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반 소비자와 피부미용 종사자의 화장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 관련요인 비교 분석

        문선희 대구한의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화장품 안전성에 대한 일반 소비자와 피부미용 종사자의 인식 관련 요인들을 조사 분석하여 화장품의 안전 관리에 대한 보건정책 수립 및 올바른 구매 사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여성소비자 및 피부미용 여성종사자 597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1일부터 7월 31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화장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 화장품 성분 및 부작용에 대한 인식 및 경험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화장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 및 우려수준은 피부미용 종사자가 일반 소비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두 집단 모두 안전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낮았다. 특히 화장품의 성분에 대한 관심 및 확인 여부의 경우 피부미용 종사자 및 일반 소비자 모두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화장품의 성분을 잘 모르거나 관심이 부족하고 작은 글자크기 등의 이유로 성분을 확인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화장품의 이상 반응을 경험한 비율도 27.8%로 높은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화장품의 안전성을 우려하게 된 계기로는 방송이나 신문 등의 언론 매체를 통해서가 많았고 안전성/위해성 평가에 대한 정부 및 업체의 노력 정도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화장품 안전이슈에 대한 인지여부, 화장품별 사용 경험 및 신뢰도 수준은 피부미용 종사자와 일반 소비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화장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피부미용 종사자 및 일반 소비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의 강화, 화장품 성분 및 안전한 사용에 대한 사용자 지향적인 정보 제공, 화장품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업계 및 정부 노력 강화, 정확하고 올바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등의 화장품 안전성 강화를 위한 종합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relevant factors on awareness of cosmetic safety between general consumers and skin care worke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effective policy on cosmetic safety management and developing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analyzed the awareness on cosmetic safety, cosmetic ingredients, experience of adverse reaction,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n cosmetics of 597 general consumers and skin care workers who live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the period from May 1, 2016 to July 31, 2016.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in this study.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skin care workers have higher level of concern and rather than general consumers. However, Both skin care workers and general consumers have low awareness on cosmetic safety, in particular, tend to not check cosmetic ingredients well due to lack of knowledge and small size of indication letter. The rate of experiencing adverse reaction of cosmetics usage(27.8%) of the subjects is high. They got the information on cosmetic safety through the mass media such as TV and news paper mainly. The government and relevant industry’ efforts on effective management of cosmetic safety was recognized as very weak. In this context, in order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of cosmetics safety effectively, comprehensive measures including strengthening the education program for general consumer and skin care workers, providing the consumer-focused information on cosmetics ingredients and usage, concerted the efforts of government and industry on cosmetic safety management are needed.

      • 반영구화장 실무자의 교육과정 인식이 만족도 및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선희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전국의 반영구화장 교육 경험이 있는 전문가 308명을 대상으로 반영구화장 실무자의 교육과정 인식이 만족도 및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반영구화장 교육 실태에 따라 교육 과정 인식, 교육 만족도, 재교육, 실무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반영구화장 교육 과정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인 실무 연관성, 강사, 위생관리 중요성, 교육 환경이 도출되었고 실무 연관성과 강사, 위생관리 중요성, 교육 환경을 재구성하여 실무능력의 상담, 기술, 이론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반영구화장 교육학원 선택 시 미용학원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강사의 경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결과를 알 수 있다. 이것은 실무경력이 교육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판단되며 교육 시설 및 교육 환경 등이 교육 특성에 긍정적일수록 유의미하게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전문성이 검증된 실무 경험이 많은 강사와 교육기관의 교육 시설 확충 및 교육 환경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효과적인 교육성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 반영구화장 교육 과정 중 기술교육과정이 가장 많이 선택된 결과는 현장 실무에 필요한 교육이 만족도 향상에 가장 우선적인 요인임을 알 수가 있으며 실무교육과정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이 중 교육과정에서 위생관리 중요성과 사후관리가 높은 결과를 보인 것은 교육뿐 만 아니라 시술자에 대한 위생관리 중요성 및 안전의 인식 또한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 재교육시 필요한 교육과정으로 시술 테크닉과 디자인에 대한 실무가 압도적으로 높았던 결과와 재교육 선택 기관으로 개인 로드숍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인 것은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교육과 직접 실무를 많이 접할 수 있는 개인 로드숍을 선택한 이유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반영구화장 실무자의 교육과정 인식이 만족도 및 실제 실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뿐 아니라 고객의 욕구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재교육을 계획하는 직무자들이 다수라는 결과를 알 수 있다. 현장 실무교육과정과 전문화된 이론교육이 전문가 배출로 연결된다는 연구 결과를 알 수 있으며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개발과 반영구화장 교육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키고 제도화를 기반 함으로서 실제 실무자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앞으로 반영구화장 교육은 새로운 뷰티산업에 한 분야로 발전해 나 갈 것을 기대해 본다.

