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순자의 삼혹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박성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give a new, systematic interpretation about ‘Sanhuo’(三惑), which appears at Xunzi(荀子)’s Zhengming(正名) Pian. Sanhuo means ‘three types of delusions’, which are derived from Xunzi’s criticism to his contemporaries (like Hui Shi [惠施] and Song Jian [宋鈃]), calling their arguments ‘delusion’, by classifying those into three types. Previously, there were two different approaches to interpreting Sanhuo. One approach interprets Sanhuo as a linguistic/epistemological problem related to errors at knowing objects or mistakes at linguistic expressions. Representing this position is A. Grahams’s interpretation, but there are some limits to his. First, he doesn’t interperate Xunzi’s explanation at Sanhuo using ‘ming’(名)/’shi’(實). Second, he has difficulty in explaining Song Jian’s arguments, which concentrate more on ethical problems than linguist or epistemological problems. Another approach thinks Sanhuo includes ethical problems. Chaehyun Chong(2021)’s interpretation is a typical example. But his interpretation also has limits, since there is no clear standard at his to divide which delusion is linguistic/epistemological problem (interpret ‘ming’ as name) or ethical problem (interpret ‘ming’ as justification). To give a new, systematic interpretation, by supplying the limitations of both interpretations, I will look at Xunzi’s ming-shi as follows. First, by consistently interpreting ‘ming’ as ‘name’ following Graham’s, we will avoid the problem of Chaehyun Chong(21)’s, which has an ambiguous standard at interpreting ming as name or justification. At the same time, inheriting the point of the Chong’s, I will argue that standard of ‘same and difference’(同異), which is related to the fact, and standard of ‘precious and lowly’(貴賤), which related to the norm, are both needed at Xunzi’s rectification of names. Through this, we will interpret ‘Sanhuo’ as follows. The first delusion has the problem of introducing a speaker’s implicit context about ‘ming’(name), which is not shared with the listeners. Furthermore, we don’t have any normative reason to accept the implicit context as a general principle. The second delusion has the problem of cognitive error at knowing objects. Unlike the previous two delusions, the third has the problem of expressing the arguments with ambiguity, which the listeners could interpret in multiple ways. 이 글의 목적은 『순자』「정명」에 제시된 ‘삼혹(三惑)’을 정합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삼혹은 ‘세 종류의 의혹’이라는 뜻으로, 순자가 송견, 혜시 등 당대 여러 학자의 주장을 세 종류로 분류, ‘의혹’이라 비판한 데서 유래한다. 기존 삼혹을 해석하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었다. 하나는 삼혹을 대상에 대한 잘못된 인식 혹은 잘못된 언어 사용과 관련된 문제로 보는 것이다. 즉, 삼혹을 언어철학적-인식론적 문제로 보는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을 대표하는 것이 그레이엄인데, 그의 해석은 삼혹을 명/실로 설명한 순자의 구절을 해석하지 않았고, 언어철학적-인식론적 문제보다는 윤리적 문제에 집중한 송견의 사례를 해석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지닌다. 다른 입장은 삼혹을 윤리적인 문제를 포함한다 보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을 대표하는 것이 정재현(2021)인데, 그의 해석은 어떠한 의혹이 ‘명’을 이름으로 해석하는 언어철학적-인식론적 문제인지, 아니면 ‘명’을 명분으로 해석하는 윤리적 문제인지 구분하는 데 있어 모호한 기준을 가진다는 한계를 지닌다. 두 해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나는 순자의 명실론을 다음과 같이 볼 것이다. 우선 그레이엄을 따라 명을 ‘이름’으로 일관되게 해석함으로서, 명을 이름 혹은 명분으로 나누어 생기는, 해석의 기준이 애매하다는 정재현(2021)의 문제를 회피할 것이다. 동시에 정재현(2021)의 문제 의식을 계승해, 이름을 정하는 과정(정명)에서, ‘같음과 다름’이라는 사실의 기준과 ‘귀함과 천함’이라는 규범의 기준이 동시에 작동한다 주장할 것이다. 이를 통해 삼혹을 다음과 같이 해석할 것이다. 첫 번째 의혹에 대해서는 명에 청자들과 공유하지 않는 화자만의 내포적 문맥을 도입한 문제로 보았다. 나아가, 이 내포적 문맥을 명에 대한 약속 일반으로 전환해야 할 규범적 이익이 부족하다는 문제 역시 존재한다. 두 번째 의혹은 실에 대한 잘못된 파악, 즉 인지적 오류를 일으킨 문제로 보았다. 마지막 세 번째 의혹은 앞선 두 의혹과 다르게, 청자가 다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자신들의 주장을 표현한 문제로 보았다.

