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석학적 지평 개념과 신학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존재론적 통전성을 향한 하나의 모색

        서현우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우리는 지평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그 의미에 대한 엄밀한 정의 없이 사용하곤 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표면적인 의미를 제외하고 지평이라는 단어의 기의에 관해 미궁에 빠져들곤 한다. 더욱이 흔히 “우리의 지평이 넓어졌다.”라고 할 때 지평은 인식론적 지평으로 학문지와 같은 앎이 늘었다는 식으로 사용되곤 한다. 그러나 지평이라는 것은 철학사를 거쳐 오며 존재론적 개념으로 발달되어 왔고, 특히 하이데거와 가다머 이래로 지평융합의 과정을 통해 엄밀한 사유 체계로 발전해왔다. 그리하여 본 논고는 이러한 해석학적 사유의 발달 과정을 순수 이론적 방법론으로 고찰하고, 지평 개념의 의미에 대해 보다 면밀히 논구하며, 그 지평이 과연 존재론적인지 혹은 인식론적인지, 그리고 어떠한 과정을 거쳐 지평융합이 전개되는지 살펴보고 지평의 해석학적 근원은 어떤지 융합에 있어서 출발점과 도착점은 어디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지평 개념을 사용한 학자들과 그러한 지평 개념과 관련된 사상들을 다룰 것이고, 현시대에 적용할 수 있는 존재론적 통전성을 고찰하고 적용하여 어떤 사유의 체계가 이 시대에 필요한지 또한 물어 따져 볼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서술하며 우리가 바로 신앙의 언어로 신학적 서술을 이어가기보다 엄밀한 사유의 체계적 서술을 위해 철학의 사유를 경유하여 해석학적 고찰을 해야 함을 논구한 후, 궁극적으로 가장 근원적인 지평과 완성적인 지평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논문의 전개에 따라 부족하게나마 해석학적 지평의 개념이 신학에 적용되어 우리의 신학과 교회, 세상이 존재론적 통전성을 확보하는데 작은 풍성함을 더하길 기원하며 글을 시작한다.

