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팀 공유정신모형 척도의 타당화: 재난위기대응팀을 대상으로

        강주향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팀 공유정신모형(Team Shared Mental Model) 척도는 효율적인 팀 과제 수행을 위해 필요한 팀 내 의사소통 및 정보 공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팀 단위의 활동이 요구되는 재난위기대응팀을 대상으로 팀 공유정신모형 척도를 타당화하였다. 연구결과 팀 공유정신모형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모두 적합하였다. 예상과 달리 요인분석 결과에서는 단일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팀 공유정신모형 척도 사용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단축형 척도를 제안하였다. 단축형 팀 공유정신모형 척도는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신뢰도와 타당도도 모두 적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팀 공유정신모형 척도가 재난위기대응팀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팀 역량을 평가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시사한다.

      • 성별소수자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회복력과 대인관계 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성우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성별소수자는 남성과 여성으로 이분화 되어 있는 주류 사회에서 다양한 차별 문제에 직면해있다. 본 연구는 성별소수자 특정 스트레스 요인과 정신건강의 관계에 대한 소수자 스트레스 모델과 자살의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델에 기반하여 성별소수자의 자살생각에 기여하는 심리사회적 과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성별소수자가 겪는 외부 및 내부 스트레스와 회복력 요인을 측정하는 성별소수자 스트레스와 회복력 척도(Gender Minority Stress and Resilience, GMSR)를 국내 타당화 하였다. 다음으로 성별소수자의 외부 스트레스가 내부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성별소수자 스트레스 모델의 회복력 요인인 성별소수자 자긍심과 공동체 연결성이 보호요인으로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와 좌절된 소속감과 짐이 되는 느낌이 위험요인으로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네 개의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성별소수자 성인 2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GMSR 척도의 요인 구조, 신뢰도 및 타당도는 적합하였다. 성별소수자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조절된 매개모형 검증 결과, 성별 소수자 외부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를 내부 스트레스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에서 회복력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에서는 짐이 되는 느낌만이 유의하게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 달리 성별소수자 자긍심과 공동체 연결성, 그리고 좌절된 소속감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별소수자가 경험하는 내부 스트레스와 짐이 되는 느낌이 이들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Gender minorities in Korea face the problem of various discrimination in the mainstream society, which is divided into man and woma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his study validated the Gender Minority Stress and Resilience (GMSR) measure, a self-report measure of stress and resilience of gender minorities, in a Korean population. Second, based on the gender minority stress and resilience model and the interpersonal psychological model of suicid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sychosocial process of suicidal ideation among gender minor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pride and community connectedness, which are resilience factors, would be protective factors in the path from internal stress to suicidal ideation, and whether the thwarted belongingness and perceived burdensomeness in the interpersonal 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e would be risk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GMSR is a valid measure of gender minority stress and resilience in a Korean population. The nine-factor model of the GMSR had an appropriate model fit. Perceived burdensomen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while thwarted belongingness, pride, and community connectedness did no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ender minority specific stress, especially internal stress, and burdensomeness a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gender minority population in Korea.

