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羊)의 목가적(牧歌的) 이미지를 활용한 도자표현 연구

        송예빈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끊임없이 영향을 받고 있고 또한 자연의 무한한 소재를 통해 예술 작품으로 표현한다. 자연에서 양과 초원 등이 품고 있는 목가적 풍경을 대상으로 삼아 양의 이미지를 무기체인 흙으로부터 재해석하여 형태를 만든다. 따라서 자연 속에 존재하는 것들 가운데 양과 조화를 이루는 소재의 표현을 설정함에 있어 문헌을 통해 형태가 지닌 특성과 유기적인 표현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외적 형태인 양의 형태와 부수적인 자연의 소재들을 주관적 관점으로 바라보고 선정하여 이를 조형화시켜 내적 감성세계를 표현한 도자 조형작품을 나타냈다. 현대 작가들이 양의 이미지를 표현한 선행 작품의 제작의도와 표현 방법의 사례 분석을 통해 의인화한 조형작품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응용했다. 이에 따라 양의 무리의 율동성과 상징적 이미지에서 표출되어지는 인간의 삶 속의 순수하고 평화로운 이미지를 중점으로 조형화하여 목가적 이미지로 나타내었으며, 관람자에게 심리적인 동요와 안정감을 전달하여 감성을 자극함으로써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워주어, 자연으로의 회귀, 삶 속에서의 소박함, 순수함 등 인간적인 정서와 감수성을 되살리어 메말라가는 현대인들의 정서적 순화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연의 아름다움과 여유로움 등의 감성을 방향성에 두고 창작을 진행하였으며 여기서 얻어지는 표현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조형요소들을 제작하여 형상화하였다. 자연과 양의 유기적 형태를 이해하며 끊임없이 다양한 자연의 소재를 찾아볼 수 있었고 이러한 과정을 토대로 창작욕구가 자연스럽고 생동감 있게 도자 조형으로 표현되었다. 도자 조형으로부터 자연의 에너지를 표현하여 자연의 유기적인 구성에 대한 조형적 고찰을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조형예술에 있어서 시각적인 즐거움과 동적인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이다. 작품제작은 소형작품과 대형작품으로 제작하여 형태 크기로부터 리듬감을 전달하고자 하였으며 소형작품은 양을 300개 이상의 작품으로 제작하여 무리를 설치함으로써 의도가 적극적으로 표현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풍경의 모습으로부터 조형화하는데 있어 흙이라는 매개체는 유기적인 형상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작가의 의식과 혼을 무기체인 흙을 가지고 어떻게 예술성 있게 표현하느냐에 따라서 동물을 의인화를 통해 예술성을 잘 나타낼 수 있으며 자연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소재들로부터 형상화되어 예술가의 주제로써 표현되어 현대인들의 삶에 영향이 미친다.

      • 21C 현대 예술가 집단의 뉴미디어的 사회참여 연구

        김수영 경희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contemporary artists in the 21st century have chosen new media as an artistic tool for application to various fields, and their participation in various social fields became possible. The new media deliver information in a simple new format and also became a new art trend with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istribution paradigm of several works and the diversity of information and expression, communication, direct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and dematerialization. In addition, the artistic approach through the new medium of the Internet has brought about the applications of arts by the community involvement and the form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so the community involvement of the group of artists who are living in a new media art era appeared as a social issue. However, since there is no study on this, regarding the phenomenon of the group of artists'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by new media art linked to the arts in the new media era that is rapidly changing,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new media art based on the chronological changing history of arts and the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were understood and effective proposals for the future development according to specific cases were researched. New media art derived from media art in the 1980s has produced under the influences of Dadaism, Surrealism and Fluxus, and new technologies that have not existed started to be applied to artistic activities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media devices used in artistic activities, and consequently, there is a trend of non-materialization of works of art, that is, a characteristic of repetition of existence and dissolution. Along with this, by the nature of the medium, it has developed into ar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s participation in works of art and smooth two-way communication. There are the genres of the various new media arts such as artificial life art, bio-art, robotic art, computer graphics, light art, holographic art, electronic music, online computer games, virtual reality, and film industry us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architecture, hactivism using net art and so on. Hactivism on which this study focuses is defined as an act of hacking a website of the government, companies or organizations on a line different from the hacker for political and social objectives, and in the field of art, Hactivism has developed in a form of inducing a change of consciousness or a practice of behavior through activities in the audience.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new media art like this, it is creating art in a new format combined with the traditional arts. The method to participate in the society through these activities for the group of new media artists is the activity as the performing arts and holistic arts such as the play, dance, music, film, video, architecture etc. as the existing arts, and the collaborative activities of the artists' networks in the various fields such as Biennales, festivals and the institutions. Besides, exhibits using the offline exhibition spaces or online virtual space and the various entertainment, video games, and the work activities using the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are conducted actively. The community involvement by new media art includes some problem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and the things that the works which highlighted only technology may be unimpressive, the appearance of the works of newer technology brought the decrease of vitality, the issues about the expensive costs for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repair, and the basic meaning of the exhibition, the problem of cyber attacks and hacking from the special areas of the Internet, the relations with the identity and invasion of privacy are the improvements of the artistic activities using new media. This study suggested some directions of the new media art as a general art, directions of various Biennales, festivals and exhibition authorities as measures in terms of displays and communications, exhibition planning and cases and the utilization of professional art manpower, educational utilization of video game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entertainment and multidisciplinary exchange. Among them, several work practices of collective intelligence of Web 2.0 of net art based on the Internet network and Hackivists' activities of Hactivism should be seen as typical examples of artists' involvement in the community, cyber terrorism through anonymity, invasion of privacy and issues of identity should be coped with training of professional staff and agencies, and education of the Internet ethics for youth, and communications should be made with the ordinary people interested in that. In addition, a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contemporary artists in the 21st century is essentially required to create a utopian society by playing an indirect but important role in political, social, and other areas through the new media art. 21C 현대의 예술가들은 예술의 도구로 뉴미디어를 선택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여러 사회 방면에 참여가 가능해 졌다. 뉴미디어는 단순히 새로운 형식으로 정보를 전달할 뿐 아니라 여러 작품의 유통 패러다임과 내용 그리고 표현의 다양성, 소통과 관객의 직접적 참여, 비물질화라는 특성을 가지고 새로운 미술 사조가 되었다. 또한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체를 통한 예술적 접근은 사회 참여와 이에 따른 집단 지성의 형성으로 예술 분야로의 적용을 가져왔고, 이에 따라 뉴미디어 아트 시대를 살아가는 예술가 집단의 사회참여가 하나의 사회문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이렇듯 급변하는 뉴미디어 시대에 예술과 접목 된 뉴미디어 아트의 예술가 집단의 사회참여 현상을 예술의 시대적 변천사를 바탕으로 뉴미디어 아트가 등장한 배경과 이를 통한 특성을 파악하여, 구체적 사례에 따른 앞으로의 효율적 발전 제안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1980년대 미디어 아트로부터 파생된 뉴미디어 아트는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플럭서스의 영향을 받고 발전하였으며, 예술 활동에 사용되는 뉴미디어 장치의 특성에 따라 기존에 없던 새로운 기술들이 예술 활동에 적용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른 작품의 비물질화 경향, 즉 존재하고 사라짐이 반복되는 특성을 보이기에 이른다. 이와 함께 매체의 특성상 관객의 작품에 대한 참여와 쌍방향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지는 특색의 예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다양한 뉴미디어 아트의 장르로는 인공 생명 아트, 바이오 아트, 로보틱 아트, 컴퓨터 그래픽, 라이트 아트, 홀로그램 아트, 전자 음악, 컴퓨터 온라인 게임, 가상현실, 증강현실을 이용한 영화 산업, 디지털 건축, 넷 아트를 이용한 핵티비즘 등이 있다. 이에 주목하고 있는 핵티비즘이란 정치·사회적인 목적을 위해 자신과 노선을 달리하는 정부나 기업·단체 등의 인터넷 웹 사이트를 해킹하는 행위로 정의 내릴 수 있는데, 예술 분야에서 핵티비즘은 작품 활동을 통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어떠한 의식의 변화나 행동의 실천을 유도하는 형태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와 같은 뉴미디어 아트의 작품 활동을 통하여 기존의 예술 분야와 결합된 새로운 형식의 예술을 창조해 나가야 하겠다. 또 뉴미디어 예술가 집단이 이 같은 활동을 통하여 사회에 참여하는 방법은 기존 예술 분야인 연극, 무용, 음악, 영화, 비디오, 건축 등의 무대 예술과 총체적 예술로써 활약하고 있으며, 각종 비엔날레와 페스티벌 및 기관에서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아티스트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협업을 통한 활동도 펼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전시공간이나 온라인 가상공간을 이용한 전시 그리고 각종 엔터테인먼트, 비디오 게임,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등을 활용한 작품 활동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뉴미디어 아트에 의한 사회참여는 매체의 특성으로부터 발현되는 몇 가지 문제를 포함하는데, 먼저 기술만이 강조된 작품은 감동을 주지 못할 수 있다는 점과 더 새로운 기술의 작품이 등장하면 작품으로써의 생명력이 짧아진다는 점, 설치, 유지, 보수에 드는 많은 비용, 그리고 전시에 있어 기본적인 전시의 의미를 간과하는 문제, 인터넷이라는 특수 공간에서 일어난다는 점에서 발생되는 사이버 테러와 해킹의 문제, 정체성과 사생활 침해와 관련된 점 등이 뉴미디어를 활용한 예술 활동에 있어 발생될 것으로 보이는 개선점이 필요하다. 이에 따른 제안으로 총체적 예술로서 뉴미디어 아트가 나아가야 할 방향, 전시와 커뮤니케이션 측면의 방안으로, 각종 비엔날레, 페스티벌 및 전시 기관이 나아가야 할 방안을 전시 기획과 전시 사례, 그리고 전문 예술 인력을 활용하는 측면에서 그리고 비디오 게임,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교육적 활용, 그리고 엔터테인먼트와 다학재간 교류의 활성화 등이 제시되었다. 그 중 인터넷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넷 아트의 Web 2.0의 집단 지성의 여러 작품 사례와 핵티비즘으로 활약하는 핵티비스트들의 활동을 예술가의 사회참여의 대표적 사례로 보며 익명성을 통한 사이버 테러나 사생활 침해, 정체성의 문제점을 전문 인력과 기관의 양성, 그리고 청소년들의 인터넷 윤리 교육을 통하여 대처해야겠으며, 여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일반인들과 함께 서로 소통하고 그것들이 뉴미디어아트를 통해 정치, 사회 등 여러 분야에 우회적이지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유토피아적 사회를 만드는데 21C 현대 미술가들의 참여가 적극 요구되는 결론에 도달한다.

