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형예술에서 드러나는 융의 원형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설애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researcher’s artwork applies the concept of Archetype by Carl Gustav Jung (1875-1961) and the concept of power in objects as understood by our ancestors. The wonderful world of our universe cannot be perfectly described. In order to understand nature the ancients invested with a mysterious power something that could be recognized but could not be perfectly described. Humanity started to contemplate the matter of existence by confronting the vast universe and solemn nature, leading to the dream of immortality and eternal life from the power perceived within all creation. These ideas are based on the ancients’ view of death that believed in reincarnation through the memory of our spirits. And Carl Gustav Jung’s Archetype corresponds with the ancients’ view of death. He stated that there is a collective unconscious that all human beings have even before their birth, and he named its components, ‘Archetype’. Th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mysterious power that the ancients could use to overcome death because the idea of death inevitably brought stronger fear than by the common responses of peopl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all the thoughts and feelings - including their context, way, vision of the universe, purpose of working, and even how one cannot easily focus on working - start from the fear of death. This fear of death leads to interest in the universe in which starting and ending are unclear. And the universe leaves one with amazement and that leaves a lonely and weak existence. This is because of feeling doubts about how one is an object wandering between the infinite creation and the destruction when contemplating the hundreds of light years between the start and 13.9 billion years since the birth of the universe. However, it is not a good idea to simply experience difficulty when thinking about it. There is a saying from Hassid: On a piece of paper, you must write “I am just dust and ashes,” and on another piece of paper you must write, “the universe is created for me.” It says that one has to lower one’s head in the face of the endless and vast universe and reveal one’s deficiency while thinking of oneself as a special existence in this life. This feeling of being a special person adds value to life and brings vitality. The researcher believes this feeling has to be ascribed to all creatures. If people do not recognize themselves as special, they will lose the meaning of life and will not have the power to live; in the most extreme degree, humankind can face self-destruction. For the researcher, this special feeling is based on Jung’s idea of intuitive memories - in the other words, Archetype - and the researcher’s viewpoint attempts to capture it. The researcher’s work progresses from having something in the heart from the fear on death and then leads to personalizing objects. The researcher’s contemplation on the idea of death shows anxiety and fear in every object depicted. The anxiety and fear make the researcher attempt to transcend to non-material matters in order to have eternal life. Transcendence allows Jung’s Archetype to be applied, so one exists before and after humanity. The researcher’s work continues to follow a viewpoint that is pure when the view is directed towards objects. This phrase ‘pure viewpoint’ refers to a primitive or child’s viewpoint. The images of the researcher’s work are within this primitive or child’s viewpoint. The memories of the spirits within objects (from a pure viewpoint) reveal their images through symbols. In this series of the researcher’s attempts to transcendence, objects sometimes reveal something that cannot be described in words or a mysterious power that cannot be easily felt. 본 논고는 칼 융(Carl Gustav Jung,1875-1961)의 ‘원형(Archetype)’ 개념 및 고대인의 ‘사물에 내재되어 있는 힘’을 연구자의 조형 예술 작업에 적용한다. 경이로움으로 가득 찬 우주는 예로부터 완벽하게 설명될 수 없는 세계였다. 고대인은 분명히 인식할 수 있지만 명확히 설명할 수 없는 것에 신비한 힘을 부여하며 자연에 대한 이해를 시도해왔다. 