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교내봉사와 또래상담 통합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윤장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 학교폭력예방을 위하여 교내봉사와 또래상담 통합프로그램(수호도우미)을 기획·운영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한 탐색적 연구이다. 초등학생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중요 요인으로 공동체의식, 의사소통능력, 배려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는데 첫 번째는‘수호도우미 프로그램 참여는 학생의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는가?’이고 두 번째는 ‘수호도우미 프로그램 참여는 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가?’, 세 번째는‘수호도우미 프로그램 참여는 학생의 배려와 관련이 있는가?’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D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명으로 수호도우미 프로그램은 2013년 4월부터 12월까지 총 23회기로 진행되었다. 공동체의식과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연구 질문은 각각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의 평가를 토대로 검증하였으며 배려는 참여관찰자 세 명이 논의하여 작성한 관찰일지를 토대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공동체의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막대그래프 상 검사 참여자 중 두 명을 제외하고는 프로그램 사전보다 사후에 점수가 평균 약 11점 높아졌다. 두 번째로 연구 참여자들의 수호도우미 프로그램 참여와 의사소통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막대그래프 상으로도 검사 참여자 모두가 사전 대비 사후에 평균 약 14점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세 번째로, 연구 참여자들의 수호도우미 프로그램 참여와 배려와의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면 참여관찰자들을 통한 관찰일지에서 처음에는 타인을 돕는 활동을 어려워하다가 점차 배려의식이 생기고 적극적인 배려행동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교내봉사와 또래상담을 통합한 첫 연구라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또한 놀이를 활용한 교내봉사를 기획하였다는 점에서도 실천적 의의를 갖는다. 연구의 실천적인 함의로는 교내봉사와 또래상담을 통합함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인지적인 교육 뿐 아니라 실천을 활용한 교육을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연구결과에서도 또래상담 훈련 뿐 아니라 활동을 함께 한 학생들이 프로그램 사전 대비 사후에 의사소통 점수가 높아짐을 볼 수 있었다. 이로써 실천적 활동을 통한 교육의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관찰일지를 통해 보았을 때 또래상담 훈련에서 활용한 감성교육은 학생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강력한 수단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관찰일지를 토대로 보았을 때 학교장이 연구 참여 학생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지지한 것은 학생들의 프로그램 동기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학교장이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에 관심을 가지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학교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의 극대화와 지속성을 위해서 장기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학교에 전문 인력을 배치하거나 학교폭력예방 외부프로그램의 장기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를 중심으로 효과를 검증하였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궁극적으로 학교폭력 예방의 다각적 검증을 위해 또래상담을 받은 학생이나 학급을 대상으로 검증 할 것을 제언한다.

      •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슈퍼비전 모형 개발

        엄경남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전담 인력인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 지 실천가대상 슈퍼비전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교육복지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슈퍼비전을 운영하기 위한 기본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섯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는데, 연구문제는 첫째, 교육 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 대상 슈퍼비전의 목적은 무엇인지, 둘째, 교 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 대상 슈퍼비전에서 유익을 얻거나 영향을 받는 사람 또는 조직은 누구인지, 셋째,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 대상 슈퍼비전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담겨야 하는 내용은 무엇인지, 넷째,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 대상 슈퍼비전의 반영적인 과정을 촉진하기 위해 각 과정에서 요구되는 주요 기술은 무엇인지, 다섯째, 교 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의 발달 단계별 슈퍼비전의 초점은 어떠해야 하는지 이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 델파이조사가 진행되었는데 포커스그룹인터뷰에서 교육복지 현장 슈퍼비전 목적과 이해관계자가 도출 되었으며, 포커스그룹인터뷰 내용을 기반으로 델파이조사에서 교육복지 현장 슈퍼비전의 기능, 순환과정, 발달단계별 초점이 규명되었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출된 연구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 대상 슈퍼비전의 목적은 교육복 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의 역할 정립, 역량 및 전문성 강화를 통해 2차 현장 특성상 가지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협력하면서 업무 성과를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교육복지 사업이 가진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 슈퍼비전에서 유익을 얻거나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 는 서비스이용자와 직원, 조직, 협력기관으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교육 복지 현장 슈퍼비전에서 서비스 이용자는 학생과 학부모, 학생의 가족을 비롯해 교사, 지역주민, 지역사회로 규정할 수 있었다. 교육복지 현장 사 회복지 실천가가 근무하는 학교를 조직으로 보았을 때 직원은 슈퍼바이지 인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를 포함해서 슈퍼바이저, 교장, 교감, 사업담당 부장, 교사, 상담사, 행정실 직원, 방과후학교 강사, 돌봄 강사, 인턴, 실습생 등이 될 수 있었으며, 조직의 단위를 사업의 관리 단위인 교 육지원청으로 확장해서 보았을 때 권역 내 동료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나 프로젝트조정자, 교육청 관계자를 직원에 추가할 수 있었다. 슈퍼비전의 영향을 받는 조직은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가 속 해 있는 학교, 사업의 실제적인 관리 단위인 교육(지원)청, 예산지원처인 교육부 등이 해당되었다. 유익을 얻게 되는 협력자나 협력기관은 같은 권 역 내 동료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 프로젝트조정자, 자치구청, 지역사회기관 및 기관 실무자, 지역주민, 사례관리 협력자로 볼 수 있으 며 교사와 학생, 학부모도 협력자에 속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셋째,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슈퍼비전 진행 시 관리, 개발, 지지, 중 재 등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진행되어야 하는 과업 및 활동을 각 기능 별로 상위 5순위까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관리기능의 세부 내용은 교육복지 서비스 질 및 성과 측정 관리, 사회 복지 실천 관련 활동 기록 작성 및 관리, 학교 여건과 아이들 상황에 따 른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 역할 및 직무 우선순위 설정, 교육복 지 업무에 대한 책임 있는 수행,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 기본 직 무 이해 및 중요도 파악 등이었다. 개발기능 관련 내용은 사례관리 능력 향상, 서비스이용자가 겪는 문제 및 욕구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네트워크‧ 지역사회조사 방법에 대한 지식 과 활동 능력 향상,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로서의 정체성 형성 및 전문성 향상 노력,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로서의 윤리와 철학 점검 등이었다. 지지기능 관련 내용은 학생, 학부모 대상 개입 과정 중 어려움과 도움 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충분한 나눔, 슈퍼바이저와 상호지지,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의 강점 발견 및 약점 보완 논의, 잘한 일에 대한 칭찬, 부족한 부분에 대한 지지와 격려,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 동료들 간 지지 및 전공 분야가 다른 동료 간의 관점 공유 등 이었다. 중재기능 관련 내용은 교내외 통합사례회의 팀의 원활한 운영 방안 논 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분석 및 활용, 사회복지 전문가로서 학생 및 학부 모 대상 직접 대면 서비스 비중을 높일 수 있도록 조정 논의, 팀워크, 팀 협력 기법 습득 지원, 교육과정, 교육환경과 교육복지사업 조율 논의 등 이었다. 슈퍼비전의 기능별 내용을 범주화하였을 때 관리기능은 비전 및 책임 성, 기록관리, 역할 및 직무 관련 내용이었으며, 중재기능은 지식 및 기 술, 가치와 윤리, 관점 이해, 실천 및 평가, 서비스 이용자 이해, 학교체계 및 정책이해 등의 항목으로 구분해 볼 수 있었다. 지지기능은 도구적, 정 서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로 분류해 볼 수 있었으며, 중재 기능은 교내, 교외, 교

