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실시간 비대면 수업 경험 탐색 - COVID-19로 인한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

        이소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COVID-19로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에 따른 수업 경험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직장인 교육대학생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두 가지 측면의 특이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개별 공간에서 진행되는 비대면 수업으로 학습자 간 단절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수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제한되고 있었다.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 역할에 대한 중심 공간인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이 사라졌고, 이 때문에 각자 공간을 확보하여 수업에 참여해야 했다. 학교 외 공간에서의 수업은 접근성의 확대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용이함을 주었지만, 학생으로서 수업의 몰입을 어렵게 했고 대학원생이라는 인식도 옅어지게 했다. 이에 본 연구는 갑작스럽게 도입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대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경험을 드러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방식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물리적 공간 변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이를 위해 COVID-19의 상황으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로 실행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은 학습자 간 분리된 공간에서 수업 참여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학습 커뮤니티 형성이 어려워졌고, 발표와 토론이 많은 수업에 대한 참여의 비적극성이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수업방식에 각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했으며, 수업의 집중이 떨어졌다. 둘째, 학교 공간은 수업을 진행하는 장소라는 의미 이상의 학생이라는 역할 인식과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직장인 성인학습자에게 대면 수업의 학교 공간은 직장과 가정에서 분리되어 학생 역할에 집중할 수 있는 장소였다. 구성원과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학교와 관련된 대화를 나누고, 정보를 교환하며 자연스럽게 학생으로서 역할 전환을 경험했다. 하지만 비대면 수업은 불안정한 공간에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에 대한 인식을 어렵게 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수업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비대면 수업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다중역할을 수행하는 성인학습자의 수업방식과 수업공간이 주는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와 일반화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원격 수업이 아닌 COVID-19로 인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관한 연구임을 밝혀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첫째, 연구대상과 범위를 확대하여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업공간과 학습에 관한 심도 있는 탐색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적합한 수업공간을 고찰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assroom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eaching  method  and  space  of  worker  adult  learners  who experience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The researcher discovered the peculiarities of two aspects in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First, students experienced disconnection between learners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conducted in individual spaces, which limit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Second, the physical classroom space, the school, which is the central space for the student's role as a worker adult learner, disappeared, and for this reason, they ha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in their own space. Classes  outside  of  school  provided  ease  of  access  to  the various  roles  of worker  adult  learners,  but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class  and  diminished  the perception  of  being  a  graduate  student. This study focused on revealing the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s i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suddenly introduced.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worker  adult learners adapting to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method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how do adult learners of workers experiences changes in the classroom space due to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or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that  experienced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implemented  due  to  COVID-19,  was  made  in  a  class  participation  method  in  a  space  separated  between  learners. This made it difficult to form a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activity of participation in classes of man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appeared. In addition, it took time for each to adjust to the new teaching method, and the concentration of class was reduced. Second, the school space was a factor that affected students' role recognition and immersion beyond the meaning of a place where classes were conducted. For adult learners, the school's face-to-face classroom space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focus on student roles, separated from work and home. By sharing a space with members, they had conversations related to the school, exchanged information, and naturally experienced a role changes as a student. However,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recognize  workers  adult  learners  as  students  by  participating  in  classes  of  an  unstable  space  with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can help adult learners who play multiple rol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lass space and class methods by exploring the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focusing on changes in class space that have not been noticed until now. However,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re may be limitations on generalization. Also, let me clarify that this is a study o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not general remote classes. Finally,  if  we  suggest  a  follow-up  study  to  supplement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students  and  study  the  various  class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 Second,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ider a class space suitable for in-depth exploration of class space and learning an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빈곤 학생과 비빈곤학생 비교를 중심으로

        김현태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진로성숙은 일반학생, 특히 빈곤학생에게 고등학교 졸업 이후에 바람직한 진로선택 및 결정을 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빈곤학생과 비빈곤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 각 요인들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진로교육 관련 학교요인의 영향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이하: KEEP) II 1차년도 고등학교 2학년 단일 코호트(10,558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자료는 2016년 시점에 전국 2,167개교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총10,558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 개인변인 중에 자기효능감, 학업효능감, 가정변인 중에 부모학력(대졸이상), 학교변인 중에 진로교육 만족도, 현장체험 만족도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빈곤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 개인변인 중에 학업효능감, 학교변인 중에 현장체험 만족도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정변인 중에 부모대화빈도, 부모학력, 월평균가구소득 모두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빈곤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 개인변인 중에 자기효능감, 학업효능감, 가정변인 중에 부모학력(대졸이상), 학교변인 중에 진로교육 만족도, 현장체험 만족도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빈곤학생과 비빈곤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차이를 조사한 결과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빈곤학생과 비빈곤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빈곤학생과 비빈곤학생 집단을 나눠서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확인한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였다(김혜영, 2012). 