      • '믿음'의 전인성 회복을 위한 종교철학적 성찰 : 폴 틸리히의 『믿음의 역동성』을 정재현의 『'묻지마 믿음' 그리고 물음』으로 읽음으로써

        방현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믿음의 현실에서 왜곡된 믿음 이해가 초래한 삶의 결핍으로 인한 전인성의 파괴에 주목하고, 믿음과 삶의 일치를 통한 전인성의 회복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믿음이란 어떤 명제적 진술에 대한 동의나 자기만족을 위해 어떠한 대상을 믿는다고 고백하는 차원에 그치는 것이 아닌 믿음의 대상이 보여준 삶의 방식을 따라 살아가는 것을 포함한다. 즉, 인지적 차원과 실천적 차원을 포함한다. 이렇게 믿음이란 어느 한 부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인적인 행위이다. 하지만 믿음의 현실은 믿음의 전인적인 행위를 부분적인 것으로 축소하는 환원주의적 왜곡이 벌어진다. 이로 인해 인간은 “자기도취적 우상 숭배”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믿음이란 궁극적인 것에 관심을 갖는 상태이며, 궁극적인 관심의 상태로서의 믿음은 정신-의식적 차원과 무의식적이고 비의지적인 차원까지 한데 묶는 전인적인 행위로 인간은 실천과 결단을 통해 즉, 전인적인 행위로서의 사랑을 통해 궁극적인 것에 참여하게 된다는 틸리히의 믿음 이해를 살핀다. 또한, 하느님과 관계하는 행위로서의 믿음은 우리의 전 존재가 참여해야 하는 ‘통사람’으로, 이는 ‘삶과 죽음의 역설적 얽힘’인 삶을 의미한다는 정재현의 믿음 이해를 살핀다. 이를 통해 믿음이란 어느 한 부분만의 참여가 아닌 인간의 전 존재가 참여해야 하며, 이러한 전인적인 행위로서의 믿음이 곧 궁극적 관심으로서의 믿음으로 향하는 길임을 밝힌다. 이를 간추려 궁극적인 관심으로서의 믿음은 전인적인 행위 없이는 불가능하며, 전인적인 행위로서의 믿음은 궁극적 관심으로서의 믿음을 향한다고 일컬을 수 있겠다. 이러한 성찰은 믿음을 부분으로 축소시키면서 그 부분을 절대화하고 나아가 우상화함으로써 도리어 이로부터 억압을 당하는 왜곡을 교정할 수 있다는 데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다종교적 인간으로서의 자기 이해와 그 우상 파괴적 의의 : 한국 그리스도인의 비동일적 종교 정체성에 대한 해석학적 성찰

        박정수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그리스도교 및 그리스도인의 정체성 이해에 불가결한 것으로 요구되는 ‘자기동일성’을 벗어나는 ‘비동일적 정체성’으로서의 자기 이해가 도리어 참된 자유와 해방을 향한 그리스도교적 진리 추구로 나아가는 길임을 역설적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구의 자기동일적 종교 정체성 이해에 내재된 종교적 인간의 자기 우상화의 문제, 그리고 오랜 다종교적 전통을 그 실존의 구조에 담은 채 강박적으로 서구의 자기동일적 정체성을 소유하려 드는 한국 그리스도교인들의 은폐된 자기 정당화의 문제를 먼저 성찰한다(2장). 이어 파니카와 정재현의 해석학적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구성적이고 비동일적인 종교적 정체성 이해가 가리키는 철학적-신학적 의의를 종교적 인간의 자기 성찰로서의 다종교성과 종교의 자기 부정으로서의 비종교화로 드러내고, 비동일적 종교 정체성과 진리를 추구하는 신앙을 역설적 공속으로 엮어낼 수 있는 해석학적 바탕을 제시한다(3장). 그리고 이러한 면모를 잘 드러내는 한국적 해석학의 사례를 『삼국유사』 (三國遺事)의 서술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한국의 다종교 전통이 끝없는 자기 부정을 통해 도리어 참된 그리스도교적 정체성을 추구하는 실존적 조건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4장). 이를 간추려 ‘진리를 추구하는 다종교적 인간의 비종교적 삶’이라 일컬을 수 있겠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rgue that the self-understanding as non-identical identity, not the self-identity, which is considered indispensable to understanding of Christian identity, is rather the way toward authentic Christian freedom and liberation. First of all, the Western self-identical understanding on religious identity contains the problem of self-idolization of homo religiosus and this understanding encourages obsessive and concealed self-justification for Korean Christians who have multi-religious experience within their existence.(Ch.2) So I examine the philosophical-theological significance of constitutive and non-identical understanding on religious identity on the basis of hermeneutical anthropology of R. Panikkar and Jae-hyun Chung. The significance of this understanding is summed up in the multi-religiosity as the self-reflection of homo religiosus, and in the religionless faith as the self-denial of religion. And I suggest the hermeneutical basis for paradoxical linking non-identical religious identity and faith seeking truth.(Ch.3) I then present a Korean example of this hermeneutical aspect in Samgukyusa and suggest that multi-religious tradition of Korea is an existential condition for the pursuit of authentic Christian identity.(Ch.4) It can be summed up as a religionless life of multi-religious human existence who seeks truth.

