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합성 기반 모델을 이용한 딸기의 생장과 수확량 예측 및 시뮬레이션 모델 검증

        김세광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광합성 기반 생장 모델을 이용한 작물 생장 예측에는 작물의 동적 생육 정보와 일사량, 온도, CO2 농도 등의 환경 자료가 필요하지만 딸기의 경우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토마토와 절화국 등에서 검증된 바 있는 광합성 기반 생육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딸기의 생육을 검증하고 생산량의 예측에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 주요 품종인 ‘설향’을 공시하여 2016년 9월 1일부터 2017년 5월 26일까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딸기는 2개의 관행 재배 실험구(expt. 5와 6)를 포함하여 총 6개 실험구에서 재배되었다(expt. 1~6). 딸기의 기본적인 생육 특성을 분석하고 모델 검증을 위해 생육 조사는 파괴적 방법으로 조사 하였다. 환경 자료인 외부 광량, 내부 온도, CO2 농도 및 시설 내 광투과율과 모델 검증을 위해 기간별 기관의 건물중과 엽면적을 조사하였다. 광합성기반 모델 검증을 위해 외부 광량, 온실 내부 온도, CO2 농도 및 광투과율과 정식 시 단위면적당 기관의 건물중, 건물분배율, 엽면적지수, 정식일과 종료일을 모델의 입력 값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구별 24시간 평균온도는 15.7±0.19℃로 expt. 3과 4, 6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재배되었다. 재배 기간 중 평균 일사량은 12.9±0.6 MJ·m-2이었으며 expt. 5에서 11.8±4.7 MJ·m-2로 상대적으로 낮은 광량을 나타냈다. expt. 5와 6의 엽면적지수는 expt. 1~4에 비해 각각 52.6%와 29.6% 낮았다. 일일 수확량은 평균 30.5±6.4 g·m-2·d-1이었으며 expt. 2에서 37.8 g·m-2·d-1로 가장 높았으며 단위 면적 당 수확량도 7.1 kg·m-2로 가장 높았다. 적산온도에 따른 딸기의 발육속도를 추정하기 위해 필요한 기준온도는 0oC로 추정되었다. 적산온도가 0.0147 oC·d-1 증가할 때 엽 1장이 출현하였으나 개화이후 16.4% 수준인 0.0024 oC·d-1로 감소하였다. 시계열에 따른 딸기의 생장은 이중 S 생장 패턴을 나타냈다. 딸기의 광이용효율(light use efficiecny, LUE)은 1.18~2.66 g·MJ-1이었으며, 재배지역, 농가의 작물의 관리, 엽면적지수의 확보, 딸기의 적과량에 따라 상이하였다. 딸기의 초기 생장 기간 동안 엽 건물분배율은 64.6±0.14%, 줄기는 35.4±0.14%였다. 정식 후 23일부터 65일까지 하루에 평균 1% 감소하여 7.6%의 건물분배율을 보였으며, 이후 191일까지 10%이하의 건물분배율을 나타냈다. 엽 건물분배율은 개체 당 엽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기간에도 낮게 유지되었으며 엽면적의 확장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엽면적지수가 3에 근접하는 정식 233일 이후 다시 감소하였다. 줄기의 건물분배율은 엽과 유사하였다. 생식기관 건물분배율은 정식 후 65일부터 205일까지 평균 83.6±4.2%의 건물분배율을 나타냈다. 광합성기반 시뮬레이션 모델의 검증 결과 파괴조사 한 측정값을 18.2~68.0% 과대추정하였다. 외부 환경에서 재배된 expt. 3과 4의 수광량과 외부광량에 의해 계산된 LUE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 모델의 엽광합성모듈의 초기 광이용효율계수(ε0)를 추정하였다. ε0를 수정한 수정모델은 측정된 건물생산량을 7.0~36.7% 과소추정하였다. 모델의 민감도 분석에서 온실내부로 유입된 광의 투과율에 따라 그 결과값은 매우 민감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광합성 기반 온실작물생장 모델은 네덜란드 환경에서 토마토와 국화에서 검증된 바 있으며, 기존 검증된 모델을 이용한 딸기의 생육 추정은 처음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입력된 온실의 광투과율은 고정된 상수로 사용하였으며 외부 광의 입사각에 따른 동적 광투과율을 예측할 수 있는 모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딸기의 광이용효율에 대한 연구, 각 기관의 호흡계수 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딸기 정식부터 작기종료까지 동적 생장과 발육 정보, 시설 내·외부 기상자료를 확보하였으며 타 품목에서 검증된 모델을 응용하여 추가적인 개선을 통해 국내 딸기재배의 생장 및 발육 예측 모델로써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미용작품의 미메시스적 탐색 연구

        손진아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Beauty in modern socie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ressing one's individuality in daily life as a means of aesthetic expression, and various artistic expressions derived through new approaches and attempts appear. In particular, the expansion of beauty exhibitions and competitions has increased interest in technology, originality, and art-based hairstyles, which has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creative activities that combine beauty and art. Beauty works are the result of creative activities in the field of beauty art, and the need for academic consideration is raised from the perspective of mimeticism that the motif of natural or artificial objects can be copied, imitated, and reproduced through the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concepts and types of mimesis that have meanings such as imitation, reproduction, and expression a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art, and to reorganize the types by synthesizing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mim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imesis expressed in beauty works at the Hairdressing Awards operated as an online photo competition based on the mimesis type deriv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Mimesis is conceptualized as another name for creation along with imitation, reproduction, and expression. In addition, the types of mimesis are classified into reproductive mimesis, metaphorical mimesis, and creative mimesis. Reproductive Mimesis refers to realistic imitation of the object to be imitated, and