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 5세 아동의 인지적 억제와 작업기억 폭이 회상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성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의 인지과제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작업기억의 체계의 하위요소인 작업기억 폭과 인지적 억제가 과제 수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지. 일어난다면 어떠한 형태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령전기인 만 5세 아동 229명을 대상으로 하여, 인지적 억제와 작업기억 폭에서 중간값의 동점자를 제외하고 상위 50%, 하위 50%를 분류하여 총 201명을 분석하였다. 인지적 억제는 한은주와 최경숙(2003)의 연구에서 Stroop-like day-night을 수정하여 사용한 별과 꽃 과제를 사용하였고, 작업기억 폭 검사에서는 WMTB-C(The Working Memory Test Battery for Children)의 숫자 회상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인지적 억제(상,하) × 작업기억 폭(상,하)를 통한 이원 배치 분산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의 회상량에 있어서 인지적 억제와 작업기억 폭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작업기억 폭 그리고 인지적 억제 각각이 아동의 회상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각각의 영역에서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높은 회상을 보였다. 또한 인지적 억제와 작업기억 폭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단순 주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작업기억이 높은 집단에서 인지적억제가 높고, 낮음에 따른 회상량의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작업기억이 낮은 집단에서 인지적 억제의 높고, 낮음에 따라 회상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인지적 억제가 낮은 집단에서 작업기억에 따라 회상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인지적억제가 높은 경우에는 작업기억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령전기인 만 5세 아동에게서도 작업기억 체계의 하위 구조인 음운회로 영역과 중앙 집행기의 상호작용이 발생하였다. 이는 작업기억의 하위체계 요소간의 상호작용이 학령전기 아동에게도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인지적 억제가 회상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이를 통해 정보처리 관점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억제의 역할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에게도 작업기억의 하위체계 구조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과 더불어 작업기억 하위체계들의 상호작용의 발생 가능성을 밝혀냈다는 점, 그리고 억제의 중요성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inhibition and working memory span on five years old children's recall. Total two hundred twenty nine of five-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and the level of their cognitive inhibition and working memory spa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high and low)by 50% level each, and then finally two hundred one children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These participants completed three tasks: First task was one of the typical Working Memory span task by WMTB-C and Stroop-like day-night test was also used to examine cognitive inhibition. Scores of a Memory recall were also used.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2 factors cognitive inhibition(high, low), working memory span(high,low). Data was analyzed by Two-way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main effects were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gnitive inhibition level and working memory span was also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working memory span on high cognitive inhibi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ildren's performance on memory recall task was not only influenced by the cognitive inhibition but also by the working memory span. It means that there is the possibility which the sub-components of working memory interact each other to influence the children's performance.

      • 근대 한·중 대동사상 연구 : 박은식·강유위를 중심으로

        관림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康有爲的大同思想,我个人認爲是以儒家的仁義和佛家的慈悲精神爲基礎,吸收基督教的西方民主主義的实質,把它改造成适合于东方的理想世界的思想.它创立于十九世纪末二十世纪初,是在中國的特定歷史條件下産生,是爲擺脫淸朝專制,实現人類平等和永久幸幅而設計的理想樂園.與此相比,朴殷植的大同思想則是把東方的傅統思想融合于基督教,試圃以新的方式实現東西統一,是文化鲜明的宗教文化思想.创立于第二次世界大战以后,也是在韓國的特定歷史條件下産生的,是爲結束或者说是调和南北分隔而形成的共産主義和資本主義的尖鋭对立,及同族相残的民族悲剧,实现平等和永久和平而設計的理想樂園. 康有爲的大同思想根据≪大同书≫的记载分析,想要实现大同世界,就必须要打破九種不平等的世界,即九界:➀打破國家境界,实现世界统一(國界);➁消除階級差別,实现人類平等(級界);➂消除種族差別,实现人類同一(種界);➃消除男女差別,保障女性獨立(形界);➄打破家族制度,使天下萬民皆成爲天民(家界);➅把所有産業公營化(業界);➆撥正不合理的混亂狀態,實現太平世(亂界);➇消除人類與動物之差別,普愛衆生(類界);➈解脱苦界,到达极乐(苦界).這九界的打破,正是康有爲大同思想的中心目的.康有爲特別向往美國式的社會,并预言人类社會最终將会走向美國式道路. 但是,现实是令人遺憾的,康有为并不赞同以革命运动的方式来实现大同社会.他认为,中国虽然经历了辛亥革命的洗礼,但是人民的思想水平有限.同时,革命运动一事违反“仁义道德”原则.他接受西方自然进化原则,但是否定自然现实中存在的"弱肉强食,适者生存"这一残酷现实的生存法则.他觉得,社会不应该存在暴力野蛮,只应该慢慢自然的进化.虽然他的用意是好的,但是如果真是依照康有为的观点,让中国慢慢进化的话,那么可能需要几百,甚至是几千年的时间,这是不现实也是不科学的.而朴殷植虽然赞同康有为的观点与想法,但是他更能接受“弱肉强食,适者生存”这一原则.他认为国家已处于危难关头,虽然“弱肉强食,适者生存”原则很残酷,但是为了解救祖国,为了解救处于水深火热的人民,非常时期必须用非常办法.不能只考虑到未来,如果不解决当下实际的问题,那么也许就没有未来了.所以他接受并且赞同康有为的学术观点,但是朴殷植更加侧重于西方进化论观点和日本阳明学的结合.这是朴殷植思想与康有为思想最最根本的不同点.本论文以此为出发点,通过对朴殷植与康有为各自生涯,各自对大同思想与大同世界的不同看法与观点来进行分析比较,研究朴殷植思想与康有为思想各自的特色与不同.

