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드뷔시의 후기 현악 소나타 분석 연구 : -신고전주의 예시적 관점에서

        류미화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드뷔시(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의 두 개의 후기 현악 소나타인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Sonate pour Violoncelle et Piano)와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Sonate pour Violon et Piano)를 신고전주의의 예시적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1915년 작곡된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는 총 3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악장은 변형된 소나타 형식이고, 제2악장과 제3악장은 3부 형식으로 구성된다. 기본적인 소나타 양식을 취하고 있으나, 전통적인 형식에서의 변형을 보여준다. 특이한 점은 드뷔시가 제1악장에 ‘프롤로그’, 제2악장에 ‘세레나데’, 제3악장에 ‘피날레’의 부제를 붙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3악장 형식의 소나타는 바로크 시대와 전고전주의의 3악장의 소나타의 양식적 요소라고 볼 수 있다. 이 곡에서는 제1악장이 제2악장과 제3악장의 서주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제1악장의 주제적 요소가 제2, 3악장에 나타나고, 제2악장의 주제적 요소가 전 악장의 전반에 순환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1917년 마지막 작품이 된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도 3악장 구성이다. 제1악장은 변형된 소나타 형식이고, 제2악장, 제3악장은 모두 변형된 론도 형식이다.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소나타 양식을 취하고 있으나, 전통적인 형식에서의 변형을 보여준다.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역시 표제적 형태를 가지는데, 제1악장을 제외하고 제2악장에 ‘간주곡’, 제3악장에 ‘피날레’의 부제를 붙였다. 이 곡 또한 제1악장과 제2악장의 주제적 요소가 제3악장에 나타남으로써 순환 형식의 구성이 보인다. 두 곡의 후기 현악 소나타는 후기 작품의 특징대로 인상주의와 고전주의적 특징이 종합되어 있다.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와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신고전주의적 양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소나타의 도입이다. 드뷔시는 이 작품에서 이전에는 쓰지 않았던 소나타를 도입하여 ‘소나타’라는 옛 전통을 상기시킨다. 총 3악장으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모두 소나타 형식으로 시작한다.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제1악장을 제외하고 모든 악장에 부제가 붙어 있는 점은 고전주의를 넘어 바로크 시대 표제적 모음곡의 성격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또한 두 곡에서 모두 순환 형식의 구조의 전통적인 면을 보여준다. 그러나 구조나 길이에 있어서 새로운 양상을 보여준다. 짧고 자유로운 형식을 구사하던 중기의 작곡 방식이 나타나며,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는 약 12분,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는 약 14분의 연주 시간으로 고전시대의 소나타보다 간결한 구성에 따른 짧은 길이를 갖는다. 둘째, 소나타의 도입에 따른 소나타 형식의 사용이다. 두 작품의 제1악장은 모두 소나타 형식으로,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코다의 기본적인 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세부 형식과 조성이 모호한 점에서 전통 소나타 형식과 구별된다.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과 가장 차이가 나는 점은 제2주제의 조성이다.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의 제시부에서는 제2주제가 같은 으뜸조로 나타나 조성의 대비가 없고,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에서는 오음음계가 사용되어 서양 조성과 동양 선법의 대조를 보인다. 또한 발전부가 고전 소나타에 비해 비중이 작고, 모티브의 발전 기법의 활용이 전통 소나타에 비해 소극적이다. 재현부에서도 전통적인 조성 관계를 따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의 재현부에서는 제2주제의 원조로의 회귀는 이루어지지만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과 다르게 제1주제가 원조에서 등장하지 않는다. 셋째, 프랑스 양식의 복원이다. 드뷔시는 이미 중기의 피아노 작품에서 라모(Jean-Philippe Rameau, 1683-1764)와 쿠프랭(François Couperin, 1668-1733)에게 존경을 표하는 작품을 썼으며, 그의 저작을 통해 라모,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 1803-1869), 구노(Charles-François Gounod, 1818-1893), 프랑크(César Franck, 1822-1890), 생상(Camille Saint-Saëns, 1835-1921)에 대한 존경을 표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후기 현악 소나타에 도입된다. 그러나 오음음계, 온음음계, 옥타토닉 음계, 선법, 5도와 8도 병행, 복조성과 모호한 조성 등의 독특한 자신만의 음악 어법이 점철된 점은 부인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프랑스 전통의 간결함과 섬세함, 가볍고 투명한 텍스쳐, 다양한 음색의 색채감, 반복되는 선율의 서정성 그리고 짧고 자유로운 순환 형식과 독특한 주법 등을 결합하여 그만의 ‘프랑스식 소나타’를 창조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따라 드뷔시의 후기 작품인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와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에는 전통과 혁신을 모두 포함한 신고전주의 예시적 요소가 나타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들은 드뷔시를 인상주의 작곡가로만 한정짓는 것이 아닌 신고전주의 예시적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볼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 작품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bussy’s (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late two string sonatas Sonate pour Violoncelle et Piano and Sonate pour Violon et Piano from the illustrative point of view of Neoclassicism. Sonate pour Violoncelle et Piano that was composed in 1915 consists of 3 movements in total. The Movement 1 has a varied form of sonata, and the Movement 2 and 3 have a 3-part form. They have a basic sonata form, but the sonata form has been varied from its conventional form. What is peculiar is that Debussy attached the subtitles to the movements: ‘prologue’ to the