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부문의 관리통제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결과지향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자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신공공관리와 관련된 대리인 이론과 거래비용 이론을 바탕으로 목표와 책임, 인센티브를 중심으로 한 성과측정시스템(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PMS) 활용과 규칙과 절차의 완화와 분권화로 구성되는 내부 규제 완화(internal deregulation)를 포함하는 관리통제(management control)가 결과지향문화(result-oriented culture)를 매개로 개인이 인식한 조직성과와 개인성과로 나누어 인식된 공공부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관리통제가 민간부문에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공공부문에서는 사적 부문과 일관되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결과지향문화를 매개로 관리통제에 의한 성과를 분석하는 것은 성과주의 문화가 조성된 한국사회의 현시점에서 조직에 대한 진단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공부문도 신공공관리의 영향을 크게 받아 관리통제시스템이 효율성과 규제 완화를 중심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이러한 특성을 보인 조직관리 방향에 대한 분석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2020년 초부터 한국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심각한 경기침체와 일자리 충격에 직면하였다. 따라서 공공부문의 성과관리로 인해 달라지는 조직문화와 성과를 제대로 측정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해 한국행정연구원 사회조사센터에서 2019년 8월 12일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약 1년 동안 실시한 2019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가 사용되었다. 해당 조사는 정부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공무원의 주관적 인식변화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011년부터 중앙 및 지방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해오고 있다. 본 연구의 조사모집단은 중앙부처 및 광역자치단체 소속 일반직 공무원으로 설정하였고, 총 4,111명의 설문응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표본 추출은 다단층화확률비례(계통)추출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다. 조사는 이메일 웹 조사를 통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목표와 책임 부문의 목표와 성과관리는 인식된 조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센티브 부문에서 보수의 적정성은 인식된 조직성과에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였지만 승진의 공정성과 교육 훈련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내부 규제 완화 부문의 규칙 완화는 인식된 조직성과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지만 분권화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공무원에게 금전적 보상보다 사회적 역량과 능력발전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더 높은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직관리에 있어서 규칙과 절차에서 자율성을 확대하는 것은 오히려 의도하지 않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개인적 차원에서 목표와 책임 부문의 목표와 성과관리는 개인이 인식한 개인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센티브 부문에서 보수의 적정성과 승진의 공정성은 인식된 개인성과에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였지만 교육 훈련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내부 규제 완화 부문의 규칙 완화는 인식된 개인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분권화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 달리 인식된 개인성과에 대한 승진의 효과는 공무원에게 사회적 위치에 대한 인센티브가 동기부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공무원은 교육훈련과 같은 개인의 역량을 개선할 수 있는 인적자원관리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개인에게 규칙과 절차에서부터 어느 정도 자율성을 확보하는 것을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조직에서 정해지는 규칙은 조직과 인사 문제와 같이 거시적인 차원에서 만들어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분권화는 개인적인 측면에서 다른 조직 구성원의 의사결정도 비중 있게 고려하기 때문에 성과를 높이는 데 있어서 동기부여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분권화가 인식된 조직성과에 미치는 정(+)의 관계로 살펴볼 때 조직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 과정에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리통제 방식과 인식된 공공부문 성과의 관계에서 결과지향문화가 갖는 매개효과의 방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보수의 적정성의 경우 결과지향문화가 갖는 부(-)의 매개효과를 고려하여 다른 관리방식을 통해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내부 규제 완화 부문에서 규칙 완화는 인식된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직접 효과와 일관된 부(-)의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성과 측면에서는 결과지향문화를 약화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분권화 또한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결과지향문화를 약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직접효과와 일관된 부(-)의 간접효과를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내부 규제 완화 부문에서 결과지향문화는 인식된 성과에 공통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쳐 규칙완화와 분권화가 인식된 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크게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지향문화 또한 내부 규제 완화 부문의 변수들과 마찬가지로 세부적인 차원에서 분석하여 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영향요인을 찾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OECD가 강조하는 관리통제에 대한 NPM 접근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공공부문에서 나타나는 사악한 문제(wicked problem)를 해결하거나 공공조직의 목표달성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과정에서 NPM 접근은 다양한 공공가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해당 접근에 따르면 규칙과 절차가 결과지향문화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으나 본 연구 결과는 이러한 예측을 벗어났다. 또한 비록 분권화가 인식된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NPM의 가정을 따르지만, 결과지향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NPM의 접근에 따른 조직 운영 방식을 내부 규제 완화 측면에서 높일 필요가 있다. 신공공관리적 행정개혁은 분권화를 통한 자율성과 유연성을 강조하고 성과에 따른 목표 달성을 위해 과정과 규칙에 대한 통제에 소홀해졌다. 규칙은 경직적인 특성 때문에 급변하는 사회에서 신속한 대응을 하지 못한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하지만 시장 기제를 통한 공공 관리에도 오히려 규율에 의한 통제가 필요할 것이다(Vogel, 2018). 본 연구에서 규칙과 절차의 완화는 개인이 인식한 결과지향문화와 조직성과를 약화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의견을 고려하면서도 민주적 가치와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내부 규제가 조직성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Verbeeten & Speklé, 2015). 또한 공공조직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결과지향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NPM의 요소를 발전시키기보다 조직의 조정 기능 및 협력 체계를 개선하여 조직관리의 경쟁적 측면과 협력적 측면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하영 & 이수영(2020)의 연구에서 성과주의는 조직 내 협력 수준이 높아질수록 오히려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열의를 촉진하는 것으로 드러났고 이는 협력이 경쟁을 건설적으로 발전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mpirically tests the effect of management control consisting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PMS) use and internal deregulation on perceived public sector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result-oriented culture is analyzed. PMS use is centered on targets and accountability and incentives, and internal deregulation includes the reduction of reliance on rules and procedures and decentralization. Public sector performance is divided into perceived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performance. Although numerous studies on management control have been conducted in the private sector, the results from the studies are not consistent with those in the public sector. In addition, analyzing the performance by management control mediated by result-oriented culture w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diagnose public organizations in Korea at this point when result-oriented culture has been established. The public sector has been greatly affected by the New Public Management(NPM), which led management control to be structured