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유경금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S노인전문요양원에 입소해있는 편마비노인 4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주1회 50분간 20회기에 걸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을 낮추고,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키는데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연구도구로 우울은 Sheick와 Yesavage(1986)가 개발한 노인 우울 척도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조맹제 외 (1990)가 표준화한 노인 우울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73)가 개발한 것을 전병재(1974)가 한국어로 번안한 자아존중감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전과 사후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의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점수가 사전에는 0.65이었으나 사후에는 0.42로 나온 것으로 보아 우울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자료처리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에 편마비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점수가 사전에 2.93이었으나 사후에는 3.65로 증가하여 p<.05수준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20 times, for 50 minutes once a week from May of 2008 to October of 2008 on four hemiplegic elderly patients in S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effects group art therapy has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an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The following research points are set up. First, to check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Second, to check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To find out the effects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the measure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 the one devised by Sheick and Yesavage (1986) and later standardized by Cho Mang Jae, at all (1990) - was used. And in the case of th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the measure of self-esteem - the one devised by Rosenberg (1973) and later adapted into Korean by Jeon Byung Jae (1974) - was used. The two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analysis, the mean points are 0.65 (before) and 0.42 (after), which means that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But the resul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analysis, the mean points are 2.93 (before) and 3.65 (after), which means that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in the level of p<.05. The above results show that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an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patients.

      • 군 장병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보경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 on the subjects of soldiers of a regiment in a P area ? on the reduction of stress from soldiers' lives in the arm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2 to June 4, 2009 in the orders of the selection of subjects, the conception of art therapy programs for the reduction of stress, pre-tests, the practice and application of those programs, post-tests, and the analysis of dat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mposed of 5 soldiers with a lot of stress from army lives in a unit of a P area who were recommended by their battalion commander, and the study was done totally 11 times, 90 minutes each time. For quantitative tests, the measure developed by Ko Kyoung-bong, Park Jung-kyu, and Kim Chan-young (2002) was used after it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For qualitative tests, K-Army Life Drawing applying K-HTP was used. The collected research data was tested through t-tests about the differences after pre-tests and post-tests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ints of pre-tests and post-tests after art therapy programs are significant. It shows that art therapy reduces the stress of the soldiers. Second, in the sessional process of the changes of soldiers after art therapy programs, their stress was reduced. Third, in the pre- and post-changes of the drawings of soldiers about their army lives after art therapy programs, their stress was reduced. It is shown that the soldiers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released stress and solved their psychological conflicts by experiencing a variety of art activities, and furthermore showed the possibility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above research results show that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soldiers' stress. 본 연구는 P지역 K부대 소속 장병을 대상으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군 장병의 부대생활 스트레스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2009년 2월 12일부터 6월 4일에 걸쳐 대상자 선정,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상, 사전 검사,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 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대상은 P지역 K부대에서 군 생활에 많은 스트레스를 나타내고 있는 장병 5명이 대대장의 추천에 의해 구성되어, 90분씩 총 11회기의 스트레스 감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다음과 같은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양적검사로는 스트레스 검사로 고경봉, 박중규, 김찬영(2002)이 개발한 척도를 토대로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질적검사로는 K-HTP를 적용시킨 K-부대생활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ㆍ사후검사의 차이에 대하여 각각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사전ㆍ사후의 점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보아, 미술치료가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군 장병들의 회기별 변화과정에서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군 장병들의 군부대 생활그림의 사전ㆍ사후 변화에서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군 장병들은 다양한 미술활동을 경험함으로써 내면에 있는 스트레스를 분출하여 심리적 갈등을 해소하였고, 나아가 타인과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술치료가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스트레스감소를 위한 미술치료가 군 장병의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 자연물을 이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들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엄상진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자연물을 이용한 집단 미술치료를 통하여 지적장애 아동들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치료기간은 