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수도행정의 실태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강미정 창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일반국민들은 하수도라고 하면 단순히 생활속에서 발생하는 더러운 물을 버리는 일쯤으로 무관심하거나 하찮게 치부해버리는 경향이 있으나 하수도는 상수도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한 시스템으로서 원활하게 처리되지 않을 경우 그 파급 효과는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영국 의학전문지 ‘브리티시메디컬저널(BMJ)"가 인류 건강을 가장 획기적으로 개선한 현대 의학계의 성과로 “하수도와 깨끗한 물” 을 1순위로 선정했다. 하수도 분야 행정은 중앙정부(소관부처는 환경부)는 하수도의 설치․관리 및 관련 기술개발 등에 관한 기본정책을 수립하고, 지방자체단체는 관할 구역 안에서 발생하는 하수 및 분뇨를 적정하게 처리하여야 하는 책무를 지는 공공하수도관리청의 지위에 있다. 따라서 지역에서 하수도 분야에 대한 직접적인 권한과 책임은 지방자치단체에 있으며 상수도와 아울러 하수도 분야는 지방자치행정의 기본이자 핵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하수도 분야의 행정은 한번 기틀을 마련하면 행정행위가 끝이 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사회변화, 기후변화 및 시설의 노후화에 대처하여 변화 발전되어가야 할 행정분야인 것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본격적인 하수처리시스템을 갖추기 시작한 이래 50년차에 접어들고 있으며 하수도 시설의 내구연한을 20~50년으로 추정해 볼 때에도 계속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회가 발전하고 도시가 팽창하여 인구가 밀집되고 생활환경이 급격히 변화해온 과정에서 하수도 정책은 단순히 오수와 우수를 배제하는 초창기에서 유기물질과 영양염류를 처리하고,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는 자원재활용단계에 까지 와 있으며 미량유해물질 처리에 대비가 필요한 시기에 와 있듯이 패러다임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간 추진해온 하수도 정책을 짚어보고, 앞으로 하수도 행정분야에 관심을 갖고 집중해야 할 분야,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야 하는 분야를 살펴보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그간 추진해온 하수도분야 정책은 도시지역 중심의 하수처리시설 확충을 우선시 해 온 결과, 하수관거분야에 재정투자가 부족하여 하수관거보급률은 하수도보급률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며 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어촌지역이 공공하수도 서비스가 미비하여 지역간 격차를 보인다. 개인하수도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여 운영관리가 부실한 경향을 보이며, 하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수찌꺼기에 대한 해양배출이 금지되면서 그 처리 문제가 현안사항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하수도요금의 현실화율은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고 하수도 행정의 발전을 위하여 다음 사항에 집중하여야 한다. 첫째, 500톤/일 이상의 대규모 하수처리시설의 확충은 거의 소요가 다 충족되어 가는 것으로 판단되며, 농어촌지역의 소규모 하수처리시설은 경제성과 자연정화 기능들을 감안하여 적정규모로 설치해 나가되 향후 인구 변화추이를 고려하여 낭비적인 시설 설치가 되지 않도록 개인하수도와 공공하수도의 설치를 비교검토하여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농어촌지역 주민들이 공공하수도서비스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지역주민의 생활환경 관점 또한 배제되어서는 않 될 것이다. 둘째, 하수처리시설에 비해 그 투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하수관거분야에 대하여 합류식 하수관의 분류식화, 노후관거의 교체 및 보수에 보다 많은 재원을 투입하여 발생하수를 하수처리시설로 원활히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침수예방 기능을 강화하여 그동안 우선시 하지 않은 우수관리 분야 또한 집중호우 등에 대비하여 그 기능을 보강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하수관거의 운영관리에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전산화를 통해 자산으로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하수처리구역 밖에 거주하는 지역주민들에게 개인하수도의 설치․운영비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하수처리구역내 거주 주민들에 비해 하수도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지원하고 하수도요금에 비해 그 운영 비용이 과다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재정지원을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하수찌꺼기의 해양배출 금지에 대비하여 육상 처리시설을 설치중에 있으나 발생량 자체를 감축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토록 노력하고 그 기술개발에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운영과정에서 하수찌꺼기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방안 마련 또한 필요할 것으로 본다. 다섯째, 하수도분야 재정자립을 도모하고 노후화된 하수도 시설의 재정비 등에 대비하기 위하여 하수도요금의 현실화가 필수적인 과제이며, 이를 위해 지자체는 적극적으로 대 국민 및 관계기관 홍보를 실시하고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점차적인 현실화를 이루어 나가야 할 것이다. 여섯째, 행정구역 단위의 하수처리체계에서 탈피, 물이 모이는 유역개념을 도입하여 하수도 시설의 통합에 따른 중복투자 방지, 처리시설의 최적배치, 유지관리비 절감 등을 통해 재정투자 효율화를 이바지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자체는 지역 이기주의적인 사고방식을 벗어나 지역사회에서 상생구도를 지향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중앙정부에서도 적극적인 기술적, 재정적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하수도 분야 행정서비스는 지속적인 유지관리와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며, 지역주민에게 친화적인 시설이 될 수 있도록 시설 개선과 운영 노력 또한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하수도 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짚어보았으며 실질적인 공공하수도관리청으로서의 지방자치단체는 해야하고 할 수 있는 하수도 행정서비스는 무한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 국민 서비스는 무한히 개발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양육초기여성의 정체성 변화와 독서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강미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the challenges and identify change experienced by women in the early stages of parenting and to define the meaning of reading as they experience the identify