다섯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에서 빈곤학생인 경우 진로성숙도와 월평균가구소득의 상관관계만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소득수준에 따른 진로성숙도가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이경희, 윤미현(2011)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여섯째, 빈곤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 빈곤학생의 경우 현장체험 만족도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빈곤학생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현장체험 만족도는 부모학력, 월평균가구소득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일곱째,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비빈곤학생인 경우 자기효능감, 부모학력(대졸이상), 진로교육 만족도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빈곤학생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덟째,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변인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빈곤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현장체험 만족도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비빈곤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진로교육 만족도, 현장체험 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런 결과는 견학・방문형, 현장체험형 경험이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 정준원(2016)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아홉째, 특별시, 광역시, 도, 읍면으로 나눠 빈곤 여부에 따라 현장체험 만족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특별시와 광역시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도, 읍면에 거주하는 학생들보다 현장체험 만족도가 전체적으로 높았고 특별시와 광역시에 거주하는 빈곤학생들의 현장체험 만족도가 비빈곤학생들의 현장체험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도시 지역의 빈곤학생들에게 특히 현장체험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을 돕기 위한 방안들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학교 차원에서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학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두 번째, 학교 차원에서 빈곤가구 학생들에 대해서 현장체험 위주의 진로교육을 추가로 지원하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에 빈곤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현장 체험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일반학생 집단과 빈곤학생 집단에게 적합한 진로지도와 진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두 집단에 대한 맞춤형 진로 프로그램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Career maturity is important for general students, especially poor students, to decide their career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maturity using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data, compares the factors that affect career maturity of poor and non-poor students comprehensively, and analyzes the effects of each factor on career matu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chool factor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systematical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based on the 2nd graders in high school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KEEP) II single cohort (10,558). This data surveyed 2,167 students in 2016 and a total of 10,558 answers of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maturity. The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career maturity of all students, among individual factors, self-efficacy, academic efficacy were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Among family factors, parents’ education level(higher than college graduate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and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and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among school factors also were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career maturity of poor students, among individual factors, academic efficacy was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Among school factors,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Especially, the frequency of parent conversation, parents’ education level, and parents’ income level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Thir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career maturity of non-poor students, among individual factors, self-efficacy, academic efficacy were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Among family factors, parents’ education level(higher than college graduate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and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among school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etween poor and non-poor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1 : that i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poor students and non-poor ones in career maturity. This result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showed differences between poor students and non-poor ones in career maturity (Kim Hye-young, 2012). Fifth,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nly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maturity and parents’ income level of poor students was not significant. This result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Lee Kyung-hee and Yoon Mi-hyun(2011)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reer maturity and parents' income level. Six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of poor studen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n all factors of poor students,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was not correlated with parents’ education level and parents' income level. Seventh,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career maturity. self-efficacy, parents‘ education level(higher than college graduates) and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but they were not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of poor students. Eighth,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career maturity. among school factors,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of poor students, and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and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also were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of non-poor students.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Jung Jun-won(2016)'s study that field trips, visit and field experience increased career maturity. Ninth, when it compared to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of poor students and non-poor students in metropolitan, metropolitan, provincial, and eup-myeon, it was found that the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of poor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nd metropolitan cities was higher than non-poverty student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field experience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poor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measures to help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First of all, education and programs for establishing self-efficacy and academic efficacy are needed in high school. Second, field experience programs for poor students are specially needed in high school. and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field experience program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of poor students in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Finally, different kinds of education and programs for enhancing career maturity should be provided for the two different groups.

