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암회색 상감기법을 활용한 도자 작품 연구

        신지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상감청자의 장식기법 중 하나인 상감기법은 바탕에 다른 물질을 박아넣어 장식한 것이다. 상감기법에 사용되는 흙을 상감토(象嵌土)라 부르고, 구워낸 뒤 유면 아래로 나타나는 색상에 따라 백색의 흙을 백상감토(白象嵌土), 검붉은 색의 흙을 흑상감토(黑象嵌土)라 한다. 상감 문양의 흰 부분과 검은 부분 외에 그 중간의 회색빛을 띠는 상감청자 유물이 있다. 이 회색빛을 태토색인 회청색보다 어두운 회색이라 하여 암회색이라 한다. 현존하는 암회색 상감 유물의 개수는 매우 적다. 그 러나 암회색 상감 문양에서 보이는 뚜렷한 명도 차이는 백색, 태토색, 흑색 3가지로 한정되었던 청자의 상감 문양에 암회색이라는 하나의 색을 의도적으로 추가하였고, 그 결과 문양 표현에 있어서 회화적인 느낌을 고조시킨다. 이에 암회색 상감기법의 중요도를 높이고, 암회색 상감을 활용한다양한 작품 제작과 나아가 새로운 미적 가치를 표현하는 것에 연구 목적 이 있다. 상감기법은 크게 제작방식과 상감토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제작방식은 기존의 연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상감토의 종류에 따른 분류 중 암회색 상감의 경우, 남아 있는 유물은 청자 판 2점, 청자 돈 1점, 청자주자 1점. 청자 매병 2점, 청자 합 2점, 청자 파편 2점 등으로 그 수가많지 않다. 암회색 상감의 유물 중 몇 점은 오래전부터 명품으로 알려져있었지만 암회색이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가로 제시하는 유물은 청자 합 2점으로 모두 해외 소장 유물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암회색 상감이라는 익숙하지 않은 개념을한 번 더 고찰하여 앞으로 더 많은 자료가 발견되고 암회색 상감의 뛰어나고 다양한 모습이 연구되기를 고대한다. 상감기법의 제작 기법에서는 상감청자 제작에 중요한 청자유 실험과 상감토 실험을 진행하였다. 청자유는 유면 아래에서 문양이 잘 보이도록 맑고 투명한 것이 중요하다. 안정적인 유약 데이터를 찾기 위해 진행된 청자유 실험은, 유약의 색이 가마 번조 시 환원 분위기에 큰 영향을 받기때문에 주의를 기울여 실험하였다. 상감토 실험은 철분 함량이 다른 태토를 미분하여 진행된 실험이 있지만, 안정적인 데이터 구축을 위해 수축률과 발색을 보완하고 원료를 배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감청자의 작품 제작은 실험을 통해 얻은 다양한 명도의 상감토를 활용하여 상감기법의 회화성을 돋보일 수 있도록 장식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상감토의 명도 차이는 문양의 회화성을 높여주었고 단순한 흑백이 아닌, 다양한 회색을 보여줌으로써 회화적 이미지를 풍부하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활용을 통해 암회색 상감에서 보이는 다양한 장식 효과는 현대에서도 지속 가능하며 상감청자의 발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한국 샤머니즘을 모티브로 한 도자작품연구

