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의회지도자의 리더십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리더십과 토론능력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강경순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국문요약 지방의회지도자의 리더십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리더십과 토론능력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지방의회는 지방자치단체의 최고 의사결정기관이며, 지방의회의원은 전체 주민의 대표자이다. 국회가 국가적 이익의 관점에서 국민을 위한 의사 통합과 정책 결정의 장이라면 지방의회는 지역 이익의 관점에서 자치구역의 주민을 대표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의사를 결정하는 통로인 것이다. 정보통신과 인터넷의 발달은 주민들이 다양하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개인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냈다. 지방의회의원들은 이전 보다 훨씬 많은 양의 의견을 통합해야 하고, 훨씬 복잡한 구조의 분쟁을 조정해야한다. 급격하게 변화를 거듭하는 사회 환경의 소용돌이 속에서 자치단체가 설정한 비전과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변수는 지방자치의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지방의회의 실질적인 주체, 지방의회의원의 리더십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리더십의 발현은 지방자치 구성원 간의 합의와 의사 통합을 견인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지방의회의원의 리더십 역량 함양은 지역사회의 발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리더십 프로그램과 선행연구들 대부분이 기업의 조직적 성과와 청소년의 발달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나마도 리더십 이론을 이해하고, 체험하는 수준을 크게 넘어서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을 위한 교육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지방의회 의원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근간인 지방자치의 본질적인 기능을 회복하고 성공적인 지방자치의 정착을 위해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지방의회의원의 리더십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로써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연구되어 온 리더십 이론을 중심으로 리더십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지방의회의원의 핵심역량과 리더십 생활기술, 토론능력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방의회의원의 핵심역량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지역의 발전과 지방자치의 성공적인 운영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지방의회의원의 리더십 역량 강화 프로그램 모형은 총 6단계에 걸쳐 개발되었다. 1단계에서는 전통적 리더십 연구와 최근 리더십 연구 동향을 바탕으로 리더십을 결정짓는 구성요인에 대한 고찰이다. 선행 리더십 연구의 결과에 따라 리더 개인의 자질이나 특성을 밝히는 전통적인 리더십 연구는 리더십 특성이론, 리더십 행동이론, 리더십 상황이론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연구 경향은 리더와 조직 구성원과의 관계에서 다양하게 입증하려는 변혁적 리더십, 셀프 리더십, 수퍼 리더십, 교환관계이론과 서번트 리더십 등으로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면서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2단계에서 지방의회와 지방의회의원의 기능과 역할을 통해 도출한 지방의회의원의 핵심역량은 인지능력과 상황판단력, 여론의 수렴과 분석력, 지식·경험능력, 대화·토론·설득력, 협상과 타협능력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3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개발 기준으로 활용할 리더십 생활기술의 하위영역을 커뮤니케이션기술, 의사결정기술, 인간관계 및 집단활동기술, 학습능력기술, 자기이해기술, 조직관리기술로 선정했다. 토론능력의 경우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능력, 논증능력, 상호교섭 능력, 자료 분석 능력, 비판적 사고력으로 토론능력의 하위요소를 도출하였다. 4단계는 도출된 지방의회의원의 핵심역량과 리더십 생활기술·토론능력이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음을 밝히고, 토론활동의 효과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토론기반의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이 지방의회의원의 핵심역량 강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5단계에서 기존에 개발된 리더십 프로그램들의 분석을 토대로, 6단계에서는 앞서 밝힌 최신 리더십의 경향, 지방의회의원의 핵심역량, 리더십 생활기술의 하위영역, 토론능력의 구성요소를 효과적으로 재구성하고, 1단계 개인역량강화, 2단계 조직역량강화, 3단계 사회역량강화의 과정을 통해 개인의 리더십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조직된 지방의회지도자의 리더십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구성 단계까지를 연구의 범위로 정하고 구성 단계 이후 예비 프로그램 실시,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 최종 프로그램 구성 단계는 연구 범위에서 제외하였으며 향후 연구과제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看護員의 看護實踐度와 看護遂行에 대한 患者의 滿足度