인류는 광활한 우주, 장엄한 자연을 마주하며 존재에 대한 탐구를 시작했고, 그것은 곧 만물에 내재되어 있는 힘을 바탕으로 죽음을 부정하는 불멸과 영생을 꿈꾸게 했다. 이러한 관념은 ‘영혼의 기억’을 통해 여러 차례 환생하여 불사할 수 있다는 고대인들의 죽음관에 토대가 되었다. 그리고 칼 융의 원형개념은 이러한 고대인의 죽음관에 상응한다. 융은 모든 인류가 이미 태어나기 전부터 가지고 있는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cious)'이라는 것이 존재하며 그것의 구성요소를 원형이라고 이름하였다. 연구자가 고대인이 죽음을 부정할 수 있도록 만들었던 미지의 힘에 주목하는 이유는 모든 인간들이 막연하게 가지고 있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필연적으로 더욱 크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사고의 내용, 사유방법, 우주관, 작업의 목적, 심지어는 작업에 쉽게 집중할 수 없는 이유 등 연구자의 사유와 감정들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생각한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시작과 끝을 알 수 없는 우주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우주는 연구자에게 경이로움과 동시에 스스로를 외롭고 연약한 존재로 만드는 또 다른 두려움을 안겨준다. 별 사이의 수백광년의 거리와 138억년이라는 우주 탄생의 시간에 대해 사유하고 느낄 때 스스로 무한한 생성과 소멸 속 어느 한 지점에서 방황하는 한낮 비루한 존재라는 회의감이 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언제까지 이러한 생각으로 힘겨워할 수만은 없다. 하시드 교에서는 이런 이야기가 전해진다. 한 조각의 종이에는 “나는 단지 먼지와 재에 불과할 뿐이다.”라고 적어두어야 하고, 다른 종이에는 “우주는 나를 위해 창조되었다.”라고 적어두어야 한다. 이는 끝없이 펼쳐지는 광대한 우주 앞에서 고개를 숙이고 스스로의 부족함을 드러내는 한편 스스로를 특별한 존재로 생각하며 삶의 의미를 되뇌는 태도를 유지해야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별한 느낌’은 삶의 가치를 더해주며 활력을 불어넣는다. 연구자는 이러한 특별함이 모든 만물에게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만약 우리가 스스로 특별한 존재임을 인지하지 못한다면 삶은 의미를 잃고 지탱할 수 있는 힘을 갖지 못할 것이며, 극단적으로 인류는 자멸에 이를 수 있다. 연구자에게 이러한 특별한 느낌은 융이 말하는 모든 인류가 가지고 있는 선험적인 기억, 즉 원형을 전제하며 연구자의 시선은 이것을 포착하고자 한다. 연구자의 작업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마음 한편에 무언가를 만들고, 그것이 사물에 이어져 사물을 인격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연구자의 죽음에 대한 사유는 시선에 포착되는 모든 사물들에 불안과 공포를 내비친다. 이러한 불안과 공포는 작업자로 하여금 영생이 가능한 비물질로의 초월을 시도하게 한다. 그리고 초월은 인류 이전과 이후 모두에 남아있을 융의 원형개념이 가능하게 하고, 연구자의 작업은 사물을 보는 ‘순수한 시선’으로 이러한 원형상을 쫓는다. 여기서 말하는 순수한 시선은 원시적인 또는 아이들의 시선이다. 불현듯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원형상은 원시적인 또는 아이들의 순수한 시선 안에서 포착된다. 순수한 시선 속에서 사물이 가진 영혼의 기억, 즉 원형은 상징으로 그 이미지를 드러낸다. 초월과 결부된 이러한 일련의 시도 중에 사물은 언어로 명명될 수 없는 무언가를, 또는 좀처럼 감각되지 않는 신비스러운 힘을 드러내기도 한다.

      • 사라짐에 대한 강박과 자기치유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신경훈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focuses on works have been 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minds with art to overcome the fear of vanishing. Research was done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rt therapy that is behind the process of creating the works and early artists who have recovered through art. The work of the researcher can be classified into two kinds: 1) works on recovery on a personal level and 2) on a public level. First, works on recovery on a personal level are anxious towards destruction against principles. As a recovering method, they record the time that passes in our daily lives. The desire to keep those that will vanish was recorded and expressed, and the works developed to be autobiographical. The anxiety from a young age on the things that are destroyed or forgotten without principles turned into an obsession, and the works became therapeutic as the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getting comfort from the act of recording to overcome the anxiety. Second, works on recovery on a public level expands being therapeutic for individuals to a wider public. While the former works intentionally build up time about the time that has passed and memories that are being forgotten in order to own the time and the emotions, the latter works that are therapeutic to the public were made to heal the mentality of the public that were hurt from society, and they express sorrow towards what will be destroyed without principles or will be forgotten and records them. As the subjects that will vanish or be forgotten convey important shifts in society,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o talk about the social issues and record them as a researcher and a member of the society leads to the necessity for the artist to continue his art practices. The summary of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In chapter II, art therap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er’s works, is described, and Art Brut, a style of art that the researcher applies, and its inventor Jean Dubuffet are explained. In chapter III, the process of how the researcher’s works are created and its background are additionally explained in an essay form in chronological order- “being forgotten”, “obsession” and “art as therapy”. In chapter IV, the works of the researcher are analyzed in chronological order.