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산지역 암환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병군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환자의 불필요한 역외유출을 막고 부산지역 암환자들의 지역 의료기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부산지역의 베스트닥터와 베스트클리닉을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등 지역 의료기관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홍보방안을 마련한다. 둘째, 중증질환과 고난이도 수술에 필요한 우수한 의료진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한다. 셋째, 우수한 의료장비와 시설의 도입 등을 통해 의료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넷째, 환자의 안전과 의료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역 의료기관들이 국제인증이나 국내 의료기관 인증을 받는다.

      • 구전커뮤니케이션이 의료서비스 이용시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석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 in medical service demands a consumer(customer)-oriented management and marketing strategy of clinics with the shift of market from supplier control to consumer control. It is crucial that a medical institution promptly find and prepare the need of changing medical market and customers and carry its plan into effect. However, in the current system of medical laws which limit the advertisement and active PR marketing, the WOM(word of mouth)l transmission of service users is a determining fact that contributes to the marketing of medical institution. This research finds out th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how the customers choose and decide where to receive the medical cares, and what causes change in their decision. It also includes an analysis of WOM(word of mouth) transmission of information (satisfaction/unsatisfaction) that may affect people's choice of general hospital, which, thus, provides a strategic point in effective management of general hospital. The research is planned to understand the content, course and type of WOM(word of mouth) communication of medical service users, evaluate satisfaction rate for different types of service, analyze how WOM(word of mouth) communication affects other users' choice and provide productive data which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of medical institutions. The types of WOM(word of mouth) communication of medical service users who ar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ir medical institutions include sender, receiver, sender/receiver, and independent. Sender refers to a person who offers one's own subjective decision and opinion to someone else on specific topic, and receiver refers to the one who receives the information. Sender/receiver refers to a person who sends and receives subjective message on specific topic to and from others. Independent type refers to a group of people who do not offer or receive information to or from others. A survey was made based on the classified types among the service users of general hospital. Investigation of mutual relation between the types and users' choice of hospital revealed a result that the users receive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senders who used the medical service in prior, which has affected their choice of hospital. This propensity of choice appears in the group of people with close age, gender, scholastic achievement, income and residential area, with active WOM(word of mouth) communication among them. Precisely, the WOM(word of mouth) communication seems very useful as a marketing strategy of a hospital regarding choice of medical service with the medical law, in which active commercial advertisement is limited. It was found that users who were not content with the services they were provided of tended to be involved in offering information through active verbal communication as senders, showing users' propensity to verbally transmit information in case of unsatisfaction rather than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the service supplier's duty to find out the unsatisfying factors and put consistent effort to reduce them and improve satisfaction rate. The medical service users tend to send information about the indirect medical service like convenience of traffic and parking, complexity, cleanness of institution, and kindness of service provider rather than the direct medical service like variety treatment, specialty of doctors, number of sickbed, and medical appliances and techniques. Thus, it is critical that institutions put constant effort in improving satisfaction rate of indirect service as well as the direct service and seek for service which would satisfy the needs of service users. Above all, establishment of useful marketing strategy is necessary which leads to active verbal communication owing to the satisfying medical service among the users. 최근 급변하는 의료환경은 의료공급자 지배시장에서 소비자 지배시장으로 변화하면서 소비자(고객) 중심의 병원 중심의 병원 경영전략과 마케팅 전략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의료시장의 변화와 고객의 Need를 빨리 파악하고 대처하고 빨리 실행에 옮기는 의료기관 만이 생존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 하지만, 현행 병원광고 및 적극적인 홍보 마케팅 활동을 제약받고 있는 의료법 하에서는 의료이용자들의 구전을 통한 병원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의료이용자들의 의료기관 선택기준 및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고 환자들의 의사결정 변수를 파악하고, 특히 구전에 의한 정보전달(만족, 불만족)이 종합병원 선택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종합병원의 경영에 있어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성은 의료기관을 이용한 의료이용자의 구전커뮤니케이션의 내용 및 경로 그리고 유형을 파악하고 이들 유형간 의료서비스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의료서비스 선택 시 구전커뮤니케이션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병원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의료기관 이용 후 의료정보에 대한 전파하고자 하는 의료이용자의 구전커뮤니케이션 유형에는 발신과, 수신잔, 발신자/수신자, 독립자 유형이 있다. 발신자는 특정 주제에 대하여 자기의 주관적 판단과 인상을 가지고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을 말하며, 수신자는 정보를 제공받는 사람을 말한다. 