      • UN안보리 대북제재 조치의 분야별 효과성 연구 : 무역제재, 금융제재, 기타제재를 중심으로

        서현우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2006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 UN안보리는 총 10회의 대북제재 결의를 채택했으며, 이를 통해 대북제재는 여타 UN안보리 제재대상국에 부과된 제재에 비해 현저히 강력한 수준이 되었다. 무역제재의 대상 범위가 전통적인 무기류와 사치품 외에 광물, 해산물, 원유 및 정유제품, 섬유, 기계류, 운송수단, 식료품, 토석류 등으로 확대되었는데, 이는 전례가 없는 일이다. 또한, 금융제재의 측면에서도 자산동결 제재대상자 수가 여타 제재대상국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이 지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북제재가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 대립이 존재한다. 북한의 비핵화에 기여했느냐를 목표로 삼는 경우 제재 효과를 부정적으로 평가하지만, 북한의 경제 혹은 사회 등 특정 분야의 변화에 기여했느냐를 목표로 삼는 경우 제재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두 가지의 견해 모두 일정한 한계가 존재하는데, 그것은 대북제재의 효과성을 거시적으로 평가하는데 집중하다 보니 효과성을 제고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검토가 다소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에 저자는 대북제재를 하나의 큰 틀로써 분석하기 보다는 대북제재의 세부조치별 이행실태를 분야별로 살펴봄으로써 실제로 제재 이행의 현장에서 각 제재 조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대북제재를 무역제재, 금융제재, 기타제재의 3개 분야로 나누어 각국이 분야별로 이를 어떻게 이행하고 있는지, 개선할 점이 무엇인지를 심층 검토했으며, 대북제재 이행의 촉진 요인과 저해 요인이라는 틀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대북제재의 효과는 일차적으로 무역제재 분야에서 가장 분명하게 확인된다.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는 2014년 최고치인 76.2억 달러(수출 31.7억 달러, 수입 44.5억 달러)를 기록한 후 2017년 이후 급락하기 시작하여 2021년 7.1억 달러(수출 0.8억 달러, 수입 6.3억 달러)로 크게 추락하였다. 대북제재 전문가패널보고서에는 각국 정부가 대북제재 품목의 대북 반출입을 차단한 실제 사례들이 매우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금융제재의 경우 가장 대표적인 제재 조치인 자산동결이 비교적 활발하게 이행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UN안보리 전문가패널보고서와 FATF 보고서는 각국 정부가 수만 달러에서 수천만 달러에 이르는 자산동결을 시행한 사례들을 소개하고 있다. 물론, 중국의 대북 금융제재 이행이 전반적으로 미진한 점, 그 외 일부 국가가 대북 합작사업이나 북한 노동자의 고용 등을 지속하고 있는 점 등은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미비점에도 불구하고 2017년에서 2021년 기간 동안 북한의 외화수지가 ‘-19억 달러 -α’ 줄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등 금융제재 전반적으로 실효성 있게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기타제재는 전통적인 제재 조치인 여행금지와 신규 조치인 과학기술교류금지로 나뉜다. 북한과 무비자협정을 맺은 39개국을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국가는 북한인의 출입국에 대해 심사를 수행하므로 제재대상자의 출입국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과학기술교류금지는 최근 가장 큰 이슈로 떠오른 북한의 사이버공격을 차단하는 내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향후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한 영역이다. 이처럼 대북제재를 분야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제재가 실효성 있게 작동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저자는 이에서 나아가 향후 대북제재 효과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5가지의 정책적 개선을 제안한다. 첫째, 대북 제재대상자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 중국이 대북 금융제재 이행에 미온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중국 내 은행에 개설된 북한 관련 계좌들이 제재대상자 본인이 아닌 차명을 활용한 계좌일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중국 금융당국이나 은행 입장에서는 명확히 북한 제재대상자가 소유한 것으로 드러나지 않은 이상 특정 계좌를 동결할 근거가 없다고 간주하고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다. 중국에게 비협조를 할 여지를 주지 않기 위해서는 단순히 명의만을 빌려주는 제3국적 행위자마저도 광범위하게 제재대상자로 등재를 함으로써 제재의 그물망을 좀 더 촘촘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북한의 사이버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제재를 마련해야 한다. 북한의 사이버공격은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도발행위로서, 향후 대북 금융제재를 외환거래에만 적용할 것이 아니라 가상화폐거래소를 통한 가상화폐의 환전에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북한이 가상화폐 거래에 연루된 것으로 확인될 경우 가상화폐거래소 차원에서 환전 제한 등 자산동결에 준하는 조치를 취하도록 의무화 하고, 이러한 조치를 위반하여 북한을 지원한 것으로 판단된 가상화폐거래소는 제재대상자로 지정해야 한다. 셋째, 사치품 통제의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 현재 각국의 사치품 통제기준이 상이하다. 일정 금액 이상에 해당하는 사치품만을 통제하는 국가가 있는가 하면, 금액과 상관없이 해당 품목을 모두 통제하는 국가도 있다. 해석상 모호성이 없도록 안보리 결의 문안 자체를 명확히 하여 통제의 기준을 통일해야 한다. 넷째, 각국의 제재 이행 세부현황에 대한 보다 냉철한 평가가 필요하다. 대북제재 전문가패널이 ‘대륙별·국별 대북제재 이행평가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제재 미이행국이 특별히 어떤 분야의 법적 조치를 강화해야 하는지, 혹은 어떤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는지 등 국가별 맞춤형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제재를 위반한 국가에 대한 실질적 페널티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UN안보리 결의 미이행국에 대해 과징금을 부과하는 등 참신한 접근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교각의 강성을 고려한 지진격리교량의 응답특성 평가

        徐鉉雨 釜山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In this paper, based on shaking table test results on a seismically isolated bridge model, an inelastic numerical model is refined by using Bouc-Wen model representing the hysteretic behavior of isolators. Seismic responses of isolated bridges are numerically investigated varying with relative stiffness ratios, which is a ratio of the effective stiffness of isolator to the lateral stiffness of bridge pier. From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an adequate range of relative stiffness ratio could be defined for seismic design of isolated bridges without considering the flexibility of piers.

      • 치료놀이에 기반 한 모·아애착증진 프로그램이 영·유아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학대예방에 미치는 효과

