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염병 수학 모델링에서의 모수 추정 및 불확실성 예측 : 말라리아 사례연구

        강미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thesis focused on mathematical modeling in epidemiology. In particular, we reviewed a standard method for parameter estimation in SIR-type mathematical models. Moreover, we studied two approaches to find out how accurate the model described the epidemic outbreaks and how sensitive the parameter on the model output was. Bootstrapping and asymptotic methods are used for uncertainty analysis. First, we carried out parameter estimation and uncertainty analysis for the Plague which happened in Eyam, United Kingdoms in 1666. Secondly, we carried out parameter estimation and uncertainty analysis for malaria outbreaks which were reported in the areas of military base from 2010 to 2012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에 대해서 그 의미를 살펴보고 전염병에 있어서 수학적 모델링을 구현하고 모수를 추정하여 전염병의 발생추이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미래의 발병 가능성에 대해 예측하고자 실시하였다. 수학적 모델이 전염병 발병을 어떻게 설명하는지와 전염병 수학적 모델에서 모수가 얼마나 민감하지를 알아내기 위해 부트스트랩핑과 점근이론 두 가지 접근 방법 중 점근이론을 이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군부대 지역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환자 신고자료 중 755건의 삼일열 말라리아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1666년 영국 Eyam지역에서 일어났던 페스트(흑사병)에 SIR 모델을 실제 적용한 사례의 자료 261건을 인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말라리아 모델링 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앞으로 진행되어야할 부분이 더 많고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을 매개효과로

        정동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then look into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Study subjects were 31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for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used following 4 study tools: (1) in order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demographic features, a survey of 9 questions was conducted; (2) in order to look into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this study used the job stress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Clark (1980), modified by D′Arenzo, Morraco & Krajeski (1981), supplemented by Shin, Hye Yeong (2004)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utilized by Baek, Yeong Sook (2014); (3)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this study used the ego-resilience measurement tool, developed and validated by Klohen (1996) based on 29 items of CPI (C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 which are related to ego-resilience, adapted by Park, Hyeon Jin (1996), and utilized by Bae Mirinae (2014), by modifying them; and (4)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developed by Jo, Seong Yeon et al. (2011) and utilized by Choe, Seon Gyeong (2011).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the SPSS 23.0 program and following analytic techniques were used: (1) in order to examine respondent's demographic features,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2)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measurement tool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3) in order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every scale, inter-item consistency coefficient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4) in order to confirm whether every variable satisfies normal distribution hypothesis, the values of skewness and kurtosis were calculated; (5)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6)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sub-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nd ego-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7) in order to verify whether ego-resili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verification procedure of mediating effect of Barron & Kenny (1986) and in order to re-verify the mediating effect, Sobel Test was carried out. Study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cor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ll the sub-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ego-resilience 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role. Study findings seem to be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eem to suggest the fact that job stress could decrease job satisfaction, but ego-resilience could increase job satisfaction. The author hopes study findings will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establishment of diverse support systems to increase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including some ego-resilience programs, thus decreasing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their positive performance of job, and increas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재직 중인 보육교사 314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네 가지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9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Clark (1980)가 개발하고 D′Arenzo, Morraco 와 Krajeski(1981)가 수정한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신혜영(2004)이 보육교사에 맞게 제작하고 백영숙(2014)이 활용한 직무스트레스 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Klohen (1996)이 캘리포니아 인성검사(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 CPI)에서 자아탄력성과 관계있는 29개 문항을 구성하고 타당화하여 개발한 도구를 박현진(1996)이 번안하였고, 배미리내(2014)가 활용한 자아탄력성 측정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조성연 외(2011)의 한국형 보육 교사직무 만족척도(Korean Childcare Teacher's )를 최선경(2011)이 활용한 직무만족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 분석은 SPSS 23.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분석절차는 첫째, 설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각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항내적합치도(Cronbach’ ) 계수를 산출하였다. 넷째, 각 측정변인이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왜도와 첨도값을 산출하였다. 넷째, 각 측정변인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Bar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재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이직의도는 각 하위요인 전체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아탄력성의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를 감소시키더라도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의 증진을 도모하는 다양한 자아탄력성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지원체계가 구축되어 보육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보육교사들의 긍정적인 직무수행을 통한 직무만족이 높아져서 보육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가족건강성이 유아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 탄력성과 유아 리더십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윤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과 유아 또래상호작용, 유아 탄력성 및 유아 리더십의 관계를 파악하고, 유아 탄력성과 유아 리더십이 매개했을 때 가족건강성이 유아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5세 유아와 그 어머니를 짝지어 설문한 총 427부를 대상으로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과 구조방정식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인인 유아 탄력성과 유아 리더십을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또한 간접적으로 가족건강성이 유아 또래상호작용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독립변인인 가족건강성이 매개변인인 유아 탄력성과 유아리더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변인인 유아 탄력성과 유아 리더십이 종속변인인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유아 탄력성과 유아 리더십이 매개했을 때, 유아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가족건강성의 영향력이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며, 유아 탄력성과 유아 리더십이 매개했을 때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가족건강성의 영향력이 더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유아 탄력성의 하위 요인인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와 유아 리더십의 하위 요인인 주도성, 사교성, 민감성, 자발적 몰입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탄력성과 유아 리더십을 향상시키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을 유지하는 방안과 유아 탄력성 및 유아 리더십의 향상을 꾀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통한 가정과 유아교육기관 간의 긴밀한 연계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 외에 본 연구가 지니고 있는 한계점을 제시하고 향후 보다 발전적인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family strength, child-peer interaction, child’s resilience, and child’s leadership, as well 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 on child-peer interaction when child’s resilience and child’s leadership is mediated. A total of 427 5-year-old children coupled with their mothers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e analysis, SPSS WIN 18.0 was used, and the Pearson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were calculated.