      • 茶文化가 東아시아人의 工藝文化觀 및 造形性에 끼친 影響硏究

        김완주 경희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custom of drinking tea has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angible life conditions lik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behavior of drinking tea itself involves various cultural elements such as ritual, custom and social norms. It is the attitude ? inherited from infinite past days down to the modern generation and spread out from old china to the world ? to regard the tea as rather a specific notion accompanied by speculative, cognitive processes than as a physical property, ‘something made from young leaves of tea trees or a beverage infused from those leaves’. Archives of tea are even tied with myths such as Farmer God, Shen-Nong and as of now, the ascertainable historical documents about tea culture may retrospect to the Han Dynasty of China. In East Asia, tea was a trading commodity as well as monopoly goods; it is concerned as a major source of tax income to the government, and as a way of accumulating rich to the people. In the point of cultural history, tea as of a symbolic of things of ruling orders in East Asia has been represented a tribute to a country from a vassal state or a royal gift internationally and a tribute or a royal gift internally. A big turning point in tea culture was made during the Tang Dynasty: In order to learn and experience the stage of enlightenment through the Paeng-Da, which can be defined as a form and process of drinking tea, ‘quasi’ tea mania groups are formed mainly by monks, writers and bureaucrats. Assimilated into the Zen Buddhism, tea has been a part of a religious practice and drinking tea was being recognized as an ascetic exercise. This kind of trend was spread through East Asia, especially into Korea and Japan, so that the tea ceremony, the art of ceremonial tea-making was established. Tea ceremony is a fruit of notion produced by tea manias; while it has profound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ideal world of East Asia. The influence of tea ceremony in East Asia was not confined to the ideal world: During its development process, tea ceremony has re-established the daily life. Tea ceremony, as a ruling discourse, offered standards across the necessities of life ? i.e. food, clothing and shelter ? providing especially great stimulation to development in craft arts. As tea ceremony worked as standards of esthetical decision, features of craft arts to seek a unity of practical value and esthetical one were shaped concretely in East Asia; the tastes and preferences of tea manias have impact on plastic arts of crafts. As a result, the craft arts in East Asia could maintain a context of unity, until the concepts of occidental crafts excluded from the ‘arts’ were introduced. Production of tea utensils as well as the custom to drink tea was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Tea utensils,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ea ceremony, have evolved and developed from functions for the taste of tea to the objects of appreci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 ceremony and craft arts was closer in Japan than in China or Korea. Japan completed the tea ceremony as a style. Muneyoshi Yanagi's remark that tea ceremony is the esthetics of craft arts shall be a symbolic term crystal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tea ceremony. Tea ceremony was established during the Muromachi era, from the early 14th century to the late 16th century, thereafter perfectly matured during the Momoyama era in Japan. Being recognized as the relics of old ages, however, tea ceremony was decreased due to the influence of westernization. In 1906, Okakura Tenshin (Kakuzo) wrote and published The Book of Tea in English. As the notion, tea ceremony would be an esthetic religion, is spread to the occidental societies, tea ceremony is recognized as a Japanese tradition for the Westerners ? along with the Zen Buddhism. Paradoxically, the reverberation from the occidental societies has been absorbed in Japan again and lead to a restoration of tea ceremony: an unexpected returns caused by Japanese modernization plan. Differing from the distorted perception by the Westerns, it is generally thought that tea ceremony was originated by the ascetic culture of monks in Zen Buddhism when the tea saint Lu Yu wrote the Tea Scripture in the 8th century reflecting the results from metaphysical philosophy of the day. Nevertheless, Korea-China-Japan, these three countries have developed different cultures and views of tea ?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historical, geographical, traditional characters; and the issue, whether the tea ceremony shall be perceived as a view of the world or as a specific style associated with esthetic ideas, is caused by these differences. As their own styles of tea ceremony are developed, the culture of craft arts was also influenced by these developments respectively ? focusing on the tea utensils. One can see the unique and evident difference by observing the tea service sets or utensils; which 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 view of tea ceremony has impact on the tastes and preferences of a host of tea manias. Vessels or bowls from Chosun era made by Korean masters of pottery were rediscovered by the Japanese; and they called them "Jeongho Dawan". Today, Jeongho Dawan is recognized as an icon of Japanese tea ceremony. In this way, for a same object, it was possible to have different decision and evaluation; and in the background, there was the esthetic attitude of tea manias formed through their tea ceremony. Despite of the difference of viewpoints related to the tea ceremony, tea manias in Korea, China and Japan have accepted each characteristic one another through cultural exchanges. Jeongho Dawan made by Korean master craftsmen, was reinvented by Japanese tea manias as a tea bowl, while China might claim the source technology of porcelain. As the case of Jeongho Dawan, the tea ceremony should be regarded as a common cultural property of East Asian countries. Today's tea culture is not limited to tea alone; it could be in various form and style. Representing the old era, tea ceremony is competing with other cultures. China and Japan have turned their tea ceremony into a product with competitive edge through a way of succession, development and reinvention of their own tradition. However, Korea is still in exploring phase towards change and development. Tea ceremony shall not be confined within formality and convention. As relations between tea ceremony and craft arts have been severed, imaginative power also has been decreased. An urgent desideratum: It is time to re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ea ceremony and craft arts in modern sense. 차를 마시는 풍습은 자연환경과 같은 삶의 구체적 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면서 행위 그 자체로 의례 관습 규범 등 문화를 구성하는 제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차를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가공한 것 또는 그것을 우려낸 음료’라는 물성으로 지각하기보다 사유의 과정을 수반하는 특정 관념과 연관시키는 태도는 특정할 수 없는 과거 중국에서부터 시작되어 세계로 확산되었고 오늘날의 세대에까지 전달되었다. 차에 대한 기록은 신농씨 등 신화에 맥락이 닿아 있으며 고증이 가능한 역사에서의 차문화에 대한 서술은 현재로서는 중국의 한나라까지 소급이 가능하다. 동아시아에서의 차는 전매품이자 교역품목으로 국가에는 주요 세원이자 일반인에게는 부의 축적 수단이었다. 문화사의 논점에서는 동북아시아 지배질서의 상징물로서 대외적으로는 조공과 하사품이라는 형태로 대내적으로는 공납과 하사품이라는 형태로 표상되었다. 차문화의 일대전회는 중국 당나라 대에 이루어졌다. 차 마시는 일의 형식과 절차라고 정의할 수 있는 팽다를 통해 깨달음의 경지를 체득하고자 한 승려와 문인, 관료를 중심으로 차인층이 형성되었다. 선의 이상에 포획되면서 차는 수행의 수단이 되었고 마시는 행위 그 자체가 수행으로 인정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한국과 일본 등으로 확산되었고 동아시아 고유의 지적 재산이라 할 수 있는 다도가 탄생했다. 다도는 차인층의 관념의 산물이면서 동시에 동아시아의 관념세계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다도의 영향은 비단 관념세계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다도는 발전과정에서 동아시아 사회의 일상성을 재구축했다. 지배담론으로서의 다도는 의식주 전반에 걸쳐 전범을 제시했는데 특히 동아시아의 공예 발달에 자극을 주었다. 다도가 심미적 판단의 기준으로 작용하면서 실용적 가치와 심미적 가치의 통일성을 추구하는 공예의 성격이 동아시아에서 구체화되고 차인들의 기호와 취향이 공예 조형성에 영향을 끼쳤다. 그 결과 예술로부터 소외된 서구의 공예 개념이 유입되기 전까지 동아시아의 공예는 통일성의 맥락을 유지할 수 있었다. 차를 마시는 풍습과 차 도구의 생산은 동시에 이루어 졌다. 다도의 형성과 함께 차 도구는 차의 풍미를 위한 기능에서 감상의 대상으로까지 성장 진화했다. 다도와 공예의 상관성은 중국이나 한국보다 일본에서 더 밀접했다. 일본은 양식, 곧 스타일로서의 다도를 완성했다. ‘다도는 공예의 미학’이라는 야나기 무네요시의 주장은 일본 다도의 성격을 구체화한 상징적인 표현이다. 일본 다도는 14세기 초에서 16세기 말에 걸쳐 존재했던 무로마치시대에 성립되어 뒤 이은 모모야마시대에 완성되었고, 19세기 후반 일본의 지배층이 의도한 서구화의 영향으로 다도는 구시대의 유물로 인식되면서 위축되었다. 1906년 오카쿠라 덴신이 『차의 책』을 저술했다. 심미적 종교라는 개념이 서구사회에 확산되면서 다도(Tea ceremony)는 선(Zen)과 함께 일본의 전통(Japanese tradition)으로 인식되었다. 역설적이게도 서구사회에서의 다도에 대한 반향은 다시 일본에 흡수되었고 다도의 중흥을 가져왔으며 서구 사회를 복제하고자 했던 일본의 근대화 기획이 거둔 의외의 성과였다. 서구의 왜곡된 인식과 달리 동아시아에서는 다도를 동시대 형이상학의 성과를 반영한 육우의 『다경』 집필과 선승들의 수행문화에 영향을 받아 발흥했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한 · 중 · 일 세 나라는 역사적 지리적 인문적 특성 등 삶의 구체성에 조응하는 상이한 차문화와 다도관을 만들었으며 다도를 세계관으로 사유하느냐 아니면 심미적 판단과 연관된 특정 양식으로 사유하느냐는 쟁점은 이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세 나라에서의 독자적인 다도 형식의 발전은 차 도구를 중심으로 한 공예문화의 발달에도 영향을 끼쳤다. 각 나라의 찻그릇이나 도구 등을 살펴보면 조형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느낄 수 있다. 다도관이 다중의 취향과 기호에까지 영향을 미친 결과다. 조선시대 한국의 사기장이 만든 그릇을 일본의 차인들은 찻그릇으로 재발견했고 정호다완이라 명명했다. 그것은 오늘 날 일본 다도의 아이콘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렇듯 동일한 기물을 두고도 미적 가치와 용도에 대한 상이한 판단이 가능했던 배경에는 다도를 통해 형성된 차인들의 심미적 태도가 있었다. 다도에 대한 관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한 · 중 · 일의 차인들은 상호 긴밀한 교류를 통해 서로가 가진 특성을 수용했다. 한국의 장인들이 만든 정호다완을 일본의 차인들은 찻그릇으로 재창조했고 자기의 원천기술은 중국에 있었다. 정호다완의 사례에서 보듯 다도는 동아시아 공통의 지적 재산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의 차문화는 차에 제한되지 않으면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다도는 구시대를 표상하는 패러다임으로 다른 문화와 경쟁관계에 있다. 일본과 중국은 전통의 계승과 발전, 현대에서의 재창조라는 길을 통해 다도를 경쟁력 있는 상품으로 변화시켰다. 한편 한국은 변화 발전의 모색 단계에 있다. 다도는 단순히 차에 대한 형식과 절차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도가 쇠퇴하면서 공예와의 상호연관성이 단절되었고 동아시아 공예의 상상력도 쇠퇴했다. 심미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의 조화를 통한 공예의 발전은 양질의 수요층을 필요로 한다. 현대적 관점에서의 다도와 공예의 상관성의 복원을 연구할 때이다.

