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impact of famine on Kim Jong-Il's control over social and political forces in North-Korea

        Kim, Han-suk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Yonsei U 2001 국내석사

        RANK : 247759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famine has affected the social and political landscape of North Korea. Specifically, it deals with the degree of Kim Jong-il's control of the North Korean society. The main argument is that while the famine has had a detrimental effect on the general populace, it was not severe enough to undermine Kim Jong-il's control of the society because the social control mechanisms have continued to function. To this end, several social and political indicators, these being the unauthorized movement of people, private farming and markets, defections, Kim's relationship with the military, and the North Korean foreign policy, have been examined. Kim Jong-il has made minimal changes relative to internal mobility, private enterprise, and foreign policy. He has held fast with regard to the military and numerous defections. While the last six months have been very eventful in terms of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initiatives by both North and South, little of substantive nature has as yet been realized. Certainly this rapprochement would not have occurred in the absence of famine and economic breakdown.

      • CMOS VLSI 누설 전류의 통계적 해석

        박해성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7 국내석사

        RANK : 247757

        하나의 반도체 칩에 수억 개의 logic gate 가 집적되고 있는 오늘날의 VLSI chip design 에서, power consumption 은 칩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되었다. 특히, 회로의 leakage power 는 반도체 공정의 미세화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이면서 정확한 leakage power 의 해석은 점점 더 중요해 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더해, process variation 이 공정 parameter 에 끼치는 영향 또한 커짐으로 인해, 기존의 worst case corner 기반의 해석 방법은 회로의 leakage 를 더 이상 estimation 할 수 없게 됐으며, 이에 따라 leakage power 또한 통계적인 해석 방법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statistical leakage analysis (SLA) 방법들을 조사한다. 이를 통해 미래의 device technology 를 위해서 leakage analysis 방법이 나아가 할 옳은 방향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현존하는 leakage model 과 이를 통계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technique 들을 비교하고 평가함을 통해 미래에 어떤 SLA 방법이 적합한지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몇몇의 널리 알려진 SLA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것이 바로 H. Chang’s approach, W. Kim’s approach, 그리고 J. Kim’s approach 이다. H. Chang 의 approach 에서는 gate 의 leakage component 들을 exponential polynomial random variable function 으로 modeling 하고, 이를 통해 full-chip leakage 의 distribution 을 lognormal distribution 의 sum 으로 나타내었다. Wilkinson’s method 를 사용하여 lognormal distribution 의 sum 을 approximation 하였기 때문에, 이는 계산 복잡도가 매우 높은 결과를 초래하였다. 게다가, 100nm 이하 공정에서 어떤 parameter 들은 nonlinear effect 를 보이는 형태를 보였다. W. Kim’s approach 또한 logic gate 의 leakage 를 exponential polynomial model 로 modeling 하였고, lognormal random variable 들의 sum 을 approximation 하기 위해 그들만의 방법인 virtual cell approximation (VCA) 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저자들은 90nm 공정에서computational complexity 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석하는 실험결과를 보여주었다. 반면에, J. Kim’s approach 의 저자들은 LUT model 과 first-order exponential model 을 융합한 hybrid model 을 통해 logic gate 의 leakage 를 modeling 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32nm predictive transistor model (PTM) 을 사용해 구성한 회로에서 MC simulation 을 통해 회로의 leakage 를 해석하였으며, 효율적인 분석을 위해 GPU (Graphic Processing Unit) 를 사용하였다. 미래의 CMOS VLSI 의 통계적 누설전류 분석을 위해서는, leakage power 와 process parameter 의 관계가 보다 섬세하게 다뤄져야 한다. 다른 무엇보다도, leakage current 의 modeling 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reasonable runtime 내에 회로 전체의 leakage 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을 지가 결정될 것이다. Leakage 분석에 있어서 accuracy 와 efficient 는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소임이 분명하다. 이 두 가지 관점에서 볼 때, hybrid model 로 leakage 를 modeling 하고 GPU 를 사용하여 leakage 를 분석한 J. Kim’s approach 가 미래 공정에서 사용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기대된다. Recently, hundreds of millions of logic gates have been successfully integrated into a single chip, and power consumption becam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design factors for today’s complex VLSI chips. In particular, the leakage power of a circuit has been increased continuously along with technology scaling-down. Thus, the efficient and accurate analysis of leakage power became very important. Furthermore, as the process variation increased too much, the conventional worst-case corner-based analysis [1] cannot estimate the leakage of a circuit meaningfully any more, and the leakage power should be analyzed statistically. This thesis investigates existing statistical leakage analysis (SLA) method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right direction of leakage analysis approaches for future device technologies. In particular, the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existing leakage models and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would provide the right direction which we should take for future device technologies. In this study, several popular methods have been intensively investigated. Those methods include H. Chang’s approach [2], W. Kim’s approach [4], and J. Kim’s approach [5]. Among them, H. Chang’s approach [2] modeled the leakage components of a gate as the exponential polynomial random variable functions of process parameters, then estimated the full-chip leakage distribution as a sums of the lognormal distributions. While efficient, the Wilkinson’s method [3] they used to approximate the sums of lognormal distributions is computationally expensive, and tends to cause noticeable errors. In addition, and some parameters exhibits nonlinear effect on leakage for the technology below 100nm. The W. Kim’s approach [4] also modeled the leakage of a logic gate using an exponential polynomial model, and they proposed a novel approximation method, virtual cell approximation (VCA), to obtain the sums of lognormal random variables. The authors showed that they could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greatly for the technology of 90nm. On the other hand, in J. Kim’s approach [5], authors proposed a hybrid model which uses look-up tables (LUT) for nonlinear variables and the first-order models for linear variables. Then, they used GPUs (Graphic Processing Unit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onte-Carlo (MC) analysis for the 32nm predictive technology model (PTM). For the statistical leakage analysis of future CMOS VLSI desig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kage power and the process parameters should be handled very carefully. More than anything else, this relationship, i.e., modeling the leakage, will significantly affect whether we can accurately estimate the leakage in a reasonable time or not. Certainly, the analysis accuracy and efficiency are two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leakage analysis. In this sense, it is concluded in this work that the J. Kim’s approach, using the hybrid leakage model and the GPU, seems to be the most promising leakage analysis approach for future process technologies.