        오유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psychological symbols of the unconsciousness embedded in Korean shamanism, in the form of a ceramic painting. To that end, the researcher took note of the fact that the symbols used in Korean shamanism have universal meanings, despite its folk styles unique to Korea. This study does not discuss the spiritual phenomena of shamanism or their credibility. It only focuses on how shamanistic beliefs and performances function and psychologically affect those experience shamanism. In the same vein, the symbols expressed and performed in Korean shamanism also exert practical effects in the minds of Koreans, in the same way that symbols in artworks work as psychological reminders. In primitive societies, where the distinction between nature and myths was blurred, shamanism emerged as psychological response to nature. Since then, shamanism has become a religious phenomenon widely across the world and through out history from the paleolithic era to the present day. Despite its origin in primitive societies, shamanism is still found in this day and age despite advancements in science rooted in rationalism. This fact is a testament to the fact that shamanism has its roots in the universal human psyche. Shamanism not only preserves ancient myths, but also consists of performances that depict the myths. Those performances provide a glimpse of unconscious archetypes discussed in psychology. Shamanism represent the supernatural realm of myths, which modern-day people sometimes encounter in their dreams, through its world view, the lives of shamans, and its rituals. As such, psychological elements in the deep unconscious can be found by examining shamanism as psychological symbols. The psychological primitivism and symbolism found in shamanism drove many artists to adopt shamanistic elements in their works. In particular, the unrefined folk elements and the unique view of nature found in Korean shamanism inspired artists looking for the underlying elements that are uniquely Korean. The familiar yet unfamiliar primitiveness of Korean shamanism was revitalized in contemporary artworks through transformation of symbols. The researcher also sought to express the realm of gods as the real of the unconsciousness by combining the ideas of Korean shamanism with the researcher’s personal thoughts. In other words, by connecting the psychological symbols found in representations of gods with Jung’s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ereby expres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gods and humans, and gods and the shamanistic world via symbols of the unconsciousness, the conscious, their integration, and self-completion. The researcher created a ceramic painting by painting on a porcelain pot using iconographic symbols from musindo paintings (paintings of shaman gods). The pot not only serves as a canvas, but has its own symbolism as does the subject matter itself, and combines the picturesque expression of mushindo paintings with the three-dimensional elements of the pot. The inner space of the pot is separated from the outside, and the inner space widens toward the bottom. The pot can be also understood as metaphor for fundamental human behaviors, as it has been used as container since ancient times to store things, including corpses. In the researcher’s work, the interior of the pot becomes a space for psychological projection of the expanding realm of the unconsciousness, and the archetypical imagery of the unconsciousness emerges from the surface in the form of Korean shamanism. In other words, the researcher expressed her ideas about the human mind through symbolic combination of the pot and musindo paintings. 본 논문은 한국 샤머니즘을 모티브로 그 속에 내재된 무의식에 대한 심리적 상징을 도자 회화 작품으로 풀어내기 위한 연구 논문이다. 그를 위해 연구자는 한국의 샤머니즘이 한국만의 독특한 민속적 양식으로 표현되면서도, 사용되는 상징들이 보편적인 의미를 내재하고 있다는 사실에 집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샤머니즘의 영적 현상이나 그 신빙성에 대해서는 논하지 않는다. 단지 그러한 믿음과 행위들이 샤머니즘을 마주하는 사람들에게 심리적으로 기능하고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기반하고 있다. 이것으로 한국 샤머니즘에서 표현되고 연행되는 상징들 또한 실제적으로 사람들의 마음 안에서 작동한다고 볼 수 있다. 예술에서 상징들이 심리적 환기로 기능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샤머니즘은 자연과 신화를 구분 짖지 못하던 아득한 옛날부터 원시인들이 자연을 대하는 심리적 대응으로 시작되었다. 그 후 구석기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세계 도처에서 발견되는 보편적인 종교 현상이 되었다. 원시 사회에서 시작된 샤머니즘이 시대의 변화와 합리주의에 바탕을 둔 과학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면면이 계속된다는 사실은 샤머니즘이 보편적인 인류정신의 뿌리를 간직하고 있다는 반증이 된다. 샤머니즘은 원시 신화를 보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화를 행위로 표현하며 지금까지 이어져왔다. 우리는 그 속에서 심리학에서 말하는 무의식의 원형상들을 볼 수 있는데, 샤머니즘은 현대인이 꿈에서 간혹 마주치는 초자연적인 신화의 세계를 그 우주관과 샤먼의 삶, 주술적 제의에서 나타내고 또 경험하게 한다. 결국 샤머니즘을 심리학적 상징으로 바라보면 그 가운데서 무의식의 심층에 있는 심리적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다. 샤머니즘이 간직하고 있는 그러한 심리적 원초성과 상징성으로 인해 많은 예술가들이 샤머니즘의 요소들을 작품에 차용하였다. 특히 한국 샤머니즘이 가진 다듬어지지 않는 토속성과 주술적 자연관은 한국적이고 근원적인 것을 탐구하는 작가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한국 샤머니즘의 익숙하면서도 낯선 원시감은 상징의 변용을 통해 현대적인 작품 속에서 새롭게 부활하였다. 본 연구자 역시 한국 샤머니즘의 관념과 개인적인 사유를 결합하여 신의 세계를 무의식의 세계로 표현하고자 했다. 즉 한국 샤머니즘의 신의 표상에서 나타나는 심리학적 상징을 융의 집단무의식 개념과 연결시켜 신과 인간, 신과 샤머니즘적 세계관의 관계 등을 무의식과 의식, 그에 대한 통합과 자기완성의 상징으로 풀어내었다. 특히 신들의 초상이라 할 수 있는 무신도의 도상에 나타난 상징들을 차용하여 백자 항아리 위에 그림을 그리는 도자회화 형식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몸체가 되는 항아리는 단순히 캔버스로써만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의 소재와 마찬가지로 그 자체의 상징성을 가지며, 이로써 무신도의 회화적 표현과 항아리라는 입체적 요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아리는 안과 밖이 분리되어 안으로 갈수록 공간이 깊어지는 동굴과 유사한 형태적 특성을 가진다. 또한 태곳적 저장 용기로서, 무덤으로서 기능했던 오랜 역사성으로 인해 근원적인 행위에 대한 메타포로도 읽힐 수 있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항아리의 내부는 확장되는 무의식의 세계에 대한 심리적 투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 되며, 그 표면에 무의식으로부터 올라온 원형적 심상이 한국 샤머니즘이라는 옷을 입고 드러나는 것이다. 즉 인간의 마음에 대한 관념을 항아리와 무신도라는 두 요소의 상징적 결합으로 표현하였다.

