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대인관계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이은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과 갈등해결전략이 이들의 문제행동(내재화, 외현화)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과 문제행동 및 대인관계 간에 갈등해결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경남 마산, 창원, 김해 및 밀양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2, 3학년 20개 학급 700명을 임의표집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이들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정도에 부적인 영향을, 대인관계 정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을 통제하고 나서 양보와 회피 갈등해결전략은 내재화 문제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배 갈등해결전략은 외현화 문제행동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분화를 통제하고 나서 양보 갈등해결전략은 대인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협력/절충 갈등해결전략은 대인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와의 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 중 협력/절충 갈등해결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직접적으로 대인관계수준을 향상시키기도 하고, 친구와의 갈등장면에서 협력 및 절충 갈등해결전략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대인관계수준을 향상시키기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문제행동(내재화, 외현화)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관계에서 협력/절충 갈등해결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self-differentiation which was made to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friends of the teenagers by behavior problems, personal relations with self-differentiation. For thi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700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20 classes of 5 middle schools in Changwon, Masan, Kimhae and Miryang, Kyungsangnam-do. The research yield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adolescents' self-differentiat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to their behavior problems and positively influenced to their personal relations. Secondly, obliging and avoid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ere positively influenced to their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dominat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as positively influenced to thei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fter controlling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s. Thirdly, obliging strategy was negatively influenced to their personal relations, integrating-compromising strategy were positively influenced to the personal relations after controlling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s. Fourthly, integrating-compromising strategy of the teenagers were confirmed by mediation effe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personal relations. The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s directly improves the validity of personal relations and indirectly elevates the validity of personal relations through the integrating-compromis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In sum, this study showed that self-differentiation validity of adolescents influenced to the internalizing,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personal relations, integrating-compromis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turned out mediation effect from the self-differentiation of the adolescents.

      • 요양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직무만족 및 전문직자부심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남정 강릉원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요양병원 간호사의 역할 갈등, 직무만족 및 전문직자부심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직무만족 및 전문직자부심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충청권에 소재한 10개의 요양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로, 자료수집은 2018년 8월 1일부터 8월 20일까지 하였고, 총147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인지하는 역할갈등을 측정하기 위해 이은희 등(2013)이 개발한 간호사의 역할갈등 도구, 직무만족은 주관적 직무 만족도 점수로 0점에서 100점으로 그려진 Numeric Rating Scale (NRS)로 측정하였다. 전문직자부심은 이은희 등(2018)이 개발한 전문직자부심 도구를 이용하였고, 재직의도는 이은희 등(201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 총 147명 중 연령은 만50∼59세가 52명(35.4%)으로 가장 높았으며, 간호사 경력은 120~ 239개월 62명(42.2%), 요양병원 경력은 12∼59개월 56명(38.1%)으로 가장 높았으며, 교육정도는 전문대 졸업 간호사가 93명(63.3%)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역할갈등, 직무만족, 전문직자부심, 재직의도 정도는 역할갈등은 평균1.97점(4점 만점), 직무만족은 평균 69.39점(100점 만점), 전문직자부심은 평균2.93점(4점 만점), 재직의도는 평균2.62점(4점만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은 나이(F=2.750, p=.031), 요양병원경력(F=2.684, p=.049)과 간호사경력(F=3.015, p=.03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결과 240개월 경력간호사가 59개월 이하의 경력간호사보다 직무만족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나이와 요양병원경력은 사후검정 결과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문직자부심은 교육정도(F=3.130, p=.04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간호사가 4년제 대학 졸업 간호사보다 전문직자부심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재직의도 역시 교육정도(F=4.208, p=.017)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대학원 이상 간호사가 4년제 대학 졸업 간호사보다 재직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역할갈등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재직의도와 관련요인 간 상관 관계는 역할갈등과 전문직자부심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199, p=.016), 직무만족과 전문직자부심(r=.316, p<.001), 직무만족과 재직의도(r=.364 p<.001), 전문직자부심과 재직의도(r=.689,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재직의도에 대한 역할갈등, 직무만족, 전문직자부심의 설명력은 약 49.0% 이었으며,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직자부심(β=.63)과 직무만족(β=.21)으로 나타났으며, 역할갈등은 재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전문직자부심과 직무만족이었다. 