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art can act as a form of therapy. Taking note of this, the researcher will not stop at the level of using art as therapy for individuals but expand the boundaries for the public and the society. 본 논문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사라짐에 대한 강박을 극복하기 위해 미술을 통한 치유를 활용하여 제작해온 작품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작품 과정의 배경이 된 미술 치유의 이론적 배경과 미술을 통하여 치유한 선대 작가를 조사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은 개인의 치유와 공공의 치유에 관한 작업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개인의 치유에 관한 작품은 원칙 없는 파괴에 불안해하며, 그에 대한 치유의 방법으로 평범함 일상생활에서 흘러가는 시간들을 기록하는 행위를 행하였다. 사라지는 것들을 소유하고 싶은 욕망을 기록으로 남기며 표현하였고, 이는 자전적 기능을 가진 작업으로 발전하였다. 유년기 시절 원칙 없이 파괴되거나 잊혀지는 것들에 대한 불안함은 강박으로 나타났고, 그것들을 극복하기 위해 기록하는 행위로 심리적 안정을 얻는 과정에서 미술 치유의 성격을 지닌 작업으로 진행 되었다. 둘째, 공공의 치유에 관한 작품은 개인의 치유에서 대중의 치유로 확장 시킨 작업이다. 앞의 작업이 개인의 지나간 시간과 잊혀지는 감정에 대하여 의도적으로 시간을 축적하며 그 시간과 감정을 소유하려는 작업이라면 대중의 치유에 관한 작업은 현 시대의 개개인이 겪었을 만한 공공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원칙 없이 파괴되어 잊혀지거나 사라질 것들에 대한 아쉬운 감정을 표현하고 그것을 기록한 행위이다. 사라져 가거나 잊혀지는 대상이 사회에서 중요한 변화를 반영하는 부분이라면 기록자로서, 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사회적 문제를 이야기하며 기록하는 책임감의 당위성은 작가의 작품 활동의 필연성으로 이어질 것으로 본다. 본 논문의 본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연구자의 작품 형성의 이론적 배경이 된 미술 치유에 대하여 서술하고 연구자의 작품 표현 방식인 ‘아트 브뤼’와 그에 대한 선대작가인 ‘쟝 뒤비페’에 대하여 서술한다. Ⅲ장에서는 연구자 작품 형성과정과 배경에 대하여 시간 순으로 ‘잊혀짐’, ‘강박’, ‘치유’를 에세이 형식과 부가 설명으로 서술한다. Ⅳ장에서는 연구자의 작품을 시간 순으로 분석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이 치유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치유에 국한되지 않고, 더 나아가 대중과 사회에 치유로 작업을 확장하여 기록자로써의 역할을 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 '입체사진드로잉' 조각에 나타난 매체의 동시성 연구 : 강주현의 작품을 중심으로

        강주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ree-dimensional photographic drawing, an original term coined by the author, refers to a combined representation of sculpture and photography through the act of drawing. From the fixed physical material essence of an artwork, sequential movements are simultaneously realized through drawing. To investigate the simultaneity of media that appears in three-dimensional photographic drawing,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culptural expression of instance-continuity is realized concurrently. Chapter Ⅰ touches upon instance-continuity from a phys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experimental motion capture photography of Muybridge and Marey, whose work recorded sequential movements. After reviewing Bergson’s concept of continuity, the author reflects on Futurist artists’ works inspired by the philosopher. Futurist art depicted the inter-penetration of mutated forms, trajectories of motion recorded through combinations of the fixed and the sequential, and the fluid,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space. In this way, it simultaneously represented the materiality that exists within a given instance and non-material elements marked by speed and motion. Chapter Ⅱ extends this thought to media that serve to recall material elements from the non-material, in the form of plastic representations in which the material gives way to the non-material. After touching upon the concept, prevalent since post-modernism, of expanding the materiality of artistic media beyond medium-specificity, the author discusses three-dimensional photographic drawing as a reinvented medium based upon the post-medium view of medium as action or agency. Ideas about specific media as agents of contemporary activity are based on destabilization, that is, expanding beyond the specific fixed materiality of a given artistic medium. As such, Chapter Ⅲ expands to develop the notion of “de-,” focusing on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the rhizome. The concept of deterritorialization, which has its roots in the rhizomatic notion of multiplicit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media with each other by expanding them beyond the fixed specificity of their nature. Deterritorialization is based on expansion beyond what is inherent, while the mechanism of de-signification, in which the desire embedded in a fixed signifier is transformed into a desire for action, leads to a mode of de-sublimation. Chapter Ⅳ examines photomontage and atypicality, as the operational modes of de-sublimation at work in three-dimensional photographic drawing, a practice in which the inherent qualities of the acts of photography and sculpture are expanded. By duplicating objects and overlapping these, photomontage generates an illusory reality; the illusion created by the activity is further related to the incomplete forms seen in the three-dimensional photographic drawing. As such, the atypicality of the forms will distort and transform the otherwise fixed forms of the sculpture, creating transfigurations. Chapter Ⅴ ultimately draws conclusions from the previously suggested theoretical methodologies,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simultaneous expressions of sculpture and photography which appear in the author’s own works of “three-dimensional photographic drawing.” Sculpture and photography, essentially perceived as fixed media but depicted with intense linear movement that extends the process of the performative act of three-dimensional photographic drawing, become sculptural and photographic things ‒ expressed simultaneously ‒ in the concepts of the media, as agents of drawing. Therefore, by expanding the notion of artistic media, three-dimensional photographic drawings become extended sculptures. The author’s extended sculptures serve as variations of sensory bodies, to the extent that they extend the meaning of sculpture as an act that senses intensity. They are also “expanded sculptures” that further suggest the potential for simultaneity with other media with diverse styles of artistic expression. 연구자 고유의 조형언어인 `입체사진드로잉'은 조각과 사진을 드로잉의 행위로 표현한다. 입체사진드로잉에서 고정된 물질성을 가진 조각과 사진은 드로잉의 매개를 통해 연속적인 움직임을 동시적으로 표현한다. 본고는 입체사진드로잉에서 나타나는 매체의 동시성을 연구하기 위해 순간-연속의 조형표현이 어떻게 동시적으로 표현되는지 살펴본다. Ⅰ장에서는 머이브리지와 마레의 연속사진에 관한 실험을 바탕으로 물리적 관점에서 순간-연속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베르그손의 지속 개념에 내제된 순간과 연속의 개념을 살펴보고, 그것에 영향을 받은 미래주의 작가들의 작품을 연구한다. 미래주의 작품들에서는 순간이 갖는 물질성과 움직임이 갖는 비물질적 요소들이 동시적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표현양상은 물질 간의 상호침투성을 바탕으로 변형된 형태, 고정된 것과 연속된 것의 결합을 통한 움직임의 궤적, 표현 대상과 공간의 유동적인 관계적 구조를 형성하며 나타난다. Ⅱ장에서는 물질-비물질로 이어지는 조형표현에서의 비물질적 요소를 물질성을 기억하는 행위로서의 매체에 대한 사고로 확장시킨다. 연구자는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물질적 특정성에서 확장된 매체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고, 입체사진드로잉을 행위로서의 매체에 대한 포스트-미디엄의 사고를 바탕으로 한 재-발명된 매체의 개념으로 논의한다. 동시대의 행위 하는 매체에 대한 사고는 매체 고유의 물질성에서 확장되는 탈고정성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Ⅲ장에서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 개념을 중심으로 탈의 논리를 전개한다. 리좀의 다양체적 사고에서 비롯된 탈영토화의 개념은 매체가 고정성에서 확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탈영토화는 내재된 것의 확장을 전제하는데, 고정된 기표에 내재된 욕망을 행위의 욕망으로 전환시키는 탈기표작용의 방식은 탈승화의 방식으로 이어진다. Ⅳ장에서는 입체사진드로잉의 작품표현 방법론인 포토몽타주와 비정형의 탈승화 방식에 대해 고찰한다. 이러한 표현방법들은 사진과 조각을 행위적 측면으로 확장시킨다. 포토몽타주는 겹침의 행위를 바탕으로 중복의 과정을 통해 환영적 현실을 만들어 내고, 만들어진 환영은 입체사진드로잉을 통해 불완전한 형상으로 표상된다. 그리고 형상의 비정형성은 조각의 고정된 형태를 변형된 것으로 만든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앞서 논의된 이론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입체사진드로잉》에 나타나는 조각과 사진매체의 동시적 표현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입체사진드로잉에서 고정된 매체인 조각과 사진은 드로잉의 행위를 통해 행위 하는 매체의 개념인 조각적인 것과 사진적인 것이 되며, 이 두 가지 매체적 특성은 행위의 과정으로 확장되는 선의 강렬한 움직임을 통해 동시적으로 표현된다. 이때 조각의 특성은 연장된 시공간적 의미를 통해 고정된 물질성의 시공간적 영역을 확장시키며 행위 하는 매체가 되며, 이러한 매체의 확장적 사고를 바탕으로 입체사진드로잉은 연장된 조각이 된다. 연구자의 연장된 조각은 조각의 의미를 강렬함을 감각하는 지각적 행위로 확장시킨다는 점에서 감각하는 신체의 의미로 변주된다. 그리고 다양한 표현양식을 바탕으로 다른 매체와의 동시적 표현 가능성을 내포한 `확장된 조각'이 된다.