around efficiency and deregulation. Since the beginning of 2020, South Korea, along with other countries worldwide, has faced a severe economic recession and job shock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properly measure the effects on perceived public sector performance changed by performance management, so data from the 2019 Public Service Life Survey that has been carried out approximately a year from August 12th, 2019 to September 30th, 2019 were used. Public Service Life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central and local public officials since 2011 to systematically identify changes in public officials' subjective perceptions of governmental human resource management. This data is based on 4,111 surveys, collected through a multi-stratified probability proportional-to-size (systematic) sampling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an e-mail web survey. In this study, targets and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targets and accountability se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Remuneration adequacy in the incentive sector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le fairness in promo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sector of ​​internal deregulation, reduction of reliance on rul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le decentralization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ublic officials value the opportunities to develop social competence and individual capability more than monetary compensation. Moreover, expanding autonomy in rules and procedures may cause unintended effects. At the individual level, targets and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targets and accountability se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individual performance. Remuneration adequacy and fairness in promotion in the incentive sector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individual performance, whereas education and traini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Reduction of the reliance on rules and procedures in the internal deregulation se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individual performance, while decentraliz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effect of fairness in promotion on perceived individual performance revealed that incentives for the social position do not play a pivotal role in motivation for civil servants. Therefore, public officials would most likely respond positively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that focuses on individual competency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The result also indicates the need for individuals to have some degree of autonomy in rules and procedures. It may be important to make rules for the organization at a macro level, regarding organizational and personnel issues. Decentralization may discourage individuals to increase performance because it takes into account the decisions of other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rom an individual point of view. However, considering the positive effect of decentralization on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diverse opinions of members should still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direc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result-oriented culture on perceived public sector performance differed according to the management control method. In the case of remuneration adequacy,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incentives through other management methods in consideration of the negative mediating effect of a result-oriented culture. In the area of ​​internal deregulation, it was found that relaxation of rules had a negative indirect effect, consistent with the direct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erms of perceived individual performance, the relaxation of rules was found to weaken result-oriented culture. Decentralization was also found to weaken result-oriented culture. At the individual level, the result showed a negative indirect effect consistent with the direct effect. In the field of internal deregulation, result-oriented culture had a negative effect on performance in common, which means performance cannot be significantly improved when compared with the direct effect of the relaxation of rules and decentralization. Results-oriented culture needs to be analyzed at a detailed level to figure out factors that can positively affect performance, just as variables in the internal deregulation sector. This study calls into question OECD's emphasis on the NPM approach to management control.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wicked problems in the public sector or reducing the uncertainty of achieving targets in public organizations, the NPM approach does not meet various public value standards. This approach assumes that a decreased reliance on rules and procedures positively contributes to result-oriented culture,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viated from such theoretical prediction. In addition, although decentraliz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llowing the assumption of NPM, it negatively affected results-oriented cul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aspects of decentralization of decision rights in terms of operational and strategic autonomy. The New Public Management administrative reform emphasized autonomy and flexibility through decentralization and neglected the control of processes and rules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according to performance. Rules, due to their rigid nature, were considered to be incapable of responding quickly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However, public management through a market mechanism still requires control by discipline through rules(Vogel, 2018). In the sense that relaxation of rules and procedures weakens results-oriented cultur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ternal regulation that can secure democratic values ​​and fairness while considering the diverse opinions is expected to have a major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Verbeeten & Speklé, 2015). Furthermore, to develop a result-oriented culture that currently occupies a significant portion of public organizations, the competitive and cooperative aspect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re both essential, which can be developed by coordination function and cooperation system of the organization rather than simply developing the NPM elements. In the study of Lee & Lee(2020), a performance-based system was found to promote the work enthusiasm of organization members when the level of cooper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increased, indicating that cooperation develops competition constructively.