      • 아동양육시설 자립지원전담요원의 직무수행에 관한 연구

        문정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에서 시설아동 및 퇴소청소년의 자립과정과 퇴소를 전담하고 있는 자립지원전담요원들의 직무수행 실태 및 수준을 분석하고 직무수행상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는데 첫째, 아동양육시설 자립지원전담요원의 직무수행 수준은 어떠한지, 둘째, 아동양육시설 자립지원전담요원이 인식하는 직무 수행상의 어려움은 무엇인지, 셋째, 아동양육시설 자립지원전담요원이 제안하는 원활한 직무수행을 위한 개선방안은 무엇인지이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방법 및 질적연구방법을 병행한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양적연구는 2015년 3월 2일부터 10월 2일까지 총 7개월간 전국 240개의 아동양육시설 자립지원전담요원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이메일을 통해 수집하는 방법과 시·도별 자립지원전담요원 정기회의에 참석한 자립지원전담요원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는 방식을 병행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119명이었으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 114명의 설문지가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활용되었다. 질적연구는 2015년 3월 7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두 달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면접시간은 1회 120분 - 150분 정도의 시간동안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의 선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지역, 성별, 연령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였으며, 자립지원업무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갖고 있는 각기 다른 지역의 아동양육시설 자립지원전담요원 5명을 선정하였다. 양적연구 분석방법은 SPSS(PASW) 18.0 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직무수행 실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질적연구 분석은 연구참여자의 동의를 구한 뒤 연구내용을 녹취하였다. 추후 연구자가 직접 전사작업을 실시하였으며, 3회 이상 반복적으로 들으며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였다. 이후 연구 연구질문에 대한 내용들 영역별 범주화(categorizing)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첫째, 자립지원전담요원의 직무수행상의 어려운 점과, 자립지원전담요원의 직무수행을 위한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 양적·질적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적연구 결과 단계별 자립지원전담요원의 직무실시여부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Ready 1단계 중 가장 많은 대상자가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한 영역은 자립기술평가를 통한 자립생활기술 점검과 용돈관리 및 경제교육 실시가 111명(97.4%) 였으며, Ready 2단계는 매년 아동 개별 자립지원 계획에 따른 서비스 제공 평가 및 차년도 목표수립<DB 자립지원관리>실시 113명(99.1%), Ready 3단계는 장학재단 등 학비지원사업 연계 110명(96.5%), Ready 4단계는 퇴소 바로 직전의 단계로써 정부지원 주택에 대한 정보제공 실시 여부가 108명(94.7%), Action 단계는 DB의 자립수준평가 입력 실시가 105명(92.1%)으로 나타났다. 단계별 자립지원전담요원의 직무수행에 대한 실시 정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Ready 1단계 중 신규 입소아동의 디딤씨앗통장 개설 및 매월 저축실적 및 신규개설현황 영역이 가장 높은 실행수준을 보였으며, Ready 2단계는 매년 아동 개별 자립지원 계획에 따른 서비스 제공 평가 및 차년도 목표수립 영역, Ready 3단계는 자립정착금 수령 및 사용안내 Ready 4단계는 주거마련과 관련하여 가장 밀접한 정부지원 주택에 대한 정보제공 실시이었으며, Action 단계는 DB의 자립수준평가 입력으로 나타났다. 자립지원전담요원의 근무여건 및 시설의 자립운영시스템의 현황을 종합한 결과, 자립지원전담요원 대다수(89.5%)가 자립지원업무 이외의 추가 업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립지원전담요원의 역할 중 어려운 점을 조사한 결과, 업무과다로 인한 어려움이 57.1%, 아동들의 참여동기 부족이 51.8%, 필요한 예산의 부족이 36.8%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수행상의 자율성은 대체로 갖고 있다(46.5%)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질적연구 결과 직무수행상의 어려운 점으로 첫째, 업무의 모호함과 업무량 과다, 둘째, 자립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시설장의 인식부족 및 무관심 셋째, 자립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시설종사자의 인식부족으로 연구되었다. 넷째, 활용할 수 있는 자원 부족의 어려움, 다섯째, 직무수행에 대한 슈퍼비전의 부재 여섯째, 필요한 예산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Ready! Action 영역별 어려움을 살펴보면 Ready(시설아동)영역에서는 시설아동들의 참여 동기 및 프로그램 참여 시간이 부족하였고 Action(퇴소아동)영역에서는 예산지원의 문제점과 인력부족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신규 자립지원전담요원으로서 어려움은 시설아동 및 직원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끌어내기까지 어려움이 많다고 하였다. 이러한 직무수행상의 어려운 점들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자립지원전담요원들은 다음과 같이 해결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첫째, 자립프로그램에 대한 예산 지원과 인력 충원, 둘째, 자립에 This research has a purpose of analyzing reality and level of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 who work at Children Nurturing Facility in charge of the self-reliance process, and discharge and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difficulty in task performance. In this research, we presumed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the problem in the level of task performance of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 in children nurturing facility. Second, the difficulty that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 in Children Nurturing Facility is recognizing. Third, what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 proposed in order to have smooth task performance. This research has used combined research method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y research method. From March 2nd of 2015 to October 2nd, total of 7 months, we have given survey questionnaires in order to gather data and done a total inspection of specialist in 240 facilities nationwide. Our method of collecting data was via email and distributing and collecting surveys at a periodic conference for specialists in cities and provinces. There were 119 specialis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but we excluded dishonest answers, 114 responses were used. Qual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2 months, from March 7th to April 30th, and the interview time was around 120~150 minutes per person. We have considered region, gender and age group as an important factor during our selecting process. We have selected 5 specialists from different facilities who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independent support work.