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우승재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In this study, as more and more people are investing in fashion and beauty, starting with the MZ generation, more and more people are looking for male-specialized hair shops that provide male-only services, not female-oriented hair salon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male beauty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beauty shop and barber shop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 loyalty and to present basic data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men's beauty market. The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a sample of men in their teens and 50s who had experience using two beauty shops and barber shops. A total of 471 copies were used for SPSS 22.0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applying stepwise method.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howed that people in their 20s or younger were unmarried, college graduates or higher, companies and civil servants had the same monthly income of less than 2 million won and less than 3 million won. The number of shops used was more than 10 times. Second, factor analysis of selection attributes,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loyalty, and service quality items showed high overall variance explanation power in four items, and Cronbach's 값 value, which is a reliability result, averaged more than .900 and was reliable. Third, as a result of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distribution analys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selection attributes,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hop usage status, the overall value of the barber sho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eauty shop. In terms of store type, the overall value was found to be higher in franchises than in private stor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customer loyalty is structural appearance of selection attributes (r = .458, p<).001), recognition (r = .472, p<.001), Service (r = .775, p<.001), environmental (r = .635, p<.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001). And customer loyalty is a designer of service quality (r = .804, p<).001), Shop (r = .581, p<.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001). In addition, customer loyalty is customer satisfaction (r = .863, p<).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001).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 loyalty through three stages of regression analysis, the designer had a positive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structure appearance on customer loyalty, and custo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service quality. The improvement points according to the conclusion are as follows. The study of this paper will be a good basic data considering the profit points of beauty shops and barber shops, where the size of the follow-up men's market is expanding. However, since the sample was limited to men in their teens and 50s or older with experience in beauty shops and barbershop, follow-up studies need to expand their scope nationwide to secure objectivity, and we hope that in-depth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최근에는 MZ세대를 기점으로 그루밍족이라는 패션과 미용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남성 미용시장 규모의 확장으로 여성 위주의 미용실이 아닌 남성 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남성전문 헤어샵을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변화에 따라 뷰티샵에 대한 고객의 선택변화와 바버샵에 대한 선택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뷰티샵과 바버샵 선택속성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남성미용시장의 기초자료 및 마케팅 전략을 제시 할 수 있는 연구가 목적이 되고자 한다. 실증조사는 뷰티샵과 바버샵 두 곳을 이용경험이 있는 10~50대 남성을 표본으로 진행되었다. 총 471부를 SPSS 22.0 이용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방법을 적용한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는 연령은 20대 이하가, 미혼, 최종학력은 대졸이상, 직업은 회사·공무원이 높았으며 월 소득은 200만원 이하와 300만원 이하가 똑같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샵 이용 횟수는 10회 이상이 이용샵은 뷰티샵 매장유형은 개인매장이 인지경로는 지인추천순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체 문항의 신뢰도와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선택속성, 고객만족도, 고객충성도, 서비스 품질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한 결과 4개의 문항에서 전체 분산 설명력이 높게 나왔으며, 신뢰도 결과값인 Cronbach’s α값도 평균적으로 .900 이상값을 나타내며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샵 이용현황에 따른 선택속성, 서비스 품질, 고객만족도, 고객충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 및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용샵 부분에서는 전체적인 값이 바버샵이 뷰티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장유형에서는 전체적인 값이 개인매장보다 프랜차이즈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최종학력 부분에서는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선택속성, 서비스품질, 고객만족도, 고객충성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고객충성도는 선택속성의 구조외형적(r = .458, p<.001), 인지도(r = .472, p<.001), 서비스(r = .775, p<.001), 환경적(r = .635, p<.001)와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그리고 고객충성도는 서비스품질의 디자이너(r = .804, p<.001), 샵(r = .581, p<.001)과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또한 고객충성도는 고객만족도(r = .863, p<.001)과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다섯째, 선택속성이 서비스품질을 매개로 한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3단계 의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구조외형적인 부분에서는 구조외형적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디자이너는 정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으며, 선택속성이 서비스 품질을 매개로 한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고객만족도는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다. 결론에 따른 개선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 논문의 연구가 후속연구 남성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뷰티샵과 바버샵의 이윤점을 생각해본다면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 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는 10대에서 50대 이상의 뷰티샵과 바버샵 경험이 있는 남성을 대상으로 표본이 한정되었기에 객관성 확보를 위해 후속연구에서는 전국으로 범위를 확대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추후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소비자패턴 변화에 따른 O2O뷰티서비스의 현황 및 가치지각 관계 연구