      • 종이접기의 의의와 조각적 대중화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호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종이접기의 본질적 가치와 이를 조각적으로 표현하는 맥락에 주목하고 동시대 미술에서의 통속예술의 양상을 기저로 분석,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아서 단토의 예술의 종언 이후 예술의 대중성에 대한 연구자의 견해를 제시한 다음, 종이접기가 지닌 의의를 논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업의 배경과 작품형성과정을 서술하며, 동시대 미술에 있어 유의미한 가치를 지닌 소재를 통속화하는 작업이 가지는 의미와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큰 맥락에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자면 첫째, 예술적 후위로 치부되어 온 키치에 대한 수용과 직시다. 통시적인 관점에서 키치가 가지는 함의는 부정적으로 태어났으나 기념비적인 사건을 맞이한다. 팝아트의 등장으로 단토가 주장한 예술작품의 내러티브가 “모든 대상이 예술이 될 수 있으며, 모든 사람이 예술을 향유할 수 있다”로 마무리되는 것이다. 이 시점에서 키치는 더 이상 우리의 삶과 예술에서 떼어 낼 수 없는 개념이 된다. 연구자는 키치를 부정하거나 예찬하지 않는다. 그저 우리의 삶과 예술에 있어 불가분의 관계라는 것을 인정하고 그 배경을 토대로 작업을 진행해 나간다. 둘째, 소재의 선택이다. 통속적인 외형을 하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공유하는 경험을 가지며 인간 전반에 대하여 유의미한 역할을 함의하는 소재를 찾다 종이접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종이접기는 통속적 도상을 지니나 행위를 실천함에 있어 가지는 의미가 높다. 그것은 종이접기 가지는 유희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이다. 놀이와 교육은 인간이 전인적으로 성장함에 필수적인 행위이며 이것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위시하는 종이접기라는 소재를 선택하여 작품 제작을 진행하였다. 셋째, 종이접기의 조각적 대중화이다. 종이접기의 대중예술적 지평을 더욱 넓히는 방법으로 이를 전통적 의미의 조각 작품으로 만드는 것을 택하였다. 조각의 속성인 영구성을 부여하는 기본적인 것에서, 재현에 재현을 거듭하며 접을 수 없는 종이접기조각을 만드는 것으로 그 범위는 넓어진다. 위 항목은 동시대 미술에서 예술가는 이미지의 대중성을 하부구조로 두고 사유와 주장을 펼치는 경향이 강해질 것이라 연구자는 생각하였고, 하여 통속적 도상을 지닌 유의미한 소재로 종이접기를 찾아 이를 인간 일반의 심미적 기준을 충족시키는 조각품을 만들어내고자 연구하는 것으로 종합된다. 연구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동시대 미술에 오며 고급과 저급, 좋은 것과 나쁜 것을 판단하는 절대적 기준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인이 해석하는 대중예술과 종이접기, 그 이해의 재료를 정합성 있게 배치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종이접기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이를 풀어내는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fundamental values of origami and transforming them to sculptures and to analyze an aspect of popular art in the comtemporary art scene. The researcher’s argument on the popular appeal of art after Arthur Danto announced the end of art is first presented, and discussion on the meaning origami has follows. Based on this,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researcher’s work are explained, and the focus is to seek meaning and possibility in works that popularize subjects that have significant value in contemporary art. To analyze the researcher’s works in a wide range. First, it is the accepting kitsch which has been considered low art and facing it squarely. Diachronically, kitsch had a negative meaning by nature but came to have new meaning. With the emergence of Pop Art, Danto argued that the narrative of artworks is that “anything can be art, and anyone can enjoy art.” From this point on, kitsch became a notion that cannot be separated from our lives and art. The researcher does not praise or disapprove of kitsch. Rather, works progress with the acknowledgement that our lives and art are inseparable. Second is the choice of materials. The researcher became interested in origami while looking for material that many are familiar with and have a meaningful role to humanity. Although origami is popular, it has meaning in its practice. That is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origami holds. Play and education are essential for humans to grow and develop, origami became the subject as it serves the role the most effectively. Third is the popularization of transforming origami into sculpture. From a simple objective to give permanence, a sculptural attribute, to origami, the range expands to making origami sculptures that cannot be folded. The researcher thinks that the tendency for contemporary artists to make arguments supposing the mass-appealing images as a part belonging to low-brow art will get stronger. Therefore, the researcher uses the subject origami, which is popular and holds significance, to make sculptures that satisfy the people’s general aesthetic standards. Through this paper, the researcher came to a conclusion that in contemporary art, there is no definite standard for what is high or low class and which is good or bad. Moreover, the research helped correlate popular art, origami and an understanding of the subjects and create works that use and interpret origami.

