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간구조 분석을 통한 대학캠퍼스 주변지역 환경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를 중심으로

        유지훈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area around campus is a significant factor of image of the city because most of people can experience campus culture at the area. Also universities conduct developments of cultural landscape, image of the city, knowledge, information, art, culture economic industry, etc. Around the campus is a site which can provide visible feelings of role of university. So, the site has a power of studies which belongs to the university, therefore the site is an important landscape by providing functions of facilities which are not in university like rest and remove tension of study. However most of area was developed commercial, residential area in ignoring the connection with campus. Until now, for propos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ampus considering connection with around the campus, I chose 4 sectors to analyze space structure on the basis of space syntax and investigation of present situation. Then, this study shows the way of improvement around each sector considering cultural landscape and the connection development. Moreover, proposed the way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each sector’s feature, administration and system, community involvement awarenes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ways of each sector are following: Proposed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connection enforcement. Especially, improvement of pedestrian protection, wall removal project, development of undeveloped area of 1sector considering campus. Proposed making cultural landscape and enforcement of connection,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finding new identity by making buffer facilities between commercial area and residential area. Proposed environmental improvement aims to improvement the image of the city through making cultural landscape. To be concrete, this study suggests 1) establishing a guideline of the landscape accord with facilities, 2) improvementing environment through student involvement, 3) building a square in utilizing property of university 4) maintaining streets in modifying outdoor advertisement. Nevertheless 4sector has been improved because of the east gate the connection is ineffective because that was developed as commercial area for the inhabitants. The east gate have an advantage of physical distance however, it has ineffective connection in space structure. Accordingly 4sector needs to improvement environmental improvement by making regional identity for the inhabitants. Also, it can be future area of the campus by developing facilities of the university in conclusion.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organization of a group who can maintain good condition of street from outdoor advertisement and illegal parking. This study proposed several ways of improvements of each sector with those of features in investigating space structure and present condition analysis to find connection between university and around the campus. After activation of the campus around area, it could lose its identity such as scholar role and education because of commercial influence. Improvements for appropriate building of cultural landscape and enforcing connection between university and around the university, supplement that area for the students, local resident, even visitors. Moreover, it can be a better cultural value by meeting city’s pursuit of value. The basis of this study, various studies should be researched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on of maintenance as well as the unique programs for th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대학 캠퍼스 주변지역은 대다수 사람들에게 있어서 대학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공간이며 나아가 도시이미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또한 대학은 지역사회의 문화경관, 도시이미지, 지식, 정보, 예술 문화 경제산업 등 여러분야의 발전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대학주변지역은 대학의 역할을 가시적으로 느낄 수 현장이며, 나아가서 그 대학이 지닌 학구적인 힘인 동시에 그 지역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를 엿볼 수 있는 지역의 문화경관이라 할 수 있으며 대학내의 시설로 충족시킬 수 없는 기능을 보완하고 상호 교류와 연계를 통하여 대학주변지역과 동질성을 가지게 함으로 활동의 결속을 이루는 기능과 더불어 대학생활에서 오는 긴장을 해소하고 새로운 에너지를 충족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는 공간이다. 하지만 대학주변지역은 상업화로 인하여 캠퍼스와 연계를 고려하지 않고 상품화된 자본 공간속에서 대부분 소비지향적 유흥가와 원룸촌으로 발전하였다. 