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미술에 있어 ‘범생명적 초월주의’ 미술운동의 의의

        서양옥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711

        본 논문은 현대미술에 있어서 1990년대에 가장 큰 관심을 모았던 ‘범생명적 초월주의(汎生命的 超越主義)’ 미술운동에 관한 연구이다. ‘범생명적 초월주의’ 미술운동은 현대미술 그 자체에 대한 변혁은 물론이요, 사회 전체의 정신혁명 차원에서 일어난 초유의 미술운동이다. ‘범생명적 초월주의’ 미술운동은 1970년대와 1980년대 한국현대미술의 상황을 반성하고 극복하는 차원에서 평론가 임두빈의 주창으로 일어났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현대사회의 생명의 가치하락을 심각하게 성찰하고 그 회복을 위한 대안으로서 생명의 가치회복을 주장하고 나타난 미술운동이었다. 구체적으로는 현대문명의 상황에 대한 깊은 반성과 함께 1970년대 유행했던 한국미술의 극단적 추상화 경향이 초래한 소통의 부재현상과 1980년대 사회 참여적 미술이 보여준 협소한 유물주의적(唯物主義的) 시각을 반성하는 차원에서 생명의 가치를 회복하고자 나온 미술운동이었다. ‘범생명적 초월주의’는 현대 이론물리학의 성과와 성리학사상 및 동양사상의 새로운 해석을 바탕으로 하여 우주의 모든 존재가 거룩한 생명의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범생명관적 사상을 근간으로 한다. 이처럼 심오한 정신적 깊이와 사회적 책임 내지 역사적 사명감을 지닌 미술운동이 한국의 현대미술계에서 태동하고 전개되어 온 것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다. ‘범생명적 초월주의’작가들은 다양한 매체와 다양한 시각으로 작품활동을 전개했는데, 이들 작가들은 제각기 다른 다양한 양식적 특징을 지니고 작업을 했다. 이들은 5회의 그룹전을 열었는데, 제1회 창립전은 1990년 11월에 갤러리아 미술관에서 열렸다. 여기에 참여한 작가들은 임두빈을 필두로 강대철, 김영원, 김선회, 김윤화, 김근중, 김진두, 박종해, 정병국, 한만영, 함세진 등인데, 모두 평론가 임두빈에 의해서 선정된 작가들이다. 제2회전은 1990년 12월에 예술의 전당에서 열렸고 한만영, 박승규, 김영원, 정병국, 김진두, 김선회, 이호철, 박종해, 김근중, 임두빈 등이 참여하였다. 제3회전은 1992년 1월에 워커힐 미술관에서 열렸으며 여기에 참여한 작가들은 강대철, 김선회, 김영원, 김근중, 김진두, 오경환, 이석주, 임두빈, 박승규, 박종해, 박종훈, 김와곤, 이호철 등 총 13인이었다. 제4회전은 1994년 5월에 유나화랑에서 열렸다. 여기에 참여한 작가들은 강대철, 김선회, 김영원, 김근중, 김와곤, 김진두, 박승규, 박종해, 박종훈, 오경환, 이석주, 이호철, 임두빈 등 총 13인이었다. 특히 초월주의 3회 그룹전과 4회 그룹전에서 거행한 퍼포먼스는 수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키면서 문화예술계에 ‘생명가치 회복’이라는 중요한 문제를 널리 환기시킨 의미 있는 사건이 되었다. 그리고 2002년 7월에 공평아트센터에서 열린 제5회전에서는 <‘범생명적 초월주의’ 제2차선언>이 발표되었다. 여기에는 김재권, 강상중, 권순왕, 김진두, 박영율, 신은숙, 이목일, 임두빈, 차재홍 등 모두 33인의 작가들이 참여하였다. 이후, ‘다다(Dada)’예술운동의 발상지인 스위스 취리히(zürich)의 ‘카바레 볼테르(Cabaret voltaire)’에서 ‘범생명적 초월주의’ 그룹을 초청하여 <초월-동방의 빛 Transzendenz-das Licht des Fernen Ostens>이란 주제로 전시회가 열렸다. 한국 최초로 ‘초월주의’ 전시회가 카바레 볼테르에 초대되어 열렸다는 것은 ‘초월주의’미술운동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범생명적 초월주의’ 미술운동은 그 혁명적 이념으로 1990년대 문화계에 최대 화제를 불러일으키면서, 한국 현대미술에 생명의 문제를 최대 화두가 되게 하였으며 미술의 사회적 책임과 그 영향을 새롭게 각인시킨 뜻깊은 미술운동이었다.

