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리 촉매를 이용한 싸이올의 산화 : 불안정한 싸이오카보닐의 생성

        임승연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다양한 시약과 촉매들을 사용하여 carbonyl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은 많이 연구 되어왔다. 그러나 thiocarbonyl 화합물을 효과적이며 친환경적으로 합성 하는 방법은 여전히 해결 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이전의 thiocarbonyl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 중에 하나는 Lawesson’s reagent와 같은 thionation 시약을 과량으로 요구하는 carbonyl의 thionation 반응을 통해 thiocarbonyl 화합물을 합성했다. 이러한 방법들은 atom-economic 하지 않으며, 친환경 적이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산소를 oxidant로 사용하여 구리 촉매 조건 하에 thiocarbonyl 화합물의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합성법을 제안한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간호근무환경이 노인 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

        권금옥 한양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구의 고령화와 핵가족화로 인해 가족의 간병과 돌봄에 대한 경제적, 신체적 부담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환자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부담이 가중되었다. 이에 정부는 간호 · 간병통합 서비스 제도를 도입하였으며, 시범사업이 시작된 이후로 점차 확대 운영되고 있다. 노인 환자가 병원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는 노인 문제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정신적 신체적 측면의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간호 · 간병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간호근무환경, 노인 간호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의사소통능력과 간호근무환경이 노인 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07월 16일부터 08월 06일까지 수도권에 소재한 100병상 이상 800병상 이내 규모의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하는 5개의 병원에서 총 임상경력이 1년 이상인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1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도구는 의사소통능력 척도(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GICC),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K-PES-NWI), 노인 간호실천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돌봄을 하는 간호사의 평균 연령은 31.74±7.51세, 미혼자가 127명(70.2%)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일반 간호사가 142명(78.5%), 총 임상경력은 평균 8.03±6.67년, 간호 · 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경력은 평균 2.03±1.28년 이었다. 월 평균 급여는 300만원 이상 350만원 미만이 105명(58.0%), 근무형태는 3교대가 149명(82.3%), 노인 간호 선호여부는 ‘보통이다’라고 답한 군이 110명(60.8%)으로 가장 많았다. 의사소통능력의 점수는 75점 만점에 평균 55.46±5.99점, 간호근무환경의 점수는 116점 만점에 평균 76.29±11.61점이었다. 노인 간호실천 점수는 64점 만점에 평균 53.87±6.08점이었다. 노인 간호실천은 의사소통능력(r=.37, p<.001) 및 간호근무환경(r=.31, p<.001)과 양의 상관관계이며, 간호근무환경과 의사소통능력(r=.24, p=.001)도 양의 상관관계이었다. 본 연구에서 노인 간호실천과 관련된 예측 요인은 의사소통능력(β=.30, p=<.001), 간호근무환경(β=.24, p=.001), 총 임상경력(β=.22, p=.00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 간호실천에 대한 설명력은 21.9%이었다.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의사소통능력을 키운다면 노인 간호실천이 향상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효율적인 간호근무환경 조성과 간호사 대상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e aging of population and nuclear family are causing a major social problem due to economic and physical burden caused by family care of themselves at home. Accordingly the government instituted a pilot project named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system and it has been gradually expending from the first time. As population of old patients grow, nurses who working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hould understand problems of old patients and provide not just physical care but also mental car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communication ability,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geriatric nursing practice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ord, and to investigate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geriatric nursing practi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16 to August 06 2021, a total 181 nurses with more than 1 year of clinical experience in a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were targeted and those five hospitals where they work more than 100 beds and less than 800 beds in the metropolitan area. Measurement instruments used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GICC), a nursing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tool(K-PES-NW1), and a tool to measure geriatric nursing practic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WIN 25.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age of nurses who care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was 31.74±7.51 years, 127 unmarried (70.2%), 142 staff nurses(78.5%), total clinical experience was 8.03±6.67 years, and averag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experience was 2.03±1.28 years. The average monthly income was 105 people(58.0%) with more than 3 million won and less than 3.5million won, 149 people(82.3%) with three shifts, and 110 people (60.8%) answered ‘Average’ in terms of preference for geriatric nursing. The average score of communication ability was 55.46±5.99 out of 75, the average score of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76.29±11.61 out of 116, and the average score of geriatric nursing practice was 53.87±6.08 out of 64. Geriatric nursing practice and communication skills(r=.37, p<.001), nursing work environment(r=.31, p<.001)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he basis for communication skill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r=.24, p=.001)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e factor influencing geriatric nursing practice is communication ability(β=.30, p=<.001), nursing working environment(β=.24, p=.001), total clinical experience(β =.22, p=.001). The explanatory power for geriatric nursing practice was 21.9%. I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is improved and communication skills are trained, geriatric care is expected to develop. Therefore, It is demanded to organize an efficient working space for nurses and an educational program that advance communication for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provider.

