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일본의 도시재생 인정사업 제도에 관한 연구

        윤영담 광주대학교 대학원 부동산학과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우리는 196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경제활동의 중심지인 도시로 인구가 이동하면서 인구 대다수가 도시에 모여 살며 발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도시로의 인구집중으로 인한 외연적 확산은 주택난, 교통난, 환경오염 등 여러 가지 도시문제를 일으키며 삶의 질과 만족도를 저하시키고 있다. 이제는 고도의 성장으로 국민소득이 점차 향상되면서 기성시가지의 사회적·경제적·물리적 환경의 질적 수준 제고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커짐에 따라 소득수준에 걸맞은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성장과 함께 지속적인 인구감소, 고령화 등으로 지방소멸의 위기를 겪고 있어 토지 등의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한국의 도시재생은 2013년 「도시재생법」 제정을 시작으로 본격화된바, 현재까지의 도시재생사업 현황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총 559곳이 선정되어 도시재생사업의 전국적 확산과 지역주민의 인식전환 및 역량강화에 긍정적인 성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지자체와 공기업 주도의 사업방식과 국가재정에 의존한 사업집행 등으로 민간의 투자와 참여가 제한적인 환경에서는 도시재생 활성화의 파급효과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어 사업환경을 개선한 새로운 도시재생모델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법」 개정을 통해 도입된 인정사업을 중심으로 개선책을 찾기 위해 한국보다 먼저 인구감소, 고령화, 지방소멸의 위기를 겪으며 인정사업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일본의 선행정책 및 인정절차, 지원조치, 추진사례 등을 살펴보고 한국에서도 인정제도가 민간의 참여와 투자를 유도하여 도시재생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로서 기능하며, 나아가 재생으로부터 소외된 지역에도 사업의 효과를 파급시켜 사업의 실현성과 신속성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일본의 인정사업제도는 「중심시가지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상의 중심시가지활성화기본계획 인정사업과 「도시재생특별조치법」상의 민간도시재생사업계획 인정사업을 중심으로 제도와 사례를 분석한바,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협의주체, 사업규모, 사업내용 등에 한국과 몇 가지 차이점을 나타냈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개선책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본은 도시재생 추진을 위해 내각부 직속에 4개의 본부를 설치하였다. 2007년에는 이를 보다 종합적·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역활성화통합본부회합으로 일원화하였으며, 2011년에는 총합특별구역추진본부를 추가로 설치하여 5개 본부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해 통합적이고 강력한 추진체계를 구축하여 신속한 사업실행과 확실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본은 중심시가지활성화기본계획에서 계획수립 시 각 지자체의 특성에 따라 목표를 정하고 그 달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핵심성과지표(KPI)를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사업의 진행과 목표달성 기준치의 개선 상황 등을 기준으로 자체평가를 하고 후속 계획에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이는 선행사업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제도적으로 정착시키거나, 개정 혹은 새로운 방식으로 연구하여 점차 진화하는 도시재생을 추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도시재생 인정사업의 규모를 살펴보면, 한국은 10만㎡ 미만으로 소규모의 사업이지만, 일본은 사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심시가지활성화기본계획 인정사업의 경우 지역 전체를 단계적으로 인정받아 다양한 사업을 연계하여 진행하고 있다. 이에 한국에서도 인정사업의 규모를 확대하여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지역 전체로 인정하고, 도시재생과 관련한 도시재생·도시정비·개발사업 등을 연계하여 계획적·단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인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도시재생사업 성과에 있어서 일본의 중심시가지활성화기본계획 인정사업은 역세권, 중심시가지(원도심), 성곽 주변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을 통하여 일본 전 지역으로 확산된 점은 한국의 도시재생사업과 유사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민간도시재생사업계획 인정사업은 사업성이 있는 도쿄 및 오사카 등 주로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어 소멸위기를 겪고 있는 지방의 중소도시 지역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한국은 아직 사업 초기 단계이나 일본의 시행착오를 간과하기보다는 이를 보완하여 지역 간의 편차가 없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시특성과 유형에 맞는 도시재생사업과 민간부문의 적극적인 참여와 투자 활성화를 위한 도시계획 특례, 규제완화, 세제감면, 금융지원 등의 인센티브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인정사업은 도시를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재생에서 소외된 지역까지 사업의 효과를 파급시켜 활성화지역 내외부 주민들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기능도 필요하다. 나아가 도시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까지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단일 사업만으로는 한계가 있기에 경제·사회·문화·복지 등의 복합적 재생을 위한 타 사업간의 연계와 추진주체간의 협력을 통하여 성공사례를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한국은 도시재생 R&D 사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제2기 도시재생정책을 추진해 왔으나, 대전환기를 맞아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고 도시재생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인정제도를 위와 같이 개선하여 도시경쟁력 강화기를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Since the 1960s,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the population moved to cities, the center of economic activity, and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lived and developed in cities. However, the outward proliferation due to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the city causes various urban problems such as housing shortages, traffic shortag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ducing the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Now, as national income gradually improves due to high growth, demands and expect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social, economic, and physical environment of established urban areas increase, and it is time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income level. However, on the one hand, it is also a time when “choice and concentration” is needed to find ways to efficiently utilize limited resources such as land as it is facing a crisis of local extinction due to continuous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along with growth. Urban regeneration in Korea started in earnest with the enact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Act」 in 2013,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 total of 559 places were selected to spread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nationwide and change the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And it seems to have shown positive results in capacity building. However, in an environment where private investment and participation is limited due to the business methods led by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enterprises and project execution dependent on national finances, the ripple effect of activating urban regeneration is limited, so a new urban regeneration model with improved business environment is needed. Will do. Therefore, in this study, Japan's prior policies and recognitions, which are implementing the accreditation project system in the face of a crisis of population decline, aging, and local