      • 소외계층의 문화예술 향유권 확대를 위한 재원확보 방안 연구 : 개인 기부를 통한 재원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김성연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right to enjoy culture and arts of the underprivileged should be guaranteed in terms of fundamental rights and for this it objects for securing finances by promoting individual contribution since stable and continuative cultural support is difficult relying on national treasury. South Korea's intensified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due to economic polarization affected on inequality of enjoying culture and arts also as global positioning and attention on culture and art gets increased, cultural deficiency of the underprivileged are relatively getting worse. The right to enjoy culture and arts are essential elements of the human rights and it should be guaranteed as the fundamental rights. Cultural deficiency of underprivileged are not only affecting on enjoying culture, but also affects on developing own interests prior to participate in cultural and arts activity. And this could cause narrow based on popular preference which is easy and getatable. In terms of simple supply and demand, unpopular culture and arts can be easily lag behind, thus to transmit culture and arts traditions for future generations and to be creatively developed, there should be a political support for the underprivileged to enjoy culture and arts and this could form social equity. The present government which established in February this year, selected 'culture prosperity' as one of the four government administration basis, and settled 'secure 2% of cultural finances', 'ravel the culture gap' as a subject. But in addition to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large scale of exigent budget projects for public welfare, stabilization and welfare in each divisions are increasing, thus diverse financing besides national treasury are demanded. In case of western welfare states, while on the economic recession, non profit organizations substituted the role of government and financial resources for this were provided by spontaneous contributions from privates. Assessing actual condition of South Korea's current donations based on taxation materials for income tax deduction application, private donations show higher portion than corporations donations, however most of donations are converged to a religious groups and social welfare organs rather than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Thus, I suggested the following as the measures to promote individual contributions for expanding right to enjoy culture and arts for underprivileged. Firstly, substitute labor costs by activating talent donation which induces voluntary participation of privates, and establish the national matching system by producing regional manpower pool for practical using. Secondly, reinforce the benefits of donation by taxation policy supporting and intensified incentives for donors. Thirdly, publicize the advantages of donation by searching model cases and establishing the public benefit donation brand. Fourth, activate crowd funding which is able to donate a small sum of money by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reinforce online service to make individuals easy and comfortable of donation by establishing donation portal website which can search the designated donation for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 Lastly,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beneficiary organization is enhancing the management of contributions and procure transparency for obtaining the trust. Also introduce the concept of marketing service and thoroughly administrate the donors to avoid a one-off donation for individuals and at national level, endeavor is needed to procure transparency by supporting periodic consulting to the cultural and arts organization. Embrace the underprivileged and produce the cultures together from the participation of nation by themselves gratifies concept of 'Culture' itself, and by collaborating with government policies this could lead to the culture prosperity. 본 연구는 소외계층 대상의 문화예술 향유권이 기본권의 측면에서 보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국고에 의존해서는 안정적이고 계속적인 문화재정 지원이 어렵다는 점에 착안하여 개인 기부를 촉진하여 재원을 확보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제적 양극화로 인한 빈부격차 심화는 문화예술 향유에 있어서도 불평등을 초래하였고,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국제적 위상이 높아질수록 소외계층의 문화적 결핍은 상대적으로 심화되고 있다. 문화예술 향유권은 인권의 주요 요소이며, 기본권으로서 보장되어야 한다. 소외계층의 문화적 결핍은 문화 향유의 영역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활동 참여 이전에 취향을 계발할 기회마저 누리지 못하게 되어, 쉽고 접근하기 편한 대중적인 선호로의 쏠림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단순한 수요공급의 측면에서 보면 대중적 인기가 부족한 문화예술분야는 도태되기 쉬우므로, 문화예술 전통이 후대에 전달되고 창조적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소외계층도 문화예술 향유권을 누려 사회적 형평성을 이룰 수 있도록 정책적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올해 2월에 출범한 현 정부는 4대 국정기조 중의 하나로 ‘문화융성’을 정했고, 과제로 ‘문화재정 2% 확보’, ‘문화격차 해소’ 등을 설정했다. 하지만 문화체육관광부 이외에도 각 부서들의 민생, 안정, 복지에 대한 대규모 시급예산 사업들은 점차 늘어가고 있어, 국고 이외의 재원확보의 다양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서구의 복지국가들은 경기침체 중에도 복지제도를 유지하기 위해 비영리조직이 등장하여 정부의 역할을 대신하였고, 이 재원은 민간의 자발적 기부를 통해 마련되었다. 우리나라의 현재 기부 실태는 소득공제를 신청한 세무자료를 기준으로 개인의 기부금액이 기업의 기부금액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지만, 기부처가 종교단체나 사회복지 분야로 몰려있어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기부는 미비한 수준이다. 이에, 소외계층의 문화향유권 확대를 위한 개인기부 촉진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민간의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재능기부를 활성화시켜 인건비를 대체하고 지역별 인력풀(Manpower Pool)을 만들어 전국 매칭 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한다. 둘째, 조세정책을 통한 지원과 기부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여 기부에 대한 혜택을 강화한다. 셋째, 기부 모범사례를 발굴하고 공익 기부 브랜드를 제정하여 기부에 대한 편익을 홍보한다. 넷째, 다수의 시민들이 소액으로도 기부할 수 있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을 활성화하고, 기부 포털 사이트를 구축하여 문화예술 지정기부금 단체를 분야별로 검색할 수 있는 등 개인들이 쉽고 편하게 기부 할 수 있도록 온라인서비스를 강화하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점은 기부 수혜단체가 기부금 관리를 강화하여 신뢰를 얻기 위한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개인들의 기부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도록 마케팅서비스를 개념을 도입하여 기부자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하고, 정부 차원에서도 문화예술단체에 대해 컨설팅을 주기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투명성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민 스스로의 참여를 통해 소외계층을 감싸 안고 함께 문화를 만들어 가며 누리는 것이야말로 ‘문화’의 개념 그 자체에 부응하며, 정부 정책과 맞닿은 문화융성으로 가는 길이 될 것이다.

