagination of fire. Verticality and purification of flame that makes the self rise appears as a way of existential salvation. It also contains the poet's will to lighten the dark ages even burning her own self. Besides, the poet embodies the one who experience the existential loneliness as a pilgrim, and using the spatial shift, shows the movement of new reflection and awakening. The poetic self who believes in the salvation and looks for the essence of the existence and the way to the salvation is similar to Goh herself who confronts the absurd realities of the society and wanders. The voice of the poetic self is presented by the speaker-oriented manner of narration. It's because God can be regarded not as the other outside but as the other inside who supports one in one's inside. And the way of appeal in rhetorical questions reveals the poet's intense and religious understanding of the times directly. Besides, satire and irony is the way to strengthen the criticism on the time of untrustworthy languages in that the languages are not pure and clear any more. The wrenched languages carry the distorted ages. In the latter poems of Goh Jung Hee whose former ones already begin to show the change from inside to outside, it is characteristic that those themes expand actively to the issues of others, us, the society and mankind. Especially the image of blossom, a change of existence that is accomplished through overcoming winter pain and anguish, is used positively to show the openness of the self who is relieved from the isolation and the loneliness. The olfactory sense embodies the consciousness of the poet who aims for the openness of existence and desires to be close to the objects. It connects with the essence and truth of the existence that is not displayed outwardly, and then it makes the poetic self open its mind to such a truth. The active intention of the poetic self to harmonize with others is presented more variously through a descending movement. The descent of the universe is the image of harmonious communion with you, the universe, and me. The image of a circle that unifies all confrontations is linked with the harmony. The imagination of water, that has motion, lends emphasis to the harmony. The images of 'moving water' that implies the catholicity and the mobility reflect the idea of the poet, comprehending everything as it is. And then Goh tries to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different ideologies and the discrimination between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y using the archetypical image of 'mother' with capacious motherhood. At the same time she stresses that a mother is the accuser of wrong history and the future of healing and reconciliation. The intention of communication is revealed by the listener-oriented manner of narration. An epistolary style is used to get the sympathy of listeners in the case of feministic poem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oems with slogans. Besides, A form of 'Ssikgimgut' is borrowed to console mistreated victims of the times and to get the grand harmony. As we know from the mentioned above, the themes and the intentions of Goh Jung Hee move from inside to outside, and from loneliness to communication. The way to solve the problems changes from divine level to human level and from ascent to descent, the images from fire to water, the sense from acoustic one to olfactory one, and the manner of narration shifts from the speaker-oriented to the listener-oriented. This prospect shows the need to understand Goh's poems with structure of confrontation such as feministic or popular poems as the ones having the intention toward harmony and communication in the end, for in her poems, the intention of the poet expands from me to us and from the nation to the third world, and again to the universe.

      • 장소 특수성 미술의 유형 연구 : 로버트 스미슨, 다니엘 뷔렌, 리차드 세라를 중심으로

        박현정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장소 특수성은 1920년대 작품의 공간에 대한 인식을 시작으로, 1960년대부터 전통적인 미술과 미술관의 관습을 벗어나면서 등장한다. 미술의 장소에 대한 인식은 작품과 전시 방법을 변화 시키고, 미술관의 제도성을 타파한다. 또한 관람객의 경험을 미술 요소로 도입한 미니멀아트를 중심으로, 관람객에 대한 인식은 작품의 감상 방법을 변화 시킨다. 따라서 장소 특수성 미술은 작품을 포함하고 그것을 둘러싼 총체적인 환경이다. 이처럼 작가, 작품, 전시 공간, 관람객에 대한 관점의 변화로 형성된 장소 특수성은 다양한 전시 방법과 함께 여러 가지 유형의 미술 형태로 나타난다. 첫 번째 유형은 대지미술에서 제도적 미술관의 제한된 공간이 공간 이상의 의미로 확장되는 장소 특수성이다. 작품과 자연환경이 결합함으로써 등장한 대지미술은 작품의 비영속성 때문에 사진이나 실재 장소의 단편 등을 미술관 안으로 가져오는 전시 방법을 취하게 된다. 