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화행 이해 및 실현 양상 연구

        Aye Mya Thandar Maung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comprehend and perform Korean refusal speech acts. First, this paper explored how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Korean refusal speech acts and how they differ from Korean native speakers in their performances of these speech acts. As a resul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ing and execution of refusal speech acts in Korean.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were described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Previous research papers were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1) studies on the understanding of refusal speech acts and (2) studies on the performance aspect of refusal speech acts in Korean.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re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derived from the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Research question 1 is as follow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understanding Korean refusal speech acts?’ Research question 2 i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way in which they perform Korean refusal speech acts?’ The final research question is ‘is there a connection between how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Korean refusal speech acts with the way in which they execute them?’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established by observing the concept, variables and strategies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As a result of this observation, an analysis framework was created. Its formation considers four kinds of refusal speech act variables that include situations of ‘requests, invitations, proposals, and offers’ according to Beebe et al.(1990). In addition, factors of social power and level of intimacy were included in correspondence to Haiyoung Lee(2003). The category of social power is further divided into ‘upper, equal, and lower’ levels, and degree of intimacy is distinguished by ‘familiar and not familiar’. As for the strategic analysis framework of this paper, it is divided into categories of ‘direct rejection’, ‘indirect rejection’ and ‘supplementary expressions’ in reference to Beebe et al.(1990).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of various strategies was prepared by referencing Haiyoung Lee(2003). Chapter III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hich includes the research procedure,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at Y University in Myanmar and 30 Korean native speakers.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data for this study, four different surveys were conducted: (1) a survey about the probability of situations, (2) a proficiency assessment survey, (3) a survey evaluating the understanding of refusal speech acts, and (4) a survey on the performance aspect of refusal speech ac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IBM SPSS Statistics 25.0. In Chapter IV,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xamined and discussed.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1)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comprehension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2)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ir performances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s of refusal speech acts in Korean.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three groups in understanding Korean refusal speech acts. While the Korean native speakers understood the intentions of the speaker in his/her performance of a refusal speech act, Myanmar learners often accepted the speaker’s refusal strategy as plain speech instead of understanding its pragmatic meaning.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items 1, 5, and 23 in the act of rejection in Korean,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other situations. In other words, the Myanmar learners performed the same kind of refusal speech acts as Korean native speakers in those situations. In all three groups, explanation and apology strategies were the most preferred, but caution/reproach and compensation strategies were the least preferred. As for the final research problem, it was concluded that the higher level of comprehension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the more refusal speech acts were performed, similar to the performances by the Korean native speakers. In Chapter V,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ere described and future research plans were proposed. The study was significant due to its investigation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performed by Myanmar Korean learners, which was a research topic that had never been conducted befor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not only examined Myanmar Korean learners’ performance, but also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was able to recognize the features and shortcomings of Myanmar Korean learners in their executions of refusal speech acts in Korean language. However, it could not analyze the results with various variables and could not provide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relevant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 이해 및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거절 화행을 이해하고 실현함에 있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에 대한 이해와 실현 양상 간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서술하여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는 한국어 거절 화행 이해에 관한 연구와 한국어 거절 화행 실현 양상에 관한 연구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본고의 연구 문제를 결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 1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거절 화행을 이해하는 데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이며, 연구 문제 2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거절 화행을 실현하는 데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이다. 