      • 한국 미디어 아트 작품연구 : 백남준을 비롯한 주요작가를 중심으로

        김민주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A Study and Analysis of Korean Media Art Work - Centered on Nam June Paik and Other Major Artists - Kim Min Ju Department of Cultural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e, Arts and Design Gallery and Museum Administration Studies Dankook University Advisor Professer : Im Doo Bin The merging of science and arts have enhanced the human experience with media as an art. Media art differs from the others in that it portrays movement in a lively manner. This research aims to reevaluate the works of individual Korean media artists and thus understand their role in the history of media art. The selected artists for this research are Nam June Pak, Gu Rim Kim, Hyun Gi Park, Jae Kwon Kim, and Young Gil Im. Nam June Paik is commonly known as the founder of video art. With the usage of video in place of brush and canvas, he has opened up a new pathway for art to unfold. The media art today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need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rt and its viewers. Nam June Paik used scientific technology to transform video into a new genre of art. By using technology beyond its ordinary usage in science, he actively portrayed his ideas and perspective on the complications and creativity of culture. Gu Rim Kim was never bound to one single genre. He used a variety of medium from surface, to installation, performance, and video art to intrigue the meaning of existence. Hyun Gi Park put eastern oriental identity into his video work and thus paved a way for Korean art to maintain its identity and place in the midst of western influence. He defined his own color by working based on meditation. Jae Kwon Kim was a pioneer in the usage of laser art in Korea. He used video, performance, and surface to ask the question on meaning of life. Young Gil Im creatively exhibits the hidden meaning of objects on images put on technolog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ed. Although each of the five artist express their creativity in different manners, the common ground for them is the desire to communicate with viewers through medium. They each convey a peculiar message in their own mediums, and understand the concept of art through the medium they work with. Thus contemporary technology art can be seen to carry a new message through the medium itself, in other words the medium has a message of its own. These artists are pioneers of Korean Contemporary art specifically in the area of media art and avant-garde artists who seek new methods of artistic communication. (국문초록) 한국 미디어 아트 작품연구 - 백남준을 비롯한 주요작가를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화관리학과 미술관·박물관 경영 전공 김 민 주 지도교수 : 임 두 빈 오늘날 예술과 과학의 만남은 인간의 삶 속에서 미디어의 예술적 가능성을 더욱 풍요롭게 해주고 있다. 미디어 아트는 보다 생생하게 예술적 행위를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일반 아트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 미디어아트 작가 개인의 작업을 다시금 재조명해보고 이를 통해 미디어아트의 전개 과정에 있어서 그들이 차지하는 의미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연구를 위한 미디어 아트의 주요 작가로써 본 연구자는 백남준, 김구림, 박현기, 김재권, 임영길 등을 대상으로 했는데, 백남준은 최초의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로써 붓과 캔버스를 대신하여 비디오로 새로운 예술이 가능함을 보여준 최초의 작가다. 오늘날 미디어아트의 탄생은 관객과 능동적인 상호 소통을 위한 예술의 탄생이라고 볼 수 있다. 백남준은 과학적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과학이란 차원을 넘어서서 비디오를 새로운 예술 장르로 승화시켜 문화의 다양성과 창조성에 대한 작가의 사상과 시각을 적극적으로 표현한 작가였다. 김구림은 하나의 장르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폭넓게 활동해왔다. 그는 평면작업과 설치 작업, 퍼포먼스, 비디오 아트를 포함한 영상작업을 다양하게 구사하면서 존재의 의미를 묻는 작업을 심층적으로 전개해온 작가다. 박현기는 동양적 정신을 담은 비디오 작업을 선보이며 서구미술의 영향 가운데 한국미술의 정체성과 현대성을 갖출 수 있는 길을 모색하였으며 명상적인 작업으로 개성적인 작품을 만들어 내었다. 김재권은 한국 최초에 레이저 아트를 선보인 작가로써 비디오아트, 퍼포먼스, 평면작업 등을 다양하게 전개해온 사람이다. 그는 다양한 시각으로 존재의 의미를 묻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임영길은 사물의 숨은 의미를 테크놀로지에 이미지를 창의적 방법으로 나열해 관객에게 보여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한국 주요 작가 다섯 명의 미디어아트 작가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끈은 매체를 통한 관객과의 소통이다. 그러나 작가들마다 창작 방법론은 다양한 현상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주제 면에서 예술가들이 수용하고 있는 각 매체 속에서 나름대로 독자적인 메시지를 창조하게 되며, 매체 내부의 독자적인 논리에 의해 예술적 개념을 수용하게 되는데, 현대 테크놀로지 예술에서 매체는 그 자체가 새로운 종합적 인식의 전달 매체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들은 한국 현대미술에 새롭게 대두한 미디어 아트의 선구적 작가들로써 대중과의 새로운 예술적 소통을 모색하는 전위적 예술가들이라고 할 수 있다.