      • 敎授媒體를 활용한 도예교육 학습모형개발 :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조선희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21st century we live in is information and knowledge era and unlike an industrial society based on material, social activities based on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m the mainstream. The education of this era should predict social change and has the responsibility to cultivate talents that society needs. This is the time that has to be changed into a learner-centered new paradigm that emphasizes autonomy and diversity away from the existing transmissive and uniform provider-centered traditional paradigm. Media can motivate students by stimulating their senses and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y presenting learning content in a visual way. Learning experience through media deepens and expands the contents of experience by lending realism and leads learners to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ies voluntarily. Education actively needs to accept visual and cultural aspects that became today's children and young people's daily lives. Because ceramic art of art education whose material is clay has plasticity, which is nature that can freely change the shape as one makes, ceramic art education is the most suitable for adolescents corresponding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Ceramic art education of an adolescent period must emphasize learner-led independent and creative activities. Learner-led education is not performed alone without any stimulus or media but starts from the expression of learner's inner world in a free atmosphere for aesthetic experience with the mix of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That is, to make students give shape with more individual and creative visual language and find formative nature, teacher - student interaction must be enriched and to do this, the use of various instructional media is needed. The role and importance of instructional media are said to be further highlighted in art education. This study aimed at getting learning motivation and effect of prior learning by selecting instructional media which is the most suitable for ceramic art education and looking for ways to vitalize and improve ceramic art classes qualitatively in conjunction with other subjects including several lessons of art subject beyond the soil play and aimed at know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succeeding, developing it and produce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o as to achieve ceramic art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or an understanding of instructional media, I investigated theoretical content on the definition of instructional media, the selection of instructional media, kinds and types of instructional media in chapter 2. In chapter 3, I examined middle school art and curriculum and studied the need for instructional media in art education by analyzing the previous papers on use of instructional media in art classes. In Chapter 3 and Section 2, I analyzed national authorized art and seven kinds of textbooks and organized the proportion of ceramic art lesson and learning contents in art education through art textbooks and examined the status of ceramic art education by analyzing the previous papers. In chapter 4, I studied teaching methods of ceramic art education using instructional media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pter 2 and 3. The subjects ar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7th,8th,9th grade of general middle schools and I examined starting point behavior on ceramic ar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lected learning contents, considering that they are non-majors of art classes. I determined one lesson as 2 hours (1 unit - 45minutes) and 2 times depending on the numbers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art classes and previous learning is a class dealing with basic knowledge on ceramic art and I focused on a variety of Instructional Media selection in order to make students feel interested in ceramic art classes and understand the nature of soil, which is the most basic ingredient of ceramic art class. Also, in lesson decision and learning subject selection, I decided themes in conjunction with the various sections of art curriculum (dancing body,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 space) away from the limited contents of ceramic art lesson. In addition, I determined lessons by integrating science subject, not only confined to art subj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r goal of the two subjects, art and science, I made lesson plan by integrating knowledge and inquiry process of sc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area and expression area of art, focusing on helping understanding on nature and holistic human growth in the end. Moreover, I utilized a variety of instructional media to learn basic knowledge called 'high-tech material ceramic', scientific basis. In the main learning, this is a stage that produces three dimensional artwork bring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soil and I organized for students to make sculptures that they want to produce by using viscosity and plasticity of soil well that they learned through previous learning, directly touching soil and previously sketching the target to be expressed after observing it and utilized OHP film so as for ceramic art classes to be done without directly touching soil. In the follow-up learning, I let students discuss their opinions, describing the intention of works through their works using OHP film or their own sculptures produced in the main learning and appreciating other students' works. I organized so as for students themselves to actively participate by writing his own appreciation activity report and practice report after discussion, In reality, practice classes including theory classes of ceramic art classes in art classes have not been performed until now due to poor school environment, lack of the number of classes and lack of art teachers' function. Hereto, I produced a new learning model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ceramic art classes and used it in classes by selecting the most appropriate instructional media to help students understand. I hope that a model of learning of this paper can be smoothly practiced and utilized in the actual middle school art education and the activation of ceramic art education in art classes will come true. 우리가 살아가는 21세기는 지식정보화시대로 물질을 기반으로 한 산업사회와는 달리 지식과 정보를 기초한 사회활동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교육은 사회적 변화를 예측하고 그러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길러야 할 책무성을 갖는다. 기존의 전달식, 획일적인 공급자 중심의 전통적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자율성과 다양성을 중시하는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화해야 하는 시기이다. 매체는 학생의 오감을 자극함으로써 동기유발이 가능하며, 학습내용을 시청각적인 방법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매체를 통한 학습경험은 현실감을 부여하여 경험의 내용을 심화·확충하며,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 하도록 유도한다. 오늘날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일상생활이 되어버린 시각 문화적 양상들은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미술교육 중에서 점토를 재료로 하는 도예영역은 빚는 데로 자유롭게 형태를 변화 시킬 수 있는 성질인 가소성이 있기 때문에 청소년시기에 해당하는 중학교 학생들에게 자기표현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예교육이 가장 적합하다. 청소년기의 도예교육은 학습자 주도의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활동이 강조되어야 한다. 학습자 주도의 학습은 아무런 자극이나 매체 없이 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미적체험을 위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교사의 적절한 수업방법이 어우러진 가운데 학습자가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출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즉 학생으로 하여금 보다 개성적이고 창의적 조형언어로 형상화 시키거나 조형성을 발견하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 -학생의 상호작용을 풍부하게 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매체의 활용을 필요로 한다. 교수매체의 역할과 중요성은 미술교과 교육에서 더욱 강조되어 진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도예교육에 가장 적합한 교수매체를 선정하여 학습동기 유발 및 선수학습의 효과를 얻고, 흙 놀이 차원을 넘어 미술교과의 여러 단원을 비롯하여 타 교과와도 연계하여 도예수업의 질적 향상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더불어 전통문화를 바로 알고 계승, 발전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어 도예교육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모형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교수매체의 이해를 위해 교수매체의 정의, 교수매체의 선정, 교수매체의 종류와 유형에 관하여 이론적인 내용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미술과 수업에서의 교수매체활용에 관한 선행논문을 분석하여 미술교육에서의 교수매체의 필요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3장 2절에서는 국가 검정 미술과 7종 교과서를 분석하고 미술교과서를 통해 미술교육에서의 도예단원의 비중과 학습내용을 정리하고 선행논문들을 분석하여 미술교육에서의 도예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4장에서는 2장 3장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교수매체를 활용한 도예교육의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대상은 일반 중학교 7, 8, 9학년 남, 여 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미술과 수업의 비전공자임을 유념하여 중학교 학생들의 도예에 대한 출발점 행동을 진단하고 학습내용을 선정하였다. 현행 중학교 미술수업의 수업시수에 따라 한 단원을 2시간(1단위-45분 기준)2차시로 정하였고, 선수학습은 도예에 관한 기초지식을 다루는 수업으로써 도예수업의 가장기본 재료인 흙의 성질을 이해하고 도예수업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위해 다양한 교수매체선정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단원 설정과 학습주제 선정에 있어서 단순히 도예단원에 한정된 내용에서 벗어나 미술교과의 여러 단원들과 연계하여(춤추는 몸, 공간속의 입체 등) 주제를 정하였다. 더불어 미술교과영역에 국한된 수업이 아닌 과학교과와도 통합하여 단원 설정을 하였다. 미술과 과학의 두 교과의 목적이나 목표에서 결국은 자연에 대한 이해와 전인적인 인간 성장을 돕는 다는 것에 중점을 두어 과학의 지식과 탐구과정과 미술의 미적체험영역과 표현영역을 통합하여 학습지도안을 제작하였다. 나아가 과학의 기초 ‘첨단소재 세라믹’ 이라는 기초 지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매체를 활용하였다. 본시학습에서는 흙의 특성을 잘 살려 입체 조형을 제작하는 단계로 표현할 대상을 관찰하여 미리 스케치하고 직접 흙을 다루면서 선수학습을 통해 배웠던 흙의 가소성과 점력을 잘 활용하여 제작하고자하는 조형물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흙을 직접 다루지 않고도 도예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OHP필름을 활용하였다. 후속학습에서는 본시학습에서 제작한 각자의 조형물이나 OHP필름을 활용한 자신의 작품을 통해 작품의도를 설명하고 다른 학생의 작품도 감상해 보면서 서로의 의견을 토론해보도록 하였다. 토론 후 각자의 감상 활동지와 실습지를 작성해 봄으로써 학생들 스스로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 하도록 구성하였다. 지금까지 미술수업에서의 도예수업은 학교 환경의 열악함과 수업시수의 부족 미술교사의 기능부족으로 인해 이론수업을 비롯하여 실기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효율적인 도예수업의 지도방안으로 새로운 학습모형을 제작해 보았으며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적합한 교수매체를 선정하여 수업에 활용해 보았다. 본 논문의 학습모형을 통해 실제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원활히 실천되고 활용되어 미술수업에서의 도예교육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점토에 의한 유리조형 연구 : Blend 기법의 응용연구

