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 5세 아동의 인지적 억제와 작업기억 폭이 회상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성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의 인지과제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작업기억의 체계의 하위요소인 작업기억 폭과 인지적 억제가 과제 수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지. 일어난다면 어떠한 형태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령전기인 만 5세 아동 229명을 대상으로 하여, 인지적 억제와 작업기억 폭에서 중간값의 동점자를 제외하고 상위 50%, 하위 50%를 분류하여 총 201명을 분석하였다. 인지적 억제는 한은주와 최경숙(2003)의 연구에서 Stroop-like day-night을 수정하여 사용한 별과 꽃 과제를 사용하였고, 작업기억 폭 검사에서는 WMTB-C(The Working Memory Test Battery for Children)의 숫자 회상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인지적 억제(상,하) × 작업기억 폭(상,하)를 통한 이원 배치 분산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의 회상량에 있어서 인지적 억제와 작업기억 폭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작업기억 폭 그리고 인지적 억제 각각이 아동의 회상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각각의 영역에서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높은 회상을 보였다. 또한 인지적 억제와 작업기억 폭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단순 주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작업기억이 높은 집단에서 인지적억제가 높고, 낮음에 따른 회상량의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작업기억이 낮은 집단에서 인지적 억제의 높고, 낮음에 따라 회상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인지적 억제가 낮은 집단에서 작업기억에 따라 회상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인지적억제가 높은 경우에는 작업기억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령전기인 만 5세 아동에게서도 작업기억 체계의 하위 구조인 음운회로 영역과 중앙 집행기의 상호작용이 발생하였다. 이는 작업기억의 하위체계 요소간의 상호작용이 학령전기 아동에게도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인지적 억제가 회상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이를 통해 정보처리 관점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억제의 역할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에게도 작업기억의 하위체계 구조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과 더불어 작업기억 하위체계들의 상호작용의 발생 가능성을 밝혀냈다는 점, 그리고 억제의 중요성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inhibition and working memory span on five years old children's recall. Total two hundred twenty nine of five-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and the level of their cognitive inhibition and working memory spa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high and low)by 50% level each, and then finally two hundred one children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These participants completed three tasks: First task was one of the typical Working Memory span task by WMTB-C and Stroop-like day-night test was also used to examine cognitive inhibition. Scores of a Memory recall were also used.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2 factors cognitive inhibition(high, low), working memory span(high,low). Data was analyzed by Two-way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main effects were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gnitive inhibition level and working memory span was also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working memory span on high cognitive inhibi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ildren's performance on memory recall task was not only influenced by the cognitive inhibition but also by the working memory span. It means that there is the possibility which the sub-components of working memory interact each other to influence the children's performance.

      • 근대 한·중 대동사상 연구 : 박은식·강유위를 중심으로

        관림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康有爲的大同思想,我个人認爲是以儒家的仁義和佛家的慈悲精神爲基礎,吸收基督教的西方民主主義的实質,把它改造成适合于东方的理想世界的思想.它创立于十九世纪末二十世纪初,是在中國的特定歷史條件下産生,是爲擺脫淸朝專制,实現人類平等和永久幸幅而設計的理想樂園.與此相比,朴殷植的大同思想則是把東方的傅統思想融合于基督教,試圃以新的方式实現東西統一,是文化鲜明的宗教文化思想.创立于第二次世界大战以后,也是在韓國的特定歷史條件下産生的,是爲結束或者说是调和南北分隔而形成的共産主義和資本主義的尖鋭对立,及同族相残的民族悲剧,实现平等和永久和平而設計的理想樂園. 康有爲的大同思想根据≪大同书≫的记载分析,想要实现大同世界,就必须要打破九種不平等的世界,即九界:➀打破國家境界,实现世界统一(國界);➁消除階級差別,实现人類平等(級界);➂消除種族差別,实现人類同一(種界);➃消除男女差別,保障女性獨立(形界);➄打破家族制度,使天下萬民皆成爲天民(家界);➅把所有産業公營化(業界);➆撥正不合理的混亂狀態,實現太平世(亂界);➇消除人類與動物之差別,普愛衆生(類界);➈解脱苦界,到达极乐(苦界).這九界的打破,正是康有爲大同思想的中心目的.康有爲特別向往美國式的社會,并预言人类社會最终將会走向美國式道路. 但是,现实是令人遺憾的,康有为并不赞同以革命运动的方式来实现大同社会.他认为,中国虽然经历了辛亥革命的洗礼,但是人民的思想水平有限.同时,革命运动一事违反“仁义道德”原则.他接受西方自然进化原则,但是否定自然现实中存在的"弱肉强食,适者生存"这一残酷现实的生存法则.他觉得,社会不应该存在暴力野蛮,只应该慢慢自然的进化.虽然他的用意是好的,但是如果真是依照康有为的观点,让中国慢慢进化的话,那么可能需要几百,甚至是几千年的时间,这是不现实也是不科学的.而朴殷植虽然赞同康有为的观点与想法,但是他更能接受“弱肉强食,适者生存”这一原则.他认为国家已处于危难关头,虽然“弱肉强食,适者生存”原则很残酷,但是为了解救祖国,为了解救处于水深火热的人民,非常时期必须用非常办法.不能只考虑到未来,如果不解决当下实际的问题,那么也许就没有未来了.所以他接受并且赞同康有为的学术观点,但是朴殷植更加侧重于西方进化论观点和日本阳明学的结合.这是朴殷植思想与康有为思想最最根本的不同点.本论文以此为出发点,通过对朴殷植与康有为各自生涯,各自对大同思想与大同世界的不同看法与观点来进行分析比较,研究朴殷植思想与康有为思想各自的特色与不同.