crisi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researcher established the theoret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existing research, and carried out qualitative research on women in the early stages of parenting. Based on the literacy review,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were more studies on difficulties women experienced, such as stress from parenting and career break, rather than joy or reward being a mother. These difficulties were categorized into personal, relational and social aspects. It also was observed that studies related to bibliotherapy have been increasing,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women in the early stages of parenting. Furthermore studies on group reading therapy were more common than on individual reading experiences. Based on this, this research aimed to focus on the reading experience of individual women in the early stages of parenting. I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change in self-identity and identity as a mother were examined as psycho-emotional characteristics of early parenting women. In addition, Kohut's self-psychology was suggested as a theory to analyze the reading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research revealed that reading as a self-object in the perspective of mirroring experience, twinship experience and Idealizing experience of self-psychology. With thi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meaning and different forms of bibliotherapy and focused on reading experience as self-healing. For qualitative analysis of early parenting women,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narrative inquiry methods. A total of two people, Kim Ji-hyun and Park Jin-joo, who had not let go of reading even before childbirth and during parenting,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in-depth interview, conversations, and journaling of participants for three months from July to September 2021.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categorized in three main findings. First, women in the early stages of parenting are experiencing crises in many aspects, such as physical pain, isolation, difficulty in parenting, and conflict with their husbands. These patterns varied greatly from person to person. Second, women in the early stages of parenting experience a crisis and change in identity. Kim Ji-hyun showed her willingness to integrate her identity as a mother while going through an identity crisis, and Park Jin-joo gained a strong determination to recover self identify that she had lost through the early stages of parenti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ading experience in the parenting process has become a healthy 'self-object' for them. Through reading, they were experiencing ‘mirroring’, ‘twinship’ and ‘idealizing’ which were the three components of self psychology suggested by Kohut, and reading has helped them grow as it has become like mental oxygen. As a pastoral reflection for women in the early stages of parenting, the methodology of women's pastoral theology appearing in Watkins Ali's Survival & Liberation was examined and applied. First, it was suggested that early parenting women should be viewed as "subjects" to further develop. Second, caregivers need deeper self reflections to bette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by refraining from judgment and adopting the attitude of epoke. Third, it is required to face social prejudice against parenting and motherhood. Forth, it was suggested to form a stronger culture of parenting socie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ay have limitations in presenting reading as a general alternative to the crisis of early women in parenting, as the experiences of the two participants were completely different. In addition, it is ideal that the difficulties faced by early parenting women need be discussed and dealt at a social level, so the ‘reading’ might have been a rather limited or passive alternative chosen at the individual level. Nevertheless, reading can be a realistic alternative that individuals can easily access, and if balanced with research on social measures in the future, i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risis of women in the early stages of parenting. 본 연구는 양육초기여성이 겪는 어려움과 정체성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들이 정체성의 변화 과정에서 경험하는 독서경험과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를 검토해 이론적 관점을 정립하고, 양육초기여성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했다. 