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글 없는 그림책 만들기를 활용한 다문화 이해 미술 프로그램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오주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는 인종, 계층, 문화, 언어, 성별, 종교 등의 다양성이 공존하는 현대의 다문화사회에 살아가고 있다. 다문화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아동들은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인정하며 상호 존중하는 태도를 가짐으로 미래사회의 세계시민으로 적응할 수 있다. 세계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해 자신에 대한 정체성 확립과 편견 없는 타인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서로의 ‘다름’ 즉, ‘다양성’을 이해하고, 서로의 가치를 존중하여 문화적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편견이나 갈등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으로 글 없는 그림책 만들기를 활용한 미술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글 없는 다문화 그림책 만들기를 통하여 다문화를 이해·존중할 수 있는 교육에 초점을 맞추었고, 다문화교육의 도구로 사용될 글 없는 그림책의 활용 가능성과 다문화적 가치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교육에 대한 문헌을 조사하여 현 시대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가치, 국내·외의 다문화교육의 흐름과 방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문화 미술교육의 문헌 연구를 통해 다문화교육과 미술교육의 연계성과 필요성을 탐구하였다. 다음으로 다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글 없는 그림책 개념과 특성, 내용과 국내·외의 책 만들기 교육 사례를 탐색하여 분석함으로써 글 없는 그림책 만들기와 다문화 미술교육의 교육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또한 다문화 교육적 의미를 내포한 글 없는 그림책 사례 분석을 통해 다문화 교육적 의미에 대한 미술적 표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문화 미술교육에서 글 없는 그림책의 활용 가치와 다문화 교육적 가치, 미술 교육적 가치를 탐색함으로써 글 없는 그림책의 다문화적 가치 타당성 및 적합성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연구한 내용들을 종합하여 글 없는 그림책 만들기를 활용한 다문화 이해 미술 프로그램의 과정을 구상하고 이에 따른 세부적인 프로그램 과정안을 제시했다. 글 없는 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적 의미에 대한 미술적 표현의 특성을 분석하는 다문화 이해의 요소와 미술교육 내용의 요소를 조화롭게 접목시켜 교육적 효과를 높이고자 했다. 총 11차시에 걸친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들은 다문화에 대한 자신의 사고를 확장시켜 이해할 수 있다. 글 없는 그림책의 다문화 교육적 의미에 대한 미술적 표현 탐구를 통해 다문화적 가치를 깨닫는다. 또한 글 없는 그림책 만들기 과정 중 다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무엇인지 계속해서 생각하고 가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프로그램은 단순히 다문화 내용이 담긴 글 없는 그림책을 만드는 것이 아닌 자신의 작품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에게 소개함으로써 사회에 다문화 이해를 증진시키고, 사회적 실천·참여를 할 수 있음을 알고 도전의식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통한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이해를 위한 글 없는 그림책 만들기의 모든 과정에서 다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 교육적 의미를 내포한 글 없는 그림책의 미술적 표현 분석을 통해 미적 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다. 셋째, 다문화에 대한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글 없는 다문화 그림책에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창의·융합 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 넷째, 글 없는 다문화 그림책의 주제를 선정하고, 재료와 도구, 표현방법 등을 선택·활용하는 모든 과정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기 주도적 미술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다섯째, 학습자들의 작품을 활용해 사회적 실천을 함으로써 미술을 통한 사회 참여와 사회의 인식 변화를 기대하며 사회적 가치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다문화교육이 일회성으로 이루어진다면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지만 모든 교과의 수업과 교사의 잠재적 교육과정 속에 다문화적 가치를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교육한다면 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다문화를 인정하고 이해·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다문화교육은 교사 개인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가정과 학교, 국가차원에서 같은 가치와 방향성을 가지고 함께 성취해야 할 것이다. 그 과정 중 미술교과는 다양한 주제와 소재, 매체를 활용하여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의 방안을 마련하여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해·존중하는 진심이 담긴 다문화 미술교육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한국 학습자들의 다문화 이해와 인식의 변화를 돕는 데에 큰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

      • 칼빈의 구원론 이해 : 구원의 서정(ordo solutis)을 중심으로

        김용길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우리에게 친밀한 존 칼빈의 기독교 강요 제3권 구원론을 이해하기 위하여 현재 우리가 받으며 누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간단하고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구원의 서정 교리를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큰 의미가 있다. 전통적인 구원의 서정은 우리에게 단편적이고 도식적인 이해를 주지만, 과연 그대로 느껴지는 경우는 없다고 본다. 그것은 매우 주관적이므로 연구하는 분이나 또는 실제로 성도들의 내면에서 마음속으로 정리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종교개혁의 산물이라고 말하는 어느 신학자의 말 그대로 칼빈의 기독교 강요에서 나타나는 구원의 서정은 매우 의미심장하다. 왜냐하면 그 책을 통해서 칼빈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세상에 알려주었고, 그 연합을 토대로 나와 연결시켰을 때, 모든 은혜가 이해가 되며, 후대의 신학자들이 그 신비한 연합을 설명하지 않고는 본인들의 신학이 다른 사람에게 이해를 시키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인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그 기초 위에 세워진 은혜들을 칼빈이 집대성한 기독교 강요의 구원론을 구원의 서정이라는 사닥다리를 통해 파악하고 논구하고자 한다. 먼저 칼빈과 같이 구원론의 시작이 되는 성령의 부르심을 들여다본다. 뒤이어 그리스도와의 끈이신 성령의 도우심으로 믿음을 살피게 될 것이다. 그리고 독자들은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회개를 살펴보는데, 칼빈의 대적들과 싸우는 숨결과 검소리를 듣게 됨으로써 진지한 장면들을 목격하게 될 것이다. 독자들은 회개와 더불어 중생을 만나고 그리고 성화를 만나게 된다. 여기에서 논구되는 회개는 그저 지나가는 회개가 아니다. 우리들이 일생동안 벗으로 삼아 회개하고 변화되는 삶이 꾸준히 일어남으로써, 우리의 죄가 이렇게 크고 더러운지 실감나게 하는 귀중한 회개이다. 그 다음으로 이어지는 칭의는 하나님 나라로 가는 거룩한 길목과도 같다. 그 길목에서 그리스도와 연합한 독자가 지속적인 칭의로 성화되는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하나님과의 약속을 확인하고 가야 한다. 필자는 독자들이 율법의 셋째 용도인 규범적 용도를 확인하게 한 후에, 칼빈이 기다리는 그리스도의 믿음의 주요 활동이라는 기도를 만나게 하고 믿음의 전선에서 유익을 얻도록 기도한다.

      •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 강릉시 지역아동센터 이용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김나라 가톨릭관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 강릉시 지역아동센터 이용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취약계층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초점을 맞춰 이의 영향요인(보효요인 중심)을 생태체계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개인특성, 가정환경특성, 학교특성, 지역아동센터특성 보호요인으로 구분하고, 이 보호요인이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초점을 맞춰 이에 긍정적으로 강화시키는 보호요인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교적응유연성의 증진을 위한 실효성 높은 구체적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취약계층 청소년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원만한 학교생활을 영위하고 본인의 미래에 대한 계획을 펼쳐 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제언을 하는 것에 목적을 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 이용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가능한 115명을 조사대상으로 하고, 최종 97명으로 최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대한 기술적 분석 및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개인특성 보호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가족특성 보호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특성 보호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지역아동센터특성 보호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항을 미치는 개인특성, 가족특성, 학교특성, 지역아동센터 특성 보호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즉 어느 특성요인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기초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정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특성요인이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으로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을 통해 학교특성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적응유연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로는 개인특성변수로는 책임감, 학교특성변수로는 대인관계와 학교분위기가 의미 있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넷째, 종속변수(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보호요인)들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상대적 중요도를 확인한 결과 학교적응유연성에 가장 의미 있는 영향력을 가진 변수는 개인특성변수로서 책임감이었고, 다음으로 학교특성변수로서 학교분위기, 대인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지향적인 관점으로 취약계층 청소년을 바라보고 개입에 있어서 보호요인을 강화하는 것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개인특성요인인 책임감을 강화시켜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개입이 우선되어야 한다. 책임감이 학교적응유연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때, 위 개념을 응용한 프로그램의 개발 또는 기존 프로그램에 접목시키는 노력들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특성 보호요인 중 학교분위기와 대인관계가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학교분위기가 취약계층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민주적 학교분위기가 학교의 전반적인 안정감과 교사와 학생간의 우호적인 관계의 중요성을 입증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교육이나 세미나 등을 통해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을 해소하고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에 있어 교사의 역할을 부각시킴으로서 학교 안에서 민주적 분위기 형성 및 학생들에 대한 지지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또래 간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위해 학교 내 다양한 집단상담 및 학교폭력예방 교육과 같은 프로그램 등을 통해 또래지지를 높일 수 있다. 넷째, 지역아동센터에서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마련하고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개인, 가족, 학교, 지역아동센터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상대적 영향력을 고려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형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김솔잎 가톨릭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미치는 요인을 앤더슨의행동모형에 근거하여 소인요인(개인특성, 가족관계 특성), 가능성요인(경제적 특성, 사회 및 제도특성), 욕구요인(건강특성, 치매실태)을 구분하여 서비스참여를 촉진하는 요인과 방해하는 요인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치매환자 및 주보호자의 욕구에 부합되는 실효성 높은 서비스 제공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강원지역에 위치한 치매관련 공공기관 및 치매관련 서비스제공 기관의 치매진단을 받은 치매노인 200명을 선정하여 대면조사 