마지막 연구 문제 3은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에 대한 이해와 실현 양상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이다. II장에서는 거절 화행의 개념 및 변인, 거절 화행의 전략을 관찰함으로써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거절 화행 개념 및 변인, 또는 전략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거절 화행 변인을 Beebe 외(1990)에 따라서 ‘요청, 초대, 제안, 제공’ 4가지의 상황으로 설정하였으며, 사회적 권력이나 친밀도는 이해영(2003)에 따라 사회적 권력을 ‘상, 동등, 하’로 구분하며 친밀도는 ‘친, 소’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전략 분석틀은 Beebe 외(1990)를 참고로 하여 ‘직접 거절’, ‘간접 거절’, ‘부가 표현’으로 구분하되, 세부적인 전략 분류를 위해 이해영(2003)을 참고하여 이를 수정 보완하여 전략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III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 연구 대상, 자료 수집 도구, 자료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연구 대상은 미얀마 소재의 Y대학교에 재학 중인 한국어 전공 학부 과정 학생 60명과 이에 대한 비교 집단인 한국어 모어 화자는 30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해 자료를 수집할 때는 상황 개연성 조사, 숙달도 평가 조사, 거절 화행 이해 능력 평가, 거절 화행 실현 양상 평가 등 4개의 실험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 검정(Scheffe’s test),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IV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여 논의하였다. 결과는 한국인과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 이해, 한국인과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 실현 양상,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 이해 및 실현 양상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마다 유도 화행별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논의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의 거절 화행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세 집단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한국인의 경우 대화 발화자의 의도를 잘 파악하여 거절 화행을 이해하고 있는 반면 미얀마인 학습자는 발화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략을 보고 이를 화용적 의미보다 발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어의 거절 화행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문항 1, 5, 23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 외의 상황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즉, 미얀마인 학습자들이 한국인과 유사하게 거절 화행을 수행하고 있었다. 세 집단 모두 ‘단정적 거절 전략’ 및 ‘설명하기 전략’, 또는 ‘사과하기 전략’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주의 주기/책망하기 전략’ 및 ‘보상하기 전략’을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연구 문제에서는 한국어 거절 화행에 대해 이해도가 높을수록 거절 화행을 실현하는 데에도 한국인과 유사하게 거절 화행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이해도 상위 집단 학습자들은 한국인처럼 거절 화행을 수행하기 위해 ‘동정/이해 구하기 전략’이나 ‘회피하기 전략’, ‘받은 셈 치기 전략’ 등을 사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반면 하위 집단에서는 이러한 전략 사용이 보기 드물었다. V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며 연구의 의의를 기술하고 앞으로 이루어야 하는 점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화용 교육에서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던 미얀마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 학습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뿐만 아니라 아직 활발하게 연구되지 않았던 학습자의 화행 이해에 대해서 살펴보았다는 점,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 화행 실현 시의 특징이나 향후 교육 시에 필요한 보완점을 알아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양한 변인을 가지고 결과를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점, 또는 미얀마인 학습자들을 위해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였다는 점들을 한계점으로 남기며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 자바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연구

        KHARIDINI, VERHUNY VIANDA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fusal speech act of Javanese Korean Learners(JKL) by comparing Javanese native speakers(JNS) with Korean native speakers(KNS). The data were elicited, using Written Discourse Completion Test(WDCT), from 30 Korean native speakers, 30 Javanese Korean Learners and 30 Javanese native speakers. They were asked to fill out WDCT, which consists of the questions classified into six requesting situation, six offering situation, six inviting situation, and six suggesting situation, depending on two factors, that is social status or ages and intimacy. The refusal strategies were classified based on modified refusal taxonomy by Beebe et al.(1990), Lyuh, Inook(1992), and Lee, Haiyoung(2003). This study found that all three groups employed broadly similar strategy types in their responses to a given requesting, offering, inviting, and suggesting. Some differences were found, in which the strategies of the Javanese Korean learners and Javanese native speakers were more similar in using excuses and address terms than to Korean native speakers. Furthermore, depending on each situation, first language transfer influences the usage of realization refusal speech act by Javanese Korean learn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stinctive JKL usages are due to the use of the Javanese politeness and cultural values that are shown to be reflected in the Korean refusal of Javanese learners. 본 연구는 자바인 한국어 학습자(JKL)의 거절 화행 양상을 한국어 모어 화자(KNS)와 자바어 모어 화자(JNS)와 비교함으로써 학습자의 사용 전략 양상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거절 화행의 분석 기준으로 Beebe et al.(1990), Lyuh(1992), 이해영(2003)의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이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할 분석 기준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전략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분류하여 집단별 사용 전략 양상을 분석하였다. 자바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화행 사용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바인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 모어 화자, 자바인 모어 화자의 거절 화행 사용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서면 DCT를 실험 도구로 설정하였다. 설문은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 자바인 한국어 학습자 30명, 자바어 모어 화자 30명 총 9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거절 상황에서 거절을 유도하는 화행과 고려해야 하는 변인으로써 상대방의 지위 및 연령, 친밀도를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자바어 모어 화자의 비교를 통해서 자바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거절 전략 사용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각 응답에 대한 문화적 배경에 주목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와 자바인 한국어 학습자, 그리고 자바어 모어 화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요청, 제공, 초대, 제안 상황에서 세 집단 모두 대체로 비슷한 전략 양상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자바인 한국어 학습자와 자바어 모어 화자들은 한국어 모어 화자들과 달리 사과하기와 호칭 전략의 사용 빈도가 더 높고, 반복적인 현상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자바인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거절 화행 양상에도 모국어 전이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자바문화 가치와 공손성이 자바인 한국어 학습자의 전략 사용 양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간 한국어 거절 화행 연구에서 이루어지지 못 하였던 한국인과 자바인을 대상으로 요청, 제공, 초대, 제안 상황에서 사회적 지위 및 연령이나 친밀도에 따라 선호하는 거절 화행 전략 양상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화행에 대한 연구

