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목적 정밀 도로지도 제작을 위한 지상 MMS 자료의 무결성 향상 방법

        강인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지상 MMS(Mobile Mapping System)를 사용하여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와 UGV(Unmanned Ground Vehicle)에 적용할 수 있는 다목적 정밀 도로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높은 정확도를 필요로 하는 ADAS와 UGV용 지도를 제작함에 있어서 학술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인 GPS 신호수신 불량구간에서의 지상 MMS 절대측위 정확도 저하현상과 중복하여 취득한 지상 MMS 자료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편차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지상 MMS 자료의 무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ADAS와 UGV에 적용할 수 있는 도로지도 정보를 지상 MMS 자료를 사용하여 시범적으로 구축하고 정확도와 활용성을 평가함으로써 개발된 무결성 향상 방법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지상 MMS 자료를 이용한 정밀 도로지도 정보 구축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확하고 신뢰할만한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2대의 지상 MMS 장비를 사용하여 4개의 실험대상지역에서 지상 MMS 자료를 취득하였으며, 취득된 자료를 이용하여 지상 MMS 자료의 무결성을 향상시키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시한 지상 MMS 오차모델에 근거하여 최소한의 접합점과 기준점으로 지상 MMS를 보정함으로써 지상 MMS 자료의 절대정확도와 상대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이로써 ADAS, UGV용 정밀 도로지도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높은 무결성의 지상 MMS 자료를 제작할 수 있었다. 또한, UGV에도 활용할 수 있는 ADAS 지도모델을 개발하고 1개 도로 구간을 대상으로 하여 시범구축을 실시한 후 시범주행을 통해 제작된 지도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일반적인 차량항법 안내 외에 도로 곡률 과대변화 지점에 대한 안내, 차량이 위치하고 있는 차선에 대한 인식 및 차선이탈 경고 등 ADAS 기능 구현에 필요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었다. 이로써, 정밀 도로지도 구축에 필요한 지상 MMS 자료의 무결성 확보를 위해 개발한 방법론들의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지상 MMS 자료를 이용한 정밀 도로지도 구축의 유용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This study did research o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multi-purpose precise road map that can be applied to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hereinafter, "ADAS") and Unmanned Ground Vehicle(hereinafter, "UGV") using land-based Mobile Mapping System(hereinafter, "MMS").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improve the integrity of the land-based MMS by solving the problem of relative deviation which happens between the land-based MMS data acquired in an overlap with the declining phenomenon in absolute positioning accuracy at the poor GPS reception area which has been the problems that should be scientifically solved in manufacturing the map for ADAS and UGV use requiring high accuracy.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construct the road map information applicable to ADAS and UGV using the land-based MMS data as a demonstration,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integrity improvement method that was developed by evaluating its accuracy and usefulness, and sugges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ise road map information using the land-based MMS data. In an effort to draw accurate, reliabl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cquired the land-based MMS data at the experiment object areas using 2 units of land-based MMS equipment, and carried out an experiment on how to improve the integrity of the land-based MMS data using the acquired data. As a result of doing the research, this study could improve the absolute &relative accuracy of the land-based MMS data by calibrating the land-based MMS using the minimum tie point and control point based on the land-based MMS error model newly suggested by this study. Further,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ed map through an exemplary run after developing ADAS map model applicable to UGA as well, and carrying out a trial construction targeting 1 road section, this study could inquire into the information about a spot having an excessive change in a road curvature besides th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navigation, and the information needed for ADAS function implementation, such as the recognition of the traffic lane where a vehicle is positioned and traffic lane departure warning, etc. in real time. By this, this study could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methodologies developed for securing the integrity of the land-based MMS data needed for the precise road map construction, and also prove the usefulness of the precise map construction using the land-based MMS data.

