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사의 직장 내 무례함 경험에 관한 구조모형

        원소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15

        목적: 본 연구는 Weiss와 Cropanzano가 제시하고 Ashkanasy와 Daus 가 이론적 기틀을 구성한 정서사건이론과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간호사의 직장 내 무례함 경험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포함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의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99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1월 20일부터 2021년 2월9일까지었다. 조사 내용으로 직장내 무례함 경험 정도, 직장 내 무례함 경험의 선행요인으로 개인특성인 성격 중 정서성, 원만성 그리고 조직특성인 구조적 임파워먼트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직장 내 무례함 경험의 결과 변수로 개인 수준인 정서적 소진과 조직 수준인 직무만족을 선정하였다. 총 299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고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version 24.0과 AMOS 25.0을 이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χ²/df=1.88, GFI=.93, CFI=.95, NFI=.91, TLI=.94, SRMR=.03, RMSEA=.05).연구결과 구조적 임파워먼트는 직장 내 무례함 경험을 19%설명하고 있다. 정서성, 구조적 임파워먼트와 직장 내 무례함 경험이 정서적 소진을 설명하는 부분은 33%였다. 구조적 임파워먼트, 직장 내 무례함 경험과 정서적 소진은 직무만족을 68%설명하고 있다. 가설모형에서 제시된 10개의 경로에서 정서성과 직장 내 무례함 경험, 원만성과 직장 내 무례함 경험, 원만성과 정서적 소진의 관계를 설정한 3개의 가설을 제외한 7개가 지지되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조직특성인 구조적 임파워먼트는 직장 내 무례함 경험을 매개로하여 결과변수인 정서적 소진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사의 직장 내 무례함 경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인된 변수들은 간호사들이 직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무례함의 경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개발에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간호 인력의 효율적인 관리, 간호 서비스의 질 유지 및 병원조직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struct and 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nurses’ experience of workplace incivility based on the model of the Affective Events Theory. Methods: A total of 299 nurses from five general hospitals respond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measuring personality (emotionality and agreeableness), structural empowerment, workplace incivility experience,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atisfaction. Results: The hypothetical model showed a good fitness with the data: χ²/df=1.88, GFI=.93, CFI=.95, NFI=.91, TLI=.94, SRMR=.03, RMSEA=.05. Structural empowerment have direct impact on the experience of workplace incivility of nurses, but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ity was not significant. The experience of workplace incivility had influence directly on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also mediated the impact of structural empowerment on both of them. Conclusion: The structural empowerment in nursing unit can reduce nurses’ experience of workplace incivility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then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nurses’ experience of workplace incivility can increase nurses’ emotional exhaustion and decrease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may be important to improve structural empowerment in order to reduce the experience of incivility among nurses. This suggests that nurse managers should consider enhancing structural empowerment and develop programs or activities to improve the structural empowerment and to management the workplace inciviltiy.