      •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비교 분석 : 「7차 교육과정」과「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정경화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s for the 7th educational course and revised 7th educational course. First, it look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second, it analyzes the contents and lastly, it researched the frequency and amount of description of historical figures. Through comparing the textbooks, it was possible to note changes to the system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s, direction and will regarding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particular eras. As a teacher of history, I also put forward suggestions regarding expectations and improvements to be made within textbooks. The 7th educational course of history in elementary school, which began in 2007, suggested 51 hours of classes per semester for 6th grade students, as well as enhanced levels of differentiation between students. As research activities have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more activity-oriented classes has also been suggested. this shows willing on the part of the designers to help students easily understand and engage with the textbooks. However, since these efforts period of time, with less classes, many aspects of the course appear merely superficial. Concerns have been raised in this regard, specifically in terms of students losing interest in studying history. Additionally, the learning tasks assigned in each unit were often difficult for students to solve in such a space of time, increasing difficulty for the teachers in turn. The volume of conversational interludes often disrupted and distracted from the main learning objectives, leaving the contents somewhat over complicated. The revised 7th educational course, which began in 2011, suggested 97 hours of history class per year for 5th grade students, with expectations for the students to learn history in greater detail and with more ease. The textbook system is simple, periods are specified in an understandable manner, and historic facts are described in appropriate detail. If some descriptions are insufficient, they can be like to other, more detailed sections and connected to topics of research. At the end of each unit, there are summaries of the contents as opposed to problem to be solved, which lessons the burden of learning. Additionally, ethnic pride, Korea in the world and efforts to elevate status of our people are described in great detail. Despite this, there is a problem in current revised 7th educational course for history classes In it's current guise, concentrated history classes are recommended during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skipping the two preceding years-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1st grade of middle school. This is problematic as it cause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tudents' historical cognition to be disrupted. It is more effective to allocate history class during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s students' consciousness as this time is mature in terms of causal and periodical thinking, while they are able to perform activities with reasonable concentration. In this way, their historical studies would be uninterrupted. Finally, when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level and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may be in favor of stories, rather than listing particular figures or themes within a framework of historical facts, it is more effective to narrate such facts naturally and in chronological orders, so that the students may gain a greater understanding. Rather than stories exclusively focusing on heroes and figures of great power, tales of woman, children, and weaker people may prove more relatable to students and should therefore be included in history textbooks.