      • Protective effect of diallyl disulfide and its mechanism of action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nephrotoxicity and hepatotoxicity

        신진영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247727

        본 시험은 랫드에서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AAP)이 유발한 급성 신장 손상에 대한 diallyl disulfide (DADS)의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AAP 투여 시 신장 조직에서 신장 독성의 신규 생체지표인 kidney injury molecule-1 (KIM-1) 및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의 발현양상과 이에 대한 DADS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컷 랫드 24마리를 무작위법으로 다음과 같이 4개 시험군에 각 군당 6마리씩 배정하여 평가하였다: (1) 부형제대조군, (2) AAP (1,000 mg/kg), (3) AAP&DADS 및 (4) DADS (50 mg/kg). DADS는 5일 동안 1일 1회씩 50 mg/kg으로 경구투여 하였으며, AAP는 DADS 투여 후 1시간째에 1,000 mg/kg으로 1회 복강투여 하였다. AAP 투여는 혈액요소질소 수치의 증가와 조직병리학적 병변을 동반한 급성 신장 손상을 유발하였다. 또한, Western blot과 면역조직화학염색 시 AAP 투여군의 신장 조직에서 KIM-1 및 NGAL 단백질 발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반면, DADS 전처치군에서는 혈액요소질소 수치 및 KIM-1과 NGAL 단백질 발현을 포함하여 AAP투여로 유발된 신장독성이 완화되었으며,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도 DADS의 신장 보호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시험결과는 AAP이 유발하는 급성 신장독성에대해 DADS가 보호효과를 나타내며, KIM-1과 NGAL은 AAP의 노출과 관련된 급성 신장 손상을 확인하고 모니터링하는데 유용한 생체지표임을 암시해 준다. 본 시험에서는 랫드에서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AAP)이 유발한 신장독성에 대한 diallyl disulfide (DADS)의 보호효과와 분자생물학적 작용기전을 조사하였다. AAP 투여는 신장세관세포의 세포자멸사와 사립체 매개의 세포자멸사 증가를 비롯하여 신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유발하였으며, nuclear factor-kappaB (NF-κB)와 cyclooxygenase-2 (Cox-2) 및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의 발현을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게 증가시켰다. 또한, AAP 투여는 malondialdehyde의 농도를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게 증가시켰으며, glutathione 농도를 비롯하여 항산화효소인 catalase와, superoxide dismutase 및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AAP이 유발한 신장 손상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기인한 것임을 암시해 준다. 반면, DADS 전처치군에서는 신장의 산화적 손상 및 조직병리학적 병변과 세포자멸사 변화를 포함하여 AAP이 유발한 신장독성이 유의성있게 완화되었다. 또한, DADS 투여는 AAP에 의해 유발된 신장의 NF-κB와 Cox-2 및 TNF-α의 발현과 신장과 간의 cytochrome P450 2E1 (CYP2E1) 발현을 유의성있게 완화시켰다. 본 시험결과는 AAP이 유발한 신장독성에 대해 DADS가 보호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보호효과는 CYP2E1 발현 억제에 의한 AAP의 대사적 활성의 감소와 NF-κB 발현 억제를 통한 항산화, 항세포자멸사 및 항염증 효과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시험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AAP)이 유발한 급성 간 손상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자멸사 변화에 대한 diallyl disulfide (DADS)의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DADS는 5일 동안 100 mg/kg으로 1일 1회씩 경구투여 하였으며, AAP는 DADS 투여 후 3시간째에 4,000 mg/kg으로 1회 경구투여하여 평가하였다. AAP 투여는 간의 조직병리학적 변화와 함께 간세포 효소인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및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수치의 증가를 동반한 급성 간 손상을 유발하였다. 또한, AAP 투여는 간 조직에서 malondialdehyde 수치를 증가시키고 glutathione을 비롯한 항산화 효소의 농도를 감소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이와 더불어 c-Jun-N-terminal protein kinase (JNK)의 인산화로 간세포의 자멸사를 초래하며 염증반응 매개 단백질 발현의 증가와 동시에 nuclear factor-kappaB (NF-κB)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반면, DADS 전처치군에서는 AAP 투여에 의한 간 손상 및 산화적 스트레스가 효과적으로 완화되었다. DADS 투여는 AAP으로 유도된 cytochrome P450 2E1 (CYP2E1)의 발현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JNK의 인산화를 억제하여 간세포의 자멸사를 완화하였다. 또한, DADS 투여는 NF-κB의 핵전좌 및 염증반응 매개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본 시험결과는 AAP이 유발한 간의 산화적 스트레스와 세포자멸사에 대해 DADS가 보호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보호효과는 CYP2E1 억제를 통한 항산화 효소의 활성 증가 및 NF-κB 활성 억제를 통하여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diallyl disulfide (DADS) against acetaminophen (AAP)-induced acute renal injury in male rats.