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군 부적응 병사의 군 적응을 위한 관계성 향상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이새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 법에 의해 의무적으로 군에 입대한 병사들은 명령과 규율에 따르는 통제된 단체생활을 경험하게 된다.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는 병사들은 군 부적응 병사로 분류된다. 최근 군 부적응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었으며 기존의 군 적응을 위한 연구들에서는 대인관계와 정서적 환경지각이 중요한 요인이라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군 부적응 병사들을 위한 관계성 향상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캠프 프로그램 4기에 입소한 군 부적응 병사 13명은 실험집단으로, 5기에 입소한 병사 13명은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집단은 10일 동안 매일 2시간씩 총 10회기의 세션에 참여하였다. 선행연구와 파일럿 세션을 통해 대인관계 갈등이 군 부적응 병사들의 실질적 군 부적응 원인임을 알 수 있었고 이에 게슈탈트 이론의 알아차림 6단계를 바탕으로 관계성 향상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초기 1~3회기 세션은 자기표현과 타인과의 관계를 시작하는 알아차림의 1~2단계, 중기 4~8회기 세션은 자연스러운 상호작용과 공감적 교류를 하는 알아차림의 3~5단계, 후기 9~10회기 세션은 공감을 통한 연결성을 경험하고 관계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알아차림의 6단계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각 회기는 노래와 악기연주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표출하게 하며,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관계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대인관계변화, 정서적 환경지각, 군 생활 적응 척도의 사전 ·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SPSS 19.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집단 내 변화는 정규성 검정 후 paired t-test, Wilcoxon’s signed-ranks test로 검증하였고, 두 집단 간의 차이는 Levene’s test로 등분산 검정과 정규성 검정에 따라 independent samples t-test와 Mann whitney U-test로 검증하였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 ·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변화에서 두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실험집단의 사전 · 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대인관계변화, 정서적 환경지각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으며, 군 생활 적응은 하위영역인 직책과 직무만족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이를 통해 관계성 향상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단 기간에 진행되었음에도 군 부적응 병사의 관계성을 향상시켜 군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관계성 향상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군 부적응 병사들에게 음악을 통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자신감과 만족감, 타인과의 신뢰적, 지원적 관계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대인관계능력을 발전시켜 군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와 군 적응을 돕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관계성 향상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군 부적응 병사의 군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도입될 수 있음을 제언하는 바이다. Korean soldiers have to serve in the army as a duty for the country and thereby they have to live in the corporate life controlled by certain rules. The soldiers who do not adapt the corporate life are called misfit soldiers. Recently, there are many misfit soldiers who suffer from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and they sometimes make severe problems such as committing suicide and firearm accidents. It became serious social issue and the necessity of countermeasures is being more recognized. Therefore, this study's main purpose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adaptation of misfit soldiers. The main study is intended for the 13 misfit soldiers who are admitted to the Green-camp in 2012. They participated in two hour sessions for ten successive days. By analyzing past studies and the pilot session of the misfit soldiers; the key factors found out to b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motional-environmental perception. The methods for the misfit-soldiers were based on 6 stages of Gestalt’s awareness cycles. The study can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stages ; early stage at which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 initiated - first and second stages of Gestalt's awareness cycles, middle stage at which natural interaction and sympathetic exchange are experienced - third, fourth and fifth stages of the cycles and the late stage at which connection through sympathy and problem solving through relationship are performed - sixth stage of the cycles. Each stage was made for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were music-psychotherapy techniques such as lyrics making and song discussion, and instrumental plays including improvisation and group instrument playing. The results of 13 soldiers were pre- and post-tested and data a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Wilcoxon’s signed-ranks test using SPSS 19.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misfit soldiers’ military life adaptations and interpersonal skills were improved and military life stress were reduced even in the short amount of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the group music therapy relieves stress of misfit soldiers, helps them perceive military environment more positively and improves interpersonal skills in order that misfit soldiers can adapt better. Therefore, the music therapy method should one of program to help misfit soldiers.