With the growth of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O2O service, basing on a coalition of platforms, is becoming an effective marketing tool for expanding business channels. Consumers search online to find out price, performance, and design, compare the value of services; they show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the evaluation result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represented by active selection and purchasing with rational methods, companies and distribution industries strive to entice customers and advertise themselves through diverse content, social media, blogs, and YouTube. New normal and contactless consumption is accelerating because of the unprecedented pandemic, COVID19. Not only the millennials but also the older generation are showing self-directed consumption patterns such as ordering products through an online search. Therefore, in the beauty industry, strategically constructing O2O beauty services where all information is compressed by combining O2O services and beauty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considering a myriad of variables as to what influence factors the customers who use O2O beauty service use the service by. This study categorized the characteristics of using O2O beauty service into service satisfaction, reservation system, and SNS satisfaction; it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f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rough value perception. Furthermore, through the exact agreement of O2O beauty service use, we tried to find out the customer's selection factors and help find the marketing efficiency and improvement points accordingly.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650 male and female customers who have visited Seoul, Busan, and Gyeongnam, from August 15 to August 28, 2020, through O2O beauty service. A total of 620 answer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the use of O2O beauty service, 77.9% used Naver Place as a booking method; 15.3% used Kakao Hair Shop, and 6.8% used others or social media DM(direct message). What customers consider the most important in the O2O beauty service information was review and rating (31.8%), designers' career and recognition (19.4%), salon's brand recognition (15.2%), and posted trending photos (11.8%).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2O beauty service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value percep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revealed that most of the correlations as positive. The three-staged regression analysis result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value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are as follows. Although service us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value perception has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after positively affecting value perception. The mediating effect of value perception appeared in the influence of the reservation system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n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reservation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value perception and then a direct-indirect stepwise and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result of a three-staged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value perception showed that the reservation system had a direct-indirect positive effect. For O2O beauty services, expectations from online information, or value perception, had a highly crucial mediating effect. When online information is as same as what customers experience offline, customer satisfaction increases; this affected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Most of the dissatisfaction in the exact agreement was like “They charged me extra,” which is the situation when the offline price is different from the price specified online, that is, price dissatisfaction. Therefore, the price of O2O beauty service should be more elaborated to get rid of complaints. In addition, taking into account the needs of customers,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relationship marketing strategy like uploading and getting feedbacks from social media postings, hair trend, brand awareness, reviews, blogs, etc.,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using O2O beauty services that can meet the value percep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omote marketing strategies by analyzing the rapid-changing social situa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Further researches may refer to this paper, which tried various analyzes centering on O2O beauty services. The point of differentiation lies in the part that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diverse variables on consumer value perception for the part that presented a novel O2O beauty service analysis model.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reference for future O2O beauty service improvement measures. In the field of beauty arts, there were insufficient prior researches regarding O2O beauty service; thus the literature review was insufficient in terms of the current status of usage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erefore, research that can analyze not only reservation system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future beauty industry, but also various factors, will be needed. Finally, analyzing the interrelationship by expanding the meaning of consumers' value perception and its concept to more diverse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s fields is necessary.