      • 백제토기를 모티브로 한 화분제작연구

        진소율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백제시대 토기를 모티브로 한 화분 제작에 관한 연구로서 백제토기 중 호(壺)를 중심으로 조형적 원류와 제작배경, 출토 유물의 분석, 조형적 특징을 유추해 내 실용성과 미적 기능을 갖춘 화분 제작을 목적으로 하였다. 토기는 우리 문화유산의 하나로 한민족의 삶과 문화를 담은 그릇이다. 지역과 시대, 생활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발전하였으며, 한반도 전국에 그 가마터와 생활터, 고분 등의 유적을 중심으로 다수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실물자료와 문헌자료를 통하여 4세기경 삼국시대 토기에 대해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백제시대 토기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백제토기는 고구려·신라에 비하여 장식을 적절히 배제하고 조절하여 담백하고 질박한 순진성과 단순하면서도 현대적인 느낌을 갖는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백제토기의 호(壺)는 신라나 가야의 장식적이고 세련된 형태에 비해 질박한 순진한 느낌이 더욱 극대화된다. 타렴성형기법으로 제작된 백제의 항아리에서 느껴지는 원초적인 선문과 자연스러운 형태는 이 시대의 요구와 흐름에 맞는 화분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중요한 화두는 행복한 삶이다. 19세기 전후로 한 산업시대에서 부와 물질적인 풍요가 삶을 살아가는데 중요했던 반면, 최근의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행복한 삶인 것이다. 즉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서 자신과 주의 환경의 양(良)적인 측면보다 질(質)적인 측면의 더욱 큰 관심을 쏟고 있다. 그렇다면 질적인 측면의 핵심에는 무엇이 있을까? 다양한 요소가 논의될 수 있겠지만 분명한 점은 바로 인간이 자연과의 상호작용과 교감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들 수 있다. 산업화를 거듭하면서 현대인들은 자연과는 괴리된 공간과 환경, 즉 아파트 주거 및 도시빌딩 속 사무실에서 필연적으로 인공물을 주로 경험하는 생활에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정된 공간에 자연을 구현하는 식물 분재(盆栽)는 예부터 지금까지 사랑받아 왔으며 현 시대에 들어서는 자연을 구현하는 목적과 함께 예술적 차원의 의미가 더해져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식물을 심는 화분에 있어서도 심미적 관점이 부각되고 있다. 화분에 대한 연구 범위는 실내식물 중에서도 실내정화 기능이 우수한 관엽식물의 분재(盆栽) 용기를 제작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먼저 화분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화분의 개념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화분의 발생과 유형, 또한 화분의 현황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제작방법으로는 코일 성형, 목물레 성형, 타렴성형 제작법을 사용하였다. 형태변형 및 문양의 단순화, 확대, 축소를 하였고, 타렴을 통한 시문된 장식을 잘 드러냄과 동시에 화분의 과습 조절 기능을 살리기 위해 유약을 사용하지 않았다. 태토는 토기화분을 제작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태토 색상실험과 태토에 커피박을 섞어서 다공성을 높여주었다. 때문에 형태의 제약이 없이 화분의 형태를 구현할 수 있었다. 형태는 백제토기의 호(壺)의 미적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둥근 곡선미를 강조한 형태로 제작하였다. 또한 질박한 질감을 담고자 타렴 기법을 응용하여 화분의 외부 장식에 시문하고자 하였다. 타렴 성형방법으로 백제 토기의 질박한 선문을 구연하고자 하였으며 자연으로의 회귀를 원하는 현대인들의 생활공간에 조화될 수 있는 화분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번조방법은 전기가마로 1160도 산화번조 하였다. 번조온도대별 흡수율 실험을 통해 번조온도를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심도 있게 진행되지 않았던 토기 화분에 대한 제작 연구를 통해 고대의 백제토기의 미적요소와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고대 토기인 백제시대 항아리가 주는 질박한 순진성과 자연스러운 선의 미를 담은 화분의 제작을 통해 고대의 토기가 현대 생활공간에 새롭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 문화예술교육 연계 전통 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 모색

