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정서표현능력의 매개효과

        박수련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internalized shame 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to verify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emotion expression ability.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used to measure Internalized Shame Scale(ISS),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KIIP-SC),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DERS), Emotion expression ability of The Adult Emotional Quotient Test(AEQT). And the data from 371 early adults under 40 years of age wer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SPSS 23.0. In addition,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emotion expression a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and emotion dysregulation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 expression ability. Interpersonal problems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emotion dysregulation, negatively with emotion expression ability. Second, in the impact of internalized shame on interpersonal problems emotion dysregulation and emotion expression ability were mediated individually and parallel multiple mediated effect were also appeared. In other words, internalized shame not only directly affects interpersonal problems, but also indirectly through emotion dysregulation and emotion expression abilit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internalized shame, the more difficult it is to control the emotions and the less able to express their emotions appropriately, and the more likely it is to experience interpersonal problems. This suggest that in the case of early adult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 can consider the influence o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vene with focus on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 expression ability. In the previous research, internalized shame was mainly studied with anger expression modes.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not to confine to the specific emotion of anger, but to investigate whether the various emotions can be appropriately expressed in the situ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정서조절곤란과 정서표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0세 이하 초기성인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 정서조절곤란, 정서표현능력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 37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3.0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 등을 분석하였고, SPSS PROCESS Macro 3.2를 이용하여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정서표현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대인관계문제, 정서조절곤란과 정적상관, 정서표현능력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대인관계문제는 정서조절곤란과 정적상관, 정서표현능력과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정서표현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개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으며 병렬다중매개효과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내면화된 수치심은 대인관계문제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서조절곤란과 정서표현능력을 통해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정서조절에 곤란을 경험하거나 자신의 정서를 상황에 적절하게 표현하는 능력이 낮아 대인관계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초기성인의 경우, 내면화된 수치심의 영향력을 고려하고 정서조절과 정서표현능력에 초점을 맞춰 개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존연구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은 주로 분노표현방식과 연구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분노라는 특정정서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정서를 상황에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에 의한 갈등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소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에 의한 갈등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생 37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통계분석을 위해 IBM SPSS Statistics 23과 The PROCESS macro version 3.3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조절능력, 갈등대처방식, 대인관계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인식 명확성은 정서조절능력, 갈등대처방식 중 타협, 통합방식, 대인관계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회피방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정서조절능력은 타협과 통합방식, 대인관계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 보였고 회피방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갈등대처방식 중 회피방식은 타협, 양보, 통합방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지배방식과 대인관계능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타협방식은 양보, 통합방식, 대인관계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통합방식은 대인관계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갈등대처방식 중 회피방식, 타협방식, 통합방식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정서인식 명확성이 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에 의한 갈등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장면에서 대학생 내담자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정서를 적절히 조절하며 갈등상황에서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다루지 못하는 회피방식과 같은 부정적인 대처는 줄이고 타협 및 통합 방식의 긍정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개입한다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에 대한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gulation of emotion and the styles of handling confli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370 college students were collected through the online and the offline survey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IBM SPSS Statistics 23 and The PROCESS macro version 3.3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clarity, regulation of emotion, the styles of handling conflicts, and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 Second, the partially mediated effects of the styles of handling conflicts were identified on the avoidance, compromising, and integra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ird, the mediated effect of the styles of handling confli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Fourth,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gulation of emotion and the styles of handling conflic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clarity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college students’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counseling sessions. And it is expected that college students would be able to improve their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by clearly understanding their own and other people's feelings and sentiments, regulating their emotions appropriately, and making positive responses such as compromising and integrating styles in conflict situations.