        송신혜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사회는 산업경제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다 더불어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기존의 틀을 벗어난 새롭고 독창적인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文化)는 인간의 의미 있는 적극적인 사회 실천활 동으로 서로의 관계 속에서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발전해가는 우리들의 삶이 며 나라의 생명력과 같은 존재이다. 현대는 문화(文化)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다양 한 분야의 예술가가 서로의 벽을 허물고 퓨전(Fusion)을 시도 하고 있다. 공예(工 藝)에 있어서는 도자, 금속, 섬유, 나무, 유리 등 각각의 재료에 대한 전문적 기술 이 요구되기 때문에 재료에 대한 한계가 공예품 제작에 있어 제한이 되고 있으며 따라서 퓨전화에 앞서 공예재료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공예의 다양한 재료간의 경계를 허물고 원료에 대한 특징과 이해 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재료를 혼합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해 연구해 보았다. 유리 의 주성분이 되는 규사와 도자기의 원료인 순수한 점토를 도자용 저화도 안료와 혼 합하여 유리 위에 문양을 표현하고, 투명유리를 덮어 퓨징(Fusing)기법을 이용해 캐스팅(Casting)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법연구를 ‘혼합하다’ 라는 의미로 편의상 Blend기법이라 칭하였다. 이러한 실험 방법은 각각 서로 다른 재료로 성형 되어 재 접목 시키기 위한 기존의 작업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이 되었던 도자와 유리의 열 팽창계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순한 생각의 발상에서 시도된 것이며 실험 결 과 유리의 원료가 되는 규석도 많은 점토중의 하나이며 다른 것 같은 두 재료가 서 로 하나로 통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실험을 통한 몇 가지의 문제점을 보 완하여 서로의 기법과 재료들을 공유하고 다양한 표현기법들을 개발 하여 우리 생 활 전반적으로 그 활용도를 높여 공예품이 일부 특정인들의 소유물이 아닌 공예의 기본이 되는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손색이 없는 재료로 발전 시켜 많은 사람들이 함 께 공유할 수 있는 도자와 유리로 활용 발전 시켜야 하겠다. Modern society is experiencing various changes with the rapid growth of industrial economy. Moreover there have been new and unique attempts beyond preexisting cultural frameworks. Culture is our lives itself where human beings recognize differences between/among people by practical activities regarding social problems with a significant and positive manner in th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respect with each other and thereby develop, and in terms of it, culture can be said to be the vitality of a country. Artists in various fields of art are breaking down walls between them in the large boundary of culture, while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applied fine art works due to the limited possibilities of using materials because there is the need for professional techniques regarding ceramic, metal, fiber, wood and glass when using diverse materials. Accordingly it is needed to have bas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aterials for creating applied fine art works before engaging in fusion art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by breaking the boundaries between materials and blending different materials based on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The blend technique named in this study indicating a meaning of 'to blend', is a practice which expresses patterns on glass by blending a major component of glass-silica and the raw material of pure clay with low temperature-pigments and casts by laying transparent glass on by using the fusing technique. This experimental method was attempted with a simple idea for solving problems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in ceramic and glass, which have been the biggest obstacle to conventional work aiming at re-melding materials after being shaped with different materials, an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indicated that the raw material of glass-silica is also a kind of clay and also it was understood that the two materials which seem to be different with each other actually could be integrated into one. It is suggested that artists should share techniques and materials with each other by making up for a few problems through experiments and develop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and thereby enhance the overall usability of craft works and also accordingly make crafts works to be possessed not by particular people but by general public by using ceramic and glass which are needed to be developed as perfect materials in terms of practical usages.