reproduction using maximum similarity. Metaphorical Mimesis is a imitation or reproduction of a part of an object, and it means a partial change in shape, texture, color, or expression reminisc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imitation, the object is metaphorically represented by internalizing or symbolizing the essence of the object to reveal its reality in secret. Creative Mimesis means imitation that has completely deviated from the original object. It may be distorted or deformed beyond imitation or reprodu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r specificity of the object. There may be expressions using various materials, and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artist's intention, causing questions about the expression. Looking at the mimesis in beauty works, it can be seen that reproductive mimesis express ex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flowers, trees, and animals present in nature in as similar a form as possible. Metaphorical Mimesis mimics the partial elements of the object, and the inner image is expressed metaphorically. Hair styles reminiscent of bird wings, the movement of jellyfish in the sea and colorful colors, works partially imitating the shape of flowers, images reminiscent of a general on the battlefield, and hairstyles that reveal human emotions were produced. In creative mimesis, the author's subjective thoughts and emotions were expressed abstractly. A visible expression of abstract concepts such as exaggeration of the object and the use of heterogeneous materials, spirit, emotion, and will was produced. Through the above study, this researcher studied that the concept and type of mimesis can be classified and its characteristics can be explored in connection with beauty works. This was a way to confirm that beauty works could be approached and analyzed as an aesthetic concept as a work of art, suggesting that it was the birth process of a new work that went through the process of imitation, reproduction, expression and creation in the same art field.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the data of this study, detailed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overlapping parts of works corresponding to the boundaries of Mimesis type were insufficient, and the scope of beauty works was limited to the hair and beauty field.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researchers' subjective opinions rather than objective interpretation in the process of analyzing works is considered to be an improvement through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will be conducted through various approaches in the beauty art field. 현대사회의 미용은 미(美)적 표현 수단으로 일상에서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새로운 접근과 시도를 통해 파생된 다양한 예술적 표현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미용 전시 및 대회 등의 확대로 기술력, 독창성, 예술성 기반의 헤어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는 미용과 예술을 접목하는 창의적 활동의 계기가 되었다. 미용작품은 이러한 미용예술 분야에서 나타나는 창작 활동의 결과물로서 미용작품의 제작 과정에서 자연물이나 인공물의 모티브를 복제, 모방, 재현한다는 점과 결과물을 통해 대상의 본질을 유추해볼 수 있음은 미메시스적 관점에서 학문적 고찰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술의 근본원리로서 모방, 재현, 표현 등의 의미를 지닌 미메시스의 개념과 유형을 분류하고, 시대변화에 따른 미메시스의 개념과 특성을 종합하여 그 유형을 재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미메시스 유형을 바탕으로 온라인 사진대회(Online Photo Competition)로 운영되는 헤어드레싱 어워즈(Hairdressing Awards)의 미용작품에 표현된 미메시스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미메시스는 모방, 재현, 표현과 더불어 창조의 또 다른 이름으로 개념화한다. 또한, 미메시스의 유형을 재현적 미메시스, 은유적 미메시스, 창의적 미메시스로 분류하고자 한다. 재현적 미메시스는 모방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사실적 모방, 최대한의 유사성을 살린 재현을 의미한다. 은유적 미메시스는 대상의 일부분을 모방하거나 재현하는 것으로 형태, 질감, 색상의 부분적 변화 또는 대상의 특성을 연상하여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모방의 과정에서 대상의 본질을 내면화하거나 상징화하여 암암리에 그 실재를 드러나게 하면서 대상을 은유적으로 나타낸다. 창의적 미메시스는 원래의 대상에서 완벽하게 탈피한 모방을 의미한다. 대상의 특징이나 특이성의 모방 또는 재현을 뛰어넘어 왜곡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다양한 소재를 사용한 표현이 있을 수 있으며 작가의 의도를 알아차리기 어려워 표현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한다. 미용작품에 나타난 미메시스를 살펴보면 재현적 미메시스는 자연에 존재하는 꽃, 나무, 동물 등의 외형적 특성을 최대한 유사한 형태로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은유적 미메시스는 대상의 부분적인 요소를 모방하기도 하고, 내면의 이미지가 은유적으로 표현되기도 하였다. 새의 날개를 연상시키는 헤어스타일, 바닷속 해파리의 움직임과 화려한 컬러감, 꽃의 형태를 부분적으로 모방한 작품들과 전쟁터의 여장군을 연상하게 하는 이미지, 인간의 감정을 드러낸 듯한 헤어스타일 등이 연출되었다. 창의적 미메시스는 작가의 주관적인 생각이나 감정 등이 추상적으로 표현되었다. 