      • GNSS/Leveling 성과의 공공수준점 성과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심관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오늘날 GNSS 기술을 이용한 측량분야의 연구 및 발전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GNSS는 그 중요성으로 인하여 각국에서는 독자적인 위성항법시스템을 개발 운영하고 있다. 미국은 GPS를 운영 중이며, 러시아는 GLONASS, 유럽연합은 Galileo, 중국은 베이두(北斗), 일본은 QZSS를 운영하고 있다. GNSS를 이용한 측량분야의 연구는 정밀위치의 결정, 지각변동의 관측 및 기상모니터링 등 여러 가지 분야로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GNSS를 이용한 측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2013년 현재 우리나라 전역 72개의 위성기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가삼각점에 오르지 않아도 높은 정밀도의 수평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기존 실시간 측량서비스 방식(VRS)을 개선한 FKP-GPS 위치보정시스템을 도입하여 기존의 VRS의 불편함을 개선하였다. 이를 통하여 GNSS를 이용한 측량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수직성과의 경우 수평성과와는 다르게 물리적인 기준면을 기준으로 성과를 산출한다. 우리나라 육상 수직기준은 인천만의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정규정표고에 의하여 우리나라 전역의 수준점 높이가 결정되었다. 우리나라 수준망의 경우 대부분 도로를 따라 구성되어 때문에 수준점이 없는 지역에서는 수준성과를 산출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2010년 이후 통합기준점이 2013년 현재 1,195점 고시되면서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GNSS·중력측량 및 국가지오이드모델의 개발을 통하여 통합기준점에서의 타원체고(h) 및 지오이드고(N)의 결정도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GNSS/Leveling 을 이용한 높이의 결정 및 검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공공측량에서 쓰이는 공공기준점은 2급 및 3급에 의한 공공기준점 측량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공삼각점과 공공수준점 겸용으로 사용되어 3차원 위치성과를 산출하는 공공기준점들이 많다. 현재 공공측량 방식은 수평위치는 GNSS 관측을 하고 수직위치는 직접수준측량으로 구분되어 있어 작업자의 많은 시간과 인력을 소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고시한 통합기준점과 직접수준측량을 실시한 2급 및 3급의 공공기준점(공공삼각점 및 공공수준점겸용)에 대하여 GNSS 성과를 이용 타원체고(h)를 취득하고 국가지오이드모델 및 EGM08 지오이드모델을 적용해 기하표고를 산출하여 직접수준측량 성과와 정확도 측면에서 분석하고, GNSS/Leveling의 경제적 효율성을 분석하여, GNSS/Leveling의 공공수준점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Toda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surveying field by using GNSS technology is continuously in progressed, and NGII(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 Institute) was built the whole country network with 72 satellite reference stations which are located in Korea at 2013 currently, and it help determining horizontal position with high accuracy without climbing to national trigonometric point. But in case of levelling, because most of bench marks were follow the path it needs so much time and manpower to calculate a level performance in area having no bench marks, so it require improvements. The public reference stations in using current public survey are usually by a surveying that second or third grades, and most of them are used both as a public trigonometric point or public bench mark, so those are able to calculate 3 dimensional positioning performances. As inspecting a way of public survey, it is divided to GNSS surveying is in horizontal position and direct leveling is in vertical position, so we have to spend much time and manpower to calculate surveying performances. In this study, in order to research a applicability of GNSS/Leveling to public survey, I build a GNSS network with 435 public reference point and 66 integrated reference point those are noticed in 6 research area, and finally calculated longitude, latitude and ellipsoid after processing base line. Also, in order to calculate geometric height of public reference point, I calculate geoid height by using national geoid model and EGM08 which a gravitational field model about whole earth.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mputed geometric height and noticed performance, I decided that the result of GNSS/Leveling applied a national geoid model is applicable to third public leveling, and that it has many advantages in time, manpower, cost of surveying by comparison of economic efficiency. Key words : GNSS/Leveling, public reference point, geoid model, levelling