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has used SPSS(PASW) 18.0 to analyze research targe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for the actual performance task. With the consent of participants, we have recorded our research content. After that, researchers have listened to the recording 3 times in order to check any errors. We have analyzed the contents of research questions through categorizing. Firs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 have gone through the specialist's difficulty in tasks, and improvement plan for task performance. Following is result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In quantitative research, gathering up specialist's phased conduct job assessment, in Ready 1 phase, most of the participants have answered in the area of independent living skill assessment and allowance management and economic education, 111 specialists (97.4%). In Ready 2 phase, 113 specialist (99.1%) answered service offer in accordance of annual child independent support and execute Establishment of target Sites <DB Independent Support Management>. In Ready 3 phase, 110 specialists (96.5%) answered scholarship foundation and Tuition Support Project. In Ready 4 phase, as a phase before retiring, 108 specialists (94.7%) answered information provision for a government supported housing. In the Action phase, 105 specialists (92.1%) executed input in DB's Independent Standard assessment. Implementation of phased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s performance in duties has shown that in Ready 1 phase, they opened newly entered a personal Didim Seed Checking Account and monthly saving and new establishment has shown the highest level of use, in Ready 2 phase, service accordance with an independent support plan of individual children and establishing previous year's goal, in Ready 3 phrase, resettlement funds and direction, in Ready 4 phase, housing and information provision for government support housing, in Action phase, DB's Independent Standard Assessment input. Looking through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s working condition and facility's Independent Operation System's current status; it has shown that most of the specialists (89.5%) are doing additional duties besides Independent Support duties. As of difficulties in working as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s, 57.1% has answered excessive task, 51.8% answered children's lack of participation motivation, 36.8% for shortage of necessary budget and 46.5% of specialists have answered that they have a flexible schedule in handling tasks. In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mong difficulty in handling tasks, firstly, ambiguity in workload and excessive workload, secondly, director's lack of understanding and indifference towards Independent Support Program, and thirdly, the staff's lack of understanding in Independent Support Program. Fourthly, they lack resources, fifthly, lack of supervision during task performance and lastly, lack of necessary resources. More specifically, looking into Ready! And Action's each difficulty, in Ready area; they lacked participation motivations of facility's children and lack of participation time for the program. In Action area, they lacked budget and staffs. Also, for newly hired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s, they are having a hard time relating with facility staff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pecialists proposed possible solutions. They have suggested, first, provide more budget and manpower for independent program, second, educate facility director and staffs about independence, third, have flexible tasks, and guaranteed position, fourth, have maintenance of city and province administration system, fifth, reinforce lawful authority and restraint. As the research results are stated, when we suggest practical and policy-based these are the followings. As for policy-based, first, legally, the government should supply enough budget for Children Nurturing Centers so they can provide enough young adults who gets out of the facility. Second, they should strongly enforce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s network. Third, they have to have supervision system. Fourth, they need to place additional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s. For practical suggestions, first, facility directors need to understand what Independent Support Program is all about. Second, for Independent Support Specialists performing Independent Support Program, thei

      •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와 성별 차이에 따른 다집단 분석

        홍윤경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Effects of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Adolescents'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s by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Multi-Group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 Hong, Yoon Kyou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d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of adolescents' career maturity with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It was to review the mediating effects by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o show the difference in gender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 under the interaction with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adolescents' career maturity. To that end, the result of a survey was analyzed. The survey was targeted at 1,020 students who were in second and third grade at 7 middle schools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ere found out. There were 420 male students (41.2%) and 600 female students (58.8%), so the ratio of female was higher. 337 students (33%) were in second grade, and 683 students (67%) were in third grade, so the ratio of third grade was twice as high as second grade. Their academic achievement level was that most students were on 'middle'. Next came 'high-middle', 'high', 'low-middle', 'low'. Their economic status was that 'middle' was the most. Next came 'high-middle', 'low-middle', 'high', 'low'. Their degree of life satisfaction was that 'satisfied' was the most. 'very satisfied' was next, so more than 65%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life. Second, based on the factors of sociology of population, the T-test about the level of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areer maturity was performed. Gender, school year, academic achievement level, 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were set as the general factors. The difference by parents' autonomy support was not critically shown in gender and school year. However,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academic achievement level, 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Related to teachers' autonomy support, the difference in school year,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economic status was not really shown, bu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life satisfaction. The critical difference by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not shown in the factor of school year but shown in gend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Students' career maturity did not differ in school year, but differed in gend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the degree of satisfying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discovered. The more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gets,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ying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improves.