스탠다드 절화 국화는 국내 소비뿐만 아니라 수출용 작물로 재배된다. 고품질 스탠다드 국화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생산자의 재배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기본 생장모델과 같은 도구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생장모델 개발은 품종과 환경요인에 따른 생장반응에 대한 다이나믹한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환경요인 중 광환경에 따른 스탠다드 국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생산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기본생장모델의 개발을 위한 동적생장자료를 정량화 하고자 하였다. Expt. 1은 식물공장에서 형광등을 이용하여 광주기를 8, 10, 12, 14, 16시간과 Expt. 2와 3은 장일처리기간을 24일(Expt. 2)과 38일(Expt. 3)로 하여 절화 대국의 다이나믹한 생육을 비선형회귀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Expt. 1-3의 일평균온도는 25.0±1.2℃ ~ 26.9±2.6℃ 유사하였으며. 주간 평균 광도는 Expt. 1 30.7±3.1 W․m-2, Expt 2 344.7±145.6 W․m-2, Expt. 3 336.7±134.0 W․m-2였다. 광주기 처리 후 일평균 광합성유효광(PAR)은 8부터 16시간까지 0.88 MJ․m-2 ~ 1.77 MJ․m-2 였고, Expt. 2와 3의 재배기간 중 5.1 MJ․m-2, 5.2 MJ․m-2 였다. 광주기 처리에 따라 Expt. 1의 장일 조건 14와, 16시간 처리에서는 영양생장이 지속되어 출뢰가 되지 않았고, 8시간 처리에서 10과 12시간 처리보다 유의적으로 지연되었다. 시계열에 따른 초장과 엽면적 지수와 생체중 및 건물중은 곰퍼츠 생장 함수와 지수선형 생장함수의 매개변수와 함께 측정값을 유의적으로 묘사하였다. 한계일장 12시간 이상에서 광주기가 길어질수록 초장과 엽면적지수의 절대생장율은 증가했고, 상대생장율은 감소하였으며, 최대생장율에 도달하는 시점이 지연되어 최대생장량은 증가했다. 생체중과 건물중의 최대상대생장율은 12시간부터 16시간 처리에서 광주기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지수생장에서 선형생장까지의 손실일수는 지연 되었으며, 절대생장율은 증가했다. 장일처리기간에 따른 출뢰 및 개화 소요일은 장일기간이 짧은 24일 처리(Expt. 2)에서 지연되었고 초장, 마디 수 엽면적 지수는 장일기간이 더 긴 38일 처리(Expt. 3)에서 생장량이 높았으나, 생체중 및 건물중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초장 및 엽면적지수의 생장량 변화는 장일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발육기간이 증가하여 상대생장율은 감소했으며, 최대생장량이 증가했고, 최대생장율에 도달하는 일수가 지연되었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최대생장율과 지수생장에서 선형생장까지의 손실일수에서는 처리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장일기간이 더 긴 처리구에서 최대상대생장율이 낮았다. 수광량의 증가에 따른 단위면적당 건물생산량은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냈으며, 선형 회귀계수인 광이용효율은 낮은 광도에서는 높았으며, 높은 광도에서는 낮았다. 본 연구는 묘사적 모델인 곰퍼츠와 지수선형함수를 통해 다이나믹한 기간별 국화의 생육에 대한 반응을 매개변수로 표현할 수 있었고, 이를 이용하여 국화의 생장량 예측과 동적 생육패턴을 정량화 할 수 있었다. 광이용효율을 이용하여 광환경에 따른 국화의 건물생장량을 추정하였으며 스탠다드 국화의 생장예측 및 생장모델 구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tandard cut chrysanthemum is major floral crop for domestic and export market in republic of Korea. In order to continuously produce high-quality standard chrysanthemums, we need to apply simple growth model about cultivation management by producers. To develop growth model, it is needed detail dynamic patterns of growth and development by environmental factors and varieties. Aim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effect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standard chrysanthemum by light condition and quantify dynamic growth and development data to develop simple growth model to utilize in cultivation fields. Plants were treated five different photoperiods (8, 10, 12, 14 and 16 hours) using fluorescent lamps in plant factory and long-day treatments were given 24 days and 38 days in single plastic greenhouse to analyze dyna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standard chrysanthemum by non-linear regression model. Daily temperature of Expt. 1 ~ 3 was similar to 25.0±1.2℃ to 26.9±2.6℃. Light intensity was Expt. 1 30.7±3.1 W․m-2, Expt 2 344.7±145.6 W․m-2, Expt. 3 336.7±134.0 W․m-2.