      • 우리나라 해양지명 특성 분석과 표준화에 관한 연구

        임영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15

        우리나라의 해양지명은 1860년대 일본이 한반도 주변해역을 측량하여 해도를 간행하면서 명명되기 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러시아, 프랑스, 미국 등이 측량하고 조사한 자료가 해양지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왔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해양지명은 일본식 지명, 외래지명 등 해양지명의 원칙이 반영되지 못한 채 혼용되고 있다. 그동안 해양지명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우리나라의 해양지명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명명하기 위한 해양지명의 표준화 체계 등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는 우리나라 해양지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향후 해양지명의 표준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해양지명의 속성이 올바르게 해석되었는지, 적용상의 문제점은 없는지, 용어의 해석이 잘못 적용된 사례는 없는지 등을 검토하였다. 근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1900년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간행되었던 해도, 항로지, 지형도, 문헌 등에 사용된 해양지명의 특성과 속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사례분석을 위해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간행한 항해용해도와 항로지, 해양지명위원회에서 명명 고시한 해양지명과 해양지명조사보고서 등을 이용하였으며, 일본해군수로부에서 간행한 조선연안수로지, 항해와 관련된 해양자료, 일제강점기 한반도 지형도 등을 이용하였다. 한편 해양지명의 국내·외 표준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해상지명과 해저지명의 속성과 특성을 분석하고 각각의 목표물의 지리적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수치해도에서 위치와 높이를 확인하여 밑변과 높이의 비율을 산출하였는데, 단의 평균은 0.623, 말의 평균은 1.210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밑변 대 높이의 비율이 1대1 이하는 단으로 명명하고 1대1이상은 말로 명명하는 표준(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사례분석 결과를 토대로, 해상지명에 대한 몇 가지 표준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일본식 지명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 취, 기 등의 지명을 단과 말로 표준화하는 방안과 기준을 제안하였다. 둘째, 해저지명에 있어서는 조석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위상에 대해 서, 여, 초로 표준화하는 방안과 기준을 제안하였다. 셋째, 하나의 사상이 여러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는 해양지명에 대해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속성으로 재분류할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 승두말, 술미 등과 같은 일본식 지명이나 외래지명에 대해 올바르게 속성을 분류하고 명명할 것을 제안하였다. Korean Marine geographical names were designated in the 1860s when Japan published the marine chart by measuring Korean neighboring waters. Also, research materials measured by Russi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have been used as the fundamental material of Marine geographical names. As a result, Korean Marine geographical names were mixed with Japanese and foreign names without applying the principles.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research on Marine geographical names in the meantime. Therefore, thoughtful researches such as a system of names standardization are now demanded in order to designate them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The study is purposed to seek for ways to standardize and to propose the existing problems and solutions for Korean Marine geographical names. In particular, it had examined whether or not their attributes had problems in applying, whether they were applied correctly or not, and whether the interpretation of terms were applied without mistake or not. Moreover, the study analyzed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Marine geographical names which were used in marine charts, pilots, topographic maps and documentations, published from the modernized era of the 1990s to the present days. The study used the data from sailing charts and pilots published by National Marine Laboratory and Marine geographical names, and its report noticed by National Marine geographical names committee for the purpose of case study analysis. It also used the information from Josun coastal sailing instructions from Imperial Japanese Navy, Marine data related to sailing and Korean topographic map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the scale of 1:50,000. On the other hand, the study analyzed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and submarine geographical names and each geographical attribute of the target in order to investigate current level of national and global standardization. A numerical marine chart had computed its ratio of the base to height by identifying the location and height. As a result, it analyzed that the average of Dan(端) is 0.623, and Mal(末) is 1.210. Therefore, the study proposed the standardization that designated the ratio of the base to height under 1:1 as Dan(端), and the one beyond 1:1 as Mal(末). Moreover, based on the result of case studies, the study proposed several plans for the standardization of Marine geographical names. First of all, the study proposed the method to standardize and transmit Point (角, 嘴, 琦) and other Japanese designations to Dan(端) and Mal(末). Secondly, the topology that changes by the transition of tidal phenomenon is now proposed to be designated and categorized as Reef(嶼, 礁) and Rock(礪, 汝). Thirdly, the study proposed the reclassification of Marine geographical names to meet global standards about the idea being used as many designations. Last of all, the study planned to correctly categorize and no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nd foreign designations such as Seongdumal(the end of fly’s head) and Sulmi(a tail of dog). Systematic and rational database and standardization on Marine geographical names will improve public's understanding and approach of the names. Also, the extension of public consensus and awareness towards the correct use of the names will be the foundation of the global standardization for Korean Marine geographical names. As a consequence, this will advance the quality of the research and awareness of the public towards Marine geographical names. Key words: Marine geographical names, Marine geographical names standardization, Geographical attribute, A manual of Marine geographical names standardization.