extinction, prior to Korea in order to find improvement measures, focusing on the accreditation project introduc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Act. In Korea, the accreditation system functions as a system to revitaliz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inducing private participation and investment, and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 project is spread to regions marginalized from regeneration. It was intended to suggest a way to seek feasibility and speed. Japan's accredited project system has analyzed systems and cases centering on the central urban activation master plan accreditation project under the 「Central Urban Revitalization Act」 and the private urban regeneration project plan accreditation project under the 「Special Measures for Urban Regeneration Act」. In promoting the project, several differences from Korea were shown in the subject of consultation, project size, and project details, and based on thi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First, Japan has set up four headquarters directly under the Cabinet Office to promote urban regeneration. In 2007, in order to promote this more comprehensively and efficiently, it was unified as the Regional Revitalization Integrated Headquarters Meeting, and in 2011, an additional General Special Zone Promotion Headquarter was installed and operated as five headquarters systems. In order to revitalize urban re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and strong promotion system to promote rapid project execution and certainty. Second, Japan should set goa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in the basic plan for revitalization of central cities, and set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achievement. In addition, self-evaluation is conducted based on the progress of the project and improvement of the target achievement standard, and the results are reflected in the follow-up plan. This means grasp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receding projects and establishing them systematically, or pursuing gradually evolving urban regeneration through revised or new research. Third, looking at the scale of the urban regeneration certification project, Korea is a small project with less than 100,000 m2, but in Japan, as we have seen in the case, in the case of the Central Urban Revitalization Basic Plan certification project, the entire region is recognized in stages and various projects are linked. To proce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reditation system so that the scale of the accredited project can be expanded in Korea to be recognized as the entire urban regeneration strategic plan establishment area, and promoted systematically and stepwise in conne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urban renova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Do. Fourth, in terms of the achievemen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Japan's central urban revitalization master plan accreditation projects have spread to all regions of Japan through various projects centering on the station area, central city (original city center), and around fortress walls. Will be similar. However, the project for the recognition of the privat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concentrated in large cities, such as Tokyo and Osaka, where there are business possibilities,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regions that are in danger of extinction. Korea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the project, but rather than overlooking Japan's trial and error, it must complement it and lay a foundation so that the project can be promoted without differences between region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utilize incentives such a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cities, city planning special cases, deregulation, tax cuts, and financial support for active participation and investment of the private sector. Fifth, the accreditation project not only revitalizes the city, but also needs the function of resolving conflicts between residents inside and outside the active area by spreading the effect of the project from regeneration to marginalized areas. Furthermore, in order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as well as cities, there is a limit to a single project, so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uccessful case through linkage between other projects for complex regeneration of economy, society, culture, welfare, etc. Korea has been pursuing the second phase of urban regeneration policy starting with the urban regeneration R&D project until now, but in the face of the great turning point, the recognition system was improved as above to encourage private participation and promote urban regeneration. It is important to do.

      • Effect of heat treatment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edge cracking behavior of high strength 7075 aluminum alloy sheets

        최유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As the automobile industry strives to increase fuel efficiency due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various techniques for forming aluminum alloy 7000 serie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thesis, the formability of W temper, super-saturated by solution heat treatment followed by water quenching, is examin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peak-aged temper (T6). Immediately after quenching, the W temper sheet shows reduced strength and larger elongation than T6 temper, and up to 80% or more of the strength of the original material is recovered during the natural aging process. Still, studies on the experimental results, plastic deformation behavior, and especially numerical analysis results of W temper are lack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W temper forming through various experiments. Formability is evaluated using a forming limit diagram and the springback with a U-shaped draw/bending experiment, and examining the edge cracking behavior with a hole expansion experiment using conical and flat-headed punches is also conducted. The M-K model is used to predict the forming limit diagram, and non-quadratic yield function (Yield 2000), chord modulus, and anisotropic hardening (HAH) model are used to capture springback. The thickness profiles of the flat-headed hole-expansion experiment are predicted using non-quadratic yield function and isotropic hardening. The experiments are conducted under T6 and W temper,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W shows serrated flow stress in the engineering stress-strain curve, called the Portevin-Le-Chatelier (PLC) effect,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nalyzed by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he PLC effect on each experiment. Based on finite element analysi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6, the same experimen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are conducted with -W.