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순태 단편소설 연구 : 후기 작품을 중심으로

        김승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문순태 단편소설 연구 -후기 작품을 중심으로- 김 승 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 정선태) <국문초록> 이 논문은 그동안 연구되어 온 문순태의 대표작에서 벗어나 2000년대 이후에 발표된 후기 단편소설들을 텍스트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그동안 문순태와 관련된 연구는 초·중기의 한정된 텍스트를 통해 이루어졌고, 그 결과 더 이상 새로운 논의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일차적으로 집중한 것이 바로 새로운 텍스트의 선정이다. 문순태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초기의 작품들을 다루고 있고 그 중에서도 작가의 대표작에 한정되어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기에 연구되는 주제 역시 작가 고유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는 ‘한’이나 ‘고향 상실’, 그리고 ‘역사적 사건’ 등에 한정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문순태의 후기 단편소설을 텍스트로 선정하여 그동안의 논의와는 다른 특징들을 찾아내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런데 문순태의 후기 단편소설에도 그동안의 논의에서 언급되어 온 ‘한’과 ‘고향 상실’, ‘역사적 사건’ 등의 문제는 꾸준히 언급된다. 본고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언급은 생략하고 텍스트의 철저한 분석을 통해 밝혀낸 후기 단편소설이 가지는 세 가지의 특징을 연구하려 한다. 먼저 Ⅱ장에서 다루는 죽음은 문순태 후기 단편소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장 자주 등장하는 것은 어머니의 고달픈 삶을 야기하는 부정적인 아버지의 죽음이지만 이와는 다른 유형의 죽음들이 나타나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작품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 죽음들은 작품 안에서 갈등의 생성과 해소에 관여하며 인물의 심리변화를 가져오는 특정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죽음을 통해 나타나는 인물의 심리변화와 갈등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작품의 서사를 이끌어나간다. Ⅲ장에서 다룰 특징은 바로 ‘어머니’의 삶과 모성애이다. ‘어머니’는 문순태가 직접 자기 소설의 뿌리라고 밝혔을 정도로 작품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이 크다. 모든 작품 속의 ‘어머니’는 고난의 삶과 모성애로 대변되는 전형성을 통해 과거를 어떻게 살아왔는지 그려진다. 그리고 그 과거를 수용하며 만들어낸 노년의 삶을 보여준다. 문순태 후기 단편소설의 중요한 문제인 ‘어머니’가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현재의 삶이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논의는 Ⅳ장으로 연결된다. Ⅳ장에서 연구하는 ‘과거와 현재의 문학적 소통’은 ‘어머니’의 삶뿐만 아니라 문순태 후기 단편소설 전체가 가지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소설의 인물들은 주로 부정적으로 그려지는 과거를 수용하는 양상에 따라 현재의 삶이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공통적이거나 유사한 과거의 공유를 통해 인물간의 갈등이 해소되고 서로 다른 계층의 소통을 이끌어내 화합을 도모한다. 지금까지 언급한 세 가지 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은 물론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며 작품의 서사에 관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요소들이 가지는 특징이 작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서로 어떤 관계를 만들어내며 서사를 이끌어 가는지에 관해 고찰해보려 한다. <ABSTRACT> A Study of Moon Soon Tae’s Short Stories - Focused on Later Works - by Kim, Seoung-Re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 Min University Seoul, Korea (Directed by Professor: Jung, Sun-Tae) This thesis is researching on the Moon Soon Tae’s later short stories, excluded his major works which have been researching, that are published after 2000s. Since all the past researches about the Moon Soon Tae were studied through early and mid period’s limited text, no more new discussions have been proceeding lately. So what this thesis focused on is selection of new text. The most researches about the Moon Soon Tae handle his early works, and even only his major works among them have been discussed. Thus the researching subjects are limited, such as resentment, hometown or historical events, nevertheless these are author’s own characteristic. Therefore this thesis has object to select the Moon Soon Tae’s later short stories for the text, and the find other features. However, those elements(resentment, hometown and historical events) that have been mentioned in the past discussion, are also mentioned in the Moon Soon Tae’s later short stories frequently. This thesis will leave detail reference to that part out, and research on the three features what later short stories have, after analyzing the texts thoroughly. First of all, the death in the part II is very important part in the Moon Soon Tae’s later short stories. Father’s death which tells mother’s miserable life, comes up frequently in his works, but there are also works that have other types of death that have important meaning. And these deaths performs a special role that brings characters’ psychological change about cause and solution of conflict in the works. The main feature in the part III is mother’s life. The ‘Mother’ takes a very big part in his works to such an extent as to Moon Soon Tae said it is the root of his works. The ‘Mother’ in all stories is shown how she had lived in the past through her hardship life and maternal love. And the ‘Mother’ shows the life of old age made by accepting that past.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Mother’,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the Moon Soon Tae’s later short stories, has been drawing, Looking closely how the past life and the present life have been connecting is necessary. And this discussion is connected to the part IV. Connection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is the not only the Mother’s life, but also one of the features what all the Moon Soon Tae’s later short stories have. Characters in the stories mainly show how their present lives change according to aspect accepting the negative past. And through sharing the common or similar past, conflict between the characters is solved and communication of every different class goes well, which brings harmony. All the three elements mentioned above have not only each feature but also correlation each other, and show how they involve in the narration of the works. Therefore, in this thesis, I will have a look how each elements’ feature affects the works, and consider what types of relationship they make and how they lead the narration.

