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성화 고등학교 미용과 피부미용 교과의 내용영역, NCS의 능력단위, 국가기술자격의 실기과제 비교분석

        이지현 광주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미용교육은 최근 산업 현장실무에 따라 체계적으로 전문화된 학문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특성화 고등학교 미용과에 맞는 표준화된 교육과정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에 맞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교육과정과 국가기술자격의 실기과제가 서로 맞지 않아 교육현장에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발 수정 단계의 2015개정 교육과정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교육과정과 현재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의 실기과제를 비교·분석하고, 이에 따라 더 나은 교육과정의 재개발 시 교육현장과 산업현장의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특성화 고등학교 미용과 피부미용 교과 내용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피부미용 교육과정,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의 실기과제를 비교해 보았을 때, 첫째, 고등학교 2∼3수준에 해당하는 능력단위 중 “얼굴관리”와 “전신관리” 내용영역이 거의 일치하였다. 둘째, “피부미용 기구활용”은 한정적인 기구만을 활용하는 내용영역이 제시되어 있고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의 실기과제에는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2015개정 교육과정의 특성화 고등학교 미용과 피부미용 교과 내용에는 “피부미용 고객상담”, “피부미용 피부분석”, “림프관리”, “피부미용 고객마무리관리”, “피부미용 위생관리”, “제모”는 포함되지 않았다. 하지만 피부미용의 기본과정인 “피부미용 고객상담”, “피부미용 피부분석”, “피부미용 위생관리”는 심도 있게 다뤄야 하므로 2015개정 교육과정에 반드시 제시되도록 개발하며, 또한 “피부미용 기구활용”, “피부미용 화장품사용”은 피부 국가기술자격의 실기과제에 중점적으로 다뤄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정과 보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2015개정 교육과정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교육과정의 재개발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되며,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의 실기과제와도 상호유기적 관계를 통해 일치하여 보다 나은 피부미용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고 앞으로 나아가 교육현장에서도 활용이 되어야 할 것이다.

      • 금은화 추출물의 UVB와 H2O2로 유도된 사람 각질형성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서승희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금은화 추출물의 UVB와 H2O2로 유도된 사람 각질형성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 조사를 통해서 천연 항산화 작용이 있는 물질 9가지 인진, 목단피, 마치현, 황련, 지각, 해동피, 삼채, 감초, 금은화를 선정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각질형성세포 보호효과와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았고, 그 결과 사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금은화 추출물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 각질형성 세포에서 Ultraviolet B(UVB)와 hydrogen peroxide(H2O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금은화 추출물이 갖는 세포 보호효과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금은화 추출물이 갖는 항산화능을 확인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 총 항산화능, superoxide 소거 활성, 총 페놀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glutathione (GSH) level 등을 평가를 시행 한 후 UVB(200 mJ/cm2) 와 H2O2(500 μM)을 처리 하여 각질형성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 모델에서 피부 손상에 대한 금은화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평가하였다. 금은화 추출물의 항산화 관련 성분 분석을 통해 플라보노이드와 페놀 성분이 함량 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총 항산화능 효과가 a-tocopherol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superoxide 소거 활성 효과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catechin의 superoxide 소거 활성과 비교 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고 H2O2로 인해 감소하는 GSH 함량을 증가 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화적 스트레스에 관한 세부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각질형성 세포에 금은화 추출물을 농도별로(0.1, 0.25, 0.5 mg/ml) 1시간 전 처리 한 후 UVB(200 mJ/cm2) 와 H2O2(500 μM)로 자극 하여 cell viability, DNA damage, DNA fragmentation과 ROS를 측정, MAPKs 활성, IKBα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각질형성세포에서 0.1, 0.25, 0.5 mg/ml 농도에서 금은화 추출물은 세포 독성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UVB 와 H2O2 자극은 ROS를 과생성하고, 그에 따라 세포 사멸과 세포 손상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포 사멸 및 손상은 금은화추출물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산화적 스트레스의 주된 원인인 ROS를 억제 하였다. 또한 MAPKs 기전 중에 ERK 통로 억제를 통해서 세포를 보호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금은화 물추출물의 주된 효능이 어떤 성분인지 알아보기 위해 HPLC 분석결과 실험에 사용된 금은화 물추출물에서 chlorogenic acid가 주요 함유 성분으로 확인이 되었다. 