      • 뇌병변 장애아동의 자기표현능력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의 비교 연구 : 악기연주, 노래 만들기, 음악치료 놀이극을 중심으로

        손성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람들은 누구나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며 서로간의 의사소통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뇌의 손상으로 인해 신체, 인지, 언어 등의 장애를 갖고 있는 뇌병변 장애아동들은 의사소통을 위한 자기표현에 부족함이 있으며, 이로 인해 다른 사람들과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맺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아동에게 언어적·비언어적 자기표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악기연주, 노래 만들기, 음악치료 놀이극의 음악치료 활동을 실시하여 대상자들에게 각 활동들이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S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뇌 병변 장애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여 약 3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그룹 세션으로 진행되었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총 3단계로 구성되었는데 악기연주활동의 1단계(2-4회기), 노래 만들기의 2단계(6-8회기), 음악치료 놀이극의 3단계(10-12회기)로 진행하였다. 매 세션은 인사노래로 시작하여 각 회기 별 목표에 따라 활동을 진행하였고 마침노래로 세션을 마무리하였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자기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단일대상 연구의 ABABAB의 반전설계와 행동간, 상황간 중다기초선 설계법(Multiple baseline design)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12회기의 녹화 자료를 관찰 준거에 따라 분석하여 언어적 자기표현의 적절한·부적절한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자기표현의 눈맞춤 횟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활동을 통해 뇌병변 장애아동들의 언어적 자기표현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음악치료 활동 내에서 나타난 자기표현과 관련한 적절한 의사소통의 모습이 증가하고 부적절한 의사소통의 모습은 감소하였으며, 모든 대상자들이 활동 초기에 비해 후기에 각각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치료활동을 통해 뇌병변 장애아동들의 비언어적 자기표현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음악치료 활동 내에서 보인 비언어적 자기표현과 관련한 눈맞춤 횟수가 증가하였고, 활동 초기에 비해 후기에 각각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악기연주, 노래 만들기, 음악치료 놀이극의 세 음악활동에서 나타난 대상자들의 자기표현 관찰 행동을 비교해 볼 때, 모든 대상자들이 음악치료 놀이극에서 가장 많은 표현을 나타냈다. 이는 악기연주, 노래 만들기 활동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음악치료 놀이극이 대상자들의 자기표현능력에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자기표현능력이 부족한 뇌병변 장애아동들이 음악치료활동을 통하여 언어적·비언어적 자기표현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악기연주, 노래 만들기, 음악치료 놀이극 활동이 뇌병변 장애아동의 자기표현능력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활동이 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All human beings, as they lead their lives with other people, need communication with one another. Howeve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who have disabilities in their body, perception, and language due to brain damage, lack the ability of self expression,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form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Therefore, this research conducted several music therapy activities including instrument playing, song making and music therapy play to uncover what effects these activities had on the subjects. The research, which was consisted of 12 group sessions, each thirty minutes, was conducted on three child subjects with brain lesions who are attending S special needs school, which is located in Seoul. The therapeutic music program was comprised by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 instrument playing activity(sessions 2-4); the second stage - song making(sessions 6-8); and the third stage - music therapy play. Each session started with a greeting song, and then was conducted by following the aim of each session accordingly, and ended with a closing song.