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ADS on kidney injury molecule-1 (KIM-1) and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which are novel biomarkers of nephrotoxicity in renal tissues, in response to AAP treatment. The following four experimental groups were evaluated: (1) vehicle control, (2) AAP (1,000 mg/kg), (3) AAP&DADS, and (4) DADS (50 mg/kg/day). AAP treatment caused acute kidney injury evidenced by increased serum blood urea nitrogen (BUN) levels and histopathological alterations. Additionally, Western blot and immunohistochemistry analysis showed increased expression of KIM-1 and NGAL proteins in renal tissues of AAP-treated rats. In contrast, DADS pretreatment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AAP-induced nephrotoxic effects, including serum BUN level and expression of KIM-1 and NGAL proteins. Histopathological studies confirmed the renoprotective effect of DADS. The results suggest that DADS prevents AAP-induced acute nephrotoxicity, and that KIM-1 and NGAL may be useful biomarkers for the detection and monitoring of acute kidney injury associated with AAP exposu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diallyl disulfide (DADS) against acetaminophen (AAP)-induced nephrotoxicity and the molecular mechanisms of nephroprotective effects in rats. AAP caused severe nephrotoxicity as evidenced by significant increases in renal tubular cell apoptosis, mitochondria-mediated apoptosis, and up-regulation of nuclear factor-kappaB (NF-κB), cyclooxygenase-2 (Cox-2),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 the kidney with histopathological alterations. After AAP administration, glutathione content and activities of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reductas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malondialdehyde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dicating that AAP-induced kidney injury was mediated through oxidative stress. In contrast, DADS pretreatment significantly attenuated AAP-induced nephrotoxic effects, including oxidative damage, histopathological lesions, and apoptotic changes in the kidney. DADS also attenuated AAP-induced up-regulation of NF-κB, Cox-2, and TNF-α in the kidney, and microsomal cytochrome P450 2E1 (CYP2E1) expression in liver and kidne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ADS could prevent AAP-induced nephrotoxicity. The protective effects of DADS might be due to its ability to decrease metabolic activation of AAP by inhibiting CYP2E1 and its potent antioxidant, antiapopto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via inhibition of NF-κB. The study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diallyl disulfide (DADS) on acute hepatic injury and oxidative stress-mediated apoptotic changes induced by acetaminophen (AAP). The protective effects of DADS were evaluated by administering it orally once daily at a dose of 100 mg/kg/day for 5 days before administering AAP (4,000 mg/kg). Oral AAP administration induced acute liver injury, which was characterized by elevate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and corresponding histopathological changes. AAP treatment increased oxidative stress, as evidenced by increased malondialdehyde level, decreased glutathione content, and decrease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liver tissues. Furthermore, AAP treatment induced hepatocellular apoptotic changes and c-Jun-N-terminal protein kinase (JNK) phosphorylation. In addition, AAP treatment activated nuclear factor-kappa B (NF-κB) and induced inflammatory mediator expression. DADS pretreatment effectively attenuated acute liver injury and high level of oxidative stress caused by AAP. In addition, DADS pretreatment suppressed cytochrome P450 2E1 (CYP2E1) level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inhibited CYP2E1 induction by AAP. DADS pretreatment also suppressed JNK phosphorylation and attenuated AAP-induced hepatocellular apoptotic changes. Furthermore, DADS pretreatment inhibited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F-κB and subsequent in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ADS protects against AAP-induced oxidative stress-mediated JNK activation and apoptotic changes in the rat liver by inhibiting CYP2E1, enhancing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suppressing NF-κB activation.