즉,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금은화 추출물의 효능은 금은화 추출물 중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주요 활성 성분 중 chlorogenic acid의 활성이 세포 보호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에 사용한 금은화 물추출물에 페놀과 플라보노이드가 함유 되어 항산화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금은화 추출물이 사람 각질형성세포에서 UVB와 H2O2로 유도된 세포손상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는데 이것은 UVB와 H2O2에 의해 발생한 세포 손상의 주된 요인인 ROS의 억제를 통해서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금은화 추출물이 외부 자극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피부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추후 피부 노화나 손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약품이나 화장품 개발을 위해 유용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주제어: 사람각질형성세포, 금은화, 자외선B, 과산화수소, 활성산소종 The Protective effect of Lonicera japonica Flos extracts on UVB or H2O2-induced human keratinocyte, HaCaT damage Keratinocytes are first barrier against outer challenges on skin. However, it is still largely unknown about effective protectors against ultraviolet B (UVB), and oxidative stress in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ytoprotective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9 water extracts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Artemisia capillaries, Paeonia suffruticosa, Portulaca oleracea, Kalopanax pictus, Allium hookeri, Coptis japonica, Glycyrrhisa uralensis, Aurantii Frcutus, Lonicera japonica, against UVB and hydrogen peroxide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is study found that high cytoprotection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exhibited by extracts of Lonicera japonica.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capacity and cytoprotective mechanisms of Lonicera japonica extracts. The concentration of Lonicera japonica Flos (LJF) extracts at whic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hibited by 62.5 % at 0.5 mg/ml. Total antioxidant status was examined by total antioxidant capacity against ABTS radical reactions.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of LJF extract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α-tocopherol.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of LJF extracts were significantly (p<0.05) similar to catechin. Total phenolic contents of LJF extracts at concentrations of 0.25 and 0.5 mg/mL were 1.38 and 2.09 mM gallic acid equivalents, respectively. In addition, total flavonoid contents of LJF extracts at concentrations of 0.25 and 0.5 mg/mL were 0.83 and 1.2 mM quercetin equivalents, respectively. To evaluate out the protective effects of LJF extracts on skin damages in HaCaT cells, an oxidative stress model of HaCaT cells was established under a suitable concentration of UVB (200 mJ/cm2) and hydrogen peroxide (500 μM). LJF extracts (0.1, 0.25 or 0.5 mg/ml) itself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toxicity in HaCaT cells. HaCaT keratinocyte cells were pre-treated with LJF extracts(0.1, 0.25 or 0.5 mg/ml), and then stimulated with UVB and H2O2. Then, the cells were harvested to measure the cell viability, DNA damage, and release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 treatment of UVB and H2O2 caused the oxidative stress, leading to the cell death, and DNA injury. However, pretreatment with LJF reduced cell death, and DNA injury. The stimulation of UVB and H2O2 on HaCaT cells resulted in excessive release of ROS, which is the main factor of oxidative stress. The excessive release of ROS was inhibited by LJF extracts treatment significantly. LJF extracts also inhibited H2O2-induced ERK pathway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HPLC analysis of LJF extracts and chlorogenic acid, as a major compound from Lonicera japonica. According to data from the HPLC analysis, there were same retention time peak to the chlorogenic acid in LJF extracts. Chlorogenic acid also inhibited cell death on H2O2-induced cytotoxicity in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These results could suggest that LJF exhibi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HaCaT cells against UVB and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by inhibiting ROS release. It could be explained that LJF inhibit skin damages against oxidative stress. Thus, LJF would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drug or cosmetics treating skin troubles. key words : _Keratinocyte(HaCaT), Lonicera japonica Flos(LJF), Ultraviolet B(UVB), Hydrogenperoxide(H2O2), reactive oxigen species(ROS)

