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달장애 중학생을 위한 교과 연계 독도 교육 수업 사례 연구

        성혜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독도 교육은 범교과 학습 주제의 하나로 영토 의식뿐 아니라 애국심 고취 및 민주시민성 함양을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교육에서 여러 교과에 독도 교육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다양한 독도 교육 관련 교수·학습 자료가 마련되어 있는 반면, 발달장애학생에게 적용되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는 중학교 사회과에만 독도 교육 내용이 제시되어 있으며,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독도 교육 관련 교수·학습 자료도 최근 개발되었다. 발달장애학생도 우리나라의 한 성원으로서 독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독도 교육에 대한 충분한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특수교육 현장에서 교육과정과 연계한 독도 교육의 실천적 수업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A시에 소재하는 S중학교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 2명을 대상으로 국어 및 미술 교과 연계 독도 교육 수업을 통하여 교과 목표와 독도 교육의 목표가 함께 달성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 연계 독도 교육 수업으로 발달장애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이 향상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박윤정, 한경근, 맹성헌(2020)의 수업 설계 절차 및 범교과 학습 교수학습자료 활용 사고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교과 연계 독도 교육 수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교과 학습 목표 달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어 교과는 관찰에 의한 질적평가 및 수행평가, 미술 교과는 과정 및 수행중심평가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수업 영상을 관찰하여 작성한 관찰일지와 학습 결과물 등을 활용하였다. 독도 교육 학습 목표 달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사후 질문지, 퀴즈, 학습 결과물 및 관찰일지 등을 활용하였으며, 수업 참여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 참여 행동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연계 독도 교육 수업으로 발달장애 중학생의 국어 및 미술 교과의 학습 목표가 달성되었다. 둘째, 교과 연계 독도 교육 수업으로 발달장애 중학생의 독도 지식 목표 및 독도 태도 목표가 달성되었다. 셋째, 교과 연계 독도 교육 수업으로 발달장애 중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이 향상되었다. 후속 연구로 국어와 미술 교과 외에 다른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독도 교육 사례 연구, 충분한 연구 기간의 설정 및 유지 효과의 검증, 교과 연계 독도 교육 수업 모형의 개발, 독도 교육뿐 아니라 다른 범교과 학습 주제를 교과와 연계한 수업 사례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국어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요구 조사

        곽제연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특수학급 국어과 교육과정 편성, 국어과 교육과정 운영의 주요 문제인 교수·학습 자료, 그리고 교사가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한 국어과 교육에 대한 전문성과 관련하여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구를 가지는지를 파악하여 중학교 특수학급 국어과 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양적연구 방법과 질적연구 방법을 통합한 통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합연구 방법 중 먼저 설문조사를 통해 양적 연구를 실시한 후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는 설명적 설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시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들 중 현재 특수학급 국어과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심층면담은 설문지에 응답한 교사들 중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국어과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주요 기준으로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보다 프로그램 학습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편성에 활용하는 자료들로 활용도가 높은 것은 교사 본인이 축척한 자료, 학생 수행수준 자료, 그리고 교수·학습 자료들이었다. 이러한 자료들을 활용하고 학생의 장애 특성 및 개인차를 고려하여 개별화된 교육과정을 영역별 또는 주제별로 편성하여 그것을 개별화교육계획서로 문서화하였다. 둘째, 현행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국어과 교육과정을 편성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정보 및 자료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시·도교육청에서 현행 교육과정을 수준별, 단계형 교육과정으로 재구성 하는데 필요한 자료와 생활 중심 기능적 교육과정으로 재구성 하는데 필요한 자료 등을 개발·보급해 주길 원했다. 셋째, 국어과 교수·학습 자료로 특수교육 관련 웹사이트의 자료와 일반 교수·학습 자료를 많이 활용하고 있었고, 교사가 직접 개발하는 경우도 많았다. 교사들은 장애학생들의 다양한 특성과 수준차를 고려한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보았다. 특히 지적장애 중학생에게 적합한 수준별, 단계형 교수·학습 자료, 실생활 중심의 교수·학습 자료, 말하기 및 각 영역의 통합 교수·학습자료,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컴퓨터 자료,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교사용 지도자료 등이 중점적으로 개발되길 원했다. 넷째, 지금의 중등 특수교사 양성과정은 현장에서 요구되는 교과교육 지식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개선이 필요하며, 교사 양성과정 및 현직연수에서 가장 교육 받기를 원하는 교육 내용은 교수·학습 방법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교육당국이 수요자 중심의 연수 제공, 연구물의 보급, 그리고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특수교사의 참여 확대를 지원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중학교 특수학급 국어과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학과 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연계를 위한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협력팀이 관련 기관 하부에 조직되어 현장과 연계한 연구를 수행하여 장애학생 국어교육의 발전을 이끌어야 할 것이다. 둘째, 개정 교육과정 도입되는 이 시기에 맞추어 시·도 교육청은 자료 및 연수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특수교사들에게 교육과정에 대한 의미와 지식을 전달해야 할 것이다. 셋째, 시·도 교육청에서는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특수학급 국어과 교육과정으로 편성하는데 필요한 자료들을 개발·보급해 주어야 할 것이다. 넷째, 장애학생들의 다양한 특성과 요구에 부응하는 국어과 교수·학습 자료들이 교육 당국의 주도하에 체계적으로 개발·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중등 특수교사의 교과 전문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교사 양성 과정에 대한 개선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육당국은 국어과 관련 현직 연수를 활성화하고, 교사들의 국어과 교수·학습 활동 자료들과 연구물 등이 공유될 수 있도록 교사들을 독려하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