      • 장욱진 작품에 나타나는 아동화적 특성 연구

        김정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Chang Uc-Chin(1917-1990) is a famous modern artist with Lee Joong-Seop and Park Soo-Keun; and he is a painter of the western painting group of Korea in the early generation. Going through the rapidly changing domestic situations -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and the turbulence of the time in the art history of Korea , he had created his own artistic perspective through about 60 years of his career. The world of Chang Uc-Chin's works has many similarities with children art. In his works, the elements of children art can be found : simplified form expressions, the style of painting with remarkable primary colors, the features of graffiti art in his pictures drawn in maker, simultaneous expressions of space-time, and subjective themes. It is noteworthy that even if he was open-minded about the flow of modernism which was introduced into modern art of Korea in the initial period, he constructed the unique childlike world not focusing on any trend. Among the modern paintings which has the qualities of children art, this study analyzes the world of Chang Uc-Chin's works with him as the center who made the unique world based on the similarities to children art in modern art of Korea. It also examines, with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art, how the features of children art appear in his paintings , and it studies the relations of express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operties of children art in his works. It researches his backgrounds of the times and the changing process of his artworks for drawing the elements of children art from his. The changing process is divided into 4 parts : 4 residences where he lived, and the specific analysis is in Chapter 3. It looks into the features of children art first for analyzing his artworks, and studies the fla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rt splitting these into spatial and form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study, the features of children art in his works are found in various aspects : lines and colors like graffiti, self-centered portrayals, subjective spatial expressions, symbolic figures and representations, baselines, synchronism and fold over view. He creatively shows his own world of art simplifying natural and indigenous objects egocentrically, and his thought of art has great educational value in modern art in Korea. Using the elements of children art in his works, he also provides their own worth for children : Kids' poor drawing expressions are not simply unskilled techniques but things which has potential artistic merit. In art education for children, therefore, his works have great significance to give them confidence and arouse their interest. 장욱진(張旭鎭, 1917~1990)은 우리나라 서양화단 초창기 세대에 속하는 인물로서 이중섭, 박수근과 더불어 큰 사랑을 받고 있는 현대화가 중 한명이다. 그는 일제 식민지와 6.25내전 등 급변하던 시대상황과 한국 미술사의 시대적 격동을 함께 겪으며 60여 년간의 작품 활동을 통해 그만의 독특한 예술적 관점을 형성했다. 장욱진의 작품세계는 아동의 그림과 많은 유사점을 지니고 있다. 장욱진 작품에서 나타나는 단순화된 형태의 표현, 매직그림에서 나타나는 낙서화적 특징, 원색위주의 표현, 해와 달이 함께 묘사된 시공간의 동시적 표현 그리고 주관적 내용의 주제들에서 아동화적 요소를 발견 할 수 있다. 이처럼 장욱진이 한국 현대화단 초창기에 유입된 다양한 모더니즘 미술의 흐름에 개방적 자세를 취하되 어느 한 사조에 빠지지 않고 독특한 동심의 세계를 구축하였다는 것은 주목할 만 한 점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아동화의 특성을 지닌 현대회화 중 한국근대 미술에 있어 아동화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독특한 동심의 세계를 구축한 장욱진을 중심으로 작품 세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아동미술의 이해를 통해 아동화가 지니고 있는 특징들이 그의 회화에 어떤 유사한 표현들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그의 작품 속에 아동화적인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표현상의 관련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장욱진 작품에서 아동화적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서 장욱진의 시대적 성장 배경과 장욱진 작품의 변화 과정을 연구 하였다. 작품의 변화 과정은 기거하던 네 곳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구체적 분석은 3장에서 이루어 졌다. 장욱진 작품분석을 위해 우선적으로 아동화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아동화의 평면적 특성을 공간적 특성과 형태적 특성으로 나누어 연구 하였다. 이를 토대로 장욱진 작품에 나타나는 아동화적 요소는 낙서적인 선과 색, 자기중심적 표현 및 주관적 공간표현, 상징적 표현 및 도형, 기저선의 표현, 시공간의 동시적 표현과 전개도식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장욱진은 자신을 중심으로, 자연적이며 향토적인 소재를 아동화적인 표현으로 대상을 단순화 했다는 점에서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독창적으로 표출했다고 할 수 있으며, 그의 예술 사상은 한국 근대 미술에 있어 교육적 의미가 크다. 또한 장욱진은 아동화의 요소를 자신의 작품에 사용함으로써 아동의 서투른 조형 표현을 단순히 미숙한 표현으로 치부하지 않고 잠재적 예술 가치를 지닌다는 자신감을 제공해 주었고, 더불어 유아동의 미술교육을 실시하는데 자신감과 흥미를 신장시킬 수 있는 동기유발 자료로서도 의의가 있다.