        유지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oday, there's a noticeable rise in socio-cultural expectations surrounding traditional crafts. This growth is mainly attributed to the ever-expanding global online retail market and the changing purchasing habits, fueled by an increasing emphasi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consumption patterns. Many believe that these factors mark a significant turning point for traditional crafts. As the public's outlook diversifies, there's a noticeable shift towards respecting individual experiential values more than ever before. In the early days of traditional crafts in Korea, fostering policies and support programs were often limited to indirect communication between craftsmen and the public, such as exhibitions and competitions to select winner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systems, and master craftsman qualifications. However, as the scale of the crafts industry has grown, the crafts sector has evolved to include roles such as planners, merchandisers, and educators who help connect crafts with the public, as well as expanding opportunities for contact points between craftsmen and the public.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future trend of traditional crafts is to go beyond the category of creation and help people to enjoy them by embodied in the daily culture of living subjec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trend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industries in Korea over the past century. Additionally, it seek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dustries and craft education, examining how they have evolved and developed.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and craft education. It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raditional craft education implemented in various institutions, with a specific focus on mother-of-pearl and lacquer crafts. The analysis highlights the demand for general, social najeon, and lacquerware education for the public, while also identifying the lack of diverse programs as a key issu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into public life, the study sets the goal of proposing an educational program that falls under the umbrella of "cultural arts education" accessible to everyone. In this regard, the study reviews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2018-2022)," which aligns with UNESCO'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derives directions and points of improvement for traditional craft education. The first goal is to establish a cultural ecosystem that fosters the enjoyment of crafts. The second goal involves diversifying craft education to cater to the needs and interests of consumers. The third goal aims at enhancing the traditional craft workforce by strengthening the manpower base. To achieve the goal of diversifying craft education to meet consumer needs, both long-term and short-term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emphasis was placed on creating consumer-centered programs. To assess and evaluate the outcome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in the education programs. The ultimate objective is to establish a strong connection and resonance with the general public through traditional crafts such as najeon and lacquerware education. By doing so,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rection and program outcomes of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education as a strategy for sustainable popularization.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into five main categorie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surrounding the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industry and education in Korea confirmed the necessity of public education in traditional crafts. It was observed that societal issues and consumption patterns are shifting towards sustainable attitudes that prioritize experiences and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to transform our perception of traditional crafts from mere material possessions to valuing the experiential aspects. Secondly, the study explored ways to enhance education on sustainable mother-of-pearl and lacquer crafts as a mediator between traditional crafts and the public. Through analyz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craf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it became evident tha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iverse traditional craft education programs that respect and embrace different generations and cultural backgrounds. Thirdly, a proposed traditional craft education program, aligned with the cultural arts education policy strategy, focused on the second goal of diversifying craft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consumer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select customized topics for the education target group, with an aim to create a consensus that bridges the gap between the public's daily life and mother-of-pearl and lacquer crafts. Fourthly, the study incorporated craft-related educator completion courses, including craft educator training and cultural arts education history, as an empirical educational program reviewed through real-world case studies.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relying solely on theoretical analysis, the researcher completed courses to foster craft mediators and attain qualifications as cultural arts educators, providing a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program. Lastly, the study conducted a series of processes from program design to training and result analysis, allowing for a clos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structure. This approach, which involved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program, is not commonly found in previous studies on craft education programs with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provided valuable insights by swiftly improving the program through direct consumer feedback and incorporating it into the various stages, from planning to execution and evaluation. However,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that should be acknowledged, including the analysis of various target groups, the objectivity of program results, and the absence of active publicity measures. To implement a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that caters to the specific needs of each target group, a more extensive analysis of the target groups and further development of program planning are necessary. Moreover, future efforts should focus on establishing objectivity and justif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raft education programs. Additionally, to ensure that educational programs reach diverse generations and social classes, it is crucial to implement a comprehensive publicity strategy. This strategy should aim to inform and engage individuals from different backgrounds and make them aware of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available. By establishing traditional crafts as a culture that can be enjoyed by anyone in their daily lives, rather than exclusively by a select group of experts, we can foster the contemporary relevance of traditional crafts. As the demand for crafts continues to expand in our society,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further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each craft field. Furthermore, raising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consumer-centered traditional craft education is essential. Through these efforts, we can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ppreciation of traditional crafts in our society. 오늘날 전통공예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대는 날로 커지고 있다. 전 세계 온라인 유통시장의 확장과 소비패턴의 질적 향상에 따른 구매방식의 변화는 전통공예 전환점의 신호로 생각된다. 대중들의 시선은 다양화되고 개인의 경험적 가치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국내 초창기 전통공예 육성정책과 지원사업은 전시, 공모전을 통해 수상작을 선별하거나, 무형문화재 보호제도와 명장 자격과 같은 공예가가 대중과 직접적이기보다는 간접적 소통방식에 그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오늘날 공예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공예 분야에는 기획자, 머천다이저, 교육가 등 공예와 대중과의 연결을 돕는 역할들과 함께 공예가와 대중이 만나는 접점의 기회가 확대되는 양상으로 진전되어오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흐름은 창작의 범주를 넘어 생활 주체의 일상 문화로 체화하여 향유 하도록 돕는 것이 전통공예의 지향점이자 필요한 역할이라고 믿는다. 본 연구는 지난 백여 년간 한국의 근현대 나전‧칠공예 산업의 현 지점을 파악하고, 나전‧칠공예 산업과 공예 교육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며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해왔는가 알아보고자 하는데서 출발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과 목적에 의해, 먼저 전통공예 산업과 공예 교육의 관계에 대하여 살피고, 현재 여러 기관에서 시행되는 전통공예 교육의 현황을 나전‧칠공예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대중을 위한 일반‧사회 나전‧칠공예 교육에 대한 수요와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족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대중의 삶과 연동된 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목표를 두고,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유네스코 주요 정책인 지속 가능한 발전목표의 ‘양질의 교육’ 전략 가운데 하나인 ‘문화예술교육 정책(2018~2022)’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전통공예 교육의 개선 방향과 연계점을 도출하여 다음과 같이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공예 향유 문화생태계의 구축’ 둘째, ‘수요자 중심의 공예 교육 다각화’ 셋째, ‘전통공예 인력기반 고도화’ 이 가운데 ‘수요자 중심의 공예 교육 다각화’를 중심으로 장․단기 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설계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또한, 해당 결과에 대한 검증과 평가를 위하여 교육 참여집단의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전통공예(나전․칠공예) 교육을 매개로 일반 대중과의 공감대(연결)를 형성하고, 지속 가능한 대중화를 위한 전략으로서의 나전‧칠공예 교육의 방향성과 프로그램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았다. 연구 성과는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내 나전‧칠공예 산업과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해 대중을 위한 전통공예(나전‧칠공예)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오늘날 사회적 이슈와 소비패턴은 제작과 물질적 소비 중심에서 경험을 중시하고, 환경을 생각하는 지속 가능한 태도를 중시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즉, 전통공예에 대한 우리의 인식 역시 이러한 동향을 반영했을 때, 공예를 단순히 물질적 소유물로 바라보는 태도에서 공예를 통한 경험을 중시하는 태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둘째, ‘전통공예(나전‧칠공예)와 대중을 매개할 지속 가능한 나전‧칠공예 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국내 외 공예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 분석을 토대로, 각 세대와 문화적 배경을 존중하고 함께 아우를 수 있는 다양한 전통공예 교육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의 필요성을 밝혔다. 셋째, 개선 방향의 두 번째 목표 ‘수요자 중심의 공예 교육 다각화’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 정책전략과 연계한 전통공예(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설정 목표를 기준으로 교육 대상층에 대한 사전 조사를 진행하여 맞춤형 주제를 선정하였고, 대중의 일상과 나전‧칠공예를 매개할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넷째, 공예 관련 교육자 이수 과정(공예 에듀케이터, 문화예술교육사)을 통해 실제 현장 사례로 검토된 실증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분석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본 연구자는 공예매개인력 양성과정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을 함께 이수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제 설계부터 진행에 들어갈 때 단계별 실행방안을 설정하여 체계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었다. 다섯째, 프로그램 설계부터 교육 진행, 결과 분석까지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면서, 해당 프로세스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었다. 기존 문화예술교육 내 공예 교육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기획부터 실제 적용사례와 결과 분석까지 이루어진 경우는 드문 편이며, 프로그램의 구상 단계에서 실현되지 못하고 그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프로그램 기획부터 진행과 평가까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면서, 수요자의 생생한 의견을 반영해 프로그램을 빠르게 개선하는데 활용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대상층에 대한 분석과 프로그램 결과에 대한 객관성 그리고 적극적인 홍보방안 부족 등에서는 한계점을 지닌다. 각 대상층의 수요에 맞는 맞춤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대상층 분석과 프로그램 기획안의 개발 등을 필요할 것이며, 이런 과정을 통해 전통공예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객관성과 당위성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 다양한 세대와 사회 계층에게 교육프로그램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도 이를 알리는 홍보 전략이 필수적이다. 우리 사회에서 전통공예의 지속 발전 가능성은 특정 전문가들만이 누리는 문화가 아니라, 생활 속에서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문화로 자리 잡을 때 비로소 전통공예의 현재화가 이행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논문이 공예가 우리 사회에서 그 수요가 확장됨에 따라, 각 공예 분야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요자 중심의 전통공예 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확대되기를 바라며, 향후 이와 관련된 구체적이고 진전된 연구가 계속해서 이루어지길 바란다.