      • 이성과 도덕에 갇힌 근대 종교의 해방 : 칸트의 비판철학에 대한 '메타비판'을 통하여

        이창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근대의 ‘이성중심주의’와 ‘도덕환원주의’를 벗어난 인간과 종교의 참된 자기이해와 재구성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근대의 대표격으로 칸트를 상정하고 그의 철학체계와 종교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한다. 2장에서는 칸트에게 정당한 인식이란 무엇인지, 이는 어떤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하며, ‘주-객 구도’에 잠재된 ‘중심주의’의 한계를 성찰한다. 3장에서는 칸트가 주장하는 도덕과 실천, 종교를 분석하며 종교는 도덕으로 환원될 수 없고, 도덕실천을 위해 요청된 신은 사실상 수단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성찰한다. 4장에서는 ‘이성 중심주의’와 ‘도덕환원주의’의 근원에, ‘자기 동일성’과 ‘앎의 일방성’이 자리하고 있음을 비판하고, 이것이 빚어내는 문제점을 ‘자기중심주의’와 ‘우상화 경향’으로 진단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마리는 인간의 ‘삶’을 성찰하는데서 발견할 수 있는데, ‘인간과 종교의 자기이해’와 ‘앎’이 ‘삶’에 초점을 두었을 때, 어떻게 자신의 자리를 찾아갈 수 있는지를 논할 것이다. 끝으로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 삼아 현대의 맞갖은 종교의 한 모델로 ‘타자를 위한 종교’, ‘형용사성과 동사성의 종교’, ‘비종교화된 종교’를 제시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the true self-understanding and reconstruction of humans and religions that are outside modern 'rationalism' and 'moral reductionism'. To this end, rather than extensive analysis throughout the modern era, I assumed that Kant is the representative of modernity, and analyzed the philosophical systems and religious theories which includes his epistemology. In Chapter 2, I have analyzed what is a legitimate perception for humans, through what process it takes, and reflects on the limitations of 'centralism' latent in the 'main-object composition' through Kant's epistemology. Next, Chapter 3, based on this epistemology I have analyzed the morality, practice, and religion established and have reflected on the limitations that religion cannot be reduced to morality, and that the needs of gods are inevitably limited to means for moral practices. Chapter 4 criticizes the fact that 'identity of being' and 'unilaterality of knowledge' are at the root of 'rationalism' and 'moral reductionism,' and also is diagnosed as 'Idolization tendency'. The clue to overcome this can be found by reflecting on human 'life', and when focusing on life like that, how 'self-understanding of man and religion' and 'unilaterality of understanding' can find their place after discussing. Based on this basis I will present, one model of modern religion.