Movement 1, ‘serenade’ to the Movement 2 and ‘finale’ to the Movement 3. Anyway, such 3-movement form sonata may be a formal element of the 3-movement sonatas during Baroque and pre-Classicism eras. In the theme work, the Movement 1 plays a role of prelude for the Movements 2 and 3. The thematic element of Movement 1 appears in Movements 2 and 3, while the thematic element of Movement 2 appears cyclically across all the movements. Debussy’s last work Sonate pour Violon et Piano consists of 3 movements, too. Movement 1 has a varied sonata form, while Movements 2 and 3 has a varied Londo form. Like Sonate pour Violoncelle et Piano, this sonata has a basic sonata form, but the basic sonata form has also been varied from its conventional counterpart. Sonate pour Violon et Piano has a programmatic form, too. Except for the Movement 1, the sub-themes ‘interlude’ and ‘finale’ are attached to Movement 2 and 3,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work shows a cycling structure as the thematic element of Movement 1 and 2 appears in Movement 3. The late string sonatas feature the characteristics of Impressionism and Classicism synthesized. The neoclassicism features shown in the two sonata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sonata is used. Debussy introduced to these works the sonata that he had not used before, reminding us of the old tradition. They consist of 3 movements in total, starting from the sonata form. Except for the Movement 1 of Sonate pour Violon et Piano, some subthemes are attached to all the movements, which retroacts to the programmatic suite beyond the Classicism. In addition, both works show a traditional aspect of the cyclic form. However, in terms of structure and length, they show new aspects. The composing mode of the middle period using a short and free form appears. The performing time for Sonate pour Violoncelle et Piano is about 12 minutes, while that for Sonate pour Violon et Piano is about 14, which is shorter than their counterparts during Classicism era, because of a simpler structure. Secondly, the sonata forms are used,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sonata. Movements 1 of the two works have the sonata form, maintaining the basic frame consisting of exposition, development, representation and coda. However, since their detailed forms and keys are vague, they may well be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sonata form. The most peculiar difference from the conventional sonata form is the key of the Movement 2. In the prelude of Sonate pour Violoncelle et Piano, the theme 2 appears as the same principal key, showing no contrast of key. And in Sonate pour Violon et Piano, the pentatonic scale is used only to contrast the keys between Western key and Oriental mode. In addition, the part of development is less important compared with the Classical sonata, while the use of the development technique by the motive is negativ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onata. Also in the representation part, the traditional key relation is not used. In the representation part of Sonate pour Violoncelle et Piano, the theme 2 regresses to the original key, but the theme 1 does not appear in the original key, unlike the traditional sonata. Thirdly, the French mode has been restored. Debussy composed the pinano works already in his mid-term, paying homage to Jean-Philippe Rameau (1683-1764) and François Couperin (1668-1733). Moreover, he also paid homage through his works to Jean-Philippe Rameau (1683-1764), Hector Berlioz (1803-1869), Charles-François Gounod (1818-1893), César Franck (1822-1890), and Camille Saint-Saëns (1835-1921). Such homage is shown well in his late sonata works. However, it cannot be denied that he used his own unique music grammars such as pentatonic scale, whole-tone scale, octatonic scale, mode, parallel fifths or octaves, bitonality, vague tonality, etc. In conclusion, he has created his own unique ‘French style sonata’ by combining various techniques: French style simpleness and delicacy, light and transparent texture, diverse timbres and sense of color, repeated melody and its lyricism, short and free cycling form and unique mode. As such, it may well be concluded that Debussy’s late works Sonate pour Violoncelle et Piano and Sonate pour Violon et Piano show some indicative elements encompassing tradition and innovation. They must be the works that do not limit their composer Debussy to an Impressionism composer but present him as a composer encompassing the Impressionism and Neoclasscism.

