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반한 대학생의 성격 및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이알찬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지진로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의 진로 자기관리모형(Career Self-Management Model, Lent & Brown, 2013; Lent, Ezeofer, Morrison, Penn, & Ireland, 2016)을 근거로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대학생의 성격요인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전국의 대학생 40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척도’, ‘성격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진로목표안정성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 즉 5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계수,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측정모형 검증과 구조모형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성격,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목표안정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변인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목표안정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성격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목표안정성은 성격에 따라 성실성은 완전매개, 외향성▪개방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성격의 요인 중에 성실성이 진로준비행동에 가장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장애자녀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조영암 아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장애자녀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장애자녀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건강성, 삶의 만족도, 장애수용의 차이가 존재하는가? 둘째, 장애자녀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건강성, 삶의 만족도, 장애수용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장애자녀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만 25세 이하의 장애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로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에 위치한 사설아동발달센터, 사회복지시설(장애인복지관, 장애아동발달센터 등), 재활병원을 통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260명에 대한 설문 중 최종 200부의 설문지로 분석하였다. 가족건강성은 유영주 등(2013)이 개발한 척도, 삶의 만족도는 신미숙(2013)이 양옥경(1994)의 척도를 수정․보완한 것, 장애수용은 고일영(2009)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검증을 보면, 자녀수에 따른 차이는 장애수용에서 자녀수가 3명일 경우 1명일 때 보다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직업유무에 따른 차이는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월평균 가정 수입에 따른 차이는 가족건강성과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은 월평균 가정 수입이 600만 원 이상 응답자의 점수가 100만 원 미만과 100~200만 원 미만 응답자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삶의 만족도는 월평균 가정 수입이 600만 원 이상 응답자의 점수가 100~200만 원 미만과 200~300만 원 미만 응답자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종교유무에 따른 차이는 가족건강성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애자녀 어머니의 가족건강성과 삶의 만족도, 장애수용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가족건강성은 장애수용 및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장애수용도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났다. 셋째, 장애자녀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가족건강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장애자녀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장애자녀 어머니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성인초기의 사회비교경향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경은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성인초기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자기격려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 ~ 39세의 남녀 429명을 대상으로 사회비교경향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사회불안, 자기격려의 설문을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SPSS Statistics 22.0과 SPSS Macro PROCE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비교경향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정적상관을 보였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도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격려가 사회불안을 낮추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자기격려에 따른 사회불안의 차이가 더 많이 났기 때문에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은 경우 사회불안의 정도를 낮춰주는 역할을 하였다. 셋째, 앞에서 확인된 매개모형과 조절모형을 결합한 결합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자기격려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고,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역할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나타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에서 나타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를 결합한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다는 데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노화불안과 중년기위기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조절효과 : -중년기를 대상으로-

        서혜영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년을 대상으로 하여 노화 불안과 중년기 위기감과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내적·외적 변인에 대한 탐색 그리고 변인들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노화 불안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가 있는가? 둘째, 자기효능감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지의 조절 효과가 있는가? 셋째, 노화 불안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가 있는가? 넷째, 노화 불안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 효과가 있는가? 이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화 불안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노화 불안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화 불안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노화 불안이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관계에서 개인 내적 변인인 자기효능감과 개인 외적 변인인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 확인과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다양한 구조 변인 확인으로 중년기에 경험하는 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방안 마련에 의의가 있다.