발신자/수신자는 특정 주제에 대하여 자기의 주관적 판단과 인상을 가지고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고 받기도 하는 사람을 말하며, 독립자는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제공하지도 않고 도움을 받지 않는 사람을 말한다. 이러한 유형에 따라 종합병원 의료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관관계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구매자들은 의료서비스를 받은 발신자들에 의해 다양한 관련 정보를 얻고 이를 통해 의료기관 선택 등의 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으로 의료소비자들이 연령, 성별, 학력, 소득, 직업, 주거지가 비슷한 사람과 구전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특히 적극적인 상업적 의료광고가 제한된 현행 의료법 하에서 의료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하는 의사결정권자에 대한 병원 마케팅 전략으로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불만족한 소비자일수록 발신자적 입장에서 서서 주위의 사람들에게 활발한 구전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의료 소비자들이 만족한 경우보다는 불만족한 경우에 더욱 구전을 수행하려는 의지가 강해짐을 시사해 주고 있다. 따라서, 병원은 의료이용자들의 불만요소를 점검하여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서 만족도 향상에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 특히, 의료이용자는 진료과목의 다양성, 진료의사의 전문성, 병상수, 의료장비 및 기술 등과 같은 직접적 진료서비스의 만족도 보다는 교통 및 주차의 편리성, 복잡성, 병원시설의 청결, 의료인의 친절과 같은 간접적 진료서비스의 만족도에서 더 많은 구전 활동을 수행하려는 의지가 강하므로 직접적 진료서비스의 증진 외 간접적 진료서비스의 만족도 향상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의료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바탕위에 의료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활발한 구전 활동이 전개될 수 있는 병원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고혈압 환자의 관리실태와 건강관련 행태에 관한 연구

        김지온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가기간통계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2007년과 2008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고혈압 유병자인 만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2,580명을 대상으로 고혈압의 관리수준(인지율․치료율․조절률)과 건강관련 행태(식생활 행태와 식품섭취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SPSS 통계패키지 12.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t-test, ANOVA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고혈압 환자의 인지 및 치료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남녀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건강검진을 받은 경우에 인지 및 치료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고, 직업이 무직 및 기타인 남자, 과체중인 여자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반면 평소 음주자의 인지 가능성은 여자의 경우에만, 치료 가능성은 남녀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고혈압 환자의 조절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남녀 공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건강검진을 실시한 경우 조절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고, 반면 평소 음주자인 경우 유의하게 낮았으며, 특히 남자는 유배우자, 직업이 무직 및 기타,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에, 여자는 거주지가 중소도시인 경우, 과체중인 경우에 조절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고혈압 환자의 식생활 행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싱겁게 먹기’는 현재 흡연자인 남자, 평소 음주자인 여자에서 실천 확률이 유의하게 낮았고, ‘알맞게 섭취하기’, ‘아침 먹기’, ‘필요한 만큼 준비하기’는 남녀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실천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우리 식생활 즐기기’는 남자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실천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고, 여자의 경우 체질량지수가 비만인 경우에 실천 가능성이 유의하게 낮았다. 넷째, 고혈압 환자의 식품섭취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과일과 채소’는 공통적으로 초졸 이하, 의료급여 대상자, 월평균 소득 100만원 이하, 걷기운동을 실천하지 않는 경우에, ‘우유와 등푸른 생선’은 65세 이상인 경우에 섭취빈도가 유의하게 낮았고, ‘젓갈류’는 65세 이상, 대도시 거주자, 유배우자인 경우에, ‘튀긴 음식’은 남자, 19~44세, 무배우자, 사무직, 월평균 소득 201만원 이상인 경우에 섭취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상기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가 차원의 고혈압 관리 사업을 시행 시 성별과 연령대에 맞는 맞춤형 관리가 이루어지고, ‘고혈압의 인지․치료 및 조절 수준이 낮은 집단’과 ‘건강관련 행태에 취약한 집단’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고혈압 관리와 적절한 교육이 함께 병행된다면 보다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 내부마케팅이 병원종사자의 직무만족, 직무몰입,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현정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의료기관들이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 속에서 경영 전략 달성을 위해 구성원을 통합시키는 계획된 노력의 일환인 내부마케팅 요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그리고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의료기관의 인력관리 방안의 합리적인 설계에 활용할 만한 기초자료로 제공하여 의료기관의 발전과 경영성과에 기여하고자 시도된 실증적 연구조사로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가설을 도출하여 부산·경남 소재의 사립대학병원 세 곳의 구성원 635명을 대상으로 2013년 7월 1일부터 약 2주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598부 중 584부의 자료가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ANOVA, t-test,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 등을 사용하였다. 이밖에 AMOS 21.0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토와 매개효과 검증 및 가설검증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내부마케팅 요인 모두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몰입에는 요인 중 경영층지원, 권한위임, 보상제도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직무만족을 통한 간접영향은 내부마케팅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 내부마케팅요인 중 경영층지원, 권한위임, 근무환경 및 복리후생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과 직무만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 모두 미쳤다. 하지만 보상제도, 내부커뮤니케이션은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진 않았고 직무만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만 미쳤으며, 내부마케팅요인 중 교육 및 훈련과 내부커뮤니케이션만이 고객지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간접영향은 내부마케팅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직접영향과 간접영향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몰입도 고객지향성에 직접영향과 간접영향 모두 영향을 미쳤다. 