      • 베토벤의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제3번, Op.12-3》 분석 연구

        김예은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에서는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제3번, Op.12-3》을 분석 연구하였다. 이 곡은 모차르트의 영향을 받아 작곡된 초기 작품으로 고전 시대의 전통적인 3악장 형식을 갖추었다. 제1악장은 E♭장조의 소나타 형식으로 빠르고 활기 있는 분위기이다. 제시부에서는 제1주제와 제2주제가 대조적인 분위기로 나타난다. 발전부는 제시부와 재현부에 비해 짧게 구성되었으며 제시부의 주제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전개된다. 제2악장은 C장조의 3부분형식으로 단순한 선율이 부점리듬과 장식음으로 꾸며져 나타나며 아름답고 우아한 분위기를 지닌 악장이다. 제3악장은 E♭장조의 비전형적 7부분 론도 형식으로 빠르고 리듬적이다. 리프레인 A 사이에 다른 조성의 주제인 쿠플레 B와 C가 대비적인 성격으로 나타나고 대위적인 특징이 잘 드러나는 악장이다. 《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은 초기 바이올린 소나타 작품이지만 전통적인 틀을 바탕으로 베토벤의 새로운 시도도 발견된다. 이 곡의 집중적 분석을 통한 음악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동등한 사용을 목표로 한 진정한 듀오소나타의 영역에서 출발한다. 둘째, 베토벤의 비르투오소적인 면이 드러난다. 셋째, 테마-모티브 작업의 초기적 현상이 나타난다. 《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은 꽉 찬 템포와 끊임없이 말을 하는 듯한 특징을 가진 곡이다. 바이올린과 피아노가 대화하듯 주고받는 이중주의 면모와 끊임없는 테마-모티브 작업의 촘촘한 세공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베토벤의 정교함과 간결함, 그리고 잘 다져진 기본기를 보여줄 수 있는 곡으로 많은 연주자들에게 중요한 레파토리로 연주되고 있다. In this paper, Beethoven's Violin Sonata No.3 was analyzed and studied. The song was composed under the influence of Mozart and took the traditional third movement form of the classical period. The first movement is in the form of a sonata in E♭ major, with a fast and lively atmosphere. In the presentation part, the first topic and the second topic appear in a contrasting atmosphere. The power generation unit is shorter than the presentation unit and the reproduction unit, and develops and develops around the subject elements of the presentation unit. The second movement is a three-part movement in C major, with a simple melody decorated with buoyant rhythms and decorative sounds, and has a beautiful and elegant atmosphere. The third movement is fast and rhythmic in the form of a seven-part theory in E♭ major. Couples B and C, the themes of different compositions between Refrain A, appear as contrasting personalities and are well represented. Violin Sonata No.3 is an early violin Sonata work, but Beethoven's new attempts are also discovered based on the traditional framework.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is song through intens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starting in the realm of true dualism aimed at equal use of violin and piano. Second, Beethoven's Vituoso aspect is revealed. Third, the initial phenomenon of theme-motive work appears. Violin Sonata No.3 is a work with a full tempo and a characteristic of constantly speaking. You can get a glimpse of the dualism that violin and piano exchange as if they were talking and the tight work of constant theme-motif work. It is also played as an important repertoire for many performers as a song that can show Beethoven's sophistication, simplicity, and well-organized basics.

      • 창작 판소리를 활용한 혁신학교 수업 지도안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김선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Innovation school' refers to autonomous school designated to operate autonomous school culture following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unit as part of school reformation policy operated by each local education office. This study deals with teaching guide utilizing creative Pansori subjecting seventh graders considering the creative intelligence competence which is one of the class innovation field of Innovation School. For this, the study introduced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features of Innovation School, Until now, autonomous curriculum and text book for Innovation School has not been made, so the study reviewed current curriculum, 18 types of text book and teacher’s guideline and composed creative Pansori class elements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y subject. The objective of creative intelligence education is to nurture creative democratic citizen by educating creative expression ability, coope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ultural knowledge. To develope these abilities, this study planned a teaching by creative activities which students can invent their own class rather than a typical concept-focused teaching. For the study, the classroom was arranged in ‘ㄷ’ shape to creat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nd reenacted Pansori madang using enough space at the center of class room. The