하였으며,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의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1)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소인요인(개인특성, 가족관계 특성)은 무엇인가? (2)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요인(경제적 특성, 사회 및 제도특성)은 무엇인가? (3)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욕구요인(일반적 건강특성, 치매실태)은 무엇인가? (4)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소인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용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기초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가능성요인이 가장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가능성 요인이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2)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의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가능성 요인으로는 가족의 지지도, 인지재활서비스 필요인식 정도가 영향을 미치며, 욕구요인으로는 건강특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치매의 정도가 높을수록, 기초법수급에 해당 될수록 유의미 한 변수로 작용 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소인요인은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1) 치매질환 및 건강관리를 위한 질병관리교육과 인지재활병행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2) 치매환자와 가족관계에 대한 지지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가족복지 사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사회보호서비스의 구축강화와 표준화시스템이 필요하다. Abstract A study on the causes which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Kim, sol-ip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Academic advised by professor Ph.D, Lee, Dong-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eking a plan, which can vitaliz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ervice provision that meets with the desire of dementia patients and their major guardians by verifying the causes, which promote or interfere with the service participation by classifying the causes that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to; predisposition causes (individual characteristic, family relation characteristic), possibility causes (economic characteristic, social and system characteristic) and desire causes (health characteristic, dementia characteristic). 200 senior person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dementia at the public agencies and service provision agencies related to dementia located in Gangwon-do area were chosen as the study subjects and data were drawn from them by face-to-face interview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on the data to learn the causes that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task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our. (1) What are the predisposition causes (individual characteristic, family relation characteristic), which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2) What are the possibility causes (economic characteristic, social and system characteristic), which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3) What are the desire causes (health characteristic, dementia characteristic), which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4) Among the predisposition causes, possibility causes and desire causes, which one has the biggest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major conclusion of this study based on the study tasks is as following. (1) Possibility causes had the biggest explanation power;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possibility causes are the most important causes in explaining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2) The variables that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are as following. Regarding possibility causes, the support of family and awareness extent on the necessity of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Regarding desire causes, when the extent of health characteristic is higher, when the intensity of dementia is worse or when the person is a recipien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allowance, these variables were more significant. Meanwhile, predisposition causes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ose do not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result are as following. (1) Education on the necessity of parallel management of recognition rehabilitation and disease management on dementia and health care should be enforced. (2) Active family welfare projects should be enforced to reinforce the relation between a dementia patient and the support of the patient’s family. (3) Reinforcement of social protection service and standardized system are necessary.