양육초기여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어머니됨의 기쁨이나 보람보다는 양육스트레스나 경력단절과 같은 어려움에 관한 연구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개인적, 관계적, 사회적 어려움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독서치료, 독서경험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나 양육초기여성에 대한 프로그램과 연구는 거의 없었고, 개인의 독서경험보다는 집단독서치료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양육초기여성 개인의 독서경험에 주목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양육초기여성의 심리 정서적 특성으로 자아정체성과 어머니로의 정체성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독서경험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으로 Kohut의 자기심리학을 제시했다. 자기심리학의 자기대상인 미러링 경험, 일체감 경험, 이상화 경험을 들어 ‘자기대상으로서의 독서’를 본 연구의 관점으로 밝혔다. 이와 함께 독서치료의 의미와 유형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자가치유적 독서에 주목함을 설명했다. 양육초기여성에 대한 질적 분석을 위해서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출산 이전부터 양육시기에도 독서의 끈을 놓지 않았던 김지현과 박진주, 총 두 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해,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 동안 심층 면담과 대화, 참여자들의 기록 등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양육초기여성은 육체적 고통, 고립감, 양육의 어려움, 남편과의 갈등 등 여러 측면에서 위기를 겪고 있고, 양상은 개인마다 차이가 크다. 둘째, 양육초기여성은 정체성의 위기와 변화를 겪게 된다. 김지현은 정체성의 위기를 겪으며 엄마로서의 정체성을 통합해 나가려는 의지를 보였고, 박진주는 정체성의 위기를 통해 그동안 잃었던 자아실현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게 되었다. 셋째, 양육과정에서의 독서경험은 그들에게 건강한‘자기대상’이 되어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은 독서를 통해 Kohut이 제시한 자기대상의 세 가지 ‘미러링’‘일체감’‘이상화’의 경험을 하고 있었고, 독서는 그들에게 정신적 산소와 같은 존재가 되어 그들의 성장을 돕고 있었다. 양육초기여성을 위한 목회신학적 성찰로 Watkins Ali의 ‘생존과 해방(Survival & Liberation)’에 나타나는 우머니스트 목회신학 방법론을 살펴보고 적용했다. 첫째, 양육초기여성을 ‘주체’로 바라보고 세워나가야 하며, 둘째, 돌봄제공자 스스로의 성찰을 위해 내담자를 더 깊이 알기 위한 노력과 함께 판단 중지의 자세가 필요하고, 셋째, 양육초기여성 개인의 어려움에 대한 이해를 넘어 양육과 모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맞서고, 넷째, 양육초기여성들을 위한 양육공동체 문화 형성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두 참여자들의 경험이 전혀 달랐듯이 개인마다 정체성 변화와 독서의 의미는 크게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독서를 양육초기여성들의 위기에 대한 일반적인 대안으로 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양육초기여성이 겪는 어려움은 사회문화적으로 함께 풀어야 하는 것임에도, 연구자의 대안이 양육초기여성이 혼자서 찾는 소극적인 방안이었다는 아쉬움이 있다. 그럼에도 독서는 개인이 쉽게 선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사회적 방안에 대한 연구와 함께 균형을 이룬다면 양육초기여성들의 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본능 자극 영상 콘텐츠(브이로그/ASMR/먹방)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의 이용 동기, 인구통계학적 특성·5대 성격·개인주의-집단주의 및 시청 만족도 : 이용과 충족 이론을 중심으로

        강미정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aims to redefine Vlog, ASMR, and Mukbang (eating broadcasting) contents as 'Instinct Stimulus Video Contents,’ which are emerging as major genres among the recent video contents, and to explore their motives through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he study explores consumers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and satisfaction from viewing those contents in terms of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he analysis items were derived through previous studies,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dditionally, two surveys wer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335 samples obtained from the first survey and 106 samples obtained from the second survey. As a result, age, income level, and collectivism were found to be factor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respectively, that influenced consumers’ choice of instinct stimulus video content genre. The motivation for watching instinct stimulus video contents consisted of five factors: self-assessment and improvement, sensory stimulation and relaxation,entertainment pursuit, escapism and passing time, and following trends. The assessment of relative influence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revealed that collectivism had positive (+) influence on self-assessment and improvement; individualism had the most positive (+) influence on sensory stimulation and relaxation, and the education level and diligence had negative (-) influence. Furthermore, collectivism had positive (+) influence and neuroticism had negative (-) influence on the motivation for entertainment pursuit; collectivism, age, and income level, in a descending order, had positive (+) influence on the motivation for following trends. In contrast, none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or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factors showed influence on escapism and passing time. Lastly, among the different motivation for use, self-assessment and improvement, sensory stimulation and relaxation, and entertainment pursuit motivation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influence on viewing satisfaction, while following trend motive had negative (-) impac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escapism and passing tim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evel satisfaction from watching those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study concludes with discussion of the academic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its effectiveness in the future in terms instinct stimulus video content production and marketing utilization. 