      • 창의력 신장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독서지도 방안 연구

        문선희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t� This study is written with the object of examining methods to develop and express students' creativity and personality. It is often seen that research on teaching methods for reading only involves literature. Case studies also show limitation as school effectiveness was not confirmed. The 7th Education course pursues 'creative development' and the education objective of 'reading' is 'the extension of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comprehensive reading'.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education objectives effectively, the reading instruction method in this study is designed to enhance the essence of the reading education by using variety of texts. In Chapter Ⅱ, current reading education was inspected and examined to plot a correct course that should be followed. Seven different kinds of 'reading' textbooks, now used by high schools in Jeju, were taken as subjects to analyze so that the situation of current reading education would be grasped. The 7th Education Course requires that teaching be focused, not on topic or content, but on objectives. Theories should be materialized in actual classroom performance so that student-centered education can be realized. Because practice should include reading materials used by students in everyday life, the fact that these kinds of materials have extended to diverse media resources should be considered. Regarding the reality of reading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roper reading education include the student-centered reading education and an integrated activity centered program and emphasis on media input, as well. This will enable students to be creative during classroom participation by emphasizing various activities in meaningful context and actual usage of reading materials. In Chapter Ⅲ, creative reading instruction principles and reading learning strategies were investigated by examination of sundry records and studies. The result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creative reading as the last step of reading instruction. Creative reading is an extension of the readers' thinking process based on contents. In order to read the given text creatively, students themselves should actively take part in reorganizing, extending and integrating the meaning of the text through the whole process(before, in the middle of and after reading). Since students should be guided to unfold their new ideas based on their reading, reading activities can be most effective with instruction on writing and speaking together. To accomplish this, the students' thought processes must be stimulated and active participation encouraged before, during and after reading the presented materials. As real situations and correct methods of reading education from chapters Ⅱ∼Ⅲ, were reviewed, in chapter Ⅳ, these methods were applied to middle school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 Activities were designed so that students would reveal personality and creativity. They were presented text in various forms and participated in activities to increase understanding, such as, activities for understanding(making a chart or a graph, searching for data, utilizing print media, having a reading quiz, playing with puzzles and games, searching for similar events in the newspaper, describing reading impressions), activities on characters(making character research graphs, character nets, character comparisons, searching for simila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poeticizing characters), conversion of forms(acting as a curator or a narrator), critical activities (debating, criticizing), and activities using multimedia sources. As a result, proper activities for reading develop the students' latent powers for creative reading.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to lead students to participate voluntarily and to develop students' creativity. This was accomplished by the teachers' introduction of debatable questions in each step of the reading process. In fact, the use of the debate was a primary factor during reading activities and for use as a questionnaire after read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creativity, the creation of a student-centered environment is proven to be superior to other methods to encourage creative thinking. Reading class should be not only about grasping contents but also grasping the meaning and understanding of the text in varied points of views. When students have numerous options to choose appropriate situational activities, this study proves that students not only can connect what they learn to real language life, as they move from the text-recognition step to internalizing the matter, they can also understand humanity and life as their reading education cont

      • 高麗時代『妙法蓮華經』寫經變相圖 硏究

        문선희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사경은 손으로 옮겨 적은 경전이다. 석가의 입멸 후 석가가 생전에 설했던 설법들은 구전되다가 成文化하게 되면서 사경이 조성된다. 초기에 경전유포의 목적으로 조성되던 사경은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면서 공덕신앙의 일면으로 유행한다. 사경이 유행하면서 그 제작방법에 있어서 재료와 형식이 다양해지고 더불어 공덕신앙으로 유행하게 되면서 사경조성은 의식화된다. 이는 고려이전의 유일한 사경인 755년에 연기법사에 의해 조성된 白紙墨書 『大方廣佛花嚴經』의 조성기의 기입순서가 의식절차에 따랐다는 점, 비현실적 존재인 청의동자의 등장시킨 점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경권을 감쌌던 종이의 내지에 그려진 불보살도는 총설적 의미의 변상도로서 고려시대의 사경변상도와 같이 경권의 부분으로서 그려지는 변상도가 아니라 경권을 감쌌던 종이에 그려졌다. 이는 고려시대 이전에는 경권과 변상도가 분리되어 조성되어졌을 가능성도 생각 할 수 있는 부분이다. 고려시대의 碑文과 文集 등에 실린 글을 살펴보면 공덕신앙의 유행과 법화신앙의 측면에서 다수의 사경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수 조성된 사경은 그 제작에 있어서 금은을 사용하며, 한 글자 한 글자 써나가는 정성과 그 공력으로 쉽게 조성될 수 없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경제력을 가진 계층에 의해 조성되며, 이러한 예는 현존사경 중 사성기를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사경이 왕실을 포함한 국왕발원이거나 귀족층 발원으로 조성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국왕발원의 사경제작은 대장경 등과 같은 형태로 대단위규모로 조성되거나 밀교계 사경을 중심으로 제작되었던 두 가지 큰 특징을 지닌다. 귀족층 발원의 사경은 원간섭기라는 시대적 상황과 관련하여 정치적으로 혼란기였던 충숙왕대에 친원세력에 의한 사경이 집중적으로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초기에 원 황실의 축수를 빌거나 고려국왕의 수복을 빌고 자신의 품계를 적었던 것과는 달리 자신의 원나라의 품계를 제일 먼저 기입하거나 사성기 자체를 권수로 옮겨 화려하게 장식하는 경향은 단순히 원황실의 축수를 위한 조성이 아닌 자신의 신분과 명분을 위시한 성향의 정점이라고 해석된다. 승려발원으로 조성된 사경조성의 가장 특징은 기존 국태민안이나 현세구복을 위한 목적에서 조성되었던 것과 달리 衆生을 제도하고 寶是를 구하는데 功德의 의미를 두고 있다. 법화경은 전체 28품으로서 7권으로 나누어 조성하는 방식과 한번에 조성하는 少字本 혹은 細字本으로 조성된다. 그러나 고려시대 현존하는 묘법연화경 사경변상도의 대부분은 7권본이다. 이는 한번 제작되면 수정이 어려운 판본과는 달리 손으로 직접 그리는 사경변상도에 있어서는 다양한 판본을 탄력적으로 수용할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더욱이 12세기의 남송과의 문화교류를 통해 받아들여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판본이 14세기를 거처 조선 전기까지도 조성되는 것으로 보아 남송의 영향력이 지속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고려시대 사경변상도는 14세기에 조성된 작품이 대부분이다. 초기의 작품에서의 자연스럽게 표현되던 경향은 시기가 내려갈수록 도안화되고 장식적으로 변화한다. 사경변상도의 표현요소들은 이러한 전체적인 변화와 궤를 같이 하여 양식적 변천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건축요소들은 모본의 영향으로 대부분 비슷하게 표현됨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의 사경변상도 중 화엄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조성된 법화경은 경전의 규모와 성격 때문에 대중적으로 신앙화되기 용이하였고 변상의 내용 역시 화엄경과 다르게 다양한 방식으로 조성되었다. 