      • 스탠드얼론 사이니지 대시보드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tandalone Signage Dashboard

        백승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개인 카페, 음식점, 전자 메뉴판 등으로 소상공인들에게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 디지털 사이니지는 데이터의 송수신과 디스플레이에 표출할 리소스 등의 목적으로 클라우드, 외부 데이터베이스 및 서버를 주로 사용하거나, USB를 통해 콘텐츠를 이동하는 단순 표출 사이니지를 사용한다. 그러나 USB형의 사이니지는 콘텐츠 표출에 사용이 번거롭고, 클라우드와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유지 비용과 사용량에 따른 네트워크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사용량에 따른 비용을 청구할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은 클라우드, 외부 데이터베이스 및 서버를 사용하는 기존 디지털 사이니지 방식에서 콘텐츠 생성 및 전송, 기기 연결 관리 등의 작업을 하는 사용자 대시보드와 콘텐츠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다이렉트 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 및 리소스 전송을 하여 유지 비용과 네트워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탠드얼론 사이니지를 제안하고, 사용자 대시보드를 설계 및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스탠드얼론 사이니지 대시보드는 구현 결과에 대한 테스트를 통하여 클라우드와 서버를 사용하지 않고 상호 기기 연결과 리소스 전송을 지원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로 디지털 사이니지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의 비용 부담이 없는 사이니지 시스템을 기대한다. Recently, as the demand for digital signage increases, it is widely used by small business owners in personal cafes, restaurants, and electronic menu boards. Existing digital signage mainly uses the cloud, an external database and server for the purpose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resource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uses a simple display signage that moves content through USB. However, USB-type signage is cumbersome to use to display content, and cloud, database, and server have maintenance costs and network costs according to usage. Accordingly, the digital signage service provider has no choice but to charge the user a fee according to usage. Following thesis suggests a standalone signage that can minimize maintenance and network expense by sending/receiving data and resources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display devices, which shows contents, and user dashboards, which are used to produce and send contents/maintain device connections in existing digital signage methods using outside database, cloud and serv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ndalone signage dashboard proposed in this paper can support mutual device connection and resource transmission without using the cloud and server through a test on the implement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is paper, as the demand for digital signage increases, expect a signage system without a user's cost burden.

      • 최인훈 『화두』 연구 : 주체와 글쓰기의 관계를 중심으로

        최원빈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화두』(1994)는 작가 최인훈의 삶이 직접 투영되어 있는 작품으로, 긴 시간 소설을 쓰지 못하고 있던 ‘나’가 『화두』를 쓰기까지의 과정을 그리는 메타픽션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화두』에서 서술되는 주체의 분열・소외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들이 작가인 ‘나’에게 소설의 불가능성으로 자리 잡는 모습을 확인하며, 나아가 ‘나’가 그러한 불가능성을 헤치고 『화두』라는 작품을 쓰는 것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그렇게 쓰인 『화두』는 이전의 소설들과 어떻게 다른지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화두』에 나타나는 주체의 특이한 양상을 식민지 시기와 해방 이후에 유년을 보낸 ‘나’의 언어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나’의 주체가 식민주의 이데올로기나, 해방 이후 새롭게 수립한 국민국가 어느 쪽에도 동일화되지 못한 채 ‘균열 지점’에 위치한다는 점이었다. 『화두』에서 주체의 균열이 중요해지는 것은 그것이 후에 ‘나’가 더 이상 소설을 쓰지 못하게 되는 조건으로 자리 잡기 때문이다. ‘나’가 중학시절에 경험한 ‘자아비판회 사건’의 분석을 통해 주체가 소외・분열하는 양상을 살펴보면, 그 사건에서 체험한 균열이 인식 가능성에 대한 회의로 확대되고, 종국에는 소설가인 ‘나’의 절필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나’가 ‘희곡’으로 기울게 된 것이 소설의 불가능성이라는 부정적 경로를 따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가 절필을 끝내고 『화두』를 쓴 것은 소련이 붕괴한 이듬해, 소련 여행을 다녀온 직후다. 특히 소련 여행에서 접한 ‘조명희 관련 문건’이 『화두』라는 글쓰기의 재활성화에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나’가 문건에서 발견한 것은 ‘자신의 주인 되기’ 즉 주체의 가능성인데, 이는 이전에 욕망했던 무결(無缺)한 인식주체라는 것이 본원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체험함으로써 획득된다. ‘나’의 이러한 깨달음은 『화두』의 형식적 실패를 통해, “예술의 마지막 메시는 그 형식이다.”라는 ‘화두’로 독자들에게 던져진다. Hwadoo (1994) is a work on which Novelist Choi, In-hun’s life is directly projected, which is a meta-fiction that illustrates the process in which ‘I’ who have long been unable to write a novel is able to write Hwad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division and alienation of the subject described in Hwadoo, to check how they are settled as the impossibility of a novel to Novelist, ‘I,’ and to further discuss how ‘I’ was able to write the work, Hwadoo, getting through such an impossibility and how Hwadoo, written that way, is different from his previous novel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eculiar aspect of the subject appearing in Hwadoo, centering around the experience of languages “I” had, who spent his childhood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fter liberation. What is found through this is that the subject of ‘I’ is located at the ‘point of a crack’ while not being able to be identified with neither colonialist ideology nor a nation state newly established after liberation. The crack of the subject becomes important in Hwadoo, for that is settled as a condition under which ‘I’ can not write anymore. To examine the pattern of alienation and the division of the subjec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cident of the meeting for self-criticism’ ‘I’ experienced in middle school days, it is noted that the crack experienced in the incident expands to the skepticism of knowability and then, leads Novelist ‘I’ to quitting writing in the end. Along with this, it is noted that ‘I’ come to incline to ‘play,’ following the negative path of the impossibility of a novel. ‘I’ write Hwadoo after quitting writing immediately after going on a trip to the Soviet Union in the year after its collapse. Especially, the “Document related to Cho Myung-hee” during the trip to the Soviet Union becomes the decisive momentum of the revitalization of writing, Hwadoo. What ‘I’ found in the document was ‘becoming one’s own master’ that is, the possibility of a subject, which is obtained by experiencing the fundamental impossibility of becoming a flawless knowing subject desired for previously. The awakening ‘I’ achieve is cast on readers as a ‘Hwadoo (話頭),’ “The last message of an art is its form” through the formal failure of Hwadoo.