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reflecting the material properties excluding the modeling of the PLC effect, the influence of the PLC effect on each experiment is investigat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method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C effect in finite element analysis and considerations for analyzing the results are suggested. The following PLC effect influences on each experiment are investigated: 1) Overestimation of the strain hardening coefficient in hardening curve, 2) high roughness in the surface condition, 3) short post uniform elongation caused in the ductile material, and 4) appearance of PLC bands in the hole expansion experiment showing interactions with plastic anisotropy. In this thesis, the -W temper shows enhanced elongation, lower flow stress, larger forming limit diagram, smaller springback, and even greater stretch-flangeability than T6 temper. 차량 경량화가 대두됨에 따라, 경량 금속인 알루미늄 7천계를 차량 부품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정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한 강도를 나타내는 T6 상태의 원소재를 용체화와 수냉 과정을 이용한 W 상태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W 상태는 T6 상태에 비해서 용체화에 이은 퀜칭 직후에는 낮은 강도와 긴 연신율을 가질 뿐 더러 퀜칭 이후 자연시효로 인해서 원 소재의 80% 이상까지 강도를 회복하는 장점이 있다. 현재 이런 W 상태에 관련하여 다양한 실험 결과나 소성 변형 거동, 특히 수치해석학적인 연구 결과가 아직 많지 않기 때문에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본 학위 논문은 W 상태의 성형 가능성에 대해서 여러 실험 방법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T6 와 W 상태의 소재를 대상으로 성형 한계 곡선을 이용한 성형성 연구, U자형 드로우/벤딩 실험을 통한 스프링백 연구, 원추형 및 납작형 펀치를 이용하여 홀확장성 실험을 통해 엣지 크랙 거동 연구 등의 주제에 대해 각각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W 상태의 소재가 T6 소재에 비해 더 넓은 성형 한계 곡선 영역, 더 적은 스프링백, 더 높은 홀 확장성 등을 나타내었다. 특히 W 템퍼의 경우에는 공칭 응력 곡선 내에서 Portevin-Le-Chatelier (PLC) 효과라고 불리는 톱니형 응력 곡선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측정 결과들은 PLC효과가 각 실험에 끼치는 영향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T6를 이용한 실험 결과 및 유한요소해석 검증을 토대로, W 템퍼 결과에 대해서 동일하게 진행했으며 PLC효과를 제외한 물성을 반영한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실제 실험 결과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역으로 PLC 효과가 각 실험에 끼치는 영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PLC 효과로 인한 특징을 기존 유한요소해석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 혹은 결과 분석시에 고려해야 하는 점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PLC 효과는 강화 곡선의 변수 과도한 값 설정, 표면 거칠기 향상, 더 연질한 성질을 가진 재료의 짧은 post-uniform elongation 특징, 소성 이방성과 상호작용하여 특정 파단 위치에 집중된 응력 등으로 나타났다.

      • 비 이차 항복함수를 이용한 리튬-이온 배터리 파우치의 이방성 및 성형성 예측

        김재승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온 배터리 파우치 재료에 대한 기계적 거동을 분석하고 성형성을 예측하였다. PP-Al-PA-PET의 총 4개의 금속 및 고분자 층으로 이루어진 리튬-이온 배터리 파우치의 물성은 등변형률 가정을 통한 균질화법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체 재료를 하나의 가상 재료로 가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금속의 경화 모델과 고분자의 경화 모델이 선형 결합된 새로운 경화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일축 인장 시험에서의 파단점이 일치하게 나타나도록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선형 결합 비를 최적화하였다. 소성 모델을 위한 항복 함수는 이차 항복함수인 Hill1948 모델과 비 이차 항복함수인 Yld2000-2d 모델을 적용하여 최적화를 진행하였으며, 등 이축 이방성에 대해서는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역해석법 및 Yld96 이방성 항복함수를 이용하여 이방성 물성인자를 결정하였다. Nakazima 성형 한계 시험을 통해 성형 한계점들을 측정하였으며, 대표적인 성형 한계 계산이론인 M-K 모델을 이용하여 성형 한계도를 예측하였다. 계산 결과, 비 이차 항복함수인 Yld2000-2d 모델을 적용한 성형 한계 곡선이 실험과 부합하였다. 또한, 예측된 성형 한계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각 컵 드로잉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해석 결과에서 파단 위치 및 파단 시점에서의 펀치 변위 등을 잘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thesis,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formability of the lithium-ion battery pouch were investigated using both experiments and numerical method. A homogenization approach was applied to the lithium-ion battery pouch which consists of four layers of PP-Al-PA-PET. The commonly employed iso-strain assumption was used for the homogenization, and thus the entire material was simplified as a single virtual homogenized material. To consider the combined hardening behavior of the metal and polymer layers, a combined hardening model based on the linear combination of typical hardening laws for metals and polymers was proposed. The combination ratio for hardening was iteratively optimized by fitting the fracture point between the results of a finite element analysis and uniaxial tensile experiment. For the modeling the anisotropy of the pouch material, the quadratic yield function Hill1948 model and a non-quadratic yield function Yld2000-2d model were employed. The anisotropic coefficients of the two yield functions were determined from tensile tests conducted at different orientations, an inverse analysis, and a Yld96 yield function for the equi-biaxial stress-related anisotropic parameters. The formability of the pouch sheet was estimated by measuring the forming limit based on the Nakazima test. The forming limit curve was numerically calculated by the M-K theory using the proposed combined hardening law and yield func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non-quadratic yield function Yld2000-2d, effectively predicted the experimentally measured forming limits. Finally, the formability was validat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failure behavior of the pouch sheet with the square cup drawing experiment. The finite element simulation could accurately predict the punch displacement at the onset of fracture and its location.