      •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비교 분석 : 「7차 교육과정」과「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정경화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s for the 7th educational course and revised 7th educational course. First, it look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second, it analyzes the contents and lastly, it researched the frequency and amount of description of historical figures. Through comparing the textbooks, it was possible to note changes to the system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s, direction and will regarding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particular eras. As a teacher of history, I also put forward suggestions regarding expectations and improvements to be made within textbooks. The 7th educational course of history in elementary school, which began in 2007, suggested 51 hours of classes per semester for 6th grade students, as well as enhanced levels of differentiation between students. As research activities have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more activity-oriented classes has also been suggested. this shows willing on the part of the designers to help students easily understand and engage with the textbooks. However, since these efforts period of time, with less classes, many aspects of the course appear merely superficial. Concerns have been raised in this regard, specifically in terms of students losing interest in studying history. Additionally, the learning tasks assigned in each unit were often difficult for students to solve in such a space of time, increasing difficulty for the teachers in turn. The volume of conversational interludes often disrupted and distracted from the main learning objectives, leaving the contents somewhat over complicated. The revised 7th educational course, which began in 2011, suggested 97 hours of history class per year for 5th grade students, with expectations for the students to learn history in greater detail and with more ease. The textbook system is simple, periods are specified in an understandable manner, and historic facts are described in appropriate detail. If some descriptions are insufficient, they can be like to other, more detailed sections and connected to topics of research. At the end of each unit, there are summaries of the contents as opposed to problem to be solved, which lessons the burden of learning. Additionally, ethnic pride, Korea in the world and efforts to elevate status of our people are described in great detail. Despite this, there is a problem in current revised 7th educational course for history classes In it's current guise, concentrated history classes are recommended during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skipping the two preceding years-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1st grade of middle school. This is problematic as it cause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tudents' historical cognition to be disrupted. It is more effective to allocate history class during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s students' consciousness as this time is mature in terms of causal and periodical thinking, while they are able to perform activities with reasonable concentration. In this way, their historical studies would be uninterrupted. Finally, when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level and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may be in favor of stories, rather than listing particular figures or themes within a framework of historical facts, it is more effective to narrate such facts naturally and in chronological orders, so that the students may gain a greater understanding. Rather than stories exclusively focusing on heroes and figures of great power, tales of woman, children, and weaker people may prove more relatable to students and should therefore be included in history textbooks.

      •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증상 경험과 삶의 질

        한은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 후 증상 경험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증상 경험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대상자의 추후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증상 관리에 있어 시기와 증상에 적합한 중재 개발을 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11년 4월 11일부터 2011년 5월 19일까지 서울 소재 상급종합병원인 C 대학병원에서 조혈모세포이식 병동 입원실 및 혈액 종양 내과 외래에서 직접 설문 방법을 통해 시행하였다. 전체 대상자는 79명으로, 이식 중 환자 17명, 이식 후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한 횡단적 조사 연구를 하였다. 연구 도구는 삶의 질은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FACT-G) version4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증상 경험은 The Symptom Experience Index(SE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 Pro- gram을 이용하여 독립 이표본 t-검정(t-test)과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으로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은 Games-Howell test로 분석하였다. 제 변수와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이식 치료 후 증상 발생은 21.71±14.41, 증상 고통은 18.85± 14.20, 증상 경험은 40.56±28.11로 나타났다. 증상 경험 범주에 따른 정도는 식이 위장관 문제, 피로 수면 불안 문제, 신경학적 문제, 통증 고통 문제, 인지 문제, 배설 양상 문제, 외모 문제, 호흡기 문제 순으로 증상을 호소하였다. 증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이식 치료 후 도움을 준 사람, 자가 건강 상태 평가, 활동 정도, 직업 변화 유무, 이식 치료 후 경과 시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식 치료 후 삶의 질은 108점 만점에 68.51±14.02이며, 하부 영역별 삶의 질은 신체 상태, 사회·가족 상태, 정서 상태, 기능 상태의 순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치료비 부담 상태, 자가 건강 평가 상태, 활동 정도, 직업 변화, 진단명과 이식 후 경과 시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식 치료 후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증상 경험 점수가 낮게 측정되었고, 신체 상태, 전체 삶의 질이 높게 측정되었다. 증상 경험이 증가하면 삶의 질은 낮아지는 음의 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조혈모세포이식 후 증상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이식 후 도움을 준 사람, 자가 건강 평가 상태, 평상시 활동 정도, 직업 변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식 치료 후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치료비 부담 상태, 자가 건강 상태 평가, 활동 정도, 직업 변화였다. 이식 치료 후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증상 경험 점수가 낮게 측정되었고, 전체 삶의 질은 향상되었다. 증상 경험과 삶의 질은 음의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 후 환자의 증상 경험과 삶의 질의 중요성에 대해 선행 연구와 함께 적절한 중재 프로그램 및 지지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증상 경험을 관리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rceived symptoms experience and the quality of life after a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HSCT) and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experience and the quality of life. A convenience and purposive sample of 79 adult participants undergone transplantation was recruited from C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in April 11 to May 19, 2011.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Scale(FACT-G) version 4 was used to assess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the Symptom Experience Index-Korean version(SEI-K) was used to measure the occurrence and distress of symptoms after HSCT.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version 18.0. All statistical tests were set at the 0.05 significance level with 95% confidence interval(CI).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 ticipants. The independent two-sample t-test and a one-way ANOVA (one-way ANOVA) were analyzed to test for significance of group differences in the SEI-K and FACT-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 variables was examin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an score of time since HSCT The portability of subjects after stem cell transplantation onset 21.71±14.41, symptoms pain 18.85±14.20, 40.56±28.11 to experience symptoms appear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mptom experience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functional status, change in job status, sign elapsed after transplantation.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after HSCT was 68.51±14.02 in the 108-point scale, and sub-domain-specific quality of life, physical condition, social and family status, emotional status, functional status was of the or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mong burden of treatment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functional status, profession changes, and diagnosis. As time elapsed after HSCT experienced symptom scores were measured at a low level, physical condition, overall quality of life was higher. If you experience increased symptoms of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was lower. In conclusion, this study experienced symptoms after HSCT factors that affect the people undegone transplantat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unctional status, changes in job status showed. Transplant quality of life after treatmen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burden of the cost of treatment status, health status self-assessment, activity level, occupation was change. As time elapsed after HSCT experienced symptom scores were measured at a low level, the whole quality of life has improved.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Taken together with more than look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atients' symptoms after HSCT experience and previous studie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life with appropriate intervention and support programs to help emphasize the need will becom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experience to manage the patient's symptom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re thought to contribute.