이와 같? Site specificity stemmed from the 1920's recognition of the spatial context of an artwork and fully emerged as conventional art forms and ideas started to give way in the 1960's. Recognition of which they are displayed. It also eliminates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of the art gallery. Viewers are no longer passive lookers-on but people who interact with the work. This change in the way viewers are seen have brought about a shift in way artworks are appreciated, most visibly in minimal art, in which the viewer's experience is incorporated as an artistic element. Site-specific art encompasses the artwork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ite-specificity developed from the changes in the artist, artwork, display space, and the perceived role of viewers have resulted in diverse methods of display and art forms. The first type of site-specificity is found in land art in which space that had been limited within conventional art galleries takes on a wider meaning than just surrounding space. Works of land art, or earthworks, which emerged as products of integrating artwork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re impermanent by nature. This made it necessary to display earthworks in the form of photos or bring parts of the whole work inside the gallery. Robert Smithson is a prominent artist who exhibited his earthworks in this way. His Non-Sites, disconnected from the original sites and placed inside the art gallery, embody site-specific art that is dialectic and flexible in its relationship with the actual Site. The second type is the site-specificity of works in situ by Daniel Buren. His work demonstrates site-specificity that aims to move out of the realm of art to unlimited reality. Buren works within the existing spatial context whether it is inside or outside the gallery, and the site itself becomes his work. Vertical stripes on the exterior of his works deconstruct the conventional realms of painting and sculpture. Site-specificity of in situ projects takes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between neutrality and criticism of conventions in display practice. The site, in Buren's work, becomes a frame in which the work itself is de-constructed, dissolved and merged with its spatial environs. The third type of site-specificity can be seen in public art, which occasions interactivity between the work, the site and the people. Public art embodies diverse paradigms between the place and the artwork, and is often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Richard Serra's Tilted Arc is a public sculpture that is essentially political. Serra reinterpreted the site by placing his structure aiming to eliminate the characteristics specific to the site. Unfortunately, his work was not received as he had intended, and many considered it unilaterally imposed on them by the artist. As a result, Tilted Arc was removed from its original location. This episode shows that the creation of a public art piece requires in-depth consider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Despite the influential claim "To remove the work is to destroy the work," greater number of site-specific artworks have been moved from its original locations since the late 1980's. Meanwhile, reconstruction of site-specific works is becoming a popular trend. The increase of rearrangement and/or reconstruction of site-specific artworks raise questions about not only the origin and creativity of the work but also about its commercial value. Site-specific art has now become part of the mainstream art. It is thus necessary to re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 and artwork.

      •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거리감 영향요인

        박현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see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s the disabled person and the social welfare expert in the area of disabled people feel, and understand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social distance. The concrete experimental questions are the following: Does a difference exist in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 the disabled person and the social welfare expert feel? Does factors such as recognition, contact, and general factors affect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 a disabled person and the social welfare expert feel?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research for recognition of the ‘Anti-Discrimination Disabilities Act’in April 1, 2008, which was done by Korean Disabilities Rehabilitation Committee, subdivision of Human Rights to select subjects for analyzing. The population for disabled was randomly selected throughout the nation using the telephone book as a source of population. According to the density of population in the telephone book, 1000 were selected, and 82 who answered disabled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telephone call from July 21, 2008 to August 8, 2008. Due to a request from Korean Disabilities Rehabilitation Committee, the expert set the population to be the members of RI Korea, and sent a survey via email to 350 people, including civic groups focusing on disabilities, heads of organizations, and professors related to this area.