결국 내부마케팅요인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 모두 고객지향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직무만족, 직무몰입, 조직몰입은 내부마케팅요인과 고객지향성간의 매개변수로서 매개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료기관 구성원들의 고객지향성을 높이기 위하여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쾌적한 근무환경을 만들고 적정한 의사결정권을 부여하며, 근무성과에 대한 보상과 조직발전을 위한 제안이나 의견제시에 대한 긍정적이고 신속한 처리 등과 같이 효과적인 관리 방안이 마련되어 의료기관 구성원들의 충성도를 높이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선 의료기관 경영층의 제도적이고 전폭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Medical institutions are to be emphasized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in a rapidly 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 to survive as a way enhance the competitivenes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members of management strategies to achieve the planned efforts integration of the internal marketing factors. These factors ar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Customer Orientation by looking at medical personnel management practices designed to take advantage of the affordable enough t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medical institutions and try to contribute to the empirical research literature to design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derived the theory of the private universities in Busan Gyeongnam 635people to the hospital three members of the target from 1 July 2013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was about two weeks, part of the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on 584 of the 598 parts were used in the final. The collected data i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8.0. Data analysis was used to methods include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oft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t-test and the post-duncan. AMOS 21.0 in addition, the fit of the research model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ameter validation and hypothesis testing and path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All Internal Marketing factors had a 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include Management Support, Empowerment, Reward Systems have a direct impact, but affected the indirect through the Job Satisfaction all factors of Internal Marketing. Factors of Internal Marketing, Management Support, Empowerment, Working Conditions and Employee Benefit direc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had both indirect effects through But Reward System, Internal Communication did not direct impact, but indirect impact through Job Satisfaction. Factors of Internal Marketing, only Internal Communications, Education and Training has a direct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but indirect effects are al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Internal Marketing. Job Satisfaction has had all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lso has had all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After all factors of Internal Marketing on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l effected to Customer Orientation, directly or indirectly. And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ppeared Internal Marketing and Customer Orientation parameters between factors and acts as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mbers of the institution in order to improve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mprove to create a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and to give an appropriate decision-making, compensation for work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proposed for the suggestions and comments, such as the positive and prompt treatment etc. members of the management plan effective medical fitness must increase the loyalty of the system and it instantly full support of medical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upporting.

      • 빈집 정비사업 시행방법에 대한 참여주민 인식연구 : 서천군 장항읍 생활여건 개조사업자를 중심으로

        고희주 청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Local extinction, which directly expresses the problem of population decline in areas such as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s a concept that appeared in a book of the same name published by Professor Hiroya Matsuda of Tokyo University in 2014. When looking at the long-term trend of extinction risk areas based on the resident registration annual population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re were no extinction risk areas in 2000, but 61 in 2010, increased to 102 in 2020, and 113 out of 226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as of March 2022. In addition, more importantly, high-risk areas that were not seen in 2010 also confirmed the trend of increasing from three in 2015 to 22 in 2020 and 45 in 2022. Empty houses, which usually occur in poor conditions, damage urban beauty, deteriorate the living environment, increase the risk of crime in the region, and weak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region, which further intensifies the population outflow. Eventually, empty houses tend to cause another empty house around them, resulting in a dense phenomenon. In addition, areas where empty houses are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are areas with low development demand that can be expected by the private sector, and maintenance projects such as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led by local governments should be carried out as soon as possible. The government enacted the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Empty Houses and Small-scale Houses in February 2017 to provide an institutional basis for managing vacant houses, which are the cause and result of urban decline. In addition, 17 out of 17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146 out of 226 local governments are enacting and implementing ordinances related to vacant house maintenance as of March 2022.