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박선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ociety we live in is an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IT new technologies are changing our lives and industries as a whole. Beyond replacing simple repetitive tasks of humans, digital technology is affecting the legal and medical circles regardless of scope. As a result, software education has become important to nurture talented people who can create new values by utilizing digital, which is not replaced by digital.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China, and Japan, which are leading the software sector worldwide, have included software education in their national curriculum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talent training. Korea has also conducted software education since 2019, with fifth to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first to third graders in middle school operating compulsory education as elective courses for first to third graders in high school. However,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n the current status of software education or development, especially the lack of investigation into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are education policy implementers. In addition, software education is a new curriculum that has not existed before, so there is a lack of related research despite the importance of practicing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substantial teacher training. In respon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ed, problems, and perceptions of software education, which includes teacher training due to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oftware education and the specificity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irst, what is the need for software educ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what is the status and problem of software educ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rd, what is the improvement plan for software educ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leading software education schools across the country, analyzed data through t-test and one-way ANOVA, and additional Sheffe's post-hoc analysis was conducted. To summarize the results for the research problem derived from such a process, the following is shown below. First, the need for softwar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both positive. It was confirmed that all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are highly aware of the need for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and that they agree on the school site that education is essential for this era. Second, the problems of softwar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emerged in various ways. First of all, as for the problems of software education, it was recognized that software education was norm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standards of achievement, but was less effective, indicating that there was a high level of dissatisfaction at the site. The lack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insufficiency, lack of consultation on the direction of classes for the same school/same year, and lack of promotion of subjects for teachers gained high consent. On the problem of software education teacher training, it was recognized that software education teacher training was not operated in accordance with government guidelines and was not effective. The main hindrance to the effectiveness of software education teacher training was the highest gap between training tools and actual teaching tools, followed by a lack of methodological training and training biased toward coding education. Although the perception of softwar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may differ significantly by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all of them are found to have high common understandings with similar scores on average. Third, the improvement of softwar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in line with the aforementioned problems. The expansion of classroom facilities was the most agreed as a way to improve software education, followed by the need for a level-by-level curriculum that considered children's competency differences. However, the second-highest level of disruption in class was found to be below the overall average of improvement measures. This is a major hindrance to classes, but it is interpreted to avoid situations that could lead to conflicts in the same school/year. Improvements in softwar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have also been linked to solving problems. The methodological training center gained the highest consent, followed by the sum of training and real field teaching tools. In addition, training centered on unplugged education, which is opposed to coding training, also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teacher training with high consent. Softwar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but all recognized the lower limit as being similar to the average. Policy suggestions based on research results and suggestions on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national policy support is needed to raise the need for software education and improve problems. While there is a high interest in and need for software education as a key element of school reform or future education, support for the enactment of class-based laws, expansion of the city, infrastructure and teacher training is still insufficient. Unit schools shall systematically support teachers to participate in various training programs to recognize the need for software education and enhance their expertise. Based on the institutional support of these schools, teachers should demonstrate collective intelligence such as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software education by creating a forum for discussion and consultation with teachers in the same school and grade. Third, primary school teacher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eacher training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oftware education. This is because it is a software educ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education, so the curriculum of the class may vary depending on the understanding of the understanding.