      • Systematic study of the family Theridiidae(Arachnida:Araneae) in Korea

        Kim, Byung-Woo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2002 국내박사

        RANK : 247727

        한국산 꼬마거미과의 분류학적 정리 결과, 1신종(Dipoena paiki sp. nov)과 4 미기록종(Anelosimus exiguus Yoshida, 1986; Theridion lunulatum Guan et Zhu, 1993; T. lyricum Walckenaer, 1842; T. submirabile Zhu et Song, 1993)을 포함한 8속 61종을 정리하였다. 그중 동종이명(synonym)으로 처리한 종은 다음 종들이다 : Argyrodes gansuensis Zhu, 1998와 A. nipponicus Kumada, 1990는 A. fur Boesenberg et Strand, 1906의 동종이명으로, A. miltosus Zhu et Song, 1991은 A. miniaceus(Doleschall, 1857)의, Dipoena immaculata Zhu, 1998와 D. keumunensis Paik, 1996은 D. flavomarginata Boesenberg et Strand, 1906의, D. coreana Paik, 1995와 D. kayaensis Paik, 1996는 D. martinae Robert 1983의, Steatoda mainlingensis(Hu et Li, 1987)은 S. triangulosa(Walckenaer, 1841)의, Achaearanea songi Zhu, 1998은 Achaearanea culicivora(Boesenberg et Strand, 1906)의, A. ungilensis Kim et Kim 1997은 A. japonica(Boesenberg et Strand, 1906)의, Coscinida coreana Paik, 1995는 Stemmops nipponicus Yaginuma, 1969의, Theridion palgongense Paik, 1996와 T. taegense Paik, 1996는 A. oculiprominens(Saito, 1939)의, T. undatum Zhu, 1998는 T. pinastri C. L. Koch, 1872의, T. wolmerense Paik, 1996는 T. quadrimaculatum Song et Kim, 1991의, 그리고 T. mirabilis Zhu, Zhang & Xu, 1991은 T. subpallens Boesenberg et Strand, 1906의 동종이명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속의 전환으로 재조합된 종은 Stemmops ulleungensis(Paik, 1995), comb. nov.이며, D. amamiensis와 D. japonica는 D. martinae Robert, 1983의 오동정으로, 그리고 Moneta mirabilis(Boesenberg et Strand, 1906)는 M. caudifera(Doenitz & Strand, 1906)의 오동정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T. pictum(Walckenaer, 1802)은 그들의 지리적인 분포범위로 보아 한반도에 분포할 가능성이 없고 Chrysso venusta(Yaginuma, 1957))는 단순하고 애매한 분포 자료 때문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한국산 꼬마거미류에서 제외시켰다. 그리고 각 종을 대상으로 90개의 형질에 의한 비교분석 특질을 검경한 자료를 제공, 앞으로 계통분석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으며, 다리의 특정부위, 수염기관과 삽입기 말단의 미세특징을 SEM으로 촬영, 도시하여 종의 동정을 위한 새로운 특징(character)으로 제공하였다. A total of 61 species belonging to 18 genera of the Korean Theridiidae, including a new species(Dipoena palki sp. nov.), and four newly recorded species(Anelosimus exiguus Yoshida, 1986, Theridion lunulatum Guan et Zhu, 1993, T. lyricum Walckenaer, 1842 and T. submirabile Zhu et Song, 1993), are recognized and reviwed taxonomically with illustrations of all availabl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llowing previously known 17 species are synonimized: Argyrodes gansuensis Zhu, 1998 and A. nipponicus Kumada, 1990 are synonymized with A. fur Boesenberg et Strand, 1906; A. miltosus Zhu et Song, 1991, with A. miniaceus(Doleschall, 1857); Dipoena immaculata Zhu, 1998 and D. keumunensis Paik, 1996, with D. flavomarginata Boesenberg et Strand, 1906; D. coreana Paik, 1995 and D. kayaensis Paik, with D. martinae Robert, 1983; Steatoda majnlingensis(Hu et Li, 1987), with S. triangulosa(Walckenaer, 1841); Achaearanea songi Zhu, 1998, with A. culicivora(Boesenberg et Strand); Theridion palgongense Paik, 1996 and T. taegense Paik, 1996, with A. oculiprominens(Saito, 1939); A. ungilensis Kim et Kim, 1996, with A. japonica(Boesenberg et Strand, 1906); Coscinida coreana Paik, 1995, with Stemmops nipponicus Yaginuma, 1969 and Theridion undatum Zhu, 1998, with T. pinastri C. L. Koch, 1872; T. wolmerense Paik, 1996, with T. quadrimaculatum Song et Kim, 1991; T. mirabilis Zhu, Zhang & Xu, 1991, with T. subpallens Boesenberg et Strand, 1906. A new combination, Stemmops ulleungensis Paik, 1995, comb. nov. is given. Two previously reported species from Korea; T. pictum(Walckenaer, 1802) and Chrysso venusta(Yaginuma, 1957), is eliminated from the Korean spider fauna, due to their geographical range. Data matrix with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species based on 90 characters is given for the future phylogenetic study.