      • 시니어 여성의 피부변화 및 외모관리가 화장품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태희 광주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 대상자는 50세 이상의 시니어 여성들로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와 URL을 이용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기간은 2017년 09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약 3달간 이루어졌으며, 총 480부의 설문지를 배포·수거하여 총 444부가 최종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및 교차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는 조사대상자인 시니어 연령층을 ‘50-64세의 초년기’, ‘65-74세의 중년기’, ‘75세 이상의 노년기’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자각하는 피부의 변화가 높은 연령은 ‘75세 이상의 노년기’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관리행동의 토탈 뷰티 실천, 체중 및 피부 관리 실천은 자각하는 피부변화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50-64세의 초년기’에서 외모관리행동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토탈 뷰티 실천을 가장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브랜드 충성도의 품질 효과성, 인지도, 선호도, 가격합리성 모두 자각하는 피부변화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75세 이상의 노년기’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자각하는 피부변화, 외모관리행동과 브랜드 충성도와의 상관계로 브랜드 충성도는 자각하는 피부변화의 기능성화장품 사용 유무, 안면피부노화 개선을 위한 한 달 투자비용, 피부관리 경험, 미용성형 경험으로 상관이 있었고, 외모관리행동의 피부 건강의지, 토탈 뷰티 실천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으로 보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우리사회의 시니어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 구분에 따라 자각하는 피부변화로 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하기 위해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니어 여성들의 피부변화, 외모관리행동, 브랜드 충성도에 대한 요구도에 상관성 관계를 정확히 규명하여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 초음파 병행 매뉴얼테크닉이 20대 여대생 피부에 미치는 영향

        엄수지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초음파 병행 매뉴얼테크닉이 20대 여대생 피부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피부 미용에서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기기의 실효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현재 초음파의 효과로 노화피부에 적용한 연구는 다양하게 연구되어지고 있지만, 20대 젊은 피부에 적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대생의 피부상태에 매뉴얼테크닉의 효과와 초음파 병행 매뉴얼테크닉 효과가 피부상태 유분, 수분, 멜라닌, 홍반, 주관적 피부상태, 주관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를 알아보고 에스테틱 산업에 초음파기를 이용한 효율적인 피부 관리 프로그램의 임상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여대에 재학 중인 여대생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음파 기기를 적용하기에 무리가 없는 최소 6개월 간 피부 관리나 피부과 적 처치를 받지 않은 자를 선정하였다. 대상자 15명을 임의로 매뉴얼테크닉군 5명, 초음파 병행 매뉴얼테크닉군 5명, 대조군 5명으로 나누었으며, 대상자들의 얼굴 피부상태인 유분, 수분, 멜라닌, 홍반의 주관적 피부상태를 조사하여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하였다. 실험 기간은 2012년 09월17일부터 11월 30일까지 주 1회 10주간 총 10회 진행하였다. 매회 25분씩 집단별 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관리 전, 5회 후, 10회 후 피부상태 변화 유분, 수분, 멜라닌, 홍반, 주관적 피부상태변화, 주관적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세 집단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및 생활습관, 피부 관리 습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세 집단의 주관적 피부상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매뉴얼 테크닉군과 초음파 병행 매뉴얼 테크닉군의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대조군과 매뉴얼테크닉군, 초음파 병행 매뉴얼테크닉군의 유분, 수분, 멜라닌, 홍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의 실험 전, 중, 후 유분, 수분, 멜라닌, 홍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후 결과를 살펴보면 유분은 미간과 이마 정중앙, 턱 중앙에서 그룹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수분은 미간과 오른쪽 눈썹 끝, 이마 정중앙, 오른쪽 볼, 왼쪽 볼, 턱 중앙에서 그룹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나, 멜라닌과 홍반은 그룹간의 차이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매뉴얼 테크닉군의 실험 전․후 비교 결과를 살펴보면 유분과 수분, 멜라닌은 미간과 오른쪽 눈썹 끝, 왼쪽 눈썹 끝, 이마 정중앙, 오른쪽 볼, 왼쪽 볼, 턱 중앙 모두에서 실험시기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나, 홍반은 실험 전, 5회 후, 10회 후의 차이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초음파 병행 매뉴얼 테크닉군의 실험 전․후 비교 결과는 유분과 수분은 미간과 오른쪽 눈썹 끝, 왼쪽 눈썹 끝, 이마 정중앙, 오른쪽 볼, 왼쪽 볼, 턱 중앙 모두에서 실험시기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며, 멜라닌은 오른쪽 볼과 왼쪽 볼에서 실험시기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홍반은 오른쪽 볼에서 실험시기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주관적 피부상태는 대조군(M=3.29), 매뉴얼 테크닉군(M=3.16), 초음파 병행 매뉴얼 테크닉군(M=3.29)이 비슷하게 나타나 그룹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주관적 만족도 결과로는 초음파 병행 매뉴얼 테크닉군(M=3.94)의 만족도가 매뉴얼 테크닉군(M=3.47)의 만족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본 결과를 보면 매뉴얼 테크닉과 초음파 병행 매뉴얼 테크닉 모두 피부가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피부관리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으며, 각 항목과 그룹의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초음파 병행 매뉴얼테크닉의 경우 전체적인 항목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 피부관리에 있어 효과적인 만족도를 높여 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매뉴얼테크닉, 초음파기기, 20대여성, 유분, 수분, 멜라닌, 홍반

