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현대 소설 학습 활동 연구 : 「수난이대」,「동백꽃」을 중심으로

        김효정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이 현대 소설 작품 감상을 통해 심미적 정서 함양과 함께 삶과 세상, 타인 등에 대해 총체적인 이해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대 소설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 수업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 자료인 국어 교과서의 현대 소설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그래서 2013학년도 현재 7학년부터 적용되고 있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새로운 검정 교과서 속 현대 소설을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학습 활동 제안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검정 교과서의 근간이 되는 2009 개정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16종의 새로운 검정 국어 교과서에는 총 43편의 한국 현대 소설 소단원 제재가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에 가장 많이 수록된 하근찬의「수난이대」와 김유정의 「동백꽃」을 중심으로 각 작품에 대해 상세하게 분석하고 교육적 가치를 재고하여 각 교과서의 공통 학습 활동과 개별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과서의 학습 활동은 대체적으로 교수ㆍ학습의 구체적인 장면이나 학습자의 수준, 교사의 성향 등에 따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실제 교수ㆍ학습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학습자가 흥미를 느끼면서 능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모둠활동 형태의 「수난이대」,「동백꽃」의 학습 활동을 각각 내용 학습, 목표 학습, 적용 학습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국정 교과서에서 검정 교과서로 교과서 체제가 바뀌면서 여러 출판사와 많은 집필진들이 국어 교과서 편찬에 참여했다. 그러므로 각 교과서는 다양성과 개성을 표출하면서도 학습자들에게 도전적인 활동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그 내용 요소나 구성 등에서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교사들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 학교와 수업의 현실적인 면을 고려하여 교과서 분석 및 재구성, 그리고 학습자의 창의력과 상상력 등을 위한 여러 가지 의미 있는 학습 활동 제작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 이해조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서사적 특성 연구

        백소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고는 이해조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을 서사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동안의 연구를 종합해 보면, 이해조의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는 연구자들에게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이해조의 소설뿐 아니라 다른 신소설 작가들의 작품들에서도 죽음이 자주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죽음의 문제는 주로 신소설 전반에 나타나는 하나의 특징으로 취급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죽음의 문제를 이해조라는 개별 작가에 밀착시켜 논의할 때, 그것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는 일은 이해조의 작품을 보다 다양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리라 생각한다. 이해조의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들은 심각한 의미를 띠지 않는다. 따라서 본고가 주목한 부분은 작품 속에서 죽음이 어떠한 모습으로 자리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이해조의 소설에 나타난 죽음을 단순히 유형화할 때 도출해낼 수 있는 결론은 한정적일 수밖에 없는데, 이와 관련해 풀어야 할 문제는 바로 순결 상실에 의한 죽음과 삶에 대한 패배 의식의 노출이라는 기존의 해석을 어떻게 넘어서는가가 될 것이다. 이해조의 소설에서 죽음은 거의 주인공의 자살 행위를 통해 실현된다. 이는 세계와의 대결이든, 타인과의 대결이든 등장인물들이 만들어내는 갈등 양상이 첨예하게 드러나지 않는 것과 관계가 있다. 그만큼 이해조의 소설에서 자살 행위는 희생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그러나 ‘자살-미수’의 양상에서는 다르다. 자살을 한 개인의 주체적인 의지의 실현으로 볼 때, 그러한 양상은 이해조가 개인의 욕망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자살-미수의 양상은 자살이 완결된 경우와 달리 자살이 큰 사건으로 그려지지 않으며, 다시 삶의 기회를 얻은 인물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의 과정을 중점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작품은 어떤 인물이 왜 죽었는가에 천착하는 것이 아니라 죽음 이후의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어 가는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본고는 죽음의 양상이 작품 전반의 내용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에 대해 의문을 가졌고, 이러한 의문을 풀기 위해 서사적인 측면에서 죽음을 고찰하였다. 이해조의 소설에 나타난 죽음은 크게 완결과 미완의 형태(자살-미수)로 이분된다. 완결의 형태는 주로 희생적 죽음과 관련되고, 미완의 형태는 한 개인의 주체적인 의지의 실현으로서 보다 근대적인 죽음의 의미와 관련된다. 희생적 죽음과 자살 미수의 양상은 작품 안에서 서로 다른 서사적 기능을 가진다. 죽음의 장치가 서사 전반에 기여하는 정도가 어떻게 되는지를 살필 때, 중요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는 바로 선과 악의 대립적인 구도이다. 이러한 대립적 구도는 이해조 소설의 특징을 거론할 때마다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특기할 만한 것은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들이 선/악의 구도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보다 명확히 말하자면, 이해조의 소설에서 죽음은 ‘선’보다 ‘악’을 드러내기 위한 일종의 문학적 장치로 활용된다. 따라서 이해조의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모습들은 비극적이지 않다. 이는 앞서 언급했듯 자살 미수의 경우, 자살 시도자에게 또 한 번의 생을 부여한다는 점과, 그들의 행위가 일탈과 성취의 과정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에서 보다 뚜렷이 알 수 있다. 그러나 작품 안에서 주인공들의 자살 시도는 이야기를 보다 매끄럽게 전개하는 데에 있어서 걸림돌로 작용한다. 이러한 점은 그러한 행위가 여성으로서 경계해야 할 것 중 하나라는 작가의 ‘현실적인’ 목소리가 작품에 나타난 것과 관련이 있으며, 대중과의 소통을 강하게 의식한 이해조의 창작 방법과도 무관하지 않다. 본고는 이러한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서 시모어 채트먼의 서사 이론을 토대로 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해조의 작품에서 죽음은 ‘소문’과 ‘위장’의 형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형식은 서사 연장의 기능을 가지며 독자의 흥미를 유발한다. 정리하자면, 이해조의 소설에서 죽음은 선/악의 모습과 인물의 주체성을 드러내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었으며, 작품의 재미를 위해 여러 가지 새로운 방식으로 죽음을 ‘형식화’하였다. 이렇게 이해조는 대중에게 친숙한 슬픔과 기쁨(하강-상승)의 정서를 죽음이라는 장치를 활용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주제어: 서사, 죽음, 자살, 자살 미수, 희생, 욕망, 선/악, 주체성, 전통/근대, 대중성, 통속성 This study investigated aspect of death that appear to Lee, Hai-Jo's novels in narrative side. When tries to synthesize a during that time research, The problem of the death which appears his novels cannot on a large scale be paid attention in researchers. The reason only his novels knowing the works of the different Shin-so-sul's authors and for the death to be appearing frequently in order is. Therefore, problem of death handled as one characteristic that appear on Shin-so-sul. Problem of death adhered closely in the individual author who is this Lee, Hai-Jo and when discussing, it should have borne what kind of meaning about, the work which has an interest the work variously, will be able to interpret is important from point. The aspects of the death which appears in Lee, Hai-Jo's novels do not wear serious meaning. Therefore, part that research that see observes is that death is doing setting down in life by certain image in work. Appears in his novels when death simply type, escape the conclusion which is the possibility of carrying through is not only will be limited. The problem will pass over the interpretation of existing which when is an exposure of defeat consciousness how about death and the life in compliance with a purity loss. Death is realized through almost hero's action in Lee, Hai-Jo's novels. Confrontation with the world are this, confrontation of the others and are the characters to make and the discord aspect sharply, with the fact that does not become known there is relationship. But attempted suicide differs. When suicide seeing with realization of the will which one individual is subjective, such aspect the author having an interest in desire of the individual, started shows the thing. Attempted suicide is not painted to the event that is large unlike completed occasion in work. So, work shows process of how heroes, who receive opportunity of life, live in priority. This study investigated death in narrative side to know wether aspect of death is forming work whole contents and some relation. Death is divided into greatly self-sacrificing death and suicide in Lee, Hai-Jo's novels. suicide among this has more modernistic meaning as realization of independent being will of individual. The self-sacrificing death and attempted suicide have each other different narrative function from inside the work. When consider contents of work with death, problem to consider is composition that is conflicting of virtue and vice. It is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is conflicting composition his novels. Most of all, aspects of death that appear in work of to be worth are composition and that is linked nearly of virtue and vice. If say more definitely, death is used by literary device to show vice than virtue in his work. So, features of death that appear to his novel is not tragic. This point can know that give women subjecthood of life in occasion of attempted suicide. In the end, it is deviation and process of accomplishment that their action shows. Attempted suicide goes forward in process of resolution, but this dose not have personality of simple revolution. Preferably, there is suicide attempt of heroes to carry talk smoothly and acts by obstacle. This point is related to that writer's situation, who is one of that attempted suicide should warns as women, appears in work. And is not unrelated with Lee, Hai-Jo's creation method that mutual understanding with public strongly. This study progressed discussion on the basis of Seymour Chatman's narration theory to trace definitely these contents. That is such can see from that death is appearing by form of 'rumor' and 'disguise' in his work. This form has function of narration too and effect of interest. If arrange, By method that death was used by device to forms connection and expose person's subjecthood with composition of virtue and vice and is new for interest of work in his novels death formalize. Like this, Lee, Hai-Jo is showing public emotion of familiar sorrow and a delight through device called death. □ Key Words: narration, death, suicide,attemptedsuicide,sacrifice,desire, virtue/vice,individuality, tradition/modern age, popularity