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re diverse approaches are needed to target and research areas for elementary school software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eachers, but there are also various implementers of software education policies, including principals, parents, and students. When conducting research on different subjects, it may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s on necessity, current status and problems, and recognition of improvement measures.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examine the necessity, status, problems, and improvement of software education in various ways. Although this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studies on teachers'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oftware education, interviews and interviews of qualitative studies may be appropriate to identify key factors in the school's climate, such as teachers' perceptions and relationships in unit schools. 우리가 사는 사회는 디지털 전환의 시대로 IT 신기술이 우리 삶과 산업 전반을 송두리째 바꾸며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디지털 기술이 인간의 단순 반복업무를 대체하는 것을 넘어서서 법조계, 의료계까지 영역을 가리지 않고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디지털에 대체되지 않는, 디지털을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소프트웨어교육이 중요해졌다. 세계적으로 소프트웨어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주요 국가 미국, 영국, 중국, 일본 등은 국가 발전과 인재 양성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에 소프트웨어교육을 포함시켰다. 우리나라 또한 2019년부터 소프트웨어교육을 실시하여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3학년은 의무교육으로, 고등학교1~3학년 선택과목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현황 점검이나 발전에 관한 논의가 부족하고, 특히 교육정책 실행자인 교사의 인식에 대한 조사가 미흡하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또한, 소프트웨어교육은 이전에 없던 새로운 교육과정이기 때문에 내실있는 교원연수를 통한 교수·학습 실천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교육 특성과 초등학교 교육의 특수성의 이유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으로 교원연수까지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교육의 필요성, 문제점, 인식을 조사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소프트웨어교육의 필요성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소프트웨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은 어떠한가?’이다. 전국의 소프트웨어교육 선도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Scheffe’s post-hoc analysis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소프트웨어교육과 교원연수의 필요성은 모두 긍정적이었다. 교사의 모든 배경 변인이 교육과 교원연수의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어 이 시대에 꼭 필요한 교육임을 학교 현장에서 동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소프트웨어교육과 교원연수의 문제점은 다양한 방면에서 나타났다. 먼저 소프트웨어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소프트웨어교육이 정부의 성취기준에 따라 보통으로 운영되지만 효과성은 낮다고 인식하여 현장의 불만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낮은 효과성을 야기하는 교육 저해요인으로는 수업 시설 미비 및 불충분과 동학교/동학년의 수업 방향 협의 부족, 교원 대상 과목 홍보 부족이 높은 동의를 얻었다. 소프트웨어교육 교원연수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소프트웨어교육 교원연수가 정부 지침에 따라 운영되지 않으며 이에 효과성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소프트웨어교육 교원연수 효과성의 주요 저해요인으로 연수도구와 실제 수업 도구의 괴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방법론적 연수 부족, 코딩교육에 치우친 연수가 뒤를 이었다. 소프트웨어교육과 교원연수의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은 교사 배경 변인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모두 평균에 비슷한 점수로 공통적으로 저해요인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소프트웨어교육과 교원연수의 개선방안은 앞서 언급한 문제점과 일맥상통하였다. 소프트웨어교육 개선방안으로 수업 시설 확충이 가장 많은 동의를 얻었고, 아이들의 역량 차이가 고려된 수준별 교육과정 필요가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두 번째로 높은 수업 저해요인이었던 동학교/학년 교원들의 수업 방향 협의는 개선방안 전체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의 주요 저해 요인이지만 동학교/학년 갈등을 생길 수 있는 상황을 피하려 것으로 해석된다. 소프트웨어교육 교원연수의 개선방안 또한 문제점의 해결과 맥을 이었다. 방법론적 연수 중심이 가장 높은 동의를 얻었으며, 다음으로는 연수와 실제 현장 수업 도구의 합이 뒤를 이었다. 또한 코딩교육과 반대되는 언플러그드 교육 중심의 연수 또한 높은 동의를 얻어 향후 교원연수의 방향을 시사한다. 소프트웨어교육과 교원연수 또한 교사의 배경 변인 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기도 하였지만, 모두 평균과 비슷한 값으로 저해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한 정책적 제언 및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필요성 제고와 문제점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학교개혁이나 미래교육의 핵심요소로서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은 높지만, 수업 근거 법령 제정, 시수 확대, 인프라 및 교원연수 등에 대한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다. 단위학교는 교사들로 하여금 다양한 연수에 참여하여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전문성 제고를 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교사는 이러한 학교의 제도적 지원을 바탕으로 교원학습공동체와 같은 집단지성을 발휘하며 동학교/동학년 교사와 소프트웨어교육 수업에 대한 논의와 협의를 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소프트웨어교육의 효과성을 도모해야한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소프트웨어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적극적으로 교원연수에 참여야한다. 전문교과의 특성을 가진 소프트웨어교육이기 때문에 교사의 이해도에 따라서 학급 교육 과정이 상이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을 기반으로 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접근 대상 및 연구 영역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이 외에도 소프트웨어교육 정책 실행자는 학교장, 학부모, 학생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있다. 대상을 달리 하여 연구를 진행할 경우 필요성, 현황 및 문제점, 개선방안 인식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방법으로 소프트웨어교육의 필요성, 현황 및 문제점, 개선방안을 살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양적연구로 진행하였지만, 교사의 인식 내면과 단위학교 내 관계 등 학교 풍토에 있는 핵심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선 질적연구의 면담, 인터뷰등이 적절할 수 있다.