2008년6월 3일부터 2008년 9월 18일 까지 C시에 위치한 아베크 가족사랑 센터 사랑의 울타리에서 지원 받는 아동들 중 2008년 5월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성 기술척도(SSRS)검사 결과 사회성의 문제를 보이는 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집단 미술치료의 연구도구는 인물화(DAP)검사, 동적 집-나무-사람(K-HTP)그림 검사를 사전 사후 실시하고 사회성 기술척도(SSRS)를 이용하여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2회 60분씩 모두 20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물을 이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들의 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협력의 점수 변화는 사전 검사결과 5.57점, 사후 검사결과 10.71점으로 전체적으로 5.14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자연물을 이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들의 자기주장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장의 점수 변화는 사전 검사결과 4.14점, 사후 검사결과 9.57점으로 전체적으로 5.43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자연물을 이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들의 자아통제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아 통제의 점수 변화는 사전 검사결과 5.42점, 사후 검사결과 11.57점으로 전체적으로 6.15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적으로 자연물을 이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들에게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through natural object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n improvement in sociality. Among 50 children who were supported by the Abegg Family Love Center located in C city, seven participants having deficits in sociality according to SSRS (Social Skills Rating Scale) were selected. The study was administered from June 3 to September 18 in 2008. The instruments were DAP (Draw-A-Person Test) and K-HTP (Kinetic-House-Tree-Person). The participants took two tests in the pre- and post-stages. They received group art therapy two times a week for an hour per each treatment so that the whole therapy was 20 session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through natural objects on coopera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cores of cooper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showed the mean of 5.57 in the pre-stage and that of 10.71 in the post-stage.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s the children's cooperation. Second,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through natural objects on self-asser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cores of this variable were analyzed. The pre-score was 4.14 and the post-score was 9.57. That is, the participants positively improved self-assertion after the treatment. Thir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through natural objects on self-control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cores of self-control in the pre- and post-stages were compared. The scores showed 5.42 in the pre-treatment stage and 11.57 in the post-treatment stage. In other words, the results proved a positive effect on this variabl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group art therapy through natural objects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in sociality to children who have deficits in sociality.

      • 회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장기요양시설 성인병환자의 무력감 및 사회적 고립 해소에 관한 사례 연구

        공혜숙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rough the research on adult disease pati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e have looked into the effects of how collective art therapy relieves malaise and social isolation of adult disease patients through recollection and have monitored the changes through processes of each stage. Upon the recommendation of the General Manager of the education department of the O long-term care facility in J city, we have executed the test for malaise and social isolation on 10 adult disease patients and selected the final 5 patients that had the highest score but it has been narrowed down to 3 patients due to the dismissal of 2 patients. Before implementing the program we have executed the K-HTP as a pre-test and have gone through a total of 20 cycle of collective art therapy has compared the progress for each stage and individual. For post tests, we have executed the similar tests as of the pre-test. The research duration was between February 14th 2011 to April 22nd and had implemented a total of 20 programs that was executed twice a week from 3:30 PM?4:30 PM. In terms of research tools, we have used the social isolation tool based on Miller(1992)'s Powerlessness Scale and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SS)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CES-D) for pre and post test tools and have compared each individual's process of the collective art therapy for 20 cycles. From this research we hav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llective art therapy through recollection has affected the relief of malaise of adult disease patients in long-term care facility. Second, the collective art therapy through recollection has affected the relief of social isolation of adult disease patients in long-term care facility. Through the above research, it has been proven that the collective art therapy through recollection can relieve the malaise and social isolation of adult disease patients in long-term care facil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test results and we need to do more research on the moderator and art therap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lso, as there are limited theories and theses in Korea and as there are no art therapy program for adult disease patient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시설에 있는 성인병 환자에 대한 연구 중 회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성인병 환자의 무력감 및 사회적 고립감 해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회기별 과정을 통해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J시 O요양병원의 교육부장의 추천을 받아서 선정된 10명의 성인병 환자에게 무력감 검사, 사회적 고립감 검사를 실시하여 점수가 높은 5명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으나 2명이 회기 중 퇴원하여 연구대상은 3인으로 범위를 정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사전 검사와 K-HTP를 실시하였으며 총 20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회기별, 개인별로 진행과정을 비교하였다. 