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消防安全 認識調査를 통한 國內 韓·中 大學生의 安全敎育 改善方案

        Zhang, Chu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is study, Chinese students who have the largest proportion of foreign international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conducted a survey on the knowledge of fire control equipment and safety education on the campus in college, to understand the lack of fire safety knowledge and safety education, and to prevent or reduce fire on the campus. Frequency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5 program for analysis of survey data. Analysis methods such as 5-point scal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alysis, and cross-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fire safety awareness data of Korean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t Korea University obtained through the survey, firefighting facility awareness and fire safety education contents were identified. To derive recommendations for fire safety educ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safety education, students' opinions were reflected on current safety education, and after grasp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a fire safety education model for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was suggested.

      • 大都市圈域 重要 建築物의 非常時 對應을 위한 에너지 自立 方案

        남경목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고도로 발단된 도시에서 각 건물은 집적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자연재해의 증가 및 대형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도시방재능력 강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이상기후의 재난피해는 도시의 에너지 공급, 즉 광역라이프라인을 차단시키는 도시단위의 비상상태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엄청난 위험요소이다. 평상시는 광역라이프라인을 통해 에너지수급이 원활하기 이루어지지만, 재난?재해의 발생으로 라이프라인이 차단되게 되면 현대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요소들의 기능저하 및 기능정지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이런 에너지 공급이 차단된 비상시 중요한 도시기능이 집적한 지구에 대해서, 또한 업무시설, 병원, 청사 등의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지는 용도의 건축물에 대해서 그 기능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건물에서 나아가 도시 및 국가적 차원의 에너지수요와 공급의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맵(map)화 시켜 평상시의 에너지관리를 효율적으로 다룰 뿐만 아니라 자연재해와 같은 비상시에 이를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도시권역의 중요 건축물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비상시의 시나리오에 따른 방재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damages caused by natural disaster are unpredictable. It is almost out of control because its scale is entirely different from what we have experienced before. Individual large buildings may have a capacity comparable to the energy consumption of small towns already .In addition, the energy supply of all facilities in the city is a central supply system such as nuclear power. When this energy supply is cut off by disaster, emergency such as power shortages and supply disruption is caused. This study strive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keeping metropolitan important buildings and their facilities properly functioning and develop basic materials to build an urban-level management system for securement and supply and demand system of emergency energy during natural disasters. And normal and emergency energy consumption was analyzed. Through Independence of emergency power by those analysis, this study strived to establish a plan for Maintain emergency functions of the city.

      • 避難經路傳達 類形別 人間行動特性 및 認知效果 分析 : 다중이용공간을 중심으로

        전은명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주거용 또는 업무용 건축물과 같이 소수의 사람이 오랫동안 머무르는 공간인 경우에는 재실자들이 상대적으로 피난경로에 친밀하고 익숙하기 때문에 피난경로에 대한 인지도가 높다. 그러나 지하철역, 할인마트, 백화점, 멀티플렉스 등의 다중이용공간에서는 불특정 다수의 유동인구가 많기 때문에 피난경로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이 높아 화재 등의 비상시 출구의 위치와 피난경로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빠른 시간내에 탈출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0년 8월부터 다중이용시설에서는 피난안내도 및 피난영상을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한 법규가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 피난경로 전달방식으로서 피난안내도와 영상을 채택한 명확한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대규모 공간이 아닌 노래방 등 소규모 다중이용시설에만 적용되고 있는 바 모든 건축물로의 확대 또한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특정 다수의 군중이 유동하는 다중이용공간에서 화재 등 비상상황에서 재실자들이 출구까지 헤매지 않고 가장 빠르고 안전하게 피난하려면 어떤 방식으로 재실자들에게 출구위치와 피난경로를 인지시키고 전달해야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중이용공간을 모사한 복잡경로의 피난경로세트를 모의제작하고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참가자들의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관찰하였다. 피난 시나리오는 비교의 기준이 되는 대조군을 포함하여 피난경로를 보여주거나 안내자를 배치하거나 지도를 보여주는 등 총 유도자나 가이드를 배치하거나 유도표지를 설치하는 등 총 10가지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출구까지의 주요 지점에 피난 안내자를 배치하거나 리더형 유도자가 재실자를 끌고 가는 형태, 피난유도등이나 표지를 설치하는 형태 순으로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피난안내도나 영상, 구두설명 등은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Occupants in the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have high awareness of egress routes because they stay in one spot for a long time. However, in large-scale mazy facilities such as subway stations, discount stores, department stores and multiplex, there i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of unspecific individuals who do not know the egress routes. In this case, occupants cannot precisely recognize egress routes and escape the building rapidly when a emergency situation occurs. For this reason the regulation that evacuation map or video has to be equipped with a mandatory in multi-use facilities have been implemented since August in 2010 but there is lack of the specific grounds why evacuation maps and videos were adopted as egress route instructions yet.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expand the legal criteria for any use of buildings because the current law is mainly applied to small scale multi-use facilities such as karaoke, not large scale one. In this study, we made a model with complicated routes simulated a large-scale mazy facility and measured 300 occupants' moving routes and evacuation time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o inform exit and egress route to occupants effectively and rapidly so that they do not wander the path in emergency situation like fire in a large-scale mazy facility that many and unspecified crowds spilled into. The egress scenario includes 10 types of egress route instruction which displays evacuation map or video near entrance, places evacuation staff or installs emergency exit sign within a route. As a result, the cases that evacuation guides are placed in each crossroad, or a skilled leader leeds occupants were the best effective ways to communicate evacuation route to occupants. The cases that occupants follow emergency light or sign on the wall or floor is also a positive influence on evacuation time secondarily while the cases used evacuation maps, video or announcements have less effect.