      • 보건 분야 공무원 대상 직무교육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전국 지방자치단체 보건소를 중심으로

        용유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감염병 확산 이후 보건소 공무원은 방역 업무 투입으로 자신의 직무와 다른 업무를 수행하게 되면서 조직에 대한 고민이 늘었고, ‘2021 공직생활실태조사’ 결과에서 보여주듯이 조직몰입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사람도 또한 늘었다. 이에 정부가 보건소 공무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직무수행능력을 높이도록 돕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신규 업무 적응, 대상자에게 적절한 사업 수행, 사업 및 정책방향에 대한 이해, 최신 동향 파악 등 직무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 자연스레 직무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보건소 공무원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얻은 결과를 SPSS를 통해 분석하여 직무교육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무교육을 강사의 강의역량, 교육내용, 교육환경, 교육방법, 교육지원의 5가지로 나누고, 5가지 하위변인과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 3가지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통제변인을 포함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직무교육은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직무교육의 하위변인 중 교육환경은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교육지원은 정서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만, 직무교육과 그 하위변인은 지속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교육의 하위변인 중 강사의 강의역량, 교육내용, 교육방법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직무교육과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간 정(+)적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직무교육 하위변인 중 특히 교육환경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 분야 공무원에게 직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직무교육을 제공하여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같은 자발적인 조직몰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나아가 조직몰입이라는 교육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적절한 교육환경 마련 및 적극적인 교육지원이 선행되어야 하며, 보건 분야 공무원이 새로운 공공보건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고 변화된 미래 보건환경에 대비할 수 있는 가치있는 교육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세부적으로는 교육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의 중요성을 일깨워줬다는 것이다.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직무교육 이수 시 교육에 몰입할 수 있는 주변 환경 및 분위기 조성, 교육장비 및 도구의 적절한 사용이 필요하다. After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public officials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 are forced to perform duties that differed from their own duties, increasing their concerns about the organization. It is self-evident that the government should help public health center officials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in order to increase their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erefore, the need for vocational education has emerged naturally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to perform duties, such as adapting to new duties, conducting appropriate projects for the target person,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projects and policies, and grasping the latest trends. In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public officials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in local governments are analyzed through SPSS to examine the effects of vocational educ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reason, vocational education i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lecturer's lecture competency,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support. Then,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edu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s sub-variables are exam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brief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control variable shows that vocational educ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Among the sub-variables of vocational educati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a positive (+) effect on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the educational support has a positive (+)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However, it is shown that vocational education and its sub-variables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ance commitment. Then, among the sub-variables of vocational education, the lecturer's lecture ability,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 do not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education and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In addition, the fact that educational environment has a positive (+) effect on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is prove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ffects of voluntary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as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can be enhanced by providing vocational education to public officials in the health care field to improve their competency to perform their duties.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of commitment in the organization,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ctive educational support must be preceded. Moreover, educational policies that are worthwhile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smooth launch of public health project and for the future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Second and specifically, it awakened the importance of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allows students to concentrate on their education. When undertaking vocational education,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requires both the composi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the appropriate use of educational equipment and tools that allow for commitment in education.

      • 리더십 유형이 공직가치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신규 직원과 기존 직원의 차이를 중심으로

        서효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조직사회화 이론과 상황적 리더십 이론을 토대로 다양한 리더십 유형 중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그리고 진성 리더십이 공무원의 공직가치(public service value)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주요 변수 간의 관계에서 재직기간 5년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실시한 2021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중앙행정기관 및 광역자치단체 소속 일반직 공무원 총 4,133명으로 분석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리더십 유형 중에서는 진성 리더십이 공직가치 인식 수준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거래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의 영향을 재직기간이 조절한 상호작용항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특히 거래적 리더십은 그 자체로는 공무원의 공직가치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으나, 재직기간에 의해 조절될 때 결과적으로 기존 직원에 비하여 신규 직원이 거래적 리더십과 공직가치 인식 수준 간의 긍정적 관계를 더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규 직원에 비하여 기존 직원이 진성 리더십과 공직가치 인식 수준 간의 긍정적 관계를 더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재직기간의 조절효과는 변혁적 리더십과 공직가치 인식 수준 간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변혁적 리더십에 비하여 부정적으로 인식된 거래적 리더십에 대한 재조명의 필요성, 변혁적 리더십의 적실성에 대한 지적과 함께 리더십 형성의 본질적인 과정에 초점을 두는 진성 리더십이 공직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그 역할을 재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리더십 유형과 공직가치 인식 수준 간의 관계에 있어 신규 직원과 기존 직원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재직기간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여 공무원의 이직의도가 높아지고 실제 이직률도 증가하고 있는 현재 추세에서 거래적 리더가 신규 직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공정한 보상, 진성 리더가 기존 직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윤리적인 기준이 입직 초기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조직사회화를 통해 바람직한 공직가치를 내재화하여 공무원의 기회주의적 행동을 예방하고 윤리적 행동을 유도하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Based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ory and situational leadership theory, this study use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how transactional leadership (T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FL), and authentic leadership (AL) among various leadership styles affect public officials’ perception level of public service value (PSV). And also, it empirically analyzed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five-year employment peri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variables.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from the 2021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population of data used in this study is 4,133 general public officials belonging to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metropolitan govern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AL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PSV. Als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in the interaction term in which the employment period moderated the effect of TL and AL. In particular, TL itself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SV but there was a stronger recognition of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L and PSV from the new employees(employed less than 5 years). In addition, current employees(employed more than 5 years) perceived a stronger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L and PSV. This study concluded that 1) TL, which is negatively recognized compared to TFL, needs to re-examined for its effect on fair compensation with government employees considering higher turnover intention in public offices 2) the appropriateness of TFL under New Public Management (NPM) as well as the sync effect of AL, which focuses on the essential process of leadership formation, must be re-visited in terms of internalizing and enhancing perception level of PSV.