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August 23, 2008. The survey results from person who revealed irrelevance towards the topic of disabilities and results that contained incomplete case were eliminated, which lead to 110 survey results to be completely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 a disabled person feels i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social welfare expert. Second,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factors and social distance among two populations, the disabled person and social welfare expert,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 fixed idea questionnaire, “Be a burden to other people,”was held more strongly in disabled person than in that of the social welfare expert. Third, the disabled person who has a family with disabilities feels more social distance than who does not have a family with disabilities. For social welfare experts, the population which had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quality of contact, and neighbors with disabled felt less social distance. Fourth, for disabled person with their family’s monthly income less than $1,000 did not feel as much social distance as to the family with monthly income greater than $2,000. Fifth, for disabled, fixed ideas played more influence than negative feelings, and for social welfare expert, negative feelings were more influential than fixed ideas. Sixth, the influence of quality of contact on connection was not verified. However,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among the populations, especially in social welfare experts, the population that had positive quality of contact had higher average of social distances. Many implications and deductions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made. First, this research can be used beyond its purpose as recognition research on disabled person and serve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act of discrimination during everyday life. This adds importance to the fact that this has revealed reasons for directivity of the actions of the disabled and social welfare experts. This could help to organize plans to reduce social distances the disabled and the social expert feels. This type of program will include ways to reduce negative feelings and fixed concepts for both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people. Secondly, from the result that the number of contact for the disabled is much less than that of the social welfare expert shows that programs that require the disabled people to participate is needed. Especially for disabled people, locomotion is inconvenient, so there should be programs available aiding their transportations, increasing such interactions among people. Third,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which were conducted among public,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fixed ideas had more influence than negative feelings on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s felt.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social distance felt by the disabled people, negative feelings need to be conquered in order to use fixed concepts in reverse effect. For example, emphasis on disabled person’s success could be used to accentuate factors of success, and use the mass media to straighten stereotypes and form positive images. Also, they should participate in programs to experience self-determination and perform their part in a rightful act, which hopefully will lead to the destruction of existing negative fixed ideas, and induce a turnover of recognition. This should also be the cas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is happens naturally as they become more socialized.

