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종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박종주 (지도교수: 이성기) 인제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나라 전체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7,426명 중 전국 광역시 및 기초자치단체 245개 기관 중 10%에 해당되는 1,743명을 무작위 할당 표집을 통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우편과 이메일로 총 1,743부를 배부하여 약 90%인 1,580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지 38부를 제외한 1,542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점수는 척도의 중간 값 보다 약간 높은 편이었으며, 여자, 4년제 대졸, 8급, 보수교육을 받지 않고, 초과근무시간이 많은 공무원일수록 높았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중에는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여자, 50대, 대학원 재학 이상, 6급 이상 공무원이 높았다. 소진 수준은 높지 않았으나 여자, 30대, 미혼, 4년제 대졸, 8급, 그리고 보수교육을 받지 않은 공무원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수로 사용된 4개 변수 중에서 문제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 그리고 소망적 사고 추구가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소망적 사고 추구의 상호작용이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소망적 사고 추구 대처방식이 조절효과가 있었다. 즉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소망적 사고 추구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소진이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문제중심적 대처방식과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방식이 소진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는 직무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므로 직무스트레스의 완화를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중에서는 문제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가 소진을 감소시키므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자기관리 기술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조직 내 상사와 동료의 유대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소망적 사고 추구 대처방식이 소진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심리 상담과 정서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직무교육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는 상담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양질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시점에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복지전담공무원 Abstract The impact of Job Stress on Burnout among Public Social Workers in South Korea: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yle Park, Jong-Joo (Advisor: Lee, Sung-K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job stress of public social workers on their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ir job-stress coping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43 public officials who were selected by random quota sampling from 245 organs of metropolitan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nation. There were 17,426 public social workers in the country, and the subjects accounted for 10 percent of them. A survey was conducted by mail and e-mail, and the answer sheets from 1,580 public officials who approximately accounted for 90 percent were gathered, and the data from 1,542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the 38 incomplete on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21.0, and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mean scores of the public social workers was a little above the median value of the scale. The public social workers who were female, who were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whose grade was eighth, who didn't receive continuing education and who did a lot of extra work were under heavier job stress. The most common job-stress coping style was problem-focused one, and this style was more prevalent in the respondents who were female, who were in their 50s, who were receiving or received graduate school education and whose grade was sixth. The level of their burnout wasn't high, and the workers who were female, who were in their 30s, who were unmarried, who were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whose grade was eighth and who didn't receive continuing education were more burned ou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job stress of the public social workers on their burnout, job stress exerci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burnout. Third, four variables were selected as the moderating variables, and burnout was unde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f problem- focused coping, social support seeking and wishful thinking seeking among the four variables. Fourth, whether the job-stress coping styles of the public social worker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produced any moderating effects when their job stress affected burnout was analyzed. As a result, interaction between job stress and wishful thinking seek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burnout, and wishful thinking seeking produced moderating effects. In other words, the public social worker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were less burned out because of job stress when they sought after wishful thinking more. In addition, problem- focused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seeking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to reduce burnou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how to relieve the job stress of public social workers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as their burnout was under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mong the job-stress coping styles,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served to decrease burnout. Therefore self- management education and appropriate related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these public social workers to manage themselves, and they should be allowed to have a sufficient chance to boost their bond with supervisors and colleagues. Since wishful thinking seeking was found to have been effective at alleviating burnout, psychological counseling should be offered, and the kind of programs that aim at bolstering emotional stability should be developed. Besides, on-the-job training should be provided for them not to suffer from job stress, and counseling programs also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o manage themselves without having any adverse impact on their organization.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ed the importance of job-stress coping style as a way to relieve the burnout of public social workers at this point of time when the importance of the roles of these public officials is increasingly stressed to ensure the superb qu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s. Key words: Job stress, burnout, job-stress coping style, public social workers

      • 광주광역시 생활폐기물 성상변화 추이에 관한 연구

        정종식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 문 초 록 광주광역시 생활폐기물 성상변화 추이에 관한 연구 정종식 지도교수 : 이성기 조선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본 연구는 2015~16년 기간동안 광주광역시 10개 지점을 선정하여 계절별로 총 26회에 걸쳐 주거형태와 업종별 쓰레기 조성을 분석하여, 이미 2012년에 한국환경공단에서 조사분석한 자료와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 겉보기 밀도는 금회(2015~16년) 측정된 겉보기밀도 평균은 108.58(kg/㎥)인데, 2012년 한국환경공단 자료는 150(kg/㎥)정도로 분석되었다. 물리적 조성분류 결과 가연물 82.0% 및 불연물 18.0%로 조사되었으며, 조성별 조사 결과 종이류가 41.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비닐/플라스틱류 18.1%, 음식물류 7.5%, 유리/자기류 6.4%, 섬유류 5.5% 순이었다. 2012년과 비교해 보면, 가연물이 2012년 90.5%에서 금회 조사(2015~16년) 82.0%로 감소하고, 이와 더불어 불연물은 2012년 9.4%에서 금회 조사 18.1%로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삼성분 분석결과는 수분 33.0%, 가연분 61.0% 및 회분 6.0%로 분석되었다. 2012년 자료를 보면 수분 33.6%, 가연분 60.7% 및 회분 5.7%로 조사되어 금번 조사 결과와 유사하였다. 원소조성 분석결과 C가 47.27%로 가장 높았으며, O 26.54%, H 6.56%, Cl 0.20%, N 0.56%, S 0.18% 및 Ash 18.77% 순으로 분석되었다. 2012년 조사결과는 C가 48.47%로 가장 높았으며, O 34.56%, H 7.06%, Cl 0.66%, N 0.70%, S 0.11% 및 ash 8.44% 순으로 분석되었다. 금회 조사결과는 2012년에 비해서 모든 항목에서 2012년 보다 낮지만, Ash 성분만이 월등하게 높다는 특징이 있다. 발열량 분석결과 열량계로 측정한 측정발열량 평균값은 5,390kcal/kg이었으며, 수소와 수분 값을 보정한 고위 및 저위발열량은 3,601kcal/kg 및 3,059kcal/kg로 분석되었다. 불연분의 비율을 고려한 최종발열량은 2,503kcal/kg로 분석되었다. 금회 분석한 자료는 2012년 자료의 열량보다 측정발열량,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 최종발열량에 있어서 각각 1.8%, 0.9%, 3.8%, 13.6% 낮게 분석되었다. 이는 폐기물의 함수율, 수소함량, 특히 비가연성 성분의 차이 때문으로 보인다. ABSTRACT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al trend by the property of municipal solid wast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By Jong-sik Jung Advisor : Prof. Seong-key Lee Ph. D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of MSW analysis was conducted 26 times through the seasons in 10 selected sites in Gawngju 2015 ~ 2016 and compared with the study executed by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K-ECO) 2012.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pparent density of MSW is 108.58 kg/m3 in 2015 and 2016. In contract, it is 150kg/m3 on the data in 2012 from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K-ECO). As for physical composition in MSW, moisture and combustibles are contented by 82.0% and 18.0% respectively. In terms of composition type, it had 51.7% of paper ,the largest portion, and 18.1% of vinyl/plastic, 7.5% of food waste, 6.4% of glass/ceramic and 5.5% of fiber. According to the content of MSW in 2015 and 2016 if it is compared with those in 2012, the combustibles content decreased from 90.5% to 82.0%. In addition, incombustibles content increased from 9.4% to 18.1%. The three major components of MSW had 33.0% of moisture, 61% of combustibles and 6% of ash. As the result of it in 2012 which is similar to those in this study, it had 33.6% of moisture, 60.7 % of combustibles and 5.7% of ash. And in terms of element analysis in 2015 and 2016, Carbon(C) was 42.27%, the largest friction, and Oxygen(O) was 26.54%, Hydrogen(H) 6.56%, Chlorine(Cl) 0.20%, Nitrogen(N) 0.56%, Sulfur(S) 0.18% and Ash 18.77% As the result of it in 2012, Carbon(C) was 48.47%, the largest friction, and Oxygen(O) was 34.56%, Hydrogen(H) 7.06%, Chlorine(Cl) 0.66%, Nitrogen(N) 0.70%, Sulfur(S) 0.11% and Ash 8.44%. And the analyzed values of element except for Ash in 2015 and 2016 were indicated lower than those in 2012. In the analysis of MSW compared with those in 2012, it is lower in all element except for Ash which is far bigger than those in 2012. As a result of calorific value analysis, the average calorific value measured by the calorimeter is 5,390kcal/kg, he higher and lower calorific value considering hydrogen and moisture value was 3,601kcal/kg and 3,059kcal/kg respectively. The measuring, higher, lower, and total calorific value of MSW analyzed in 2015, 2016 showed 1.8%, 0.9%, 3.8%, 13.6% respectively lower than those in 2012. The difference of properties in MSW component like moisture, hydrogen content and especially incombustibles caused decrease of calorific value.