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strength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peer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cluding the mediating variables such as child’s resilience and child’s leadership also indirectly show that family strength has an effect on the child-peer interaction. Second, the independent variable, family strength,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hild’s resilience and child’s leadership. Third, mediating variables such as child’s resilience and child’s leadership have positive implications for the subordinate variable, peer interaction. Fourth, when the child’s resilience and child’s leadership were mediated, the influence of family strength on the child-peer interaction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family strength was a major variable that positively affected child-peer interaction, and the influence of family strength on child-peer interaction increased as the child’s resilience and child’s leadership were mediated. I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fact that the subordinate factors of child’s resilience, which include attachment, initiative, and self-control, along with the subordinate factors of child’s leadership, which include initiative, sociability, sensitivity, and voluntary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peer interaction. Therefor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child’s resilience and child’s leadership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expecte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family strength and enhance child’s resilience and child’s leadership. It is also important to emphasize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hom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the activ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Also,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in this paper.

      •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놀이신념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김수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놀이신념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10곳에 만 3-5세 자녀를 둔 어머니 207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을 측정하기 위해 Halberstadts, Cassidy, Stifter, Parke와 Fox(1995)가 제작한 가정에서의 자기표현 질문지(SEFQ)를 한영민(2005)이 번안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Fogel(2003)이 제작한 PPBS(the Parent Play Beliefs Scale)을 유미(2008)가 요인분석을 통해 수정·보안하고 교육전문가 2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은 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창의적 인성 검사는 Rimm(1983)의 PRIDE를 참고하여 이영, 김수연, 신혜원(2002)이 제작한 ‘유아용 창의적 행동특성검사(RSCCP)’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2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207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검사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놀이신념 그리고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넷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놀이신념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놀이신념 그리고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경향을 살펴본 결과 선행연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놀이신념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전체와 놀이신념 전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의 하위변인인 긍정적 정서표현이 창의적 인성 전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놀이신념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높이는 변인임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으며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놀이신념,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를 밝혀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변인임을 증명한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play belief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personal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207 mothers whose young children aged three to five attending to 10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following are three questionnaire tools that were used in this study. First, to examine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it used what Han(2005) devised from Self-Expressiveness in Family Questionnaire(SEFQ) by Halberstadts, Cassidy, Stifter, Parke, and Fox(1995). Second, to examine mothers’ play beliefs, it used Yu(2008) adapted PPBS(The Parent Play Beliefs Scale) produced by Fogel(2003). Third, to examine young children’s creativity personality, it used rating scale for creativ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RSCCP) produced by Lee, Kim, and Shin(2002). The procedur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20 mothers for preliminary survey and 207 mothers for main survey. Analyzing data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general background of research subjects. Second, Cronbach’s α coefficient were calculated for testing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tools. Thir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correlation among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play beliefs, a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personality. Fourth, to discover what influence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play beliefs a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personal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ie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play beliefs, a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personality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Second, as a result of carrying our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relationship among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play beliefs were shown positive correlation. Third, the result of how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play beliefs affect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showed that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which is sub-factor of emotional expression had a e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in general. This study examined about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play belief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person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play beliefs were the variables that increase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personality.