      • 古典籍의 현대화에 따른 인용변화 분석 : 朝鮮王朝實錄에 한정하여

        정미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rare material, which was hardly referred, has been easily accessed on the web, even though it is a form of image photo. Many sorts of the rare materials being translated in present language and published, and they are transferred to the database, then it is to be accessed on the web either referred by the form of CD-ROM. The way to access to the rare materials becomes various and easy. This research has been analysed the changes in the work and use on the rare materials, with 98 theses which were referred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105 articles, it has been focused on cases which are referring the authentic record and which are not, the extent of author"s base­extension, annual changes in the number of works, the frequency of referring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which have been published as various sorts. The analys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for subjects are as follows; the result presents that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has been used by the Social sciences, Technology sciences, Arts, History, Natural sciences, Generalities, Philosophy, Literature, Language and Religion in order. The these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are the first in numbers. However, considering the graduation ratio from the master and doctor degree was 22.0% in 2005, it"s hardly to estimate the usage ratio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in the comparison with other fields.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for authors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theses, the postgraduate school which has approved the academic papers, has been used as a standard measurement rather than the author himself, because there is only one paper by a author. There were 40 postgraduate schools which had approved 98 theses in the analysis author. 28 postgraduate schools(70%) have approved 1 or 2 papers. 85 authors have announced 105 articles in the analysis author. 75 authors(88.2%) have announced only 1 paper, it is up to 94.1% with the inclusion of authors who have done 2 articles. The above shows that the extent of authors become broaden in both of theses and articles and it was more obvious in the journal than in the academic paper. Third, the numeral change of released papers is as follow;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present language has been released as a CD-ROM form in October 1995, but in case of thesis, it has been released since 1997. For that reason, the year 1997 has been used as a standard criteria for analysis of theses. In case of thesis, 3 papers had been released in 1992, but only 1 or none had been done from 1976 to 1991, so totally 11 papers had been announced(annually 0.5 paper) between 1976 and 1996, which is recognised as the first half, while 87 ones have been done for 10 years(annually 10 papers from 1997 to 2006), so it reveals the huge difference. Moreover, it shows that the article was ahead 15 years of the thesis, considering the article with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was released in 1960s, the academic paper had been reported since 1976. In case of the article, the year 1996 has been used as a standard criteria, because periodicals in the monthly Chosun,, Youngsam Kim have written his article used 《CD-ROM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and he wrote that to its title. 3 articles had been released in 1988, 2 in 1989 and totally 20 articles(annually 0.6) for 36 years(from 1960 to 1995), while 85 ones have been done for 10 years(annually 8.5 articles from 1996 to 2005), so it shows the similarity with the former case. Finally, the analysis of frequency of citation are as follow; Copy in chinese letter, CD-ROM version, copy in korean letter and net­work version were referred in order. 69 papers have been referred from 1 sort of the Chosun Dynasty, 19 papers from 2 sorts and 3 from 3. In other hands, the referring ratio of the Chosun Dynasty in chinese letter was 90% in the first half year there was a sharp fall to 50% in the latter half, and the ration of the combination between CD-ROM and net version exceeded over 30% in the latter half. 접근자체가 쉽지 않았던 古典籍을 현재 이미지 사진이지만 웹상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발 더 나아가 상당히 많은 종류의 古典籍이 국어로 번역되어 출판되고 있으며, 연이어 한문 원문과 국역문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CD-ROM이나 웹상에서 이용할 수도 있다. 접근부터 쉽지 않았던 예전에 비해 이제는 古典籍의 접근점이 다양해지고 개방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古典籍 현대화 흐름이 古典籍 연구와 이용에 미친 변화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古典籍은 朝鮮王朝實錄으로 한정하고 분석대상 문헌으로 朝鮮王朝實錄을 활용한 학위논문 98건과 학술지논문·기사 105건을 선별하여 실록을 활용하고 있는 분야와 그렇지 못한 분야, 저자의 저변확대 정도, 실록을 활용한 연구물의 연도별 양적변화, 다양해진 朝鮮王朝實錄 여러 판본의 이용빈도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분석 결과 사회과학, 기술과학, 예술, 역사, 순수과학, 총류, 철학, 문학, 언어, 종교 순으로 朝鮮王朝實錄을 활용하고 있었다. 300대 사회과학 분야의 실록 활용 연구논문(학위논문 25.5%)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2005년 기준 사회과학분야 석·박사 졸업비율이 22.0%인 점을 고려할 때 다른 계열에 비해 사회과학분야의 실록 활용율이 특별히 높다고 평가할 수는 없을 것 같다. 다만 통계학을 제외한 사회과학 전 분야에서 실록을 활용하고 있는데 이는 다른 분야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500대 기술과학에서는 건축공학과 의상관련 학위논문이, 900대 역사에서는 아시아 역사와 인물 관련 학술지논문·기사가 집중되어 있다. 둘째, 저자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위논문의 경우 학위종별로 논문이 1건씩이므로 저자 개인보다 학위논문 수여대학원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학위논문 98건을 배출한 대학원(저자)은 전체 40개교이다. 이중 1건과 2건의 학위논문을 배출한 대학원은 28개교로 전체 대비 70.0%이다. 다음으로 분석대상 학술지논문·기사 105건의 저자는 전체 85명(단체)이다. 이중 1건을 생산한 저자는 75명으로 전체대비 88.2%였으며 2건까지 포함하면 94.1%에 달했다. 이를 통해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기사 모두에서 저자의 확산 범위가 넓음이 검증되었고 그 정도는 학위논문보다 학술지논문·기사에서 앞서고 있었다. 