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사회 획득 폐렴 환자에서 바이러스 폐렴의 예측 인자

        김지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Background Viruse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major causes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clinical predictors of viral pneumonia, and the results have been inconsistent. In this study, the clinical predictors of viral pneumonia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utility as indicators for viral pneumonia in patients with CAP. Material & Methods Adult patients (≥ 18 years old) with CAP, tes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or respiratory virus, at two teaching hospitals between October 2010 and May 2013, were identified retrospectively.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by reviewing the hospital electronic medical records.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456 patients with CAP were identified who met the definition, and 327 (72 %) patients were tested using the respiratory virus PCR detection test. Viral pneumonia (n=60) was associated with rhinorrhea, a higher lymphocyte fraction in the white blood cells, lower serum creatinine and ground-glass opacity (GGO) in radiology results, compared to non-viral pneumonia (n=250) (p<0.05, each). In a multivariate analysis, rhinorrhea (Odd ratio (OR) 3.52; 95 % Confidence interval (CI), 1.58 - 7.87) and GGO (OR 4.68; 95 % CI, 2.48 - 8.89) were reveal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viral pneumonia in patients with CAP.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predictive values (PPV and NPV) of rhinorrhea were 22, 91, 36 and 83 %: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of GGO were and 43, 84, 40 and 86 %, respectively. Conclusion Symptom of rhinorrhea and GGO predicted viral pneumonia in patients with CAP. The high specificity of rhinorrhea and GGO suggests that these could be considered for empirical antiviral therapy.

      • 최근 6년간 광주·전남지역에서 발생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감염증의 임상 양상

        정영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서론: Vibrio vulnificus 감염증은 지속적인 계몽에도 불구하고 위험 집단을 중심으로 해마다 발생하고 있으며 집중 치료에도 60% 이상의 높은 치사율을 보인다. 본 연구는 최근 6년간 V. vulnificus 감염증 호발 지역의 일개 대학 병원에 내원한 V. vulnificus 감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임상양상과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부터 2005년까지 6개년간 전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임상 검체에서 V. vulnificus가 동정된 환자 81예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역학적 특성, 임상양상, 검사실 소견, 예후 인자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발생 년도 별로는 2003년이 27예 (33%)로 가장 많았고, 월별로 8월과 9월에 50예 (62%)로 집중되어 있었다. 성별로는 남자 68예 (84%), 여자 13 예 (16%)였고, 평균 연령은 57.8 ± 9.4 세였다. 기저질환으로 간경화 37예 (45%)와 만성 음주력 32예 (40%)를 포함하여 간 질환을 가진 환자가 73예 (90%)였다. 총 71예 (88%)의 환자에서 어패류 생식력과 해수 접촉력이 확인 되었고, 피부 병변은 70예 (86%)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피부 병변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 11명은 내원 당시 상부 위장관 출혈 (2예), 복막염 (2예), 패혈증 (2예), 급성 담관염 (1예), 위장관염 (1예), 간농양 (1예), 안내염 (1예), 간부전 (1예)의 소견을 보였고, 이 중 5예 (45%)에서만 어패류 생식력이 확인 되었다. 총 81예 중 53명(65%)이 사망하였다. 피부 병변을 동반한 환자에서 다변량 분석에서 의미 있는 사망의 위험인자로는 백혈구 수 감소 (<4000/㎣) (OR=8.6, 95% CI 1.3~55.2, P = 0.023), 수술 (근막 절개술이나 괴사조직 제거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OR=14.7, 95% CI 1.2~ 172.7, P = 0.033)가 있었다. 피부 병변을 동반한 V. vulnificus 감염증 환자에서 수술을 시행한 군이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 비해 30일째 생존율이 더 높았다 (53.7% vs 3.4%, P < 0.001). 결론: V. vulnificus 감염증은 여전히 사망률이 높은 질환으로 고 위험군에서 여름철에 어패류의 생식이나 해수 접촉을 삼가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적극적인 근막 절개술이나 괴사조직 제거술을 병용함으로써 생존률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Vibrio vulnificus infection is a frequently occurring fatal infectious disease in Korea; 40 to 70 bacteriologically-confirmed cases are reported each yea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prognostic factors of V. vulnificus infection. Method: Patients with microbiologically confirmed V. vulnificus infections who admitted to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2000 to 2005 were enrolled.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clinical feature, laboratory finding and prognostic factors were evaluated. Results: A total of 81 patients were enrolled. The peak year for infection was 2003 and most patients (91%) occurred in July to October. More than 90% of these patients had various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such as chronic liver diseases or diabetes mellitus. Seventy-one patients (88%) confirmed eating raw fish or exposure to sea water. Characteristic cutaneous lesions were shown in 70 patients (86%). Initial manifestations of the patients without cutaneous lesion were gastrointestinal bleeding (2), peritonitis (2), septicemia (2), acute cholangitis (1), enteritis (1), liver abscess (1), endophthalmitis (1) and hepatic failure (1). The overall case-fatality rate was 65%.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leukopenia (< 4000/㎣) (OR=8.6, 95% CI 1.3~55.2, P = 0.023) and medical treatment without surgery (OR=14.7, 95% CI 1.2~172.7, P = 0.033)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mortality among patients with cutaneous lesions. The 30-day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cutaneous lesions, undergone medical treatment with surgery (53.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patients undergone medical treatment only (3.4%) (P < 0.001). Conclusion: Although V. vulnificus infection is a still life-threatening disease in patient with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early diagnosis and aggressive surgical interventions are important in saving the life of the patients with cutaneous lesion.