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self expression ability of the subjects, the ABABAB reversal design from the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 and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for in-between situations and behavior were used together. Also, by analyzing the recorded video of the 12 sessions by adhering to the observation standards, I collected data on the number of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verbal self expressions and the number of times eye contact was made, which is a non-verbal form of self expression. It was able to ear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hildren had positive results in their verbal self-expression abilities through the music therapy. During the music therapy, they showed increased appropriate communication related to self-expression and reduced inappropriate communication, while all subject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 latter half of the research when compared to the first half. Second, the children had positive results in their non-verbal self-expression abilities through the music therapy. During the music therapy, the number of times eye contact was made increased, showing a positive change in the latter half of the research when compared to the first. Third, all subjects displayed the most expressions during the therapeutic play using music among all of the music activities, which include instrument playing, song making, and music therapy play. This means that music therapy play which combines the activities of instrument playing and song making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abilities of the subje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usic therapy activities helped improve the verbal and non-verbal self expression of the children suffering from brain lesions. Therefore, this research holds importance, as instrument playing, song making, and music therapy play can be an effective mediating activity to improve the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 단일곡 노래 활동이 말기 암 환자의 통증 및 기분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은해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말기 암 환자는 통증에서 비롯된 신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불안, 우울, 절망등 정서적 고통과 사회적, 영적 고통을 포함한 총체적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곡을 활용한 노래 활동이 말기 암 환자의 통증 및 기분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와 음악치료 과정에서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음악 환경 요소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4년 6월부터 10월까지 병원 및 호스피스 센터에 입원하여 통증과 증상 완화 치료를 받고 있는 말기 암 진단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1, 2차 예비조사 단계를 거쳐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에 각기 20명씩 배치되었으며, 약 20분에서 30분간 단회기 개별 세션의 형태로 실험 집단에는 노래 활동을, 비교 집단은 언어 상담 처치를 받은 후 자기 보고식 조사 방법으로 통증과 기분 자각 정도를 측정하였다. 활동을 위한 노래는 예비 조사결과에서 나타난 음악적 요소의 분석을 통해 「홀로아리랑」을 선곡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중재를 통한 참여자들의 통증, 기분의 사전-사후 검사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집단 간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노래 활동을 실시한 실험 집단이 언어 상담을 실시한 비교 집단에 비해 통증 및 기분 점수의 변화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여 음악치료가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p<.05). 긍정적인 변화에 영향을 준 음악 환경 요소는 선율, 가사, 악기 소리, 치료사의 목소리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단일곡 노래 활동은 말기 암 환자의 통증 및 기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치료적 중재이며, 노래의 선율은 통증과 기분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음악 환경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 악기연주 중심의 음악치료 활동이 중도시각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전윤경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악기연주 중심의 음악치료 활동이 중도시각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S시각장애인 시설에 거주하는 6명의 여성노인 중도시각장애인 중 자기효능감 척도의 총 점수가 75점 이하인 참여자를 선정하여 1주에 2회기씩 45분 동안 총 10회기의 음악치료 활동을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의 음악치료 중재 사전과 사후에 자기효능감 점수 변화는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 영역과 관련된 참여자들의 음악적, 언어적 반응을 분석하여 참여자들에게 일어난 의미 있는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의 자기효능감 척도 사전, 사후 점수를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통해 검증한 결과, 참여자의 자기효능감은 각 하위 요인인 자신감(Z= -2.232), 자기조절 효능감(Z=-2.207), 과제난이도 선호(Z=-2.207)에서 모두 p<.05 수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음악치료가 중도시각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음악적, 언어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 초기단계의 음악적 반응에서는 타인의 소리를 듣지 않고 혼자만 연주하던 자세에서 회기가 진행될수록 타인의 연주를 듣고 조화롭게 연주하려는 자세를 보여줌과 동시에 전반적으로 자신감을 갖고 적극적으로 연주에 참여하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활동을 통한 언어적 반응을 살펴보면 활동 내용과 관련 없는 이야기를 하거나 작은 목소리와 부정확한 발음으로 자신감이 결여된 표현에서 점차 활동과 관련 있는 구체적인 이야기를 큰 목소리로 말 할 수 있었으며 도전적인 일에 시도하여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낀 소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악기연주 중심의 음악치료 활동’이 중도시각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치료적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중도 시각장애인의 정서적 어려움 중재를 위한 상담과 치료적 접근으로 도입될 수 있는 음악치료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십대 미혼모의 자기수용에 관한 연구