      • 안정 추구와 자아도취를 넘어서는 성찰적 신앙의 탈근대적 의의 : 폴 틸리히의 종교비판을 통하여

        조신준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pursuit of stability, the primal desire of religious human-being and the self-idolization of post-Christianity reaction to it, and to find the place of Christian faith in post-modern times. The pursuit of stability through religion is natural but when it becomes the ultimate end of faith, a heteronomous distortion that depends on authority is occurred. It acts as a repression against life, resulting in a reaction to post-Christianity autonomy. The self-idolization of autonomy insists only on the rational structure of reason and manifests itself as a declaration of disconnection with religious reality. These two directions of distortion have different shapes, but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the loss of dynamics and the absence of self-reflection (chapter 2). With this problem in mind, Paul Tillich's religious criticism suggest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distortions of both heteronomy and autonomy. First, we will focus on the postmodernity and idol-destroying elements of Tillich's symbolic words. This will reveal the limitations of language of heteronomy and autonomy and discuss the language of faith needed in this age through postmodern transformation (Chapter 3). It also demonstrates the dynamics of the essential structures of human-being and religion. While maintaining tension, the inner transcendent of theonomy will be presented in the post-modern age of attitude of reflective faith (Chapter 4). 본 연구는 종교적 인간의 원초적 욕구인 안정 추구와 그것에 대한 탈종교적 반동인 자아 도취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탈근대 시대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의 자리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교를 통해 안정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이나 그것이 신앙의 궁극적인 목적이 되면 권위에 의존하는 타율적인 왜곡이 일어난다. 그것은 삶에 대한 억압으로 작용하고 그 결과 탈종교적인 자율성의 반동을 맞이하게 된다. 자율성의 자아 도취는 이성의 합리적인 구조만을 고집하며 종교적 실재와 단절을 선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양 방향의 왜곡은 모양은 다르지만 ‘역동성의 상실’과 ‘자기 성찰의 부재’라는 공통점을 갖는다.(2장)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타율성과 자율성이라는 양 방향의 왜곡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폴 틸리히의 종교비판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틸리히의 상징어가 가지고 있는 탈근대성과 우상파괴적 요소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것을 통해 타율성과 자율성의 언어가 가진 한계를 드러내고 이 시대에 필요한 신앙의 언어를 탈근대적 전환을 통해 논할 것이다.(3장) 또한 인간과 종교의 본질적 구조가 갖는 역동성을 보여주고 타율성과 자율성의 긴장을 유지하면서 내적으로 초월하는 신율을 탈근대 시대에서 요청되는 성찰적 신앙의 자세로 제시할 것이다.(4장)

      • 현대인은 종교를 필요로 하는가? : 방황할 수 있는 자유를 위하여

        김민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Contemporary society offers more crises than opportunities to individuals. Although the stunning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provided humanity with the greatest abundance ever, it has also increasingly replaced unique human elements with non-human developments. Intellectual ability and labor are no longer exclusively human properties, and the replacement we are now witnessing is just the beginning. Soon or later, we can expect to see 'humans need not apply.' As a result, people now choose not to ask questions that might cause an existential struggle, fearing its consequences. A trend that is now emerging in the twenty-first century is that people are struggling not to struggle; they seek a sense of security more than ever. Accordingly, spiritual and social values, not to mention conventional religion, have lost their traditional status. Thus, a noteworthy phenomenon among young Japanese is their pursuit of a pseudo-religious approach to life while staying outside of conventional religion. This phenomenon, called the ‘Satori generation,’ might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not only a