특히 다원적인 외교관계로 하여금 주변국과의 교류로 인한 미술의 내용과 성격이 달라짐을 조각, 공예 등의 다른 분야에의 연구를 통해 알려졌듯이 사경변상도 역시 그 궤를 같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사경변상도는 일반불화와는 다르게 조성되었지만 거의 현존하지 않는 고려시대의 법화나 화엄계 불화의 간극을 메워줄 수 있는 것이자 당시의 공덕신앙의 형태가 사경조성을 통해 드러난 것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Sutra copies is written by hands. After the death of Sakyamuni(釋迦牟尼), Sakyamuni's preaching have been organized into the Sutra. In short, Sutra copies is the result of buddhist faith. In the early, sutra copies have been made for the purpose of sutra spread. But,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printing techniques, As loosing its original purpose, Sutra copies would have come into fashion with the faith of buddhist merit (accumulate pious acts) aspect. So the materials and making forms of sutra copies would been various and its making process wouid have come into a ritual. As being seen through the epitaphs and anthologys of Goryeo Dynasty, sutra copies would been made very much as the faith of buddhist merit in the Goryeo Dynasty. Because of using a gold and silver in writing a letter and its elaboration, making a sutra copies must have been needed much money and labors. So sutra copies would have been made by the propertied classes. It will be capable of being recognized through the making records of sutra copies most of all which have been made by king and royal family and the noblesse. The characteristics of sutra copies which have been made by king and royal family is two. One is to being made a large scale like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The other is most of existing sutra copies is concerning of the Eesoteric Buddhism. Most of all Sutra copies by the noblesse would been made in the time of King, ChungSuk(忠肅王, 1294-1339). And sutra copies by the noblesse would have been made to showing off their social state and portion. Sutra copies by Buddhist monk would have been made in the purpose of getting the supreme enlightenment and the salvation of living things. Lotus sutra(『妙法蓮華經』) is composed of 28 chapters. So the making method is two, one is to make 7 volumes that 28 chapters been divided, the other is one volume that 28 chapters in small letters (少字本). But the existing sutra copies of Goryeo dynasty is almost 7 volumes. The Frontispiece of Lotus sutra copies is located at the beginning part of the sutra copies, shaped a rectangular form, the right portion of the frontispiece is expressed Sakyamuni's preaching scene, the left is filled with the stories of Lotus sutra. Sakyamuni's preaching scene is called Yeongsanhwisang(靈山會上)by the first chapter of Lotus sutra, is expressed considering the main and its numbers of preaching at the frontispiece of each volume. Each scene of the left side is expressed as the momentary scene without a organic construction. Representatively there are 7 stories (七臂). is expressed in the frontispiece of lotus sutra, those are Samgeohwataek(三車火宅) of chapter 2(譬喩品) of volume 2, Jangjagunhja(長子窮子) of chapter 3 (信解品) of volume 3, Hwaseongbocheo (化城보處) of chapter 2 (化成喩品) of volume 4, Biningeju (貧人繫珠) of chapter 2 (五百弟子受記品A) of volume 4, Gejungmyeongju(契中明珠) of chapter 2(安樂行品) of volume 5, Yanguibeongja(良醫病子) of chapter 2(如來壽量品) of volume 6, The icons of Lotus sutra has originated from the wall paintings of Tun huang (敦煌). In short the large scaled wall painting of Tun huang would have been transferred into the small frontispiece of sutra each volume. The icons is divided two cases-acceptance and metamorphosis. In the first case, acceptance of the icons of Tun huang, was similarly expressed. In the second case, metamorphosis of the icon, is Samchoyimok (三草二木). In the tun-huang wall painting originally was expressed in the scene of a farmer plow a field with a cow in the rain(雨中耕作). But 'in the rain' icon had changed into the expression of the concoction of dragon. thunder god wind god. Later removing thunder god wind god for using the icon of Gwanseumbisalbomunpum(觀世音菩薩普門品), remains the dragon with clouds and rains at the upper of the frontispiece. 'a farmer plow a field with a cow' icon have changed into the landscape of trees, plants etc.. later again changed 'a farmer wearing a straw raincoat going home'. In the Goryeo Dynasty the cultural relation's contents is very various for the multifactorial diplomatic relations. In such a sense, the frontispiece of sutra copies of Goryeo Dynasty will be capable of understanding. The former of Goryeo Dynasty, the elements related the Kitan sutra (契丹大藏經) of the Liao(遼) Dynasty is partially seen with Lotus sutra of Kongobu-ji(金剛峯寺, 1081). The related elements are 금강저, buddha, landscape etc. On the other hand Lotus sutra frontispiece of the former of Goryeo Dynasty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Southern Song(l]5). Accepting the Lotus sutra of the Southern Song in the Goryeo, it would have been made as a block book. So sutra copies would have been copied that as the existing rare block book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Southern Song. It is particular that the frontispiece in the small letters of the Southern Song was expressed into the frontispiece of volume 1 or 6 in the Goryeo Dynasty. because of being flexibly accepted the various frontispieces of the Southern Song, differently the block book that the revsion is difficult after the making. Besides the frontispieces of the Southern Song which have been accepted through Goryeo's active cultural exchange with the Southern Song in the 12th century have been made to the early Joseon Dynasty, it is very influential with the frontispiece making of the Goryeo dynasty. The existing frontispieces of the Goryeo Dynasty almost is to being made in the 14th century. The natural style of the early Goryeo Dynasty have changed decoratively and designable. Among the expression elements of the frontispiece, some have equally changed in such a trend but others have not.

      •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 교육 연구

        문선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use of argumentative writing as a way to develop reasonable communicative competence needed to live as a citizen, a member of a community in a confused contemporary society. To this end, we examine the theory of argumentation and the theory of argumentation education and summarize the concept, condition, and counter - argument of counter - argument. In the theoretical review,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reac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unlike conventional argumentative writing, writing will start by refusing to find the unfair part of the other party's arguments. , And that it would be easier to enter into logical writing by writing through the practice of exploring logic while refusing to find loopholes in the relative argument. Based on these assumptions, we constructed an analytical framework by referring to the discussion theories, the essential issue theories of policy issues, and the justification theories in order to grasp the argumentative writing patterns of students. First, I found out that the opposition is constituted as the area