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wareness that the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central government's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Empty Houses and Small-scale Housing and the approach to solving the vacant house problem in ordinances enacted by each local government. Since the maintenance of an empty house requires dealing with private property,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it without the consent of the owner or the disposition authority without a public legal authority. Since vacant house maintenance is an act that directly affects the daily lives of local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onsciousness of local residents and reflect it in the actual maintenance project when selecting and implementing any implementation method proposed by the Special Act on Empty House and Small House Maintenance.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on the problem of vacant houses in urban areas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vacant houses in vulnerable areas and studying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e four maintenance projects stipulated in the Act on Special Cases. As a method of investigating residents' consciousness,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vacant house maintenance projects prescribed by the law was investigated first through a survey on whether they were aware of and willing to use the resident report system. In addition, the priority of policy implementation was presented by calculating the importance b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hich analyzes the importance by stratifying items for the four types of maintenance project implementation methods prescribed by the law. Empty house maintenance i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the use of empty houses. In addition, it should be made to achieve public interest purposes such as maintain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local residents by forcing the disposition of private property called housing through public law. In February 2017, Korea enacted the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Empty Houses and Small House, and each local government is also enacting and implementing related ordinances. Since the criteria for judgment are ambiguous in laws that can enforce vacant house maintenanc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the opinions of residents negatively affected by vacant houses to secure the public interest of the project.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region where vacant houses are increasing, which are the cause and result of regional decline, will select the preferred implementation method of local residents among the maintenance projects prescribed by the law. 농어촌과 중소도시 등 지역의 인구감소 문제를 직접적으로 표현한 ‘지방소멸’은 2014년 도쿄대 마쓰다 히로야 교수가 낸 같은 이름의 저서에서 등장한 개념이다. 지방소멸위험과 관련하여 통계청의 주민등록 연양인구를 자료로 하여 소멸 위험지역의 장기적인 추이를 살펴보았을 때, 2000년은 소멸 위험지역에 해당하는 자치단체가 없었으나, 2010년에는 61개로 나타났고, 2020년에는 102개로 증가하였으며, 2022년 3월 기준으로는 전국 226곳의 자치단체 중 50%에 해당하는 113개의 자치단체가 소멸 위험지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더욱 중요한 부분으로 2010년도에는 볼 수 없었던 소멸 고위험지역 역시, 2015년 3개로부터 시작하여 2020년 22개, 2022년 45개로 증가하는 추이를 확인하였다. 불량한 여건의 주거지에서 주로 발생하는 낡아 못 쓰게 된 빈집은 도시미관을 훼손하고 거주환경을 악화시키고 해당 지역의 범죄발생 위험을 증가시켜 부동산 가치 하락을 유도하는 등 지역의 경쟁력을 약화시켜서 다시금 인구 유출을 심화시키는 악순환의 원인으로도 작용한다. 결국 빈집은 주위에 또 다른 빈집을 유발함으로써 밀집현상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빈집은 장기간 방치되는 지역은 주거수요뿐만 아니라 민간에 의한 개발 사업의 가능성을 기대 할 수 있는 개발수요가 낮은 지역이기도 할 뿐만 아니라 공공주도의 재개발 · 재건축 등의 정비사업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행정대집행으로 진행되는 빈집의 단순 철거와 같은 매우 소극적인 빈집정비방식이라도 조속히 진행하여야 한다. 정부에서는 도시쇠퇴의 원인이자 결과가 되는 빈집을 관리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2017년 2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을 제정하였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빈집정비 및 활용에 대한 관심과 빈집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2022년 3월 현재 17개의 광역자치단체 중 17곳, 226개의 지방자치단체 중 146곳이 빈집정비와 관련된 조례를 제정·시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중앙정부의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과 각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한 조례에 담고 있는 빈집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접근에 있어 해당 지역주민의 인식을 반영하여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빈집의 정비라는 것은 사유재산을 다루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법적 권원이 없다면 소유권자 또는 처분권자의 동이 없이는 수행하기 곤란하다. 빈집정비라는 것은 해당 지역주민의 일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행위이기 때문에 빈집정비에 공법적 권원을 부여한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서 제안하는 시행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때, 지역주민의 인식을 조사하여 실제 정비사업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취약지역 생활 여건 개조사업 대상지를 대상으로 빈집에 대한 형황 및 지역 특성을 파악하고, 빈집 문제해결을 위해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서 정한 4가지 정비사업 시행방식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정책 수행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주민의식의 조사방법으로는 법에서 정한 빈집정비사업의 시행방식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우선적으로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서 주어진 주민신고제도에 대한 인지여부와 활용의지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법에서 정한 4가지 종류의 정비사업 시행방식에 대하여 항목을 계층화하여 중요도를 분석하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 계층적 의사결정 방법)를 활용하여 중요도를 산출함으로써 정책 추진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빈집정비는 빈집활용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또한 주택이라는 사유재산에 대한 처분을 공법을 통해 강제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생활환경 정비와 같은 공익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17년 2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을 제정하였고,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관련된 조례를 제정·시행 중에 있다. 그러나 빈집정비를 강제할 수 있는 법령에서 판단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별도의 세부 규정이 마련이 시급한 현재로서는 빈집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주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사업추진의 공익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지역쇠퇴의 원인이자 결과인 빈집이 늘어나고 있는 지방의 중소도시에서 법에서 정하여진 정비사업 방식중 지역주민의 선호하는 시행방식을 선정하고 이를 근거로 빈집정비사업을 수행해 나아가기를 기대해 본다.