      • 장애 유아 통합교육 경험 및 특수교육 연수가 일반교사의 장애인식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강수연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학령기 뿐 아니라 학령전기 교육도 장애유아 통합교육이 법제화 되었다. 통합교육이란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분리되어 교육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일반교실에서 비장애유아들과 서로 상호작용하며, 물리적 통합, 교육과정적 통합, 사회적 통합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통합의 중심에 교사가 서 있으며 교사의 인식이 통합교육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교사의 통합교육 경험과 특수교육 연수가 일반교사의 장애인식변화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2000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내에서 발표된 교사의 장애 인식 변화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통합교육경험과 특수교육 연수를 독립변인으로 연구한 석․박사 논문 및 학술지에 기재된 논문 중 표본크기, 평균, 표준편차가 보고된 논문 20편을 선택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통합교육경험이 일반교사(통합교사)의 장애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가? 연구문제 2. 특수교육 연수가 일반교사(통합교사)의 장애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가? 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경험이 일반교사의 장애인식변화에 효과적인지에 대해서는 효과크기가 0.252값으로 유의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평균 효과 크기에 대한 백분위(U₃)지수는 60%였고, 95% 신뢰구간에서 0.113~0.391의 값을 보이고 있으며, 유의수준이 0.000으로 분석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 연수에 따른 일반교사의 장애인식변화에 효과적인지에 대해서 효과크기는 0.416값으로 유의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평균 효과크기에 대한 백분위 지수는 66.5%였고, 95% 신뢰구간에서 0.107 ~ 0.724의 값을 보이고 있으며, 유의수준이 0.000으로 분석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통합교육 경험과, 특수교육 연수는 일반교사의 장애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이라는 법적인 장치가 만들어졌으므로 일반교사라면 누구나 통합학급에서 장애아 통합교육을 담당해야한다. 그렇다면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를 함께 교육하는 교사들이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궁리해 봐야 할 것이다. 그 방법적인 면에 대해서 교사는 비장애유아 뿐 아니라 장애유아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선행 될 때 가능하다는 것이다. 특수교육 연수를 통해 교사가 장애유아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고 통합교육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교실수업에 임한다면, 통합교육 경험이 늘어날 것이고 이를 통해 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으로 변해갈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 및 보육과정에서 특수교육 연수를 통합교육과 같이 의무화하여 물리적 통합 뿐 아니라 교육과정적 통합이 이루어 져야하며, 나아가 사회적 통합까지 속히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It has been institutionalized disabled children’s integrated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as well as school age children. Integrated education means that the handicapped get physical, proceptive, and social unity with the non-handicapped interacting in a general classroom not being separated because of the disability. The center of such a unity is a teacher, thereby teacher’s thinking influences strongly integration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how effective teacher’s experience in integration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related training influence general teacher’s changing of disorder perception through meta-analysis. According to the purpose, this study researched academic journals and master doctorate dissertations studying that a dependent variable is teacher’s changing of disorder perception and an independent variable is the experience in integration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related training. Then, of them, the writer chose twenty theses announcing sample siz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calculated the effect size.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purpose, assumed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Would the experience in integration education influence positively a general teacher (an integration education teacher)’s disorder perception? 2) Would the special education training influence positively a general teacher (an integration education teacher)’s disorder percep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questions is as follows: First of all, in terms that the experience in integration education is effective for a general teacher’s changing of disorder perception, it has similarity with 0.252 of effect size. Since the percentile (U3) of the mean effect size is 60 percent with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s of 0.113 to 0.391 and the significance level is 0.000, the analysis result is reliable. Secondly, in terms that the special education training is effective for a general teacher’s changing of disorder perception, it has similarity with 0.416 of effect size. Since the percentile (U3) of the mean effect size is 66.5 percent with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s of 0.107 to 0.724 and the significance level is 0.000, the analysis result is reliable. As a result, the experience in integration education and the special education training influence positively on a general teacher’s changing of disorder perception. All teachers have to play a role training the handicapped and the non-handicapped in an integrated class. There is no exception due to a legal basis. Hence, teachers have to consider what methods those who teach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together with integrated education need in order to be happy. This study highlights that it is possible when teachers’right understanding for the disabled children as well as the non-disabled children is preceded in a methodological way. If teachers could teach integration education through the special education training, teachers would be able to be confident, and thereby could recognize much positively. For this, this writer hope that the special education training system would be quickly obligated integration of even proceptive and social way as well as physical way like the integration education.