대상에 대한 과장된 표현과 이질적인 소재의 사용, 정신, 감정, 의지 등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의 가시적 표현이 연출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는 미메시스의 개념과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미용작품과 연관 지어 탐색할 수 있음을 연구하였다. 이는 미용작품이 하나의 예술작품으로서 미학적 개념으로 접근하여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방법이었으며, 헤어스타일을 연출함에 다른 예술 분야와 같은 과정으로 모방과 재현, 표현과 창조의 과정을 거친 새로운 작품의 탄생과정이었음을 시사한다. 다만, 본 연구의 자료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미메시스의 유형별 경계에 해당하는 작품의 중첩적인 부분에 대한 상세한 분류 및 분석 제시가 미흡했던 점과 미용작품의 범위를 헤어미용 분야로 국한하여 진행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더불어, 작품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객관적 해석보다는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가 포함된 점은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사료되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미메시스의 특성과 미용예술 분야의 다양한 접근을 통한 활발한 작품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장 미쉘 바스키아 회화의 사회적 관점에 따른 헤어 형상화 디지털 일러스트 디자인 연구

        김소현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daily lives, people experience a wide variety of art genres. They do not recognize all, but it is certain that they live together with art. In addition, a beauty sector is also closely related with human lives with artistic factors. From the historical aspect of cosmetology development, ‘Design’ has evolved while representing the reflection of the times. ‘Beauty’ symbolizes the tim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 human lives, telling a story along with history. In a modern society in whic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are the mainstream, ‘Digital’ is a keyword. With the outbreak of COVID-19 pandemic in 2019, there have been dramatic changes in people’s lives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non-contact online businesses have rapidly flourished. People have sought a decent hobby for self-satisfaction in their daily lives, minimizing direct interactions with others. They have also searched for a way to generate revenues with a small amount of money under economic crisis caused by decrease in interaction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recognize these circumstances, develop a plan to overcome such crisis and make the public understand the ground of existence by sector. With the recent popularity of ‘Art Tech’, people’s interest in artworks has gradually increas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ttempted to conceptualize hair-shaping digital illustration in the belief that a harmony with a beauty sector would promot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beauty art. To reflect the propensities of a modern society in which there have been discussions on diverse artworks, modern issues and existence of storytelling were considered when selecting paintings as research tools. With Jean-Michel Basquiat’s paintings which have recently drawn a great attention at an action as motives, this study ask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or hair-shaping digital illustration: First, what are the social perspectives in Jean-Michel Basquiat’s paintings? Second, what tools are needed for digital illustration? Third, can 2-dimensional artworks be converted into hair-shaping digital illustration? Fourth, is there any plan to utilize hair-shaping digital illustrat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special perspectives in Jean-Michel Basquiat’s paintings, a theoretical review was performed. The results found that his paintings represented his life itself. He tried to say almost everything such as his personal experiences and contemporary situations through his works. In other words, his works explain how he has lived his life and what emotions and what viewpoints he has had throughout his life. Furthermore, he kept raising questions about social issues. Instead of just settling with what he earned and accomplished, he kept engaging in art activities, making his artworks more valuable. Therefore, his works are worthy of being classified from social perspectives. To classify Jean-Michel Basquiat’s paintings from such social perspectives, the standards for social perspectives were examined. For this, there was a pilot study on Jean-Michel Basquiat and contemporary sociality. Then, a study covering the overall sociality, not partial factors, was