      •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향상을 위한 중요요인 연구

        남원일 청운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itical factors that affect the design of public buildings in the process of finalizing the design of public buildings from the planning stage to the design stage to improve the design of public buildings.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architectural factors that affect the design of public buildings and to analyze the priority factors for producing good design of public buildings. The design of the study i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er explored the types of public buildings and theories for improving their design and identified research trends for improving their design. Through this, the researcher determined the research directions and details of this study and presented the research model based on them.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is public building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research subject is limited to public buildings in Incheon. The research design investigated and categorized the design improvement measures of public buildings and evaluated their importance by AHP analysis. Accordingly, the researcher conducted two surveys.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first survey from April 25 to May 1, 2022, among architects, building officials, and expert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to investigate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the design decisions of public buildings. For the second survey,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from May 10 to May 17, 2020, among architectural officials and experts in related field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o analyze priorities as design decision factors for public buildings, and a total of 102 copies were collected, and 42 effective copies were analyzed. For the research analysis, AHP analysis with the DRESS program was used. The most critical factors were as follows: 1.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 of public building design were categorized into "design competence," "fairness of judgment," and "administrative regulation relief" and were rated as necessary.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design of public buildings, "architect competence" was rated as essential for "design competence," "transparency of the review process" for "fairness of the review," and "respect for design" for "administrative regulation." 3. In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second level, the importance of "architect competence" was rated as a priority factor, and the importance of administrative deregulation, such as "legal deregulation, adequate budget, and adequate service period," was rated as low. The AHP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 model proposed by exploring the critical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design capacity is essential to improve the design of public buildings. This means that strengthening design capac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design of public buildings. Second, "Architect competence" was the most crucial factor in calculating the importance of conflict types,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improve design by strengthening architect competenc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design of public buildings are presented below. The excellence of the design of public buildings is based on and greatly influenced by design competence. Therefore, to improve the design of public buildings, medium- and long-term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to strengthen the design competence of architects, government officials, reviewers, and other related professional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limitations in constructing primary data for design improvement. This study used stakeholders such as architectural firms located in Incheon City to establish primary data for design improvement. However,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a broader range of design improvement data and analyze important factors with a more comprehensive range of research subjects (architects from other regions,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general public). Second,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public building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hich limits its generalizability to public building design improvement. Conducting a follow-up study on design improvement in public buildings nationwide is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향상을 목표로 공공건축물의 기획단계부터 설계단계까지 건축물의 디자인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건축물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인자가 무엇인가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공공건축물의 우수한 디자인을 도출하기까지 행‧재정적, 건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공공건축물의 우수한 디자인을 생산하기 위한 우선순위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공공건축물의 유형과 공공건축물 디자인 향상을 위한 이론을 탐색하고 공공건축물 디자인 향상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연구방향과 연구내용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인천광역시의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하며 인천시 공공건축물 중에서도 공공청사로 연구의 대상을 제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은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향상 방안을 조사하고 유형화하여 AHP 분석을 통해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이에 따른 설문조사를 2회 실시하였다. 1차 설문조사를 2022년 4월 25일부터 5월 1일까지 건축사(가), 건축직 공무원, 건축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결정에 미치는 중요요인을 조사하였다. 