      • 암세포에서 bortezomib과 nutlin-3 병합처리를 통한 paraptosis 유도 기전 연구

        이동민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is a complex and tightly controlled system in charge of degrading 80-90% of proteins, and is central to regulating cellular function and keeping protein homeostasis. Since proteasome inhibition can lead to the accumulation of the misfolded proteins and subsequent proteotoxicity in tumor cells, the proteasome is considered a target for cancer therapies. Bortezomib, the first FAD approved proteasome inhibitor, is now in the clinic to effectively treat multiple myeloma and mantle cell lymphoma, but its efficacy in solid tumors is not satisfactory. In this study, we show that the nutlin-3, a small-molecule inhibitor of murine double minute 2 (MDM2), effectively overcomes the resistance of MDA-MB 435S breast cancer cells to bortezomib. While bortezomib treatment did not markedly alter cellular morphologies, nutlin-3 treatment induced mitochondrial dilation without induction of cell death. Alternatively, combined treatment with bortezomib and nutlin-3 effectively induced cell death, which was accompanied by the simultaneous dilation of mitochondria and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tlin-3 may overcome the resistance of these breast cancer cells to bortezomib via induction of paraptosis-like cell death. We found that the combined treatment yielded in MCU channeled calcium increase. This is supported with inhibition of MCU by Ru360 or knockdown of MCU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cell death by the combined treatment. We also found that nutlin-3 co-treatment remarkably potentiated the bortezomib-mediated upregulation of ER marker proteins, including ATF4 and CHOP. Knockdown of CHOP effectively inhibited the cellular vacuolation and subsequent cell death by the combined treatment, suggesting that upreugulation of CHOP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MCU-mediated mitochondrial Ca²⁺ overload and CHOP-mediated ER dilation may critically contribute to paraptosis-like cell death induced by the combination of bortezomib and nutlin-3 in breast cancer cells.

      • Factors influencing the water footprint of grain and commercial crops in the Philippines : 필리핀에서 생산되는 곡물 및 경제작물의 물발자국 영향 인자

        Salvador, Johnviefran Patrick P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아시안 개발 은행은 2013년 필리핀 식량안보가 고위험군에 속하고 있음을 선언하였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기상현상 발생, 특히 가뭄 발생은 해마다 필리핀의 농업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필리핀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써, 수도권에 최대의 식량 공급처인 칼라바 지역(Region IV-A)을 대상으로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산물의 물발자국(WF: water footprit) 변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를 분류하기 위하여 물발자국 네트워크 접근방식과 Least Divisia Mean Index를 적용하여 대상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산물의 물발자국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물발자국은 대상지역 내 작물 종류와 소도시별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곡물 및 경제작물 생산량에 대한 물발자국은 2002년 4,080x106㎥에서 2020년 5,059x106㎥로 증가했으며, 연평균 증가률은 24%를 나타내었다. 물발자국을 증가시키는 주요 인자는 가상수량, 작물 생산량, 작물 종류별 재배면적 등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작물종류별 물발자국은 경제작물이 곡물보다 더 많은 물발자국 수치를 나타내었는데, 경제작물 중 코코넛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파인애플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곡물의 경우 물발자국은 쌀이 가장 높았으며, 옥수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코코넛, 망고, 바나나, 파인애플, 쌀, 옥수수 순으로 물발자국이 낮게 나타났다. 소도시별 물발자국은 퀴존(quezon)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바탕가스(Batangas), 라구나(Laguna), 카비테(cavite), 리잘(Rizal) 순으로 낮아졌다. 향후 보다 세분화된 지역별 물발자국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물발자국 결과를 바탕으로 물사용량과 식량안보와 연계하여 지역별 작물 재배 계획 및 정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Demand-based canal water duty to improve water management and water productivity of rice production in the Philippines : 필리핀의 쌀생산 관련 물관리 및 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필요수량 기준 간선수로 물할당