      • 대학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행정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중심으로

        윤성중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급격한 환경 변화와 내·외부 위협으로부터 대학조직의 유연한 대처와 조직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 요인으로서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통해 조직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조직신뢰는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조직신뢰는 대학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가? 연구 문제에 관한 결과 도출을 위해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성과에 관한 다양한 선행연구 및 이론들을 검토하고,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종속변수는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신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조직성과로 구성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요인인 응답자 개인 특성의 경우는 통제변수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한편, 대학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연구 가설로 설정하며, 실증적인 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연구 주제에 맞게 전국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 소속된 교원과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5개 대학(KAIST, GIST, DGIST, UNIST, POSTECH)의 총 253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그 가운데 1건의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52건의 유효한 자료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e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 SPSS Process Macro Bootstrapping 등의 통계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 영감적 동기부여)과 직무만족,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 영감적 동기부여)과 조직몰입, 조직신뢰(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와 직무만족, 조직신뢰(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와 조직몰입의 상관분석 실시 결과 4건의 해당관계에서 모두 정(+)적의 유의한 영향임을 확인하였는데, 특히 변혁적 리더십의 개별적 배려와 조직신뢰의 인지적 신뢰가 조직성과에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최종학력, 직종, 직책, 근무기간)을 통제변수로 하여 대학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신뢰,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주로 여성보다는 남성, 30세 미만보다는 50대 이상, 직원보다는 교원, 평교(직)원보다는 보직자(급), 30년 이상의 근무기간일 경우 해당 변인에 더욱 큰 영향을 받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통제변수) 가운데 유일하게 최종학력은 전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 영감적 동기부여)과 조직신뢰(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와의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검증되었는데,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 중에서도 개별적 배려와 카리스마가 높을수록 조직신뢰가 더욱 높아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 영감적 동기부여)과 조직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더욱이 변혁적 리더십 하위요인 가운데 개별적 배려와 지적자극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각각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조직신뢰는 조직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모두에서 정서적 신뢰보다 인지적 신뢰의 효과가 더 높다는 것이 나타났다. 관계 검증에서도 Durbin-Watson 통계량 및 분산팽창지수 모두 전혀 오류가 없었다. 여섯째, 조직신뢰가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로서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가설을 3단계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주목할 만한 것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모두 조직신뢰로부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받았지만, 직무만족의 경우는 완전 매개효과, 조직몰입에서는 부분 매개효과로 작용했다. 요컨대, 본 연구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을 중심으로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조절변수로서의 조직신뢰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검토·검증 하였다. 이를 통해, 리더십 관련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들을 지지함은 물론, 대학 총장의 리더십 및 핵심 역량에 대한 중요성, 조직 및 소속 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조직의 효과성을 제고하고 미래의 대학행정을 위한 정책적·연구적 제언을 하였다. 나아가, 4차 산업혁명의 도래 및 공학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등 과학기술 분야의 새로운 전환점에서 국내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연구 배경과 그것의 견지에 기초하여 다양한 대학조직 간의 교류와 공동발전을 위한 논의 주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nsidering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 university president as a key factor for bringing flexible coping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despite the rapid interior and exterior changes and threats, this study researched how leadership could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mediating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by focusing on the cases of science and technology oriented universities. Specific research inquirie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ole of a university president influence organizational trust? Second, how doe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ole of a university president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rd, how does organizational trust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how does organizational trus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 university presid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is to review various precedent researches and theorie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 leade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designed by setting the independent variable, parameter, and dependent variable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and it set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respondents, which is the demographic factor, as a control variable. This study tests the research hypothe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n empirical online survey. 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 this study surveyed both the faculty and staff members at science and technology oriented universities nationwide, and received responses from 253 respondents from 5 universities (KAIST, GIST, DGIST, UNIST, POSTECH). This study utilized 252 responses excluding one unfaithful response, and it appli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cluding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e pos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Process Macro Bootstrapp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verified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the relations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trust (Cognitive Trust, Emo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trust (Cognitive Trust, Emo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this study found out that individual consideration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gnitive trust in organizational trus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as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t effects to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 university president,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Occupational Type, Position, Work Period) as a control variable, this study found out that in case of gender the male respondents compared to the female respondents, in case of age respondents over the age of 50 compared to the respondents under the age of 30, in case of occupational type faculty respondents compared to the staff respondents, in case of position the respondents who hold a leadership position compared to the respondents who are not in a manager position, and in case of work period the respondents who worked 30 years are more influenced by the relevant variables.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trol Variables), only the educational lev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is study verified meaningful results of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Cognitive Trust, Emotional Trust). Then, this study identified that among many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th more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charisma, the more credible organizational trust could get. Fourth, this study verified positive results of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it identified that among many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fth, this study verified that organizational trust has meaningful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both case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cognitive trust is more effective than emotional trust. No error was detected in both the Durbin-Watson statistic and dispersion expansion index. Sixth, this study verified a hypothesis that organizational trust could have mediating effects to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using a three-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noteworthy that although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eived meaningfully positive influences from organizational trust, job satisfaction received fully completed mediating effects while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eived partly mediating effects. In sum, focusing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oriented universities, this study is to review and verify how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 university president could influe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in it, and of how organizational trust could play as a moderating variable. In addition, this study supported results of existing precedent researches on leadership-related fields, and even it empirically analyzed the importance of a university president’s leadership and core competence and its effect to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t provided a political and research suggestion in order to enha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future university administration. Furthermore, at the advent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a paradigm shift in engineering education, this study expects to discuss subject for various exchanges and co-development between colleges, based on research backgrounds of domestic science and technology oriented universities and their view point.