that contributes indirectly to the field of refutation which directly reacts to the unfair feelings of the other party's opinions, and ultimately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his position. The point at which students initiate refutation is not assigned to any specific part of the argumentative component, I decided to place it in the lack of legitimacy of argument. Using the ARS theory, we presented articles containing "unfair parts" to students in order to find out where they felt unfair to classify acceptability, relevance, and sufficiency. The students did not refute all of the "unfair parts" that the researcher had created, and did not particularly pick up areas such as understandability or reasoning as points of refutation. Although the refutation was originally to be strategically performed by attacking parts of the world that could be successful, the causes of refusal that students did not select were not just strategic choices, but rather that they did not know where the grounds were unfair Is more appropriate. In order to be successful, it is necessary to have the ability to recognize that something is not right in the opponent's claim. In addition, we analyze the aspect of developing counter-arguments by various strategies at the points of refusal that the students selected, and examined the justification of the counter-argument. I looked at the part of the opponent's opinion that they felt was unfair,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y had with the strategies to counteract this. The detailed strategies for developing counter-arguments are classified as inductive through text analysis, and rather than making names one by one, rather than naming them, the essential issues in the discussion of policy issues should be deduced with a focus on the seriousness, System. This paper attempts to construct an effective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how to apply argumenta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argumentative writing. As a result, based on the criticism of the opponent 's argument, centering on the "rebuttal", I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writing education that constructs the logic of rebutting the unfair part. The argument is that it is closer to the argument than from the argumentation point of view, and the question of what educational purpose is the 'argumentation' can be asked about the point of emphasizing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the reaction. There is no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argumentation and argumentation from the viewpoint of argumentation, but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role played by the discussion. Enumeration is the responsibility of verification, and counter-argument is not. If you apply it to writing, it is the introductive writing that you have to work to create a fair proposition without any foundation or foundation. Enumeration must prove and justify everything so that any state change can be legitimately accepted in the null state. Such writing is difficult for beginners. On the other hand, the writing of the counter-centering is carried out by finding out the unfair part of the other party's arguments and practicing the logic to rebut it. It is less burdensome than enactment, as you can selectively prove your opponent is not right. The same is true for writing.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the argumentation will be a necessary step for the writers who start with argumentative writing.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reaction is a preliminary step to proceed with full-fledged argumentative writing. If you practice through the argumentative writing stage, which is centered on the counter-argument, as if you are well-informed, you will be free to do argumentative writing in various fields. 본고는 다양한 가치로 인해 혼란스러운 현대 사회에서 공동체의 구성원인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합리적 의사소통능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논증적 쓰기를, 그중에서도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논증 이론과 논증 교육 이론을 살피고 반론의 개념과 조건, 반론이 가지는 기능을 정리하였다. 이론적 검토를 통해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는 기존의 논증적 쓰기와 달리 상대방의 주장에서 정당하지 못한 부분을 찾아 반박을 하면서 쓰기를 시작할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여, 학생들이 입론과 같이 토대가 하나도 없는 글쓰기에서 보다 상대 주장의 허점을 찾아 반박을 하면서 논리를 펼치는 연습을 통해 글을 쓴다면 보다 논리적인 글쓰기에 쉽게 입문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가정을 토대로 학생들의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토론 이론과 정책논제의 필수 쟁점 이론, 정당화 이론 등을 참고 하여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먼저 필자가 상대방의 의견 중에 정당하지 못하고 느끼는 영역에 대해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반박의 영역과 간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궁극적으로 자신의 입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는 영역으로 반론이 구성됨을 밝히었다. 학생들이 반박을 시작하는 지점을 논증 구성 요소의 특정한 어느 것으로 지정하지 않고 구성요소들이 만들어내는. 논증이 가지고 있는 정당성에서 부족한 부분에 두기로 하였다. ARS이론을 활용하여 수용가능성, 관련성, 충분성을 큰 범주로 두고 정당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어디인지 찾아서 반박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정당하지 못한 부분’이 포함된 글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연구자가 만들어 놓은 ‘정당하지 못한 부분’을 모두 찾아내어 반박하지 못했으며, 특히 이해가능성이나 논리성과 같은 부분은 반박의 지점으로 선택하지 않았다. 반박은 원래 전략적으로 자신이 성공할 수 있는 부분을 공격하여 수행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학생들이 선택하지 못한 반박의 원인들은 단순한 전략적인 선택이라기보다는 해당 근거가 어느 부분에서 정당하지 못했는지를 파악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반론을 잘 하기 위해서는 상대 주장에서 어떤 점이 정당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학생들이 선택한 반박의 지점에서 다양한 전략을 펼치며 반론을 전개하는 양상을 분석하고, 그 반론의 정당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상대방의 의견 중에 정당하지 못하다고 느낀 부분과 부족한 정당성을 찾아 이와 반론을 펼치는 전략이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이를 통해 반론을 전개하는 세부적인 전략은 텍스트 분석을 통해 귀납적으로 분류하여 세세하게 하나하나 이름을 짓기 보다는 정책 논제 토론에서 필수쟁점이 다뤄야 할 사안의 심각성, 해결성, 내재성을 중심으로 연역적으로 정리하여 체계를 갖추고자 하였다. 본고는 논증적 글쓰기의 관점에서 논증을 어떻게 국어교육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논증적 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해보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반론’을 중심으로 상대방의 주장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기반으로 정당하지 못한 부분에 대한 반박을 전개하며 논리를 구성해가는 글쓰기 교육 방안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반론은 입론보다 논증적 관점에서 보면 더욱 주장에 가깝다고 하며 반론 중심의 논증적 글쓰기를 강조하는 관점에 대해서 그렇다면 ‘입론’은 무슨 교육적 쓸모가 있느냐는 질문을 할 수 있다. 반론과 입론은 논증적 관점에서 본다면 본질적으로 큰 차이가 없지만 토론을 진행하면서 수행하는 역할에서 큰 차이가 있다. 입론은 입증의 책임이 있고, 반론은 그것이 없다. 이를 글쓰기에 적용한다면, 아무런 기반도 토대도 없는 가운데 무엇인가 정당한 명제를 만들어 내는 작업을 해야 하는 것이 바로 입론적 글쓰기에 해당하는 것이다. 입론은 무(無)의 상태에서 어떠한 상태 변화가 정당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모든 것을 증명하고 정당화해야한다. 이런 글쓰기는 입문자에게는 어렵다. 반면에 반론 중심의 쓰기는 상대방의 주장 가운데 정당하지 못한 부분을 찾아내고, 그것을 반박하여 논리를 세우는 연습을 하며 진행된다. 상대가 정당하지 않다는 것을 선택적으로 증명하면 되니, 입론보다는 부담이 덜하다. 글쓰기에서도 마찬가지다.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는 논증적 쓰기로 입문을 하는 필자들을 위해 필요한 기초 단계가 될 것이다.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는 본격적인 논증적 글쓰기로 나아가기 위한 예비단계가 되는 것이다. 충분히 익히고 나서는 입론을 펼치는 것처럼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 단계를 통해 연습한다면 다양한 분야에서의 논증적 쓰기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을 것이다.