chosen. The social perspectives classified din this study are ‘Hero’, ‘Criticism of Governance’ and ‘Drug & Death’. Second, to analyze what tools are needed for digital illustration, current digital illustrations and related artists were examined. Then, ‘Pixel Image’ and ‘Layer’ were chosen as digital illustration tools. Then, popular digital illustration tools in diverse levels from ‘Beginner’ to ‘Advanced’ were searched for users’ convenience. As a result, PhotoScape X and Procreate were final chosen. Third, to convert 2-dimensional artworks into hair-shaping digital illustrations, signature works were selected from social perspectives and converted into hair-shaping digital illustrations. To convert such signature works into pixel images and view them from a different standpoint, their 1st transformation was performed. Based on the transformed pixel images, hair-shaping was attempted, using LAYER and other basic options. It was difficult to initiate standardized hair shap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raffiti. However, previous studies on hair-shaping were referred to. In addition, hair shapes and textures were expressed, using brushes in diverse textures. Fourth, this study sought a way to utilize hair-shaping digital illustrations. It appears that it is possible to analyze hair design through digital illustrations in hair-styling sectors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illustration. Recently, social media-based marketing has emerged as a key element for profitmak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ost attractive personality on social media. If the concepts of digital photos and hair-shaping digital illustrations are well mixed, it would be possible to deliver more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a single image. Furthermore, digital art activities could be promoted as a new device-based beauty art. If diverse art concepts are added just like pixel images and layer in this study, more professional artworks could be presented. Furthermore, it might be possible to express symbolic aspects through an easy production of goods. Even digital illustration is very advantageous in diverse aspects such as usability and characteristics, it has been very hard to find a related study. Most cases are in mid-stage illustration (motives mimesis), just suggesting a planning process. In a beauty sector, it is difficult to shape or find something new through digital illustration. The fact tha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creation of new artworks or design through motives is because a turning point for development is not set yet. Illustration is abstract and very subjective without a specific definition of a form. Therefore, it appears that in the sphere of beauty art, its concept was too vague to be chosen as a research topic. Sometimes, when a material is abstract while the results are subjective, something new is being created. Considering that beauty is also included in the sphere of art, there might be helpful in planning follow-up studie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the ground to keep suggesting diversity in beauty art.

      • 한국산 멸종위기종 죽절초(Sarcandra glabra)의 유전적 다양성 평가 및 엽록체 유전체 분석

        한은경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의 죽절초(Sarcandra glabra (Thunb.) Nakai)는 상록활엽관목 식물로, 아시아의 아열대 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종이다. 한반도에서는 제주의 일부 지역에 국한되어 자라는데, 이 지역은 죽절초의 분포북한계지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최근 남획, 자생지 훼손 등 인위적 간섭으로 인해 제주의 개체 수는 급감하고 있어 이들 개체군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효과적 보전전략 마련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개체군의 쇠퇴 및 성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 마련을 위해 제주산 죽절초의 총 개체 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유전적 데이터를 기초로 효과적 보전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제주 및 국외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속씨식물 내의 죽절초의 계통학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엽록체 유전체 지도를 완성하여, 죽절초를 포함한 총 13종의 엽록체 유전체를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제주 내에는 서귀포시 상효동 등지에 총 132개체가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원집단의 경우 여미지식물원에서 기존 자생지인 제9산록교 부근에 복원한 것으로 63개체가 확인되었고,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에서 기존 자생지가 아닌 상호교 부근에 복원한 것으로 28개체가 확인되었다. 