      • 짐이 되는 느낌, 좌절된 소속감, 남성성이 남성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고선화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남성 노인의 자살률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높고 자살시도 대비 자살률의 비율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자살 생각 단계에서의 위험 요인을 명확히 규명하여 개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 노인의 자살 생각 위험 요인으로 개인 내적 요인인 남성성, 대인관계 요인인 짐이 되는 느낌과 좌절된 소속감을 가 정하고 이들과 자살 생각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충북, 대전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남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대인관계 요인인 짐이 되는 느낌은 우울을 통제한 후에도 남성 노인의 자살생각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좌절된 소속감은 짐이 되는 느낌과 함께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으나 이 가설은 지지되지 못했다. 예상과 달리 개인내적 요인인 남성성도 남성 노인의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관련을 나타내지 않았고, 남성성의 하위 요인 중 리더쉽 하위 요인만이 남성 노인의 자살생각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변 사람들에게 짐이 되는 느낌이 남성 노인들의 강력한 자살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주도적이고 능동적으로 대담하게 행동하는 리더쉽은 남성 노인의 자살 생각에 대한 보호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남성 노인의 자살 생각 예방·개입 프로그램은 자신이 쓸모없고 주변사람들에게 짐이 될 것이라는 지각을 수정할 수 있는 인지적 개입과 함께 능동적으로 주도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리더쉽 함양 관련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For older men, suicide rate is very high worldwide, and the ratio of suicide attempt to suicide is highest among the all age groups. Thu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for this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older men’s suicidal ideation with masculinity,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thwarted belongingness. Face-to-face surveys were administerd to older men aged 65 years or more residing in the Chungbuk province and Daejeon. As a result of the study, perceived burdensomene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ve symptoms, whereasthwarted belongingness was not. As contrary to our hypothesis, masculinity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older men, and only ledership, a sub-factor of masculin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of older men. None of interaction effects significantly predicted suicidal ideation of the sam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erceived burdensomeness is a strong suicide risk factor for older men. Also, a higher level of leadership protects against suicidal ideation of older men. In conclusion, Prevention programs focusing on leadership development and psychosocial programs reducing one’s perception of being a burden to others could be beneficial for older men with suicidal ideation.

      • 자살 생각자와 자살 시도자의 심리적 특성의 차이: 자살 잠재력을 중심으로

        류성은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자살 잠재력은 자신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힐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 생각자와 자살 시도자가 가진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자살 잠재력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자살 잠재력을 측정하는 자살 잠재력-죽음에 대한 공포감소 척도(ACSS-FAD), 독일판 자살 잠재력 척도(GCSQ), 리허설을 포함한 자살 잠재력 척도(ACWRSS)와 자살 잠재력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기질변인인 공격성과 충동성을 측정하는 한국판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UPPS-P), 공격성 척도(AQ)를 실시하고 자살행동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자살 잠재력 변인 중에는 지각된 자살 잠재력과 자살에 대한 준비성이 기질변인 중에는 부정 긴급성만이 자살 생각자와 자살 시도자를 구분해 주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자살 잠재력의 주요 하위 요인인 죽음에 대한 공포감소는 자살 생각자와 자살 시도자를 구분해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시도 빈도는 자살 시도 유무와 관련이 있었던 부정 긴급성, 지각된 자살 잠재력, 자살에 대한 준비성 외에 신체적 공격성과도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은 있으나 시도경험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자살을 시도해 본 적이 있는 성인은 스스로 자살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주관적인 지각 수준이 높고 자살행위에 대한 정신적 표상행동을 더 많이 해 본 사람들임을 시사한다. 또한 부정적인 정서 상태에서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기질적 취약성은 자살 생각보다 자살 시도와 관련성이 높은 변인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사람들의 심리적 특성과 더불어 공격적인 성향이 높은 경우 반복적인 자살시도를 할 경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 청소년 사별 후 대처척도 개발 및 타당화