사후 검사로는 사전 검사와 동일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1년 2월 14일부터 4월 22일까지 주 2회 오후 3시 30분부터 4시 30분까지 총 20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Miller(1992)의 무력감 측정도구(Powerlessness Scale)와 긍정과 부정 증후군 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SS)와 유형적 우울 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를 기초로 한 사회적 고립감 도구를 사전&#8228;사후 검사하였고 총 20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인 회기별 과정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장기요양시설 성인병환자의 무력감 해소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회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장기요양시설 성인병환자의 사회적 고립감 해소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서 회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기요양시설 성인병 환자의 무력감 및 사회적 고립감 해소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하지만 검사결과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으며 대상의 특성에 맞는 매체나 치료기법에 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또한 국내에 소개된 이론과 논문은 그 수가 너무 부족하고 특히 성인병환자에 대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였으므로 그에 대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난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김영은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자기표현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난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난화 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과정은 주 1회 40분 동안 총 18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재 D시에 있는 지적장애 청소년 3인으로써, 개별 상담을 통해 개인별 난화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진행 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로 나누어 K-HTP 그림검사와 자기 표현 검사(변창진, 김성희,1980)를 실시하여 백분율로 비교・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난화 미술치료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언어적 자기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대상별 언어적 자기표현의 변화를 보면, 연구대상 A의 경우 언어적 자기표현의 변화를 보면 사전검사에서 33점, 사후검사에서 48점으로 15점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변화율을 살펴보았을 때, 사전에서 47.1%, 사후검사에서 68.5%로 21.4% 상승하였고, 연구대상 B의 경우는 사전검사에서 32점, 사후검사에서 46점으로 14점이 증가하였다. 변화율을 살펴보면, 사전검사에서 45.7%, 사후검사에서 65.7%로 20.0% 상승하였다. 연구대상 C의 경우는 사전검사에서 26점, 사후검사에서 43점으로 17점이 증가하였고, 변화율은 사전검사에서 37.1%, 사후검사에서 61.4%로 24.3% 사후 검사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난화 미술치료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비언어적 자기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대상별 비언어적 자기표현의 변화를 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 A의 경우 비언어적 자기표현의 변화를 보면 사전검사에서 7점, 사후검사에서 13점으로 6점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변화율을 살펴보았을 때, 사전에서 23.3%, 사후검사에서 43.3%로 20.0% 상승하였고, 연구대상 B의 경우는 사전검사에서 7점, 사후검사에서 13점으로 6점이 증가하였다. 변화율을 살펴보면, 사전검사에서 23.3%, 사후검사에서 43.3%로 20.0% 상승하였다. 연구대상 C의 경우는 사전검사에서 6점, 사후검사에서 11점으로 5점이 증가하였고, 변화율은 사전검사에서 20.0%, 사후검사에서 36.6%로 16.6% 사후검사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즉, 지적장애 청소년기는 신체적・정서적 매우 불안정한 시기로 스스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난화 미술치료는 지적장애 청소년이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언어적・비언어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데 있어 긍정적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능력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orchid painting on self-expression of the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used to complain about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mselves. For this aim, a research was conducted to 3 young persons living currently in D city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ne session of the art therapy program for these subjects lasted 40 minutes, once a week and 18 times in total. During the session,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means of orchid painting and tests were giv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pectively, using K-HTP painting test and self-expression test (Chang Jin Byeon & Seong Hee Kim, 1980).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and assessed in percentage. The findings from the study might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using orchid painting had positive effects on verbal self-expression of the youth with mental retardation. With regard to change of verbal self-expression by subject, 'A' featured increase in verbal self-expression by 15 points from 33 in pre-test to 48 in post-test. Translated into percentage, it meant an increase of 21.4% from 47.1% in pre-test to 68.5% in post-test. In case of 'B', verbal self-expression was increased by 14 points from 32 in pre-test to 46 in post-test, or 20.0% up from 45.7% to 65.7%. Whereas 'C' acquired 43 points in the post-test for verbal self-expression, 17 points upward from 26 in the pre-test. In percentage, it was a significant increase of 24.3% from 37.1% beforehand to 61.4% afterward. Second, art therapy with orchid painting was found to exercise a positive impact on non-verbal self-expression of the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is was proved by the change of non-verbal self-expression by subject. In case of 'A', non-verbal self-expression was increased by 6 points from 7 in pre-test to 13 in post-test, equivalent to an increase by 20.0% in percentage from 23.3 to 43.3. 'B' showed the same change as 'A' in terms of points as well as percentage. In the meantime, 'C'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of 5 points from 6 in pre-test to 11 in post-test or by 16.6% up from 20.0% to 36.6%. From the study, it was obvious that the art therapy by means of orchid painting was useful in helping the young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to perceive their problems and express and communicate themselves verbally as well as non-verbally to a certain extent even though they have difficulties in solving their problems by themselves at the physically as well as emotionally instable age.