      • 사회정서역량 강화를 위한 현대 추상회화 감상·비평학습 지도안 개발 :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적용을 중심으로

        김혜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학습자들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사회, 정서적 위기상황을 마주하게 된다. 학습자들은 청소년기를 겪으면서 정체감 혼란이나 스트레스, 우울 등의 정서적 문제를 경험하며, 정서적 문제가 유연하게 해결되지 못한 경우에는 폭력성을 띠거나 학업 포기, 자해, 자살 등의 심각한 문제 상황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또한, 청소년기는 사회적 관계를 새롭게 형성해 나가는 시기로 사회적 관계에 대한 기술의 습득이 필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청소년기의 학습자들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감정적 위기에 대처하며, 사회적 기술을 학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회정서학습이 대두되고 있다. 사회정서학습이란 사회정서역량의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학습을 의미한다. 사회정서역량이란 삶의 사회 · 정서적 측면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사회정서역량의 함양을 통하여 실제 위기상황에 대한 적응력을 키울 수 있게 된다. 사회정서학습은 소수의 문제 학생에게만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다수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학습이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예방 교육적 성격을 지닌다. 또한. 학교의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진행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에 적합한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정서학습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미술과에서는 논의가 활발하지 못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삶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성인기를 대비할 수 있도록 사회정서역량 강화를 위한 현대 추상 회화 감상 · 비평 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사회정서학습과 사회정서학습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역량의 의미에 대하여 탐구하였으며, 이를 교육과정 안에서 응용하기 위하여 사회정서역량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핵심역량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감상 수업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현대 추상회화의 개념과 흐름을 알아보고 사회정서학습에 있어서 추상회화의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지 도출하였다. 감상 · 비평 학습 모형에 대한 탐구와 더불어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감상 · 비평 학습에서 사회정서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활동을 밝히고 학습 지도안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론적 배경에 대한 탐구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한 연구 결과로서 교수 · 학습 지도안과 워크시트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3차시의 학습은 모두 협동 학습으로 이루어지며, 학습자들은 또래와의 협동을 통하여 상대를 배려하고 경청하는 태도를 학습하고 자신과 다른 관점에 대해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실제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워크시트를 제작하여 학습자들이 구조화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회정서역량과 미술과 감상 영역의 목표에 동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문항을 개발하였다. 1, 2, 3차시의 수업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자신의 감정을 정확히 판단하며 자신의 강점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인 자기인식 능력, 타인을 존중하며 공감할 수 있는 사회적 인식 능력, 협력적인 문제 해결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관계적 기술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지도안을 통하여 수업이 이루어졌을 때 기대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둘째, 추상미술 감상을 통하여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협동과 의사소통을 통하여 현대추상미술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여 관계적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지도안이 실제 학교 미술수업에서 적용되어 학습자들이 사회 · 정서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미술 교과에서 사회정서학습의 적용을 도울 수 있는 연구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사회정서학습 외에도 학습자들의 실제 삶과 건강한 정서를 위한 다양한 미술과 교육방법이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 작가 생애사 중심 미술 감상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교과목을 중심으로