      • 꽃예술에 나타난 통섭예술 지향의 문화적 현상에 관한 연구

        서혜정 경희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contemporary period can be called interdisciplinary cultural world as every existence is made and recreated in relation to the others with interaction. Along with the change of this current, a new cultural movement has been occurred that blends different art genres or makes the boundary between genres ambiguous. This state of cultural blending, in this sense, is no exception to contemporary floral art. The term Consilience might sound unfamiliar, however, it is widely used to indicate ‘integration of knowledge.’ Also, it becomes the source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that integrates natural sciences and liberal arts. Contemporary floral art has improved its expression into free and independent creation away from standardized rule. This means it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Consilience which totally understand diversity. Therefore, the art of Consilience tendency is a cultural movement in this contemporary era just from the perspective of floral art. The phenomenon of Consilience occurred in floral art became the beginning to expand design territory as an environmental and spacial art which compromised every cultural space, not just limited in the generic term of floral arrangement. Furthermore, these are accomplished by the following terms; interaction, boundary transcendence, harmony and blend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covers following areas: the concept of Consilience, post-modernism as a background of sociocultural phenomenon, the transition to interdisciplinary thinking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Based on understanding these terms, this research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Consilience in terms of desig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blending, harmony and crossing other genres and how they would be connected with the oriental concept on nature. Moreover, it considers the potentiality of Consilience in the cultural aspect of floral art, the historical current of floral art in modern age, and cultural history of floral art. Then, it examines the connection of them to be harmonized with spatial environmental concept that has been newly defined in contemporary era. The research on Consilience types of floral art expression, the cases are considered in various angles. From this case studies, it came to an conclusion that the cultural phenomenon of Consilience that floral art should pursue are as follows: the creation of eco-friendly environment with interaction, the improvement of cultural value with harmony, the enlargement of expression and the realization of diversity with blending. Consequently,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a sense that it examines the current of floral art in Consilience cultural environment in modern age, its internal value and the direction of the future of floral art. Along with that, the tendency of Consilience in floral art is not only carrying on with the contemporary cultural phenomenon, but also suggests the possibility of floral art to be developed more abundantly by being transformed into dynamic art rather than the art of stillness. Floral art can achieve more plasticity and wider enlargement when aiming at Consilience in various direction. Furthermo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remind when proposing Consilience in floral art is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roposingginality of floral art itself as well as sublimate its aestpotic valu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be aware of that the cultural phenomenon of Consilience in floral art is being a part of endless research process to complete the ultimate harmony. 현 시대는 통섭 문화적 사회라고 할 수 있으며, 존재하는 모든 것은 다른 것과 관계를 맺으며 서로의 상호작용 하에 만들어지고 재창조된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예술 장르가 혼합되거나 장르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새로운 문화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통섭이란 용어는 아직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하기는 하지만 ‘지식의 통합’이라는 의미에서 사용되기도 하며,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연결하고자 하는 통합 학문의 근간이 되기도 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은 문화의 혼재 현상은 현대 꽃예술의 표현 양상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현대 꽃예술의 표현에서 내용과 형식의 규범화된 틀을 벗어나 자유롭고 독창적인 창작활동이 부각되고 있는 것도 다양성을 인정하는 통섭 문화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꽃예술의 관점에서만 보더라도 통섭적 예술 경향은 이 시대에 나타난 하나의 문화적 흐름임을 알 수 있다. 꽃예술에서의 통섭 현상은 꽃꽂이라는 전통적 개념을 뛰어넘어 모든 문화 공간을 아우르는 환경예술, 공간예술로서 디자인 영역을 확장하는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통섭의 사유원리인 상호작용, 경계 넘나들기, 어울림, 섞임에 의해서 완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의 내용은 통섭의 개념 설정과 사회문화 현상의 배경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 문화, 전일적 사고체계로의 전환,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이해하는 것을 토대로 하여 디자인적 사유원리로서의 상호작용, 섞임, 어울림, 넘나들기 등을 연구한 후, 이러한 현상들이 동양의 자연사상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 지를 연구함으로써 통섭의 디자인적 특성을 규명한다. 통섭과 꽃예술의 상관성에서는 꽃예술의 문화성, 근대 이후 꽃예술의 현상과 꽃 문화사에서 찾아본 통섭의 잠재성을 따져보고, 그것이 현대의 공간 환경 개념과 어떻게 조화될 수 있는지 연구한다. 다음으로 꽃예술 표현의 통섭적 유형 연구에서 꽃예술과 과학 기술의 결합, 시공간의 결합, 장르 간의 결합, 꽃예술과 이질 요소의 결합으로 유형 범위를 분류하고 그 사례들을 다각도로 연구, 분석한다. 이러한 사례 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꽃예술이 추구해야 할 통섭적 문화현상으로는 상호작용에 의한 자연친화적 환경 창출, 어울림에 의한 문화적 가치와 콘텐츠의 제고, 넘나들기에 의한 표현 영역 확장 그리고 섞임에 의한 다기능성 구현이라는 항목들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대의 통섭적 문화 환경에서 꽃예술의 경향과 내적 가치, 앞으로 꽃예술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또한 꽃예술의 통섭화는 이 시대의 문화적 흐름과 그 맥을 같이 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꽃예술을 하나의 정적인 예술에서 역동적인 예술로 변환시킴으로써 더욱 풍요롭게 발전시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것은 꽃예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통섭화를 지향해 나갈 때 보다 폭넓은 범위확장과 조형성을 창출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꽃예술이 통섭화를 지향함에 있어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중요한 점은 꽃예술 자체의 고유한 정체성을 증진시키고 꽃예술만의 미적 가치를 더욱 승화시켜야 한다. 즉 꽃예술의 통섭적 문화 현상은 어울림의 완성을 위한 끊임없는 탐구 작업의 일환이다.