      • 몸을 통해서 드러나는 감각 소여로서의 조각

        김수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우리가 예술을 경험할 때 사유를 통해 접근하는 것이 아닌 신체의 생생한 감각에 의한 미적 체험에 대한 연구이다. 보통의 예술가들은 자신의 감정이나 감각을 작품 창조의 동기로 삼는다. 이러한 어떤 특정 감정이나 감각들은 예술가들을 사로잡아 그들이 작품 활동을 놓지 않게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들의 감정과 감각으로부터 이루어진 작품에 항상 의미를 부여하고 그 의미를 찾지 못하거나, 찾는다 하더라도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면 예술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불안감에 시달린다. 우리가 예술 작품을 대할 때의 미적 경험은 전통주의 미학자들로부터 활발히 논의되었는데, 경험주의자들은 대상에 대한 순수한 인상으로부터 대상을 파악하고 그것에 대한 관념을 만드는 것이 대상에 대한 진리로 다가가는 방법이라고 보았다. 여기서‘대상’이라는 단어를 우리는 예술 작품으로 이해해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합리주의자인 데카르트는 대상을 사유함으로써 대상의 진리에 가까워진다고 믿었으며, 세계는 사유하는 나로부터 이성적으로 정립되어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들에 있어서 예술 작품은 존재 자체로 완벽하며 우리의 경험에서 얻은 명백한 관념들을 통해 작품을 사유함으로써 진리에 이른다고 보았다. 즉 관람자의 존재는 그들에게서 크게 중요하게 작용되었다고 볼 수 없으며 작품 자체에서 의미를 찾는다. 이들의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은 대상에 대한 경험이나 사유로부터 시작되는데, 이는 인간은 항상 신체를 동반하고 신체로 감각하는 존재임을 간과하는 오류에 부딪힌다. 프랑스의 현상학자 모리스 메를로-퐁티는 이러한 전통철학이 방과했던 신체에 초점을 두어 그의 이론을 전개해 나간다. 그에 따르면 신체는 그의 운동성으로 감각하는 대상에 따라 상황에 맞게 변형하여 지각의 장(場)을 형성한다. 그는 이러한 세계에 대해 지향성을 가지는 우리의 몸을 고유한 신체(le corps propre)라고 명명한다. 고유한 신체는 이미 우리 몸이 공간을 전제로 존재한다는 것에 주목한다. 이렇게 공간을 전제로 존재하는 신체는 고유한 운동성을 지닌다. 우리에게 주어진 위치, 상황 등에 따라 움직이는 우리 몸의 운동성을 신체 도식(schéma corporel)이라고 하는데, 이는 수영을 한다거나, 자동차를 운전할 때 습관적으로 주어진 과제에 맞추어 스스로 몸을 변형할 수 있게 해준다. 연구자의 작품은 관람자가 보다 능동적으로 공간에서 거주(居住)하기를 요구한다. 투명한 유리의 물질성, 빛의 방향이나 관람자의 시점에 따라 반사되는 형상과 공간에 산란하는 빛은 우리에게 현상하는 감각으로 주어진 것들이다. 더불어 작품의 요소들이 중첩되고 서로 기대는 방식의 특별한 의미를 배재한 구성에서 오는 감각 소여는 메를로-퐁티가 제시하는 고유한 신체가 없이는 지각할 수 없다. 공간에 주체적으로 자리 잡은 신체는 세계의 수동적 존재 대상이 아닌 세계와 능동적으로 관계한다. 관람자는 더 이상 데카르트의 균질한 공간(espace homogène)에 위치하지 않고 오히려 그가 위치한 공간의 기준이 된다. 이에 연구자는 우리에게 주어진 생생한 감각을 고유한 신체를 통해 지각함으로써 보다 주체적으로 예술 작품에 다가가기를 바람에서 이 연구를 전개한다. I장에서는 인간을 사유하는 존재로서 대상은 그 자체로 완벽하다고 보는 전통철학이 갖는 오류에 대해 살펴보고 신체를 중심으로 하는 메를로-퐁티의 이론으로 어떻게 이행되는지에 대한 과정을 살펴본다. 감각이란 경험주의자들의 부분적인 인상의 집합도 아니며, 주지주의자들의 감각된 의미들의 상징도 아니다. 감각하는 것은 우리 몸과 뗄 수 없는 행위이며 생생한 의미를 갖는다. II장에서는 신체를 정신과 분리해서 이해하는 전통 인식론에서 벗어난 메를로-퐁티의 고유한 신체를 중심에 둔 이론에 대하여 알아본다. 그에 따르면 공간성과 방향성을 가지는 우리 신체는 대상을 공간 안에서 이해하며 외부의 감각을 사고하는 주체도 알지 못하는 사이에 받아들인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신체가 세계를 지각할 때 갖는 운동습관에 대해 자세히 고찰하고, 예술 작품에 비유될 수 있는 살(la chair)의 존재감을 가지는 신체에 대하여 살펴본다. III장에서는 그 당시 모더니즘에 반하는 이론인 메를로-퐁티의 신체론에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미니멀리즘 작가들의 작품과 현대 미술 작품에서 보이는 작가들의 작품을 그의 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IV장에서는 연구자의 작품을 논하며 연구자 작품에서 보이는 감각적으로 주어진 것들, 즉 감각 소여에 대해 논의하고, 고유한 신체임과 동시에 이중적 존재인 살의 두께(l’épaisseur de chair)를 통해 작품에 접근하는 과정을 논의함으로써 설치미술에 대한 새로운 관람 및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고유한 신체를 통한 예술 작품에의 접근은 우리에게 보다 열린 감상법을 권유한다.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해 우리가 예술 작품을 대할 때 대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전통적인 모더니즘의 수동적인 관람 방식을 답습하기보다는 대상과 세계에 대해 열린 신체를 가지고 예술 작품에 보다 쉽게 다가가기를 바란다.