      • 소아 청소년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

        최승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암환아 부모를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여 스트레스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적합한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2011년 11월 1일에서 2012년 4월30일 사이에 서울특별시 소재의 C 대학병원, 소아혈액종양 및 조혈모세포이식 병동에 재원중인 소아암 환아를 돌보는 만 18세 이상의 부모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총 175부를 회수하였다.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송인숙(1998)의 역할 스트레스 도구와 삶의 질 측정을 위해 M. A. Weitzner 등(1999)이 개발하여 윤영호 등(2005) 이 한국어판으로 번역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korean version of the Caregiver Quality of Life Index-Cancer (CQOLC-K)를 사용하였으며 각 도구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s α=.86, Cronbach's α=.90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총 175부로 PASW Statistics 18.0으로 기술통계,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와 Scheffe, LSD test, Pearson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어머니 87.4%, 30대 이하가 59.4%, 대학교 이상이 65.6%,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77.7%로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소득은 300~400만원 미만 32.8%, 월평균 의료비 지출은 100만원 이상이 38.3%, 환아의 의료비 지출에 대한 경제적 부담은 44.6%에서 약간의 곤란을 겪으며 90.8%에서 완치가 될것으로 기대하였다. 2. 질병관련 특성은 백혈병이 88.5%, 최초 진단 후 경과기간은 6개월 미만, 1년~2년 미만이 각 28%, 치료기간은 6개월 미만 32.8%이며 항암화학요법만을 받은 경우는 75.3%, 항암화학요법과 조혈모세포이식을 병행한 경우는 10.9% 였고 , 치료에 대한 결정권자는 44.6%에서 응답자 본인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한 전체 평균점수는 56.16, 각 문항별 스트레스 평균은 2.34인 것으로 나타났다.전체 삶의 질 점수 평균은 69.58, 각 문항별 삶의 질 평균은1.99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는 가구소득(F=3.835, p=.005), 의료비 부담(F=7.971, p=.000), 경제적 부담(F=9.307, p=.000)의 변인들이, 삶의 질은 가구소득(F=2.770, p=.000), 의료비 부담(F=10.655, p=.000), 경제적 부담(F=9.403, p=.000)의 변인들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질병 특성에 따른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으며, 삶의 질은 치료요법 중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경우가 삶의 질 점수가 낮았다. 6.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r=-0.676(p=0.000)인 것으로 나타나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를 줄여 삶의 질을 높이는 간호중재의 개발 및 소아암 환아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의료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을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of the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the parents who has pediatric cancer. This analysis give the information data to relieve the stress and improve quality of life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his survey conducted from November 1, 2011 to April 30,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in PASW 18.0 to get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Scheffe analysis. Result are as follow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175;87.4% women, 65.5 percent graduated university, 34.9 percent has not religeon, and 77.7 percent has not economic activity. Household income of family members 32.8% 3~4 million won, 38.3% average monthly medical costs over 1 million won, financial burden for medical care of patients with a 63.5 percent.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re leukemia 88.5%,period less than 6 months after first diagnosis 28.0%. Then 44.6% respondents was determine on the chemotherapy and various tests. A stress of the parents has a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usehold income (F=3.276, p=.008), medical cost (F=7.971, p=.000), economic burden (F=9.307, p=.000). Quality of life of the parents has a difference in household income (F=2.770, p=.000), medical cost (F=10.655, p=.000), economic burden (F=9.403, p=.000). Quality of life of the parents to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has a difference in stem cell transplantation (F=2.839, p=.005).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s follow; Quality of life was founded to be negative correlated with stress (r=-.676, p=.000). Based on this results, quality of life of the parents who has pediatric cancer may be decreased in more stress. Therefore, an effort to alleviate the stress,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rents should be continually made.