      • 교사민감성과 교사-어머니 관계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교사민감성과 교사-어머니 관계,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민감성과 교사-어머니 관계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재직 중인 영아 교사 83명과 영아 393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네 가지 연구 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영아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7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교사민감성은 Gerber(2003)가 개발한 교사민감성(teacher’s sensitivity)척도를 김미영(2010)이 번안하고 이민영이 2014년에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셋째, 교사-어머니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Owen, Ware, Barfoot(2000)가 개발한 The Caregiver-Parent Partnership Scale(교사-어머니 협력관계 척도)를 임우영과 안선희(2011)가 번역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은 Jewsuwan, Kostelnik, Luster(1993)가 개발하고, 오종은(2001)이 번안한 유아교육기관 적응 질문지(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aire: PAQ)를 김민영(2014)이 5점 Likert 척도로 변환한 것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예비조사에서 영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교사민감성과 교사-어머니 관계,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해 알아보고자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민감성과 교사-어머니 관계,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민감성과 교사-어머니 관계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민감성과 교사-어머니 관계,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민감성과 교사-어머니 관계,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민감성과 교사-어머니 관계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민감성과 교사-어머니 관계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며,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요인을 밝혔다. 이에 교사민감성을 높이고 긍정적인 교사-어머니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보육의 질 향상을 돕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sensitivity, teacher-mother’s partnership and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and to discover what influence teacher’s sensitivity and teacher-mother’s partnership affect on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Subjects of this study are 83 child care teachers who work infant class and 393 infants in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Four survey tools us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urvey consisted of 7 questions was accomplished to find out general trait of child care teacher. Second, to find out teacher’s sensitivity, the research uses research of Lee min-young(2014) who modified teacher’s sensitivity(Gerber, 2003) translated by Kim mee-young(2010). Third, teacher-mother's partnership is determined by The Caregiver-Parent Partnership Scale based on survey developed by Owen, Ware, Barfoot(2000) and translated by Im woo-young, Ahn sun-hee(2011). Finally,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aire(PAQ) was developed by Jewsuwan, Kostelnik, Luster(1993), translated by Oh jong-eun(2011), and modified by min-young(2010). Research of Kim min-young(2010)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to study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As procedure of the research, a preliminary survey of 20 child care teachers and a main survey of 83 child care teachers and 393 children are conducted. As means of research, first,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eacher’s sensitivity and teacher-mother’s partnership and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Second,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was conducted to discover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sensitivity and teacher-mother’s partnership and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Finally, to discover what influence teacher’s sensitivity and teacher-mother’s partnership affect on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to discover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nsitivity, teacher-mother’s partnership and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there ar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sensitivity, teacher-mother’s partnership and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Second, discovery of what influence teacher’s sensitivity and teacher-mother’s partnership affect on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shows that teacher’s sensitivity and teacher-mother’s partnership give influence on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Consequently, this research provides base data of what influence teacher’s sensitivity and teacher-mother’s partnership affect on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and clarifies main factor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Thus,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associated with teacher’s sensitivity and teacher-mother’s partnership,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 care.