      • 간호 대학생을 위한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정하림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and validate its effects with a sample of third-year nursing students, thereby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o the field of gerontological nursing. Methods: Humanitude care comprised four strategies and five steps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the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was developed according to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 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process. And then, a non-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do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The intervention group with 22 third-year nursing students completed the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and then participated in clinical practice for 3 weeks. The 25 third-year nursing students in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clinical practice without taking educational intervention.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control group on Humanitude care knowledg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care efficacy were analyzed with t-tests. Results: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s in Humanitude care knowledge (t=8.82, p<.001),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t=2.54, p=.015), and care efficacy (t=2.14, p=.040) whereas the score of human-centere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0.86, p=.394) was not. However, after finishing clinical practi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can be adopt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Humanitude care knowledge,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care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However, to continue the educational effect, instructors should facilitate nursing students applying Humanicide care in clinical practice. Ultimately, it can propose a novel educational direction that can be applied to human-centered care in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e. 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노인간호교과에서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은 휴머니튜드 케어의 4가지 전략과 5 단계를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델을 토대로 개발하였다.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간호 대학생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비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로 하였다. 중재군은 22명이었고, 6가지 주제에 대한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임상 실습을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25명으로, 교육 중재 없이 임상 실습만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종속변수의 동질성 검증은 t-test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중재군과 대조군의 차이검증은 t-test, 두 군간의 시간경과에 따른 결과변수의 변화와 그룹과 시간과의 교호작용여부에 대한 검증은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두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동질하지 않은 나이와 성별 항목을 공변량으로 처리하였고, 구형성 검정을 확인하였다.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의 제공한 직후, 중재군의 휴머니튜드 케어 지식(t=8.82, p<.001),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t=2.54, p=.015), 돌봄 효능감(t=2.14, p=.040)의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노인에 대한 인간중심적 태도(t=0.86, p=.394)는 유의하게 높지 않았다. 결론: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은 간호 대학생의 휴머니튜드 케어 지식,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돌봄 효능감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노인 간호학 실습에서 인간중심돌봄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학습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기관지폐이형성증 환아에서 하기도 호흡기 감염의 임상 양상

        이나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I evalu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of preterm children with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and compared them to those of preterm patients without BPD. This study enrolled the preterm patients under two years old, who were admitted with acute lower respiratory infection from March 2014 to May 2016.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BPD, and their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reviewed. A total of 71 patients (106 cases) were enrolled, 29 patients (54 cases) in the BPD group and 42 patients (52 cases)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s in the BPD group were older (p < 0.05), had a lower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p < 0.05), and showed more frequent readmission to hospital (p < 0.05). The most common virus was human rhinovirus (hRV) in the BPD group, whereas it wa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in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s in the BPD group showed a higher incidence of tachypnea, decreased aeration and chest retraction (p < 0.05), a higher respiratory symptom score (p < 0.05), a longer duration of cough and wheezy sound (p < 0.05), and a higher incidence and longer duration of treatment with oxygen and mechanical ventilator support (p < 0.05)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BPD group, the patients with RSV showed a higher incidence of tachypnea and rale (p < 0.05) than the patients with hRV. Preterm children with BPD have more frequent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and need more aggressive treatments with oxygen and ventilator support than preterm children without BPD. In this sens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of preterm children with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compared to those of preterm patients without BPD, are more severe. 최근 의료의 발전으로 많은 미숙아들이 생존하게 되고, 일부 미숙아들은 만성폐질환인 기관지폐이형성증(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으로 진단된다. 