      • 대장암 수술환자의 생존여정

        박정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Although colorectal cancer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diagnosed cancer types and has highest increase rate, complete cure is increasingly becoming a reality as the survival rate has begun to steadily increase owing to an increase in early diagnosis and to the general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cancer treatment. However, most studies on colorectal cancer have been performed mainly from a medical perspective, assessing patients with acute stage colorectal cancer or ostomy, whereas there have been nearly no studies dealing with the long-term survival experiences of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To address this lacuna,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survival experiences of patients after surgical resection of colorectal cancer, considering their long term survival journey from a socio- cultural perspectiv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current study aimed to establish a foundational basis for implementing differentiated and specified nursing practices at specific stages for the better performance of nursing intervention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colorectal cancer surgery. This study addressed the question of how the survival experience of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changed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ir journey to recovery. To do this, it described and analyzed the survival experiences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colorectal cancer surgery using an ethnographic method so as to understand the unique life of these patients.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a total of 13 subjects, of whom seven were male and six were female. All were diagnosed as having colorectal cancer and were in recovery from surgical resection or under follow-up observation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from the out-patient unit or the in-patient ward of C university hospital from October 2010 to November 2011. The study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ine by line reading method as well as by Agar (1980)'s three steps of event, theme and adaptation. The analysis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data collection The study results were classified and summarized as follows. The survival journey of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surgery includes an initial confrontation of the diagnosis, followed by strong medical compliance, which then levels off, until they finally begin a new life as cancer survivors. First, we analyzed the patients’ initial reaction to their diagnosis, as a key part of the survival experience. The survival experiences identified from the confrontation to the diagnosis of colorectal cancer, as “evadable cancer”, “Resenting unfair and uneasy life”, “Fear” and “Hiding behind the Almighty”. Secondly, the patients went through a fierce process of adaptation while undergoing post-operative, active adjuvant chemotherapy. Major experiences presenting during this stage were the sense that it was a “painful but tolerable treatment process”, and the desire to maintain health “thorough diet control”, “regular exercise”, “intensive concern and cooperation of family”, and “positive interaction with fellow cancer patients”. They also encountered negative experiences, such as “getting hurt by the inconsiderate behaviors of friends” and the “temptation of inappropriate treatment-induced conflict”. Thirdly, survival experiences and behaviors that took place after this compliance had leveled off were “introspection”, “self-comforting”,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and “depending on religious faith”. Finally, the survival experiences that occurred during the long term survival stage were “thankfulness”, “a sense of relief”, an awareness that they had “unexpected extra time in life”, wanting to lead a more philanthropic life, and feeling happy about insignificant matters. There was also a feeling of being born again, which led to a sense of discreet mind. Based on these findings taken collectively,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erived. After surgical resection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s recalled that they were diagnosed at a point when they had been dismissive about their abnormal physical signs but had begun to develop a presentiment about the possibility of cancer. As they confronted the reality of colon cancer, either they sank into confusion from the emotional shock, or they accepted and tried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f cancer through information acquisition, and depended on the positive words or attitudes of medical staff and social as well as spiritual support. They went through a journey involving a strong medical compliance, in which they established aggressive survival strategies during the aggressive process of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After the completion of aggressive treatment, their compliance leveled off and they converted to defensive survival strategies that were designed to reinforce their physical health. And then, finally, they began to live a new life as cancer survivors, in which they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As aforementioned, this study may have significance for researchers or practitioners who are preparing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involve planning differentiated and specified nursing practices according to specific cancer stages. When performing these nursing interventions for survivors of colorectal cance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patient survival experiences may accompany improvements in long term survival processes. 최근 들어 그 발생에 있어 가장 큰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대장암은 암의 조기발견 증가와 암 치료기술의 발전으로 대장암 생존율이 높아짐에 따라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 뒤 완치에 이르는 과정은 점차 현실이 되고 있다. 그러나 대장암 연구의 대부분은 주로 의학적인 관점과 암 진단 직후의 급성기 대장암환자와 장루보유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며 대장암환자의 장기적인 생존여정에 따른 경험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수술환자의 장기적인 생존단계에 따른 생존여정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대장암 수술환자들을 위한 간호중재를 수행할 때 특정 단계에 따른 차별화되고 세분화된 간호 실무를 계획하는데 기초 토대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는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대장암 수술환자의 생존여정에 따른 생존경험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 하에 대장암 수술환자의 고유한 삶의 세계를 일상생활 기술적(記述的)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대장암 수술환자의 생존경험을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장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하고 치료중이거나 치료를 마치고 추적 관찰 중인 대장암환자 남성 7명, 여성 6명으로 총 13명을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2010년 10월부터 2011년 11월 까지 C대학병원의 외래 및 병실에서 심층 면담과 관찰을 통해서 이루어 졌다. 연구의 분석은 자료의 내용을 빠짐없이 읽는 방법(line by line reading)과 Agar(1980)의 사건(event), 주제(theme), 적용(adaptation) 등의 3단계에 따라 이루어 졌으며 분석은 자료를 수집함과 동시에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장암 수술환자의 생존여정은 대장암과의 직면, 치열한 순응, 치열한 순응 이후 숨고르기, 장기생존의 거듭 태어남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몸에 이상징후를 느끼며 불길한 예감을 떨칠 수 없던 중 대장암 진단을 받는다. 대장암 진단 당시 대장암과의 직면여정에서 나타난 생존경험으로는 ‘외면하고 싶은 암’, ‘순탄하지 않은 삶을 원망’, ‘두려움’, ‘전능자의 뒤로 숨음’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술 후 적극적, 보조적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으면서 치열한 순응여정을 밟는다. 치열한 순응여정에서의 긍정적인 주요 생존경험으로는 ‘견딜 만큼 고통스러운 치료과정’, ‘철저한 식이관리’, ‘꾸준한 운동’, ‘가족의 집중적인 관심과 협력’, ‘암 환우들과의 긍정적 교류’이며, 부정적인 주요 생존경험으로는 ‘배려 없는 친구의 행동에 상처 받음’, ‘부적절한 치료유혹으로부터의 갈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극적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는 치열한 순응여정을 마치고 5년이 되기까지 경구용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보조적으로 받으며 숨고르기에 들어간다. 숨고르기 여정에서의 생존 경험으로는 ‘자기성찰’, ‘스스로를 다독거림’,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신앙에 기댐’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5년이 지나 장기생존에서 나타난 생존경험으로는 거듭 태어남으로 거듭 태어남 여정에서 나타난 생존경험으로는 ‘감사함’, ‘해방감’, ‘덤으로 사는 삶’, ‘베푸는 삶’, ‘작은 일에 행복함’이나 여전히 재발에 대한 걱정스러움으로 작은 몸의 변화에도 조심스러워하는 마음이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대장암 수술환자들은 몸의 이상 징후를 느끼며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나 점점 암일지도 모른다는 불길함을 떨쳐 버릴 수 없던 중 대장암을 진단받는다. 대장암과 직면하면서 외면, 원망, 두려움 등의 정서적 충격으로 혼란에 빠지나 대장암에 대한 정보획득, 의료진의 긍정적 말이나 태도, 사회적 지지와 영적 지지를 통해 암을 수용한다. 대장암 수술 후 적극적 · 보조적 항암화학치료 과정 동안 암 생존자로 살아남기 위해 견디기 힘든 여러 가지 불편감에도 불구하고 철저한 식이관리, 꾸준한 운동, 가족의 집중적인 관심과 협력, 암 환우들과의 긍정적 교류 등의 적극적인 생존전략을 세워 최선을 다하는 치열한 순응 여정을 거친다. 적극적 치료를 마친 후 경구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으며 이제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수비적인 생존전략으로 전환하며 숨고르기에 들어간다. 이후 암 생존자로 거듭 태어나 확장된 새로운 삶을 살게 되나 여전히 암 재발에 대한 걱정으로 조심스러운 마음을 가지고 살아간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대장암 수술환자의 장기적 암 생존과정에 따른 생존경험을 심도 있게 이해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대장암생존자를 위한 간호중재를 수행할 때 특정 단계에 따른 차별화되고 세분화된 간호 실무를 계획하는 간호중재전략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 일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섬망 관련지식