      • 2000년대 한국 이주노동자 소설에 나타난 '코리안 드림' 연구

        강연실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다문화소설의 하위주체 중 이주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코리안드림의 실상을 조명함으로써, 다문화 시대를 맞아 자국민과 이주민의 공동적 삶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세계화 흐름과 산업연수제도를 시작으로 한국에 유입된 이주노동자들은 현재 다문화 주체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그동안 자국민들을 대신하여 각종 산업 분야에서 일익을 담당하였음에도 처우 개선은커녕 고용주에 예속될 수밖에 없는 ‘고용허가제’로 인해 고용주의 시녀가 되거나 혹은 불법체류자의 신세가 되었다. 무엇보다 이주노동자들은 자국민의 배타적 시선으로 인해 멸시와 차별의 고통을 당해야만 하였는데, 최근 각종 매체에 등장하는 이들의 비극적인 소식들은 우리 사회의 관심과 시선의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민들의 실존 문제를 문학이 외면하지 않았음을 인지하고 이를 통해 이주노동자들의 삶을 통찰하고자 하였다. 이주노동자들의 현실 문제를 직시하는 것은 문제해결을 위한 필수 전제 조건임에도 그동안의 논의들이 이주민의 실상을 일목요연하게 조명하지 못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점에 착안하여 이주노동자 소설 중 단편소설 12편을 중심으로 이들의 한국 삶의 여정을 체계적이고 집약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한국을 찾은 이주노동자들의 입국 경위를 자본의 논리에 따른 유목민적 이주 서사인 ‘자본주의 경제적 욕망’과 한국판 심청이와 바리데기가 된 여성들의 삶을 다룬 ‘가족을 위한 이주’,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들을 초점으로 한 ‘타문화에 대한 동경과 미래상의 구현’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Ⅲ장에서는 이주노동자들이 한국에서 겪게 된 환멸과 좌절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자국민에 내재한 인종주의와 민족주의가 이주노동자들에게 혐오로 작용하는 ‘이방인에 대한 혐오’와, 주류에 편입하기 위한 비주류들의 혈투를 다룬 ‘기만과 배신에 의한 좌절’, 그리고 성적 학대와 유린을 당하는 외국인 이주여성들의 비극적 삶은 ‘성적 착취의 대상’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은 이주노동자들의 상처 치유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자국민에게 받은 상처를 극복하기 위해 스스로 자구책을 강구하는 한편, 자국민과의 소통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인물들의 외적 분노 폭발이 한국 정부에 대한 불복종과 전복을 넘어 독자들에게 카타르시스로 작용한 ‘카타르시스, 억눌린 분노의 표출’과 자신만의 비유적 상상으로 내적 치유를 도모하는 ‘향수, 비유적 상상을 통한 내적 치유’, 그리고 ‘연민 · 공감 · 환대’에서는 이주민과 자국민의 연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선행 연구에서는 이주민에 대한 일방적인 동정과 환대가 이주노동자들의 구조적 문제를 은폐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였으나, 본 연구는 사회제도의 모순과 타자성의 이중고를 안고 있는 이주노동자들에게 연민을 기반한 환대는 오히려 중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다문화소설의 하위주체 중 이주노동자들에 국한하였기에 다문화 주체의 다양성을 간과한 부분은 아쉬운 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주민들의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그들이 처한 실상부터 확인하는 것이 우선이기에 이들을 대변할 수 있는 이주노동자들의 삶을 체계적이고 집약적으로 이를 총괄하려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문학이 이주민의 현실을 외면하지 않았음에도 이들의 삶이 개선되지 못하였다는 점을 인지할 수 있었는데, 이는 사회적 반향과 담론을 불러올 만큼 문학이 이주민들의 실상에 핍진하지 못하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따라서 다층적으로 변모하는 이주민들의 삶을 대변하기 위해서는 문학의 본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a common life between the indigenous people and the migrants in the multicultural era by illuminating the reality of the Korean Dream focusing on migrant workers as a subordinate subject of multicultural novels. The migrant workers flowing into Korea with the trend of the globalization and the newly introduced industrial training system of Korea currently occupy the largest number of multi-cultural subjects. Although they have played a role in various industries on behalf of Koreans, they have become servants of the employers or illegal immigrants due to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which makes migrant workers subordinated to employers rather than allows them to have better treatment. Most of all, migrant workers had to suffer from contempt and discrimination due to the closed culture of Korean citizens. The tragic news of the recent media has been calling for a change