      • 난분해성 사불화탄소(CF4) 제거를 위한 저전력 열 플라즈마 시스템 최적화 및 분해특성 연구

        황상연 아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온실가스 중의 하나인 과불화탄소(Perfluorocarbon, PFC)는 반도체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비활성 기체로서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Etching) 및 증착(CVD) 공정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기 중에서 매우 안정하여 체류시간이 길고 지구온난화 물질로 분류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량이 많은 삼불화질소(NF3)와 육불화황(SF6)의 경우 비교적 쉽게 열화학적으로 분해 제거가 가능하나 사불화탄소(CF4)의 경우 중심탄소가 산화되어 있는 상태로 C-F 사이의 결합력이 매우 강하고 다른 물질과의 상호작용이 적은 가장 안정적인 난분해성 물질로서 분해 제거에 어려움이 따른다. NF3, SF6 보다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GWP)는 작지만 대기 중 체류시간이 5만년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CF4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 없고 반도체 산업의 성장추세와 함께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고효율 저에너지 소비형 분해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 CF4 제거는 화학 흡착, 막 분리법 등의 분리회수 기술과 연소, 촉매, 플라즈마를 이용한 분해기술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비열(Non-thermal) 및 열(Thermal) 플라즈마 분해기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플라즈마 분해법의 경우 CF4와 같이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분해가 가장 어려운 온실가스 처리에 유리한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아크를 이용한 열 플라즈마의 경우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된 고온 조건의 반응부에 CF4 가스가 직접 접촉하여 CFi(CF3, CF2, CF, F-) 형태로 분해되고 화학활성종인 라디칼과의 반응을 통해 COF2, COF, CO, CO2, HF로 전환되어 최대 98%의 높은 분해효율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처리가스와의 접촉율이 떨어질 경우 분해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전력소모 증가 및 전극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저전력, 고효율의 플라즈마 발생장치(Plasma torch) 설계 및 최적화에 따른 분해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아크 방식의 열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반도체 산업에서 주로 발생되는 난분해성 CF4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고효율 저에너지 소비형 플라즈마 시스템의 최적화 설계인자를 도출하였고 아크 방전을 일으키는 공동형 양극부 및 봉형 음극부로 구성된 10 kW급의 비이송식 플라즈마 토치 설계/제작 결과 운전 효율은 75% 이상이며, 최소 8 kW에서 최대 13 kW 범위에서 운전이 가능하였다. 열역학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CF4 가스의 열역학적 거동 및 반응 분석과 플라즈마 발생 전력량 및 전류-전압 변화, 분해효율을 높이기 위한 반응제인 H2O/CF4 공급비율 변화, 반응가스와 플라즈마 화염과의 접촉율 변화 등 운전조건에 따른 플라즈마의 특성을 관찰하고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분해 실험을 통해 최적 시스템 공정 및 운전 조건을 도출하였다. CF4 모사가스를 이용한 전력량 변화 실험 결과 인가 전력량이 높아질수록 전기장의 세기가 커지고 전자의 가속에 의한 운동에너지가 증가하여 분해효율이 증가하였으며. 동일 전력량 기준으로 전류량 변화 실험 결과 전류-전압 변화에 따라 분해 효율의 차이가 발생하여 적정한 운전범위가 존재하며 12 kW, 45A 조건에서 93.98%의 분해효율을 확인하였다. 반응제 공급량 변화 실험 결과 H2O/CF4 ratio 3.0 조건에서 분해효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O∙ 라디칼은 CF4 분해를 위한 전구체로 작용하고 ∙OH 라디칼은 플라즈마 방전 시 CFi를 산화시키고 CF4 재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분해효율을 촉진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력량 10 kW 조건에서 반응높이 변화 실험 결과 플라즈마 화염과 격막과의 높이가 낮아져 접촉율이 증가하고 H2O/CF4 ratio가 높아질수록 CF4 분해효율이 증가하였으며, 전류 45A, H2O/CF4 ratio 3.0, 격막과의 높이 10 mm 조건에서 최대 93.87%의 분해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10 kW 저전력에서 CF4 농도 5000 ppm 기준으로 분해율 90% 이상을 확인하였으며, CF4의 분해 정도는 플라즈마에 인가되는 전력 및 전압 증가, 반응제인 H2O의 적절한 공급비율, 반응가스와 플라즈마 화염과의 접촉율을 및 접촉 시간을 높이기 위한 반응로의 구조에 따라 분해 효율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매우 안정적인 분자 구조를 가진 난분해성 CF4의 기존 분해효율에 한계를 갖는 직접 가열방식과 비교 시 아크를 이용한 저전력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비만클리닉을 내원한 성인의 이상섭식행동 영향요인