      • 손창섭 신문연재소설 연구

        곽상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본고에서는 손창섭이 발표한 신문연재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서사에 나타난 특징들과 더불어 인물들의 욕망발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1950년대에 발표된 신문연재단편소설 세 편과, 도일 직전까지 신문에 연재했던 장편 10편을 분석했다. 먼저 손창섭은 1949년부터 1950년 후반까지 총 세 편의 단편소설을 신문에 연재한 바 있었다. 구체적으로 「얄구진 비」에서는 1950년대 단편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우울한 분위기와 ‘~것이다’의 문체, 그리고 병적인 인간상 등이 작품에 내재되어 있었는데, 인물들은 자기모멸의식과 자기 부정을 통한 세계 인식, 법적 질서에 대한 부정의식을 드러냈다. 「모자도」의 경우는 『신의 희작』의 유년기적 풍경을 보여주면서, 어머니에 대한 부정의식을 승화를 통해 이겨내고 있었다. 「미스테이크」에서는 권력자들의 부패함, 윤락녀와의 관계 맺음, 부정한 씨앗이라는 출생의 비밀 등의 내용이 서사에 고루 담겨 있었다. 앞의 두 작품이 1950년대 손창섭 단편소설에 나타나는 특징들을 고루 담고 있었다면, 「미스테이크」는 1960년대에 발표된 신문연재장편소설들의 주된 서사를 담고 있었다. 곧 1960년대 장편들의 서사와 공통분모를 갖는다는 측면에서 가치를 부여할 수 있었다. 「미스테이크」를 시작으로 손창섭은 1960년대 장편들에다 질서화된 세계 부정, 금지된 사랑에의 욕망, 여성을 바라보는 주체들의 이중적 시선, 결혼에 대한 유보적 태도, 혈연관계의 부정에 따른 계약가족의 형성, 인간에 대한 염증에서 비롯된 현실도피의 양상들을 구체화시켰다. Ⅲ장부터는 1960년대에 발표한 손창섭의 신문연재장편소설들을 대상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먼저 손창섭의 인물들이 질서화된 세계에 대한 부정의식을 표출하는 데 주목하였다. 부정한 세계 인식을 통해서 인물들은 그 반항기제로 법적 질서를 거부하거나 금지된 사랑에의 욕망을 키우면서 쾌락적 세계를 갈구하였다. 인물들의 행위는 아버지에 대한 부정의식이 발로된 것이었으며, 그것은 제도권의 타락상을 고발하는 장치로도 해석되었다. 인물들이 부정의식을 갖게 된 것은 부모들이 부적절한 성관계를 통해서 자신을 낳았기 때문이다. 태생부터가 ‘불순한 씨앗’이라는 근원적 상처는 인간관계를 뒤틀어버리거나 스스로를 타락의 길로 걸어가게 하는 부정성을 낳았다. 이에 인물들은 여성들과 관계를 맺으면서도 결혼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하는 성향을 보였다. 또한 합일할 수 없는 대상에 대해서는 바라봄을 통해 쾌락적 세계를 탐닉하는 양상도 보였다. Ⅳ장에서는 욕망하는 주체가 법적 질서에 의해서 합일이 금지된 여성들을 시선과 응시를 통해 관계 맺고자 하는 것을 주목하였다. 먼저 인물들은 시선을 통해 이상적 타자를 만나게 되었고, 그 대상과 합일하고자 하는 무의식을 드러냈다. 그러나 그 대상이 금기시된 것이기에 주체들은 ‘응시하는 눈’을 의식하면서 도덕적 수치심을 유발하게 되었다. 또한 남성들의 시선에 포착된 여성들은 크게 ‘성녀’와 ‘요부’의 형상을 띠고 있었는데, 전자로 묘사되는 순결한 여성들의 경우에는 그들의 주체성이 ‘동정증명서’와 ‘처녀성’으로 은유화되고 있었다. 남성들은 여성을 사랑하는 대상으로서 인식하면서도 상징계의 법이 증명해주는 ‘동정’과 ‘처녀’가 확인되지 않으면 아무리 순결하다고 하더라도 대상 자체를 포기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와는 반대로 남성들이 덧씌운 성적 환상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 여성 인물들은 스스로 쾌락적 주체가 되어 남성의 질서에 반하는 일탈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사랑 계약서’를 통해서 운명적인 인간관계를 부정하는 양상도 드러냈다. 이러한 양상들이 결국에는 가족의 구조를 해체시키거나 인간관계를 피상적으로 만드는 데 작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필연적이고 운명적인 인간관계가 해체되면서 가족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재구성되는 현상을 볼 수가 있었다. 그리하여 모든 인간관계가, 심지어는 혈연으로 결속된 인간관계가 필요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계약관계로 전락하고 그 과정에서 유사가족이 탄생하는 것을 보게 되었다. 인물들은 가족과 인간관계의 해체를 야기한 도시·자본사회에 대한 환멸을 느끼고 그곳을 벗어난 곳에서 봉사활동을 하거나, 아예 귀농을 선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도화되고 세속화된 세계를 부정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알 수 있는바, 손창섭은 1960년대로 들어서면서부터 대중과 소통하며 신문소설을 연재했던 작가였다. 손창섭은 ‘신문’이라는 대중매체를 통해 전후의 병적인 인간상과 우울한 현실, 인간에 대한 모멸 의식과 불구의 세계로부터 벗어나고, 자신의 문학적 세계의 장을 확장할 수가 있었던 것이다. 아울러 윤리의식의 마비, 퇴폐적 욕망의 분출, 가족의 해체 위기 등을 통해, 역으로 도덕성을 강조하면서 사회의 불합리함을 고발하고자 했다. 이런 점에서 손창섭의 1960년대 신문연재장편서사를 단순한 대중성과 오락성으로만 폄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신문연재소설은 대중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매회 독자들로부터 간섭을 받기 일쑤였다. 그렇기에 작가는 작품의 원래 취지와 문제의식, 서사의 방향성을 일부 수정해가면서 작품을 연재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손창섭은 1950년대에 보여주었던 인간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을 1960년대 신문연재소설에서도 보여주고자 노력했다. 1950년대에 병적으로 그렸던 인물군상이 1960년대에는 도시적 삶과 연결되면서 보다 복잡한 문제를 야기하기에 손창섭의 작품을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손창섭의 1960년대 신문연재소설은 인간에 대한 면밀한 천착을 함으로써 욕망과 연결시켰고, 거기에서 발생하는 ‘인간관계’를 문제적으로 그렸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손창섭 신문연재소설의 가치는 인정된다고 하겠다. 이상의 논의와 더불어 남은 과제도 있다. 최근에는 손창섭의 개인사가 여러 증언과 문건들을 통해 새롭게 밝혀졌다. 또한 아직도 발굴되지 못한 작품들이 많을 것으로 추정되기에, 이를 발굴하여 재정리·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1960년대에 발표된 그의 수많은 신문연재장편들에 대한 보다 세밀하고 구체적인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실제로 손창섭의 1960년대 소설에서는 당시 국가가 강요했던 이데올로기를 엿볼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사회학적인 관점과 결부시키면 1960년대의 ‘도시’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여겨진다. 또한 신문연재소설이기에 독자들의 반응을 무시할 수가 없는바 독자를 인식한 글쓰기의 의미와, 둘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한다면 손창섭은 ‘1950년대’를 벗어난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부여받을 수 있을 것이다.

      • 영화·드라마 단원 분석을 통한 수업 방안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정미현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은 최근 교육 현장에서 영상 매체 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2013학년도부터 이러한 요구를 반영한 새 교과서가 적용됨에 따라 새롭게 실린 영화와 드라마의 단원 분석을 통해 교육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나아가 효과적인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보다 구체적인 교과서 내용 분석을 위해 영화나 드라마가 하나의 장르로서 지니는 교육적인 가치를 살펴본 후, 새 교과서에 실린 학습활동 내용을 종합하여 보다 바람직한 수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어교육에서 본격적으로 매체에 대한 교육을 강조한 것은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인데, 이 당시에는 주로 각 영역에 '지식'의 하위 범주로서 매체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러서 내용의 '실제'로서 다양한 매체가 신설되어 전 영역에 걸쳐 매체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즉, 이전에는 소설과 같은 타 장르의 학습 보조 자료로서 활용되어 오던 매체가 하나의 새로운 장르로 독립되어, 교과서에 영화나 드라마 장르가 본격적으로 실리게 된 것이다. 영화나 드라마는 이야기를 담은 한 편의 서사물로서의 문학적인 가치와 다양한 시청각적 효과를 활용한 영상 매체로서의 가치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따라서 사회・문화적인 이데올리기와 내러티브, 스타일 상의 특징을 총체적으로 감상해 볼 수 있는 통합적 제재로서 국어 수업을 통해 활용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16종 국어 교과서를 수집하여 영화와 드라마가 실린 단원을 찾아 학습활동을 비교 분석하고, 각 교과서에 실린 제재의 공통점과 차이점, 학습활동 상의 개선점을 찾아내어 보다 나은 수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과서에는 국어의 다섯 영역 중 ‘문학’과 ‘듣기・말하기’ 영역을 중심으로 영화 5편, 드라마 4편, 시트콤 1편이 실려 있었는데, 주로 학습자 또래의 주인공이 등장해 가족 간에 겪게 되는 갈등과 자신의 진로로 인한 고민, 서로간의 이해와 소통을 통한 갈등 해결 과정이 실려 있었다. 따라서 영화와 드라마가 갖고 있는 고유한 장르적 특징을 고려했을 때, ‘듣기・말하기’ 영역 보다는 ‘문학’ 영역에서 다뤄지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고, 이에 따른 새로운 교수 학습 방안을 설계하였다. 중학교 국어 수업에 적용해볼 만한 제재로 가족의 사랑과 두 아이의 서로 다른 선택을 통한 성장 이야기를 담은 애니메이션 <늑대아이>와 상처 받은 두 남녀가 갈등 속에서 고군분투하며 세상 속으로의 소통을 시작하는 영화 <김씨표류기> 두 편을 선정하여 등장인물의 행동과 대사를 통해 심리를 파악하고 갈등 해결 방식을 이해하며, 다양한 영화적 표현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찾아보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 스스로 경험을 재구성하고 작품을 내면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 DMB 통신 기반의 RTK 측위 서비스 정확도 분석

        김형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GPS positioning includes a post-processing static survey and a real-time kinematic (RTK) survey method that determines the location by processing observation data in real time.RTK method corrects the carrier wave correction value (corrects the error by comparing the exact position value of the reference point with the position value estimated by GPS observation) to the mobile station from a single reference point in real time. It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station in real time through a series of transmission processes. Network-RTK generates GNSS error correction parameters using multiple GNSS constant observation stations. There are VRS, FKP, and MAC methods for correcting this in the observation space, and the VRS method is currently the most useful and accurate. The FKP method and MAC method are not used well because the initialization time is longer and the accuracy is lower than the VRS method. In Korea, there is a foreign solution-based RTK positioning service called VRS (Virtual Reference Station), which i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or free.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private businesses receive a service fee of several million won per year, while in Korea,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provides the service for free. However, the VRS service has a limit of 1250 concurrent users, and as the utilization of VRS increases, serious access failures are occurring. To solve this problem, the same network method is used, but RTK positioning service (B'RTK) using DMB communication was developed by Munhwa Broadcasting company There is no clear regulation on the accuracy of the B'RTK service, so it is not possible to judge whether it can be trusted and used for various surveying task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check whether the B'RTK service is at a reliable level by comparing the accuracy of B'RTK and the accuracy of the verified VRS service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B'RTK service, 143 reference points were selected among integrated reference points distributed nationwide, and field verification surveys were performed. VRS survey results and B'RTK survey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integrated control point, and the accuracy was evaluated by calculating the RMSE for the deviation of the measurement result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integrated control poi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surement data of the evaluation points, the accuracy of the B'RTK service was 0.026m in the N direction, 0.023m in the E direction, and 0.060m in the ellipsoid height direction. (N direction: 0.029m, E direction: 0.024m, ellipsoid height direction: 0.050m) It was similar to the evaluation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ositioning accuracy is similar to that of the VRS service that satisfies the allowable accuracy (±10cm) according to the public survey work regulations is expected. GPS 측위를 이용한 위치 결정은 후처리에 의한 정지측량(static) 방식과 실시간으로 관측데이터를 처리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인 RTK(Real-Time Kinematic) 측량 방식이 있다. 