      • 성인초기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진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18~35세 남녀를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척도, 경험회피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우울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221명의 설문 결과 중 응답 연령에 맞지 않는 3부를 제외하고 최종 218명의 자료를 SPSS 23, PROCESS Macro 3.4.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거부민감성, 경험회피, 사회적 지지, 우울은 서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부민감성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칠 때, 경험회피는 거부민감성을 거쳐 우울에 정적으로 완전 매개하였다. 넷째,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는 거부민감성을 거쳐 우울에 부적으로 부분 매개하였다. 다섯째,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칠 때, 경험회피와 사회적 지지는 병렬다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경험회피와 사회적 지지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을 경험하는 성인들의 경우 거부민감성의 영향을 고려하여 내적 변인인 경험회피와 외적 변인인 사회적 지지에 초점을 맞추어 상담적 개입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에 대한 논의 및 한계와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대학생의 정서조절곤란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표현의 매개효과

        한영탁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조절곤란과 대학생활적응 및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에서 자기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을 통해 전국에 소재한 대학교의 남녀 24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 자기표현,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는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수집하였다. 수집이 된 자료는 SPSS 22와 SPSS PROCESS Macro 3.3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와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랩핑(Bootsraping)을 통한 간접효과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정서조절곤란, 자기표현, 대학생활적응 및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조절곤란은 자기표현, 대학생활적응 및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과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표현과 대학생활적응 및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은 유의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정서조절곤란은 자기표현과 대학생활적응 및 하위요인 중 사회적 적응, 학업적 적응, 정서적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표현은대학생활적응 및 사회적 적응, 학업적 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조절곤란과 대학생활적응 및 사회적 적응, 학업적 적응, 정서적 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표현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정서조절곤란과 자기표현의 변인이 영향을 준다는 것을 양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개입할 수 있는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 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조절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최범주 동덕여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조절이 이중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훈장학회로부터 후원을 받아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5와 SPSS PROCESS Macro(v.3.5)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정서인식명확성, 분노조절, 대인관계 유능성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조절, 대인관계 유능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조절은 각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조절은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이해할 때 내현적 자기애 성향뿐만 아니라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조절 두 변인의 역할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은 대학생의 대인관계 어려움을 해소하고 대인관계 유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본인의 정서 상태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통해 분노와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건강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whether emotional clarity and anger control have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university students sponsored by the Janghoon Scholarship Associa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test were conducted through SPSS 25.0 and PROCESS Macro(v.3.5).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emotional clarity, anger control,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clarity, anger control,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emotional clarity and anger control were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respectivel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emotional clarity and anger control had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understanding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the roles of two variables, emotional clarity and anger control, as well as covert narcissism,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solve interpersonal difficulties and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covert narcissism, it is important to control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in a healthy, functional way through an accurate recognition of their emotional state.

      • 중년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가 화병에 미치는 영향 : 개인의 심리적 유연성(Psychological-Flexibility)의 매개효과와 가족건강성(Family-Strengths)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은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년기혼여성의 생활 스트레스와 화병, 심리적 유연성 그리고 가족건강성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생활스트레스를 독립변인으로, 심리적 유연성을 매개변인, 가족건강성을 조절변인으로, 화병을 종속변인으로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해 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40-60대의 기혼여성 300명(불성실한 질문지 19명 제외한 총 300부 수거)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 심리적 유연성, 가족건강성, 화병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생활스트레스와 화병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와 가족건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SPSS 25와 SPSS PROCESS Macro 3.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행한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적 유연성, 심리적 유연성과 화병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생활스트레스가 화병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유연성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생활스트레스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심리적 유연성이 화병에 미치는 경로에서 가족건강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생활스트레스와 화병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이 매개된 상태에서 가족건강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심리적 유연성은 스트레스와 화병 간에 매개 역할이 지지되었으며, 건강가족성은 스트레스와 화병 간의 조절된 매개역할이 지지되었다. 연구모형에서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유연성과 가족건강성을 경유하여 화병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는 심리적 유연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는 기혼여성의 화병을 더욱 촉진시키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가족건강성이 심리적 유연성을 활성화하여 화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도 유의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 심리적 유연성, 가족건강성 그리고 화병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그 경로를 통합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화병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이 매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가족건강성이 조절된 매개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최근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는데 연구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심리내적 기제인 심리적 유연성과 가족건강성이라는 두 개의 변인을 바탕으로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화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즉 기혼여성의 화병과 관련하여 심리적 유연성과 가족건강성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기혼여성의 심리적 유연성과 가족건강성이라는 변인을 연구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와 화병과 관련하여 다루는데 있어 심리적 유연성이라는 개인내적 대처기제와 함께 외적지지체계인 가족건강성이 통합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향후 생활스트레스로 인한 화병에 개입함에 있어 개인내적 대처기제와 함께 외적지지체계를 동시에 고려하는 보다 통합적이며 체계적인 임상적 개입 방향을 설정하는데 학문적 기여를 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 10대 여자 청소년의 소속욕구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SNS 이용과 상향비교의 순차적 매개효과