      • Clonal spread of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bloodstream isolates at a tertiary care hospital in South Korea

        김성은 전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Background: The dissemination of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CRAB) became an urgent public health concern. A specific sequence type (ST) of A. bauamannii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severity of disease or mortality.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genetic relatedness of CRAB blood isolates cultured from patients at a tertiary care hospital and to investigat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 of CRAB bacteremia according to STs. Methods: CRAB blood isolates were collected between June 2016 and December 2019, and their clinical data were obtained. Multi-locus sequence test (MLST) was performed using the Oxford scheme, and the STs were assigned using the MLST database. Results: Of the 185 CRAB blood isolates, 180 isolates assigned to specific STs by MLST were enrolled. ST369 (54%) was the most predominant, followed by ST191 (27%), ST784 (10%) and ST451 (3%). ST369 was first introduced in August 2017. ST191 (61%) was the most abundant during June 2016 to July 2017, whereas ST369 (72%) replaced ST191 (15%) since August 2017. The 7-day survival rate of ST369 was lower than any other STs in post-hoc analysis (ST369 vs ST191, ST784, ST369 vs other STs, P=0.02, P<0.01 and P<0.01, respectively, log rank test). In multivariate analysis, higher Charlson comorbidity index score (OR=1.37, 95% CI 1.06 – 1.76, P = 0.01) and SOFA score (OR=1.47, 95% CI 1.27 – 1.70, P < 0.01 ), leukopenia (OR= 3.62, 95% CI 1.04 – 12.6, P = 0.04) and CRAB bacteremia due to ST191 or 369 (OR=5.32 , 95% CI 1.25 – 22.65, P = 0.02)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7-day mortality. The growth of the ST369 was remarkably faster than that of ST191 (3.1 x 1012 ± 2.8 x 1011 vs 8.6 x 1011 ± 7.2x 1010, P <0.01 student t-test, 24 h). The Competitive index (CI) of ST369 is 2.15 in 24 h after inoculation. ST369 had enhanced virulence with higher mortality than other sequence types in the mice intraperitoneal infection model.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clonal spread of ST369 at a tertiary care hospital in South Korea over 3.5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ST369, it replaced ST191 and widely disseminated. ST369 were associated with poor outcome. Continuous surveillances are necessary to monitor the dissemination of these strains. 배경: 카바페넴 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 (CRAB)의 전파는 긴급한 공중 보건 문제이다. A. baumanii의 특정 서열 유전형(sequence type, ST) 은 질병의 중증도 및 사망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 연구는 3차 병원의 혈액 검체에서 분리된 카바페넴 내성 A. baumannii의 유전적 연관성과 특정 서열 유전형에 따른 임상적 특성과 치료결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6년 6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카바페넴 내성 혈액 분리 균주 및 해당 검체가 확인된 환자들의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Oxford 법에 따른 다좌위 서열 형별분석 (Multilocus sequence test, MLST)을 시행하였으며 서열 유전형은 MLST 데이터베이스 이용하여 분류되었다. 결과: 185개의 혈액 분리 균주 중 180개의 균주가 특정 서열 유전형에 의하여 분류되어 연구에 포함되었다. 이 중 ST369 (54%) 가 가장 많았으며 ST191 (27%), ST784 (10%), ST451 (3%)의 순서였다. ST369는 2017년 8월 처음 유입되었다. ST191 (61%)는 2016년 6월부터 2017년 7월까지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2017년 7월 이후로는 ST369 (72%) 로 대체되었다. 사후분석 결과 ST369에 의한 혈류감염의 7일 생존률은 다른 모든 서열 유전형보다 낮았다 (ST369 과 각각 ST191, ST784, other STs 비교시 순서대로 P=0.02, P<0.01 그리고 P<0.01, log rank test). 다변량분석에서 높은 Charlson 동반질환 지수 점수 (OR=1.37, 95% CI 1.06 – 1.76, P = 0.01), 높은 SOFA 점수 (OR=1.47, 95% CI 1.27 – 1.70, P < 0.01 ), 백혈구 감소증 (OR= 3.62, 95% CI 1.04 – 12.6, P = 0.04) 그리고 ST191 혹은 369에 의한 균혈증 (OR=5.32 , 95% CI 1.25 – 22.65, P = 0.02) 이 독립적인 7일 사망의 위험인자였다. ST369의 성장은 ST191보다 현저히 빨랐다 (3.1 x 1012 ± 2.8 x 1011 vs 8.6 x 1011 ± 7.2x 1010, P <0.01 student t-test, 24 시간). ST369의 ST191과의 경쟁지수는 접종 후 24 시간에 2.15였다. 마우스 복강내 감염 모델에서 ST369 다른 서열 유전형에 비해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결론: 이 연구는 한국의 3차병원에서 ST369가 유입된 후 ST191을 대체하여 클론성 확산됨을 보여주었다. ST369는 임상적으로 불량한 예후와 관련되었고, 마우스 감염모델에서도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이러한 균주의 전파를 관찰하기 위해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 Protective Effect of Lipocalin 2 via TLR5-Signaling Pathway in Cyclophosphamide-Induced Neutropenic Sepsis Mouse Model