이들은 성장과정에서 많은 호흡기 합병증을 동반하게 되는데, 특히 반복적인 하기도 감염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저자들은 기관지폐이형성증을 가진 미숙아들에서 발생한 하기도 호흡기 감염의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2014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하기도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한 2세 이하의 소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과거 출생력, 입원 당시의 증상, 치료 경과 및 검사 소견 등을 분석하였다. 대상기간동안 하기도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한 전체 71명(106례)의 환아들 중 기관지폐이형성증군은 29명(54례)이었고, 대조군은 42명(52례)이었다. 대조군에 비해, 기관지폐이형성증군에서 입원 당시 평균 나이가 더 많았고(p < 0.05), 출생 당시 제대기간과 출생체중은 유의하게 더 적었으며(p < 0.05), 반복 입원 횟수는 더 많았다(p < 0.05). 기관지폐이형성증군에서 하기도 호흡기 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는 라이노바이러스(human rhinovirus, hRV)이었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가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였다. 하기도 호흡기 감염의 임상 증상을 비교해 보면, 기관지폐이형성증군에서 빈호흡과 호흡음 감소, 흉부함몰의 빈도가 대조군에 비해 더 높았고(p < 0.05), 증상 중등도 점수도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p < 0.05), 기침과 천명음의 기간 또한 더 길었다(p < 0.05). 그리고 치료 경과 상 기관지폐이형성증군에서 산소 사용과 기계 보조 호흡의 빈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다(p < 0.05). 또한, 기관지폐이형성증군 중에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양성을 보인 환아들에서 라이노바이러스 양성을 보인 환아들보다 빈호흡과 수포음의 빈도가 더 높았다(p < 0.05). 기관지폐이형성증을 가진 미숙아들에서 하기도 호흡기 감염은 기관지폐이형성증을 가지지 않는 환아들에 비해서 더 자주 반복되어 발생하며, 산소 투여 및 기계 보조 환기와 같은 적극적인 치료가 더 많이 필요한 것을 보아 더 중한 임상 경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 Structural and functional studies of β-arrestin

        강현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β-arrestin, discovered in the 1990s, was shown to be recruited to activated G-protein coupled receptor (GPCR) and desensitize GPCR signaling by inducing endocytosis. However, recent advances in GPCR signaling studies have shown that β-arrestin-mediated signaling, independent of G protein-mediated signal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physiological responses to various GPCR ligands. Biochemical and structural studies of β-arrestin showed that conformational changes occur when arrestin binds to a specific sequence motif including phosphorylated Ser/Thr, usually located in the C-terminal tail of GPCRs. In this work, through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is, I present the effect of β-arrestin phosphorylation on β-arrestin activation, and the functional role of β-arrestin in the Wnt signaling pathway mediated by Frizzled, a member of class F GPCR. Phosphorylation of β-arrestin was reported to affect β-arrestin signaling but there have been no studies examining the effect of phosphorylation from a structural perspective. To evaluate the effect of S13/T275 phosphorylation of β-arrestin 1 (S14/T276 phosphorylation of β-arrestin 2) on β-arrestin activation, I introduced phosphomimetic mutations (S13D/T275D) and determined the crystal structure of β-arrestin 1 S13D/T275D. By comparing this structure with inactive and active structures of β-arrestin 1, I discovered that phosphorylation stabilizes the pre-active state of β-arrestin 1. Through affinity measurement experiments, I further demonstrated that phosphorylation of β-arrestin increases the binding affinity to target GPCRs, which is consistent with structural data. β-Arrestin is also known to interact with the phosphorylated GPCR C-terminus, but these phosphorylation sites are absent in the Frizzled receptor.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β-arrestin can interact with Dishevelled (Dvl), which is an effector molecule in the Wnt signaling pathway. Here, I identified the binding site of β-arrestin on Dvl, measured the binding affinity between them, and determined the crystal structure of β-arrestin 1 in complex with phosphorylated Dvl fragment. Together with cell-based signaling assays, I showed that β-arrestin plays a crucial role in activating downstream ERK signaling as well as clathrin-mediated endocytosis in the Wnt signaling pathway. β-Arrestin은 1990년대에 처음 밝혀진 이후 G-protein coupled receptor (GPCR) 의 신호종료 및 endocytosis를 조절하는 단백질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후 GPCR의 G 단백질 신호전달과 별개로 β-arrestin 의존성 GPCR 신호전달이 존재한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보고됨에 따라 β-arrestin 의존적 신호전달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구조적, 기능적 특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β-arrestin이 GPCR 카르복시 말단에 존재하는 특정 인산화 서열 모티프와 결합함에 따라 구조변화를 일으켜 활성상태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β-arrestin 자체의 인산화가 β-arrestin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기능적 분석을 통해 연구하였으며, class F GPCR인 Frizzled 수용체의 신호전달 과정에서 β-arrestin의 작용기전을 구조적 생화학적 접근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β-Arrestin의 인산화는 β-arrestin의 신호전달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이를 구조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연구한 결과는 전무하였다. 본 연구에서 β-arrestin 1의 S13/T275 인산화와 β-arrestin 2의 S14/T276 인산화 의한 영향을 관찰하고자 인산화모방 변이(S13D/T275D, S14D/T276D)를 도입하였고 이 중에서 β-arrestin 1 S13D/T275D의 결정구조를 규명하였다. 기존 비활성 및 활성상태 β-arrestin의 구조와 비교분석을 통해 인산화는 β-arrestin 1의 사전활성 (pre-active) 상태를 안정화 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β-arrestin의 표적 GPCR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등온 적정 열량계 분석을 통해 보여주었다. β-Arrestin은 GPCR 카르복시 말단의 인산화 부분에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Frizzled 수용체의 경우 이러한 인산화 위치가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 β-arrestin이 Frizzled 수용체가 매개하는 Wnt 신호전달과정에서 Dishevelled (Dvl)와 상호작용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β-arrestin이 결합하는 Dvl의 결합위치를 확인하고 이들간의 결합력을 측정하였으며, β-arrestin과 인산화 Dvl 복합체의 구조를 X-선 결정학을 통해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세포기반 신호전달 연구결과와 함께, β-arrestin이 Wnt 신호전달 경로에서 clathrin 매개 endocytosis 뿐만 아니라, 하위 ERK 신호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Wnt 신호전달과정에서 β-arrestin의 역할을 새롭게 규명하였다.