        황채은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10대 여자 청소년의 소속욕구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 이용과 상향비교가 순차적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소재 중학교 1, 2, 3학년과 고등학교 1, 2학년 10대 여학생 및 SNS를 통해 모집한 10대 여자 청소년 2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속욕구와 이상섭식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소속욕구와 SNS 이용, 상향비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소속욕구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SNS 이용과 상향비교는 각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속욕구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SNS 이용과 상향비교는 순차적으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10대 여자 청소년의 높은 소속욕구는 SNS 이용 동기를 높이고, SNS 이용은 그들이 상향비교를 더욱 자주 하게 만들어 이상섭식행동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10대 여자 청소년의 이상섭식행동을 이해할 때, 그들의 발달적 위험요인인 소속욕구가 SNS 이용을 거쳐 상향비교로 이르게 되는 경로를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10대 여자 청소년이 소속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SNS를 과도하게 이용하지 않도록 현실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고, SNS 이용 태도에 대한 교육을 통해 SNS상의 편향된 이미지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whether SNS usage and upward comparison hav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to belong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mong teenage female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235 female teenagers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an online self-report survey.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eed to belong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bu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need to belong, SNS usage, and upward comparis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to belong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SNS usage and upward comparison each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respectively. Third, SNS usage and upward comparison had a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to belong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emale teenagers’ need to belong increases their motivation to use SNS, and SNS usage induces more frequent upward comparisons that lead to disordered eating behavior.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ordered eating behavior of teenage female adolescent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developmental risk factor, need to belong, which leads to upward comparison through SNS usag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social interactions in real world to prevent excessive engagement in SNS and to provide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critically accept biased images on SNS for female adolescents.