유전적 다양성 분석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25개의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를 이용하여 제주 4개 집단(자생 2, 자생지 내 복원 1, 자생지 외 복원 1)과 국외(일본) 1개 집단에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제주 집단(HE = 0.121, I = 0.198)이 일본 집단(HE = 0.397, I = 0.713)에 비해 다양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편 제주 집단의 경우 자생지 내 복원집단(HE = 0.283, I = 0.490)이 자생집단(HE = 0.070, I = 0.110)과 자생지 외 복원집단(HE = 0.060, I = 0.08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냈다. Structure 프로그램을 이용한 유전적 구조 분석 결과 제주 자생집단과 자생지 외 복원집단이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하였고, 자생지 내 복원집단 그리고 일본 집단이 각각 서로 다른 분기군을 형성하여 총 3개의 분기군이 나타났다. 죽절초의 엽록체 유전체는 158,881 bp이고, 39.2%의 GC 함량을 가졌다. LSC 영역은 88,169 bp, SSC 영역은 18,446 bp, IR 두 영역은 각 26,133 bp으로 확인되었다. 죽절초 엽록체 상의 유전자는 총 130개로, protein coding genes 85개, transfer RNA 37개, ribosomal RNA 8개을 포함하였다. ML 분석 결과는 죽절초가 홀아비꽃대속(Chloranthus)과 함께 단계통을 형성하고 목련군(Magnoliids)과 자매군을 형성하면서 속씨식물의 진화에서 초기에 분기된 계통임을 지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통해 제주산 죽절초 개체군 동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유전적 측면을 고려하여 보전전략을 논의하였다. 제주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를 종합하여 볼 때, 제주 집단의 국외 집단과의 유전적 이질성은 제주지역 환경에 맞춰 독특하게 진화한 결과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제주의 자생지 내 복원집단이 자생집단과 유전적 이질성을 보이는 것은 매우 의미하는 바가 크다. 북한계지역 집단의 경우 유전적 독특성이 종의 분포확장 및 종의 생존에 직결되는 유전적 원천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주산 죽절초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 우선 선행되어야 할 효과적 보전전략은 자생집단과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자생지 내 복원집단의 유전적 동질화를 이루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수용태도에 따른 Nappy헤어스타일의 인식 차이 연구

        김소현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사회는 매스미디어의 발달과 개방화로 인하여 국가 간의 교류가 점차 활발해지고 그 경계의 구분이 무너지며, 전 세계적으로 유행의 속도가 빨라지고 모방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의 특성을 표출할 수 있는 새로운 스타일에 대한 대중의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미용업에서 고객과의 소통과 고객의 니즈 파악에 도움이 되고자, 수용태도에 따른 Nappy헤어스타일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려고 한다. 나아가 최근 대두되고 있는 Nappy헤어스타일이 미용 산업의 트렌디한 디자인 발상에 바탕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 수집에 목적을 두었다. 20대 이상의 남·녀 511명을 대상으로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Nappy헤어스타일을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0대가 45.8%로 가장 높고, 50대 이상이 16.7%로 가장 낮았다. 반면, Nappy헤어스타일이 부정인 느낌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0대 이상이 27.3%로 가장 높고, 20대가 9.8%로 가장 낮았다. 두 문항의 비교를 통해 신세대와 기성세대의 인식 차이를 알 수 있다. Nappy헤어스타일에 대해 긍정·부정·무관심 중, 부정적인 느낌이라고 말한 응답자가 13.9%로 가장 낮게 나온 것에 반해, Nappy헤어스타일에 대한 시도 여부에서는 해보고 싶지 않다는 응답자가 82.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Nappy헤어스타일이 현시대에 맞는 개성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직접 시도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것으로 보인다. 하위문화 및 Nappy헤어스타일에 대한 인지가 높을수록 수용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미용업에서 하위문화 및 Nappy헤어스타일에 대해 정확히 인식하고 개념을 정리함으로써 다양한 고객층의 니즈에 대한 수용태도를 높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수용태도에 따른 Nappy헤어스타일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여 현대인들이 가진 내재 된 생각과 표출하는 경계가 어떠한지 알아볼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본 연구가 새로운 스타일 접근에 대한 방향 제시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커넥션 풀 브로커 아키텍처를 사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응답시간 향상

        김영찬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Nowadays majority use of “information system” occurs in internet and at the same time, uncountable web applications were created and served in server. Also in order to organize web application server's data, the server is performed by specific “database management system” which is served inside database server. Web application server is used combined database server and in order to reduce the time cost in resp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nection between them. Database connection pool was applied to improve the connection between web application server and database server but the capacity of the pool wasn't enough to fulfill the job as the number of connection to the server was rapidly increased. In this report, “connection pool broker architecture”, which is consisted in main connection pool and added assistant connection pool, was discussed as a solution. The connection pool broker architecture is the equipment that controls the assistant connection pool to activate when the main connection pool reached the limitation. Through the experiment, the result was found that “connection pool broker architecture” performs better than “connection pool architecture” in speedy respond. 