        권지은 충북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bereavement coping scale for adolescents based on the dual process model(Strobe & Schut, 2010), a psychological model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dealing with bereavement. The study used semi-structured interviews, surveys, and questionnaires to collect data from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loss of family member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a 3-factor, 17-item scale. The three factors were labeled as follows: 'acceptance of bereavement (7 items)’, 're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5 items)’, and 'positive perspectives (5 items)’. ‘Acceptance of bereavement’ is a process of acknowledging and accepting the loss, and ‘re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reflects one’s effort to maintain a psychological connection with the deceased. 'Positive perspectives' refers to a positive attitude and emotion toward the future and oneself. The factors of acceptance of bereavement and re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align with the loss-oriented coping in the dual process model, while the factor of 'positive perspectives' aligns with the restoration-oriented coping. The Bereavement Coping Scale for Adolescents demonstrat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lso, satisfactory convergence validity, prediction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were obtained for the scale. In conclusion, the Bereavement Coping Scale for Adolescents, a 17-items self-report measure is a suitable measure for assessing coping in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loss of family members. 본 연구의 목적은 사별에 대처하는 개인차를 설명하는 모델인 이중과정모델(Stroebe & Schut, 1999; 2001)을 기반으로 청소년 사별 후 대처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족과 사별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 개방형 설문, 설문을 실시하였다. 반구조화 면담과 개방형 설문을 통해 수집한 경험적 자료와 기존 척도의 문항을 참고하여 청소년 사별 후 대처척도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3요인, 17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였고, 각 요인은 ‘사별에 대한 수용’‘고인과의 관계 재정립’‘긍정적 관점’으로 명명하였다. ‘사별에 대한 수용’은 사별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이며, ‘고인과의 관계 재정립’은 고인과 심리적으로 연결되어있는 상태를 지속하려는 노력이다. ‘긍정적 관점’은 미래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정서를 의미한다. ‘사별에 대한 수용’과 ‘고인과의 관계 재정립’은 이중과정모델의 상실지향적 대처와 ‘긍정적 관점’은 회복지향적 대처와 부합한다. 청소년 사별 후 대처척도의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양호하였다. 또한 본 척도의 수렴타당도, 예측타당도, 증분타당도가 타당함이 증명되었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한 3요인, 17문항(사별에 대한 수용 7문항, 고인과의 관계 재정립 5문항, 긍정적 관점 5문항)으로 구성된 본 척도가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의 사별 후 대처를 측정하는데 적절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성인용 트라우마 사건 질문지의 개발 및 타당화

        김수연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들이 트라우마라고 인식하는 사건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성인의 트라우마 경험을 평가하는 트라우마 사건 질문지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와 전문가 자문과정을 거쳐 69개의 잠재적 트라우마 사건 목록을 작성하였고, 예비연구를 통해 342명의 국내성인 중 50% 이상이 트라우마 사건이라고 응답한 39개의 사건으로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 에서는 성인 481명을 대상으로 트라우마 사건 질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성인용 트라우마 사건 질문지로 측정한 누적외상경험 빈도는 PTSD 증상, 우울 증상, 사건중심성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준거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성인용 트라우마 사건 질문지의 동시타당도,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트라우마 사건 질문지는 다양한 잠재적 트라우마 사건에 대한 누적외상을 측정하는 타당한 척도로 다양한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 list of events that Korean adults perceive as trauma and to develop a questionnaire assessing trauma experience in Korean adult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expert consulting, 69 potential traumatic events were developed. In a preliminary study, the events that more than 50% of 342 Korean adults perceived it as trauma were selected, resulting in 39 ev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raumatic event questionnaire were examined in another sample of 481 Korean adults. Cumulative trauma experience measured by the traumatic event questionnaire for adul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TSD symptoms, depression symptoms, and event centrality, supporting criterion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Concurrent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also appropriate. The traumatic event questionnaire for adults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valid measure of traumatic events for adults that measures cumulative trauma experience.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급성 자살 위기 증상 분석: 급성 자살 정동 장애(ASAD)와 자살 위기 증후군(SCS)의 비교