specific society or culture but also the challenges of our era―social inertia and indifference. Tackling such challenges institutionally or individually (psychologically), however, has obvious limits as some remedies are already being applied, though with unsatisfactory outcomes. Improving systems to foster social engagement and providing more emotional encouragement is simply not working. A more appropriate question, then, is not how to offer further encouragement but why all those attempts have failed. For example, no government has succeeded yet in reversing the declining birth rate, which reflects the pessimistic perspective of younger generations. As a result, many practical academic disciplines,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and psychology, have recently endeavored to pursue a novel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for the last several decades due to this very reason. In line with this trend, this thesis argues that theology should also adopt such a new approach of redefining human nature, and sheds light on Reinhold Niebuhr's notion of Christian realism, along with his persistent interest in human nature and original sin. When thoroughly examined, the concept of non-religious religiousness is expected to emancipate humans and make religion socially effective agai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defines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society (Ch. 1) and scrutinizes the self-contradictory human nature, which has caused such problems (Ch. 2). Next, the coexistence of contradictory aspects of human nature will be discussed (Ch. 3), followed by an alternative to religion which would enable religion to be socially effective again by restoring its intrinsic value (Ch. 4). The thesis ends by considering how "man errs as long as he strives," as Goethe wrote in Faust, and how only when he strives can he be intrinsically free (Ch. 5). 현대사회는 많은 부분에서 인간에게 기회보다는 위기로 다가온다. 눈부시게 발전하는 과학과 기술은 인간 사회에 사상(史上) 최대의 풍요를 제공했지만 동시에 인간의 본질적인 속성이라 일컬어져 온 것들의 가치를 빠르게 대체했기 때문이다. 육체노동이 기계에 의해 대체된 것은 물론 이성적 능력까지도 더 이상 인간의 전유물이 아닌 상황이 되어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인간은 점점 위축될 수밖에 없고, 그에 대한 반대급부로 불안을 피해 안정을 추구하려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기존의 인간이해가 더 이상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많아졌고, 정치, 경제, 심리 등 많은 실용적 성격의 학문에서 최근 수 십 년간 인간 본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시도가 지속되어 온 것은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다. 이런 현실 속에서 사람들은 ‘방황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치열한 삶의 의미 찾기와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방황을 꺼려하는 현대인들은 종교는 물론 연대(連帶)나 진보와 같은 정신적, 사회적 가치에 대해 전에 없이 작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가속화 된다면 일본 젊은이들이 보여주는 이른바 ‘소소한 행복’의 추구와 ‘사토리 세대’의 모습이 조만간 특정 국가와 문화를 넘어 보편성을 띠는 시대적 과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종교 분야에서도 인간 본성을 새롭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의 인간 본성 이해와 그의 기독교 현실주의 사상을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조명해보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현대가 잃어버린 (혹은 부정하고 있는) 방황의 가치를 살펴봄으로써 왜곡된 인간상을 바로잡고, 종교의 사회적인 유효성을 기성의 제도 종교 바깥에서 재정립하는 것이 이 문제의 해결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현실의 문제가 정확하게 무엇인지 알아보고(1장), 모순과 그로 인한 방황을 부정적인 것으로 여기는 인간 이해가 사실은 인간의 참 모습을 왜곡해 왔음을 밝힌다(2장). 이어서 모순에 대한 지양(止揚)과 배제를 넘어 모순의 역설적 공존을 수용하는 인간 이해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원죄라고 하는 인간의 유한성이 인간의 궁극적인 자유의 단초가 될 수 있는 이유를 분석한다(3장). 이를 바탕으로 종교 역시 역설적인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밝히고, 그 본래적 가치를 회복한 종교는 인간에게 ‘방황할 수 있는 자유’를 줌으로써 ‘성찰’은 물론 ‘참여’라고 하는 사회적 유효성을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보인다(4장). 괴테가 『파우스트』에서 말한바와 같이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하는 법”이고, 방황하는 한에 있어서 그는 자유롭기 때문이다(5장).