2차 설문조사는 2020년 5월 10일부터 17일까지 인천광역시 건축직 공무원, 관련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결정요소로서 우선순위를 분석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02부를 회수하여 유효부수 42부를 분석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하여 AHP 분석을 DRESS 프로그램으로 사용하였다. 중요요인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결정에 미치는 중요요인은 첫째, ‘디자인 역량’, ‘심사의 공정성’, ‘행정규제완화’로 유형화되고 중요하다고 평가되었다. 둘째, 공공건축물 디자인 향상 중요도 산정결과를 살펴보면, ‘디자인 역량’에서는 ‘건축사(가) 역량’, ‘심사의 공정성’에서는 ‘심사과정 투명성’, ‘행정규제 완화’에서는 ‘디자인 설계 존중’이 중요하다고 평가되었다. 셋째, 제2계층의 평가 결과에서 ‘건축사(가)역량’에 대한 중요도가 우선순위 요인으로 평가되었으며, ‘법적규제 완화․적정예산․적정용역 기간’ 등 행정규제 완화의 중요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앞서 중요 영향요인 탐색을 통해 제시한 연구모형을 토대로 AHP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건축물 디자인 향상에는 디자인 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디자인 역량 강화가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향상에 중요하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제2계층의 갈등유형 중요도 산정결과에서 ‘건축사(가) 역량’ 가장 주요 요인이었으며 건축사(가) 역량을 강화하여 디자인 향상을 위한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공공 건축물의 디자인 향상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공공건축물의 디자인의 우수성은 디자인 역량에 기반하며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향상을 위해서는 건축사(가), 담당공무원, 심의위원 등 관련 전문가들의 디자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중.장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는 첫째, 디자인 향상을 위한 기초데이터 구축의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향상 관련 기초데이터 구축시 인천시에 기반을 두고 있는 건축사 등의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디자인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더 다양한 연구대상(타지역 건축사, 공무원, 일반인 등)으로 폭넓은 디자인 향상 위한 데이터를 연구하고 중요요인을 분석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의 범위가 인천광역시의 공공건축물에 한정함으로써 공공건축물 디자인 향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전국의 공공건축물에서 찾을 수 있는 디자인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인천 배다리 활성화 연구 : 도시경관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위인환 청운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도시는 물리적 공간과 인간의 다양한 활동이 융합되어지는 장소(place)로 정의하려는 경향이 지배적이며, 이 과정에서 도시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도시경관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지역의 정체성 수립을 위해 도시의 경관 이미지 형성은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사회․문화와 인간 활동 등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도시경관 이미지는 도시활성화에 중요요소 이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다. 특히, 도시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형성하는 비물리적 경관요소가 도시활성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 배다리의 도시경관 계획요소와 지역활성화의 관계를 규명하여 인천 배다리의 대표적 경관적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현장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관관련 문헌자료를 통해 도시경관의 이론적 개념과 물리적․비물리적 경관요소를 탐색하였고 기존 연구자료 고찰을 통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인천 배다리의 비물리적 경관요소를 도출하는 1차 설문과 본 연구를 위한 2차 설문을 실시하였다. 1차 설문은 2020년 3월 2일부터 3월 11일까지 현장설문 위주로 거주자와 비거주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물리적 경관요소(특화거리 조성, 건축물)와 비물리적 경관요소(옛문화, 근대역사자원) 총 4가지를 도출하였다. 2차 설문조사는 2020년 3월 30일부터 4월 14일까지 15일간 배다리 인지도에 대한 의식조사와 지역활성화 영향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재방문율, 지역인지도, 만족도 영향 요인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분석은 총 327부를 회수하여 유효부수 310부를 대상으로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다리의 물리적 경관요소인 특화가로는 배다리의 재방문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둘째, 배다리의 비물리적 경관 요소인 옛 문화는 배다리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배다리의 비물리적 경관 요소인 근대역사자원은 배다리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배다리의 비물리적 경관 요소인 옛 문화는 배다리의 방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배다리의 비물리적 경관 요소인 근대역사자원은 배다리 방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정책적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다리 지역 활성화를 위해서는 비물리적 경관 요소 중심의 경관계획 수립을 통한 도시경관 이미지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배다리의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거 문화재현과 역사성에 기반한 특화가로 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배다리의 지역 인지도 향상을 위해서는 배다리가 갖는 문화적 경관 요소와 근대역사자원을 지역활성화 계획에 활용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배다리의 방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문화적 경관 요소를 중심으로 하는 비물리적 경관 요소를 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도시의 물리적․비물리적 경관 요소와 지역활성화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인천 배다리 지역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제한적 연구범위를 갖는다. 또한, 특정 지역의 비물리적 경관 요소를 대상으로 제한적이고 지역성에 기반한 비물리적 경관 요소를 통해 지역활성화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연구의 일반화라는 관점에서는 본 연구가 갖는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좀 더 다양한 비물리적 경관 요소를 대상으로 후속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며 본 연구자가 연구기획‧의도한 연구목적과 완성도를 높이는 연구가 이어질 것이다. The perspective on modern cities is changing from merely viewing them as a physical object to a place in which the physical space is integrated with diverse human activities. In this process,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landscape has been emphasized for vitalization of the city. Creating a city's landscape image is a key element for establishing the regional identity. The urban landscape image that represents interactions among various societies, cultures, and human activities plays a crucial role in enlivening the city, but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correlation. To fill this gap,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determines how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which form the city's identity and image affects vitalization of the c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landscape planning elements of Incheon Baedari and the regional vitalization and come