        姜京順 경북대학교 1988 국내석사

        RANK : 1839

        간호원의 간호 실천도와 간호 수행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7년 4월 한 달 동안 대구시내 6개 종합병원의 입원 환자 375명과 그 환자를 직접 간호한 입원실 근무 간호원 40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Riehl's interaction model)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간호원의 간호 수행에 대한 실천도 58.1%에 비해 환자의 만족도는 43.3%이었다. 간호영역별로는 양 군 모두 치료보조영역이 가장 높았고 사회심리영역이 가장 낮았다. 특히 신체안위 영역에서는 간호원의 실천도가 50.6%로 환자의 만족도 37.7%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관찰조절영역도 간호원의 실천도 62.1%로 환자의 만족도 42.5%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심리영역 역시 간호원의 실천도 44.1%로 환자의 만족도 30.9%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간호원, 환자간에 가장 큰 차이가 있는 항목은 "입·퇴원 수속절차 및 입원비에 대한 설명" 이었다. 치료보조영역에서 간호원의 실천도가 75.6%, 환자의 만족도는 62.2% 이었으며, 간호원 환자간에 가장 큰 차이가 있는 항목은 "퇴원 후 투약, 식이 및 가정간호에 대한 설명" 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간호원의 실천도와 환자의 만족도는 정비례함을 보이나 간호 수행이 환자의 요구를 100% 만족시킬 수는 없는 것이며 간호원은 환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집담회, 실무교육, 세미나등으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환자에게는 간호원의 역할과 임무를 재인식시켜야 하겠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an attemp to get very useful data for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 nurse's practice of selected routine nursing activities For questionaire survey, 375 hospitalized patient and 403 registered nurses who take care of hopitalized patient directly were participated from 6 general hospitals in Taegu during the period from 6th to 30th April, 1987. The interaction model of question developed by Riehl^27) was used. In the level of patient's satisfaction, the nurse's practice (58.1%)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with patient's satisfaction. Among nursing category, the score of physical care category was relatively high but psycho-social care category was the lowest level. In the physical care category, nurse's practice (50.1%) got high score compared with patient's satisfaction(37.7%), and the level of nursing category was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the other categories. In the observation and control category, nurse's practice (62.1%) was higher than patient's satisfaction (42.5%, and the level among nursing category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with the other categories. In the psycho-social care category, nurse's practice(44.1%) was relatively high level compared with patient's satisfaction. In the therapeutic measure category, nurse's practice (75.6%) was higher than patient's satisfaction (62.2%). For looking through the result of this survey, the nurses in general hospital have not given quality service to hospitalized patients in nursing practice. Therefore, all the nurses should do their best to get up-to-date knowledge and technique through conferences, practical education, seminar and so on, and must be recognized their roles and duties.

      • 초격자내 다중양자 포물선형 우물내의 플라즈몬의 집단 여기현상과 광학적 속성

        강경순 安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Using the random-phase approximation, the density-density correlation function including intra- and inter-Landau level transitions in a finite type-I superlattice is obtained under magnetic fields parallel to interfaces, on the basis of a simple model of parabolic confining potentials. The dispersion relations for surface and bulk states are obtained as a function of magnetic field strength, momentum wave vector, and the ratio of the confining potential parameter to cyclotron resonance frequency for the cases, parabolic confining potential with magnetic field and parabolic confining potential with no magnetic field. The Raman intensities due to the bulk and surface magnetoplasmon for the above cases are also obtained for incoming light energy.

      • 당뇨병 환자의 운동행위 변화단계와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 범이론적 모델 적용

        강경순 경상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roces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ange of exercise of the on the basis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in order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exercise in adult diabetic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April 2005. The subjects were 160 in the G university hospital and publish health center in the J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Chi square, one-way ANOVA, Post Hoc test(Bonferroni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ubjects consisted of 160 diabetic patients. The Stage of change of subjects were 16(10.0%) from the Precontemplation, 29(18.1%) from the Contemplation, 20(12.5%) from the Preparation, 34(21.3%) from Irregular Action stage, 26(16.3%) from the Action and 35(21.9%) from the Maintenance. 2) The subjec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using the entire process of change depending on the stage of change(F=20.007, p=.000). For each process of change, the Consciousness Raising(F=14.602, p=.000), Dramatic Relief(F=7.751, p=.000), Environmental Reevaluation(F=11.843, p=.000), Self Reevaluation(F=16.035, p=.000), Social Liberation(F=10.968, p=.000), Counterconditioning(F=24.090, p=.000), Helping Relationships(F=7.625, p=.000), Reinforcement Management(F=16.693, p=.000), Self Liberation(F=11.990, p=.000) and Stimulus Control(F=4.020, p=.002)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tages of change of exercise. The Consciousness Raising, Dramatic Relief, Environmental Reevaluation and Reinforcement Managemen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The Self Reevaluation, Counterconditioning, Helping Relationships, Reinforcement Management and Self Liberation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The Self Reevaluation, Social Liberation, Counterconditioning, Reinforcement Management and Self Liberation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emplation and Irregular Action. The Consciousness Raising, Dramatic Relief and Counterconditioning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paration and Action. The Consciousness Raising, Environmental Reevaluation, Self Reevaluation, Social Liberation and Counterconditioning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paration and Maintenance. The Self Reevaluation, Counterconditioning and Reinforcement Managemen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rregular Action and Maintenance. 3) For the decisional balance of subjects, the Pro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tage of change(F=14.121, p=.000), while the Cons didn't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tage of change. 4) For the self efficacy of subjec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tage of change(F=17.137, p=.000). 5) For the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the period of disease involvement(F=2.319, p=.046), FBS(F=2.577, p=.029) and hospitalization experience(χ²=12.899, p=.024) of subjec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tage of change of exercise.