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adolescents' career maturity was revealed. The result showed that parents' autonomy support negatively interacted with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but teacher's support positively interacted with it. The more teachers' autonomy support recognized by the students gets, the higher their career maturity goes. However, parents' autonomy support recognized by the students was turned out differently. That is, as the students sense their parents' autonomy support more, their career maturity gets lower. Fifth, the survey showed that the degree of satisfying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statistically relevant. Those needs positively affect career maturity. In other words, basic psychological needs are described a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As the students achieve those qualities better, their career maturity improves. Sixth, the mediating effects by satisfying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which work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adolescents' career maturity, was discovered. It worked relevantly on the path that parents' autonomy reaches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as well as on the path that teachers' autonomy reaches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Therefore,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adolescents' career maturity, the mediating effects of fulfill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partially proven, and it was identified as the critical parameter. Seventh,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see if there was any difference in gender in terms of the correlation of adolescents' career maturity mediating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with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The difference of path values for prime variables was reviewed: the effect of parents' autonomy support toward the level of fulfilling th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statistically relevant in the male and female groups. The effects of parents' autonomy support toward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was not relevant in the male group, but it was relevant only in the female group. Career maturity of the male students was not affected by parents' autonomy support. On the other hand, the more the female students recognized their parents' autonomy support, the lower their level of career maturity appeared. The effects of teachers' autonomy support toward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was relevant only in the male group, so it was not statistically relevant in the female group. In this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eachers' autonomy support affects male adolescents' career maturity more than female ones. The effects of the level of fulfilling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toward career maturity was statistically relevant in both groups. Therefore, as adolescents satisfy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more, all male and female students' career maturity improves. Eighth, the mediating effect by the level of satisfying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their career maturity an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was reviewed. The male students' group statistically showed the relevant result about the mediating effects in the path of parents' autonomy support toward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Teachers' autonomy support statistically showed the relevant result as well. However, the female group showed the different result: the mediating effects of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relevant to the path of parents' autonomy support to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By contrast, teachers' autonomy support was not statistically relevant. Therefore, the male students got affected by teachers more for satisfying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correlation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career maturity. Meanwhile, the level of satisfy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was a significant parameter for both male and female groups. That is to say that satisfying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is the key to helping them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hat parents need to have parenting styles that give their sons and daughters autonomy support: They let their sons and daughters make a choice, explain why and care for the emotions of their sons and daughters. Also, teachers need to have educating methods for autonomy support toward their students: They give students a chance to choose a topic they want to learn, explain why students need to be educated at school, arouse their interest and carefully listen to students' expressions and opinions. For that, it needs the regular training for teachers to improve their attitudes. It is identified that satisfying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is the key to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The process, which adolescents explore their career path and plan for their future, is deeply related to fulfilling thei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Therefore, it needs to reinforce parents' and teachers' roles to satisfy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ccording to this study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adolescents' career maturity, the teachers' support affects the students more than the parents' in the male group. In contrast, the parents' support affects the students more than the teachers' in the female group. Based on this result, it is desirable that parents and teachers care for the difference of gender group, apply it for career guidance and improve adolescents' career maturity. Under interest and cooperation among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y to improve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dolescents can have more meaningful experience for it. Middle school students are in on the stage of career exploration, so they can choose and experience jobs that they think they are suitable for.