      • SAR 영상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예측에 관한 연구

        윤혜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최근 기후환경 변화에 따라 강우에 의한 산사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산사태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현장 조사에 의한 측량 방법이 가장 정확하지만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는 단점으로 인해 넓은 지역의 변위량 측정에는 SAR 자료를 이용한 레이더간섭 기법의 적용이 효과적이다. 하지만 DInSAR 기법은 데이터 처리에 사용되는 DEM의 오차와 수증기에 의한 대기오차의 영향으로 기하학적 비상관성 및 시간적 비상관성이 발생하여 미세 변위를 탐지하는데 제약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더간섭기법의 오차 제거를 위한 방법으로 InSAR 누적기법인 StaMPS 처리와 외부 자료원으로부터 DInSAR의 대기오차 요인을 제거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관측된 지표 변위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검증된 지표변위 결과와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산사태위험지도를 비교하여 산사태 발생의 위험지역을 예측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지역인 경상북도 울진군 일대는 산지와 푄 현상 등의 기상조건의 영향으로 인하여 DInSAR 기법 적용시 오차가 증가하는 지역이며 오차에 대한 보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C 밴드 ENVISAT 자료와 L 밴드 ALOS PALSAR자료에 위의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지표 변이를 관측하였다. 다음과 같은 조건이 충족된다면 2-pass DInSAR 방법을 통해 실용적인 사태예보시스템 구현이 가능해질 것이다. 첫째, ASTER, SRTM의 경우 DEM 내에 상당한 에러를 분포하고 있어서 DInSAR 보정전 결과보다 변위값이 대폭 상승하여 나타나며 보정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신뢰성있는 고해상도 Base DEM(LiDAR DEM)이 도입되어야 한다. 둘째, 시간적으로 L 밴드 SAR 영상취득 시간과 최대한 가까운 Water Vapor Map 및 표면 기압 관측치가 가용해야 한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지표 투과율이 높은 L 밴드영상, 고해상도의 Water Vapor 자료 + 고정밀도 기본 DEM(LiDAR DEM)을 통해 보정된 2-pass DInSAR 결과가 가장 안정적인 지표 변위 값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조건이 충족될 경우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산사태정보시스템의 1등급 위험지역과 본 논문의 실험에서 큰 변이가 발생한 지역이 일치하였으며 특히 얕은 수목이 존재하고 고경사도가 분포하는 영역에 대한 정확한 지표 변위감지가 가능하였다. Landslide is one of the most dreadful natural hazards and the prime risk source causing lethal damages in many countries. In spite of various attempts to measure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by the remote sensed method including Differential Interferometric SAR (DInSAR) analysis, the construction of reliable forecasting systems still remains unsolved. In this study, we tackled the problem of DInSAR analysis for monitoring landslide risk over the mountainous areas where InSAR observations are usually contaminated by the orographic effects and inaccurate base topography. In order to attain the correct surface deformation, atmospheric correction of DInSAR interferograms with high resolution base topography were conducted and verified with the GIS analyses. As the result, atmospheric corrected DInSAR showed the accordance with the external landslide triggering factors such as local topography. Thus the quantitative landslide monitoring scheme is supposedly feasible on the condition that the high accuracy atmospheric error map and the methodology effectively compensating DInSAR interferograms from the external errors are available. The scheme in this study will be further upgraded for the application of future C, X and L band SAR by incorporating the spaceborne radiometer and/or weather forecasting model to establish electromagnetic wave delay map Key words : InSAR, DinSAR, ZPDDM, Time Series analysis, Landslide,