      • 정신장애인의 영적 안녕과 임파워먼트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강경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영적안녕, 임파워먼트, 삶의 질 수준을 살펴보고, 영적안녕과 임파워먼트가 삶의 질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의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 정신장애인 17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for windows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 분산분석(ANOVA), 단순상관관계분석, 군집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 수준은 평균 1.30으로 중간보다 조금 낮았으며, 비장애인과 비교해 볼 때, 비장애인보다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친구 및 대인관계는 비장애인과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가정의 경제 수준, 정신과 입원유무, 재활서비스 이용기간, 정신사회기능․증상에 따라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영적안녕 수준은 평균 3.76점으로 중간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며, 종교유무, 종교의 영향 정도, 정신사회기능․증상에 따라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평균 2.65점으로 중간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었으며, 가정의 월평균 소득, 가정의 경제 수준, 장애등급 유형, 정신과 질환의 재발유무, 정신사회기능․증상에 따라 임파워먼트 수준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력, 정신과 입원은 삶의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의 경제 수준, 영적안녕, 임파워먼트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수의 하위영역별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영적안녕의 하위영역인 실존적 안녕과 임파워먼트의 하위영역인 문제해결능력이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 및 친척관계에는 가정의 경제 수준, 실존적 안녕, 문제해결능력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감 및 일반적 삶에는 학력, 가정의 경제 수준, 정신과 입원유무, 실존적 안녕, 문제해결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 및 대인관계에는 문제해결능력, 실존적 안녕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주거환경에는 가정의 경제수준, 취업유무, 실존적 안녕, 문제해결능력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및 정신건강에는 실존적 안녕, 정신과 입원유무, 재활서비스 이용기간이 영향을 미치며, 의․식․경제정도에는 가정의 경제 수준, 취업유무, 정신과 입원유무, 실존적 안녕, 임파워먼트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에는 가정의 경제 수준, 재활서비스 이용기간, 종교적 안녕, 문제해결능력이 영향을 미치며, 직업 및 하루일과에는 학력, 취업유무, 정신과 입원유무, 실존적 안녕, 문제해결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을 하였다. 첫째, 정신장애인 가구의 경제지원을 위한 장애인 연금제도의 확대가 필요하며, 둘째, 지역사회내의 정신장애인을 위한 재활훈련기관에 대한 정보제공 및 확충이 필요하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숙련훈련과 직종의 변화 등 직업재활 훈련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넷째, 정신장애인의 재활전략에 영적인 면에 대한 사정을 고려하고, 다섯째,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해 사회복지사의 주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여섯째, 정신장애인의 정신사회기능의 회복과 증상완화를 위해 지속적인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영적안녕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몇 가지 함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강점관점을 기반으로 영성적 접근의 사례관리를 시도한다. 둘째, 정신사회재활의 실천에서 영적안녕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 종교기관과의 상호협조를 통한 지지망의 확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간의 중요한 부분이면서도 정신보건 현장에서 비교적 관심을 받지 못했던 영성을 주제로 삼았다는 점과 사회복지 실천에서 심리, 사회, 영성의 전인적 차원에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piritual well-being(SWB), empowerment and quality-of-life(QOL)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of SWB and empowerment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 on QOL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175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who were over the age 18 years old, at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the disability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tatistic packages(SPSS 15.0 for windows)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mark of average QOL of the participants was 1.30, which was lower than the medium, and lower than normal people's QOL in general, especially there was the biggest difference in friend and interpersonal subscale.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family economic level, psychiatry hospitalization, terms of rehabilitation service, 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 Second, the mark of average SWB of the participants was 3.76, which was higher than the medium.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religion status, the effect of the religion, 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 Third, the mark of average empowerment of the participants was 3.76, which was higher than the medium.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family monthly income, family economic level, disabled level, psychiatry rehospitalization, 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 Fourth,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finding out the effects on QOL of participants as follow. : An academic career and psychiatry hospitalization effected on QOL negatively and family economic level, SWB and empowerment effected on QOL positively. Also, subscales of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s, exsistence well-be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subscales effected on QOL positively Fifth,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ignificant effected on sub-dimensions of QOL are following. : 1)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effected on family and relatives were family economic level, exsistence well-be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2)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effected on self-esteem and general life were an academic career, family economic level, psychiatry hospitalization, exsistence well-be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3)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effected on friend and interpersonal were exsistence well-be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4)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effected on housing were family economic level, vocational status, exsistence well-be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5)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effected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were exsistence well-being, psychiatry hospitalization, terms of rehabilitation service. 6)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effected on clothes, food and economics were family economic level, vocational status, psychiatry hospitalization, exsistence well-be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7)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effected on leisure activity were family economic level, terms of rehabilitation service, religion well-be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8)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effected on vocation and daily life were an academic career, vocational status, psychiatry hospitalization, exsistence well-be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as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s are some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pension system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ir family economic support.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habilitation training facilities and furnish information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 who lives in the community.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for instance, intensive training, changing the type of vocation-in order to improve the vocational ability. Forth, it is necessary to create spiritual environment as a part at rehabilitation strategy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 Fifth, social workers must be active to empower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 Sixth, continuely, social workers have to follow up the case management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 so that it can recover the psychiatric social function and reduce the symptoms. Through this study we comet to conclusion that SWB is the significant factor that gives big impact to QOL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 Based on conclusion above, the followings are some implications that can be made for the social welfare field: First, it is important to include the spiritual aspect in case management based on strength perspectiv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e the SWB program in psychiatric social rehabilitation practice. Third, it is important to expand networking with religion organization for mutual cooper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theme of this study was the spirituality, which was disregarded in the mental health field, although it might be an important aspect of human being. Also, it is necessary to try on the holistic approaches including psycho-social-spiritual aspect of human being.