        Siem, Paul Roderick M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필리핀은 식량 안보를 위한 주요 작물인 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필리핀 정부는 안정적인 관개용수 공급을 통해 쌀 생산량을 유지하고자 힘써 왔다. 필리핀에 존재하는 수많은 관개시스템 중에서 필리핀 남부 지역에 위치한 민다나오섬 내 최대 쌀 생산지는 푸랑귀 지역이다. 그러나 이 지역 관개시스템(PRIS: Pulangui River Irrigation System)은 수리시설의 노후화와 라이닝 처리가 안된 수로 사용, 비효율적 긴 수로 체계와 더불어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현상 발생으로 매년 푸랑귀 지역 내 많은 관개지구가 물부족으로 인해 벼재배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푸랑귀 관개시스템의 수로 물할당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대상지구내 지역별 물평등 확보와 물이용 효율성 및 쌀생산량 증대를 획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 수요-공급 분석을 통해 푸랑귀 관개지역 내 물 형평성을 보장하고, 쌀재배 지역을 확대하여 물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정 수로 물할당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물생산성은 3가지 종류로써, 수확면적 기준 평균 물생산성(WPA)은 단위 쌀수확면적당 월물공급량을 의미하며, 물공급량 기준 평균 물생산성(WPP)은 단위 물공급량(m3)당 쌀생산량(kg)을 의미한다. 또한 물공급량 기준 평균 물생산성(WPP)은 단위 물공급깊이(mm)당 쌀 수확량(kg/ha)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산정한 수확면적 기준 평균 물생산성(WPA)은 20,043㎥/㏊, 물공급량 기준 평균 물생산성(WPP)은 0.218㎏/㏊, 물공급량 기준 평균 물생산성(WPP)은 2.18㎏/㏊/㎜로 각각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푸랑귀 관개지역의 간선수로 물할당량은 당초 계획한 설계값보다 28%가 적은 2.17 l/s/㏊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물할당량은 실제 필요수량을 기준으로 물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써,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 현재보다 더 많은 지역에 용수공급을 가능케 하고 물생산성을 높힐 수 있어 푸랑귀 관개지역의 물관리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냉 요법이 골관절염 노인환자의 슬관절 전치환 성형술 후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김옥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골관절염으로 진단받고 슬관절 전치환 성형술을 받은 60세 이상의 대상자들에게 냉 요법을 적용함으로써 수술과 관련하여 느끼는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의 원시시험설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7년 2월 15일부터 3월 31일까지, 서울 소재 S 일 종합전문요양기관의 정형외과 병동에 입원하여 슬관절 전치환 성형술을 받은 2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통증정도는 시각적 상사 척도인 VAS(Visual Analogue Scale)로 측정하였고 통증감각은 McGill의 단축형통증질문법(Short-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 S-F MPQ)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감각’의 11 문항을 근거로 수정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관절가동범위는 continuous passive motion(CPM) 기계(K2, Atromot,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구하고, 냉 요법을 실시하기 전&#8228;후의 통증 정도, 통증감각 및 관절가동범위의 검증은 Wilcoxon Two Sample 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 가설인 ‘수술 후 냉 요법 실시 전보다 실시 후에 관절 통증 점수가 적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냉 요법 전 통증점수가 6.5점이고 냉 요법 후 3.7점으로 유의하게 감소 (z=175.5, p<0.0001)하였다. 제 2 가설인‘냉 요법 실시 전보다 실시 후에 관절통증감각 점수가 적을 것이다.’는 일부 항목에서 지지되었다. 지지된 항목은 ‘쿡쿡 쑤신다.’(z=-2.11, p=0.0345), ‘쏘듯이 아프다.’(z=-3.36, p=0.0008), ‘쓰라리다.’(z=-1.38, p=0.1681), ‘꽉 쥐듯이 아프다.’(z=-2.5, p=0.0123), ‘꽉 무는 듯이 아프다.’(z=-0.95, p=0.3425), ‘쑤신다.’(z=-3.78, p=0.0002), ‘찌뿌드드하다.’(z=-3.99, p=0.0001), ‘누르면 아프다’(z=-3.15, p=0.0016) 이다. 제 3 가설인 ‘냉 요법 실시 전보다 실시 후에 관절가동범위가 클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냉 요법 전 관절가동범위는 112.8°, 냉 요법 후엔 115.3°로 유의하게 증가(z=-0.90, p=0.37)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슬관절 전치환 성형술 후 급성통증 시 냉 요법 적용으로 관절통증점수가 감소되고 관절가동범위(ROM)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노인 환자의 수술 후 회복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ld therapy on postoperative pain and range of motion of elderly with osteoarthritis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5 to March 31, 2007. The subjects were 29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S medical center in Seoul.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pain intensity was the VAS. For pain sensation a modified S-F MPQ was used. CPM machine was measured as indicators of range of motion.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and repeated measures wilcoxon two sample test with the SAS program. The pretest data were obtained after PROM by CPM. Patients received cold therapy for 20 minutes. The posttest data were collected at 20 minutes after the cold therapy.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Hypothesis 1, That "The joint pain scores of the cold therapy post test group (VAS 3.7)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test(VAS 6.5)" was supported(z=175.5, p<0.0001). 2. Hypothesis 2, That "The pain sensation scores of the cold therapy post test group(S-F MPQ)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test (S-F MPQ)." was supported. 3. Hypothesis 3, That "The ROM of the cold therapy post test group (115.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 test experiment group(112.8°)" was supported(z=-0.90, p=0.37).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ld therapy can be effective for postoperative pain and range of motion of elderly with osteoarthritis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A larger patient population is required for the current findings to be applied to the general population. The possibility an ultimately of doing many contribution in recovery after operating the old person patient it will be it expects.