이에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만족과 전문직 자부심을 높이는 것이 주요 전략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직자부심과 직무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인, 조직차원의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구체적인 실행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Pride on Retention Intention of Long Term Care Hospital Nurses Nam Jung Kim The Graduate School of Nurs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This is a cross sectional research conducted to determine the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 pride and retention intention were perceived by nurses in the long term care hospitals and to explore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retention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147 nurses, who are employed across 10 long 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in South Korea, who gave their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study, from 1 to 20 August, 2018.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including role conflict(Lee et al, 2013), subjective job satisfaction(NRS), retention intention(Lee et al, 2014) and professional pride(Lee et al, 2018) were used. Using SPSS WIN 23.0 program,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Key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otal 147 nurses participated in research. All of them were women, and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47.35years(±10.09). The average long term care hospital experience was 64.06(±50.66)month, and the average total clinical experience was 170.12(±98.99)month 2. The role conflict perceived by the subjects was 1.97(±0.37). The job satisfaction 69.39(±13.61), The prfessional pride 2.93(±0.31), The retention intention 2.62(±0.30).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job satisfa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age(F=2.750, p=.031) and long term care hospital experience(F=2.684, p=.049),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F=3.015, p=.03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al pride in education(F=3.130, p=.047).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tention intention in education(F=4.208, p=.017). 4. In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 pride and retention intentio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pride(r=.316, p<.001),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r=.364 p<.001), and professional pride and retention intention(r=.689, p<.001). But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ole conflict and professional pride(r=-.199, p=.016). Retention Intention showe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job satisfaction(r=.364 p<.001), and professional pride(r=.689, p<.001). 5. Factors affecting to retention of intention among nurses in the long term care hospitals were professional pride(β=.63, p<.001), and job satisfaction(β=.21, p=.001), which a total of variance explained was 49.0%.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pride had positive correlation significantly and very important affecting factors for the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in the long term care hospital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crucial to exert efforts to improved professional pride and job satisfaction in the workplace to increase the retention intention of the nurse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ystematic and practical programs a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and to develop specific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increased of retention intention. Key words: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 Pride, Retention Intention

      • 한의치료를 받은 산모의 산후 6주간 증상에 대한 전향적 관찰 연구