      • 국민건강보험 적용 노인의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 Andersen의 의료이용모형을 중심으로

        강경순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of the elderly by increasing medical use of a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Part 3, based on survey data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to 16 cities in the nation's more than 65 years old by 3355 elderly people for the medical use of these elderly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the health of the elderly through the use of medical services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ublic health insurance applies to the elderly and use of health services utilization patterns,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the analysis aged 65 years or older, according to the use of medical services to improve the rationality of the approach and purpose of the plan was presented. Accordingly, the target for the use of medical model of Andersen's use affects the health of the elderly soinseong factors of age, gender, spouse presence, as people saw the possibility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types of income, private health insurance status, residential area, and need a job seen as the existence of factors such as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for health care services through the use of medical factors that affect the elderly by analyzing the use of reasonable health care servic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of basic data was needed to want to.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of the elderly to use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age period of hospitalization of the elderly, the lower the hospitalization period nopahjime that can affec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more a positive period of hospitalization were lower. Second,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of the elderly does not affect all the factors were. Third, the old man comes to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more outpatient visits than in men, the number of women to join private medical insurance nopahjyeotgo have to know the wave was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In addition, outside of urban areas more than cities in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were less positive health natahjim to know more was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Fourth, the number of visits to a pharmacy, visit the pharmacy, the lower the age to decrease the number of women than men tend to have appeared to swell the number of visits could see pharmacies. In addi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lower number of visits to pharmacies were more positive. In the fifth the number of days to two weeks treatment, more women than men is the number of days to two weeks treatment nopahjyeotgo local medical insurance business subscribers more than two weeks of treatment showed increased number of cities outside the urban areas, more than two weeks the number of treatment the said. Also, do not have a job has increased the number of days to two weeks treatment. Subjective health status more positively natahjim two weeks to know the number of treatment can be based on the use of the elderly access to health services and ways to improve the rationality of the improved accessibility of medical institutions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applies to the protection of the elderly and the elderly, including long-term care protection system ganghwarul of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should be established to settle.