      •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라현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라현 (지도교수 : 이성기)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정책전공 본 논문은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로서,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를 제도적 측면, 고용관리적 측면, 복지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연구의 분석틀을 구성하고, 이에 따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외국인근로자의 개념, 유입배경 및 사회 정책적보호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외국인근로자의 현황과 현재 실시되고 있는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오래전부터 외국인근로자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일본과 노동허가제를 실시하고 있는 독일의 외국인근로자정책을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방법으로, 선행연구와 통계자료를 분석하였다.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의 개선방안은 제도적 측면, 고용관리적 측면, 복지적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는 고용허가제의 목적에 따라 산업계의 외국인력 유입을 정부차원에서 제도화하고 관련제도를 정비하고 있다는 점은 좋은 평가를 내릴 수 있다. 하지만 고용부담금제 등 내국인 노동시장 위축방지 장치가 미흡한 실정이며, 외국인력제도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외국인력 유입 전에 업종별, 사업장별로 외국인근로자 쿼터를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외국인력 유입 이후에는 사업장에서 단기 외국인력 순환교체 원칙이 지켜지고 있는지 감독하여 단순노동 외국인력의 정주화를 방지해야한다. 또한 외국인력 제도의 대상과 송출국가 선정의 경우 송출국가의 모집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송출비리, 브로커를 통한 과도한 수수료 등의 비리를 감독할 수 있는 제도적 차원의 장치 마련과 외국인력 선정 ․유입절차의 투명성을 위해 민간기관의 개입을 배제하고, 외국인력 고용에 따른 복잡한 행정절차를 간소화해야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고용관리적 측면에서는 고용허가제 시행 이후 지금까지도 ‘사업장변경 허용의 원칙적 제한’ 문제가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즉 합법적으로 고용허가제에 의해 유입된 외국인근로자들이 사업장 이탈하여 미등록체류 외국인근로자가 되지 않도록 명확한 사업장변경 귀책사유에 대한 지침을 공포하고, 외국인근로자와 고용주, 외국인력 지원기관에서 상호 협력적 관계가 유지되도록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근로기준법 상 외국인근로자를 합리적인 차별은 가능하나, 명확하게 동일한 기준의 임금체계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법적인 측면에서 균등대우가 실현되어야한다. 국민건강보험법의 경우 외국인근로자는 건강보험제도의 홍보와 모국어 안내를 통해, 고용주가 미가입시 강제가입을 통해 의무화하며, 정부차원에서는 과태료 부과 등, 행정적 처분이 필요하다고 본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경우 외국인근로자가 안전수칙에 대한 정보제공을 받지 못해서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산재예방 차원에서 실시하는 안전교육을 모국어로 제공함으로써 산재피해를 줄여야한다.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의 경우 외국인근로자를 인간으로서 권리와 사회문화적 차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여야한다. 셋째, 복지적 측면은 외국인근로자는 고용허가제를 통하여 유입되었으므로 내국인근로자와 동등하게 국민연금법, 고용허가제에 의한 4대 보험을 적용하여 노동 3권 등 기본적인 권익을 보장받아야한다. 또한 외국인근로자는 사업장 내에서 받는 언어적, 신체적 폭력에 대한 인권침해적 요소와 문화적 차별을 당하고도 근로계약기간 동안 적극적인 대처없이 묵인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부차원에서 모국어 상담지원서비스, 외국인근로자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바탕으로 본 논문이 갖는 함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현행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고용허가제를 기존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를 제도적 측면, 고용관리적 측면, 복지적 측면으로 유형화하였다. 또한 외국인근로자 문제를 부족한 노동력의 보완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합법적인 근로자로 인정함으로써, 외국인근로자들의 차별해소와 인권개선이라는 사회복지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라는 것이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둘째, 사회문화적인 차이가 있긴 하나, 우리나라보다 일찍 외국인력을 유입한 국가인 일본과 독일의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고용허가제에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는 일시적으로 부족한 노동인력 유입을 위한 차원을 넘어서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 인권차별을 받지 않고, 근로계약기간에 근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근로조건, 근로 환경적 차별 또한 차별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외국인근로자 유입을 위한 제도적, 복지적 지원을 강화하고 교육, 의료, 문화적 지원서비스 등 외국인 거주에 필요한 정주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고 할 수 있다. 주제어 :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 Abstract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Foreign Workers Kang Ra Hyeon (Advisor: Prof. Lee Sung Kee, PhD)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foreign workers. It classified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foreign workers in view of institutional aspect, employment management aspect, and social welfare aspect under the analysis framework and identified problems of current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foreign worker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t examined the concept of foreign workers, and the backgrounds of foreign workers' inflow and the necessity of protection in social policies, as well as the current situation of foreign workers and problems in currently implemented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foreign workers. In addition, it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Japan's policies for foreign workers and Germany's foreign worker policy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methods of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studies, and previous studies and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The improvement methods of employment permit system are examined in view of the institutional aspect, employment management aspect, and social welfare aspect, and summariza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 side,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n Korea deserves to receive a favorable evaluation in a sense that the influx of foreign manpower in industrial field has been institutionalized and related systems have been provided by the support of governm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However, it is a state that the devices to prevent shrinking domestic labor market like employment levy system are not sufficient, and the investigation by the government, whether the quote of foreign workers is observed according to the types of business before the influx of foreign manpower to maximize the effect of foreign manpower system, is required. The settlement of foreign manpower in the simple labor should be prevented by supervising that rotation and replacement principles of short-term foreign manpower are obeyed. In addition, institutional devices supervising the irregularities such as transmission and excessive commissions through a broker, which can occur in the selection of foreign workers and countries, should be provided, and complex administration procedures according to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should be simplified with the exclusion of private institutions for the transparency of foreign workers and procedures. Secondly, in terms of employment management side, 'restriction in permitting the change of workplace' is the most crucial issue. Put simply, clear guidelines about the reasons for fault for the change of workplace should be proclaimed to prevent foreign workers, entered by the legal employment permit system, from being non-registered residents by leaving their workplace and to maintain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s of foreign workers, employer, and support agencies of foreign manpower. In addition, even though rational discrimination between foreign workers and domestic workers is allowed according to the Labor Standard Act, the need for pay system based on the same standard is required for foreign workers. Therefore, equal treatment should be realized in the legal aspect. In the cas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National Health Insurance should be compulsor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should be recommended when the employer of foreign workers does not jo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through the publicity and native language services of foreign workers, and government should take administrative measures such as imposing fines. In the case of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cidents can occur because foreign workers do not get proper information about safety precautions. Therefore, native language service of safety precautions for foreign workers should be provided to reduce the damage of industrial accident. In the case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the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of foreign workers as well as rights of foreign workers should be admitted and accepted. Third, in terms of the side of social welfare, four major insurances according to the National Pension Act and Employment Permit System should be given to foreign workers, equally with domestic workers for guaranteeing three basic labor rights because foreign workers entered Korea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n addition, there