        정지혜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비만클리닉에 내원하는 성인의 감정표현불능, 우울과 이상섭식행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2월 15일부터 3월 31일까지 D시에 소재한 K대학병원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성인남녀 2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이상섭식행동은 한국판 섭식태도 척도(K-EAT 26: 이민규 등, 1988), 감정표현불능은 감정표현불능척도(TAS-20K: 이양현 등 1996), 우울은 우울척도(CES-D: 전겸구 등, 2001)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이상섭식행동의 평균점수는 9.86±10.37, 감정표현불능 평균점수는 52.62±9.58점, 우울 평균점수는 15.24±9.12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 체중 조절 특성에 따른 이상섭식행동은 체질량지수, 주관적 체형인식, 체형만족도, 체중조절에 대한 걱정, 체중감량 시도경험, 체중감량 시도방법, 체중감량 기간, 체중 감량하게 된 계기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상섭식행동은 감정표현불능, 우울, 체질량지수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상섭식행동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우울, 체질량지수, 감정표현불능 하위요인 중 ‘감정자각곤란’, 지각한 경제상태, 주관적 체형인식 성별이 이상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이 변인들의 총 설명력은 28.3%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만클리닉에 내원하는 성인의 이상섭식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실생활에서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섭식행동에 대한 건강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왜곡되지 않은 올바른 체형인식을 바탕으로 건강한 체중조절방법에 대한 교육이 요구된다. 또한 우울에 대한 예방, 관리와 함께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적절히 표현하도록 돕는 중재를 바탕으로 이상섭식행동 예방을 위한 간호프로그램 개발 시 성별이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주요 개념어: 성인, 감정표현불능, 우울, 이상섭식행동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교대 근무 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연구

        여효정 한양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늘어나는 사회적 요구에 따른 간호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숙련된 경력 간호사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5년 이상 10년 이하 경력을 가진 간호사의 이직 예방 및 유지와 확보는 병원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한 필수 과제이다. 5년 이상 10년 이하 경력을 가진 간호사는 조직 내 핵심 구성원으로 신규 간호사와는 다른 양상의 직무 스트레스가 발생하게 되므로, 그들의 소진을 줄이기 위한 일과 삶의 균형이 중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 경력 5년 이상 10년 이하 교대 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포토 보이스 연구기법을 활용하여 일과 삶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일개 병원에서 연구 참가를 희망한 10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총 7회 차의 활동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Wang과 Burris(1994, 1997)가 제시한 9단계 전략을 기초로 하여 포토 보이스 연구기법을 적용하였다. 참여자들이 제출한 사진과 사진에 대한 의미,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 토의한 참여자들의 이야기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주제 분석방법을 수행한 결과 총 47개의 개념, 12개 하위 주제, 5개의 주제로 범주화하였다. 첫째, 주체성 상실 속에서 위태로운 고군분투는 간호사의 일과 삶에 있어 병원 실무 환경에 대해 표현하기를 “쉴 새 없이 몰아치는 일로 지쳐가는 심신, 병원의 소모품으로 느껴지는 일과, 감정의 회오리 속에 서 있는 위태로운 자아”로 참여자들이 느끼는 실무의 부정적 측면을 표출하였다. 둘째, 환자의 건강 회복을 위한 길라잡이는 간호의 의미를 되새기는 긍정적 표현으로 “희망을 밝혀주는 존재, 소통을 위한 징검다리” 등으로 환자를 위한 돌봄과 관심의 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일에서 얻어지는 삶의 보람과 활력이란 주제는 일적 측면에서 만난 동료나 업무에서 얻어지는 긍정적인 에너지를 “견딜 수 있게 해주는 버팀목, 일에서 찾는 의미로 힘을 얻기”로 표현하였다. 넷째, 개인적인 삶의 테두리를 지켜나감은 “나에게 쏟은 작은 관심, 미래의 나를 위한 투자”로 표현하였고 다섯째, 행복지수를 높여주는 조직의 변화를 기대함은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해결 방안을 일에서 찾고 있었으며 그 의미로 “인정하고 격려하는 조직, 함께 만들어나가고 싶은 조직문화, 삶의 균형을 높여주는 조직의 지지”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해결 방안으로 병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대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교대 근무 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의 노력만으로는 불가하며 병원 조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간호사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환경 제공, 건강증진 프로그램, 면담 프로그램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간호사를 지지할 수 있는 조직 차원의 직장 내 동료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넷째, 간호사의 업무 개선사항에 대한 소통 창구를 마련하여 간호사 스스로 불편한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주도적인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다섯째, 전문직인 간호직의 발전을 위한 경력개발제도를 운용하고, 간호사의 자기계발에 따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개인과 조직의 발전을 함께 이루어야 한다. 여섯째, 병원 조직과 간호 조직에서 간호사의 업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정과 격려를 전달할 수 있는 피드백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일곱째, 병원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을 저해하는 요인을 조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인 제도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주요어: 교대 근무 간호사, 포토 보이스, 일과 삶의 균형