      • 고순도 SiC 파우더를 이용한 반절연 SiC 단결정 성장

        이채영 동의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Semi-insulating silicon carbide (SI-SiC) wafer are considered key substrates for developing SiC-and GaN-based high-frequency, high-power electronics[1,2]. Especially, semi-insulating SiC substrate for microwave-device applications needs to have high resistive and low dielectric losses[3]. However, due to the poor control of residual impurities during crystal growth at high temperature, highly pure SiC substrates with high resistivity are difficult to grow[4-6]. To fabricate semi-insulating SiC bulk crystals, vanadium is used as doping method and an inner crucible was filled with a vanadium carbide (VC) powder[1,7]. Vanadium can act in SiC as a deep acceptor or a deep donor for the electrical compensation of residual impurities, respectively[7]. In this paper, Two SiC crystals were grown using SiC source powder with different level of purity and then the effect of the purity of SiC source materials on the final electrical properties has been systematically observed. Furthermore, the variation of vanadium amount according to the growth direction of vanadium doped semi-insulated SiC single crystals has been investigated. The quality of SiC crystal grown using SiC source powder with higher purity was definitely better than SiC crystal with lower purity. SiC crystals having an average resistivity value of about 1×1010Ωcm were successfully obtained. In the result of COREMA measurement, the use of high purity SiC powder was revealed to obtain wafers with better uniformity in resistivity value. 반절연 탄화규소 (SI-SiC) 웨이퍼는 SiC 및 GaN 기반의 고주파, 고전력전자 제품을 개발하는 핵심 기판으로 여겨지고 있다 [1-2]. 마이크로웨이브 디바이스 분야를 위한 반절연 SiC 기판은 높은 저항성과 낮은 유전 소실을 가져야한다 [3]. 하지만 고온에서의 결정 성장 동안 잔여 불순물 제어의 어려움으로 인해 높은 저항성을 갖는 고순도 SiC 기판으로의 성장은 어렵다[4-6]. 바나듐이 도핑된 반절연 SiC 단결정 성장을 위해 내부 도가니에 바나듐 카바이드(VC) 분말을 채워 사용하였다. PVT (Physical Vapor Transport)법을 이용한 벌크(Bulk) SI-SiC 성장에서 바나듐은 잔류 불순물의 전기적 보상을 위한 깊은 억셉터 (deep acceptor) 또는 깊은 도너 (deep donor)로 SiC에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바나듐의 혼입은 균질한 전기적 성능을 가진 SiC 기판을 얻기 위한 핵심 요소이다 [1,7]. 본 실험에서는 두 가지 SiC 결정 순도가 다른 SiC 원료 분말을 사용하여 성장시킨 후 SiC 원료의 순도가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또한, 바나듐 도핑된 반절연 SiC 단결정의 성장 방향에 따른 바나듐의 분포를 관찰하였다. 고순도 SiC 원료 분말을 사용하여 성장시킨 SiC 결정의 품질은 순도가 낮은 SiC 결정보다 더 좋은 품질을 나타내었고, 고순도 SiC 분말을 사용하여 1x1010 Ωcm 이상의 평균 비저항 값과 균일한 비저항 값을 갖는 반절연 웨이퍼를 얻을 수 있었다.