class had no text book, but let students write down individual goal, class contents and their feelings to make them fully concentrated on the process. After the group presentation, the class shared pros and cons of each other to expand their critical thinking. I suggest a four-session teaching guide realizing class cultur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learn’, the goal of Innovation School. The teaching guide of study is composed of total 4 sessions; appreciation, expression, habituation of current curriculum and creative intelligence. On first session, to help overall understanding about Pansori, the conceptual learning is planned through appreciation of musical piece 《Jajin Sarangga》 and teacher’s demonstration. From the next session, activities are added to expand the concept of Pansori. On second session, students directly sang 《Hwachojang Taryeong》 by reading the melody score, and compared the dramatic music of Korea and Western culture. On third session, the activity changing components of Pansori along with conceptual learning of creative Pansori is programmed. On fourth session, students chose one of the five Pansori piece they learned to revise the original piece and make preview of Pansori to improve their cultural knowledge. This study aims for real learning.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lead the various studies of music education that creates class innovation culture to feel the joy of learning. 혁신학교란 각 지역 교육청에서 추진하는 학교 개혁 정책으로 단위 학교의 특성을 살려 자발적인 학교문화를 운영하도록 지정한 자율학교를 말한다. 본 연구는 혁신학교의 다양한 영역 중 수업영역을 중심으로 중학교 1학년 대상 창작 판소리를 활용한 수업 지도안을 다룬다. 이를 위해 혁신학교에 대한 철학적 배경과 특징을 살펴보며 우리나라 혁신학교 음악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혁신학교는 자체 교육과정 및 교과서와 같은 지침서가 내려지는 것이 아닌 각 학교의 환경을 고려한 교사의 재량을 통해 수업의 재구성을 이루도록 한다. 이에 혁신학교 음악교사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현행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를 검토하여 중학교 1학년 수준을 고려한 창작 판소리 요소를 제공하였다.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창의 지성 교육’의 목적은 창의적 표현 능력, 협력적 해결 능력, 문화적 소양 능력을 계발하여 창의적인 민주시민을 육성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단순한 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스스로 음악 지식을 구성하는 수업을 계획하였다. 수업은 ‘ㄷ자 배열’을 적용하여 교사와 학생 간 원활한 소통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실 중앙의 충분한 공간을 활용하여 판소리 마당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과서 없이 배움 활동지를 통해 자신만의 목표와 수업 내용 및 느낀 점을 작성하며 배움의 과정에 충실하도록 하였다. 모둠별 발표 이후에는 서로의 장 · 단점을 나누는 시간을 마련하여 비판적인 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업을 통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배움이 일어나는 수업 문화 만들기’라는 혁신학교 목표를 이루기 위한 지도안을 마련하였다. 지도안은 창의 지성 요소와 현행 교육과정의 표현 · 감상 · 생활화 영역을 포괄하며 총 4차시로 구성하였다. 1차시에는 판소리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재곡 《자진 사랑가》의 감상과 교사 시범을 통한 개념 학습을 이룬다. 이후의 차시부터 다양한 표현 활동을 통해 판소리 개념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2차시에는 가락선 악보를 보며 《화초장 타령》 대목을 직접 불러보는 활동으로 국악과, 서양의 극음악을 비교해보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3차시에는 창작 판소리 개념 학습과 함께 판소리 구성요소를 변형하는 활동을 계획하였다. 마지막으로, 4차시는 학생들이 지금까지 배운 판소리 다섯 마당 중 하나를 선택하여 ‘판소리 예고편’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문화적 소양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참된 배움을 지향하고 있다. 이를 계기로 배움의 즐거움을 느끼는 수업 문화를 만들기 위한 음악교과 내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스캠퍼(SCAMPER) 기법을 적용한 통합적 음악교육 지도방안 연구 : 음악과 춤을 중심으로

        유찬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통합적 음악교육 수업 지도방안을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발산적 사고를 통한 창의적 사고기법인 스캠퍼 기법과 예술 영역 간의 통합 교육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계발시키는 데 의의가 있다. 통합적 음악교육은 음악 내의 여러 영역들을 융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예술을 서로 연결시켜 다루는 것으로 개별적인 것에 한정시키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를 실시하여 스캠퍼 기법과 통합 교육에 관해 알아보고, 음악과 춤의 관계, 교육과정에서의 통합 교육 내용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음악과 춤’이라는 학습제재를 선정하여 총 4차시의 수업 지도안을 구상하였다. 춤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다양한 의식과 축제에서 음악과 동반해온 밀접한 예술영역이다. 각 나라에 존재해온 춤과 음악은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적절한 제재이다. 그 중에서 음악교과서에 분류되어 있는 춤곡을 토대로 발레, 왈츠와 미뉴에트, 탱고와 삼바, 비보잉으로 각 차시의 주제를 나누었다. 1차시는 <발레리나와 발레리노를 꿈꾸며>를 주제로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을 듣고 스캠퍼 S(대체하기), M(수정하기)기법을 토대로 음악에 어울리는 가사창작과 신체표현 활동을 제시하였다. 2차시는 <왈츠와 미뉴에트를 타고>를 주제로 요한슈트라우스 2세의《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과 보케리니의《미뉴에트》를 선곡했고, A(응용하기), C(결합하기)기법에 따른 3박자의 리듬 짓기와 리듬연주 활동을 계획하였다. 