      • 白磁 달항아리 製作技法 硏究

        강태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is a study of technical social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White Porcelain Moon Jar' through its manufacturing procedure and a sense of beauty. As it can be known from former studies and documents,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and accuracy of White Porcelain Moon Jar despite its periodical closeness. Despite this fact, White Porcelain Moon Jar is still loved by ceramic artists along with the general public as it becomes transformed in different field. Ever since the Chosun dynasty, exactly where the beauty of the Moon Jar came from was a question that ought to be answered. The research was conduced to understand how the Moon Jar has captivated the people ever since the Chosun dynasty by looking at its manufacturing process, especially the 'Top-Bottom Joining Technique', a unique ceramic process To begin with, I arranged the organization process of the term 'White Porcelain Moon Jar', its birth,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 process. In today's word, 'White Porcelain Moon Jar' represents the 17~18th century Chosun Dynasty white porcelain jar that is about 40cm in height with white colors and a round shape like a full moon. It has its widest diameter in the middle and the ratio of the maximum diameter and height is around 1:1. The name "Moon Jar" was created by famous modern age artists like Kim Hwan Ki and Choi Soon Woo. The phrase porcelain moon jar served as a momentum for the first exhibition of National Ancient Palace Museum in 2005, and in 2011 the name was changed from White Porcelain Big Jar to White Porcelain Moon Jar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t is difficult to investigate exactly how the Moon Jar came about, but it is possible to assume by the similar name change procedure. Especially if you focus on the formal changes of the part of lip, it changed from a 45 degrees curved [>] shape to a longer and 90 degrees curved vertical shape. The importance of the white porcelain is assumed to have gained notice since the Japanese occupation. At that time, white porcelains were simply overlooked as household appliances or stolen goods from colonization. However, the porcelains started to rise in its importance as Japanese scholars such as Asawaka brothers, Yanagi Muneyoshi and Chosun artists, influenced by the Japanese scholars and started to take interest and discuss it as an artwork. Kim Hwan Gi and Do Sang Bong were renowned collectors of the white porcelain, and used it as the main subject of their works. This flow continued until the 60s and 70s, allowing Choi Sun Woo and Jung Yang Mo to give interpretations from a non-colonized view and activities centering the white porcelain such as the <The Exhibition of Lee Dynasty White Porcelainn Moon Jar>. This flow contributes in expanding the domain of art which leads to the re-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of the Moon jar. This has been observed through Kim Hwan Ki along with Do Sang Bong who fell in love with white porcelain jars during the modern age, and also Choi Young Wook and Gu Bon Chang who try to capture moon jars in different points of views in paintings and pictures. Also, as it can be seen in 2018 Gwang Ju international art fair, which shows the most recent artistic trend, the moon jar is being renewed in different ways. The beauty of the Moon Jar is created by the combination of necessary coincidences from its manufacturing procedure. Therefore, I looked into its manufacturing procedure, starting from soil gathering to reheating process by going through Choson Dynasty documents. Gathering the right soil with appropriate viscosity, white light degree was an fire-resistance capacity, and immensely important phase. According to 『Yukjeonjorye』 and 『Sokdaejeon』, white soil from Gwang-Ju, Jin-Ju, Yang-Gu, and Gon-Yang province was considered the best. After soil gathering, it goes through a filtering process to get rid of impurities. Then the ceramic surgery procedure to structure the shape follows. Usually the ceramic surgery is done at the potter's wheel, and even though there is no precise information about the Chosun Dynasty potter's wheel, it can be inferred from genre paintings by Kim Joon Geun that pottery artists used foot-based wheels. Also, since the Moon Jar is rather big, using the top-bottom joining technique—normally not used in white porcelain jars—is a noticeable procedure. This technique requires joining the top and the bottom part after molding them separately, and the origin of such a technique is unknown but it is mentioned in the book 『Cheongonggaemul』 written during the Myeong Dynasty of China by Son Eung Sung. The joined marks can be seen on the national treasure white porcelain moon jar and white porcelain jar excavated from Geum-Sa-Ri. After the ceramic surgery, set the form without any additional decoration and dry it long enough before burning it at about 800~900 celsius. Later on, the glaze is applied on to the pottery.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glaze was composed of three elements: Glaze stone, ash, limestone.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from excavated shards, it shows that ever since 18th century when the moon jar was created, Kaliyu. was used instead which has less than 10 percent of calcium content. It is assumed that this was to use the talcum constituent to make snow-white and milky-white porcelain. The final stage is to reheat the porcelain in a high heat. . Furthermore, I looked into present ceramic artists such as Shin Bong Kang, Jong Young Kim, Soo Jong Lee, Soo Gul Jeon and examined present day moon jar manufacturing process and techniques, and the artists's philosophy contained within the moon jar. By expanding the concept of the Moon Jar, which went through these processes, we advance from the simple idea of a porcelain to the qualities the piece holds in terms of the background in which the sense of beauty was formed and the cases in which these have been applied. Hopefully this study will play an essential role in understanding white porcelain moon jars more deeply and widely. Furthermore, it is my wish that the white porcelain moon jar will be studied and applied in various fields. 본 논문은 백자 달항아리의 제작기법의 실제와 달항아리가 갖는 특징적인 제작기법인 ‘상하접합’ 기법을 속성적·기술적·사회적 측면에서 분석한 고찰이다. 선행연구나 기존 문헌사료와 발굴자료 등에서 알 수 있듯 백자 달항아리는 비교적 그 시기가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정보의 양이나 정확성이 부족한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달항아리는 도예가는 물론이고, 수많은 분야에서 재해석되어 새로이 변모하고 있으며 대중에게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조선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을 사로잡은 달항아리의 아름다움,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달항아리가 만들어지는 과정, 특히 달항아리의 특징적인 제작 기법인 ‘상하접합’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연구를 시작하였다. 오늘날의 ‘백자 달항아리’는 높이 40㎝ 내외의 보름달처럼 희고 둥근 17~18세기 조선시대 백자 항아리로서 몸체 중앙부에서 최대경을 이루고 몸체최대경과 높이가 약 1:1의 비례를 이루는 기형을 말한다. 그러나 백자 달항아리를 지칭하는 명칭은 시대별로, 분야별로 혼재되어 있었으며 그 흐름은 백자 달항아리 미감의 형성 과정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때문에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백자 달항아리’의 미감 형성과 용어 정립 과정을 살펴보고 달항아리의 현황 및 형태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백자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로 추정된다. 당시 백자는 생활품 혹은 식민지의 약탈품으로 여겨지는 것이 전부였다. 이는 아사카와 형제, 야나기 무네요시 등의 일본인 학자와 이에 영향을 받은 조선인 문화예술인들의 관심과 논의를 통해 예술품으로서 그 중요성이 주목되었다. 특히 대표적인 백자 수집가이자 애호가였던 화가 김환기와 도상봉은 달항아리를 작품의 주된 소재로 삼기도 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60, 70년대까지 이어져 최순우, 정양모 등의 미술사가 내에서도 식민지적 관점을 탈피한 해석과 ≪이조백자달항아리전≫ 등 조선 백자를 중심으로 한 활동이 이루어졌다. ‘달항아리’라는 명칭 또한 1950년대 당시 김환기, 최순우 등 근대기 미술계 인사에 의해 붙였다고 전해진다. 이후 2005년 문화재청의 ‘백자대호 일괄 문화재 지정’과 국립고궁박물관의 첫 기획전인 ≪백자 달항아리전≫을 계기로 달항아리의 가치와 그 명칭이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된다. 그리고 2011년 문화재청의 ‘국가지정 동산문화재 지정명칭 변경 공고’를 통해 국보 및 보물의 문화재명 또한 백자대호에서 백자 달항아리로 변경되었다. 현전하는 달항아리는 지정문화재 7점(국보 제262호·309호·310호, 보물 제1437·1438·1439·1441호), 비지정문화재 17점이다. 현재까지 확인되는 달항아리 자료로는 출현배경과 정확한 원형을 찾기는 어렵다. 때문에 유사한 흐름을 보이는 백자 원호의 변천과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특히 유의미한 변화를 갖는 구연부를 보면 초기에는 45도로 외반되어 「>」모양으로 깎였던 것이 점차 길어지고 90도에 가까운 수직을 이루는 형태로 변화하며, 이러한 특징은 지정문화재에서도 확인된다. 먼저 달항아리의 제작 과정을 조선시대 문헌사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태토의 선정과 굴취는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하는 중요한 단계였으며 금사리 시기의 성분을 보면 철과 티타늄의 함량이 낮아 높은 백색도를 보이는 양질의 태토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정제과정, 즉 수비 단계를 거쳐 발물레를 사용한 자기물레로 성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 달항아리의 제작에는 상부와 하부를 따로 만들어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한 점이 주목된다. 별도의 장식 없이 최소한의 정형을 거쳐 초벌과정을 거친다. 이어 시유는 크게 물토(수을토), 재, 석회석으로 이루어진 유약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금사리 시기의 유약은 마그네슘 함량이 높아 점착성과 내화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약 1250℃에서 환원염 재벌과정을 통해 완성한다. 문헌사료와 더불어 그리고 사기장 김정옥을 비롯하여 현재 달항아리 작업을 하고 있는 강신봉, 김종영, 이수종, 전수걸 총 다섯 명의 도예가와 본인의 제작사례를 통해 오늘날의 제작 기법과 그에 담긴 제작자의 사상을 살펴보았다. 작가마다 작업습관 및 방식이 다르다는 차이가 있지만 핵심은 상하접합 기법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달항아리의 특징적인 제작 기법인 ‘상하접합’ 방식을 사용한 이유를 속성적, 기술적, 사회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는 당시 수비법의 진전으로 인한 태토의 개선 및 가소성 저하 등 백자 속성의 한계점의 극복, 무접합 제작 시 조형상의 차이점 및 숙련도와 소요시간 등 기술적 문제의 해결, 전통기법으로 인한 미감이 갖는 예술품으로서의 가치 확보 등을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가 우리 고유의 백자 달항아리를 더 깊고 넓게 이해할 수 있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나아가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와 다양한 측면에서 백자 달항아리가 연구되고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연리문(練理紋)을 활용한 도자 상감기법 연구