      • 1970-80년대 낙서화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 : 장 미셸 바스키아와 키스 해링을 중심으로

        김다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낙서화의 표현 형태는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시각 기호로써, 시대의 메시지이자 그것이 상징하는 문화를 대표하는 고정물로 작용한다. 낙서화가들은 또 다른 어휘로써 함축적인 기호와 도상을 갖는 상징적 이미지를 만들었다. 이러한 상징적 이미지는 작가는 작품을 통해 내부에서 외부로, 불가시적인 형태에서 가시적인 형태로 끌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감상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시각화의 결과를 바탕으로 작가와 자신, 혹은 자신과 자기 내부와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미술이 가지는 중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시각화를 통한 소통이다. 이런 의미에서 낙서화에 나타난 상징성 표현의 연구를 통해 대중과의 소통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는지 분석하여 그들의 내면세계를 공유할 수 있는 미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1970-80년대를 걸쳐 활발하게 진행된 미국의 낙서화는 단순한 낙서가 미술로서 생명력을 지닐 수 있게 한 최초의 경향이었다. 미술은 당시의 사회, 문화의 복합적인 영향 속에서 탄생하는 시대적 산물로 한 사회가 갖는 시대적 이데올로기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1970-80년대 미국 낙서화 작품들이 논문의 연구 대상이 된 것은 이러한 점이 낙서화에서 두드러짐을 주목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1970-80년대 시대, 사회적인 맥락 속에서 낙서화에 나타나 있는 상징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어떠한 바를 말하고자 했는지 의미전달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먼저 낙서의 이론을 통해 낙서가 어떠한 형태로 존재해왔는지 밝히는 과정으로 낙서화가 조형적으로든 의미적인 측면에서든 자유로운 표현이 기본적인 속성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1970-80년대 미국의 시대, 사회적 배경은 낙서화가들에게 표현의 자유를 자극하였고 이러한 배경은 미술계에 있어서도 다원적인 경향의 대중적인 낙서화가 꽃 필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낙서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상징적 표현들이 어떤 의미와 형태로 발현되는지 동시대 미국의 대표 낙서화가 장 미셸 바스키아와 키스 해링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그들은 대중들이 이해하기 쉬운 대중문화와 소비문화에서 파생된 일상적인 도상들을 도입하여 자본주의를 비난하고 인종차별주의에 관한 문제점과 성과 마약, 범죄 등의 사회적 이슈를 이미지화한 메시지들로 승화시켰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다. 이것은 주류사회에 대항하는 반항의 표현이자 주류사회가 가하는 사회적 압력 등 그들이 처한 현실을 반영하는 상징적 언어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낙서화는 소수계층에 대한 억압과 사회의 시선들을 상징적으로 표출해 내며 단절되고 고독한 현대사회에서 대중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사회비판적 시각을 열어줄 뿐만 아니라 사회의 여러 사람들과 미적 대화를 나누고 교류하며 궁극적으로 소통을 이루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visual sign which anyone can easily recognize, a form of expressing a graffito functions as a message of the age and fixture representing the culture it symbolizes. By another vocabulary graffiti painters made the symbolical images with implicit signs and icons. Such images allowed the artists to play the role of drawing through their works what were inside to outside, invisible forms to visible ones, which enabled appreciators to communicate between the artists and themselves or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insides based on the result of such visualization.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intrinsic to fine art is just the communication through visu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 what form the artists communicate with the populace through studying the symbolic expressions shown in graffiti in such a sense, and form the aesthetic basis on which their inner worlds can be shared. The American graffiti which had actively made progress throughout the 1970s and 1980s were the first tendency which enabled a simple scribble to have the vitality as fine art. As the age product which is born in sociocultural complex influences at that time, fine art is inseparably related to the age ideology one society has. This thesis studied the American graffiti during the period, for it noticed that such a respect was remarkable in the works. Thus, it noticed and explored what meaning and in what method the symbolism shown in the graffiti conveyed in the age and social contexts during the period. It used the method of study that, first, it clarified through the theory of scribble in what form scribbling had existed. As a result, It confirmed the fact that graffiti had the basic attribute of free expression whether plastically or in the aspect of significance. Also, the American age and social backgrounds during the period stimulated graffiti painters to have the freedom of expression. I could know that such backgrounds motivated popular graffiti of plural tendencies to prosper also in the circles of fine art. I had concentratively analyzed the works of typical American contemporary graffiti painters Jean Michel Basquiat and Keith Haring to explore in what senses and forms the symbolical expressions appearing commonly in graffiti were revealed. Through it I could know that they had commonly introduced the daily icons derived from the popular and consumptive cultures the people could easily understand, criticized capitalism and sublimated into the messages made images the problems about racism and the social issues such as sex, drug and crimes. I could also know that it was the expression of opposition against the mainstream society and symbolic language of reflecting the reality in which they were placed, including the social pressure the society gave. In conclusion, graffiti may be said to be very significant in that by expressing symbolically the oppression against and social eyes for the minority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y were lonely separated from others, they not only allowed the people to have a viewpoint from which to criticize the society but to have an aesthetic conversation with the various people in the society, exchange with them and ultimately communicate with them.