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themselves, it is important that they explore and experience careers which arouse their interest. Therefore, families and school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career exploration activity, let any adolescents share information about preparation for their future career and support them. Further, it is critical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reinforcing curriculum for career exploration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adolescents' career maturity with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It would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that is helpful for suggesting for desirable parenting styles for families or educating methods for schools. As well, it would contribute to a suggestion for interventions, which are based on the difference in gender group, to improve career maturity. Keyword: adolescents' career maturity,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interventions by gender group 국문초록 본 연구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와 진로성숙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와 성별 집단에 따른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수준,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수도권 소재 7개 중학교 2·3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1,020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420명(41.2%), 여자가 600명(58.8%)으로 여학생의 비율이 높았으며 학년은 2학년이 337명(33%), 3학년이 683명(67%)으로 3학년이 2학년의 약 2배 정도를 차지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학업성적을 살펴본 결과 학업성적이 ‘중’인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중상, 상, 중하, 하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들의 경제적 수준을 살펴본 결과 경제적 수준이 ‘중’인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중상, 중하, 상, 하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생활의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만족한다’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대단히 만족한다’로 나타나, 조사 대상자의 65% 이상이 자신의 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의 자율성 지지 수준,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여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의 자율성 지지의 평균의 차이는 성별, 학년, 학업성적, 경제적 수준, 생활의 만족도를 각각 살펴 본 결과 성별과 학년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학업성적, 경제적 수준, 생활의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자율성 지지 관련해서는 학년, 학업성적, 경제적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성별, 생활의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 관련해서는 학년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성별, 학업성적, 경제적 수준, 생활의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성숙도는 학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성별, 학업성적, 경제적 수준, 생활의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청소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인식하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는 높게 나타났지만 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반대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즉, 청소년이 부모의 자율성 지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는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본심리욕구 즉,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충족될수록 청소년의 진로성숙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가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이르는 경로에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이르는 경로에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의 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는 중요한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곱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를 매개하여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성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 집단에 따른 주요변수의 경로 값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집단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남자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여자 집단에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로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자 청소년은 부모의 자율성 지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진로성숙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남자 집단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남자 청소년의 진로성숙도가 여자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보다 교사의 자율성 지지에 의해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될수록 남·녀 청소년 모두 진로성숙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여덟째, 성별 집단에 따라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가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남자 집단에서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경로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이르는 경로에서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의 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집단에서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이르는 경로에서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여자 청소년보다 남자 청소년이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는 남녀 집단 모두에서 중요한 매개변수인 것으로 보아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부모가 자녀에게 선택권을 부여하고 이유를 설명하고 자녀의 감정을 인식하는 자율성 지지의 양육방법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들에게 배우고 싶은 주제에 대해 선택권을 부여하고 학교 공부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흥미를 촉진시키며 학생들의 표현과 의견에 귀 기울이는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 향상을 위해 정기적인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는데 청소년 스스로 진로에 대해 탐구해보고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과정은 청소년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충족과 매우 관련이 깊기 때문이다. 