        서현우 남서울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the abuse prevention and parenting stress for parent with young children and infants through the parental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Followings are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Research Problem 1> What is the affects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based on Theraplay on the parenting stress of parent with young child and infant. <Research Problem 2> What is the affects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based on Theraplay on the abuse prevention of parent with young child and infant.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selected from mother and child from 3 to 5 years old going to the private kindergarten in Cheongju city. Total of 25 participants and their children, who submitted the application before the start of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were selected and then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s. Mother and child in experimental group received 60 minutes of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session once a week for total of 9 sessions, and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aining. This study uses the parenting stress scale to assess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which was also used in a research done by Lee Yeonsook (2015) and was developed by Iim Jinmi (2012) using the scale developed by Kim Kihyun and Kang Heekyung (1997) as a reference.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 abuse of mothers, we used the scale of the Gu JeongMi (2011) that reconstructed the 'Child Abuse Assessment Scale' of Jang Hwa Jeong (1998). The SPSS for Windows 24 was used as a statistical tool to analyze the effect of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based on Theraplay. The mixed ANOV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ve effects of pre and post tests,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child-mother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based on Theraplay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 the main caregiver.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changes of parenting stress before and after the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in sub factors of daily stress, burden, and parental pain. Second, the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based on Theraplay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child abuse by mother, the main caregiver.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changes of child abuse before and after the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t reduction in pre- and post-test scores in the sub factors of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 described above, a mutual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and child abuse.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d the effectiveness of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with the evidence of positive changes in parenting str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performed targeting general infants and mother,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insufficient number of preventive domestic program in relevant to the child abuse prevention and parenting stress.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the implication for the utilization in not only attachment promotion but also in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key word: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Parenting Stress, Attachment, Theraplay, Abuse Prevention 본 연구는 치료놀이에 기반 한 모․아애착증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영․유아 부모의 학대예방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치료놀이에 기반 한 모․아애착증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영․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2> 치료놀이엑 기반 한 모․아애착증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영․유아 부모의 학대예방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청주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의 만 3-5세 자녀를 둔 어머니와 그 자녀로 선정하였다. 모․아 애착 증진 프로그램 실시 전 사전 참가신청서를 통해 참여의사를 밝힌 25명과 그 자녀, 25쌍을 먼저 배정한 후 통제집단은 무작위로 선정하여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의 모․아에게 주 1회, 60분씩 9회기에 걸쳐 모․아 애착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도구로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김기현과 강희경(1997)이 개발한 척도를 참고하여 임진미(2012)가 제작한 척도로, 이연숙(2015)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아동학대를 측정하기 위해 장화정(1998)의 ‘아동학대평가척도’를 재구성하여 사용한 구정미(2011)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인 치료놀이에 기반한 모․아 애착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분석 도구는 SPSS for Windows 24를 이용하였으며 종속변인의 사전, 사후검사에 대한 시점과 실험, 통제집단 간 주 효과 및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놀이에 기반 한 모․아 애착 증진 프로그램은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모․아 애착 증진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양육스트레스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실험집단은 일상적 스트레스, 부담감, 부모의 고통의 하위요인에서 사전․사후의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둘째, 치료놀이에 기반 한 모․아 애착 증진 프로그램은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아동학대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모․아 애착 증진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아동학대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실험집단은 신체적 학대, 정서학대, 방임의 하위요인에서 사전․사후의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학대는 상호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양육 스트레스는 치료놀이에 기반 한 모․아 애착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모․아 애착이 긍정적 변화를 이루었다는 연구결과를 밝힘으로써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 예방과 양육스트레스와 관련하여 국내에 예방적 프로그램이 많지 않은 상항에서 일반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애착증진 뿐 아니라 예방과 조기개입이라는 차원에서도 유용하게 활동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모․아애착증진 프로그램, 양육스트레스, 애착, 치료놀이, 학대 예방