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of days after photoperiods was 0.88 MJ․m-2 to 1.77 MJ․m-2 from 8 to 16 hours, and 5.1 MJ․m-2 and 5.2 MJ․m-2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of Expt. 2 and 3.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photoperiod, the long-day condition 14 and 16 hours treatments were continued vegetative growth period and were not detected flower buds. Days to budding was significantly delayed in 8 hours treatment than 10 and 12 hours treatments. Changes of plant height, leaf area index (LAI), plant fresh weight (TFW) and total dry weight per square meter were estimated significantly by parameters of Gompertz and Expolinear growth function. As the photoperiod was longer than 12 hours, the crop growth rate increased, the relative growth rate decreased, and the maximum growth was increased due to delay in the days to reach maximum growth rate in plant height and LAI. The maximum relative growth rate of 12 to 16 hours treatments decreased as the photoperiod increased in TFW and TDW. Times to lost linear phase was delayed, and the absolute growth rate increased. The days to budding and flowering were delayed in 24 long-day treatment (Expt. 2) and plant height, number of internodes, and LAI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38 long-day treatment (Expt. 3),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FW and TDW. The changes of growth in plant height and LAI increased as the longer the long-day treatment, resulting in a decrease in relative growth rate, an increase in the maximum growth, and delay days to reach maximum growth rat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aximum absolute growth rate and lost time to linear phase of TFW and TDW and the maximum relative growth rate was low in Expt. 3. The total dry mass production per square meter due to the increase in intercepted PAR integral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the linear coefficient, light use efficiency (LUE) was high at low light intensity, and low at high light intensity. Through the descriptive model Gompertz and Expolinear growth function, this research was able to express dyna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standard chrysanthemum by parameters and it was possible to quantify and estimate dynamic growth and development.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estimate total dry mass of chrysanthemum per intercepted PAR integral by LUE and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apply standard chrysanthemum growth model.
두피 정보기반에 따른 맞춤형샴푸 사용자의 자기 효능감 연구
이은지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현대의 소비문화는 개인의 가치와 개성에 초점을 맞춘 소비 형태로 대량 생산의 시장 구조에서 자신만을 위한 특별한 제품에 초점을 둔 맞춤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업계에서도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두발용 제품군에 속하는 맞춤형샴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뷰티시장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소비자들의 인식이 현재까지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두피 인식과 맞춤형샴푸의 사용실태에 대해 조사하고 나아가 맞춤형샴푸를 사용 후 객관적 두피 진단과 주관적 자기 효능감에 의한 인식의 차이점을 알아보려고 한다. 20대 이상의 남녀 424명을 대상으로 두피 인식 및 맞춤형샴푸 인식을 알아본 결과, 평소 자신의 두피타입이 정상 두피라고 인식하는 응답자가 31.4%로 높게 나타났으며,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인식은 57.8%로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그 중 맞춤형샴푸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느냐는 응답에서는 78.5%가 사용한 적 없다고 응답하여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 여부에 대한 차이를 보였다. 