      • 방사법에 의한 지적기준점 측량에 관한 기초연구

        황정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 문 요 약 지적재조사사업 시행에 있어 기준점 구축에도 GPS를 기반으로 한 RTK-GPS 또는 Network-RTK 등 첨단기술이 결합된 시스템이 이용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GPS시스템이 갖고 있는 상공장애문제 또는 전파의 직진성으로 인한 신호차단의 문제 등으로 많은 장애물이 있는 도심에서 정확한 값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도심에서의 세부측량과 세부측량에 필요한 기준점 등은 기존의 도선법이나 다각망도선법 등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현재까지 많이 이용 되어온 도선을 이용한 측량방법도 누적오차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 도로지면에 매설되어있는 기준점은 상․하수도공사 및 잦은 도로포장과 개·보수 등 각종 도시개발로 인해 자연적 인위적 요인으로 훼손 또는 망실되어 유지 관리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의 실험은 3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실험의 기준이 되는 측점들을 설치하고 관측하여 최확값을 취득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지적삼각 보조점과 1등 도선의 기준점을 기지점으로 사용하여 1번 도선을 만들고 1번 도선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교점P와 측점을 관측하였고, 두 번째 실험은 1번 도선의 기준점을 기지점으로 사용하여 1번 도선에서 파생된 2번 도선을 만들고 2번 도선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교점P와 측점을 관측하였다. 마지막 실험은 1번 도선의 기지점인 지적 삼각 보조점과 1등 도선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건물 모서리 부분에 설치한 방사기준점을 관측하고 방사기준점을 이용하여 교회법으로 교점P를 관측하고 측점을 관측하였다. 각 실험에서 취득한 결과 값과 기준 값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번 도선과 방사와 교회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기준값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2번 도선에서는 기준 값과 다소 많은 편위 량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도선법의 의한 측량방법은 도선을 계속적으로 파생할 경우 누적오차로 인해 정확한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전자평판의 도입으로 방사법과 교회법에 의한 관측의 정밀도가 과거의 평판 측량에 비해 높은 정도의 정확한 값을 취득 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기준점이 대부분 도로에 설치되어 있어 개·보수로 인한 잦은 망실로 유지가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도심지의 도로는 지하매설물 설치 및 보수 등의 이유로 도로 준공 후 평균 약 5년안에 훼손됨을 실험지역의 도로 개·보수 현황 통계자료를 통해 알 수 있었고 기준점 망실로 인한 재 설치에 필요한 비용 등 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로 유지관리가 상대적으로 쉬운 구조물을 이용한 기준점의 설치는 효과적인 대안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기술적 측면에서 GPS 또는 항측 시스템의 활용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도심 지역에서 세부측량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도선을 이용한 기준점에 대하여 현행 및 문제점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 또한 기준점의 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방안으로 방사법 및 교회법에 의한 기준점 및 노면이 아닌 구조물을 이용한 기준점의 활용방안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bstract In implementing cadastral re-survey project, a system combined with high-tech system including GPS-based RTK-GPS or Network-RTK is expected to be used even in setting control points. However, due to aerial hindrance problem of GPS system or signal interruption problem due to linearity of radio wave, it is hard to anticipate exact value in downtown full of obstacles. Due to this reason, for detailed survey and its control points in downtown, existing graphical traversing or graphical traversing of traverse network is expected to be used but a survey method using traverse having been used frequently so far also has various problems including cumulative error. In addition, maintenance of most of the control points being buried in ground surface is difficult due to its damage or loss by natural, artificial factors as a result of various urban development including water, sewerage project and frequent road pavement and repair work. Experiment of this study was performed in 3 methods. First, most probable value was obtained through observation by installing station as control point of experiment. In first experiment, number 1 traverse was made by using auxiliary triangulation point and control point of 1st grade traverse as basing point and by using control point of number 1 traverse, intersection P and station were observed and in 2nd experiment, number 2 traverse derived from number 1 traverse was made by using control point of number 1 traverse as basing point and intersection P and station were observed by using control point of number 2 traverse. In the final experiment, radial control point installed at the edge of building was observed by using auxiliary triangulation point that is basing point of number 1 traverse and control point of 1st grade traverse and intersection P and station were observed based on intersection method by using radial control point. A difference between result value obtained from each experiment and reference value was analysed. As its result, in an experiment using number 1 traverse and radial intersection,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ference value was not represented but in number 2 traverse, considerable partiality with reference value was represented. In conclusion, it is hard to expect an exact result of survey method by graphical traversing due to cumulative error in case that traverse is derived repeatedly.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rough an experiment that as digital plane table was introduced, observation by radiation method and intersection method could obtain an exact value of high precision compared with plane survey of the past. In addition, as most of the control points are installed in the road, it is not maintained properly due to frequent damage, loss by road repair work. It could be realized through a statistic data for road maintenance status of experiment area that urban road is damaged within 5 years after its completion due to installation of underground utilities and its maintenance and cost required for re-installation due to loss of control points was analyzed. Due to above reasons, it is asserted that installation of control points by using structure that is relatively easy to maintain would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current problems through an experiment for the control points by using traverse that is most frequently used in detailed survey of downtown where utilization of GPS or aerial system is technically difficult, to indicate management reality of control points, its problem and to establish utilization method of control points by using structure, not control points or ground surface based on radiation method and intersection method as its improvement method. Keywords: graphical traversing, graphical traversing of traverse network, radiation method, intersection method