      • 핸드크림의 브랜드가 구매행동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현우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핸드크림의 브랜드가 구매행동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있다. 첫째, 임상시험에 들어가기 앞서 핸드크림의 사용현황과 구매현황, 그리고 핸드크림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알아보았다. 핸드크림을 사용하는 사람이 90.5%,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9.5%로 사용하는 사람의 비율이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핸드크림을 구매하는가에 대한 설문 결과 구매한다가 89.5% 구매하지 않는다가 10.5%로 나타났다. 핸드크림에 대한 인식에 관하여 수입브랜드의 핸드크림이 국내브랜드의 핸드크림보다 품질이 우수할 것이라는 인식이 높았으며, 고가의 핸드크림이 저가의 핸드크림보다 품질이 우수할 것이라는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임상시험에 사용되어질 핸드크림을 선별하기 위해 수입브랜드5종, 국내브랜드5종 총 10종을 가격과 용량, 성분을 분석해 본 결과 용량은 50ml부터 150g까지 제각각이었으며, 가격은 1ml(1g)당 가격이 57.5원부터 233.33원까지 약4배가량 차이가 있었다. 전 성분 분석 결과 보습제 성분인 글리세린과 피부 컨디셔닝제인 세테아릴알코올은 전 제품에서 공통적으로 들어있었으며, 디메치콘은 수입제품2종과 국내제품5종에서 발견되었다. 셋째, 임상 시험 결과 수입브랜드와 국내브랜드의 핸드크림 모두 사용전·후 수분량과 유분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수분증가량과 유분증가량에 있어서 수입브랜드와 국내브랜드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가격에 따른 품질의 차이가 없었다. 넷째, 수분지속력에 대한 시험 결과 수입브랜드와 국내브랜드, 고가제품과 저가제품 사이에 사용 전·후 수분지속력 품질의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가격이 높을수록 수입브랜드일수록 품질이 우수할 것이라는 인식과는 달리 핸드크림의 브랜드 차이와 가격 차이가 품질의 차이로 이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brands of hand creams on their qualities and purchasing behaviors. Firstly, it is shown that the rate of people who use hand creams is 90.5% but the rate of people who don't is 9.5%, with which it is found that the former one is remarkably high. It is shown as well that the rate of people who answered ‘yes’ to the question whether they purchase hand creams is 89.% and the rate of people who answered ‘no’ is 10.5%. For the awareness about hand creams, the survey shows that it is highly aware that those with imported brands must be superior in their qualities to those with Korean ones. It is also highly aware that expensive hand creams are superior in their qualities to cheap ones. Secondly, in order to select the hand creams for the use in the clinical test, five imported ones and ten Korean ones were selected in advance and their prices, volumes, and ingredients were analyzed. It is resulted from the analysis that each of their volumes are not the same; they were from 50 ml to 150 g, individually. Their price per 1ml(or1g) is from 57.5 Korean Won to 233.33 Korean Won, which shows about 4 times' differences. It is shown by the analysis for their ingredients that glycerin, a moisturizing ingredient and cetearyl alcohol are contained in all of them in common and dimethicone is found at the two imported ones and the five Korean ones. Thirdly, through the clinical test, it is found that moisture and oil are increas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using the imported ones and the Korean ones. But there is not any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ed ones and the Korean ones in their increment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ir qualities in accordance with their prices. Fourthly, through the test for the moisture-lasting capability, it is found that there is not any differences in their moisture-lasting capabilities in comparison with the imported ones and the Korean ones and also with the expensive ones and the cheap ones, before and after using them. As a summary for the above, it is found that differing from the awareness that the more expensive hand creams are, the better their qualities are, the differences of the brand and price of them are not related to their qualities.

      •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60-GHz 대역 RF 수신기 설계

        서현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에서는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60-GHz 대역 RF 수신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수신기는 칩 면적과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해 직접 변환 구조로 구현하였으며, 칩 상 급전기, 저잡음 증폭기, 하향 변환 주파수 혼합기와 직교 주파수 체배기로 구성된다. 저잡음 증폭기는 커패시턴스 중화 기법을 적용한 3단 차동 공통소스 구조로 설계했으며 트랜스포머를 이용해 입력, 단 간 및 출력 임피던스 정합을 구현하였다. 하향 변환 주파수 혼합기는 선형성을 높이고 LO 주파수의 누설을 최소화하기 수동 이중 평형 구조로 설계했으며 하향 변환된 신호 전류가 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뒷 단에 공통 게이트 버퍼를 추가하였다. LO 주파수 신호 생성을 위한 주파수 체배기는 N-push 주입잠금형 7체배기와 주입잠금형 직교 세체배기로 구성하여 2.86-GHz의 기준 주파수 신호를 받아 21체배하여 60-GHz 신호를 생성하며, 직교 세체배기의 공진기를 직교 전압제어 발진기 구조로 설계하여 60 GHz 직교 신호를 생성한다. 설계한 직교 주파수 체배기와 수신기 칩을 65-nm CMOS 공정을 이용해 제작했다. 직교 주파수 체배기는 측정 결과 61 GHz에서 61.6 GHz까지 주파수 잠금을 확인하였고, 108 mW의 직류전력을 소모하며, 1 MHz 오프셋에서 -108 dBc/Hz의 위상잡음을 보인다. 수신기 칩은 시뮬레이션 상 23.2 dB의 변환 이득과 4.5 GHz의 3-dB 대역폭, 6.3 dB의 최소 잡음지수와 -30 dBm의 P1dB를 보인다.