      •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저작권 소양에 미치는 효과

        강경순 경인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the application of copyright education program on the copyright literacy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 through developing the device which can measure the copyright literacy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I have adapted the experimental study. I have searched the copyright contemplation, and tried to make a theory on copyright program after setting up my purpose in this study . I've also developed the copyright education program and verified the effect of that program based on the theory.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ose students in the 2 classes who are in the 5th grade in M primary school, located in GoYang. I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a group of experiment, and comparison. And I also have done a pre-test to check the identification between them, which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 have applied this copyright education program to the experimental group during the assigned class time10 class hours, which was done for two months from september of 2008 to October. Compared with this group, this program has been applied to the comparison group during the regular class time. After applying to this program, I have made a post-test to compare these two groups, and SPSSWIN 15.0 has been used for the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after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at the level of 1%, but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group, which verifies that this copyright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opyright literacy. Seco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pyright literacy score between these two groups,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at the level of 1%, which also mean the same effect as mentioned in the above. In conclusion, this program for primary students has been proved to be effective in forming copyright literacy. Based on this thesis, I suggest the following studies will be needed. First, this study targeted senior years in city schools, and the following studies on the difference between cities and rural areas should continuously be developed and applied. Second, the teachers in the field will constantly have to develope various and systematic copyright education program. Third, considering the problems of copyright violations as serious social ones, the copyright program should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nd dealt with intensively in one subject for the primary school students.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copyright education can be maximized when it is done under the cooperation among schools, homes, and the society, and the study focused on the low grade students should continuously be performed.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할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의 저작권 소양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초등학생들의 저작권 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실험연구이며 이 연구의 목표가 설정된 후 저작권 고찰, 저작권 프로그램에 관한 이론을 탐색하였다. 탐색한 이론을 기초로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고양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2개 반 아동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실험 집단에는 2008년 9월부터 10월까지 2개월 동안 교과활동시간, 재량 시간에 10차시 분량의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비교집단에는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교육과정 속에서 저작권과 관련된 학습이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에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SPSSWIN 1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전후 저작권 소양 점수 비교에서 실험집단은 1%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비교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로서 영가설이 기각되어 저작권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저작권 소양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둘째,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좌우 저작권 소양 점수를 검증한 결과 1%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 영가설이 기각되어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저작권 소양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 활동은 저작권 소양 형성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 현장의 개선과 후속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이 연구는 도시학교의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학년별 또는 도시와 농촌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둘째, 초등교육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하고 체계화된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저작권 침해에 관한 문제가 사회문제로까지 야기된 지금 저작권 소양 형성을 위한 교육 내용이나 시간이 교육과정상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집중적으로 한 교과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제기된다. 넷째, 저작권 교육은 학교와 가정, 사회의 협력 하에 이루어질 때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며,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년이나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추상표현주의에 관한 연구 : 색면추상 중심으로

        강경순 수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The abstract art which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from the early of 20th century has investigated and expressed inner world and spiritual world of human nature. And aftereffect of the war gave a big stimulation to American art so to be changed newly into abstract or expressive art, and the abstract expressionism was borne with this background. The expressionism could be divided in two forms, Pollock's action painting and color-field abstract which is called also as color-field painting by Newman and Rothko etc. The color-field abstract is a trend of American style abstract expres sionism which pursuit new aesthetics in thorough format rejection and denial ideology. This color-field abstract introduces a depth into inner side by interpen etration of colors based on pure and absolute attitude of the color-field by influence of automatic description of surrealism which had been intensively risen from the late 1940's. And the color-field abstract tried to create new and absolute art as a more abstract painting only with color itself's symbolism and with excluding formative nature. The characteristic of the color-field abstract is face, color expansion, symbolism, autonomy and magnificent canvas etc., and also a new effect, the sublime beauty and sense of space, which are formed by greatly expanded pure color and face, and that is something incomprehensible force we feel whenever we face at the color-field paintings, in other words, inner force which is impossible to be understood by any logic or science, and something we can not reach with human's intelligence or sense, and the magnificent energy like the depth of the universe which overwhelms whole canvas and provoke our eyes newly. The most important goal to the color-field abstract artists is to withdraw to inner side of themselves, and they focused on universal meaning and expressive possibility of the color as a subject they pursuit instead of interest in outer world. This study analyze it with limited artists of Mark Rothko, Clifford Still, Barnett Newman and Helen Frankenthaler etc. who are representative artists of the color-field abstract. The color-field artists attempted to create the art as an absolute existences beyond their times and experienced world, and tried to give a new visual experience as a investigation on autonomy of the canvas, creation of formative space of absolute pureness and spiritual world instead of memorized knowledge. According to Hans Sedlmayr, all the branches of contemporary art eventually grew from 4 'communal root'. They are 'pursuit of pureness, pursuit of technique, indulgence on madness and searching for the origin', and Sedlmyr called this as 'origin phenomenon' of contem por- ary art. Most important among them would be pursuit of pureness. For the color-field abstract which is accomplishing original purpos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temporary art and also a subject of this study, I was to have a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identity and direction of my future work by analyzing and investigating value of the color-field abstract painting which purifies inner world of human with autonomy, sublimeness and magnificence through precedent studies and papers.