        강유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연리문(練理紋)은 태토(胎土) 색의 차이를 이용한 장식기법으로 다른 색을 가진 태토를 혼합하여 성형한 도자기를 말한다. 연리문은 요업적 성질이 다른 태토를 혼합하여 무늬를 형성하기 때문에 불량률(不良率)이 높아 한국에 현존하는 연리문 도자기 유물의 수도 매우 적다. 한국에서 제작된 연리문 도자기들은 고려시대의 청자가 대부분이며 완(碗), 잔(盞), 합(盒)과 같은 소형의 일부 기종에 제한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작업자의 접근과 연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고려의 연리문 청자는 내화토(耐火土)받침과 규석(硅石)받침을 사용하여 번조(燔造)하였으므로, 다른 청자를 겹쳐 번조하던 것에 비해 연리문 청자가 높은 기술이 집약된 고급품으로 연구 가치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감(象嵌)은 표면에 바탕과 다른 재료를 감입하여 장식하는 방법을 총칭한다. 상감기법은 고려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며 한국 도자 양식사에서 짧은 기간 안에 우수성이 입증된 장식기법이다. 한국 역사상 문화적으로 크게 번영하였을 때에 성행한 상감기법은 장식적인 목적으로 존재한다고 할 수 있을 만큼 고도화된 장식적 특징을 표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리문과 상감기법을 결합(結合)하여 하나의 장식기법으로 활용, 연구하였으며, 색화장토(色化粧土)를 사용하여 현대적인 도자표현 장식기법으로 확장, 제시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작품 제작에 적합한 안정적인 화장토 데이터(data)를 확보하였으며, 안료 첨가량에 따른 발색실험과, 유약 광택도(光澤度)에 따른 안료 발색실험으로 안료의 발색에 대해 알아보고 색의 스펙트럼(Spectrum)을 넓혀 기본 데이터를 축적하였다. 색화장토를 이용한 연리문 상감기법의 제작방법으로 연리문판 상감, 슬립 트레일러 연리문 상감 및 패더링 연리문과 같은 세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색화장토를 감입한 후 도구를 이용하여 연리문을 형성하는 도자 상감기법에 가까운 패더링(Feathering) 연리문 상감은 화장토를 섞는 방향에 따른 무늬를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화장토를 이용한 연리문은 화장토의 물성(物性)을 이용하여 연리문을 형성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무늬 표현이 가능하지만, 무늬가 불규칙적이고 무늬가 예측되지 않아 의도적 표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패더링 연리문 상감은 서양의 패더링 기법의 무늬와 유사한 무늬를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리문과 상감의 특징과 제작기술을 고찰하고 연리문과 상감기법을 결합하여 하나의 장식기법으로 제시하며, 연리문 상감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리문 상감기법이 작업자들에게 많이 활용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연리문이 현대에 들어서도 계승,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연리문, 상감기법, 마블 웨어, 색화장토