      • 패션잡지광고에 나타난 여성복 색채이미지에 관한 연구

        문선희 同德女子大學校 패션專門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2002년 F/W 시즌 패션잡지광고에 나타난 여성복의 색채 이미지를 분석하고자 수입브랜드(IB), 라이센스브랜드(LB), 국내브랜드(NB)의 3종류의 전개유형별로 배색이미지와 Hue 및 Tone을 알아보고 유행색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자료분석은 COS color system으로 배색 Image scale과 Hue & Tone system을 이용하였고, 자료수집은 2002년 F/W시즌인 8월부터 2003년1월까지의 VOGUE와 ELLE에 실린 광고에서 하였다. 분석대상으로는 수입브랜드 BURBERRY, Dior, GUCCI, PRADA, LOUIS VUITTON, GIORDANO와 라이센스브랜드 DKNY, LACOSTE 그리고 국내브랜드 A6, ninesixny, KUHO,TIME,MINE, MICHAA, Une, ZISHEN, DECO, LYNN, MINIMUM, DIA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고 횟수의 분석결과는 수입 브랜드의 광고 횟수는 3-6회, 라이센스 브랜드의 광고 횟수는 4회, 국내 브랜드 광고의 횟수는 4-6회로 나타났다. 광고 종류의 분석 결과는 수입 브랜드는 2-8종류, 라이센스 브랜드는 6종류, 국내 브랜드는 6-12종류였다. 2. 2002년 F/W 시즌 수입여성복 브랜드 광고의 배색이미지에서는 화려하고 모던한 이미지가, Hue에서는 무채색 계열의 색상과 Yellow Red계열 색상의 비율이, Tone에서는 Dark 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모던한 이미지가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라이센스 여성복 브랜드의 배색이미지는 내츄럴하고 다이나믹한 이미지를 보이고 있고 이는 라이센스 브랜드로 선정된 DKNY와 LACOSTE라는 브랜드의 특성상 캐주얼한 브랜드에 속함으로 이러한 동적인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기도 한 것이다. 2002년 F/W 시즌 국내 여성복 브랜드 광고의 배색이미지는 온화하고 화려하며 우아하고 모던한 이미지를 보이고 있고 수입 여성복 브랜드의 배색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Yellow Red와 무채색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Dark 톤과 Grayish한 톤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유행색 배색이미지는 화려하고 온화하며 모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여성복 브랜드 광고의 배색이미지와 동일한 배색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었다. 각 브랜드별 컨셉이미지와 광고의 배색이미지 분석에서는 브랜드 컨셉과 일치 혹은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브랜드로는 BURBERRY, GUCCI, LOUIS VUITTON, GIORDANO, A6, KUHO, TIME, MICHAA, UNE, ZISHEN, LYNN, MINIMUM, DIA로 총14개 브랜드였으며, 컨셉이미지와 광고의 배색이미지가 다른 브랜드는 Christian Dior, DKNY, LACOSTE, ninesixny, MINE, DECO로 총 6개 브랜드였다. 브랜드별 컨셉이미지는 '모던한' , '모던한 · 우아한' , '모던한 · 점잖은' , '모던한 · 은은한 · 온화한' , '내츄럴한' , '내츄럴한 · 우아한 · 점잖은' , '경쾌한' , '경쾌한 · 은은한 · 모던한' 의 8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3. 유형별 및 유행색 Hue분석에서는 수입 여성복 브랜드의 경우 N과 YR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라이센스 여성복 브랜드의 경우는 PB와 Y의 비율이 높으며, 국내 여성복 브랜드의 경우는 YR과 N이 높게 나타나는데 전반적으로 YR과 N계열 비율이 높다. R, YR, Y의 난색 계열과 PB, P, RP의 한색 계열 컬러가 고르게 나타나지만 GY, G, BG, B의 Green과 Blue 컬러는 상대적으로 그 수가 적었다. 유행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PB가 라이센스 브랜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유행색에서는 낮은 비율로 나타난 GY, G, BG, B의 Green과 Blue계열의 컬러는 다른 컬러에 비해 적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로써 수입 여성복 브랜드, 라이센스 여성복 브랜드, 국내 여성복 브랜드 모두가 유행색을 따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입 여성복 브랜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N은 유행색에서는 비율이 7.4%로 그다지 높지 않아 차이가 있었으며, 라이센스 여성복 브랜드와는 가장 높게 나온 컬러가 PB로 일치했고, 국내 여성복 브랜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YR은 유행색에서는 3.7%로 나타나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모던한' 컨셉이미지를 가진 브랜드그룹 광고배색이미지에서의 Hue는 YR과 P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내츄럴한' 컨셉이미지를 가진 브랜드그룰 광고배색이미지에서의 Hue는 YR과 N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경쾌한' 컨셉이미지를 가진 브랜드그룹의 광고에서 Hue는 PB가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모던한' 이미지컨셉을 가진 그룹과 '내츄럴한' 이미지 컨셉을 가진 그룹은 광고에서 이미지 컨셉과 비슷한 Hue를 사용했으나 '경쾌한' 이미지 컨셉을 가진 그룹은 다르게 사용하였다. 4. 유형별 및 유행색 Tone분석에서는 수입 브랜드, 라이센스 브랜드, 국내브랜드 모두 DK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유행톤에서도 DK톤이 가장 높게 나타나 세 유형의 브랜드 모두 유행톤과 일치하고 있었다. 반면 라이센스 브랜드의 Lgr톤은 유행톤과 차이가 있었고 또한 유행색에서의 Gr톤의 비율과 라이센스 브랜드, 국내 브랜드 Gr톤의 비율이 차이가 나고 있었다. '모던한' 컨셉이미지를 가진 브랜드그룹 광고배색이미지에서의 Tone에서는 Dk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내츄럴한' 컨셉이미지를 가진 브랜드그룹 광고배색이미지에서의 Tone은 P와 Dk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경쾌한' 컨셉이미지를 가진 브랜드그룹의 광고에서 Tone은 B와 VP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브랜드 유형브랜드과 컨셉에 따른 배색이미지 및 Hue와 one의 차이와 유행색의 영향을 알 수 있었고, 패션브랜드는 유행색의 흐름을 따르기만 할 것이 아니라 브랜드 Identity를 나타내는 고유한 색채이미지를 소비자 인식에 심어줌으로써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or images of the female apparels shown in the fashion magazine advertisements during fall/winter seasons in 2002. For this purpose, imported brands (IB), licensed brands (LB) and native brands (NB) were sampled to review their background color images, hues and tones, and thereby, analyze the effects of the popular color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e COS color system was used together with a background color image scale and a hue & tone syste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dvertisements carried on VOGUE and ELLE published during fall/winter seasons in 2002 or for the period from August, 2002 to January, 2003. The imported brands sampled for analysis were BURBERRY, Dior, GUCCI, PRADA, LOUIS VUITTON and GIORDANO, while the licensed brands were DKNY and LACOSTE, and the native brands were A6, ninesixny, KUHO, TIME, MINE, MICHAA, Une, ZISHEN, DECO, LYNN, MINIMUM and DI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advertisements, it was found that imported brands were advertised 3-6 times, licensed ones 4 times and native brands were advertised 4-6 times. On the other hands, the types of advertisements were 2-8 for imported brands, 6 for licensed ones, and 6-12 for native on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cept images by each brand and the background color images of their advertisements, it was found that the two images matched each other in a total 14 brands: BURBERRY, GUCCI, LOUIS VUITTON, GIORDANO, A6, KUHO, TIME, MICHAA, UNE, ZISHEN, LYNN, MINIMUM and DIA.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images did not match the background color images of their advertisements in 6 brands: Christian Dior, DKNY, LACOSTE, ninesixny, MINE and DECO. The brand concept images could be divided into 8 categories: 'modern', 'modern and decent', 'modern and dignified', 'modern, sonorous and mild', 'natural', 'natural, decent, dignified', 'pleasant', 'pleasant, sonorous and modern'. 2. The background color image of the imported female apparel brands during fall/winter season in 2002 was luxurious and modern, their hues were achromatic and yellow red, and their tones were dark. The imported brands looked modern in general. On the other hand, the background color image of the licensed female apparels was dynamic and natural, probably because DKNY and LACOSTE sampled for the licensed brands belonged to a casual brand. In contrast, the background color image of the native female apparel brands during fall/winter seasons in 2002 was mild, colorful, decent and modern. Like the background color image of the imported brands, their image seemed to be dominated by yellow red and achromatic colors, using dark and grayish tones much. In particular, their popular background color image was as much luxurious, mild and modern as the background color image of the general background color image of the advertisements for the native female apparel brands.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pular hues by type, it was found that N and YR dominated imported female apparel brands, while PB and Y dominated licensed female apparel brands. On the other hand, the native female apparel brands were dominated much by YR and N in overall terms. While such warm colors as R, YR and Y and such cool colors as PB, P and RP appeared evenly, such colors as GY, G, BG, Green/Blue of B appeared relatively less. In particular, PB which appeared most in the popular colors were used most for the licensed brands. GY, G, BG and Green/Blue of B appeared less compared with other colors. As it were, i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imported, licensed and native brands all followed the popular colors. However, the share of N which appeared most in imported female apparel brands was only 7.4% as popular colo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PB was the color used most both for imported and licensed brands. YR which appeared most in native female apparel brands accounted for only 3.7% of the popular colors. The ratios of YR and P were higher in the hues of the background color image for the brand group with 'modern' concept image, while the ratios of YR and N were higher in the hues of the background color image for the brand group with 'natural' concept image. In contrast, the ratio of PB was higher in the hue of the advertisements for the brand group with 'pleasant' concept image, While the hues similar to image concepts were much used in the advertisements for the brand groups with 'modern' and 'natural' image concepts, different hues were used in the group with 'pleasant' image concept.