of the thought and culture of the citizens and increasing awareness of the problem. In this study, it was tried to show that literature did not turn away from the existence of migrant workers and to gain insight into the lives of migrant workers through such literature works. Although it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solving the problem to face the real problems of migrant workers, it was found that the discussions in the past have failed to illuminate the reality of migrants. In this study, it was tried to systematically and intensively illuminate their journey of life in Korea based on 12 short stories from migrant workers' novels. In Chapter Ⅱ, the process that the migrant workers came to Korea dreaming of ‘Korean Dream’ was analyzed according to ‘Capitalist Economic Desire’, a nomadic migration narrative based on the logic of capitalism, ‘Migration for the Family’, which deals with the lives of foreign women in Korea just like foreign version of Sim Chung and Baridegi, and ‘Admiration for Foreign Culture and Implementation of Future Image,’ focusing on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In Chapter Ⅲ, the disillusionment and frustration experienced by migrant workers in Korea were dealt with. The racism and nationalism inherent in the people of Korea is shown in ‘Hate against Strangers,’ ‘Frustration by Deception and Betrayal’ dealing with the struggle of minorities to be a part of the mainstream, and ‘Object of Sexual Exploitation’ dealing with the tragic life of foreign migrant women who are sexually abused and devastated. In Chapter Ⅳ, the wound healing process of migrant workers is illuminated. They tried to find self-rescue measures to overcome the wounds they had received from Koreans, while also finding a clue to the solution by communicating with Koreans. ‘Catharsis, the Expression of Suppressed Anger’ in which the external anger blast of characters give catharsis to the readers going beyond disobedience and overthrow of the Korean government, 'Nostalgia, Internal Healing through Figurative Imagination' that seeks to heal internally with his own figurative imagination, and ‘Compassion, Empathy and Hospitality’ showe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between migrants and Koreans. Previous studies pointed out that unilateral sympathy and hospitality for migrants could conceal structural problems of migrant workers, but this study found that compassion-based hospitality was rather important for migrant workers who had dual problems due to the contradictions of social system and ‘otherness’ of themselves. This study has limitation that it overlooked the diversity of multicultural subjects, since this study limited its scope to migrant workers among the subordinate subjects of multicultural novels. Howev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migrants, it should be made first to check their actual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oversee the lives of migrant workers systematically and intensivel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even though literature did not turn away from the reality of migrants, their lives have not improved, which means that literature has not pervaded the reality of migrants enough to bring about social reflection and discour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nature of literature in order to represent the lives of migrants that are changing in multiple layers.