오늘날 정보화시스템의 사용은 대부분 인터넷에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터넷의 사용과 더불어 수많은 웹 어플리케이션들이 만들어 지고,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내에서 서비스 되고 있다. 또한,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데이터의 관리를 위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에서 서비스 되고 있다. 이렇게,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동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응답시간 향상에 있어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간의 커넥션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간의 커넥션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 도입되었으나, 이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요청이 증가하는 형태에 따른 커넥션 처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응답시간 향상을 이루기 위하여, 커넥션 풀 아키텍처를 개선하여 주 커넥션 풀 이외에 보조 커넥션 풀을 추가한 형태의 커넥션 풀 브로커 아키텍처를 사용하였다. 커넥션 풀 브로커 아키텍처는 주 커넥션 풀 이외에 보조 커넥션 풀을 추가한 형태로써, 주 커넥션 풀이 한계에 도달하였을 때 보조 커넥션 풀로 연결을 제어하여, 커넥션 리소스에 있어 커넥션 풀 아키텍처 보다 가용범위를 개선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요청이 급격히 증가하는 형태의 처리에 있어,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 아키텍처와 비교해서 커넥션 풀 브로커 아키텍처가 응답시간에 있어 향상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 심위(沈偉)의 연출기법 특징 분석 – 스트라빈스키의《봄의 제전》중 1부 <대지에 대한 찬양>을 중심으로

        MIAO HUIJING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심위(沈偉)의 연출기법 특징 연구- 스트라빈스키의《봄의 제전》중 제1부 <대지에 대한 찬양>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많이 연구 되지 않은 심위의 《봄의 제전》 연출 중 제1부 <대지에 대한 찬양>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작품 안에서 나타난 심위의 연출기법과 특징에 대해 연구하여 앞으로 《봄의 제전》을 사용해 다양한 창작활동을하는 안무가들에게 안무와 연출에 대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해 주는 데 있다. 연구대상인 《봄의 제전》 중 제1부 <대지에 대한 찬양>의 작품 분석을 위해 악보는 피아노 듀엣 버전의 악보를 사용하였고, 영상은 미국에서의 초연 영상을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먼저 스트라빈스키 《봄의 제전》의 피아노 듀엣 버전을 구조, 리듬, 선율, 화성으로 나누어 분석해 곡에서 나타나는 음악 요소의 특징에 대해 살펴본 후, 음악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심위의 《봄의 제전》에 나타난 연출 특징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위는 무대 디자인과 안무에 있어 중국적 요소의 특성이 보인다. 그는《봄의 제전》의 무대 바닥에 중국의 대표적인 회화 방식인 수묵화를 사용하였고, 안무에 있어서 중국 무용의 기본 요소인 운수와 원장을 현대무용과 발레의 안무와 혼합해 동양과 서양의 문화요소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둘째,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이 적용된 사실적이고 형식과 된 무대장치를 배제하고 추상적이면서 단순화된 무대연출을 보여준다. 셋째, 음악의 텍스처와 여러 선율적인 요소들을 안무 안에서 독무와 단체무의 대비, 운수를 사용한 동작, 무대를 점프하면서 움직이는 동작, 발을 차는 동작, 발레동작 등으로 표현했다. 넷째, 음악을 무대의 공간적 측면으로 활용하여 무용수를 수단으로 활용하거나 때로는 곡의 극대화를 위한 인간 오브제로 활용하기도 한다. 다섯째, 움직임의 유형 중 ‘정지’라는 요소를 적용해 시각적 극대화가 아닌 청각적 극대화를 강조하였다. 주요어 : 심위, 스트라빈스키, 봄의제전, 연출기법

      • 일학습병행제 현황 및 미용 분야의 효과적 적용방안 연구

        김성민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chool-age population is decreasing every year, and as a result, the education market itself is decreasing. The trend of employment recovery continues as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in the Korean youth labor market has increased, but the youth unemployment rate is still high at 20%. In addition, in Korea, the college entrance rate of high school graduates is very high at 70%. However, they invest a lot of time and money in acquiring excessive qualifications due to desired jobs or differentiated competition after graduation.Accordingl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troduced a field-oriented customized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o meet the demand for industrial sites, resulting in various effects such as expanding new employees, resolving mismatches between field and education, and inducing long-term service. However, the application of beauty education is insufficient, and in particular, beauty education has a mismatch in manpower supply and demand due to mismatch between industrial sites and educatio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corporate retraining costs and inefficiency in job edu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the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s of the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in the general and beauty sectors to suggest ways to expand the introduction of the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and