        ABDELHAMID, REEM MAHMOUD MOHAMED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ways in which Egyptian students who major in Korean studies at Ain Shams university in Egypt perform speech acts of compliment. It focuses 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speech acts of compliment, performed by groups of Korean native speakers, Egyptian native speakers and Egypt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s their major. They were asked to fill out a written DCT(Discourse Completion Test), which consists of questionnaire that is classified into 24 questions about appearance, skills, possessions depending on 3 factories, which are intimacy, social status and gend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gyptian learners' realization of strategies of the speech acts of compliment and to determine the need of Pragmatics in Korean education in Egypt. This study has two targets. The first one i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strategies of compliments performed by the three groups, depending on different topics such as appearance, skills or possessions. The second one i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strategies of compliments performed by the three groups, according to intimacy, social status and gender. The study found that the three groups preferred direct compliments but in some situations they didn't express anything and kept their comments to themselves. The Egyptian Korean learners used some strategies similar to that used by the Korean native speaker group. Although Almost the expressions they used were closer to the Egyptian speaker group expressions. Which means that the students group ha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language phase.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hat focuses on realization of the speech acts of compliment of The Egyptian Korean learners.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Korean pragmatics and the compliment speech acts so it shall be a basic that can help in teaching Korean language in Egypt.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아랍지역에서는 한국어와 아랍어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예전보다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측면에서만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원어민은 외국인의 어색한 발음이나 억양, 어휘나 문법의 선택보다 화용적 문제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이해영, 2015: 15). 이런 경우, 원어민과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 화용적 실패(pragmatic failure)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화용 교육의 필요성은 강조될 만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이집트 아랍어 모어 화자,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 세 집단의 칭찬 화행 유형 사용 양상을 서면 DCT를 통해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는 연구 문제 1인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이집트 아랍어 모어 화자,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 세 집단은 칭찬 화행을 수행함에 있어서 어떤 내용의 칭찬을 하는지, 그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 것이고, 연구 문제 2인 각 집단은 사회적 변인에 따라 칭찬 화행 실현에 어떤 특징과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살핀 것이다. 각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칭찬 화행 수행 시 어느 집단과 가까운지를 알아봤다. 그 결과를 통해 세 집단이 발화에서 사용한 표현들을 살펴보면서 양국의 문화적인 차이를 보이는지, 그렇다면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칭찬화행을 수행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본 연구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다음에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화행이론 및 칭찬 화행의 정의와 유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Ⅲ장은 연구 대상과 도구, 절차와 자료 분석 방법 등으로 구성된다. Ⅳ장에서는 서면 DCT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각 집단의 칭찬 화행 내용 및 사회적 변인별로 분석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세 집단의 칭찬 화행 유형 사용 양상을 다중응답분석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결론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에 따른 칭찬 화행 유형 분석 결과는 모든 집단에서는 직접적이고 단정적인 칭찬이 선호되었다. 또한 이집트인 학습자 집단에서 여러 개의 유형을 사용하여 한국인 집단의 사용 유형과 가까운 양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이집트인 학습자 집단은 이집트인 집단에 비하여 보다 한국인 집단과 같은 유형을 사용하여 칭찬하였으나 사용한 발화는 이집트인 집단이 사용한 발화와 비슷하여 아직도 모국어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한국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반말, 영어표현, 모국어를 직역한 표현 등의 현상이 나타나 학습자에게 칭찬 수행 시 칭찬 화행 유형 또한 그에 마땅한 표현 등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둘째, 사회적 변인에 따른 칭찬 화행 유형 분석 결과를 보면 친밀감이 있을 경우 모든 집단에서는 자유롭고 다양한 유형이 활용되었던 반면 친밀감이 없을 경우 더 의례적이고 격식적인 상황으로 인식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대적 지위가 높을 때보다 낮을 때 모든 집단에서 발화가 자유롭고 비격식적이다. 한편, 성별 변인 분석에서는 한국인 집단에서 성별과 관계없이 사용하는 유형은 달라지지 않았는데 이집트인 집단과 이집트인 학습자 집단에서는 청자가 여성일 때보다 남성일 때 칭찬 유형이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의 대부분이 여자인 관계로 나머지 두 집단도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남녀의 수를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와 동일하게 고려하였으므로 본 연구를 분석하는 데에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아랍 국가마다 방언도 문화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모든 아랍권 학습자에게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칭찬은 일상생화에서 흔히 있을 수 있는 일이며 이 또한 한국 문화의 일부가 되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언어교육과 더불어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다. 지금까지 한국어와 아랍어 간의 이루어진 화용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은 사과 화행과 거절 화행에 대한 연구, 단 두 편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최초로 한국어와 아랍어 칭찬 화행에 대해 고찰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어 이해 연구