      • 스마트폰을 활용한 의류 분류하기가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분류능력에 미치는 효과

        강호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특수교육의 목적은 장애학생이 졸업 후에 사회에 통합되어서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일상생활 기술의 습득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목표 중의 하나이다. 특별히 ‘의류 분류하기’ 활동은 세탁 전에 이루어져야 하는 필수적인 영역이며, 우선적으로 교육되어져야 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중도·중복 장애학생은 인지적인 제한으로 인하여 해당 과제를 숙지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제한성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보조공학기구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의류분류하기를 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았으며, 교수전략은 최소촉진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도․중복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1명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연구이며, 실험 결과의 도출은 과제 수행 변화 추이를 통해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최소촉진 전략을 통하여 대상 학생은 취급상 주의사항 태그를 보고 물세탁 의류를 분류하는 기술을 습득하였다. 둘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최소촉진 전략을 통하여 대상 학생은 취급상 주의사항 태그를 보고 드라이클리닝 의류를 분류하는 기술을 습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스마트폰을 활용한 최소촉진법은 중도․중복 지체장애 고등학생 1명에게 의류 분류하기 기술을 습득하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스마트교육 기반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수행에 미치는 효과

        송승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교육 기반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의 정서장애 특수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4명의 자폐성장애 학생이었으며, 실험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multiple probedesign across participants)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연구자가 제작한 스마트교육 기반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학습한 후 학교 도서관에서 실제 도서 20권을 분류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정확도(%)와 시간(초)을 측정하였다. 중재회기는 12회기에 걸쳐 제공하는 것으로 하되, 중재 중 정확도가 100%가 되면 도서 분류체계를 이해한 것으로 보고 중재를 종료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교육 기반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도서 분류작업 수행의 정확도는 향상되었고, 수행 시간은 감소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유지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지도에 의미 있는 논의를 제공한다.

      • 지적장애 중학생의 스트레스 요인 및 해소방법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전혜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nd methods of relieving str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110 special teachers working in special cla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were analyzed for the factors and methods of relieving stress of intellectually disabled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special teachers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ratio. For each facto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ressor The highest stressor in the study was found to be the class,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hysical appearance in life, and addiction in relation to teenagers undergoing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and adapting to the new environment. Post-stress behavior meant speaking alone in avoidance, swearing in attack, and positive behavior were conversations with friends, which showed that teachers needed to make efforts to relieve stress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nally, the methods of relieving stress appeared to be silence in the solution of avoidance, snacks or carbonated eating in the action of attack replacement, irritation in the solution of attack, and conversation in the positive A teacher needs to positively relieve stress with actions observed in each area of the student, study how to get along with friends, understand and approach students' various positions and behaviors.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was written by a teacher working in a special class in Gyeonggi-do middle school, it was suggested that the special school teachers and related groups such as students' positions and parents should be studied. 본 연구는 지적장애 중학생의 스트레스의 요인 및 해소방법 분석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및 비율을 통해 특수교사 입장에서의 지적장애 중학생의 스트레스의 요인 및 해소방법을 분석하였다. 각 요인별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요인 학업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요인은 수업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에서는 친구와의 관계, 생활에서는 신체외모, 중독관련은 핸드폰으로 청소년이 신체적 정서적 변화를 겪으며 새로운 환경을 적응하는 것에 스트레스 요인이 나타났다. 스트레스 후 행동으로는 회피에서 혼자말하기, 공격에서는 욕, 긍정적 행동은 친구와의 대화로 대인 관계를 통한 스트레스 해소 행동을 위해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해소방법으로는 회피해소에서 침묵, 공격대체행동에서 간식이나 탄산 먹기, 공격해소에서 짜증내기, 긍정적 행동에서 대화로 나타났다. 교사는 학생의 각 영역에서 관찰한 행동을 가지고 긍정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친구들과 잘 지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들의 다양한 입장과 행동을 이해하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기도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교사의 입장으로 작성한다고 고려하였을 때, 특수학교 재직 교사와 더불어 학생의 입장, 학부모와 같은 연관된 집단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 체감형 스포츠게임이 뇌성마비 아동의 큰 운동 기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Kinect센서 기반 게임을 중심으로