본 연구는 최근 동영상 콘텐츠 중 메이저 장르로 떠오르는 브이로그, ASMR, 먹방 콘텐츠를 ‘본능 자극 영상 콘텐츠(Instinct Stimulus Video Contents)’로 새롭게 개념 규정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그 이용 동기를 탐색하였다. 아울러 이를 시청하는 수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5대 성격,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시청 만족도를 이용과 충족 이론 관점에서 폭넓게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FGI(Focus Group Interview) 그리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분석 항목들을 도출하였으며, 두차례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1차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335개의 표본과 2차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106개의 표본에 대하여 요인분석, 교차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 기법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본능 자극 영상 콘텐츠 시청 장르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5대 성격,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은 연령, 소득수준, 집단주의로 나타났으며, 본능 자극 영상 콘텐츠의 이용 동기는 자기 평가 및 향상, 감각 자극 및 안정, 재미 추구, 도피 및 시간보내기, 유행 추구의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아울러 이용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5대 성격,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한 결과, 자기 평가 및 향상 동기는 집단주의가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감각 자극 및 안정 동기에는 개인주의가 가장 큰 정(+)의 영향을 다음으로 교육수준과 성실성이 부(-)의 영향을 미쳤다. 재미 추구 동기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정(+)의 영향을 신경증이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유행 추구 동기는 집단주의, 연령, 소득수준 순으로 유행 추구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피 및 시간 보내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5대 성격,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은 없었다. 마지막으로 이용 동기가 시청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기 평가 및 향상, 감각 자극 및 안정, 재미 추구 동기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유행 추구 동기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피 및 시간 보내기 동기는 시청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어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 의의를 논하였으며, 향후 본능 자극 영상 콘텐츠 제작 및 마케팅 활용 측면에서 효과 제고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모형을 적용한 음악극 창작수업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강미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사회의 변화는 사람들의 생각과 가치관에도 영향을 주어 현재는 모든 사람의 개성을 존중하고 인정하는 포스트모더니즘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각 개인을 이해하고 수용해주는 장점도 있지만, 하나의 공동체로 모이는 데에는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성격은 점차적으로 교육 현장에도 영향을 주게 되고, 현재는 인성교육 및 협동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협동학습은 서로 다른 구성원들이 모여 하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과거의 경쟁교육과 학업 중심의 교육현장으로 양산된 사회적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구상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적 표현과 더불어 다른 사람과의 협동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음악교육 중 음악극 수업은 이러한 협동학습의 성격을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는 수업방안 중 하나이다. 학생들은 협동학습 역할을 토대로 음악극을 구상함에 따라 동료와의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을 요구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 속에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업은 학생들에게 협동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며, 2015 교육과정에서 명시한 핵심역량인 심미적 감성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의사소통역량 등 다수의 핵심역량을 함양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의 단계를 적용한 음악극 창작수업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대상은 2015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수·학습 방법에 제시된 것을 기반으로 고등학교 1학년으로 선정하였다. 수업은 총 5차시로 <흥부가>를 주요 스토리로 정하여 창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극의 장르는 학생들의 흥미와 재능을 고려하여 하나의 장르에 국한되지 않도록 하였다.