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업보험과 자가보험의 통합에 따른 사회효용 비교분석

        오경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aims at the simulation analysis of social utility of unemployment insurance and integrated insurance applying to the virtual society created by Korea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In spite of the social function of unemployment insurance, the system reduces the job searching incentive of unemployed for moral hazard. Integrated insurance is an alternative system of unemployment insurance proposed by Stiglitz and Yun (2005). There are two components to this system: society-wise unemployment insurance funded by insurance payments by labor income earners (or simply “taxes” hereafter) and personal pension funded by personal savings deposited during working years and paid out during each person’s retirement phase. This system is designed to reduce the increasing unemployment period caused by the moral hazard of unemployment insurance. The result of simulation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First of all, when the moral hazard problem is not concerned, the social utility of integrated insurance is lower than unemployment insurance. The reason is that integrated insurance weaken the effect of crosssectional income distribution of unemployment insurance. In other words, in the hypothetical society, utility gain achieved by intertemporal smoothing is not greater than utility loss incurred by giving up on redistribution. The threshold level of moral hazard is between 2% and 2.5%. Secondly, when the moral hazard problem is concerned (moral hazard is over 2.5% level), integrated insurance lessens the adverse consequences of moral hazard leading to shorter unemployment spells and lower taxes than before. In addition, it weakens cross-sectional income redistribution and enables each individual to achieve a better inter-temporal smoothing. Therefore, under moral hazard problem, the integrated insurance leads increasing utility level for all social groups. 본 논문은 실업보험제도가 가지고 있는 도덕적 해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Stiglitz and Yun (2005)에 의해 제시된 통합보험을 우리나라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한 가상사회에 적용시켜봄으로써 실제 효용의 크기의 비교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실업보험제도가 갖는 사회적 기능에도 불구하고 실업급여의 제공은 도덕적 해이로 인한 실업자들의 구직유인 감소를 야기한다. 소득이 보장됨으로써 구직활동을 게을리하거나 일자리가 주어짐에도 더 나은 일자리를 위하여 취업을 하지 않는 등의 현상이 도덕적 해이로 인한 문제로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수급 대상의 선별과 수급기간의 제한 등은 실업보험 고유의 사회적 역할을 감소시키는 부작용을 낳는다. Stiglitz and Yun (2005)에 의하여 제안된 통합보험제도는 세금을 통한 실업급여와 사회구성원이 스스로 구축하게 되는 자가보험을 통합함으로써 기존의 실업보험제도가 갖는 사회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도덕적 해이를 감소할 수 있는 제도적 특징을 지닌다. 뿐만 아니라 자가보험으로 인한 기간간 소득재분배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실업보험과 통합보험을 실제 데이터에 대입함으로써 사회효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 가지 실업보험제도를 적용시키기 위하여 가상사회의 구성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와 「경제활동인구부가조사」의 1998년부터 2002년까지 5개년간 자료를 패널 자료화하였다. 구성된 패널자료를 바탕으로 임금, 실업확률, 실업기간에 대한 추정작업을 실시하였다. 실질 데이터 5년을 제외한 기간에는 추정 자료를 대입하여 16,512명의 25세부터 80세까지의 life-time profile을 완성하여 하나의 가상사회를 구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기존의 실업보험과 통합보험을 모형화하여 정리하고 실제 데이터를 적용하여 효용을 도출하였으며 모든 사회구성원의 효용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사회효용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존의 실업보험제도가 더 높은 사회효용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덕적 해이로 인하여 약 2.5% 이상의 실업기간의 연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통합보험의 효용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도덕적 해이의 발생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기존의 실업보험이 갖는 계층간 소득재분배의 기능이 자가보험이 갖는 기간간 소득재분배의 기능보다 더 큰 효용을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사회의 계층간 소득불균형이 생애기간 중 소득불균형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학력, 그룹별 효용의 변화를 살펴보면 저학력의 그룹일수록 더 높은 도덕적 해이의 수준에서 통합보험의 도입으로 인한 효용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는 낮은 학력 그룹일수록 실업의 확률이 높고 기존의 실업보험 하에서 혜택을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 논문은 우리 나라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정과정을 통하여 동일한 생애기간을 가진 하나의 가상사회를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실증분석을 위한 중요한 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비록 추정으로 채워진 부분이 많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으며 추후 지속성이 높은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검정작업을 과제로 남기게 된다.