지금까지 강원대학교 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를 고려한 환경개선 방향을 제안하기 위하여 대상지 4구역을 선정하여 현황조사와 공간구문론을 통한 공간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각 구역별 문화경관 형성과 연계성향상을 위한 개선방향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캠퍼스 구역별 특색을 고려한 환경개선 방향과 관리 행정 및 제도, 대학생과 주민참여 의식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구역별 환경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1구역은 정문과 매우 인접해있으며 공간의 중요도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하지만 자취촌의 이미지와 강원대학교 캠퍼스로서의 이미지의 부재 그리고 연결부의 단순한 통과 동선만으로 존재하고 있다. 또한 편중된 용도시설의 분포와 캠퍼스와 연결된 출입구에 밀집한 타 용도시설이 문제점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용도시설등의 개선을 통한 문화경관 개선보다는 캠퍼스와의 연계성 강화를 통한 개선이 적절한 구역으로 분석하고 연계성 강화를 통한 환경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보행자 환경개선, 담장허물기사업, 1구역의 미개발 지역의 개발을 통한 1구역과 캠퍼스와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2) 2구역은 주변 청소년 문화관련 시설과 적절치 못한 대응과 캠퍼스와 주변지역간의 물리적, 비 물리적 교류가 없었다. 캠퍼스와의 연결부가 단순한 통과동선만으로 존재하며 캠퍼스의 높은 담과 가파른 경사와 같은 물리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캠퍼스와의 연계성이 떨어지고 공간의 중요도가 높은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연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주거와 타 용도시설이 1구역보다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2구역은 문화경관 형성과 연계성강화, 그리고 새로운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구역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문화경관 형성과 연계성 강화, 새로운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환경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상가 밀집블럭과 주거 밀집블럭사이의 완충역할의 용도시설 구축을 제안함으로써 문화경관 형성하는 개선방향과 보행자 환경개선, 보행자 전용출입구 커뮤니티 공간제안, 담장허물기 사업등을 통한 연계성을 강화하는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청소년 교육/문화관련 시설과 캠퍼스와의 교류연계 방안을 마련하는 개선방향을 제안함으로써 교육의 메카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만드는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3) 3구역은 유흥/오락시설, 음식판매시설이 밀집한 강원대학교의 대학로 역할을 하는 구역이지만 현재 대학로의 이미지는 없고 소비위주의 상업시설과 과잉경쟁으로 인한 경관훼손이 심각한 지역이다. 또한 공간의 중요도가 높은 공간이 교차되는 지점으로 대학로와 캠퍼스를 연결하는 구역이지만 서로 판이하게 다른 이미지로 인하여 연계에 문제가 있는 구역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3구역은 문화경관 형성을 통한 이미지개선을 목표로 환경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용도시설과 부합하는 경관가이드라인 제정, 대학생의 참여를 통한 환경개선방향 제안, 강원대학교 후문 삼거리에 교내부지를 활용한 land mark적인 광장 제안, 옥외광고물 정비사업을 통한 가로경관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4) 4구역은 주상복합 형태의 건축물이 다수분포하며 국부적으로 공간의 인지도와 이용밀도가 높으나 2012년 동문의 개통으로 인하여 캠퍼스와의 연결이 좋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캠퍼스와의 연계성이 떨어지며 대학로와는 달리 주변지역 주민을 위한 상업시설이 다수 분포하였다. 거리상으로는 캠퍼스와 가깝지만 공간구조상 연계성이 취약한 것으로 종합분석되었다. 따라서 4구역은 캠퍼스 주변지역으로서의 상관성과 연결성이 떨어지는 구역이기 때문에 캠퍼스의 주변지역이 아닌 지역주민을 위한 지역정체성을 위한 환경개선방향이 필요하며 추후 캠퍼스 동측의 학교시설 확충과 캠퍼스 외부 순환도로 완성시 캠퍼스 주변지역으로 환원이 가능한 지역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관리행정 및 규정 개선과 대학생과 주민의 참여의식 개선을 통하여 강원대학교 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를 이룰 수 있는 개선방향은 불법주차 단속과 지역주민을 위한 캠퍼스내 주차장과 오픈스페이스 개방, 보도점용과 옥외광고물에 대한 인식개선 환경개선을 위한 대학생과 시민의 참여운동, 이를 유지 관리하기위한 공동체 조직등의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환경 개선방향을 모색하기위하여 강원대학교캠퍼스와 주변지역의 현황분석과 공간구조분석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구역별 특성을 분석하고 구역별 특색을 고려한 환경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캠퍼스 주변지역은 어느정도 활성화가 되고 완성이 되면 교육이나 문화적인 역할보다는 획일적이고 상업화되는 경향을 띄게 되어 대학캠퍼스 주변지역으로서 특유의 이미지를 잃어가곤한다. 대학주변지역의 적절한 문화경관 형성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개선방향은 대학캠퍼스와 주변지역이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지원하고 보완함으로써 대학의 주변지역만이 가지는 문화경관을 만들어 낼 것이며 캠퍼스와 주변지역의 연계성이 강화됨으로 인하여 대학생, 지역주민, 이용객 모두에게 자부심과 긍정적인 효과를 만들어 낼 것이다. 나아가 도시가 추구하는 가치와 만나 더 큰 문화적 가치를 창출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물리적환경과 관리행정, 의식개선 뿐만 아니라 강원대학교 캠퍼스만이 가지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 개발등의 연구도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교육시설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평가 적정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 K고등학교의 거주 후 평가를 통하여

        許禛寧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which emerged as a solution for the double-sided problem between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 is playing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at have a large share of student growth. Therefore, a number of evaluation researches on the eco-friendly educational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re under progress and in particular, user oriented more practical review is required for eco-friendly educational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evaluation because it is more focused on the evaluation for research efficiency improvement. We think we must continue our effort to review the certification system suitability to guarantee the objectiveness of the certification judgment standard and improve the certification judgment standard to keep up with the new eco-friendly technology development speed, and further we shall operate the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more clearly and objectively to make the certification result more reliable and make the certification system perfect in the end.