      • 초등학교 팀 기반 학습에서 성격유형에 따른 팀 구성 방식이 팀원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박현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팀 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 TBL)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팀을 기반으로 서로 상호작용하며 운영되는 하나의 교수전략이다.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이 구성된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구성주의의 관점에 적합한 교육방법이다. 팀 기반 학습은 사전 학습 단계, 준비도 학습 단계, 개념 적용 문제 해결 단계의 순서로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팀 내 준비도 평가 과정, 팀 내 응용문제 풀이 과정에서 팀원 간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팀 기반 학습은 구성원의 상호작용과 협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팀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이 달라진다. 그러므로 팀 기반 학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팀 구성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성격유형으로 팀을 구성하여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하였을 때 각 팀별로 나타나는 팀원 간 언어적 상호작용과 공유정신모형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팀 기반 학습 및 상호작용을 강조한 수업에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화된 연구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팀 기반 학습에서 성격유형에 의한 팀 구성 방식은 팀원 간 언어적 상호작용의 인지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초등학교 팀 기반 학습에서 성격유형에 의한 팀 구성 방식은 팀원 간 언어적 상호작용의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셋째, 초등학교 팀 기반 학습에서 성격유형에 의한 팀 구성 방식은 팀원의 공유정신모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의 학생 중 조건을 충족하는 1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은 각 4명씩 외향성 팀, 내향성 팀, 내․외향성 혼합 팀으로 구성되었다. 6학년 2학기 과학과를 대상으로 팀 기반 학습을 실시하였고 팀원 간 토의 및 토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팀 내 준비도 평가 과정, 팀 내 응용문제 풀이 과정을 녹음 및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총 7회기의 팀 기반 학습 실시하였으며, 학습 적응을 위해 실시한 1회기와 녹음 문제로 인한 7회기의 응용문제 풀이 과정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준비도 평가 과정 6회와 응용문제 풀이 과정 5회를 분석하였다. 언어적 상호작용은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틀을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팀 간 유형별 빈도수를 비교하였다. 공유정신모형은 공유정신모형 검사 도구를 활용해 3회기, 7회기 후에 측정하여 팀 내 변화와 팀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상호작용은 외향성 팀이 가장 많았지만 과제 관련 상호작용은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둘째, 인지적 측면에서 내․외향성 혼합 팀이 양적으로 인지적 상호작용 빈도수가 가장 많았으며 질적으로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질문 범주에서는 내․외향성 혼합 팀이 타인의 의견을 알아보려는 경향이 가장 많았으며 외향성 팀이 가장 적었고 내향성 팀은 다른 질문에 비해 확장 질문을 많이 하였다. 응답은 내․외향성 혼합 팀이 가장 많이 하였으며 모든 팀들이 단답형 수준의 답을 많이 하였다. 또한 의견을 제시할 때는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높은 수준의 의견을 가장 많이 제시하였다. 외향성 팀은 상대방 의견에 반론을 제기하는 경우가 월등하게 많았고 내향성 팀은 반론을 제기할 때 논리적 근거를 들어 제기하는 경우가 다른 팀보다 많았으며 내․외향성 혼합 팀은 상대방의 의견을 단순 수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질적 측면에서 내․외향성 혼합 팀의 경우 의견 받기를 제외한 모든 소범주에서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의견받기에서는 내향성팀이 상위수준의 상호작용을 가장 많이하였다. 셋째, 정의적 측면에서 상호작용은 외향성 팀이 양적으로 정의적 상호작용 빈도수가 가장 많았으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내․외향성 혼합 팀이 많이 하였다. 행동 참여에서 무시, 제재, 지시, 자원은 외향성 팀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권유는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내향성 팀의 경우 자원의 빈도수가 가장 적었다. 분위기 조절에서 모든 팀들이 불만의 빈도수가 많았으나 외향성 팀에서 특히 많았으며 자신감 부족, 소속감, 자기만족, 칭찬은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내․외향성 혼합 팀은 모든 소범주에서 긍정적 상호작용을 세 팀 중 가장 많이 하였다. 넷째, 공유정신모형은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형성되었다. 내향성 팀과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공유정신모형 형성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높은 공유정신모형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외향성 학습자로만 팀을 구성하는 것은 공유정신모형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팀 기반 학습 및 학생 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을 계획하고 실시할 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팀을 구성할 때 성격유형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둘째, 언어적 상호작용은 팀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인지적, 정의적 측면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를 고려하여 팀을 구성할 때는 본 연구 결과를 참고할 수 있다. 셋째, 팀 구성 방식에 따라 공유정신모형 형성에 차이가 있으며 공유정신모형을 고려하여 팀을 구성할 때는 본 연구 결과를 참고할 수 있다. 넷째, 학습 목표 및 학습자의 특성 등의 상황에 적합한 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로 나타난 각 성격유형에 따른 각 팀별 장, 단점을 참고하여 팀을 구성할 수 있다.

      • 대학무용과 여학생의 스트레스 척도 개발

        박현정 同德女子大學校 一般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며 공연 활동을 하고 있는 무용수들이 직면하는 스트레스를 규명하고 규명된 스트레스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1년 현재 서울 소재 무용관련 학과 중에서 무선 표집(random sampling)을 통해 2개 학교를 선정하여 개방형 설문으로 실시하였다. 개방형 설문 내용을 근거로 기초문항을 작성하고 내용의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 대학교에서 무용 전공 학과가 있는 대학교 4개를 무선 표집 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개방형 설문 결과를 통해 구한 측정 개념을 적절하게 대변하고 있는 문항을 구체화하였다. 척도의 구성 과정은 대학에 재학중인 무용수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통해 스트레스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원자료를 유사한 영역별로 범주화시켜 세부영역을 구분하고, 다시 세부 영역은 유사 내용과 통합해 일반 영역을 구성하는 귀납적 분류 후 전문가 3인과의 토의를 거쳐 문항 풀(pool)을 제작하였다. 편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sion 10.0을 사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귀납적 범주화 결과 227사례의 원자료는 57항의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57항의 세부영역은 다이어트에 관한 스트레스, 자신의 체형 불만족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 경제적 부담으로 오는 스트레스.