맞춤형샴푸 사용 후 객관적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 실험을 진행한 결과 5개의 두피 상세 진단 결과 중 두피 상태, 모공 밀집도, 두피 각질량에서는 약간의 감소가 일어나면서 변화를 측정할 수 있었으며 모공 상태에서는 사용 전보다 모공상태의 수치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두피 혈관 노출은 맞춤형샴푸 사용 전과 사용 후에서 수치상의 변화를 알아낼 수 없었다. 자기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대상자의 실험 전후 두피 인식 조사 결과에서 맞춤형샴푸 사용 후 인식 조사 결과 두피, 모발 개선 효과 면에서 개선된 것 같다는 응답자가 65%로 높게 나타났으며, 맞춤형샴푸 사용 시 만족하였냐는 응답에 향, 사용감, 용량 부분에서 만족하였다는 응답자가 85%로 높게 나타났다. 보통이다는 응답자가 15%, 불만족한 응답자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향후 맞춤형샴푸 구매의사에 대한 설문 결과로 80%가 사용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20%의 응답자는 구입의 편의성과 가격으로 인해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맞춤형샴푸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에서 맞춤형샴푸를 사용할 때 개선 희망 사항으로는 두피청결 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 후 두피 가려움과 비듬 유무에서 개선이 되었다는 응답자가 각각 75%, 80%로 높게 나타났다. 모발 굵기에서는 큰 변화를 느끼지 못하였다는 응답자가 55%로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두피의 객관적 진단 결과와 자기 효능감에 대한 결과가 같지 않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연구대상자의 맞춤형샴푸 사용 전후의 두피 인식이 그 전과 차이점을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눈에 두드러지는 향과 사용감 그리고 세정력 등 즉각적 효과에서는 자기 효능감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두피의 객관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샴푸의 사용의 변화를 알아볼 수 있었으며 자기 효능감에 대한 이해와 객관적 정보에 대한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에폭시 수지를 활용한 한국전통문양의 헤어아트상품 디자인개발
조아현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요즘 21세기는 각 나라 간의 문화, 역사, 정체성을 강조하는 창조적 트렌드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이런 트렌드의 영향을 받아 많은 나라들은 전통문화와 현대문화가 결합된 문화산업을 육성하고 오래전부터 전통문화유산을 세계화하고 상품화하는데 노력을 기울였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전통문양을 활용으로 한국적 이미지를 살려 이미지 개발은 물론 세계화 할 수 있는 활용적 가치가 충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인 디자인 또는 교육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미용분야 중 헤어아트는 디자이너의 개성적 자아를 창조하는 조형예술의 분야로서 최근 학계 및 일부 미용업계 종사자들은 창의적, 독창적인 표현방법으로 헤어아트를 발전시키고 있다. 또한 재활용 없이 폐기된 모발을 소각으로 처리하는 경우 유해물질로 인해 환경오염을 유발할 시킬 염려가 있어 폐기된 모발을 재활용하여 장신구, 공예품 등 개발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이론적 체계정립과 조형예술로서 헤어아트에 대한 조명에 한정되었을 뿐, 심리적으로 폐모발의 혐오감과 불쾌감 뿐 만아니라 영구적이지 못한 단점으로 조형예술 외 일반인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가 어렵고 상품으로 만들지 않는 이상 일상생활에서도 친근하게 접근하기 힘든 실정이다. 그 동안 상품의 소재는 금속, 도자, 귀금속, 보석, 돌, 나무, 유리, 죽세, 섬유, 철, 가죽, 종이, 특수소재 및 합성재료 등이지만 재료선택의 폭을 넓혀 우리 신체의 일부인 모발을 신소재로 하여 의미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대중화하여 예술성을 부각 시킬 수 있는 독창적이고 현대적이며 전통이 가미된 헤어아트상품을 개발의 필요성을 느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통문양의 개념 및 역사적 배경을 통해 문양이 가지고 있는 형태와 상징성을 바탕으로 창의적, 독창적,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헤어아트상품 디자인을 이끌어내고, 에폭시를 매개체로 헤어아트상품을 제작함으로써 폐모발의 혐오감과 불쾌감을 없애주고 헤어아트 작품보관 또는 유지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위한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에폭시를 매개체로 한 한국전통문양의 헤어아트상품을 제작하기위해 관련된 선행연구논문과 국내 서적을 참고하고 헤어아트에 응용된 문양과 상징적 의미를 바탕으로 작품 제작하였다. 