      • 문자문을 활용한 도자 작품 연구

        이수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symbols become language and develop into letters, people try to engrave them on all things. This phenomenon also affects crafts, as found in relics with texts engraved on textiles, sculptures, paintings, and ceramics. The texts engraved on these crafts were regarded as a pattern and named text patterns to carry out this study. The act of engraving something begins for the purpose of recording, but it is close to simple symbols until letters are created. After, with the development of letters and language, many texts were written to record all events and leave them to descendants. Many literary works were gradually left as literary arts and literature developed, and even letters themselves were used as patterns. In addition, the text patterns engraved on crafts have expanded in content and purpose to trademarks, decorations, origins, etc., including records of original characters. As such, research on text patterns with legibility, decorativeness, and recordability was determined to have a high value, but not much research on text patterns has been carried out. This study examined and reinterpreted text patterns with various concepts to produce works by conducting three studies. First, this study organized and examined the text patterns of the relics engraved by categorizing them into types and engrave techniques. The types of text pattern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management of ceramic vessels, records to be left in the future, decoration as patterns, and auspicious items to wish for luck. Engrave techniques of text patterns are largely divided into sculpture and painting techniques. Second, the study reviewed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text patterns used by contemporary artists by examining the examples of contemporary works, which were divided into paintings and sculptures.   Third, the engrave technique was experimented and studied to produce the work by largely dividing it into sculpture and coloring, with the goal to find suitable tools and materials during this process. By studying variously engraved text patterns, the work of ‘archive’ form was produced using the legibility and decorativeness of text patterns. By conducting the previous three studies, the work was produced with suitable tools and materials. The study judged that text patterns today were not actively used as ceramic decorations due to direct and strong patterns. However, it is hoped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ext patterns as a ceramic decoration and expanding the range of applications. Finally, it is hoped that the value of research on text patterns will become widely known so many more studies are conducted. 기호가 언어가 되고 문자로 발전해가며 사람들은 모든 사물에 새겨 남기려 한다. 이러한 현상은 공예에서도 영향을 끼친다. 섬유, 조각, 회화, 도자에 문자들이 새겨진 유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공예에 새겨진 문자들을 하나의 문양으로 보며 문자문이라 지칭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무언가를 새기는 행위의 시초는 기록하는 목적으로 시작하게 된다. 하지만 문자가 정립되기 전이기에 단순한 기호에 가깝다. 이후에는 문자와 언어가 발전하며 모든 일들을 기록해 후손에게 남기기 위해 다량의 문자들을 써나갔다. 점차 문예와 문학이 발전하면서 다량의 문헌이 남게 되었고, 나아가 문자 자체가 문양으로까지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공예에 새겨진 문자문은 본래 문자가 갖고 있는 기록을 포함하여 상표와 장식, 기원 등으로 내용과 목적이 확대되었다. 이렇게 독해성과 장식성, 기록성 등을 가진 문자문의 연구 가치는 높다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문자문의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여러 개념을 지닌 문자문을 고찰하고 재해석해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처럼 작품 제작을 진행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유물의 문자문들을 정리하고 연구하였다. 문자문이 새겨진 유물들을 살펴보고 종류와 시문 기법별로 정리하였다. 문자문의 종류는 크게 도자기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용, 후일에 남기고자 한 기록용, 문양으로써의 장식용 그리고 운을 기원하는 길상용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문자문의 시문 기법은 크게 조각과 채화 기법으로 나눠 정리하였다. 둘째, 현대 작품 사례를 살펴보며 현대 작가가 활용한 문자문의 정의와 개념을 고찰하였다. 현대 작품 사례는 크게 회화와 조형으로 나눠 진행하였다. 셋째, 작품 제작을 위해 시문 기법 실험을 진행하며 연구하였다. 이는 크게 조각과 채색으로 나눠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적합한 도구와 재료를 찾고자 하였다. 다양하게 새겨진 문자문을 연구함으로써 문자문의 독해성과 장식성을 활용해 ’아카이브‘형식의 작품 제작을 진행하였다. 앞의 세 가지의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적합한 도구와 재료들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현대에서의 문자문은 직설적이고 강한 문양으로 도자 장식으로써 활발히 활용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도자 장식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활용 범위가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문자문에 대한 연구 가치를 널리 알리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 인화분청사기(印花粉靑沙器) 작품연구