      • 「화산도」의 다성성(多聲性) 연구

        장은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논문의 목적은 자이니치 작가 김석범이 󰡔화산도󰡕에서 형상화 한 4·3이라는 문제적 사건을 가능성으로서의 ‘혁명’으로 재맥락화 하는 것이다. 󰡔화산도󰡕는 4·3을 둘러싼 다양한 인식과 그것들이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4·3의 새로운 면모를 소설적으로 형상화한다. 4·3을 가능성으로서의 혁명으로 독해하기 위해 주목한 것은 바흐친의 서사 방법론인 ‘다성적 대화주의’이다. 다성적 대화주의는 다양한 인물의 의식과 그것들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서사적 차원의 갈등을 가리켜 ‘대화’라고 이른다. 그리고 그러한 대화를 통해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출현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대화는 ‘목소리’라고도 지칭되는 ‘의식’을 전재한다. ‘의식’은 인물의 행동과 사상, 인물과 세계와의 관계 및 세계에 대한 인식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이고 확장적인 개념이다. 본고는 이러한 맥락에서 인물의 의식에 주목한다. 특히 4·3을 둘러싼 인식의 커다란 세 줄기로서 유달현, 남승지, 이방근의 의식에 주목한다. 세부적으로 세 인물의 의식이 전개되는 양상 및 세계에 대한 인식이 심화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세 인물의 의식을 중심으로 펼쳐진 인물들 사이의 의식의 연결망과 의식이 연결된 지점마다 창출되는 대화적 국면이 4·3 해석에 어떤 가능성을 불어 넣을지 타진해 볼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4·3이 어떤 가능성을 실현하는지 개인의 실존이나 사상적 측면, 사회, 역사적 측면에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4·3이라는 사건을 둘러싸고 세 인물의 의식은 각각 유달현은 시대와 역사의 모순을 묻는 방식으로, 남승지는 혁명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발견하는 방식으로, 이방근은 혁명과 긴장감을 유지하며 그 속에서 독자적인 세계인식과 사상을 남기는 방식으로 자리 잡는다. 본고는 이처럼 4·3을 둘러싼 다양한 목소리(의식)들에 귀 기울이려는 노력 속에서 4·3을 혁명으로 보고자 한다. 특히 현실의 패배라는 허무 저편으로부터 여명처럼 동터오는 가능성으로서의 혁명으로 4·3을 다시 보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recontextualize a problematic event, the 4·3 Uprising with a ‘revolution’ as a possibility, which has been portrayed in the novel ‘Hwasando’ by a Zainichi novelist Kim Seok-peom. Hwasando depicts fictionally the diverse perceptions surrounding the 4·3 Uprising and its new aspects that take place at the point where those diverse perceptions face each other. It is the Bakhtin's narrative methodology ‘polyphonic dialogism’ that was no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read the 4·3 Uprising as a revolution as a possibility. Polyphonic dialogism refers to conflicts at the narrative level that occur in the consciousness of various characters and in the process of their development as 'dialogue', and explains that new perceptions of the world may arise through such dialogues. Dialogue presupposes 'consciousness',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voice'. 'Consciousness' is a comprehensive and expansive concept that includes actions and ideas of charac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the world, and their perception of the world.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sciousness of the characters in this context.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consciousness of Yu Dal-hyeon, Nam Seung-ji and Lee Bang-geun as the three main streams of perceptions surrounding the 4·3 Uprising. In detail,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of the three characters and the deepening process of their perception of the world. Furthermore, what possibilities the network of the consciousness, and the dialogue created at each point where the consciousness is connected between the three characters may creat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4·3 Uprising will be investigated.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will investigate what possibilities the 4·3 Uprising realizes in terms of the existence of individuals, or ideological, social and historical aspects. The consciousness of the three characters surrounding the 4·3 Uprising is respectively established by Yoo Dal-hyeon in a way asking the contradictions of the times and history, by Nam Seung-ji in a way actively seeking and discovering the possibilities of a revolution, and by Lee Bang-geun in a way leaving independent perception and ideas of the world in a revolution while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revolution. As described, this study attempts to view the 4·3 Uprising as a revolution in an effort to listen to diverse voices (consciousness) surrounding the 4·3 Uprising. Particularly, this study intends to redefine the 4·3 Uprising as a revolution as a possibility dawning from the other side of futility, the defeat in reality.

      •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어머니상 연구 : 인물의 태도와 인식 변화에 따른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천지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examines how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I' change in the mother in the autobiographical novels written by Park Wan-suh, and studied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I' based on it. In the novels by Park Wan-suh such as "Mummy's Stakes", "Who has eaten up such many Singas", and "Is the mountain really there?" the life of "I" from childhood to adulthood is being portrayed realistically. In the above works, the mother of 'I' moves to the place that 'I' do not want and to constrain the consciousness and behaviors of 'mine' in order to educate 'me' to the way she wants. 'I' attempt to have distance from the mother, critically recognize the mother and form a world view. The experience of the war that Park Wan-suh had is well shown in her novels. The attitude of 'me' to the mother during the war experience is 'rejection' because of the feeling of burden to support the family. 'I' who felt the burden and rejection against mother tried to escape from the family including the mother. After marrying and starting the family, 'I' became a mother of a family and played a role similar to the mother in the past. In addition, 'I' who had common painful experience with the mother such as brother's death discovered the mother's wounds who could not escape from her past memory of the death. 'I' was in the mother's shoe and empathized with the pain of the mother and identified 'myself' with her, and found the traces of the mother in the image of 'I'. It is possible to make a clos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 and to trace the axis of the narrative flow through the whole work in tracking the process of changes in attitudes and awareness of 'I' to mother. ‘I’ was building own identity through the change of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Putting there and discovering contradiction - Attempting to escape - Identification and confirmation of trace." As the narratives of the mother and 'I' are the core of the work in the novel of Park Wan-suh, tracking the change of the attitude and perception of 'I' on the mother who is in the back of the narrative flow is very important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the work.