        원종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섬망의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섬망 위험 요인을 사정하고, 매일 정기적으로 섬망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임상실무를 행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교육의 필요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도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입원 노인 환자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심화 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의료분야에서 이미 노인은 주 고객이 되었고 따라서 노인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예상하여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입원한 노인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은 노인이 섬망 발병 가능성이 높은 위험 집단임을 알고 있어야 한다. 섬망은 환자, 가족, 그리고 의료진에 주는 부정적 영향이 크다. 즉 사망률과 이환률을 높이고, 입원기간을 연장시키고 의료비를 증가시킨다. 또한 환자의 독립적 기능 회복이 지연되고 환자간호에 더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되어 간호사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임상에서 섬망은 제대로 발견되고 치료받는 것이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환자와 함께 한다고 할 수 있는 간호사가 환자 발견을 잘 하지 못하는 이유는 섬망 증상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한 섬망 사정 능력 결여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섬망에 대한 지식을 조사함으로써 간호 실무에서 섬망의 중요성을 재고하는 동시에, 섬망을 조기 발견하고 적절한 중재를 통하여 부정적 결과를 최소화하여 잠재적으로 가역적인 인지장애 상태에 있는 섬망 환자들의 문제발생 빈도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고 간호사들의 섬망 환자 관리를 위해 지식과 교육의 필요성을 재고하는 것이다. It is important to keep monitoring Delirium patients on a regular basis, assessing the risk of developing delirium and reporting prediagnosis of the disease. It is, especially, necessary for nurses to receive training on how to treat them. As the society is aging, the number of elderly patients are increasing. Such change is occurring at a faster rate than ever. Elderly patients are increasingly making up a large proportion of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Given that, nurses need to be able to predict any problems patients might be faced with and be prepared to give them the best treatment. Also, nurses who provide care to the elderly must be aware that their patients are at the much higher risk of developing delirium. Fighting against delirium can be very painful for not only patients with the disease him or herself but also his or her family and medical teams. Worse yet, delirium can often lead to more serious conditions, sometimes even death, loading patients with higher medical costs, and extending hospitalization. And patients with the disease usually recover independently for a longer period. As a result, nurses will end up spending longer time taking care of patients than needed in that diagnosing at an early stage and curing the disease will help the patients recover faster. Delirium, however, is usually difficult to diagnose and cure. One main reason most nurses have hard time diagnosing the disease is that they never have training in the diagnosis of and are given little knowledge of the disease. As the disease has been studied more, such poor conditions have become more realized. Further research into delirium and understanding its causes and cure will help prevent the disease. After all, providing appropriate training on and knowledge of delirium to nurses is a urgent task to be done.