      • 미래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현대 공예문화의 방향성 연구

        나유석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odern Craft Culture for a Future Capitalist Society Nah, You-Seok Thesis for the Doctorate Department of Design Gru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Directed by Prof. Lee, Heon-Gook Capitalism has gone through three waves of massive historic changes: from initial capitalism of a laissez-faire economy based on Adam Smith’s “The Wealth of Nations”, to modified capitalism centered on Keynesian economics, to major changes through ‘neoliberalism’ today based on ‘Thatcherism’ and Reaganomics. Again, capitalism is in need of a new change where the craft and design field is searching for a new shift in paradigm that meets these new changes. A predictive scenario of the characteristic of a changing capitalism would be in the form of capitalism that accommodates socialism. This is because capitalistic societies must strive to solve social conflicts through the combined effort of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The capitalist market will seek a product that possesses both economic and social values, of which craft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This study investigates formative thinking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ich were influenced by social communities in the medieval ages known as guild culture. Formative thinking is classified into the art and craft movement, art nouveau, Bauhaus, and the craft movement of Japan’s Yanagi Muneyoshi, and all of these movements saw guild culture as the ideal form of social community. They reveal characteristics of humanistic socialism, which was an important trend in guilds in the medieval ages. William Morris was a sought to establish the realization of the democratization of art through the art and craft movement. Hence, further research in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formative thinking is needed by investigating humanistic socialism that has been influenced by guilds. However, 19th and early 20th century formative thinking connotates a socialist perspective, and this has influenced many artists and designers from William Morris, art nouveau, Bauhaus, and Yanagi Muneyoshi. “If labor can be joyful and artistic, man’s life will be more beautiful and ideal.” This quote by William Morris reveals that he was deeply influenced by socialism, and this has also influenced art nouveau, Bauhaus, and Yanagi Muneyoshi. During the formative thinking of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en Christianity was considered as the ideal basis, socialism intertwined with the times and became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the formative thinking of John Ruskin and William Morris. However, if one looks at the socialistic characteristics only in terms of ideology, then one loses the chance of theoretically contributing futuristic value to modern craft culture. This is because the nature of formative thinking at the time sought artistic equality through the democratization of art. This equality arises from humanism where everyone can possess beauty regardless of social status. Craft played a crucial role as the basic art form that this equality was applied to. This is important today because the future capitalist market must provide economic and social value simultaneously. Here, a society that needs social value refers to a society that needs humanism. This is because neoliberalism only sought after economic value, and due to this, a new humanistic economy is needed where social value is also sought after. Therefore, the humanism revealed in the formative thinking of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can connect social values of future capitalism to craft. When the social value of craft is connected with culture, people will start to recognize craft as a part of social culture. The result would be sound consumer, production, and sales cultures which will help create economic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uture values of modern craft culture based on the formative thinking that prevailed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Based on this objective, this study deduced characteristics of modern craft culture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modern craft culture based on “warm capitalism”. 국문초록 세 차례에 걸친 자본주의 변화 과정은 공예·디자인분야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유도했다. 디자인분야는 그 변화과정에 맞춰 자본주의에 잘 적응한 반면, 공예분야는 그렇지 못하다. 하지만 자본주의는 또 다른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성장과 발전을 거듭해오던 신자유주의가 다시 여러 사회적 문제점을 야기하기에 자본주의는 또 다시 새로운 변화의 시점에 이르렀고, 특히 현대 공예는 변화될 자본주의 시대에 맞춰 새로운 변화의 전황과 정체성을 모색해야 하겠다. 우선 변화될 자본주의 특성을 미리 예상해 본다면 자본주의 내에 사회주의를 수용한 형태인 것이다. 왜냐하면, 미래의 자본주의 사회는 성장과 분배를 동시에 실현하여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된다. 또 한 자본주의 시장에서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갖고 있는 상품을 원하게 되며 그 역할을 공예가 맡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당위성을 중세시대 사회적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길드문화’의 영향을 받은 19·20세기 초의 조형사조를 바탕으로, 미술공예운동, 아르누보, 바우하우스 그리고 일본 야나기 무네요시의 공예사상으로 분류할 수 있고 모두 중세 사회공동체적인 ‘길드문화’를 이상(理想)으로 생각 되었다. 당시 커다란 흐름이었던 휴머니즘적인 사회주의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실제 사회주의자였던 윌리엄 모리스는 미술공예운동을 통해 ‘'예술 민주화'’를 현실에서 실천할여고 하였다. 따라서 19·20세기 초 조형사조에 대한 연구는 ‘길드’에 담겨져 있는 휴머니즘적인 사회주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사회주의는 19·20세기 초 조형사조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윌리엄 모리스, 아르누보, 바우하우스, 그리고 야나기 무네요시에 이르기까지 근·현대의 많은 공예가와 디자이너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노동이 즐거움이 되고 예술 행위가 될 수 있다면 인간의 삶은 보다 아름답고 이상적으로 변할 것이다.”는 윌리엄 모리스가 예술에 대해 했던 말로 사회주의에 대한 깊은 연구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나타나는 사회주의적 특성을 단순히 이데올로기적 차원에서 바라본다면 현대공예문화가 필요로 하는 미래적 가치성을 이론적으로 정립할 기회를 놓치고 만다. 왜냐하면 19·20세기 초 조형사조에서 나타나는 본질은 사회주의 이전에 “예술 민주화”의 경향으로 예술의 평등성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평등성은 휴머니즘에 기초하여, 계급에 상관없이 아름다움은 모두가 소유해야한다는 개념이다. 또한 이를 실천하기 위해 ‘공예’를 가장 기본적인 예술의 형태로 보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앞으로 미래의 자본주의는 경제적 가치와 함께 사회적 가치를 요구하고 있어 이에 따른 사회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사회적 가치’를 필요로 하는 사회란 ‘휴머니즘’을 필요로 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이는 지금까지 신자유주의가 ‘경제적 가치’만을 추구해온데 대한 반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19·20세기 초 조형사조에서 나타나는 휴머니즘의 성격은 미래에 자본주의의 ‘사회적 가치’와 ‘공예’를 연결하도록 돕는다. 그리고 공예의 사회적 가치가 ‘문화’와 연결 되었을 때 사회의 ‘문화’로서 일반인들에게 인식되어지고 건전한 소비문화와 생산문화, 그리고 판매문화를 이끌어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어 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래 자본주의에 대비한 현대 공예문화의 방향성의 연구를 주제로 19·20세기 조형사조를 토대로 하여 현대공예문화의 미래적 가치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여기서 도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현대공예문화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따뜻함’이라는 단어로 대표되는 미래의 ‘따뜻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현대공예문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한다.

      • 환경변화에 따른 액티브시니어(Active Senior)를 위한 도자교육의 효율성 연구

        신두진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며, 저 출산,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사회적, 경제적인 구조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와 시니어(Senior)들의 비자발적 조기은퇴로 인해 길어진 은퇴 후 삶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여,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액티브시니어(Active Senior)’란 경제력과 건강을 바탕으로 55세를 넘은 중년 퇴직자 가운데 취업을 원하는 능동적인 삶을 추구하는 중년층을 지칭하는 말이다. 액티브시니어(Active Senior)는 기존의 노인층에 비해 합리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사고방식과 생활의식을 보유하고 있고, 노년기를 자기실현 기회 또는 제3의 인생의 시작이라는 등 대도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액티브시니어(Active Senior)의 양적 증대에 따라 육체적, 정신적 건강문제, 사회참여 문제, 경제적 문제 등이 크게 대두되며 사회적 책임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어, 평생교육에서 노인교육이 중요시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빠르게 변화되어 가고 있는 고령사회의 환경변화와 노인층의 학력수준, 의식, 경제수준과 관련하여 액티브시니어(Active Senior)의 가치관 변화와 특성을 조명해 보며, 도자교육이 시니어들에게 경제적, 심리적 활성화를 통해 효율적인 도움을 주는 새로운 직업으로서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액티브시니어(Active Senior)를 위해 정부와, 민간기업의 지원과 체계적 홍보, 정보화 시스템 구축과 프로그램의 확대, 미래사회의 새로운 직종을 대비하는 미래적인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자교육이 주는 효율성을 통해 연구 주체인 액티브시니어(Active Senior)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나아가서 국가적 경제성의 큰 영향과 사회적 문제 해결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이들의 성공적인 노화에 도자교육이 이바지 할 수 있게 다양하고 세분화된 지원과 체계적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되어야 하겠다. As Korea is entering the aging society at rapid pace in the world, many social problems such as low birthrate, the extension of average life span and many changes of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cause the senior to be retired involuntary without preparing for a long life after retiring. Active senior refers to the middle-aged retirees over 55 who have economic power and health, and want to live an active life through working. Active senior has the way of reasonable and future-oriented thinking and lifestyle compared with the existing elderly. Active senior think of old age as the opportunity to realize himself and the departure to live the third life. As active senior is getting increasing, the problem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 problem of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problem of economic are important. So the need of social responsibilities is important, the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terms of life long education is important as well. Accordingly, this study looked into the environmental change of our rapidly aging society and the elderly's academic standard, attitude, economic standard in terms of active senior's changed values and characteristics. Whether ceramic education helps or not effectively the elderly as a new job through economic and psychological invigoration.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at the support of both the government and private enterprise, the systematic promotion,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oriented system, the expansion of program, the new jobs for the future society should be provided for active senior. Through the efficiency of the ceramic education, the active senior or research subject's problems, the influence of national economic and the social problems will be expected to be solved. The ceramic education will be diversified and studied departmentalized supporting and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programs to help the active senior to be successful aging.