      • 20〜30대 여성의 피부관리실 이용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유리 광주여자대학교 일반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피부관리실의 경쟁력과 균형 있는 성장이 요구되고 있고 이에 따라 피부관리실 마케팅 전략의 다양성과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피부관리실의 고객층인 20∼30대 여성들 대상으로 피부관리 현황을 명확하게 분석하여 피부관리실 이용과 피부관리실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서울시 00구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 5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이 중, 불성실한 응답 30부를 제외한 총 482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계 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여러 요인들과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 분석, 신뢰도는 Cronbach‘s 의 계수로 판단하고, 기술통계 분석, t-test와 일원 변량 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 (Scheffe's multiple range test)을 통하여 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관리실 이용현황에 따른 피부관리실 만족도는, 이용하는 피부관리실 형태, 1회 관리비용, 피부 고민 해결 방법에 따른 만족도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분석한 결과, 최종학력만이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자의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셋째, 피부 개선 효과에 따른 피부관리실 만족도는, 시술받은 관리, 관리 후 개선 효과, 개선이 나타나는 시기가 만족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피부관리실 선택 동기와 피부관리실 만족도와의 상관성은, 관리사의 전문성, 외부 환경, 제품 및 기구 순으로 정의 상관성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30대 여성의 피부관리실 이용이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고객들에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제품력과 기기 그리고 피부 관리사의 꾸준한 개발을 통해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해 미용에 대한 가치가 높여지길 바라며 위의 결과들이 피부미용 현장에서 피부관리실 이용과 만족도 개선에 좋은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미용사 국가기술자격제도의 특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정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의 미용산업은 전문화·세분화되면서 미용산업에 입문하기 위한 과정 중에 필수적으로 미용 국가기술자격제도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는 미용 산업이 요구하는 우수한 미용인을 배출해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세분화된 미용사 국가기술자격제도의 실태와 이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를 파악해 미용사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변화된 운영과 실제 현장에서의 적극적인 활용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미용사 국가기술자격제도 취득자 200명을 대상으로 2021년 1월∼3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Frequency), 요인분석, Cronbach‘s a의 계수, 기술통계분석, t-test, 일월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Scheffe’s multiple),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격제도 기능의 차이는 취업 시 우대조건이 가장 높았으며, 직장은 근속년수와 자격증 개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격의 요건의 차이는 자격증 취득자의 능력에 대한 필요한 정보 관리, 운영의 투명성이 가장 높았으며, 학력과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제도적 특성의 차이는 시험의 난이도의 상향 조절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 학력, 혼인상태, 직업, 직장 근속년수, 자격증 소요기간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자 특성의 차이는 교육훈련의 성공여부에 대한 자신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과 직업, 자격증 취득 개수에 따른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미용사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만족도는 학습자의 특성이 가장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격의 요건과 기능 또한 미용사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미용사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만족도에 따른 요인으로 바람직한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방향을 제시하며, 그에 따른 국가기술자격의 교육환경에 대한 기초자료가 되어 세분화된 미용 산업의 환경에 자격증의 활용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두면부 및 경부 경혈요법이 청소년 가성근시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중국 섬서성(陝西省) 보계시(寶鷄市) 중심으로

        고용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안면부 및 경부 경혈요법이 청소년 가성근시 개선에 미치는 효과 현대 문화와 나쁜 생활습관으로 인하여 시력저하가 급상승하는 추세이며, 특히 청소년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교육열이 높은 한국, 중국, 일본 등의 근시 유병률은 50~80%로 매우 높게 알려져 있다. 중국 섬서성(陝西省) 보계시(寶鷄市) 소재한 C초등학교 학생 중 가성 근시로 판정된 학생을 30명을 실험대상자로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실험 대상자 30명을 3군으로 나누었다. A군은 두면부 및 경부 경혈요법 군 10명, B군은 두면부 요법군 10명, C군은 휴식을 취하는 대조군 10명으로 분류하였다. 2015년 1월 20일부터 2월 29일까지 30일 간 1회 5분씩 실험하였다. 실험 전·후에 시력측정(시력, 굴절도), 체표온도, 뇌혈류도, 실험 후에 시력 개선효능 평가, 눈의 피로감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일반적인 특성에서 남학생은 13명(43.3%), 여학생은 17명(56.7%)으로 나타났고, 동질성 검증에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군이 동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 제 1가설 “A군과 B군은 C군보다 시력측정(시력, 굴절도), 체표온도, 뇌혈류도, 시력 개선효능 평가, 눈의 피로감이 향상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p<.05). 2) 제 2가설 “A군은 B군보다 시력측정(시력, 굴절도), 체표온도, 뇌혈류도, 시력 개선효능 평가, 눈의 피로감이 더 향상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p<.05). 본 연구 결과 두면부 및 두면부와 경부 같이 적용 된 방법이 모두 청소년 가성 근시에 개선 효과가 있고, 두면부와 경부 경혈 요법을 같이 적용한 군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됨으로서 객관적인 청소년 가성 근시를 개선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주제어 : 안면부, 경부, 경혈 요법, 청소년, 가성 근시