      • 아동의 인터넷게임과 공격성에 관한 종단적 구조모형

        이주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599

        아동의 과도한 인터넷게임은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최근 인터넷게임 중독 아동에서 발생하는 공격적인 행위의 증가는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아동은 성장발달하고 있는 존재로써 아동을 둘러싼 인구학적, 개인적, 가족적, 환경적 요인은 아동에서의 인터넷게임 수준과 공격성의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에서의 인터넷게임 수준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인터넷게임 수준, 공격성, 영향변인을 포함하는 종단적 구조모형을 수립하여 초등학교 4학년 시기부터 중학교 2학년 시기까지 5년간의 기간 동안 아동의 인구학적, 개인, 가족, 환경변인의 인터넷게임 수준과 공격성의 변화양상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고, 영향변인 하에서 인터넷게임 수준이 공격성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04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5년간 반복측정 조사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2,844명이다. 연구방법으로는 SPSS WIN 18.0과 AMOS 17.0을 사용하여 인터넷게임 수준과 공격성에 관한 잠재성장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인구, 개인, 가족, 환경요인 및 인터넷게임 수준과 공격성의 잠재성장모형을 포함하는 종단적 구조모형을 수립하여 각 영향변인의 인터넷게임 수준과 공격성에 관한 영향력과 영향요인 하에서 인터넷게임 수준이 공격성에 종단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따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공격성에 관한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분석에서 아동의 공격성은 4년 동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5년째에는 증가율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이차곡선 형태로 변화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양상은 아동들 간에 유의한 개인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높은 공격성을 보였던 아동들은 이후 공격성이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공격성의 증가율이 감소하는 시기에 더 빨리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이 증가하는 속도는 이후 공격성의 증가율이 감소하는 속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2) 인터넷게임 수준에 관한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분석에서 아동의 인터넷게임 수준은 첫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이차곡선 형태로 변화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양상은 아동들 간에 유의한 개인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높은 인터넷게임 수준을 보인 아동들은 인터넷게임 수준이 증가하는 시기에 더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인터넷게임 수준이 감소하는 시기에 더 빨리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게임 수준이 빠르게 증가하는 아동들은 이후 이차곡선 형태로 감소하는 시기에 더 빠르게 인터넷게임 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영향변인을 포함한 인터넷게임 수준과 공격성에 관한 종단적 구조모형은 적절한 적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게임 수준과 영향요인은 공격성의 초기치 변량의 86.1%, 변화율의 변량의 43.8%, 이차함수 변화율의 변량의 27.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향변인들은 인터넷게임 수준의 초기치 변량의 25.0%, 변화율의 변량의 3.9%를 설명하였으며, 이차함수 변화율의 변량의 0.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단적 구조모형에서 총 30개의 경로 중 15개의 경로만이 유의수준 .05이하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영향변인들의 인터넷게임 수준과 공격성에 관한 영향력 중 성별요인은 인터넷게임 수준과 공격성의 초기치와 변화율, 이차함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남아일수록 초등학교 4학년 시기에 인터넷게임을 더 많이 하며 이후 더 빠르게 수준이 증가하고, 공격성이 초기에는 더 높지만 서서히 증가하였다가 이후 더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요인은 인터넷게임 수준의 초기치와 공격성의 초기치, 변화율, 이차함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기통제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낮을수록,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초등학교 4학년 시기 인터넷게임 수준이 낮으며, 공격성이 낮으나 이후 공격성이 더 빠르게 증가하고 이후 증가율이 감소하는 시기에는 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요인인 부모애착과 부모감독은 인터넷게임 수준과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요인인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은 공격성의 초기치에만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초등학교 4학년 시기 공격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최종적으로 인터넷게임 수준의 초기치는 공격성의 초기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공격성의 변화율과 이차함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학교 4학년 시기 인터넷게임 수준이 높을수록 이후 공격성이 더 빠르게 증가하며, 공격성의 증가율이 감소하는 시기에 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게임 수준의 변화율과 이차함수 변화율은 공격성의 변화율과 이차함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인터넷게임 수준이 증가하는 경우 공격성도 더 빠르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인터넷게임 수준이 감소하는 경우 공격성도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한다. 첫째, 아동의 인터넷게임 수준과 공격성은 시간경과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며 개별 아동에 따라 개인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아동을 대상으로 인터넷게임 중독 예방 또는 비행을 예방하는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개별 아동은 인터넷게임을 하게 되는 동기, 인터넷게임에 몰입하게 되는 과정, 인터넷게임 수준과 공격성에 이르는 경로 간에 차이가 있을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교육, 감독, 지지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아동의 인터넷게임 수준은 공격성의 변화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게임 수준의 변화율 및 이차함수 변화율은 공격성의 변화율 및 이차함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터넷게임 수준의 변화가 공격성의 변화양상에 종단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아동의 문제행동, 비행 등을 예방하기 위해 아동의 인터넷게임 접속에 대한 제한이 필요하며 아동이 스스로 인터넷게임 수준을 자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교육, 지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주요어: 인터넷게임, 공격성, 아동, 잠재성장모형 Excessive use of Internet games can caus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in children. An increase in aggression in children addicted to online games has become a social issue in Korea.