      • An analytical study of eunhye kim’s jeongsun arari

        Liu Ping 수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26

        한국의 유명 작곡가인 김은혜는21세기 한국 음악계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곡가이다. 그녀는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음악을 접하며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중학교 때부터 김은혜의 음악 선생님은 그에게 작곡 지도를 하셨고 그의 재능을 발굴해 주었다. 대학교 학부 시절에는 한국1세대 작곡가 김성태(1910-2012)의 지도하에 작곡발표회를 개최하였고 같은 시기 창악회 콩쿠르에서 입상하였다. 대학원 시절 그녀는 국내 최고의2세대 작곡가인 강석희(1934~2020)의 지도하에 당대 서양음악을 집중적으로 공부하였으며 작곡 기법 전반에 걸쳐 풍부한 테크닉을 터득하였다. 프랑스에서의 박사과정에서는 프랑스의 작곡가이자 음악학자인 만프레드 껠껠의 지도로 한국의 전통음악과 서양작곡 기법을 깊이 이해하고 체득하였으며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곡 방법을 형성하였다. 김은혜는 한국의 민족적 스타일에 대해 깊은 연구와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그의 창작기법과 양식 다원화되어 있고 놀라운 다양성을 보여준다. 그의 ‘정선아라리’ 시리즈는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이다. 이중ARARI IX for piano는 ‘정선아라리’ 시리즈 중 유일한 피아노 솔로곡으로 현대적 작곡 기법을 응용하였으며 독특한 한국적 민족성을 지녔다. 김은혜의 창작 이념은 ‘정선아라리’ 시리즈에서 드러났고, 그의 창작기법은 다양한 음악적 문화 요소들이 이번 시리즈에서 다시 태어나 승화되면서 독보적인 음악을 만들어내었다. 이 작품에는 매우 논리적인 서양음악 작곡법, 한국 전통음악 요소, 그리고 작곡가 고유의 다양한 색채 등 연구할 만한 요소들이 가득하다. 본고는ARARI IX for piano의 작품 전체를 분석함과 동시에 작품의 화음조성, 박자, 구조, 연주법등을 심층 분석한다. 본고는 서론, 본문, 결론 등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김은혜의 ‘정선아라리’시리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가치, 그리고 김은혜 작품에 대한 국내외 연구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본문은 총4장으로 이루어졌다. 제1장은 ‘정선아라리’ 의 개론으로 ‘정선아라리’ 의 창작배경, 문화적 원천, 기법의 원천, 김은혜의 창작이념에 대해 서술한다. 제2장은 김은혜의 생애와 창작이며 저자는 자신의 연구시각에서 김은혜의 창작시기를 정리하도록 한다. 제3장은 <정선아라리> 의 작품분석인데 ‘정선아라리’ 시리즈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ARARI IX for piano의 사례분석을 통해 김은혜 창작사고의 주요 특징을 논증한다. 제4장은ARARI IX for piano의 건반터치, 페달, 기교, 감정 등에 대해 분석하며, 김은혜 피아노 작품의 연주 방법을 파악하려 한다. 결론 부분은 김은혜의 <정선아라리> 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한다. 현재 김은혜의 ‘정선아라리’ 시리즈는 아직 아무도 연구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는 김은혜의 <정선아라리> 시리즈에 대한 시초로서, 배우고 이해하기 위해 상세한 이론적인 뒷받침이 될 것이다.