      •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관한 연구

        최효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looks into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 identify how participation is linked to the burden of child-care and spatial constraints, and consider various possible measures to stimulate and expand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major episodes. The first covers the dynamic changes in the participation behavior of married women. Specifically, I look into the importance of state dependence in married women facing entry into secondary labor markets characterized by relatively poorer conditions. The empirical tool applied to study the state dependence - a dynamic panel multinomial logit model - is the first of its kind employed in Korean studies. The model takes account of the unobserved heterogeneity and endogeneity issues, allowing more consistent inference using panel data. The second episode delineates local labor market areas (LLMAs) relevant to married women and identifies the importance these areas have in determining the participation decision of married women. With the introduction of job figure disclosures and local job programmes, there has been renewed interest in local labor market policies. Despite this, there has been a dearth of studies in Korea focusing on LLMAs and those focusing on LLMAs pertinent to females has been even rarer. Empirical results from this exercise are examined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local labor market policies targeting married women, who are arguably more subject to spatial constraints than men or single people. The third and final episode draws on results from the two previous episodes while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the accessibility of local child-care facilities in determining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work hours of married women. This study conducts inference on the hypothesis that the participation decision of married women is deeply interconnected with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at local child-care accessibility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married womens' economic activity. In order to do this, I use the number of child-care facilities per region as a proxy for accessibility. Despite some issues which limit the usefulness of this variable as a proxy, I finds indirect evidence in support of the importance of expanding child-care facilities, along with other government policies including child-care subsidies and strengthening of work-life balance.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represents an original analysis of local child-rearing environments and the delivery of child-care servic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Chapter III (which deals with the dynamic changes i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decision of married women) suggest that nonworking married women who re-enter the labor market are more likely to join wage-earning jobs than self-employment jobs, and that those taking the former route are most likely to join irregular jobs. While married women re-entering the labor market tend to remain employed, I find that those working in irregular jobs are more likely to return to a nonworking state. Estimates from the dynamic panel multinomial logit model which accounts for 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 suggest that strong state dependence exists in cases where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is the same as the previous status. This lends support to the existence of a 'trap effect' in irregular or self-employment jobs. However, even in cases where one re-enters into an irregular job, the odds of transitioning to a regular job were higher than becoming jobless. I also find that women in regular jobs tend to have higher odds of remaining in regular jobs and continued employment, compared to those in other employment statuses. Results suggest that the probability of joining a regular job is affected by child-care related variables more strongly than in the case of joining other employment statuses. Key results from Chapter IV are as follows. First, LLMAs for married women are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and are smaller and more fragmented compared to those for men or single people. This result implies that in the case of designing local job programmes, consideration must be given to the smaller effective LLMAs that apply to women. Analyzing how LLMA characteristics have affected th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 find that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oportion of people employed in the public sector, personal services, and non-male dominated occupations, as well as the accessibility of both overall and public child-care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This implies that employment policies targeting women should not only take into consideration local characteristics, but also implemented alongside expanding provision of local child-care support measures. Lastly, Chapter V focuses on the effects of local child-care facility accessibility on participation. Results from this chapter suggest that the type of child-care facility provided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participation decisions and work hours of married women. Specifically, local accessibility of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kindergarten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married womens' decision to enter the labor market, while accessibility of overall child-care facil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Accessibility of public child-care facilities was also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participation in married women with children younger than 2 years. Local accessibility of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kindergartens were also found to positively affects the decision to work more hours. Again, accessibility of overall child-care facil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mply increasing the total quantity of child-care facilities and services is insufficient for promoting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mplying that quality is a central aspect of child-care services. Therefore, policy efforts should focus on providing higher-quality child-care services such as public facilities and kindergartens, while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delivery of child-care services through improving accessibility. 본 논문은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관한 연구로, 특히 보육부담 및 공간적 제약과의 연관성 속에서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를 촉진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코자하는 시도이다. 본 논문은 크게 세 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에피소드는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행태의 동태적 변화에 초점을 맞춘 연구로, 특히 상대적으로 열악한 2차노동시장에 직면한 기혼 여성의 상태의존성에 대해 살펴본다. 상태의존성의 검증을 위해 적용한 동태적 패널 다항 로짓 모형은 아직까지 국내에서 시도된 바 없는 모형으로, 미관측 이질성 및 내생성을 완화하여 보다 일관된 추정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두번째 에피소드에서는 기혼 여성의 지역노동시장에 관한 기혼 여성의 지역노동시장권을 획정하고, 이러한 지역적 특성이 기혼 여성의 취업 결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본다. 최근 일자리 공시제 및 지역일자리 사업의 시행으로 인해 지역노동시장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의 지역노동시장권 연구는 초기 단계로 여전히 많이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여성 지역노동시장에 관한 연구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나아가 남성 혹은 미혼자에 비해 공간적 제약이 강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혼 여성의 지역노동시장권에 대한 고찰을 통해,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를 유인하기 위한 지역 고용정책에 대해 숙고해본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에피소드는 앞서 행해진 두 연구와의 연장선상에서, 특히 지역의 보육시설 접근성이 기혼 여성의 취업 및 근로시간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가 공간적 특성과 깊게 연관되어 있고, 지역의 보육 여건이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지역의 보육여건 및 보육시설까지의 접근성을 대리하는 변수로 지역별 보육시설 설치율을 활용한다. 대리변수로 사용된 지역별 보육시설 설치율이 가진 몇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장의 연구는 보육비 지원 확대, 일가정양립 정책 강화 등과 함께 정부의 보육정책 확장에 따라 크게 증가하고 있는 보육시설 확충 정책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검증하는 한편, 지역내 보육여건과 보육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독창적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 행태의 동태적 변화를 분석한 Ⅲ장의 주요 분석 결과는 미취업 상태에서 노동시장에 재진입한 기혼 여성들은 비임금근로 보다는 임금근로로 진입할 확률이 높으며, 특히 비정규직으로 진입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에 재진입한 기혼 여성은 이후 대체로 취업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상대적으로 비정규직 근로자의 재퇴장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의 미관측 이질성을 감안한 동태적 패널 다항 로짓 모형의 분석 결과, 현재의 고용형태는 전기와 동일한 고용형태일 때 강한 상태의존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통해 비정규직 혹은 비임금근로의 함정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단 비정규직으로 진입한 경우라 하더라도, 비정규직 근로에서 미취업으로 이행할 확률에 비해서는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이행할 확률이 높았다. 그리고, 전기에 정규직 근로를 하던 기혼 여성의 경우 다른 고용형태에 비해 정규직 유지 확률 및 취업 계속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정규직 근로 확률은 비정규직 혹은 비임금근로에 비해 보육변수들의 영향을 보다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음으로, Ⅳ장의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기혼 여성의 지역노동시장권은 전국이 잘게 쪼개지는 양상을 보이며, 기혼 남성 혹은 미혼자에 비해 현저히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일자리 사업 수립시 여성의 경우에는 보다 좁은 지역노동시장권을 고려하여 입안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또, 지역노동시장권의 특징이 기혼 여성의 취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역 요인 중에서 공공서비스업 종사자 비중, 개인서비스업 종사자 비중, 비남성지배직종 종사자 비중, 지역별 전체 어린이집 설치율 및 국공립어린이집 설치율 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통해 본고는 여성 고용정책이 지역의 특성을 감안할 뿐 아니라, 지역의 보육지원 정책이 함께 이뤄져야 함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보육시설 설치율의 효과에 보다 초점을 둔 연구인 Ⅴ장에서는 보육시설의 설립 유형에 따라 기혼 여성의 취업 유인 효과 및 근로시간이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구체적으로는 기혼 여성의 취업결정 모형의 경우 거주 지역의 국공립 어린이집 설치율과 유치원 설치율의 경우 유의미한 양의 효과가 관측되었으나, 전체 어린이집 설치율의 경우에는 유의한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또, 국공립 어린이집 설치율은 만2세 이하의 영아기 자녀를 둔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기혼 여성의 근로시간 결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국공립 어린이집 설치율과 유치원 설치율은 유의한 양의 영향이 관측된 반면, 전체 어린이집 설치율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유인하기 위해서는 보육서비스의 양적인 확대만으로는 불충분하며, 보육의 질을 고려한 보육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즉, 국공립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확충을 통한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보다 확대하고, 국공립 어린이집으로의 접근성을 제고하는 등 보육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소득 계층 이동 결정요인 분석