      • 공공기관의 ESG경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산업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인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started with an interest in whether ESG management, which is spreading in the private sector, would be effective in the public sector as well. Recently, institutional strategies such as expanding management evaluation and management disclosure items to promote ESG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are being provided, and public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play a leading role in ESG. Through this study, the effect of ESG of public institution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examined by empirical analysis, and also tried to verify effect of public institution’s ESG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industry type of public institution. First, since Korea’s ESG indicators have not been developed, the results of th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published in the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ALIO) were used for performance on ESG. Second, management performance was considered in a multidimensional aspect by dividing performance in the financial feature and the public interest factor from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rd, we tried to research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industry. For research,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126 public institutions subject to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from 2019 to 2021. We tried to expand the effect of ESG management, which was mainly focused on the private sector,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 the public sector, and also examined the effect of ESG performance by item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urthermore, by suggesting that ESG management performance can vary by industry type of public institutions, it has implications for future strategies for introducing ESG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본 연구는 민간부문에서 확산되고 있는 ESG경영을 공공부문에 도입할 때의 효과성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최근 공공기관에서 ESG경영을 추진하기 위해 경영공시 및 경영평가 관련 항목을 확대하는 등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고, 공공기관의 ESG에 대한 선도적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다만, 공공부문에 있어 ESG경영에 대한 효과성이나 다양한 전략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공공기관의 개별적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경영공시 항목이나 ESG평가체계는 정부지원금을 재원으로 운영하는 공공기관에 자원소모적인 활동으로 예산 낭비에 불과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ESG경영 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며, 나아가 공공기관의 산업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첫째, ESG경영 활동에 대해서 공공기관 경영실적평가 결과 중 해당하는 항목별 점수를 활용하였다. 둘째, 조직성과는 재무적 측면의 성과와 공익적 측면에의 성과를 구분하여 공공부문의 다차원적인 경영성과를 고려하였다. 셋째, 공공기관의 산업유형을 제10차 표준산업분류기준 및 경영실적평가 대상 기관의 기능별 구분 기준을 준용하여 유형화하여 차이를 탐색하고자 했다. 분석을 위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경영실적평가 대상이 되는 공공기관 중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 126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민간 분야에서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던 ESG경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공공 분야로 확대하고자 하였으며, 각 항목별 추진 실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공공기관의 산업유형별로 ESG경영 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공공기관 ESG경영의 도입전략에 시사점을 갖는다.

      •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기후 소양에 미치는 영향

        채동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미래형 인재 양성의 시작은 초등학교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판단 아래 도입된 인공지능 기반 교육은 개별 교과로서가 아니라 기존 교과와 융합하는 방법으로 교육 현장에 도입된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은 학습자의 인공지능 소양에 따라 그 효과가 천차만별이기에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기르는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면서 교육 패러다임의 구조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후변화 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 교육은 교육과정에 직접적으로 편재되어 있지 않아 체계적인 기후변화 교육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융합교육으로 진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인공지능 교육과 기후변화 교육의 현실적 특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도구적으로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기후 소양 함양과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둘째,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약 8주간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IBM SPSS Statistics ver.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만족도 조사와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 함양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인공지능 도구 활용 수업에 대해 학생들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수업 수준과 운영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고 기후 소양을 함양하는 데 분명히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2025년 인공지능의 정규 교과 도입에 대비하여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이 지속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인공지능 도구 활용 교육과 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 및 융합 교육의 필요성을 요구한 데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수업 전 학습자의 사전 인공지능 리터러시 및 기후 소양을 철저히 분석하고 교육 프로그램 적용 대상 인원을 확대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 및 검증할 필요가 있다.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ducation, which was introduced under the judgment that the start of fostering future talents to lea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begin in elementary school, is introduced to the educational field by converging with existing subjects, not as individual subjects. Since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has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learners' artificial intelligence skills, education to cultivat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is very important. In addition,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es,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growing day by day at a time when structural changes in the educational paradigm are taking place. However, since climate change education is not directly distributed in th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proceed with convergence education for systematic climate change education. Considering the realistic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tool affects the change on climate literacy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To this end, the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first, how does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affec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How does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affect the climate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wo classes in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8 weeks.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were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 26.0 program, and satisfaction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climate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students' satisfaction with clas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was generally high, and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level and operation of the class. In summary,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clearl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and fostering climate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in prepar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regular subj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2025,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cultivat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from the basics to the depth should be continu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anded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for systematic artificial intelligence tool use education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In the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analyze learners' prior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and climate literacy before class, and to analyze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by expanding the number of people eligible for the education program.