      • 보완대체요법 이용과 불확실성이 유방암 환자의 삶의질에 미치는 영향

        이유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Mishel(1981)의 불확실성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질병 심각성을 자극 변수로, 보완대체요법 이용과 사회적 지지를 구조제공 변수로, 그리고 불확실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이 변수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상관관계 연구 이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지역에 소재한 일종합병원에서 2010년 7월 26일부터 10월 15일까지 병원 치료를 받고 있는 유방암 환자 전체를 표적모집단으로 하여 150명을 임의 표출하였다. 질병 심각성은 Side-effect burden scale (Longman et al., 1999)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Sherbourne & Stewart(1991)가 미국의 Medical Outcomes Study(MOS)에서 의료기관 내 환자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한 MOS Social Support Survey, 불확실성은 Mishel(1981)이 개발한 33문항의 불확실성 척도(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를 사용하였다. 또한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WHOQOL) 중 전반적 삶의 질과 건강을 다루는 4문항을 이용하였다(민성길, 김광일, 박일호, 2002).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였고, 다중 회귀분석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보완대체요법의 전체 이용 빈도, 즉 비정기적으로든 정기적으로든 여러 번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79.1%이었다. 식이요법을 한번이라도 이용해 본적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84.0%로 가장 높았다. 그 외 보완대체요법 이용도는 낮았지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질병 심각성과 보완대체요법 만족도는 삶의 질에 대한 직접 효과와 불확실성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모두 유의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는 불확실성을 매개로 한 간접 효과만 유의하고 삶의 질에 대한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와는 달리 보완대체요법 이용의 경우 삶의 질에 대한 직접 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다섯 개의 변수들이 삶의 질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43.1%이었다. 요약하면, 질병심각성이 심할수록, 보완대체요법 만족도가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불확실성은 높았다. 또한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삶의 질은 높았다. 반면에 보완대체요법 이용 자체가 불확실성을 낮추거나 높이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질병심각성 심할수록, 보완대체요법 이용도가 높을수록, 보완대체요법 만족도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수면 영향요인 : Spielman의 수면장애 모델을 근간으로

        김미예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 Spielman의 수면모델을 근간으로 간호대학생의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을 하는 3, 4학년 총 119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와 액티그래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이용하여 t-test, ANOVA, 회귀분석 하였다. 결과 : 간호대학생 119명의 자고보고식 수면의 질 측정에서 70.6%의 학생은 수면의 질이 낮았다. 액티그래피에서 간호대학생의 평균 수면시간은 4.34시간으로 총 수면시간 5시간 이하 학생이 58.5%이었고, 수면효율성은 평균 82.55% 였다. 회귀모형 분석결과, 수면의 질에 일주기수면유형(β=.27, ρ=.005), 알코올 섭취(β=.20, ρ=.032)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총 수면시간에 좌식생활(β=-.23, ρ=.018), 주간졸림증(β=-.29, ρ=.003)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상당 수가 수면장애를 겪고 있다. 이들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가보고형식의 설문지를 통한 주관적수면측정과 객관적인 생리적수면측정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일주기수면유형이 저녁형인 학생들은 수면의 질이 낮게 나타났고, 좌식생활과 주간졸림증은 수면부족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추후 수면장애를 연구할 때 주관적 측정과 함께 객관적 측정을 병행하여 수면의 주관적, 객관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 간호대학생, 수면, 액티그래피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leep patterns of nursing students, to examine influencing on factors sleep patterns in based on Spielman’s model. Methods: Participants were 119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ho were in the clinical practice period.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ctigraphy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r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Results: When sleep was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of Modified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KMLSEQ), 84 students (70.6%) showed poor sleep quality. Mean total sleep time measured by actigraphy is 4.34 hours, and the number of student who sleeps for 5 hours and less was 70 (58.5%). Mean sleep efficiency was 82.55%, and the number of students showed low sleep efficiency (less than 85%) was 67 (56.3%).