셋째, 연도별 양적변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95년 10월부터 《국역 朝鮮王朝實錄 CD-ROM》이 발매되었으나 학위논문의 경우 《국역 朝鮮王朝實錄 CD-ROM》을 참조하였다는 기록이 1997년도부터 나타나므로 1997년을 기준으로 전·후반기를 구분하였다. 학위논문의 경우 1992년 3건 발표되었으나 1976년부터 1991년까지 대체로 1건 혹은 0건 발표되었다. 전반기인 1976년부터 1996년까지 21년 동안 총11건으로 연평균 0.5건 발표되었다. 이에 비해 그 이후 시기인 1997년부터 2006년까지 10년 동안 총 87건이 발표되었다. 이는 연평균 8.7건을 전반기 연평균 0.5건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학술지논문·기사의 경우 1960년부터 실록을 활용한 기사가 나타나는데 실록을 활용한 학위논문이 1976년부터 등장한데 비하면 학술지논문·기사에서 15년이나 앞서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술지논문·기사의 경우 월간조선, 김용삼기자의 연속기재물이 《국역 朝鮮王朝實錄 CD-ROM》을 활용하였음을 제목에 표기하고 있어 이를 근거로 1996년을 기준으로 전·후반기를 구분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988년 3건, 1989년 2건이나, 전반기인 1960년에서 1995년까지 36년 동안 총 20건으로 연평균 0.6건 발표되었다. 반면에 후반기인 1996년부터 2005년까지 10년 동안 총 85건으로 연평균 8.5건으로 학위논문과 마찬가지로 전·후반기 연평균에서 큰 아치를 보이고 있다. 넷째, 참고한 朝鮮王朝實錄의 판종 분석결과 한문본, CD-ROM판, 국역본, 네트워크버전 순으로 이용되다. 이는 석·박사 종별로도 같은 순이다. 그리고 1종을 참고한 논문은 69건, 2종을 동시에 참고한 논문은 19건, 3종을 동시에 참조한 논문은 3건이다. 다음으로 한문본의 참고율이 전반기에는 90%인데 비해 후반기에는 50%로 떨어졌다. 그리고 후반기 CD-ROM판과 넷버전 통합 비율이 3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김하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학교 도서관 활용수업은 학생들이 교과 학습력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고 학습 태도를 변화시키는 등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교과와 연계된 협동수업을 통해 보다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고취시키고 스스로 배우고 익히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높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활용수업이 이루어진 국어과 교수학습지도안을 비교하고 도서관 활용수업 모형을 연구․개발하여 효과적인 도서관 활용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먼저 학교도서관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도서관 활용수업이 이루어졌던 서울과 지방고등학교를 상대로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나 이메일 등의 방법을 통해서 국어교과 교수학습지도안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이들 학교의 도서관 활용 수업 지도안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도출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활용수업 모형과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학교도서관에서는 도서관이라는 장소와 도서관 자료는 중시되는 반면 사서교사라는 인적 자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도서관은 사서교사가 있어야 제대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도서관활용수업이란 도서관에서의 수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력 아래 이루어지는 수업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이에 여기서는 밀접협력형 모형을 바탕으로 한 문제중심학습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 선명한 반사 구조색 구현을 위한 박막 적층 방식의 광학 구조 설계

        이준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Structural colors produced from the light-matter interaction could find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sensors, displays and surface decoration. In recent years, numerous researches have made efforts to reproduce brilliant structural colors in nature and plasmonic nanostructures are the representative approaches. Since the size of the structures must be at subwavelength scale to generate plasmonic effects, the fabrication process mostly relies on nanofabrication techniques, which are neither scalable nor economical. Meanwhile, Metal-Insulator-Metal(MIM) structure opens the door for realizing a lithography-free and scalable way to manipulate light-matter interactions. MIM structures which consist of thin continuous films are fabricated by common physical deposition methods and have an advantage in color tuning by simpl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insulator layer. MIM cavity acts as a band-stop filter which absorbs a narrow wavelength region and reflects the rest of the spectrum and it results in indistinct reflection colors. For the potential applications, the issue must be address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optical structure and refractive indices of a top metallic layer are investigated to generate vivid reflection colors. This study demonstrates a highly absorbing GST thin film inserted Metal-Insulator-GST-Insulator-Metal(MIGIM) structure to reduce the reflectance in certain visible range and improve color saturation. In addition, thermally evaporated thin metal layer is applied to the top metallic layer in the MIGIM structure to enhance color purity. FDTD(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simulation is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flectance between MIM and MIGIM. Significant reduction of reflection peaks, which arise from a certain resonant condition, is observed. Therefore, Electric field and Absorbed power profiles are also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light absorption from GST. However, the reflection spectrum from the simulation shows still lack of color saturations. Further simulation is conducted with adopting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top metallic layer from a thermally evaporated metal film. The simulated reflection spectra show remarkable suppression in Red to Near Infrared range and the narrow width of reflection peaks along the visible range. Reflective structural color samples are experimentally fabricated, and the simulation colors are validated by gradate colors on a silicon wafer. 빛과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구조색은 센서, 평판 디스플레이 그리고 표면 장식 분야까지 광범위하게 활용이 가능하여 관련 연구가 최근 수년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중 자연적 표면 구조를 모방한 Phonic crystals와 diffraction gratings 등의 나노 구조는 물리적 크기와 주기를 변화하며 효과적으로 빛을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나노 공정은 대면적화와 경제성 측면에서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실용적인 방법으로 구조색 발현이 가능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Insulator 내부에서 빛의 공명 흡수를 이용한 Fabry-Perot (FP) cavity 타입의 Metal-Insulator-Metal(MIM) 구조는 Lithography-free 형태의 범용적인 박막 증착 공정이 사용되며, Insulator 두께 변화만으로 색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반사 모드에서 MIM cavity는 Insulator 내부에 국소 파장 영역의 빛만 흡수하고 나머지 영역은 반사하는 Band-stop filter로 작용한다. 