      • 환경도자의 자연친화적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랜드마크의 특성을 중심으로

        구지영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의 인류는 인위적 환경에 현실적으로 적응하고 있는 동시에, 자연환경으로의 복귀를 지향하려는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공공디자인으로 실천하는 녹색성장 도시재생, 인간중심의 도시환경 조성, 친환경을 통한 새로운 도시공간문화를 보여주는 공공디자인은 이시대의 화두이다. 21세기 사회에서의 도시의 모습은 과거・현재・미래의 시간의 흐름 속에서 그 사회・문화의 맥락적 관계를 통해 도시공간과 인간의 사유적 소통공간이 되어야 한다. 도시환경디자인은 현대 도심사회에서 보여주는 모든 시각적 요소들을 디자인 하는 분야이고, 도심의 질적인 가치형성 구축과 인간생활환경 전반에 걸쳐 미적가치를 추구하고 가장 양질의 삶을 살 수 있는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은 생활공간 속에서 예술을 접목시키려 노력해 왔으며 생활공간으로서 기능과 함께 아름답게 치장해 주기를 요망하고 기대하게 되었고, 아름다운 도시와 쾌적한 공간을 요구하게 되었다. 환경도자에서의 자연과 인간 그리고 공간이 온전한 공존관계를 유지하여 비자연성, 비인간화를 극복하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 교감하며 풍요로워 질 수 있는 공간 조성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환경은 생활하는 주위의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도시환경과 자연환경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시환경에는 불특정한 사람들이 주체로 그 공간에는 공공성이 존재하고 있다. 현재 각 도시들은 후진도시의 틀을 벗어나기 위해 공공디자인의 개념을 도입하여 도시 공공영역에 창조적 발상을 통해 도시의 이미지를 탈바꿈하고 있다. 환경도자는 기계로 제작되어 획일적 일 수밖에 없는 제한된 재료의 형태가 아닌, 흙의 특수성을 가지고 손으로 만들어진 예술작품으로서 공공디자인과 접목되어 그 도시의 이미지를 창조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충분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도시에 나름대로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도시는 나름대로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다. 사람들의 마음속에 형성되어 있는 이미지는 쉽게 변하지 않으며 좋은 이미지는 많은 부분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도시는 그렇기 때문에 좋은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대 도시환경 속에서 환경도자의 자연 친화적인 표현은 한국적 조형의식과 가치관에 부합되는 좋은 도시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측면에서 도시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창출하기 위한 나아가 국가브랜드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랜드마크의 유형을 고찰하고 도시전략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환경도자의 자연 친화적인 표현은 인간과 주변 환경과의 유기적 연계를 도모하여 자연환경을 보존하는 동시에 인간의 건강과 쾌적성을 증진시킨다. 좀 더 포괄적인 자연 친화의 개념으로 도시화, 기계화로 자연환경과의 관계가 단절된 인간의 삶의 방식과 사고체계를 자연에 깊은 애정과 익숙함을 가지고 있던 인간 본연의 심성을 되살리고, 또한 자연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서로 공생하는 관계로 회복시킨다. 따라서 환경도자의 자연친화적인 표현은 아름답고 쾌적한 생활공간 조성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관련 연구가 더욱더 활성화, 전문화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환경도자에서의 자연적 요소와 디자인적 형태의 폭넓은 이해와 심도 있는 연구로 병행될 때 바람직한 환경도자의 친환경적인 표현이 21세기에 주목받을 수 있는 도시 브랜드의 형성과 역할을 할 수 있는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본다. 21세기 패러다임으로써 녹색정책의 그리노믹스가 전개되고 있다. 환경도자의 자연친화적인 표현 특성은 랜드마크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첫째, 생태학적 관점에서 추구되는 환경 친화적인 자세와 한국의 친자연성과 닿아 있으며 둘째, 한국적 조형의식과 가치관에 부합된다. 국가경쟁력의 중심이 도시경쟁력이고, 도시의 상징은 국가상징과 공유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 스토리와 역사적 맥락이 존중되는 창의적이고 유한한'희소가치'로 존재하는 랜드마크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oday, human-beings are showing their intentions to return to the green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that they are realistically adjusting to the artificial environment. They are the issues to recycle the green growth city practicing with the public designs, ,make the human-oriented urban environments and make the public designs showing the new culture of the urban space through the environment-friendly works. The image of the city in 21st century needs to be the private communicative space between human-beings and the urban spaces through the contextual relationships of the society and the culture in the middle of the passage of tim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designing of the urban environment is the field that designs all the visual elements which are shown in the center of the modern city and its goal is to build the qualitative value of the center of the city, pursue the aesthetic value throughout the life environment of human-being and make the pleasant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have the highest quality of living. People have tried to graft art in the living space. They came to expect them to be decorated gorgeously with the function as the living space and ask for the beautiful city and the pleasant space.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is vital to make a space where human-beings and environment can commune with, be abundant and overcome the denaturalization and dehumanization by keeping the intact coexistence between human-beings and the nature.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the environmental ceramics not only preserves the natural environment by promoting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human-being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ut also enhances the pleasantness and the heath of human-beings. To tell from more comprehensive point of view of the environment-friendly notion, it can bring back the true nature of human-beings which used to have a deep affection and comfortableness about the nature from the way of lives and the process of thinking of human-lives which were broken off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due to the civilization and mechanization. In addition, it extends the understanding about the environment and restores to go back to the coexistence relationships. Thus, the relevant study of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environmental ceramics needs to be invigorated and specialized more and more to promptly meet the needs of the times which are to build a pleasant and comfortable living space. Furthermore, when it goes with an in-depth study and an extensive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al elements and the designing form in the environmental ceramics,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the desirable environmental ceramics can be a landmark that can play a role of building an urban brand which can be noticed in 21st century. This study examined the city strategic examples and considered the form of landmarks which can contribute to building the national brand, from a point of view of building a good urb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alues and the awareness of Korean modeling as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environmental ceramics. The environment means the surrounding situations, which consists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natural environment. Unspecified people in the urban environments are the main agents and there are the publicity in the space. Nowadays each city is trying to change the image of their cities with adapting the notion of the public designing in order to get out of the image of the underdeveloped city. The environmental ceramics is a work of art made by hands with soil possessing its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not with the same material which cannot help but limited as made by machines. Thus, it has enough elements that can express the image of the city creatively, crafted with the public designing.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detailed areas where the environmental ceramics are used in a variety of places currently in the urban spaces through the examples according to the public design elements showing the publicity in the environments of modern cities. Furthermore, it intends to show the directions of the landmarks to create the urban image more effectively. People have their own images about the cities and the city has its own identity, as well. A good image forming in the mind of people doesn't change easily and it plays a positive role on many parts. That's why the cities are trying hard to build a good identity. Greenomic (Green + Economy) of green policy is being progressed as a paradigm of 21st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the environmental ceramics is to build the landmarks. Thus, the first, th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pursued from the biological point of view is very close to the environment-friendly nature of Koreans. The second, it corresponds to the values and the awareness of Korean modeling. The core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s the city competitiveness and the symbol of a city shares with that of a nat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looking for the directions of the landmarks which exists as creative and limited 'scarcity value' which the story of the city and the historical context are respected.