한국전통문양 중 형태별 문양에서 동물문과 식물문을 선정하여 동물문에서는 잉어문양, 공작문양, 나비문양, 용문양을, 식물문에서는 국화문양, 연화문양, 난초문양, 매화문양, 소나무문양을 각각 응용하여 헤어아트상품 디자인을 스케치하였다. 스케치한 헤어아트 상품 디자인은 컴퓨터그래픽 프로그램인 Adobe Illustrator CS3를 사용하여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형상화시키고 형상화 시킨 디자인을 폐 모발과 모발의 단점을 보완시킬 수 에폭시와 나무를 이용하여 총 16개의 상품 제작하였다. 동물문에서 잉어문양은 효(孝)의 뜻을 담아 노인의 발이 되어주는 지팡이에 접목하여 헤어아트 상품을 제작하였고, 공작문양은 길조의 기운을 담아 현대인들이 항상 가지고 다니는 폰 케이스에 공작문양의 헤어아트를 접목시켜 부적처럼 늘 지니고 다녀 항상 좋은 일만 생긴다는 의미로 컬러별 2가지의 작품으로 상품화 시켰다. 나비문양은 사랑, 금슬 좋은 부부의 상징을 담아 무드 등을 제작하여 상품화 시켰고, 용문양은 권위, 권력을 상징으로 기업, 회사, 자영업 등 운영할 때 승승장구한다는 의미를 담아 직인도장을 상품화 시켰다. 식물문에서 국화문양은 길상 또는 상서의 의미를 담아 항상 복되고 길한 일이 일어나도록 흑단나무로 제작한 인감도장에 접목하여 헤어아트 상품을 제작하였다. 연꽃문양은 청렴, 청결, 건강의 상징적의미를 담아 건강한차에 담긴 찻잔과 어울려지도록 연화문양 헤어아트 3개의 디자인으로 상품을 제작하였으며, 난초문양은 사군자의 기상에 의미를 담아 5개 컬러별로 상품을 제작하였다. 매화문양은 사명감, 책임의식의 상징으로 자기가 하는 일에 있어 하루하루 사명감과 소명의식을 가지고 살자 라는 의미를 담아 헤어아트 벽시계 상품을 제작하였다. 소나무문양은 길상과 우정의 상징적인 의미를 담아 소중한 분들과 함께 마주 앉아 소나무문양 헤어아트 찻상에 건강한 차를 마시며 백세까지 좋은 인연을 맺고 복되고 좋은날을 함께하며 오래오래 장수하자는 의미를 담아 상품화 시켰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전통문양의 종류와 문양 속에 담긴 의미를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헤어아트디자인과 에폭시에 접목시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헤어아트상품 개발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이번 헤어아트 상품제작이 헤어아티스트들의 창작의욕을 자극시킬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 개발의 시발점이 되어 일반대중들에게도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을거라 사료된다.
기능경기대회의 헤어디자인종목이 살롱스타일에 미치는 영향력분석 및 작품연구
헤어예술은 살아있는 모발의 성질, 두상의 공간적인 감각과 리듬감, 컬러, 질감 등의 표현방법으로 미적 감각을 요구하거나, 가공되어진 소재를 사용하여 헤어의 조형적인 기술로 표현되어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헤어예술 중에서 기능경기대회의 헤어디자인종목은 작품의 질적 수준 향상및 새로운 디자인과 더불어 창작성, 컬러, 질감 등의 주제를 통해 창의적인 디자인을 발휘 할 수 있게 해주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기능경기대회의 헤어디자인종목의 작품을 현실에 적용하기 어려운 스타일로 인식하여 헤어전공자 또는 살롱종사자들은 작품이 가지고 있는 변화의 가능성을 잃어버리거나, 현재 유행하고 있는 헤어스타일과 연계시킨 새로운 기술 개발과 습득을 등한시하는 경향이 있다. 기능경기대회는 현실과 괴리감이 있는 고난위의 작품을 이해하고 표현해야 하며, 창의적인 능력과 선수 개인의 노력이 필요하기도 하다. 이러한 노력은 새로운 기술습득과 디자인 능력을 향상시키며 더 나아 가서는 헤어미용기술을 발전시켜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 이에 현실과 괴리감이 있는 기능경기대회의 헤어디자인종목을 현재 유행하고 있는 헤어스타일에 접목하여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선행논문을 바탕으로 헤어기능대회의 이론적 고찰과 살롱스타일을 분석정리하고, 기능경기대회의 헤어디자인 종목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살롱스타일에 응용할 수 있는 작품을 제작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기능경기대회의 헤어디자인 종목이 살롱스타일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응용스타일을 연구함으로 기능경기대회와 살롱스타일의 상호보완적인 요소를 발굴 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능경기대회 헤어디자인 종목과 년도별 살롱스타일 경향을 분석, 비교하였다. 둘째, 기능경기대회의 헤어디자인종목이 살롱스타일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적 특성, 인식도, 참가동기, 기능경기대회에 만족도의 타탕성 및 신뢰도 검증 하였으며, 미용종목과 이용종목의 활용정도와 응용가능분야에 대한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셋째, 기능경기대회 헤어디자인종목에서 시행되었던 자료를 바탕으로 영향력분석의 결과에 따라 미용작품 중 살롱스타일에 응용, 활용도가 높은 퍼머넌트웨이브 4작품, 업스타일 5작품, 커트 5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이용작품으로는 커트 4작품, 퍼머넌트웨이브 4작품으로 총 22작품을 살롱스타일로 제작하였다. 작품연구는 기능경기대회에서 미용, 이용종목에서 활용가능한 작품들의 한 부분을 모티브하여 작품의 도해도와 기법, 컬러를 명시하여 제작하였다. 넷째, 선행연구논문을 바탕으로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고찰과 작품제작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을 연구하여 본 연구자와의 차이점을 명시하였다.