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environment of Gangwo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one of new eco-friendly schools in Gangweon Province as our research target first an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we conducted practical and specific evaluation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eco-friendly certification index and the user's actual satisfaction and investigate the eco-friendly statu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main issues concerned in order to carry out suitability analysis of eco-friendly educational facilities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and propose how to improve them. Generally speaking, the suitability research on eco-friendly educational building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 requires generalization steps via multi case studies but we proceeded with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 suitability research on a single educational building to make a more in-depth and practical result. This kind of research puts more importance on study efficiency oriented evaluation than quantitative evaluation, for example, for energy saving, so we considered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 evaluation criteria adjustment and additive items for the additional parts like plan and education prior to evaluation item creation or deletion when we proposed improvement idea according to the certification evaluation standard suitability research result. Our improvement proposals based on the eco-friendly educational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suitability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o evaluate all schools applying for the eco-friendly certification fairly, we must establish a new evaluation standard and excavate discriminable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specific to the feature of each educational facility. The evaluation items of the old system shall be adjusted in which a school can be scored by its given regional environment without regard to its will or effort of eco-friendly building construction in such a manner that the system is based on the certification judgment standard to measure not only some quantitative elements but also eco-friendly elements and also suitable for the school building characteristic for better discrimination. Second, both the facility expense based certification judgment standard calculation method and the compulsory GPA shall be amended. Some items are in need of their calculation standard adjustment because they are not applicable due to too much construction cost, not to mention of the future maintenance cost. In addition, some compulsory items are very advantageous to get scores, so their GPA also needs amending while keeping the essential execution items intact. Third, the relative law shall be revised to develop the evaluation item alteration system and exclude doubleness of similar items. The detailed evaluation standard shall be also revised so that all the items can be linked with each other under the standard regulated by the law. Meanwhile, inter-item doubleness shall be also removed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debate. Fourth, the detailed evaluation standard of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shall be practically supplemented and modified. When we compared the certification evaluation contents with the survey result, we found some items with which users were less satisfied than the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index based score that was caused by missing of the practical condition of the evaluation target facilities in the detailed evaluation standard, indicating the necessity of practical supplementation and modification. Fifth, both progressive certification evaluation standard and planned intention analysis based additive item foundation are needed for operation and maintenance. The gap between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related certification evaluation result and the post-residence evaluation analysis result supports the necessity of progressive evaluation based additive/deductive evaluation score alteration. Besides, it is requested to seek for the planned intention and effect diagnosis method