이에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위한 가정에서의 부모의 역할과 학교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남자집단의 경우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부모의 자율성 지지보다 높은 정적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집단의 경우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교사의 자율성 지지 보다 더 높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부모와 교사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별 집단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를 진로지도에 반영하여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의 충족과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를 위한 가정과 학교의 지원, 지역사회의 관심과 협조가 함께 있을 때 청소년들은 더욱 유익한 활동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중학생의 경우 진로탐색단계로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을 잠정적으로 선택해 볼 수 있는 시기이므로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자신의 능력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진로에 대해 알아보고 체험해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에 가정에서나 학교에서 이러한 진로탐색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누구나 언제든지 자신의 진로를 준비하기 위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공유하고 지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진로·직업 체험 프로그램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수준,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정도, 진로성숙도와의 영향관계를 명확화 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중학생의 중요한 발달과업 중의 하나인 진로성숙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가정이나 학교 현장에서 어떤 양육방식을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별 집단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를 감안한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개입방법을 제안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중심단어 :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성별 집단에 따른 개입 방법

      • 청소년활동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지민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청소년활동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청소년활동이 자기조절능력 중 동기조절, 행동조절을 매개로 스마트폰 과의존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활동과 자기조절능력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과의존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더불어 바람직한 스마트폰 활용 및 건전한 청소년활동 문화 형성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총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성별, 가구소득, 성적을 통제한 상태에서, 청소년활동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성별, 가구소득, 성적을 통제한 상태에서, 자기조절능력은 청소년활동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한 분석 자료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7차년도(2016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응답자 2,342명 중 결측치를 제외하고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응답한 1,785명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스마트폰 과의존이며 독립변수는 청소년활동이다. 매개변수는 자기조절능력, 동기조절, 행동조절이며,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성별, 가구소득, 성적은 통제하였다. 연구문제 및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7 통계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ver. 3.5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시행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들에 대한 정규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측정 변수들의 내적 일관성 검증을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측정 변수들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연구문제 1]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 2] 및 가설 2-1, 2-2, 2-3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매개효과는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부트스트랩 기반으로 검증하였다. 각 매개효과를 검증을 위해 Hayes(2018)의 PROCESS macro Model 4를 적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 때 신뢰구간은 95%로, 부트스트랩 샘플은 10,000개로 지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청소년활동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에서는 청소년활동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가설 2-1에서 청소년활동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구가설 2-2, 연구가설 2-3 역시 청소년활동과 스마트폰 과의존과의 관계에서 동기조절, 행동조절이 각각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폰 과의존 완화를 위한 방안으로 청소년활동을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년활동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과 올바른 스마트폰 활용에 대한 교육을 의무화하여야 한다. This study takes a look at the effects of youth activities on smartphone dependence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on the effects of youth activities on smartphone dependence. In addition, it was noted how adolescents' activities had an effect on the dependence of smartphones through motivation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among self-regulating abilities. Through this, this study looks for ways to alleviate the dependence on smartphones by utilizing youth activities and self-regulation. In addition, it attempts to come up with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use of smart phones and the formation of a healthy youth activity cultu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mad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ith gender, household income, and grades controlled, do youth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endence on smartphone? [Research Question 2] With gender, household income, and grades controlled, does self-regul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activities and dependence on smartphones? Data from the 7th year (2016)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 (KCYPS) were utilized as analysis data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and out of 2,342 respondents, they used smartphones excluding missing values. Data of 1,785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s smartphone-dependent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is youth activity. The parameters were self-regulation, motivation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and gender, household income, and grade were controlled among demographic factors. To verify research problems and hypotheses, SPSS statistics 27 statistical program and SPSS PROCESS macro ver. 3.5, the following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use of the statistical program. First,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normality of measurement tools. Third,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measured variables. Fourth,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variables. Fifth,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Research Question 1], and the mediating effect to be confirmed in [Research Question 2] and Hypothesis 2-1, 2-2, and 2-3 is bootstrap-based using SPSS PROCESS macro. To verify each mediation effect,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PROCESS macro Model 4 of Hayes (2018), and at this time, the confidence interval was designated as 95% and the bootstrap sample was analyzed as 10,000.