are many cases that overlook the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such as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and cultural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gainst foreign workers during the period of employment contract. Therefore, the support in the dimension of social welfare is required by focusing on common residential places of foreign workers as well as native language counseling services of foreign workers under the support of govern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or improvement method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classified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foreign workers into institutional side, employment management side and social welfare side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employment permit system, which is currently implemented in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suggests the improvement methods in the aspect of social welfare by focusing on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 workers and improving the human rights through admitting foreign workers as legal workers, instead of considering them as the complementation of deficient labor power. Secondly, it draw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methods by analyzing the cases of Japan and Germany, which are countries where foreign workers entered earlier than Korea, even though there are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Therefore,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foreign worker should provide foreign workers with the labor condition and labor environment without discrimination, which can accept them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and guarantee their labor activity during the employment contract period, going beyond the influx of labor manpower, which is lacking temporarily. In addition, strengthening of support in the institutional and social welfare aspects as well as a social consensus for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foreign workers through education, medical services, and cultural services is required. Keywords : Foreign Workers, Employment Permit System

      •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업참여특성이 자활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택주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업참여특성이 자활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 택 주 (지도교수: 이성기)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본 연구는 자활효과성 개념으로 근로동기 부여로 정의하여, 2015년 9월 10일부터 10월 15일까지, 19개소 경남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 328명의 설문지 분석을 통해 자활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보았다. 먼저 기술통계 결과를 살펴보면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효과성 정도의 평균은 4.051점으로 “그렇다”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활사업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자활효과성에서는 여자 참여자, 61세∼70세의 참여자, 비수급참여자, 건강한 참여자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업참여특성 요인 중 참여사업유형에서는 자활기업 참여자의 자활효과성은 높게 나타났으며, 사업참여기간은 자활효과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자활사업 참여자의 참여기관유형으로 지역유형(농촌형) 요인과 참여사업유형(사회서비스형 자활근로) 요인 간, 참여사업유형(시장진입형 자활근로) 요인과 성별 요인 간, 참여사업유형(사회서비스형 자활근로) 요인과 성별, 수급여부 요인 간, 사업참여기간 요인과 연령, 학력 요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활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활기업에 참여하고 있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효과성이 시장진입형 자활근로에 참여하고 있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효과성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업참여기간 요인은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언은 일곱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활효과성 개념 정립 대한 사회적 논의와 척도의 보완 ·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독립적 교육장과 근로동기 부여를 위한 프로그램실, 자활근로사업장 등을 마련하기 위한 지원책을 지역실정에 맞게 제고되어야 한다. 셋째, 자활근로사업비의 사용범위는 근로동기 부여를 위한 프로그램까지 확대하고 사업비의 지출한도를 자활근로 사업유형별과 상관없이 40%이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자활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재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 조성 · 운영하는 자활기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다섯째, 지역자활센터의 자활사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 수정이 필요해 보인다. 여섯째, 자활기업 활성화를 위한 공공영역의 ‘보호된 시장’과 자활사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 · 관 협력으로 지속가능한 양 · 질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제도의 강화가 필요하다. 일곱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례관리는 공급자 위주의 획일적 자활사업 프로그램 제공에서 벗어나 근로동기 부여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보급되어야 한다. 핵심어: 자활사업 참여자, 자활효과성, 지역자활센터 Abstract A study for the effect of the self-sufficiency influenced by the character of participating programs of participants for the self-sufficiency programs Nam, Taek-ju (Advisor: Prof. Lee, Sung-kee, Ph.D)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Inje University This study give a definition the inducement of labour motive as the effect of the self-sufficiency, find out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effect of the self-sufficienc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328 participants' questionnaire in the 19 Gyeongnam district centers of self-sufficiency programs from Sep. 10. to Oct. 15. 2015. At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s, the average of the effect of the self-sufficiency is 4.051 and little bit higher than "Yes". Regarding the effect of self-sufficiency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population sociology, female participants, participants 61∼70(age), non supply demand participants and healthy participants are relatively high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education. In the special factors of the participating programs by self-sufficiency participants, in the types of participating programs the effect of self-sufficiency of the participants of self-sufficiency programs is high, there is no relation with the period of participating programs. Depending on the analysis of mutual relation, there is meaning plus correlation statistically between the factors of local type(rural type) and participating programss type(self-sufficiency labor of social service type), the factors of participating programs type(self-sufficiency labor of entering market type) and sex distinction, the factors of participating programs type(self-sufficiency labor of social service type) and sex distinction, supply demand or non supply demand, the period of participating programs, ages, and educatio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fluence for the effect of self-sufficiency shows that the effect of self-sufficiency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s participants is higher than the one of participants of the market entering self-sufficiency labor. There is no meaning influence in the factor of participating period. This study has seven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the effect of self-sufficiency, the social discussion and complementaton, development for the measurement are needed. Second, the support program should be under serious consideration depending on the local district's condition for the independent educational facilities of self-sufficiency programs participants and program room for the motivating labour and self-sufficiency labor enterprises. The third, The range of using self-sufficiency programs expenses should increase up to the program for the motivating labour and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by using the spending limit of programs should be under 40% regardless the types of programs. The fourth, the fund which is built and managed by corresponding self-governing community should be effectivey used as funds for the smooth promotion of self-sufficiency programs. The fifth, for the achivement of programs purpose of community self-sufficiency center, the strategic admendment should be needed. The sixth, 'protected market' of public area for the activation of self-sufficiency enterprises and the system enhancement for the creation of self-sufficiency programs ecosystem through sustainable supply of job with quality and quantity is needed. The seventh, the management of cases of self-sufficiency programs participants should be used by not the standardized program for the supplier focused but the development for the demander focused program. Key words: self-sufficiency programs participants, the effect of self-sufficiency, community self-sufficiency center.