이중 RTK 방식은 단일 기준점에서 이동국에게 반송파위상에 대한 보정치(기준점의 정확한 위치 값과 GPS 관측에 의해 추정된 위치 값을 비교하여 오차를 보정)를 실시간으로 송신하여 일련의 송신과정을 거쳐 실시간으로 이동국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Network-RTK는 다수의 GNSS 상시관측소를 활용하여 GNSS 오차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이를 관측공간(observation space)에서 보정하는 방식은 VRS, FKP, MAC 등이 있고 현재 가장 활용도 및 정확도가 높은 것은 VRS 방식이다. FKP 방식과 MAC 방식은 VRS 방식보다 초기화 시간이 길고 정확도가 낮기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국토부에서 무료로 서비스하는 VRS(Virtual Reference Station)라는 외산 솔루션 기반 RTK 측위 서비스가 있다. 해외의 경우, 민간 사업자가 연간 몇 백만 원의 정보이용료를 받고 서비스하는 반면 국내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VRS 서비스는 1250명의 동시 접속자가 한계이며 VRS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현재 심각한 접속장애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을 사용하지만 DMB 통신을 이용한 RTK측위 서비스(B'RTK)가 (주)문화방송에 의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B'RTK 서비스의 정확도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어, 다양한 측량업무 등에 신뢰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RTK의 정확도와 기 검증된 국토지리정보원의 VRS 서비스의 정확도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B`RTK 서비스를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B'RTK 서비스의 측정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통합기준점 중 143개의 기준점을 선정하고 현장 검증 측량을 수행하였다. VRS 측량 결과와 B'RTK 측량결과를 통합기준점 성과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정확도의 평가는 통합기준점의 성과를 기준으로 측정결과의 편차에 대한 RMSE를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평가점의 측정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B'RTK 서비스의 정확도는 N방향에서 0.026m, E방향에서 0.023m, 타원체고 방향에서 0.060m의 RMSE 결과를 보였으며, 공공측량에서 사용되는 VRS 서비스의 정확도(N방향:0.029m, E방향:0.024m, 타원체고 방향:0.050m) 평가 결과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공공측량 작업규정에 따른 허용정확도(±10cm)를 만족하는 VRS 서비스와 유사한 측위 정확도를 보였다는 점에서 향후 B'RTK 측위 서비스를 공공측량을 포함한 다양한 측량 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UAV LiDAR 측량을 통한 연약지반 침하량 산정

        이재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상 국토의 이용과 지역 간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연약 해역에서의 준설·매립을 통한 부지조성 항만 공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공사는 가호안 축조 후 준설토를 매립하여 부지를 조성하는 공사가 많으며 이러한 매립지는 특성상 장기간에 걸쳐 침하가 발생하여 다양한 공학적 문제를 발생시키는 연약지반이 조성되며 이에 따른 연약지반 유지관리가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연약지반의 유지관리는 예측 침하 시간곡선과 실측 침하곡선의 일치 여부를 검증하여 관리를 수행함에 따라 현장에서 계측기에 의한 침하량 관측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현장 계측기에 의한 침하량 산정은 관측자의 숙련도에 따른 오차 발생 및 현장 여건과 기상변화에 따른 관측 곤란 등으로 일관성 있는 데이터 확보가 어려운 점과 계측기가 미설치된 구간에 대한 침하량 정보는 취득하지 못함에 따라 그 효용성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계측기 운반, 설치 및 유지관리를 위한 인력 사용으로 경제성 또한 낮다. 한편, 다양한 건설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통해 전통적인 건설기술에 첨단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건설기술 개념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장비, 기기, 시스템의 연결 및 상호작용을 통한 생산성 향상, 효율성 개선, 안전성 강화 등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실시간 고정밀의 3차원 공간정보 취득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신속하고 효율적인 3차원 공간정보 취득 기술이 요구되며 특히, 레이저 스캐너를 UAV(Unmanned Aerial Vehicle)에 장착하여 3차원 공간정보 추출 및 모델링하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기법의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UAV 및 LiDAR 측량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토공량 산정 및 토공 사면의 안정성 평가 등과 같은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연약지반에서의 정확도 및 사용성과 활용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첨단 기술이 융합된 UAV LiDAR 측량 성과를 활용하여 연약지반에서의 그 정확도 및 사용성과 활용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 수행 방법으로는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 대상 지역 선정 후 UAV LiDAR 측량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취득된 데이터는 전처리 및 후처리 과정을 통해 정밀도 높은 3차원 데이터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치표고모델(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제작하였다. 연약지반 현장에서의 계측 중인 현장 계측기에 의한 침하량 성과를 계측점별로 분석하여 수치표고모델과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한 UAV LiDAR 측량 성과의 침하량 산정 정확도 및 사용성을 평가하고 시계열별 수치표고모델 제작을 통해 UAV LiDAR 측량 성과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현재 개량 중인 연약지반에서의 침하량 산정 시의 정확도 및 사용성은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UAV LiDAR 측량 성과를 통한 DEM을 활용하여 경제적이고 최적의 효용성 갖는 유지관리가 가능함을 통해 활용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활용성을 통한 기대효과와 연구의 한계점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한 향후 연구 진행 방향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Du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of land reclamation and harbor construction through dredging and landfill in vulnerable coastal areas, aiming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and efficient land use. These construction projects often involve the placement of fill materials after the construction of coastal structures, resulting in the creation of land in areas that are prone to long-term subsidence. Consequently, various engineering issues arise, necessitating the implementation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practices for the vulnerable ground conditions. The maintenance of soft ground requires the verification of the consistency between the predicted settlement-time curve and the measured settlement curve, making field measurements of settlement using instruments essential. However, obtaining consistent data through field measurements is challenging due to potential errors caused by the skill level of the observer and difficulties in observation due to site conditions and weather changes. Additionally, the usefulness of settlement information cannot be obtained for sections where measurement instruments are not installed, limiting its effectiveness. Moreover, the use of manpower for transporting, installing, and maintaining measurement instruments also presents cost inefficiencies. On the other hand,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the concept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is being introduced by integrating advanced digital technologies into traditional construction methods. This technology aims to achieve goals such as increased productivity, improved efficiency, and enhanced safety through the connection and interaction of various equipment, devices, and systems. Real-time, high-precision acquisition of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efficiently achieving these objectives. Existing literature on UAV and LiDAR surveys primarily focuses on topics such as volume estimation and stability assessment of excavations and slopes.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the accuracy, usability, and applicability of UAV LiDAR surveys specifically in vulnerable ground condi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assessment of the accuracy, usability, and applicability of UAV LiDAR surveys incorporating state-of-the-art technologies in vulnerable ground condition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study area that aligns with the research objectives, and performing UAV LiDAR surveying to acquire data. The acquired data were processed and post-processed to obtain high-precision 3D data, which was used to create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The settlement performance measured by field instruments during the on-site measurements in the soft ground field was analyzed on a point-by-point basis, comparing and analyzing it with the DEM. This evaluation allowed for assessing the accuracy and usability of settlement estimation using UAV LiDAR surveying, as well as evaluating the applicability of UAV LiDAR surveying results through the creation of time-series D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ccuracy and usability of subsidence estimation in vulnerable ground conditions, currently under improvement, have been achieved. Additionally, it was observed that the utilization of DEMs derived from UAV LiDAR surveying outcomes allows for economically viable and optimal maintenance practices, demonstrating excellent applicability. Lastly, the anticipated benefits of such ap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re discussed.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의식의 양가성과 그 표출 양상 연구