3차시는 <탱고와 삼바의 세계>를 주제로 피아졸라의《리베르탱고》와 벨리니의《삼바 데 자이네루(Samba de Janeiro)》두 개의 춤곡을 비교하고 E(제거하기), R(거꾸로하기)기법에 따라 각각 다른 춤과 춤곡의 어울림을 찾아보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4차시에는 <세계 최고의 비보이>를 주제로 P(다른 용도로 사용하기)기법에 따라 비보이 동영상을 감상 후 음악과 춤의 관계를 생각해보도록 하였다. 수업지도안은 스캠퍼 기법 질문에 따라 다양한 활동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통합 수업이 되도록 학습의 단계를 고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에 따른 춤곡의 특성을 비교하며 감상하도록 하여 춤에 따른 음악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고, 다양한 장르의 폭넓은 예술 체험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활동들은 단순히 이론을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으로 창의적 활동을 제시해 수업의 집중도와 이해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본 논문이 창의성 교육을 위한 통합적 음악 수업에 구체적인 교수방법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멘델스존 《첼로 소나타 1번, Op.45》 분석 연구

        원다정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낭만주의 작곡가 중 실내악에 대한 꾸준한 관심으로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Bartoldy, 1809-1847)은 1838년과 1843년에 첼로 소나타를 작곡하였다. 성숙기와 완숙기에 작곡된 두 개의 첼로 소나타는 모두 멘델스존의 음악적 깊이를 잘 드러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직 국내에서 연구가 미비한 《첼로 소나타 1번, Op.45》를 중점적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멘델스존의 《첼로 소나타 1번》은 전체적으로 경쾌하고 화려한 밝은 에너지가 담긴 작품이다. 이 작품은 3악장 구성으로 제1악장은 소나타 형식, 제2악장과 제3악장은 3부 형식이다. 제1악장에서는 B♭장조의 밝고 진취적인 선율이 나타난다. 제2주제에서 딸림조가 아닌 3도 아래인 d단조로 등장하는데 이것은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에서 벗어난 조성관계로 배치하여 낭만적인 자유로움이 드러난다. 제2악장은 3부 형식으로 소나타 형식 중 느린 악장에 속하지만 부점리듬과 스타카토를 사용하여 우아하면서도 장난스러운 느낌이 특징이며 각 부분은 후반부로 갈수록 마디수가 크게 확장되는 형태를 보인다. 제3장에서는 제1악장과의 유기적 관계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제1악장의 모티브ⓐ와 ⓑ의 리듬적 요소가 제3악장 주제선율에서 등장하고, 제1악장 제2주제의 조성과 디자인이 제3악장 [B]의 B부분에서 유사하게 나타난다. 멘델스존의 《첼로 소나타 1번》은 고전시대와 낭만시대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고전시대의 전통적인 형식과 스트레토의 사용으로 대위법적인 짜임새가 견고하게 나타나고, 주제의 자유로운 조성관계, 잦은 반음계와 비화성음, 장단조 혼용 등의 사용은 낭만시대의 특징을 가진다. 이 작품을 기반으로 1843년에 확장된 규모와 높은 수준의 기교적 특징을 가진 《첼로 소나타 2번》이라는 명곡이 탄생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멘델스존의 《첼로 소나타 1번》은 베토벤 이후 첼로를 독주 악기로 사용하여 말년에 새로운 시도를 했다고 볼 수 있으나 성숙기에 작곡된 만큼 완성도가 높으며, 멘델스존의 첫 번째 첼로 소나타로서의 가치와 중요도를 가진 작품임을 알 수 있다. Among the Romantic composers, Felix Mendelssohn Bartoldy, who left the most works with a steady interest in chamber music, composed cello sonatas in 1838 and 1843. The two cello sonatas, both composed in maturity and maturity, both reveal Mendelssohn's musical depth well. In this paper, Cello Sonata No.1, Op.45, which has yet to be studied in Korea, was analyzed and studied intensively. Mendelssohn's Cello Sonata No.1 is a work of cheerful and colorful bright energy. This piece is composed of three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is in the form of a sonata and the second and third movement is in the form of three parts. The first movement features a bright and enterprising melody from the B major. In the second topic, it appears in D minor, which is not in the tautology but below 3 degrees, which is placed in a composition relationship that deviates from the traditional Sonata format, revealing romantic freedom. The second movement belongs to the slow movement of the sonata form in the three-part form, but it is characterized by an elegant yet playful feeling by using a double-jump rhythm and staccato, and each part has a form in which the number of joints expand greatly in the second half. Chapter 3 shows the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first movement. The rhythmic elements of the motifa and b of the first movement appeared in the theme melody of the third movement, and the composition and design of the second theme of the first movement are similar in part B of the third movement [B]. Mendelssohn's Cello Sonata No.1 has both classical and romantic characteristics. The traditional form of the classical period and the use of the stretto make the anti-collateralized structure appear solid, and the use of the free composition relationship of the subject, frequent semi-note scale, non-flammable sound, and the combination of long and short key are characteristic of the Romantic era. Based on this work, the masterpiece Cello Sonata No.2 was born in 1843 with an expanded scale and high level of technical features. In conclusion, Mendelssohn's Cello Sonata No.1 was a new attempt in his later years using the cello as a solo instrument after Beethoven, but it is highly mature as it was composed in its mature years, and has value and importance as Mendelssohn's first cello sonata.