      • 닭발 육수를 이용한 레토르트 간장 삼계탕 개발에 관한 연구

        김준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닭발의 전처리를 통한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삼계탕 육수의 풍미 특성을 조사하고, 간장 염지와 가열처리(F0 8과 28)를 통한 삼계탕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1은 사전 전처리 방법으로 생닭발, 70℃에서 12시간 건조가열시킨 닭발, 180℃오븐에서 1시간 가열시킨 닭발을 각각 121℃에서 1,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전처리 방법에 따른 추출액의 pH는 닭발을 사전가열한 추출액이 생닭발 추출액에 비해 낮았다. 닭발을 사전 가열한 추출액의 TBARS 값은 생닭발 추출액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추출시간이 1시간에서 2시간으로 길어질수록 추출액의 pH와 TBARS는 감소하였다(p<0.05). 추출액의 관능검사 점수를 보면 건조가열 후 1시간 추출액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겉보기, 향기, 종합기호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정량적 묘사분석에서 건조가열후 1시간 추출액이 견과류향, 구운냄새, 닭고기 향이 가장 강했고(p<0.05), GC-MS 결과 total volatile compound와 고기향 및 견과류향을 낸다고 알려진 benzaldehyde와 benzothiazole 등이 많이 검출되었다(p<0.05). 실험 2는 닭발의 사전 가열 전처리한 추출물을 통해 만든 삼계탕육수의 이화학적 및 풍미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처리방법으로 제조된 추출액을 통닭(470g±10g)과 함께 파우치(pouch)에 넣고 산업적 방법(121.0℃, 1.5 kgf/cm2에서 20분과 122.0℃, 1.7 kgf/cm2에서 95분간가열)으로 레토르트 삼계탕을 제조하였다. 전처리 방법에 따른 육수의 pH는 닭발로 추출한 육수구가 닭발 없이 제조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닭발을 사전 가열한 육수의 TBARS 값은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추출시간이 1시간에서 2시간으로 길어질수록 추출액의 pH와 TBARS는 감소하였으나(p<0.05), 육수에서는 반대로 증가하였다(p<0.05).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삼계탕육수의 관능검사결과를 보면 역시 건조가열 후 1시간 추출액이 종합 기호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육수의 정량적 묘사 분석에 의하면 닭발로 추출한 육수들은 닭발 없이 제조된 대조구보다 강한 구운 냄새를 나타냈으며, 특히 건조가열 후 2시간 추출한 육수에서 높은 강도를 보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삼계탕을 제조하기 위해 닭발을 건조가열후 추출하여 만든 추출액을 이용하면 레토르트 삼계탕의 육수에서 풍미와 기호도가 증진되었고, 이에 따라 최종 육수 배합비율을 실험 3에 이용하였다. 실험 3은 F0에 따른 간장 염지 삼계탕의 이화학적 및 풍미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 3은 간장 염지 삼계탕을 제조하기 위해 통닭무게의 1.5배의 염지액을 제조하였다. 염지액 100%를 기준으로 0, 25, 50% 간장과 나머지 물을 혼합하였다. 통닭을 염지액에 1시간 침지 후 꺼내 닭발건조 1시간 추출액과 함께 넣고 F0 8과 28로 레토르트 가열하여 완성하였다. 간장 염지 삼계탕의 pH는 간장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나 F0에 따른 효과는 없었다. TBARS는 간장 염지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F0가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전단력은 간장 염지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F0가 높은 처리구에서 전단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미생물은 F0 8과 28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평가에서 종합적기호도는 간장 염지한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F0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삼계탕의 정량적 묘사분석에 의하면 간장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간장냄새와 짠맛의 강도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간장 25%와 50%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모든 처리구에서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F0에 따른 차이가 없었던 것에 반해, 단가불포화지방산은 F0 28인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반면 다가불포화지방산은 F0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를 종합해보면 건조닭발을 1시간 가열하여 만든 추출액과 간장25%(간장 25% : 물 75%)의 염지액에 1시간 침지시킨 통닭을 파우치에 넣고 F0 8에서 가열처리하면 고품질의 간장 레토르트 삼계탕을 제조할 수 있다. The firs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and flavor characteristics of extract and retort Samgyetang broth prepared by chicken feet. The chicken feet were pretreated by two heating methods as follows; air-dried at 70℃ for 12 h and oven-roasted at 180℃ for 1 h. Raw chicken feet were used as control. Further, the chicken feet were extracted at 121℃ for either 1 h or 2 h, resulting 6 groups as follows; control-1h, control-2h, air-dried-1h, air-dried-2h, oven-1h, and oven-2h. The physicochemical traits of these extract were analyzed. The extract (400 mL) was placed in a retort pouch with whole chicken carcass (470 g ±10g) and the retort Samgyetang was made by following method; heating at 121.0℃., 1.5 kgf/cm2 for 20 min and then 122.0℃., 1.7 kgf/cm2 for 95 min. Another broth was prepared by replacing chicken feet extract with water and used as control. The analysis of physicochemical traits and consumer acceptance of the retort Samgyetang broth were performed. The pH of the extract prepared from preheated chicken feet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extract. The broth made from chicken feet extract showed lower pH than control broth. The TBARS value of the chicken feet extract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at of control extrac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BARS value of the broth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As the extraction time increased, the pH and TBARS value decreased in the extract (p<0.05) but increased in the broth (p<0.05). Consumer acceptance test revealed that the air-dried-1h extract had significantly higher acceptance score in appearance, aroma and overall preference than the others (p<0.05). Descriptively, the air-dried-1h extract had the strongest nutty, roast, and chicken aroma (p<0.05). The GC-MS results showed that benzaldehyde and benzothiazole, which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meat and nutty flavor, were Higher Oven roasting 2 hour extract(p<0.05).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broth made from chicken feet had stronger roast aroma than that of control. Among chicken feet broth, the 2-h extraction groups released more intense roast aroma than the 1-h extraction groups, followed by control. However, air-dried-1h broth ha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all acceptability. In summary, the use of chicken feet extract that is made by air-dried at 70℃ for 12 h and extracted at 121℃ for 1 h is recommended to enhance the aroma of retort Samgyetang. The second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nefit of carcass marination using soy sauce and sodium tripolyphosphate (STPP) on meat physicochemical and flavor characteristics of retort Samgyetang. The marinade used in this experiment was made with different addition level of soy sauce in water (0%, 25%, 50%, w/w) and the concentration of STPP was fixed at 3% (w/w) of marinade. The chicken carcasses were marinated for 1 h. Following marination, the carcass was put into a retort pouch, added with chicken feet extract (air-dried-1h) and subjected to retort processing with F0 value of 8 and 28. The meat pH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soy sauce content but different F0 valu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H. The effect of marination on TBARS was not observed but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F0 value (p<0.05). The shear forc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soy sauce increased, and the shear force increased with increasing F0 (p<0.05). Marination increased overall acceptability (p<0.05), and particularly marination using 25% soy sauce processed. but F0 value not effect to overall acceptance score.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aroma of soy sauce and salty taste increased as the soy sauce content increas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5% and 50% groups. Fatty acid composition was altered by different F0 values. The propor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F0 value, in contrast with that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However, the effect of F0 value was not found on the pro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Even though marination using 25% soy sauce and retorting until achieving F0 value of 8 and 28 improved the acceptability of Samgyetang, there are some issues related food safety and economical benefits that must be considered. Higher F0 value increases lipid oxidation in Samgyetang that may affect consumer health. In addition, applying higher F0 value requires more energy and time that is not efficient and profitable at industry level. Therefore, marination using 25% soy sauce and retorting until achieving F0 value of 8 are recommen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amgyetang.