and induce the nature friendly plan of the foundation subject by including such a method in an additive item for certification evaluation. Sixth, some exclusive items specific to the environment of individual evaluation target facility should be newly established and more items should be added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review items. According to the t-test analysis result, we were able to figure out the inter-grade satisfaction gap, which was caused by missing of the evaluation items specific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of individual facility, so we must add some items specific to each evaluation target facility to the original evaluation items that consider its environmental feature most practically from the planning stage. Moreover, since a eco-friendly certified school has an intention of providing its students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the school shall keep reviewing it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ess and establish new items concern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the educational facilities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 analysis and the post-residence evaluation under this research were made only on the single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target area, Gangweon-do, it is recommended to diversify eco-friendly educational facilities to raise the research objectiveness accompanied by repeated and continuous user consciousness survey research to guarantee concreteness as the future research subject.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students who were using educational facilities but it is desirable to evaluate not only students but also administrators after they really live in such facilities and then compare both results in the follow-up researches to strive for accuracy. 환경의 보존과 개발이라는 양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 학생들의 성장과정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교육시설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시설의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한 많은 평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교육시설의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한 평가는 학습제고를 위한 평가가 더욱 중요시되기 때문에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 보다 실질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인증심사기준의 객관성 확보 및 새로운 친환경 기술 등의 진보속도에 맞추어 인증심사기준을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인증제도의 적정성에 관한 꾸준한 검토가 동반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운용하여 인증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 인증제도의 완성도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내 친환경 신축학교 중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한 강원외국어고등학교의 환경 분석을 선행으로, 현실적이고 특정한 관점에서의 평가행위를 통하여 친환경 인증 지표와 실제적 이용자 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육시설의 친환경 유지관리 실태와 주요 쟁점사항을 파악하여 친환경 교육시설의 인증평가 항목에 대한 적정성 분석 및 개선사항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시설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평가 항목에 대한 적정성 연구의 경우 다수의 실 사례 조사를 통한 일반화의 과정이 요구되나, 보다 심층적이고 현실적 적용이 가능한 성과물 추출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친환경 건축물 인증평가 항목에 대한 적정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방식의 연구는 에너지 절약 등과 관련한 정량적인 평가 보다는 학습제고를 위한 평가가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인증평가기준의 적정성 연구에 의한 개선사항의 제안 시, 평가항목의 생성 및 삭제 보다는 인증평가내용의 항목별 평가 잣대 조정 및 계획·교육 등의 추가적 부분에서의 가산항목 등이 주요하게 고려되었다. 교육시설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적정성 분석에 따른 개선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인증을 신청하는 모든 학교가 공평하게 평가될 수 있는 기준 및 교육시설의 특성에 적합한 변별력 있는 인증평가항목으로의 개정이 필요하다. 학교설립 주체의 친환경건축을 위한 의지나 노력과 상관없이 주어진 지역적 환경에 의하여 득점할 수 있는 평가항목에 대한 공평성 조정이 요구되며, 일부 항목의 정량적 요소만의 측정이 아닌 친환경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학교건축물 특성에 적합한 인증심사 기준으로 개정하여 변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시설비 소요에 의한 인증심사 기준의 산출방식과 의무적으로 획득하여야 하는 평점의 조정이 필요하다. 실제 학교 건축물 내에서 시설하기에는 시설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치 시 유지관리에 대한 부담으로 적용이 어려운 항목들은 산출 기준 조정이 필요하다. 또한 일정부분 의무규정이 있는 항목들은 점수 획득이 용이하기 때문에 필수 이행 항목을 유지하면서 평점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법령 개정에 의한 평가항목 변경 시스템 개발 및 유사항목간의 조정을 통한 중복성의 배제가 필요하다. 각 항목들은 법령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연계될 수 있도록 평가 세부 기준을 변경해야한다. 또한 항목간 중복성 배제를 통하여 논란의 소지를 최소화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해당시설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세부평가기준에 대한 실질적 보완 및 수정이 요구된다. 인증평가내용과 설문조사내용의 비교분석 결과 친환경 건축물 인증지표에 의한 점수 획득 내용에 비하여 불만족스러운 이용자 평가를 보이는 항목들이 도출되었는데 이는 세부평가기준에 평가 대상 시설의 실질적 조건을 반영하지 못한 결과로서, 실질적 보완 및 수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섯째, 유지·관리 측면의 진행형 인증평가기준 및 계획의도 분석을 통한 가산항목 구축이 필요하다. 