      • 중국의 스마트 항만 구축을 통한 항만 경쟁력 확대 전략 : 상하이와 칭다오 스마트항만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팽사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intensified international competition, the free trade zone has increased the degree of inter-regional openness. As an important support center for the free trade zone, ports are also facing n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orld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formatiz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bred new breakthroughs, and the emergence of new gene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the cloud computing and Internet of Things will greatly promote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human society. At the same time, it will also accelerate the transformation of economic development mode. Important support. The Internet of Things can be applied in all aspects of our lives, involving ports, public safety, manufacturing, modern logistics, supply chain management, traffic management, military, smart grid, smart home, environmental monitoring, health testing and other industries. As a meeting point of multiple modes of transportation, ports play a pivotal role in the comprehensive transportation system. To a large extent, their development level reflects the development level of a country's logistics. The construction of port intelligence and informationization is an important means to enhance the core competitiveness of ports, and it is also the key to reducing logistics costs and improving logistics efficienc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mature application of logistics information technology, smart port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have emerged,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smart ports, and becoming the main trend of today's ports to transform their development methods and enhance their comprehensive competitiveness. Speeding up the construction of smart port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nd making my country's ports truly "smart" is an important direction for the modernization of my country's ports and an important path to enhance the comprehensive competitiveness of ports. Under the dual opportunities of the national "Belt and Road" development initiative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transformation and upgrading of ports to smartness is an important way and starting point to improve port quality and efficiency. In this context, by study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ports and related knowledge of smart ports, consulting a large number of documents, clarifying the concepts and relationships of smart ports, port logistics and port competitiveness analysis, and analyzing the key technologies driving the development of smart ports , Study the function and composition of smart ports, explore the construction content of smart ports, provide references for domestic smart port construction, help clarify the current smart port construction tasks, accelerate the transformation and upgrading of ports, improve the comprehensive competitiveness of ports, and ensure port development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China has profound reform significance.

      • Estimation of climatic-driven maize yield losses under rain-fed conditions in north-central Nigeria : 나이지리아 북중부 천수지역(rainfed) 옥수수 생산량 손실에 대한 기후인자 영향 분석