      • 중국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 난징시를 중심으로

        왕원원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중국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국 난징시를 중심으로- 王 園 園 指導敎授 李 成 基 社會福祉學科 社會福祉學 專攻 仁濟大學校 大學院 본 연구는 중국 지체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대상은 중국 난징시에 있는 13개 관할 구역중에 쉬안우구(玄武湖區)의 84개 사구거주민위원회(社區居民委員會)에서 등록되어 있는 지체장애인 중 142명을 임의로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자료는 SPSS WIN 20.0으로 통계처리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t-검증(t-test), 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조사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 검증에서는, 성별, 혼인상태, 교육수준, 직업유무, 수입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은 남자가 84명으로 59.2%, 여자는 58명으로 40.8%를 차지하였다. 연령은 ‘20대 미만 및 20대’의 응답자가 47.2%, ‘30대’가 52명으로 36.6%를, ‘40대’ 13명으로 9.2%를, ‘50대 이상’이 10명으로 7%를 차지하였다. 혼인상태는 미혼자가 76명으로 53.5%, 이혼자가 16명으로 11.3%, 기혼자가 50명으로 35.2%를 차지하고 있었다. 교육수준은 무학 및 초등학교 졸업이 34명으로 24%, 중학교 졸업이 25명으로 17.6%, 고등학교 졸업이 48명으로 33.8%, 대학이상 졸업이 35명으로 24.6%를 차지하고 있었다. 직업유무 상황에는 직업이 있는 응답자가 77명으로 54.2%, 직업이 없는 자는 65명으로 45.8%를 차지하고 있었다. 월수입은 2500~3500위안(2015년 6월 환율 기준으로 약 45만에서 63만원)이 25명으로 32.5%, 3501~5000위안(63만~90만원)이 24명으로 31.2%, 2500위안 이하(45만원 이하)가 19명으로 24.7%, 5000위안 이상(90만원)이 9명으로 1.7%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 수는 3명과 4명 경우가 각각 33명으로 23.2%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고, 5명이 25명으로 17.6%, 6명 이상이 22명으로 15.5%, 2명이 18명으로 7.7%, 1명이 11명으로 7.7%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등급에는 4급이 55명으로 38.7%, 3급이 48명으로 33.8%, 2급 29명으로 20.4%, 1급이 10명으로 7%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지체장애인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회귀분석결과에서는 수입과 사회적지지 중에서 정서적 지지와 물질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변수인 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직업유무, 가족 구성원 수, 장애등급, 평가적지지, 정보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 중국의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도가 평균은 3.13으로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중국의 지체장애인들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적지지망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장애인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 전문가들이 더욱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중국의 지체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 중 연구결과 유의미하게 나타난 정서적 지지를 높이기 위한 지역사회의 사회적지지망에 구축과 함께 물질적 지지를 높이기 위한 국가와 지역사회의 물질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influence of life satisfaction for Chinese physically disabled people depends o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base on Nanjing city in China Yuan-Yuan Wang (Advisor : Prof. Sung-Kee L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is thesis is research for Chinese physically disabled people and their social satisfaction which from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By this study, we hope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Chinese physically disabled people. For this matter, we have set the research topic and reviewed early researches about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Then we proposed the study model and theoretical hypothesis on this base. In order to prove the hypothesis, we have surveyed Chinese physically disabled people from 84 community residents' committee (社區居民委員會) in Xuanwu district(玄武湖區) which is one of 13 district in Nanjing city and have analyzed 142 copies of surveys. We have don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analysis by SPSS WIN 20.0 and the summarized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humanistic features of sociology to test for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m,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career, income and so on are impa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Survey of the population are male in gender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84, occupy 59.2%, 58 women, occupy 40.8%. The age of respondents are 47.2% in 20’s, 30’s are 52 (36.6%), 40’s are 13 (9.2%) and 50’s are 10 (7%). The marital status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are 76 unmarried, occupy 53.5%, divorce, up to 16 people (11.3%), and 50 for the married, accounting for 35.2%. the education level are illiterate or primary school 34 people (24%), junior high school graduation, 25, (17.6%), 48, graduated from high school reached 33.8%, college degree or above in 35 (24.6%). For career, has employed 77 respondents occupy 54.2%, without work, 65 for the physically disabled to occupy 45.8%. Monthly income of RMB 2500 ~ 3500 (June 2015 is about 450000 to 630000 won) 25, accounted for 32.5%, from 3501 to 5000 yuan (630000-900000 won) 24 people (31.2%), below 2500 yuan (below 450000 won) 19 people (24.7%), more than 5000 yuan (900000) 9people (1.7%)。Families were three and four, respectively is 33 (23.2%) reached the highest according to the survey, the number of families have five of a total of 25 people, accounting for 17.6%, 22 people have 6 families (15.5%), 18 people have 2 families occupy 7.7%, 11 people only have 1 families, occupy 7.7%. Disability level 4 are 55 people occupy 38.7%, level 3 are 48 people, reached 33.8%, levels 2 of 29 (20.4%), level 1 are 10 people (7%). Second, more and more people pay much attention on physically disabled people and their social life satisfaction in China. Third, more and more physically disabled people pay much attention on their self- esteem and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in China. Fourt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society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material in the sense of self-esteem has significan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e variables of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occupation, family composition elements, disability grade and evaluation support, information support,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t influence facts have been confirmed. The results show that the members of China disabled people's average life satisfaction is 3.13, it is not a high valu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ocial support of Chinese physically disabled people's life satisfaction and need more experts and office of welfare service institutions for disabled persons. In specially, the results of research for life satisfaction of Chinese physically disabled people show that emotional support is meaningful. In order to improve the emotional support people need to build the life of the community social support. At the same time, material support is also meaningful, in order to improve the material support countries and communities need to strengthen the material support. Throug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should study systematically about the self-esteem and Social satisfaction for the improve satisfaction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 경남지역 위기청소년 상담지원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YS-Net 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김경미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청소년 위기문제 증가로, 이에 대해 국가적 개입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Community Youth Safety-Net : 이하 CYS-Net)라고 하는 지역사회 내 위기청소년 지원서비스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CYS-Net 서비스가 지역적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 청소년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지역의 특성과 지역 청소년의 문제유형에 관한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아울러 서비스 이용자 특히, 위기청소년들의 관점에서 서비스를 평가하는 만족도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CYS-Net 서비스의 대상인 위기청소년의 만족도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CYS-Net 운영에 대한 청소년들의 평가뿐만 아니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혀보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CYS-Net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경남지역내 청소년종합지원센터 9개소이며, 응답대상자는 개인상담을 1회이상 받은 위기청소년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YS-Net 서비스를 이용하는 청소년들의 만족도 수준을 분석한 결과, 4점 이상으로 서비스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위기청소년들의 개인적 요인(성별, 지역별, 소속별) 서비스 요인(문제별, 이용서비스유형별, 이동빈도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전반적 만족도에 어떤 변수가 구체적인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 결과, 전문성이 높을수록 전반적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위기청소년상담지원서비스 CYS-Net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위기청소 년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 요인보다, 상담자의 전문성, 상담자와 위기청소년간의 신뢰성, 위기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상황에 대한 상담자의 적절한 개입, 상담으로 인한 위기청소년의 행동변화만족도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난 것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CYS-Net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YS-Net 서비스에 대해서 이용자들은 매우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와 같은 서비스가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서비스의 전문성으로 나타났다는 것은 CYS-Net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담자의 전문성을 위기청소년들이 필요로 하는 가장 중요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지역별 만족도를 조사하여, 지역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군단위의 청소년종합지원센터에서 전반적인 만족도와 차원별 만족도가 다 낮게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CYS-Net 운영에 있어서 시단위의 청소년종합지원센터에 우선적으로 예산, 인력 등이 편성되고, 군단위에는 그 역량이 미치지 못한 측면이 많았다고 할 수 있다. CYS-Net의 전국적인 확대실시를 위해서는 군단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닭의 품종과 해동조건 및 염지처리가 삼계탕 품질에 미치는 영향