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sleep pattern measured by KMLSEQ were circadian sleep type (β=.27, ρ=.005) and alcohol use (β=.20, ρ=.032). The factors affecting total sleep time were sedentary behavior (β=-.23, ρ=.018) and daytime sleepiness (β=-.29, ρ=.003). Conclusion: Many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period perceived sleep disturbance. Affecting factors on perceived sleep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objective sleep evaluated by physiologic measure were different. The evening type of students perceived poor sleep quality, however, sedentary life style and daytime sleepiness caused short sleep time. Sleep consists of subjective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therefore, more studies measure o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are needed.

      •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행위 이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옥종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Background: Heart failure patients in Korea have drastically increased. The adherence to self-care behaviors has an important role in managing heart failure and preventing readmission. However, there has been lack of information about heart failure patients' self-care behaviors and influencing factors in Korea.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adherence to heart failure patients' self-care behaviors an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the adheren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cardiac centers. A total of 312 outpatients were participated, however, the data from 280 patients who completed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uropean Heart Failure Self-care Behavior Scale(EHFScBS), Duke Activity Status Index, Dutch Heart Failure Knowledge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hort form, and Medical outcomes study (MOS) social support. Results: The mean±SD of the EHFScBS was 31.98±6.81, indicating relatively moderate adherence. Almost all participants (97.5%) answered that they have always or often taken the prescribed medicines. On the contrary, many respondents have not performed at all right self-care behaviors in the case of feeling more fatigue (20.7%) and experiencing weight gain (22.1%). Among five selected potential influencing factors (symptom severity, functional status, heart failure knowledge, depressive symptom, and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ß=-.216, p=.001), functional status (ß= .312 , p=<.000), and heart failure knowledge (ß=-.122 , p=.041) affect the adherence to self-care behaviors. It means that those who has low functional status, perceives to be supported, and has more knowledge on heart failure is likely to adhere to the prescribed instructions.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nurses should focus on educating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to improve self-care behavior adherence. Further distinctive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age and functional status will be needed in the clinical fields. 배경: 심부전은 연령과 관련이 높은 질환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심부전의 유병률 또한 증가하는 양상을 띠며 심부전의 만성적 진행과정에서 입원, 재입원의 반복 및 응급치료와 집중치료로 인한 개인과 가족의 의료비 부담 뿐만 아니라 전체 의료비 상승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한국은 점차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게 되면서 심부전을 가진 노인 환자들은 계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생각되며 심부전으로 인한 재입원은 심부전 증상의 악화에 따른 것이므로 심부전 관련 입원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경제적으로나 건강 측면에서나 모두 중요한 문제이다. 심부전 환자의 입원 및 재입원 관련 요인에는 불충분한 환자와 가족의 교육, 증상에 대한 인지와 자가간호 부족, 퇴원 후 추후 관리부족(사회적지지 시스템의 부재), 증상이 재발했을 때 즉각적인 의료서비스를 찾지 못하거나 식이, 약물과 활동 지침 등을 따르지 못하는 경우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재입원의 절반 정도는 자가 간호 이행에 의해 예방될 수 있다고 한다.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행위 이행도를 평가하고 이행도와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방법: 서울소재 종합병원 3곳에서 심부전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총 312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주 280명의 데이터만 분석에 이용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는 한글 버전 the European Heart Failure Self-care Behavior Scale(EHFScBS), Duke Activity Status Index, Dutch Heart Failure Knowledge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hort form, and Medical outcomes study (MOS) social support가 포함되었다. 