        정영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분청사기는 제작 기법과 물성의 특성으로 인하여 장식 기법이 달라져도 무채색(無彩色)과 가까운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고려의 청자가 가지는 빛깔이나, 코발트(cobalt), 동(銅)으로 장식되었던 조선의 백자에서 나타나는 색상 표현과는 거리가 먼 편이다. 그러나 인화분청사기에서 화장토의 백색과 태토의 짙은 회색 점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면을 형성하고 있는 모습은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은 화이불치(華而不侈)의 경지로 생각되었다. 그리고 한 폭의 단색화(單色畫)로도 느껴졌는데, 김환기(金煥基), 이우환(李禹煥)의 작품과 흡사하게 보였다. 큰 화폭에 일정한 크기의 점들을 배열하여 화면을 구성한 작품의 이미지(Image)가 겹쳐 보이던 것이다. 비록 작은 점이지만 반복적으로 수많은 점이 모였을 때 드러나는 밀도(密度)가 상통했다. 또한, 점의 형태와 일률적인 배열이 달라졌을 때 발생하는 시각적인 리듬감에 대해서 흥미로웠다. 이러한 생각을 통해서 인화분청사기가 가지는 장식적 특징에 대하여 주목하고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인화분청사기의 제작배경과 장식적 특징을 고찰하고, 다양한 기종에 인화 기법을 활용한 작품을 제작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현대에도 지속 가능한 전통 도자 양식으로 계승 및 발전을 모색하고자 한다.

      • 통풍 환자에서 통풍의 중증도와 대사증후군간의 상관관계 연구

        김민정 고려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배경 : 통풍은 요산 결정 침착에 의해 발생하는 재발성 염증성 관절질환이다. 최근 연구에서 통풍이 대사증후군, 만성 신장병과 관련이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으나 확실한 관계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풍 환자에서 이 질환들의 복잡한 관계에 대해 밝혀보자 했다. 방법 : 연구 대상은 고려대학교 부속 안산 병원 류마티스 내과에 내원한 75명의 남자 환자로 하였다. 각 환자의 허리둘레, 체질량지수(BMI), 혈압을 계측하였고중성지방(triglycerides, TG), 고밀도 지단백(HDL), 혈당(glucose) 및 혈청 요산 농도, 크레아티닌(creatinine)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공복 인슐린 및 c-peptide 농도를 측정하였고, 인슐린 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해 HOMA-IR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MDRD) equation을 이용하여 estimated GFR(eGFR)을 측정하였다. 결과 : 총 75명의 통풍 환자 중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ATP III 진단 기준에 따르면 37.3%를 차지했으며, WHO Asia-Pacific 진단 기준에 근거해서 재평가하였을 때도 48%로 대조군에 비해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통풍 환자에서의 혈청 요산 농도는 대사증후군이 동반되었을 때(9.1±2.8)가 동반되지 않았을 때(7.6±1.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만성 신장병 동반 여부에 따른 비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eGFR은 혈청요산농도와 음적 상관관계(r = -0.332, p-value = 0.004)를 보였으나 이는 대사증후군 동반 여부와 관계가 있었다. 인슐린 저항성은 대사증후군의 각 요소 중 허리둘레(r = 0.574, p-value<0.001), BMI(r = 0.391, p-value = 0.002)와 양적 선형관계를 보였다. 결론 :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통풍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그리고 고요산혈증은 만성 신장병 동반 여부와 독립적으로 대사증후군과 강한 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복부 비만이 통풍 환자에서의 인슐린 저항성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밝혔다.

      • 왕흥사지 출토 치미의 제작 기법 연구

        정세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백제 시대 왕흥사지 출토 치미를 조사하여 제작 기법을 밝히고 당시 공예기술의 한 단면을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고대 동아시아 목조건축에서 지붕의 용마루 양 끝을 치장하는 치미는 건물의 격과 위엄을 드러내는 상징물이자 실용적인 마감재로 그 제작에는 상당한 수준의 제작 기술이 동원되었다. 토기 제작과 더불어 기와제작은 당시 공예의 중요한 갈래였는데, 그중에서도 치미는 그 규모와 조형성에 있어 가장 난이도가 높은 조형물이었다. 그동안 치미는 완전한 형태로 출토된 사례가 적고 비교 표본이 희소하여 관련 연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비교적 최근에 출토된 왕흥사지 치미는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치미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측되어 연구가치가 높다. 문헌조사를 통해 왕흥사지 출토 치미의 연원을 밝히고, 유물을 실견 및 실측하여 제작흔을 면밀히 검토한 다음, 실물 크기로 제작하여 제작 기법 을 재현하는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삼국시대 치미제작기법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고, 유물에 나타난 제작흔을 토대로 실물 크기로 복제함으로써 그 기법을 확인하였다. 왕흥사지 출토 치미는 상·하부로 나누어져 있는데 절단흔을 통해 1매 성형 후 2매로 나눈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하단에는 흙가래를 쌓고 두드린 타날흔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타날 흔적으로 미루어 보아 날개 부분은 몸통 제작이 끝난 뒤 덧붙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능골 용마루 결구부와 왕흥사지에서 출토된 바닥기와의 크기를 대조하여, 결구 방식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해 치미가 장식기능뿐만 아니라 건축의 마감재로써 실질적 기능 역시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백제 시대 기와 제작술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문화교류를 나타내는 증표이며 앞으로 고대 기와제작 기법뿐만 아니라 건축적, 역사적 측면에 연구 분야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