        김희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Flagellin, a TLR-5 agonist, is known to be a provoker of innate immune response, and it has protective role against radiotherapy-induced gut damage or enteric infections. Neutropenia and sepsis occurs frequently in cancer patients during immunosuppressive anti-cancer chemotherapy. In the presence of chemotherapy-induced neutropenia, microscopic ulcers in the gastrointestinal epithelium develop, which function as a portal of entry for intraluminal bacteria to translocate across the intestinal mucosal barrier and to gain access to the systemic sites. In this study, a cyclophosphamide-induced mouse model was developed to mimic the pathophysiologic sequence of events that occurs in patients with neutropenic sepsis. Using this model, we demonstrated that TLR5 agonist, bacterial flagellin, extended survival of cyclophosphamide-treated mice by reducing bacterial loads in internal organs. Subsequent study revealed that it was antimicrobial protein, lipocalin 2, which is induced through TLR5-NF-kB activation in hepatocyte, conferred the protection presumably by sequestering iron from infected bacteria, most notably siderophore enterobactin-dependent family of Enterobacteriaceae. Lipocalin 2 administration (100 μg/mouse) at 24 hr after cyclophosphamide treatment effectively extended survival in mice. Protective effect of flagellin was not found in TRL-5-/- mice and Lcn2-/- mice. These findings show that flagellin especially lipocalin 2 can be a good candidate for protective agent against sepsis in patients receiving anti-cancer chemotherapy. We suggest that to include Lipocalin 2 in treatment regimen of neutropenic sepsis, which could potentially improve the therapeutic outcome of cancer chemotherapy. TLR-5 유도제인 플라젤린은 선천성 면역반응의 자극제로 알려져 있으며, 방사선 요법으로 인한 장 손상 또는 감염에 대해서 보호 역할을 한다. 호중구 감소증 및 패혈증은 면역억제 항암 화학요법 도중 암 환자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화학 요법으로 유발된 호중구 감소증이 있는 경우, 위장관 상피에서 미세한 궤양이 발생하며, 장내세균이 장 점막 장벽을 가로질러 이동하고 전신 부위에 접근할 수 있는 진입의 통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유도 마우스 모델은 호중구 감소성 패혈증 환자에서 발생하는 병리생리학적의 일련의 사건을 모방하기 위해 마우스 모델이 개발되었다. 이 모델을 사용하여, TLR-5 유도제인 플라젤린이 내부 장기의 박테리아 수를 감소함으로써 사이클로포스미드 처리된 마우스의 생존을 연장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후속연구로 간세포에서 TLR5-NF-κB 활성화를 통해 유도된 항균 단백질이 리포칼린2 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감염된 박테리아 특히 장내세균과의 siderophore enterobactin-dependent family 세균에서 철을 격리시킴으로써 보호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이클로포스미드 처리 후 24시간에 리포칼린2 투여 (100㎍/mouse)는 마우스의 생존을 효과적으로 연장시켰다. 플라젤린 보호 효과는 TLR-5-/- 및 Lcn2-/- 마우스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플라젤린, 특히 리포칼린2가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환자들을 패혈증으로부터 보호하는 좋은 후보 물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잠재적으로 암 화학요법의 치료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호중구 감소성 패혈증의 치료 요법에 리포칼린2를 고려할 수 있겠다.