        정해성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닭의 품종과 해동조건 및 염지처리가 삼계탕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1에서는 백세미, 브로일러, 토종닭, 산란성계를 이용하여 상압 및 레토르트 삼계탕을 제조했을 때의 육질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백세미와 브로일러의 생육이 전반적으로 가장 우수한 육질특성을 나타냈고, 토종닭과 산란성계는 높은 불용성 콜라겐농도로 인해 전단력이 컸다. 산란성계는 다른 품종에 비해 수분함량이 낮았고 지방함량과 전단력이 높았다. 상압 삼계탕과 레토르트 삼계탕에서 백세미와 브로일러가 가장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방산 조성에있어서 산란성계가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았고, 특히, 다리육에서 필수지방산인 linolenic acid가 가장 높았다. 토종닭은 포화지방산 비율이 높고 필수 지방산인 α-linolenic acid과 arachidonic acid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향기패턴 분석결과, 품종에 따라 극명하게 다른 향기패턴이 확인되었다. 소비자 기호도 평가에서 토종닭은 백세미와 브로일러 다음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산란성계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위와 같은 결과에 따라, 토종닭은 삼계탕의 원료육으로서 잠재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고, 산란성계는 질긴 육질과 많은 지방 함량 때문에 추가적인 가공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구 2에서는 해동온도(0℃, 10℃)와 해동방법(침수, 냉장)에 따라 해동된 백세미로 상압 및 레토르트 삼계탕을 제조하여 육질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해동된 백세미로 제조한 상압 삼계탕에서 해동온도가 높을수록 전단력과 총 감량이 높아졌고, 침수해동보다 냉장해동에서 가슴육의 전단력이 높게 측정되었다. Inosine monophosphate(IMP) 함량은 부위에 상관없이 0℃ 침수해동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hypoxanthine 함량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정량적 묘사분석을 이용한 관능검사에서는 해동온도가 높아질수록 다리육에서 질김 및 씹힘성 강도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레토르트 삼계탕에서는 해동온도가 높거나 침수해동에서 다리육의 전단력이 높았다. 핵산관련물질의 경우, IMP 함량은 침수해동에서 더 높았고, hypoxanthine의 함량은 해동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침수해동보다 냉장해동에서 더 많이 축적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해동온도가 높아질수록 가슴육에서 씹힘성의 강도가 커졌다. 따라서 고품질의 레토르트 삼계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낮은 해동온도에서 침수해동을 하는 것이 권장된다. 연구 3의 첫 번째 실험에서는 원료육에 염지액과 훈연액 처리하여 삼계탕의 육질특성과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염지처리는 표면육색의 명도를 증가시키고 적색도를 감소시켰으나, 훈연액 처리는 명도를 감소시키고 적색도와 황색도를 증가시켰다. 염지 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pH, 흡수율, 수분함량을 증가시켰고, 총 감량 및 전단력을 감소시켰다. 기호도 평가결과, 염지액 단독 처리구가 맛, 다즙성, 연도, 종합적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따라서 원료육의 염지액 처리가 상압삼계탕의 육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염지처리와 F0값( 8과 28)이 레토르트 삼계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염지처리는 부위에 상관없이 전단력을 낮추고 수분함량을 증가시켰다. 핵산관련물질 측정결과, 염지처리와 F0값에 따른 IMP 함량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hypoxanthine의 경우, 염지한 처리구에서 F0값이 높을수록 hypoxanthine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소비자 기호도 평가결과, 염지 처리는 F0값과 부위에 관계없이 맛, 다즙성, 연도, 종합적 기호도 점수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레토르트 삼계탕의 육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료육을 염지처리하여 낮은 F0값으로 멸균하는 것이 권장된다. In this study, the quality of Samgyetang (Korean ginseng chicken soup) made from different commercial chicken breeds was investigated to observe the possibility to be used as raw material for Samgyetang. Further, the suitability of different thawing methods and carcass curing processes was also investigated. In study 1, the carcasses of white semi broiler (WSB), commercial broiler (CB), korean native chicken (KNC), and old layer hen (OLH) were used for making boiled (traditional) and retort Samgyetang. Meat quality and consumer acceptance were investigated. Among chicken breeds, WSB and CB showed overall the best quality in both traditional and retort Samgyetang, while KNC and OLH showed higher shear force value compared to WSB and CB due to high insoluble collagen concentration. However, the meat of KNC was more tender than that of OLH. The OLH was characterized by the lowest moisture content and the highest crude fat content and shear force value. In terms of fatty acid composition, OLH and KNC contained higher propor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s. The highest unsaturated fatty acid was observed in the meat of OLH, and linoleic acid, the essential n-6 fatty acid, was abundant in its thigh meat. The KNC were characterized by a high pro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and α-linolenic acid and arachidonic acid, which were essential fatty acids. Electronic nose revealed that the meat aroma pattern was clearly different from each other. Consumer test results revealed that OLH had the lowest overall acceptance, while no differences were found on flavor, texture, juiciness and appearance between WSB, CB and KNC. Therefore, KNC shows possibility to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Samgyetang Meanwhile, additional process is required to tenderize the meat of OLH. In study 2, the effect of thawing temperature (0℃ or 10℃) and thawing method [water immersion (WT) or refrigerator (RT)] on quality and consumer acceptance of traditional and retort Samgyetang made from WSB was investigated. At 10℃, higher thawing loss and total loss with shorter thawing time were observed in RT than in WT. In addition, high thawing temperature in refrigerator increased the shear force value of WSB. However, the thawing temperature and method did not affect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cooked meat. The higher the thawing temperature was, the higher the shear force and total loss were observed in traditional Samgyetang. Inosine monophosphate (IMP) and hypoxanthine contents were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of thawing temperature and thawing method.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revealed that as the thaw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intensity of tenderness and chewiness increased. In retort Samgyetang, the higher the thawing temperature was, the higher the shear force value of the thigh muscle was observed in WT group. The concentration of IMP was higher in WT, on the other hand, hypoxanthine content increased as higher thawing temperature was applied in both RT and WT. In QDA, the higher thawing temperature was, the higher intensity of chewiness was. Therefore, low thawing temperature and water immersion thawing were recommended to manufacture retort Samgyetang with high quality. In the first experiment of study 3, the effects of the curing solution and the smoke solution on the quality and consumer acceptance of traditional Samgyetang made from WSB were investigated. The curing solution treatment increased the lightness and decreased the redness, on the other hand, the smoking solution treatment decreased the lightness and improved the redness and yellowness. Curing increased pH, curing uptake and moisture content, but decreased total weight loss and shear force value in comparison with control. Consumer acceptance test revealed that curing increased the score of taste, juiciness, tenderness, and overall acceptance. It was concluded that the curing process for raw chicken carcass could improve the quality and consumer acceptance of traditional Samgyetang. Second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ring process and F0(8 vs 28) value on quality and consumer acceptance of retort Samgyetang. The curing process decreased the shear force value but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cooked me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concentration of IMP according to the F0 values, but hypoxanthine content increased as the F0 values increased in the cured groups. Consumer acceptance test revealed that curing process increased the score of taste, juiciness, tenderness and overall regardless of F0 valu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retort Samgyetang, it is recommended to pre-treat the raw chicken carcass through curing process.