        이혜솔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는 일상에서 이미지를 통해 수많은 정보를 접한다. 매체와 기술의 발전으로 이미지는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이미지로 가득 찬 현대사회 속에서는 보다 입체적이고 다각적인 감상 능력이 요구된다. 이를 미술교육에 적용했을 때 감상교육에서도 작품에 대한 단편적 지식이나 작품 읽기에서 벗어나, 보다 폭넓은 감상 방법이 필요하다. 모든 미술작품은 창작자, 즉 작가의 발상에서 시작되며 작가의 삶 속의 한 지점에서 작품이 탄생한다. 따라서 작가의 삶과 배경을 작품 감상 과정에서 함께 고려한다면 작품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가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작가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미술작품을 감상하는 지도안을 제안하며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생애사 연구는 미술 감상과 비평교육과 미술사 교육과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가? 둘째, 작가 생애사 중심 미술 감상 지도방안은 어떤 방법과 전략을 활용하여 구체화될 수 있는가? 셋째, 작가 생애사 중심 미술 감상 지도방안의 실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에 따라 미술 감상과 비평 교육, 미술사 교육, 생애사 연구 및 미술교육과 생애사 연구와의 접점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론적 배경을 통해 작품 및 작가 생애사 분석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현행 3종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여 다양한 감상법을 적용한 씨마스 출판사의 「미술 감상과 비평」교과서를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한 교과서의 ‘미술 작품과 작가 탐구’ 중 ‘미술의 이해’ 속 13개 작품에 대하여 작가 생애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 감상 지도안을 총 4차시로 구성하였다. 1차시와 2차시는 감상의 의미와 비평방식을 다루며 작가 생애사 중심 작품 감상의 기회를 가진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작가별 작품 창작활동의 다채로운 배경과 흐름을 접하고 작가의 삶을 간접 경험하며 작품을 입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차시와 4차시는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각자의 감상에 대해 모둠별로 토론하며 작품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해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작가 생애사 중심 미술 감상은 학습자에게 작가의 삶을 간접 경험하고 작품 제작의 배경과 흐름을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작품 감상력과 미적 감수성을 키워나가기를 바라며, 나아가 일상 속에서 작품의 아름다움을 알아보고 보다 확장된 사고와 시선으로 작품을 감상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현진 가톨릭관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진로준비행동은 진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보와 도구를 수집하고 시간과 노력을 투자함으로써 폭넓은 진로탐색의 기회를 엿볼 수 있는 일련의 필요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진로준비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데 있어서의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끌어내고자 하며, 진로준비행동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자아정체감과 자기효능감의 내부적 심리영역에 초점을 맞춰 그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되, 외부적 사회영역인 사회적 지지변수의 조절효과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내·외적 영향요소의 통합적 고려를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강원도 영동지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8개 학교에서 192명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자아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적 통계방법을 사용하였고,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은 Cronbach’ Alpha 계수와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의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을 63%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자신(능력, 적성, 흥미, 성격)과 직업세계(전망, 현황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행동을 하는 데 52.29%의 영향력을 지니며, 도구준비행동인 취업에 필요한 교재 및 기자재등을 구입하기 위해 56.07%의 영향력을 갖는다. 또 목표달성에 필요한 행동적인 노력을 54.81% 증가시키므로 적절한 시간과 노력의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진로개발 및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고, 이에 알맞은 진로 지도 및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요인의 평균값에 따라 표본을 나누어본 결과 조절효과의 방향성이 입증되었고, Free모형이 제약모형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를 통해 효과가 검증되었으므로,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일수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이 결과를 요약하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 청소년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가 그 효과를 조절하므로 청소년들이 진로탐색이나 진로준비를 함에 있어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킴으로써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긍정적으로 진로준비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두 가지 변인을 함께 개입시키는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위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함의를 살펴보면 첫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므로 교육 소외 청소년들에게 바람직한 진로지도를 할 때 우선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고려해야 하며 사회적·경제적 배경의 한계를 벗어나 자신의 진로목표를 설정하고 수행할 수 있다는 개인의 자신감을 갖도록 학교차원에서 도와주는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크다고 확인됨에 따라 교육 소외 청소년들이 학교구조 안에서 평등한 진로탐색의 기회를 갖고 행동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적절한 사회적 지지를 제공받을 수 있는 복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나 장기적인 측면을 장담할 수 없으므로 교육정책 측면에서 진로지도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청소년의 진로선택에 대한 차별이 없어지고, 교육의 기회와 여건이 균등해 진다면 교육 소외 학생들에게도 미래를 꿈꿀 수 있는 진정한 교육복지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