      • 분광학적 방법을 통한 리튬이온전도성 고체 전해질 Li(1+x)Ta2P(1-x)SixO8의 구조적 특성 연구

        윤예원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산화물계 리튬이온 전도체인 Li(1+x)Ta2P(1-x)SixO8 (x=0, 0.1, 0.2, 0.3, 0.4, 0.5) 을 고상법으로 합성하고, 방사광 X-선 회절과 분말 X-선 회절, FT-IR과 Raman 분광법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정구조를 규명하였다. x값이 증가할수록 Li(1+x)Ta2P(1-x)SixO8 구조에서 P의 비율이 줄어들고 이온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Si의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단위격자의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합물은 공간군 C2/c의 단사정계 구조에 속하며 Ta 원자가 O 원자 6개와 팔면체를 이루고 P/Si 원자가 O 원자 4개와 사면체를 이루어 꼭지점의 산소를 공유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X-선 회절데이터를 이용한 구조분석과 FT-IR, Raman 분석을 통하여 Ta-O 결합길이가 감소하고 Li-O 결합길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구조 속에서 리튬이온이 보다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여 이온전도 특성이 좋아진다. LTPSO 화합물의 이온 전도도는 x=0.1에서 0.5 순으로 5.45×10-4 S/cm, 6.73×10-4 S/cm, 8.70×10-4 S/cm, 8.35×10-4 S/cm, 5.19×10-4 S/cm를 보이며, 활성화에너지는 0.341eV, 0.338eV, 0.335eV, 0.325eV, 0.316eV임을 확인하였다. x=3까지는 이온전도도가 높아지며 x=0.4부터는 이온전도도가 0.3에 비하여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대적으로 이온전도도가 낮은 LiTaO3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면서 이온전도 특성이 감소하는 것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Li(1+x)Ta2P(1-x)SixO8 (0.1≤x≤0.5)에서 가장 이온전도도가 높은 화합물은 x=0.3인 Li1.3Ta2P0.7Si0.3O8으로 확인되었다. Li(1+x)Ta2P(1-x)SixO8 (x=0, 0.1, 0.2, 0.3, 0.4, 0.5), which is an oxide-based lithium ion conductor, was synthesized by a solid-state method, and X-ray diffraction and powder X- The crystal structure was identified based on ray diffraction, FT-IR and Raman spectroscopy data. As the value of x increases, the proportion of P in the Li(1+x)Ta2P(1-x)SixO8 structure decreases and the proportion of Si with a relatively large ionic radius increases, so that the volume of the unit cell increases. The compound belongs to the monoclinic structure of space group C2/c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a atoms form an octahedron with 6 O atoms and P/Si atoms form a tetrahedron with 4 O atoms to share oxygen at the vertex. Through structural analysis using X-ray diffraction data, FT-IR, and Rama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Ta-O bond length decreased and the Li-O bond length increased. As a result, lithium ions can move more freely in the structure, improving ion conductivity.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LTPSO compound was 5.45×10-4 S/cm, 6.73×10-4 S/cm, 8.70×10-4 S/cm, 8.35×10-4 S/cm, 5.19×10-4 S/cm in the order of x=0.1 to 0.5, and activation energies 0.341eV, 0.338eV, 0.335eV, 0.325eV, 0.316eV were confi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 ionic conductivity increased up to x=0.3, and the ionic conductivity decreased compared to x=0.3 from x=0.4. This is because the ratio of LiTaO3, which has relatively low ionic conductivity, increases significantly, and the ionic conductivity properties decrease. Due to these complex factors, the compound with the highest ionic conductivity in Li(1+x)Ta2P(1-x)SixO8 (0.1≤x≤0.5) was identified as Li1.3Ta2P0.7Si0.7O8 with x=0.3.