      • 너싱홈(Nursing Home)운영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수요자 욕구 중심으로

        이성애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노인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수명연장과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증가로 노인의 장기요양보호가 사회적 문제로 절실하게 대두되었다.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한 선진국에서는 장기요양보호대상자를 위한 시설복지서비스는 치료중심의 병원보다는 너싱홈이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너싱홈의 수요대상자들은 의료 및 요양의 욕구를 동시에 만족하게 됨으로써 비용절감과 질 높은 서비스 면에서 사회적으로 검증된 요양시설로 인정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이제 고령사회로 진입되고 있으며, 2008년 이후에는 국민연금수령자가 급증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국가적 대책이 시급한 현실이다. 최근 노인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실버타운 및 노인아파트, 요양원, 보호시설 등의 개설은 바람직한 현상이며 계속 증가되어야할 것으로 본다. 본 논문에서는 양로시설과 요양병원의 복합형태인 너싱홈의 필요성과 운영실태를 통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요즘 노인증가로 인해 정부에서도 장기요양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여러 가지정책을 마련하고 예산을 지원하고 있지만 다양한 형태의 공급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으며, 국민기초생활 수급권자에 국한되어 있어 그 대상자만 시설 입소가 가능하고 고소득계층은 경제적인 여유로 노인전문병원 이용이 가능하지만, 중간 서민층이 이용할만한 실비의 노인전문요양시설은 절대 부족한 현실이다. 너싱홈의 수요자 욕구조사를 통해 너싱홈의 필요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살펴보면 노후에 건강이 악화되었을 때 너싱홈 입소를 가장 선호하였다. 앞장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자녀에게 노후를 의존했던 과거와는 달리 미래의 노인세대들의 의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다가오는 고령사회와 변화하는 생활수준에 맞는 장기적이고 다각적이며 실질적인 노인복지시설에 대해 일본 등 외국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우리나라 정서에 부합되는 법과 제도적 문제를 강구하여 너싱홈이 새로운 노인복지모델로 자리 잡기를 기대해 본다. Due to life span extension by aging of the senior population and increase of seniors with chronic diseases, long term recuperation and protection of the seniors have become a crucial social problem. In advanced countries that have already entered the aging society, nursing homes are taking active roles in giving facilitated welfare services to people who needs long term recuperation and protection instead of hospitals that are concentrating mainly on medical treatment. Since patients of the nursing homes are provided with medical treatments as well as recuperation of low cost and high quality, the need and satisfaction of the facility is growing by the day. Korea has now entered into an aging society, and by the actual fact that recipients of national pension will rapidly grow after the year 2008, a national countermeasure has to be planned immediately. For that, development of silver towns, apartments for the elderly, recuperation centers, protection centers and so on is actively promoted as interests in the problems regarding the elderly has recently increased and should continuously do so. In this thesis, there is a detail analysis of the necessity of the nursing homes that has both the features of an institution for the aged and a recuperation hospital and have presented an improvement measure for the problems that are seen in the way the facilities are run. Due to recent increase of the senior population the government is also planning various policies by introducing long term recuperation and protection systems and supporting budgets, but without properly structuring various supply systems, facilities will only be limited to recipients of the national pension. In other words, high income brackets who are financially reserved can use hospitals specializing in caring for the aged, but there are not enough centers for low and middle income working classes. Through the results achieved of the necessity of nursing homes through a study of demand for the nursing homes, most people desired the services of the nursing home when a health problem occurs as they ag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 the previous chapter, we can easily see that instead of depending on ones children like the past, the thoughts of the seniors of the future are now considering other options. For that we will have to bench market senior welfare centers in Japan and other foreign countries that are long term, versatile and practical that meets the coming aging society and the changing living standard, and devise laws and policies that corresponds with the Korean society that will allow nursing homes to become a new solution to senior welfare.