        김평화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한의치료를 받은 산모의 산후 6주간 증상에 대한 전향적 관찰 연구 김평화 우석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한의학전공 지도교수: 이은희 목적 : 산후 6주 동안의 증상을 수집하고, 체중, 부종 지수 및 삶의 질을 측정하여 산모의 증상 변화 및 삶의 질 변화를 전향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6년 5월 20일부터 2016년 8월 5일까지 분만 후 우석대학교부속한방병원 한방부인과 외래에서 한의치료를 받은 31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산후 6주간의 증상 관찰 연구를 전향적으로 실시하였다. 산욕 초기 2주 동안은 한의치료와함께 증상을 문진하고, 문진 전·후 산모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s) 을 참고하는 방법을 통해 호소 증상을 관찰하였다. 산후 3주차부터 6주차까지의경과 관찰은 특별한 치료 없이 일주일에 1회 전화 통화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체중, 부종지수 ECW/TBW 및 삶의 질 평가도구 EQ-VAS를 측정하여 한의치료 전후의 평균값을 비교 하였다. EQ-VAS는 산후 6주차에 한번 더 측정하여 산후 2주차의 평균값과 전후 비교 하였다. 연구 완료 시점에는 설문을 통해 한의치료를 통한 산후관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욕기 6주 동안 산모가 호소한 증상들의 평균 발생빈도수는 약 35.61회였다. 총 발생빈도수의 비율은 근골격계 44.11 %, 순환기계 21.65 %, 생식기계13.95 %, 기타 증상 7.34 %, 신경정신계 4.98 %, 소화기계 4.53 %, 비뇨기계 2.72%, 호흡기계 0.91 % 순으로 나타났다. 2. 산욕기 전 기간에 걸쳐 평균 발생빈도수 1.0회 이상이었던 다빈도 증상 11가지는 상지관절통, 부종, 요통(골반통 포함), 경항부통, 유방증상, 하지관절통, 발한, 대변관련증상(변비, 설사, 치질 포함), 절개부위통, 피부질환, 수면장애 순이었다. 3. 출산 후 첫 1주간의 11가지 다빈도 증상 중 산모가 가장 호소를 많이 호소한 증상은 부종으로 발생빈도수의 비율이 30.41 % 였다. 4. 출산 후 2주차의 1가지 다빈도 증상 중 산모가 가장 많이 호소 한 증상은 상지관절통으로 발생빈도수의 비율이 18.83 % 이었고, 그 다음이 요통(골반통 포함) 17.53 %, 부종 17.21 %, 경항부통 16.56 % 순이며, 나머지 증상의 비율은 10% 미만이었다. 5. 출산 후 3주차에는 상지관절통이 총 발생빈도수의 비율 22.54 %, 4주차에는 발한과다 17.46 %, 5주차에는 상지관절통 22.58 %, 6주차에는 상지관절통 20.55 %로, 산모가 가장 호소를 많이 하였다. 6. 산후 2주 간 체중 변화는 평균 66.33±9.30 kg에서 62.60±8.92 kg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1), 부종지수 ECW/TBW도 평균 0.399±0.010에서 0.385±0.00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7. EQ-VAS는 산모가 본 연구에 서면 동의한 당일 평균 61.77±17.72에서 산후 2주차에 평균 73.51±14.6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산후 6주차의 EQ-VAS는 평균 73.63±13.35로 산후 2주차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p=0.749). 8. 연구 완료 시점에 한의치료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 60 %(18명)가 ‘매우 긍정적’, 40 %(12명)가 ‘약간 긍정적’이었으며, ‘보통’, ‘약간 부정적’, ‘매우 부정적’이라고 답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 산후 6주에 걸쳐 근골격계 증상이 가장 다빈도로 나타나며, 산후 첫 2주동안에는 부종이 가장 두드러지는 증상이지만, 출산 후 2주가 지나면 부종 지수가 정상 범위로 회복된다. 또한, 산욕 초기 증상에 대한 적극적인 한의치료는 산모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n Symptoms of the Postpartum Women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during Six Weeks after Childbirth Kim Pyungwha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Advisor: Prof. Lee Eunhee, KMD, PhD.)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women's postpartum symptoms, including their weights, edema index and quality of life (QOL) over the first six weeks after childbirth.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1 postpartum women treated in the Dept. of Obstetrics & Gynecology, at Woosuk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May 20th to August 5th, 2016. In the first 2 weeks of the postpartum period,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 was to interview each patient, who treated by Korean medicine, and write down all of their complaints, and additionally referring to each participant's PHR(Personal Health Records). To collect data at the 3rd, 4th, 5th and 6th week after childbirth, the researcher interviewed participants by phone once a week. The researcher measured the participants' weight, edema index ECW/TBW and the quality of life (by EQ-VAS) at 1st and 2nd week after childbirth, and compared the valu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And, EQ-VAS was assessed once more at the 6th week after childbirth and compared with the value at the 2nd week. When their participation was completed,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a survey on satisfaction regarding their postpartum care with Korean Medicine. Results: 1. Over the entire postpartum period, the incidence of postpartum symptoms that participants complained about was 1104 and mean value was 35.61. The ratio of incidences were: musculoskeletal symptoms 44.11 %, circulatory system 21.65 %, genital system 13.95 %, neuropsychiatric system 4.98 %, digestive symptoms 4.53 %, urinary system 2.72 %, respiratory system 0.91 % and other symptoms 7.34 %. 2. Over the postpartum period, 11 major symptoms, of which the incidence mean value was more than 1.0, were: joint pain of the upper limbs, edema, lower back pain (including pelvic pain), neck pain, symptoms of breast, joint pain of the lower limbs, sweating, constipation (including hemorrhoids, diarrhea), perineal incision pain (or C/S site pain), dermatological symptoms and sleep disorders. 3. In the 1st one week after childbirth, edema was the most frequent complaint and its ratio of incidence was 30.41 %. 4. In the 2nd one week after childbirth, the most frequent complaints were about joint pain of the upper limbs and its ratio of incidence was 18.73 %, followed by lower back pain (17.53 %), edema (17.21 %) and neck pain (16.56 %). 5. The most frequent complaint in the 3rd week after childbirth was about joint pain of the upper limbs. In the 4th week, it was about sweating and in 5th and 6th weeks, it was about joint pain of the upper limbs. 6. In the first 2 weeks of the postpartum period, the weight of the participants decreased from 66.33±9.30 kg to 62.60±8.92 kg(p<0.001) and the edema index ECW/TBW decreased from 0.399±0.010 to 0.385±0.004 (p<0.001). 