      •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andida glabrata Candidemia : Comparison with Candida albicans

        오태훈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Background - Candida glabrata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athogen because of increasing proportion of this species among candidemia and its increased resistance to azole antifungals. However,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epidemiology of C. glabrata infe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 glabrata candidemia by comparing with those of Candida albicans. Methods - All adult patients (>18 years old) with candidemia who were admitted to 2 tertiary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during 8-year periods from 2007 through 2014 were included.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by review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Results - Among 264 adult patients (>18 years old) who admitted at two tertiary hospitals from 2007 to 2014, 205 were C. albicans and 59 were C. glabrata. Early-onset candidemia, defined as presence of a positive blood culture drawn within 48 hours after hospital admission, were significantly common in C. glabrata compared with C. albicans (35.6% vs. 15.1%; P < 0.001). In patients with early-onset C. glabrata candidemia, 71.4% and 14.3% of candidemias were healthcare associated and community acquired, respectively. Patients with C. albicans candidemia were more likely to receive antibacterial agents (90.7% vs. 79.7%; P = 0.020) and parenteral nutrition (81.5% vs. 57.6%, P <0.001). However, genitourinary source of infection was more likely with C. glabrata infection (11.9% vs. 4.4%; P = 0.034). Thirty-day crude and candidemia-related mortality rates were similar between patients with C. glabrata candidemia and those with C. albicans (54.7% vs. 57.3% and 35.8% vs. 38.4%; P = 0.738, each). Conclusion - Patients with C. glabrata candidemia are more likely to be early-onset candidemia and have a genitourinary source of infection compared with patients with C. albicans.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gastrointestinal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immunocompetent patients