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ones of popular colors by type, it was found that DK tone was used most for imported, licensed and native brands as well as for the popular tones. In short, the popular tone was same among the three categories of brands. On the other hand, the Lgr tone of the licensed brands differed from the popular tones, while the ratio of Gr tones in the popular tones differed from that in the native brand tones. The ratio of Dk was higher in the tones of the background color image for the brand group with 'modern' concept image, while the ratios of P and Dk were higher in the tones of the background color image for the brand group with 'natural' concept image. while the ratios of B and VP were higher in the tones of the background color image for the brand group with 'pleasant' concept image. All in all, background color images, hues and tones were different among brands depending on their popular brands and concepts. Thus, it is deemed required of the fashion brands not to follow the popular colors blindly but to use unique color images representing their brand identities for consumers and therewith, enhance their brand competitiveness.

      • 중년여성의 변색, 변형 발톱스트레스가 발톱디자인관리 선택속성 및 관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선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현재 우리 삶에 있어 미용은 단순히 아름다움만을 추구하는 목적으로서의 대상이 아니라 신체의 문제점을 보완 및 개선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자하는 심미적 측면에서의 방향을 제시하며,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미용 산업 중 네일 분야에서는 고객 개개인의 맞춤형 네일 케어 서비스의 증가되면서 그 시장성 또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소비자는 각종 매스컴을 통해 변색, 변형의 문제성 발톱관리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는 선천적, 후천적으로서의 문제성 발톱을 포함하여 다양한 여가활동과 생활습관, 장시간 보행과 잘못된 보행 습관, 발에 맞지 않은 신발선택, 관리의 소홀함 등이 원인으로 발톱에 무리를 가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됨으로써 변색, 변형 발톱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문제성 발톱 유형에 따른 관리가 무엇보다 필요하며 이에 따른 전문적 지식을 지닌 네일 테크니션의 역할 또한 중요하며, 문제성 발톱에 대한 이상증상에 대처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중년여성에 따른 변색, 변형 발톱스트레스가 발톱디자인관리 선택속성 및 관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문제성 손발톱 스트레스에 따른 비주얼 디자인관리의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문제성 발톱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으로 신체적, 정서적 스트레스 변수가 중년여성의 발톱디자인관리 선택속성에 따른 관리만족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발톱스트레스와 하위요인별 신체적 스트레스, 정서적 스트레스에 대해 40-50대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발톱스트레스와 하위요인별 신체적 스트레스, 정서적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발톱 스트레스와 발톱디자인관리 선택속성 및 관리만족도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신체적 스트레스, 정서적 스트레스는 발톱디자인관리 선택속성의 하위요인별 전문성, 신뢰성, 공감성, 유형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리만족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여성의 발톱스트레스가 발톱디자인관리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선택속성인 전문성은 중년여성의 발톱으로 인한 정서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발톱디자인관리를 위한 전문성, 신뢰성, 공감성, 유형성 선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여성의 발톱 스트레스가 관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발톱으로 인한 정서적, 신체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관리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년여성의 발톱디자인관리 선택속성이 관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년여성의 발톱디자인관리 선택 시 전문성, 공감성, 유형성, 신뢰성 선택이 높을수록 관리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년여성의 신체적, 정서적 발톱스트레스는 발톱디자인관리의 선택속성에 따라 관리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미용의 심미적 발톱디자인관리에 따른 고객의 만족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변색, 변형 발톱스트레스는 전문적인 케어를 통한 관리와 발톱의 비주얼 디자인으로 고객의 관리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문제성 발톱 스트레스에 대한 관리는 전문적 지식을 토대로 다양한 기술습득과 디자인표현을 통해 지속적인 고객창출과 이에 따른 관리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urrently, in our life, beauty is not simply an object for pursuing beauty, but it is developing in various ways, suggesting a direction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supplementing and improving the problems of the body. In the nail field among these beauty industries, the marketability is also expanding as the number of customized nail care services for individual customers increases. This is due to various leisure activities and lifestyle including congenital and acquired problematic toenails, long walking and wrong walking habits, choosing shoes that do not fit the feet, and neglect of maintenance. , the stress on deformed toenails is increasing. Therefor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problem toenail is necessary above all else, and the role of a nail technician with specialized knowledge is also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theoretical model of visual design management according to problematic nail stress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discoloration and deformed nail stress according to middle-aged women on nail design management selection attributes and management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emotional stress variables as a stress factor according to problem toenails on managem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oenail design management selection attributes of middle-aged women was identifi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overall toenail stress, physical stress by sub-factor, and emotional stress, the overall toenail stress and physical and emotional stress by sub-factor were relatively high in those in their 40s and 50s. Secon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nail stress and nail design management selection attributes and management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volume stress and emotional str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and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management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middle-aged women's toenail stress on toenail design management selection attributes, the selection attribute, professionalism, showed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stress caused by toenails in middle-aged women, the higher the professionalism, reliability, empathy, and tangibility for toenail design management. selection appears to be increasing.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oenail stress on management satisfaction in middle-aged wome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and physical stress caused by toenails, the higher the management satisfaction.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middle-aged women's toenail design management selection attributes on management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hoice of professionalism, empathy, tangibility, and reliability when choosing middle-aged women's toenail design management, the higher the management satisfaction.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physical and emotional toenail stress of middle-aged women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attribute of toenail design management, and discoloration in a situation where customer satisfaction was increased according to aesthetic toenail design management. , it can be seen that deformed toenail stres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with management through professional care and visual design of toenails. Therefore, management of problematic toenail stress is judged to be able to continuously create customers and increase management satisfaction through acquisition of various technologies and design expression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 김치에 관한 식문화 체험이 김치 섭취에 미치는 영향