        최은혁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paper was to closely analyze the ambivalent aspects of consciousness that were projected throughout Choi In Hoon's novel, and to more comprehensively understand his works that had a reputation as a difficult and as a chain of more comprehensible text. The consciousness of writter provided the integrative principle to individual piece that was shaped as a multi-faceted aspects or the eye giving a glance to tie them sift some series, in the case of Choi In Hoon, its essence was ambivalence that it could be easily explained by the notion that this article made its basic premise. It primarily utilized psychoanalytic literature as a theoretical authority to closely analyze the ambivalence issues, and depending on the case, it was also refer to the 『fiction and ideology』 of Peter V. Gima. The contents of the paper has been deployed in substantially the following sequence and content. First, in chapter Ⅱ, it looked at the paranoid aspects of the subject to seek absolute truth as the axis of ambivalence. The 'self-criticism incident' in the boyhood that repeated and varied in many works had the significance as the hero driven from the world that he didn't know the discord established itself as a strong linguistic subjects against the Other. The adult protagonists were showing the paranoid quest for absolute truth that specifically illustrate the language not to be easily assimilated into the extraordinary linguistic consciousness of the Other. However, in a desire for absolute truth, the unfolding reason language was sometimes vague and sometimes exposed the abstract tendencies. To give a reason, when it crashed into the concrete issues to avoid speculation, it is the ideological discourse. These heros of Choi In Hoon as a stepping stone would be able to get continued adventures of thought towards the absolute truth. On the other hand, the world was being assumed in association with the absolute truth, the nature of the utopian notion that the world existed in order not to contradict this deficiency. As it formed the background for a book such notions world, the protagonists of the novel of Choi In Hoon were usually portrayed as figures of errant readings that were directly related to this point. The book also served to recognize the criteria and to determine the empirical reality as the home of the so-called transcendental meaning. They were projecting a sense of order and stability of book to the other reality out of book, and have the same type of mindset as named characters 'window type of human' in 「Gray Club whole story」. However, they were aware of the fact that the book does not always match exactly the reality from the actual sufferings and they found their own meaning in a world away from the absolute dependence of the book. Languages that were the feet of the journey was the intellectual discourse and unique metaphor that combines literary aspect. In chapter Ⅲ, the world that did not fully reveal the deep inside, that is, it was investigated aspects of the response factors and therefore subject to hinder the arrival to the absolute truth. Here, when seeking the absolute truth, narcissism was back to back with the attitude of obedience and losing consciousness to the Other, furthermore they could lead themselves to avoid the absolute truth. In other words, through this analysis, the ambivalent consciousness aspect was set to key themes of this paper more acute as ever visualized. There would always be a gap between the words that one wish to speak and the actual words spoken, and it is accepted by the failure of the attempts to initiate absolute for the protagonists of Choi In Hoon who represented the fundamental human alienation. The recognition of such failure or the limits was beyond the healthy introspection often leading self-deprecating (booing, jeering), and this attitude was full of contrasts to the quite ambitious figure. It also implied greater the aspirations of authenticity that could be understood by the fact that forced too large, according to despair failure, but rather had a greater significance as one of the strategic attitude to defend themselves from the critical gaze of the Other. In other words, incompleteness, errors, and ambiguity that were found in their own language were exposed in the form of a pre-emptive self-reflection and self-deprecating to preempt and to block such a criticism of the Other. A more high-level strategy had ultimately ambiguous treatment of the spirit and it picked up the subject of remarks in the context of developed a method to evoke the feeling of absence for them. This article was named the writing of such strategies as 'a writing as an alibi'. However, these strategies were not only having only the purpose to defend himself from the Other. As the reason language did not take a period and would constantly modify and complement them, so you can go a little further close to the absolute truth ultimately wanted to go through that process also reach objectives that were contained in it. This operation could be seen as a language built metonymy in connection with the rhetorical point of view. The metonymy referred to a symbolic phenomenon that continued to be one of the signifier directed only another signifier and it did not engage directly with one of the groups. Choi In Hoon invented the term 'elasticity' from 『Journey to the West』 and re-conceptualized the metonymy in my own way, and that 『Journey to the West』 as well as it provided needfu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metonymic character throughout his novels. 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chapter Ⅲ, we have seen the problem of a real factor built condition while the reasons ring remained constant travel could deviate significantly for allowing the character to the track that addressed in many works. In chapter Ⅳ,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put split into two camps ideological competition that promoted Cold War situation (<Communist VS capitalism>) has been gradually easing in the East-West exchanges and eventually the big stage that at least world history with the sudden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s much as the corresponding trace the sudden change in the situation hided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o acts of Choi In Hoon (writing), and it has been subjected to any process of transformation that was trying to reflect on it again any meaning in literature of Choi In Hoon. Since 『One days of the novelist Kubo』 was one work to bleach the difficulty of awareness activities and fiction writing through writer 'Kubo' who was strongly reminiscent of Choi In Hoon, such difficulties were believed to be due to become opaque of the sharp ideological dichotomy of capitalism and communism as friendly exchanges between western countries and communism countries were promoted. One striking feature of this work was the describing method such as an essay was that reflected the spirit of the ideological ambivalence caused with his reflective details. As you can see, Choi In Hoon began to concentrate on writing plays instead of novels from a mental turmoil deepened this occasion. Judging on the basis of a statement from the 『conversation topic』, he was aware of the drama genre that could spread the important stories of life without having to manually apply a rational explanation for all aspects of life there, and found an alternative to new writing. So it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novel and he was perpetrated unfold a different world in plays that was defined a primordial maternal space in one word. This space has a built-in power of engagement while making becomes wrapped around the contradictions and disagreements within the embrace of reality in a tranquil margins, and Choi In Hoon who was tired of novel language had a sort of spiritual retreat. Nevertheless, writing plays did not last much longer than writing novels, this point was the fact that Choi In Hoon made this place a novel based on the strength of a strictly rational reasons of his literature. The 『conversation topic』 was an impressive work that announced he has returned to my territory again after a long silence fictional, containing a record of extensive and intense memories accident. The ultimate subject was to converge self-identification problem, which suggested that there was acutely feel the need for maintenance and strengthening of self-identity than the time he ever wrote a 『conversation topic』. The sudden internal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was meaningless and ideological value judgment accordingly his novel, which was also placed on the world crisis, losing an existence based on the context and meaning suddenly. This novel was considered as the product of an ambitious project to re-establish his life and to go unto immortality through active postmemory as a desperate response to a crisis. However, by significantly tilt the balance of self-preservation instincts, it seemed that the ambivalent consciousness of the previous novels was broken and the unique tension also could not be found any more in the 『conversation topic』. Seeing this work as the end of Choi In Hoon's artistic history, it was virtually finished as a judge considering the internal circumstances. 