        류가람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치명적인 질환을 앓고 있는 면역적격환자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증의 보고가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면역적격환자에서 발생한 거대세포바이러스의 위장관 감염에 대한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2010년부터 2020년까지 2개의 대학병원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위장관 감염으로 진단받은 17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거대세포바이러스 위장관 감염은 (1) 위장관 감염에 적합한 증상이나 징후가 있으면서, (2) 조직학적으로 거대세포바이러스에 대한 면역화학염색 또는 중합효소연쇄반응이 양성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감염자, 활동성 암 환자, 6개월 내 스테로이드 또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한 자, 고형장기 또는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환자는 제외하였다. 총 34명이 거대세포바이러스 위장관 감염이 있는 면역적격환자였다. 나이 중앙값은 72세(IQR: 56-80세)였으며, 23명(67.6%)은 65세 이상이었다. 기저질환으로는 고혈압(47.1%)이 가장 흔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심혈관질환 (38.2%), 당뇨병 (23.5%), 뇌혈관질환(17.6%), 궤양성 대장염(14.7%), 투석 중인 신질환(11.8%) 순이었다. 중환자실 입실력이 있는 환자는 1명이었다. 30명(88.2%)은 대장을 침범하였고, 3명(8.8%)은 위, 1명은 식도를 침범하였다. 증상 발생 시부터 진단까지의 중앙값은 19.5일(IQR: 11-33일)이었다. 22명(64.7%)의 환자는 Ganciclovir를 투여 받았으며, 3명(8.8%)의 환자는 수술적 치료를 받았다. 총 34명의 환자 중, 20명(58.8%)은 면역화학염색 양성결과를 통해 진단되었으며, 14명(41.2%)은 중합효소연쇄반응만 양성으로 진단되었다. 두군 간에 기저질환, 임상적 특징, 치료 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면역적격환자의 거대세포바이러스의 위장관 감염은 고령의 환자들에게서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면역적격환자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위장관 감염의 진단에서 조직의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유효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Recently, the reports of cytomegalovirus (CMV) infection in immunocompetent hosts have been increasing, especially in patients with underlying comorbidities or critical illnes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gastrointestinal CMV infection in immunocompetent hosts. All patients ≥17 years old with gastrointestinal CMV infection in two Korean tertiary hospitals from 2010 to 2020 were investigated. Gastrointestinal CMV infection was defined as (1) clinical symptoms and signs compatible with gastrointestinal infection and (2) pathologically confirmed CMV tissue involvement with either by immunohistochemistry (IHC) 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atients with HIV infection, active cancer, history of usage of steroids or immunosuppressants in recent 6 months, or history of solid organ or stem cell transplantation were excluded. Of A total of 34 immunocompetent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CMV infection, 30 patients (88.2%) had colitis, 3 (8.8%) had gastritis, and 1 had esophagitis. The median age was 72 years (IQR: 56-80 years) and there were 23 patients (67.6%) over the age of 65 years. Common comorbidities were hypertension (47.1%), cardiovascular diseases (38.2%), diabetes mellitus (23.5%), cerebrovascular diseases (17.6%), ulcerative colitis (14.7%), and renal disease on hemodialysis (11.8%). Only one patient was receiving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The median duration from onset of symptom to diagnosis was 19.5 days (IQR: 11-33 days). Ganciclovir were administered to 22 (64.7%) patients and 3 (8.8%) underwent surgery. Of 34 patients, 20 (58.8%) were diagnosed with IHC positive (Group 1), and 14 (41.2%) were diagnosed with PCR only positive (Group 2). There was no difference of underlying disease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between two groups. Symptoms improved in all patients, and there were no deaths. In this respect, it can be thought that CMV disease has a favorable outcome for immunocompetent hosts. Gastrointestinal CMV infection in immunocompetent patients may not be uncommon in the elderly popul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role of tissue CMV PCR for diagnosing of gastrointestinal CMV infection in immunocompetent hosts.