      •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에 인입된 기독교적 특성 연구

        백미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726

        본 논문은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에 인입된 기독교적 특성’에 대한 고찰이다. 연구는 한반도 통일의 과정과 통일 이후 남북한 주민들이 직면할 가장 큰 문제가 사상적 괴리감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무엇보다 북한 주민들에게 깊이 뿌리내려져 있는 주체사상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주체사상을 세뇌하는데 음악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북한 정권에서는 각종 음악적 요소를 활용하여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가계에 대한 우상화, 신격화에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범주의 북한 음악을 ‘수령형상 음악’이라고 지칭했다. 연구자는 음악을 전공한 학문적 배경을 바탕으로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에 대한 연구를 축적하는 과정에서 북한 음악과 기독교의 찬송가 사이에는 가사와 악곡의 측면에서 밀접한 유사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수령형상 음악과 기독교 찬송가와의 공통성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면 한반도 평화통일시대를 대비하여 남북한이 직면할 사상적 괴리감을 줄일 수 있겠다고 추론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음악을 통한 선교적 기반을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지 검토해 보았다.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 연구에서는 북한 음악 전체를 망라할 수 없기 때문에 서로 비교분석이 가능한 악곡과 음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또한 다양한 음악적 요소 중에서 가사, 선율, 리듬이라는 요소를 중심으로 의도, 기능, 구조 등만 분석하였다. 북한 음악과 관련된 악보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북한의 대표적인 예술전문 학술지 ‘조선예술(월간)’에 실린 곡 중에서 김정은 시대 출범 이후인 2012년부터 이 학술지의 최근 도착 본인 2017년까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선곡된 악보를 바탕으로 수령형상 음악의 가사에 함의된 기독교적 특성을 성경과 신학적 관점에서 접근했다. 또한 수령형상 음악에 인입된 한국의 복음성가적 특성을 악곡의 구조와 형식, 화성 진행, 리듬의 사용 양상, 가사 표현을 위한 극적 선율 진행 등으로 나눠 분석했다. 연구 결과, 수령형상 음악의 가사와 악곡을 고찰해 보면 가사에는 기독교의 교리가, 악곡에는 한국 복음성가의 선율이 인입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1장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주체사상에 기반을 둔 수령형상 음악의 이해와 체계화의 과정을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수령형상 음악의 가사에 함의된 기독교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수령형상 음악을 수령송가, 당 송가, 인민 송가로 나누어 가사의 내용을 북한 음악 전문가의 해석에 기독교의 신학 교리와 성경 내용을 접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수령형상 음악의 악곡 특성과 한국 복음성가의 악곡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수령형상 음악에 인입된 기독교적 특성을 밝혔다. 5장에서는 북한의 김정은 정권 시기의 음악이 한국의 기독교 음악에 주는 도전을 중심으로 논구하였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남북한 주민 간의 사상적 이질감을 극복하고, 북한선교를 위한 시사점을 ‘음악치료를 통한 선교적 접근, 기독교 찬양을 통한 영적 접근’이라는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6장은 결론으로서 논문에서 다루어진 핵심내용들과 학문적 기여 내용을 요약하고 본 논문 주제와 관련하여 향후 발전시켜야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의 학문적 기여는 다섯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본 논문은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과 기독교의 찬송가를 비교분석하는 주제와 관련해서는 처음으로 연구의 문을 열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자가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에 주목하고 분석을 진행할수록 그 기능과 형태의 측면에서 기독교 찬송가와 매우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본 논문은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과 기독교 찬송가의 가사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북한 음악에 찬송가의 속성들이 인입되어 있음을 논증하였다. 북한 체제의 기독교적 특성을 밝힌 연구 결과들이 이미 다수 제출되었기 때문에 음악 또한 그 궤를 같이할 것이라는 추론은 쉽게 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논증을 시도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자는 북한 수령형상 음악의 악곡에 인입된 한국의 복음성가적 특성을 추출하여, 양자 간의 분석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본 논문은 북한의 현 정권인 김정은 시대에 활용되고 있는 음악을 중점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북한 음악은 수령의 주요정책을 가사에 담고 있기 때문에 노래의 제목과 내용만으로도 정치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통일과 북한선교를 위한 선교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일차적으로 남북주민 간의 이질감을 극복하기 위해 음악치료를 통한 공감대 형성 방법을 제언하였다. 또한 복음성가와 찬송가의 선율적 특성 활용을 통해 향후 통일과정에서 남북한 주민들의 사상적 괴리감을 줄이면서 선교할 수 있는 방안을 예시하였다. 이 방안들은 북한 주민에게 직접적으로 복음을 전파할 때 접촉점을 형성하는 데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f the Christian characteristics of ‘Suryong (supreme ruler) Image Music’ in North Korea. The study starts with the perception that the biggest problem facing the Korean Peninsula's unification process and the people of the two Koreas is the ideological divide. Music plays a crucial role in the indoctrination of such ideology as Juche which is deeply rooted in North Koreans. The North Korean regime is using various musical elements to idolize and deify the families of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which, in this dissertation, will be referred to as Suryong Image Music. In accumulating research on Suryong Image Music in North Korea,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re was a close similarity between North Korean music and Christian hymns in terms of lyrics and music. Therefore, if the similarity between Suryong Image Music and Christian hymns can be properly utilized, the ideological divide between the two Koreas,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an be reduced. Since North Korea's Suryong Image Music research does not cover all of North Korean music, the research focused on music sources that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intent, function, and structure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elements of lyrics, melody and rhythm among the various musical elements. The research was limited to the North Korean sheet music published in North Korea's leading art journal Chosun Art (Monthly) from 2012 to 2017 housed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Based on the data analysis of the sheet music, the Christian characteristics in the lyrics of Suryong Image Music were approached from bibl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The research also analyzed the gospel characteristics of the Suryong Image Music by dividing the structure and format and the use of the rhythm, and the dramatic melody for the lyrics. The study found that the lyrics of Suryong Image Music contained Christian-like doctrines and Korean gospel melodies. The composition of the dissertation is as follows: Chapter 1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and Chapter 2 divide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systematization of Suryong Image Music into the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eras. Chapter 3 examined the Christian characteristics of Suryong Image Music. The contents of the lyric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music into doxology, doxology of the party, and doxology of the people by combining the Christian theological doctrines and the Bible into the interpretation of the North Korean music experts. Chapter 4 revealed the Christian characteristics of the Suryong Image Music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and the music of the Korean gospel artists. In Chapter 5, music from the Kim Jong Un regime in North Korea focused on the challenges posed by Christian music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implications for missionary approach through music therapy was presented. As a conclusion, Chapter 6 summarizes the key contents and academic contributions addressed in the paper and presents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the Suryong Image Music. The scholarly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summed up as follows: firstly, this is the first research of comparative analysis of Suryong Image Music and Christian hymns. The research foun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uryong Image Music and Christian hymns in terms of function and form. Secondly, through the analysis of Christian hymn lyrics, it was found that the attributes of Christian hymns are imbued in Suryong Image Music. Previous researches revealed the Christian nature of the North Korean regime, but it is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has substantiate it through the musical analysis. Thirdly, this research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ristian music in the Suryong Image Music, and derive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wo. Fourthly, this paper focused on music used in the Kim Jong Un era, the current regime in North Korea. Since North Korean music contains the Suryong's major policies in the lyrics, the title and content of the lyrics can grasp the political trend of North Korea. Lastly, this paper presented missionary implications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 Korean missionary work. To overcome the alien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the paper suggested a way to build consensus through music therapy. It also demonstrated a plan to reduce the ideological ga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s through the use of the melodic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This research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contact points when spreading the gospel to the North Koreans.