      • 블록형 경계설정 방법에 의한 지적재조사에 관한 기초연구

        민수정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The land registration ledger in Korea was first made through a land survey project by Japan in 1910. Since then the ledger has raised many cases of land registration discrepant land, whose descriptionin the ledger have not conform to then-present conditions of the land due to limitations of a paper drawing and various problems. Thus, to resolve disputes and complaints with regard to ownership of such lands, a land registration resurvey project to digitalize an old paper land registration is being carried out. Since a boundary determination of one lot in the land registration resurvey project is, in turn, to decide borders and an area of a land, it may possibly bring disputes between owners of an adjoining land. It is expected that this kind of problem shall be occurred in a land with high value and in a downtown area.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block unit based on a land for public use in order to construct an independent small area where a series of alteration will not occur and to efficiently carry forward the land registration resurvey project by, if necessary, surveying a boundary inside the block. This research categorized Mangwon-dong, Mapo-gu and Umyeon-dong, Seocho-gu into two (2) cases: one where a map boundary conformed to the ground boundary road width and one where a map boundary did not conform to the ground boundary road width. In case that the map boundary conformed to the ground boundary road width, this research proposed to decide the boundary and charge occupation and use fee for a portion of road occupation. In case that the ground boundary road width became narrower compared with map boundary, this research proposed to decide a center of two (2) blocks as road center, to maintain the road width by a new city planning line, and to adopt an incentive for rate of building volume to a lot included to the road. In case that the ground boundary road width became wider, this research proposed to sell a land secured by authorities. The land registration resurveyproject will be efficiently carried out through a block type boundary determination. Key words: Land registration resurvey project, block type boundary determination, road boundary 국 문 초 록 우리나라 지적공부는 1910년대 일본의 토지조사사업을 통하여 작성된 것으로써 종이도면의 한계와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토지의 실제현황과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이 불일치하는 지적불부합지를 양산함으로써 토지소유권을 둘러싼 민원과 분쟁을 해소하기 위해 낙후된 지적(地籍)을 디지털 지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지적재조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지적재조사사업의 일필지의 경계확정은 토지의 경계 및 면적 등을 결정하는 사항이므로 토지소유자간 분쟁 발생의 소지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지가가 높고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지적재조사사업을 하면서 연쇄적인 변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독립소지역을 구축하기 위해서 공공용지를 기준으로 블록단위를 설정하고, 블록 내부 경계는 필요시 측량하는 방법을 도입하여 지적재조사사업이 효율적으로 추진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동, 서초구 우면동 지역을 도상경계와 지상경계 도로 폭이 일치하는 사례와 불일치하는 경우로 나누어서 실험했다. 도상경계와 지상경계 도로 폭이 일치하는 경우는 경계를 결정한 후 도로점유부분에 점용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도상경계 대비 지상경계 도로 폭이 좁아진 사례는 블록과 블록의 현황중심을 도로 중심으로 결정한 후, 새로운 도시계획선을 만들어 도로 폭을 유지하고, 도로에 편입된 필지에 용적률 인센티브제도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 도로 폭이 넓어진 사례는 체비지 매각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블록형 경계설정 방법의 활용으로 효율적인 지적재조사 사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도선법에 의한 지적도근점 측량성과분석