        Li, Yan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비교문화적 관점과 대조분석 가설을 바탕으로 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관용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지, 그 요인 간의 상관성이 존재하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동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관용어 습득 연구는 주로 아래와 같은 요인을 중심으로 이에 따른 제2 언어 학습자의 관용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집중하였다. 예컨대 비교언어적 유사성이나 의미 투명도, 과제 유형과 같은 요인 외에 학습자 변인으로 각각 숙달도, 체류 기간, 한국 거주 경험, 성별, 전공, 관용어에 대한 친숙도와 같은 변인 등이 있다. 대부분 연구를 보면 영향 요인을 각각 독립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러나 이암(2020, 2021)에서 밝힌 듯이 관용어 이해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이 관용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임을 발견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은유 표현을 연구한 이해영 외(2020)에서도 은유 유형과 한국어 숙달도 간에 상관성이 있었다는 것을 고찰하였으므로 본 연구는 또한 관용어의 언어적인 요인 간, 언어적인 요인과 학습자의 변인 간에도 상관성이 존재할 수 있음을 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한·중 관용어의 언어적 형태와 의미의 같음과 다름, 문화 간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따라 관용어를 유형화하여 이렇게 분류한 관용어의 유형과 관용어의 사용 빈도에 따른 관용어 이해 양상을 살펴보는 동시에 학습자의 숙달도, 거주 경험 유무, 그리고 언어 접촉 정도에 따른 차이도 나타나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관용어를 크게 한·중 관용어에 모두 있는 경우와 한국어에만 있는 경우의 두 유형으로 나눈 다음 전자에서 다시 언어적 형태 의미가 같고 관용적 의미가 같은 동형동의(同形同義) 관용어(A1 유형)와 언어적 형태 의미가 같지만 관용적 의미가 다른 동형이의(同形異義) 관용어(A2 유형)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후자에서 다시 보편적이고 상식적으로 해석 가능한 관용어(B1 유형)와 한국의 특수한 문화가 반영된 관용어(B2 유형)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관용어의 유형 외에 관용어의 사용 빈도(구어와 문어 모두 포함)에 따라 다시 고빈도 관용어와 저빈도 관용어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3개씩 관용어를 선정하여 총 24개 관용어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총 5 장으로 구성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고, 그 동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위주로 화용적 표현 습득 연구와 관용어 습득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의 연구 범위를 선정하며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본 연구에서 한국어 관용어 분류의 합리성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화용 연구와 비교문화적 관점을 정리하면서 서구 중심의 보편적 화용론에서 벗어나 비서구권 언어 습득 연구에서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모두 연구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한국어 관용어와 중국어 관용어 각자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본 다음에 본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한 한국어와 중국어 관용어를 각각 한정하면서 한·중 관용어의 대조 유형 기준을 제기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우선 연구의 절차를 밝히고, 예비 실험을 소개하면서 본 실험 전에 수정·보완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 참여한 실험 참여자,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 수집 도구, 그리고 자료 분석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면서 실험 결과 및 원인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를 크게 연구 문제에 따라 두 절로 나누었다. A절에서 연구 문제 1에 대한 실험 결과를 밝혔다. 연구 문제 1은 중국인 학습자가 관용어의 유형과 관용어 사용 빈도에 따라 관용어 이해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관용어의 유형에 따른 관용어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실험 참여자에게서 관용어의 유형에 따른 관용어 이해 차이가 있었고 중국인 학습자가 가장 이해하기 쉬운 유형은 중국어와 언어적 형식의 의미도 같고 관용적 의미도 같은 A1 유형과 한국어에만 있으나 보편적이고 상식적으로 해석 가능한 B1 유형이다. 반면에 중국어와 언어적 형식 의미가 같지만 관용적 의미가 다른 A2 유형과 한국의 특수한 문화가 반영된 B2 유형에 대한 이해가 가장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으로 관용어의 사용 빈도에 따라 관용어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역시 고빈도 관용어의 이해도가 저빈도 관용어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실험 참여자가 교실에서 배운 적이 없는 관용어임에도 불구하고 실제생활에서 많이 노출되면 학습자가 이러한 관용어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관용어의 유형과 사용 빈도에 상관성이 있는지와 두 요인 중에서 어떤 요인이 관용어 이해에 큰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관용어의 유형과 사용 빈도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였다. 이는 관용어의 유형별로 사용 빈도에 따라 이해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중국인 학습자는 A1 유형에서 사용 빈도에 따른 이해 차이가 가장 작았고 B1 유형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가 관용어를 이해하는 데에는 사용 빈도보다 관용어의 유형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받았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2절에서는 연구 문제 2에 대한 실험 결과를 밝혔다. 연구 문제 2는 한국어 숙달도와 한국 거주 경험 유무, 그리고 언어 접촉 정도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가 관용어를 이해하는 데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숙달도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고급 학습자가 중급 학습자보다 관용어를 훨씬 더 잘 이해하였다. 그 다음으로 숙달도와 관용어의 유형, 그리고 관용어 사용 빈도 간의 상관성을 알아본 결과, 각 변인에 따른 관용어 이해에 모두 차이가 있었으나 변인 간의 상관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 다음으로 한국 거주 경험 유무에 따른 관용어 이해 결과를 살펴보면 주로 고급 학습자에 한정하여 이에 따른 관용어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했는데, 한국 거주 경험 있는 학습자가 거주 경험 없는 학습자보다 관용어를 더 잘 이해하였다. 거주 경험 유무와 관용어의 유형 간에도 상관성이 존재하였다. 다시 말하면 한국 거주 경험 유무에 따른 관용어 이해 차이가 관용어의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언어 접촉 정도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중급 학습자인 경우, 언어 접촉 정도와 관용어의 유형, 그리고 사용 빈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급 학습자인 경우 이 세 변인에 따른 차이가 모두 존재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교육적인 제언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어 이해 연구가 대조분석 가설이나 모국어의 영향에 치우쳐 이루어진 데 문제를 제기하고 비교문화적 관점과 더불어 관용어를 유형화하여,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관용어의 사용 빈도까지 포함해 중국인 학습자의 관용어 이해 양상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그 외에도 학습자 변인에서 그 동안 습득 연구를 할 때 주요하게 다룬 학습자의 숙달도와 거주 경험 유무 이외에 언어 접촉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을 재확인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단계나 상황에 처한 학습자가 한국어 관용어를 이해할 때 어떤 요인이나 변인에서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였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보다 학습자 중심인 관용어 교육을 할 때 참조할 만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용어를 분류할 때 언어적 형태와 관용적 의미의 같음과 다름,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관용어를 분류하는 것은 물론 관용어의 사용 빈도도 포함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일련의 제언을 통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관용어 사전을 작성하거나 관용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the process of comprehending Korean idioms an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based on the comparative cultural perspective and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Until now, previous studies on idiom acquisition in KFL/KSL teaching mainly focuses on factors such as cross-language similarity, semantic transparency and task types to examine their effects on idiom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learners. In addition, there are variables such as Korean proficiency, residential experiences, gender, major, and