      • 학습자반응시스템 소크라티브를 활용한 진로수업이 경도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자기표현,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 단답형 기능을 중심으로

        이재륭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자기효능감, 자기표현, 진로태도는 경도 성인 발달장애인이 올바르게 사회로 전환되기 위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반응시스템 소크라티브를 활용한 진로수업이 경도 발달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자기표현,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발달장애인들에게 스마트기기 활용한 학습자반응시스템 소크라티브의 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사회로의 전환과정에 있는 전공과 재학생 4명을 대상으로하여 소크라티브 활용 진로수업을 18회기 동안 실시하였고 자기효능감 검사, 자기표현 검사, 진로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 중 학생 행동에 대한 일화기록과 수업 후 학생 개인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곤란한 상황을 맞이했을 때의 심리적 대응상태인 자기효능감의 자신감 영역이 향상되었다. 소크라티브를 통해 상호작용이 늘어나면서 발달장애인의 의견이 수업에 반영되어 수업참여도와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이는 수업참여와 협동학습을 통해 지적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는 선행 연구 결과(조은지, 2015)와 일치하였다. 둘째, 일의 순서적인 처리능력과 정보 활용 능력인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 효능감 영역이 향상되었다. 소크라티브 SA 활용을 통해 평가받는 두려움 없이 자신들의 견해를 표현하게 되었고, 서로의 답안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수정하는 행동이 향상되었다. 이런 결과는 평가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완화시킨다는 선행연구 결과(오정숙, 2013), LRS의 사용이 자기조절을 위한 비판적인 사고력을 향상시킨다는 선행연구 결과(Doucet, 2009), 학습내용에 대한 자기점검의 기회를 부여한다는 선행연구 결과(김민정, 2018)와 일치하였다. 셋째, 쉬운 일과 어려운 일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서의 태도인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 선호 영역이 향상되었다. 소크라티브의 SA 활용을 통해 구어표현이 어려운 학생들도 두려움이 없이 의견을 표현할 수 있었고, 오답에 대한 불안감이 감소하여 과제난이도 선호가 향상되었다. 이는 LRS가 언어표현이 소극적인 학생에게 더 높은 만족도를 보인 선행연구 결과(Beckert, Fauth, & Olsen, 2009)와 타인과의 공유를 통한 오답에 대한 두려움 감소로 문제해결을 위한 공동체의 일원으로 참여하게 되었다는 선행연구 결과(Chen & Breyer, 2012)와 일치하였다. 넷째, 자기표현의 적극성, 명료성, 표현범위, 상대방을 대하는 태도나 배려하는 수준인 자기표현의 내용적 표현 영역이 향상되었다. 질이 다른 구어를 사용하는 발달장애인(신현기, 2007)에게 LRS의 응답방식이 평가받는 두려움을 줄여 의사표현을 향상시킨다는 선행연구(Mason et al, 2013) 결과와 일치하였다. 다섯째, 자기표현 요소가 음성에서 어느 정도로 나타나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단호하게 말하는 정도나 억양, 유창성을 의미하는 자기표현의 음성적 표현 영역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성인 발달장애인의 경우 언어가 발달되는 결정적 시기가 이미 지났기 때문에 음성적 표현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말할 때의 슬픔, 분노, 기쁨, 놀람, 공상 등의 모든 감정적 느낌인 자기표현의 비언어적 표현이 향상되었다. 소크라티브를 활용하며 상호작용과 수업에 참여도가 향상되면서 만족도가 높았으며, 응답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주었다. 이런 결과는 LRS를 통해 동기가 부여되고 만족감이 향상되었다는 선행연구 결과(Eastman, lyer, & Eastman, 2011)와 일치하였다. 일곱째, 자신의 진로의 방향을 설정해보고 이를 위한 계획을 수립해보는 태도인 진로태도의 계획성 영역을 향상시켰다. 발달장애인의 직업 준비의 필요성, 계획의 중요성, 미래와 교육과의 관련성이 향상되었고, 학령기 이후에도 진로와 관련된 정보와 교육적 지원이 계속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덟째, 직업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직업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태도인 진로태도의 직업에 대한 태도 영역이 향상되었다. 소크라티브를 활용하면서 진로수업 내용에 대한 응답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고, 자기 자신과 직업, 그리고 사회와의 관련성을 이해하며 거시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이 형성되었다. 이는 LRS가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 선행연구(김현, 2019)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아홉째, 진로결정의 책임을 수용하고, 자기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하려는 태도인 진로태도의 독립성 영역을 향상시켰다. 소크라티브 SA 활용을 통해 접근성이 향상되면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고, 타인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는 것을 경험하면서부터 자신 스스로 선택해보려는 행동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런 결과는 LRS를 통해 소수의 의견이 반영되어 자신의 주장을 할 수 있게 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오정숙, 2013)와 맥을 같이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이 진로선택에서 고려해야 할 개인적인 특성들에 대한 이해 정도인 진로태도의 자기이해 영역이 향상되었다. 