      • 사회자본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자기 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정임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사회자본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 존중감의 매개변인이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노인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자본, 사회적 지지와 자기 존중감, 노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각 변인의 이해를 높이는 데 있다. 둘째,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영향 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일은 본 논문의 주요 변인인 사회자본, 사회적 지지와 자기 존중감, 노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와 이들 변인 간의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셋째, 궁극적으로는 노인의 정신건강을 높이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과 실천적 측면에서의 방안을 제시해 내는 데 있었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자본의 하위요인인 관계망, 참여, 규범, 신뢰 모두가 노인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노인의 정신건강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자본 하위요인인 관계망, 참여, 규범, 신뢰 등의 수준을 높여야 함을 의미한다. 이 중 하나의 요인을 발달시킨다고 해서 사회자본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관계망, 참여, 규범, 신뢰 전체 구성요소가 균형이 이루어 지각될 때, 사회자본은 향상될 수 있다. 사회자본을 높이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요구됨에 따라 노인의 정신건강을 이해함에 사회자본이라는 변인의 중요성이 확인되면서 향후 노인의 정신건강 정책 수립 및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사회자본은 사회적 지지와 자기 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는 사회자본을 높일수록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 존중감이 높아지게 됨을 의미한다.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 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사회자본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자본을 기반으로 노인의 정신건강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인 방법을 익히도록 하는 다양하고 심도 있는 지원과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회자본의 확충과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행위가 잘 이루어지도록 제도적 장치 및 사회자본을 증대하기 위한 다양한 연결망의 접근성을 높이고 인프라 구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자기 존중감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결과는 사회적 지지와 자기 존중감이 향상되면 노인의 정신건강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 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실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적응증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사회성이 향상되어 사회적 지지와 자기 존중감이 늘어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노인의 정신건강이 높아질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자본과 노인의 정신건강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 존중감이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분석되었다. 영향 관계의 변인에서 매개효과를 설정한 연구모형으로 유용한 검증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개인은 물론 기관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자본과 자기 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실천 현장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이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자기 기입식 설문지에 의해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각각의 변인들을 인식하는 수준 정도에 따라 그 정도가 과대 또는 과소 보고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변인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므로 추후 연구방법론을 달리하여 다양한 변인을 설정하여 다차원적으로 측정하여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수도권의 노인복지관, 마을회관, 경로당 등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제한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향후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 그룹을 중심으로 노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변화를 꾸준하게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콘텐츠 플랫폼으로서 페이스북 창작자 페이지 이용 경험 연구 : 사회적 실재감과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김수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With the development of MCN(Multi channel Network) business model, UCC creators' activities have become active. Under this situation, it is important for establishment of creators' contents ecosystem to grasp not only contents manufacturing competence of creators but also users' experience of platform where they post their contents. This study denominated Facebook pages, which are one of the platforms where UCC creators post their contents, as Creator Pages, and it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users' experience on the basis of social presence and parasocial interaction theory. Due to the SNS character which makes users have a sense that they are connected with other users and the social rating system such as Like·Comment·Sharing·Friend tagging, Creator Pages produce social interaction. As a result, users of the Creator Pages can experience social presence.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f social presence's influence on parasocial interaction experience under the circumstance of such Creator Page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wo variables' influence on use frequency of Creator Pages and the effect of quantitative network size, which is the number of Facebook friends who click Like on the same Creator Pages like me, on the social presence.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a on-line questionnaire survey. The interview and the on-line survey were made on users who clicked Like on Creator Pages and received post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8 days from November 11 to November 18, 2014, and total 225 questionnaires excluding unreliable responses were used for an analysi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found that comfort·emotion, mutual awareness, co-location, which wer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had an influence on affective interaction and behavior interaction which were sub-factors of parasocial interaction, and they affected more behavior interaction than affective interaction. Secondly, comfort·emotion, which was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as well as all the sub-factors of parasocial interaction exercised influence on use frequency of Creator Pages. Finally, quantitative network size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social presence. This means that the simple quantitative number of Facebook friends who click Like on the same Creator Pages like me did not influence