      • 국립익산박물관 관람을 위한 어린이용 활동지 개발

        김민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 지역 역사와 문화재에 대한 인식의 부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역 박물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국립익산박물관은 2020년 재개관하였으나 관람객에게 하여금 지역 역사와 문화재에 관심을 두고 탐구의 자세를 갖게 하는 교육적 요소가 여전히 충분하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익산박물관 관람을 도우며 유물 리터러시를 끌어낼 수 있는 어린이용 활동지를 개발하고자 한다. 다양한 박물관 교육 매체가 개발되고 있으나 활동지는 여전히 기본적인 교육 매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국립익산박물관 관람을 위한 활동지 개발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지에 들어가는 대상으로는 국립익산박물관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미륵사지와 익산, 미륵사지 석탑, 미륵사지 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금제사리봉영기를 선정하였다. 둘째, 각각의 전시물에 관한 국립익산박물관 단행본, 레이블, 텍스트 패널 등 전시요소를 분석하여 학습요소를 추출하였다. 각 전시물은 후퍼 그린힐의 7개 요소별 통합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관찰 → 추론 → 정보 확장 → 맥락적 이해 단계마다 후퍼 그린힐의 7개 요소 중에서 적합한 것을 뽑아 유물 읽기 방식을 적용한 각 전시물 학습 모형을 만들었다. 학습 모형 단계마다 앞서 추출한 학습요소를 선정하고, 발문을 작성하였다. 넷째, 활동지는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살펴보기 → 궁금해하기 → 알아보기 → 더 생각하기 단계로 각 과정과 어울리는 형식과 제작기법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활동지를 활용한다면 국립익산박물관을 처음 방문한 어린이도 스스로 전시물을 탐구하고 유물을 읽을 수 있는 유물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으며, 박물관을 능동적으로 탐험하고 흥미로운 장소로 인식할 수 있다. 국립익산박물관 활동지를 통해 어린이가 우리 지역 역사와 문화재에 관심을 두고 역사 학습의 즐거움을 알게 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role of a local museum is to help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local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Even after the reopening of Iksan National Museum, it is still void of adequate educational elements that can help people develop an exploratory attitude and be more interested in local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worksheets for children that can facilitate a better tour of Iksan National Museum and lead to artifact literacy. Even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for museum education, a worksheet is thought to be one of the most basic but effective tools in education. The Iksan National Museum’s Tour (Field Trip) Worksheet for children has been developed in four stages as follows. First, for the subjects of the worksheets, the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the Stone Pagoda at Mireuksa Temple, Śarīra Reliquaries from the Stone Pagoda at Mireuksa Temple Site, and the Gold Plate with the inscription of Śarīra Enshrinement were selected. They would be organized into story form in Iksan National Museum. Second, learning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analyzing books, labels, and exhibition panels of each exhibit in Iksan National Museum. Each exhibit was analyzed using Eilean Hooper Greenhill’s 7 specific elements for analyzing museum objects. Third, this study makes use of a few appropriate elements from Hooper Greenhill’s 7 elements consisting of the following 4 stages: ‘Observation → Reasoning → Information Extension → Contextual Understanding.’ In each stage, the learning model selected what to learn of the previously extracted learning elements and create questions from them. Fourth, the worksheets were constructed with the following process on a child’s level: Seeing → Wondering → Understanding → Thinking. These worksheets were also constructed with techniques and formats that could match each phase. Using the worksheet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even children who first visit Iksan National Museum can study exhibits for themselves and develop their artifact literacy. They may actively explore the museum and see the museum as an interesting place. I expect Iksan National Museum’s worksheets to help children be more interested in local history, cultural heritage and enjoy learning history.