        文宣喜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food for peoples living. The way of thinking is changing from eating habits for living to food culture for feeding the mouth. So it is necessary to meet the cultural needs for Korean eating habits by considering modern taste that emphasizes health and an aesthetic tendency. Today the term of dietary culture was frequently used for the contents of common peoples dishes; that is, a very simple daily meal consisting of rice, soup, kimchi, bread, noodles, and so on. Such a daily meal can be called dietary culture in that it is formed by ancestors adapting themselves to using and overcoming natural environments in each country to settle, develop, transform, and hand down eating habits. So this daily meal is regarded as a historical cultural product that is still used. However, we now fail to recognize the daily meal as a concept of culture because we eat it every day. Food must be understood as culture. It is never just a material to provide human life with energy to move the body. It also acts as a mediator between human beings. On this ground, food must be seen as culture. Thus, so is the culture of kimchi. Chemical change and cooking processes in kimchi itself always place it on the material side. However, the cookery and symbols of kimchi form Korean peoples ideals of kimchi. These things put together conclusively resulted in kimchi-making for the winter, forming the current culture of kimchi. Although the increase in the use of processed or cooked food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food industry resulted in the reduction in time for cooking and the increase in convenience, the reduced time for cooking, and increased convenience unfortunately caused traditional foods as cultural heritage to be kept off our menu. An individual eating habit, which isnt formed temporarily, but permanently and has a life-long effect, is very important, particularly, in childhood; however, children today tend to become familiar early with a westernized menu and convenient instant food. As it is important to preserve our specific traditional culture and change it into a product with commercial value in order to surviv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with increasing cultural competition, it is indispensible to educate children for traditional food culture. For this reason, this study selected a Kimchi Field Museum as a place to provide children who will lead in this generation in the future with an opportunity to naturally use kimchi typical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a spot for cultural education to uphold the culture of kimchi. This study first intends to refer to literature on kimchi representative of dietary culture and then determines how experiences in food culture of kimchi affect the intake of kimchi among ol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visit the kimchi museum. Rather than recommending kimchi as traditional healthful food, children will be made to feel curious about the culture of kimchi through experiences in food culture at a museum and then satisfy their curiosity about eating culture by adding some entertainment. For this study, an experiential group was formed which consisted of ol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food culture at the Kimchi Field Museum in Samsung-dong, Gangnam-gu, Seoul, with the control group which consisted of those at Ilwon Elementary School in Ilwon-dong, Gangnam-gu, Seoul who had never visited a kimchi museum. Measured were subjects general properties, actual conditions of the intake and use of kimchi, preference for kimchi, and educational effects of experiences in food culture of kimchi;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easy sentenc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understand and respond easily. A total of 460 copies, 230 from each group,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subjects general propertie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x²(p)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effects of experiences in food culture on the intake of kimchi. Empirical analyses were all implemented at p<.05, p<.01, and p<.001 significance levels; the SPSSWIN 11.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thus producing the following results: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food culture at a kimchi museum showed more positive significance in such properties as preference, recognition, and intake of kimchi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recognized the traditional food, kimchi, as healthful fermented food according to the social tendency of increasing concerns about eating patterns and health in the well-being 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 kimchi museum as a learning and educational place to deliver general information on kimchi and make efforts to operate a museum that can move ahead of the times as a communication spot where children can become familiar with kimchi. It is also necessary to use the museum as a place for elementary children to experience dietary culture that meets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needs, considering their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and allow it to play a role of a channel for cultural transmission that helps understand traditional dietary culture, including that of kimchi typical of traditional food correctly and have pride. 음식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예전의 먹고 살기 위한 식생활에서 요즘은 눈으로 먹고, 입으로 즐기는 食文化로 음식에 대한 사고가 바뀌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이 세대를 이끌어 나갈 어린이들에게 한국의 전통 음식을 대표하는 김치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기 위한 공간으로 김치 문화를 계승하고 있는 문화 교육의 장인 김치박물관의 역할을 진단해 보고 박물관 체험이 김치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김치박물관에서 김치에 관한 식문화 체험을 한 초등학교 고학년생들을 체험군으로 하고, 비체험군으로는 김치박물관을 관람한 적이 없는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일원초등학교 고학년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측정 도구로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김치 섭취 실태 및 이용 현황, 김치 기호도 조사, 김치에 관한 식문화 체험에 따른 교육 효과로 구성하였고, 설문지의 내용은 초등학교 학생들이 쉽게 이해하고 응답할 수 있도록 쉬운 문장으로 작성하였다. 집단별 설문지 230부씩 총 460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활용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고, 교차분석 x²(p)를 실시하여 식문화 체험이 김치 섭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집단간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 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치박물관에서 식문화 체험을 한 어린이들은 비체험군에 비해 김치에 대한 기호도 및 인지도, 섭취도 등에서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웰빙시대의 식생활 패턴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사회적 추세에 맞게 전통식품인 김치를 건강 발효식품으로 인지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았다. 그리고 음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식품을 통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병을 예방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김치박물관은 김치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전달을 하는 학습과 교육의 장소로 이용되고, 어린이들이 친숙하게 김치를 접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장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의 신체적, 인지적, 사회 정서적 발달 과정을 고려하여 이들의 발달 특징과 요구(Needs)에 맞게 식생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장소로 이용되고, 전통음식을 대표하는 김치문화를 비롯해 전통식생활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시켜 주면서 자긍심을 갖도록 하는 문화 전승 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더욱 많은 노력이 기울여져야 할 것이다.