social presence but they experienced social presence through my friend's tagging me by the posts on Creator Pages or through qualitative behavior, for example, I read creator page posts on which my friends click Like, comment or shar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is the first research to investigate, through the theory of social presence and parasocial interaction, the users' experience in representative platform Facebook Creator Pages, which has more fans than the YouTube channel among platforms carrying UCC creators' contents. MCN(Multi Channel Network) 비즈니스 모델의 발전과 함께 1인 창작자들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창작자들의 콘텐츠 제작 역량뿐만 아니라 이들이 콘텐츠를 게시하는 플랫폼 이용자의 이용 경험을 파악하는 것은 창작자 콘텐츠 생태계 구축에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1인 창작자들이 콘텐츠를 게시하는 플랫폼 중 하나인 페이스북 페이지를 창작자 페이지로 명명하고,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경험을 사회적 실재감과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창작자 페이지는 이용자들이 다른 이용자들과 연결돼 있다는 의식을 갖게 하는 SNS의 특징과 좋아요·댓글달기·공유하기·친구태그와 같은 소셜 평가 시스템으로 인해 소셜 상호작용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창작자 페이지 이용자들은 미디어의 매개를 잊고 다른 이용자들과 같이 창작자 페이지 게시물을 보며 커뮤니케이션 하고 있다고 느끼는 사회적 실재감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창작자 페이지 환경에서 이용자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실재감이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두 변인이 창작자 페이지 이용 빈도에 주는 영향과 양적 네트워크 크기인 나와 같은 창작자 페이지를 보는 페이스북 친구 수가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주는지도 알아보았다. 연구는 심층인터뷰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온라인 설문조사는 창작자 페이지에 좋아요를 누르고 게시물을 받아보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2014년 11월 11일부터 11월 18일까지 8일간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225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실재감의 하부 요인인 편안·유대, 상호지각, 공동공간감은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의 하부 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과 행위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상호작용보다 행위적 상호작용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의 하부 요인인 편안·유대와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의 모든 하부 요인이 창작자 페이지 이용 빈도에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양적 네트워크 크기는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는 나와 같은 창작자 페이지를 보는 페이스북 친구 수라는 단순 양적인 수치는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주지 못하며, 친구가 나를 창작자 페이지 게시물에 태그하거나 친구가 좋아요·댓글달기·공유하기를 한 창작자 페이지 게시물을 보는 질적 행위를 통해 사회적 실재감을 경험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1인 창작자의 콘텐츠를 게시하는 플랫폼 중 유투브 채널보다 많은 팬 수를 확보한 대표적 플랫폼 페이스북 창작자 페이지에서 이용자들의 이용 경험을 사회적 실재감과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이론을 바탕으로 탐색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요인이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윤정근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요인을 개선하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며,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도모하여 보다 양질의 노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지역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이며,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요인,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 사전 예비조사, 2022년 6월 1일부터 6월 25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여 총 477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부적절하거나 결격사유가 있는 설문지 68부를 제외한 총 40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0과 AMOS 2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연구모형에 대한 관계 구명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요인 중 대인관계 요인, 조직특성 요인, 인사관련 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조직특성 요인이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요양보호사의 업무특성상 수급자 케어 서비스 제공에 집중되어 있어 업무관련 요인은 직무만족과의 영향관계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설 내 조직체계를 잘 갖춰놓고, 조직 내 상사와 동료와의 관계가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요인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근무환경요인이 개선될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요인 중 대인관계 요인, 조직특성 요인, 인사관련 요인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인사관련 요인이 개선될수록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반면에 업무관련요인의 경우 일정한 업무를 수행하는 요양보호사로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줄 요소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복지혜택과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기회의 확대 등이 필요하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기효능감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도록 근무환경을 개선해야 하며, 정기적인 역량강화 교육을 통한 케어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여건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근무환경을 개선해야 하며, 무엇보다 원만한 대인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조직의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인 인사관리 시스템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대안으로 첫째, 요양보호사의 실질적인 처우개선을 위한 급여를 책정해야 하며, 정기적인 건강검진 및 병원진료를 보장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요양보호사 교육제도 개선을 통한 정기적인 직무교육으로 업무역량을 강화하고, 주기적인 자격증 갱신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양질의 노인 돌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장기요양보험 유관기관에서 일반 국민들이 요양보호사에 관한 인식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과 홍보활동을 할 필요가 있다. 실천적 대안으로는 첫째, 요양보호사들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그들도 조직의 일원으로서의 업무에 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요양보호사 처우 개선을 위한 시설 내 다양한 복지혜택을 마련하고, 휴식여건을 보장해야 한다. 