        Adeyemi Khalid Adeola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온실가스 증가에 의한 기후변화 현상은 높은 빈도와 강도로 고온 현상과 물부족 현상을 야기시킴으로 세계 식량 생산을 위협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나이지리아 북중부 지역은 농업이 경제를 이끄는 주요 산업이며,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옥수수는 나이지리아의 식량 주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나이지리아 북중부 지역의 옥수수 생산량과 기후변화와의 관계성을 파악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극한기후(climate extreme) 현상이 나이지리아 북중부지역 옥수수 생산량에 미친 영향과 변화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나이지리아 북중부 지역에 위치한 25개 기상관측소에서 39년간(1982-2020)의 강우량, 최대온도, 최저온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26개의 기후지수를 선정하여 강우 및 온도에 대한 공간적, 시간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나이지리아 북중부지역에서 옥수수 생산량 자료가 가용한 지역을 대상으로29년간(1991-2020)의 연간 옥수수 생산량 자료를 수집하고, 그 지역이 속한 기상관측소 10곳을 선별하여 기후변화에 의한 옥수수 생산량의 영향을 파악해 보았다. 단계별 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9개의 기후지수를 선정한 후, 기후변화가 천수지역(rainfed) 옥수수 생산량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강우관련 기후지수는 감소 추세를 나타내어 대부분의 지역에서 점진적인 건조 경향을 보였다. 온도관련 기후지수는 두드러지게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옥수수 경작기간 중 추운 낮과 밤에서는 경향에 큰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기후지수는 R20mm, PRCPTOT, WSDI, TN90p, TX90p로써, 옥수수 수확량 변화 예측에 잘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극한기후지수와 옥수수 수확량과의 관계는 고온현상과 옥수수 생장기 동안의 극한강우조건에서 상당히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러한 기후현상은 옥수수 생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이지리아 중북부 지역은 극심한 가뭄과 폭염에 민감하여 지속가능한 옥수수 생산에 취약한 여건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Climate change is threatening global food production by instigating hot and dry spells of varying intensity and frequency driven by the increased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greenhouse gasses. Agriculture is the main driver of the economy in north-central Nigeria; however, the influence and contribution of climate extremes in inducing changes in maize yield are not well reported. In this study, 26 agriculturally related climate extremes indices were derived using 39- year (1982−2020) daily temperature and rainfall data collected from 25 weather stations. Stepwise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the five most influential climate extreme indices that explain the changes in rainfed maize yield. For all the weather stations, gradual drying was noted based on the declining trends in most of the rainfall-related extreme indices. Most temperature-related extreme indices showed notably higher change rates except for the cold spell duration indicator and cold nights. The selected climatic extremes from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good predictive capacity for changes in maize yiel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selected climate extremes and maize yield revealed that extreme precipitation during the maize growing period and high temperature show the highe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also presented a serious influence on the rainfed maize yield in the study region. Generally, the study showed that northcentral Nigeria is particularly susceptible to severe droughts and heat waves that can seriously deteriorate sustainable maize production in the future.