이 논문은 최인훈의 소설 전반에 투영되어 있는 의식의 양가적 측면을 세밀히 분석함으로써 난해하기로 정평이 나 있는 그의 작품세계를 보다 이해 가능한 텍스트들의 연쇄로 환치해 한층 종합적으로 파악하려는 데 근본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작가의식은 다면적 양태로 형상화되어 있는 개별 작품들에 통합적 원리를 부여하거나 그것들을 몇 가지 계열체로 묶어 일목요연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시선을 제공하는바, 최인훈의 경우 그 요체가 양가성(兩價性, Ambivalence) 개념으로 용이하게 설명될 수 있다는 점을 이 글에서는 기본 전제로 삼고 있다. 양가성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피기 위해 주로 정신분석학 문헌들을 이론적 전거로 활용했으며, 경우에 따라 페터 V. 지마의 『소설과 이데올로기』를 참고하기도 했다. 본론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은 순서와 내용으로 전개되었다. 먼저 Ⅱ장에서는 양가성의 한 축으로서 절대적인 진리를 추구하는 주체의 편집증적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러 작품들에서 반복, 변주되어 나타나는 소년시절의 ‘자아비판회 사건’은 불화(不和)를 모르던 세계로부터 쫓겨난 주인공이 대타자에 맞서는 강한 언어적 주체로 자신을 정립하는 계기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성인이 된 주인공들이 보여주는 절대적인 진리에 대한 편집증적인 추구는 대타자의 언어에 쉽게 동화되지 않으려는 남다른 언어적 자의식을 구체적으로 예증한다. 그런데 절대적인 진리에 대한 열망 속에서 펼쳐지는 사유 언어는 때때로 막연하고 추상적인 성향을 노출하기도 한다. 그럴 때 사유가 공론(空論)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구체적인 쟁점을 부여하는 것이 바로 이데올로기 담론이다. 이를 디딤돌 삼음으로써 최인훈의 주인공들은 절대적인 진리를 향한 사유의 모험을 지속해나갈 수 있게 된다. 한편, 절대적 진리와의 관련 속에 가정되고 있는 세계는 결핍과 모순이 없고 질서정연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유토피아적 관념 세계의 성격을 띤다. 그러한 관념 세계의 배경을 이루는 것은 책으로서, 최인훈 소설의 주인공들이 대개 독서 편력의 인물로 묘사되는 것은 이 점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책은 이른바 의미의 선험적 고향으로서 경험적 현실을 인식하고 판단하는 준거 역할을 하기도 한다. 책이 안겨주는 질서와 안정의 감각을 책 밖의 현실에 투사하는 그들은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에서 ‘창(窓) 타입 인간’이라고 명명된 인물 유형과 동일한 의식 구조를 지닌다. 그러나 책과 현실이 언제나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현실적 수난으로부터 깨닫게 되는 그들은 책에의 절대적 의존 상태로부터 벗어나 세계 속에서 스스로 의미를 찾아 나서게 된다. 그 여정의 발이 되고 있는 언어는 지적인 논설과 문학적 은유가 결합된 독특한 양태를 지닌다. Ⅲ장에서는 제 심부를 온전히 드러내주지 않는 세계 즉, 절대적 진리 도달을 가로막는 요인들과 그에 대한 주체의 대응 양상을 고찰하였다. 여기에서는 절대적 진리를 추구할 때의 도저한 나르시시즘이 대타자에 대한 순종의 태도 및 패배의식과 등을 맞대고 있으며 나아가 스스로 절대성에 도달하기를 회피하는 경향마저 엿보인다는 점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하여 이 논문의 핵심 주제로 설정된 양가적인 의식 면모가 보다 예각적으로 가시화되도록 했다. 말하고자 한 것과 실제 말해진 것 사이에 언제나 존재하는 틈은 인간의 근원적 소외를 나타내며 최인훈의 주인공들에게는 절대성을 개시하려는 언술 시도의 실패로 받아들여진다. 이 같은 실패 또는 한계의 인식은 건전한 자기반성을 넘어 종종 자기비하(야유, 조소)로까지 이어지는바 이러한 태도는 패기 넘치는 언변가로서의 모습과는 사뭇 대조를 이룬다. 그것은 포부가 클수록 실패에 따른 절망감 역시 클 수밖에 없다는 사실로 이해될 수 있는 진정성을 내포하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대타자의 비판적 시선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려는 하나의 전략적 태도로서 더 큰 의미를 가진다. 즉, 자기 언어에서 발견되는 불완전성과 오류, 모호함 등을 자기반성 및 자기비하의 형태로 선제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대타자의 비판을 선취 및 차단하려는 것이다. 이보다 더 고차원적인 전략은 언술 전개의 차원에서 발언의 진의와 그것의 귀속 주체를 모호하게 처리하면서 종국에는 그것들에 대한 부재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방법이다. 이 글에서는 이 같은 전략의 글쓰기를 ‘알리바이로서의 글쓰기’로 명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들이 단지 대타자로부터 자기를 지키려는 목적만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사유 언어에 방점 내지는 마침표를 찍지 않음으로써 그것들을 부단히 수정, 보완해나갈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절대적인 진리에 조금씩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하는 목적이 또한 거기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수사학적 관점에서 이 같은 언어 운용을 환유와 연결지어볼 수 있다. 범박하게 말해 환유는 하나의 기표가 하나의 기의와 곧장 결합하지 못하고 또 다른 기표만을 계속해서 지시하게 되는 기호현상을 일컫는다. 최인훈은 『서유기』에서 ‘탄력점’이라는 용어를 고안해내 자신만의 방식으로 환유를 재개념화하는데, 그것은 비단 『서유기』뿐 아니라 그의 소설들 전반에 걸쳐 있는 환유적 성격을 이해함에 있어 요긴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한편, Ⅲ장의 끝자락에서는 주인공들로 하여금 일정한 사유 궤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한 채 환유적 여행을 하게끔 조건 지은 현실적 요인으로 식민성의 문제가 여러 작품들에서 다뤄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국제사회를 두 개의 진영으로 갈라놓고 냉전 상황을 조장했던 이데올로기적 경쟁 구도(<공산주의 對 자본주의>)가 동서 교류 속에서 서서히 완화되고 종국에는 소련의 급작스런 해체와 함께 적어도 세계사라는 큰 무대에서만큼은 자취를 감추게 된 20세기 말의 급격한 정세 변화에 대응해 최인훈의 언술 행위(글쓰기)가 어떠한 변모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고 또 그것이 최인훈 문학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에 대해 고찰을 시도했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최인훈 자신을 강하게 연상시키는 소설가 ‘구보’를 통해 인식 활동과 소설 쓰기의 어려움을 표백하도록 한 작품으로, 그러한 어려움은 서방 국가와 공산권 국가 간의 우호적 교류가 증진됨으로써 공산주의와 자본주의라는 선명한 이데올로기적 이분법이 불투명해진 데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 이 작품의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인 에세이적 서술방식은 자기반영적 내용과 함께 이데올로기적 양가성이 초래한 정신의 혼란상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라 하겠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최인훈은 정신적 혼란이 깊어진 이 즈음부터 소설 대신 희곡 쓰기에 집중하기 시작한다. 『화두』에서의 진술을 토대로 판단하건대, 그는 희곡을 삶의 모든 국면에 대해 일일이 합리적 설명을 가하지 않고도 인생에 관한 중요한 이야기를 펼쳐낼 수 있는 장르로 인식했고 거기서 새로운 글쓰기의 대안을 발견했다. 그리하여 그는 소설과는 사뭇 다른 세계를 희곡 안에 펼쳐냈는바 그것은 한 마디로 말해 원초적인 모성 공간으로 규정된다. 이 공간은 현실의 모순과 불화를 고요한 여백 속에 감싸 안아 이내 사그라지게 만드는 포용의 힘을 내장하고 있으며, 소설 언어에 지친 최인훈에게는 일종의 정신적 안식처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희곡 쓰기는 소설 쓰기에 비해서는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았는데, 이 점은 최인훈이 자기 문학의 본령을 어디까지나 이성적 사유의 힘을 바탕으로 한 소설에 두고 있다는 사실을 방증해준다. 『화두』는 그가 오랜 소설적 침묵 끝에 다시금 제 영토로 돌아왔음을 인상적으로 알린 작품으로, 방대한 기억과 치열한 사고의 기록을 담고 있다. 그 궁극적인 주제는 자기 동일화 문제로 수렴되는데, 이는 『화두』를 쓸 무렵 그가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게 자기동일성에 대한 정비 및 강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소련의 내부적 붕괴가 이데올로기적 가치 판단을 돌연 무의미한 것으로 만들어버렸고 이에 따라 그의 소설세계 역시 졸지에 의미 맥락과 존립 근거를 상실할 위기에 놓이게 됐던 것이다. 이 소설은 그와 같은 위기에 대한 필사적 대응으로서 적극적인 사후기억을 통해 자신의 삶과 문학을 재정립하고 나아가 불멸에 이르도록 하려는 원대하고 야심 찬 기획의 산물로 평가된다. 그러나 자기 보존 본능에 현격히 기울어짐으로써 이전의 소설작품들이 내보였던 양가적 의식의 균형은 깨어지고, 그것이 자아냈던 특유의 긴장미 또한 『화두』에서는 더 이상 찾아지지 않는다. 이 작품을 끝으로 최인훈의 작가적 이력이 사실상 마무리됐다고 보는 것은 이 같은 내적 사정을 고려한 판단이다.

      • 최정희와 장아이링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 비교연구 : 여성형상을 중심으로

        김홍월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Choi Junghee and Zhang Ailing started to create their works since 1930s-40s over for 40 years. Choi Junghee is a winner in '1st Korean Women's Literature Award' that is the first literature award for female writers in Korea. This shows that her female consciousness stands high in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On the other hand, Zhang Ailing, who is a writer deeply digging into the human mentality, particularly the women's one in China, receives attention from her young age, 23 years old starting her creation and does so more by reviewing her works. In respect to the creation of Choi Junghee and Zhang Ailing, the period and its pattern are similar and their start are so. By the women's resistance in the works at the start of full-scale creation, we can find the common backgrounds, that is, violence and hysteria. Their works show very fierce aspects of women. There are common backgrounds in female imaginary and female consciousness of their works except in the early times to the middle and late times. So even changing and deepening their female consciousness continuously, the common backgrounds are continuously found. Also, the difference in the common background of their works repeatedly deepens like the common backgrounds during their lifetime. Based on this, I started my comparative study. This study vertically analyzes and compares the works of two writers during their lifetime. Because the critical mind on women being central in their works changes over period and it is equally showed by two writers. This same changing aspec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writers in their identity make the base to interpret newly their works.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wo writers shows detailed features of their works. In Chapter 2, I reinterpreted their works over times by their common ground and difference in the common background. In Chapter 3, based on this reinterpretation, I analyzed the change of their works over time and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consciousness of both countries.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by comparison and the second purpose is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ies of both countries. In Section 1 of Chapter 2, I found the identity of hysteria and violence of female characters in their works before 1945. The violence of female characters in the works of Choi Junghee is straightforward and clear, and the one in the works of Zhang Ailing is unclear. Hysterical and violent method of resistance shows that the repression of patriarchy that they resist is exclusive. In Section 2 of Chapter 2, I analyzed 'non-independence' that female characters were not central in the relationship of male characters. In the common background 'non-independence', Choi Junghee shows non-independence related to the role of instinct and Zhang Ailing does so related to the values of love. 