      • 한국 불상조각의 변천과 현대 불상조각의 발전 방향 연구

        김정숙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and Buddhist images to Korea in the second half of the 4th century, not only did the propagation of Buddhist doctrine have a great ideological impact but the inflow of superior Buddhist art als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cultural development. Korean Buddhist art developed and transformed as the inherent culture and tradition of each region came together, and Buddha statues in particular have developed as the creative style of each time period was formed. The Buddha statue is the cast representation of Buddha, the Enlightened One, as a religious icon. The Buddha statue uses sculptural style to represent Buddhist truth, and arising from that symbolic meaning it traditionally became the object of religious Buddhist worship. However, as modern artists interpret this type of Buddha statu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own ways of thinking, through each one's convention and method they create new meanings for the Buddha statue. As an object of worship, the Buddha statue shows various changes in meaning and style according to the social environment and cultural values of the respective time period. Buddha statue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pursued mysteriousness, while those of Unified Shilla sought a more refined look, emphasizing realistic representation rather than sculptural style. More than reaching a depth in these elements, those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seem to have become secularized. From a formal aspect, remarkable aesthetic achievement has not been discovered in the Buddha statue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they lack depth in content . Meanwhile, in the modern Buddha statue, what stands out is an individualized style that considers more the artist's individuality and values. Kwon Jin Kyu's Buddha comes from his inner self, Kim Kwang Jin's Buddha is the embodiment of existence, life, and truth, Kang Dae Cheol's Buddha is an eternal seeker of truth, and Bae Hyung Kyung's Buddha is a human experiencing alienation, loneliness, psychological conflict, life and death. Each artist has represented Buddha as the meaning of existence. In this way, today it can be seen that the Buddha as a religious representation has changed into an artistic expression that reveals the sculptor's personal experience and aesthetic intent, and the artist's inner world. This thesis makes several proposals regarding the direction of the modern Buddha statue that will keep it alive by maintaining the historical, idealogical, and artistic values of the Buddha statues that have changed with the transitions of each time period. First, to revive a traditional sense while creating Buddhist sculpture with a modern and refined sense, there must be greater creativity. Second, by critically accommodating foreign culture, fitting our aesthetic consciousness, taste and values of our time, we must recreate as our own culture that which is not an imitation. Third, in order that established modern artists may exercise theory and practice at the same time, there must be an increased emphasis on the effectiveness of artist training and management. Buddhist sculpture may be considered the greates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al heritage and one of the most beautiful artistic forms. Hence,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form and significance of the Buddha statue from ancient through modern time periods, and furthermore considered the direction of modern Buddha statues that will contribute to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Buddhist art. 4세기 후반 불교의 도입과 더불어 한국에 불상이 전래되면서 불교 교리의 전파로 사상적인 면에서 큰 영향을 끼쳤을 뿐 아니라 동시에 우수한 불교미술의 유입으로 문화적인 발전에 또한 크게 기여하였다. 한국의 불교미술은 각 지역의 고유문화와 전통이 융합되어 발전, 변모해 왔었는데 특히 불상조각은 시대별로 그 독창적인 양식이 뚜렷하게 형성되어 발전해 왔다. 불상조각이란 부처(佛陀 Buddha), 즉 깨달은 자(覺者)를 조형적으로 형상화한 종교적 상징물이다. 불상조각은 불교의 진리를 조각이란 양식을 빌어 조형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그 상징적 의미로 인해 전통적으로 불교에서 예불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불상조각을 현대 작가들은 자신의 예술적 발상에 의해 다양하게 해석하여 각자 고유의 형식과 방법으로 불상 조각의 의미를 새롭게 창출해 내기도 한다. 