      • 노인 암환자의 공유의사결정의 양상

        김학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599

        Patients are now taking more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medical treatment than ever before. Patient's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ten leads to a shared decision-making(SDM) among patients, family members, doctors and nurses. The SDM seems to become a trend as medical knowledges have become more ubiquitous and as the patient's rights to know and to choose medical treatments for oneself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in the medical practices. The SDM contributes to bring about an effective health care system by helping a patient become a more engaged and active partner in the medical treatment. And yet, few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SDM in Korea, particularly on the participation of older patient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medial treatment. This case study focuses on the older cancer patients' participation in the medical treatment process. The reasons for study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 treatment process are several folds; First, previous studies report that age is an important factor of a decision for the medical treatment. Secondly, older patients are increasing rapidly as Korea becomes an aging society. Thirdly, cancer is the number one cause of the older persons' death rates. A primary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How older cancer patients perceive their illnesses and How they participate in the medical treatment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is case study the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and six older cancer patients, their families, and health professionals such as doctors and nurses involved in those patients' treatments were interviewed from December 2008 to April 2009. The interviews were all recorded with their consents on the spot, and observations during the interviews were also made and written down instantaneously.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older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were cooperated in the decisions for the medical treatments. Secondly, the perceptions of older cancer patients of their illnesses have been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Facing", "Getting to know", and "Averting". Thirdly, those perception types have affected differently to the medical treatments, particularly to the shared decision-making among the patient, family members, doctors and nurses. "Facing" is a type that a patient knows his or her diagnosis and faces the situation actively. Patients with such a type showed their willingness to fight against cancer. Their family members were also willing to give and share informations on the medical treatments with the patients. In these cases active shared decision-making based on the informations was followed. "Getting to know" is a type that a patient gets to know his or her illness little by little as family members do not let the patient know all the informations they have and hide some informations from the patient. Although family members do so by thinking that such hiding information would help the patient, he or she slowly becomes to know his or her illness as one gets medical treatments for cancer. In these cases passive shared decision-making was followed due to the limited informations from the family members. "Averting" is a type that a patient refuses stubbornly to accept his or her illness even in the case one could fully know his or her diagnosis. In the 'Averting' cases, even though this type of patients seemed to pretend not to care about the diagnoses of their illnesses, their ears were wide open to the whisperings around them and they waited their family members to decide first while not telling them to do so. Informations were not shared and thus a shared decision-making was done between doctors and family members only as the patient didn't participate in the treatment process. And finally, an interesting but maybe a significant case for a further study was found in this case study. It is that while a patient already had a preference in mind for a particular treatment, the patient hesitated to reveal and share the preference with family members. The main reason for such hesitation was the older patients' perception of a conventional social wisdom that they should not leave economic burdens of high medical costs that family members could not afford. This study concludes with som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 nursing plan for older cancer patients and medical treatment. For instance, when a nursing care plan is prepared, a tool for identifying older cancer patient's perception schemes needs to be developed. And considering the older cancer patient's conventional social wisdom, government may need a policy particularly for those poor older cancer patients. 의료지식의 보편화와 더불어 환자의 알권리와 선택의 권리가 의료현장에 도입되면서 환자의 치료에 대한 의사결정의 참여는 일반적인 추세가 되었다. 서구사회에서 시작된 환자와 의사가 공동으로 치료결정을 내리는 공유의사결정(SDM, Shared Decision Making)은 환자로 하여금 자신의 치료에 능동적 동반자가 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건강체계 안에서 긍정적 공헌을 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공유의사결정에 관한 연구는 물론 환자의 치료에 대한 의사결정의 참여에 관한 연구도 드물다. 따라서 이러한 공유의사결정 또는 환자의 치료에 대한 의사결정 참여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본 연구는 그 연구사례를 노인 암환자의 치료에 대한 의사결정참여로 설정하였다. 노인 암환자의 치료에 대한 의사결정참여를 사례로 삼은 이유는 첫째, 현대사회가 노령화사회로 접어듦에 따라 노인환자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과 둘째, 나이가 치료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므로 노인환자의 치료 참여가 주요한 이슈가 되기 때문이다. 셋째, 노인의 경우 암이 노인사망율의 수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암환자의 질병인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환자의 치료에 대한 의사결정 참여는 환자와 가족 그리고 의료인 사이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라는 연구문제 하에 노인 암환자를 비롯하여 가족과 의료인의 경험세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를 연구하기에 적합한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2008년 12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서울특별시 소재 두 곳의 종합전문병원에 암환자 등록이 된 노인 암환자 6명과 치료과정에 관여했던 환자의 가족 및 의료인을 참여자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개방형 반구조적 질문지를 이용한 심층면담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면,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녹음을 하고, 관찰내용은 현장노트에 기록하였다. 연구의 분석은 Agar(1980)의 분석단계에 따라 사건, 주제, 적용 등 세 가지 수준에서 이루어졌으며 분석은 자료를 수집함과 동시에 시작하였다. 주요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 암환자의 암 인지는 대면하기, 알아가기, 외면하기의 양상을 보였으며 질병인지 양상에 따라 공유의사결정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노인 암환자의 치료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는 노인환자와 가족 간의 협동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면하기는 자신의 진단명을 알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이었다. 의지가 강한 환자에서 보여지는 모습인데 가족들도 대부분의 정보를 환자와 공유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치료에 대한 의사결정은 정보에 근거한 적극적 공유의사결정이 이루어졌다. 알아가기는 가족의 판단에 의해서 환자에게 병명이 숨겨지는 경우이다. 가족들은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생각으로 정보를 차단하지만 암 치료가 진행되면서 대부분의 환자들이 서서히 자신의 질병을 인지하게 되면서 정보의 일부를 공유했다. 치료에 대한 의사결정에의 참여는 정보의 제한 등으로 소극적 공유의사결정이 이루어졌다. 외면하기는 환자가 자신의 질병을 인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지는 경우에도 이를 외면하는 경우였다. 자신의 병에 대해서 관심이 없는듯하지만 실제로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가족들이 자신의 치료를 진행해주기를 기다렸으나 정보는 공유되지 못했다. 이들은 치료에 대한 의사결정에는 참여하지 않음으로 해서 공유의사결정은 가족과 의료인 사이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참여자 중에는 치료에 대한 의사결정의 참여에 있어서 본인의 마음속 결정을 그대로 가족과 의료인과 공유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치료경비를 감당할 수 있는 경제적 능력과 어른스러워야 한다는 사회적 통념 때문이었다. 따라서 노인 암환자를 위한 간호계획을 수립할 때는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 암환자의 치료에 대한 공유의사결정이 질병인지 양상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대처하는 양상이 다름을 밝힘으로써 노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대처유형에 적합한 간호전략수립 및 프로그램 개방을 위한 실무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노인 암환자를 위한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암환자의 경험적 정보세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질문지 개발이 시급하다. 둘째, 질병을 인지하지 않고 외면하는 노인 암환자의 경우 그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