      • 현대도예 표현의 후기구조주의에 의한 영향성 분석 연구

        김혜린 경희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599

        Ceramics is a field that was generated in close relation with human life, and has a long history. Thus it is the field with cumulated rich tradition, and has tended to comply to tradition rather than to changes as it has been used in basic human life. However, modern society is increasingly accelerating aspects of its changes on every side, and showingmore radical and exceptional aspects than any other tim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ceramics, those works created by abstract-exressionist artists have gave great significance with their free ideas and expressions. The free and playful ways of ceramic expression that were started by them have been developed into work with multi-dimensional and deconstructive tendencies in the post-modernist age. As it restored Darwinian characteristics, playfulness, and fanciness after modernism, post-modernism has brought humanism into relief, and showed tendencies toward combined imitation, compromises, and modifications. Due to this, as is the case with other artistic disciplines, the field of ceramics has witnessed exceptional and deconstructive work different from that in previous ages. Given that such aspects of the contemporary ceramics realm need to be re-established conceptually, it seems that post-structuralism is appropriated from the perspective of methodology as it appropriately provides conceptual explanation to the modern society’s disorderly phenomena about which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has lost the standard for valuation. Post-structuralism, which was drawn from structuralism, deconstructs the root of the absolute meaning, and has tried to hold every conclusion with its suggestion that interpretation is impossible.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is trend of thought and its application to the aspects of the field of ceramic formative art, I was able to classify them into three general parts: ‘expressions in terms of boundary blurring,’ ‘expressions in terms of non-centrality,’ and ‘expression of and response to textuality.’ In detail, expressions in terms of boundary blurring have been divided into difference among spatio-temporal elements, vagueness due to co-existence of binary concepts, and the indeterminacy of figurative play due to escape from functions. Expressions in terms of non-centrality has been divided into the non-definiteness of disorderly elements deviating from definiteness, and a formative other dependent on prominence of the what have been treated as marginal elements in the area of formative art. Lastly, the concepts of expression of and response to textuality has been divided into intertextuality of genre exchange by the principle of quotation, hypertextuality of expressions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njunction, and intertextuality as two way exchange. I have trieda sampling analysis of expressiveness by this trend of thought in the contemporary ceramic design in order to deepen the contents of these concepts, and as for specific selection of objects for analysis, I have selected 30 artists as artists who expressed man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trend of thought on the sides of forms and contents of artistic activities. I have tried the analysis by making an analytic framework with the expressive-conceptual properties of this trend of thought, which were drawn by sampling one piece of work per artist in chapter 4. Boundary blurring occupies 90.0% of the expressiveness by post-structuralism in the contemporary ceramic design because the phenomenon of boundary breakdown at the recognition boundary is occurring in the field of ceramics. Next, textuality, occupying 80.0%, actively enable creation of novel meanings in the form of ‘conjunction’by the concept of rhizome, which I believe is a result of vivid exchange with materials of other genres and formative styles. Lastly, expressions in terms of non-centrality have appeared to occupy 73.3%. Consequently, we can see that these three concepts occur at high rates comparatively evenly. On the other hand, inter-responsiveness occurs with the low frequency of 20.0% in the expressive concept, from which we can tell that work trying two-way exchanges with the audience in the field of ceramics is implemented infrequently. Also, forms in terms of distortion most infrequently appear in the expressive form. The analysis of deconstructiveness and generation with the expressive form in the contemporary ceramic design suggests that post-structuralism does not lead to destroying results through deconstruction but can be reduced to openness, variability and generative creation of meanings, and is a valuable philosophy that appropriately speaks for the present times. The effects of the expressive concept and form by this trend of thought, first, appeared with histrocist and eclecticist properties through borrowing and transformation of the temporal concepts of past and future in terms of the concept of difference and the spatial concepts of nation, culture, and region, derived formative exceptionality and attentiveness by making opposite dual elements co-exist, accommodated temporal formative consciousness and interest, and pursued formative autonomy through play with shapes by holding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teological functionality of ceramics. Second, expressions in terms of non-centrality presented a novel foundation for formative expressions with the disorderly principles deviating from the core definite forms and nonlinear ways of thinking, extended the domain of the contemporary ceramic design by expressing marginal elements that have been regarded previously as unimportant, and represented openness and diversity with which one can re-establish formative values. Third, the expression of and response to textuality achieved synergy with its flexibility and expandability in terms of inter-relatedness with other genres, presented open and generative meanings in the field of ceramics in various forms of conjunction, and achieved dynamicity and two-way communication in the creation of meaning in work by leading the audience to participate. Thus, this study persuasively explains the boundary blurring and diverse aspects of the contemporary ceramic design on the conceptual side. Not as a general trend in the contemporary ceramic design, but as a working feature of those types in which expressions in terms of this trend of thought appear in the design, thi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ology that can reflect the contemporary flow in potters’ work activities with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ve aspects of the contemporary ceramic design that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and become harder to understand. As such, research on formative expression based on social concepts are necessary, and we can see that such a conceptual way of analysis formatively sublimates and reflects non-ceramic social phenomena that are isolated and meaningless. Also, as men’s desire for returning nature in future society orienting advanced science and material will be increased more and more, the necessity of ceramics as a basic matter is more increasing, and its role and meaning is more important. 도예는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생하였고 기나긴 역사를 지닌 분야이다. 따라서 풍부한 전통이 축적된 분야이며 인간의 기본적인 생활에서 더불어 사용되었기에 변화보다는 전통에 순응하는 경향이 많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모든 면에서 변화의 양상이 점점 가속화되고 있으며 그 어느 때보다 혁신적이고 파격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도예분야에서는 1950년대 이후, 추상표현주의 작가들에 의한 작품들은 자유로운 사상과 표현으로 큰 의미를 남겼다. 이들로부터 시작된 분방하고 유희적인 도예표현 방식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에서 다원적이고 해체적인 경향의 작업들로 전개되었다. 모더니즘 이후의 포스트모더니즘은 다원주의적 특성과 유희성, 장식성을 회복하여 인간적인 면이 부각되었고 혼성모방과 절충, 개작(改作)의 경향을 보였다. 이로 인해 타 예술분야와 마찬가지로 도예 분야에서도 이전과는 다른 파격적이고 해체적인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런 현대도예계의 양상들에 대해 개념적으로 재정립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되며 이에 대한 방법론적인 입장에서 후기구조주의는 서양 철학사에서 무질서하고 가치판단의 기준이 상실된 현대사회의 현상을 적절히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구조주의로부터 파생된 후기구조주의는 절대적인 의미의 근원을 해체하고 해석의 불가능함을 시사하며 모든 결론을 유보시키고자 하였다. 이 사조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그것을 도자조형 분야의 양상에 적용한 결과 ‘탈경계성에 의한 표현’, ‘탈중심성에 의한 표현’, ‘텍스트성의 표현과 반응’의 세 개의 대분류로 분류할 수 있었다. 탈경계성에 의한 표현은 세부적으로 시공간적 요소의 차연, 이분적 개념의 공존으로 인한 모호성, 기능의 탈피로 인한 형상적 유희의 불확정성으로 나눠졌고, 탈중심성에 의한 표현은 정형을 이탈한 무질서적 요소의 탈정형성과 조형 영역에서 주변적 요소로서 다뤄지던 것들의 부각에 의한 조형적 타자로 분류됐으며, 마지막으로 텍스트성의 표현과 반응 개념에서는 인용의 원리에 의한 장르적 교류의 상호텍스트성, 접속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표현의 하이퍼텍스트성, 쌍방향적인 교류로서의 상호작용성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개념을 심화하기 위해 현대도예에서 이 사조에 의한 표현성의 표본분석을 시도 하였는데 분석 대상의 구체적인 선정은 작품 활동의 형식과 내용 면에서 이 사조의 특징이 많이 표현되는 작가로 30명의 작가를 선정하였다. 작가별 1작품씩을 표본 추출하여 4장에서 도출한 이 사조의 표현 개념적 특성으로 분석틀을 구성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현대도예의 후기구조주의에 의한 표현성은 탈경계성이 90.0%로 가장 높은 수치이며 이는 인식개념에서 경계가 허물어지는 현상이 도예분야에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텍스트성이 80.0%으로 리좀(rhizome) 개념에 의한 ‘접속’의 형태로서 새로운 의미 형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타 장르의 소재나 조형 형식과의 활발한 교류의 결과라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탈중심성에 의한 표현이 73.3%으로 나타났는데, 이상 세 개념이 비교적 고르게 높은 수치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현개념에서 상호반응성은 20.0%의 낮은 빈도수로 나타났는데 도예분야에서 관객과의 쌍방향적인 교류를 시도하는 작업이 드물게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세부적인 표현 형식에서는 왜곡에 의한 형식이 가장 드물게 나타났다. 현대도예에서 표현 형식의 해체성과 생성의 분석은 후기구조주의가 해체를 통해 파괴적인 결과를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개방성과 다변성 그리고 생성적 의미형성으로 귀결될 수 있으며 현시대를 적절히 대변하는 유효한 사상임을 제시하였다. 이 사조에 의한 표현개념과 형식에 의한 효과는 첫째, 탈경계성에 의한 표현은 차연의 개념에 의한 과거와 미래의 시간의 개념과 다른 민족, 문화, 지역의 공간적인 개념의 차용과 변형을 통해 역사주의적이고 절충주의적인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상반된 이원적 요소들을 공존시킴으로써 조형적인 의외성과 주목성을 유도하였고 시대적인 조형 의식과 관심을 수용하였고 도예의 목적론적 기능성에 대한 의미해석을 유보하여 형상의 유희를 통한 조형적 자율성을 추구하였다. 둘째, 탈중심성에 의한 표현은 중심 정형을 이탈한 무질서적인 원리와 비선형적인 사고방식으로 새로운 조형적 표현의 근거를 제시하고, 욕망과 무의식의 비논리적인 요소와 기존에 중요하지 않게 여겨지던 주변적 요소들을 표현함으로서 현대 도예의 영역 확장과 조형적 가치를 재정립할 수 있는 개방성과 다양성을 나타내었다. 셋째, 텍스트성의 표현과 반응은 타장르와의 상호적인 관계성에 의한 유동성과 확장성으로 상보성을 이루었고 다양한 접속의 형태로 개방적이고 생성적인 도예분야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관객의 참여를 유도하여 작품의 의미형성에 역동성과 쌍방향적인 소통을 유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도예의 경계 해체적이며 다변적인 양상을 개념적인 측면에서 설득력 있게 설명해주고 있다. 이는 현대 도예의 총체적인 경향이라기보다 현대 도예에서 이 사조에 의한 표현이 나타나는 부류의 작업 특성으로서 점점 다원화되고 난해해지는 현대 도예의 표현양상을 개념적으로 이해하여 도예가들의 작품 활동에서 현시대의 흐름을 반영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론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렇듯 사회적인 개념을 바탕에 둔 조형표현에 관한 연구는 필요하며 이런 개념적인 분석방식으로 고립되고 무의미한 도예가 아닌 사회현상을 조형적으로 승화시켜 반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첨단과학과 물질 지향적인 미래 사회에서 자연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인간들의 희구는 점차로 커질 것이며, 원초적인 질료로서 도예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고 그 역할과 의미는 더욱 중요하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