      • 신경학적 질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연구 메타분석

        손수진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has summed up the research result o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music therapy through meta-analysis with the subjects of the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eases from 1996 to 2012. It has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music therapy about the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ease by calculating the mean effect size through integrated variables and differentiated the difference of the effect depending on the subjects for the intervention, purpose of the intervention and characteristics(total rate sessions, length of session, treatment rate, treatment duration) of intervention of the music therapy classified in the study. According to the total of 47 researches of researches which have become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number of the type of the disease of the subjects of these thesis, the strokes and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were the biggest numbers and the age group of between 61 and 80 was the most bigge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total mean effect size by extracting the 124 effect cases from the study subjects of 47 researches,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49, being interpreted as a small effect in light of the grounding of Cohen(1977, 1988) which defines under .20 is a small effect and .50 is medium effect. Also, while the mean score of the control group with which the music therapy was not performed under the normal distribution curve was 50%, the mean of the test group was 68.79% in the control group, an 18.79% increase. Although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turned out to be a small size,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eriv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ach variables. First, when the national mean effect size and the international mean effect size were compared, the national one was .46 and the international one was .57, not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which means tha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overall national and international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eas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usic therapy program and the capabilities of the music therapis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individuals and the groups, the mean effect size of the individual was .57 and the mean effect size of the group was .42, not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means that the individual and group variables do not affect much on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y for the subjects of the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ease. Second, according to the effect size analysis by the type of each intervention subject, the mean effect size for strokes was .76, that of dementia and parkinson's disease was .50 and that of cerebral palysis was .57 and that of other types of diseases was .33, which means the effect of music therapy ha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object. In other words, the storks have higher effect of music therapy than the cerebral palysis and also have higher effect than other types of neurological diseases. On the other hand, about the effect siz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intervention, the mean effect size with the purpose of the physical development was .75, that for the purpose of the cognitive development was .42, that for the purpose of the language development was .40 and that for the purpose of th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was .42 which signifies tha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se 4 groups. But, the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method of intervention. In other words, the mean effect size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was .37, that of RAS was .84, that of TIMP?PSE is .77 and that of singing was .49, which means the treatment effect which used the RAS as the intervention method was highest. The treatment effect was next highest in TIMP?PSE. Final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the mean effect size was .59 when the total rate sessions is over 17, it was .73 when the length of session per session was over 60 minutes, it was .65 when the treatment rate per week is over 5 times and it was .81 when the treatment duration is between 9 and 12 weeks, which means it show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size in the item analysis of each scope. This means that when the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eases are the subjects, the best treatment effect can be brought when the music therapy is given for 60 minutes per session, over 5 times per week, more than 17 times in total. Also, when the treatment duration was between 9-12 weeks,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y was highest.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하여 1996년부터 2012년까지의 신경학적 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의 음악치료 연구 결과들을 정리하였다. 통합된 변인들을 통해 평균효과크기를 산출하여 신경학적 질환자들에 대한 음악치료의 효과성을 증명하고, 연구에서 분류한 음악치료의 중재 대상, 중재 목적, 중재 방법, 중재 특성에 따른 효과차이를 변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 대상이 된 총 47편의 논문들은 중재 대상으로는 뇌졸중 및 외상성 뇌손상 환자가 가장 많고 대상의 연령은 61세에서 80세 이하가 가장 많다는 점을 특징으로 갖는다. 47편의 연구물에서 124개의 효과크기 사례수를 추출하여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Cohen(1977, 1988)의 .20이하는 작은 효과크기, .50은 중간효과라고 정의한 근거에 비추어 보았을 때 .49로, 작은 효과크기로 해석된다. 또한 정규 분포 곡선 하에서 음악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를 50%라고 했을 때 실험집단의 평균은 통제집단 분포에서 68.79%로, 18.79% 증가를 보였다. 전체 평균 효과크기가 작은 효과크기라는 결과가 나왔지만 각각의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아래의 의미 있는 결과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먼저, 국내와 국외를 비교했을 때 국내의 평균 효과크기는 .46, 국외의 평균 효과크기는 .57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아 국내와 국외의 전체적인 신경학적 질환자들 간에 큰 차이가 없고 음악치료프로그램과 음악치료사 능력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개인과 그룹을 비교한 결과, 개인의 평균 효과크기가 .57, 그룹의 평균 효과크기가 .4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개인과 그룹의 변인이 신경학적 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효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 중재 대상의 유형별로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뇌졸중의 평균 효과크기가 .76, 치매?파킨슨병의 평균 효과크기가 .50, 뇌성마비의 평균 효과크기가 .57, 그 외의 질병에 대한 효과크기가 .33로, 대상 유형에 따라 음악치료 효과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뇌졸중이 뇌성마비보다 음악치료의 효과가 크고 그 외의 다른 신경학적인 질병보다도 효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중재 목적에 따른 효과크기는 신체발달을 목적으로 한 평균 효과크기가 .75, 인지발달을 목적으로 한 평균 효과크기가 .42, 언어향상을 목적으로 한 평균 효과크기가 .40, 정서?사회적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 평균 효과크기가 .42로, 네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중재 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음악치료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는 .37, RAS의 평균 효과크기는 .84, TIMP?PSE의 평균 효과크기는 .77, 노래 부르기의 평균 효과크기는 .49로, RAS를 중재 방법으로 사용한 치료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TIMP?PSE 두 번째로 치료 효과가 컸다. 마지막으로, 중재 특성에 따라 총 회기가 17회 이상일 때 평균 효과크기 .59, 회기별 소요시간이 60분이상일 때 평균 효과크기 .73, 주당 시행횟수가 5회 이상일 때 평균 효과크기 .65, 치료 기간이 9주에서 12주일 때 평균 효과크기 .81로, 각 영역의 항목비교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신경학적 질환자를 대상으로 회당 60분 이상씩, 9주에서 12주간, 주 5회 이상, 혹은 총 17번 이상 음악치료를 진행할 때 보다 큰 치료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