'Non-independence' shows that these two writers focus on detailed women's problem unlike before. In Section 3 of Chapter 2, I analyzed 'double women's problem' in their works of 1950s. They commonly used the indirect expression modes of double structure to convey the meaning of changing the fixed ideas of unfamiliar meanings, that is, basic consciousness level. Meanwhile, in respect to the deprivation of women, Choi Junghee focuses on the economical ․ social issues and Zhang Ailing does so on love ․ individual problems. Their approaching processes to basic areas by double structure are same, but their key points of deprivation forming the background of critical mind are different. These factors show Choi Junghee's social consciousness and Zhang Ailing's individual consciousness. Their difference can be summarized as 'social consciousness' and 'individual consciousness' before 1945 and from 1945 to 1950. This is also same in 1960s and 1970s. In Section 4 of Chapter 2, I analyzed the deprivation of 'tolerant ethical belief' in their works of 1960s. These two writers show that though the rights of women has grown, women are still in front of unstable choices and are sacrificed by inequally ethical standards as they are excluded within tolerant ethical belief. For showing deprivation of tolerant ethical belief, both writers reinstated women being sacrificed in the past in their works. However, the ways to be returned as a woman in the past for this reinstatement are different. Choi Junghee cited female characters in the past, but Zhang Ailing did so in her works of the past. In Section 5 of Chapter 2, I analyzed the writer's personal desire in their works. In this period, both writers showed their own desire serenely and felt the lack of not being realized any more. As Choi Junghee felt the lack of termination of social struggle, but Zhang Ailing did so the lack of termination of love. In Chapter 3, I summarized the changing pattern of their works over time by totally 5 areas and after then analyzed their relationship. Over period, the common female consciousness of their works and difference in it are gradually deepened. In addition, as the extremeness is reinforced in the works of Choi Junghee, but the hysteria is weakened in the ones of Zhang Ailing; the point showing the theme and its meaning in the works of both writers becomes deepened ․ externalized. These five patterns, that is, 'deepening of common female consciousness', 'deepening of difference in the common background', 'reinforcement of extreme in the works of Choi Junghee', 'weakening of hysteria in the works of Zhang Ailing' and 'deepening ․ externalization pattern of point showing the meaning' are related to the pattern of 'reinforcement of the writer's own personal inclination'. By this, I could infer that 'social consciousness' of Choi Junghee and 'individual(human) consciousness' Zhang Ailing in their works were relatively drawn by motivation of social reflection in the early times and then by one of personal reflection. However, as this is just inference and assumption, it is required to analyze statistically more by connection with other comparative studies among other writers of both countries similar to this study. 최정희와 장아이링은 1930-40년대부터 창작활동을 시작하여 40여년이 넘게 창작활동을 했다. 최정희는 한국에서 여성을 작가대상으로 실시한 문학상으로는 처음인 ‘제1회 한국여류문학상’ 수상자이다. 이는 최정희의 여성의식이 한국 문학사에 있어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보여준다. 한편, 중국에서 인간의 심리, 특히 여성의 심리를 깊게 파고든 작가로 잘 알려져 있는 장아이링은 창작활동을 시작했던 23세의 어린나이부터 주목받았고 최근에도 다시 작품이 재조명되며 크게 주목받고 있다. 최정희와 장아이링의 작품 활동을 보면, 그 기간과 호흡이 비슷하며 출발점이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의 본격적 창작활동의 시작점에 놓인 작품들에 나타나는 여성의 저항에는 폭력과 히스테리라는 공통점이 발견된다. 이렇듯 이들의 작품에는 여성문제의 강렬한 일면에 관한 동질성이 나타난다. 창작활동 초기 이외에도 중기, 후기에 이르기까지 이들의 작품에 드러나는 여성형상, 여성의식에는 공통점이 나타난다. 이들의 여성의식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심화되는 와중에도 그 공통점은 계속해서 발견된다. 또한, 이들의 공통점 내에서의 차이점도 공통점에서와 같이 심화되는 양상으로 전생애에 걸쳐 반복되어 나타난다. 이에 착안해 본고의 비교연구가 시작되었다. 본고에서는 두 작가가 전생애에 걸쳐 창작한 작품을 수직적으로 분석해 비교한다. 작품의 중심을 차지하는 여성에 관한 문제의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가 두 작가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동일한 변화 양상과 동일성내에서의 두 작가의 차이점은 이들의 작품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게 하는 기반을 마련해준다. 이 같은 차이점은 이들 작품의 세밀한 특징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제2장에서는 이들의 공통점과 공통점 내에서의 차이점을 통해 이들 작품을 시대별로 재해석한다. 제3장에서는 이러한 재해석을 바탕으로 두 작가의 작품의 시대별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것이 양국의 사회의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해 본다. 본고의 1차적 목적은 비교를 통한 재해석을 하는 데에 있고 2차적 목적은 두 작가와 양국사회의 관계를 밝혀내는 데에 있다. 제2장 제1절에서는 1945년 이전시기에 이들 작품에 드러나는 여성인물의 히스테리와 폭력의 동일성을 찾았고 폭력의 차이를 분석했다. 최정희의 작품에 드러나는 여성인물의 폭력은 직선적이고 분명한 성격을 띠고 있고, 장아이링의 작품에 드러나는 여성인물의 폭력은 불분명한 성격을 띠고 있다. 저항의 방식이 히스테리하고 폭력적인 것은 이들 작가가 저항하고자 한 가부장제의 억압이 폐쇄적 형태였음을 드러낸다. 제2장 제2절에서는 1945-1950년에 이들의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이 남성인물과의 관계에 있어 중심을 차지하지 못하는 ‘비주체성’을 분석했다. 이 같은 비주체성이라는 공통점 안에서 최정희는 본능의 역할에 관한 비주체성을, 장아이링은 사랑의 세계관에 관한 비주체성을 드러낸다. ‘비주체성’은 이들 두 작가가 이전과 달리 구체적인 여성문제를 찾아가고 있음을 드러낸다. 제2장 제3절에서는 1950년대에 이들의 작품에 드러나는 ‘이중적 여성문제’를 분석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낯선 의미, 즉 기초의식 층위에서의 고정관념을 전복하는 의미를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이중구조의 우회적 표현방식을 활용했다. 한편, 여성의 박탈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 최정희는 경제ㆍ사회적 문제에, 장아이링은 사랑ㆍ개인의 문제에 집중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중구조를 통한 기초적 영역에의 접근과정은 동일했지만 문제의식의 바탕을 형성하고 있는 박탈의 핵심지점이 서로 다른 것이다. 이는 최정희의 사회적 의식, 장아이링의 개인적 의식을 드러낸다. 1945년 이전시기와 1945-50년에도 이들의 차이는 ‘사회적 의식’, ‘개인적 의식’으로 압축된다. 이 같은 차이는 1960년대, 1970년대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제2장 제4절에서는 1960년대 이들의 작품에 드러나는 ‘관용적 윤리관’의 박탈 문제를 분석했다. 이들 두 작가는 여성의 권위가 성장하였어도 여전히 여성은 불안정한 선택지 앞에 놓여있고 관용적 윤리관의 범위에서 제외된 채 불공평한 윤리의 잣대에 의해 희생되고 있는 문제를 그리고 있다. 이 같은 관용적 윤리관의 박탈 문제를 그리기 위해 두 작가는 과거 희생되었던 여성을 복권시키는 작업을 작품 속에서 수행했다. 그런데 이 복권의 과정에서 필요한 과거여성으로의 회귀의 방식이 두 작가에게 다르게 나타났다. 최정희는 과거 시대에서 여성인물을 끌어왔으며, 장아이링은 과거 자신의 소설 속에서 여성인물을 끌어왔다. 제2장 제5절에서는 1970년대 이들의 작품 전면에 드러나는 작가 개인의 욕망을 분석했다. 이 시기에는 이들 두 작가가 담담히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며 그것이 더 이상 실현될 수 없음을 아쉬워하는 점이 드러난다. 최정희에게는 사회적 투쟁의 종료에 대한 아쉬움이, 장아이링에게는 사랑의 종료에 대한 아쉬움이 있었다. 제3장에서는 이들 작품의 시대별 변화양상의 추이를 총 다섯 개 분야에 걸쳐 정리하고 그것들의 관계를 분석했다. 시대 변화에 따라 이들 작품의 공통적 여성의식과 이 공통성 안에서의 차이는 점차 심층화되는 추이를 보인다. 또한, 최정희의 작품에는 극단성의 강화 추이, 장아이링의 작품에는 히스테리의 약화 추이가 보이며 두 작가가 작품에 주제, 의미를 담아내는 지점이 심층화ㆍ외부화 되는 추이를 보인다. 이 다섯 가지 추이, 즉 ‘공통적 여성의식의 심층화’, ‘공통점 내에서의 차이의 심층화’, ‘최정희의 극단성의 강화’, ‘장아이링의 히스테리의 약화’, ‘의미를 담아내는 지점의 심층화ㆍ외부화 추이’는 ‘작가 개인의 사적 경향 강화’ 추이와 관계된다. 이를 통해 작품에 나타나는 최정희의 ‘사회적 의식’, 장아이링의 ‘개인적(인간적) 의식’이 상대적으로 초기에는 사회적 반영의 동기에 의한 것이고, 후기에는 사적 반영의 동기에 의한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점은 어디까지나 추론, 추정에 불과하기에 본고와 유사한 양국의 여타 작가를 비교한 논문과의 연계를 통한 통계적 분석이 필요하다.

      • 박완서 자서전 소설에 나타난 사랑 연구 : 『나목』과 『그 남자네 집』을 중심으로

        조서금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Park Wan-so, who lost her father as a child, suffered the death of her brother during the Korean War. Her desire to testify about the Korean War is the basis of her literature. She, who lived as a housewife until the age of 40, and in 1970 she made her debut as an autobiographical novel "Namok", which deals with the story of first love. In 2004, she again published a novel "That man's house" about first love as her last novel. This paper mainly narrates the love stori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war period, and these two novels can be called the "beginning" and "ending" of 34 yea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meaning of Park Wansuh's literature by revealing the impact of the war and how it develops into personal and social responses. Anthony Giddens is interested in whether the effects of conventional sexuality are more in line with individual needs than structural aspects. Erich Pinchas Fromm, on the other hand, analyzes the reasons for oppression in terms of social structure. The conclusion is that Giddens analyzes individual or social reasons when individual desire is suppressed and draws the conclusion of individual responses, however, Fromm looks at these reason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haracter and shows the ability of social responses. This paper through critically accepting the love view of Erich Pinchas Fromm and Anthony Giddens, uses the ethics of historical trauma, which is distinct from individual trauma, to investigate how the traumas suffered by those facing death and losing their families on the