      • 카놀라유를 첨가한 산란 성계육 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산란 성계육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카놀라유 소시지 제조 및 연구

        백기호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산란 성계육의 원료육으로서의 이용가치를 구명하고 그 이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돼지 등지방의 대체재로서 카놀라유를 첨가한 산란 성계육 유화형 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산란 성계육의 주령에 따른 육질특성 및 가공적성을 평가하였으며, 브로일러를 대조구로 하여 원료육으로서의 이용 가치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육질특성의 경우 브로일러가 산란 성계육보다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산란 성계육 내의 주령에 따른 차이가 미세하여 고연령 성계육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고연령 성계 다리육의 높은 전단력과 질긴 조직감은 일련의 전처리 혹은 조리방법을 통해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지방산 조성의 경우 주령에 따른 처리구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다만 브로일러보다 산란 성계육의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유화물 특성에서도 마찬가지로 브로일러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산란 성계육 처리구 간에는 전단력과 경도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육질특성 및 가공적성에 있어서 고연령 성계육의 경우에도 저연령 성계육에 못지않은 이용가치가 있었다. 연구 2에서는 돼지 등지방과 카놀라유의 첨가 비율에 따른 산란 성계육 소시지의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전체 지방 비율 중 50% 이상의 카놀라유를 첨가할 경우에 낮은 가열감량을 나타냄과 동시에 단단한 조직감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카놀라유의 첨가 비율이 늘어남에 따라 올레산의 함량이 높아짐과 동시에 포화지방산에 대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아지고, 오메가3 지방산에 대한 오메가6 지방산의 비율이 낮아져 건강에 이상적인 지방산 조성을 보였다. 연구 3에서는 카놀라유를 첨가한 산란 성계육 소시지에서 감자 전분의 첨가에 따른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감자 전분을 4% 이상 첨가하였을 경우 우수한 보수력을 나타냄과 동시에 낮은 가열감량 및 수분손실을 나타내었다. 조직감 특성에 있어서 감자 전분을 4% 첨가한 경우에 가장 단단한 성질을 나타내어 카놀라유를 첨가한 산란 성계육 소시지를 제조함에 있어 감자 전분의 첨가가 안정적이고 단단한 유화물을 형성할 수 있었다. 연구 4에서는 산란 성계육을 이용한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동물성 돼지 지방의 대체재로서 카놀라유를 첨가하였을 경우 우수한 보수력으로 인해 단단하면서도 안정적인 유화물의 형성이 가능하였으며, 관능 특성에 있어서도 기존의 소시지와 동등한 수준의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또한, 카놀라유의 첨가는 소시지 제품의 이상적인 포화지방산에 대한 불포화지방산과 오메가3 지방산에 대한 오메가6 지방산 비율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our studies were conducted to optimize the use of spent layer as partial meat resources and canola oil as fat resources for manufacturing emulsion-type sausages. Study 1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at and processing qualities between commercial broiler and spent layer with its different ages. Study 2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ixing ratio between pork back fat and canola oil as fat resourc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ent layer sausages. Study 3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otato starch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nola oil sausage made from spent layer meat. Study 4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nola and flaxseed oil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ies of spent layer emulsion sausage. Three different types of meat samples were prepared in study 1: Commercial broiler (Arbor acre; 6 weeks), young spent layer (Hy-line; 70 weeks), and old spent layer (Hy-line; 95 weeks). Except for texture,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for meat quality between young and old treatments. Thus, old spent layer also had equivalent potential as raw materials with commercial young spent layer. Five types of sausages were made with different fat ratios of total fat in study 2: 100% pork back fat, 25% canola oil with 75% pork back fat, 50% canola oil with 50% pork back fat, 75% canola oil with 25% pork back fat, and 100% canola oil. Using canola oil more than 50% of total fat not only showed lower cooking loss but also resulted in tighter texture than the other treatments (p<0.05). The more intensive canola oil was used, the less saturated fatty acids and omega-6 to omega-3 fatty acids ratio were observed (p<0.05), while the result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oleic acid content showed reversed pattern (p<0.05). As a result, using canola oil could form emulsion stability of meat batter as much as using pork fat, and showed high potential for manufacturing healthier product. Four different types of spent layer sausages were prepared with canola oil in study 3: no potato starch (PS0), 1% potato starch (PS1), 4% potato starch (PS4), and 6% potato starch (PS6) respectively. The more intensive potato starch was used, the higher water holding capacity and lower cooking loss value were observed (p<0.05). PS4 showed the highest shear force and hardness value (p<0.05), and PS6 also showed higher tight texture value than PS0 and PS1. As a result, adding potato starch showed potential for manufacturing stable and tight emulsion sausage. Three different types of emulsion-type sausages were made with different fat sources in study 4: 20% pork back fat (Control), 20% canola oil (Canola) and 20% flaxseed oil (Flaxseed) respectively. The highest water holding capacity was observed in Canola (p<0.05), consequently resulted in lower water loss than others (p<0.05). For sensory evaluations, Canola showed similar acceptance in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with Control. In conclusion, canola oil could be used as animal fat replacer for manufacturing healthier emulsion-type sausage made from spent layer meat with acceptable quality attributes.