      • 국회 회의록 온라인 서비스에 관한 연구

        문선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대한민국국회는 1948년 제헌국회 이후 70년의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제헌 70년의 역사는 대한민국 현대사를 보여주는 거울이고, 제헌 70년의 역사를 가장 잘 기록하고 있는 것은 국회 회의록이다. 국회 회의록은 국회 회의의 내용 및 결과 등을 사실대로 충실하게 기록한 문서이다. 국회의원의 입법활동을 기록한 국회 회의록은 그 내용을 통해 설명책임성을 보장하는 증거적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대의 흐름을 그대로 보여주는 역사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하에서 전자회의록은 국가의 중요한 정보 자산이기도 하다. 국회 회의록은 제헌국회부터 현재 제20대 국회에 이르기까지 국회의원들의 입법활동을 빠짐없이 기록하여 신속히 제공함으로써 입법지원 역할을 충실히 해왔고, 일반 국민에게 공개함으로써 대국민 알 권리 충족에도 많은 이바지를 해왔으며, 생산된 모든 회의록은 영구히 보존됨으로써 역사적 사료로서의 가치를 이어가고 있다. 국회는 21세기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2002년에 회의록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오프라인 책자회의록 서비스와 함께 온라인 회의록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었고, 2015년에는 회의록시스템 개선사업을 통해 홈페이지 디자인 개선 및 콘텐츠를 보강하였다. 이 개선사업을 통해 접근성 및 호환성 개선 등 여러 가지 기능 개선이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이용자 중심이 아닌 공급자 중심의 온라인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구한 역사를 이어온 국회 회의록을 온라인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개선안과 회의정보를 더 많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용자의 회의록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 날짜별 회의정보 조회방식 구현이 필요하고, 두 번째로는 이미지로 구축되어 있는 회의록의 한글 텍스트화가 시급하며, 세 번째로는 접근이 어려운 비공개회의록 및 불게재 부분에 대한 공표 원칙과 공표 절차를 빨리 제정해야 하고, 네 번째로는 회의록 검색 기능에 의원별 검색 기능과 회의용어 검색 기능 추가 및 검색키워드나 색인키워드 기능을 탑재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이용자의 회의정보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 의원별 발언정보 제공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고, 두 번째로는 회의록시스템과 의원 홈페이지에 표결정보시스템이 연계되어야 하며, 세 번째로는 오픈 API 등 공공데이터 이용의 확대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하였다. 기록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기록의 활용이다. 기록은 이용자의 목적대로 활용될 때 그 가치가 더 높아진다. 이용되지 않고 보존 및 관리만 되는 기록은 의미가 없는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정보나 증거가 필요한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와 증거를 국회 회의록 안에서 찾을 때 국회 회의록의 가치는 훨씬 더 높아질 것이다. 국회 회의록의 가치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더 쉽게 회의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획득한 회의정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아무리 많은 예산을 들여 구축해 놓은 시스템이라도 이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고 정보 이용을 제대로 못 한다면 그 시스템은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다.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획득한 정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은 이용자를 중심에 둔 중요한 서비스 행위이다. 의회기록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국회 회의록의 온라인 서비스는 이제 기록의 차원을 넘어 의회 민주주의 발전의 시각에서 보아야 한다.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has had a history of 70 years since the Constitutional Assembly was created in 1948. Its 70-year history is a mirror showing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nd has been well preserved on National Assembly minutes. The National Assembly minutes are documents on which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the National Assembly sessions are written truthfully and faithfully. The minutes have a high value not only as a proof guaranteeing accountability but also as a historical record showing the stream of times. Also, they are the important assets of Korea in a swiftly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From the Consitutional Assembly to the 20th National Assembly, the National Assembly minutes have been supporting lawmaking processes by rapidly providing the legislative work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have been making a valuable contribution towards the satisfaction of the people's rights to know by making them open to the public. In addition, all the minutes produced are permanently preserved so that they may maintain the value of historical records. For the Information Age in the 21th century, the National Assembly made a system of taking minutes in 2002, starting the online service for the National Assembly minutes as well as the offline service for information brochures of the minutes for the proceedings. In 2015, the design and contents of the homepage were complemented through the improvement project of the system. Even though several functions such as accessibility and compatibility have been enhanced, the online service is still focusing mostly on providers, not users. Thus, this study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to provide an easier access to the online service and to help uses to make more practical use of the minutes. In order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to the minutes, four suggestions are made in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method of information inquiry should be made possible by date. Second, images of the minutes should be converted into text files. Third,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publication should be made for the minutes which have not been open to the public yet. Fourth, in addition to the search function for the minutes, a search function by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or by terms of meetings should be added. Also, a search function by keyword or index should be considered. For higher utilization of the minutes, the information of comments from each member should be increased, a voting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linked to the system of the minutes and the homepage of a member, and the sharing of public data like 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should be increased. The ultimate goal of preserving and managing records is to utilize them. The value of records are getting higher as they are put to practical use more frequently. Records, which are only preserved and managed without any practical value, have no significant meaning. The more users can find the information and proof they want in the National Assembly minutes, the more valuable the minutes get.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minutes, an effective device is needed to help users to get an easier access to the minutes and to utilize what they acquire. No matter how much budget has been invested in the system, if users feel uncomfortable when using the system and hardly make access to it, it cannot help being useless. Implementing the functions of the system for users to gain the information they need more easily and to make the best use of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ervices focusing on users. As the core of the National Assembly records, the online service for the minutes should be regarded as a measure of the development of parliamentary democracy beyond the dimension of recording. Keyword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The National Assembly minutes, The system of the minutes, The online service, Parliament of the United Kingdom(UK Parliament), Hans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