예불 대상으로서의 불상은 시대의 사회적 환경과 문화적 가치관에 의해 그 의미와 양식에 있어 다양한 변화를 보인다. 삼국시대의 불상조각은 신비성을, 통일신라는 조각양식에 있어 보다 사실적인 면에 역점을 두면서 더 세련된 모습을 추구했고, 고려시대는 이상을 향한 깊이 보다는 오히려 속화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불상조각의 형식적면에 있어서 두드러진 미적 성취가 발견되지 않고 또 그 내용면에서도 별 깊이가 없었다. 한편 현대 불상은 작가의 개성과 가치관을 중시 여기는 개성 중심적 불상조각 양식이 돋보인다. 권진규는 작가 자신의 내면으로서의 부처, 김광진은 존재, 생명, 진리의 담지자로서의 부처, 강대철은 영원한 구도자로서의 부처를, 배형경은 인간이 겪고 있는 소외와 고독, 심리적 갈등과 삶과 죽음 등 존재의 의미로서 부처를 각각 표현하고자 했다. 이처럼 현대에 와서는 종교적 표상인 불상이 조각가의 개인적 경험과 미학적 의도, 그리고 작가 고유의 정신세계를 나타내는 예술적 표상으로 변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이렇게 시대적 변천과 함께 변화되어왔던 불상 조각의 역사적, 사상적, 예술적 가치를 유지하면서 그 맥을 이어가기 위하여 현대 불상조각이 지향해 나갈 방향에 대하여 몇 가지 제안을 해 보았다. 첫째, 전통적 의미를 살리면서도 세련미 넘치는 현대 감각의 불교조각을 창조하기 위해 더 많은 창의성이 더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외래문화를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우리의 미의식과 기호와 시대적 가치관에 맞게, 모방이 아닌 우리 고유의 것으로 재창출하여야 한다. 셋째, 현대의 기성작가들이 이론과 실기를 동시에 훈련할 수 있도록, 작가 양성과 관리의 효율성 증대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불교 조각은 가장 위대한 우리의 전통 문화유산이자 제일 아름다운 예술 형식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별 불상 조각의 형식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더불어 불교예술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현대 불상조각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 한국도예전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2015~2017년 전시를 중심으로

        이태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Exhibits of modern museums provide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relics and art pieces to the public from the past and have developed them as the medium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is paradigm shift of exhibits are now engaging in various studies to study of presentation methods which induce active participation and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One of such is to utilize various supplementary mediums, such as photos, videos and sound which can stimulate visual interest in the exhibit,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in interactive exhibits, themed exhibits and participating exhibits which the exhibits stimulate the five senses rather than simply providing visual exhibits. In the present day, ceramic exhibits are also introducing various presentation methods.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ceramic exhibits are utilizing various images, videos, media and virtual reality, and there are also exhibits which utilize the sense of smell, hearing and touch. However, the utilization of various supplementary mediums and reinforced exhibition methods are limited to large scale exhibits such as those held in museums and biennales, and it is difficult for galleries and private museums to introduce them in their limited ceramics exhibit spaces.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examples of exhibition methods utilized in ceramics specializing museums and biennales to identify the supplementary mediums and their utilization, and to allow various organizations to plan interesting ceramics exhibits by referencing this study. The examples used in this study are selected among exhibits held in ceramics museums, global ceramics biennale, ceramics exhibits at the National Musuem of Contemporary Art, galleries and alternative spaces. This study also categorized supplementary mediums according to their function and type, and attempted to identify the historical change by reviewing the trend in ceramics exhibits. In conclusion, in order to diversify ceramics exhibits and to attract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it is necessary to aggressively utilize supplementary mediums, reinforce functional aspects of the exhibits and engage in 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현대의 미술관과 박물관의 전시는 과거 유물 및 미술작품의 정보와 지식을 대중에게 제공하고 전시를 통해 대중을 교육하는 정보 전달식의 개념에서 발전하여 전시를 매개로 한 관람객들과의 상호 간 소통을 주목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전시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맞춰 최근의 미술전시는 관람객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원활한 소통을 꾀하기 위해 다양한 전시 연출방법을 연구하고 시도하고 있다. 