      • 교정공무원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김종배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교정공무원의 직무소진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교정공무원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에 소재한 4개 교정기관 및 충청, 경상 소재 2개의 교정기관의 교정공무원 384명을 대상으로 역할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직무소진 척도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과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차례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정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소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근무분야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연령, 근무연수, 직급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직급이 낮고, 근무연수가 짧으면서, 연령이 30대인 직원이 직무소진을 가장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본, 직무소진의 상관관계는 전체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교정공무원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역할스트레스는 긍정심리자본을 통하여 직무소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병렬매개분석을 실시하여, 하위요인 중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직무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정공무원의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과부하를 역할스트레스로 통합하여 직무소진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역할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심리자본의 기제를 규명하였고, 교정공무원의 직무소진에 대한 개입 시, 역할스트레스뿐만 아니라 긍정심리자본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불안정성인애착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분노표출, 분노억제 매개효과

        김소미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불안정성인애착, 분노표출, 분노억제 부부친밀감의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고 불안정성인애착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불안정성인애착을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으로 구분하여 각 변인의 차별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에 거주하는 20~60대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불안정성인애착, 분노표출, 분노억제, 부부친밀감 척도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374명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3.0 및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인 불안애착, 회피애착, 분노표출, 분노억제, 부부친밀감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불안애착은 회피애착,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부친밀감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피애착은 분노억제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부친밀감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분노표출과 분노억제는 부부친밀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피애착은 분노표출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직접적으로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간접적으로 분노억제를 통해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높은 경우 분노억제가 높아지게 되며, 높아진 분노억제는 부부친밀감을 낮추게 된다. 반면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부친밀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분노표출보다 분노억제를 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는 걸 시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는 불안정성인애착이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분노억제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부부관계에 문제가 있는 부부상담 및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분노를 억제하지 않고 올바르게 잘 표현할 수 있게 개입하는 것이 부부간의 문제와 관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안정성인애착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

        안희진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7세 이하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정신화 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세에서 7세까지의 영유아 자녀를 둔 전국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12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에는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 정신화, 양육스트레스의 상관 결과, 모든 변인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은 양육스트레스와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정신화능력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정신화 능력은 양육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불안정 성인애착의 두 차원 중 불안애착은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정신화 능력을 통해 양육스트레스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반면, 회피애착은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못하고, 정신화능력을 통해 양육스트레스에 간접적 영향만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불안애착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정신화 능력은 부분매개효과를, 회피애착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정신화 능력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불안정 성인애착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신화 능력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불안정성인애착의 각 유형이 독립적으로 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만성지연행동의 관계 : 자기비난과 속박감의 매개효과

        박지은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자기비난, 속박감을 통해 만성지연행동으로 가는 과정에 주목하여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특히 속박감을 하위요인인 내적 속박감과 외적 속박감으로 구분하여 각 변인의 차별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권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FMPS, HMPS), 자기비난 척도(SCCS), 속박감 척도(ES), 일반지연행동 척도(GP)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3.0 및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비난, 내적 속박감, 외적 속박감, 만성지연행동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만성지연행동에 이르는 직접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자기비난 및 내적 속박감을 순차적으로 거쳐 만성지연행동으로 가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자기비난 및 외적 속박감을 순차적으로 거쳐 만성지연행동으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만성지연행동의 관계에 대한 매개변인을 확인함으로써 구체적인 상담적 개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대학생이 지각한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심순구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 모의 심리적 통제, 자아분화와 우울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의 심리적 통제와 모의 심리적 통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부, 모의 심리적 통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분화가 매개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 대구, 천안에 위치한 대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597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자료 43부를 제외한 55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에는 부, 모의 심리적 통제척도, 우울척도, 자아분화척도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 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아분화와는 부적상관이 나타났고, 우울과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자아분화와 우울과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 모의 심리적 통제 전체에서는 부와 모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하위요인 중 감정무효화, 개인적공격, 죄책감유도에서 부와 모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감정무효화에서는 모에 비해 부가 더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개인적공격과 죄책감유도에서는 부에 비해 모가 더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우울의 원인을 외적 요인인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개인 내적 요인인 자아분화와의 관계를 함께 살펴보았으며 각 변인간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부, 모의 심리적 통제 전체에 대한 지각에 있어서는 부와 모의 차이가 없으며 또한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차이가 없음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부, 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아분화를 매개로 대학생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밝혔으며 자아분화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분화를 촉진할 수 있는 상담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