      • 스마트폰 피난안내도 기준 수립을 위한 구성 요소 분석에 대한 연구

        전은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Prior studies related to evacuation guidance systems are focused on the system construction, and research on the verification of the efficiency and the preparation of standardized evacuation guidance maps is insufficient. Also, evacuation guidance systems are produced by companies that specialize in the guidelines. In such a case, evacuation guidance systems suggested by the 'National fire agency' are different from evacuation guide maps. So, mostly residents are difficult to recognition evacuation guidance systems. Therefore, the researchers tried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each component of the smartphone evacuation guide map. To this end, the experimental elements were derived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regulations. After that, the decision-making time analysis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each experimental element, and the optimal writing criteria of the evacuation guidance component of the smartphone wa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

      • 石綿含有建築資材의 適正處理를 위한 地區單位 管理 프로그램 開發

        김영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Asbestos has not only great adiabaticity, flexibility, durability of abrasion, tensile force, and electric insulation, but also a high level of sound absorption, insulation, resistance against alkali or acid materials, strong tension, excellent pliability, easiness for spinning, and economic feasibility, so it has been used extensively in the world as a building material. However, it has been proved to be a very harmful cancer-causing agent since when a human body is exposed to asbestos for a long period, it can cause asbestosis, lung cancer or mesothelioma after twenty to fifty-year of incubation period. Because of this danger of asbestos, its use has been gradually reduced since 1970s, and some nations have legislated relevant laws to prohibit or limit the development of asbestos since the early period of 1990s. Nevertheless, asbestos is still in use as a construction material, particularly as asbestos cement in many countries in large quantities. In case of Korea, asbestos began to be imported in 1960s, and the highest record was about 95,000 ton in 1992, but has continued to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uncil of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Engineering in December 2014. decrease since then. In additi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mended in 1990 added asbestos in the list of harmful materials demanding approval to use and its prohibition regulation was enacted, and the use of asbestos was totally banned when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same law was revised in 2009. Currently, Asbestos Injury Relief Act and Asbestos Safety Management Act are regulating compensation for the damage by asbestos and safety management of the asbestos that has already been in use. Accordingly, the future issue about asbestos will be about how to manage and get rid of the asbestos that has been applied so far. For effectiv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construction materials including asbestos, when a building contains asbestos, it's important to find the location and amount of the materials including asbestos in use, and to predict the generation amount of asbestos fiber. Moreover, for safe disassembly and elimin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including asbestos, it's judged to be significant to prepare expense to process them and draw up a proper plan to perform it in the unit of a district. Furthermore, it's also judged to be necessary to predict asbestos fiber scattered when the materials containing asbestos are destroyed in order to prevent tangible and intangible loss as well as fatal human damage and economic loss. Yet, researches on asbestos so far have focused on its harmfulness and diseases related asbestos, and there have been no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distribution of building materials containing asbestos and its features, the generation amount of construction materials with asbestos and asbestos fiber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handling expenses for safe disassembly and related contents. Especially, in the situation where dismantlement and removal of materials including asbestos before that of general materials has been coded by law, the development of a management program for appropriate disposal of building materials containing asbesto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but no relevant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visuali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containing asbestos while taking the situation of damages into consideration, and furthermore, developing a unified asbestos management program for proper disposal of construction materials containing asbestos in the unit of a district. A program has been developed which can manage the handling expenses, the emission quantity of green-house gases, the amount of normal, naturally generated asbestos fiber and the generation amount of asbestos fiber in case of destroy and etc. for appropriate processing of the building materials including asbestos in the unit of a building, and a district. The developed program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ed efficiently for visual delivery of the information on building materials containing asbestos to policy makers, interested party of municipal and borough offices, asbestos breakers, and the general public, etc., for effective middle- and long-term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construction materials with asbestos, and for safe demolition and disassembly of them.