7. In the first 2 weeks of the postpartum period, the EQ-VAS of participant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61.77±17.72 to 73.51±14.67 (p<0.001). In the last 4-weeks of the postpartum period, the EQ-VAS decreased from 74.30±14.25 to 73.63±13.35,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749). 8. Regarding the satisfaction with postpartum care with Korean Medicine, 60 %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it was 'Excellent' and 40 % said it was 'Good'. Conclusion: Over the entire postpartum period, the most frequent complaints were about musculoskeletal symptoms. In the first two weeks after childbirth, edema was the most frequent complaint, but from 3rd week after childbirth, the edema index ECW/TBW was back to normal range. Postpartum care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mproves various postpartum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for postpartum women.

      • 산모의 한약 복용이 모유에 미치는 영향 : HPLC와 LC/MS/MS를 이용한 생화탕 지표성분 분석

        박가영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Abstract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Breastfeeding -Analysis of Marker Substances in Saenghwatang by HPLC and LC/MS/MS- Park Kayoung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Lee Eunhee, KMD, PhD.) Background: Breastfeeding is an ideal way to provide nutritive substances to help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cases of early cessation due to maternal medication, in spite of the continuous increase of breastfeeding mother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aternal medication on breast milk. Although Saenghwatang has been known to treat many postpartum diseases, researches of its effect on breast milk are very few. Purpose: We took breast milk samples and analyzed them using HPLC and LC/MS/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aking Saenghwatang during breastfeeding on breast milk.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0 lactating women who admitted in postpartum care center in Korean Hospital of Woosuk University. Breast milks were collected from paticipants who have been administrated Saenghwatang for more than 3 days. We used HPLC and LC/MS/MS for the determinations of amygdalin, liquiritins, 6-gingerol,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in Saenghwatang. Results: 1. Participants' Mean±S.D(standard deviation) of age is 31.05 ± 1.96, and 15 participants had normal delivery and 5 participants had cesarean delivery. 12 participants were primipara and 8 participants were multipara. Mean±S.D(standard deviation) of lactating date is 9.4 ± 0.94. 2. Using HPLC, we learned LOQ level peak that matches the peak retention time of standard components of Saenghwatang was not detected from 20 breast milk samples. 3. Using LC/MS/MS, decursin of Angelicae Gigantis Radix was detected from HMSP 02, HMSP 04, HMSP 06, HMSP 11, and the each concentrations are 16, 2, 64, 11 ppb. Liquiritin of Glycyrrhizae Radix was not detected from HMSP 13~HMSP 18. Conclusion: Data obtained by this approach shows that this method is reliable and suitable for determining the safety of taking Saenghwatang during breastfeeding. 국문초록 산모의 한약 복용이 모유에 미치는 영향 -HPLC와 LC/MS/MS를 이용한 생화탕 지표성분 분석- 박가영 우석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한방부인과) 지도교수: 이은희 Background: 모유수유는 영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이상적인 영양공급원이다. 모유수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모유수유시 복용하는 약물 때문에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경우도 많으며, 모유수유 중 복용한 약물이 모유로 이동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생화탕(生化湯)은《傅靑主女科․産後篇․産後諸症治法》에 기재된 처방으로 산후 병증의 치료에 많이 활용되는 대표적인 처방임에도 불구하고, 모유수유 중 복용시 모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Purpose: 모유수유 중 생화탕 가감방의 복용이 모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모유를 채취하여 HPLC와 LC/MS/MS를 이용하여 생화탕의 지표물질을 분석하였다. Methods: 출산 후 생화탕 가감방을 3일 이상 7일 이내의 기간 동안 복용하고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하여 모유를 채취하였고, 생화탕의 지표물질로 amygdalin, liquiritin, 6-gingerol,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를 선정하여 HPLC와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Results: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 참여한 산모의 평균 연령은 31.05 ± 1.96세이며, 자연분만이 15명, 제왕절개분만이 5명이었고, 초산부는 12명, 경산부는 8명이었다. 대상 산모의 모유 채취는 분만일로부터 9.4 ± 0.94일에 이루어졌다. 2. HPLC 분석 결과, 20개의 모유 시료 중 생화탕의 해당 표준 성분의 peak retention time과 일치하는 LOQ (limit of quantitation) 수준의 peak는 검출되지 않았다. 3. LC/MS/MS 분석 결과, 당귀의 decursin은 HMSP 02, HMSP 04, HMSP 06, HMSP 11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는 각각 16, 2, 64, 11 ppb였다. 감초의 liquiritin은 HMSP 13~HMSP 18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Conclusion: HPLC와 LC/MS/MS를 이용한 생화탕 지표성분 분석은 모유수유 중 생화탕 복용의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데 의의가 있다.