      •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명신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은 어떠하며,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67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10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 측정도구는 Davis(1994)가 개발한 대인관계 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를 이상순(2007)이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재구성한 설문지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셋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정척도(Bredekamp & Apple,1986; Howes& Smith, 1995)를 기초로 이정숙(2003)이 수정 보완한 자기 보고식 평정척도에 유아란 용어를 영유아로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어린이집교사들의 공감능력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평균이상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개인적 고통은 정서적, 언어적 상호작용과는 부적상관 관계를 보였지만 행동적 상호작용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의 하위요소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개인적 고통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서적 공감의 공감적 관심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하위요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인지적 공감의 관점취하기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며,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높여 줄 요인을 밝혔다. 이에 향후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 교육과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함으로써 유아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fants, and then look into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on their interaction with infants. Study subjects were 367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For this, this study used following tools of questionnaire survey: First, in order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demographic features, a 10-item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Second, in order to test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of Lee Sang-sun (2007), a reorganization of IRI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of Davis (1994) for teachers. Third,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he author restructured the self-reporting type rating scale of Lee Jeong-suk (2003),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rating scal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by Bredekamp & Apple (1986) and Howes & Smith (1995) by modifying/supplementing them. In order to process data statistically, such analytic techniques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descriptive statistic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general trends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descriptive statistics was carried out.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was above the averag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Such sub-variables of empathetic ability as viewpoint taking, imagination and empathetic interes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ch sub-variable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s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Personal pains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emotional and verbal interactions, but it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ehavioral interaction. Third, as for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form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latter. Such sub-variables of empathetic ability as viewpoint taking, imagination and personal pain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the sub-variable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the empathetic interest out of empathetic ability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all the sub-variable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However, the viewpoint taking of cognitive empathy had biggest effect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worked out data o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found out factors that increasing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author hopes study's findings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teacher-training programs with which teacher's empathetic ability increases and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mproves.

      • 어린이집교사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조직몰입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화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사회적지지, 조직몰입, 교수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사회적지지가 조직몰입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지역의 어린이집교사 330명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네가지 설문도구는 어린이집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8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어린이집교사의 사회적지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임진형(2000)이 수정. 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직몰입은 Allen과 Mayer(1990)가 개발하고 권성민(2013)이 재구성한 것을 이용하였으며, 교수효능감은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를 기초로 신혜영(2004)이 어린이집의 일반적인 상황에 맞게 문항을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SPSS WIN version 23.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측정도구의 문항간 신뢰도를 검증하는데는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는 기술통계를 구하였고 문항별 상관관계는 pearson의 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사회적지지가 조직몰입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위해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이 조직몰입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i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 조직몰입, 교수효능감의 일반적경향은 어린이집교사들이 평균이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교사의 사회적지지, 조직몰입, 교수효능감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교사의 사회적지지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은 정서적지지가 조직몰입 전체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물질적 지지는 조직몰입 전체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집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으로는 개인적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 직장에서는 보편화된 사회적지지와 조직몰입을 어린이집교사들에게도 적용하여 어린이집교사가 전문직으로서 보육의 질을 높이고 강화 역할을 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사회적지지, 조직몰입, 교수효능감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내어 어린이집교사의 역할과 보육의 전반적인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ing efficacy, and then look into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ing efficacy. Study subjects were 330 child-care teachers in Gyeonggi-do. And this study used four questionnaire survey tools: (1) in order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demographic features, a questionnaire survey with 8 items was carried out; (2) in order to analyze social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the tool developed by Park Ji-won (1985) and supplemented/modified by Yim Jin-hyeong (2000) was used; (3)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ool developed by Allen & Mayer (1990) and restructured by Gwon Seong-min (2013) was used; and (4) for teaching efficacy, the tool developed by Shin Hye-yeong (2004) on the basis of STEBI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of Enochs & Riggs (1990) by modifying its items according to general situations of child-care centers was used.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WIN version 23.0 program. In order to find out demographic features,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test the reliability of items, Cronbach’s α was calculated. For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items, descriptive statistic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item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ing efficacy,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ing efficac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end of social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ing efficacy were above averag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ocial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ing efficacy. Thir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ignificant in general. Emotional support, a sub-variable of social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whole, whereas material support, a sub-variable of social support, had nega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whole. Fourth,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on teaching efficacy was significant in general. Regarding the sub-variables of teaching efficacy, personal efficacy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This study is seemingly meaningful in that it applied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wo factors that are generally applied to ordinary workplace, to child-care teachers and then tried to improve and strengthen their quality of child-care as a specialized job. The author hopes many follow-up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ing efficacy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hus providing help to the role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development of child-care in general.