      • 해방공간소설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 7차 및 2009개정 문학교과서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신경빈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Study on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e Novel during the Emancipation Period. Shin, Kyung Bin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is dissertation has the purpose of researching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s well as educational implication of novels during the Emancipation period, which are included in 7th and 2009 revised literary textbook. The Emancipation period was turning point for our people. It was the starting point to have a new status for Korean people who gained liberty and the period that prepared to take off for building a new nation after regaining a national sovereignty. However, a picture of our people was chaotic and they were in a fierce battle to clear colonial legacy. Novels during the Emancipation period frankly showed that chaotic phase of the times. In this paper, awareness of reality of novels during the Emancipation period, included in 7th and 2009 revised literary textbook is focused and researched. Firstly, personal confessions and self-criticisms from the writers, which had been ranged importantly in the literary world of Emancipation period, is subjected and researched. ‘Before and after the 1945 Liberation’ by Lee, Tae Joon and "The Sinner of Nation" by Chae Man Sik reflected their lives as intellectuals to regret pro-Japanese activities they had done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However, different status of self-attitude of criticism are found in these two literary works through a break with the past and self-justification Secondly, literatures that subjected on ideological and social conflicts are considered. ‘Before and after the 1945 Liberation’ by Lee Tae Joon, “The Story of Farmland ”, “Mir, Bang” by Chae Man Sik, “The Faint Lamplight” by Heo Joon are literatures that describe the chaos of the Emancipation period and a disordered society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After the Emancipation, the ideological conflicts spread all through the nation and people, and eventually the tragic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produced. On top of that, new management structured brought by a contradicted reality, which was that the land was regained, but the country was no longer existed, built and raised ethnic trouble and frustration of our people. The novels in the Emancipation period reproduced these people’s lives with awareness of the reality of the writers. Thirdly, literatures that showed new literary tilting, which rid itself out of awareness of the reality of the Emancipation period were researched. “Yeokma” by Kim Dong Li is the literary work that shows beyond political inclination with a subject of the attitude of underlying human life. Moreover, “A Dog of Moknomi Village” by Hwang Soon Won also, intend to heal the history thorough sense of ethics. Key words: the Emancipation period, novels during the Emancipation period, personal confession and self-criticism, Ideological conflict, beyond political world. 본 논문은 해방공간이 주는 역사적 의미를 깨닫고 그와 관련된 7차 및 2009개정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해방공간소설의 현실인식에 관한 교육적 의미와 그 중요성을 연구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해방공간은 우리 민족에게 큰 전환점이 되는 시기이다. 일제로부터 강제적 국권침탈을 당한 우리 민족은 뼈아픈 시간을 보낼 수밖에 없었다. 해방공간은 우리 민족이 그런 고통의 시간을 끝내고 자유 민족으로서 신분을 회복한 시작점이자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발판의 시기였다. 하지만 식민지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당시 우리민족의 모습은 치열하고 혼란스러웠다. 해방공간의 그런 혼란한 시대상을 적나라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이 해방공간소설이다. 그중에서 본고에서는 7차 및 2009개정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해방공간소설의 현실인식을 중심으로 연구해보았다. 7차 및 2009개정 문학교과서에 실린 해방공간 소설 중 해방공간의 현실인식과 관련된 작품은 이태준의「해방 전후」, 채만식의「민족의 죄인」,「논 이야기」,「미스터 방」, 허준의 「잔등」, 김동리의 「역마」, 황순원의 「목넘이마을의 개」모두 일곱 편이다. 이 일곱 편의 작품을 본고에서는 세 가지 주제로 정리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해방공간 문단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었던 식민지잔재 청산을 위한 문인들의 자기고백과 비판의 모습을 주제로 연구해 보았다. 이태준의 「해방 전후」와 채만식의 「민족의 죄인」은 작가의 삶을 인물의 모습에 투영하여 일제강점기 때 지식인으로서 자신이 행했던 친일행적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과 함께 자기반성을 보여준 작품이다. 하지만 이 두 작품은 과거와의 단절과 자기합리화라는 두 작가의 서로 다른 자기비판 수준의 내용을 통해 당시 문인들의 다양한 자기비판태도를 볼 수 있다. 둘째, 해방공간에서 치열하고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이념의 대립과 사회갈등 양상을 주제로 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이태준의 「해방 전후」, 채만식의 「논 이야기」,「미스터 방」, 허준의「잔등」은 해방공간의 무질서하고 어수선한 사회를 다양한 시선으로 묘사해 주고 있는 작품들이다. 해방 후 무섭게 번진 이념의 대립은 문단뿐만 아니라 민족 전체로 퍼져 나갔고 결국 분단이라는 비극적 상황을 초래했다. 또한 나라는 찾았으나 나라가 없는 모순된 현실이 가지고 온 새로운 지배구조는 민족의 좌절과 갈등을 고조시켰다. 해방공간소설은 당시 작가들의 현실인식과 함께 이와 같은 우리민족의 삶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 주었다. 셋째, 해방공간소설 중 해방공간의 현실인식을 벗어나 새로운 문학적 경향을 보여주었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해보았다. 김동리의 「역마」는 당시 사회적 상황과는 별도로 인간의 근원적 삶의 태도를 주제로 하여 탈정치적 성향을 보여준 작품이다. 황순원의 「목넘이마을의 개」역시 당시의 사회적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고 인간의 윤리의식을 통해 훼손된 역사를 치유해 가고자 한 작품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7차 및 2009개정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해방공간소설을 작가의 현실인식태도와 접목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7차 및 2009개정 문학교육과정에서 등한시 되고 있는 해방공간소설의 학습현황 및 교육내용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위의 작품 연구를 토대로 해방공간소설의 올바른 교육적 의미와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핵심어 : 해방공간, 해방공간소설, 자기고백과 비판, 이념의 대립, 탈정치 세계