      • 가정과교사의 문화다양성, 다문화교육과 다문화효능감에 대한 인식

        시세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fficacy and to provide an efficient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fu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160 home economics teachers were participated to answer survey questionnaires. To analyze the data, SPSS 19.0 for Windows were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χ2-tes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to investigate, to analyze the factors of cultural diversity and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Four dimensions of cultural diversity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equality beliefs, implement diversity, value of diversity, comfort with diversity. As for their awareness about cultural diversity, it was in the order of equality beliefs, followed by implement diversity, value of diversity, and comfort with diversity. Th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gard to cultural diversity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s for the ability to view different equality beliefs, age 40 was highly recognized teacher. Furthermore, Jeonbuk area teachers working outside the equality beliefs, implement diversity, value of diversity was recognized. Equality beliefs and implement diversity ??of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in the highly recognized with the teacher was the teacher certificat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 equality beliefs, value of diversity, comfort with diversity ??were higher i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s needed, equality beliefs, implement diversity, comfort with diversity. Second, the paper classified the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nto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nd necessity, educational goal, methodology, subject, problems, and revitalization; and examined demographical differences. Teachers surveyed by the middle of the map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d experienced, most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did not atte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were also less experienced. Jeonbuk multicultural teacher working in the area of the child's learning experience, and there were many, age 40 teachers and teachers working in Jeonbuk Provinc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in addition to experience that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hown. 98.1% were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eded,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necessary reasons of race, gender, social status and equality for all, regardless of what that learned was the highest. Home economics teacher to recognize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ed care, human relations, assimilation, and social behavior in order. Has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in the teacher education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highly recognized all the parts, age 40 assimilation for more teachers, teachers working in Jeonbuk Province in addition to social behavior, in addition to working , Jeonbuk Province certified in the more than 1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and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centered care was highly recognized educational goals. The integrated form of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s and certain forms of the two factors showed a little more highly integrated form was recognized The integrated form of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s and certain forms of the two factors showed a little more highly integrated form was recognized. Besides working Jeonbuk area teachers, the teacher certification through the College of Education, in co-ed teacher who works, a teacher with more than 1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a multicultural way of integrating form and found that the more highly recognized. In addition,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social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two factors, social factors were a little higher. Jeonbuk area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who works in addition to the problems of social factors was highly recognized. Revit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cultural diversity awareness in the community for the transition effort was the most highly recognized. Third,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fficacy, to investigate, to analyze the factors of multicultural efficacy and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ree dimensions of multicultural efficacy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promotion of human relations aspects, teaching functional aspects, general functional aspects. As for their awareness about multicultural efficacy, it was in the order of promotion of human relations aspects, followed by teaching functional