      • 예능 프로그램의 메타버스 활용과 발전 방향 : 리얼 연애 버라이어티 쇼 제작자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서현우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기술의 발전과 발맞춰 새롭게 생겨나는 미디어 신기술로 인해 방송의 제작 환경도 변화하게 되었다. 특히 누구도 예상치 못한 코로나19라는 상황에서 비대면으로 이뤄지는 작업에 익숙해지면서 이슈가 된 ‘메타버스’라는 신기술이 방송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것도 자연스러운 흐름이었다. 메타버스는 한마디로 웹 상에서 아바타를 이용하여 사회, 경제, 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는 기술이다.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의 경계가 허물어진다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특징이다.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희미해진다는 것은 곧 공간의 제약이 크게 사라진다는 의미다. 사회 곳곳에서 메타버스를 이용한 새로운 시도가 일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방송 제작자들은 메타버스를 어떻게 인식하는 지에 대해서 탐구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리고 메타버스를 방송 프로그램, 특히 예능 프로그램에 접목시킬 때 변화하는 제작환경에 대해 그 중심에 있는 제작진들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관하여 혁신확산 이론을 토대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답을 구하였다.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신기술은 이전 시대에 비교할 수 없이 많이 출현하고 있다. 또 이를 방송에 접목하려는 시도는 항상 새로운 콘텐츠에 대해 고민하는 제작PD에게는 중요한 부분이다. 새로운 내용과 포맷에 대한 고민은 제작자로서의 기본 자세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늘 새로운 기술이 나올 때마다 새로운 시도를 하게 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나타난 제작진들의 특징은 새로운 기술에 흥미를 가지는 것과 동시에 그것을 방송프로그램에 접목시킬 때 일으킬 수 있는 ‘재미 요소’에 대해 기본적으로 고민한다는 것이었다. 재미 요소가 충분한 신기술은 제작하는 프로그램에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써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메타버스를 적용한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 과정을 면밀히 살펴본 결과 큰 틀은 기획단계, 제작단계, 후반작업이라는 기존 방송 제작 시스템과 동일했다. 하지만 그 제작의 3단계마다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기술로 인해 제작 상의 다양한 시도와 변화가 생긴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본고는 실험적으로 메타버스를 접목한 예능 방송 프로그램 제작 과정을 연구하면서 기존의 예능 프로그램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짚어 보았다. 기술이 더욱 발전할수록 메타버스를 예능 프로그램에 접목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가 앞으로 메타버스를 방송 프로그램에 적용함에 있어 어떠한 사항을 사전에 고려해야 하는지, 또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기는 무엇인지 등에 대해 미리 살펴 메타버스를 더욱 잘 활용할 수 있는 제작 노하우를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수분 함량과 시간 경과에 따른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 연구

        서현우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N719 Ru계 염료와 I-/I3- 바탕의 산화-환원 전해질을 사용하여 셀을 제작하였다. 셀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셀 내부 H2O의 함량에 따라일어나는 변화를 전기 화학적으로 분석하였다. 태양전지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광 전기적 특성은 셀 제작 후부터 6일 동안 조사되었다. 제작한 태양전지는 제조한 후 6일후에 jsc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단락전류)는 9.9에서 7로, 효율 ()은 4.4에서 3.3%로 감소하였다. 태양전지의 효율에 영향을 주는 내부 인자들은 EI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를 통해 추출되었다. EIS 분석 결과 (conduction band electron life time)와 (chemical capacitance)가 6일 후에도 상당히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6일 후의 값과 jsc 값의 감소하는 이유는 효율적인 전자 흐름을 나타내는 EIS 인자 값들의 감소와 연관성이 있다. 또한 태양전지의 수분의 함량에 따른 셀 내부의 변화를 보기 위해 전해질 용액에 각각 1M에서 5M 농도에 해당하는 H2O를 첨가하여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셀 내부의 수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jsc 값은 증가하며, Voc (Open Circuit Voltage, 개방전압) 값은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EIS 분석을 통해 전해질 내부의 수분은 TiO2의 전도대 에너지 레벨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로 인해 셀의 Voc는 증가한다. 또한 셀 내부의 수분으로 인한 TiO2의 전도대 에너지 레벨의 증가는 염료의 LUMO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에서 TiO2의 전도대로 전자 주입의 구동력을 감소시켜 jsc 값이 감소한다. Here, the effect of time degradation and water added electrolyte on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have been studied.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SSCs over a period of time was investigated in liquid electrolyte based on iodide/triiodide during six days. It was found that short-circuit current density (jsc) of the cell dropped from 9.9 to 7mA/cm2 while efficiency () of the cell decreased from 4.4 to 3.3%.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study of the DSSC in this work showed that the electron life time (), and chemical capacitance ()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six days. It was correlated the jsc and decreased after six days. Also the increase of the amount of added water in electrolyte of the DSSCs was found that open-circuit voltage (Voc) increased and jsc decreased. EIS study showed that the electrolyte with added water shifted the dye loaded TiO2 conduction band upward that eventually increased Voc of the cells. On the other hand, the upward shift of TiO2 conduction band decreased the driving force for the electron injection from the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of the dye molecules to the conduction band of TiO2 that resulted in decreased js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