      • 고온환경에서의 서킷트 프리웨이트트레이닝 적용이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박기범 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ircuit free-weight training on physiological variables in high temperature. Subjects were 8 men in the 20`s, treated by the different temperature of 2 type, as normal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during circuit free-weight training and effects on heart rat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eardrum temperature, blood pressure have been evaluated. Body composition did not showed significance between high temperature group and normal temperature group. Heart rate of high temperature group was significantly(p<.05) higher than normal temperature group at 20 min of circuit free-weight period and 3min, 10min, 15min of recovery perio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did not showed significance between high temperature group and normal temperature group. Eardrum of high temperature group was significantly(p<.05) higher than normal temperature group at all period except rest. Blood pressure(systolic, diastolic) did not showed significance between high temperature group and normal temperature group. To conclude, Applying of circuit free-weight training in high temperature, we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increase of heart rate and eardrum temperature. 본 연구의 목적은 고온에서의 서킷트 프리웨이트트레이닝 적용에 따른 생리학적 변인들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며, 이를 위해 환경온도(상온과 고온)와 운동시기(안정시, 운동중, 운동직후, 회복기)에 따른 신체조성성분, 혈중젖산농도, 심박수, 고막온도 및 혈압 등을 차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서킷트 프리웨이트 트레이닝 실시 전, 후에 따른 신체구성성분의 변화에서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이 상온그룹, 고온그룹 모두 적용 전에 비해 적용 후 유의한 감소효과가 나타났으며(p<.05), 제지방량은 유의한 증가효과가 나타났다(p<.05). 심박수의 변화에서는 운동 중 20분, 회복기 3분, 회복기 10분, 회복기 15분에서 상온그룹에 비해 고온그룹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혈중젖산농도의 변화에서는 운동중과 회복기의 모든 시기에서 상온그룹과 고온그룹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고막온도의 변화에서는 안정시를 제외한 모든 시기에서 상온그룹에 비해 고온그룹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혈압의 변화에서는 수축기 혈압, 이완기혈압에서 운동중과 회복기의 모든 시기에서 상온그룹과 고온그룹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종합해 볼 때, 고온에서의 서킷트 프리웨이트 트레이닝 적용시 신체구성성분은 상온과 차이가 없었으며, 심박수, 고막온도의 상승이 상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혈중젖산농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혈압의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고온에서의 서킷트 웨이트 트레이닝적용시 심박수 및 고막온도의 상승에 관심을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하타 요가 수련이 중년여성의 자율신경계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이혜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8 weeks of Hatha yoga practice on the response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ANS) and electroencephalogram(EEG) patterns for middle-aged women. 28 middle-aged women without previous yoga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s subjects and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yoga and control groups. The yoga group practiced hatha yoga for 8 weeks, 5 times per a week,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From the subjects in both groups, the ANS response and EEG patterns were measured in three test sessions, prior to the experiment(pre-test), after 4 weeks, and after 8 weeks. Measured variables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2 groups x 3 test sessions) with repeated measures of the last factor. Analysis of the ANS response revealed that the low and high frequency activation of the yoga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in 8 weeks compared to the pre-test and 4 weeks(p<.05). Heart rate variability of the yoga group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8 weeks compared to pre-test and 4 weeks, while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R-R interval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4 weeks and 8 weeks compared to the pre-test(p<.05). The control group did not display any changes in the ANS response across the test sessions(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ing hatha yoga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tivation level of the ANS by decreasing and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EEG patterns also showed significant effect of yoga practice, the alpha power of F4-F3 being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8 weeks compared to the pre-test and 4 weeks(p<.05) intervals. The alpha power of F8-F7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8 weeks compared to the pre-test(p<.05). However, the control group did not display any changes in the EEG patterns across the test sessions(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ing hatha yoga may activate positive emotion by increasing the log R-log L values of the middle and lateral frontal lobes in both hemispheres.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acticing hatha yoga may facilitate the recovery from mental fatigu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working and learning processes. Practicing hatha yoga not only has an effect on the correction of body posture and the regulation of body weight, but also improves the function of the heart by stabilizing breath control. Therefore, hatha yoga can be an effective exercise intervention to relieve stress and improve mental and physical stabilities in middle-aged women. 본 연구의 목적은 8주 간의 하타 요가 수련이 중년여성의 자율신경계 반응과 뇌파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요가 수련 경험이 없는 28명의 중년여성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무작위로 요가그룹과 통제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요가그룹은 8주간 주 5회씩 하타 요가를 수련하였으며, 통제그룹은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았다. 