        임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소득이동성은 장기적 소득불평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볼 때 중요한 지표이다. 소득이동성에는 여러 가지 개념이 존재하나 본 연구는 소득 계층별 소득 이동성의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LIPS)에서 조사된 가구를 저소득층, 중산층, 고소득층으로 나누고 프로빗 모형을 사용하여 각 계층의 소득 이동성 결정 요인에 대해 분석한다. 1년간 소득이동과 5년간 소득이동 결과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단기와 중기의 소득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달라지는지 여부와 그 효과의 크기를 비교한다. 그러나 충분한 시계열이 확보되지 않아 패널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합동 자료로서 분석하여 다른 거시 변수들의 영향은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실증분석 결과 소득 계층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구주 교육수준, 취업상태 변화, 가구주 직종, 가구 내 고령자 비율, 취업자 수 비율이 나타났다. 이 외에도 기준 연도에 가구주가 임금근로자였는지 자영업자였는지 여부와 가구주 성별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난 모형도 있었다. 또한 가구 특성으로는 고령자 비율이 소득 계층 이동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 비율은 대체로 계층 상승 확률을 낮추고 하락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수 비율의 경우 고소득층을 제외한 저소득층이나 중산층에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come mobility is an important index as one of the factors that affect long-term income inequalities considering its effect on society and economy. Although there are several concepts of income mobility, this paper focuses on analysing the determinant of income class mobility. This paper classifies the households surveyed in KLIPS into three income classes which includes low-income class, middle-income class and high-income class with the purpose of analysing each classes' income mobility determinant using Probit model. By suggesting both one-year mobility and five-year mobility,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variables which are significant in short-term to those significant in mid-term and the size of marginal effects in each cases. However, this thesis has limitations that it did not include the macroeconomic variables as explainatory variables since KLIPS panel data set was considered and analysed as pooled data set due to the short time-serie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it is shown that householder's education level, changes in employment state and job classification are significant. In some models, whether the householder is employed or self-employed in initial year and the householder's gender are also significant. Additionally, as properties of households, the ratio of elderly household members and the ratio of working members are significant. The ratio of elderly household members mostly reduces probability of upward mobility and raises probability of downward mobility. The ratio of working members is shown that i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income mobility of household except high-income class household.