      • 모종삼의 주자학 해석에 대한 비판 : 자율성 개념을 중심으로

        정우엽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article aims to show that Autonomy is established in “Zhu-xi learning” and to criticize Mou Zong San’s interpretation on i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article studies Kant’s Autonomy, Mou zong san’s philosophy, and some concepts of “Zhu-xi learning.” Kant’s Autonomy is based on free will which does not emperically find moral law, but admires transcendental moral law. Kant also thinks that free of human can be established, when free will admires the moral law and makes new casual chains on the basis of moral law. Therefore, in terms of Kant’s ethics, free of human beings equals to Autonomy. Mou Zong San accepts Kant’s autonomy. However he tries to complement Kant’s ethics and claims importance of intellectual intuition. Because the being who have intellectual intuition intuits transcendental self, that is, moral self which admires moral law and make new causual chain. According to Kant’s epistemology, we can’t cognize the noumena self (moral self). Mou points out this aspect of Kant’s philosophy. He claims that the philosophy is unstability, because the theory is based on the one which is not recognized by human being’s cognition ability. We cannot know the self. Therefore, Mou argues that Human being must have intellectual intuition and must be able to intuit the noumena self, and make this self grounds of moral metaphysics. Furthermore, Mou defines Zhu-xi learning as heteronomy. Because Zhu-xi learning suggests moral subject which separates from transcendental moral law and pursues to empirical moral law. In terms of Mou, the mind which Zhu-xi learning describes is cognitive mind, not moral mind which has spontaneous-moral power. In terms of Zhu-xi, the mind must learn moral law through ge-wu-zhi-zhi(格物致知). This article criticizes Mou’s view. Ming De(明德) shows that the mind of Zhu-xi learning have moral law, power and ability. Therefore, the mind is not only cognitive mind, but also moral mind. I also thinks that Xin-tong-xing-qing(心統性情) means “the mind includes nature and emotion(or activity)”, not “the mind cognitively unites nature with emotion.” I claim that ge-wu-zhi-zhi(格物致知) is not just cognitive activity on outer moral principle. Rather, this activity is to distinctively recognize transcendental moral law of subject. Zhu-xi also admits that human being have transcendental moral law. The aim of ge-wu-zhi-zhi(格物致知) is to make our moral law clear, not to accepts outer moral law. This article interprets Ge-wu-zhi-zhi(格物致知) as interactivity. Because methods of this activity are lecture, discussion, reading and so on. I regard the activities as interactivity, because this activities entail action between subjects. Through this activity, we as well as I realizes our transcendental moral principle which not only the man but also myriad of thing share. Finally I claim that the subject who follows the rule of the world and community is Autonomy. Because the rule is the rule of the subject 이 논문의 목적은 주자학에서도 자율 개념이 성립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모종삼의 논의를 비평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이 논문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칸트의 자율개념과 모종삼의 철학을 성찰하고, 주자학의 몇몇 개념을 연구의 주요한 대상으로 삼는다. 칸트의 자율개념은 의지 밖에서 도덕법칙을 찾지 않으면서, 선험적 도덕법칙을 의욕하는 자유의지에 기반을 둔다. 또한 칸트는 인간의 자유가 자연적 인과계열에서 벗어나서, 도덕률에 따라 새로운 인과계열을 정립할 때 성립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칸트의 입장에서는 자유와 자율은 동일한 의미이다. 왜냐하면 도덕법칙에 따라 자기를 규정하고 행위하는 주체는 자율적이면서 동시에 자연적 인과관계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모종삼은 이러한 칸트의 자율개념을 수용한다. 하지만 모종삼은 칸트의 자율개념이 온전하게 성립하기 위해서 지적직관이라는 용어를 도입한다. 왜냐하면 칸트의 인식론에서는 도덕적 자아란 인지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모종삼은 주체의 인지 밖에 있는 대상을 기반으로 삼는 체계는 불안정하다고 논평한다. 그래서 그는 지적직관, 역각체증(逆覺體證)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도덕주체는 자기 자신에 대해서 인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서 모종삼은 도덕 형이상학을 건립하고자 한다. 모종삼은 더 나아가 주자학을 타율이라고 규정한다. 왜냐하면 주자학은 도덕률을 의지 밖에서 찾기 때문이다. 모종삼의 관점에서 주자학에서 주체는 도덕률을 선험적으로 지니고 있지 않다. 주자학에서 주장하는 마음은 인식심이고 그래서 격물치지를 통해서 주체는 외부에서 도덕률을 습득할 수 있을 뿐이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모종삼의 주장에 반대한다. 명덕(明德) 개념은 오히려 주자학의 마음이 선험적 도덕률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주자학의 마음은 단순히 인식심이 아니며, 도덕심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심통성정(心統性情)의 명제 역시 마음이 본성과 감정을 통괄하고 있다는, 즉 도덕률과 도덕적 활동 능력을 갖춘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격물치지(格物致知) 단순히 외부의 도덕률을 인식하는 활동이 아니다. 이 수양은 역으로 주체의 선험적 원리를 명증적으로 인식하는 활동이다. 즉 자기 인증의 활동이다. 주자는 선험적 도덕률을 주체가 가지고 있다고 인정했다. 그는 이 선험적 도덕률을 극진하게 하는 것이 격물치지의 목적임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따라서 격물치지(格物致知)는 의지 밖의 도덕률을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도덕률을 밝히는 것일 뿐이다. 또한 격물치지(格物致知)는 상호주관적인 활동이다. 왜냐하면 격물치지는 다른 주체와의 상호작용을 설정하기 때문이고, 공동체의 활동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단일한 주체가 홀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다. 격물치지(格物致知)는 우리 모두가 수행하는 수양이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 자신을 깨닫는 것뿐만 아니라 타자와 세계 역시 깨닫는다. 나는 내가 우리라는 것을 알게 된다. 세계의 법칙은 곧 나의 법칙이다. 세계의 법칙이 나의 법칙인 만큼, 세계의 법칙을 따르는 주체는 결코 타율적이지 않다. 오히려 이 주체는 자율적이다. 따라서 주자학의 주체는 자율적인 주체이고 주자학은 자율 도덕이다.