유지·관리 측면과 관련한 인증 평가 내용과 거주 후 평가 분석 결과의 차이는 진행형 평가를 통한 가·감산적인 평가점수의 변동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계획부분의 의도와 효과를 진단할 수 있는 평가기법을 모색하고 인증 평가 시 가산항목이 될 수 있도록 조정하여 설립주체의 자연친화적 계획을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평가시설의 환경적 특성을 반영한 전용항목과 환경 교육 검토에 대한 추가항목의 신설이 요구된다. t-test 분석 결과 각 학년별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는데, 이는 해당시설의 환경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평가항목의 미흡함에서 나온 한계로 계획 단계에서 부터 평가 시설의 환경적인 특성이 반영된 전용 항목의 추가가 요구된다. 또한 친환경인증 학교는 학생들에게 환경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학교 측에서의 지속적인 환경 교육 검토 및 이에 대한 항목 신설로서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획득한 교육시설의 인증평가 항목 분석 및 거주 후 평가는 도내 한 곳의 교육 시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양한 친환경 교육 시설에 대한 사례를 늘려 보다 객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이용자 의식조사 연구를 병행함으로써 구체성을 확보하는 것이 향후 연구과제로 남는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시설을 이용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만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향후 계획에서는 친환경 교육시설을 이용하는 학생들과 관리자에 대한 거주 후 평가를 실시하고 상호 비교 분석을 통한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화천 산천어축제의 활성화를 위한 산천어테마파크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홍석진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Hwacheon, preserving its excellent natural environment as well as a continuously improved surroundings, is investing heavily into the tourism industry and festivals. The Hwacheon Sancheoneo Festival is Korea’s representative winter festival with 1,330,000 visitors to its 8th annual celebration in 2010, up from 220,000 visitors to the 1st festival in 2003. The Sancheoneo Festival has the advantages of being symbolically Korea’s representative winter festival while holding onto the image of being a program representing festivals. The disadvantages are that limitations in scale are present related to it being a winter activity and its cultural deficiencies. Besides the festival period, there are few visitors to Hwacheon while many of the facilities and experience villages around the festival site are operated without any connection to one another. Also,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ancheoneo supplies since Sancheoneo's external supply rate is so high. This research investigated Sancheoneo, the Sancheoneo fish farm, the Sancheoneo Festival, and the theme park while the Sancheoneo Festival and similar Korea winter festivals along with the cases of experience sites using Korea and Japan's Sancheoneo and facilities and experience villages around Sancheoneo festival sit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Also, the role of the Sancheoneo theme park was deduced by understanding the necessity of the Sancheoneo theme park while suggesting plans related to the surrounding facilities and experience villages. The role of the Sancheoneo theme park is to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Sancheoneo Festival by expanding the time span from its currently periodic festival and make related experiences possible by strengthening recognition as well as expanding and connecting the festival and event sites. This solidifies the programs’ dimension by collectively connecting the individual themes,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Hwacheon’s interconnected tourism course, and plays the role of a comprehensive tourism information center as a gateway of Hwacheon. The Sancheoneo theme park construction plan based on an eco-sancheoneo fish farm with the above roles is as follows: First, the Sancheoneo theme park must be forged as an environment friendly site as well as an educational site about the ecosystem which imposes the image of a “clean” Hwacheon. Second, the Sancheoneo fish farm must be an efficient eco-friendly site which can give a stable supply of sancheoneos for the Sancheoneo festivals and where a series of fish farm systems are related in consecutive order while the fish farms should be designed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sceneries. Third, the experience sites must be usable throughout the year including during the Sancheoneo festival while it should be made to be utilized as a site of education about the ecosystem by being made into eco-friendly experience facilities. Also, the roles of eco experience and education must be made possible. Forth, diverse sights, enjoyments, and foods should be provided, and the role of a comprehensive tourism information center where related tours are possible is required through the installation of a public relations information booth about Hwacheon. Lastly, it needs to be a site which can intensify the recognition of the Sancheoneo theme park through the installation of various facilities as well as a site which create the “clean” image of Hwacheon. The Sancheoneo theme park construction plan was made to be the starting point of “tour Hwachoen" by providing many related experiences and viewing programs to tourists who visit Hwacheon beyond the festival periods. The formation of the Sancheoneo theme park is intended to make the Sancheoneo Festival more proactive and help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of Hwacheon.