      • 下水高度處理水를 工業用水 再利用에 따른 經濟的·環境的 妥當性分析에 관한 硏究

        도형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Water shortage is deepening because of the population concentration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due to the rapid urbanization and the local variation of precipitation due to global warming. The existing supply-oriented policy has been changed into demand management policy but it's not enough. As ways to solve the problem, there are groundwater development and seawater desalting, reusing the treated waste water that can supply an ample amount of the water year-round constantly has been presented as a realistic alternative. In this study, it was studied whether the water with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could be used as industrial water in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The subject area of this study was Daegu West Sewage Treatment Plant and Seongseo Industrial Complex near it, as a result of analyzing economic feasibility using the cost-benefit ratio, the cost-benefit ratio showed to be economically since both supply-side and user-side were over 1 cost-benefit ratio. In addition, in environmental aspects, in case of reusing the treated waste water with advanced treatment as industrial water, it was analyz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rivers and have the effect of reducing greenhouse gas. 급격한도시화로인한 인구집중과 생활수준의 향상과 지구온난화로 인한 강수량의 국지적 편차는 물부족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기존의 공급위주의 정책에서 수요관리정책으로 전환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하수개발과 해수의 담수화등이 있지만 막대한양을 연중일정하게 공급가능한 하수처리수의 재활용이 현실적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고도처리되어진 하수처리수가 공업용수로써 사용가능한지를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대구 서부하수처리장과 인근 성서산업단지를 연구대상지로 하여 비용편익비를 이용하여 경제성을 분석한결과 비용편익비가 공급자측면 사용자측면 모두 1을 넘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환경적측면에서도 고도처리수를 공업용수로 재이용할경우 하천의 수질을 개선시키고 온실가스가 저감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보행 및 시지각 행동 특성을 반영한 피난시뮬레이션의 그룹이동 알고리즘 개발