두 그룹에 배정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처치전, 처치 4주째, 그리고 처치 8주 후 3회에 걸쳐 자율신경계 반응과 뇌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변수들에 대해 두 번째 변수가 반복 측정된 그룹(2) x 측정시점(3)의 이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자율신경계 반응에 대한 분석결과, 요가그룹의 저주파 활성도는 처치전과 처치 4주째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5), 고주파 활성도는 처치전과 처치 4주째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요가그룹의 심박변이도 역시 처치전과 처치 4주째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5), 스트레스 저항도는 처치전에 비해 처치 4주째 및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통제그룹은 자율신경계 반응에서 측정시점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이러한 결과는 하타 요가의 수련이 교감신경의 긴장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부교감신경의 긴장도는 증가시킴으로써 자율신경계의 활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뇌파패턴에 대한 분석에서도 요가 수련의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요가그룹의 F4-F3 α 파워 값은 처치전과 처치 4주째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요가그룹의 F8-F7 α 파워 값은 처치전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나머지 측정시점들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반면 통제그룹의 뇌파패턴은 측정시점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하타 요가의 수련이 좌우 전두엽엽의 중전두엽와 외측전두엽의 log R-log L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긍정적 정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하타 요가 수련이 정신적 피로의 회복을 촉진시키고 업무나 학습능률의 증진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타 요가의 수련은 체형교정과 체중조절에서 효과를 지님과 동시에 호흡의 안정화를 통해 심장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타 요가는 중년여성의 건강을 증진하여 심리적 및 신체적 안정성을 유도할 수 있는 적절한 운동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일도시 주한 몽골인 근로자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엥흐자르갈 오양가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한국에 거주 중인 몽골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료서비스 이용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외국인 근로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의료정책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은 1990년대부터 외국인 근로자들을 받아들여 당시 사회에 심각했던 문제 중 하나인 인력부족을 해결하고자 했다. 그러나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제대로 된 제도나 정책이 없어 이들의 기본권을 보장해 주지 못하며 특히 건강권 문제가 심각했으나 시대가 바뀜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고 2004년에 ‘외국인 근로자 고용허가제도’를 실행하여 현재 한국에서 합법적으로 체류하며 근로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국민건강보험을 비롯한 사회보장 4대 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되어 기본권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서비스업 등 규모가 작은 업종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국민건강보험 가입자격이 안되거나 수입이 파악이 안 되는 등의 이유로 보험료가 높게 측정이 되어 이로 인해 건강보험에 가입하기를 망설이는 등 아직도 현실적으로 많은 외국인 근로자들이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놓여 있어 이에 대한 정책 및 건강증진 방안의 다각적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표본의 특성 및 각 문항별 응답 비율의 확인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그밖에 응답자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문항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수의 특성 및 수준이 병의원 의료서비스 이용과 통계적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구학적 특성을 보면 성별은 남자가 55.8%로 과반수 이상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36.2세로 30대가 가장 많았고, 37.8%가 대졸 이상의 학력, 기혼이 66.9%로 가장 많았다. 한국어 실력은 66% 이상이 일상 생활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정도로 구사하고 있었으며 체류기간은 평균 3.3년이다. 제조업에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었으며 체류상태는 E9(비전문취업)이 47.1%로 가장 많았다. 경제적 수준을 보면 평균 소득은 1,848,920원이며 총 대상자의 87.4%가 건강보험에 가입하고 있었으며 미 가입자 35명 중 6명은 정보가 없어 가입하지 못했으며 29명은 조건이 되지 않아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못했다. 사회적 네트워크에서는 한국에 가족이 거주 중인 사람이 152명으로 과반수 이상 이었으며, 한국에 고향친구가 거주 중인 사람이 228명, 가깝게 지내는 직장동료가 있는 사람은 166명으로 과반수 이상 이었다. 연구 대상자들의 56.5%가 건강수준이 좋은 편이라고 답했으며 또한 82.7%의 사람들은 한국에 오기 전 앓던 병이 없었고, 한국에 온 후에는 79.5%가 한 번 이상 병을 앓은 적이 있으며 경험질환의 순위는 사고, 관절염, 고혈압, 피부질환 등의 순으로 이들의 71.2%가 병원에서 병을 치료했다. 정신건강 수준을 보면 과반수 이상 66.9%가 스트레스를 조금 느끼는 편이며, 한국에 온 후 2주 이상 절망감을 느낀 사람이 58명(20.9%)으로 절망감의 원인은 가족 문제가 25.8%, 직장 문제가 13.7%이었다. 최근 1년간 1회 이상 의료기관을 이용한 213명의 평균 이용횟수는 3.4회로 이용목적은 질병치료 48.9%, 산재사고 18%, 일반사고 11.9%순이었다. 의료비는 80.9%가 건강보험을 통해 부담하였고, 입원진료를 받은 67명의 입원 목적은 산업재해사고(55.2%), 일반사고(37.%), 질병치료(7.4%)의 순이었다. 선호하는 의료기관은 약국이 42.1%,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이 36%, 의원이 21.9%이었으며 선호하는 이유로는 접근성이 좋아서(42.1%), 치료를 잘해서(31.7%), 비용이 저렴해서(16.2%), 퇴근 후 이용할 수 있어서(10.1%) 등이 있었다. 의료기관을 이용하는데 불편한 점은 의사소통(40.3%), 시간이 없음(27.7%), 경제형편이 안 좋아서(13.7%), 교통이 불편해서(2.9%) 등이 있었으며 불편한 점이 없다는 응답이 15.5%이었다. 한국의료기관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만족스럽다가 54.7%, 약간 만족스럽다가 44.6%, 약간의 불만이 있다가 .7%이었다.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선별하기 위해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료서비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인구학적 특성 중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한국어에 능숙할수록 의료기관 이용 비욜이 높았으며 업종도 제조업에 비해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의료기관 이용 비율이 높았다. 경제적 수준은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네트워크와 주관적 건강수준, 질환경험 및 의료기관 이용 경험도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현재 한국에 체류 중인 몽골인 근로자들은 대체로 한국에 건강한 몸 상태로 오나 작업환경이 열악하며 의료기관을 이용할 시간이 없어서 질환이 더 악화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이들은 더 이상의 의료비로 인한 부담이 아닌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의료이용을 망설이며 접근성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근로자들이 가입한 근로자들보다 의료이용 횟수가 현저히 떨어지며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하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놓인 근로자들을 위한 의료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이들 중에 정보가 없어서 가입을 못한 경우도 있어 제대로 된 홍보와 교육도 필요하며 앞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대규모 연구를 통한 정부차원에서의 의료보장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과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과의 관계 연구

        공소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수업지도성은 교사의 교수·학습 능력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기 위하여 학생들의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교사의 수업지도성, 즉 창의적 수업지도성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창의적 수업지도성이란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수업 활동 중 교사가 학생들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실행하는 다양한 활동을 의미한다. 하지만 창의적 수업지도성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미비한 상태이기 때문에 관련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과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3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의 수준은 학생 배경 변인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의 수준은 학생 배경 변인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과 학생의 창의적 성향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학생들의 창의적 성향을 기르기 위한 교육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 공립초등학교 3~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기술 통계, t검정, F검정(Scheffe 사후 검정),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은 평균 4.08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6학년 학생들이 4,5학년 학생들보다, 본인의 성적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는 학생들이 낮다고 생각하는 학생들보다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변인 간 차이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은 평균 3.91점으로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3학년 학생들은 다른 학년보다, 성적이 높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중간이라고 생각하는 학생보다, 중간이라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낮다고 