      • 최근 7년간 일개 대학병원에서 경험한 렙토스피라병의 임상적 고찰

        강승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배경: 렙토스피라병은 가벼운 호흡기 증상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는 급성 열성 감염질환이다. 다른 나라에 비해 국내 렙토스피라병은 호흡기 증상 및 객혈 증상이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발생하는 렙토스피라병의 임상양상에 대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에서 최근 경험한 환자를 대상으로 렙토스피라병에 관한 임상양상과 치료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임상경과 및 혈청학적 검사로 렙토스피라병을 진단받은 68명을 대상으로 하여 환자의 성별과 나이, 활력징후, 기저질환, 임상증상, 검사실소견, 치료결과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 중 69.1%가 직업적 활동에 의해 노출되었고, 대부분의 환자는 8월에서 10월에 분포하였다. 주요 임상 증상은 발열(88.2%), 근육통(80.9%), 두통(69.1%), 객혈(55.9%), 저혈압(51.5%), 복통(55.9%) 등이었다.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는 45명(66.2%)에서 비정상 소견을 나타냈으며, 흐릿하게 경계가 불분명한 반점음영(hazy ill defined patch)이 30명(44.1%)으로 가장 흔하게 관찰되었다. 3세대 세팔로스포린 사용군(1.2±1.6일)과 페니실린 사용군(1.4±3.0일)은 그외 항생제 사용군(4.0±4.9일)에 비해 해열까지의 기간이 유의하게 짧았으나(p=0.014), 각 군간에 재원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202). 폐렴형군(32명)은 비폐렴형군(36명)에 비해 호흡곤란과 객혈 및 간기능이상과 신기능이상의 소견이 흔하고 사망률이 높아(12.5% vs. 0%, p=0.044) 중증의 경과를 취하였다. 결론: 렙토스피라병은 다양한 임상양상으로 나타나고, 대체로 양호한 임상경과를 보이지만, 폐렴형의 경우 비폐렴형에 비해 좀더 심각한 임상경과를 취할 가능성이 크므로 집중적 감시와 치료가 필요하다. Background: Leptospirosis is a zoonotic disease of global importance. The pulmonary involvement in leptospirosis has been increasingly reported in recent decades. However, there are few clinical studies about leptospirosis in Korea since 1990'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reatment of leptospirosis experienced during the recent years. Methods: Patients with serologically confirmed leptospiral infection who were treated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2001 to 2007 were enrolled.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clinical features, laboratory findings, and treatment outcomes were evaluated. Results: Among a total of 68 patients, 47 (69.1%) had a history of occupational exposure. Fever (88.2%), myalgia (80.9%), headache (69.1%), Hypotension (51.5%), dyspnea(44.1%) and abdominal pain (55.9%) were commonly observed. The overall case fatality rate was 5.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fervescence between 3rd generation cephalosporin (1.2±1.6 days) and Penicillin (1.4±3.0 days) treatment groups. However, the treatment group with other antibiotics including doxycycline, chloramphenicol, macrolides, and quinolone (4.0±4.9 days) had longer duration of defervescence than penicillin or cephalosporin group (p=0.014). In the group manifested with pneumonitis-type (n=32), dyspnea, hemoptysis, hepatic dysfunction, and renal dysfunction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than non-pnuemonitis type (n=36). The mortality rate in pneumonitis type was higher than non-pneumonitis type (12.5% vs. 0%, p=0.044). Conclusions: Leptospirosis with pulmonary involvement could have more severe clinical courses and lead to death. Therefore, close monitoring and intensive care is important for the patients with pulmonary leptospirosis.

      • 합병증을 동반한 성인 칸디다혈증 환자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

        신성운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국내 성인 칸디다혈증 환자에서 합병증의 발생빈도와 이의 임상적 특징 및 예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국내 2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성인 칸디다혈증 환자 중 안저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칸디다혈증 발생 이후에 증명되었고 다른 병원체에 의한 감염의 증거가 없는 안구내염, 심내막염, 골관절염을 칸디다혈증의 합병증으로 정의하였다. 합병증군의 기저질환, 임상 양상, 치료, 예후 등을 비합병증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총 765명의 성인 칸디다혈증 환자 중 안저검사를 받은 군은 226명(29.5%)이었고, 이 중 34명(15%)에서 합병증이 확인되었다. 가장 흔한 합병증은 안내염(29명, 12.8%)이었고, 심내막염(4명, 1.8%), 골관절염(3명, 1.3%) 순이었다. 2명의 환자는 안내염과 심내막염이 동시에 합병되었다. 합병증군이 비합병증군에 비해 고령이었고(70.2 ± 9.1 vs 65.2 ± 14.2, p = 0.01) C. albicans 비율이 높았다 (77.4% vs 32.2%, p = 0.004). 합병증군에서 항진균제 사용 기간이 길었다(37.7 ± 35.3 vs 16.4 ± 10.8, P = 0.001). 합병증군 환자 중 총 13명(38.2%)에서 항진균제와 더불어 합병증의 치료를 위한 시술 및 수술적 처치를 받았다. 칸디다 안구내염 환자의 34.5%만이 증상이 있었고, 82.7%가 양안을 침범하였으며 치료에도 불구하고 48.3%의 환자만이 병변 호전을 보였다. 결론: 칸디다혈증 환자의 15%에서 다양한 장기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고령의 C. albicans 칸디다혈증 환자에서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다. 합병증군은 비합병증군에 비해 항진균제의 투여 기간이 더 길었고 추가적인 처치 및 수술이 필요하였다. 칸디다혈증의 합병증에 대한 적극적인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