        이윤진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Various instruments have been developed to assess suicidal behavior, but most have been criticized for their low predictive power for acute suicidal crisis. Recently, DSM diagnostic criteria based on the newly developed measures of acute suicidal crisis symptoms have been proposed. In this study, two self-report measures assessing imminent suicidal crisis were analyzed using network analysis. A total of 400 community adults with history of suicidal ideation or attempt in Ko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Acute Suicidal Affective Disturbance (ASAD), Suicide Crisis Syndrome (SCS), and current suicide ideation. The results of network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re symptoms of the ASAD included cognitive symptom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le emotional and physical symptoms such as mental distress and sleep problems were the core symptoms of the SCS. The bridge symptoms linking the symptoms of the ASAD and SCS were sleep problems, hopelessness, and cognitive overload. Both measur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urrent suicidal ideation. The ASAD was associated with suicidal plan while the SCS was associated with suicidal impulse.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ASAD and SCS had common symptoms linking the two, but core symptoms of the measures differed. data to evaluate impending suicide risk and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s in actual clinical settings.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data to understand key symptoms of imminent suicidal crisis based on a network analysis approach. 자살 행동 평가를 위한 측정 도구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었지만 대부분 급성 자살 위기에 대한 예측력이 낮다는 비판이 있어왔다. 최근 급성 자살 위기 증상 심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 개발 연구들과 함께 이에 기반한 DSM 진단 기준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임박한 자살 위기를 평가할 목적으로 개발된 두 개의 척도를 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각 척도의 핵심 증상과 두 척도 간의 연계 증상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급성 자살 위기 증상을 평가하는 척도인 급성 자살 정동 장애(ASAD)와 자살 위기 증후군(SCS) 그리고 현재 자살생각 심각도를 측정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ASAD는 대인관계와 관련된 인지적 영역이, SCS는 정신적 괴로움, 수면문제와 같은 정서적, 신체적 영역이 핵심 증상으로 나타났다. ASAD와 SCS의 증상을 연결시키는 연계 증상은 수면 문제, 절망감, 인지적 과부하였다. 두 척도는 공통적으로 현재 자살생각 심각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특히 ASAD는 자살계획, SCS는 자살충동과 관련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ASAD와 SCS는 연계된 공통 증상이 있지만 각 척도에서 측정하는 핵심 증상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급성 자살 위기를 측정하는 주요 증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실제 임상현장에서 임박한 자살 위기를 평가하고 적절한 개입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외상후 울분장애의 네트워크 분석 : 핵심증상 및 다른 정신장애와의 연계증상에 대한 연구

        이진수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PTED) is a reactive disorder characterized by prolonged feelings of embitterment and various psychological/behavioral symptoms following unjust or unfair life events. PTED symptoms tend to be chronic and highly comorbid with other mental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re symptoms of PTED and bridge symptoms that are linked to comorbid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Hwa-byung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of PTED, depression, Hwa-byung, and PTSD were assessed in 455 community adults, and strength and bridge centrality were estimated to identify core and bridge symptoms. Results of network analysis indicated that difficulty of experiencing normal mood and feeling of sullen and unhappy were core symptoms of PTED. The strongest bridge nodes between PTED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symptoms of feeling of sullen and unhappy, worthlessness, depressed or sad mood, and suicide thought. In the PTED and Hwa-byung network, self-blame and shame emerged as bridge symptoms. Avoiding certain places or persons, worthlessness, painful memory and feeling distant from other people were identified as bridge symptoms between PTED and PTS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cusing on core and bridge symptoms would be helpful in reducing PTED symptoms as well as preventing comorbidity. 외상후 울분장애(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PTED)는 부당하고 불공정한 사건을 경험한 이후 울분을 호소하며 다양한 심리적·행동적 증상들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장애이다. PTED는 만성화되고 다른 정신장애와 흔히 동반이환 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모델의 관점에 따라 PTED의 핵심증상(Core Symptom)과 우울, 화병,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증상 간의 연계증상(Bridge Symptom)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국내 성인 455명을 대상으로 PTED 척도와 PHQ-9, 화병 척도, PCL-5-K를 실시하여 증상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강도 중심성 지표와 연계 중심성 지표를 산출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PTED의 핵심증상은 ‘정상적인 감정을 느끼기 힘듦’과 ‘우울감 및 불행감’으로 나타났다. PTED와 우울 증상의 연계증상은 ‘우울 및 불행감’과 ‘무가치감’, ‘우울 및 절망감’, ‘자살 사고’로 나타났다. PTED와 화병 증상의 연계증상은 ‘자기비난’과‘ ’수치심’이였다. PTED와 PTSD의 연계 증상은 ‘회피’와 ‘무가치감’, ‘고통스러운 기억’, ‘다른 사람들로부터 단절된 느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PTED의 만성화와 다른 정신장애와의 동반이환을 치료·예방하기 위해 핵심증상과 연계증상에 초점을 둔 치료적 개입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메타인지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조혜선 충북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메타인지를 측정하기 위한 자기보고식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메타인지의 구성요소를 인지과정에 대한 의식적인 인식, 모니터링 및 통제로 구분하였다. 연구 1에서는 기존의 메타인지 관련 이론과 척도를 참고하여 세 가지 구성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예비문항과 응답자의 반응왜곡을 확인하기 위한 허구척도 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심리전문가 11명에게 각 문항이 구성개념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평정하게 하였다. 전문가 평정 결과를 기반으로 문항을 수정하여 예비척도를 구성하였다. 예비척도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최종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성인 48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메타인식(8문항), 모니터링(4문항), 메타통제(8문항)의 3요인이 추출되었고, 허구척도(8문항)를 추가하여 28개 문항을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 2에서는 성인 302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여 메타인지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메타인지 척도는 병리적 성격특질, 정신병적 경향성,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병리적 성격특질 중 탈억제는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에서 개발한 3요인의 메타인지 척도가 한국 성인의 메타인지를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eport measure of metacognition, the Metacognition Scale. Metacognition refers to conscious awareness, monitoring, and control about cognitive processes. In study 1,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o measure three sub-components of metacognition: meta-awareness, monitoring, and meta-control. First, to evaluate content validity, eleven experts assessed whether each item appropriately represented the construct. Based on the experts’ ratings and comments, items were revised, deleted, or added. Using an online survey, 488 community adults completed the revised measu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three factors of meta-awareness (8 items), monitoring (4 items), and meta-control (8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three factor structure. In study 2, using an independent community adult sample, the Metacognition Scale, a 28-item self-report measure of metacognition, ha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he Metacognition Scale also had good convergent and criterion validity. This scale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athological personality traits, psychotic tendencies, and depression. Als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bove psychopathology between the high and low metacogtion groups. In particular, disinhibition had a larg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metacognition. In conclusion, the Metacognition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valid measure of metacognition in community adults.