idiom familiarity, etc. In most studies,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separately considered. However, Yan Li (2020, 2021) foun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diom comprehension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were influencing each other in the process. Haiyoung Lee et al. (2020) pointed out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metaphor types and Korean proficiency, concluding that there may be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linguistic variables and learner variables in the process of comprehension. Therefore, in this study, Korean idioms were categorized into 4 types, depending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idioms. Each type of idioms was further divided into high-frequency idioms and low-frequency idiom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while also examining differences in terms of learner proficiency, residential experiences, and intensity of language contact. This paper consists of five parts. Part Ⅰ deals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t also reviews previous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pragmatic expressions and on idiom acquisition in KFL/KSL teaching. It concludes with the scope of the study and the research questions. Part Ⅱ present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There are two main parts: the first part is the theory of cross-culture pragmatics and the second part introduc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idioms, and puts forward the comparison types of Korean and Chinese idioms. Part Ⅲ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t introduces the research procedures and three stages of pilot studies. It also introduces the participants, the research instruments and the data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Part IV describe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Section A discusses whether learners’comprehension of Korean idioms is affected by the type and frequency of idioms, an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factor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idiom comprehension in relation to the idiom type. Among them, the A1 and B1 types were easier to understand than A2 and B2 types. Learners were influenced by not only their mother tongue but also cultural differences when comprehending idioms. At the same time, their comprehension of idioms was also affected by the frequency of idioms. The comprehension of high-frequency idioms was much better than that of low-frequency idioms.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and frequency of idioms. This means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mprehension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use related to the idiom type. In other words, when Chinese learners comprehended type A1 idioms, the difference between high-frequency idioms and low-frequency ones was the smallest, and when they comprehended type B1 idiom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the largest. Section B discusses whether learners’comprehension of idioms is affected by learner variables such as the proficiency of Korean, residential experiences, and intensity of language contact.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idiom comprehension in relation to the proficiency of Korean. The advanced learners understood idioms better than intermediate learners. However,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proficiency and the type and frequency of idiom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learners with study-abroad experience in Korea can better understand idioms than learners without study-abroad experience in Korea. There was also a correlation between residential experiences and idiom types.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in idiom comprehensio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perience of studying in Korea was different for each type of idiom. Finally,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rms of the intensity of language contact, types of idioms, and frequency of use in intermediate learners, but in advanced learn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intensity of language contact, the types and frequency of idioms Part V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can provides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idiom teaching and makes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studies on Chinese learners’ idiom comprehension mainly focused on contrast analysis or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 tongue, categorized idioms based on comparative and cultural perspectives, and examined Chinese learners’comprehension of idioms. It also reaffirmed that idioms should be classified and examin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language contact in addition to the language proficiency and residential experiences, which were mainly dealt with when conducting acquisition studies on the learner variable. It confirmed that different levels of Korean proficiency,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and different intensities of interaction in Korean affect Chinese learners’comprehension of Korean idioms. So it can provide insights for developing learner-centered teaching programs in Korean idiom teaching. In addition, when classifying idioms,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culture as well as the frequency of use of idiom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t can also be used as basic data for compiling an idiom dictionary.

      •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 및 실현 양상 연구