      •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협동적 조직문화가 교사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샘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aims to look into how child care center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and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 care center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can influence teacher empowerment, thereby encourag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effective operation and forming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within child care center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381 child care teach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tools us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survey consisting of five question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general backgrounds of the subjects. Second, Cherniss & Goleman’s Emotional Intelligence Inventory (EII: 2001)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Yoon Jungmi (2014) based on each child care center’s situation was used in the research as to identify child care center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Third, as to look into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 care centers, Gruenert’s School Culture Survey (SCS: 1998)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Park Shinyoung (2011) was once again modified and complemented in this research tailored to individual child care centers. Finally, to analyze empowerment of child care teachers, Short & Rinehart’s School Participate Empowerment Scale (SPES: 1992)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Seo Myungsoon (2008) for kindergartens was once again modified and complemented in this research tailored to individual child care centers. The research procedure involves a survey conducted on 20 respondents in pilot survey and 381 respondents in main survey. As for research method, One-way ANOVA was conducted as to analyze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child care center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 empowerment based on teachers’ general backgrounds. Also, Duncan’s post verification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ct relationship among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 empowerment. Las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analyze the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as well as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s impact on teacher empowerment. The result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all groups by analyzing general backgrounds (ex. size of organization, job position, academic credentials, work history and hours) of child care teachers. Meanwhile, on the academic credential par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only in empowerment.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correlations in all the relationships among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 empowerment. Third, among sub-factors of emotional leadership, self-management and relationship management skills have impact on teacher empowerment by looking into how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and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can influence teacher empowerment. Moreover, among sub-factors of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cooperative leadership, specialty development, goal correspondence and learning partners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eacher empowerment. As a result, the research has identified child care center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and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can be an significant motivation for teachers to fully unleash their potential. Hopefully, this research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effective operation of child care centers and creating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be utilized as base data in the future for supporting child care centers and teachers.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어린이집의 협동적인 조직의 문화가 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어린이집 현장에서의 효율적인 운영과 긍정적인 조직문화 형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교사 38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5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알아보기 위하여 Cherniss와 Goleman(2001)의 감성역량척도(EII:Emotional Intelligence Inventory)를 윤정미(2014)가 어린이집 상황에 맞게 수정 ‧ 보완한 도구를 본 연구에 그대로 사용하였다. 셋째, 어린이집의 협동적 조직문화는 Gruenert(1998)의 학교문화검사(SCS:School culture survey)를 박신영(2011)이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한 것을 본 연구자가 어린이집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는 Short와 Rinehart(1992)의 학교환경 내의 임파워먼트 수준평가척도(SPES:School Participate Empowerment Scale)를 서명순(2008)이 유치원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것을 본 연구자가 어린이집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예비조사 20명, 본 조사 3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어린이집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원장의 감성리더십, 협동적 조직문화, 교사 임파워먼트 지각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Duncan 사후검증을 통하여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원장의 감성리더십, 협동적 조직문화, 교사 임파워먼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협동적 조직문화가 교사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일반적 배경(기관규모, 직위, 최종학력, 근무경력, 근무시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모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학력에서는 임파워먼트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협동적 조직문화, 어린이집 교사 임파워먼트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협동적 조직문화가 어린이집 교사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자기관리능력, 관계관리능력이 교사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협동적 조직문화의 하위요인 중 협동적리더십, 전문성개발, 목적일치성, 학습동반자가 교사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장의 감성적인 리더십과 협동적인 어린이집 문화가 교사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중요한 동기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이에 본 연구가 어린이집 현장에서의 효율적인 운영과 긍정적인 조직문화 형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어린이집과 교사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어린이집교사의 정서지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미경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solving skill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problem solving skill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hild care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and total 299 survey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assess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Wong and Law Emotional Inteligence Scale (Wong & Law, 2002), which was revised by Han and Yoo (2005) was used. Also, the instrument developed by S. Lee, Chang, H. Lee, and Park (2003) was utilized to measure teachers’ problem solving skills.