소크라티브의 SA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주장할 수 있게 되면서, 자신에 대한 평가를 재점검해보며 스스로에 대해 인식해보는 계기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는 LRS가 학습자에게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선행연구 결과(Cardoso, 2010), 내용에 대한 자기점검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선행연구 결과(김민정, 2018)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도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자기표현, 진로태도 향상을 돕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반응시스템 소크라티브와 같은 다양한 앱을 활용하여 발달장애인이 자기의 주장을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말로 자신의 의사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장애인의 경우 문자나 메시지 등을 활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대체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발달장애인의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전환기에 있는 장애인들에게 사회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규학교 교육과정 이후에도 진로교육이 장기적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Self-efficiency, self-expression, and career attitude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into society correctly for adul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areer classes using the learner response system Socrative on self-efficiency, self-expression, and career attitude of people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identified, and the effect of the learner response system Socrative using smart devices on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aimed at clarifying To this end, career classes using Socrative were conducted for 18 sessions and self-efficiency tests, self-expression tests, and career attitude tests were conducted for 4 students in special post-secondary vocational course. In addi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ecdotal records of student behavior during clas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students after clas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fidence area of self-efficiency, which is a state of psychological response when faced with a difficult situation, was improved. As interaction increased through Socrative, the opinion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reflected in the class, and class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improved. This coincided with the results of a previous study(Eun-ji Cho, 2015) that self-efficienc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mproved through class particip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Second, the self-regulation efficiency area of ​​self-efficiency, which is the ability to process tasks in order and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was improved. Through the use of Socrative SA, they were able to express their views without fear of being evaluated, and the behavior of visually checking and correcting each other's answers improved. These results are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at alleviate the psychological burden of evaluation (Jeong-sook Oh, 2013),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at the use of LRS improves critical thinking for self-regulation (Doucet, 2009), and the opportunity for self-examination of learning contents, It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Min-jeong Kim, 2018) that gave. Third, the task difficulty preference area of self-efficiency, which is an attitude in a situation where one has to choose between an easy task and a difficult task, was improved. Through the use of SA in Socrative, even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verbal expression were able to express their opinions without fear, and the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improved as anxiety about incorrect answers decreased. This is in line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Beckert, Fauth, & Olsen, 2009), in which L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for students with passive verbal expression, and reduced fear of incorrect answers through sharing with others, allowing them to participate as a member of a community for problem solving. This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Chen & Breyer, 2012). Fourth, the content expression area of ​​self-expression, which is the level of aggressiveness, clarity, range of expression, attitude toward others or consideration for self-expression, was improved. It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a previous study(Mason et al, 2013) that the LRS response method improved expression by reducing the fear of being evaluated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used spoken language of different quality(Hyun-Ki