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과 음악극은 소그룹의 협동이 전체의 협동으로 이어져 하나의 결과를 만들어내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러한 유사점은 수업에 적용하기 용이하며 학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학습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Modern society is changing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al change has influenced people's thoughts and values, and is now living in an era of postmodernism that respects and recognizes everyone's individuality. While this social atmosphere may have the advantage of understanding and accommodating each individual,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bringing them together as a community. The nature of these societies has gradually influenced the educational scene, and now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haracter education and co-education. Collaborative learning is designed to complement social problems generated by competitive education and academic-oriented educational sites in the past. In this regar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creative expression as well as fostering cooperative skills with others. Music drama classes during music education are one of the ways to proceed, including the nature of these collaborative studies. Students will need positive interdependence with their peers as they plan music plays based on their collaborative learning roles, completing one piece in the process. Classes like this enhance students' collaborative learning skills and encourage a number of core competencies, including aesthetic emotional,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which are the core competences specified in the 2015 curriculum. Accordingly, this study studied the method of teaching creative lessons for music plays that applied the steps of an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criteria for achievement of the 2015 curriculum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Classes were allowed to be created by selecting Heungbu as the main story in total of 5 classes, and genres of the play were not limited to one genre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interests and talents. The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music play have a common feature in which the cooperation of the small group leads to the cooperation of the whole group, resulting in a single result. These similarities are easy to apply to classes and can expect more effective learning outcomes for students.

      • 교대근무간호사와 비교대근무교사의 과민성 장 증후군 정도와 관련요인 비교

        강미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Background: Irritable bowel syndrome(IBS) is a commo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in the West. But information on the prevalence of IBS in Asia is still lacking, especially in Korea. Therefore,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IBS in nurses of a general hospital and teachers working in the middle school in Daejeon and also to investigate impact of shift work and present the relevant factors of IBS. 118 nurses working at general hospital in Daejeon and 111 teachers working in the middle school in Daejeon were surveyed. Measuring tools were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ROMEⅡ, JCQ(Job contents questionnaire), HAD(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and PWI-SF.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by t-test, x²-test , ANOVA. The results as follow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BS score (t=-2.62, p=.ooo) between nurses and teachers. 2. The rate of prevalence of IB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x²=10.34, p=.001), age (x²=6.95, p=.031), residential form (x²=15.45, p=.001), sleeping disturbance (x²=26.41, p=.000), monthly income (x²=42.32, p=.000), eating regularly (x²=51.56, p=.000)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having IBS. 3. The rate of IBS sco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leeping disturbance medication two groups having IBS and family history(t=4.38, p=.000), Visiting medical institution(t=-4.28, p=.000) in a group of teachers.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social stress (t=14.32, p=.000), depression (t=-5.94, p=.000), and anxiety (t=-4.92, p=.000) between two groups having IBS. As a result, this study have found that nurses with IBS have significantly higher stress than teachers. This result associated their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Therefore, proper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for nurses working shift should be required to strengthen coping against stress in nurses with IBS. I suggest that further studies related to nurses with IBS may be necessary and nursing intervention for alleviating stresses, anxiety and depression must be used widely.