      • Protectiv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against cisplatin-induced nephrotoxicity without blocking chemotherapeutic efficacy in animal models

        Kim, Jisu Sungkyunkwan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47711

        Cisplatin (CDDP)은 광범위한 고형 종양들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화학 요법제 이다. 하지만, 많은 환자에서 발생하는 급성 신장 손상 (AKI)에 의해 임상적 사용이 제한된다. 집중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Cisplatin 유도성 AKI에 대한 성공적으로 보호하는 치료법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Dendropanax morbifera (DM)의 Cisplatin 유도 성 AKI에 대한 신장 보호 효과를 조사하고 cisplatin 화학 요법 동안 효과적으로 표적화 될 수 있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실험 디자인에서 5일간 실험을 하였으며, 4 마리의 수컷 Sprague-Dawley 쥐 그룹; Control; Cisplatin (6 mg / kg, i.p.); DM (25 mg / kg, p.o.) 과 복합군으로 DM (25 mg / kg, p.o.)을 Cisplatin 주사 2 시간 전에 사용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isplatin의 투여로 신장의 정상 조직 학적 구조 변화와 함께 체중 감소, 혈액 요소 질소 (BUN) 및 크레아티닌 증가와 TNF- α, IL-1β, IL-6, IL-10 를 포함한 염증 유발 사이토 카인 수준이 감소되었다. SBP1, KIM-1, NGAL 및 TIMP-1과 같은 단백질 기반 신 독성 생체 표지 물질의 요로 배설 또한 Cisplatin 군에서 증가하였다. 반대로, DM은 신장 손상 생체 표지 물질 (BUN, 크레아티닌 및 KIM-1, NGAL 및 SBP1)의 현저한 감소로 명백한 Cisplatin 유도 신장 독성을 유의하게 보호했다. DM 치료는 내인성 항산화제 활성 (SOD 및 Catalase)을 증가시킴으로써 신장에서 Cisplatin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DM 치료는 또한 염증성 사이토 카인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특히, DM의 보호 효과는 조직 병리학적 검사에서 명확하게 관찰되었으며, DM 처리로 인한 신장은 Cisplatin에 의해 유발된 근위 세뇨관에서의 심한 신장 손상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종양 이종 이식 모델에서 DM은 형질 전환된 대장암 세포에 Cisplatin 매개 항암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Cisplatin의 화학 요법 활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Cisplatin 유도성 AKI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이러한 결과는 Cisplatin에 의한 신 독성에서 DM의 보호적인 역할을 보여주며 Cisplatin에 기초한 암 치료 중에 renoprotective agent에 사용되는 신뢰할 수 있는 전략이다. Cisplatin (CDDP) is generally used chemotherapeutic material for treatment of various solid tumors. However, its clinical use is limited by occurs acute kidney injury (AKI) in many patients. Despite intensive research, there is no successful protective therapy against CDDP-induced AKI.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monstrate renoprotectiv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DM) on CDDP-induced AKI and which can be effectively targeted during CDDP chemotherapy. In the experimental design, four groups of male Sprague-Dawley rats; Control (vehicle); CDDP (6 mg/kg, i.p.); DM (25 mg/kg, oral) for 5 days; and DM (25 mg/kg, oral) 2 h before CDDP injection. In the present research, injection of CDDP decreased body weight, but increased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reatinin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levels including TNF- α, IL-1β, IL-6, IL-10 along with alteration in normal histological architecture of kidney. Urinary nephrotoxicity biomarkers like selenium-binding protein 1 (SBP1), kidney injury molecule-1 (KIM-1),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 also increased in the CDDP-treated group. On the contrary, DM significantly protected CDDP-induced nephrotoxicity which was evident by significant reduction of renal injury biomarkers (BUN, creatinine, and KIM-1, NGAL, and SBP1). DM treatment markedly reduced CDDP-induced oxidative stress in kidney by activating endogenous antioxidants activities (SOD and catalase). Further, DM treatment also reduced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particular, protective effect of DM was clearly observed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herein, kidneys from DM treatment markedly reduced CDDP-induced severe kidney damages in the proximal tubules. In tumor xenograft model, DM did not affect CDDP-mediated anticancer activity in transfected colon cancer cells, but enhanced the chemotherapeutic activity of CDDP as well as exhibited protective effects on CDDP-induced AKI. These results demonstrate protective effects of DM in CDDP-induced nephrotoxicity and suggest as a reliable strategy used for renoprotective agent during CDDP-based cancer therapy.

      • Origin and evoultion of Adenophora erecta (Campanulaceae) on Ulleung Island, Korea