aspects, general functional aspects. Also, depending on experience and training working area of multicultural efficac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Jeonbuk area to live and work in addition to trai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in multicultural higher efficacy. In conclusion, by focusing on home economics teachers, the paper looked at the perception of teachers'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paper recommends that future studies would focus on developing a yardstick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are proved, and comparing other variabl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different angles. Above all,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re must be more systematic studies on school field education and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revitaliz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future of cultural diversity, multicultural awareness about high home teacher efficacy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more efficient to conduct a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in terms of re-training of the teachers is that there should be.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 다문화교육과 다문화효능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가정과 교사교육과 교사연수에 교육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기간은 2013년 1월 7일부터 1월 25일까지 3주 동안 전국 가정과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으로 조사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자료는 SPSS 19.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χ2 검증, 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Duncan의 다중비교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문화다양성의 요인을 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먼저 문화다양성은 문화형평성, 다문화 적용, 다양성 가치, 다양성 인식의 4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동등한 활동을 제공하는 문화형평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다음으로 다양성 적용, 다양성 가치, 다양성 인식 순으로 인식하였다.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문화다양성 중 다양성 적용에서는 40대 교사가 높게 인식하였다. 근무지역에 따라 전북지역 외의 교사가 전북지역의 교사보다 문화형평성, 다양성 적용, 다양성 가치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문화형평성과 다양성 적용에서 1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높게 인식하였다. 사범대학에서 자격증을 취득한 교사가 비사범대학에서 자격증을 취득한 교사보다 문화형평성, 다양성 가치, 다양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는 교사가 필요하지 않다는 교사보다 문화형평성, 다양성 적용, 다양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다문화교육을 다문화교육의 경험 ? 필요성 ? 목표 ? 방법 ? 문제점 ? 활성화 방안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다문화가정의 자녀 지도 경험이 있는 경우는 중간수준이었고, 대부분 재학 중 다문화교육을 수강하지 않았으며,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의 교사가 상대적으로 다문화가정의 자녀 지도 경험이 많았으며, 40대 교사와 전북지역 외에 근무하는 교사가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의 98.1%는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필요한 이유로 문화다양성 측면에서 인종, 성별, 사회적 지위와 상관없이 모두 평등함을 알게 해줌을 가장 높게 들었다. 조사대상자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의 목표는 배려중심, 인간관계, 동화주의, 사회적 행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15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지니고 있는 교사는 다문화교육의 목표 모든 부분을 높게 인식하였고, 40대 이상의 교사는 동화주의를, 전북지역 외에 근무하는 교사는 사회적 행동을, 전북지역 외에 근무하거나 사범대학에서 자격증을 취득하고 교육경력이 15년 이상인 교사와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는 교사는 배려중심의 교육목표에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다문화교육의 방법은 통합형태와 특정형태의 2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통합형태를 조금 더 높게 인식하였다. 전북지역 외에 근무하는 교사, 사범대학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한 교사, 남녀공학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15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진 교사가 다문화교육의 방법에서 통합형태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조사대상자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사회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의 2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사회적 요인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전북지역 외에 근무하는 교사가 전북지역의 교사보다 사회적 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문화다양성 사회에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한 노력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다문화효능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다문화효능감의 요인을 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다문화효능감은 인간관계 증진 측면, 수업 기능적 측면, 일반 기능적 측면의 3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는 인간관계 증진 측면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다음으로 수업 기능적 측면, 일반 기능적 측면 순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근무지역과 연수 경험에 따라 다문화효능감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전북지역 외에 거주하고 근무하는 교사와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의 다문화효능감에 대한 인식이 일반 기능적 측면, 수업 기능적 측면, 인간관계 증진 측면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 다문화교육과 다문화효능감에 대한 인식을 밝혀 보았으며, 이와 관련하여 앞으로 문화다양성, 다문화효능감에 대한 인식이 높은 가정과교사가 교육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다문화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전국적으로 체계적인 교사양성교육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 재교육적 측면에서의 교사연수가 필요하다고 본다.