      • 중국의 교육투자수익률 : CGSS자료를 이용한 분석

        WEN, RUN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적 자본 이론에 따르면 교육은 노동자들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그들에게 지식과 기술을 나누어 줌으로써 소득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교육투자수익률의 차이는 노동자들의 소득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원인이기 때문에 교육투자수익률에 대한 추정과 연구는 개인적 차원에서 교육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도 있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CGSS의 2003-2010년의 전국 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Mincer 임금함수의 기본형태를 기초하여 교육년수, 직장경험 외에 지역, 성별과 산업의 더미변수를 도입하며 배우자 학력과 각 지역의 211대학 수를 도구변수로 설정하여 2SLS방식으로 교육투자수익률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IV방법을 사용하여 추정된 결과가 기존OLS방식으로 추정된 수익률이 하향편의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국 2002년, 2004년, 2006년, 2007년, 2009년의 교육투자수익률이 하락할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력급별 교육수익률을 추정한 결과, 고졸이하 학력의 교육수익률은 2002-2009년에 큰 변동이 없이 일정한 수준에서 유지하고 있지만 전문대졸과 대졸이상 학력의 교육투자수익률이 하락할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 원인은 중국 1999년부터 실시된 대학확대모집 정책으로 인한 노동시장 과잉공급의 현상을 들 수 있다. 또한 고등교육 투자수익률의 하락과 학력별 임금격차에 대해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기했다. According to the human capital theory, education can improve people’s labor productivity by teaching them the knowledge and technology, so that obtain a higher labor income. The gap of the rates return to education is an important reason that affecting people's income gap. The estimation and research on the return of education can help people make better decisions on education investment at a personal point of view as well as providing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fficiency of the allocation of social resources. This study estimates the rates of return to education using Mincer’s earning function based on CGSS data. To solve the endogeneity, this study uses spouse's education and the number of 211 universities in each province as the instrument variable.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OLS estimates of the returns to education are downward biased. Second, the rates of return to education in 2002, 2004, 2006, 2007 and 2009 of China shows a downward trend. In addition, this paper also presents policy proposals to the decline of the rates of return to education and the wage differentials.