battlefield is shown from the perspective of love. This paper divided the narrative lines of "Lee Kyung" and "I" which indicate the writer, and the lines of women who got a job at PX, to survey what consciousness the writer has. The heroine who symbolizes "I" in both works likes people who is talented in art and literature. It's a wonderful thing to date them, to make the world "dazzling", but this love will eventually meet the fate of disillusionment. The heroine's response to the disaster is to marry a snobbish man, he “attaches importance to his family and has a strong ability to make money”, so that she settles down in her daily life. Although she wrote repeatedly for 34 years, he eventually married someone like “Huang Tae soo”. Her brother died miserably in the Korean War and his ghost is seen in Ok Heedo and Hyunbo. Before “my” brother dies, the world was the "world of mother" before it was destroyed for me. The love with Ok Heedo and Hyunbo is to escape from her brother's death and escape to the "mother's world." Ok Heedo and Hyunbo are both "mother's world", which are also proving the existence of loss. Brother’s death a disgrace and something that should be covered up by the form of Korean society at that time. Therefore, "I" can not help but use silence to end her guilt. Unlike his brothers, "Huang Tae soo" and "Jeon Minho" are men who are not interested in ideology. So, they became safe because they didn't have to make “I” suffer again the death of my brother. Similarly, they can't ask for an understanding of "my brother's death," which would bore me. The trauma of this division shows that individual struggles cannot heal because they are caused by violence by ethnic groups. Meanwhile, we also surveyed the international romantic love story between the women and American men working at PX, that described in "Namok" and "The Man's House". Park Wansuh believes that the failure of thease women's romantic love is due to national problems rather than gender. The reason is that American men are considered by them to be someone who either killing 'father' or 'brother' or hurting women rather than becoming husbands. Although the deaths of 'father' and 'brother' were caused by the Korean civil war, but American men are described as direct perpetrators. The author's description holds the trauma of war is the violence of a country, but also the responsibility of foreign forces involved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country to cause foreign forces to intervene. The revised "The Man's House" has greatly increased the amount of information about the Chun hee –a prostitute who is patronized by foreigners. Author Park Wansuh tells the story as a first-person narrator, and then uses Chun hee's narration for a long 14-page story. "I" act as a person who is good at listening to Chun hee's words, while her nephew's Ka Meilie is a "talking" role with Chun hee. Park Wansuh's narrative style shows an open personality that 'freeens' the individual's memories. Moreover, kamelie is Chun hee's nephew and researcher's dual identity, which stems from the author's insistence on creating social consensus without stopping the historical trauma brought about by personal memory freedom. In addition, beside “I” listening, Park Wansuh's writing helps form a hidden historical trauma into a social agenda. In other words, if the group or state does not recognize it and cover it up, no matter how individuals struggle, the trauma of history is bound to be imprisoned. Author Park Wansuh showed the possibility of healing the trauma by discussing it through public media. 어릴 적에 아버지를 여읜 박완서 작가는 6·25전쟁에 오빠의 죽음을 겪게 되었다. 6·25전쟁 체험에 대한 증언의 욕구는 그녀의 문학의 근간이다. 마흔 살까지 주부로 살림을 하던 그녀가 1970년에 첫사랑을 다룬 자서전 소설『나목』으로 등단하며, 2004년에 다시 첫사랑 이야기를 담은 『그 남자네 집』을 마지막 장편으로 발표했다. 본고는 34년이라는 긴 시간을 거쳐 ‘시작’과 ‘끝’으로 볼 수 있는 두 소설에 서술되고 있는 전쟁 시절의 남녀의 사랑 이야기에 주목한다. 전쟁이라는 사건이 어떤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대응과 사회적인 대응으로 어떻게 발전되는지를 밝혀서 박완서 문학의 의미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앤서니 기든스는 관습적인 섹슈얼리티의 영향을 구조적인 측면보다 개인적인 욕구에 충실하느냐에 관심을 두고 있다. 반면에 에리히 프롬은 사회적 구조에 측면에서 억압의 이유를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기든스는 개인의 욕구가 억압될 때 개인이나, 사회적인 원인을 분석한 다음 개인의 대응으로 귀결하게 되지만 프롬은 사회적 성격의 측면에서 바라보고 사회적인 대응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고는 에리히 프롬과 앤서니 기든스의 사랑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개인적 트라우마와 구분되는 역사적 트라우마의 윤리를 이용하여 전쟁판에 가족을 잃고 죽음을 직면하는 자들이 입은 트라우마들이 어떻게 사랑의 양상에서 나타나는지 살폈다. 본고는 작가를 대변하는 ‘이경’과 ‘나’의 서술라인과 피엑스에서 취직한 여성의 라인을 나눠서 작가가 어떤 의식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나’를 대변하는 두 작품의 여주인공은 다 문학적으로나 예술적으로 재능이 있는 자를 좋아한다. 그들과 연애하는 것은 세상을 ‘눈부시’게 하도록 아름답다. 하지만 이런 사랑은 결국 파멸의 운명과 마주친다. 그 파국에 주인공 ‘나’의 대응은 가정을 ‘중시하고 돈을 잘 벌어오는’ 속물적인 남성과 결혼하고 일상생활에 안주하는 것이다. 34년의 긴 시간을 두고 행해진 반복적인 글쓰기인데도 불구하고 항상 파국으로 끝을 보며 ‘황태수’와 같은 유형의 사람과 결혼을 맺는다. 6·25전쟁에 오빠가 비참하게 죽고 그의 유령이 옥희도와 현보에게서 보이기 때문이다. 오빠가 죽기 전의 세계는 ‘나’에게 아직 파괴되기 전인 ‘어머니의 세계’이다. 옥희도와 현보와의 사랑은 오빠의 죽음으로부터 벗어나 ‘어머니의 세계’로 도피하기 위해서다. 그렇다면 옥희도와 현보는 ‘어머니의 세계’ 그 자체이면서도 상실을 확인하게 해 주는 존재이기도 한 것이다. 오빠의 죽음은 당시의 한국 사회 형태로 인해 불명예스럽고 덮혀야 되는 일이다. 따라서 ‘나’의 그에 대한 죄책감도 침묵으로 끝낼 수밖에 없다. 오빠와 달리 ‘황태수’, ‘전민호’는 이데올로기에 관심이 없는 남성들이다. 따라서 그들은 ‘나’에게 그들로 인해 ‘오빠의 죽음’을 대한 기억을 다시 겪게 할 필요가 없어 안전한 존재가 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그들에게 ‘오빠의 죽음’에 대한 이해도 요구할 수 없어 ‘나’를 권태에 빠지게 한다. 이와 같은 분단의 상처는 민족 즉 집단의 폭력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개인의 몸부림으로 치유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나목』과 『그 남자네 집』에 서술된 PX에서 일하는 여성들과 미국 남성과의 국제적 낭만적 사랑도 살펴보았다. 박완서는 이 여성들의 낭만적 사랑의 실패를 젠더적 시각보다 민족적인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녀들에게 미국 남성은 남편이 될 사람보다 ‘아버지’, ‘오빠’를 죽이거나, 여성에게 상처를 주는 존재로 제시된 것이기 때문이다. ‘아버지’, ‘오빠’의 죽음은 한국내전으로 인한 것이지만 직접 가해자로 묘사된다. 작가의 이런 서술은 전쟁의 트라우마가 나라의 폭력이지만 그 자리에 개입된 외세의 책임, 또한 외세를 개입하게 만든 나라의 책임을 묻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개편된 『그 남자네 집』 에서는 갈보 춘희에 관한 내용이 크게 늘어났다. 작가 박완서는 1인칭 화자로 이야기를 펼쳐나가다가 14페이지의 긴 분량을 춘희의 구술로 해 버린다. ‘나’는 춘희의 말을 경청하는 자로 등장하고 춘희의 조카 카메리는 춘희에게 ‘말 거는’ 자로 등장한다. 박완서의 이런 서술 방식은 구술자 개인의 기억을 ‘자유롭게’ 하는 개방적인 성격을 보여 준다. 또한 카메리가 춘희의 조카이자 연구자라는 이중적인 신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역사적인 트라우마를 개인적인 기억의 자유로움에 멈추게 하지 않고 사회적인 공감대를 형성시키자는 작가의 주장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본다. 또한 ‘나’의 경청을 넘어 박완서의 글쓰기는 은폐된 역사적 트라우마가 사회적 의제로 형성될 수 있도록 만드는 힘이 되는 것이다. 말하자면 역사적 트라우마는 집단과 나라가 인정하지 않고 은폐하기만 하면 개인이 아무리 몸부림을 쳐도 감옥에 갇혀 있을 수밖에 없다. 작가 박완서는 공적인 언론을 통해 논의하는 것이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베트남전쟁 소설에 나타난 성(性)과 섹슈얼리티 연구

        김자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고는 박영한의 『머나먼 쏭바강』과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 이상문의 『황색인』 그리고 이원규의 『훈장과 굴레』와 안정효의『하얀전쟁』을 대상 작품으로 하여 베트남전쟁 소설에 나타난 성(性)과 섹슈얼리티를 고찰하였다. 다섯 작가 모두 베트남전쟁에 참전한 작가라는 공통점을 가지며 이들 작가는 자신의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을 창작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성(性)이 생물학적 차이를 의미한다면 젠더는 사회 문화적으로 형성된 성 정체성을 의미하며 섹슈얼리티는 성과 관련된 권력 관계, 계급, 인종, 사회, 문화 등 보다 광범위한 범위에서 사용된다. 본고는 이러한 섹슈얼리티의 개념과 생물학적 성(性)의 개념인 남성과 여성이 베트남전쟁이라는 공간 안에서 성(性)과 섹슈얼리티가 어떠한 방식으로 욕망되고 억압되며 표출되는 가를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당대 한국 사회가 산업화 시대로 향하는 발전주의 경제 체제 안에서 베트남전쟁 소설이 갖는 문학적 성취 또한 고찰하고자 했다. 먼저 2장 박영한의 『머나먼 쏭바강』에서는 '매춘'을 중심으로 성적 과잉의 성(性)과 섹슈얼리티가 등장한다. 다른 소설에 비해 비교적 이른 시기에 발표된 박영한의 『머나먼 쏭바강』은 격전지에서의 전투 장면보다는 주로 베트남전쟁에서 일어나는 '매춘'과 '성병'이 작품의 근간을 이룬다. 전쟁이 혼란과 혼돈의 예외적 국가 상황이라고 했을 때 『머나먼 쏭바강』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목적성 없는 모습으로 성(性)과 매춘에 집착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성(性)과 섹슈얼리티는 쾌락적 경향을 띠며 여기서 나타나는 성(性)의 모습은 숭고함은 사라진 채 오직 동물적 감감과 본능으로서만 작품 서사의 중심에 선다. 그러다가 등장인물들은 하나같이 귀국을 앞두고 현지 여성과의 일탈된 관계를 정리한다. 작품에서 이러한 한국군의 모습은 가부장적 한계와 모순을 갖는다. 3장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에서는 베트남전쟁의 다면성을 표상하는 성(性)과 섹슈얼리티가 나타난다. 먼저 베트남민족해방전선 비밀 요원으로 활동하는 팜 민은 베트남 민족을 위해 자신의 사랑을 희생시킨다. 작품에서 유일하게 순수한 인물로 설정된 팜 민은 혁명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데 이는 통일을 이룩한 북베트남 민족의 모습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남베트남 정부군 소령인 팜 꾸엔과 한국의 기지촌 출신 여성인 오혜정을 중심으로 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도구화된 성(性)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 이 둘의 관계는 진정한 인간 대 인간의 관계가 아니라 두 사람 모두 베트남전쟁이라는 공간에서 많은 돈을 벌기 위한 목적만 지니고 있는 인물로 그려진다. 마지막으로는 전쟁의 잔혹한 모습을 보여주는 강간이다. 『무기의 그늘』에서는 베트남여성에게 일어나는 반인륜적 강간의 모습이 보고서 형식으로 기술된다. 이러한 서술 방식은 베트남여성에 대한 미군의 잔인성을 독자들에게 보다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4장 이상문의 『황색인』에서는 성(性)과 섹슈얼리티가 혼종되어 나타나면서 아시아인의 비극을 보여준다. 『황색인』에서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그리고 베트남전쟁이 다뤄진다. 작품의 중심인물인 박노하를 중심으로 그의 외할머니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남성으로부터 강제로 임신을 하게 되어 박노하의 어머니를 낳았다. 박노하의 어머니는 한국전쟁에서 남편과 잠시 떨어져 지낸 사이에 남편의 친구인 사회주의자 나영대에게 강간을 당하여 박노하을 낳는다. 박노하는 자신이 아버지의 친자가 아니라는 사실에 충격을 받고 도피의 방안으로서 베트남전쟁에 자원한다. 자원한 베트남전쟁지에서 사랑하게 된 연인도 프랑스 점령기 때 그녀의 어머니가 프랑스군으로부터 강간을 당하여 그녀를 출산한 것이다. 