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with 30 teachers, and the mai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with 299 teachers.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SPSS 18.0 program. In order to find out the participants’ demographics and working conditions, frequency statistics was conducted. Also, to assess internal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their internal consistency was analyzed. Furthermore, descriptive statistic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solving skills. Lastl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 First,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solving skills were above the average. This indicated that child care teachers were able to accurately understand, appropriately control their emotions, and use emotional information, and had wills to solve various problems with given information. Second,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solving skill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Thus, as teachers have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they have better problem solving skills. Among sub-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use of emotion was related to problem solving skills the most. Among sub-factors of problem solving skills, planning and implementing were related to emotional intelligence the most. These findings show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facilitating emotional information would lead to positive and effective outcomes in problem solving situations. Finally,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problem solving skills. Among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facilitating emotions consistently predicted all the sub-factors of problem solving skills, while perceiving one’s emotion predicted the least. In case of solving problems, child care teachers tended to understand others’ emotion first, used emotional information for personal practices, and tried to perceive emotions through infants’ perspective, and appropriately used various emo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d basic information o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can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problem solving skill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various environmental variables affecting emotional intelligence. The current study is meaningful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ventually contribut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정서지능과 문제해결능력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정서지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영유아교사이며,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최종적으로 299부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는 Wong과 Law가 개발하고 한지현과 유태용이 번안한 정서지능 측정도구인 WLEIS(Wong and Law Emotional Inteligence Scale)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이석재 등이 개발한 생애능력측정도구 중 문제해결능력 진단도구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30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와 299명을 대상으로 한 본 조사의 절차를 거쳤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구성 분포 및 근무배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 도구의 내적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로 측정된 문항의 내적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어린이집교사의 정서지능 및 문제해결능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어린이집교사의 정서지능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및 정서지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어린이집교사가 지닌 정서지능과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과 문제해결능력은 보통 이상의 수준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어린이집교사가 본인의 현재 정서를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기분을 적절하게 관리통제하며 정서가 내포된 정보지식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의지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어린이집교사의 정서지능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는 정적이고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정서지능이 높은 교사일수록 문제해결능력 수준이 높다는 것을 가리킨다.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들 중에는 정서활용이 문제해결능력과 가장 깊게 관련되어 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 요인 중에서는 계획 및 실행수준이 정서지능과 가장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황을 조직하고 실행에 옮기는 과정에서 정서지능과 정서 정보 활용이 개인의 수행을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방향으로 촉진시키는 능력과 관련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어린집교사의 정서지능이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살펴 본 결과 정서지능은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 중에서도 정서활용은 문제해결능력의 다섯 하위 요인들 모두에게서 일괄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되었고 자기정서인식은 가장 약하게 예측되었다. 이는 어린이집교사들이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자신의 감정상태보다 타인의 관점에서 감정을 이해하는 경향을 보이고, 정서정보를 개인적 업무 처리를 위해 활용할 뿐 아니라 영유아들의 입장에서 정서를 인식하며 바람직한 방향의 정서를 발생시키는데 활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정서지능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어린이집교사가 반드시 갖춰야 할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요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집교사의 정서지능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관심을 촉구하고, 향후 보육환경과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