        Kim, Hyeonsoo Sungkyunkwan University 2022 국내석사

        RANK : 247711

        Anagenesis has been recently emphasized as an effective mechanism for increasing plant diversity and speciation on isolated, mild climate oceanic islands. As the only one Adenophora species occurring on Ulleung Island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Adenophora erecta S.T. Lee, J.K. Lee & S.T. Kim has been presumed to be derived through anagenetic speciation on oceanic island. A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sequences of four noncoding regions (rps16-trnK, trnQ-rps16, psbD-trnT and trnG-trnS) and MIG-seq data demonstrates, (1) A. erecta is a monophyletic lineage and there is clear differentiation between continental species i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spects, (2) the geographic origin of A. erecta is unclear, and (3) there is evidence that insular species identified by genetic diversity from its continental groups are the product of anagenetic speciation. Additionally, it clarifies the (4) unclear relationship of the species boundary on the continent, and as a result demonstrated A. remotiflora and A. grandiflora did not form a species-specific independent lineage. However, this study was only conducted within the Korean Peninsula. The lack of additional regional populations (North Korea, Japan, China, and Russia) of continental progenitor species and A. erecta have hindered the determination of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concrete continental progenitors and insular derivative relationships. 향상진화는 대양섬에서 식물의 종 분화 및 종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주요한 메커니즘이다. 울릉도는 약 2백만년전 화산활동에 의해 생성된 섬으로 다른 대양섬과 달리 대부분의 고유종이 향상진화에 의해 종 분화가 일어났다는 특징이 있다. 선모시대(Adenophora erecta S.T. Lee, J.K. Lee & S.T. Kim)는 울릉도에서 서식하는 유일한 잔대屬(Genus Adenophora) 식물로 이상태 교수가 1994년 울릉도에서 채집 후 모종인 모시대(A. remotiflora)와 잎과 꽃의 형태의 차이에 기인해서 1997년 신종으로 발표한 특산 식물이다. 외부 형태적으로 울릉도의 선모시대는 한반도 전역의 산지에 서식하는 모시대에서 분지된 식물이라 보았지만 한반도 전역의 근연종과 변종들이 포함되어 조사된 바는 없다. 이 연구에서는 또다른 sect. Remotiflorea의 다른 조상종인 도라지모시대(A. grandiflora)를 포함하였으며, 두가지 변종인 흰모시대(A. remotiflora for. Leucantha) 와 그늘모시대(A. remotiflora var. hirticalyx)를 포함시켰다. 채집지는 울릉도를 포함하여 백두대간 주능선과 부속산맥을 포함하여 총 11개소에서 채취되었다. 채집된 식물의 잎은 실리카겔에 넣어 건조시켰고 GeneAll DNA Extract kit을 사용하여 프로토콜에 맞게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를 바탕으로 염기서열상 변이를 확인할 수 있는 4개의 비코딩 부위(rps16-trnK, trnQ-rps16, psbD-trnT, trnG-trnS)과 Inter Simple Sequence Repeat(ISSR) 마커를 사용하는 MIG-Seq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계통분석과 일배체형 네트워크(Haplogroup network) 분석, 종 간, 집단 간 유전적 다양성 조사와 유전적 구조를 시각화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1) 선모시대(A. erecta)는 단일계통이며, 형태학적, 분자학적 측면에서 대륙조상종인 모시대(A. remotiflora), 도라지모시대(A. grandiflora)와 분명하게 구분되는 분류군임을 보여주었고, (2) 선모시대의 지리적인 기원은 알 수 없었으며, (3) 유전적다양성에 기반한 대륙조상종 집단과의 비교는 본 종이 향상진화의 산물이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모호한 종 경계를 가지던 대륙의 두 종에 대해서는 (4) 종 특이적인 계통을 형성하지 않는 불분명한 관계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내의 집단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북한, 일본열도, 만주, 연해주 등 해외 집단 및 다른 대륙조상종인 산잔대(A. trachelioides) 대륙종의 부재는 해양종의 관계의 확립과 두 분류군의 계통간 관계에 대해서 명확하게 해석하는데 부족한 부분으로 남았다.

      • An analytical study of eunhye kim’s <the twelve zodiac–stringed instrument> for gayageum ensemble

        Zhao Jun 수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94

        김은혜는 한국의 유명한 작곡가이다. 그녀는 부친의 영향으로 어릴적부터 음악을 배웠으며 학부시절 서울대학교에서 작곡가 김성태(1910-2012) 선생님 밑에서 공부했다. 1984년에는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작곡가 강석희(1934-2020) 선생님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 1996년에 프랑스파리 소르본대학교 박사학위를 받았고 만프레드 껠껠 교수의 지도를 받았으며 한국의 제2세대 여류 작곡가들 중 유일하게 해당학과 박사학위를 받았다. 김은혜 작품의 세계는 아주 광범위하며 실내음악, 성악, 관현악, 오페라 등이 있다. 그녀는 서양의 현대적 작곡기법을 한국의 전통음악과 긴밀히 결합하는데 능하였다. 그녀의 작품으로는 가야금합주곡 ‘십이지신 줄풍류’가 있으며 2015년에 창작한 김은혜의 가장 우수한 작품 중 하나이다. 해당 작품의 기원은 한국역학의 12지로부터 온 것으로 12개의 곡으로 이루어졌으며, 곡 마다 하나의 동물과 대응하는데 해당동물의 성격을 반영하고 있으며 12지에 따라 12개 곡은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의 차례로 이루어져있다. 본고에서는 해당 작품의 선율, 박자, 화성, 재료의 발전과 응용, 악식구조 등 다방면에 대해 깊이있는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고는 총5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분 서론부분은 주로 현재 김은혜에 대한 국내외 연구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의미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2부분은 김은혜의 생애와 창작음악을 종합적으로 다루었다. 제3부분은 12지 문화에 대해 소개하였는데 특히 12지의 역사적 근원 및 12지동물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4부분은 <십이지신-줄풍류> 작품에 대한 분석이다. 특히 음계, 음색, 리듬, 박자, 화성기법, 복조기법, 악식구조, 각 주제재료의 응용과 발전 등 방면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제5부분 결론에서는 김은혜의 가야금 합주를 위한 <십이지신-줄풍류> 에 대한 분석결과를 서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