      • 볼프의 《뫼리케 가곡집》 분석 연구 : 단막극 「오르플리트의 마지막 왕」과 관련된 16, 46, 47번을 중심으로

        이지영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휴고 볼프(Hugo Wolf, 1860-1903)의 《뫼리케 가곡집》(Mörike Lieder) 53곡 중 제16번 〈요정의 노래〉(Elfenlied), 제46번 〈바일라의 노래〉(Gesang Weylas), 제47번 〈뭄멜호수의 요괴〉(Die Geister am Mummelsee) 세 곡을 분석하였다. 이 곡들은 『그로브 사전』과 선행논문들에 설화로 분류되어 있다. 필자는 이 작품들이 뫼리케(Eduard Mörike, 1804-1875)의 소설 『화가 놀텐』(Maler Nolten) 안에 삽입되어 있는 단막극 「오르플리트의 마지막 왕」(Der letzte König von Orplid)과 관계되어 있는 시로 작곡된 작품들임을 발견하고 이와 관련된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제16번 〈요정의 노래〉는 극의 분위기가 클라이막스일 때 등장하는 시이다. 극의 내용은 저주와 배신으로 극에 달해있지만 귀여운 요정의 모습을 재치 있게 노래함으로서 무거운 극의 분위기를 완화시켜준다. 시의 내용은 요정이 자신을 부르는 줄 알고 착각하여 잠에서 깨어난 모습을 노래한다. 볼프는 그의 가곡의 특징인 ‘낭창기법’을 사용해 시의 내용을 더 적극적으로 전달하였다. 요정을 나타내는 옥타브 모티브가 주로 나타나며 구체적인 지시어를 통해 동화적인 시의 내용을 생동감 있게 전달하였다. 제46번 〈바일라의 노래〉는 단막극 안에 직접 수록되어있지는 않지만, 오르플리트섬의 내용을 압축하고 있다. 바일라 신이 오르플리트섬을 바라보며 예찬하고 축복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볼프는 하프를 켜며 오르플리트섬을 바라보는 바일라신의 모습을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태인 반주부의 아르페지오를 통하여 노래한다. 단순하고 일정하게 진행되는 선율과 반주를 통해 볼프의 부드럽고 서정적인 면을 엿볼 수 있다. 제47번 〈뭄멜호수의 요괴〉는 단막극의 주인공 ‘울몬’왕의 장례식을 요정아이들의 눈을 통해 전달한다. 장례식의 분위기와 식을 거행하는 유령들의 모습을 묘사하는 내용의 시이다. 볼프는 일정하게 행진하는 리듬의 진행과 셋잇단음표의 반복으로 장례식의 모습을 노래한다. 또한 이 곡에서는 복잡한 화음, 빈번한 조바꿈, 반음계 사용 등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단막극 「오르플리트의 마지막 왕」에 나오는 시를 사용한 볼프의 작품들을 연구하여 시의 배경과 곡의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볼프가 가사와 음악의 결합을 위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연주자들이 볼프의 가곡을 한층 더 성숙하게 연주할 수 있기를 바란다. In this paper, Hugo Wolf (1860-1903), 53 songs of Mörike Lieder No.16 <Elfenlied>, No.46 <Gesang Weylas>, No.47 <Die Geister am Mummelsee> were analyzed. These songs are classified as a narrative in the Grove Dictionary and preceding articles. I wrote the poems related to the short-play drama ``The Last King of Orfleit'' (Der letzte König von Orplid), in which these works are inserted in Eduard Mörike's 1804-1875 novel Maler Nolten. It was discovered that it was an old work and tried to study the relatedness. The 16th Elfenlied is a poem that appears when the atmosphere of the play is a climax. The content of the play reaches the play by cursing and betrayal, but it relieves the atmosphere of the heavy play by singing witfully the appearance of a cute fairy. The content of the poem is a song about a fairy waking up, thinking that she was calling herself. Wolf used ‘Nangchangbeop’, a characteristic of his song, to more actively convey the contents of poetry. The octave motif representing the fairy is mainly shown, and the contents of the fairy tale poetry are vividly conveyed through specific directives. The 46th song, "Villa's Song," is not contained directly in a single act, but it is a compression of the contents of Orplit Island. It contains the content of the god Baila watching and admiring Orplit Island. Wolf sings the look of Vailacin, who turns on the harp and looks at Orplit Island, through the arpeggio of the accompaniment in the same form as a whole. Through the simple and constant melody and accompaniment, you can see the soft and lyrical aspect of Wolf. The 47th <Lake of Mummel Lake> delivers the funeral of King Ulmon, the protagonist of a single act through the eyes of fairy children. It is a poem that describes the atmosphere of funerals and the appearance of ghosts celebrating the ceremony. Wolf sings the appearance of a funeral with a steady march of rhythm and the repetition of triplets. You can also find features such as complex chords, frequent transpositions, and chromatic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poem's background and songs by study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hort-act drama "The Last King of Orplit" and Wolf's works. We also want to find out what methods Wolf used to combine lyrics and music. Through this analysis, it is hoped that the performers will be able to perform Wolf's songs more maturely.