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 선후배와의 갈등에서 오는 스트레스, 무용상해의 스트레스, 열악한 시설에서 오는 스트레스, 인맥·학연·지연에 따른 스트레스, 차별적 대우에 대한 스트레스, 자신의 좌절감에 오는 스트레스, 경쟁 심리에서 오는 스트레스 기타 11항의 일반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범주화를 통한 개방형 설문의 종합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척도 문항을 제작하였다. 그러나 총 40문항의 예비 문항이 제작되었으며, 3인 협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34문항을 확정하였다. 그 다음 34개의 문항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유치 값이 1이상인 항목이 8개로 추출되었으며, 8개의 요인은 각각 차별적인 평가에 대한 스트레스, 체형 관리에 대한 스트레스, 실기능력에 대한 스트레스, 무용상해에 대한 스트레스, 인간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경제부담에 대한 스트레스, 환경조건에 대한 스트레스,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로 명명하였다. 이와 같이 8개의 요인수를 설정한 후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결과 8개의 요인을 설명하는 총 변량은 76%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대학에 재학중인 무용수의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 8개요인, 34개 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대학에 재학중인 무용수들이 갖고 있는 스트레스 요인을 개방형 설문이라는 질적 연구 방법을 도입하여 현장감 있는 내용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스트레스를 계량화 하므로서 무용수와 스트레스간의 관계를 밝히려는 양적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stress out to be faced with dancer of performing activity majoring in dance at the college, and also, to develop a stress measure based on its inquired the stress out. This study carried out a question of an open type to select two schools through a random sampling of the departments related to dance in Seoul as of 2001. The thesis carried out the investigation through the random sampling of four colleges with a department of major in dance from among the colleges in Seoul in order to do a feasibility-degree study of a content composition to draw up a basic items of sentence based on the question contents. The thesis has concreted the item of sentence which is speaking for the measure concept properly through the result of opened-type questionnaire by this survey. A constituent process abstracts the stress contents from the opened-type questionnaire on the dancers who is in the college, classify the detailed fields to categorize by similar domains, and drew up the pool of items of sentence through three professional's discussions after an inductive classification to compose a general fields to unite the detailed fields with the similar contents. The thesis made a feasibility-degree study from its editorial material with SPSS for Windows version 10.0. The original material classified 227 cases of result of an inductive category into the detailed fields of 57 items, that is, the detailed field of 57 items is as in the followings. Stress of the dissatisfaction of one's body-shape, Stress of economical defrayment Stress of course after graduation Stress of conflict between senior and junior Stress of dance injury. Stress of a poor-equipped. Stress of personal connections, school relations and regionalism Stress of discrimination Stress of one's sense of frustration Stress of competitive psychology. and, it classified a general fields of the other 11 items. The thesis made the items of sentence for preliminary measure based on a general results of the open-type questionnaire through categorization. However, it made total 40 items of sentence as a preliminary items of sentence and made a definite decision 34 items of sentence finally through three person's discussions. And then, The thesis found out that the result which carried out an analysis of searchable factor, Eight factors over "One" item were abstracted from the objects of 34 items of sentence and the eight factors is called as follows, Stress of each discriminative estimation. Stress of control of body-shape Stress of Practical abilities. Stress of dance injury. Stress of human relations Stress of Economical defrayment Stress of environment Stress of course In the results, the total variate to describe the eight factors showed 76%.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thesis has developed eight factors, 34 items of sentence so as to measure the stress that dancers who are in college have. Firstly in the country, this study has extracted the stress factors from the contents of realism to introduce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of open-type questionnaires to the factors of stress which dancers who is in college have, and it is significant that a base of this quantitative study has formed the basis of research in order to inquire into relations between dancers and stress to measure stress based on them.