      • 도라지, 더덕, 옥수수수염, 고구마껍질 및 식물혼합물의 유방암세포 성장억제 및 유방암 환자의 면역활성 증강 효과

        강경순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더덕(Codonopsis lanceolata), 옥수수수염(corn silk), 고구마껍질(sweet potato peel) 혼합 추출물(식물혼합추출물) 섭취가 유방암 환자의 면역력 증진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들 식물혼합추출물이 유방암 환자에게 면역력 증진 천연소재로 활용 가능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식물혼합추출물은 1 : 1 : 0.5 : 3(w/w) 비율로 도라지, 더덕, 옥수수수염, 고구마껍질을 혼합하여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것이다. 식물혼합추출물은 RAW264.7 대식세포에서 NO, TNF-α 및 IL-1β 증가에 의한 면역증진 효과 및 인간 암세포(인간 유방암 세포주 MCF-7, 인간 위암 세포주 AGS)의 세포사멸에 의한 항암 효과가 있었으며, 식물혼합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증진 효과는 도라지, 더덕, 옥수수수염 그리고 고구마껍질 단독 추출물보다 더 높았다. 따라서 in vivo 및 임상실험에서는 도라지, 더덕, 옥수수수염, 고구마껍질 혼합물의 물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는 식물혼합추출물의 동결건조 분말(Mix)을 사용하였고, 임상실험에서는 식물혼합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Mix 100 mg/kg body weight(Mix 100) 섭취군과 Mix 300 mg/kg body weight(Mix 300) 섭취군의 혈액과 비장에서 cytokine 함량을 측정하였고, 비장에서 분리한 비장세포 및 mitogen 처리에 의해 활성화 된 T세포(Con A 처리)와 B세포(LPS 처리)에서 cytokines 분비능, 면역세포 증식능과 NO 생성 수준을 측정하였다. Mix 300 섭취군 마우스 비장에서 분리한 비장세포, T세포 및 B세포의 세포증식능 및 NO 생성량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Mix 100 섭취군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활성화 된 B세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세포증식능이 증가하였고, NO 생성량은 T세포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Mix 300 섭취군의 비장, 혈액, 비장세포 및 T세포에서 TNF-α와 IL-4 함량이 대조군의 그것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도라지, 더덕, 옥수수수염, 고구마껍질 혼합 추출물의 유방암 환자 면역활성 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K세포 활성도가 비슷한 유방암 환자 20명 중 10명 대조군과 10명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피실험자에게 동일 환경과 동일 식사를 제공하였고, 대조군은 하루 물 600 mL를 실험군은 식물혼합추출물 600 mL을 매일 2주간 섭취하였다. 실험 전과 실험 후 혈액을 취하여 NK세포 활성도, cytokine(TNF-α, IL-1β, IL-6, IL-10) 및 immunoglobulin(IgA, IgG, IgM) 함량 변화를 알아보았다. 식물혼합추출물을 섭취한 유방암 환자의 혈장에서 cytokine(IL-1β, IL-10) 그리고 immunoglobulin(IgA, IgG, IgM) 함량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도라지, 더덕, 옥수수수염, 고구마껍질 혼합 추출물을 14일간 섭취했을 때 전·후 차이는 혈액 cytokine(TNF-α, IL-1β, IL-6, IL-10) 및 immunoglobulin(IgA, IgG, IgM) 함량이 물을 섭취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물혼합추출물 섭취 14일 후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유의적으로 NK세포 활성도가 증가하였고 섭취 전·후 차이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도라지, 더덕, 옥수수수염, 고구마껍질 및 이것들의 혼합물의 물 추출물에 함유한 주요 기능(지표)성분을 HPLC로 분석한 결과 도라지, 더덕, 옥수수수염 그리고 고구마껍질 추출물의 기능성분은 각각 platycodin D, lobetyol, ferulic acid, chlorogenic acid(그리고 caffeic acid)이었다. 식물혼합추출물의 기능성분은 platycodin D,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그리고 lobetyol 이었다. 이 결과들은 도라지, 더덕, 옥수수수염, 고구마껍질 혼합 추출물이 유방암 환자의 면역력을 증가시켜 유방암 개선 및 진행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