boost students'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was introduced in earnest in 2014 and the Industrial Field Work-learning Parallel Support Act took effect on August 28, 2020, providing "work-learning parallel national qualifications" to learning workers who have passed a certain level of learning, with 18,000 companies participating as of 2022. In addition, for the internalization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the "first work-learning parallel promotion plan ('21~'23)' was announced, and it is steadily implemented and changed to this day. Second, the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is classified into six types, and there are single enterprise type, joint training center type, and P-TECH at the incumbent level, and there are industry-academia integrated apprenticeship school, vocational college student stage, and IPP type work-learning parallel. As of 2022, there are 70 joint training centers by type, 59 P-TEHCs, 143 industry-academia-integrated apprenticeships, 17 junior college students, and 35 IPP work-learning parallels, and by region, they are mainly active in the metropolitan area. This is because various promotional activities are actively underway as participating companies are also intensively distribu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hile continuing to expand support for work-learning parallels at the high school level. Third, three co-training centers, two P-TECH schools, nine industry-academia-integrated apprenticeship schools, four junior college students, and one IPP-type work-learning parallel are participating in the beauty field. Typically, Jeonnam Beauty High School, an industry-academic apprenticeship school, is well known for its introduction, operation plan, schedule, and activity photos, but Dongshin University, a representative example of IPP-type work-learning parallelism, had a lot of difficulty in finding various information. In general, apprenticeship schools were well known, but there were many limitations in fin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university course, the stage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IPP-type work-learning parallelis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vious cases, the measures for effective grafting of the beauty field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lass composition and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raining course and curriculum linked to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and beauty education, and a field-specific curriculum that can be linked to field training (OJT) should be developed separately from the general curriculum during off-site training (Off-JT). In addition, NCS or work-learning parallel system-related subjects should be opened, and classes should be evenly mixed with theory and practice classes based on NCS or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standards based on their major skills in the beauty field. Second, in terms of publication and promotion of manuals, the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manual should be announced in detail on the website of each school and department to facilitate information access for companies and learning workers. In addition, a separate category of work-learning parallelism should be created on the website of each institution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work-learning parallelism system so that students and officials interested in it can easily access it. Moreover, various promotional activities such as interviews and best practices for trainees who have completed training in the field of beauty should be conducted so that many students can get various information. Furthermore, the beauty field should also participate in various events such as job market and booth operation to raise awareness of the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and expand the scope of access opportunities for participants. Therefore, if the above measures are added to the existing manual, accessibility and efficiency of the beauty field will be expanded, leading to stable operation and spread of the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beauty field, and it will be considered as basic data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beauty field.