권영오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는 비지니스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를 인터넷을 통해서 고객에게 빌려주는 사업자를 말한다. 비슷한 환경에서 비슷한 업무를 처리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ASP 시장은 저렴한 가격에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많은 업체들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면서도 ASP를 빠르게 제공하기에 많은 기술적⋅시간적 부족함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ASP를 개발 하는데 적합한 모듈을 오픈 프레임워크에 적용시켜 ASP 개발 전용 프레임워크로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으로 ASP를 개발함에 있어 기술적⋅시간적으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 방법은 MVC 개발 방법론을 확장한 방법으로서 Query 및 ASP정보를 XML로서 관리하여 MVC방법에 유연성을 강화시킨 방법이다. 제안하는 모듈은 오픈 프레임워크를 고객의 요구 사항에 빠르게 대응하도록 하는 유연성을 가지게 한다. 이미 만들어진 템플릿 소스를 상속받아 구현되어지는 기본 모델을 이용하여 개발자는 개발방법만 신경 쓰도록 하여 개발속도의 향상과 시스템 무결성을 강화 시키는 프레임워크로서의 개선을 제안 한다. 실험결과를 통해 기존에 개발하는 방식들에 비해 수정 파일수가 적어지는 것과 향상된 유연성, 그리고 소스의 양이 약 29%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남성 헤어디자인 확장을 위한 옵아트 헤어타투 작품 연구
현대 사회는 삶에 대한 표출방식이 다양해지고 그것을 헤어스타일로 통하여 드러내는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헤어타투는 남녀를 불문하고 예술적 표현이 가능한 소재로 그 활용도는 무한하고 가능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투블럭 커트가 대중적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헤어타투 또한 대중적으로 자리할 것이라는 기대에 본 연구자는 옵아트의 특성을 선행논문과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분석하여 이미지를 선정한 후 옵아트의 대표적인 작품을 모티브로 세분화 된 표현 특성 8가지를 적용하여 옵아트 8 작품을 제작하였다. 첫째, 옵아트의 특징과 타투의 종류 및 헤어타투의 개념을 고찰한 후 옵아트의 대표 작가인 빅토르 바자렐리, 브릿지 라일리, 죠셉 알버스등의 작품과 본 연구자의 상상력으로 도출된 작품을 선정하였다. 둘째, 선행연구와 문헌 자료를 통하여 기하학적이고 시 지각적인 착시현상을 관찰하고 옵아트와 헤어타투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Ⅰ(커브)는 얼룩말을 모티브로 곡선을 강조하여 시 지각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로 디자인하였고 남성 헤어디자인은 리젠트 스타일로 앞머리를 세워 남자답게 표현하였으며 컬러는 레드 브라운으로 부드러우면서도 세련되게 느낌을 살렸다. 작품 Ⅱ(크로스)에서는 십자가 모양으로 입체감 있게 연출하고 남성 헤어스타일은 리젠트 스타일로 엑티베이티드하게 표현하였으며 컬러는 레드와 블루를 이용하여 화려하게 연출하였다. 작품 Ⅲ(미로)는 스트럭춰 스타일로 드라이어로 C컬을 만들고 골 빗을 이용하여 물결 웨이브 느낌이 나도록 강인한 남성미를 표현하였으며 헤어타투는 어지럽게 갈래가 져서 복잡한 길로 들어가면 빠져나오기 어려운 미로를 연상하도록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Ⅳ(링크)에서는 체인을 구성하는 연결고리를 연상하며 작품을 제작하였고, 헤어디자인은 패션 스타일로 자연스럽게 충분한 웨이브를 강조하였으며 컬러는 에쉬 그레이로 남성미를 표현하였다. 작품 Ⅴ(블럭)은 부품을 하나의 구조물로 짜 맞추듯 조합하여 조화롭게 연출하였으며 헤어스타일은 패션스타일로 세련됨을 강조하였으며 일체감 있게 헤어타투 스타일을 제작하였다. 작품 Ⅵ(트라이앵글)은 삼각형의 그라데이션이 잘 나타나도록 헤어타투를 하였으며 남성 헤어스타일은 엑티베이티드한 느낌이 나도록 왁스를 이용하여 스타일링 하였다. 작품 Ⅶ(블랙홀)은 모든 물질을 빨아들이는 검은 구멍을 연상하고 바둑판 모양의 흑과 백으로 연출하였으며 헤어스타일은 브레이드 스타일로 제작하였다. 작품 Ⅷ(스퀘어)는 직사각형이 나열되어 착시를 일으키게 표현하였고 입체감을 살려 사각형이 쌓여있는 형태로 제작하였다. 스트럭춰 스타일로 C컬 드라이하고 골 빗으로 느낌을 살려 신사적인 남성 스타일로 연출하였다. 본 연구는 옵아트라는 예술 양식을 남성 헤어스타일과 접목하여 제한적인 남성 헤어디자인의 확장을 위한 새로운 디자인을 제시하였으며 살롱에서 활용 가능한 디자인으로 헤어타투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앞으로 다양한 디자인 개발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여 미용 예술과 미용 산업 분야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In modern society, people’s expressions of their lives have become more diverse.