        이수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2009년부터 특정소방대상물에 성능위주설계의 적용이 법적으로 의무화되면서, Life safety를 확보하기 위한 피난시뮬레이션 툴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화재에 대하여 사람들의 피난행동을 예측하는 피난시뮬레이션 툴은 알고리즘의 종류와 구성, 그리고 입력이 가능한 피난행동 요소에 따라 성능이 판별되며, V&V (Validation and Verification)를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의 예측력을 평가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 성능위주설계에서 사용하는 피난 시뮬레이션 툴은 모두 외산 프로그램이며, 적용된 알고리즘의 기반 데이터는 외국인의 행동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국내 실정과 맞지 않다. 더욱이 피난시뮬레이션 툴의 에이전트는 단순히 출구까지 최단거리를 이동하는 알고리즘을 전제로 실행되며, 실제 사람의 시지각(visual perception) 행동이나 그룹이동의 현상에 대하여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예측성에 대하여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학위논문은 기존의 피난시뮬레이션에서 고려하지 못하는 사람의 보행 및 시지각 행동 특성을 피난시뮬레이션에 적용하는 알고리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각 실험 요소에 대한 실험과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데이터를 구축하고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피난안전성을 평가하는 피난시뮬레이션의 툴은 피난모델 중 하나로서 그 밖에 수계산, 흐름모델 등이 있다. 컴퓨터의 발전에 따라 피난모델은 고도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컴퓨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입력요소를 개입시킬 수 있는 피난시뮬레이션 툴이 현재 주를 이루고 있다. 국내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피난 시뮬레이션 툴은 Simulex, buildingEXODUS, Pathfinder가 있으며, 알고리즘이 상이하기 때문에 피난환경과 에이전트의 특성을 반영하는 정도가 다르다. 따라서 각 피난시뮬레이션 툴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기 이전에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 제시하는 V&V를 통해 기본 성능을 검증하였다. 반면, IMO에서 제시하는 피난시뮬레이션 툴의 성능평가는 에이전트의 기본적인 움직임에만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실험데이터와의 비교가 불가피하며, 이를 위해 유클리디언 함수를 사용하여 결과 그래프의 오차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ERD(Euclidean Relative Difference)와 EPC(Euclidean Projection Coefficient)에서 buildingEXODUS가 실험데이터의 결과와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uildingEXODUS에서는 보행 특성과 시지각 행동 특성을 일부만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한계성은 여전하므로 이러한 특성을 적용시키기 위해 보행특성과 시지각 행동에 관한 그룹이동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람이 피난하는 동안 보행특성 요소는 공간의 형태와 개인의 보행속력, 그룹원 간 친밀도에 따라 보행속력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공간의 형태에 따른 보행속력의 변화 실험은 실험세트로 구성된 5가지 형태의 복도에 대하여 실험 참가자를 투입하여 그 변화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형별로 속력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변량 분산분석을 추가로 수행한 결과 막힌 형태의 복도가 보행속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개인의 보행속력이 그룹의 보행속력의 변화 실험은 그룹원의 수를 실험변인으로 설정하고 그룹 보행속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그룹의 선두의 보행속력이 그룹 보행속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개인의 자유보행속력과의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실험 참가자간의 거리를 대상으로 그룹의 크기를 산정한 결과 10명 이상부터 그룹의 크기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Closeness에 따른 보행속력 변화 실험은 실험 참가자들의 closeness 여부를 실험변인으로 설정하고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closeness group은 친밀하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보행속력이 빠르고 보행밀도가 높았다. 그룹의 선형적인 크기부분에서도 친밀한 그룹은 크기가 작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그룹원 간의 거리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든 건물에는 피난출구를 알려주는 시각정보물이 제공되며, 피난자는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경로를 설정하고 이동한다. 하지만 연기로 인해 제한된 시야는 이러한 정보의 접근을 막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 대한 사람의 시지각 행동 특성과 관련된 3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사람의 기본적인 시지각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공간 조명의 여부에 따른 실험 참가자의 행동을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두운 상황에서 사람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정면을 주시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머리의 회전 움직임이 둔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시 측면에서 정면보다 바닥을 바라보는 경향이 높으며, 이로 인해 점자블럭(축광형)에 응시하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환경에서 그룹의 이동을 분석한 결과 어두운 상황에서 사람들이 길게 줄지어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공간의 친숙도에 따라 시지각 행동을 분석하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변인으로는 실험 공간에 친숙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설정하였다. 공간에 친숙(familiar)한 그룹은 최종 출구까지 최단거리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지판에 시각을 집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와 반대로 친숙하지 않은 사람은 경로가 다양하고, 표지판 앞에서 머무르는 시간과 정보를 처리하는 동안 보행속력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전반적인 보행속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도등에 대한 지각(perception) 및 인지(cognition) 거리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변인은 공간 조명의 조도(illuminance)와 유도등의 배경 조명의 여부이며, 예비실험으로 지각 및 인지거리를 측정하고, 본실험으로 탐색시간 및 보행속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조도가 낮아질수록 유도등을 지각 및 인지하기 위해 지근거리로 이동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도등을 주변의 조명 휘도(brightness)가 높을 때일수록 역시 지근거리로 이동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시간은 지각 및 인지거리에 영향을 받아서 공간 조명이 밝을 경우 탐색시간이 짧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 조명이 어둡고, 배경 조명의 휘도가 높을 때 탐색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보행 및 시지각 행동 특성에 대한 실험을 알고리즘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실험 결과를 동일한 차원으로 원단위하여 분석하여야 한다. 이에 실험 참가자의 자유보행속력을 기반으로 실험 요소가 적용되었을 때 나타나는 보행속력 감속 데이터를 중심으로 원단위화를 하였다. 그 결과 보행특성의 실험요소가 시지각 행동 특성의 실험요소보다 자유보행속력을 더욱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행특성에서는 공간의 형태가 시지각 행동 특성에서는 공간 조명이 없는 유도등 인지구간에서 자유보행속력을 가장 크게 변화시키는 영향계수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난시뮬레이션의 알고리즘은 크게 에이전트에 적용하는 수정보행속력 부분과 지에메트리에 적용하는 구간별 보행속력 변화로 구분되며, 이와 관련된 실험요소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행동의 다양성으로 인해 정규분포로 나타나는 피난 사례를 적용하기 위해 가우시안랜덤변수를 적용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지오메트리에 보행속력 변화구간을 지정하기 위해서 buildingEXODUS의 감광계수 K와 유동계수 M을 수정하여 적용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기존의 K와 M을 대체하는 수정식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알고리즘에 대한 검증을 위해 실험데이터와 비교를 실시한 결과 오차확률이 10%내외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재난발생시 도시 리질리언스 확보를 위한 주요시설의 위치선정 모델 개발