생각하는 학생보다 창의적 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변인 간 차이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의 모든 하위 요인과 학생의 창의적 성향의 모든 하위 요인은 정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의 하위 요인과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 및 하위 요인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부 요인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은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은 학생의 배경 변인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적 수업지도성을 낮게 인식하는 학생들의 특성을 알고 이에 맞는 학생 맞춤형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은 학생의 배경 변인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교사는 창의적 성향이 낮은 학생들의 창의적 성향을 길러주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발휘해야 한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은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창의적 수업지도성의 하위 요인은 창의적 성향 및 하위 요인에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은 학생의 창의적 성향을 길러주기 위해 필요한 하나의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본인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방면의 노력을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청 및 각 교육지원청에서는 학교가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 신장을 지원할 수 있도록 보다 큰 범위의 교육정책을 세워 실현해야 한다. 둘째, 단위 학교는 교사들로 하여금 다양한 연수에 참여하여 창의적 수업지도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은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을 점점 더 높일 수 있는 학급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을 제외한 타 지역이나 사립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가 아닌 중, 고등학교급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학생의 창의적 성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lass leadership is an important factor directly related to the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learning skills. In order to keep pace with the rapidly changing era, the importance of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that is,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has been emphasized to develop students' creativity.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refers to a variety of activities that teachers perform to increase students' creativity among class activities whe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is active. However, researches on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is incomplete compared to its impor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creative instru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tendency.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reative teaching leadership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perceived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creative tend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 and the student's creative tenden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was recognized and recommendations for the educational direction for raising the student’s creative tendency were suggested.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in grades 3 to 6 of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F test (Scheffe post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 on average, at 4.08 points. Among the sub-factors, fluency was highest with 4.13 points, followed by continuous involvement, creativity, sophistication, internal motivation, and flexibility. As a result of examining students' background variables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 was highly recognized in female students more than males, 6th grade students more than 4th and 5th grade students, and in students who think their grades are higher more than those who think they have got lower grades, and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were also significant. Second, the creative tend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veraged 3.91 point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Among the sub-factors, adventur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otivation, curiosity, confidence, and pati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students' background variables the creative tendenc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more than females, 3rd grade students more than others, students who think they have got higher grades more than students who think they are in middle level, and in students who think they are in middle level more than students who think they have got lower grad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was also significant. Third, all sub-factors of the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ll sub-factors of the student's creative disposi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ub-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tendency, some factors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rough this, it was verified that the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tendency, and that the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tendenc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h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y students’ background variables. By grasping this tendency, teachers should raise their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Second, the creative tend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y students’ background variables. So teachers must demonstrat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rasie the creative tendency of students’ with low creative tendency. Third, all sub-factors of the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ll sub-factors of the student's creative disposi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And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ub-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tendency, some factors showed significant results. Because of this, we can know that the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is the one element of methods to rasie the creative tendency of students’. So teachers should try personally or institutionally to raise their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The follow-up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llow-up studies are needed for students in other elementary schools or private schools outside of Seoul. Second, researches are needed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Third, follow-up studies on various factors that can influence a student's creative disposition should be conducted.