이에 따른 방법으로 시각적으로 흥미를 끌 수 있는 사진, 영상, 소리 등의 다양한 보조매체를 활용하여 전시공간을 연출하고 상호작용적 전시, 테마적 전시, 참여적 전시 등의 다양한 기능의 전시를 기획하여 관람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눈으로만 보는 전시가 아닌 오감을 자극하는 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현대 미술전시의 흐름과 함께 오늘날 도예전시에서도 다양한 연출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현대 과학기술의 발달로 전시에서 그 활용이 다양해진 사진, 영상, 미디어, 가상현실 등의 매체와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후각, 청각, 촉각 등의 오감을 자극하는 전시가 개최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보조매체의 활용과 기능이 강화된 전시방법은 일부 도자전문 미술관, 박물관과 비엔날레와 같은 큰 규모의 공간에 국한되어있고 갤러리와 사립박물관 등 다수의 도예전시 공간에서는 그 활용을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예전문 미술관, 박물관, 비엔날레 등의 전시사례에서 전시연출을 위해 사용된 보조매체의 활용과 기능이 강화된 전시방법을 연구하고 정리함으로써 좀 더 다양한 기관에서 본 논문을 참고하여 흥미로운 도예전시를 기획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시 사례는 도예미술관 및 박물관, 세계도자비엔날레와 더불어 국립현대미술관의 도예부문 전시 그리고 갤러리와 대안공간에서 개최되었던 전시를 선정하였다. 또한 도예전시에서 활용될 수 있는 보조매체와 기능적, 형식적 전시를 분류하였으며 도예전시역사의 양상을 알아봄으로써 도예전시의 대략적인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앞으로 도예전시의 다양화와 대중들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보조매체를 적극 활용하고 전시의 기능적인 부분을 강화하여 관람객들과 적극적인 소통을 이루어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 장 뒤뷔페의 반문화적 예술과 범세계적 영향력 확산

        김지명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전통과 제도는 물론 자신의 창작에서도 자유로워지고자 했던 장 뒤뷔페(Jean Dubuffet)는 모든 가치관의 붕괴 시기에 기존의 예술관을 전복하며 등장한 예술가였다. 뒤뷔페 예술에서의 저항정신은 시대의 사상적 조류와 함께 출현한 것이었다. 양차 대전 이후 서구식 이성주의와 논리주의가 무너지고 인류의 존엄은 파국을 맞았다. 인류는 과학에 대해 맹신하고 이성을 과신하던 그동안의 세계관에 환멸을 느꼈고, 폐허와 원점으로부터 재출발을 추구하며 전전(戰前)의 가치로부터 탈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샤르트르(Jean Paul Sartre)와 칼 융(Carl Gustav Jung), 레비스트로스(Claude Lévi-Strauss),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Ponty), 바타이유(Georges Bataille) 등에 의해 기존 질서를 부정하고 새 방향을 모색하는 많은 담론들이 태동하게 되었다. 뒤뷔페의 예술세계도 역시 본능적이고 원시적인 요소, 비미술적인 재료 도입으로 전후 변혁적 사회 흐름에 동참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으로 뒤뷔페 작품의 사회적, 철학적 배경을 요약하고, 그의 주요 작품들 중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요소들을 범주화한 후 각각을 고찰하며,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그의 영향력 확장을 정립하였다. 그 결과 그의 작품을 전반적으로 아우르는 특성을 ‘거친 물질의 힘’, ‘추한 아름다움’, ‘멈추지 않는 탐구’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그의 작품에서 많이 등장하는 마띠에르가 두드러진 오트 파트(Hautes Pâtes), 파트 바튀(Pâtes Battues) 작품, 폐기된 물질에 저항적 정신을 드러낸 메시지와 벽 시리즈, 자연의 날것의 물질성 그 자체를 지향했던 아쌍블라쥬(Assemblage) 작품 등은 타작가들에 비해 더욱 재료 고유의 물질성과 거친 표현법으로 야생적 사고를 강하게 표출하였기에 그의 전반적인 표현 유형을 ‘거친 물질의 힘’으로 명할 수 있었다. 또한, 변형되고 어긋난 형태와 재질, 색상을 자유롭게 구사하며 기존의 균형과 비례, 욕망의 대상인 미에 대한 관념을 벗어나고, 미와 추의 이항대립적 사고를 해체하며 추라고 치부되고, 버려졌던 것들의 권리회복과 나아가서는 부정된 미를 찾아주기 위한 그의 아방가르드적인 시도를 ‘추한 아름다움’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아울러 초기에는 평면작품으로 시작하였지만, 시간이 지나며 점차 평면과 입체, 건축적 요소가 결합한 우를루프(L’HOURLOUPE) 시리즈, 음악적 요소와 무대 공연예술 혼합 장르인 꾸꾸 바자르(COUCOU BAZAR) 등 끊임없는 탐색과 도전, 영역의 확장에 대한 내용들을 ‘멈추지 않는 탐구’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그의 시도들이 동시대, 혹은 후대에 전 세계에 미친 영향도 함께 살펴보았다. 북유럽에서는 코브라그룹에 참여한 예술가들이 주도적으로 뒤뷔페의 아르 브뤼 예술과 재료적 탐구를 수용하였고, 여기에 북유럽의 신화 및 원시미술에 대한 관심이 혼융되며 야스거 욘(Asger Jorn), 카렐 아펠(Karel Appel) 등에 의해 원시적 주제와 거친 물성이 드러나는 작품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사회적 배경이 상이했던 미국에서는 유럽의 전통적인 아카데믹한 미술 경향 보다 그의 반문화적인 예술사상이 강연과 저술 형태로 수용되었고, 이에 따른 표현기법이 광범위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일상적 용품을 예술적 오브제로 제시한 클라스 올덴버그(Claes Oldenburg), 우를루프 시리즈의 무한 증식의 조형방법과 궤를 같이하는 키스 해링(Keith Haring)의 작품, 원초적인 색채와 형태의 바스키아(Jean-Michel Basquiat) 작품 등이 뒤뷔페의 영향을 짙게 받았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또한, 칼 융의 집단 무의식이라는 분석틀로 한국의 앵포르멜 운동과 뒤뷔페 작품이 상호 심리적 배경이 유사함을 추적하였고, 전쟁의 참상을 겪은 예술가의 고통스러운 내면을 표현한 박서보와 김창렬, 상처의 치유제로써 앵포르멜 회화를 도입한 윤명로와 남관, 하종현, 하인두, 비미술적 재료 도입과 마띠에르 효과를 극대화한 최영림의 작품 등에서 그가 끼친 영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물론 뒤뷔페 예술의 수용과 발전은 각국의 지정학적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르게 수용되며 서로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장 뒤뷔페의 예술세계가 심화되는 과정을 수직적으로 탐사하였고 그의 영향력이 범지구적으로 확산되는 수평적 과정을 함께 통시적으로 파악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장 뒤뷔페의 창조적 예술세계와 끊임없는 탐구성은 기존 예술 경향을 타파하였고, 미에 대한 지평을 넓혔으며,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과 자극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