이렇게 이상문의 『황색인』에서는 혼종된 모체의 성(性)과 섹슈얼리티가 등장하며 강간으로 발생된 모체의 혼종성은 결국 아시아인의 비극을 상징한다. 5장 이원규의 『훈장과 굴레』에서는 죽음의 비극으로 귀결되는 낭만적 성(性)과 섹슈얼리티가 나타난다. 주인공 박성우는 남베트남의 민사심리전 장교로 활동하는데 마을을 평정하는 과정에서 베트남 여성인 미야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박성우와 미야의 관계는 낭만적 사랑의 모습만을 띠지 않는다. 미야를 향한 박성우의 마음은 철저히 남베트남에 대한 자신의 욕망을 투영하면서 둘의 관계가 발전하는 양상을 보인다. 박성우는 탁월한 전략으로 민사심리전 임무를 수행하여 높은 성과를 올려 훈장을 받지만 결국 자신이 남베트남에서 추구하던 이상이 무너지는 것을 목격해야만 했다. 이 작품에서 박성우가 사랑한 미야는 결국 민족해방전선에 의해 마을 사람들과 함께 죽음을 맞고 박성우가 이룬 그의 이상이 담긴 업적은 모두 수포로 돌아간다. 결국 작품의 제목처럼 박성우가 국가로부터 받은 훈장은 남베트남 사람들을 죽음으로 가게 하였으며 그러한 훈장은 박성우에게 굴레로 작용한다. 끝으로 6장 안정효의 『하얀전쟁』에서는 한국인의 죽음으로 성(性)과 섹슈얼리티의 불모성이 나타난다. 『하얀전쟁』에서는 과거 베트남전쟁의 시·공간과 현재 한국의 사회적 배경이 교차 서술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 작품에서는 베트남전쟁에 다녀온 참전 군인이 한국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한 채 계속해서 하강적 구도로써 나락으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먼저 주인공 한기주의 전쟁 이후의 삶은 생산력을 상실한 성 불능의 신체로 나타난다. 여자와의 잠자리에서도 발기가 되지 않으며 불임 검사를 해보았지만 정상이라는 판정을 받아도 아내와의 사이에서는 아이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직장에서는 좌천되는 등 계속 해서 추락하는 하강적 삶의 구도를 보여준다. 또한 베트남전쟁지에서 죽음을 위한 애도 행위로서 매춘이 등장한다. 다른 작품에선 매춘이 의미 없는 성적 과잉으로 나타나거나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면 『하얀전쟁』에서는 베트남전쟁에서 죽음을 맞이하기 전 자신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한 제의 행위로서 매춘이 등장한다. 그리고 베트남에 참전한 한국군의 죽음이 『하얀전쟁』에서는 주된 서사를 이룬다. 이들 참전 군인에게 베트남전쟁은 끝나지 않은 전쟁이며 현재진행형의 전쟁으로 작용한다. 결국 이들은 참전으로 인한 트라우마로 현실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한 채 죽음을 맞는다. 이는 한국군의 죽음의 불모성을 드러내는 성(性)과 섹슈얼리티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 주제어 : 베트남전쟁, 베트남전쟁 소설, 성(性), 젠더, 섹슈얼리티, 매춘, 이데올로기, 트라우마, 혼종성(混種性) In this paper, the aspects of sex and sexuality in the novels about the Vietnam War were examined through Park Yeong-han’s The Distant Songba River, Hwang Seok-yeong’s Shadows of Weapons, Lee Sang-mun’s Asians, Lee Won-gyu’s A Medal and a Bridle and Ahn Jeong-hyo’s White War. All the five writer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Vietnam War, and it’s meaningful that they wrote their novel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of joining the war.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sex and sexuality in the five writers’ novels about the Vietnam War. While sex means biological differences, gender refers to the identity of sex that has been formed socially and culturally, and sexuality is used in a broader scope of the power relations, class, race, society, culture and etc. related to sex. This paper aims at finding literary achievements of the novels of the Vietnam War in the progress-oriented economic system heading toward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in Korea in 1970s and 1980s through the relevant writers’ novels. In addition, what meanings the Vietnam War, which has become the foothold of the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has in the writers’ novels, and how sex and sexuality have been embodied were analyzed. First, in Chapter Two, sexuality of sexual excess appears centered around ‘prostitution’ in Park Yeong-han’s The Distant Songba River. Park Yeong-han’s The Distant Songba River, which was published earlier than the other novels, is mainly about ‘prostitution’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in the Vietnam War rather than about battle scenes in the ferocious battlefield. As a war means an exceptional national situation of confusion and chaos, the characters in The Distant Songba River are obsessed with sex and prostitution with no purposes. Sexuality in this situation tends to be hedonic, and sex in this case becomes the center of the story only as an animal instinct and sense with its nobleness disappeared. Then, all the characters sever their deviant relationship with women in Vietnam before they come back to Korea. In the novel, this images of Korean soldiers show patriarchal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 In Chapter Three, in Hwang Seok-yeong’s Shadows of Weapons, sexuality represents various aspects of the Vietnam War. First, Pham Minh working as a secret agent of the Vietnamese National Liberation Front sacrifices his love for the Vietnamese people. Pham Minh, who is described as the only innocent person in the novel, sacrifices himself for the revolution, which can be seen to mean the people of North Vietnam that has achieved the unification. Second, the novel describes sex as a tool in the capitalistic society focusing on Pham Qu'en, a major of the government army of South Vietnam, and Oh Hye-jeong from the Korean military camp tow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persons is not a true one between a human being and another, but both of them only pursue the goal of making a lot of money in the Vietnam War. Lastly, the novel reveals the brutality of the war through rapes. In Shadows of Weapons, the terrible rapes forced to Vietnamese women are described in the form of a report. This narrative style can be seen to play the role of delivering the American army’s cruelty toward Vietnamese women to readers more objectively. In Chapter Four, sexuality becomes mixed and Asians’ tragedy is represented in Lee Sang-mun’s Asians. In other words, Asians deals with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is Park No-ha, and his maternal grandmother forced to have a baby by a Japanese m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gave birth to Park No-ha’s mother. Park No-ha’s mother was raped by Na Yeong-dae, her husband’s friend and a socialist, while she was separated from her husband for a while during the Korean War, and gave birth to Park No-ha. Park No-ha was shocked at the truth that he was not his father’s real son, and voluntarily joined the Vietnam War as a way to escape. His lover that he came to love in the Vietnam War was born because her mother was raped by a French soldier during the French rule. In this way, in Lee Sang-mun’s Asians, the sexuality of the mothers of hybridity appears, and the hybridity of the mothers which have occurred because of rapes ultimately symbolizes Asians’ tragedy. In Chapter Five, romantic sexuality ending up as death appears in Lee Won-gyu’s A Medal and a Bridle. Its main character, Park Seong-woo, works as an officer of civil affairs and psychological warfare in South Vietnam, and falls in love with a Vietnamese woman, Miya, while suppressing a village.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Park Seong-woo and Miya is not just romantic. Their relationship develops while Park Seong-woo completely projects his desire for South Vietnam in his heart for Miya. Park Seong-woo carries out his mission of civil affairs and psychological warfare with excellent strategies, brings about good results, and wins a medal, but in the end, he has to witness his ideals he has pursued in South Vietnam collapsed. In this novel, Miya that Park Seong-woo has loved ended up being killed with other villages by the National Liberation Front, and all of Park Seong-woo’s achievements of his ideals were proved to be failures. As the title of the novel, the medal that Park Seong-woo has got from the government finally leads the South Vietnamese to death, and the medal works as a bridle on Park Seong-woo. Lastly, in Chapter Six, the sterility of sexuality is shown through a Korean’s death in Ahn Jeong-hyo’s White War. White War has the structure of the past of the Vietnam War and the present social background of Korea described in turn. In this novel, a veteran of the Vietnam War can’t adapt to Korean society and continues to fall into the bottomless pit in a descending structure. First, the life of the main character, Han Gi-ju, after the war is represented as his impotent body that has lost productivity. He can’t get an erection when sleeping with a woman, and even though he has been diagnosed as being normal after a sterility examination, he can’t make his wife get pregnant. Moreover, he becomes demoted in his work, and shows a descending structure of life that keeps falling. In addition, prostitution appears as an act of condolence of death in the Vietnam War. While prostitution appears as meaningless sexual excess or women become sexually objectified in other novels, prostitution appears in White War as a ritualistic act to mourn one’s own death before one is killed in the Vietnam War. Also, the death of Korean soldiers in the Vietnam War consists of the main story in White War. The death of veterans from the war is mainly dealt with in the novel, and to these veterans, the Vietnam War hasn’t ended, and works as an ongoing war. They eventually die without being able to adapt to the real society due to their trauma from the war. It’s depicted by the sexuality revealing the sterility of the death of the Korean sold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