      • 예술표현 방법의 문화교차적 변화양상과 의미에 관한 연구

        조성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예술가에게 예술작품은 그들의 고뇌와 열정의 결정체이다. 예술가는 창작을 통해 예술개념을 표현한다. 예술행위는 그들의 수단이자 목적이다. 그들은 이를 위해 평생동안 세상을 재구성하고 재창조한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문자언어와 음성언어로 타인들과 소통한다. 예술가들도 작품을 제작하는 타인들과 소통하기 위한 표현방법을 선택한다. 때로는 전통적인 방법을 배제하고 부정하면서, 때로는 융합하고 교차시켜 그들만의 예술 표현 방법을 만들어낸다. 예술과 예술가에 대한 정의는 시대에 따라 다르게 규정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기술, 모방, 재현, 창작 등을 예술과 예술가를 규정하는 요소로 판단하고 있다. 현대적 의미의 예술은 그 표현형식보다 의미가 더 중요해지고 있다. 예술가들 역시 그들만의 개념을 만들어내기 위한 새로운 방법과 형식을 창안하고 있다. 예술의 영역은 점차 확장되고 있다. 르네상스 시대 이후 예술의 표현은 물체의 재현과 기록이라는 과거의 규정을 벗어나 인간의 사실적 일상과 감성에 대한 상상력을 캔버스에 묘사하기 시작한다. 인상주의 이후에는 인간의 눈을 통해 볼 수 있는 자연의 모습에 감성이라는 요소를 더하여 추상이라는 형식을 만들어냈다. 추상표현 초기 예술작품의 형식은 사실적 조형성을 탈피하여 예술가의 지적사고나 감성을 바탕으로 상상 속의 느낌을 작품으로 표현해낸다. 추상표현의 형식은 화면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재료의 선택도 전통적인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오브제와 레디메이드를 다양하게 이용하게 된다. 오브제의 이용은 캔버스라는 한정된 공간을 벗어나 예술을 표현하는 계기가 되고 레디메이드의 활용은 예술가가 예술을 위한 노동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작품제작으로부터 멀어지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예술이 노동과 분리되면서 결과물인 작품보다는 예술행위와 예술가의 개념이 예술의 목적이 되었고 작품 제작만을 위한 새로운 기술자를 탄생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예술은 결과보다 과정 그 자체로 변화되었고 신체는 오브제로서 예술작품을 위한 도그로 사용되었다. 특히 행위예술에서는 ‘신체’가 표현 방법의 주체이자 대상이며 결과물이 되기도 한다. 현대 예술가들에게 전통적 의미의 장르와 형식은 예술개념을 표현하기 위한 선택의 일부이다. 이제 예술은 예술가들의 개념으로 이루어진다. 예술가들은 그들의 개념을 교육․문화․사회적 환경이라는 직간접적인 영향들을 교차하거나 융합하면서 형성한다. 예술은 백지 상태에서 예술가들의 창작 욕구에 의해 표현되는 형태, 모양, 색채, 오브제 등으로 완성되는 결과물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였다. 그러나 현대의 예술은 표현하는 행위와 그것의 결과물을 통해 전달하고자하는 개념이 더 중요해졌다. 결과물은 수단에 불과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예술은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결과물에서 개념으로 추상화된 것이다. 예술가는 작품을 창작하는데 있어 재료와 장르에 한정되지 않고 그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개념을 가장 명확히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예술의 개념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 뇌졸중 환자와 정상인의 넙다리네갈래근 근력의 근력의 기능적 전기자극 효과 : 등속성 운동을 중심으로 근력증강 효과 비교

        양성봉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the muscle strength of the quadriceps hemiplegia patients and normal perso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on the motor function of lower limb in hemiplegic patients with stroke or brain injury. Stroke is one of most frequent disease of the elderly and major cause of disability in the elderly population. But in many ways not contributory to our understanding of their medical and maintenance needs. For this reason, value of rehabilitation to improve the patient after stroke should be challenged and to be developed a method of assessing outcome of treatment that would enable professionals to respond better to the needs of stroke patients. The isokinetic equipment has been used widely as a therapeutic modality in clinical setting, as a training and test device for sports and post operate status of muscle and joint conditions, Recently, Isokinetic equipment used CVA patients for manual muscle test. isokinetic exercise is safe, because it is accommodated resistance through ROM.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on quadriceps hemiplegic patients and normal person using isokinetic equipment. Hemiplegia patients and normal person divided into two group such as hemiplegia group(n=4) and normal group(n=7). We measured subjects' low limbs isokinetic strength by 60°/s and 180°/s peak torque, average power, and total work respectively. Collected data were statically analyzed by SPSS PC win 21/PC for by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ANOVA with repeated measure. Alpha was set at .05. The conclusion mad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ch is as the following. 1. In muscular measurement of knee, there is a meaningful change in peak torque of extension and flexion 60°/s after 6week control group, 180°/sec after 3week, 6week control group(p<.05). hemiplegia group showed a negative change at 60°/s of extension and flexion, and 180°/s of extension and flexion as compared to control group(p<.05). 2. In muscular measurement of knee, there is a meaningful change in average power of extension 60°/s after 6week control group, flexion 60°/s and extension and flexion 180°/s after 3week, 6week control group (p<.05). hemiplegia group showed a negative change at 60°/s of extension and flexion, and 180°/s of extension and flexion as compared to control group(p<.05). 3. In muscular measurement of knee, there is a meaningful change in total work of extension and flexion 60°/s after 6week control group, 180°/s after 3week, 6week control group(p<.05). hemiplegia group showed a negative change at 60°/s of extension and flexion, and 180°/s of extension and flexion as compared to control group(p<.05).