        이윤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재난을 예방하고 피해를 저감하며, 더 나아가 적응/복구에 기여할 수 있는 주요시설은 도시의 물리적 리질리언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주요시설의 위치선정은 재난발생시 충분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주요시설의 위치선정을 위한 자동화 모델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시설의 위치선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GIS-MCDA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weighted sum 분석을 적용하여 후보지에 적합성평가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후보지의 순위도출에 기반한 최종 후보지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공데이터와 GIS 모델빌더를 활용하여 연구의 대상지 이외의 지역에도 적용이 쉽고 신속한 연산결과 도출이 가능하도록 모델을 구현하였다. 각 재난별 대상지에 주요시설 위치선정 모델을 적용한 결과는 대상지와 주요시설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기존 주요시설의 위치보다 적합성 평가점수가 높은 후보지를 도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 주요시설이 다기준을 고려한 위치선정이 되고 있지 않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는 재난 발생시 도시 리질리언스 확보를 위한 주요시설의 위치선정 모델을 개발하고 리질리언스 향상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 적용했다는 점에서 정책적 활용기여도가 높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위치선정 모델은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안전위험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연구적 의의가 있다. ‘안전위험지도’의 공개는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재난관리과정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시의 사회적 리질리언스를 확보·향상하는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ajor facilities that can prevent disasters, reduce damage and further contribute to adaptation, recovery have a major impact on the city's physical resilience. The location of these key facilities is an important factor in maintaining sufficient performance in the event of a disaster. Nevertheless, studies on the automation model for location selection of such major facilities a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GIS-MCDA method was used to develop the location selection model of major facilities, and the weighted sum analysis was applied to assign candidates a conformity assessment score. In addition, by using public data and GIS model builder, the model was implemented to be easily applied to regions other than the study subjects and to quickly derive calculation result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location selection model of major facilities to each disaster site show that the candidate sites with higher suitability evaluation scores can be derived than the location of the existing major facilitie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major facilities. Indirectly shows that the main facility is not being positioned for multiple criteria. This study is considered to have high policy utilization in that it has developed a location selection model of major facilities to secure urban resilience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proposed and applied a metho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 of improving resilience. In addition, the location selec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has a research significance as a methodology for preparing scientific and objective “safety risk maps”. The disclosure of the 'safety risk map'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ing and improving the social resilience of the city in that it can induce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voluntary disaster management process.