즉, 하얀색에서 특정 파장이 단계적으로 감하여 만들어지는 감법 색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색의 선명도가 낮은 한계점을 가진다. 앞서 언급한 구조색의 활용 분야(센서, 디스플레이, 예술 등) 적용에 있어 선명도의 개선은 소자의 성능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MIM 구조에서 광학 구조와 굴절률 변화를 통해 선명한 반사 구조색을 얻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절연체 내부에 흡수층인 Ge2Sb2Te5(GST)를 삽입하여 특정 파장에서 선택적으로 빛을 감쇄하는 Metal-Insulator-GST-Insulator-Metal(MIGIM) 구조를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가시광 영역에서 불필요한 반사 peak을 제거하여 색의 채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상단 금속층의 굴절률을 적절히 변화하면 더 개선된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낼 것으로 보았다. 이를 FDTD(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적용해 흡수층의 위치와 절연층의 두께에 따른 반사도, Electric field 및 Absorbed power를 분석하였다. 먼저 구조 변화에 의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MIM과 MIGIM 구조를 설계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GST를 제외한 모든 재료의 두께와 광학 상수를 동일하게 적용되었고, 절연층인 Silicon dioxide(SiO2)의 두께를 40에서 600 nm까지 20 nm 간격으로 증가시키며 반사 스펙트럼을 확인하였다. 특정 공명 파장 구간에서 반사 peak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Electric field와 Absorbed power를 분석하고자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절연체 내부의 Electric field intensity가 불균일한 분포를 보였고, GST 박막이 Intensity가 최대인 영역에 위치할 경우 강한 흡수를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GST 흡수층 위치에 따라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색의 채도를 향상하기 위해 상단 금속에 열 증착 방식으로 형성한 박막의 굴절률을 대입하고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장파장 영역에서 불필요한 반사가 크게 감소하였고, 반사 밴드의 폭이 줄어들어 채도와 반사도가 높은 구조색을 나타낼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으로 설계한 광학 구조를 바탕으로 선명한 반사 구조색 샘플을 제작하였고, 예측한 반사도와 색상이 실제 샘플과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 광주광역시교육청 기록물의 관리 실태와 개선 방안

        박현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is study, it investigated the realities of records management in The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By this study, I understand what the problems about the records management in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re and give efficient ways for improvement. It is as follows to summarize this finished study. The purpose of the records management in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s to make efficient and real improvement, after the problems about them are investigated. I conducted such as improvement part in a manage system, organ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and the number of persons, preservation and control of records, promotion about trust in records and infra expansion, records advertisement and literature research in education, phone talk or interview with a manager and demand of information opening. First, in the management system of records,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lack of production and management about main records, lack of records registration and management system, insufficiency of experts having special knowledge in records management. Second, there is a problem about the lack of facilities and equipment of records management. Third, in the operation condition of records management,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disposal and management of records for preservation, management of preservation records of documents, absence of professional evaluation in records, lack of substantiality of records waste council, transfer system of government records storage. Fourth, in the application system of records,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information opening system, treatment system of popular complaints. I suggest plans to be improved like this. First, in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about records, especially in the production of records and improvement of circulation, ① the establishment of synthetic management in major meetings, ②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in particular records like the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③ management system of electronic records and improvement of non-electronic documentary registration and management. In the appplication of records, it must give us time reduction of users, preparation of equipment for users, maintenance of computer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convenience for users. Second, in the organ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and the number of persons, ① need to be reorganize into the Planning and Budget, Recording and Management, Recording and Service under the control of ○○○ bureau, ② In the university in Gwang ju metropolita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epartment of recording and management newly, including installing the training center for professional people about recording and management, ③ arrangement of technical experts of recording and management, also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m. Third, in the preservation and control of records, ① insurance of records space for preservation and antifungal safety, preparation equipment like fire extinguishing, ② passive collection about records of the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purchase of interpretation duplicator (microfilm) as transfer, ③ by constructing of computer system for systematic management , and administration of records management by computer as life cycle, ④ substantiality of records waste council, ⑤ utilizing of active volunteers, ⑥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records to prepare accidents or disasters like earthquakes, fires. Fourth, in the promotion about trust in records and infra expansion, ① choose the production system of records to promote trust and prepare transfer way according to system of management structure as well as items, ② in the infra expansion, need to consider the policy for support and establish management organization of wide area community about permanent records. Fifth, in the advertisement and education of records, ① in the part of advertisement, diverse medium and level of advertisement in records management, spreading of records culture through connecting with students, manufacturing promotional material, enacting the day of records, person who records in every year, selecting a man of merit in records management and give a prize to strengthen, ② in the part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business partners and users like senior management to educate regularly. 