Shin, 2007). Fifth, by evaluating the degree to which self-expression elements appear in voice,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vocal expression area of ​​self-expression, which means the degree of speaking firmly, intonation, and fluency. In the cas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 was no change in vocal expression because the critical period for language development had already passed. Sixth, the non-verbal expression of self-expression, which is all emotional feelings such as sadness, anger, joy, surprise, and daydreaming, improved when speaking. As the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class improved using Socrative,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 and the fear of response was reduced.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a previous study(Eastman, Iyer, & Eastman, 2011) that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ere improved through the LRS. Seventh, the planning area of ​​career attitude, which is the attitude of setting the direction of one's career and establishing a plan for it, was improved. It was confirmed that the need for job preparation, the importance of planning, and the relevance between the future and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improved, and that career-related information and educational support are continuously needed even after school age. Eighth, the attitude area of career attitude, which is an attitude that gives importance to a correct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a job and a job, was improved. Utilizing Socrative, They were able to express my responses to the contents of the career course, and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their job, and society, and a perspective to look at it macroscopically was formed. This showed a similar result to a preceding study(Hyun ,Kim 2019) that LRS improves learning attitude. Ninth, the independence area of career attitude, which is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responsibility of career decision and seeking and choosing one's own career path, was improved. As accessibility improved through the use of Socrative SA, it became possible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to others. Therefore, the behavior of trying to make a choice for oneself began to appear from the experience of having one's own opinion reflected. These results are in line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Jeong-sook Oh, 2013) that the opinions of a minority are reflected through the LRS and it is possible to make one's own claim. Lastly, the self-understanding area of career attitude, which i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individuals should consider in career selection, improved. As I was able to assert my thoughts through Socrative SA, it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my evaluation and recognize myself. This coincid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LRS provides learners with opportunities for self-evaluation (Cardoso, 2010) and that they provide opportunities for self-examination on content (Minjeong Kim, 2018).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measures to help improve self-efficiency, self-expression, and career attitude of mil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rst,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n environment in whic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express their opinions by utilizing various apps such as the learner response system Socrative. Second, in the cas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expressing themselves verbal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lternative ways to express their opinions using text messages or messag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fic program of classes using smart devices that can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urth, it suggests that caree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he long term even after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to support the transition to society for the disabled in the transition period.