      • 모세의 리더십 연구

        이선영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영적 리더십이란 하나님의 소명이고, 하나님의 능력이며,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것이라는 영적 리더십에 대한 정의를 내리게 되었다. 그리고 성경에서 제시하고 있는 영적 리더십의 원리 또한 이 정의에 부합한 것임을 여러 실례들을 통해 알수 있었다. 이런 리더십에 대한 성경적 원리, 즉 영적 리더십은 하나님의 소명이고, 하나님의 능력이며,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것이라는 원리에 입각해 볼 때,영적 리더십의 요소로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 말씀, 기도, 섬김이라는 네 가지 요소를 말할 수 있다. 모세의 리더십은 바로 이러한 성경적 원리와 리더십의 요소에 부합한 올바른영적 리더십의 모델이다. 그는 먼저 분명한 영적 가치관에 기초하여 바른 선택을하고 결단을 하는 결단의 리더십을 갖고 있었다. 또한 그의 리더십은 하나님의 소명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는 변개할 수 없는 분명한 부르심에 대한 내적 확신을 갖고 있었다. 또한 그의 리더십은 하나님의 능력을 위로부터 부음 받은 리더십으로서 자기의 힘이 아닌, 오직 성령의 능력만을 의지하여 행하는 능력의 리더십이었다. 뿐만 아니라, 모세의 리더십은 하나님의 뜻과 목적이 계시된 뚜렷한하나님의 비전을 품고, 이것에 순종하고자 하는 방향 가운데 흔들림 없이 나아가는 비전의 리더십이었다. 이 외에도 모세의 리더십은 하나님과 인격적이고 친밀한 영적 교제에서 나오는 영성의 리더십이었으며,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고 그 말씀을 선포하며 가르치는 말씀의 리더십이었다. 또 백성들의 죄를 품고 하나님 앞에 나아가 간절히중보기도하는 기도의 리더십이었으며, 백성들의 목자가 되어 그들을 인내와 겸손과 온유와 사랑으로 섬기는 섬김의 리더십이었다.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모세의 리더십은 성경적 원리에 기초한 올바른 영적리더십이며, 또 오늘날 교회가 추구해야 할 참된 리더십의 모델임을 발견하게 된다. 교회의 영적 리더들은 성경이 제시하고 있는 모세의 리더십을 통해 바른 리더십의 모습을 찾고, 성경적 원리에 기초한 진정한 영적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모세의 리더십은 한마디로 말해서 ‘하나님중심의 리더십’, 즉 ‘신본주의 리더십’이라는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다. 모세는 철저하게 하나님의 사람이었으며, 그의 이런 신본주의 신앙에서 강력한 영적 리더십이 나올 수 있었음을 보게 된다. 모세의 신본주의 리더십은 이스라엘 백성들이금송아지 사건으로 범죄 하였을 때, 그들을 위해 중보기도하는 모세의 태도 속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모세는 범죄 한 이스라엘을 진멸하시려는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생명을 내걸고 이스라엘을 위해 간절히 하나님께 기도하였다. 하지만 백성들에게로 내려왔을때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출애굽기 32장 19-20절 말씀에서 이런 모세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진에 가까이 이르러 송아지와 그 춤추는 것을 보고 대노하여 손에서 그 판들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리니라. 모세가 그들의 만든 송아지를 가져 불살라 부수어 가루를 만들어 물에 뿌려 이스라엘 자손에게 마시우니라.” 백성들의 범죄에 영적 분노를 느낀 모세는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증거판까지 깨뜨리며 심히 분노한다. 그리고 그들이 만든 금송아지를 불살라 만든 금가루물을 백성들에게 먹일 뿐만 아니라, 그 날에 무려 3,000명이나 칼로 죽일 만큼 무서우리만치 그들의 죄를 심각하게 다루었다. 박철현은 모세의 이런 양면성 속에 모세의 중보자로서의 탁월성을 보여주는 ‘심오한 이중성’이 들어 있다고 하였다.125) 왜냐하면 중보자는 양쪽, 즉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의 중간에서 양쪽을 모두 대변해야 하는 자리에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세는 이스라엘의 변호자로서는 하나님 앞에서 이스라엘의 용서를 위해 빌지만, 또한 하나님의 대변자로서는 이스라엘에게 하나님의 진노를 나타낸다. 박철현은 결국 모세의 이런 진노는 중보자직이 가진 심오한 양면성에 대한 모세의 깊은 이해를 나타내 주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모세의 양면성 있는 태도는 그의 신본주의 리더십을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하나님 앞에서는 백성들 편에 서서 그들을 위해 중보하고, 백성들 앞에서는 철저히 하나님 편에 서서 그들의 죄를 징계하는 그의 모습이 바로 신본주의, 즉 하나님 중심의 리더십이다. 오늘날 대다수의 교회 리더들이 하나님 중심의 신본주의 리더십을 갖고 있기보다는 사람들의 구미에 맞춰주며, 그들이 요구하는 대로 따라가는 인본주의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한국 교회의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하나님 중심의 신본주의 리더십이 아닌, 인본주의 리더십이 가져오는 결과는 심각하다. 그예가 출애굽기 32장의 금송아지 사건과 관계된 아론의 리더십이다. 이 본문에서 아론은 모세와는 전혀 다른 상반된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다. 아론은 모세가 시내산에서 40일 동안 하나님과의 영적 교제를 갖고 있는 동안, 그를 대신해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책임져야 했다. 백성들은 이때 모세의 더디 옴을 인하여 마음이 불안해지고, 급기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