        박영민 단국대학교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체감형 게임의 종류의 하나인 Kinect센서 기반 스포츠게임이 뇌성마비 아동의 큰 운동 기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신체적 장애를 갖고 있어 다양한 체육활동의 참여에 제한이 따르는 특수교육 대상 아동들에게 실제와 비슷한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여 학교생활에 필요한 운동기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자신감과 성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G시에 소재한 지체장애 특수학교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11~12세의 뇌성마비 아동 3명(남자)이며, 본 연구의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의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Kinect센서 기반 체감형 스포츠게임을 이용한 중재를 대상 아동이 다니고 있는 학교 교실에서 주 3회(40분 수업), 6주 동안 총 18회기 동안 실시하였으며, 유지는 중재가 끝난 2주 뒤에 3회기에 걸쳐 측정하였다. Kinect센서 기반 체감형 스포츠게임이 뇌성마비 아동의 큰 운동 기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대근육 운동기능평가(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와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Physical 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다. 큰 운동 기능 평가의 경우 대상 아동별로 기초선 3회와 중재 4회기마다 1회씩 5회, 유지 3회, 총11회를 측정하여 큰 운동 기능의 변화정도를 알아보았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중재가 시작되기 전과 중재가 끝난 뒤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이상의 연구 방법 및 절차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inect센서 기반 체감형 스포츠게임을 통한 중재는 뇌성마비 아동별로 차이는 있으나 큰 운동 기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inect센서 기반 체감형 스포츠게임을 통한 중재는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히 뇌성마비 장애아동들의 신체활동 및 스포츠 활동 참여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Kinect센서 기반 체감형 스포츠게임은 실제로 스포츠활동을 하는 것과 유사한 경험을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련된 여러 신체 동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뇌성마비 아동들이 갖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일반아동들에 비해 낮았던 신체 움직임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어 적극적으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이를 통해 큰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앞으로도 Kinect센서와 같은 교육 공학 기술이 더욱 개발되고 더 많은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져 특수교육 현장에 적용된다면 뇌성마비 아동뿐만 아니라 많은 특수교육 대상자들의 교육활동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 댄스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우울 개선에 미치는 효과

        최주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우울을 경험한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댄스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우울한 기분 개선 및 태도 변화에 효과적인 대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G구 소재의 학교에 재학하는 중학교 1학년 학생 4명을 선정하여 동시 중재 AB 설계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1월 30일부터 5월 10일까지 대상학생에 대한 기초선 자료 수집 및 중재의 모든 과정이 실시되었다. 중재 단계는 총 12주(24회기)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각 중재 회기 당 한 시간씩 연구자에 의해 실시되었고, 남녀 보조자 2인이 함께 수업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댄스 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춘기 지적장애학생의 우울검사점수의 향상 및 태도 변화를 나타냈으며, 중재 종료된 후에도 중재로 인한 효과가 유지, 일반화 되었다. 이는 인지이론적․정신역동적․대인관계론적 접근에 기반하여 고안된 댄스 활동 프로그램이 사춘기 지적장애 학생의 우울 개선 및 태도 변화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사춘기 지적장애학생의 우울 개선에 대한 의미 있는 논의를 제공한다.

      • 의사결정학습 모형을 적용한 일상생활 준법교육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법의식 발달에 미치는 효과