      • 봉사활동 동기와 일자리 프로그램참여도가 자원봉사 감소에 미치는 영향

        전춘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국의 자원봉사 수의 감소는 전 연령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특히 고령화,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개인적, 제도적 차원에서 2018년 자원봉사활동 실태조사를 따르면 1인당 연간 평균 시간이 급감했다는 통계이다. 자원봉사자 수의 감소에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다. 우선 사람들의 삶이 바빠져 직장과 가족에 대한 책임이 증가하면서 자원봉사에 할애할 시간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고, 둘째는 사람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이 낮아지면서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렇듯 개인적 요인으로 인해 자원봉사자의 수가 감소하는 것과 함께 주목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 재정지원 사회서비스 일자리 증가로 인한 자원봉사활동의 감소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자 수의 감소에 대한 원인을 다각적으로 추적할 필요가 있다. 기존 선행연구들이 자원봉사자 개인 수준의 연구 및 자원봉사단체의 효율적 운영 등에 집중되어 있지만 자원봉사자 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기존 자원봉사로 운영되던 분야에서 동일한 분야 유급 일자리가 확대되는 현상에 주목하고 제도의 변화가 자원봉사자 수에 미치는 효과를 추적하여 자원봉사활동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봉사활동 동기와 프로그램 계기를 특정 요인 독립변수로 하여 자원봉사활동 지속성 만족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시니어 일자리, 요양보호사, 기관 관계자들 대상으로 설문조사, 인터뷰를 실시하여 181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여 설문조사에서 진행한 봉사활동 동기 관련 부분에서 진행한 내용과 프로그램 계기가 교차된 MODE 모형 관점의 요인설계 방안을 응용하였고, 분석방법은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test 검정과 2-way ANOVA 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 자원봉사활동 지속성 인정 만족도 변화는 두 변수의 상호작용효과가 있으므로 봉사활동 동기의 자아실현, 책임감, 주변 권유, 매스컴 영향이 인정, 지속성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프로그램 계기 시장형, 공익형, 취업 알선형, 사회서비스형 유급 일자리가 인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자 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기에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volunteers in Korea continues to occur across all age groups, especially due to aging and the aftermath of the coronavirus pandemic, at both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levels. According to the 2018 volunteer activity survey, the average number of hours per person per year has plummeted. There are various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volunteers. First of all, as people's lives become busier and their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 increase, the time they can devote to volunteering is decreasing. Secondly, as people's awareness of volunteering decreases,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volunteering, which makes it difficult to volunteer.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people participating is decreasing. In addition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volunteers due to personal factors, something that needs to be noted is the possibility of a decrease in volunteer activities due to the increase in financially supported social service job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ck the causes of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volunteers from various angles. Although existing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research at the individual level of volunteers and the efficient operation of volunteer organizations, research on institutional aspects that affect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volunteers is limi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henomenon of expansion of paid jobs in the same field in fields that were previously run by volunteers, and to find ways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by tracking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system on the number of volunteer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 activity continuity by using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y and program opportunity as specific independent variables. To this en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senior job seekers, nursing care workers, and institutional officials, and 181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ODE model perspective was a cross-section of the content conducted in the survey related to volunteer activity motivation and program opportunities. The factorial design method of was applied, and the analysis method was a paired-sample T-test and a 2-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the change in satisfaction with recognition of continuity of volunteer activities was an interaction effect of two variables. Therefore, self-actualization, responsibility, encouragement from surroundings, and mass media influence on the motivation for volunteer work influenced recognition and sustainability. In addition, program-based market-type, public interest-type, job placement-type, and social service-type paid job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recognition. Research on institutional aspects that affect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volunteers is limited, so it is believed that continued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