이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교육청 기록물의 관리 실태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시교육청의 기록물 관리에 대한 문제점 파악과 이를 위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광주광역시교육청의 기록물 관리 실태를 통해 현 시교육청의 기록물 관리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록물의 관리체계 개선적인 면, 기록물 관리 조직 및 인원적인 면, 기록물의 보존 및 관리적인 면, 기록물 신뢰도 제고 및 인프라 확충 면, 기록물에 대한 홍보 및 교육적인 면에서 문헌조사, 담당자와 전화 · 면담 및 정보공개청구를 병행하였다. 첫째, 기록물 관리체계의 문제점에서 주요기록물의 생산 · 관리의 미비, 기록물의 등록 및 관리체제 미비, 기록물관리 전담요원의 전문지식 결여의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기록물관리의 시설 및 장비의 부족의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기록물 관리 운영 실태에서 처리과 보존기록물의 관리, 문서고 보존기록물 관리, 기록물의 전문적인 가치평가의 부재, 기록물폐기심의회의 내실화 부재, 정부기록보존소 이관제도의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기록물 활용 제도에서 정보공개제도, 민원처리제도, 보존기록물의 열람 및 대출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기록물의 관리체계 개선적인 면에서는 기록물의 생산과 유통부분 개선에서는 ① 주요회의의 속기록의 종합적 관리방안 수립, ② 시청각 등 특수기록물 관리체계 개선, ③ 전자기록 관리체계의 비전자 문서 등록관리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기록물의 활용에서는 이용자의 시간을 단축, 이용자의 열람 장비를 구비, 전산관리시스템과 정보관리시스템 정비, 이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둘째, 기록물의 관리 조직 및 인원적인 면에서는 ① ○○○국 아래 기획지원팀(과), 기록관리팀(과), 기록서비스팀(과)로 조직개편이 필요, ② 광주광역시의 대학에도 기록관리학과 신설하여 기록관리 전문 인력 양성기관 설치, ③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배치와 교육 · 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기록물의 보존 및 관리적인 면에서는 ① 기록물 보존 공간 확보와 항균장치와 소화 장비 등 장비 마련, ② 시청각 기록물의 적극적인 수집 및 이관으로 마이크로 필름장비인 판독복사기의 구입, ③ 전자기록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전산시스템 구축으로 전자기록관리를 기록의 생명주기(Life Cycle)에 따라 관리, ④ 기록물폐기심의회의의 내실화가 필요, ⑤ 자원봉사자의 적극적인 활용, ⑥ 지진, 화재 등 재난재해에 대비한 기록물의 보존 및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기록물 신뢰도 제고 및 인프라 확충 면에서는 ① 신뢰도 제고를 위해서는 기록생산시스템을 선정하고 관리규조 및 항목 등을 시스템별 이관 방식 마련, 시스템별 고유의 기록생산 및 축적 방식을 체계화, ② 인프라 확충 면에서는 지원정책을 강구하여 광역자치단체에서도 영구기록물 관리기관을 설립이 필요하다. 다섯째, 기록물에 대한 홍보 및 교육적인 면에서는 ① 홍보 면에서는 기록관리 홍보의 매체 및 수준을 다양화하고, 초 · 중 · 고등학교의 연계를 통한 기록문화 확산, 홍보물 제작, 기록의 날 제정, 올해의 기록인, 기록관리 유공자 선정 포상 등을 통해 강화, ② 교육적인 면에서는 업무담당자들, 간부급들이용자들에게 정기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자 만족도 연구

        심혜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실태와 이용자 만족도를 분석하여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15개 도서관 중 지역구 형평성을 고려하여 8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용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문화프로그램 강사에 대한 만족도, 문화프로그램 내용 만족도, 문화프로그램 이용시 공공도서관 시설 만족도, 문화프로그램 운영 만족도, 강사, 내용, 시설, 운영 전반적인 만족도 (문항 외에 만족요인)등 5개 항목에 대하여 성별, 연령, 학력, 운영주체별, 문화프로그램 인식도에 대한 집단 간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301부 설문지를 토대로 사회분석에서 주로 사용하는 자료 분석 프로그램인 SPSS 20.0을 이용하여 문화프로그램 이용실태와 이용자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통계적 특성을 보면 여성(64.1%)이 남성(35.9%)보다 많았으며, 연령은 40대 이상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직업분포는 주부(37.5%), 무직(19.9%), 학력은 대졸(44.9%), 기혼(93.0%)이 많았다. 둘째, 문화프로그램 인식도에서 강사, 문화프로그램 내용, 문화프로그램 운영, 시설, 전반적인 만족도에서 전체적으로 3.0이상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라 성별,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별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운영주체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문화프로그램 인식도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는 문화프로그램 이용경로, 진행방식, 관심영역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화프로그램 이용목적, 수강횟수, 선택기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이 이용자 중심이 되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운영방안이 수립되어 실질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첫째, 다양한 계층이 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확대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연령에 따른 맞춤형 문화프로그램의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공공도서관의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관심도를 높일 수 있는 진행 방안이 필요하다. 여섯째,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시설의 보완이 필요하다. 일곱째, 공공도서관 직원들에 대한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sed the current status of using cultural programs presented by public libraries in Gwangju and users' satisfaction to identify their problems and counter measures. Targeting eight of 15 public libraries located in Gwangju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study interviewed users of cultural programs presented by public libraries using a questionnaire. The study compared satisfactions of each group in five items of instructors, program contents, facilities of public libraries, cultural program management and general management according to age, sex, education, subjects of operation and recognition on the programs.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with a use of the questionnaire and 301 copies of the responses collected were analysed with a use of SPSS 20.0.