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t was found that youth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endence on smartphones. [Research Question 2], it was shown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youth activities and dependence on smartphones. In research hypothesis 2-1, it was found that self-regulation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ctivities and dependence on smartphones. It was found that motiva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were partially mediated, respectively. The research implications derived are as follows. First, youth activities should be actively utilized as a way to lower dependence on smartphones. Second, it is needed to develop youth activities that can improve youth's self-regulation. Third, education on the prevention of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proper use of smartphones should be considered mandatory.

      • 탈북청소년의 남한에서의 근로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방진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83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탈북청소년이 북한과 남한에서의 삶의 맥락 속에서 근로를 경험한 이야기(narrative)를 총체적으로 탐색하는데 있다. 특히 북한에서의 생활, 탈북 동기와 탈북 과정 그리고 남한에 입국하기까지의 생애를 어떻게 이야기하는지, 그리고 이들이 남한에서의 근로 경험을 어떻게 이야기하고 이해하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근로탈북청소년들의 근로 경험이 남한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여러 체계들과의 관계 속에서 시․공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와 경험의 의미를 어떻게 구성해 가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남한 근로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질문은 첫째, 근로탈북청소년의 생애사는 어떠한가? 둘째, 근로탈북청소년의 북한과 제3국에서의 근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는 어떠한가? 셋째, 근로탈북청소년의 남한에서의 근로 경험 내러티브는 어떠한가? 넷째, 근로탈북청소년은 남한에서의 근로 경험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가? 이다. 연구방법은 Clandinin & Connelly(2000)의 내러티브탐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내러티브탐구방법은 근로탈북청소년의 근로에 대한 경험을 그들이 경험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내 줄 수 있고, 연구참여자와 연구자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들의 생각과 내면을 깊이 있게 들여다보며 이들의 근로 의미를 이해하는데 적합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북한에서 고등중학교를 졸업하고, 남한 입국 1년이 경과되었으며 남한에서 정규 교육을 받은 경험 없이 경제활동 경험을 갖고 있는 20세 이상 24세 이하의 근로탈북청소년 5명으로 여자청소년 3명과 남자청소년 2명이다. 자료 수집은 근로탈북청소년 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현장텍스트와 전사본 그리고 녹음된 내용을 반복하여 읽고 들으며 근로경험이라는 연구주제와 삼차원적 탐구 공간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졌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두 가지 방식으로 연구텍스트를 작성하였다. 첫 번째는 연구참여자인 근로탈북청소년의 북한에서의 삶과 남한에 입국하여 정착지에서 살기까지를 중심으로 하여 개별적으로 생애사를 구성하였다. 두 번째는 근로탈북청소년들이 말하고자 하는 근로 경험 그리고 근로의 의미를 연구자의 해석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현장텍스트와 재구성된 경험이야기 텍스트를 토대로 드러나는 주제들, 각 사례에서 보여지는 동질성과 상이성을 비교하여 근로 경험 내러티브와 그 의미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참여자들은 북한에서 고등중학교를 졸업하고 북한과 제 3국에서 자신과 가족의 생계를 위해 일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여러 가지 일을 통해 가치와 보람을 느끼면서 어느 정도 살만해졌으나 어렸을 때 헤어진 어머니의 연락을 받아 남한으로 올 수 밖에 없거나 자신과 가족의 신변 보호를 위해 남한에 올 수밖에 없는 비자발적인 입국자들이었다. 즉, 연구참여자들은 탈북을 위해 오랫동안 준비했거나 자발적인 의지를 가지고 탈북을 감행한 사람들이 아니었다. 준비된 탈북이 아니었기에 친하게 지냈던 친구와 가족들, 소중하게 여겼던 소유물들과 제대로 이별도 하지 못한 채 떠나온 상실감을 경험하게 된다. 어머니와 함께 행복한 삶을 꿈꾸며 남한에 왔으나 서로 일을 하느라 바쁜 일상 속에서 부모에 대한 상실감은 더욱 커지고 있었다. 북한과 제 3국에서의 근로경험 내러티브는 근로동기, 구직활동, 직장생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의 북한 혹은 제 3국에서 근로동기는 ‘가족을 위해 일하기’, ‘내 힘으로 먹고 살기 위해 일하기’였다. 그리고 남자 청소년의 경우 고등중학교를 졸업하고 군대를 간다거나 군대를 대신하여 아버지의 직업을 대물림하여 그 일을 하게 되면서 ‘대물림 혹은 운명으로 받아들여 일하기’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구직활동은 공식근로로는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워 비공식 근로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둘을 같이 하는 이중근로를 하고 있었다. 이들은 직장생활을 하면서 대인관계를 통해 성장하고 있었고, 힘든 일 속에서도 능력을 인정받으면서 일에 대한 재미도 느끼고 있었다. 남한에서의 근로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는 북한과 제 3국에서의 내러티브와 마찬가지로 근로동기와 구직활동 그리고 직장생활로 구분되었다. 이들의 처음 근로 동기는 ‘오직 살기 위해 일하기’와 북한에 있는 가족과 남한에 있는 ‘가족을 위한 책임감 때문에 일자리에서 버티기’였다. 이들은 북한의 고등중학교를 졸업한 학력으로 당장 먹고 살기 위한 단순직종에 취업을 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가족을 위해 돈을 벌었다.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의 ‘적성에 맞는 일 찾기’ 근로 동기로 변화하고 있었다. 남한에 와서 일자리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근로경력과 이력이 인정받지 못하는 남한에서의 구직활동’, ‘누구의 도움이 없이 인터넷 혹은 구인광고로 일자리 찾기’, ‘같은 민족으로 대우받지 못하는 서러운 일자리 찾기’와 같은 ‘차별과 동정으로 인한 녹록치 않는 구직활동’이기도 했다. 반면 ‘자신의 장점을 드러내는 구직활동’, ‘편견없는 고용주와 자신의 솔직함이 통한 구직활동’, ‘남한 생활에 적응하면서 터득한 구직 노하우’로 일자리를 찾기도 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조선소, 택배, 재래 시장에서 음식판매, 음식점 주방, 생산직 공장 등 다양한 일을 했으며 직급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생 아르바이트보다도 낮은 임금을 받는 등의 학력 차별을 경험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이와 더불어 탈북자라는 이유만으로 식당 아르바이트도 하지 못했으며, 고용주와 동료들 간 편견, 차별 혹은 동정으로 인해 자신의 업무 능력을 인정받지 못하기도 했다. 이들은 이중 삼중의 사회적 소외를 경험하고 있었다. 남한사람들 중 편견 없는 고용주를 만나거나 오랫동안 직장에서 지켜본 동료들은 이들의 업무 능력을 인정해 주고, 직장을 소개해 주는 등의 지지자가 되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직장생활 속에서 힘든 일을 열심히 하면서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이러한 경험을 통해 ‘오래 지켜보면서 지지자가 되어 준 직장 동료’와 ‘경력을 인정받아 이직에 성공’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남한에서의 근로 경험 의미는 ‘일을 통해 남한 사회를 알아가게 됨’, ‘일을 통해 자연스럽게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게 됨’, ‘일을 통해 온전히 “나”의 인생을 디자인하게 됨’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남한과 북한 두 사회 모두를 경험하면서 각기 다른 사회의 삶의 방식을 비교할 수 있게 되었고, 남한사회의 생활방식과 경제구조를 알게 되었다. 즉, 이들은 남한사회에서는 ‘돈이 권력보다 세고 인맥이 소중한 사회임을 인식’하고 있었고, 자신이 일을 통해 번 수입만으로는 지출을 감당해 내기 어려운 경제구조였으며 급여에서 공제되는 연금과 보험 그리고 여러 세금 등을 내야 하는 구조를 알아가고 있었다. 그리고 연구참여자들은 남한에 와서 당장 먹고 살기 위해 시작한 근로였으나 이제는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 말이 통하고, 대인관계가 축적되어가면서 자신의 미래를 준비하는 삶으로 바뀌어가고 있었다. 이들은 남한사회에 적응하고 비전이 있는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 배움을 통해 자신을 찾아가고 있는 과정 중에 있다. 이상으로 연구결과 관련해 몇 가지 논의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남한에서의 근로 경험을 통해 남한사회를 배우고 자신의 진로를 찾아가고 있었다. 특히 청소년기에 이루어지는 직업 탐색과 직업 경험이 생애전반에 걸친 경력에 초석을 이루는 것으로 이 시기에 경험하는 직업세계의 경험은 남한에서의 자신의 인생을 설계하는데 있어 소중한 자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를 공고히 할 수 있는 진로 및 취업지원 정책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북한과 제3국에서 근로경험을 통해 돈을 버는 재미를 느끼고 사람들 간의 정과 자신감을 경험하며 일의 가치와 보람을 느꼈다. 반면 남한에서의 근로 경험을 통해 탈북자라는 편견과 학력 차별, 사회적 자본 부족 등의 이중 삼중의 사회적 소외를 겪고 있었다. 따라서 남한사회에서 이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의 필요성과 이들에게 지원되는 서비스 전달체계, 차별화된 전문 사회복지사 양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정책적, 실천적 차원에서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 여행을 활용한 아동의 자기주도력 및 협동능력 강화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정은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83