      • 장승업 산수화 계보 연구

        박현정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문인화가의 정통파였던 김정희는 중국에서 원대(元代)를 문인화의 정통으로 간주하고 원대 화가들을 크게 추종하였으며 장승업의 뒤를 잇는 조석진·안중식은 눈에 보이는 옆 시대인 청대(淸代)를 정통으로 보고 절대적으로 사왕오운(四王吳惲)의 화풍을 따르는 산수를 그렸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이들의 중간 시기에 있는 장승업의 산수화는 중국의 어떤 화파를 모범을 삼아 추종했으며 어떠한 특징을 드러내는지 그 계보를 파악함으로서 장승업을 단순히 천부적인 재능을 지닌 화가로 보거나 지나친 중국적 취향으로 한국적인 화풍을 이루지 못한 화가로 보는 평가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고 그의 예술 세계를 재조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장승업의 창작세계에 밑바탕이 되는 본보기와 그가 추구하는 정신을 이해할 수 있는 그가 남긴 중국회화 방작(仿作)을 살펴보고 조선말기의 시대적 상황, 화단의 경향속에서 나타나는 장승업 산수화 화풍의 변화와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중심으로 장승업 산수화의 계보를 파악하였다. 장승업의 산수화는 정신적으로는 그의 화풍 초기에서 후기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원 4대가(元四大家)를 정통으로 간주하고 이들의 화풍을 따르는 모습을 보여주며, 표면적으로는 원4대가에서 청대 정통파인 사왕의 양식으로 변전되는 계보를 보여준다. 19세기 이후 북학파에 이어 모화(慕華) 사상이 팽배하였던 조선말기의 시대적 배경 속에서 그저 청대의 새로운 화풍을 좇아가는데 급급한 것이 아니라 자기만의 독자적 화풍으로 발전하고 있는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데, 그것은 절제된 무기교의 화풍이 아니라 다소 기분적인 수묵구사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 파워포인트를 활용한 고등학교 일본어 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박현정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コンピュ-タ-技術の진보は私たちの生活だけではなく교육분야でも多くの변화を持って래た. 교과서と흑판が교수-학습도구の全部である時代は昔話のように感じられるだけだ. 현재교육현장で다양な교수-학습도구が실제の授業に使われているし肯定的な效果を得ている. その中で誰も수경く製作することができるし, 修正ㆍ補完が容易なプレゼンテ-ション道具であるパワ-ポイントを利用して고등학교일본어수업の模型に관する연구をした. 고등학교현장でパワ-ポイントを利用した日本語授業を進行するに先立って대상학생たちの日本語に관する관심도を測定するためのアンケ-ト調査を실시した. その結果多い학생たちが日本語に관심を持っているし, それによって日本語を학습する意欲を持っていることに把握された. 日本語を학습しながら日本という국に대して관심を持つようになったし, その국と係わる大衆文化にも興味を持つことで現われた. パワ-ポイントのスライド製作時には사진と動映像などを삽입して학생たちの理解を助けて, 실제に日本へ行かなくても교과서を通じて학んだ일본어단어と語彙を適切な상황で活用するようにした. また교과서にある삽し회の代わりに학생たちが親しくよく分かっているアニメ-ションのキャラクタ-を삽입して授業に集中するようにした. パワ-ポイントを利用した授業にはさまざまな種類があるが, 학생たちの同期を유발させて, 興味を刺激させて授業の관심도を高めることができるゲ-ム式方法を選んだ. 교사によって受動的に進行された授業で탈피して학생たちが自ら製作したパワ-ポイントを活用してゲ-ム形式に進行された授業は自然に일본어회화をするようになって, 自分たちが自ら製作した교수-학습도구を活用することで愛着を持つことができて교육적な效果はもっと大きくなると言える. パワ-ポイントを活用したゲ-ム式授業を進行した後학생たちを相手に실시したアンケ-ト調査結果大部分は肯定的な答をした. 今まで녹음された日本語교과서の本文の내용を繰り返して聞いて, よって독んで, 해석するのが授業の大部分を占めた形式から탈して時ㆍ청각적な面で학생たちの理解を수경って同期유발ができたということが最大の長所だとする. しかしゲ-ム式に進行された授業はゲ-ムが終わった後に慌しくなった분위기によって次の手順を進行することに難しさがあったりした. パワ-ポイントを活用した授業でより大きい效果を得るためにゲ-ム式授業の短所を補って발표식の授業を提案する. 학기の初に手順を決めて매시간수업が進行される中にパワ-ポイントを活用して決まった학생がその日の授業내용に合わせて발표をするのだ. 발표식の授業を進行することだけで학생たちに言語の四種類の機能である독み취り, 言うこと, 聞き取り, 書くことを皆演習させることができる. また발표者は自分が自ら면강したことをクラス友達の前で발표することで予習で自ら학습する方法を慣らすようになるはずで, 발표を聞く학생たちは普段の교사にだけ寄り掛かった授業が友達の발표に進行されることだけでも授業に易しく集中することができると思う.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