      • 대화주의를 통한 우상파괴 : 바흐친의 사건적 윤리와 다성성에 대한 철학적 해석을 통하여

        방선영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우상화로 인한 ‘인간성의 상실과 억압’이라는 한국 그리스도교의 현실이 인간의 ‘자기중심주의’ 문제와 결코 무관하지 않음을 지적하고, ‘대화주의’를 통한 진정한 탈중심화와 인간성 회복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입으로는 ‘사랑’을 말하면서도, 타자의 불행이나 고통마저도 구원의 수단에 불과한 것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허다한 독단적 교회의 현실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자기를 비우는 사랑의 삶을 실천해야 할 종교인들이 오히려 타자의 ‘다름’을 용납하지 못하고, ‘같음’만을 강요하는 폭력을 저지르는 이유는 과연 무엇인가? 그것은 ‘진리를 소유하고 있다’는 확신과 착각에서 비롯된 중심주의적이고 자아도취적인 환상, 결국 ‘인간의 신격화’에 다름 아니다. 절대적인 것으로 고착화되어 종결된 것은 사실상 ‘대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내가 바뀔 가능성을 전제하지 않는 대화란 ‘독백’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이다. ‘통일’을 목적으로 정립된 추상적 ‘체계’는 살아있는 것, 구체적인 것을 결코 알지 못한다. 물론 나와 타자의 ‘하나 됨’이라는 추상적 공동의 이상은 비단 종교만의 문제는 아니다. ‘대화’와 ‘소통’이라는 익숙한 구호가 난무하지만, 우리는 ‘다름’을 진정 ‘다름’으로 만나지 못하며, 일상에서 늘 타인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느낀다. 따라서 ‘다름’과의 진정한 만남을 위한 자기이해와 새로운 대화의 의미가 요청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가치적 태도는 구체적 행위로 육화될 것을 요구한다. 구체적 일상과 동떨어진 진리는 더 이상 진리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작지만 사소한 것들을 가치 있는 것으로 만들지 않으면서 우리는 결코 진리에 가까이 다가갈 수 없다. 진리는 ‘한 걸음씩 애써 쟁취되어야 한다’는 니체의 말을 공허한 가능성이 아닌 구체적인 행위로 바꾸어야 할 책임이 일상을 사는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자기를 부정하고 비우라’는 종교적 명령마저 명제화되고 독백화된 현실 속에서, 인간의 자기중심성은 어떻게 극복될 수 있는가? 이러한 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바흐친의 ‘사건적 윤리’와 ‘다성성’에 대한 철학적 해석을 시도한다. 주체의 확실성을 토대로 한 인식론의 독백화된 체계와 중심성을 극복하는 방법은 무엇보다 인간을 ‘대화적 존재’로 규정하고 책임성을 구체적으로 ‘육화’하는 것에 있기 때문이다. ‘다름’과 얽힌 삶을 살아가는 인간의 진정한 개체적 실존의 구현은 ‘대화적 진리이해’의 현실화에 달려 있다. 왜냐하면 우리의 삶 자체가 이미 ‘대화적’이기 때문이다. 바흐친의 특별함은 이러한 문제들에 무엇보다도 산문적 창조의 방식으로 응답한다는 점이다. 대화주의를 통한 자아성찰과 우상파괴는 ‘신앙과 삶의 괴리’라는 문제에 중심주의 극복을 향한 새로운 통찰과 시각을 제공하고, 우리로 하여금 각자의 책임적 태도로 대화적 삶의 변화와 가능성에 열려 있게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reality of Korean Christianity, which can be characterized by “the loss and oppression of humanity” caused by idolization, is never irrelevant to the problem of human self-centeredness, so as to find ways of genuine decentralization for the rehabilitation of humanity by “dialogism.” While proclaiming love, the church has commonly taken even the Other's misfortune and pain as a mere means of salvation. There is nothing new about this dogmatism of the church. What's the reason for religious people's violence of compelling “sameness”? Why can't they condone the “otherness” of the Other even though they have the duty of practicing a life of love through self-emptying (kenosis)? It is precisely because of an egocentric and narcissistic phantasm derived from the church's wrongful conviction that it monopolizes the truth, which would eventually turn out to be a “deification of human beings.” As for something fixed, absolute, and completed, there's no need for any actual dialogue. A dialogue that does not presuppose the possibility for a self-alteration is nothing more than a soliloquy. An abstract system designed for unity never knows something alive and concret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oblematics of the abstract common ideal of “oneness” of the I and the Other have not been concerned solely with religion. Though “dialogue and communication” has recently become a common catchphrase, we have not been able to encounter otherness as it really is. We used to face relationship difficulties in our everyday lives. Thus, a self-understanding and a novel meaning of dialogue have been demanded in order for us to genuinely encounter otherness. Above all, it is postulated that the attitude of valuing should be incarnated in concrete acts, for a truth quite remote from concrete everyday life is not truth anymore. Our approach to truth is not possible unless we value every little thing. As Nietzsche once remarked, "at every step one has to wrestle for truth." Christians have the duty to put these words into concrete action in everyday life instead of taking them as an empty possibility. However, how can human self-centricity be surmounted in a reality in which even the religious commandment "deny and empty yourself" has been “propositioned” and “soliloquized”?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attempts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Bakhtin's “ethics of events” and “polyphony.” We would find a way to surmount epistemology's soliloquized system and self-centricity that rest on the certainty of the subject. These epistemological natures would be overcome by characterizing humans as “beings of dialogue” and by concretely incarnating human responsibility. The realization of a genuinely individual human existence intertwined with otherness depends on the actualization of a “dialogic understanding of truth,” for our lives themselves have already been dialogic. The uniqueness of Bakhtin's thought lies in his method of responding to these problems, as it were, with prosaic creation. An iconoclasm and self-reflection by dialogism would provide a novel insight into and perspective for overcoming the problem of the dichotomy between faith and life, thereby enabling us to open ourselves to a life-changing possibility in an individually responsible way.