      • 청소년의 비행 문제 감소를 위한 롤플레잉게임형식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배성훈 충북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 청소년의 비행 행동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능력, 자기 통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행동치료의 치료 구성요소들을 롤플레잉게임(Role Playing Game)의 형식으로 구성하여 치료 효과 뿐 아니라 프로그램 참여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에서 비행 문제로 의뢰된 36명의 청소년들과 이들의 담임교사 18명이었다. 청소년들은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무선 배정되었고 담임교사 역시 청소년들의 무선 배정에 의해 함께 무선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RPG형식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수행되었고 비교집단에는 문제해결 기술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 RPG형식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에 할당된 담임교사에게는 매 회기 후에 청소년 지도와 관련된 교사 교육을 실시하였다. 문제해결 기술 집단치료 프로그램에 할당된 담임교사는 교사 교육을 받지 않고 사후 및 추후 측정에만 관여하였다.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비행행동,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자기 통제 수준을 사전, 사후, 추후(한 달 후)에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사후 검사에서 실험집단의 비행행동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고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능력, 자기 통제력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프로그램이 종결된 시점에서 한 달이 지난 후에 재측정을 했을 때에도 비행 행동,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능력 및 자기 통제력 수준이 모두 사후 평가 때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더불어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프로그램 만족도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RPG형식의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비행 문제 감소 및 비행 문제 감소와 관련된 기술 및 전략의 향상에 효과적이면서도 비행 청소년들이 흥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는 집단치료 프로그램임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aimed at reducing juvenile delinquency and enhancing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motion regulation skills and self-control skills, and further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program adopted the form of Role-Playing Game (RPG), a game genre, to increase motivation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6 adolescents with delinquent behavior and 18 of their homeroom teacher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dolescents with delinquent behavior and their homeroom teach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or comparison group. Experimental group received RPG form of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y, and comparison group received problem-solving group therapy.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education about how to guide their students following every therapy session while teachers in the comparison group did not receive any education. Outcome variables including delinquent behavior,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motion regulation skills, and self–control skills were assessed at baseline, post-treatment, and one month follow-up. At post-treatment, the RPG form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reduced delinquent behavior and increase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motion regulation skills, and self–control skills, and these effect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comparison group. Also, these changes remained at one month follow-up. Moreover,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for the treatment program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is RPG form of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adolescent delinquency and improving techniques and strategies associated with delinquency, and motivating delinquent adolescents to engage more actively in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