      • 웨이트 트레이닝 및 스포츠 마사지가 어깨 통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

        박용진 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웨이트 트레이닝과 스포츠 마사지를 병행한 프로그램 적용 시 어깨 통증 완화 및 기능회복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40∼59세 중년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웨이트 트레이닝과 스포츠 마사지 그룹 15명, 웨이트 트레이닝 그룹 15명, 스포츠 마사지 그룹 15명, 통제 그룹 1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목적, 절차를 설명한 후 이에 동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유연성, 가동범위, 통증을 측정하였다. 웨이트 트레이닝과 스포츠 마사지 그룹에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어깨 주변 근육 운동 4종목, 어깨 근육 운동 4종목을 격일로 실시하며, 스포츠 마사지를 부위별 7종목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웨이트 트레이닝 그룹은 어깨 주변 근육 운동 4종목, 어깨 근육 운동 4종목을 격일로 실시하였다. 스포츠 마사지 그룹은 부위별 7종목을 실시하였다. 통제 그룹을 제외한 실험 그룹을 2주간 주 6회 50분 운동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연성에서 네 개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웨이트 트레이닝과 스포츠 마사지 그룹이 가장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2. 가동범위에서 웨이트 트레이닝과 스포츠 마사지 그룹, 웨이트 트레이닝 그룹, 스포츠 마사지 그룹이 통제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웨이트 트레이닝과 스포츠 마사지 그룹이 가장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3. 통증에서 네 개 그룹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웨이트 트레이닝과 스포츠 마사지 그룹이 가장 높은 감소를 나타내었다. 웨이트 트레이닝과 스포츠 마사지가 어깨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증으로 인한 기능 저하 발생 시 어깨 근육 및 주변 근육의 강화 운동과 스포츠 마사지의 병행이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을 위한 적합한 운동 방법임을 알 수 있었으며, 중년여성 뿐만이 아닌 여러 대상자를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웨이트 트레이닝과 스포츠 마사지 병행 프로그램이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에게 운동 프로그램으로 활용된다면 어깨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깨의 바른 자세를 위한 운동처방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observe shoulder pain alleviation and functional recovery aspects when weight training and sports massage programs are administered to middle aged women complaining about shoulder pain. Sixty women ages 40∼59 were divided into groups, with 15 placed in a weight training and sports massage group, 15 in a weight training group, 15 in a sports massage group, and 15 in a control group and after the research purpose and procedures were explained and agreed to, flexibility, working ranges, and pain were measured. With the weight training and sports massage group, 4 kinds of weight training exercises for muscles surrounding the shoulders and 4 shoulder exercises were administered every other day and 7 kinds of sports massages were selected for each body area and administered. With the weight training group, 4 kinds of weight training exercises for muscles surrounding the shoulders and 4 shoulder exercises were administered every other day. With the sports massage group, 7 kinds of sports massages were selected for each body area and administered. All groups excluding the control group exercised 50 minutes a day, 6 times a week for 2 weeks. 1. All four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lexibility and the weight training and sports massage group showed the most improvement. 2. With working range, the weight training and sports massage group, the weight training, and the sports massage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weight training and sports massages group showed the most improvement. 3. Pai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ll four groups and the weight training and sports massage group showed the largest reduct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weight training and sports massages on shoulder pain show that, when there is function deterioration due to pain, exercises which strengthen the shoulder muscles and the surrounding muscles along with sports massages can be an appropriate method for pain alleviation and function restoration and various programs must be developed, not only for middle aged women but for diverse types of people. If weight training and sports massage programs are applied to people with shoulder pain, not only can they be used positively for shoulder pain alleviation and function restoration, but they can also be utilized as exercise prescription data for correct shoulder pos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