결과: The European Heart Failure Self-care Behavior Scale(EHFScBS)은 12~60점의 점수범위를 가지며 평균±표준편차는 31.98±6.81로 나타났다. 자가간호 행위 이행도를 평가하는 항목 중에서 독감 백신 접종과 심부전의 악화 증상인 호흡곤란발생 시 의료적 도움을 찾는 행위에 대해서는 높은 이행도를 보였는데 이는 현재 전 국민 건강보험적용에 따라 환자들이 쉽게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고 또한 65세 이상의 대상자들에게 무료로 인플루엔자 백신을 제공해주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행위 이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능적 상태, 심부전 지식, 우울증상, 사회적 지지, 증상 중증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β=-.216, p<.001), 기능적 상태 (β= .312 , p<.001), 심부전 지식(β=-.122 , p=.041)이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기능적 상태가 낮을수록, 심부전 지식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인지하는 경우에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행위 이행도는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 기능적 상태, 심부전 관련 지식이 자가간호 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간호사는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행위 이행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심부전 관련 지식 및 심부전 악화 증상에 대한 환자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이 때 심부전 환자 중 기능적 상태가 낮은 경우 더 적극적으로 자가간호 행위 이행도에 참여하는 경향을 가진다고 했기 때문에 심부전 환자의 기능적 상태에 맞는 맞춤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심부전 환자들은 그들의 치료와 간호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지가 이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환자 교육뿐만 아니라 가족의 교육도 함께 제공되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두개하악 근막이완 테크닉이 얼굴축소 및 수면의 질, 통증에 미치는 영향

        양지혜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두개하악 근막이완 테크닉이 얼굴축소 및 수면의 질, 통증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신체 성인 남성들을 대상으로 두개하악 근막이완 테크닉이 얼굴축소 및 수면의 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함으로써 효과를 규명하고, 이러한 영향이 통합의학에서 얼굴축소 효과 향상과 수면의 질과 통증 척도와 같은 만족도에 유효한 효과를 낼 수 있는 가능성 개발을 목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성인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두개하악 근막이완 테크닉 전․후로 얼굴 크기 및 수면의 질과 만족도를 측정 분석하여 테크닉에 따른 얼굴 크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보았다. 근막이완 관리 전과 후 얼굴 크기, 피부 상태 (T)존, (U)존의 유・수분도, 수면의 질, 통증 척도를 테크닉 중재 전·후 유효성 차이 비교는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근막이완 테크닉은 얼굴 크기의 ‘얼굴 길이’, ‘가로 넓이’, ‘하악각 넓이’, ‘대각선길이’는 평균적으로 3∼4% 감소하였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p<.01) 결과로 나타났다. 관리 후 만족도 전체의 평균은 4.01으로, ‘얼굴 윤곽 개선’, ‘갸름한 턱선‘, ‘관리 추천’, ‘얼굴 길이 축소’, ‘하악각 넓이의 축소’, ‘향후 지속적인 이용 의향’, ‘얼굴 좌우 균형 개선’, ‘외모 만족’, ‘경제적 부담’, ‘불편함’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관리 전․후 ‘주관적 통증 척도(VAS)점수’는 평균 4에서 1.65로 2.35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p<.01)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근막이완 관리 후 ‘수면의 질(PSQI)’ 평가를 위한 지수, 척도 연구결과 7.35에서 3.8로 3.55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의 질’, ‘수면 잠복기’,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 방해’, ‘기능 장애’는 모두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고(p<01), 전반적인 수면의 질은 개선되었다. 하지만 ‘수면제 사용’은 수치는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두개하악의 근막이완은 얼굴축소 및 통증 척도, 수면의 질 모두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p<.01). 또한 피부 상태에 대한 처치 후 만족도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일반인들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추후 다른 실험설계를 통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호스피스 간호사의 사람중심돌봄 구조모형 구축