셋째, 요양보호사가 본연의 업무만을 수행할 수 있는 조직체계를 마련하여 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대표하는 표본을 추출하는 방안으로 하여 일반화가 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실천적 함의가 모든 시설에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후속연구에서는 시설의 규모에 따른 실천적 방안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요인 중 업무관련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관련 변인의 관계성을 추가로 입증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공기업 인력 및 조직특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김지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공기업이 공공성과 기업성을 동시에 지닌 조직이며, 정부의 관리정책에 따라 나타나는 공기업의 개별적인 인력특성과 조직특성이 공기업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조직 간의 성과 차이를 만드는 공기업의 인력특성, 조직특성을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성과관리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이러한 인력 특성과 조직 특성이 공기업의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기업의 인력특성으로 임직원수, 여성인력 비율, 남성육아휴직 비율, 직원1인당 평균보수, 상임인원 평균연봉, 평균근속연수의 6개 변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조직의 특성과 관련된 “공공기관운영법”상 공기업분류(시장형, 준시장형), 주무부처(8곳), 조직연령, 부채비율, 상장여부의 5개 변수를 통제변수로 하여 공기업의 조직성과로 기관별 당기순이익과 1인당매출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2021년말 기준 총 36개 기관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각 기관의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총 5년간의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통계 분석, 변수 간 상관분석, 합동 OLS분석 등 방법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공기업의 조직성과로 당기순이익에 대해서는 1% 유의수준에서 독립변수인 임직원수, 여성인력 비율이 당기순이익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독립변수인 직원1인당 평균보수, 상임임원 평균연봉, 평균근속연수는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아 인력 특성을 대표하는 보다 다양한 변수를 활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 공기업의 조직성과인 1인당 매출액에 대해서는 1% 유의수준에서 독립변수인 임직원수는 유의미한 부(-)의 영향, 여성인력 비율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공기업의 임직원수는 공기업의 당기순이익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공기업의 정원-현원의 효율적 인력 운영, 조직 내 성과ㆍ직무에 따른 보상체계 등 효과적인 조직 및 인적자원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여성인력 비율은 종속변수인 당기순이익과 마찬가지로 1인당 매출액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공기업의 여성인력 비율이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에 속하는 것으로 조직 내 여성인력 증가로 인한 성별 다양성 논의와 함께 여성인력이 공기업의 당기순이익, 1인당 매출액이라는 객관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한편, 공기업의 1인당 매출액에 통제변수인 기관별 부채비율이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기업의 부채 또한 공기업 조직성과와 연관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최근 코로나19 영향과 유가 등 국제원자재 가격급등, 금리인상 등 공기업의 경영환경의 변동성으로 인한 재무건전성 우려가 제기되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 마련과 대응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끝으로 본 연구는 공기업에 해당하는 36개 기관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어 모든 공공기관을 설명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결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환경이나 제도 등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연구대상 기간의 확대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일부 독립변수를 보완한다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점을 향후 연구방향으로 제시한다. This study began with interest in how public enterprises are organizations with both public and corporate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human resource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public enterprises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management policy affect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enterprises.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public companies that make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organiz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erformance management, and empirically analyze how these characteristics affect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companies. Six variable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number of employees, ratio of female employees, average salary per employee, average annual salary per employee, and average service life, and five variables were controlled under the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Act. As of the end of 2021, a total of 36 institutions were studied and a total of five years of data from 2017 to 2021 were collect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and pooled OLS analysi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executives and employees and the ratio of women,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net profit for the current period at the 1% significance level. However, the average remuneration, average annual salary of permanent executives, and average service life per employee,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do not have an effect on net profit, 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using more diverse variables representing human resource characteristics. For the next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companies, the number of employees,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and the ratio of female manpower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at the 1% significance level.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executives and employees of public compan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net profit of public companies, and it is thought that effective organizational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such as efficient manpower operation and compensation system according to performance and duties within the organization. Like the dependent variable, the ratio of women's workforce could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er capita sales, which belongs to research that the ratio of women's workforce in public compani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debt ratio of each institution, which is a control variabl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per capita sales of public enterprises, indicating that the debt of public enterprises is also a factor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enterprises. Recently, concerns over financial soundness have been raised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soaring prices of international raw materials such as oil prices, and volatility in the management environment of public companies such as interest rate hikes,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respond to this. Finally, this study is limited in terms of comprehensive research results that can explain all public institutions as 36 institutions corresponding to public enterprises, and it is suggested in the future that more reliable research results can be obtained if some independent variables that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vironment or institution are supplemented. 