      • 야간근무 간호사의 선잠 실태

        강미정 영남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M.S. Thesis The Light Sleep Status of Night Shift Nurses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274 nurses for working in the night shiftwork at 2 university hospitals and 1 general hospital located at Daegu city to survey the recognition and status for having a light sleep for the nurses working in the night shift. The period of survey was for a month on April 2010. The structured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46 questions of 7 question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10 questions related with sleeping pattern during daytime after the night shift working and 17 questions related with having a light sleep was used for survey. The nurses by 74.8% answered the experience of having a light sleep during night shift working in the experience ratio of light sleeping. The experience of having a light sleep and the night shift working days during the month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p<0.01). The more days of night shift working were, the more experiences of having a light sleep were. The intensity of night shift working and the experience of having a light sleep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p<0.01). The lighter in the work intensity was, the higher the experience in light sleep was. The drowsiness during the night shift working was more frequent after 4 AM was 56.6%. The experience of obstacle in nursing affairs due to drowsiness was 57.7%. The affairs in difficulties were 'difficulty in provision of medical recording', 'difficulty in responding to patients/guardians' and 'difficulty in compliance with treatment time'. The pattern of having a light sleep revealed that the time for light sleep less than 30 minutes was 78.5%, the location for light sleep in nurse station was 93.7% and 44.9% answered the light sleep was helpful for working. The heavy workload and the environment for light sleep was not established were most of answering for the reason of not having a light sleep. The average sleeping time in daytime after night time shiftwork and sleeping pattern did not show the association with the experience of having light sleep. The percentage for requiring the guarantee for having a light sleep was 85.8%, the time for light sleep was 54.5% for 30-60 minutes and many opinions were for asking resting room. However, 92.3% of them were against for the prolongation of the working time equivalent to the light sleep. It was answered that the environment of the night time working was more influential than the sleeping time during daytime. Owing to the result for answering of potentiality influencing to the nursing affairs, having a light sleep during working can not be guaranteed in principle, but the guideline for the light sleep for the nurses during the night time working is essential if it is not avoidable in reality. It is considered that the method of guaranteeing the short time light sleep within the scope of not hindering the affairs shall be surveyed if it is necessary.

      • 이주노동자 관련 교육의 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

        강미정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이주 노동자 관련 교육은 2000년대 들어 이주노동자의 유입이 본격화함에 따라 그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학교나 민간단체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기 시작하였고 현재 양적으로는 괄목할 만하게 성장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해당 교육이 과연 바람직한 방향과 내용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냐에 대해서는 충분하게 연구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주노동자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을 조사하고, 각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이주노동자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교육주체, 교육내용, 교육대상’의 측면에서 그 특성을 파악하여, 해당 교육의 현실이 ‘바람직한 이주노동자 관련 교육’의 방향과 내용, 방법의 관점에 비추어 볼 때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기관에서의 교육은 취약하고, 민간기관에서의 교육은 기관별로 특성화한 내용을 갖고 있지 못하며, 다른 기관과 중복되는 내용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둘째, 삶의 토대에 직접 관계되는 내용이 부족하다. 즉 이주노동자의 인격과 인권을 존중ㆍ보호하고 주류 구성원들과 동등한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정ㆍ배려하는 시민성을 함양하는 데 필요한 교육내용이 미약하다. 셋째, 한국인고용주와 중간관리자, 한국인노동자 등 이주노동자와 밀접한 인간관계,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주노동자들의 인격과 권익을 존중ㆍ보호해 줄 수 있도록 이해시키고 독려하는 성격의 교육내용이 전무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발전 방안이 도출되었다. 첫째, 이주노동자 관련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들은 각 기관의 성격에 따라 교육적 역할을 특성화하여 분담할 필요가 있다. 국가기관과 민간기관은 이주노동자 관련 교육의 방향과 내용에 대해서 기본적인 관점으로 공유하되, 세부적인 수준의 교육에 대해서는 각 기관의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최소화시킬 수 있는 ‘유기적 역할 분담 및 협업의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이주노동자 관련 교육은 이주노동자들을 한국사회에 적응시키는 데 목표를 두는 통합주의적 관점에서보다는 이들이 한국사회의 당연한 구성원으로 인정받고 모범적인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데 목표를 두는 평등주의적, 상생주의적 관점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셋째, 이주노동자 관련 교육의 대상을 당사자인 이주노동자들로만 제한하지 말고, 이주노동자와 밀접한 이해관계에 있는 한국인 고용주와 중간관리자, 한국인 노동자 등도 포함하여야 한다. 