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having targeted only some of the facilities and experience villages around the Sancheoneo theme park. Therefore, future studies about plans for mak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factors in entire the Hwacheon area interrelated from diverse perspectives must be carried out. 훌륭한 자연경관과 지속가능한 발전 환경을 보유한 화천은 관광산업과 축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화천 산천어축제는 2003년 제1회 22만명을 시작으로 2010년 제8회 방문객수가 133만명에 이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겨울축제이다. 산천어축제는 국내 겨울축제의 대표라는 상징성과 축제이미지를 대표하는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겨울레포츠라는 범위적 한계성과 축제의 문화성 부족이라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축제 기간 이외에는 화천을 찾는 방문객수가 적고, 축제장 주변에 많은 시설과 체험마을 등은 서로 연계되지 못한채 운영되고 있다. 또한 산천어의 외지 공급률이 높아 산천어 공급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 산천어양어장을 기반으로 한 산천어테마파크 조성계획을 통하여 화천의 대표 컨텐츠인 산천어축제를 시간적으로 확장시키고 축제장 주변의 많은 시설과 체험마을 등의 연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축제 및 행사의 공간을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산천어축제 기간 이외에도 산천어를 체험․관람 할 수 있도록 하고 관련된 테마의 연계 관광이 가능하도록 하며 프로그램의 입체성을 강화시킴으로 화천 산천어축제가 보다 활성화되고 사계절 축제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화천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인지성을 강화시켜 사계절 활기가 넘치는 관광화천이 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산천어, 산천어양어장, 산천어축제 및 테마파크에 대해 고찰하고, 산천어축제와 국내의 유사겨울축제, 국내 및 일본의 산천어를 활용한 체험장 사례와 산천어축제장 주변의 시설 및 체험마을 등을 조사․분석 하였다. 또한 산천어테마파크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주변시설과 체험마을 등과의 연계방안을 제시하여 산천어테마파크 조성계획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천어테마파크는 자연적인 재료 및 친환경 자재를 사용한 자연친화적인 공간으로 조성되어야하며, 생태습지 및 친수공간을 조성하여 방문객에게 청정화천의 이미지를 부여하는 자연 생태교육의 장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산천어테마파크의 건축물은 단열성능을 강화시키고 에너지손실을 최대한 줄이도록 하며, 고효율에너지 설비시스템의 적용과 효율적인 운영을 통하여 사용에너지를 보존하고 절약할 수 있는 방안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태양광발전 및 지열발전 등의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여 에너지 제로화 생태단지가 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산천어축제에 안정적으로 산천어를 공급하고 일련의 양식시스템이 순차적으로 연계되는 효율적인 친환경 산천어양어장이 되도록 하며, 방사상집수정을 설치하여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수조의 단차를 활용한 자연낙수시스템 및 2차에 걸친 침전과 여과의 과정을 통하여 생태습지에서 자연정화되는 정화시스템의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양어장 수조의 2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붕을 설치하고 주변의 경관과 조화로운 디자인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체험장은 산천어축제 기간뿐만 아니라 사계절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며, 자연친화적인 체험시설로 조성하여 자연생태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산천어 단일어종에서 탈피하고 다양한 어종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방문객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생태습지와 더불어 생태체험 및 교육의 역할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산천어테마파크는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식당과 연계하여 각종 어류, 지역농산물 및 특산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판매장이 설치되어야 하며, 화천을 알릴 수 있는 홍보관의 설치를 통하여 연계관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종합관광안내소의 역할 수행이 필요하다. 전망대/상징탑, 선등광장, 선등공방, 야생화 들꽃공원 등의 부대시설을 설치하여 산천어테마파크의 인지성을 강화시키고 청정화천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어야 하며, 경관조명을 설치하여 매력 있고 활력 있는 공간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산천어테마파크와 산소길(자전거길)을 연결시키고 수상자전거 접안시설을 설치하여 붕어섬과의 레포츠길을 연결하며, 야영장과 캠핑장을 설치하여 체류형 관광과 레포츠체험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주차장 및 외부공간은 친환경 재료와 녹지로 조성하여 자연친화적인 공간조성이 필요하다. 산천어테마파크 조성계획은 산천어축제기간 이외에도 화천을 찾는 방문객에게 연계된 많은 체험 및 관람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관광 화천의 시발점이 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를 통하여 산천어축제가 더욱 활성화되고 화천의 문화적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산천어테마파크 주변의 일부시설과 체험마을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화천군 전체의 자연환경과 문화적인 요소들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다각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