      • 민요 가창수업을 위한 반주법 연구 : 중학교 1학년 제재곡을 중심으로

        한주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음악교육에 있어 효과적인 민요 가창 수업을 위한 민요 제재곡의 반주법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음악과 교육과정이 제6차에서 제7차로 바뀌면서 전통 음악의 비중이 커졌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거의 모든 민요 제재곡은 반주부가 생략되어 있고 선율부분만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민요 제재곡을 좀더 다양한 방법과 다양한 형태의 반주를 사용하여 지도하자는 취지와 관련 있을 것이다.본 연구에서는 먼저,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전통음악 영역 중 ‘민요’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해와 활동영역에서의 민요지도내용을 알아 보고 그에 따른 반주법 연구의 방향을 찾고자 한다.중학교 1학년 5종 음악 교과서를 박자별, 지방별, 장단별로 분석하여 빈도수가 높은 악곡에는 어떤 제재곡이 있는지 알아보고 반주법 연구 제재곡으로 분류한다. 분류된 악곡 중에서 빈도수가 높은 악곡과 민요학습을 위해 활용성이 좋은 악곡위주로 장구와 피아노 반주형을 연구하여 제시한다. 장구는 기본장단과 변형장단으로 나누어 제시하며 피아노는 장단중심, 선율중심, 화성중심의 반주로 나누어 각각의 반주형을 필자가 직접 창작하여 제시하고자 한다.민요 반주법 연구에서 장구반주는 이미 민요 반주를 위한 기본원칙으로 알고 있지만 피아노 반주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전통음악인 민요의 반주를 제작하는데는 약간의 어려움이 따른다. 5음음계로 구성된 민요는 화성적인 것보다 선율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을 화성반주화 시키는 것은 조심스러운 부분이 많다. 5음음계를 근간으로 화음을 쌓아 화성을 만들며 악곡의 종지감이 필요할 때는 서양음악의 화성적 기능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배우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피아노로 민요를 반주하는 것은 우리 음악을 서양화된 느낌으로 받아 들일 우려가 있기는 하지만 실제 음악수업에서 피아노의 다양한 반주패턴의 민요 수업은 학생들의 민요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민요를 좀더 쉽고 재미있게 지도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적 방법이다. 학교현장에서 음악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입장에서 학생들은 우리나라 음악인 ‘민요’를 싫어하고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요즘 학생들이 듣고 귀에 익숙해진 음악과는 사뭇 달라서 그 선율을 익히기 어려워한다. 그러기에 본 논문에서 필자가 직접 창작한 민요 제재곡의 반주법이 음악시간에 차시별로 적절하게 활용되어 학생들이 우리나라 전통음악인 민요를 좀더 친근감 있고 쉽게 다가서며 또 그것을 바탕으로 민요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accompaniment methods for an effective singing class of folk song basic music in musical education of the 1st grade of a middle school of the 7th musical education curriculum.The portion of traditional music increases in the 7th mu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only melody parts show and the accompaniment parts do not show in most of folk song essential music of the 7th mu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purport of the 7th musical education curriculum is to teach folk song through more various accompaniment methods.This study is to analyze folk song primarily in traditional music of the 7th musical education curriculum, search the educational materials of folk song basic music in the field of comprehension and practice, and seek for the proper course of accompaniment methods research.This study selects the musical compositions of high frequency as basic song of accompaniment methods research after the classification the musical compositions in 5 music textbooks of the 1st grade of a middle school into beat, region, and rhythm. This study provides the accompaniment types of Jang-gu and piano as to the musical compositions of high availability in folk song class among those musical compositions. It provides the accompaniment types as general rhythm and transformational rhythm as to Jang-gu. As to piano, it provides the accompaniment types created of my own as rhythm, melody, and harmony.Though Jang-gu accompaniment is already recognized as the general rule of folk song accompaniment in the study on folk song accompaniment methods, it is somewhat difficult to make folk song accompaniment in piano accompaniment. As the folk song of pentatonic scale consists of more melody than harmony, it is difficult to make harmonic accompaniment in the folk so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harmonic function of occidental music when making harmony with triads based on pentatonic scale and making the cadence of musical composition.Though piano accompaniment of folk song is likely to get students to have an occidental feeling as to folk song, the various piano accompaniment types make students have more interest in folk song and provide teachers with the method to teach students folk song in more easy and interesting way. I, as teacher in charge of musical education, think students do not like folk song, but have difficulty in making familiar with the melody because the melody of folk song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most of recent songs students enjoy. I hope the accompaniment methods of folk song essential music created of my own are applied properly in music class, make students feel familiar with folk song, and contribute to the learning of folk song.