      • 문화예술분야 청년층 고용현황과 정부 취업지원정책 효과 분석

        이유정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세계적으로 문화산업의 영향력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류가 확산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문화시장 규모도 점차 확대되고 있고, 문화예술분야의 산업적 경쟁력 강화도 중요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문화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우수한 인력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고용환경은 임시직 및 비정규직이 타 영역에 비해 많고 고용이 불안하여 우수인재가 이 분야로 진출하는데 있어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우수한 인력확보를 위해서는 보수, 고용안정성, 근무환경 등 근로조건의 개선이 중요하고, 문화예술분야 청년층 정부 취업지원정책은 문화예술전공 졸업생의 고용안정을 지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분야 전공 졸업생들의 고용현황과 정부의 청년취업지원정책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정부의 청년취업정책이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는데 있다. 분석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0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0GOMS)의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정부의 청년고용정책이 문화예술전공 학생의 졸업 후 취업률과 고용안정성에 어떠한 효과를 주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 졸업생이 경험한 2013년 현재 정부의 청년 고용촉진정책 프로그램 대부분은 주로 임금근로자 및 상용직 위주의 정책으로, 임시직과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문화예술분야에는 대체적으로 크게 도움이 안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예술분야 졸업생의 고용안정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재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제언하였다.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effect of Korean government’s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imed to promote th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especially focusing on those majoring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s(C&A). C&A majors are known to have suffered both from low employment rate and low job security. To develop the culture and arts industries in Korea as a new growth driver as manifested in the government’s policy platform, It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to improve the job prospective and employment performance for college graduates majoring C&A so that the culture and arts industries can induce better human resources and talents to find their long-term career goal in this area. I analysed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C&A major graduates using 2010 Graduates’ Mobility Surveys(2010GOMS1 and 2010GOMS3).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employment, wages, and employment type in September 2011 and 2013, 18 and 42 months after the graduation, compared to other majors, C&A majors show no significantly low possibility of employment while earning less wages and showing lower possibility to get regular jobs. Compared to other majors, C&A majors also show larger proportion to venture start-ups. I also found that most of government active labor market programs for young college graduates were not so effective in boosting the employability for C&A majors. As for C&A majors, the experience of a intern program designed for small and medium compan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ployment in 2011. Youth global leader program was also turned out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ployment in 2013. SME intern experience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ecurity in 2011. The analysis result suggests that new labor market policies designed or focusing more on C&A majors are needed as most of the current policy programs are of little help in helping them to get more secure jobs or to prepare or operate their start-ups.

      • 우리나라의 세대 간 소득 이동성 분석

        최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의 1차~11차(1998년~2008년)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세대 간 소득 이동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세대 간 이동성과 소득양극화 현상을 연관 지어 논의하고자 자녀 소득 분위에 따라 세대 간 이전 정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분석모형은 부모와 자녀 항상소득의 관계를 분석하는 세대 간 이동성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항상소득에 대한 대리변수(proxy)는 연간 및 월평균 근로소득을 이용하였다. 모든 변수는 평균변수이고 종속변수인 자녀 근로소득을 부모 근로소득에 대해 회귀시켰으며 이때 생애주기 변동을 통제하고자 부모와 자녀의 연령 및 연령제곱을 설명변수로 추가하였다. 분석대상은 KLIPS의 남성가구원으로 제한하였다. 구체적으로 원가구의 가구주인 아버지와 분가한 가구의 가구주가 된 아들의 자료를 연결하여 총 369쌍의 표본을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최소제곱(Ordinary Least Square) 및 도구변수(Instrumental Variable) 추정방법을 모두 사용하였으며, 자녀 소득분위별 세대 간 소득 이전정도를 분석하고자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자녀의 근로소득은 강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세대 간 이동성이 낮다는 가능성을 찾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선행연구인 김희삼(2009)과 배치되는 부분이다. 둘째, 분위회귀분석 결과 연간 근로소득을 기준으로 최하위 분위에 속한 자녀의 경우 부모 소득이 미치는 영향력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소득이 낮아질 때, 자녀 소득 역시 급격히 감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paper, I analyzed intergenerational earnings mobility in Korea by using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from 1998 to 2008. This study also explored how differently the extent of intergenerational transfer would be estimated upon a quantile of children income so that I could consider carefully the mobility and disparity of income. In order to estimate intergenerational correlation in long-run income, log annual and monthly labor earnings averaged have been used as a proxy for long-run income. Main conclusion in this thesis is that intergenerational correlation in the earnings to be about 0.4, meaning that family background exerts greater influence on children earnings than has been indicated by one of the earlier studies, Kim(200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