      • HaCaT Cell에서 연교 추출물의 피부 염증 억제 효과

        박송이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연교는 항산화, 항염증, 면역조절 활성 등 다양한 약리학적 효과에 이용되어 온 한약이다. 그러나 피부 염증의 억제 효과와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교 물 추출물(0.05, 0.1 or 0.5 ㎎/㎖)을 HaCaT 세포에 1시간 전처리한 후 종양괴사인자(TNF)-α와 인터페론(IFN)-γ (각 10 ng/ml)로 자극하여 피부염을 유도하였다. 24시간 후, HaCaT 세포를 채취하여 피부 염증 활성화 시 발현되는 regulated on activation, normal T cell expressed and secreted (RANTES/CCL5),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CCL17) 및 macrophage-deraived chemokine (MDC/CCL22)을 측정하였다. 또한 연교 물 추출물의 조절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HaCaT 세포에서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STAT1)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평가하였다. TNF-α 및 IFN-γ로 유도된 피부 염증 반응에서 HaCaT 세포의 mRNA 수준과 단백질 수준 모두에서 연교 물 추출물의 처리는 0.05, 0.1 or 0.5 ㎎/㎖ 농도 의존적으로 RANTES, TARC, MDC를 감소시켰다. 또한, 연교 물 추출물은 TNF-α와 IFN-γ로 유도된 STAT1의 활성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이는 연교 물 추출물이 STAT1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하여 피부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교 물 추출물이 피부 염증 관련 화장품 개발에 있어 기능성 천연 소재 개발에 응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여대생의 화장품 전자상거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박선옥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사회는 IT 산업의 발달과 구매시스템의 편리성 때문에 전자상거래 구매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전자상거래에서의 화장품 구매 성향 및 구매행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전남지역에 소재한 여대생을 대상으로 여대생의 선호 구매처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차이, 선호하는 구매처에 따른 화장품 사용실태 및 만족도의 차이, 선호 구매처에 따른 화장품 전자상거래 구매행동의 차이, 선호 구매처에 따른 화장품 전자상거래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상의 화장품시장 현황과 여대생들의 전자상거래에서의 구매행동과 관련된 연구 시에는 보다 정확하고 심층적인 연구 결과를 위해서 조사지역과 연구대상자의 규모 등에도 관심을 기지고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내몽골지역 여대생들의 외모향상추구행동이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리나 광주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내몽골지역 여대생의 외모향상추구행동이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중국 내몽골 지역 여대생들의 대상으로 인터넷(问卷星www.wjx.cn)을 통해 2019년 09월 1일부터 09월 6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도구는 일반적 특성 5문항, 외모향상추구 행동 17문항, 대인관계 12문항, 대학생활 적응 9문항, 총 43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400부를 배부하여 38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몽골 지역 여대생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연령은 20세 이하가 29.5%로 가장 높았고, 학년은 4학년이 46.6%로 높았으며, 전공계열에서는 기타 부분이 25.3%를 차지해 가장 높았고, 월 외모관리 비용 중에서는 10만원 미만이 36.6%를 차지해 가장 높았다. 내몽골지역 여대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향상추구 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전공계열과 월 외모관리 비용에 따른 외모향상추구행동의 차이, 외모향상추구행동 하위요인의 차이는 메이크업 및 의복관리와 체중관리, 외모관리는 전공계열과 월 외모관리 비용, 피부관리도 월 외모관리 비용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대인관계의 차이에서는 내몽골지역 여대생의 월 외모관리 비용에 따른 대인관계의 차이는 유의미하였고,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는 연령과 학년, 전공계열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외모향상추구 행동, 대인관계, 학교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는 외모향상추구 행동의 피부관리, 외모관리, 메이크업 및 의복관리, 체중관리 순으로 정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내몽골지역 여대생의 학교생활 적응은 외모향상추구행동의 메이크업 및 의복관리, 외모관리, 체중관리, 피부관리 순으로 정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외모향상추구 행동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피부관리, 외모관리, 메이크업 및 의복관리 순으로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모향상추구행동의 피부관리와 외모관리, 메이크업 및 의복관리 행동이 높을수록 대인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외모향상추구행동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메이크업 및 의복관리, 외모관리, 체중관리 순으로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메이크업 및 의복관리와 외모관리, 체중관리 행동이 높을수록 학교생활 적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내몽골지역 여대생들의 외모향상추구행동이 대인관계 및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잠재적이고 거대한 소비 집단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여대생을 이해하고, 미래의 여대생 외모 관련 산업시장을 예측하는데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