        이승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십대 미혼모는 사회의 편견과 사회ㆍ정서적 지지의 부재로 여러 가지 심리적 혼란과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성공적인 자기수용은 스트레스에 대처하고 심리적 문제의 발생을 막아주며, 적극적으로 삶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래심리치료가 십대 미혼모의 자기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 미혼모 보호시설에 입소한 만 19세 미만의 미혼모 3명을 대상으로 10회기의 노래심리치료를 적용하였고, 각 회기는 60분씩 그룹치료로 진행하였다. 노래심리치료는 총 3단계로, 1단계는 관계 형성 단계로 친밀감 형성 및 음악 활동에 대한 흥미와 참여 동기를 부여하였고, 2단계는 자기 탐색 및 감정 표출 단계로 자기의 문제를 탐색하고, 드러난 문제를 이해하고, 감정을 표출함으로써 감정의 정화를 가져오도록 하였다. 3단계는 자기수용 단계로 내적 자원을 확인하고 자기감정과 상황을 수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십대 미혼모의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를 하였으며, 자기수용 척도의 문항에서 환경적 반응에 대한 수용도, 가치감, 자신감, 후회감과 관련하여 문항을 분석하고, 각 개념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환경적 반응을 수용하지 못함, 비가치감, 자신감 저하, 만족감으로 분류하여 대상자들의 언어적ㆍ음악적 반응을 서술하여 자기수용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사후평가 질문지를 실시하여 대상자들이 인식한 변화와 경험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심리치료에서 보인 대상자들의 언어적 표현을 내용 분석한 결과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환경적 반응에 대한 수용도, 가치감, 자신감, 만족감은 증가하고, 환경적 반응을 수용하지 못함, 비가치감, 자신감 저하, 후회감에 대한 표현은 감소하여 자기수용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노래심리치료에서 보인 대상자들의 음악적 표현을 분석한 결과 자기 방어적 표현에서 자기 개방적 표현으로 변화하였으며,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긍정적이고 자신감 있는 반응이 나타났다. 셋째, 사후 평가 질문지의 분석 결과 노래심리치료의 경험은 대상자가 자신감을 가지고 타인의 반응을 수용하며, 문제 해결을 위해 주도적으로 행동하도록 도 움을 준 것으로 나타나, 노래심리치료가 대상자들의 자기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임신으로 인해 불안정한 정서를 경험하고 심리적으로 고립되어 환경과 자신에 대한 수용을 하지 못하고 왜곡된 자아상을 가진 십대 미혼모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고 긍정적인 자기 지각을 하도록 하여 자기수용을 도와주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미혼모 보호시설 현장에서 심리치료의 일환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hange of Self-Acceptance on the song psychology therapy. While the song psychology therapy is going, the subjects' verbal and musical expression change was being watched. This study was for unmarried teenage mothers. The 3 subjects were under following condition : admitted temporarily staying at the protection shelter in Gyionggi-do, for 10 times total, and each one was 60 minutes group session. The song psychology therapy program is divided into 3 steps; 1st step is for relationship build to motivate and promote subjects' interest. 2nd step is for self-expression on self-researching and 3rd step is for self-acceptance to increase social interaction and feeling of achievement. To find the effects of the song psychology therapy program on change self-acceptance on the subjects, the researcher did contents analysis of subjects' musical and verbal expression accordance with self-satisfaction, regret, self-value, low-value, self-confidence, low-confidence, acceptance of stimulus and low-acceptance. Also post-self-valuation questionnaire was completed to see the subject's change of self-acceptance through song psychology therapy. First, self-satisfaction, self-value, self-confidence and acceptance of stimulus were increase and regret, low-value, low-confidence and low-acceptance were decrease in verbal expression. Second, for the self point of view, the program was useful and positive for the subjects confidence and acceptance of stimulus. The result of this study as described above, the song psychology therapy program is positive for the unmarried teenage mothers. It shows that song psychology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effective for self-acceptance and professional treatment method at protection shelter.