      •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방어효능감의 매개역할 : 피해자 방어 청소년을 대상으로

        박선옥 경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중등학교 학생의 또래 괴롭힘 방어자 청소년의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괴롭힘 방어자 청소년의 방어행동에 자아존중감과 방어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경남 김해시와 밀양시의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재학중인 남녀청소년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설문 응답자 1083명중 또래괴롭힘 방어자의 비율은 전체의 25.7%인 278명으로 또래괴롭힘 참여자 유형중 가장 많았고, 방관자의 비율이 21.1%, 피해자 13.4%, 가해자 12.6%, 동조자 13.4%였다. 응답자 중 또래 괴롭힘 방어자로 판정된 278명에 대해 부모의 양육유형, 자아존중감, 방어효능감, 방어행동의 변인간 관계를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방어효능감과 방어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방어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자아존중감과 방어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애정적 양육과 방어행동 간에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민주적 양육과 방어행동 간에 방어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애정적 양육과 방어행동 간에 자존감과 방어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방어자의 괴롭힘 방어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애정적이고 민주적인 양육에 초점을 맞춘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부모의 애정적이고 민주적인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방어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식으로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on the defensive behaviors of peer bullying defensively adolescents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and defense efficacy in these relations.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1,200 boys and girls who attended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in Gimhae City and Miryang City in Gyeongnam Province. Among the 1083 respondents in the survey, the proportion of the peer-to-peer defenders was 278,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he peer bullying participants. The ratio of the bystanders was 21.1%, victims 13.4%, abusers 12.6%, and sympathizers 13.4%.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the parental parenting type, self-esteem, defense efficacy, and defensive behavior of 278 people who were identified as peer bullying defender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ffectional paren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but not on defense efficacy and defensive behavior. Second, parental democratic rearing attitude has a positive effect on defense efficacy but not on self-esteem and defensive behavior. Third, self-esteem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affectionate parenting and defensive behavior. Fourth, defense 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al democratic upbringing and defensive behavior. Fifth, double-mediated effects of self-esteem and defense efficacy between parental affectionate parenting and defensive behaviors appeared.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 education that focuses on the affectionate and democratic upbringing of parents is necessary to enhance the bullying defense behavior of peer bullying defenders. It is also important that parents' affectionate and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s increase peer bullying behavior in a way that promotes self-esteem and defense efficacy of adolescents.

      • 학교폭력 방관자 하위유형 탐색: 공감, 자기효능감, 불안, 동조성, 초기부적응도식을 중심으로

        정지윤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방관자 집단을 공감, 자기효능감, 불안, 동조성, 초기부적응도식의 유사성에 따라 방관자 집단이 하위유형으로 구분이 가능한지 알아보고 도출된 하위 유형 간에 가해동조행동 및 방어행동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경남 창원시와 진주시에 소재한 5개 초·중학교 818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방관자로 분류된 179명의 자료만을 가지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참여자 역할 분포는 방어자 28.4%, 방관자 26.8%, 가해동조자 19.9%, 가해자 13.8%, 피해자 11.2%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 방관자 집단을 군집분석 한 결과, 자신과 세상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불안정한 정서를 가지고 있는 ‘부정적이고 불안한 방관자’와 자기 효능감이 높고 타인의 입장을 잘 헤아릴 줄 아는 ‘자신감 있고 안정적인 방관자’와 공감능력이 낮고 자신감이 없으며 타인을 위해 희생하지 않는 ‘소심하고 무관심한 방관자’로 나눌 수 있었다. 셋째, 학교폭력 방관자 하위 유형 간에 가해동조행동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방어행동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방관자 집단을 하위유형으로 나누어보고 각 하위집단 유형 간의 가해동조행동과 방어행동 수준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bystanders in school bullying can be clustered into subtypes according to empathy, self-efficacy, anxiety, conformity and maladaptive schemas, and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llying assistant behaviors and defending behaviors across subtypes. Participants were 818 students from 2 elementary school and 3 middle schools in Changwon and Jinju City. Among them, 179 bystanders in school bullying were selected. First the distribution map of students who are involved in school bulling is 28.4% of defenders, 26.8% of bystanders, 19.9% of bully assistants, 13.8% of bullies and 11.2% of victims. Second, the cluster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3types of bystanders. One is negative and anxious bystanders who are negative and anxious about themselves and the society. Another is confident and stable bystanders who are self-efficient and understanding. And the third is timid and indifferent bystanders who are unsensitive, have low self-esteem and don’t make any sacrifices for others. Anova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defending behaviors and non-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bullying assistant behaviors among three subtypes. In this study by classifying the group of bystanders into subtypes and finding out the differences between bullying assistant behaviors and defending behaviors we will be able to prevent school bullying.