      •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부담 절감 방안에 관한 연구

        전수진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tudy on parents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was made to recognize and mitigate their parenting burdens. They also realized the necessity of social supporting application devices for parents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To accomplish this purpose of considering and analyzing necessary supporting application devices for mitigation of the burden of being parents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As a result of the study, conclusions were reached by reviewing the following :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burden of parent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according to general variables : mother's age, and education level, income of family, a number of sons and daughters, and so on. the heaviest burden i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parents was significant. The higher the supports provided by husband and children, the lower the bring-up burden of parents. And it was shown that parents who were stressed on by family or relatives, feel more the burden than by friends, religious groups, neighbors, organizations, and so on. Third, i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burden, it is shown that parents satisfied with emotional and informative supports from self-help group, other parents with the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than Forth, parents want to be provide group-home, after school program, sheltered workshop fo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in community. According to the study, physical and emotional burdens needed to have a support system of instrumental, emotional and information activities. Social and financial burdens needed to have a support system of instrumental, information activities and emotional support. Presentation of this study was the necessity of a social support system application device. Reinforced social supports : instrumental, emotional and information activities directly affects the parent's burdens. Not only focusing on the children's welfare but help the parents burdens too.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parent's life as well as improving the children's life. Social workers working as mediator and coordinator had duties that were important factors. They should use the social support system effectively. 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social support system effectively, it requires a practical approach to the policy. Above all, the system needs to be officially supported. Until now it has been unofficially supported. It needs to be supported by national assistance. Finally, parent's burden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were dealt as an environmental factor, but parent's coping abilities and many variable factors are still needed to be studied continuously.

      • 사회복지기관의 후원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직장인들의 후원의식을 중심으로

        김성정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s to develop and deliver social welfare service programs. To do so, they need facilities, welfare specialists and financial resources. In discharging their functions and roles, the most important challenge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s financial independence. If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cannot afford to secure the financial resources required, they cannot discharge their roles well and cannot even survive. Thus,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re obliged to explore every available financial resource and raise fund in a systematic and sustained way, and to this end, they are required more to develop business mind and marketing strategie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salaried employees, or important potential sponsor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or their mentality about sponsorship, and thereupon, providing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development of some systematic and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their desires and attributes, assuming that the potential sponsors would be similar to commodity consumers in terms of menta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researcher suggests the following ways to promote sponsorship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irst, it is urgent to reinforce their internal management, namely make their financial management more transpar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welfare service programs. Third, it is essential to diversify the profile of donations and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salaried employees to participate in sponsorship programs. Fourth,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some compensation programs including tax incentives at the level of government to promote the sponsorship. Fifth, since it was found through the survey that the factor perceived most important by the salaried employees for their decision on sponsorship was a marketing factor, namely transparent financial management, it is essential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o publicize about their transparent financial management to encourage potential sponsors to participate in their fund-raising programs. As discussed abov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re requested to introduc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o promote sponsorship for them, and to this end, survey the fund-raising markets and identify the potential sponsors and target them for their fund-raising programs. All in all,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re obliged to use basic marketing data to design their marketing strategies for fund-raising and thereby, make the potential sponsors feel themselves as not simple sponsors or donators but as investors who understand their goals and missions and thereby, participate voluntarily in their welfare programs.

      • 집단미술치료가 정서장애 아동에 미치는 효과

        張英珠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Childrens drawings are one of ways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paintings, children reveal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 inner and outer worlds. In this sense, along with play, childrens painting is more effective and creative acitivity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han any other means, such as a spoken language, writing, facial expression and gesture. That is because through painting children can communicate their feelings which are hard to be expressed by words as free as they want in their own ways. Considering that, childrens drawing is not only an artistic expression but also a psychological expression. Many people have developed a variety of methods to assess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intelligence through their paintings. Also, there has been an effort to link between childrens characters and the meanings of color, line and shape in their paintings. In addition, a growing interest has been focused on art psychology therapy which eases and even cures peoples ment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problems. Accordingly, art psychology therapy has been studied profoundly, and clinical tests on this have been actively taking place.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deals with the followings: 1. Understanding of Childrens Drawing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iew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hildrens painting based on the viewpoints of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to examine the contents and types of drawing assessment, and thereby to recognize and understand children. This study was started by recognizing the need of professional and small-sized group treatment as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who have emotional problems and are left out of normal children or do not get together peers, increase gradually. These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in peers cannot receive appropriate social adaptive education, becau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not respond to their emotional problems properly by their excessive tasks and numbers of students like a teacher against multiple students. In addition, in may be a serious problem, as they may not grow into healthy adolescents and adults. Therefore,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group art treatment has an effect on improvement of personal relations ability like lack of sociality as a main characteristics of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An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reatment program, which resolves demerits of group art treatment and focuses on personal relations. I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social features of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researched relationship between group art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personal relations, presented a program to improve personal relations of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then performed a cas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