      • 한국 대학의 핵심역량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 특성에 따른 핵심역량 선정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휘영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re competencies used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as core competencies are emphasized as one of the abilities required to live a successful life in a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society. Based on a critical mind that the existing subject-centered school education has limitations in educating what is necessary for living in modern society, universities are accep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one of the necessary requirements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e importanc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emphasized not only a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necessary for the future society, but also as a practical education for sustainable well-being throughout life. In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follow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ore competencies in Korean universities and to analyze the university-specific factors that make a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First, what are the core competencies that Korean universities usually select? Second, is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To this end, data on the core competencies and characteristics of 122 universities nationwide were collected, and network text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First, the core competencies used in Korean universitie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communication (66.4%), creativity (64.8%), self-management (48.4%), convergence (47.5%), globalization (45.9%), and problem solving (32.8%). In particular, as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were strongly linked to other core competencie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the core competencies that universities are most interested in these days. Second, the 11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location, whether or not to participate in the ACE project, classification of establishment, presence or absence of a women's university, number of full-time faculty members, research expenditure per full-time faculty member,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ratio of foreign students, ratio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rate , Tuition), all variables except for two variables (research expenses per full-time faculty member, foreign student ratio)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Among them, the university characteristic variable that has the most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y was the establishment classification variable. This study grasps the current status of core competencies that are mainly selected by universities in relation to the future students required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analyzes university-specific factors tha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These results have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universities education in Korea and figure 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future. Second, it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competency education for the specialization of universities education. Finall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as basic data to explore the role that higher education should play on the changes of the times. However,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core competencies of each university, as there were many universities that have not disclosed the sub-elements and definitions of core competencies, there may be limitations in not considering them.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this study did not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use of core competencies by each university because it did not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process and subject for determining core competencies. To supplement this study, a follow-up research is suggested. First, research related to the process of determining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ies and the subject of decision is neede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in detail the background of each university's use of core competencies, the components of core competencies, and the definition of core competencies. Second,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more university-specific factors that bring ab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Third, it would be meaningful not only to study the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core competencies, but also to consider how competency-based education was applied to students lives. 본 연구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21세기 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갖춰야 할 능력 중 하나로 핵심역량이 강조됨에 따라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핵심역량을 전반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기존의 교과중심의 학교교육이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 필요한 것들을 교육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대학에서는 이러한 문제해결의 필요요건 중 하나로 역량기반 교육을 수용하고 있다. 역량기반 교육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및 가치의 습득뿐만 아니라 전 생애에 있어 지속가능한 웰빙을 위한 실천적 교육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에서 나타나는 핵심역량의 현황을 살펴보고 핵심역량 선정에 차이를 가져오는 대학 특성 요인을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에서 주로 선정하는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대학의 특성에 따라 핵심역량의 선정은 다르게 나타나는가?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일반대학 본교를 중심으로 122개 대학의 핵심역량과 특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핵심역량은 소통(66.4%), 창의(64.8%), 자기관리(48.4%), 융합(47.5%), 글로벌(45.9%), 문제해결(32.8%)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특히, 소통과 창의는 다른 핵심역량과 연결된 정도가 강하게 나타남에 따라 최근 대학에서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핵심역량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독립변수로 사용된 11가지 대학 특성(소재지, ACE사업 참여여부, 설립구분, 여자대학유무, 전임교원수, 전임교원1인당연구비, 학생1인당교육비, 외국인학생비율, 장애학생비율, 취업률, 등록금) 중에서 2가지 변수(전임교원1인당연구비, 외국인학생비율)를 제외한 모든 변수들이 핵심역량의 선정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핵심역량 선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대학 특성 변수는 설립구분 변수로 국공립대학 또는 사립대학의 여부에 따라 핵심역량을 다르게 선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의 학생들의 모습에 대하여 대학에서 주로 선정하는 핵심역량의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역량 선정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 대학 특성 요인을 분석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 교육에 대하여 이해하고 앞으로의 교육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대학 교육 특성화를 위한 역량교육의 이해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대적 변화를 중심으로 고등교육이 수행해야하는 역할을 탐색하는 데 기초자료로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각 대학의 핵심역량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핵심역량의 하위요소 및 정의에 대하여 공개하지 않은 대학들이 많이 나타남에 따라 이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핵심역량의 결정에 대한 과정과 주체에 대한 심층 분석을 수행하지 못해 대학별 핵심역량의 사용 배경 및 의미에 대하여 파악하지 못한 연구임을 밝힌다.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첫째, 대학의 핵심역량 결정 과정과 결정 주체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각 대학의 핵심역량 사용에 대한 배경, 핵심역량의 구성요소, 핵심역량의 정의에 대해서 자세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핵심역량 선정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 더 많은 대학 특성 요인에 대해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핵심역량의 선정 및 활용과 관련된 연구뿐만 아니라 역량기반 교육이 실제 학생들의 삶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고찰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