      • 교정음악치료가 재소자의 자아존중감 및 부정적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 타악기를 중심으로

        김은주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타악기 중심의 교정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교도소에 수감 중인 재소자의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정서 변화에 미치는 효과와 참여자가 인식한 만족도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교정 심리치료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음악치료의 효과와 강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Y시 소재 S교도소에서 집중인성교육에 참여하는 재소자 14명을 대상으로 주1회, 100분간 8회기의 교정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해 자아존중감 검사(SEI)와 다면적 형용사 체크리스트(MAACL)로 사전 ․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측정된 결과를 대응표본 t 검증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이 경험한 프로그램의 만족도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가 구성한 Likert 5점 척도의 사후 질문지 결과를 빈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정음악치료 프로그램 실시 사전 ․ 사후에 측정한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평균 3.59점에서 3.72점으로 향상 되었으며,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인 중 자기주장과 확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t= -1.442, p<.05). 둘째, 교정음악치료 프로그램 실시 사전 ․ 사후에 측정한 대상자들의 MAACL 점수는 평균 15.43점에서 12.36점으로 감소하였으며, MAACL 하위 요인 중 불안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t=3.539, p<.01).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회기 주제는 ‘행복’(92.8%)으로 나타났다. 타악기 활동 유형 중 즉흥 연주(78.6%)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효과음 악기(92.9%)와 북(78.6%)에 대한 악기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음악치료 활동 중에는 팀 별 공연(85.7%)과 타악기 연주(78.6%)에 가장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 여부에 대해 참여자의 92.9%가 ‘추천할 것이다’라고 응답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프로그램 횟수에 대해 85.8%가 불만족하여 8회기 이상의 장기적인 프로그램을 희망하였다. 참여자들은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감정 표현을 통한 긍정적 정서 경험 및 스트레스 해소, 낯선 상황에 대한 두려움 극복, 동료와의 관계 개선, 수감 생활 및 출소 이후의 삶에 대한 계획 설계 등에 유익하였다고 진술하였다. 본 연구는 교도소 재소자를 대상으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시행하여 음악치료가 통제된 교도소 환경에서 제한되기 쉬운 재소자의 자기 표현 과 건강한 대인 교류 경험을 제공하여 재소자의 중요한 재범 요인인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정서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교정음악치료가 재소자의 정서 변화와 행동 수정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적 접근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program based on percussion on the changes in self-esteem and negative emotion of prison inmates, and to examine the satisfaction factor of the activity, thereby proposing the direction and base line data for the future study of correctional music therapy. To this end, a correctional music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100 minutes each throughout 8 sessions with 14 participants of prison inmates participating in Foster Character education in S prison located in Y city, Gyeonggi-Do. Self-esteem Inventory(SEI) and Multiple Affect Adjective Check List(MAACL) were carried out as pre and post inspection f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 measured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bijective sample t-test.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of program satisfaction factors of experienced participants were made through post-survey of 5-point Likert scale design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self-esteem points of subjects measured in pre and post correctional music therapy program have improved with increased average point from 3.59 to 3.72, and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lf-assertion and confidence—the sub-factors of self-esteem. (p<.05) Second, Multiple Affect Adjective Checklist points of targets measured in pre and post correctional music therapy program have decreased from average 15.43 to 12.36; fear factor, one of the three sub-factors,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p<.01) Third, the most satisfying session theme of Participants was shown to be ‘happinesss’(92.8%). Also, improvisation out of percussion playing activity(Drum circle) type was preferred (78.6%); among musical instruments, sound effects instrument and drum types showed highest satisfaction, each with 92.9% and 78.6%. This implies that correctional music therapy with group members is effective in inmates’ revealing of their presence, in providing self-confidence and sense of achievement leading to self-esteem improvement including self-assertion and confidence, and in enabling self-expression which is likely to be suppressed in prison environment thereby decreasing fear. Hence, it is proposed that correctional music therapy can be utilized in orthodontic psychology treatment program for emotional purification and social adaptation of prison inmates.