        김미예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인구 고령화로 인해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대상자의 남은 삶을 능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는 돌봄(car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사람중심돌봄은 대상자의 결정을 존중하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취지와 부합되는 돌봄 제공을 의미한다. 그러나 호스피스 완화의료 분야에서 사람중심돌봄의 핵심 구성요소를 파악하는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호스피스 간호사의 사람중심돌봄을 예측할 수 있는 핵심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론적 모델을 토대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McCormack 과 McCance (2021)의 사람중심돌봄 이론 모형 (Person-Centered Nursing Framework, PCNF)과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4개의 잠재변수와 20개의 측정변수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호스피스 병동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총 307명의 대상자가 응답하였고, 이 중 불완전한 응답 및 근무경력 1년 이하에 해당되는 응답을 제외한 269명의 설문응답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사람중심돌봄 전제조건, 환경, 과정은 Slater, McCance & McCormack (2017)이 개발한 사람중심돌봄 척도 (Person-Centered Practice Inventory – Staff, PCPI-S)를 김소연과 탁성희(2021)가 한국어로 번역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사람중심돌봄 결과에서 성취감은 Park과 Park(2020)에 의해 개발된 좋은 간호사 측정도구를 이용하였고, 공감만족은 Stamm (2010)이 개발한 (PROQOL Version 5,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에서 Compassion Satisfaction Subscale의 한국어버전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7.0과 IBM SPSS Amos 27.0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χ²=416.01(p<.001), χ²/df= 2.51, GFI =.86, SRMR=.06, RMSEA=.07, CFI=.93, TLI=.92로 권장지수를 모두 충족하였으며, 호스피스 간호사의 사람중심돌봄 예측 요인이 확인되었다. 가설적 모형에서 설정한 7개 경로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사람중심돌봄 전제조건은 환경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59.1%의 설명력을 보였다. 사람중심돌봄 전제조건과 환경은 사람중심돌봄 과정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72.9%를 설명하였고, 사람중심돌봄 전제조건, 환경, 과정이 사람중심돌봄 결과에 직ᆞ간접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들 변수는 38.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특히 사람중심돌봄 전제조건(개인특성)은 환경, 과정, 결과에 직ᆞ간접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호스피스 간호사의 사람중심돌봄을 장려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간호사 개인의 태도나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체계적인 교육으로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지지적 관계와 조직 시스템과 같은 돌봄 환경도 사람중심돌봄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를 통해 호스피스 간호사들은 좋은 돌봄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호스피스 간호사의 사람중심돌봄 교육 프로그램과 사람중심돌봄을 위한 환경적, 조직적 변화의 기초가 될 것이다. Person-centered care is a widely utilized concept in nursing and health care. However, the key components of hospice person-centered nursing have not much research. Moreover, previous studies on person-centered care have primarily focused on members of nursing rather than outcome factors. Therefor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fluential factors of hospice person-centered care is required.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nd validat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McCormack and McCance’s Person-Centered Nursing Framework among nurses working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oth online and offline from nurses with more than 12 months of hospice care unit experience. A total of 307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269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7.0 programs and Amos 27.0 program. The result of fitness of the hypothetical model was χ²=416.01(p<.001), χ²/df= 2.51, GFI =.86, SRMR=.06, RMSEA=.07, CFI=.93, TLI=.92; overall goodness of fit indices were satisfied with the criteria. This study's results showed that nursing prerequisites and care environment predicted the person-centered nursing process, and the person-centered nursing process predicted the person-centered nursing outcome of hospice care unit nurses. The person-centered nursing process was explained by 72.9% with nursing prerequisites and care environment, and the person-centered nursing outcome was explained by 38.2% with the person-centered nursing proc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to encourage person-centered care among hospice nurses, it is essential to improve nurses' attitudes and abilities for person-centered care. In addition, the care environment, such as supportive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al systems, also can facilitate the person-centered nursing practice. Through this positive change, hospice nurses can experience good care. Therefore, this result will be the basis of education programs for hospice nurses' person-centered care and environmental and organizational change for person-centered care.