본 연구는 공기업이 공공성과 기업성을 동시에 지닌 조직이며, 정부의 관리정책에 따라 나타나는 공기업의 개별적인 인력특성과 조직특성이 공기업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조직 간의 성과 차이를 만드는 공기업의 인력특성, 조직특성을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성과관리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이러한 인력 특성과 조직 특성이 공기업의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기업의 인력특성으로 임직원수, 여성인력 비율, 남성육아휴직 비율, 직원1인당 평균보수, 상임인원 평균연봉, 평균근속연수의 6개 변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조직의 특성과 관련된 “공공기관운영법”상 공기업분류(시장형, 준시장형), 주무부처(8곳), 조직연령, 부채비율, 상장여부의 5개 변수를 통제변수로 하여 공기업의 조직성과로 기관별 당기순이익과 1인당매출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2021년말 기준 총 36개 기관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각 기관의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총 5년간의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통계 분석, 변수 간 상관분석, 합동 OLS분석 등 방법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공기업의 조직성과로 당기순이익에 대해서는 1% 유의수준에서 독립변수인 임직원수, 여성인력 비율이 당기순이익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독립변수인 직원1인당 평균보수, 상임임원 평균연봉, 평균근속연수는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아 인력 특성을 대표하는 보다 다양한 변수를 활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 공기업의 조직성과인 1인당 매출액에 대해서는 1% 유의수준에서 독립변수인 임직원수는 유의미한 부(-)의 영향, 여성인력 비율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공기업의 임직원수는 공기업의 당기순이익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공기업의 정원-현원의 효율적 인력 운영, 조직 내 성과ㆍ직무에 따른 보상체계 등 효과적인 조직 및 인적자원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여성인력 비율은 종속변수인 당기순이익과 마찬가지로 1인당 매출액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공기업의 여성인력 비율이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에 속하는 것으로 조직 내 여성인력 증가로 인한 성별 다양성 논의와 함께 여성인력이 공기업의 당기순이익, 1인당 매출액이라는 객관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한편, 공기업의 1인당 매출액에 통제변수인 기관별 부채비율이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기업의 부채 또한 공기업 조직성과와 연관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최근 코로나19 영향과 유가 등 국제원자재 가격급등, 금리인상 등 공기업의 경영환경의 변동성으로 인한 재무건전성 우려가 제기되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 마련과 대응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끝으로 본 연구는 공기업에 해당하는 36개 기관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어 모든 공공기관을 설명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결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환경이나 제도 등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연구대상 기간의 확대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일부 독립변수를 보완한다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점을 향후 연구방향으로 제시한다.

      • 팀 기반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정서지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 과학과를 중심으로-

        하채연 서울교육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팀 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 : TBL) 방법을 초등 교육에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와 의미를 검증하는 데 있다. 팀 기반 학습은 팀을 단위로 체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협력학습의 한 형태로 기존의 일반적인 강의식 학습에 비하여 토론을 통한 학생 간 상호작용이 활발한 것이 특징이다. 수업과정 중 동반되는 소통의 기회와 문제해결의 과정은 지식의 효과적인 습득 이외에도 학습하는 방법과 전략에 대한 이해, 정서적 발달 측면에서 잠재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 학습의 원리와 관계된 학습 요소들을 검토하고 학습자의 인지적, 정서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심리적 변인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21세기 사회의 변화와 맞물려 보다 중요성을 더해가는 개인의 능력요인으로서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 : SDL) 능력과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 : EI)을 선정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은 수많은 정보 속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전략적으로 선택․활용하는 적극적인 학습자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능력으로 현대 지식기반의 사회에서 더욱 강조되고 있다. 정서지능은 최근의 뇌 과학이 발달함에 따라 건강한 정서적 발달 외에도 정서가 인간의 사고나 인지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임이 점차 객관적으로 입증됨에 따라 교육에서도 중요한 학습 요소로 인정받고 있다. 최근의 교육 연구에서 미래 학습자에게 더욱 중요한 능력으로 주목받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국내에서도 연구되고 있으나 학교 교육과정과는 별개로 연구되는 탓에 현장 교육에서 보편적으로 도입․활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교과 학습 상황 속에서 이러한 능력이 자연스럽게 향상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고 수업 상황에서 교수방법의 변화만으로 교과이해도 외의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에 관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팀 기반 학습 선행연구에서 제언된 바를 바탕으로 초등 과학 교과에의 도입과 활용을 기본 방향으로 하여 수업자료를 개발․적용하였다. 팀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정서지능, 교과 성취도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는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팀 기반 학습은 6학년 과학 <빛> 단원에서 4주 간, 4회기(총 10차시)에 걸쳐 적용되었고, 학습과정에 투입된 자료는 팀 기반 학습의 기본원리가 충실히 구현되면서 현장에서 쉽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검토-수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2개 학급을 대상으로 한 본 실험연구에서는,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1개 반)과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비교집단(1개 반)을 설정하였으며 수업처치 후에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정서지능, 과학 성취도에서 집단 간 학습자의 능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는 ANC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소 중 행동조절 영역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 < 0.05), 정서지능의 하위 요소 중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활용 요인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각 p < 0.01, p < 0.05, p < 0.05). 과학 성취도 점수에서는 사후에 실시된 1차와 2차의 평가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팀 기반 학습 집단이 모두 의미 있게 높았다(각 p < 0.001, p < 0.05). 위의 결과를 통하여 팀 기반 학습의 초등 교육에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협력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학습은 내용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하고 보다 오래 기억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학습자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에서 긍정적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과 교육의 다양한 주제에서 교수방법의 변화만으로도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이 없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역량과 건강한 정서적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향후에는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미비점들을 보완하여 팀 기반 학습이 초등학교 학습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교과와 학습 주제들을 찾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 차이를 보인 학습자의 심리적 변인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상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들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