      • 노인들이 선호하는 노래의 분석 연구

        백승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노인 대상 음악치료 및 음악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써 노인들이 선호하는 노래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특별시와 6대광역시(부산, 대구, 대전, 인천, 광주, 울산)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1199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노래는 총 432곡으로 노래의 장르와 주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개인 내적요인(연령, 성별)과 외적요인(거주 지역)에 따라 SPSS v.018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을 하였다. 또한 노인들이 선호하는 상위 50곡에 대한 음악적 요소(리듬, 박자, 조성, 선율 조성, 선율 진행, 빠르기, 형식)별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노인들은 트로트(855명, 71.3%)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포크(98명, 8.2%), 발라드(80명, 6.7%), 민요(71명, 5.9%), 가곡(59명, 4.9%)순으로 선호하였다. 성별에 따른 결과로 남성과 여성은 모두 트로트를 선호하였고, 남성은 포크, 민요, 발라드, 가곡 순으로, 여성은 포크, 발라드, 가곡, 민요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결과로 연령이 낮은 집단일수록 가곡, 포크, 발라드를 선호하였고, 연령이 높은 집단일수록 트로트와, 민요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결과로 7개 지역 모두 트로트를 가장 선호하였지만 대전 지역은 85.4%가, 울산 지역은 48.1%가 트로트를 선호하여 지역 간의 선호 비율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들은 이별(383명, 31.9%)에 관한 노래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사랑(293명, 24.4%), 인생 (280명, 23.4%), 향수(92명, 7.7%), 자연(57명, 4.8%)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결과로 남, 여 모두 이별에 관한 노래를 가장 선호하였다. 남성은 인생, 사랑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여성은 사랑, 인생, 순으로 선호하여 남녀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결과로 모든 연령 집단에서 이별에 관한 노래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연령이 낮은 집단일수록 사랑에 관한 노래를, 연령이 높은 집단일수록 인생에 관한 노래를 더 선호하였다. 거주 지역에 따른 결과로 7개 지역 모두 이별에 대한 노래를 선호하였다. 지역별로 울산과 대구는 향수에 대한 노래를 더 선호하였으며 인천은 이별과 사랑에 대한 노래를 더 선호하였다. 셋째, 노인들이 선호하는 노래로 수집된 432곡 중 상위 50곡을 선정하여 음악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노인들이 선호하는 노래를 이루는 음악적 구성요소는 정박리듬(239명, 53.8%), 4/4박자(238명, 52.8%), 장조(282명, 64.1%), 5음 음계로 이루어진 선율(185명, 41.0%), 약간 빠른 노래(266명, 59.0%), 4마디 단위 비형식곡(229명, 50.8%)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노인들이 선호하는 노래는 기존 노인 대상 음악치료에서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노래에 비해 개인의 성별, 연령, 지역에 따라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노인을 대상으로 음악 선정 시 성별, 연령, 지역 및 개인의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노인들의 음악치료 및 여가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 basic material of music therapy and music program for the elderly and their preferred song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he 1199 subjects are the over-65 age elderly who are living in 7 major cities (Seoul, Gwangju, Daegu, Daejeon, Busan, Ulsan, Incheon). 432 songs which were collected by the surv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re and theme and composed of cross-tabulations with both internal factor (age, gender) and external factor (residential district) using SPSS Version. Also top 50 of their favorite songs were analyzed by musical factors (rhythm, beat, melody key, melody progress, tempo, type). Firstly, the elderly people prefer trot (855, 71.3%) than other genres followed by folk (98, 8.2%), ballade (80, 6.7%), folk song (71, 5.9%), song (59, 4.9%). Both of men and women prefer trot. Especially men like more folk followed by folk song, ballade, song and women like more folk, ballade, song, folk song. They like more song, folk, ballade as they are less old. But they like more trot, folk song as they are older. Trot was most preferred in 7 major cities. However, it was 85.4% in Daejeon and 48.1% in Ulsan which means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regions. Secondly, the elderly people like most songs related to breakup (383, 31.9%) followed by love (293, 24.4%), life (280, 23.4%), homesickness (92, 7.7%), nature (57, 4.8%). Both of men and women prefer songs about breakup than others. Men like more life, love and women like more love, life which means that difference exists between genders. All age group like songs about breakup most. They like more songs about love as they belong to less old group and songs about life as they belong to older group. Songs related to breakup was most preferred in 7 major cities. Moreover, songs about homesickness were more chosen in Ulsan and Daegu. But songs about breakup and love were preferred in Incheon. Thirdly, top 50 among 432 favorite songs of the elderly were analyzed by musical factors. Those factors were steady rhythm (239, 53.8%), 4/4 beat (238, 52.8%), major key (282, 64.1%), pentatonic scale in melody (185, 41.0%), slightly fast songs (266, 59.0%) and non-typed songs of 4 measures structure (229, 50.8%). The songs collected for this study present diversity from personal gender, age and region so extensively as compared with existing songs of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which are limited. Accordingly gender, age, region and personal trait should be considered if the song for them is chose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ork can be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on music therapy and leisure programs for the elderly.