        김규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 문 요 약 지적도근점측량은 지적세부측량의 기준이 되는 지적도근점을 설치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측량이며, 측량방법으로는 도선법, 교회법, 다각망도선법이 있으며, 이 중 도선법은 방위각법과 배각법으로 구분된다. 현재 측량기술과 최종성과를 산출하는 방법이 발전하고 있으며, 지적도근측량에서도 각 측량방법에 대한 정확도 비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도근점 성과를 산출할 수 있는 방법 중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GPS 성과를 기준으로 하여 지적도근점측량의 각 방법별 성과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기존 방위각 측량방식에 배각법 측량방식을 결합한 수정방위각법 계산방법을 제시하여 산출성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에 대하여 H형, X형, A형, Y형의 지적도근점측량의 결과와 GPS측량성과와 비교하였으며, 다각망도선법의 경우 종축 RMSE가 평균 0.009m, 횡축 RMSE가 평균 0.007m로 나타났으며, 배각법은 종축 RMSE가 평균 0.014m, 횡축 RMSE가 평균 0.009m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수정방위각법의 경우 종축 RMSE가 평균 0.013m, 횡축 RMSE가 평균 0.008m로 나타나 결론적으로 다각망도선법, 수정방위각법, 배각법 순으로 GPS성과에 근접하게 나왔다. 즉, 현장의 여건상 단도선에 의한 도근점 계산 시 종선차, 횡선차의 크기에 오차를 배부하는 배각법보다 3배각관측과 측선장의 길이에 따라 오차를 배부하는 수정방위각법이 기준(GPS)성과에 더 근접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관측치에 인위적인 각오차를 부여한 결과 수평각오차 방향으로 관측결과가 기준성과에서 멀어지게 나타났으며, 오차의 크기는 중앙부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논문과 다르게 GPS측량성과의 검증과정을 거쳐 지적도근점측량 시행방법별 비교를 한 것에 큰 의의를 둘 수 있으며, 이 실험을 통하여 다각망도선법, 배각법, 방위각법의 측정결과의 정확도를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로는 방위각법, 배각법이 혼재되어 있는 도선법 시행방법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연구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의 이산화탄소 저장량 추정방법에 관한 연구

        이상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지구온실효과와 같은 환경문제로 인하여 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원으로서의 기능 등 산림의 환경적 가치를 정량화하는 효율적인 측정기술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산림자원 조사방법은 미리 선정된 표본지역에 직접 인력이 투입되어 조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 효율적인 측면에서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항공 LiDAR 측량 기술은 지형의 수직적 구조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는데 이와 같은 장점을 이용하여 유럽과 북미의 선진국에서는 일찍부터 항공 LiDAR 기술을 이용하여 산림자원을 측정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또한 최근에는 LiDAR 센서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취득되는 데이터의 점밀도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산림 내에 분포하는 각각의 개체목 정보의 추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의 이산화탄소 저장량 추정을 위한 연구로서 이를 위해 산림지형에 적합한 LiDAR 데이터의 자료처리, 개체수목 추출, 수목의 바이오매스 및 이산화탄소 추정에 관한 Matlab 기반의 모듈을 구현하여 8영급 전나무림에 대해 취득한 항공 LiDAR 데이터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실험대상지역의 총 면적 1.3ha에서 1,033.58tCO2의 이산화탄소량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용된 항공 LiDAR 데이터의 취득시기로부터 4년 3개월 후 실험대상지역의 0.2ha(15.4%)에 대한 표본현장조사 결과로 산출된 1113.21tCO2와 비교해 볼 때 79.63tCO2(7.2%)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is a growing needs to measure the forest resources scientifically due to the fact that global warming is aggravating the environmental crisis. However, the existing method like a sample survey is limited because it is very labor-intensive, time consuming processes. Besides, it is not objective. Airborne LIDAR technology has an active laser pulse sensor and a high elevation accuracy and was not influenced by the shadow angle of the sun in comparison with other technologies. Therefore, it has already been adopted and accepted as a very valuable tool in forestry application in Europe, North America. Moreover, the recent advances in LIDAR sensor enable us to get more high resolution 3D point-clouds data and it offers a possibility to extraction of the individual tre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program modules based on Matlab, and then used the high resolution airborne LiDAR data as an input data to estimate the carbon dioxide storage in forests. And we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estimated results and field measurements. As a results of simulation, 692 individual trees were detected in the study area with 66.26% overall accuracy, 28.76% commission error, 10.55% omission error. And the R-squared of predicted DBH by height using DBH-height equation was 0.7574. Finally, the total estimated carbon dioxide storage capacity in the study area was calculated at 1,033.58tCO2.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alculated dioxide storage capacity using airborne LiDAR data was about 7.2% smaller than the traditional method by field measur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