        맹성헌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사회과 교수 ․ 학습모형 중 하나인 의사결정학습 모형을 적용한 일상생활 준법교육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법의식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밝힘으로써 학생들의 준법의식을 제고하고, 일선 특수교육 현장에서 의사결정학습 모형을 적용한 사회과 교수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에 소재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특수교육대상자 5명(남3, 여2)의 학생이며, 본 연구의 실험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multiple probe design)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2014학년도부터 고등학교 1학년에 새로이 적용된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국정교과서 가권(일반사회)(교육부, 2014) 중 10단원 ‘생활 속의 법’을 선정하여, Stahl의 에피소드를 활용한 의사결정 모형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지도함으로써 교수 ․ 학습 이 후 법의식 수준 향상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과 법교육에 있어서 Stahl의 에피소드를 활용한 의사결정학습 모형 프로그램의 적용은 연구대상 학생들의 법의식 발달에 유의한 향상을 가지고 왔다. 연구 대상자간에 차이가 있었지만 대상학생 모두 법의식 발달에 진전을 보였으며, 수업 중 중재 이후의 영향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사결정학습 모형을 적용한 사회과 교수 ․ 학습 활동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 준법교육 수업의 성취목표 달성을 가능하게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의사결정학습 모형을 활용한 일상생활 준법교육은 지적장애 고등학생 법의식 발달을 촉진할 수 있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향후 특수교육 현장에서 사회 교과 교육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특히 법교육에 적합한 교수 ․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중요한 이정표를 제시할 것이다. 아울러 사회과 교과 교육에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법교육을 통한 법의식 발달과 관련한 연구는 학교폭력 및 성폭력 예방, 그리고 장애인 인권이 강조되는 현(現) 사회적 관심과 맞물려 여전히 발전의 여지가 많은 연구영역 이므로 다른 연구에도 파급될 효과가 큰 주제라 기대된다. 앞으로도 장애영역별로 연구주제의 세분화와 다양화, 그리고 다양한 학문영역간의 통합교과적인 통섭을 통해 더 많은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져, 특수교육 현장에서 사회과 교과 교육의 전문성 확보와 더불어 법교육 전반의 발전에도 든든한 초석이 되기를 희망한다. 주제어 : 사회과, 의사결정학습 모형, 일상생활 준법교육, 지적장애 고등학생, 법의식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aw-abiding education for daily life applying the decision-making learning model, which is a one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s in social studi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legal consciousnes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well as to enhance the law-abiding consciousness of the students, the study also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teaching for social studies by applying the decision-making learning model at the forefront of the field for speci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 special needs students (3 male & 2 female) attending freshman year at the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located in city Y of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and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applied to verify the experimental effects of the study. Unit 10 "Laws of Everyday Life” from the national social studies textbooks volume A (General Social) (Ministry of Education, 2014) which is newly applied as the basic curriculum in high school starting from high school freshmen in school year 2014 was selected as the intervention, and the degree of increased legal consciousness was to be determined after the teaching-learning by the researchers reconstructing and leading the decision-making model using the episode of Stahl.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the decision-making learning model program utilizing the Stahl episode on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law education regarding social studies had brought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legal consciousness of the student study subjects.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tudy subjects, all target students showed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legal consciousness and shows that the impact was maintained in class after the intervention. Thus, confirming that the social studie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pplying the decision-making learning model enables the achievement of goals during the law-abiding education for daily life classe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s for its empirical analysis that law-abiding education for daily life applying the decision-making learning model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legal consciousness in high school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nhance future professionalism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will offer an important milestone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odels suitable for law education. Furthermore, research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legal consciousness through law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curriculum is an area of study with a lot of potential for growth as it connects with the current interests in the emphasis of social issues such as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sexual assault as well as human rights for the disabled, and cause big ripple effects to other studies as a subject. The hope of this study is for the study to became a strong foundation on which various follow-up studies occur through the specific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each disabilities as an area of research, and also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studies among various academic areas as an unified subject to achieve professionalism in th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Key Words: Social Studies, Decision-Making Learning Model, Law-Abiding Education for Daily Lif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egal Consciousness

      • 사이버 커뮤니티를 활용한 가정연계 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성태도와 성지식에 미치는 효과

        정선경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정신지체 학생들에게 올바른 성 지식과 성 태도를 교육함으로 현명하게 성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고 정신지체 학생들이 성폭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능력을 키워서 성폭력의 가해자 혹은 피해자가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의정부에 소재한 K중학교 특수학급 학생 7명과 학부모 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사이버 커뮤니티를 활용한 가정 연계 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들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효과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학생들에게 그림 자료를 활용,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기, 상황극 연출하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한 성교육 프로그램은 모든 성교육 대상자들의 성지식과 성태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을 실시한 후에 성지식과 성태도의 효과성을 비교해 보면 성지식이 성태도 보다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하지만 올바른 성지식은 긍정적인 성태도를 가지게 되므로 성지식의 변화는 성태도의 변화를 가져온다. 셋째. 사이버 커뮤니티의 활용한 가정 연계 성교육 프로그램의 부모 만족도 부모님들에게 실시한 설문지 조사에서 83.9%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