      • 외국인 대학생의 말하기 준비 단계를 위한 대화일지 활용 방안 연구

        최수현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고는 외국인 대학생의 사고표현 말하기 능력을 높이기 위해 대화일지를 활용한 말하기 준비 단계 활동 구성 방안을 연구하였다. 대화일지 활동을 구성하기 위한 배경이론으로 ‘말하기’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중점을 두는 말하기 유형인 '의식적 말하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의식적 말하기’는 사고과정을 의식적으로 수행하는 말하기 유형이다. 이러한 의식적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말하기의 ‘사고과정’을 알아보았다. 또한 말하기 사고과정에서 도움을 주는 말하기 준비 활동에 관한 이론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말하기 준비 활동’으로 활용할 ‘대화일지’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영어교육에서 제시한 대화일지의 특징과 형식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대화일지가 말하기 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근거로써 ‘대화일지가 말하기에 주는 효과’와 ‘쓰기가 말하기에 주는 효과’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외국인 대학생의 말하기 준비 과정 활동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외국인 대학생의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말하기 능력을 키우기 위한 방안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외국인 대학생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의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대학 입학 기준에서 요구하는 한국어 능력에 비해 실제 대학에서 학업을 성취하기 위해 더 높은 언어 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앞서 제시한 ‘배경 이론’과 외국인 대학생의 ‘교육 현황’을 바탕으로 실제 대화일지 활동을 구성하였다. 학습자의 사고를 확장하고 내용을 한국어로 표현할 수 있는 형식을 제시하였다.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대화일지 활용 내용으로 ‘자기 성찰적 표현 능력’, ‘발표 및 토론 말하기 능력’, ‘전공 지식관련 말하기 능력’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질문을 선정하여 대화일지를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화일지의 한 주 모형을 시행해 본 샘플을 첨부하고 대화일지 활동을 수행한 외국인 대학생과 한국인 대학생의 의견을 정리하였다. 5장에서는 본고의 연구에 대한 요약과 제한점으로 마무리하였다

      • 훔퍼딩크(E. Humperdinck) 오페라 “헨젤과 그레텔(H?nsel und Gretel)”의 사실주의적 표현법 연구 : 서곡과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이성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amines Humperdink’s fairy tale(Märchenoper) opera 《Hänsel und Gretel》 with a focus on realistic expression of overture, main melodies of characters and Witch's (Knusperhexe) characters. Even though the fairy tale opera is primarily written for young children with a basis on German traditional folktale and familiar stories, the opera not only contains a purity of a fairy tale but also the weighted energy of Wagner’s style since Humperdink was heavily influenced by his music. Also, this opera features many realistic expressions in each character’s personality development and in the way the story unfolds. Humperdink clearly wanted to satire the societal atmosphere through this opera in the form of realism which was prevalent in Europe during this period. This opera marked a breakthrough of German opera which has been in prolonged depression since Wagner. Prior to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masterpiece, I examine Hunperdink’s life, his musical style, background behind creation of the opera, a story of the opera, as well as understanding each characters of this opera. Secondly,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each character’s main melody to find the psychology and personality of each character. Lastly,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stic expressions of the Witch character’s thru the musical structure, melody and vocal expression function. As a result, overture of each act expresses character’s conditions in each scene and effectively implies how the story will unfold thru musical materials such as rhythm, melody, harmony and text. Humperdink uses realistic technique and chromatic scale in creating this realism opera which was the predominant form of opera during this time. Under the influence of Wagner's style, he uses Leitmotiv, which has motive 1, 2, 3 to make this fairy tale opera easier to understand. The Witch character is an effective tool which Humperdink applies for his realism opera. 《Hänsel und Gretel》 is a fine example that is ever more valid in this day and age where only a fine, ambiguous line exists between good and evil, truth and lies." I sincerely wish for this thesis to contribute to the academia as well as to those who simply wants to enjoy the masterpiece, 《Hänsel und Gretel》. Moreover, I wish to see many more succeeding thesis on 《Hänsel und Gretel》 and other operas, international and domes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