      • Hydrogels cross-linked with β-sheet mediated self-assemblies and their application to protein delivery carriers

        지윤숙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is study, hydrogels cross-linked with β-sheet mediated self-assemblies were prepared and studied their application to effective protein delivery carriers. First, acrylate-poly(ethylene glycol)-b-oligo(L-valine) copolymers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by ring opening polymerization of L-valine NCA monomers using poly(ethylene glycol) as initiator containing an acrylate and an amine at both ends of its molecular chain. The synthesized copolymers formed stable self-assembled particles incorporated β-sheets by aggregating oligo(L-valine) in aqueous solution. When degree of polymerization was low (DP = 13), spherical micelle was formed because the β-sheet structures acted as simple hydrophobic domains. However, copolymers with relatively high degree of polymerization (DP = 29) appeared coexistence of lamellar and chestnut bur-like structures by the three-dimensional packing of the β-sheet. Furthermore, when the prepared beta-sheet self-assembled particles were introduced into the hydrogel, mechanical properties of gels could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only concentrations of self-assemblies while keeping the number of cross-links constant. The hydrogels with elastic modulus increased by 37 % could be prepar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welling ratio. Sub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hydrogel cross-linked with β-sheet mediated self-assemblies was a promising protein delivery carriers. According to kinetic rate constant (k), the protein encapsulated in the hydrogel with β-sheet released about 1.6 times slower than normal gel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when an external mechanical force was applied, the release rate increased by about twice. Finally, ex vivo angiogenesis assay was performed by implanting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loaded β-sheet hydrogel loaded with on the chick chorioallantoic membrane (CAM). Since the sustained release profile of VEGF in the β-sheet hydrogel was induce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bias of new blood vessels formed around the gel was improved by twice compared to the simple hydrogel. In conclusion, the hydrogel systems cross-linked with β-sheet mediated self-assemblies could induce effective protein delivery and maximize therapeutic efficacy,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asic technology and research for cardiovascular treatment. 단백질 베타-시트 2차 구조를 갖는 자기조립체로 가교된 하이드로젤을 제조하고 이를 효과적인 단백질 전달체로 응용 연구하였다. 먼저, 한쪽 말단은 아크릴레이트기, 다른 쪽 말단은 아민기가 도입된 폴리에틸렌 고분자(PEG)를 개시제로 사용하여 L-valine NCA 단량체로 개환 중합한 AC-PEG-b-oligo(L-valine) 공중합체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합성한 공중합체는 수용액상에서 oligo(L-valine)이 결집되어 베타-시트 구조가 포함된 안정적인 자기조립입자를 형성하였다. oligo(L-valine)의 중합도가 작은 경우(DP = 13), 베타-시트 구조가 단순 소수성 도메인으로 작용하여 구형의 마이셀 형태를 갖는 자기조립입자가 형성되었다. 그런데 중합도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DP = 29)에는 베타-시트 3차원 패킹에 의해 밤송이 형태와 라멜라 구조로 자기조립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렇게 제조된 베타-시트 자기조립입자를 하이드로젤에 도입하였을 때, 도입 정도에 따라 가교도가 일정한 젤에서도 물성 제어가 가능하였다. 팽윤 정도(Swelling ratio)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기계적 강도(Elastic modulus)는 약 37%가 증가한 젤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후, 본 연구에서 제조한 베타-시트 자기조립체가 도입된 하이드로젤의 단백질 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베타-시트 하이드로젤 내부에 봉입된 단백질은 일반적인 젤과 비교해 약 1.6배(kinetic rate constant, k) 이상 방출 속도가 느리지만 외부 기계적 힘이 주어지면 다시 약 2배 정도 방출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혈관내피성장인자(VEGF)를 봉입한 베타-시트 하이드로젤을 CAM (chick chorioallantoic membrane)에 이식하여 신생혈관형성 ex vivo 실험을 진행하였다. 베타-시트 하이드로젤의 VEGF가 지속적인 방출 거동(sustained release)을 보이기 때문에, 젤 쪽으로 형성된 신생혈관의 편향도가 단순 하이드로젤의 결과와 비교해 2배 이상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설계한 베타-시트 구조를 갖는 자기조립체로 가교된 하이드로젤 시스템은 효과적으로 단백질 약물을 전달하여 치료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심혈관 치료 및 연구의 기반 기술로 활용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