        Aye Mya Thandar Maung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인식 및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담화에서 관계적 응집성을 인식하고 실현함에 있어 어떠한 특징을 보이며, 한국어 모어 화자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인식이 담화 내 관계적 응집성을 실현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인식 및 실현 간에 상관성이 있는지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를 통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계적 응집성 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응집성 인식에 관한 연구’와 ‘응집성 실현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상세히 검토하였다. 이후,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토대로 설정된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대해 기술하였다.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로 본 연구의 출발점이 되는 ‘텍스트성(textually)’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담화를 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7가지의 요소에 대해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응집성(coherence)’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는데, 이를 통해 그간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던 응집성에 대한 본 연구의 입장을 밝히고, 응집성의 의미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후, 응집성의 하위 부류인 ‘지시적 응집성(referential coherence)’ 및 ‘관계적 응집성(relational coherence)’에 대해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기술을 통해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이 되는 관계적 응집성의 유형을 도출하고, 각각의 유형에 대해 예시를 통해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절차를 기술한 후, 예비 실험 1과 2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제시하는 한편, 예비 실험을 통한 수정 및 보완 내용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본 실험에 대해 자세하게 기술하였는데, 본 실험의 연구 참여자, 연구 문제별 자료 수집 방법 및 도구,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자료 분석 방법 등에 대해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 및 실현 양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는데, A 절에서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 양상을 알아보았다.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인식 양상을 집단 및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통해 각 집단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 순서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담화에서 관계적 응집성을 인식하는 데 있어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 ‘숙달도 상위 집단’, ‘숙달도 하위 집단’의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가 하위 집단으로 인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인식 점수에서도 상위 집단 학습자들은 ‘병렬 관계’, ‘시간적 근접 관계’, ‘공간적 근접 관계’를 제외하여 모든 관계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점수가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하위 집단에서는 인식 점수가 높지 않아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들은 관계적 응집성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관계적 응집성을 인식하는 데 숙달도가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계적 응집성의 유형별 인식 양상에는 ‘주장-논거 관계’ 및 ‘시간적 근접 관계’를 제외한 모든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세 집단 모두 ‘원인-결과 관계’에서 인식 점수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인식 비율이 가장 낮은 관계 유형에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학습자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시간적 근접 관계’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학습자 집단은 ‘병렬 관계’에서 점수가 제일 낮았다. 세 집단이 ‘원인-결과 관계’에서 최고 점수를 받았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나, 각 집단에서 관계적 응집성의 유형에 따라 인식하는 순서가 다르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B 절에서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실현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집단 및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각 집단의 관계적 응집성 실현 순서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담화에서 관계적 응집성을 실현하는 데 전체 사용 빈도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 ‘숙달도 상위 집단’, ‘숙달도 하위 집단’의 세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세 집단 간의 실현 빈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선호하는 관계적 응집성 순서는 다르게 나타나 흥미로웠다. 본고의 작문 주제의 특성상 세 집단 모두 ‘주장-논거 관계’를 선호하였으나, 그 다음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는 ‘상세화 관계’를 가장 많이 선호한 반면, 학습자들은 ‘병렬 관계’를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한편, 세 집단 모두 ‘예외 관계’, ‘어긋난 예측 관계’, ‘부인 관계’, ‘시간적 근접 관계’, ‘공간적 근접 관계’ 등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상위 집단 학습자들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사한 빈도로 관계적 응집성을 형성하고 있으나, 하위 집단 학습자들은 교재에 자주 등장하거나 익숙한 관계를 많이 선호하여 실현 빈도에 두 집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관계적 응집성을 실현하는 데 숙달도가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 절에서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 및 실현의 상관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집단 및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각 집단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 및 실현 순서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관계적 응집성의 인식과 실현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유형별 인식 및 실현 간에서도 일부의 관계 유형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예시 관계’ 및 ‘주장-논거 관계’에 대한 실현이 대부분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률 및 실현율에서는 실현율이 높은 유형보다 인식률이 높은 유형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실현율보다 인식률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한 후,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방안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던 응집성에 관한 연구로 관계적 응집성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인식 및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습자의 인식과 실현 양상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하였던 인식과 실현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응집성, 또한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교수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본 연구의 결과가 관계적 응집성을 교수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comprehend and perform relational coherence in Korean. First, this paper explores how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Korean relational coherence and how they differ from Korean native speakers in their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in discourse.