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programs and users'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spect to demo-statistical characteristics, 64.1% of users were female and 35.9% were male. Most of the users were in forties and 37.5% were housewives and 19.9% had no job. 44.9% were college graduates and 93.0% were married. Second, in respect to recognition of cultural programs, users' satisfaction in instructors, contents, program management and facilities were above 3.0. Third, according to demo-statistical factor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sex and education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Fourth, in respect to us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subjects of managemen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tems. Fifth, in respect to us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recognition of cultural program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using routes, progress methods, and area of interest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using purposes, frequency of using programs and standards of choice. Therefore, for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to be user-oriented and efficiently managed, these results lead us to make the following directions and recommendation: First, the programs should be further expanded so that more diverse classes can join in. Second, user-tailored promotion is needed according to their age. Third, diverse cultur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urth, high-quality services should be provided. Fifth, directions to enhance interest in cultural programs are needed. Sixth, facilitie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ultural programs are supplemented. Seven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vers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library staff.

      •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도입에 관한 연구

        박준영 전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사진 생산현장에서 중요하게 활용하는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공공기관의 태생적 디지털 사진기록물 이미지 파일 포맷관리 사례를 조사하여, 공공기관에서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을 활용하기 위한 도입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태생적 디지털 사진기록물을 개념적 정의하고,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둘째, 정보공개청구를 수행하여 공공기관의 디지털 사진기록물 이미지 파일 포맷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국내외 공공기관의 디지털 사진 포맷 지침을 분석하였다. 셋째, 공공기관에서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을 활용할 수 있는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은 가역성과 유연성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둘째,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중요한 문제점은 디지털카메라 제조업체에 종속적인 독점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이 난립하는 것이다. 셋째, 태생적 디지털 사진기록물의 포맷에 관한 제도가 미비하여 공공기관마다 자의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넷째, 해외 공공기관에서는 DNG 포맷을 유일하게 마스터 파일 포맷으로 사용할 수 있는 Raw 이미지 파일 포맷으로 평가하고 있다. 다섯째, 국가기록원은 높은 품질을 갖추면서 표준 혹은 사실상 표준으로 인정되는 포맷을 요구한다. 여섯째, 대검찰청은 법적 진본성을 갖춘 디지털 사진 파일은 이미지 속성뿐만 아니라 해시값, 용량과 같은 파일 속성까지 변하지 않은 네이티브 파일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된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도입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적 방안으로 ‘DNG 파일과 네이티브 독점 Raw 파일을 병행 보존하는 캡슐화’ 방안이다. 둘째, 장기적 방안으로 ‘마스터 파일의 파일 속성값 기준 시점 재정의’ 방안이다. DNG 파일과 독점 Raw 파일을 병행 보존하는 것은 공공기관에서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을 즉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용량 부담이 두 배로 증가하는 문제가 있어 장기간 지속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파일값 속성의 기준 시점을 재정의하여 포맷 변환으로 생성한 파일만으로 법적 진본성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Raw image file format,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digital photo production field, to investigate cases of image file format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and to suggest the introduction of Raw image file format to be utilized by public institutions.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carried out.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 defined the conceptual meaning of born-digital photographic record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Raw image file format. Second, through th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investigated the status of digital photographic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and analyzed the digital photo file format guidelines of domestic and foreign public institutions. Third, suggested introduction methods that can utilize Raw image file format in public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aw image file form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versibility and flexibility. Second, a major problem with Raw image file format is rampant of proprietary Raw image file formats, which is dependent on digital camera manufacturers. Third, there is a lack of a system for the file format of born-digital photographic records, so each public institution has no choice but to make a decision arbitrarily. Fourth, foreign public institutions evaluated DNG as the only one of Raw image file format that can be used as the master file format. Fifth, the National Archives requires a format that is recognized as standard or de facto standard with high quality. Sixth,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requires digital photo files with legal authenticity have not changed not only image properties but also file properties such as hash values and file siz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oposed introductions of Raw image file format is as follows. First, as a short-term method, it is 'encapsulation that preserves DNG files and native proprietary Raw files in parallel'. Second, as a long-term method, it is 'redefining the base point of attribute values of the master image file'. the encapsulation is a method that allows public organizations to utilize a Raw image file format immediately. But it is difficult to sustain them for a long time due to the problem of doubling capacity burden. Therefore, the reference point of the file value attributes should be redefined so that legal authenticity can be recognized only by a file created by format conver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