넷째, 작업장에서 평등주의적, 상생주의적 이주노동자 관련 교육이 도입되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국인고용주들을 유인하고 지원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의 조성과 제도적 장치의 도입이 고려되어야 한다. Educations related to immigrant workers was initiated by the government, civil organizations, and schools in different forms as the number of immigrant workers was increasing rapidly towards to 2000s and now it reaches to the remarkable growth in quantity. But it wasn't studied enough about whether the corresponding educations have performed well with advisable directions and contents. So, the study has investigated the institutions that carry out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immigrant workers domestically. And it figur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made by each institution in terms of three aspects(subject, content, and object) of the education. The study also reviewed how the reality of the corresponding educations can be appraised with respect to the criteria in terms of goals, contents, and methods that need to be applied to the "desirable form of immigrant-rela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by governmental institutions is vulnerable, and the one by private institutions doesn't have contents specialized on each institution and often operates itself with contents overlapped with other institutions. Second, it lacks contents that ar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base of life. That means it is feeble for the contents of educations necessary in respecting and protecting the personality and human rights for immigrant workers. And it is weak also for cultivating the citizenship to admit and consider them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equal to the members in the mainstream. Third, there are no educational contents at all to understand and encourage the people who have a relationship and interests with immigrant workers such as Korean employers, mangers, and Korean workers to respect and protect the personality and rights and interests of immigrant workers. The development pla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itutions that carry out the educations related to immigrant workers are required to divide the educational roles by specializing on their characteristic respectively. The governmental and private institutions should share the educational directions and contents of immigrant workers in a basic viewpoint, but they should nurture their own strengths in detailed level of educations and build 'the system of organic division of roles and cooperation' to minimize their weaknesses. Second, the educations related to immigrant workers should be carried forward in equalitarianism and mutualism to aim to help them grow up as exemplary citizens who are admitted as a natural member in Korean society rather than in integrationalism to aim to make them get used to Korean society. Third, the people who have close interests relationships like Korean employers, managers, and Korean workers should be included in the object of the educations related to immigrant workers not limiting only to the immigrant workers themselves. Fourth, the educations related to immigrant workers should be introduced in workplaces in the way of equalitarianism and mutualism and create a social atmosphere to lead and support Korean employers in order to activate it, and also should be considered to introduce institutional strategies.

      •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한 초보상담자의 자기성찰과 전문성 발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강미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해 초보상담자들이 경험하는 자기성찰과 상담자 발달의 본질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까지 꾸준히 참만남 집단상담에 참여하고 있는 초보상담자 10명이다. 자료의 수집은 개별심층면담의 4단계에 의거하였다. 총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6월 20일~2013년 8월 12일이며 모든 면담자료는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을 실시하였고, 참여자의 표현을 그대로 필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6개의 구성요소와 26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6개의 구성요소는 '현실에서 겪는 어려움', '참만남 집단상담에 대한 기대',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한 성장', '초보상담자의 자기성찰', '상담자로서의 전문성 발달', '상담에서의 적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초보상담자들은 막연한 불안감과 결핍감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며 이러한 상태에 대해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는 개인적 어려움을 겪는다. 상담자로서는 자신이 없고 내담자가 이해되고 공감되지 않아 문제에만 초점을 두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해 초보상담자들은 자신의 감정자각을 위해 노력하고 서서히 느껴진 감정을 표현하게 된다. 나누어진 감정들에 대한 교류가 깊어짐에 따라 집단원들의 진심어린 이해와 사랑을 몸소 느끼며 한 단계 성장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더 깊은 자신의 내면을 알고 과거의 삶을 통해 현재를 이해하며 핵심감정과 사고들을 자각하는 자기성찰 과정을 경험한다. 자신의 지속되어 온 감정들을 보는 시야가 열리고 삶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자유로움과 행복감을 느낀다. 이러한 자기성찰을 통해서 초보상담자들은 상담자로서의 전문성이 발달한다. 깊이 있는 공감과 경청에 대해서 배우고 책으로만 배웠던 상담이론들을 체득하며 초보상담자들이 자신의 치유과정을 통해 상담과정을 이해하기도 한다. 이러한 배움들이 상담에서 내담자를 더 존중하고 사랑으로 대하는 태도의 변화에서 느껴지기도 하며 역전이를 자각하고 경계하려는 노력으로 적용하는 모습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초보상담자들이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해 경험한 자기성찰과 전문성 발달을 생생하게 제시하였으며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자기성찰의 경험이 상담자로서의 전문성 발달과 어떠한 의미와 구조를 가지는지 알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자들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육과 성찰에 관련한 논의점들이 제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