      • 지적장애성인의 자기표현 증진을 위한 노래 부르기 활동

        박진미 평택대학교 음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People get to make different choices for different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in their lives.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also have to make their own decisions and be able to express own feelings. However,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have difficulty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correctly in different circumstances because of their mental disability. For that reason, they show certain limitation in establishi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ey are socially isolated and wither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effective singing activities can be in expressing eelings for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This study conducted with a group of 4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at daycare center for disabled in Gyeonggi-Do, 12 sessions for 40 minutes. This study is formed in three stages, introduction (1-2sessions): building up positive correlations, development (3-10sessions): noticing self and expressing own feelings and thoughts towards others, and conclusion (11-12sessions): actively expressing own feelings. Every session started with hello song, singing activities for each session's objectives and ended with goodbye song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is music therapy program on improving self-expression of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collec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en compared with self-expression rating scale. In addition, whole 12 sessions were recorded and analyzed for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self-expression communication and eye-contac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fter comparing rating scale record of self-xpression pre and post the sessions, the average of subjects increased 13.5 points from 53 to 66.5. This shows that singing activities were effective on improving self-xpression. Second, the result showed positive effects on verbal expression. Frequency of proper verbal expression during the sessions relating self-expression increased while improper verbal expression decreased. Third, singing activities showed positive effective on non-verbal expression. the number of eye-contact during sessions increased from average of 4 to 8, which mean singing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expressing. As a result, this study indicates that singing activities ar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elf-expression of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and one of the most effective medium of music therapy.

      • 우울아동의 자기표현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사례연구

        김순화 평택대학교 음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improving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epress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activities on depressed children's self-expression in order to adapt social skills for homes, chools and other social environments. For this study, children of H elementary school in Cheon-an were tested with depression inventory, among them two students whose scores were 16points and above have been select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forty minutes, 10 group sessions and 10 individual session, total of 20sessions. The program was divided into 3 steps; first step, introduction, was to develop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 and the therapist and adjust into therapeutic environment, second step, development, was to express self-feelings and accept others' opinion, and the last step, conclusion, was to form healthy-self, through positive experience. Each session starts with hello song, then improvisation, song writing, movement activities were added according to the goal. At the end of each session, the children expressed the experience they had, then ended with good-bye song. Beck Depression Inventory were used to measure quantity of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on developing self-expression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done through behavior of the children during the session. The result shows that Music therapy program has strong effect on developing self-expression for depressed children who has social difficulties at homes, schools and socie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as described above, demonstrates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on self-expression improvement of depressed children.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using music therapy in schools which emphasis on whole-rounded education, can actually be strong means of consultation.