      • 한국화 재료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정완규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화 재료를 이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자아존중감이 낮은 저소득층 청소년들로서 실험집단 4명과 통제집단 4명의 총 8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은 주 2회 60분씩 총 18회기에 걸쳐서 한국화 재료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질적 검사는 한국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과 K-H‧T‧P, KFD를, 양적 검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를 이용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는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화 재료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존중감의 하위차원인 총체적인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그리고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의 모든 분야에서 향상된 모습을 보여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한국화 재료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K-H‧T‧P와 KFD를 통한 그림검사, 한국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회기별 운용 결과, 사전검사 시와 초기에 비해 향상된 그림 결과와 작업 성숙도를 보였다. 초기의 소극적인 표현이 중기와 말기를 거치면서 보다 세련되어 지고 색채의 강한 표현력을 엿볼 수 있었다. 즉, 다양한 그림과 한국화 작업을 통하여 자기 활동에 대한 책임감과 철학이 점차 투영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곧 자신의 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자아존중감의 증대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한국화 재료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서 향후 한국화 재료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립‧보급시켜야 할 것이다. 주요어: 한국화재료, 집단미술치료, 저소득층청소년, 자아존중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affects self esteem of juveniles in low income people. The research subjects are juveniles with low self esteem in low income people. Total subjects are eight: four in control group and four in experiment group. The experiment took place twice a week for sixty minutes each and total 18 sessions, conducting group art therapy of Korean painting materials. Korean paint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K-H‧T‧P, and KFD were operated for qualitative analysis, and self-esteem scale test for quantitative. The t-test was implemented for data processing statistic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First, it turned out that group art therapy of Korean painting materials improved subjects' self concept in low income people. Overall, global self esteem the lower level of self esteem, social self respect, and self esteem at home and school improved, proving that group art therapy of Korean painting materials is indeed effective. The second result is that compared to pre- and early experiment phases improvement and work maturity were showed in painting tests through K-H‧T‧P and KFD and results of session operation of group art therapy. Passive expression in an early stage conceded to sophisticated, color-abound expression in middle and last sessions. The subjects showcased attitudes that reflect responsibility and philosophy for their own activities through various paintings and Korean painting works, which made them positively recognize their identity and improve self concept. The above results clearly present that group art therapy of Korean painting materials positively affects self esteem of low income juveniles. In future group art therapy of Korean painting materials shall be systematically formed and diffused for execution. Keyword: korean painting materials, group art therapy, low income youth, self esteem

      • 북 아트(Book Art)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정서지능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백숙경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새롭게 관심을 받고 있는 북 아트(Book Art)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활용하여 시설보호아동을 대상으로 정서지능 및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진행은 2008년 7월 21일부터 8월 28일에 걸쳐 대상자 구상, 북 아트 미술치료 기법연구, 대상자 선정, 사전검사, 북 아트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전남 M시에 소재한 시설보호아동 4, 5학년 21명에게 정서지능 검사와 사회성 검사를 실시하여, 그 중 점수가 낮은 아동 10명을 선정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5명씩 무작위로 배치하여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3회 80분씩 총 18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나머지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 없이 학교생활만 하게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정서지능검사로 문용린(1999)이 제작한 초등학생용 정서지능검사 도구를 백중열(2005)이 초등학생 3〜5학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것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사회성검사는 정범모(1971)가 제작한 초등학교 인성검사지 중 사회성검사 내용을 이성현(1997)이 수정ㆍ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윈도우용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ㆍ사후 차이를 공분산분석(ANCOVA)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호보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보호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effect group art therapy using book ar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ity of facility-cared childre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the consideration of subjects, the study of the techniques of book art therapy, the selection of subjects, preliminary inspection, the conduct and application of book art therapy programs, post inspection, and data processing from July 21 to August 28, 2008. 21 students in the fourth and fifth grade living in nursing facilities in M city in Jeonnam participated in the tes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ity. The 10 students with lower scores were chosen. Randomly 5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 group and 5 were in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18 times (three times a week) for 80 minutes an experiment.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ent to school as usual. In emotional intelligence tests was used the measure that Baek Jung Yeol (2005) developed on the third and fourth students using the test tools for emotional intelligence that Moon Yong Ryn (1999) devised for elementary students. And in sociality tests was used the measure that Lee Sung Hyun (1977) revised and complemented part of sociality tests out of personality test sheets Jeong Bum Mo (1971) devised. On the basis of collected research data,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test were found by ANCOVA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using book art has som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facility-cared children. Second, group art therapy using book art has som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of facility-cared children. The research shows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book art has som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ity of facility-cared children.