up with typical landscape elements of Baedari. Literature review, field investigation, and survey were used for the research. The theoretical concept of urban landscape and physical and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were explored using landscape-related literature, and the research trend was analyzed by reviewing existing research data. The survey was divided into the primary survey for revealing the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of Baedari and the secondary survey for conducting the main study. The primary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and visitors, mostly in the form of a field survey, from March 2 to 11, 2020. Four types of physical (specialized streets, buildings) and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ancient culture, modern historical resources) were derived. The secondary survey was conducted for 15 days from March 30 to April 14, 2020, and it comprised of an attitude survey on awareness of Baedari and a survey asking about factors affecting revisit rate, regional awareness, and satisfaction to reveal the factors affecting regional vitalization.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9.0 Program on 310 valid copies out of 327 copies retriev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pecialized streets, a physical landscape element of Baedari, was found to affect revisit rates to Baedari. Second, ancient culture, a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 of Baedari, was found to affect awareness of Baedari. Third, modern historical resources, a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 of Baedari, affected awareness of Baedari. Fourth, ancient culture, a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 of Baedari, affected the satisfaction in visiting Baedari. Finally, modern historical resources, a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 of Baedari, affected satisfaction in visiting Baedari. The implications and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regional vitalization of Baedari, it is necessary to build an urban landscape image with landscape planning focused on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produce the culture of the past and build specialized streets based on historicity to increase revisit rates to Baedari. Third, it is necessary to use the cultural landscape elements and modern historical resources of Baedari in regional vitalization planning to promote regional awareness of Baedari. Finally,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use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focused on cultural landscape feature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visiting Baedari. This study is relevant because it deter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hysical/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and regional vitalization and reveal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However, the study has a few limitations. The study has a limited scope as it set Incheon Baedari as the spatial scope. Moreover, by investigating regional vitalization through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that are limited and based on regionality, generalizability of the results may be subject to some constraints.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on more diverse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which will improve the intended research purpose and completeness.

      • 공동주택 타일공사 하자저감 방안

        이문환 청운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about ways to reduce defects in tile construction applied to apartment houses.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was divided into walls and floors within the household and limited to tile construction as interior materials applied to the walls and floors of bathrooms, living rooms, kitchens, porches, balconies, multipurpose rooms, outdoor equipment rooms, and evacuation rooms. In addition, the time rang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sites completed after 2019. This is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focusing on the relatively recently completed complexes, and in general, defects in tile construction are confirmed within five years after construction. The content scope of the study is established on the types of defects in tile construction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tile construction. Walls and floor defects in apartment houses were classified by type, the causes of each defect type were analyz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for the contents surveyed in the study. Tile construction defects account for 11% of all construction defects, and when defects occur, residents, contractors, and implementers are involved in defect disputes, resulting in time, economic, and environmental losses. There are four types of defects: peeling, peeling, lifting, cracking, and joint failure. Crack defects are the most common defects, and secondly, there is a blind spot. The causes of defects include defects in materials, non-compliance with open-time, poor background processing, non-compliance with mixing costs during construction, maltal, and poor filling of adhesives. To improve the defects of tile construction, the living room wall is equipped with a mesh with concrete wall + stone board surface, and epoxy is applied to the tile surface to be firmly attached, and elastic silicon is constructed on the joint of foreign materials such as ceiling, left and right. The second improvement is that in the case of living room wall tiles, the lower part is left 5-8mm and after construction, the