      • 판소리 창작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독거노인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관한 연구 : 성음을 중심으로

        김천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Self-efficiency is a necessary component to an essential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aged people who live alone and have to take care of themselves.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conducted Pansori creative music therapy programs as a way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for aged people living alone and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rograms. For this study, 6 aged people who were older than 65, were provided services offered by S Welfare Center for the aged located in Seoul, lived alone, had no record for recognition and physical problem and lived alone were selected and the total number of 12 Pansori creative programs were conducted 2 times a week for 6 weeks. Each time ran 50 minutes. The participants showed the average of 70.83 in the preliminary examination for self-efficacy and voluntarily agreed with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Pansonri creative programs consisted of 3 stages, self-efficacy scale (Kyung-min, Park, 1994) wa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n the self-efficacy for the participants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Wilcoxon test for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 scores and the averages for their self-efficacy with regard to subordinate areas. And,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the changes for each stage were described by observing their linguistic and musical expressions related to the self-efficacy based on recorded visual documents and the subordinate elements of self-efficacy were categorized and suggested based on operational definitions suggested by the researcher. In addition, the levels of their satisfaction for Pansori creative programs were examined by conducting post-interviews after the sections were cl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05) were observed since the average of self-efficacy scale increased by 15.84 from 70.83 to 86.67 after conducting Pansori creative programs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for aged people living alone. While comparing the pre and post scores for each subordinate element for their self-efficacy responding scale, every subordinate element increased in post scores since the average score in general self-efficacy increased from 28 ti 35.83, the average score of social self-efficacy increased from 16.67 to 20, and the average score in physical self-efficacy increased from 30.93 to 26.17. With regard to Wilcoxon test by composite numb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between general elements and social element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1) were observed only in social elements. In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sections, positive changes for an increase in the self-efficacy were observed an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for Pansori creative programs were found through post-interviews. Such results prove the fact that Pansori creative programs designed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are effective to increase a sense of self-efficacy for aged people living alone.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s Pansori creative programs are a practical interventive tool to help aged people living alone with low self-efficacy and suggests to perform further studies for the mediation effect in an increase of the self-efficacy for aged people living alone according to the curative roles of Pansori and to introduce Pansori's intervention ways. 자기효능 감은 자신을 스스로 돌봐야만 하는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필수구성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독거노인에게 자기효능 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접근 방법으로 성음(발성법)을 중심으로 과제 난이도의 점진적 상향을 제시한 판소리 창작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S 노인복지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독거노인 6명을 선정하고 이들에게 1회에 50분 분량의 판소리 창작 프로그램을 일주일에 두 번씩 6주 동안 실시하였다. 판소리 창작 프로그램은 총 3단계로 구성되었는데 본고는 이를 자기효능 감 척도(박경민, 1994)로 사용하였다. 자기효능 감의 하위영역별로 대상자들의 사전&#8228;사후 점수 결과와 평균에 대한 Wilcoxon 검정을 실시하고 이들을 비교&#8228;분석하였다. 그리고 내용분석을 위해 녹화한 비디오 자료를 바탕으로 대상자들의 일반적 자기효능 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8228;자기조절 효능 감&#8228;과제 난이도&#8228;성취감과 관련된 언어적&#8228;음악적 표현을 관찰하고 그 단계별 변화를 제시하였다. 또한 세션이 종결된 후에는 인터뷰를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판소리 창작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판소리 창작 프로그램 실시 이전과 이후에 측정한 대상자의 자기효능 감 척도의 평균점수가 70.83점에서 86.67점으로 15.84점 증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대상자들의 자기효능 감 반응척도에 대한 하위요인 별 사전&#8226;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일반적 요인의 평균 점수가 28점에서 35.83점으로 증가했고, 사회적 요인은 16.67점에서 20점으로 증가했으며, 신체적 요인은 26.17점에서 30.93점으로 증가해 모든 하위 요인의 평균 점수가 프로그램 실시 이전보다 이후에 증가하였다. 이에 대해 비 모 수 에 의한 Wilcoxon 검정 결과는 일반적 요인과 신체적 요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p<0.05), 사회적 요인은 증가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 내용 분석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 감의 구성요소인 자신감&#8228;자기조절효능 감&#8228;과제난이도&#8228;성취도에서 전반적인 증가추이를 보여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고, 사후 인터뷰를 통해서 판소리 창작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판소리 창작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자기효능 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해준다. 이에 향후에는 판소리의 치료적 특성에 따른 독거노인의 자기효능 감 증진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와 판소리의 치료적 중재 방안을 도입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