      • 다빈치 프로세서에서의 지능형 영상 감시 S/W 설계 및 구현

        임세훈 崇實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영상 감시에 많이 사용되는 CCTV 카메라는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NTSC/PAL 등의 아날로그 비디오 포맷으로 제공한다. 네트워크 카메라는 내부에 CPU 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있어 획득한 영상 비디오를 압축하여 인터넷 상에 접속된 클라이언트들에게 전송하고 있어, CCTV 카메라 보다는 네트워크 접속성이 우수하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지능 영상 감시 네트워크 카메라는 기존의 네트워크 카메라의 기능에 더하여 지능 영상 감시 기능을 추가적으로 갖춘 카메라이다. 획득한 영상을 해석하여 관심 물체(사람, 차량 등)를 탐지하고 추적하며 행위 분석 및 상황을 분석을 수행하여 감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실시간 조치를 취할 수있는 지능 영상 감시 기능을 갖는다. 지능 영상 감시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요구되는 지능 영상 감시 기능의 알고리즘은 연산량이 많다. 또한, 지능 영상 감시 네트워크 카메라는 프로세서의 처리 성능, 메모리 크기 등 H/W 자원의 제약을 갖는 임베디드 시스템이다. 따라서 요구되는 기능들을 구현하는 S/W가 잘 설계되고 구현되지 않으면 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DaVinci 프로세서 DM6446을 사용하여 구성한 지능 영상 감시 네트워크 카메라에서의 효율적인 S/W 설계 및 구현에 대해 연구하였다. DaVinci DM644x 디지털 미디어 프로세서는 전체 시스템 제어 기능을 위한 ARM 코어(ARM926)와 복잡한 데이터 및 이미지/비디오 처리를 위한 DSP 코어(C64+)를 통합한, TI 사 제공 듀얼 코어 ASSP(Application Specific Standard Product)이다. 또한 DaVinci 프로세서는 듀얼 코어에 더하여 비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 이더넷 인터페이스, ATA 인터페이스, USB인터페이스, 시리얼 인터페이스, GPIO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주변 I/O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있어서 멀티미디어 스트림 처리 응용에 많이 사용되는 프로세서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DaVinci 프로세서 듀얼 코어 구조를 고려하여 지능 영상 감시 카메라 기능을 지능 기능 처리 비젼 알고리즘 부분과 영상 획득, 영상 디스플레이, 영상 압축/전송, 스마트 카메라 관리 기능 등의 부분으로 분리하고 많은 연산량이 요구되는 지능 처리 비젼 알고리즘 기능은 DSP 코어에서, 그리고 나머지 기능은 ARM 코어에서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설계·구현하였다. ARM 코어 구현 S/W 와 DSP 코어 구현 S/W 간의 동기화 구조 설계를 위해서 DaVinci 플랫폼이 제공하는 DSPLink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DSP 구현 지능 기능 알고리즘의 보다 개선된 성능을 위하여 DSP C64+ 의 L1/L2 2단계 메모리 구조와 L2 메모리 구성 및 L2 내부 메모리 배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설계·구현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향후 DaVinci 프로세서 기반 멀티미디어 응용 시스템을 구축하는 다른 연구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CTV cameras, currently popularly adopted for visual surveillance, acquire video signals and provide the acquired video signal in NTSC or PAL analog video format. Network cameras are equipped with network interface so that they can transfer the acquired video data to any registered clients on the Internet. Intelligent visual surveillance network camera developed in this thesis provide intelligent vision functionalities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networks' functionalities. The intelligent camera can analyze the contents in the acquired video data so that it can detect interesting objects(persons, vehicles, and etc.), track them, analyze their behaviors and take a real-time ac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ntelligent functionalities required in the intelligent visual surveillance camera demand high computational burden but the intelligent camera is embedded system with restriction in H/W resources like CPU processing power and memory size. Therefore, the intelligent cameras cannot perform well unless S/W implementing required functionalities is designed and implemented properly. In this thesis, we study an efficient S/W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a DaVinci Processor DM6646-based intelligent visual surveillance network camera. DaVinci processor family of Texas Instruments is a popular ASSP(Application Specific Standard Product) for developing digital video embedded applications since they support dual core architecture with ARM9 core for control and management and DSP C64+ core for signal processing and provide various I/O interfaces as well as networking interface and video interface. Considering the DaVinci's dual core architecture and ability, we first separate the required functionalities into two parts and design and implement each part so that each can perform efficiently in each core: intelligent vision algorithms requiring high computational signal processing for DSP core, and video acquisition/display, video compression/transmission, smart camera management, and the remaining tasks for ARM core. For the synchronization between ARM S/W and DSP S/W, we utilize efficiently DSPLink provided by DaVinci platform. Next, as for the intelligent vision algorithms to be performed on DSP, an improved implementation is suggested where the 2 level L1/L2 memory architecture is utilized and L2 memory configuration and placement is considered efficient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in this thesis can contribute to the future developments of other DaVinci-based multimedia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