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how the awareness of relational coherence affects the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in discourse and the kind of correlation that exists between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t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relational coherence education of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describ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reviews prior studies. Previous research papers are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1) studies on the awareness of coherence and (2) studies on the performance of coherence. Subsequently, this study focuses on thre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derived from the investigation of prior studies. Chapter II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which examines the concepts of ‘textuality’, ‘coherence’ and ‘relational coherence’. In the ‘textuality’ section, seven element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 discourse are described. In the ‘coherence’ section, the definition, and types of coherence, ‘referential coherence’ and ‘relational coherence’ are outlined. Lastly, in the ‘relational coherence’ section, the classes of relational coherence of this study are defined, and each class is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Chapter III discusses research methods. First,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s detailed, and the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ilot tests 1 and 2 are presented. Next, the subjects, data collection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s of this study are also described. Chapter IV exam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In section A, the awareness of relational coherence of Myanmar Korean learners is discussed. This is analyzed by group and class, and the order of recognition of relational coherence of each group can be observed in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of the ‘Korean native speaker group’, ‘superior proficiency level group’, and ‘low proficiency level group’ in recognizing relational coherence in discourse. It is certain that these differences were due to the low proficiency level group. In terms of recognition scores, the higher proficiency level group showed similar scores to Korean native speakers in all relations except in ‘parallel relation’, ‘time contiguity relation’, and ‘place contiguity relation’. Meanwhile, the learners with lower proficiency levels had relatively low recognition scores, reflecting their inability to effectively recognize relational coherence. The findings confirm that a speaker’s proficiency level influences their recognition of relational coherence in discourse.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patterns by classes of relational coherence in all items except for ‘claim-argument relation’ and ‘time contiguity relation’. All three group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cognition scores in ‘cause-effect relation’,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s and learner groups in the relations type in terms of the lowest percentage of recognition. Koreans received the lowest score in ‘time contiguity relation’, and the learner group scored the lowest in ‘parallel relation’. Although the three groups similarly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the ‘cause-effect relation’ category, it is evident that the order of recogni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classes of relational coherence in each group. In section B, the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of Myanmar Korean learners is discussed. This is also analyzed by group and class, and the order of the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of each group can be found in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of ‘Korean native speaker group’, ‘superior proficiency level group’, and ‘low proficiency level group’ in the overall frequency of use in realizing relational coherence in discours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alization frequency between the three groups, but the preferred order of relational coherence was different. All three groups preferred ‘claim-argument rel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writing topic of this paper, but Koreans preferred ‘elaboration relation’ the most, and the learners used ‘parallel relation’ overwhelmingly more than Koreans. All three groups rarely used ‘exception relation’, ‘violated expectation relation’, ‘denial of preventer relation’, ‘time contiguity relation’, and ‘place contiguity relation’. Overall, the higher proficiency level learners form relational coherence with a frequency like that of native Koreans, but the lower proficiency level learners prefer familiar relations that frequently appear in textbooks, which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realization frequency. These results confirm that a speaker’s proficiency influences their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In section C,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of Myanmar Korean learners is discussed. This is also analyzed by group and class, and the order of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of each group can be seen in the results. The study shows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Awareness and performance by type were also found to be correlated in some relation types, and the performance of ‘example relation’ and ‘claim-argument rel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st of the relational coherence awareness types. In the relational coherence awareness rate and performance rate of Myanmar Korean learners, the awareness rate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rate. Chapter V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lain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proposes suggestions for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future research plans. This study is significant due to its investigation of Korean relational coherence performed by Myanmar Korean learners, which is a research topic that has never been conducted befor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study not only examined Myanmar Korean learners’ awareness and performance, but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which was unexplored in previous studies.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necessity of teaching coherence and relational coherenc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with hope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in relational coherence teaching methods.