      • 建築物 內 避難徑路의 遲延要素를 反映한 移動時間 算定 알고리즘 開發

        손종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Korea, the Act on Firefighting Facilities Construction Projects was amended in 2005 to prepare the legal basis for performance-oriented design, and in 2007,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ire-Fighting Facilities Construction Business Act was amended to define the design target as a specific fire-fighting target, and the performance-oriented design was implemented in earnest from 2009. In 2011, performance-oriented design methods and standards for fire-fighting facilities were officially announced. Currently, the number of fire-fighting targets in Korea is increasing tren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performance-oriented design is emerging. The term "special fire-fighting objects" here means those subject to fire-fighting, which are required to install fire-fighting facilities, a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Special fire-fighting targets include multi-family housing,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cultural and assembly facilities, religious facilities, sales facilities, business facilities,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training facilities, factories, and complex buildings. Evacuation safety assessment of the target of performance-based design is carried out through evacuation simulation, which is a good tool for evaluating evacuation safety of buildings that are difficult to demonstrate through actual experiments or training. Evacuation simulation is similar to reality, but it does not reflect all the factors of the building, facilities and facilities, and the behavior of the occupants, so continuous improvement is needed. In this study, we wanted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evacuation simulation by developing algorithms for delay factors that have not yet been reflected in evacuation simulation. First of all, Chapter 2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of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vacuation simulation and the method of calculating travel time and related prior studies. In addition, a survey of performance-oriented design expert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factors of delay in evacuation. In Chapter 3,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stairs and the travel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door layout in the stairwell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tudy, it was the fastest way to go down the stairs by turning right at 0.34m/s when turning left and 0.38m/s when turning right. The fastest way to go up was to turn left, turning left at 0.32m/s at walking speed when turning left and 0.28m/s when turning right. In addition, the simulation results based on the type of stairwell door layout indicated the fastest travel time of 36.8 seconds for case D with two doors perpendicular to the time of 40 people passing through. In Chapter 4,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 evacuation delay factors through a walking experiment 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roces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majority of people in real buildings are closed, but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doors, which is not reflected in evacuation simulations, was significant compared to the other cases. The handle typ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ype of handle did not differ much in which one was installed, and that the direction of opening and closing was advantageous in a particular direction (open door/close direction).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ravel time, and Panic Bar was the most advantageous for pushing 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and for pulling in the direction. However, the bar's handle was most advantageous when wearing an opaque eye patch assuming smoke, regardl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of the doors are most advantageous, but depending on the evacuation situ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uildings will not be able to walk through the doors of a certain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This requires consideration of all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Chapter 5 conducted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speed of walking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alking space. The average walking speed of all participants was 1.42m/s at 1.8m, 1.42m/s at 1.7m, 1.41m/s at 1.6m, 1.43m/s at 1.5m, 1.41m/s at 1.4m, 1.36m/s at 1.3m, and 1.26m/s at 1.2m. The average walking speed of the participants did not increase or decelerat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free walking speed. However, the average walking speed under the 1.2 m height of the walking space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free walking speed. In relation to the breathing limit line in the evacuation situation, there was a decrease in walking speed until the smoke layer came down to 1.2 meters, but no significant decrease occurred. However, 1.2m indica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walking speed for participants. In Chapter 6, the evacuation delay element algorithm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conducted in Chapter 3, 4, and 5. The algorithm consists of a formula to analyze the process of evacuating from a target site by setting up an arbitrary destination and calculating the required travel time in each process. At this time, the evacuation delay factor derived from this study was applied, and the existing formula was applied to the essential factors for calculating travel time. The algorithm developed was implemented as a mobile time calculation simulator through Python for verification, and the error rate and differentiation were recogniz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evacuation simulation.

      • 요인분해 분석을 통한 국내 가정 부문의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김민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Since the early 1990s, most OECD and APEC countries have been making attempts to assess energy savings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potential by comparing energy efficiency among various countries and analyzing the trend in their energy efficiency. Index decomposit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this study to examine changes in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in Korea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nergy efficiency. Index decomposition analysis reveals how various factors contribute to total creation of energy or greenhouse gas emission. Index decomposition analysis is a methodology that decomposes the change of energy consumption level into activity effect, structure effect, and intensity effect. It could be applied to energy demand and gas emission. This study decomposed the change of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 level in Korean Residential sector from 1990 to 2010 applying Index decomposition methods: LMDI. Analysis showed energy consumption of residential sector increased by annual average 2.2% for 20 years and the biggest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was due to the number of households. Also greenhouse gas emission of residential sector decreased by annual average 1.2% for 20 years and the biggest increase factor was energy mix effect. OECD, APEC의 주요국들은 이미 1990년대 초반부터 각국의 에너지이용 효율화 추이를 분석하고 국가 간의 에너지효율 비교를 통하여 에너지절약 잠재량과 온실가스 저감 잠재량을 평가하려는 시도를 계속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에너지효율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요인분해 분석을 하였다. 요인분해 분석은 여러 가지 요인들이 에너지 또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총량에 기여하는 것을 분해하여 알아보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국내 가정부문의 에너지 소비 변화와 이산화탄소 배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요인분해 분석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한 것으로써 주거건물에서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