        This study aims to carry out a program developed to cultivate individuals possessing the abilities essential for 21stcentury society, otherwise known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evaluate this program’s effectiveness. This study proposed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ve ability to be essential skills for 21stcentury society. It comprehende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ve ability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and it examined the impact of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on on childhood through precedent research. The study also examined self-directed study and cooperative study models, looked into strengths perspective and empowerment, and explored traveling as a way to enhance children’s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ve abilities to comprehend a program developed to enhance children’s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ve abilities. This study utilized the ‘Program Utilizing Travel Experience to Enhance Children’s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ve Ability’, developed by Soon-Hye Hong and Jeong-Eun Han (2018). The study used an integrated research approach to carry out this program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It also carried out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an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the completion of observation record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participant children. Before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aid the comprehension of the program, an outline, constitutive model, execution model, and information about execution have been provided. The results were produced by analyz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results separately, comparing them, and discussing the results of comparison. Quantitative study showed tha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had higher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ve ability scores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These post-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when the pre-score was controlled. To organize this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ve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s post-scores of self-directedness’ eight subfactors – openness to learning, self-concept as an effective learner, initiative and independence in learning, responsibility for learning, love of learning, creativity in learning, future-oriented self-understanding, and ability to use basic study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 all increased,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s post-scores in openness to learning, initiative and independence in learning,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creativity in learning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cooperative ability,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post-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ree of four subfactors excluding positive interaction: individual responsibility,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awareness. Qualitative study result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changes in children’s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ve ability made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nto the changes that appeared during the program and the changes that the children recognized after the program. The main themes of the change in children’s self-directedness during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as ‘As the program progressed, the children changed from being demotivated and distracted to acting with self-initiative and trying their best to fulfil their positions.’ The main themes of the change in cooperative ability was ‘The children developed relationship construction skills, began acting responsibly in group activities, and became more respectful and considerate towards others.’ The main themes of the changes in self-directedness that the children recognized after the program was ‘On the basis of the confidence gaine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children’s character and temperament changed, and their self-directedness, including traits such as leadership and creativity, was enhanced.’ The main themes of the change in cooperative ability was ‘The children’s personalities changed positively after they experienced diverse relationships, situations, and roles through group activities in the program, and they became responsible and cooperat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enhancing children’s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ve ability, that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program’s effectiveness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carrying out subsequent programs, and that traveling received a positive evaluation from children as a method of enhancing their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ve 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study, regarding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s effectiveness, diversification of research design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Regard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age, area, and field of practice should be diversified and the program’s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se factors must be verified so that the program’s effectiveness can be generalized. The program must also be modified through continuous execution and research to produce and supply a structured program manual, and political efforts to develop programs aiming to enhance children’s competence and to apply these programs to the fields of children’s education and welfare must b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