reinforced floor construction is completed by jumping 3mm from the corner to finish the work with a gap caulking construction. As a third improvement, it was confirmed that improving the material mixing of epoxy adhesives could help reduce defects among the detailed improvements in the construction method tested in the field in addition to mesh reinforcement. Fourth, in order to reduce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the kitchen tile standard (300mm×600mm), an extinct adhesive was applied to the synthetic resin and additionally elastically reinforced silicone. The fifth improved compression method is based on the entrance tile standard (600mm×600mm), and after applying the mortar adhesive enhancer to the base surface, the compression cement is applied to the tile surface, and the compression cement is also spread and applied to the tile surface. Although additional data could not be converted, defects in the floating method should be improved by applying cement mortar to the base surface, applying compression cement to the tile back surface, and compressing it, and 100% filling around equipment such as faucet. Although this study is still insufficient to reduce the number of bathroom, living room, kitchen, porch, and other room tiles in apartment houses, more diverse construction methods should be applied to the field to continuously manage defect case data.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적용된 타일공사의 하자저감 방안에 관한 것으로,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세대의 타일공사로 한정하였다. 또한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9년 이후 준공된 현장으로 한정하였는데. 이는 비교적 최근에 준공된 단지를 위주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일반적으로 타일공사의 하자는 시공 후 5년 이내로 확인된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타일공사의 특성과 방법에 대해 살펴본 뒤 타일공사의 하자유형에 대해 정립한다. 연구의 대상에서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공동주택 세대 내 벽과 바닥 하자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하자유형별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에 대해 도출하였다. 타일공종의 하자는 건축 전체 공사 하자 중 11%에 달하며, 하자발생 시 문제점으로 입주민들과 시공사 및 시행사가 하자분쟁 소송에 휘말리게 되고 시간적‧경제적 손실, 환경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하자의 종류는 박리·박락, 들뜸, 균열, 줄눈불량 4가지가 있다. 가장 많이 발생하는 하자는 균열하자이고 두 번째로 줄눈불량이 있다. 하자의 원인으로 자재의 불량, 오픈타임 미준수, 바탕처리 불량, 시공 시 배합비 미준수, 몰탈 및 접착제 충진불량이 있다. 타일공사 하자 개선사항으로는 에폭시공법으로 거실벽체는 콘크리트벽+석고보드면으로 메쉬를 설치 후 에폭시를 타일면에 전면 바름으로 하여 견고하게 부착하며 천정장, 좌우 등 이질재 접합부위에 탄성실리콘을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두 번째 개선사항으로는 거실벽체타일의 경우 하단부 5∼8mm를 남겨놓고 시공 후, 강화마루시공을 코너에서 3mm 띄어서 작업한 뒤 틈새 코킹시공으로 마무리한다. 세 번째 개선사항으로는 메쉬보강에 추가적으로 현장에서 실험한 공법 세부 개선사항 중 에폭시접착제의 재료배합을 개선하는 것으로 하자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네 번째 개선사항은 주방타일 규격(300mm×600mm) 하자발생을 저감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에멸전계접착제를 도포하고 추가로 탄성 실리콘을 보강하는 것이다. 다섯 번째 개선사항으로 개량압착공법은 현관타일 규격(600mm×600mm)으로 바탕면에 몰탈접착증강제를 도포하고 압착시멘트를 바른 후 타일배면에도 압착시멘트를 펼쳐서 바른다. 추가적으로 데이터화하지는 못하였지만 떠붙임공법에 대한 하자 개선사항으로는 바탕면에 시멘트 몰탈바름을 실시한 후에 타일배면에 압착시멘트를 펴바르고 압착해서 시공하는 개량압착공법을 적용하는 방법이 있고 벽면뒷채움 시 수전 등 기구주변에 100%뒷채움이 되어야한다. 본 연구가 공동주택 세대 내 욕실, 거실, 주방, 현관, 기타실 타일하자를 줄이는데 아직은 부족할 수 있으므로 더 다양한 공법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하자 사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 醫療서비스의 品質 要因과 서비스價値의 因果關係에 關한 硏究

        김일권 인제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의 가장 중요한 불만 요인가운데 하나는 의료서비스의 이용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대기시간이다. 의료소비자들이 고급의료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고 건강권에 대한 의식이 제고되면서 대형종합병원에서의 대기시간이 점점 더 고질적이고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됨에 따라 모든 병원에서 대기시간의 단축을 위한 활동이 보편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의 품질요인과 서비스가치, 고객만족간의 인과관계를 검정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즉 의료서비스의 품질요인으로 대기시간, 대기시간의 활용, 대기의 공정성, 지연 사유 설명 및 수용가능성이 서비스가치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접근방법으로는 의료서비스의 품질요인과 서비스가치, 고객만족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정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고찰 및 3차에 걸친 사전조사 등을 통해 신뢰성 및 타당성이 확보된 병원에 적합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측정변수를 이용하여 연구모형에 따른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선형구조분석을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부산지역의 7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외래환자 256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료를 위해 대기하는 동안 시간활용이 잘되었거나 진료대기절차가 공정하게 이루어졌다 하더라고 지각된 대기시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대기시간 활용이 수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대기시간의 절차공정성은 수용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기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환자에게 이루어졌다 할지라도 지각된 대기시간을 줄이는 영향은 있으나 환자의 충분한 공감을 얻을 수는 없었다. 넷째, 환자의 충분한 공감에 따른 수용가능성은 지각된 대기시간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지각된 대기시간이 고객 만족과 서비스가치에 미친 영향을 검정한 결과, 지각된 대기시간이 고객 만족을 낮추었으나 서비스가치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고객이 공감하는 수용가능성이 고객만족과 서비스가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환자의 수용 가능한 범위가 고객의 만족을 증대시키고 나아가 서비스가치를 더욱 극대화 시켰다. 마지막으로 고객만족은 서비스가치를 더욱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진료절차가 공정하더라도 지연사유는 공감하지만 대기시간 단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실제 대기시간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기시간의 증가는 고객만족을 낮추고, 고객만족은 서비스가치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된 만큼 의료기관은 고객만족과 서비스 가치향상을 위하여 대기시간의 단축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실제대기시간의 단축에 역점을 두어야 하지만 불가피한 경우 지각된 대기시간의 단축에도 관심을 가지는 것도 중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중심단어 : 지각된 대기시간, 대기시간의 활용, 대기순서의 공정성, 지연설명, 수용가능성, 고객만족, 서비스 가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