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game use and real-world aggressive behavioral changes has not yet been sufficiently investigated. The present longitudinal study used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LGM) to identify the effects of online gaming on levels of real-world aggression in children in the context of surrounding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individual, familial, and social fact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2,844 fourth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between 2004 and 2008. Internet game use was measured by a single item of a 5-point Likert scale. The levels of aggression, self-esteem, self-control, stress, depression, attachment to parents, parental control over a child, attachment to teachers, and attachment to peers were measured by multiple items of 5-point Likert scales. The gender of each child was also classifi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and AMOS 17.0 programs. Univariate LGM was use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changes in Internet game use and aggression in the participants over the study period. Multivariate LGM was implemented by both adding gender, individual, familial, and social factors to the model and construc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factors and the latent variables of Internet game use and levels of ag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Univariate LGM showed that the levels of aggression increased linearly for most of the study period, with a slight decrease in the rate of changes during the fifth year, suggesting quadratic changes over time. Furthermore, there was significant individual variability in both the initial level of aggression and the patterns of changes in aggression over time. The participants with higher levels of aggression in the fourth grade showed only slow increases while the mean levels of aggression were rising overall but then showed a rapid reduction in levels during the time that the mean rates of increase in aggression were decreasing. 2) Univariate LGM also showed that the level of Internet game use decreased for most of the study period although it increased in the first year, suggesting quadratic changes over time. There was also significant individual variability in both the initial level of, and pattern of changes in Internet game use over time. Those children with higher levels of use at fourth grade showed a slow increase while the mean levels of use were increasing overall and showed a slow decrease when the mean levels of use were decreasing.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ate of increase of use and the rate of decrease in use. This suggests that those children with an initial faster increase in the use of these games showed a more rapid decline in such behavior later in the study. 3) The overall fit indices of the multivariate LGM were χ2(115,N=2,844)= 1033.265, p<.001, TLI= .887, CFI= 930, nd RMSEA= .052, indicating a reasonable fit. Internet game use and influencing variables accounted for 86.1% of the initial level of change, 43.8% of the rate of linear change, and 27.9% of the quadratic change of variance in levels of aggression. Influencing factors explained 25.0% of the initial level of change, 3.9% of the rate of linear change, and 0.4% of the quadratic change of variance in Internet game use. In multivariate LGM, 15 of 30 pathways were significant, with a significance criterion of below .05. 4) Gender was the factor that most influenced the initial level of changes and the rate of changes both in Internet game use and levels of aggression. Boys showed higher levels of Internet game use at fourth grade and their levels of use increased faster than those of girls. Levels of aggression were also higher in boys; however, these levels increased more slowly and later decreased more rapidly than those of girls. Higher self-esteem and self-control and lower stress and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both Internet game use and aggression at fourth grade. However, those children with higher self-esteem and self-control and lower stress and depression showed a rapid increase and a slow decrease in levels of aggression over time. Interestingly, attachment to parents and parental control over a child were not associated with initial level and the rate of changes in levels of Internet game use and aggression. Attachment to teachers and attachment to peers were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s of aggression. Children with higher levels of attachment to teachers and to peers showed higher levels of aggression at fourth grade. 5)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latent variables of Internet game use and levels of aggression in the context of influencing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Internet game use at fourth grade and a later increase in aggression levels. The rate of increase in the levels of Internet game use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ate of increase in aggression levels, showing that a faster increase in use levels caused a faster increase in aggression levels in participants later. If the levels of Internet game use decreased rapidly, the levels of aggression in children also decreased rapidly. The previous research into Internet game use and aggression in children conducted in Korea has limitations owing to its cross-sectional data analysis and relatively small samples. The present study was longitudinal and us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children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game use and aggression in relation to influencing variables such as gender, individual, familial, and social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oth individualized programs to prevent addiction to Internet games and aggression management programs are needed, since there might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the processes that lead to being absorbed in an Internet game and the pathways that connect Internet game use with aggression levels.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the levels of Internet game use do affect the levels of aggression longitudinally. Therefore, preventive measures such as limiting the opportunities that children have to access Internet games and limiting the time spent playing them will decrease their chances of becoming addicted. Furthermore, provision of educational or self-training programs to help children control their Internet usage may prove to be of worth. Key words: Internet game, aggression, children, latent growth model