      • 쇤베르크의《Verklärte Nacht, Op.4》에 나타나는 내러티브적 요소 연구

        김효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쇤베르크의 현악6중주 《정화된 밤 Verklärte Nacht, op.4》에 나타나는 음악적 내러티브 요소들에 대한 연구이다. 쇤베르크는 무조음악과 12음기법 등 신음악의 대표작곡가로 꼽히지만 그의 초기 작품 《정화된 밤》은 후기 낭만주의 양식에 따라 작곡된 곡으로 연주자들에게 애호되고 있는 작품이다. 쇤베르크는 당대의 작곡가들이 미술이나 문학과의 연관성 속에서 영향을 받으며 작곡하였던 것처럼 상징주의 시인 데멜의 동명시에서 영감을 받아 이 곡을 작곡하였는데, 시의 내용전개가 곡의 내러티브 형성에 바탕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내러티브(Narrative)’는 어원이 시사하는 바대로 예술작품에서 내재되어 있는 이야기적인 성격으로, 내러티브가 어떻게 형성되고 전개되는가를 연구하는 연구가 최근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음악적 내러티브에 대한 연구는 소리로 표현된 음악 속에 어떤 음악적 요소가 어떠한 형식을 빌어 전개되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연주자와 감상자에게 음악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는 방법론이다. 작품에 나타나는 음악적 내러티브를 연구하는데 앞서 먼저 데멜의 시에 대해 알아본 후, 음악의 형식, 선율 및 화성의 특징을 분석하며 이러한 음악적 요소들이 시와 어떻게 관계를 보이며 내러티브를 형성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정화된 밤》은 A-B-A'-C-A"의 다섯 부분으로 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은 시를 음악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형식에 따른 음악적 요소로 라이트모티브(Leitmotive) 라이트모티브(Leitmotive)는 악극이나 표제음악에서 곡 중의 주요인물이나 사물, 특정한 감정 등을 상징하는 동기를 말한다. 의 사용과, 발전적 변주기법, 반음계적 화성과 비화성음이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 A', A"는 배경의 묘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부분으로 두 사람의 걸음걸이를 반복함으로써 암울한 밤을 표현하고 있다. B와 C는 여자와 남자의 감정을 각각 나타내는 부분으로 B에서는 모티브가 계속해서 발전되어 변형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변주에 있어서 보여지는 반음계적인 진행들이 여자의 고통을 표현하고 있다. C에서는 이와 대조적인 분위기로 장조의 화음을 많이 사용하고, 화성적인 해결을 보임으로써 밤이 정화되는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쇤베르크의 《정화된 밤》를 음악적 내러티브적인 요소의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시의 전개에 따라 곡을 구성하고, 음들을 통해 시에 나타나는 사건들을 모티브로 만들어 여기에 음악적 표현을 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로 연주가와 감상자들은 내러티브의 구성을 통해 시에서 느껴지는 감정들을 음악과 구체적인 연관성 속에서 보다 명확히 표현할 수 있고 세밀하게 감상할 수 있기를 바래본다.

      • 일반고와 예술고 출신 음악대학생의 학과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연구

        추현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의 모든 교육 시스템은 대학 입시를 위해 존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자율형사립고등학교(자사고)와 특수목적고등학교(특목고)가 본래의 교육 목표를 잃고 대학 입시, 즉 명문 대학 진학의 경로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특목고로 포함되는 예술고도 그 목적과 수단이 변질되어 버린 것은 아닌지 살펴봐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예술고의 교육 목표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전문 예술인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예술고는 이러한 목표와는 다르게 대학 입학에 초점을 맞춘 실기 위주의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일반고와 예술고 출신 음악대학생의 학과만족도 및 학업성취도를 비교 분석하여, 예술고가 가진 전문 음악 교육 기관이라는 역할을 되새기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33개교의 음악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1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학과만족도와 학업성취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학과만족도는 학과이론교과, 학과실기교과, 학과교과운영, 전공실기인식, 진로인식의 5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학업성취도는 전공교과목, 전공실기, 총 학점의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설문 조사를 하였다. 또한 성별, 학년, 세부 전공이라는 배경변인에 따라서 일반고와 예술고 출신 학생들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까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과만족도 5가지 영역 중 학과교과운영을 제외한 4가지 영역에서 일반고 출신 학생들이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학업성취도에서는 3가지 영역 중 전공교과목을 제외한 2가지 영역에서 일반고 출신 학생들이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학과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모두 남학생은 예술고 출신이, 여학생은 일반고 출신의 학생이 더 높았으며, 학년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세부 전공에서는 피아노 전공 일반고 출신 학생의 학과만족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고 출신 학생들은 조기에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못하였다는 아쉬움으로 인해 대학교의 전문 교과 교육 자체에 매우 만족하였다. 이는 결국 높은 학업성취도까지 이어져서 진로와 직업적인 면에 있어서도 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반면 예술고의 과도한 실기 위주의 교육은, 예술고 출신 학생들이 대학교에 진학하여서 전공에 흥미를 잃어버리고 진로의 벽에 부딪혀 회의감을 느끼게끔 하였다. 또한 이들은 이미 고등학교에서 비슷한 교육과정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차별화 된 교육과정을 원하고 있으나, 대학교의 교육과정은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예술고 출신 학생들의 학과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일반고 출신 학생보다 낮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술고 출신 학생들이 대학에서 더 높은 만족도와 성취도를 보일 것이라는 일반적인 기대와는 다른 결과였다. 예술고 학생들이 조기에 전문적인 교육을 받아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다는 것은 예술고의 설립 취지가 제대로 실현되고 있지 못하며, 교육과정에 특성화를 이루고 있지 못함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예술고가 본래의 설립 취지와 교육 목표를 뚜렷이 하고 전문 음악 교육 기관이라는 역할과 그 의미를 되새김으로써 예술고 교육과정에 발전적 변화가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