      • 시설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생활 시설과 그룹 홈 청소년을 대상으로

        김동희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Recently korea has undergone major change. Socially and culturally the society has changed from large family to nuclear family, and due to the break up of Confucianism, the family is breaking up with running away and divorce, and the spreading of neo-capitalism the polarization has hardened so families are breaking up economically. So children and adolescents that need society's protection is rising, and the problem of social adaptability of adolescents that live in facility is rising. This research is dedicated to finding a desirable way to help the adolescents adjust by comparing the group home and mass living facility and find the factors that effect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adolescents that live in facilities. For this a research was done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13 and 19), that lived in living facility and group home for more than six month and the result was following. First, in mental social adaptation, the youth in age of 15, 16 showed the highest drop in social adaptation. When seeing with the cause for being admitted, parent's divorce showed higher social adaptation than parent's death. When compared with period of staying, the longer the stay was, the higher the social adaptation was. In social support, the children with high support from the teachers and friends showed higher social adaptation. Second, in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when comparing reason of entrance, parent's divorce case showed higher noticeable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than those who's parent's passed away, and as the dwellers in a single room rose, their adaptability to social adaptation dropp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acilities, adolescent's in a group home showed noticeable higher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than those in living facilty. In social support the adolescents with high support from teachers and friends showed higher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Third, a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done to see the effect the personal characteristic of the youth in facility, the characteristic of family, facility characteristic, and social support in the whole social adaptation, there were positive effect in period of stay and support from teacher, and negative effect in types of facility. So, the longer the period, the adolescents in group home show higher social adaptation than those in living facility, and the adolescents in facilities showed higher social adaptation when supported by teachers. Fourth, in mental social adaptability the period and support from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as to the number of meeting parents showed a noticeable negative effect. So the longer the period, the higher the support from the teacher the higher was the mental social adaptation, and the frequent the meet with parent, the higher was the drop. Five, in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there were negative effect factors in the survival of the parents, such as parents passed away, only mother living or not, the number of roommates, and types of facilities, and positive effect was found in support from a friend, a part of the social support, while the other factors showed no noticeable effect in adolescent's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In another words, higher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was shown with those whose parents, farther, was living, less roommates, and high support from friends, and group home living youth had better results than those in a living facility. Using the result as base, we propose following ways to improve adolescent's social adaptation. First, even though group homes showed higher social adaptability than mass living facility, the legal grounds for the vitalization of group home is very weak and the governmental support is hard to obtain unless the facility is governed by the government and is relying on the help from individuals for religious groups. Therefore, govermental support such as, improvement of the law grounds to ease the regulation of the installation and collaborating the local society for financial support, is urgent. Second, adolescents in facility show antinomy mental and action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separation from parents, reaction of the society, invaded privacy due to the mass living, and so on. To react properly to these mental state, professional counselor is needed and teachers should be educated in adolescent's counselling and right amount of intereference and help is needed to the parent's of the youth that live in facility. Third, the fact that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is highly effect by the support from a friend, a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the adolescent period, in order to increase the friend support, rather than protecting the privacy of those in the facility, program such as casually inviting the friends to the center for a natural relationship to blossom and contrarian thinking such as an active talking channel with the teacher is needed. Keyword: social adaptability, social support, living facility, group home, parents factor, facility factor 최근 들어 한국 사회는 심각한 변화를 겪고 있다. 사회․문화적으로 전통적인 대가족 대신 핵가족 사회로 급격히 변화하였으며, 유교 관습의 해체로 인한 가출․이혼 등 가족 해체를 겪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신자유주의의 확산으로 인해 심각한 사회의 양극화 현상으로 인하여 경제적 고통 속에서 해체되는 가정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의 적절한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과 청소년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었고, 시설에서 생활하는 청소년의 사회적응력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설 청소년의 사회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 대규모 생활 시설의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그룹 홈과 대규모 생활 시설 간을 비교함으로써 시설 청소년의 사회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생활 시설과 그룹 홈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중․고등학생(13세 이상 19세 미만)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정서적 사회적응력에서는 시설 청소년의 연령별로 보면 15~16세 청소년의 경우가 정서적 사회적응력이 가장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입소 사유별로 보면 부모 이혼의 경우가 부모가 사망한 경우 보다 유의적으로 정서적 사회적응력이 높게 나왔다. 입소 기간별로 보면 전반적으로 입소 기간이 길어질수록 정서적 사회적응력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사회적 지지에서는 보육 교사 지지와 친구 지지에서 지지가 높은 청소년이 낮은 청소년 보다 정서적 사회적응력이 높게 나왔다. 둘째, 행동적 사회적응력에서는 입소 사유별로 보면 부모 이혼의 경우가 부모 사망의 경우 보다 행동적 사회적응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왔고, 한 방 거주자 수가 많을수록 행동적 사회적응력에서 적응력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시설 유형의 경우 그룹 홈 청소년이 생활 시설 청소년 보다 행동적 사회적응력이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나왔다. 사회적 지지에서는 보육 교사 지지와 친구 지지에서 지지가 높은 청소년이 낮은 청소년 보다 행동적 사회적응력이 높게 나왔다. 셋째, 시설 청소년의 개인 특성 요인, 가족 특성 요인, 시설 특성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이 사회적응력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입소 기간과 보육 교사 지지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던 반면, 시설 유형에서는 부(-)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었다. 즉, 입소 기간이 길수록, 그룹 홈 청소년이 생활 시설 청소년 보다, 또 보육 교사 지지가 높을수록 시설 청소년의 사회적응력 전체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정서적 사회적응력에서는 입소 기간과 보육 교사 지지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던 반면, 부모 만남 횟수에서는 유의적인 부(-)의 영향력이 있었다. 즉, 입소 기간이 길수록, 보육 교사 지지가 높을수록 시설 청소년의 정서적 사회 적응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부모 만남이 빈번할수록 오히려 정서적 사회적응력이 유의적으로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행동적 사회적응력에서는 부모 생존 여부에서 부모 모두 안 계신 경우와 있는 경우, 엄마만 생존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한 방 거주자 수, 시설 유형에서 유의적인 부(-)의 영향력이 있었고, 사회적 지지에서 친구 지지의 경우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는 반면, 기타 변인은 시설 청소년의 행동적 사회적응력에서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었다. 즉, 부모가 있을 경우 아빠가 있는 경우, 한 방 거주자 수가 적을수록, 그룹 홈 청소년이 생활 시설 청소년 보다, 또 친구의 지지가 높을수록 시설 청소년의 행동적 사회적응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시설 청소년의 사회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을 제안할 수 있다. 첫째, 그룹 홈이 대규모 생활 시설에 비해 시설 청소년의 사회적응력이 높게 나왔지만, 그룹 홈 활성화를 위한 법적인 근거가 매우 미약하여 정부가 운영하는 일부 시범 그룹 홈을 제외하고는 중앙 정부나 지방 정부의 재정적․정책적 지원을 기대할 수 없고 개인이나 종교기관의 온정에만 기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그룹 홈의 법적 규정을 빨리 완비하여 설치 규제를 완화하고 지역 사회와의 연결을 통해 재정적 지원을 해주는 채널을 활성화하는 등 중앙 정부나 지방 정부의 과감한 지원이 시급하다. 둘째, 시설 청소년은 부모와의 별거, 주변의 시선, 집단생활로 인한 개인 사생활 침해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복잡하고 이율배반적인 심리와 행동 상태를 보이고 있다. 시설 청소년의 이런 심리적 상태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 전문적인 심리 상담사를 배치하고, 보육 교사도 전문적인 청소년 심리 상담에 대한 교육을 받아야 하며, 시설 청소년의 부모에 대해서도 적절한 개입과 조언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시설 청소년의 행동적 사회적응력에서 친구의 지지가 중요한 것을 청소년기의 행동적 특징으로 볼 수 있는데, 친구의 지지를 높이기 위해 시설 청소년의 프라이버시를 숨기기보다는 시설 청소년의 친구들을 시설로 초대하여 자연스럽게 인간관계를 형성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 이를 위해 학교 교사와의 적극적인 대화 채널을 개발하는 역발상이 필요하다. 핵심어: 사회적응력, 사회적 지지, 생활 시설, 그룹 홈, 부모 요인, 시설 요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