      •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축제가 지역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이종하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Local cultural festivals are implemented to activate the local economy as well as to develop the local tourists industry. It has lots of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ourists industry as it shows local residents the inheritance and observance of local original culture and informs the tourists of the superiority of culture.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cultural festival sponsored by local government, Gyeongsan City on the tourists industry and illuminated its problems and improvements. The study tried to establish the plan for local development and economic activation through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local cultural festivals. The place of investigation was the Gyejeong Forest area in Jain-myeon where Gyeongsan Jain Dano Festival is held and Gatbawi Public Parking Lot in Daehan-ri Wachon-myeon where Gatbawi Festival is held. All the related materials were gathered and analyzed such as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that was entrusted to special festival agency during the festival period, the various opinions presented on festival homepage, the evaluation report by Jain Dano Preservation Society and the general reviews of Gyeongsan City self evaluation briefing.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biggest problems of cultural festival were the shortage of various convenient facilities like narrow event space, insufficient parking lot, in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rest place, and the underdeveloped tourists products that can represent the region. In conclusions, for developing the cultural festival,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vent and parking lot space urgently. And for developing original and various programs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he function and role of Festival Promotion Committee must be composed of citizens.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responsibility and speciality of festival and the stability of finance and to create a quality service during the festival by the committee turned into a permanent body. Improvements are required such as traditional foods not available at other plac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experience tourists, efficient linkage with tourists agency, establishment of cultural tourists infra, tourists-oriented program and diversification of tourists products. To make the festival successful, a plan should be arranged to attract lots of college students to festival place, and tourists resources should be used so that local residents can take part in voluntarily considering regional development. 문화축제는 관광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개최되고 있으며, 지역민들에게는 지역 고유문화의 전승·보전과 함께 관광객들에게 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등 관광산업 발전에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축제가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문화축제를 통하여 지역발전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은 경산자인단오제가 개최되는 자인면 계정숲 일원과 갓바위 축제가 개최되는 와촌면 대한리 갓바위 공영주차장 일원이며, 축제기간 동안 축제전문기관에 용역 의뢰하여 나타난 설문조사 결과와 축제 홈페이지에 나타난 여러 가지 의견 및 자인단오보존회의 평가보고서와 경산시 자체평가보고회 결과 총평 등 관련 자료를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축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협소한 행사장과 부족한 주차공간, 휴식공간 등 각종 편의시설 미비와 먹거리 장터 운영 미흡과 또한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관광 상품 미개발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화축제의 발전방안으로는 행사장 및 주차공간의 시설확충과 지역의 특성을 살린 독창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또한, 민간으로 구성된 축제추진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의 강화로 상설기구화 하여 축제의 책임성과 전문성, 재정의 안정성 확보가 중요하며, 축제기간 중 다른 곳에서 맛볼 수 없는 전통음식, 차별화된 체험관광 개발, 여행업체등과 효율적인 연계, 문화관광 인프라 구축 등으로 관광객 위주의 프로그램 운영, 관광 상품의 다양화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축제장에 젊은층의 지역민과 대학생들의 많은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 마련과 관광자원을 활용하여 지역발전과 연계한 주민들의 자발적인 축제참여가 이루어 져야 문화축제가 성공하는 지름길이라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