      • 두경부암 환자의 수술부위감염에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김미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599

        최근 국내 두경부암 환자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전체 암환자의 6%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두경부암의 근치적 치료를 위해 수술을 선호하고 있으나, 수술 후 합병증으로 수술부위 감염발생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두경부암 수술 환자의 수술부위 감염발생률과 감염원인 균주 확인 및 감염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감염관리 대책 수립과 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의무기록을 열람하여 시행한 후향적 조사연구로, 자료 수집은 두경부암을 진단받고 2006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서울 소재 700병상 규모의 일개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처음 수술을 받은 성인 3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문헌고찰을 기초로 연구자가 개발한 조사 기록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조사 기록지는 수술부위감염과 관련된 요인을 개인관련 요인, 수술관련 요인, 질병관련 요인으로 분류하여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1.5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요인별 특성은 실수, 백분율, &#119909;², &#119905;-test를 통해 단변량 분석하여 이중 수술부위 감염발생에 차이를 보인 변수들을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술부위 감염발생률은 두경부암 수술 370건 중 73건이 발생하여 19.7% 의 감염발생률을 보였으며, 감염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37.5%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이 중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가 84.4%를 차지하고 있었다. 2) 감염위험요인 중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성별, 나이, 흡연, 음주, 환자위험지수(ASA score), 수술 전 입실병동, 수술 후 중환자 실 입실 기간,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수술소요시간이 6시간 이상인 경우였다. 3) 두경부암 수술환자의 수술부위 감염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자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들을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multiple logistic regression)한 결과, 남성(OR=4.10, p=.013), 수술시간 이 6시간 이상일 경우(OR=5.81, p=.008), 뇌혈관질환(OR=4.76, p=.016), 심혈관질환(OR=2.31, p=.022) 가 감염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4) 본 연구의 회귀모형의 &#8211;2 Log Likelihood는 157.740이었으며, 모델 카이자승은 208.444(df=135, p=.000)로써 최종 로지스틱 회귀모형이 적합하였다. 설명력은 Nagelkerke R²=.686, 이었으며, 분류 정확도는 80.1%로 적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두경부암 환자의 특성에 따른 수술부위 감염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고, 실제 위험인자를 가진 대상자를 위해 효과적인 감염관리 대책 수립 및 감시체계 구축을 통한 감염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질적 간호 제공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 the incidence of head and neck cancers has increased, accounting for more than 6% of all malignancies. Surgery is the most preferred treatment modality for head and neck cancers; however, inadvertant complications such as surgical site infection (SSI) has also increas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revalence, causative bacteria, and risk factors for SSI among head and neck patients and to provide sufficient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strategies for infection control and surveillance system under Korean circumstance.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370 adults who were diagnosed with head and neck cancer and underwent a surgery in university hospitals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10 was performed.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author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 a survey questionnaire, the risk factors for SSI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related, surgery related, and disease related factor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1.5 (SPSS, Chicago, IL).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compared using χ2 and t-test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by including variables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incidence of SS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incidence of SSI was 19.7%. The most common causative bacteria was Staphylococcus aureus in 37.5% of all cases, an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 84.4% of these S. aureus cases. 2) The factors affecting the incidence of SSI were gender, ag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SA score, hospitalization ward before surgery, hospitalization period in the ICU after surgery, cardiovascular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and surgery lasting more than 6 hours. 3)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male gender (OR=4.10, p=.013), cardiovascular disease (OR=2.31, p=.022), cerebrovascular disease(OR=4.76, p=.016), and surgery lasting more than 6 hours (OR=5.81, p=.008)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infection. 4) Final regression model for predicting SSI was developed showing appropriated fit. Explanatory power of regression model (Nagelkerke R² value) was 0.686 and the classification precision was 80.1%. Identified risk factors and regression model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SI by predicting and identify related factors and to establish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and surveillance systems for patients at risks.

      •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소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추후 임상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2년 3월 5일부터 13일까지이고, 연구대상자는 서울에 위치한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경력 만 1년 이하의 신규간호사 125명이다. 연구도구는 손정태 등(2007)이 개발한 간호실무 수행능력 측정도구, 권인수 등(2006)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 Arthur(1990)가 개발하고 송경애와 노춘희(1996)가 수정, 보완한 PSCNI(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strument), Guglielmino(1977)가 개발하고 김지자 등(1996)이 수정, 보완한 SDLRS(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은 184.25점이었고, 비판적 사고성향은 97.17점, 전문직 자아개념은 68.58점,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은 213.23점이었다. 2.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 따라(t=3.903, p<.001), 근무부서에 따라(F=5.689, p<.001), 현재 근무하는 병원의 임상실습 경험 유무에 따라(t=1,849, 단측검정 p=.034)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임상수행능력은 비판적 사고성향(r=.563, p<.001), 전문직 자아개념(r=.547, p<.001),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r=.356,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t=3.467, p=.001), 비판적 사고성향(t=2.925, p=.004), 근무부서-응급실(t=3.645, p<.001), 근무부서-외과병동(t=2.594, p=.011)으로 나타났다. 총 설명력은 46.1%였고, 전문직 자아개념(β=.333), 근무부서-응급실(β=.301), 비판적 사고성향(β=.277), 근무부서-외과병동(β=.220)의 순서로 그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 비판적 사고성향은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직 자아개념, 비판적 사고성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간호교육자들의 역할과 임상실습이 중요하다. 간호교육자들은 다양한 교수방법을 개발&#8729;적용하고, 관련 기관들은 간호교육자들이 효과적인 촉진자와 역할모델로 성장&#8729;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지원해야겠다. 또한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이 임상수행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실습이 될 수 있도록 학교와 병원의 조화로운 노력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mong study variables and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e of new graduate nurses.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clinical competency of new graduate nurses. Participants were composed with 125 nurses who had worked for 12 months or less at a general hospita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 March, 2012 to 13 March, 2012.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Clinical Nursing Competency Scal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strument,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PASW 18.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otal mean score for clinical competence of new graduate nurses was 184.25,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97.17,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68.58 and self-direct learning readiness was 213.23.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gender (t=3.903, p<.001), working unit (F=5.689, p<.001) and previous hospital experience as a nursing student (t=1,849, one-tailed test, p=.034). 3. The clinical competence of new graduate nurs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563, p<.001), professional self-concept (r=.547, p<.001)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r=.356, p<.001). 4.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e of new graduate nurses were professional self-concept (β=.333, p=.001), working unit; ER (β=.301,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277, p=.004) and working unit; surgical wards (β=.220, p=.011). These variables explained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d nurses by 46.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re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e of new graduate nurses. Role of nursing educator and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is important in order to enhance the clinical competence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Nursing educator may need to develop and to use various teaching strategies. And nursing school and hospital may need to support and give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nursing educator, so it helps nursing educators to be facilitator and role model for nursing students and new graduate nurses. And it is necessary to have mutual endeavor in order to be effectiv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in nursing schools and clinical settings for better clinical compe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