      • 주간보호시설 내 경증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대인관계 중심으로

        진성희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 날 문명의 발달과 의료혜택의 확대로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성 만성질환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그로인해 치매인구의 증가속도도 빨라지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치매는 대부분 오랜 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악화되며 인지기능의 저하와 우울감, 불안, 자신감 저하 등의 심리적 요인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치료가 불가능하다는 일반인들의 잘못된 인식의 팽배는 치매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하는 중요한 걸림돌이 되어왔다. 치매노인들이 자신의 개인적 생활 또는 사회적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기능저하와 성격변화 혹은 대인관계에 대처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예방 및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D시 주간보호소를 이용하는 85세 이상의 경증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대인관계 및 삶의 질이 어떻게 향상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치매노인들의 정신건강 향상으로 상호간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를 회복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대상자들의 대인관계 및 삶의 질 향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총 14회기의 치료과정을 녹취와 회기 기록지를 이용하여 질적 분석하였고, 측정도구로는 치매노인의 삶의 질 척도(GQOL-D :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와 Schiein, Guerney의 relationship change scale을 우리 실정에 맞게 문선모(2005)가 번안한 대인관계변화척도(RCS : Relationship Change Scale)를 사전・사후 실시하였으며, 참여자 수가 적어 비모수통계(Wilcoxon Sign-rank Test)를 이용하여 양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후 경증치매 노인들의 삶의 질의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경증치매노인들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로 대인관계에 변화가 있는가? 셋째, 집-나무-사람그림검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넷째, 집단미술치료실시후 경증치매노인의 개인별 변화는 어떠한가? 치매노인의 삶의 질 척도(GQOL-D :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와 대인관계변화 척도(RCS : Relationship Change Scale)를 사전・사후 실시, 분석한 결과 집단 전체에서 사후 삶의 질의 총점이 사전 삶의 질 총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의 하위 영역인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의 7가지 영역별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또한 HTP그림검사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후의 행동 및 태도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대인관계의 회복을 통해 집단 상호간의 적응력이 개선되어 적극적인 삶의 태도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보호시설 내 경증치매노인의 대인관계 및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There is a growing trend that degenerative chronic diseases are on the rise due to advanced civilization, extended medical benefits and ensuing population aging. That contributes to stepping up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 with dementia, which is emerging as one of grave social problems. In general, dementia is gradually compounded over time, and concomitant with waning cognitive function and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loss of confidence. Moreover, people in general think dementia is incurable, and the spread of the wrong view results in lowering the quality of life of dementia patients. There is a desperate necessity for effective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programs as a means to improve their physical function, to guide their changing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right direction and ultimately to let them lead a better personal and socia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who were at the age of 85 and up and used senior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D. The focus of group art therapy was placed on boost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by promoting their mental health, mutual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14 sessions of treatment process were transcribed, and a qualitative analysis was made by using the transcription data and record on each sessio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GQOL-D(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 scale and Moon Sun-Mo(2005)'s RCS(Relationship Change Scale), which adapted Schiein & Guerney's Relationship Change Scale to suit Korean circumstances. A pre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employed to make a quantitative analysis.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in the study: 1. What changes are there in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before and after a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conducted? 2. Does a group art therapy program bring any changes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3. What changes take place on the HTP test? 4. What changes do each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undergo after group art therapy is provided? After a pretest 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by utilizing the GQOL-D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 scale and RCS(relationship Change Scale), the test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collective averages of the elderly people on the quality of life pretest were higher than their posttest collective averages. And their posttes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ven subareas than their pretest marks including satisfaction level(p<.05), communication(p<.05), reliability(p<.05), intimacy(p<.05), sensitivity(p<.05), openness(p<.05) and understanding(p<.0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HTP test, they underwent positive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quality of life in every session as well.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group art therapy had a favorable impac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in senior daycare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