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we now live in an era when our personality is expressed through our hairstyles. A hair tattoo is a material for artistic expressions for both men and women. It is limitless in terms of utilization with great growth potential. As the two-block haircut has become popular, it is expected that hair tattoos would also be popular.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chose images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optical ar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 and applied 8 different expressive characteristics which have been segmented with famous op-art works as motifs. Then, 8 op-art styles were create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op art, tattoo styles and concept of a hair tattoo were reviewed. Then, the works of famous optical artists such as Victor Vasarely, Bridget Louise Riley and Josef Albers and those created with the author’s imagination were chosen. Second, geometric and visually perceptive illusions were observ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cords, and op-art and hair tattoo styles were created. Style I (‘Curve’) was created in a visually perceptive and geometric pattern, focusing on curves with a zebra as a motive. For men’s hairstyle, the front hair was straightened up in regent style. In terms of color, red brown was applied, generating a smooth and refined mood. In Style II (‘Cross’), 3D design was created with cross patterns. For men’s hair, an activated regent style was created. In terms of color, red and blue were adopted for fancy and gorgeous styling. Style III (‘Labyrinth’) offers a structured style. After forming C-curls with a dryer and waves with a comb, masculinity was expressed. For a hair tattoo, a confusing and complex labyrinth-like style was created. In Style IV (‘Link’), a chain link-like style was designed. For the hairstyle, voluminous waves were emphasized in a natural way. In terms of coloring, ash grey was applied to express masculinity. Style V (‘Block’) was created in a harmonious fashion by combining components systematically. For a hairstyle, a refined and stylish pattern was emphasized. In addition, a uniform hair tattoo style was created. In Style IV (‘Triangle’), a hair tattoo was applied to express triangular graduation. Men’s hair was styled with wax to create an activated mood. Style VII (‘Black Hole’) symbolizes a black hole sucking all objects. It was expressed in black and white with a GO board pattern. For hair, a braided style was created. In Style VIII (‘Square’), rectangles were lined up, generating illusions. In addition, they were piled up with 3D effects. Using structural patterns, a gentleman’s style was created, using C-curl and comb. This study proposed new design needed to expand men’s hairstyles by applying op art to men’s hairstyles and confirmed the value of hair tattoos which are applicable at hair salon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ould suggest limitless possibility for design development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beauty art and the cosmetology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