      • 마이엘린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의 동위체에 따른 올리고머화 연구

        박예닮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마이엘린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MOG)은 중추신경계 희소돌기아교세포를 감싸는 수초의 가장 바깥쪽에 발현되는 당단백질로서 탈수초성 자가면역 질환과 직접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기존에 보고된 MOG의 세포 밖 도메인 구조연구에서 MOG가 이량체를 형성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으며, 실제 세포 내에서 MOG가 올리고머를 형성하여 작용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MOG의 명확한 생물학적 기능이나 분자적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MOG의 몇 가지 동위체 별 올리고머 형성에 대한 생화학적 분석을 통해 MOG의 올리고머화에 중요한 요소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분자 형광 상보 (BiFC) 기법을 통해 MOG의 동위체 별 올리고머 형성여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하였고, 생물 발광 공명 에너지 전달 (BRET) 기법을 통해 올리고머화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동위체 간 올리고머화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MOG의 올리고머화가 다양한 동위체 중 α1 및 β1 특이적이라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동위체 간 서열 비교와 생화학적 분석을 통해 올리고머화에 필수적인 도메인을 찾고, 이를 분리 정제하여 올리고머화에 대한 구조적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α1와 β1이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카르복시 말단 부분의 구조 모델링을 통해 3차원 구조를 예측하고 다양한 돌연변이를 제작하여 올리고머화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아미노산 잔기들을 밝혀내었다. 더 나아가 서울대병원 신경과 연구팀이 MOG에 대한 자가면역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로부터 추출한 혈청 내 IgG를 이용하여, MOG α1 및 β1 특이적 올리고머에 환자의 IgG가 결합하는 것을 면역형광법 (IFA)와 BiFC를 통해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MOG의 올리고머 형성 메커니즘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치료가 어려웠던 자가면역질환의 새로운 의학적 고찰과 치료 및 진단 방법 고안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MOG) is a myelin glycoprotein that is expressed preferentially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myelin sheath in central nervous system and is known to be directly related to demyelinating autoimmune disease. Previously, structural studies of the extracellular domain (ECD) of MOG proposed that MOG forms a dimer and have reported on the dimerization of MOG and it has been speculated that MOG would function as an oligomer in cells. However, the biological function and molecular mechanism of MOG have not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yet. In this study, I tried to reveal important factors for the isoform-specific oligomerization of MOG through biochemical analysis of MOG isoforms. I identified the isoform-specific oligomer formation of MOG using BiFC (Bimolecular Fluorescence Complementation) assay, and performed semi-quantitative analysis of isoform-dependent oligomerization of MOG using BRET (Biolumin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assa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MOG α1 and β1 isomers can form homo- and hetero-oligomers, while the remaining isomers cannot. Based on these data, I identified a common C-terminal domain of MOG α1 and β1 isomers essential for oligomerization and characterized this domain by biochemical analysis. Structural modeling of this C-terminal region suggested that part of this region is embedded in the membrane rather than exposed to the cytosplasm. Furthermore, using immunofluorescence (IFA) assay and BiFC assay, I showed that MOG α1 and β1 oligomers interact with IgG purified from serum, which was extracted from patients with encephalomyelitis by a research team from the Department of Neurolog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will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MOG oligomer formation and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therapeutic and diagnostic design of MOG-related autoimmune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